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1871B1 - Portable smart fence - Google Patents

Portable smart fe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1871B1
KR102241871B1 KR1020190012641A KR20190012641A KR102241871B1 KR 102241871 B1 KR102241871 B1 KR 102241871B1 KR 1020190012641 A KR1020190012641 A KR 1020190012641A KR 20190012641 A KR20190012641 A KR 20190012641A KR 102241871 B1 KR102241871 B1 KR 102241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back
interaction
user
use mode
portable sm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26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95048A (en
Inventor
류한영
문수민
최유진
이윤수
민성주
Original Assignee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12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1871B1/en
Publication of KR20200095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50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1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18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6Children's play- pens
    • A47D13/061Children's play- pens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4Devices for impeding movement; Devices for impeding passage through fencing, e.g. hobbles or the like; Anti-kic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Zo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Bird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휴대가능한 스마트 펜스는 일단을 바닥에 고정시킨 상태로 세워지고 외주면이 라운딩 처리된 기둥형태이며, 기설정된 조건에 대응하는 외력에 의해 일단의 고정이 해제되는 지지대; 및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모드를 설정하고 설정된 사용모드에 따라 상이한 피드백을 출력시키기 위한 명령을 생성하는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서 설정된 사용모드에 따라 선별된 피드백을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피드백에 대한 상호작용을 감지하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고, 지지대로부터 탈부착되는 인터렉션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rtable smart f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lumnar shape in which one end is fixed to the floor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rounded, and one end of the support is released by an external force corresponding to a preset condition; And a processor that analyzes the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to set the usage mode and generates a command for outputting different feedback according to the set usage mode, and outputs selected feedback according to the usage mode set in the processor, and provides feedback from the user. It may include a touch screen that senses the interaction, and an interaction unit detachable from the support.

Description

휴대가능한 스마트 펜스{PORTABLE SMART FENCE}Portable smart fence {PORTABLE SMART FENCE}

본 발명은 휴대가능한 스마트 펜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리된 공간형성 및 피드백을 통해 사용자와 상호작용이 가능한 휴대가능한 스마트 펜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smart fen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smart fence capable of interacting with a user through a separate space formation and feedback.

어린 아이들이 노는 동안에는 다양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기어다니거나, 막 걸음마를 배운 유아는 사고 능력이 약하므로 보호자가 방심하는 사이에 안전사고가 일어날 확률이 높다. 따라서, 아이들이 노는 동안 보호자의 시야에서 멀리 벗어나지 않고 제한된 공간에서 놀도록 할 필요가 있다.Various safety accidents can occur while young children are playing. In particular, infants who have just learned to crawl or walk have a weak thinking ability, so there is a high probability that safety accidents occur while guardians are vigilant.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allow children to play in a limited space without deviating from the guardian's view while playing.

이러한 아이들을 위한 놀이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서, 안전울타리가 사용되고 있다. 유아용 안전울타리는 복수의 울타리부재가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울타리를 형성하도록 조립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To form such a play area for children, safety fences are used. In general, the safety fence for infants is prefabricated so that a plurality of fence members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to form a single fence.

더불어, 다양한 센서와 경보장치를 구비하여 울타리로의 접근을 경고하는 등 안정성이 향상되고, 외부 장치와 연결을 통해 보안성이 강화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In addition, technologies with improved security such as warning access to a fence by providing various sensors and alarm devices, and enhancing security through connection with external devices are being developed.

다만, 종래의 울타리는 울타리 자체에 접근하는 객체를 방지하는 기능 외에 울타리를 통해 아이들의 학습, 흥미유발, 반려동물 관리 등의 기능을 구현하기에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fence has a limited problem in implementing functions such as learning of children, inducing interest, and managing companion animals through the fence in addition to the function of preventing objects approaching the fence itself.

한국등록특허 제10-1827260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27260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분리형으로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휴대가능한 스마트 펜스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ceived in this respec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smart fence that is easy to install and dismantle in a separate typ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반려동물과 아기의 공간적 격리를 유도하고, 학습 능력이 부족한 아기의 학습을 보조하는 휴대가능한 스마트 펜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smart fence that induces spatial isolation between companion animals and babies and assists the learning of babies with insufficient learning ability.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휴대가능한 스마트 펜스는 일단을 바닥에 고정시킨 상태로 세워지고 외주면이 라운딩 처리된 기둥형태이며, 기설정된 조건에 대응하는 외력에 의해 일단의 고정이 해제되는 지지대; 및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모드를 설정하고 설정된 사용모드에 따라 상이한 피드백을 출력시키기 위한 명령을 생성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설정된 사용모드에 따라 선별된 피드백을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피드백에 대한 상호작용을 감지하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로부터 탈부착되는 인터렉션부;를 포함한다.A portable smart f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lumnar shape in which one end is fixed to the floor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rounded, and one end of the support is released by an external force corresponding to a preset condition; And a processor that analyzes the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to set a use mode and generates a command for outputting different feedback according to the set use mode, and outputs feedback selected according to the use mode set by the processor, and sends the feedback from the user. And a touch screen that senses an interaction with respect to the feedback, and an interaction unit detachable from the support.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휴대가능한 스마트 펜스는 외부 장치와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ortable smart f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wired/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연결된 외부 장치의 정보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감지된 상호작용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상기 통신부로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may output information of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to the touch screen and transmit a control command for performing an interaction sensed by the user to the communication unit.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모드를 음성인식 모드로 설정하는 제1 사용모드 설정모듈;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모드를 먹이주기 모드로 설정하는 제2 사용모드 설정모듈;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모드를 보조장치 연동 모드로 설정하는 제3 사용모드 설정모듈; 및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모드를 모션인식 모드로 설정하는 제4 사용모드 설정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may include: a first use mode setting module configured to set the use mode to a voice recognition mode based on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A second use mode setting module for setting the use mode as a feeding mode based on the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A third use mode setting module for setting the use mode as an auxiliary device interlocking mode based on the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And a fourth use mode setting module configured to set the use mode as a motion recognition mode based on the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터렉션부로 가해지는 상호작용을 전달받고, 상기 상호작용에 맞추어 설정된 사용모드의 기준조건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출력할 피드백을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may receive an interaction applied to the interaction unit and determine a feedback to be output based on a result of comparing it with a reference condition of a use mode set according to the interaction.

또한, 상기 지지대의 일단은, 흡착판이 설치되어, 상기 지지대가 세워진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임계치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고정이 해제될 수 있다.In addition, at one end of the support, a suction plate is installed, and when an external force of a threshold value or more is appli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pport is erected, the fixing may be released.

또한, 상기 지지대는, 사용자가 선정한 복수의 위치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로 세워지고, 상기 인터렉션부는, 상기 복수의 위치에 세워진 각각의 지지대를 연결하여 울타리를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may be erected with one end fixed at a plurality of positions selected by the user, and the interaction unit may form a fence by connecting respective supports erected at the plurality of positions.

