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4048B1 - Joint exercise apparatus - Google Patents

Joint exercise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4048B1
KR102244048B1 KR1020190080276A KR20190080276A KR102244048B1 KR 102244048 B1 KR102244048 B1 KR 102244048B1 KR 1020190080276 A KR1020190080276 A KR 1020190080276A KR 20190080276 A KR20190080276 A KR 20190080276A KR 102244048 B1 KR102244048 B1 KR 102244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axis
joint
link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02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04219A (en
Inventor
한창수
김호준
안철웅
류병갑
박수현
장혜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헥사휴먼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헥사휴먼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헥사휴먼케어
Priority to KR1020190080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4048B1/en
Publication of KR20210004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42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4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40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74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upper limbs
    • A61H1/0281Shoul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5Moveable platforms, e.g. vibrating or oscillating platforms for standing, sitting, laying or 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2001/0207Nutating movement of a body part around its arti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14Shoulder, e.g. for neck stretching
    • A61H2201/1616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57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 A61H2201/1676Pivo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관절 운동장치는, 인체의 후면을 지지하는 지지부, 지지부에 연결되어 수평 내전 및 외전 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액추에이터부, 전방 거상 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액추에이터부, 제1 및 제2액추에이터부 사이를 상호 연결시키며 수평 내전 및 외전 운동시의 회전중심인 관절축과 일치하는 가상의 회전축을 제공하여 1자유도 구동시키는 링크부 및 제2액추에이터부와 연결되어 제1 및 제2액추에이터부의 구동력에 의해 인체의 관절 부위를 지지하는 운동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전방 거상 동작 범위를 제한하지 않으면서도 수평 내전 및 외전 동작의 1자유도 구동이 가능해진다. The articulation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disclosed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unit supporting the rear of the human body, a first actuator unit connected to the support unit to provide driving force for horizontal pronation and abduction movement, and a second actuator unit providing driving force for forward elevation movement. , The first and second actuator units are interconnected and connected to the link unit and the second actuator unit to drive one degree of freedom by providing a virtual axis of rotation coincident with the joint axis, which is the rotation center during horizontal adversion and abduction movements. It includes an exercise unit for supporting a joint portion of the human body by the driving force of the first and second actuator units.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one degree of freedom of horizontal pronation and abduction operation is possible without limiting the forward elevating motion range.

Description

관절 운동장치{JOINT EXERCISE APPARATUS}Joint exercise device{JOINT EXERCISE APPARATUS}

본 발명은 관절 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재활 대상 관절의 회전점과 일치하여 1자유도 구동이 가능함으로써 안전성과 효율성이 향상된 관절 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oint exercise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joint exercise device with improved safety and efficiency by enabling one degree of freedom to be driven in accordance with a rotation point of a joint to be rehabilitated.

관절 부분을 수술한 환자의 경우, 스스로 운동이 불가능함에 따라 관절의 변형을 방지하고 정상적인 활동 복귀를 위해 장시간 통증을 동반한 재활 운동이 요구된다. 또한, 근래에는 과다한 운동으로 인한 퇴행성 관절염과 같은 관절 질환의 발생 빈도가 증가됨으로써, 이러한 관절 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해서도 관절 재활 운동이 필요한다. In the case of a patient who has operated on a joint part, rehabilitation exercise with pain for a long time is required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joint and return to normal activity as it is impossible to exercise by itself. In addition, in recent years, as the incidence of joint diseases such as degenerative arthritis due to excessive exercise is increased, joint rehabilitation exercise is also required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such joint diseases.

근래에는 신체 부분을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자동으로 운동시킬 수 있는 재활 운동을 위한 재활 로봇이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재활 로봇은 외골격 형태의 로봇으로 개발되며 기구학적 특성상 인체 관절과 동일한 위치에 설계할 수 없다. 그로 인해, 로봇과 착용자와의 동작 일치를 위한 두 관절의 회전점 일치 여부가 재활 로봇의 주요 성능 인자이다. In recent years, rehabilitation robots for rehabilitation exercises that can automatically exercise a body part by operation of an actuator are spreading. These rehabilitation robots are developed as exoskeleton-type robots and cannot be designed in the same position as human joints due to kinematic characteristics. Therefore, whether or not the rotation points of the two joints match for motion matching between the robot and the wearer is a major performance factor of the rehabilitation robot.

한편, 어깨 관절은 인체의 다양한 관절 부위 중 가장 복잡한 복합 관절이다. 이러한 어깨 관절에는 전방 및 측방 거상, 수평 내전 및 외전 운동을 보조할 수 있는 재활 로봇이 적용된다. 이때, 어깨 관절은 전방/측방 거상 움직임과 수평 내전/외전 움직임 각각의 회전축이 상호 일치하지 않는다. 그로 인해, 근래에는 어깨 관절 재활을 위한 재활 로봇의 회전축을 사용자의 회전축과 일치시킴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On the other hand, the shoulder joint is the most complex complex joint among various joint parts of the human body. A rehabilitation robot capable of assisting in the anterior and lateral elevation, horizontal adversion and abduction movements is applied to the shoulder joint. At this time, in the shoulder joint, the rotational axes of the anterior/lateral elevation movement and the horizontal adversion/abduction movement do not coincide with each other. Therefore, in recent years, by matching the rotation axis of the rehabilitation robot for shoulder joint rehabilitation with the rotation axis of the user, various studies that can improve the convenience of use are continuously being conducted.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469539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469539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226927호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226927

본 발명의 목적은 1자유도 구동시의 움직임 범위를 제한하지 않으면서도 사용이 편리한 고효율의 관절 운동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igh-efficiency joint exercise device that is convenient to use without limiting the range of motion when driving one degree of freedom.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관절 운동장치는, 인체의 후면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어, 수평 내전 및 외전 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액추에이터부, 전방 거상 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액추에이터부, 상기 제1 및 제2액추에이터부 사이를 상호 연결시키며, 상기 수평 내전 및 외전 운동시의 회전중심인 관절축과 일치하는 가상의 회전축을 제공하여 1자유도 구동시키는 링크부 및, 상기 제2액추에이터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액추에이터부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인체의 관절 부위를 지지하는 운동부를 포함한다. A joint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rear of the human body, a first actuator connected to the support and providing a driving force for horizontal adversion and abduction movement, and a driving force for an elevation movement. A link that connects the second actuator unit to provide a second actuator unit, the first and second actuator units, and drives one degree of freedom by providing a virtual rotation axis coinciding with the joint axis, which is the rotation center during the horizontal adversion and abduction movements. And an exercise part connected to the second actuator part and supporting the joint part of the human body by driving force of the first and second actuator parts.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인체의 어깨 후면에 밀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pport portion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 of the shoulder of the human body.

또한, 상기 제1액추에이터부는 상기 인체 관절의 수평 내전 및 외전 동작을 위한 요(Yaw) 회전 중심과 일치하는 요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상기 제2액추에이터부는 상기 인체 관절의 전방 거상 동작을 위한 피치(Pitch) 회전 중심과 일치하는 피치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되, 상기 요축 및 피치축은 상기 관절축으로부터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직선인 제1 및 제2가상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액추에이터부의 회전각도와 상기 관절축의 회전각도는 상호 1:1로 동일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actuator unit is rotated about a yaw axis coinciding with a yaw rotation center for horizontal adductor and abduction motions of the human joint, and the second actuator unit is a pitch ( Pitch) rotated around a pitch axis coinciding with a rotation center, wherein the yaw axis and the pitch axis are located on first and second virtual lines, which are virtual straight lines extending in different directions from the joint axis, respectively, and the first actuator The negative rotation angle and the rotation angle of the joint shaft may be equal to each other 1:1.

