KR102247326B1 - Digital signage system - Google Patents

Digital signag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7326B1
KR102247326B1 KR1020190134337A KR20190134337A KR102247326B1 KR 102247326 B1 KR102247326 B1 KR 102247326B1 KR 1020190134337 A KR1020190134337 A KR 1020190134337A KR 20190134337 A KR20190134337 A KR 20190134337A KR 102247326 B1 KR102247326 B1 KR 102247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oor
film
film unit
transpar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43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건우
Original Assignee
스마트필름피디엘씨그룹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마트필름피디엘씨그룹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스마트필름피디엘씨그룹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4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732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7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73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1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 G09F19/18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involving the use of optical projection means, e.g. projection of images on clou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0Lamp housings
    • G03B21/2053Intensity control of illuminating ligh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6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featuring transparency control by applying voltage, e.g. LCD, electrochromic pan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signage system. The digital signage system includes: a film unit which is installed at least partially on an openable door, and whose state parameters are adjusted according to an applied driving voltage, wherein the state parameter includes the transparency of the film unit; a projection unit for projecting an image to a film unit; a sensor unit which detects door opening/closing state information and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and a control unit which interlocks with one or more of door opening/closing state information and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or unit and controls at least one of the state parameter of the film unit adjusted through control of the driving voltage, and a projection image projected to the film unit through the projection uni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digital signage system capable of improving advertising effect.

Description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DIGITAL SIGNAGE SYSTEM}Digital signage system {DIGITAL SIGNAGE SYSTEM}

본 발명은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signage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gital signage system for visually outputting digital media information.

전통적인 광고 방식은 광고 컨텐츠가 게시된 전단지를 오프라인으로 제공하거나, TV, 라디오, 인터넷 매체를 통해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광고 방식은 고정된 정보를 일방향적으로 제공할 뿐만 아니라 광고 컨텐츠에 대한 소유자와 제작자가 상이하여 기 제작된 광고 컨텐츠의 빠른 수정, 변경, 업데이트 등이 용이하지 않았다.The traditional advertising method has been to provide flyers with advertisement content posted offline or online through TV, radio, or Internet media. This advertisement method not only provides fixed information in one direction, but also has different owners and producers of advertisement contents, making it difficult to quickly modify, change, or update pre-produced advertisement contents.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는 일반적으로 마케팅 또는 광고를 위하여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미디어 재생 장치로서, 전술한 전통적인 광고 방식과는 달리 디스플레이되는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손쉽게 변경할 수 있어, 기업의 제품 홍보 및 이미지 제고를 위한 목적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Digital signage is a media player that includes a display panel that is generally used for marketing or advertisement. Unlike the above-described traditional advertising method, digital media information displayed can be easily changed, thereby promoting a company's product. And it is used to display content for the purpose of image enhancement.

그러나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현재의 광고 방식은 불특정 다수에게 디지털 미디어 정보를 단순히 반복 노출하는 형태로 운영되고 있음은 물론, 광고주가 제공한 광고 컨텐츠만을 노출시키는 형태이므로 제한적인 활용성을 가지며, 사이니지의 활용성 한계로 인해 사이니지 운영자 혹은 광고주 입장에서는 사이니지 운영에 따른 경제적 효과를 극대화하는데 한계가 있다.However, the current advertising method using digital signage is operated in the form of simply repeatedly exposing digital media information to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as well as exposing only the advertising content provided by the advertiser, so it has limited usability. Due to the limited usability of the signage operator or advertiser, there is a limit to maximizing the economic effect of signage opera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목적은 고정된 컨텐츠를 반복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종래의 디지털 사이니지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여 광고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gital signage system capable of improving advertisement effects by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a conventional digital signage method that repeatedly displays fixed conten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은 개폐 가능한 도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설치되며, 인가되는 구동 전압에 따라 그 상태 파라미터가 조절되는 필름부로서, 상기 상태 파라미터는 상기 필름부의 투명도를 포함하는, 필름부; 상기 필름부에 영상을 투사하는 투사부; 상기 도어의 개폐 상태 정보 및 주변 환경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도어의 개폐 상태 정보 및 주변 환경 정보 중 하나 이상에 연동하여, 상기 구동 전압의 제어를 통해 조절되는 상기 필름부의 상태 파라미터와 상기 투사부를 통해 상기 필름부로 투사되는 투사 영상 중 하나 이상을 가변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gital signage syste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lm part that is installed at least partially on a door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and whose state parameter is adjusted according to an applied driving voltage, wherein the state parameter includes transparency of the film part, Film part; A projection unit for projecting an image onto the film unit; A sensor unit that detects information on an open/closed state of the door and information on a surrounding environment; And a state parameter of the film part adjusted through the control of the driving voltage and a projection projected to the film part through the projection part in association with one or more of the door open/close state information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or part. And a control unit for variably controlling one or more of the images.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필름부의 상태 파라미터는, 상기 필름부의 채널별 투명도 차이에 따라 형성되는 패턴, 및 상기 투사 영상이 상기 필름부로 투사되는 투사 영역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te parameter of the film uni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 pattern formed according to a difference in transparency of each channel of the film unit, and a projection area through which the projected image is projected to the film unit.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가 폐쇄 상태인 경우, 상기 필름부의 투명도를 미리 정의된 기준 투명도 이하의 값으로 제어하는 제1 제어, 또는 상기 투사 영상을 미리 저장된 저장 영상으로 제어하는 제2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oor is in a closed state, the control unit includes a first control for controlling the transparency of the film unit to a value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fined reference transparency, or a second control for controlling the projection image to a stored image stored in advan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is performed.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주변 환경 정보는, 상기 도어의 주변의 조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조도가 높을수록 상기 필름부의 투명도를 더 낮은 값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includes the illuminance of the periphery of the door, and the control unit, when performing the first control, increases the transparency of the film unit as the illuminance sensed by the sensor unit increases. It is characterized by controlling to a low value.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주변 환경 정보는, 상기 도어로 입사되는 광 방향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광 방향에 대응되는 상기 필름부의 제1 채널의 투명도를 상기 제1 채널 이외의 제2 채널의 투명도보다 낮은 값으로 제어하되,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조도가 높을수록 상기 제1 채널의 투명도를 더 낮은 값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further includes a light direction incident to the door, and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transparency of the first channel of the film unit corresponding to the light direction sensed by the sensor unit. The transparency of the first channel is controlled to a value lower than the transparency of the second channel other than the channel, and as the illuminance sensed by the sensor unit increases, the transparency of the first channel is controlled to a lower value.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주변 환경 정보는, 상기 도어의 주변에 위치한 주변 객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제어가 유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주변 객체가 상기 도어로 접근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1 제어를 중지하고 상기 주변 객체가 상기 도어로 접근할수록 상기 필름부의 투명도를 더 높은 값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includes surrounding objects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door, and the controller approaches the surrounding object detected by the sensor unit while the first control is maintain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control is stopped and the surrounding object approaches the door, the transparency of the film unit is controlled to a higher value.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필름부로 투사되는 저장 영상에 연계하여 상기 필름부의 상태 파라미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performing the second control, the control unit controls a state parameter of the film unit in connection with a stored image projected to the film unit.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가 개방 동작하는 경우, 상기 필름부의 투명도를 미리 정의된 기준 투명도 이상의 값으로 제어하고 상기 필름부에 대한 상기 투사부의 영상 투사 동작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door is opened, the transparency of the film unit is controlled to a value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fined reference transparency, and the image projection operation of the projection unit to the film unit is stopped.

