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5250B1 - 메시징 서버의 동작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메시징 서버의 동작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5250B1
KR102245250B1 KR1020200000661A KR20200000661A KR102245250B1 KR 102245250 B1 KR102245250 B1 KR 102245250B1 KR 1020200000661 A KR1020200000661 A KR 1020200000661A KR 20200000661 A KR20200000661 A KR 20200000661A KR 102245250 B1 KR102245250 B1 KR 102245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t room
user account
application
party
messaging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0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준
하명오
이진환
이훈재
김춘호
김수범
박응주
유용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카오
Priority to KR1020200000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5250B1/ko
Priority to JP2020212588A priority patent/JP7104132B2/ja
Priority to CN202011592234.1A priority patent/CN113079078B/zh
Priority to US17/137,377 priority patent/US1145150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5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5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04L51/046Interoperability with other network applications or service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21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 H04L51/216Handling conversation history, e.g. grouping of messages in sessions or thre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42Mailbox-related aspects, e.g. synchronisation of mailbox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56Unified messaging, e.g. interactions between e-mail, instant messaging or converged IP messaging [CP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7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based on the identity of the terminal or configuration, e.g. MAC address, hardware or software configuration or device fingerpr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04L67/2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3Network services using third party service provi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Abstract

메시징 서버의 동작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징 서버의 동작 방법은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의 제1 채팅방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관리하는 단계; 메시징 서버를 통하여 채팅 기능을 지원하는 서드파티(3rd party) 어플리케이션의 제2 채팅방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관리하는 단계; 제2 채팅방에 참여한 서드파티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과 연동된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을 식별하는 단계; 및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의 식별된 사용자 계정에 기초하여, 서드파티 서비스의 제2 채팅방을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메시징 서버의 동작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N INSTANT SERVER SERVER}
아래 실시예들은 메시징 서버의 동작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서드파티(3rd party) 어플리케이션에 채팅 기능을 지원하고, 해당 채팅방을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으로 공유하는 메시징 서버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메신저 서비스는 사용자들 간 대화형식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서비스이다. 오늘날 인터넷 등 통신망의 급격한 발전과 더불어 통신망을 통한 메신저 서비스가 일반화되고 있다. 인터넷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들과 언제, 어디서나 용이하게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으며, 이동 통신 단말의 모바일 환경에서 메신저의 사용이 보편화 됨에 따라, 메신저 기능을 포함하는 서비스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메신저 기능을 포함하는 서비스가 늘어나는 것은 사용자의 다양한 수요를 충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존재하지만, 메신저 기능을 포함하는 서비스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오히려 메신저의 상호 커뮤니케이션 기능이 약화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대화 상대나 용도에 따라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을 번갈아가며 실행해야 하고, 메신저에 등록된 친구가 복수의 서비스에 혼재에서 존재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친구에 따라 이종의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야 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징 서버의 동작 방법은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의 제1 채팅방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관리하는 단계; 상기 메시징 서버를 통하여 채팅 기능을 지원하는 서드파티(3rd party) 어플리케이션의 제2 채팅방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관리하는 단계; 상기 제2 채팅방에 참여한 상기 서드파티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과 연동된 상기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의 상기 식별된 사용자 계정에 기초하여, 상기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제2 채팅방을 상기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의 상기 식별된 사용자 계정으로 상기 제2 채팅방에 액세스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채팅방에 액세스하는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2 채팅방에 액세스하는 인터페이스를 서로 상이한 카테고리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징 서버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1 채팅방에 액세스하는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2 채팅방에 액세스하는 인터페이스를 서로 동일한 카테고리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징 서버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2 채팅방에 대응하여, 상기 서드파티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 및 상기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의 상기 식별된 사용자 계정을 매칭하는 참여자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2 채팅방에 대응하여, 상기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의 채팅방 유형을 지시하는 유형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채팅방에 대응하여, 상기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의 적어도 하나의 설정을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징 서버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2 채팅방에 액세스하는 요청에 반응하여, 상기 요청을 전송한 어플리케이션의 유형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채팅방에 대응하는 참여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채팅방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메시지의 발신자 정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유형에 맞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징 서버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2 채팅방에 액세스하는 요청에 반응하여, 상기 요청을 전송한 어플리케이션의 유형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채팅방에 대응하는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채팅방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유형에 맞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채팅방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메시지는 상기 메시지를 전송한 어플리케이션의 유형에 대응하는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 및 상기 메시징 서버에 의하여 관리되는 상기 제2 채팅방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에서 상기 식별된 사용자 계정과 미리 정해진 관계를 가지는 다른 사용자 계정을 상기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사용자 계정을 상기 제2 채팅방에 초대하는 메시지를 상기 다른 사용자 계정의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징 서버의 동작 방법은 상기 다른 사용자 계정에 의하여 상기 초대하는 메시지가 선택됨에 반응하여, 상기 다른 사용자 계정의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으로 상기 제2 채팅방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징 