또한, 상기 링크부는, 일단이 상기 요축을 중심으로 움직임 가능하도록 상기 제1액추에이터부에 축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제2가상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형상의 제1링크, 일단이 상기 지지부에 제1링크축을 중심으로 움직임 가능하게 축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2가상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1링크축은 상기 제1가상선 상에 위치하는 직선 형상의 제2링크, 상기 제2가상선 상에 위치하며, 일단이 상기 제2액추에이터부의 피치축과 동축 연결되는 직선 형상의 제3링크, 상기 제1 내지 제3링크 각각의 타단을 연결하며, 상기 제1가상선과 평행한 직선 형상의 제4링크 및, 상기 제4링크로부터 상기 제1 내지 제3링크 각각의 일단을 향해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링크와 수직방향으로 교차하여 각각 축 연결되되, 상기 제1가상선과 평행한 직선 형상의 제5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ink part is shaft-fixed to the first actuator so that one end can move around the yaw axis, the other end is a linear first link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econd virtual line, and one end is the support part The first link axis is fixed to the axis so as to be movable around the first link axis, and the other end is extend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econd virtual line, and the first link axis is a linear second link positioned on the first virtual line, and the second 2 It is located on the virtual line, and connects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first to third links and a linear third link having one end coaxially connected to the pitch axis of the second actuator unit, and a straight line parallel to the first virtual line Fourth link of the shape an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ourth link toward one end of each of the first to third links, are axially connected by crossing the first to third links in a vertical direction, respectively, and the first virtual It may include a fifth link of a straight line parallel to the line.

또한, 상기 링크부는, 상기 제1액추에이터부와 연결되는 제1링크,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링크와 평행한 제2링크, 상기 제2액추에이터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링크와 평행한 제3링크 및, 상기 제1 내지 제3링크를 수직방향으로 교차하여 축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4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4링크는 적어도 두개의 평행사변 구조를 형성하되, 상기 제1 내지 제4링크가 형성하는 평행사변 구조로부터 연장되는 가상의 직선 사이의 교점에 상기 관절축이 위치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ink unit may include a first link connected to the first actuator unit, a second link connected to the support unit, parallel to the first link, and connected to the second actuator unit, and parallel to the first link. A third link and at least one fourth link axially connected by crossing the first to third links in a vertical direction, wherein the first to fourth links form at least two parallelogram structures, the The joint axis may be located at an intersection between virtual straight lines extending from the parallelogram structure formed by the first to fourth link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관절 운동장치는, 인체의 후면에 위치하여, 수평 내전 및 외전 운동시의 요(Yaw)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1액추에이터부, 전방 거상 동작시의 피치(Pitch)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2액추에이터부, 상기 제1 및 제2액추에이터부를 상호 연결시키며, 상기 수평 내전 및 외전 운동시의 회전중심인 관절축과 일치하는 가상의 회전축을 제공하도록 복수의 링크들을 포함하는 링크부 및, 상기 제2액추에이터부와 연결되어, 상기 인체의 관절 부위를 지지한 상태로 움직임 가능한 운동부를 포함한다. A joint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rst actuator unit that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human body and rotates about a yaw axis during horizontal adversion and abduction movements, and a pitch during front elevation movement. Comprising a plurality of links to interconnect the second actuator unit rotated about an axis, the first and second actuator units, and to provide a virtual axis of rotation coinciding with the joint axis, which is the rotation center during the horizontal adversion and abduction movements. And a link unit and an exercise unit connected to the second actuator unit and capable of moving while supporting a joint portion of the human body.

또한, 상기 전방 거상 범위를 벗어나는 상기 인체의 어깨 후면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액추에이터부는 상기 지지부에 고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it includes a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back of the shoulder of the human body outside the front elevation range, and the first actuator portion may be fixed to the support portion.

또한, 상기 요축 및 피치축은 상기 관절축으로부터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직선인 제1 및 제2가상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링크부는, 일단이 상기 요축을 중심으로 움직임 가능하도록 상기 제1액추에이터부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제2가상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형상의 제1링크, 일단이 상기 지지부에 제1링크축을 중심으로 움직임 가능하게 축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2가상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1링크축은 상기 제1가상선 상에 위치하는 직선 형상의 제2링크, 상기 제2가상선 상에 위치하며, 일단이 상기 제2액추에이터부의 피치축과 동축 연결되는 직선 형상의 제3링크, 상기 제1 내지 제3링크 각각의 타단에 축 연결되어 수직방향으로 교차하며, 상기 제1가상선과 평행한 직선 형상의 제4링크 및, 상기 제4링크로부터 상기 제1 내지 제3링크 각각의 일단을 향해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링크와 수직방향으로 교차하여 각각 축 연결되되, 상기 제1가상선과 평행한 직선 형상의 제5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yaw axis and the pitch axis are located on first and second virtual lines, which are virtual straight lines extending in different directions from the joint axis, respectively, and the link unit includes the first axis so that one end can move around the yaw axis. 1 Connected to the actuator, the other end is a linear first link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econd virtual line, one end is shaft-fixed to the support so as to be movable around the first link axis, and the other end is the second virtual line. It is extend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ine, wherein the first link axis is a linear second link located on the first virtual line, and is located on the second virtual line, and one end is coaxial with the pitch axis of the second actuator unit. A third link having a straight line to be connected, a fourth link having a straight line shape that is axial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first to third links and crosses in a vertical direction, parallel to the first virtual line, and the fourth link from the fourth link. The first to third links are mutually axially connected by crossing the first to third links in a vertical direction at a position spaced apart toward one end of each of the first to third links, and may include a fifth link of a linear shape parallel to the first virtual line. have.

또한, 상기 링크부는, 상기 제1액추에이터부와 연결되는 제1링크,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링크와 평행한 제2링크, 상기 제2액추에이터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링크와 평행한 제3링크 및, 상기 제1 내지 제3링크를 수직방향으로 교차하여 축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4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4링크는 적어도 두개의 평행사변 구조를 형성하되, 상기 제1 내지 제4링크가 형성하는 평행사변 구조로부터 연장되는 가상의 직선 사이의 교점에 상기 관절축이 위치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ink unit may include a first link connected to the first actuator unit, a second link connected to the support unit, parallel to the first link, and connected to the second actuator unit, and parallel to the first link. A third link and at least one fourth link axially connected by crossing the first to third links in a vertical direction, wherein the first to fourth links form at least two parallelogram structures, the The joint axis may be located at an intersection between virtual straight lines extending from the parallelogram structure formed by the first to fourth links.

또한, 상기 관절축에 대해 상기 제1 및 제2액추에이터부는 각각 55~75mm 및 150~170mm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1액추에이터부의 회전각도와 상기 관절축의 회전각도는 상호 1:1로 동일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actuator units are disposed at positions spaced from 55 to 75 mm and 150 to 170 mm, respectively, with respect to the joint axis, and the rotation angle of the first actuator unit and the rotation angle of the joint axis are equal to 1:1. can do.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1자유도 매커니즘으로 자세 변화없이 전방 거상, 수평 내전 및 외전 움직임 가능함으로써, 재활 동작 중 회전축을 일치시키기 위해 자세를 이동하여야 했던 기존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first, the one degree of freedom mechanism enables forward elevation, horizontal adversion, and abduction movement without posture change, thereby improving the existing problem that the posture had to be moved to match the rotation axis during the rehabilitation operation. Thu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usability.