본 발명은 상기 필름부의 상태 파라미터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관리자 단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manager terminal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state parameter of the film unit.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필름부는 PDLC(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필름 또는 SPD(Suspended Particle Device)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m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DLC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film or an SPD (Suspended Particle Device) film.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도어는 판매처에 설치되고 객체의 터치 또는 객체 근접 감지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 동작이 이루어지며 투명 재질로 구성되는 자동 개폐 도어이고, 상기 도어가 폐쇄 상태에서 상기 필름부로 투사되는 투사 영상은 상기 판매처의 광고 영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is a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oor that is installed at a retailer and automatically opens and closes by sensing the touch of an object or proximity of an object, and is a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oor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a projection image projected to the film unit when the door is close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advertisement image of the seller.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인가되는 구동 전압에 따라 투명도가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필름이 판매처의 도어에 설치된 상태에서, 도어의 개폐 동작 및 주변 환경 정보에 따라 필름의 투명도 또는 필름에 투사되는 영상을 제어하는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판매처에 대한 광고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a film configured to adjust transparency according to an applied driving voltage is installed on a door of a vendor, the transparency of the film or projection on the film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door and information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By adopting a method of controlling the image to be use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ffect of advertising to the sell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이 구현되는 예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서 필름부의 형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서 도어가 폐쇄 상태일 경우 제어부의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서 도어가 개방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의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implementing a digital signag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igital signag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shape of a film part in a digital signag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exemplary views for explaining a control operation of a controller when a door is in a closed state in a digital signag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control operation of a controller when a door is opened in a digital signag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관리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a digital signag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an administrator or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이 구현되는 예시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서 필름부의 형태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서 도어가 폐쇄 상태일 경우 제어부의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서 도어가 개방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의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implementing a digital signag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igital signag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shape of a film part in a digital signag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4 and 5 are a control unit when a door is in a closed state in the digital signag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operation of a controller when a door is opened in a digital signag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의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소정 상품을 판매하거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판매처에 설치된 도어에 적용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본 실시예가 적용되는 도어의 구조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설명한다.The digital signage system of this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a manner that is applied to a door installed at a vendor that sells a predetermined product or provides a service, as shown in FIG. 1,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digital signage system of this embodiment First, the structure of the door to which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first.

도어(DOOR)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판매처에 설치되는 출입 도어에 해당할 수 있으며, 객체의 터치 또는 객체 근접 감지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 동작이 이루어지는 자동 개폐 도어에 해당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도어는 소비자의 도어 터치 동작이 감지되거나 소비자가 도어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것이 감지된 경우 자동으로 개폐되는 자동문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도어의 자동 개폐를 위해 요구되는 도어 터치 센서(또는 도어 터치 버튼)와 객체 근접 감지를 위한 근접 센서(예: 적외선 센서)는 후술하는 본 실시예의 센서부(400)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고, 판매처에 기 설치되어 있는 도어 시스템에 포함되는 구성에 해당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도어의 개폐 동작은 후술하는 본 실시예의 제어부(700)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고, 판매처에 기 설치되어 있는 도어 시스템에 포함되는 별도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다. 즉, 도어의 개폐를 위한 센싱 동작 및 도어 개폐 제어 동작은 그 구현예에 따라 판매처에 기 설치되어 있는 도어 시스템 및 본 실시예의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The door (DOOR) may correspond to an entrance door installed at a retailer as shown in FIG. 1, and may correspond to a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oor in which an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is automatically performed by sensing a touch of an object or proximity of an object. That is, the door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as an automatic door that opens and closes automatically when a consumer's door touch operation is detected or a consumer approaches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door. The door touch sensor (or door touch button) required for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s described above and the proximity sensor (eg, infrared sensor) for object proximity detection are integrated and configured in the sensor unit 400 of the present embodiment to be described later. Alternatively, it may correspond to a configuration included in the door system already installed at the vendor. Likewise, the opening/closing operation of the door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700 of this embodiment to be described later, or may be controlled by a separate control device included in the door system pre-installed at the vendor. That is, the sensing operation for opening/closing the door and the door opening/closing control operation may be selectively applied to any one of a door system already installed at a vendor or a digital signag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이상에서 설명한 도어의 구조를 바탕으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Based on the structure of the door described above, the digital signag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은 필름부(100), 전력 변환부(200), 투사부(300), 센서부(400), 통신부(500), 저장부(600), 제어부(700) 및 관리자 단말(800)을 포함할 수 있다.2, the digital signag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lm unit 100, a power conversion unit 200, a projection unit 300, a sensor unit 400, a communication unit 500, and a storage unit. It may include a unit 600, a control unit 700, and a manager terminal 800.