서버는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의 제1 채팅방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관리하고, 상기 메시징 서버를 통하여 채팅 기능을 지원하는 서드파티(3rd party) 어플리케이션의 제2 채팅방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관리하고, 상기 제2 채팅방에 참여한 상기 서드파티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과 연동된 상기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을 식별하고, 상기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의 상기 식별된 사용자 계정에 기초하여, 상기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제2 채팅방을 상기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의 상기 식별된 사용자 계정으로 상기 제2 채팅방에 액세스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채팅방에 액세스하는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2 채팅방에 액세스하는 인터페이스를 서로 상이한 카테고리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채팅방에 액세스하는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2 채팅방에 액세스하는 인터페이스를 서로 동일한 카테고리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채팅방에 대응하여, 상기 서드파티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 및 상기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의 상기 식별된 사용자 계정을 매칭하는 참여자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2 채팅방에 대응하여, 상기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의 채팅방 유형을 지시하는 유형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2 채팅방에 대응하여, 상기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의 적어도 하나의 설정을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채팅방에 액세스하는 요청에 반응하여, 상기 요청을 전송한 어플리케이션의 유형을 판단하고, 상기 제2 채팅방에 대응하는 참여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채팅방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메시지의 발신자 정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유형에 맞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채팅방에 액세스하는 요청에 반응하여, 상기 요청을 전송한 어플리케이션의 유형을 판단하고, 상기 제2 채팅방에 대응하는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채팅방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유형에 맞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에서 상기 식별된 사용자 계정과 미리 정해진 관계를 가지는 다른 사용자 계정을 상기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고, 상기 다른 사용자 계정을 상기 제2 채팅방에 초대하는 메시지를 상기 다른 사용자 계정의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다른 사용자 계정에 의하여 상기 초대하는 메시지가 선택됨에 반응하여, 상기 다른 사용자 계정의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으로 상기 제2 채팅방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징 서버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과 연동된 서드파티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과 서드파티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을 연동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의 식별된 사용자 계정으로 제2 채팅방에 액세스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의 채팅방을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는 구체적인 예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에서만 확인 가능한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에서 식별된 사용자 계정과 미리 정해진 관계를 가지는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의 다른 사용자 계정을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제2 채팅방에 초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어 있는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기술적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실시예들은 다양한 다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어 "~간에"와 "바로~간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IMS)를 제공하는 메시징 서버(120),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받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단말(110), 서드파티(3rd party)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드파티 서버(130), 및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서드파티 서비스를 제공받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140)을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단말(110)과 제2 단말(140)을 구분하여 도시하였으나, 메신저 어플리케이션과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이 동일한 단말에 설치될 수도 있다.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들 사이에서의 채팅 메시지 교환은 메시징 서버(120)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때, 메시지 교환이 이루어지는 채팅방을 제1 채팅방(150)이라고 하고, 제1 채팅방(150)에서 송수신되는 메시지는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110)의 사용자는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메시징 서버(120)에 접속함으로써,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제1 단말(110)은 메시징 서버(120)와 연동하는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실행이 가능한 모든 전자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제1 단말(110)에 설치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은 화면의 구성, 데이터 입력, 데이터 송수신, 데이터 저장 등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일련의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메시징 서버(120)는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 역할을 할 수 있다. 메시징 서버(120)는 제1 단말(110), 서드파티 서버(130) 및 제2 단말(140)과 네트워크(미도시)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인터넷, 하나 이상의 로컬 영역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s), 광역 네트워크(wire area networks), 셀룰러 네트워크, 모바일 네트워크, 그 밖에 다른 종류의 네트워크들, 또는 이러한 네트워크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징 서버(120)는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의 제1 채팅방(150)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관리할 수 있다. 제1 단말(110)의 사용자는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메시징 서버(120)가 제공하는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에 가입하여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의 제1 채팅방(150)은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서 특정 관계(예를 들어, 친구 관계 혹은 구독 관계 등)인 사용자 계정들 간의 메시지가 송수신되는 채팅방일 수 있다. 물론, 제1 채팅방(150)은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에서 지원하는 기능에 따라, 특정 관계를 맺기 전에도(예를 들어, 공식 사용자 계정에서 정보성 메시지를 송신하는 경우 등) 메시지 송수신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드파티 서비스는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와 구별되는 서비스로,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와 연동 가능한 서비스를 포괄적으로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들 사이에서의 채팅 메시지 교환이 메시지 서버(120)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채팅 메시지 교환은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들이 메시징 서버(120)와 직접 통신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이러한 채팅 메시지 교환은 서드파티 서버(130)를 경유하여 메시지 서버(120)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채팅 메시지 교환이 이루어지는 채팅방을 제2 채팅방(160)이라고 하고, 제2 채팅방(160)에서 송수신되는 메시지는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에서 표시될 수 있다.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겠으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채팅방(160)은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 뿐 아니라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서도 접근 혹은 참여할 수 있다.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은 제2 채팅방(160)을 제1 채팅방(150)과 구별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2 채팅방(160)은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 뿐 아니라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서 생성될 수도 있다.