또한, 상기 인터렉션부는, 하단에 설치되어 바닥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홀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rac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holder installed at the lower end to improve adhesion to the floor.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장치에 가해지는 자극의 크기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달받으며, 전달받은 자극을 저장된 임계치와 비교한 결과에 따라 출력할 피드백을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may receive the magnitude of the stimulus applied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determine the feedback to be output according to a result of comparing the received stimulus with a stored threshold.

또한, 상기 인터렉션부는, 투명 스크린을 포함하여, 일측에 위치한 사용자가 상기 인터렉션부를 거쳐 타측을 관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raction unit may include a transparent screen, and a user located at one side may observe the other side through the interaction unit.

또한, 상기 인터렉션부는, 상기 사용모드가 음성인식 모드로 설정된 경우, 사용자의 음성을 유도하기 위한 피드백을 출력하고, 상기 피드백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음성이 감지되면 기설정된 피드백을 출력하여 사용자와 상호 교감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raction unit outputs a feedback for inducing a user's voice when the use mode is set to a voice recognition mode, and outputs a preset feedback when a user's voice corresponding to the feedback is detected to interact with the user. can do.

또한, 상기 인터렉션부는, 상기 사용모드가 먹이주기 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에 음식 이미지를 출력하는 피드백을 수행하고, 상기 피드백에 대응한 사용자 또는 반려동물의 상호작용이 감지되면 기설정된 피드백을 출력하여 반려동물에게 먹이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 mode is set to the feeding mode, the interaction unit performs a feedback of outputting a food image on the touch screen, and when an interaction of a user or companion animal corresponding to the feedback is detected, a preset feedback is provided. You can print it out and provide food to your pet.

또한, 상기 인터렉션부는, 상기 사용모드가 보조장치 연동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보조장치로 가해지는 자극을 상호작용으로 판단하며, 상기 상호작용에 대응하는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 mode is set to an auxiliary device interlocking mode, the interaction unit may determine a stimulus applied to the auxiliary device as an interaction, and may output a feedback corresponding to the interaction.

본 발명에 따른 휴대가능한 스마트 펜스는 지지대를 세우고 세워진 지지대를 인터렉션부로 연결하여 다양한 형태와 크기로 공간을 형성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portable smart f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to form a space in various shapes and sizes by erecting a support and connecting the erected support through an interaction uni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가능한 스마트 펜스는 투명한 인터렉션부를 통해 일측에서 타측을 관측할 수 있어, 공간적으로 분리된 상태에서도 아기와 반려동물이 용이하게 교감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portable smart f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observe the other side from one side through a transparent interaction unit, a baby and a companion animal can easil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even in a spatially separated stat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가능한 스마트 펜스는 아기의 상호작용에 따라 보호자의 음성이 녹음된 피드백을 출력함으로써 학습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와 호환하여 보호자가 원하는 피드백을 선택적으로 출력하여 아기의 흥미를 유도함으로써 보호자의 육아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portable smart f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xpect a learning effect by outputting the feedback recorded by the guardian's voice according to the baby's interaction. By inducing interes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burden of parenting for par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가능한 스마트 펜스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인터렉션부를 통해 사용자와 스마트 펜스가 인터렉션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6은 도 1의 휴대가능한 스마트 펜스를 이용하여 인터렉션 하는 예시들을 나타낸다.
도 7은 도 1의 휴대가능한 스마트 펜스를 연결하여 울타리 형태로 구성한 예시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7의 휴대가능한 스마트 펜스에 홀더를 추가한 모식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portable smart f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erforming an interaction between a user and a smart fence through the interaction unit of FIG. 1.
3 to 6 illustrate examples of interaction using the portable smart fence of FIG. 1.
7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portable smart fence of FIG. 1 is connected to form a fence.
8 is a schematic diagram of adding a holder to the portable smart fence of FIG. 7.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For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reference is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detail sufficient to enabl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specific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relation to one embodiment.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to be described below is not intended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appropriately described, is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all ranges equivalent to those claimed by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over several aspects.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휴대가능한 스마트 펜스는 지지대를 세우고 세워진 지지대를 인터렉션부로 연결하여 다양한 형태와 크기로 공간을 형성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portable smart f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to form a space in various shapes and sizes by erecting a support and connecting the erected support through an interaction uni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가능한 스마트 펜스의 모식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portable smart f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가능한 스마트 펜스(1)는 지지대(11) 및 인터렉션부(13)를 포함하고, 통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 portable smart fen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11 and an interaction unit 13, and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지지대(11)는 일단을 바닥에 고정시킨 상태로 세워질 수 있다. 지지대(11)는 외주면이 라운딩 처리된 기둥형태일 수 있다. 지지대(11)는 기설정된 조건에 대응하는 외력에 의해 일단의 고정이 해제될 수 있다. 상세하게, 지지대(11)는 세워진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임계치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고정이 해제될 수 있다. The support 11 may be erected with one end fixed to the floor. The support 11 may be in the form of a column whos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rounded. One end of the support 11 may be released by an external force corresponding to a preset condition. In detail, the support 11 may be released when an external force of a threshold value or more is appli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erected direction.

상세하게, 지지대(11)는 일단에 흡착판이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대(11)의 일단에 설치된 흡착판을 통해 바닥에 고정되는 경우, 흡착판의 흡착력에 의해 지지대(11)가 세워진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전달되는 외력에도 스마트 펜스(1)의 고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지지대(11)의 일단에 설치되는 흡착판은 지지대(11)와 바닥 간 흡착 면적, 지지대(11)의 길이 및 설치되는 인터렉션부(13)의 특성에 따라 개수 및 크기가 변형된 다양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In detail, the support 11 may have an adsorption plate installed at one end. Accordingly, when fixed to the floor through an adsorption plate installed at one end of the support 11, the fixed state of the smart fence 1 is also caused by external force transmitte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pport 11 is erected by the adsorption force of the adsorption plate. Can be maintained. The adsorption plate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support 11 may be installed in various forms in which the number and size are modified according to the adsorption area between the support 11 and the floor, the length of the support 11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stalled interaction part 13. I can.

이에 따라, 사용자 또는 반려동물이 인터렉션부(13)로 가하는 외력에 의한 강제적인 해제가 예방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펜스(1)를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세워진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여 지지대(11) 및 스마트 펜스(1)의 고정상태를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다. Accordingly, forcible release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by the user or companion animal to the interaction unit 13 may be prevented. In addition, in the case of releasing the smart fence 1, the user can easily release the fixed state of the support 11 and the smart fence 1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erected direction.