필름부(100)는 판매처에 설치된 개폐 가능한 도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설치(부착의 개념을 포함한다)될 수 있으며, 필름부(100)가 설치되는 도어의 위치는 특정 위치로 제한되지 않는다. 즉, 필름부(100)는 도어의 내면(즉, 판매처의 내부를 향하는 도어면)에 설치되거나, 도어의 외면(즉, 판매처의 외부를 향하는 도어면)에 설치되거나, 도어의 내면 및 외면에 모두 설치될 수 있으며, 또한 도어의 상단 일부, 하단 일부, 또는 도어면의 전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필름부(100)가 도어의 외면 상단 일부에 설치된 경우를 예시로서 설명한다.The film unit 100 may be installed at least partially (including the concept of attachment) on an openable door installed at a vendor, and the position of the door in which the film unit 100 is installed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position. That is, the film unit 100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that is, the door surface facing the interior of the vendor),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that is, the door surface facing the exterior of the vendor), or on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All may be installed, and may also be installed on a part of the upper part, a part of the lower part of the door, or the entire door surface. In this embodiment, as illustrated in FIG. 1, a case where the film part 100 is installed on a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필름부(100)는 후술하는 전력 변환부(200)로부터 인가되는 구동 전압에 따라 그 상태 파라미터가 조절되는 PDLC(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필름을 포함할 수 있으며, PDLC 필름 대신 SPD(Suspended Particle Device) 필름을 포함할 수도 있다. PDLC 필름은 AC 구동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투명도(광투과율 또는 광반사율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가 조절된다. 상기한 상태 파라미터는 필름부(100)의 투명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필름부(100)의 채널별 투명도 차이에 따라 형성되는 패턴, 및 후술하는 투사부(300)로부터의 투사 영상이 필름부(100)로 투사되는 투사 영역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The film unit 100 may include a PDLC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film whose state parameter is adjusted according to a driving voltage applied from the power conversion unit 200 to be described later, and instead of a PDLC film, a SPD (Suspended Particle Device) It may also include a film. In the PDLC film, the transparency (which has the same meaning as light transmittance or light reflectance) is adjusted as AC driving voltage is applied. The above-described state parameter may include the transparency of the film unit 100, and a pattern formed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transparency for each channel of the film unit 100, and a projected image from the projection unit 300 to be described later are applied to the film unit. It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of the projection areas projected to (100).

도 3은 필름부(100)의 형태의 예시를 보이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필름부(100)는 PDLC 필름 단위 셀(Unit Cell)이 연속되어 배열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한 필름부(100)의 채널(chnnel)이라 함은 개별적인 PDLC 필름 단위 셀을 의미할 수도 있고, PDLC 필름 단위 셀(Unit Cell)의 로우(Row) 또는 컬럼(Column)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한 상태 파라미터에 포함되는 필름부(100)의 패턴은 PDLC 필름 단위 셀 간 투명도 차이에 따라 형성되는 패턴을 의미할 수도 있고, PDLC 필름 단위 셀의 컬럼 간 투명도 차이에 따라 형성되는 패턴을 의미할 수도 있다. 후술하는 제어부(700)는 전력 변환부(200)를 통해 필름부(100)에 인가되는 AC 구동 전압을 제어하여 필름부(100)의 투명도 및 패턴을 조절할 수 있다.3 shows an example of the shape of the film unit 100. As shown in FIG. 3, the film unit 100 may be implemented in a structure in which PDLC film unit cells are continuously arranged, and in this case, a channel of the film unit 100 is referred to as It may mean an individual PDLC film unit cell, or a row or column of a PDLC film unit cell. Accordingly, the pattern of the film unit 100 included in the above-described state parameter may mean a pattern formed according to a difference in transparency between PDLC film unit cells, or a pattern formed according to a difference in transparency between columns of a PDLC film unit cell. It can also mean. The control unit 700 to be described later may control the AC driving voltage applied to the film unit 100 through the power converter 200 to adjust the transparency and pattern of the film unit 100.

전력 변환부(200)는 계통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용 AC 전압(AC 220V)을 강압하여 필름부(100)의 투명도 조절을 위한 AC 구동 전압을 생성하는 전력 변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력 변환부(200)는 상용 AC 전압을 필름부(100)가 구동될 수 있는 범위의 전압 크기를 갖는 DC 전압(예: -50V, 0V, +50V)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예: SMPS 타입의 AC-DC 다운 컨버터)와, 상기 컨버터로부터의 DC 전압을 AC 전압으로 재변환하는 인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전력 변환부(200)의 인버터를 제어하여, 인버터로부터 필름부(100)로 인가되는 구동 전압(또는 구동 전류)을 제어함으로써 필름부(100)의 투명도 및 패턴을 조절할 수 있다.The power conversion unit 200 may perform a power conversion operation of generating an AC driving voltage for adjusting the transparency of the film unit 100 by stepping down the commercial AC voltage (AC 220V) supplied from the system. To this end, the power conversion unit 200 converts the commercial AC voltage into a DC voltage (eg -50V, 0V, +50V) having a voltage level in the range in which the film unit 100 can be driven (eg: SMPS type AC-DC down converter), and an inverter that converts the DC voltage from the converter into an AC voltage again. The control unit 700 may control the inverter of the power conversion unit 200 to control the driving voltage (or driving current) applied from the inverter to the film unit 100 to adjust the transparency and pattern of the film unit 100. .