서드파티 서버(130)는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제2 단말(140)로 서드파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단말(140)은 서드파티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실행할 수 있다. 제2 단말(140)에 설치된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은 서비스 화면의 구성, 데이터 입력, 데이터 송수신, 데이터 저장 등 서드파티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일련의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서드파티 서버(130)는 메시징 서버(120)로부터 채팅 기능을 지원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드파티 서비스에서 주요하게 제공되는 기능 이외에 보조적으로 업무용 메신저, 게임 인앱 채팅, 앱 내 상담, 실시간 이벤트 전달 등을 위한 채팅 기능이 필요할 수 있다. 이 때 서드파티 서버(130)는 자체적으로 채팅 기능을 구현하는 대신, 메시징 서버(120)의 API를 이용하여 채팅 기능을 지원 받을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제2 단말(140)은 메시징 서버(120)와 직접 통신하거나, 서드파티 서버(130)를 경유하여 메시징 서버(120)와 통신함으로써, 서드파티 서비스에서의 채팅 기능을 지원받을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실시예에 따라 서드파티 서비스는 서드파티 서버(130) 없이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140)만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140)은 메시징 서버(120)의 메시징 API를 이용하여 채팅 기능을 지원받을 수 있다.
메시징 서버(120)는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의 제2 채팅방(160)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관리할 수 있다.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의 제2 채팅방(160)은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계정들 간의 메시지가 송수신되는 채팅방일 수 있다.
채팅 기능을 포함하는 서드파티 서비스들이 늘어나는 것은 사용자의 다양한 수요를 충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존재하지만, 사용자는 대화 상대나 용도에 따라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을 번갈아가며 실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수 있다. 이에, 메시징 서버(120)는 제2 채팅방(160)을 서드파티 서비스 뿐만 아니라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를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 메시징 서버(120)는 서드파티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과 연동된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사용자 계정을 식별하고,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에서 식별된 사용자 계정을 이용하여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의 제2 채팅방(160)을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서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의 제2 채팅방(160)을 통하여 수신되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는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서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의 제2 채팅방(160)으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사용자 계정의 연결 및 설정(예를 들어, 사용자 설정 또는 관리자 설정)에 의해 제2 채팅방(160)은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도 표시된다. 이 때,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제1 단말(110)의 사용자는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 표시된 제2 채팅방(160)을 통하여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제2 단말(140)로 메시지를 송신하거나, 제2 단말(140)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겠으나, 제1 채팅방(150)과 제2 채팅방(160)은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서 구분되어 표시(예를 들면, 별도의 탭으로 나누어 표시하거나, 채팅방 목록에서 구별하여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드파티 서버(130)는 제2 채팅방(160)에 대한 정보 및 제2 채팅방(160)에서 교환된 메시지를 별도로 저장할 수 있고, 제2 채팅방(160)의 특정 기능을 제한하거나 활성화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하나의 서드파티 서비스를 위한 서드파티 서버(130) 및 제2 단말(140)만을 도시하였으나, 메시징 서버(120)는 복수의 서드파티 서비스에 채팅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아래에서, 서드파티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과 연동된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사용자 계정을 식별하고,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의 채팅방을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징 서버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들(210 내지 240)은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메시징 서버(1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메시징 서버(12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하드웨어 모듈,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이들의 다양한 조합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2의 동작은 도시된 순서 및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지만, 도시된 실시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부 동작의 순서가 변경되거나 일부 동작이 생략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다수의 동작은 병렬로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단계(210)에서, 메시징 서버(120)는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의 제1 채팅방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관리한다. 여기서, 제1 채팅방은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제1 채팅방(150)일 수 있다. 제1 채팅방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메시지는 메시지를 전송한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 및 메시징 서버(120)에 의해 관리되는 제1 채팅방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제1 채팅방에는 고유의 식별자가 할당될 수 있고, 메시징 서버(120)는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에 포함된 제1 채팅방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메시지를 관리할 수 있다.
메시징 서버(120)는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으로 제1 채팅방들의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는 텍스트 및 이모티콘 등을 중심으로 한 정보적 메시지 뿐만 아니라, 이미지, 영상 등과 같은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징 서버(120)는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의 제1 채팅방에 메시지가 새롭게 송수신 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메시징 서버(120)는 메시지와 관련하여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의 사용자들이 남긴 활동 로그를 관리할 수 있다.
단계(220)에서, 메시징 서버(120)는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의 제2 채팅방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관리한다. 여기서, 제2 채팅방은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제2 채팅방(160)일 수 있다. 메시징 서버(120)는 직접 혹은 서드파티 서버를 경유하여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으로 제2 채팅방들의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메시징 서버(120)는 각종 메시징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이용하여 서드파티 서비스에 채팅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드파티 서비스의 채팅 솔루션은 메시징 API 연동을 통하여 구축될 수 있다.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은 직접 혹은 서드파티 서버를 경유하여 메시징 서버와 통신함으로써, 해당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의 채팅방을 통한 메시지의 송수신 내역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제2 채팅방의 각종 설정 정보는 메시징 서버에 의하여 제공되는 메시징 API를 통하여 제어될 수 있다. 제2 채팅방의 설정 정보는 서드파티 서버나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제2 채팅방의 설정 정보는 메시징 서버(120)에 저장되거나, 서드파티 서버(130)에 별도로 저장될 수 있다. 제2 채팅방의 설정 정보는 대화 내용 보관 주기, 읽음 처리 여부, 참여 이전 대화 열람 가능 여부, 대화 수정 가능 여부, 익명 여부, 초대 가능 여부 및 참여 가능 URL 지원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채팅방의 설정 정보는 서드파티 서비스의 필요에 따라 조합되거나 선택될 수 있다.