둘째, 수평 내전 및 외전 움직임을 위한 제1액추에이터부가 인체의 후면에 위치함으로써, 전방 거상 움직임 범위를 제한하지 않으며 피치축의 최대 구동 각도인 180도 구현이 가능해진다. Second, since the first actuator unit for horizontal pronation and abduction movements is located on the rear of the human body, the range of the front elevation movement is not limited, and the maximum driving angle of the pitch axis, which is 180 degrees, can be implemented.

셋째, 1자유도 구동이 가능해짐에 따라, 컴팩트한 사이즈로 사용 편의성을 증대 시킬 수 있게 된다. Third, as one degree of freedom can be drive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use with a compact siz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관절 운동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관절 운동장치를 이용한 수평 외전 움직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관절 운동장치의 설계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4은 도 1에 도시된 관절 운동장치의 1자유도 매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관절 운동장치의 1자유도 매커니즘을 이용하여 수평 외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관절 운동장치의 1자유도 매커니즘을 이용한 전방 거상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joint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horizontal abduction movement using the joint exercise device shown in FIG. 1.
3 are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a design process of the joint exercise device shown in FIG. 1.
FIG.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chanism of one degree of freedom of the joint exercise device shown in FIG. 1.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horizontal abduction motion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mechanism of the joint exercise device shown in FIG. 4. And,
FIG. 6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levation of anterior motion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mechanism of the joint exercise device shown in FIG. 1.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이 그와 같은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은 실시예를 이루는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및 삭제 등에 의해서 다르게 제안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발명의 사상에 포함되는 것이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an embodiment,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posed differently by addition, change, and deletion of elem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but this is also included in the spirit of the invention. It becomes.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관절 운동장치(1)는 지지부(10), 제1액추에이터부(20), 제2액추에이터부(30), 링크부(40) 및 운동부(5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a joint exercise device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part 10, a first actuator part 20, a second actuator part 30, a link part 40, and an exercise part. Includes 50.

참고로,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관절 운동장치(1)는 인체(H)의 뼈와 뼈 사이의 연결 부분인 관절에 대한 재활 치료를 위한 재활 운동 로봇에 적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관절 운동장치(1)은 인체(H)의 다양한 관절 부위 중, 전방 거상, 수평 내/외전 운동 가능한 어깨의 재활 치료를 위해 적용되는 도시 및 설명한다. 그러나, 재활 치료로만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 의한 관절 운동장치(1)가 근력 보조나 감각장치(Haptic device)를 위한 다양한 착용형 외골격 로봇에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For reference, the joint exercise device 1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rehabilitation exercise robot for rehabilitation treatment for a joint, which is a connection part between the bone and the bone of the human body H. In addition, the joint exercise device 1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or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of the shoulder capable of anterior elevation, horizontal intra/abduction movement among various joint parts of the human body H, and will be described.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rehabilitation treatment, and it is natural that the joint exercise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wearable exoskeleton robots for assisting muscle strength or a Haptic device.

지지부(10)는 인체(H)의 후면을 지지한다. 이러한 지지부(10)는 도 1 및 도 2의 도시와 같이, 인체(H)의 후면 어깨에 밀착되는 베이스 프레임(Base Frame)을 포함한다. 지지부(10)는 자세히 도시되지 않았으나, 인체(H)의 후면인 등과 어깨에 대해 밀착되도록 소정 면적을 가지는 일종의 받침대일 수 있다. 또한, 지지부(10)는 동작 중 사용자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강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됨이 좋다. The support 10 supports the rear surface of the human body H. This support 10 includes a base frame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houlder of the human body H, as shown in FIGS. 1 and 2.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the support 10 may be a kind of support having a predetermined area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 which is the rear of the human body H, and the shoulder. In addition, the support 10 is preferably formed of a material having rigidity for stable support of the user during operation.

제1액추에이터부(20)는 지지부(10)에 대해 수평 내전 및 외전 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제1액추에이터부(20)는 지지부(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제1액추에이터부(20)의 회전 중심은 관절 운동장치(1)의 수평 내전 및 외전 운동을 위한 요(Yaw) 회전 중심과 일치함으로써, 관절의 요축(Y)을 제공한다. The first actuator unit 20 provides a driving force for horizontal pronation and abduction movements with respect to the support unit 10. The first actuator unit 2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upport unit 10. The rotation center of the first actuator unit 20 coincides with the yaw rotation center for horizontal adversion and abduction movements of the joint exercise device 1, thereby providing a yaw axis Y of the joint.

제2액추에이터부(30)는 전방 거상 운동시의 회전에 의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제2액추에이터부(30)는 어깨 관절의 전방 거상을 위한 회전 중심인 피치(Pitch) 회전 중심과 일치함으로써, 관절의 피치축(P)을 제공한다. The second actuator unit 30 provides a driving force by rotation during the forward elevating movement. This second actuator unit 30 provides a pitch axis P of the joint by coinciding with a rotation center of a pitch, which is a rotation center for anterior elevation of the shoulder joint.

여기서, 제1액추에이터부(20)의 회전 중심인 요축(Y)은 인체(H)의 관절축(C)과 가상의 직선인 제1가상선(L1) 상에 위치한다. 또한, 제2액추에이터부(30)의 회전 중심인 피치축(P)은 인체(H)의 관절축(C)과 가상의 직선인 제2가상선(L2) 상에 위치한다. 이때, 제1 및 제2가상선(L1)(L2)은 관절축(C)으로부터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된다. Here, the yaw axis Y, which is the rotation center of the first actuator unit 20, is located on the joint axis C of the human body H and the first virtual line L1, which is a virtual straight line. In addition, the pitch axis P, which is the rotation center of the second actuator unit 30, is located on the joint axis C of the human body H and the second virtual line L2, which is a virtual straight line. 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virtual lines L1 and L2 extend in different directions from the joint axis C, respectively.

한편, 제1액추에이터부(20)는 인체(H)의 후면에 위치하는 지지부(10)에 마련됨으로써, 전방 거상 동작시 인체(H)와 제1액추에이터부(20) 사이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체(H)의 팔을 들어 올리는 전방 거상 동작은 팔이 제2액추에이터부(30)의 피치축(P)을 중심으로 회전될 때에, 상대적으로 후면에 위치하는 제1액추에이터부(20)와 직접 접촉이 발생되지 않는 것이다. 즉, 지지부(10) 및, 지지부(10)에 지지된 제1액추에이터부(20)가 인체(H)의 후면에 위치함으로써, 최대 180도 움직임 범위를 가지는 전방 거상 동작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first actuator unit 20 is provided on the support unit 10 located at the rear of the human body H, interference between the human body H and the first actuator unit 20 does not occur during the forward elevating operation. . More specifically, when the arm is rotated about the pitch axis (P) of the second actuator unit 30, the front elevating operation of lifting the arm of the human body (H) is a first actuator unit ( 20) and direct contact does not occur. That is, since the support part 10 and the first actuator part 20 supported by the support part 10 are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human body H, the front elevation motion range having a maximum movement range of 180 degrees is not limited.

링크부(40)는 제1 및 제2액추에이터부(20)(30) 사이를 상호 연결시키며, 인체(H)의 관절 운동시 움직이는 관절축(C)과 일치하는 가상의 회전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링크부(40)는 도 1 및 도 2의 도시와 같이, 제1 내지 제5링크(41)(42)(43)(44)(45)를 포함한다. The link unit 40 connects the first and second actuator units 20 and 30 to each other, and provides a virtual rotation axis coinciding with the joint axis C that moves when the human body H moves. To this end, the link unit 40 includes first to fifth links 41, 42, 43, 44, and 45, as shown in FIGS. 1 and 2.