투사부(300)는 제어부(700)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되어 저장부(600)에 저장된 영상을 필름부(100)에 투사할 수 있다. 투사부(300)는 도어 외부의 상단측 천장 벽면 등 필름부(100)에 영상을 투사할 수 있는 범위에서 그 설치 위치가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투사부(300)는 프로젝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어부(700) 및 투사부(300) 간의 통신 방식으로는 RS-232 통신이 적용될 수 있다.The projection unit 300 may project an image stored in the storage unit 600 onto the film unit 100 by controlling its operation by the control unit 700.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projection unit 300 may be variously selected within a range in which an image can be projected onto the film unit 100, such as an upper ceiling wall outside the door. The projection unit 300 may be implemented as a projector, and RS-232 communication may be applied as a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he control unit 700 and the projection unit 300.

센서부(400)는 도어의 개폐 상태 정보 및 주변 환경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부(400)는 도어의 개폐 상태 정보를 감지하기 위해 마그네틱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400)에 의해 감지되는 주변 환경 정보는 도어 주변의 조도(예: 도어 외부 태양광에 의한 조도), 도어로 입사되는 광 방향(예: 태양의 위치 변화에 따른 태양광의 입사 방향), 및 도어의 주변에 위치한 주변 객체(예: 판매처 주변의 소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400)는 조도 및 광 방향을 감지하기 위한 CDS 센서와, 주변 객체를 감지하기 위한 근접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와, 도어로부터 주변 객체까지의 거리를 감지하기 위한 거리 센서(예: 초음파 센서) 등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400 may detect information on an open/closed state of a door and information on a surrounding environment. The sensor unit 400 may include a magnetic sensor to detect information on the open/close state of the door. In additi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or unit 400 includes the illuminance around the door (e.g., illuminance by sunlight outside the door), the direction of light incident to the door (e.g., the incident direction of sunlight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sun). ), and surrounding objects located around the door (eg, consumers near the retailer). The sensor unit 400 includes a CDS sensor for detecting illuminance and light direction, a proximity sensor or infrared sensor for detecting surrounding objects, and a distance sensor for detecting a distance from a door to a surrounding object (eg, an ultrasonic sensor). It may include various sensors such as.

통신부(500)는 제어부(700) 및 후술하는 관리자 단말(800) 간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어부(700) 및 관리자 단말(800) 간의 무선 통신 방식으로는 Bluetooth, Wifi, NFC, Zigbee 등 다양한 통신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제어부(700) 및 투사부(300) 간의 통신을 위한 RS-232 통신 모듈도 통신부(500)에 구현되어 있을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500 can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control unit 700 and the manager terminal 800 to be described later, and as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he control unit 700 and the manager terminal 800, Bluetooth, Wifi, NFC, Zigbee, etc.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can be applied. In addition, an RS-232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above-described control unit 700 and the projection unit 300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communication unit 500.

제어부(700)는 센서부(400)에 의해 감지되는 도어의 개폐 상태 정보 및 주변 환경 정보 중 하나 이상에 연동하여, 구동 전압의 제어를 통해 조절되는 필름부(100)의 상태 파라미터와 투사부(300)를 통해 필름부(100)로 투사되는 투사 영상 중 하나 이상을 가변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700 interlocks with one or more of the door open/close state information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or unit 400, and the state parameter and the projection unit ( One or more of the projected images projected onto the film unit 100 through 300 may be variably controlled.

즉, 전술한 것과 같이 종래의 디지털 사이니지는 고정된 컨텐츠를 반복적으로 디스플레이함에 불과하여 그 활용성이 제한적이었던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필름부(100)의 상태 파라미터와 필름부(100)로의 투사 영상을 가변 제어함으로써 디지털 사이니지의 활용성 및 광고 효과를 향상시키는 구성을 채용하며, 필름부(100)의 상태 파라미터와 투사 영상을 가변 제어하는 기준으로서 도어의 개폐 상태 정보 및 주변 환경 정보를 채용한다. 이에 따라, 도어의 개폐 및 주변 환경에 대하여 능동적으로 변화되는 시각적 효과를 형성함으로써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디지털 미디어 정보의 시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conventional digital signage only repeatedly displays fixed content and its utility is limited, in this embodiment, the state parameter of the film unit 100 and the film unit 100 ) By variably controlling the projected image to improve the usability of digital signage and the advertising effect, and as a standard for variably controlling the state parameter of the film unit 100 and the projected image, information on the opening and closing status of the door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Hiring information.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visual effect of digital media information provided to consumers by forming a visual effect that is actively changed with respect to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상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700)는 프로세서로 구현되어 운영 체제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프로세서에 연결된 복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다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메모리에 로드(load)하여 처리하고, 다양한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700 that performs the above functions is implemented as a processor to drive an operating system or an application to control a plurality of hardware or software components connected to the processor, and perform various data processing and opera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as a system on chip (SoC). The processor may load and process commands or data received from at least one of the other components into a memory, and store various data in the memory.

이하에서는 도어의 개폐 상태에 따른 제어부(700)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700 according to the open/close state of the doo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도어의 폐쇄 상태일 경우의 제어부(700)의 동작을 설명한다.First,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700 when the door is closed will be described.

센서부(400)의 마그네틱 센서를 통해 도어가 폐쇄 상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700)는 필름부(100)의 투명도를 미리 정의된 기준 투명도 이하의 값으로 제어하는 제1 제어, 또는 투사 영상을 미리 저장된 저장 영상으로 제어하는 제2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oor is in the closed state through the magnetic sensor of the sensor unit 400, the control unit 700 controls the transparency of the film unit 100 to a value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fined reference transparency, or projection A second control of controlling the image as a stored image stored in advance may be performed.