제2 채팅방의 데이터(예를 들어, 대화 내용)는 메시징 서버(120)에서 보관하며, 필요한 경우 메시징 서버(120)에서 데이터를 받아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fetch 등의 메시징 API를 이용하여 메시징 서버(120)에서 이전 대화 내용을 로드하여 보여줄 수 있다. 이를 통해, 멀티디바이스 지원 및 클라이언트 구현이 간단해지고, 대화내용 삭제 및/또는 수정 등 채팅 솔루션과 관련한 대응이 용이해질 수 있다.
단계(230)에서, 메시징 서버(120)는 제2 채팅방에 참여한 서드파티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과 연동된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을 식별한다. 메시징 서버(120)는 서드파티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과 연동된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을 매칭하는 참여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참여자 정보에 기초하여 서드파티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과 연동된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을 식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의 제2 채팅방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메시지의 발신자 정보는 메시지를 전송한 서드파티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을 포함하고, 채팅방 정보로 메시징 서버(120)에 의하여 관리되는 제2 채팅방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징 서버(120)는 서드파티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과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을 매칭하여 저장한 사용자 계정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채팅방을 통하여 메시지를 송수신한 서드파티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과 연동된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을 식별할 수 있다.
단계(240)에서, 메시징 서버(120)는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의 식별된 사용자 계정에 기초하여,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의 제2 채팅방을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한다. 이를 통해, 메시징 서버(120)는 제2 채팅방을 서드파티 서비스 뿐만 아니라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를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서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의 제2 채팅방에 접근(access), 참여(participate), 또는 생성(generate)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시징 서버(120)는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의 제2 채팅방이 생성되는 경우, 제2 채팅방에 참여 중인 사용자들이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제2 채팅방에 참여 중인 사용자는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와의 사용자 계정 연동을 신청할 수 있다. 메시징 서버(120)는 사용자 계정 연동 신청에 반응하여,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과 서드파티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을 연동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채팅방은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서 생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서 새로운 채팅방을 생성할 때, 사용자로부터 연동의 대상이 되는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을 지정 받을 수 있다. 혹은, 기 생성된 채팅방에 대응하여, 특정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과의 연동 요청을 입력 받을 수도 있다. 이 경우, 메시징 서버(120)는 해당 채팅방에 참여 중인 사용자들이 연동의 대상이 되는 서드파티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고,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과 서드파티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을 연동하여 관리할 수 있다.
만약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 IMS_A와 서드파티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 THIRD_A가 연동되어 저장된 경우, 메시징 서버는 사용자의 단말에 설치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서 서드파티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 THIRD_A가 참여 중인 채팅방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는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지 않고도,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서드파티 서비스에서 이루어지는 대화에 참여할 수 있다.
단계(230 내지 240)에 따르면, 메시징 서버(120)는 제2 채팅방에 참여한 서드파티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과 연동된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을 식별하고,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의 식별된 사용자 계정에 기초하여,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의 제2 채팅방을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를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의 제2 채팅방으로 송신 또는 수신한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받을 수 있고, 반대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의 제2 채팅방으로 메시지를 송신 또는 수신한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받을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시징 서버(120)는 제2 채팅방에 대응하여,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의 채팅방임을 나타내는 유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시징 서버(120)는 해당 채팅방이 제2 채팅방임을 나타내는 유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시징 서버(120)는 기 저장된 유형 정보에 기초하여 관리 중인 채팅방이 제1 채팅방인지 제2 채팅방인지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징 서버(120)는 제2 채팅방에 액세스하는 요청에 반응하여, 요청을 전송한 어플리케이션의 유형을 판단할 수 있다. 메시징 서버(120)는 기 저장된 참여자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채팅방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메시지의 발신자 정보를 어플리케이션의 유형에 맞게 제공할 수 있다.
발신자 정보는 채팅방에서 발신자의 지위로 표시되는 정보로, 각 어플리케이션마다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의 발신자 정보는 프로필 이름, 프로필 사진, 상태 메시지, 배경화면, 및 배경음악을 포함할 수 있고,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의 발신자 정보는 프로필 이름 및 프로필 사진만을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별로 설정된 프로필 이름이나 프로필 사진이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메시지의 발신자 정보를 어플리케이션의 유형에 맞게 제공하는 구체적인 예시는 아래에서 도 6a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과 연동된 서드파티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은 서드파티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과 연동될 수 있다.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과 서드파티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을 연동하는 방법은 아래에서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본 실시예들에 있어서, 메시징 서버는 각 사용자 개인의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 및 서드파티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을 연동하여 채팅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 사용자 개인의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 및 서드파티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은 메시징 서버에 미리 등록되어 있을 수 있다.