인터렉션부(13)는 프로세서(133, 도 2)와 터치 스크린(135, 도 2)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설정된 사용모드에 따라 상이한 피드백을 출력시키기 위한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통신부를 통해 연결된 외부 장치의 정보를 터치 스크린에 출력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터치 스크린으로 전달하고, 사용자로부터 감지된 상호작용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통신부로 전달할 수 있다. The interaction unit 13 may include a processor 133 (FIG. 2) and a touch screen 135 (FIG. 2). The processor can set the usage mode by analyzing the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The processor may generate instructions for outputting different feedbacks according to the set usage mode. The processor may transmit a control command for outputting information of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to the touch screen to the touch screen, and may transmit a control command for performing an interaction sensed by a user to the communication unit.

상세하게, 프로세서는 인터렉션부(13)에서 감지하는 상호작용을 전달받고, 상호작용에 맞추어 설정된 사용모드의 기준조건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 터치 스크린에서 출력할 피드백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외부 장치에 가해지는 자극의 크기를 통신부를 통해 전달받으며, 전달받은 자극을 저장된 임계치와 비교한 결과에 따라 터치 스크린에서 출력할 피드백을 결정할 수 있다.In detail, the processor may receive an interaction detected by the interaction unit 13 and determine a feedback to be output on the touch screen according to a result of comparing it with a reference condition of a use mode set according to the interaction. In addition, the processor receives the magnitude of the stimulus applied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may determine a feedback to be output from the touch screen according to a result of comparing the received stimulus with a stored threshold.

터치 스크린은 프로세서에서 설정된 사용모드에 따라 선별된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로부터 피드백에 대한 상호작용을 감지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투명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일측에 위치한 사용자는 인터렉션부(13)를 거쳐 타측을 관측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에서 감지하는 상호작용은 사용자가 인터렉션부(13)에 가하는 압력, 사용자가 인터렉션부(13)로 전달하는 음성, 카메라와 같은 촬영장치 또는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움직임 또는 인터렉션부(13)와 연결된 보조장치로 가해지는 자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touch screen may output feedback selected according to the use mode set in the processor. The touch screen can detect interactions with feedback from the user. The touch screen may be provided in a transparent form, and in this case, a user located on one side may observe the other side through the interaction unit 13. Interactions detected by the touch screen include pressure applied by the user to the interaction unit 13, a voice transmitted by the user to the interaction unit 13, a motion of the user detected through a photographing device such as a camera or a sensor, or the interaction unit 13 )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stimuli applied to the auxiliary device connected to.

또한, 인터렉션부(13)는 홀더(131, 도 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홀더(131)는 인터렉션부(13) 하단에 설치되어 바닥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인터렉션부(13)가 설치된 환경에 따라 복수의 홀더를 설치하여 스마트 펜스(1)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raction unit 13 may further include a holder 131 (FIG. 8). The holder 131 may be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interaction unit 13 to improve adhesion to the floor. The user may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smart fence 1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holders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interaction unit 13 is installed.

통신부는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는 모바일 기기 또는 블루투스 장치와 같은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외부 장치의 출력을 유도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며, 외부 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정보를 전달받아 인터렉션부(13)로 전달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to perform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unit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mobile device or a Bluetooth device to transmit a control signal for inducing the output of the external device, and may receive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external device and transmit it to the interaction unit 13. have.

한편, 스마트 펜스(1)는 전술한 구성요소 외에도 사용자와 용이하게 인터렉션 하기 위해 카메라, 터치 센서, 압력 센서, 모션 센서,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또는 마이크와 같은 하드웨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입력받는 상호작용에 따라 다양한 하드웨어가 추가될 수 있다.Meanwhile,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the smart fence 1 may include hardware such as a camera, a touch sensor, a pressure sensor, a motion sensor, an infrared sensor, an ultrasonic sensor, or a microphone to facilitate interaction with the user, and input to the user. Various hardware can be added depending on the interactions received.

도 2는 도 1의 인터렉션부를 통해 사용자와 스마트 펜스가 인터렉션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기 위한 흐름도이다.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erforming an interaction between a user and a smart fence through the interaction unit of FIG. 1.

도 2를 참조하면, 보호자, 아기와 같은 사용자 또는 반려동물로부터 상호작용이 발생하여 보조장치(130) 또는 터치 스크린(135)에서 감지될 수 있다. 또한, 외부 장치를 통해 감지된 상호작용이 통신부로 전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33)는 제1 사용모드 설정모듈(1331) 내지 제4 사용모드 설정모듈(1333)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an interaction occurs from a user such as a guardian or a baby, or a companion animal, and may be detected by the auxiliary device 130 or the touch screen 135. In addition, interactions sensed through an external device may be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To this end, the processor 133 may include a first use mode setting module 1331 to a fourth use mode setting module 1333.

제1 사용모드 설정모듈(1331)은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기초로 사용모드를 음성인식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상세하게, 보호자는 아기가 따라 할 문장을 출력하거나 음성 출력에 필요한 상호작용을 입력할 수 있으며, 이후, 제1 사용모드 설정모듈(1331)은 입력된 상호작용을 기초로 사용모드를 음성인식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The first use mode setting module 1331 may set the use mode as a voice recognition mode based on information input by a user. In detail, the guardian can output sentences to be followed by the baby or input interactions necessary for voice output, and after that, the first usage mode setting module 1331 sets the usage mode to the voice recognition mode based on the input interaction. Can be set to.

이어서, 제1 사용모드 설정모듈(1331)에서 설정된 사용모드는 보조장치(130) 또는 터치 스크린(135)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동시에 사용모드에 호환되는 피드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이 전달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명령에 따라 보조장치(130) 또는 터치 스크린(135)를 통해 아기가 따라하기 위한 단어 또는 문장을 음성으로 안내하는 피드백 또는 스크린 상에 이미지나 문자가 출력되는 피드백이 출력되어 스마트 펜스(1)와 아기의 인터렉션이 수행될 수 있다. Subsequently, the use mode set in the first use mode setting module 1331 may be transmitted to the auxiliary device 130 or the touch screen 135, and at the same time,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feedback compatible with the use mode may be transmitted. have. Subsequently, a feedback for guiding a word or sentence for the baby to follow through a voice through the auxiliary device 130 or the touch screen 135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or a feedback for outputting an image or a character on the screen is output, and the smart fence ( 1) The interaction between the baby and the baby can be performed.

제2 사용모드 설정모듈(1333)은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기초로 사용모드를 먹이주기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상세하게, 보호자는 아기가 반려동물에게 먹이를 주는 행동을 유도하기 위한 상호작용을 입력할 수 있으며, 이후, 제2 사용모드 설정모듈(1333)은 입력된 상호작용을 기초로 사용모드를 먹이주기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The second usage mode setting module 1333 may set the usage mode as a feeding mode based on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In detail, the guardian may input an interaction to induce the baby's feeding behavior to the companion animal, and after that, the second use mode setting module 1333 feeds the use mode based on the input interaction. Can be set to mode.