도 4는 제어부(700)가 상기의 제1 제어를 수행하는 상태의 예시를 보이고 있다. 제1 제어가 수행되는 상태에서 필름부(100)의 투명도는 미리 정의된 기준 투명도(예: 50%) 이하의 값으로 제어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판매처의 외부에서 도어를 통해 볼 수 있는 판매처의 내부 시야가 제한될 수 있도록 필름부(100)의 투명도는 형성 가능한 투명도 범위의 하한치(즉, 0%)로 제어될 수 있다.4 shows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the controller 700 performs the first control. In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control is performed, the transparency of the film unit 100 may be controlled to a value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fined reference transparency (eg, 50%). The transparency of the film unit 100 may be controlled to a lower limit (ie, 0%) of a formable transparency range so that the internal view of the film unit 100 may be limited.

한편, 전술한 것과 같이 센서부(400)에 의해 감지되는 도어의 주변 환경 정보는 도어 주변의 조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어부(700)는 제1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 센서부(400)에 의해 감지된 조도가 높을수록 필름부(100)의 투명도를 더 낮은 값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판매처 외부의 조도가 높은 경우, 도어를 통해 판매처 내부로 입사되는 광으로 인해 판매처 내부에 위치한 고객들의 불편의성이 야기되기 때문에, 제어부(700)는 센서부(400)에 의해 감지된 조도에 따라 필름부(100)의 투명도를 능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조도가 높을수록 필름부(100)의 투명도를 상기한 기준 투명도 이하의 범위에서 더 낮은 값으로 제어함으로써 판매처 내부로 입사되는 광에 의한 고객들의 불편의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door detected by the sensor unit 400 may include the illuminance around the door. Accordingly, when the controller 700 performs the first control, the sensor unit 400 The higher the illuminance detected by ), the lower the transparency of the film unit 100 may be. For example, in the case of high illumination outside the retailer, light incident through the door to the interior of the retailer causes discomfort for customers located inside the retailer. Depending on the illuminance, the transparency of the film unit 100 can be actively controlled, and in this case, the higher the illuminance, the more the transparency of the film unit 100 is controlled to a lower value within the range below the above-described reference transparency to enter the retailer.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customers' discomfort caused by the light.

나아가, 전술한 것과 같이 센서부(400)에 의해 감지되는 도어의 주변 환경 정보는 도어로 입사되는 광 방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어부(700)는 센서부(400)에 의해 감지된 광 방향에 대응되는 필름부(100)의 제1 채널의 투명도를 제1 채널 이외의 제2 채널의 투명도보다 낮은 값으로 제어하되, 센서부(400)에 의해 감지된 조도가 높을수록 제1 채널의 투명도를 더 낮은 값으로 제어할 수 있다.Further, as described above, the information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door detected by the sensor unit 400 may include a direction of light incident on the door, and accordingly, the controller 700 The transparency of the first channel of the film unit 100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is controlled to a value lower than that of the second channel other than the first channel. You can control the transparency to a lower value.

즉, 도어의 주변으로 일정 조도가 형성된 경우라도 도어를 기준으로 특정 방향으로 광이 입사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특정 방향으로 광이 입사된다 함은, 특정 방향으로 입사되는 광량이 타 방향으로 입사되는 광량보다 더 큰 경우를 의미한다), 센서부(400)에 의해 감지된 광 방향에 대응되는 필름부(100)의 채널을 제1 채널로 정의하고, 제1 채널 이외의 채널을 제2 채널로 정의할 때, 제어부(700)는 제1 채널의 투명도를 제2 채널의 투명도보다 낮은 값으로 제어함으로써 도어를 통해 판매처 내부로 입사되는 광을 그 방향에 따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센서부(400)에 의해 감지된 조도가 높을수록 제1 채널의 투명도를 기준 투명도 이하의 범위에서 더 낮은 값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In other words, even when a certain illuminance is formed around the door, there may be cases where light is incident in a specific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door (in that light is incident in a specific direction, the amount of light incident in a specific direction is incident in other directions). It means a case that is larger than the amount of light), a channel of the film unit 100 corresponding to the light direction detected by the sensor unit 400 is defined as a first channel, and channels other than the first channel are defined as a second channel. When defined as, the control unit 700 may effectively block light incident through the door into the vendor according to the direction by controlling the transparency of the first channel to a value lower than that of the second channel. In addition, as the illuminance sensed by the sensor unit 400 increases, the transparency of the first channel may be controlled to a lower value in a range below the reference transparency.

한편, 전술한 것과 같이 도어의 주변 환경 정보는 도어의 주변에 위치한 주변 객체(예: 판매처 주변의 소비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어부(700)는 제1 제어가 유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센서부(400)에 의해 감지된 주변 객체가 도어로 접근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1 제어를 중지하고 주변 객체가 도어로 접근할수록 필름부(100)의 투명도를 더 높은 값으로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information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door may include surrounding objects (eg, consumers near the retailer) located around the door, and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700 performs a sensor while the first control is maintain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urrounding object sensed by the unit 400 approaches the door, the first control is stopped and the transparency of the film unit 100 may be controlled to a higher value as the surrounding object approaches the door.

예를 들어, 판매처 주변의 소비자가 도어로 접근하고 있는 경우, 소비자가 판매처 내부로 진입하여 상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할 의사가 있는 경우에 해당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소비자가 판매처 내부의 상황을 시각으로 확인하여 상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제어부(700)는 필름부(100)의 투명도를 기준 투명도 이하의 값으로 제어하는 제1 제어를 중지하고 필름부(100)의 투명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소비자에게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소비자가 도어로 접근할수록 필름부(100)의 투명도를 더 높은 값으로 제어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For example, if a consumer near the store is approaching the door, it can be regarded as the case when the consumer enters the store and intends to purchase a product or service, so the consumer visually checks the situation inside the store. Thus, the control unit 700 may stop the first control of controlling the transparency of the film unit 100 to a value equal to or less than the reference transparency so as to determine whether to purchase a product or service, and increase the transparency of the film unit 100. In addition, in order to provide a visual effect to the consumer, a method of controlling the transparency of the film unit 100 to a higher value as the consumer approaches the door may be applied.