서드파티 서비스의 사용자는 서드파티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과 연동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필을 생성할 수 있다. 서드파티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의 프로필은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의 프로필과 별개로 존재할 수 있다.
복수의 서드파티 서비스들이 존재하는 경우, 서드파티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 및 프로필은 메시징 API를 통하여 각각의 서드파티 서비스 별로 제어될 수 있다. 이 경우, 동일한 서드파티 서비스의 사용자들끼리는 채팅이 가능하나, 서로 다른 서드파티 서비스의 사용자들 사이의 대화는 제한될 수 있다. 하지만, 서로 다른 서드파티 서비스의 사용자들이라도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을 이용한 초대, 생성 등으로 채팅방에서의 대화가 가능해질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과 서드파티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을 연동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드파티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을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과 연동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410)을 참조하면,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은 서드파티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을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과 연동 요청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면(420, 430)을 참조하면,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은 연동 동의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메시징 서버는 연동에 동의하는 사용자 입력에 반응하여, 서드파티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을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과 연동할 수 있다. 일 예로, 메시징 서버는 서로 연동되는 서드파티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과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을 메시징 서버에서 관리하는 사용자 계정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또는, 메시징 서버는 서로 연동되는 서드파티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과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을 해당하는 채팅방의 참여자 정보로 저장할 수도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의 식별된 사용자 계정으로 제2 채팅방에 액세스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징 서버는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의 식별된 사용자 계정으로 제2 채팅방에 액세스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징 서버는 제1 채팅방에 액세스하는 인터페이스와 제2 채팅방에 액세스하는 인터페이스를 서로 동일한 카테고리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510)을 참조하면,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은 제1 채팅방(예를 들어, 'AA' 채팅방 혹은 'BB' 채팅방)에 액세스하는 인터페이스와 제2 채팅방(예를 들어, 'XX 전사 장애방' 채팅방)에 액세스하는 인터페이스를 '채팅' 탭에서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실시예에 따라 채팅방 목록에서 특정 채팅방이 제2 채팅방임으로 지시하는 정보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채팅방의 프로필 사진에 시각적 효과를 부여하여 제1 채팅방과 구별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제2 채팅방의 제목에 추가적인 정보를 부가하여 제1 채팅방과 구별되도록 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시징 서버는 제1 채팅방에 액세스하는 인터페이스와 제2 채팅방에 액세스하는 인터페이스를 서로 상이한 카테고리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520)을 참조하면,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은 제2 채팅방을 '연결된 채팅방'으로 표시하고, 제1 채팅방을 '채팅방'으로 표시함으로써, 제1 채팅방과 제2 채팅방을 채팅 목록에서 서로 구분된 카테고리로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도면(530)을 참조하면,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은 제1 채팅방들과 제2 채팅방들을 각 채팅방의 유형에 따른 별도의 탭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팅 탭과 오픈채팅 탭은 제1 채팅방들의 유형들에 해당하고, 회사 탭과 팬클럽 탭은 제2 채팅방들의 유형들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서, 도면(520, 530)에 도시된 방법은 예시적인 사항일 뿐, 해당 방법 이외에 제1 채팅방에 액세스하는 인터페이스와 제2 채팅방에 액세스하는 인터페이스를 서로 상이한 카테고리로 제공하는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의 채팅방을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는 구체적인 예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도면(610)은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카페 어플리케이션)에서 제2 채팅방에 액세스하는 인터페이스의 일 예시이고, 도면(620)은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서 제2 채팅방에 액세스하는 인터페이스의 일 예시이다.
메시징 서버는 카페 어플리케이션에 채팅 기능을 지원하고, 카페 관리자의 연동 요청 등을 통하여 카페 어플리케이션의 제2 채팅방(예를 들어, 카페 어플리케이션의 회원들 간의 메시지가 송수신되는 채팅방)을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으로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610)의 카페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DD 카페의 공식 채팅방이 메신저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는 경우, 도면(620)의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의 DD 카페 탭을 통하여 해당 채팅방에 접근(access)할 수 있다. 연동 이후에는, 카페 어플리케이션의 해당 채팅방에서 송수신하는 메시지들을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의 해당 채팅방에서 확인할 수 있고, 나아가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의 해당 채팅방에서 송수신하는 메시지들을 카페 어플리케이션의 해당 채팅방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징 서버는 제2 채팅방의 각종 설정 정보를 제어하는 메시징 API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서드파티 서비스의 채팅 기능과 관련한 설정 정보 제어 권한을 부여받은 관리자(administrator)는 메시징 API를 통하여 제2 채팅방의 각종 설정 정보를 제어할 수 있다.
메시징 서버는 제2 채팅방에 액세스하는 요청에 반응하여, 요청을 전송한 어플리케이션의 유형을 판단할 수 있고,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유형에 맞게 제2 채팅방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시징 서버는 카페 어플리케이션이 제2 채팅방에 액세스 요청을 하는 경우 카페 서비스의 프로필이 표시되는 제2 채팅방을 제공하고,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이 제2 채팅방에 액세스 요청을 하는 경우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의 프로필이 표시되는 제2 채팅방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도면(630)은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TV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제2 채팅방 인터페이스의 일 예시이고, 도면(640)은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제2 채팅방 인터페이스의 일 예시이다.