이어서, 제2 사용모드 설정모듈(1333)에서 설정된 사용모드는 보조장치(130) 또는 터치 스크린(135)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동시에 사용모드에 호환되는 피드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이 전달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명령에 따라 반려동물 먹이공과 같은 보조장치(130)로 반려동물의 먹이를 주입하는 행동을 유도하는 피드백 또는 반려동물의 이름을 불러 반려동물의 접근을 유도하는 피드백이 출력되어 스마트 펜스(1)와 아기의 인터렉션이 수행될 수 있다. Subsequently, the use mode set in the second use mode setting module 1333 may be transmitted to the auxiliary device 130 or the touch screen 135, and at the same time,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the feedback compatible with the use mode may be transmitted. have. Subsequently,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feedback that induces the action of injecting food from the companion animal to the auxiliary device 130 such as the companion animal food ball or the feedback that induces the approach of the companion animal by calling the name of the companion animal is output, and a smart fence ( 1) The interaction between the baby and the baby can be performed.

제3 사용모드 설정모듈(1335)은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기초로 사용모드를 보조장치 연동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상세하게, 사용자는 배변패드, 통신용 로봇 등의 보조장치를 통신부와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비누방울 생성장치, 반려동물 놀이기구 등을 인터렉션부(13)와 연결할 수 있다. 이후, 제3 사용모드 설정모듈(1335)은 입력된 상호작용을 기초로 사용모드를 보조장치 연동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The third use mode setting module 1335 may set the use mode as an auxiliary device interlocking mode based on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In detail, the user may connect auxiliary devices such as a defecation pad and a communication robot with the communication unit. In addition, the user may connect a soap bubble generating device, a companion animal play equipment, and the like with the interaction unit 13. Thereafter, the third use mode setting module 1335 may set the use mode as an auxiliary device interlocking mode based on the input interaction.

이어서, 제3 사용모드 설정모듈(1335)에서 설정된 사용모드는 보조장치(130) 또는 터치 스크린(135)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동시에 사용모드에 호환되는 피드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이 전달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명령에 따라 배변패드의 교체, 통신용 로봇의 음성신호 및 광신호 출력, 비누방울 생성장치를 통한 비누방울의 분사 또는 반려동물 놀이기구의 움직임 유도 신호 출력 등의 피드백이 출력되어 스마트 펜스(1)를 통해 아기와 반려동물 간 인터렉션이 수행될 수 있다. Subsequently, the use mode set in the third use mode setting module 1335 may be transmitted to the auxiliary device 130 or the touch screen 135, and at the same time,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the feedback compatible with the use mode may be transmitted. have. Subsequently, feedback such as replacement of the defecation pad, output of voice signals and optical signals from the communication robot, injection of soap bubbles through the soap bubble generator, or output of motion guidance signals of companion animal rides is output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and the smart fence ( Through 1), interaction between a baby and a companion animal can be performed.

제4 사용모드 설정모듈(1337)은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기초로 사용모드를 모션인식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상세하게, 보호자는 아기 또는 반려동물이 흥미를 갖는 이미지를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제4 사용모드 설정모듈(1337)은 입력된 이미지를 기초로 사용모드를 모션인식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The fourth use mode setting module 1337 may set the use mode as a motion recognition mode based on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In detail, the guardian may set an image that the baby or companion animal is interested in. Thereafter, the fourth use mode setting module 1337 may set the use mode as a motion recognition mode based on the input image.

이후, 제4 사용모드 설정모듈(1337)에서 설정된 사용모드는 터치 스크린(135)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동시에 사용모드에 호환되는 피드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이 전달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명령에 따라 터치 스크린(135)에서 아기가 따라하기 위한 동작을 출력하는 피드백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모션인식 모드에서는 카메라 또는 센서를 통해 아기가 취하는 모션을 감지하고 이를 출력한 피드백과 비교한 결과를 토대로 아기와 스마트 펜스(1)가 인터렉션 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use mode set in the fourth use mode setting module 1337 may be transmitted to the touch screen 135, and at the same time,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feedback compatible with the use mode may be transmitted. Subsequently, feedback for outputting an operation for the baby to follow on the touch screen 135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In particular, in the motion recognition mode, the baby and the smart fence 1 can interact with the baby based on the result of detecting the motion taken by the baby through a camera or sensor and comparing it with the output feedback.

이처럼, 다양한 방법으로 감지된 상호작용은 프로세서(133)로 전달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133)는 감지된 상호작용을 기초로 사용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33)에서 설정가능한 사용모드는 음성인식 모드, 먹이주기 모드, 보조장치 연동모드 및 모션인식 모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사용자가 설정한 조건과 설계상의 변형에 따라 추가되거나 각 모드의 특성이 조합 또는 변경될 수 있다. As such, interactions sensed in various ways may be transmitted to the processor 133, and the processor 133 may set a usage mode based on the sensed interactions. The use modes that can be set in the processor 133 may include a voice recognition mode, a feeding mode, an auxiliary device interlocking mode, and a motion recognition mode, but may be added according to conditions and design variations set by the user, o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ode may be changed. Can be combined or changed.

한편, 프로세서(133)에서 각 설정모듈(1331 내지 1337)을 통해 설정된 사용모드는 보조장치(130) 또는 터치 스크린(135)으로 전달되고 동시에 사용모드에 따른 피드백이 함께 전달될 수 있다. 보조장치(130) 또는 터치 스크린(135)은 프로세서(133)를 통해 전달받은 피드백을 외부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 또는 반려동물과 인터렉션을 수행하거나, 사용자와 반려동물의 인터렉션을 보조할 수 있다. 프로세서(133)에서 설정된 각 모드와 이에 따른 피드백에 따른 인터렉션의 예시들은 하기의 도 3 내지 도 6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Meanwhile, the use mode set by the processor 133 through the respective setting modules 1331 to 1337 may be transmitted to the auxiliary device 130 or the touch screen 135 and at the same time, feedback according to the use mode may be transmitted together. The auxiliary device 130 or the touch screen 135 may perform an interaction with a user or a companion animal by outputting the feedback received through the processor 133 to the outside, or may assist the interac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companion animal. Examples of each mode set by the processor 133 and interactions according to the feedback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6 below.

도 3 내지 6은 도 1의 휴대가능한 스마트 펜스를 이용하여 인터렉션 하는 예시들을 나타낸다.3 to 6 illustrate examples of interaction using the portable smart fence of FIG. 1.