다음으로, 도 5는 제어부(700)가 상기의 제2 제어를 수행하는 상태의 예시를 보이고 있다. 제어부(700)는 제2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 필름부(100)에 투사되는 투사 영상을 미리 저장된 저장 영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제2 제어 시 필름부(100)로 투사되는 투사 영상은 판매처의 광고 영상(정지 화상, 동화상, 텍스트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Next, FIG. 5 shows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the controller 700 performs the second control. When performing the second control, the control unit 700 can control the projected image projected onto the film unit 100 as a stored image stored in advance, and at the second control, the projected image projected onto the film unit 100 is It may include an advertisement image (still image, moving image, text information, etc.).

즉, 도어가 폐쇄 상태인 경우, 제1 제어와는 별도로 제어부(700)는 제2 제어를 수행하여 판매처의 광고를 위해 미리 저장된 저장 영상을 필름부(100)로 투사함으로써 소비자의 상품 또는 서비스의 구매를 유도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door is in the closed state, the control unit 700 performs a second control separately from the first control to project a stored image stored in advance for the advertisement of the vendor to the film unit 100, You can induce a purchase.

제2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 제어부(700)는 필름부(100)로 투사되는 저장 영상에 연계하여 필름부(100)의 상태 파라미터를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저장부(600)에 저장되는 저장 영상은 관리자에 의해 변경될 수도 있어, 제2 제어 시 필름부(100)로 투사되는 저장 영상은 고정된 영상이 아닌 상황 및 시점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으며, 어느 특정의 영상을 필름부(100)에 투사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해서는 필름부(100)의 특정 투명도, 특정 패턴 또는 특정 투사 영역이 전제되어야 할 수 있는 점을 고려할 때, 제어부(700)는 필름부(100)로 현재 투사되는 저장 영상에 연계하여 필름부(100)의 상태 파라미터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필름부(100)로 투사되는 저장 영상 및 필름부(100)의 상태 파라미터 간의 관계 정보는 제어부(700)(또는 저장부(600))에 미리 정의되어 있을 수 있다.When performing the second control, the controller 700 may control a state parameter of the film unit 100 in connection with a stored image projected to the film unit 100. That is, the stored image stored in the storage unit 600 may be changed by the administrator, and the stored image projected to the film unit 100 during the second control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and viewpoint, not a fixed image. , Considering that a specific transparency, a specific pattern, or a specific projection area of the film unit 100 may need to be premised in order to project and display a specific image on the film unit 100, the control unit 700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he state parameter of the film unit 100 in connection with the stored image currently projected to (100). In this case, relationship information between the stored image projected to the film unit 100 and the state parameter of the film unit 100 may be predefined in the control unit 700 (or the storage unit 600).

한편, 전술한 제1 제어와 제2 제어는 도어 폐쇄 상태 시 선택적으로 적용되는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시계열적으로 전환되는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도어 폐쇄 상태 시 제1 제어만이 수행되는 실시예, 제2 제어만이 수행되는 실시예, 또는 제1 제어와 제2 제어가 주기적으로 반복 전환되는 실시예(예: 제1 제어 → 제2 제어 → 제1 제어...)가 구현될 수 있으며, 이는 관리자의 설계 및 선택에 의존한다.Meanwhile, the above-described first control and second control may be implemented as a configuration that is selectively applied when the door is closed, or may be implemented as a configuration that is changed in time series. That is, an embodiment in which only the first control is performed when the door is closed, an embodiment in which only the second control is performed, or an embodiment in which the first control and the second control are periodically repeatedly switched (e.g., first control → 2 control → 1st control...) can be implemented, which depends on the manager's design and selection.

다음으로, 도어가 개방 동작하는 경우의 제어부(700)의 동작을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700 when the door is opened will be described.

제어부(700)는 도어가 개방 동작하는 경우, 필름부(100)의 투명도를 미리 정의된 기준 투명도 이상의 값으로 제어하고 필름부(100)에 대한 투사부(300)의 영상 투사 동작을 중지할 수 있다.When the door is opened, the control unit 700 may control the transparency of the film unit 100 to a value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fined reference transparency and stop the image projection operation of the projection unit 300 to the film unit 100. have.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소비자가 도어 터치 센서 또는 도어 터치 버튼을 조작함에 따라 도어의 개방 동작이 개시되는 경우, 소비자가 도어를 통해 판매처 내부의 상황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제어부(700)는 필름부(100)의 투명도를 기준 투명도 이상의 값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필름부(100)의 투명도는 형성 가능한 투명도 범위의 상한치(즉, 100%)로 제어될 수 있다. 이와 함께, 도어의 개방 동작 상태에서는 필름부(100)에 영상이 투사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어부(700)는 필름부(100)에 대한 투사부(300)의 영상 투사 동작을 중지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when the door opening operation is initiated as the consumer manipulates the door touch sensor or the door touch button, the control unit ( 700) may control the transparency of the film unit 100 to a valu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transparency, and in this case, the transparency of the film unit 100 may be controlled to an upper limit (ie, 100%) of the range of transparency that can be formed. In addition, since an image does not need to be projected on the film unit 100 in the open operation state of the door, the control unit 700 can stop the image projection operation of the projection unit 300 to the film unit 100. .

이후, 도어가 다시 폐쇄될 경우 제어부(700)는 전술한 제1 제어 또는 제2 제어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door is closed again, the controller 700 may perform the above-described first control or second control again.