TV 어플리케이션에 제공되는 제2 채팅방은 흘러가는 대화내용이 저장되지 않는 일회성 채팅방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해당 채팅방은 일회성 채팅방이기 때문에, 챗로그를 저장하지 않을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은 택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이 경우, 고객은 택시 어플리케이션에서 택시 기사가 보낸 메시지를 고객 자신의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서 확인 가능할 수 있다.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제2 채팅방은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예를 들어, 택시 이용을 마친 뒤 일정 기간 이후) 자동으로 잠금 혹은 제거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기사용 택시 어플리케이션에서 복수의 택시 기사들이 참여 중인 단체 채팅방을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으로 연동시킬 수도 있다.
전술한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들은 단지 기술적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실시예들은 다양한 다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에서만 확인 가능한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서드파티 서비스에 특화된 기능은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서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드파티 서비스가 SNS 서비스인 경우,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의 제2 채팅방(710)에서는 게시글에 '댓글'을 쓰는 기능 또는 '좋아요' 버튼을 누르는 기능이 제공되지 않고, 해당 기능을 위해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으로 연결시켜주는 인터페이스만을 제공할 수 있다. 해당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경우,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이 런칭되면서 해당 게시글(720)이 표시될 수 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 서드파티 서비스에 특화된 기능이 채팅창 인터페이스에 맞추어 변형된 형태로, 제2 채팅방에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댓글'을 위한 말풍선 또는 '좋아요'를 위한 말풍선이 별도로 설계되어, 제2 채팅방을 통하여 제공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에서 식별된 사용자 계정과 미리 정해진 관계를 가지는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의 다른 사용자 계정을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제2 채팅방에 초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은 서드파티 서비스에 가입하지 않은 사용자를 초대하는 인터페이스(810)를 제공할 수 있다.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은 인터페이스(810)에 포함된 초대 진행 아이콘(예를 들어, 'Continue' 아이콘)을 선택하는 입력에 반응하여, 해당 서드파티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예를 들어, 사용자 A의 서드파티 계정)에 연동된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예를 들어, 사용자 A의 인스턴트 메시징 계정)과 미리 정해진 관계를 가지는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의 다른 사용자 계정(예를 들어, 사용자 B의 인스턴트 메시징 계정)을 표시하는 인터페이스(820)를 제공할 수 있다. 메시징 서버는 초대하고자 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계정을 선택하는 입력에 반응하여, 선택된 사용자 계정을 제2 채팅방에 초대하는 메시지를 선택된 사용자 계정의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의 초대 요청은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에서 발생되며, 초대 요청을 포함하는 메시지는 초대 대상자의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될 수 있다.
나아가, 메시징 서버는 초대 받은 사용자 계정에 의하여 초대가 수락됨에 반응하여,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의 제2 채팅방에 액세스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대 대상자의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은 웹뷰 등을 통해 서드파티 서비스의 간단 가입 또는 동의 처리를 위한 인터페이스, 혹은 해당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유도하는 인터페이스 등을 메시징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초대 대상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에 따른 처리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1. 메시징 서버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의 제1 채팅방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관리하는 단계;
    상기 메시징 서버를 통하여 채팅 기능을 지원하는 서드파티(3rd party) 어플리케이션의 제2 채팅방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관리하는 단계;
    상기 제2 채팅방에 참여한 서드파티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과 연동된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의 상기 식별된 사용자 계정에 기초하여, 상기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제2 채팅방을 상기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채팅방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메시지는
    상기 메시징 서버에 의하여 관리되는 상기 제2 채팅방의 식별자
    를 포함하는 메시징 서버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의 상기 식별된 사용자 계정으로 상기 제2 채팅방에 액세스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메시징 서버의 동작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채팅방에 액세스하는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2 채팅방에 액세스하는 인터페이스를 서로 상이한 카테고리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메시징 서버의 동작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채팅방에 액세스하는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2 채팅방에 액세스하는 인터페이스를 서로 동일한 카테고리로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메시징 서버의 동작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채팅방에 대응하여, 상기 서드파티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 및 상기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의 상기 식별된 사용자 계정을 매칭하는 참여자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2 채팅방에 대응하여, 상기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의 채팅방 유형을 지시하는 유형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채팅방에 대응하여, 상기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의 적어도 하나의 설정을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메시징 서버의 동작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채팅방에 액세스하는 요청에 반응하여, 상기 요청을 전송한 어플리케이션의 유형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채팅방에 대응하는 참여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채팅방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메시지의 발신자 정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유형에 맞게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메시징 서버의 동작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채팅방에 액세스하는 요청에 반응하여, 상기 요청을 전송한 어플리케이션의 유형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채팅방에 대응하는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채팅방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유형에 맞게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메시징 서버의 동작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채팅방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메시지는
    상기 메시지를 전송한 어플리케이션의 유형에 대응하는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
    를 더 포함하는, 메시징 서버의 동작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에서 상기 식별된 사용자 계정과 미리 정해진 관계를 가지는 다른 사용자 계정을 상기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사용자 계정을 상기 제2 채팅방에 초대하는 메시지를 상기 다른 사용자 계정의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메시징 서버의 동작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사용자 계정에 의하여 상기 초대하는 메시지가 선택됨에 반응하여, 상기 다른 사용자 계정의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으로 상기 제2 채팅방을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메시징 서버의 동작 방법.