제1링크(41)의 일단은 요축(Y)을 중심으로 움직임 가능하도록 제1액추에이터부(20)에 축 연결된다. 또한, 제1링크(41)의 타단은 일단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되, 제2가상선(L2)과 평행하도록 연장된다. One end of the first link 41 is axially connected to the first actuator unit 20 so as to be movable around the yaw axis Y. 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first link 41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one end, and extends parallel to the second virtual line L2.

제2링크(42)는 지지부(10)에 제1링크축(J1)을 중심으로 움직임 가능하게 축 연결되는 일단과,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제2가상선(L2)과 평행한 타단을 가진다. 이때, 제2링크(42)의 제2링크축(J2)은 제1액추에이터부(20)의 요축(Y) 및 관절축(C)을 상호 일직선으로 연결하는 가상의 제1가상선(L1)과 동일 직선상에 위치한다. 즉, 제1링크축(J1), 요축(Y) 및 관절축(C)은 제1가상선(L1)에 의해 상호 일직선으로 연결되게 된다. The second link 42 has one end axially connected to the support 10 so as to be movable around the first link shaft J1, and the other end extending from one end and parallel to the second virtual line L2. At this time, the second link axis J2 of the second link 42 is a virtual first virtual line L1 connecting the yaw axis Y and the joint axis C of the first actuator unit 20 in a straight line. It is located on the same straight line as That is, the first link axis (J1), yaw axis (Y) and joint axis (C)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straight line by the first virtual line (L1).

한편, 요축(Y)과 제1링크축(J1)은 지지부(10)에 고정된 회전축을 제공한다. 그로 인해, 제1 및 제2링크(41)(42)는 각각 요축(Y) 및 제1링크축(J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다. Meanwhile, the yaw shaft Y and the first link shaft J1 provide a rotation shaft fixed to the support 10. 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links 41 and 42 can be rotated about the yaw axis Y and the first link axis J1, respectively.

제3링크(43)는 제2액추에이터부(30)의 회전 중심인 피치축(P)과 동축 연결되도록 제2액추에이터부(30)에 일단이 연결된다. 이때, 제3링크(43)는 관절축(C) 및 피치축(P)을 일직선으로 연결하는 가상의 제2가상선(L2)과 동일 직선상에 위치한다. 아울러, 제3링크(43)는 피치축(P)과 동축 연결됨에 따라, 제2액추에이터부(30)의 움직임에 함께 연동된다. The third link 43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second actuator unit 30 so as to be coaxially connected with the pitch axis P, which is the rotation center of the second actuator unit 30. At this time, the third link 43 is located on the same straight line as the virtual second virtual line L2 connecting the joint axis C and the pitch axis P in a straight line. In addition, as the third link 43 is coaxially connected with the pitch axis P, it is interlocked with the movement of the second actuator unit 30.

제4링크(44)는 제1 내지 제3링크(41)(42)(43) 각각의 타단을 연결하며, 제1가상선(L1)과 평행하도록 연장된 직선의 링크이다. 즉, 제4링크(44)의 일단은 제2가상선(L2)과 평행한 제1 및 제2링크(41)(42)의 각각의 타단을 순차적으로 거쳐 제3링크(43)의 타단과 연결된다. The fourth link 44 connects the other ends of each of the first to third links 41, 42, and 43, and is a straight link extending parallel to the first virtual line L1. That is, one end of the fourth link 44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oth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links 41, 42 parallel to the second virtual line L2, and the other end of the third link 43 Connected.

제5링크(45)는 제1 내지 제3링크(41)(42)(43) 각각을 연결하며, 제1가상선(L1)과 평행하도록 연장된 직선의 링크이다. 이때, 제5링크(45)는 제1 내지 제3링크(41)(42)(43) 각각의 타단을 연결하는 제4링크(44)로부터 제1 내지 제3링크(41)(42)(43)의 일단을 향해 이격된 위치에서 제1가상선(L1)과 평행하도록 연장된 링크이다. The fifth link 45 connects each of the first to third links 41, 42, and 43, and is a straight link extending parallel to the first virtual line L1. At this time, the fifth link 45 is from the first to third links 41, 42, and the fourth link 44 connecting the other ends of the first to third links 41, 42, and 43, respectively. It is a link extending parallel to the first virtual line L1 at a position spaced from one end of 43).

여기서, 제1 내지 제3링크(41)(42)(43)은 제2가상선(L2)과 평행하며, 각각의 일단은 모두 축 고정된 고정단이다. 또한, 제4 및 제5링크(44)(45)는 제1가상선(L1)과 평행하며 제1 내지 제3링크(41)(42)(43)의 자유단인 각각의 타단을 상호 연결시킨다. 그로 인해, 제1 내지 제3링크(41)(42)(43) 각각의 일단을 중심으로 제1 내지 제3링크(41)(42)(43) 각각의 타단이 회전되는 움직임이 제 4 및 제5링크(44)(45)와의 연결에 의해 상호 연동된다. Here, the first to third links 41, 42, and 43 are parallel to the second virtual line L2, and each one end is a fixed end fixed to the axis. In addition, the fourth and fifth links 44 and 45 are parallel to the first virtual line L1 and interconnect the other ends, which are the free ends of the first to third links 41, 42, and 43. Let it. Therefore, the movement in which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first to third links 41, 42, and 43 rotates around one end of each of the first to third links 41, 42, and 43 is reduced to the fourth and The fifth links 44 and 45 are interconnected by connection with each other.

또한, 제1 내지 제5링크(41)(42)(43)(44)(45)를 포함하는 링크부(40)는 평행사변형 구조를 그리며 관절 운동장치(1)의 수평 내전 및 외전 움직임을 위한 1자유도 매커니즘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가상선(L1), 제2가상선(L2), 제4링크(44) 및 제5링크(45)는 평행사변 구조로 상호 연결된다. 또한, 제1가상선(L1), 제1링크(41), 제4링크(44) 및 제2링크(42)도 하나의 평행사변 구조로 상호 연결되며, 제3링크(43), 제4링크(44), 제2링크(42) 및 제5링크(45)도 평행사변 구조로 상호 연결된다. In addition, the link unit 40 including the first to fifth links 41, 42, 43, 44, and 45 draws a parallelogram structure and controls the horizontal adversion and abduction movements of the joint exercise device 1. One degree of freedom mechanism for this is provided. More specifically, the first virtual line L1, the second virtual line L2, the fourth link 44, and the fifth link 45 are interconnected in a parallelogram structure. In addition, the first virtual line L1, the first link 41, the fourth link 44, and the second link 42 are also interconnected in one parallelogram structure, and the third link 43, the fourth link The link 44, the second link 42, and the fifth link 45 are also interconnected in a parallelogram structure.

즉, 제1 내지 제5링크(41)(42)(43)(44)(45)들은 상호 교차하는 두개의 평행사변형 구조를 형성하며, 두개의 평행사변형 구조에서 나오는 제1 및 제2가상선(L1)(L2)의 교점이 가상의 회전축이 되어 관절축(C)과 일치하게 된다. 그로 인해, 관절 운동장치(1)가 관절축(C)과 일치되면서 수평 내전 및 외전 운동시킬 수 있게 된다. That is, the first to fifth links 41, 42, 43, 44, and 45 form two parallelogram structures that cross each other, and the first and second virtual lines emerging from the two parallelogram structures The intersection of (L1)(L2) becomes a virtual axis of rotation and coincides with the joint axis (C).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erform horizontal adductor and abduction movements while the joint exercise device 1 coincides with the joint axis C.