한편,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의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은 관리자 단말(800)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800)은 관리자가 필름부(100)의 상태 파라미터(즉, 투명도, 패턴 또는 투사 영역)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단말로 기능하며, 제어부(700)를 통해 전력 변환부(200)의 인버터를 간접적으로 제어하거나(관리자 단말(800)이 제어부(700)에 대한 상위 제어 장치로 기능하는 경우), 전력 변환부(200)의 인버터를 직접 제어하여(관리자 단말(800)이 제어부(700)와 병렬적인 제어 장치로 기능하는 경우) 필름부(100)의 상태 파라미터를 제어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800)은 관리자가 휴대하는 스마트폰, 태블릿, 전용 단말 장치, 또는 판매처에 설치된 입출력 장치를 구비하는 PC에 해당할 수 있다. 이러한 관리자 단말(800)에는 필름부(100)의 상태 파라미터를 제어하기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2, the digital signage system of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manager terminal 800. The manager terminal 800 functions as a remote control terminal for the manager to remotely control the state parameter (ie, transparency, pattern, or projection area) of the film unit 100, and the power conversion unit 200 through the control unit 700 Indirectly controlling the inverter of (when the manager terminal 800 functions as an upper control device for the controller 700), or by directly controlling the inverter of the power conversion unit 200 (the manager terminal 800 is the controller ( In the case of functioning as a control device parallel to 700)), a state parameter of the film unit 100 may be controlled. The manager terminal 800 may correspond to a smart phone, a tablet, a dedicated terminal device, or a PC having an input/output device installed at a vendor. A dedicated application for controlling the state parameter of the film unit 100 may be installed in the manager terminal 800.

관리자 단말(800)은 전술한 제어부(700)의 제어 동작과 별개로, 관리자로 하여금 필름부(100)의 상태 파라미터에 대한 매뉴얼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필름부(100)의 상태 파라미터는 필름부(100)로 투사되는 투사 영상에 의존하여 제어될 필요가 있으며, 필름부(100)로 투사될 투사 영상에 대응하는 필름부(100)의 상태 파라미터가 전술한 관계 정보에 업데이트되어 있지 않은 경우, 관리자는 필름부(100)로 투사되는 투사 영상의 시각적 효과가 확보될 수 있도록 관리자 단말(800)을 통해 직접 필름부(100)의 상태 파라미터를 제어할 수 있다.The manager terminal 800 performs a function of allowing the manager to manually control the state parameters of the film unit 100, separate from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700 described above. Specifically, the state parameter of the film unit 100 needs to be controlled depending on the projected image projected to the film unit 100, and the film unit 100 corresponding to the projected image to be projected to the film unit 100 When the status parameter is not updated in the above-described relationship information, the manager directly determines the status parameter of the film unit 100 through the manager terminal 800 so that the visual effect of the projected image projected onto the film unit 100 can be secured. Can be controlled.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구동 전압에 따라 투명도가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필름이 판매처의 도어에 설치된 상태에서, 도어의 개폐 동작 및 주변 환경 정보에 따라 필름의 투명도 또는 필름에 투사되는 영상을 제어하는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판매처에 대한 광고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embodiment describes a method of controlling the transparency of the film or the image projected on the film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door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in a state in which a film configured to adjust transparency according to the driving voltage is installed on the door of the vendor. By employing i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dvertising effect to the retailer.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technology belongs,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I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DOOR: 도어
100: 필름부
200: 전력 변환부
300: 투사부
400: 센서부
500: 통신부
600: 저장부
700: 제어부
800: 관리자 단말
DOOR: Door
100: film part
200: power conversion unit
300: projection part
400: sensor unit
500: communication department
600: storage
700: control unit
800: administrator terminal

Claims (11)