도 3과 같이, 보호자는 인터렉션부(13)를 통해 특정한 동작을 나타내는 화면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동시에 보호자의 목소리로 녹음된 음성을 출력하도록 하여 아기(A)가 인터렉션부(13)를 통해 출력되는 동작을 따라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guardian can control to output a screen representing a specific action through the interaction unit 13, and at the same time, the baby A can control the interaction unit 13 to output a voice recorded by the guardian's voice. It can be induced to follow the motion output through.

상세하게, 보호자가 입력한 정보에 따라 프로세서(133)의 제4 사용모드 설정모듈(1337)은 스마트 펜스(1)의 사용모드를 모션인식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인터렉션부(13)는 특정한 동작을 화면으로 출력하고, 센서 또는 카메라와 같은 장치를 통해 아기(A)가 취하는 동작을 감지하여 일치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아기(A)가 취한 동작과 화면에서 출력된 동작이 유사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녹음된 보호자의 목소리를 통해 칭찬을 전달함으로써 아기(A)와 스마트 펜스(1)가 상호작용 할 수 있으며, 반대로 아기(A)가 취한 동작과 화면에서 출력된 동작이 상이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녹음된 보호자의 목소리를 통해 격려를 전달함으로써 아기(A)와 스마트 펜스(1)가 다양하게 인터렉션할 수 있다. In detail, the fourth use mode setting module 1337 of the processor 133 may set the use mode of the smart fence 1 to a motion recognition mode according to information input by the guardian. Thereafter, the interaction unit 13 may output a specific motion on a screen, and may detect a motion taken by the baby A through a device such as a sensor or a camera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o match. At this tim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ctions taken by the baby and the actions output on the screen are similar, the baby (A) and the smart fence (1) can interact with each other by delivering a compliment through the voice of the recorded guardia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otion taken by the baby A and the motion output on the screen are different, the baby A and the smart fence 1 can interact in various ways by delivering encouragement through the recorded voice of the guardian.

유사하게, 보호자가 입력한 정보에 따라 프로세서(133)는 스마트 펜스(1)의 사용모드를 터치 감지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33)는 터치 스크린(135)에 드래그 앤 드롭을 유도하기 위한 이미지를 출력하는 제어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아기(A)가 터치 스크린(135)을 통해 드래그 앤 드롭에 대응하는 상호작용을 입력하면, 프로세서는 상호작용의 일치 여부에 따라 기설정된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상세하게, 기설정된 피드백은 보호자의 목소리를 통해 아기(A)를 칭찬하거나, 반려동물을 스마트 펜스(1)로 접근시키기 위한 음성 또는 냄새 등을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Similarly, the processor 133 may set the use mode of the smart fence 1 to the touch sensing mode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input by the guardian. The processor 133 may generate a control command for outputting an image for inducing drag and drop on the touch screen 135. Thereafter, when the baby A inputs an interaction corresponding to drag and drop through the touch screen 135, the processor may output a preset feedback according to whether the interaction matches. In detail, the preset feedback may be to compliment the baby (A) through the voice of the guardian, or to output a voice or smell for approaching the companion animal to the smart fence (1).

한편, 도 4와 같이 외부 장치(C)와 인터렉션부(13)가 통신부를 통해 연결된 경우에는, 외부 장치로 입력되는 정보를 기초로 인터렉션부(13)에서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33)의 제3 사용모드 설정모듈(1335)를 통해 스마트 펜스(1)가 보조장치 연동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4, when the external device C and the interaction unit 13 are connected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the interaction unit 13 may output a feedback based on information input to the external device. In this case, the smart fence 1 may be set to the auxiliary device interlocking mode through the third use mode setting module 1335 of the processor 133.

상세하게, 외부 장치(C)는 무선통신이 가능하고 압력센서를 포함하여 아기(A)가 가하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보호자는 외부 장치(C)를 통해 가해지는 압력값과 비교하기 위한 임계값을 프로세서(133)에 설정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133)는 통신부를 통해 전달되는 압력값을 임계치와 비교하여 출력하기 위한 피드백을 선정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아기(A)가 외부 장치(C)로 가하는 압력이 임계치 미만인 경우 보호자의 목소리로 칭찬하는 피드백이 출력될 수 있다. 반면, 아기(A)가 외부 장치(C)로 가하는 압력이 임계치 이상인 경우 보호자가 경고하는 피드백 또는 반려동물이 아파하는 피드백이 출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아기(A)는 반려동물에게 가해지는 적절한 압력을 학습할 수 있다.In detail, the external device (C) is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and includes a pressure sensor to detect the pressure applied by the baby (A). The guardian may set a threshold value for comparison with the pressure value applied through the external device C in the processor 133, and the processor 133 compares the pressure value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with the threshold value and outputs feedback. Can be selected. In more detail, when the pressure applied by the baby A to the external device C is less than a threshold, a feedback praised by a guardian's voice may be output. On the other hand, when the pressure applied by the baby (A) to the external device (C)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a feedback warning from a guardian or a feedback that a companion animal is sick may be output. Through this, the baby (A) can learn the appropriate pressure applied to the companion animal.

또한, 도 5와 같이 아기(A)의 상호작용을 통해 반려동물(B)에게 피드백이 직접 전달될 수 있다. In addition, feedback may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companion animal B through the interaction of the baby A as shown in FIG. 5.

상세하게, 인터렉션부(13)를 기준으로 분리된 공간에 아기(A)와 반려동물(B)이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33)의 제1 사용모드 설정모듈(1331)은 스마트 펜스(1)의 사용모드를 음성인식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인터렉션부(13)는 아기(A)와 같은 사용자의 음성을 유도하기 위한 피드백을 출력하고, 피드백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음성이 감지되면 기설정된 피드백을 출력하여 사용자와 상호 교감할 수 있다.In detail, a baby (A) and a companion animal (B) may be located in a space separated from the interaction unit 13. In this case, the first use mode setting module 1331 of the processor 133 may set the use mode of the smart fence 1 to a voice recognition mode. The interaction unit 13 outputs a feedback for inducing a user's voice, such as a baby A, and when a user's voice corresponding to the feedback is detected, outputs a preset feedback to communicate with the user.