  11.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2.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의 제1 채팅방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관리하고,
    메시징 서버를 통하여 채팅 기능을 지원하는 서드파티(3rd party) 어플리케이션의 제2 채팅방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관리하고,
    상기 제2 채팅방에 참여한 서드파티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과 연동된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을 식별하고,
    상기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의 상기 식별된 사용자 계정에 기초하여, 상기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제2 채팅방을 상기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채팅방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메시지는
    상기 메시징 서버에 의하여 관리되는 상기 제2 채팅방의 식별자
    를 포함하는 메시징 서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의 상기 식별된 사용자 계정으로 상기 제2 채팅방에 액세스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메시징 서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채팅방에 액세스하는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2 채팅방에 액세스하는 인터페이스를 서로 상이한 카테고리로 제공하는, 메시징 서버.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채팅방에 액세스하는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2 채팅방에 액세스하는 인터페이스를 서로 동일한 카테고리로 제공하는, 메시징 서버.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채팅방에 대응하여, 상기 서드파티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 및 상기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의 상기 식별된 사용자 계정을 매칭하는 참여자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2 채팅방에 대응하여, 상기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의 채팅방 유형을 지시하는 유형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2 채팅방에 대응하여, 상기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의 적어도 하나의 설정을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메시징 서버.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채팅방에 액세스하는 요청에 반응하여, 상기 요청을 전송한 어플리케이션의 유형을 판단하고,
    상기 제2 채팅방에 대응하는 참여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채팅방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메시지의 발신자 정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유형에 맞게 제공하는, 메시징 서버.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채팅방에 액세스하는 요청에 반응하여, 상기 요청을 전송한 어플리케이션의 유형을 판단하고,
    상기 제2 채팅방에 대응하는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채팅방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유형에 맞게 제공하는, 메시징 서버.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에서 상기 식별된 사용자 계정과 미리 정해진 관계를 가지는 다른 사용자 계정을 상기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고,
    상기 다른 사용자 계정을 상기 제2 채팅방에 초대하는 메시지를 상기 다른 사용자 계정의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 전송하는, 메시징 서버.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다른 사용자 계정에 의하여 상기 초대하는 메시지가 선택됨에 반응하여, 상기 다른 사용자 계정의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으로 상기 제2 채팅방을 제공하는, 메시징 서버.

KR1020200000661A 2020-01-03 2020-01-03 메시징 서버의 동작 방법 및 장치 KR102245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661A KR102245250B1 (ko) 2020-01-03 2020-01-03 메시징 서버의 동작 방법 및 장치
JP2020212588A JP7104132B2 (ja) 2020-01-03 2020-12-22 メッセージングサーバの動作方法及び装置
CN202011592234.1A CN113079078B (zh) 2020-01-03 2020-12-29 消息服务器的操作方法及装置
US17/137,377 US11451504B2 (en) 2020-01-03 2020-12-30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instant messaging ser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661A KR102245250B1 (ko) 2020-01-03 2020-01-03 메시징 서버의 동작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5250B1 true KR102245250B1 (ko) 2021-04-27

Family

ID=75725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0661A KR102245250B1 (ko) 2020-01-03 2020-01-03 메시징 서버의 동작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451504B2 (ko)
JP (1) JP7104132B2 (ko)
KR (1) KR102245250B1 (ko)
CN (1) CN11307907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3917A (ko) * 2021-05-12 2022-11-21 주식회사 카카오엔터프라이즈 보안 인스턴트 메시징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5017A (ko) * 2021-01-19 2022-07-26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관심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16506241A (zh) * 2022-01-21 2023-07-28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在线活动控制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US20240037151A1 (en) * 2022-07-28 2024-02-01 Oxla sp. z o.o. Channel based flow control of data during execution of database queri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0266A (ko) * 2010-09-20 2012-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통합 메시지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1537482B1 (ko) * 2011-11-08 2015-07-23 주식회사 다음카카오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및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로부터 확장된 복수의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방법
KR20190124571A (ko) * 2018-04-26 2019-11-05 주식회사 카카오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간의 연동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및 서버의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01190B2 (en) * 2001-06-25 2011-08-16 Aol Inc. Email integrated instant messaging
US7512652B1 (en) * 2001-09-28 2009-03-31 Aol Llc, A Delaware Limited Liability Company Passive personalization of buddy lists
US8856236B2 (en) * 2002-04-02 2014-10-07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essaging response system
AU2003291041A1 (en) * 2002-11-21 2004-06-18 America Online, Inc. Multiple personalities
US20040210639A1 (en) * 2003-03-26 2004-10-21 Roy Ben-Yoseph Identifying and using identities deemed to be known to a user
US20050055405A1 (en) * 2003-09-04 2005-03-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naging status information for instant messaging users