참고로, 제1 내지 제3링크(41)(42)(43)를 상호 연결시키는 제4 및 제5링크(44)(45) 사이의 제2 내지 제7링크축(J2)(J3)(J4)(J5)(J6)(J7)들은 고정되지 않는다. 그로 인해, 지지부(10)에 고정된 요축(Y) 및 제1링크축(J1)에 대해 제1 내지 제5링크(41)(42)(43)(44)(45)들이 회전 움직임 가능한 가상의 회전축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제1 내지 제5링크(41)(42)(43)(44)(45)의 회전 움직임시에도 평행사변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인체(H)의 수평 내전 및 외전 운동시의 안정적인 1자유도 매커니즘 구현이 가능하다. For reference, the second to seventh link shafts (J2) (J3) between the fourth and fifth links 44 and 45 interconnecting the first to third links 41, 42, and 43 J4) (J5) (J6) (J7) are not fixed. As a result, the first to fifth links 41, 42, 43, 44, 45 are virtually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yaw axis Y and the first link axis J1 fixed to the support 10 It will provide the axis of rotation of. At this time, by forming a parallelogram structure even when the first to fifth links 41, 42, 43, 44, and 45 are rotated, stable one freedom during horizontal pronation and abduction movements of the human body H It is also possible to implement the mechanism.

운동부(50)는 제2액추에이터부(30)와 연결되어, 제1 및 제2액추에이터부(20)(30)의 구동력에 의해 인체(H)의 움직임이 필요한 관절 부위를 지지한 상태로 움직인다. 본 실시예에서는 관절 운동장치(1)가 어깨 관절의 재활 운동에 적용되는 것으로 예시함에 따라, 운동부(50)에 인체(H)의 팔이 지지된다. The exercise unit 50 is connected to the second actuator unit 30 and moves while supporting a joint portion requiring movement of the human body H by the driving force of the first and second actuator units 20 and 30. In this embodiment, as the joint exercise device 1 is illustrated as being applied to the rehabilitation exercise of the shoulder joint, the arm of the human body H is supported by the exercise unit 50.

이러한 운동부(50)에 지지된 팔은 제1액추에이터부(20)의 요축(Y)을 중심으로 수평 내전 또는 외전되거나, 제2액추에이터부(30)의 피치축(P)을 중심으로 전방 거상 움직이게 된다. The arm supported by this movement part 50 is horizontally adducted or abducted around the yaw axis (Y) of the first actuator unit 20, or moves forward elevating around the pitch axis (P) of the second actuator unit 30. do.

한편, 상기와 같은 관절 운동장치(1)는 도 3과 같은 순서에 의해 설계될 수 있다. Meanwhile, the joint exercise device 1 as described above may be designed in the same order as in FIG. 3.

도 3의 (a)와 같이, 인체(H)의 관절축(C)으로부터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및 제2가상 링크(I1)(I2)의 길이를 각각 a 및 b라 하고, 관절축(C)으로부터 제1 및 제2가상 링크(I1)(I2)와 연결되는 제1 및 제2실제 링크(A1)(A2)의 길이를 각각 c 및 d라고 할 경우, a+b=c+d가 되도록 배치하여 평행사변형 궤적을 설계한다. As shown in (a) of FIG. 3, the lengths of the first and second virtual links I1 and I2 extending in different directions from the joint axis C of the human body H are denoted as a and b, respectively, and the joint When the lengths of the first and second physical links (A1) (A2)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virtual links (I1) (I2) from the axis (C) are c and d, respectively, a+b=c Arrange it so that it becomes +d and design a parallelogram trajectory.

도 3의 (b)와 같이, 관절축(C)으로부터 e만큼 이격된 거리에 제2액추에이터부(30)를 위치시킨다. 이때, 관절축(C)으로부터 제2액추에이터부(30)까지의 이격된 거리(e)는 대략 55~75mm의 범위를 가짐이 좋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65mm의 거리(e)를 가지는 것으로 예시한다. 여기서, 제2액추에이터부(30)와 제2실제 링크(A2)의 사이에 제3실제 링크(A3)을 배치시킨다.As shown in (b) of FIG. 3, the second actuator unit 30 is positioned at a distance e from the joint axis (C). At this time, the separated distance e from the joint axis C to the second actuator unit 30 is preferably in a range of approximately 55 to 75 mm, and in this embodiment, it is illustrated as having a distance e of 65 mm. . Here, a third actual link A3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actuator unit 30 and the second actual link A2.

도 3의 (c)와 같이, 관절축(C)으로부터 제1 및 제2실제 링크(A1)(A2)의 접점과 연결되도록 제3가상 링크(I3)을 연결한 후, 제3가상 링크(I3)와 제1가상 링크(I1) 사이를 연결하는 제4실제 링크(A4)를 배치시킨다. 또한, 제3가상 링크(I3)와 제3실제 링크(A3) 사이를 연결하는 제5실제 링크(A5)를 배치시킨다. As shown in (c) of FIG. 3, after connecting the third virtual link I3 so that it is connected to the contact points of the first and second physical links A1 and A2 from the joint axis C, the third virtual link ( A fourth physical link A4 connecting between I3) and the first virtual link I1 is arranged. In addition, a fifth real link A5 connecting the third virtual link I3 and the third real link A3 is disposed.

그 후, 도 3의 (d)와 같이, 제1실제 링크(A1)와 제4실제 링크(A4) 사이를 연결하는 제6실제 링크(A6)를 배치하고, 제2실제 링크(A2)와 제5실제 링크(A5) 사이를 연결하는 제7실제 링크(A7)를 배치한다. 아울러, 도 3의 (e)와 같이, 제1가상 링크(I1)와 제4실제 링크(A4) 사이의 접점에 제1액추에이터부(20)를 배치시킨다. 이때, 관절축(C)으로부터 제1액추에이터부(20)까지 이격된 거리(f)는 대략 150~170mm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160mm인 것으로 예시한다. Thereafter, as shown in (d) of FIG. 3, a sixth actual link A6 connecting the first physical link A1 and the fourth actual link A4 is disposed, and the second actual link A2 and A seventh physical link A7 connecting the fifth physical links A5 is disposed. In addition, as shown in (e) of FIG. 3, the first actuator unit 20 is disposed at a contact point between the first virtual link I1 and the fourth physical link A4. At this time, the distance f spaced from the joint axis C to the first actuator unit 20 is approximately 150 to 170 mm, which is illustrated as 160 mm in this embodiment.

이렇게 제1 및 제2액추에이터부(20)(30)까지 배치하고, 제1 내지 제7실제 링크(A1)(A2)(A3)(A4)(A5)(A6)(A7)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링크 연결함으로써, 최종적으로 도 3의 (f)와 같은 제1 내지 제5링크(41)(42)(43)(44)(45)를 포함하는 링크부(40)가 설계될 수 있다. 여기서, 관절축(C)의 회전각도(θh)와 제1액추에이터부(20)의 회전각도(θa)는 상호 1:1로 동일하다. 즉, 요(Yaw) 회전을 위한 요축(Y)의 회전각도(θa)는 인체(H)의 관절축(C)의 회전각도(θh)와 동일(θa=θh)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first and second actuator units 20 and 30 are arranged and correspond to the positions of the first to seventh actual links (A1) (A2) (A3) (A4) (A5) (A6) (A7). By connecting the link so that, finally, the link unit 40 including the first to fifth links 41, 42, 43, 44, and 45 as shown in (f) of FIG. 3 can be designed. Here, the rotation angle θh of the joint shaft C and the rotation angle θa of the first actuator unit 20 are equal to each other at 1:1. That is, the rotation angle θa of the yaw axis Y for yaw rotation may be designed to be the same as the rotation angle θh of the joint axis C of the human body H (θa=θh).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관절 운동장치(1)의 재활 동작 중 수평 내전 및 외전 움직임에 대한 1자유도 매커니즘을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The one degree of freedom mechanism for horizontal adversion and abduction movements during the rehabilitation operation of the joint exercise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도 4을 참고하면, 인체(H)의 팔을 수평하게 들어올린 상태를 상부에서 바라본 상태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도 4의 도시와 같이, 팔의 관절축(C)을 중심으로 가상의 제1 및 제2가상선(L1)(L2) 상에 제1 및 제2액추에이터부(20)(30)의 요축(Y)과 피치축(P)이 위치한다. Referring to FIG. 4, a state in which the arm of the human body H is horizontally lifted is shown schematically as viewed from above. As shown in FIG. 4, the yaw axis of the first and second actuator units 20 and 30 on the first and second virtual lines L1 and L2 around the joint axis C of the arm Y) and the pitch axis (P) are located.