일 예로, 반려동물(B)의 이름을 부르는 행동을 요구하는 명령을 전달하여 인터렉션부(13)를 통해 피드백이 출력될 수 있으며, 아기(A)가 피드백에 대한 상호작용으로 반려동물(B)의 이름을 부르게 되면 반려동물의 접근을 유도하기 위해 먹이의 냄새를 방출하거나, 반려동물을 부르는 보호자의 음성을 출력하는 등의 피드백을 재출력하여 아기(A)와 반려동물(B)을 근거리에서 상호 교감시킬 수 있다. As an example, feedback may be output through the interaction unit 13 by delivering a command requesting an action to call the companion animal (B), and the baby (A) may interact with the feedback as the companion animal (B). When you call the name of the baby (A) and the companion animal (B) in a short distance by re-printing the feedback such as emitting the smell of food to induce the approach of the companion animal or outputting the voice of the guardian calling the companion animal. We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다른 예로, 스마트 펜스(1) 주변으로 반려동물(B)이 접근한 상태에서 프로세서(133)의 제2 사용모드 설정모듈(1333)은 스마트 펜스(1)를 먹이주기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인터렉션부(13)는 터치 스크린에 음식 이미지를 출력하는 피드백을 수행하고, 피드백에 대응한 아기(A) 또는 반려동물(B)의 상호작용이 감지되면 기설정된 피드백을 출력하여 반려동물(B)에게 먹이를 제공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second use mode setting module 1333 of the processor 133 may set the smart fence 1 to a feeding mode while the companion animal B approaches the smart fence 1. The interaction unit 13 performs feedback of outputting food images on the touch screen, and when the interaction of the baby (A) or companion animal (B) corresponding to the feedback is detected, outputs a preset feedback to the companion animal (B). You can feed them.

상세하게, 프로세서(133)는 아기(A)가 읽을 수 있는 글자를 화면에 출력하거나, 음식 이미지를 화면에 출력하여 아기(A)의 음성 또는 터치를 통한 상호작용을 유도할 수 있으며, 입력된 상호작용을 기초로 반려동물(B)에게 먹이를 제공하는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In detail, the processor 133 may output characters that the baby A can read on the screen, or output food images on the screen to induce interaction through the baby A's voice or touch, and the input Feedback for providing food to the companion animal B may be output based on the interaction.

또한, 도 6과 같이 보호자는 스마트 펜스(1)에 보조장치(130)를 직접 연결하여 아기(A)와 반려동물(B)의 직접적인 교감을 유도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33)의 제3 사용모드 설정모듈(1335)을 통해 스마트 펜스(1)의 사용모드를 보조장치 연동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인터렉션부(13)는 보조장치(130)로 가해지는 자극을 상호작용으로 판단하며, 상호작용에 대응하는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the guardian may directly connect the auxiliary device 130 to the smart fence 1 to induce direct interaction between the baby A and the companion animal B. In this case, the use mode of the smart fence 1 may be set as an auxiliary device interlocking mode through the third use mode setting module 1335 of the processor 133. The interaction unit 13 may determine the stimulus applied to the auxiliary device 130 as an interaction, and may output a feedback corresponding to the interaction.

일 예로, 일측의 아기(A)와 타측의 반려동물(B)을 통해 보조장치에 이동, 굽힘, 휘어짐 등의 자극이 전달되면 아기(A)와 반려동물(B)의 교감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여 이에 알맞은 피드백을 산출할 수 있다. 상세하게, 인터렉션부(13)는 보조장치(130)가 반려동물(B)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아기(A) 방향으로 이동을 유도하는 음성 또는 모션유도 피드백을 출력하여 보조장치(130)의 활용을 유도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stimuli such as movement, bending, bending, etc. are transmitted to the auxiliary device through the baby (A) on one side and the companion animal on the other side (B), it is determined that the baby (A) and the companion animal (B)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is can produce appropriate feedback. In detail, when the auxiliary device 130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companion animal (B), the interaction unit 13 outputs a voice or motion-inducing feedback that induces the movement in the direction of the baby (A). Can induce utilization.

다른 예로, 인터렉션부(13)에 비누방울 생성장치와 같은 보조장치(130)를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 인터렉션부(13)는 화면에 비누방울 모양의 이미지를 출력하는 피드백을 수행하고, 아기의 터치 또는 음성과 같은 상호작용이 감지되면 비누방울을 생성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an auxiliary device 130 such as a soap bubble generating device may be connected to the interaction unit 13. In this case, the interaction unit 13 performs feedback of outputting a soap bubble-shaped image on the screen, and may generate a soap bubble when an interaction such as a baby's touch or voice is sensed.

또 다른 예로, 통신부를 통해 반려동물의 배변패드와 인터렉션부(13)가 연동될 수 있다. 상세하게, 반려동물이 배변패드를 사용하면 인터렉션부(13)는 화면, 음성 등의 피드백을 통해 배변활동을 알리고, 보호자 또는 아기와 같은 사용자의 상호작용을 유도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의 상호작용을 감지하게 되면 배변패드를 교체하는 피드백을 수행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toilet pad of the companion animal and the interaction unit 13 may be linked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In detail, when a companion animal uses a defecation pad, the interaction unit 13 may inform a bowel movement through feedback such as a screen and a voice, and induce interaction of a user such as a guardian or a baby. Thereafter, when the user's interaction is sensed, feedback of replacing the defecation pad may be performed.

이처럼, 보호자는 아기에게 바른 행동패턴을 유도하거나 흥미를 유발하기 위해 다양한 사용모드를 설정할 수 있으며, 아기로부터 감지된 상호작용에 따라 출력되는 피드백을 통해 아기를 학습시키거나 아기와 반려동물 간 교감을 유도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guardian can set various modes of use to induce the correct behavior pattern or induce interest in the baby, and learn the baby through the feedback output according to the interaction detected from the baby, or communicate between the baby and the companion animal. You can induce it.

도 7은 도 1의 휴대가능한 스마트 펜스를 연결하여 울타리 형태로 구성한 예시를 나타내고, 도 8은 도 7의 휴대가능한 스마트 펜스에 홀더를 추가한 모식도를 나타낸다.FIG. 7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portable smart fence of FIG. 1 is connected to form a fence, and FIG. 8 shows a schematic diagram of adding a holder to the portable smart fence of FIG. 7.