개폐 가능한 도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설치되며, 인가되는 구동 전압에 따라 그 상태 파라미터가 조절되는 필름부로서, 상기 상태 파라미터는 상기 필름부의 투명도를 포함하는, 필름부;
상기 필름부에 영상을 투사하는 투사부;
상기 도어의 개폐 상태 정보 및 주변 환경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도어의 개폐 상태 정보 및 주변 환경 정보 중 하나 이상에 연동하여, 상기 구동 전압의 제어를 통해 조절되는 상기 필름부의 상태 파라미터와 상기 투사부를 통해 상기 필름부로 투사되는 투사 영상 중 하나 이상을 가변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가 폐쇄 상태인 경우, 상기 필름부의 투명도를 미리 정의된 기준 투명도 이하의 값으로 제어하는 제1 제어, 또는 상기 투사 영상을 미리 저장된 저장 영상으로 제어하는 제2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필름부로 투사되는 저장 영상에 연계하여 상기 필름부의 상태 파라미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A film unit that is installed at least partially on an openable door and has a state parameter adjusted according to an applied driving voltage, wherein the state parameter includes a transparency of the film unit;
A projection unit for projecting an image onto the film unit;
A sensor unit detecting information on an open/closed state of the door and information on surrounding environments; And
The state parameter of the film part adjusted through the control of the driving voltage and a projected image projected to the film part through the projection part in conjunction with one or more of the door opening/closing state information and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or part A controller for variably controlling one or more of them;
Including,
When the door is in a closed state, the control unit performs a first control for controlling the transparency of the film unit to a value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fined reference transparency, or a second control for controlling the projection image to a stored image stored in advance, and ,
The control unit, when performing the second control, controls a state parameter of the film unit in connection with a stored image projected to the film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부의 상태 파라미터는, 상기 필름부의 채널별 투명도 차이에 따라 형성되는 패턴, 및 상기 투사 영상이 상기 필름부로 투사되는 투사 영역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tate parameter of the film unit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of a pattern formed according to a difference in transparency for each channel of the film unit, and a projection area through which the projected image is projected to the film uni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환경 정보는, 상기 도어의 주변의 조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조도가 높을수록 상기 필름부의 투명도를 더 낮은 값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includes illuminance around the door,
When performing the first control,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transparency of the film unit to a lower value as the illuminance sensed by the sensor unit increase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환경 정보는, 상기 도어로 입사되는 광 방향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광 방향에 대응되는 상기 필름부의 제1 채널의 투명도를 상기 제1 채널 이외의 제2 채널의 투명도보다 낮은 값으로 제어하되,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조도가 높을수록 상기 제1 채널의 투명도를 더 낮은 값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further includes a light direction incident on the door,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transparency of the first channel of the film unit corresponding to the light direction detected by the sensor unit to a value lower than the transparency of the second channel other than the first channel, detected by the sensor unit. The digital signag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s the illuminance increases, the transparency of the first channel is controlled to a lower valu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환경 정보는, 상기 도어의 주변에 위치한 주변 객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제어가 유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주변 객체가 상기 도어로 접근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1 제어를 중지하고 상기 주변 객체가 상기 도어로 접근할수록 상기 필름부의 투명도를 더 높은 값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includes surrounding objects located around the doo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urrounding object sensed by the sensor unit approaches the door while the first control is being maintained, the control unit stops the first control and the closer the surrounding object approaches the door, Digital signag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trolling the transparency of the film portion to a higher valu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가 개방 동작하는 경우, 상기 필름부의 투명도를 미리 정의된 기준 투명도 이상의 값으로 제어하고 상기 필름부에 대한 상기 투사부의 영상 투사 동작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when the door is opened, controls the transparency of the film unit to a value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fined reference transparency, and stops an image projection operation of the projection unit with respect to the film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부의 상태 파라미터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관리자 단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digital signage system further comprising a; manager terminal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state parameter of the film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부는 PDLC(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필름 또는 SPD(Suspended Particle Device)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film unit digital signage system comprising a PDLC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film or a SPD (Suspended Particle Device) fil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판매처에 설치되고 객체의 터치 또는 객체 근접 감지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 동작이 이루어지며 투명 재질로 구성되는 자동 개폐 도어이고,
상기 도어가 폐쇄 상태에서 상기 필름부로 투사되는 투사 영상은 상기 판매처의 광고 영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door is installed at the retailer and automatically opens and closes by sensing the touch of the object or the proximity of the object, and is a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oor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he digital signag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jection image projected onto the film unit when the door is closed includes an advertisement image of the vendor.
KR1020190134337A 2019-10-28 2019-10-28 Digital signage system KR1022473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337A KR102247326B1 (en) 2019-10-28 2019-10-28 Digital signag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337A KR102247326B1 (en) 2019-10-28 2019-10-28 Digital signage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7326B1 true KR102247326B1 (en) 2021-05-04

Family

ID=75914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4337A KR102247326B1 (en) 2019-10-28 2019-10-28 Digital signage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732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1087B1 (en) * 2021-08-25 2023-02-17 (주)아이원 Projector screen using doo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0726A (en) * 2007-07-24 2009-01-30 에스디건설 주식회사 The transparent door with part of luminous pattern and lighting of light emitting diode and auto door therewith
KR101385717B1 (en) * 2012-11-14 2014-04-15 주식회사 더브이 Walk-in cooler door having transmissive display and walk-in cooler including the same
KR20160025393A (en) * 2014-08-27 2016-03-08 주식회사 엘토브 System for automatic door using transparent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60105765A (en) * 2015-02-02 2016-09-07 주식회사 에스에프엠케이솔루션 Digital signage apparatus using smart window
KR20160134034A (en) * 2015-05-14 2016-11-23 인베니아 주식회사 Showcase and method of controlling image of Showcas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0726A (en) * 2007-07-24 2009-01-30 에스디건설 주식회사 The transparent door with part of luminous pattern and lighting of light emitting diode and auto door therewith
KR101385717B1 (en) * 2012-11-14 2014-04-15 주식회사 더브이 Walk-in cooler door having transmissive display and walk-in cooler including the same
KR20160025393A (en) * 2014-08-27 2016-03-08 주식회사 엘토브 System for automatic door using transparent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60105765A (en) * 2015-02-02 2016-09-07 주식회사 에스에프엠케이솔루션 Digital signage apparatus using smart window
KR20160134034A (en) * 2015-05-14 2016-11-23 인베니아 주식회사 Showcase and method of controlling image of Showcas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1087B1 (en) * 2021-08-25 2023-02-17 (주)아이원 Projector screen using do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3879B2 (en) HVAC control system encouraging energy efficient user behaviors in plural interactive contexts
US10204593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111407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8456104B2 (en) Variable backlight control for bezel
KR20180023609A (en) Display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60209072A1 (en) Programmable smart thermostat
US20160097962A1 (en)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3028218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home and commercial environments including one touch and intuitive functionality
CN109891903A (en) Show equipment and its control method
KR102097796B1 (en) Advertising display system by using automatic vending machine
KR102247326B1 (en) Digital signage system
TWI622035B (en) Display apparatus including self-tuning circuits for controlling light modulators
US20170353689A1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05050297B (en) Light adjust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light modulation film
WO2019223590A1 (en) Display pane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nd display device
JP2019120781A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CN207461833U (en) A kind of interaction display cabinet
KR102258213B1 (en) Display effector system using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US20220005436A1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control program
CN207754920U (en) A kind of energy saving transparent display cabinet based on OLED technology
KR101385717B1 (en) Walk-in cooler door having transmissive display and walk-in cooler including the same
KR101184075B1 (en) Lcd touch display having screen
KR102336204B1 (en) Smart locker
CN208208286U (en) Double-sided display windows system
KR20160134034A (en) Showcase and method of controlling image of Showc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