이때, 제1가상선(L1), 제2가상선(L2), 제4링크(44) 및 제2링크(42)가 평행사변 형상을 가지게 된다. 또한, 제1 내지 제5링크(41)(42)(43)(44)(45)들은 상호 교차하는 두개의 평행사변형 구조를 가지도록 제1 내지 제7링크축(J1)(J2)(J3)(J4)(J5)(J6)(J7)으로 연결된다. At this time, the first virtual line L1, the second virtual line L2, the fourth link 44, and the second link 42 have a parallelogram shape. In addition, the first to fifth links 41, 42, 43, 44, and 45 have the first to seventh link shafts (J1) (J2) (J3) so as to have two parallelogram structures crossing each other. )(J4)(J5)(J6)(J7).

이러한 평행사변형 구조를 가지는 링크부(40)는 도 5와 같이, 인체(H)의 팔이 수평 외전 운동할 경우, 인체의 관절축(C)이 자세 이동하지 않아도 요축(Y)을 중심으로 회전됨을 지지하게 된다. Link portion 40 having such a parallelogram structure, as shown in Figure 5, when the arm of the human body (H) horizontal abduction movement, the joint axis (C) of the human body rotates around the yaw axis (Y) even if the posture does not move Will support you.

보다 구체적으로, 관절축(C)을 중심으로 팔이 수평 외전하면, 팔을 지지하는 운동부(50)에 연결된 제2액추에이터부(30)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2액추에이터부(30)와 연결된 제3링크(43)도 함께 회전함으로써, 제3링크(43)에 대해 제4링크축(J4) 및 제7링크축(J7)으로 연결된 제4링크(44) 및 제5링크(45)가 제3링크(43)에 대해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제4 및 제5링크(44)(45)는 제1가상선(L1)에 대해 평행하도록 제1 및 제2링크(41)(42)에 대해 제2, 3, 5, 6링크축(J2)(J3)(J5)(J6)으로 연결됨으로써, 제1 및 제2링크(41)(42)들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More specifically, when the arm is horizontally abducted around the joint axis (C), the second actuator unit 30 connected to the exercise unit 50 supporting the arm is also rotated. At this time, by rotating the third link 43 connected to the second actuator unit 30 together, the fourth link connected to the third link 43 by the fourth link shaft (J4) and the seventh link shaft (J7) (44) and the fifth link 45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third link (43). These 4th and 5th links 44 and 45 are the 2nd, 3rd, 5th, and 6th link axes with respect to the first and second links 41 and 42 so as to be parallel to the first virtual line L1. By connecting to J2) (J3) (J5) (J6), the first and second links 41 and 42 are also rotated together.

여기서, 제1링크(41)의 일단은 제1액추에이터부(20)의 요축(Y)과 연결되고, 제2링크(42)의 일단은 지지부(10)와 제1링크축(J1)으로 연결된 상태이며, 요축(Y)과 제1링크축(J1)은 지지부(10)에 대해 모두 축 고정된 상태이다. 그로 인해, 수평 내전 및 외전 움직임이 링크부(40)의 복수의 링크(41)(42)(43)(44)(45)들에 의해 관절축(C)과 일치하지 않는 위치에 위치하는 제1액추에이터부(20)의 요축(Y)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된다. Here, one end of the first link 41 is connected to the yaw axis Y of the first actuator unit 20, and one end of the second link 42 is connected to the support unit 10 and the first link axis J1. The yaw shaft Y and the first link shaft J1 are both shaft-fixed with respect to the support 10. Therefore, the horizontal adductor and abduction movements are located at a position that does not coincide with the joint axis (C) by the plurality of links 41, 42, 43, 44, and 45 of the link unit 40. 1 It is possible to rotate around the yaw axis (Y) of the actuator unit (20).

정리하면, 제1링크(41)가 수평 내전 및 외전 동작의 중심인 요축(Y)을 제공하는 제1액추에이터부(20)와 연결되고, 제1링크(41)가 제2 내지 제5링크(42)(43)(44)(45)들과 평행사변형 구조로 연결됨으로써, 각 링크(41)(42)(43)(44)(45)들의 연결 지점에 가상의 회전중심인 제1 내지 제7링크축(J1)(J2)(J3)(J4)(J5)(J6)(J7)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제1 내지 제5링크(41)(42)(43)(44)(45)들이 형성하는 두개의 평행사변 구조로부터 연장되는 제1 및 제2가상선(L1)(L2) 사이의 교점에 관절축(C)이 위치함으로써, 관절축(C)을 중심으로 제1 내지 제5링크(41)(42)(43)(44)(45)들은 평행사변형 궤적을 그리며 회전되게 된다. 이때, 제1가상선(L1)에 관절축(C) 및 요축(Y)이 위치하고, 링크부(40)는 제1가상선(L1)을 중심으로 제2가상선(L2)을 회전시켜 최종적으로, 제1액추에이터부(20)의 요축(Y)을 중심을 팔이 수평 내전 및 외전 움직이게 된다. In summary, the first link 41 is connected to the first actuator unit 20 providing the yaw axis Y, which is the center of the horizontal adversion and abduction, and the first link 41 is connected to the second to fifth links ( By connecting the 42) (43) (44) (45) in a parallelogram structure, each link (41) (42) (43) (44) (45) is connected to each of the first to second virtual centers of rotation. 7 link shafts (J1) (J2) (J3) (J4) (J5) (J6) (J7) are formed. In addition, the intersec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virtual lines L1 and L2 extending from the two parallelogram structures formed by the first to fifth links 41, 42, 43, 44, and 45 When the joint axis (C) is located in the joint axis (C), the first to fifth links 41, 42, 43, 44, and 45 are rotated while drawing a parallelogram trajectory. At this time, the joint axis (C) and yaw axis (Y) are located on the first virtual line (L1), and the link unit 40 rotates the second virtual line (L2) around the first virtual line (L1) As a result, the arm moves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yaw axis (Y) of the first actuator unit 20 in horizontal pronation and abduction.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관절 운동장치(1)의 재활 동작 중 전방 거상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With reference to FIG. 6, the front elevation motion of the rehabilitation motion of the joint exercise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schematically described.

도 6과 같이, 팔을 지지하는 운동부(50)가 전방 거상 동작에 의해 수평 위치에서 수직방향으로 들어 올려진다. 이때, 운동부(50)는 제2액추에이터부(30)의 피치축(P)을 중심으로 회전됨으로써, 팔의 전방 거상 동작시킨다. 이때, 피치축(P)은 인체(H)의 관절축(C) 동축 상에 위치함으로써, 운동부(50)를 전방 거상 동작시키게 된다. As shown in Fig. 6, the exercise unit 50 for supporting the arm is lif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horizontal position by the forward elevating motion. At this time, the movement unit 50 is rotated around the pitch axis P of the second actuator unit 30, thereby causing the arm to move forward. At this time, the pitch axis (P) is located on the joint axis (C) of the human body (H), so that the movement unit 50 is moved forward elevating.