도 7을 참조하면, 스마트 펜스(1)는 복수의 지지대(11)와 복수의 인터렉션부(13)를 연결하여 울타리 형태로 세워질 수 있으며, 설치되는 공간의 특성에 따라 맞춤형으로 설치되어 공간을 물리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즉, 지지대(11)는 사용자가 선정한 복수의 위치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로 세워질 수 있으며, 인터렉션부(13)는 복수의 위치에 세워진 각각의 지지대를 연결하여 울타리를 형성할 수 있다. 지지대(11)와 인터렉션부(13)는 닫힌 형태로 연결되어 내측과 외측을 구분할 수 있는 울타리 형태로 설치되거나, 열린 형태로 설치되어 설치되는 공간의 벽면 또는 구조물을 이용하여 공간을 분리하는 울타리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smart fence 1 may be erected in the form of a fence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supports 11 and a plurality of interaction units 13, and is customiz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to be installed. Can be separated by That is, the support 11 may be erected with one end fixed at a plurality of positions selected by the user, and the interaction unit 13 may form a fence by connecting respective supports erected at a plurality of positions. The support 11 and the interaction part 13 are connected in a closed form to be installed in the form of a fence that can distinguish the inside and the outside, or in the form of a fence that separates the space by using a wall or structure of the space that is installed and installed in an open form. Can be installed with.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스마트 펜스(1)는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인터렉션부(13) 하단에 홀더(131)를 설치할 수 있다. 일 예로, 지지대(11) 간 이격된 거리에 의해 인터렉션부(13)가 과도하게 긴 상태로 설치된 경우, 인터렉션부(13)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홀더를 중앙 하단에 설치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반려동물의 크기가 크거나 스마트 펜스(1)를 통해 활동성이 큰 아기를 보호하는 경우에는 반려동물이나 아기에 의한 충격에 대비하여 홀더(131)를 복수의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충격에 의한 스마트 펜스(1)의 해체를 방지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8, the smart fence 1 may install a holder 131 at the bottom of the interaction unit 13 to improve stability. For example, when the interaction unit 13 is installed in an excessively long state due to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s 11, a holder may be installed at the lower center of the center to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interaction unit 13. As another example, when the size of a companion animal is large or a baby with high activity is protected through the smart fence (1), the holder 131 is installed in a plurality of positions in preparation for the shock caused by the companion animal or the baby. Dismantling of the smart fence 1 can be prevented.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휴대가능한 스마트 펜스는 투명한 인터렉션부를 통해 일측에서 타측을 관측할 수 있어, 공간적으로 분리된 상태에서도 아기와 반려동물이 용이하게 교감할 수 있다. As such, the portable smart f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observe the other side from one side through the transparent interaction unit, so that the baby and the companion animal can easil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even in a spatially separated stat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가능한 스마트 펜스는 아기의 상호작용에 따라 보호자의 음성이 녹음된 피드백을 출력함으로써 학습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와 호환하여 보호자가 원하는 피드백을 선택적으로 출력하여 아기의 흥미를 유도함으로써 보호자의 육아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portable smart f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xpect a learning effect by outputting the feedback recorded by the guardian's voice according to the baby's interaction. By inducing interes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burden of parenting for parents.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embodiments abov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defined, and should be determined by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claims and the concept of equality as well as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1: 휴대가능한 스마트 펜스
11: 지지대
13: 인터렉션부
130: 보조장치
131: 홀더
133: 프로세서
1331: 제1 사용모드 설정모듈
1333: 제2 사용모드 설정모듈
1335: 제3 사용모드 설정모듈
1337: 제4 사용모드 설정모듈
135: 터치 스크린
A: 아기
B: 반려동물
C: 외부 장치
1: portable smart fence
11: support
13: Interaction Department
130: auxiliary device
131: holder
133: processor
1331: first use mode setting module
1333: 2nd use mode setting module
1335: 3rd use mode setting module
1337: 4th use mode setting module
135: touch screen
A: Baby
B: companion animal
C: external device

Claims (13)

일단을 바닥에 고정시킨 상태로 세워지고 외주면이 라운딩 처리된 기둥형태이며, 기설정된 조건에 대응하는 외력에 의해 일단의 고정이 해제되는 지지대; 및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모드를 설정하고 설정된 사용모드에 따라 상이한 피드백을 출력시키기 위한 명령을 생성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설정된 사용모드에 따라 선별된 피드백을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피드백에 대한 상호작용을 감지하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로부터 탈부착되는 인터렉션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터렉션부로 가해지는 상호작용을 전달받고, 상기 상호작용에 맞추어 설정된 사용모드의 기준조건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출력할 피드백을 결정하며,
상기 사용모드는 복수 개이며, 사용모드 별로 상호작용에 따른 피드백이 서로 다르게 나타나며, 상기 피드백은 상기 사용자와 반려동물간의 교감을 유도하는 피드백을 포함하는, 휴대가능한 스마트 펜스.
A support that is erected with one end fixed to the floor and has a rounde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whose fixing of one end is released by an external force corresponding to a preset condition; And
A processor that analyzes information input by a user to set a usage mode and generates a command for outputting different feedback according to the set usage mode, and outputs the feedback selected according to the usage mode set in the processor, and the feedback from the user Including a touch screen for sensing an interaction with respect to, and an interaction unit detachable from the support; including,
The processor,
Receives an interaction applied to the interaction unit, and determines a feedback to be output according to a result of comparing it with a reference condition of a use mode set according to the interaction,
The use mode is plural, and the feedback according to the interaction appears differently for each use mode, and the feedback includes a feedback for inducing a sympathy between the user and a companion animal, a portable smart fence.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 장치와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가능한 스마트 펜스.
The method of claim 1,
A portable smart fence that further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wired/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연결된 외부 장치의 정보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감지된 상호작용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상기 통신부로 전달하는, 휴대가능한 스마트 펜스.
The method of claim 2,
The processor,
A portable smart fence that outputs information of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to the touch screen and transmits a control command for performing an interaction sensed by the user to the communication uni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모드를 음성인식 모드로 설정하는 제1 사용모드 설정모듈;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모드를 먹이주기 모드로 설정하는 제2 사용모드 설정모듈;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모드를 보조장치 연동 모드로 설정하는 제3 사용모드 설정모듈; 및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모드를 모션인식 모드로 설정하는 제4 사용모드 설정모듈;을 포함하는, 휴대가능한 스마트 펜스.
The method of claim 3,
The processor,
A first use mode setting module for setting the use mode to a voice recognition mode based on the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A second use mode setting module for setting the use mode as a feeding mode based on the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A third use mode setting module for setting the use mode as an auxiliary device interlocking mode based on the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And
A portable smart fence comprising; a fourth use mode setting module for setting the use mode to a motion recognition mode based on the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일단은,
흡착판이 설치되어, 상기 지지대가 세워진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임계치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고정이 해제되는, 휴대가능한 스마트 펜스.
The method of claim 1,
One end of the support,
A portable smart fence is provided with an adsorption plate and is released when an external force of a threshold value or more is appli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pport is erec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사용자가 선정한 복수의 위치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로 세워지고,
상기 인터렉션부는,
상기 복수의 위치에 세워진 각각의 지지대를 연결하여 울타리를 형성하는, 휴대가능한 스마트 펜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It is built with one end fix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selected by the user,
The interaction unit,
A portable smart fence that forms a fence by connecting each of the supports erected in the plurality of positio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렉션부는,
하단에 설치되어 바닥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홀더;를 더 포함하는, 휴대가능한 스마트 펜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interaction unit,
A portable smart fence that further includes; a holder installed at the bottom to improve adhesion with the floo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장치에 가해지는 자극의 크기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달받으며, 전달받은 자극을 저장된 임계치와 비교한 결과에 따라 출력할 피드백을 결정하는, 휴대가능한 스마트 펜스.
The method of claim 2,
The processor,
A portable smart fence that receives the magnitude of the stimulus applied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determines a feedback to be output according to a result of comparing the received stimulus with a stored threshol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렉션부는,
투명 스크린을 포함하여, 일측에 위치한 사용자가 상기 인터렉션부를 거쳐 타측을 관측하는, 휴대가능한 스마트 펜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interaction unit,
A portable smart fence that includes a transparent screen and allows a user located on one side to observe the other side through the interaction uni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렉션부는,
상기 사용모드가 음성인식 모드로 설정된 경우, 사용자의 음성을 유도하기 위한 피드백을 출력하고, 상기 피드백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음성이 감지되면 기설정된 피드백을 출력하여 사용자와 상호 교감하는, 휴대가능한 스마트 펜스.
The method of claim 4,
The interaction unit,
When the use mode is set to the voice recognition mode, a portable smart fence that outputs a feedback for inducing the user's voice and outputs a preset feedback when a user's voice corresponding to the feedback is detected to interact with the user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렉션부는,
상기 사용모드가 먹이주기 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에 음식 이미지를 출력하는 피드백을 수행하고, 상기 피드백에 대응한 사용자 또는 반려동물의 상호작용이 감지되면 기설정된 피드백을 출력하여 반려동물에게 먹이를 제공하는, 휴대가능한 스마트 펜스.
The method of claim 4,
The interaction unit,
When the use mode is set to the feeding mode, feedback of outputting food images on the touch screen is performed, and when an interaction of the user or companion animal corresponding to the feedback is detected, a preset feedback is output to feed the companion animal. Providing a, portable smart fenc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렉션부는,
상기 사용모드가 보조장치 연동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보조장치 연동모드로 가해지는 자극을 상호작용으로 판단하며, 상기 상호작용에 대응하는 피드백을 출력하는, 휴대가능한 스마트 펜스.
The method of claim 4,
The interaction unit,
When the use mode is set to the auxiliary device interlocking mode, the stimulus applied to the auxiliary device interlocking mode is determined as an interaction, and a portable smart fence that outputs a feedback corresponding to the interaction.
KR1020190012641A 2019-01-31 2019-01-31 Portable smart fence KR1022418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641A KR102241871B1 (en) 2019-01-31 2019-01-31 Portable smart fe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641A KR102241871B1 (en) 2019-01-31 2019-01-31 Portable smart fen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5048A KR20200095048A (en) 2020-08-10
KR102241871B1 true KR102241871B1 (en) 2021-04-19