WO2005117469A1 (en) * 2004-04-14 2005-12-08 Lg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of interworking messages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US8335827B2 (en) * 2008-07-11 2012-12-18 Yuriy Mishchenko Systems and methods for exchanging information in a large group
CN102117440A (zh) * 2010-01-05 2011-07-06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显示网络聊天室消息的方法及终端
US20140006970A1 (en) * 2012-06-27 2014-01-02 Brandon Casey Automatic Contact Creation Based on User Interaction
CN102932239B (zh) * 2012-11-13 2015-09-09 深圳市路特斯网络技术有限公司 即时通信平台中的通讯方法和系统
KR101708209B1 (ko) * 2014-08-20 2017-02-21 주식회사 카카오 컨텐츠 제공 방법, 디바이스 및 컴퓨터 애플리케이션
CA3005770A1 (en) * 2015-12-04 2017-06-08 Nextwave Software Inc. Visual messaging method and system
CN105577510A (zh) * 2015-12-08 2016-05-11 宁波优而雅电器有限公司 一种基于消息等级的终端发送信息装置
CN107104874B (zh) * 2016-02-19 2020-04-03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资源分享的方法、装置、终端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850203B1 (ko) * 2016-04-11 2018-04-18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기기간 어플리케이션 연동 방법 및 시스템
CN106445532A (zh) * 2016-09-29 2017-02-22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应用程序统一管理方法、装置及终端
CN106502684A (zh) * 2016-10-25 2017-03-15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一种信息显示方法及装置
CN108111386B (zh) * 2016-11-25 2019-07-05 财付通支付科技有限公司 资源发送方法、装置及系统
CN107015797A (zh) * 2017-02-28 2017-08-04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应用整合显示方法和应用整合显示装置
US10536405B2 (en) * 2017-11-13 2020-01-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atically determining and selecting a suitable communication channel to deliver messages to recipient
US11520461B2 (en) * 2018-11-05 2022-12-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ocument contribution management system
KR102638580B1 (ko) * 2019-04-12 2024-02-21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하나의 대화방에서 다수의 그룹통화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20200144721A (ko) * 2019-06-19 2020-12-30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조건에 따라 대화방을 자동 생성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00047A (ko) * 2019-06-24 2021-01-04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질의 메시지에 대한 답변 메시지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6963070B2 (ja) * 2019-08-21 2021-11-05 株式会社カカオ 匿名基盤プロフィールを介してソーシャルネットワークサービスを提供するためのインターフェースの表示方法及び装置
KR102465254B1 (ko) * 2020-03-19 2022-11-09 주식회사 카카오 컨텐츠와 관련된 추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사용자 단말 및 컨텐츠 제공 서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0266A (ko) * 2010-09-20 2012-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통합 메시지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1537482B1 (ko) * 2011-11-08 2015-07-23 주식회사 다음카카오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및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로부터 확장된 복수의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방법
KR20190124571A (ko) * 2018-04-26 2019-11-05 주식회사 카카오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간의 연동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및 서버의 동작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3917A (ko) * 2021-05-12 2022-11-21 주식회사 카카오엔터프라이즈 보안 인스턴트 메시징 방법 및 장치
KR102507864B1 (ko) 2021-05-12 2023-03-08 주식회사 카카오엔터프라이즈 보안 인스턴트 메시징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11399A1 (en) 2021-07-08
US11451504B2 (en) 2022-09-20
CN113079078B (zh) 2023-04-18
JP7104132B2 (ja) 2022-07-20
CN113079078A (zh) 2021-07-06
JP2021111381A (ja) 2021-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5250B1 (ko) 메시징 서버의 동작 방법 및 장치
US11785056B2 (en) Web browser interface for spatial communication environments
KR101537482B1 (ko)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및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로부터 확장된 복수의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방법
US9813463B2 (en) Phoning into virtual communication environments
US11558437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1020568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user chat experiences with businesses
WO2016139977A1 (ja) サーバ、サーバ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30290449A1 (en) Privacy-based social content broadcast systems and methods
US20170288942A1 (en) Portal for Provisioning Autonomous Software Agents
US20170289070A1 (en) Making a Dialogue Available To an Autonomous Software Agent
US20170288943A1 (en) Supplying Context Data to a Servicing Entity
WO2016077106A1 (en) User interface encapsulation in chat-based communication systems
KR102555369B1 (ko) 자동 링크 기반 메시지 검증
KR102396392B1 (ko) 통신 세션상의 참가자들 중 일부를 위한 가상의 통신 세션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20288A (ko) 하나의 대화방에서 다수의 그룹통화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US9577967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n informational site using a social networking application
US2022021015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user profile
WO2022242411A1 (zh) 虚拟物品分发方法、装置、设备、介质及程序产品
KR20230024525A (ko)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230339816A1 (en) Visual Communications
KR20050114805A (ko) 웹과 문서상에서 메신저 사용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알수 있고, 실시간 대화를 지원하는 시스템과 그 서비스방법 그리고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20220095018A (ko) 사용자 프로필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200039881A (ko) 일정 관리 방법 및 시스템
JP2019068445A (ja) 端末、端末の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