한편, 운동부(50)가 전방 거상 동작 중에 제1액추에이터부(20) 및 이를 지지하는 지지부(10)가 인체(H)의 후면에 위치함에 따라(도 1 참고), 피치축(P)에 대해 최대 180도의 움직임 가능한 거상 동작 중 충돌에 의한 간섭이 방지된다. On the other hand, as the movement unit 50 is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human body H (refer to FIG. 1), the first actuator unit 20 and the support unit 10 supporting the same during the forward elevating operation (see Fig. 1), with respect to the pitch axis (P). Interference due to collision is prevented during the elevating movement that can move up to 180 degree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can do it.

1: 관절 운동장치 10: 지지부
20: 제1액추에이터부 30: 제2액추에이터부
40: 링크부 41: 제1링크
42: 제2링크 43: 제3링크
44: 제4링크 45: 제5링크
50: 운동부 C: 관절축
Y: 요축 P: 피치축
1: joint exercise device 10: support
20: first actuator part 30: second actuator part
40: link unit 41: first link
42: second link 43: third link
44: fourth link 45: fifth link
50: exercise part C: joint axis
Y: yaw axis P: pitch axis

Claims (10)

인체의 어깨 후면에 밀착되어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어, 수평 내전 및 외전 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액추에이터부;
전방 거상 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액추에이터부;
상기 제1 및 제2액추에이터부 사이를 상호 연결시키며, 상기 수평 내전 및 외전 운동시의 회전중심인 관절축과 일치하는 가상의 회전축을 제공하여 1자유도 구동시키는 링크부; 및
상기 제2액추에이터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액추에이터부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인체의 관절 부위를 지지하는 운동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액추에이터부는 상기 인체 관절의 수평 내전 및 외전 동작을 위한 요(Yaw) 회전 중심과 일치하는 요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상기 제2액추에이터부는 상기 인체 관절의 전방 거상 동작을 위한 피치(Pitch) 회전 중심과 일치하는 피치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되,
상기 요축 및 피치축은 상기 관절축으로부터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직선인 제1 및 제2가상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액추에이터부의 회전각도와 상기 관절축의 회전각도는 상호 1:1로 동일한 관절 운동장치.
A support part in close contact with and supporting the back of the human body;
A first actuator unit connected to the support and providing a driving force for horizontal pronation and abduction movements;
A second actuator unit that provides a driving force for the forward elevating movement;
A link unit inter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actuator units and providing a virtual rotation axis coinciding with a joint axis, which is a rotation center during the horizontal adversion and abduction movement, to drive one degree of freedom; And
An exercise unit connected to the second actuator unit to support a joint portion of the human body by driving force of the first and second actuator units;
Including,
The first actuator unit is rotated about a yaw axis coinciding with a yaw rotation center for horizontal adversion and abduction motions of the human joint, and the second actuator unit has a pitch for a forward elevating motion of the human joint. It is rotated around the pitch axis coinciding with the rotation center,
The yaw axis and the pitch axis are located on first and second virtual lines, which are virtual straight lines extending in different directions from the joint axis, respectively,
The rotation angle of the first actuator unit and the rotation angle of the joint shaft are mutually equal to 1:1.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일단이 상기 요축을 중심으로 움직임 가능하도록 상기 제1액추에이터부에 축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제2가상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형상의 제1링크;
일단이 상기 지지부에 제1링크축을 중심으로 움직임 가능하게 축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2가상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1링크축은 상기 제1가상선 상에 위치하는 직선 형상의 제2링크;
상기 제2가상선 상에 위치하며, 일단이 상기 제2액추에이터부의 피치축과 동축 연결되는 직선 형상의 제3링크;
상기 제1 내지 제3링크 각각의 타단을 연결하며, 상기 제1가상선과 평행한 직선 형상의 제4링크; 및
상기 제4링크로부터 상기 제1 내지 제3링크 각각의 일단을 향해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링크와 수직방향으로 교차하여 각각 축 연결되되, 상기 제1가상선과 평행한 직선 형상의 제5링크;
를 포함하는 관절 운동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link unit,
A first link of a linear shape, one end being axially fixed to the first actuator so as to be movable around the yaw axis, and the other end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econd virtual line;
One end is shaft-fixed to the support so as to be movable around a first link axis, and the other end is extend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econd virtual line, and the first link axis is a second linear shape positioned on the first virtual line. link;
A linear third link positioned on the second virtual line and having one end coaxially connected to the pitch axis of the second actuator unit;
A fourth link connecting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first to third links and having a straight line shape parallel to the first virtual line; And
The first to third links are intersected in a vertical direction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ourth link toward one end of each of the first to third links and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have a linear shape parallel to the first virtual line. 5 links;
Joint exercise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상기 제1액추에이터부와 연결되는 제1링크;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링크와 평행한 제2링크;
상기 제2액추에이터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링크와 평행한 제3링크; 및
상기 제1 내지 제3링크를 수직방향으로 교차하여 축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4링크;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4링크는 적어도 두개의 평행사변 구조를 형성하되, 상기 제1 내지 제4링크가 형성하는 평행사변 구조로부터 연장되는 가상의 직선 사이의 교점에 상기 관절축이 위치하는 관절 운동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link unit,
A first link connected to the first actuator unit;
A second link connected to the support and parallel to the first link;
A third link connected to the second actuator unit and parallel to the first link; And
At least one fourth link axially connected by crossing the first to third links in a vertical direction;
Including,
The first to fourth links form at least two parallelogram structures, wherein the joint axis is located at an intersection between virtual straight lines extending from the parallelogram structure formed by the first to fourth links .
인체의 후면에 위치하여, 수평 내전 및 외전 운동시의 요(Yaw)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1액추에이터부;
전방 거상 동작시의 피치(Pitch)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2액추에이터부;
상기 제1 및 제2액추에이터부를 상호 연결시키며, 상기 수평 내전 및 외전 운동시의 회전중심인 관절축과 일치하는 가상의 회전축을 제공하도록 복수의 링크들을 포함하는 링크부; 및
상기 제2액추에이터부와 연결되어, 상기 인체의 관절 부위를 지지한 상태로 움직임 가능한 운동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 거상 범위를 벗어나는 상기 인체의 어깨 후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에 상기 제1액추에이터부가 고정되고,
상기 요축 및 피치축은 상기 관절축으로부터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직선인 제1 및 제2가상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액추에이터부의 회전각도와 상기 관절축의 회전각도는 상호 1:1로 동일한 관절 운동장치.
A first actuator unit located at the rear of the human body and rotated about a yaw axis during horizontal pronation and abduction movements;
A second actuator unit rotated about a pitch axis during the forward elevating operation;
A link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links to interconnect the first and second actuator units and to provide a virtual axis of rotation coinciding with a joint axis, which is a rotation center during the horizontal adversion and abduction movements; And
An exercise unit connected to the second actuator unit and capable of moving while supporting a joint portion of the human body;
Including,
The first actuator portion is fixed to a support portion supporting the rear shoulder of the human body outside the front elevation range,
The yaw axis and the pitch axis are located on first and second virtual lines, which are virtual straight lines extending in different directions from the joint axis, respectively,
The rotation angle of the first actuator unit and the rotation angle of the joint shaft are mutually equal to 1:1.
삭제delet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일단이 상기 요축을 중심으로 움직임 가능하도록 상기 제1액추에이터부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제2가상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형상의 제1링크;
일단이 상기 지지부에 제1링크축을 중심으로 움직임 가능하게 축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2가상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1링크축은 상기 제1가상선 상에 위치하는 직선 형상의 제2링크;
상기 제2가상선 상에 위치하며, 일단이 상기 제2액추에이터부의 피치축과 동축 연결되는 직선 형상의 제3링크;
상기 제1 내지 제3링크 각각의 타단에 축 연결되어 수직방향으로 교차하며, 상기 제1가상선과 평행한 직선 형상의 제4링크; 및
상기 제4링크로부터 상기 제1 내지 제3링크 각각의 일단을 향해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링크와 수직방향으로 교차하여 각각 축 연결되되, 상기 제1가상선과 평행한 직선 형상의 제5링크;
를 포함하는 관절 운동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link unit,
A first link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actuator so as to be movable around the yaw axis, the other end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econd virtual line;
One end is shaft-fixed to the support so as to be movable around a first link axis, and the other end is extend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econd virtual line, and the first link axis is a second linear shape positioned on the first virtual line. link;
A linear third link positioned on the second virtual line and having one end coaxially connected to the pitch axis of the second actuator unit;
A fourth link axial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first to third links and cross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having a straight line shape parallel to the first virtual line; And
The first to third links are intersected in a vertical direction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ourth link toward one end of each of the first to third links and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have a linear shape parallel to the first virtual line. 5 links;
Joint exercise device comprising a.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상기 제1액추에이터부와 연결되는 제1링크;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링크와 평행한 제2링크;
상기 제2액추에이터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링크와 평행한 제3링크; 및
상기 제1 내지 제3링크를 수직방향으로 교차하여 축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4링크;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4링크는 적어도 두개의 평행사변 구조를 형성하되, 상기 제1 내지 제4링크가 형성하는 평행사변 구조로부터 연장되는 가상의 직선 사이의 교점에 상기 관절축이 위치하는 관절 운동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link unit,
A first link connected to the first actuator unit;
A second link connected to the support and parallel to the first link;
A third link connected to the second actuator unit and parallel to the first link; And
At least one fourth link axially connected by crossing the first to third links in a vertical direction;
Including,
The first to fourth links form at least two parallelogram structures, wherein the joint axis is located at an intersection between virtual straight lines extending from the parallelogram structure formed by the first to fourth links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축에 대해 상기 제1 및 제2액추에이터부는 각각 55~75mm 및 150~170mm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관절 운동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first and second actuator units with respect to the joint axis are disposed at positions spaced from 55 to 75 mm and 150 to 170 mm, respectively.
KR1020190080276A 2019-07-03 2019-07-03 Joint exercise apparatus KR1022440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276A KR102244048B1 (en) 2019-07-03 2019-07-03 Joint exercise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276A KR102244048B1 (en) 2019-07-03 2019-07-03 Joint exercise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4219A KR20210004219A (en) 2021-01-13
KR102244048B1 true KR102244048B1 (en) 2021-04-22