Family

ID=72049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2641A KR102241871B1 (en) 2019-01-31 2019-01-31 Portable smart fe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187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0315B1 (en) * 2021-05-27 2024-03-21 엠에스캠핑 주식회사 Pet fenc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074B1 (en) 2010-08-20 2012-04-04 구교열 the table with a vacuum fixed chair
KR101167016B1 (en) * 2011-11-21 2012-07-24 이호연 Safety fence for the construction site
US20160374481A1 (en) 2015-06-24 2016-12-29 Kids Ii, Inc. Modular reconfigurable infant-containment and juvenile entertainment products
KR101718427B1 (en) 2016-11-25 2017-04-05 (주) 피디케이리미티드 System and method for learning climbing based on haptic interactive climbing wall using wearable device
KR101745271B1 (en) 2016-07-14 2017-06-09 김옥일 Fence for protecting baby and pet
KR101815519B1 (en) 2016-12-21 2018-01-05 주식회사 다정하이테크 Pillar for fence and playing facilitie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4047A (en) * 1994-10-18 1996-05-07 Masayuki Sawazaki Safety device for construction work
KR101181740B1 (en) * 2010-01-12 2012-09-11 주식회사 플러 Smart show window
KR101212893B1 (en) * 2010-06-04 2012-12-14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Advertisement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advertisement
KR101168256B1 (en) * 2010-08-20 2012-07-30 이종필 advertise board system of the smart phone typ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KR101565003B1 (en) * 2014-03-10 2015-11-02 서재덕 Safety fence for crosswalk
KR102415898B1 (en) * 2015-10-21 2022-07-01 삼성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function according to connection of external device
KR101830161B1 (en) * 2016-05-31 2018-02-20 주식회사 케이티 Digital signage
KR20180012192A (en) * 2016-07-26 2018-02-05 (주)소셜네트워크 Infant Learn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1827260B1 (en) 2016-09-29 2018-03-22 (유)원테크 Smart fenc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074B1 (en) 2010-08-20 2012-04-04 구교열 the table with a vacuum fixed chair
KR101167016B1 (en) * 2011-11-21 2012-07-24 이호연 Safety fence for the construction site
US20160374481A1 (en) 2015-06-24 2016-12-29 Kids Ii, Inc. Modular reconfigurable infant-containment and juvenile entertainment products
KR101745271B1 (en) 2016-07-14 2017-06-09 김옥일 Fence for protecting baby and pet
KR101718427B1 (en) 2016-11-25 2017-04-05 (주) 피디케이리미티드 System and method for learning climbing based on haptic interactive climbing wall using wearable device
KR101815519B1 (en) 2016-12-21 2018-01-05 주식회사 다정하이테크 Pillar for fence and playing facilit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5048A (en) 2020-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12132B1 (en) Child learning mat
KR20200033124A (en) Dryer
KR102241871B1 (en) Portable smart fence
US20140018609A1 (en) Sleep assistance article and related methods of use
Fenici et al. The biocultural emergence of mindreading: Integrating cognitive archaeology and human development
WO2007020589A1 (en) A training device and a method for training an animal to adapt its behavior to various environments
KR102049030B1 (en) Block system for learning and method providing learning contents
US9955671B1 (en) Animal training and indicating device
JP2019169189A (en) Autonomously behaving robot, server, and behavior control program
US9597478B2 (en) Infant soothing carrier assembly and apparatus
KR20140146806A (en) Animal companion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JPWO2018047900A1 (en) Autonomous robot that accepts guests
Kennedy et al. Steps from outer to inner conflict viewed as superego precursors
KR20210056603A (en) Robo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264049B1 (en) Pet robot for synchronizing with imaginary robot in mobile device
Shengold Assault on a child’s individuality: A kind of soul murder
Sinha The epigenesis of symbolization
KR102155955B1 (en) Smart alarm system for detecting human body
JP5935221B2 (en) Animal learning support device and breeding cage with animal learning support function
Milne et al. Understanding the mother-infant bond
KR101917830B1 (en) Block system for learning and method providing learning contents
KR101235585B1 (en) Omni-directional apparatus and system for announce blind persons, method for announce us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KR101901022B1 (en) Smart bed system control method using the noise reduction apparatus
JP2019192191A (en) Housing management device, housing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WO2021085175A1 (en) Autonomous mobile object,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