Family

ID=74142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0276A KR102244048B1 (en) 2019-07-03 2019-07-03 Joint exercise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404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13881A1 (en) * 2021-08-03 2023-02-0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Joint exercise device and joint exercise method using exercise effect maintenance modul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7280A (en) 2005-03-14 2006-09-21 Osaka Univ Upper extremity rehabilitation apparatus
US20080077057A1 (en) 2003-05-29 2008-03-27 Zalman Peles Multi joint orthodynamic rehabilitator, assistive orthotic device and methods for actuation controlling
US20080304935A1 (en) 2007-05-01 2008-12-11 Scott Stephen H Robotic exoskeleton for limb movement
CN105662783A (en) 2016-03-21 2016-06-15 上海卓道医疗科技有限公司 Exoskeletal rehabilitation robot for upper limbs
US20160206497A1 (en) 2013-09-30 2016-07-21 Ashish Warren Deshpande Upper-body robotic exoskeleton
CN109925160A (en) 2017-12-18 2019-06-25 中国科学院沈阳自动化研究所 A kind of bionical power-assisted flexible exoskeleton of light-type multiple degrees of freedom shoulder complex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5420B1 (en) * 2008-12-16 2011-09-1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Wearable Robotic System for the Rehabilitation Training of upper limbs
KR101226927B1 (en) 2011-02-21 2013-01-28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Robot system for rehabilitation
KR101234517B1 (en) * 2011-04-22 2013-02-19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Rehabilitation medicine device for compound joint motion
KR101559551B1 (en) * 2013-10-28 2015-10-15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Exercising Apparatus for Joint
KR101469539B1 (en) 2014-03-03 2014-12-05 김석환 Flexure Joint Structure and Training Device, Ring Type Joint Structure, Construction toy and Artificial Joint using the Joint Devic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77057A1 (en) 2003-05-29 2008-03-27 Zalman Peles Multi joint orthodynamic rehabilitator, assistive orthotic device and methods for actuation controlling
JP2006247280A (en) 2005-03-14 2006-09-21 Osaka Univ Upper extremity rehabilitation apparatus
US20080304935A1 (en) 2007-05-01 2008-12-11 Scott Stephen H Robotic exoskeleton for limb movement
US20130158438A1 (en) * 2007-05-01 2013-06-20 Queen's University At Kingston Robotic Exoskeleton for Limb Movement
US20160206497A1 (en) 2013-09-30 2016-07-21 Ashish Warren Deshpande Upper-body robotic exoskeleton
CN105662783A (en) 2016-03-21 2016-06-15 上海卓道医疗科技有限公司 Exoskeletal rehabilitation robot for upper limbs
CN109925160A (en) 2017-12-18 2019-06-25 中国科学院沈阳自动化研究所 A kind of bionical power-assisted flexible exoskeleton of light-type multiple degrees of freedom shoulder complex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13881A1 (en) * 2021-08-03 2023-02-0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Joint exercise device and joint exercise method using exercise effect maintenance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4219A (en) 2021-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8108359A (en) Wearing-type finger rehabilitation device
JP5258284B2 (en) Medical manipulator and medical robot system
US5447403A (en) Dexterous programmable robot and control system
KR101264248B1 (en) legged mobile robot
WO2018093448A2 (en) Robotic upper limb rehabilitation device
KR20070057711A (en) Wheelchair with mechanical arm
JP2005537138A5 (en)
KR20170086238A (en) A wearable hand rehabilitation system
CN107107350A (en) Robot system and robot device
KR102244048B1 (en) Joint exercise apparatus
CN105120821A (en) Mechanical linkage
CN105579015A (en) Hand motion exercising device
CN110370305B (en) Mechanical finger and mechanical arm
KR20200071184A (en) Finger apparatus and robot hand having the finger apparatus
CN207462308U (en) A kind of dermaskeleton type upper limb rehabilitation image training robot
CN110722573B (en) Auxiliary movement mechanical arm and nursing bed
JP6645741B2 (en) robot
JP2003340768A (en) Double axial articulated robot
JP6314058B2 (en) Enlarged suit
JPH04315589A (en) Articulated manipulator having seven degrees of freedom
CN110151493A (en) The five fingers linkage grasps manipulator
JP2011143243A (en) Walking assist device
CN114432091A (en) Seven-degree-of-freedom linkage multi-joint wearable rehabilitation mechanical glove
JP6867211B2 (en) Wrist rotation structure in humanoid hand, wrist rotation structure in hand and hand
CN211163964U (en) Auxiliary movement arm and nursing b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