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1582B1 - 강 또는 댐의 용존산소량을 높이는 물순환장치 - Google Patents

강 또는 댐의 용존산소량을 높이는 물순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1582B1
KR102241582B1 KR1020190053363A KR20190053363A KR102241582B1 KR 102241582 B1 KR102241582 B1 KR 102241582B1 KR 1020190053363 A KR1020190053363 A KR 1020190053363A KR 20190053363 A KR20190053363 A KR 20190053363A KR 102241582 B1 KR102241582 B1 KR 102241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ttached
pipe
main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3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9014A (ko
Inventor
김오규
Original Assignee
김오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오규 filed Critical 김오규
Priority to KR1020190053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1582B1/ko
Publication of KR20200129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9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1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1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7/00Aeration of stretches of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7Contaminated open waterways, rivers, lakes or po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 또는 댐의 용존산소량을 높이는 물순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강이나 댐의 물속에 포함된 용존산소량을 높이기 위해 메인 지지프레임 양측에 좌우측 지지프레임을 이격된 상태로 각각 배열한 다음, 메인 지지프레임에 메인 공기 공급 파이프를 설치하고, 좌우측 지지프레임에 연결 파이프를 설치한 후 메인 공기 공급 파이프와 연결 파이프 사이에는 다수개의 분사 파이프를 사선방향으로 배열하여 메인 공기 공급 파이프와 연결 파이프에 양단을 각각 연결하는 방식으로 결합한 다음 메인 공기 공급 파이프에 에어 콤프레샤와 연결된 공기 주입 호스를 연결한 물순환장치를 강 바닥에 근접되게 잠수한 다음 바지선 또는 예인선으로 견인하면서 메인 공기 공급 파이프로 공기를 공급하면 분사 파이프를 통해 강바닥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발생하는 기포에 의해 강의 하부와 상부에 위치한 물을 순환시켜 용존산소량을 높이는 견인식과 보의 수문 바닥에 설치하여 공기를 분사하면 수문을 통과하는 물에 용존산소량을 높여 수질을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강 또는 댐의 용존산소량을 높이는 물순환장치{Water circulating device}
본 발명은 강이나 댐의 물속에 포함된 용존산소량을 높이기 위해 메인 지지프레임 양측에 좌우측 지지프레임을 이격된 상태로 각각 배열한 다음, 메인 지지프레임에 메인 공기 공급 파이프를 설치하고, 좌우측 지지프레임에 연결 파이프를 설치한 후 메인 공기 공급 파이프와 연결 파이프 사이에는 다수개의 분사 파이프를 사선방향으로 배열하여 메인 공기 공급 파이프와 연결 파이프에 양단을 각각 연결하는 방식으로 결합한 다음 메인 공기 공급 파이프에 에어 콤프레샤와 연결된 공기 주입 호스를 연결한 물순환장치를 강 바닥에 근접되게 잠수한 다음 바지선 또는 예인선으로 견인하면서 메인 공기 공급 파이프로 공기를 공급하면 분사 파이프를 통해 강바닥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발생하는 기포에 의해 강의 하부와 상부에 위치한 물을 순환시켜 용존산소량을 높이는 견인식과 보의 수문 바닥에 설치하여 공기를 분사하면 수문을 통과하는 물에 용존산소량을 높여 수질을 개선하는 물순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1960년대 이후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에 따른 인구증가와 무분별한 개발은 물 사용 급증과 주변 환경 파괴를 야기하였고 이로 인해 수질은 악화되어 왔다.
특히, 하천이나 저수지의 경우에는 식수원으로 이용될 뿐 아니라 주변 생태 환경에 커다란 영향을 끼치므로 이러한 하천 수질의 악화는 결국 인류와 생태계 모두에게 위협적인 요소로 작용한다.
수질오염은 지표수, 지하수 및 해수로 오염된 물이 유입됨에 따라 물의 물리화학적 변화가 발행하여 생물에 악영향을 주거나 각종 용수로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뜻한다.
즉 산업발전과 더불어 크게 문제시 되는 하천오염은 하루빨리 풀어야 할 시급한 과제이다. 하지만, 폐수 및 생활하수와 같이 하천오염에 직접적인 원인이 되는 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방법 이외에는 별다른 대책이 없는 실정이다.
또한, 고의 또는 사고로 인해 일단 오염물질의 방류가 이루어지면 이를 되돌릴 수도 없으므로 오염물질을 빠르게 수거하거나 자연정화가 되길 기다리는 것이 최선이었다.
한편, 하천의 오염이 진행되면 수온상승과 더불어 오염물질을 섭취하는 미생물들이 크게 번식하여 하천의 용존산소량이 감소된다.
용존산소량의 감소는 곧바로 수중생물들의 감소로 이어져 오염의 악순환을 거듭하게 된다.
따라서, 하천이 오염되면 오염물질의 제거와 더불어 산소를 공급하는 일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만약에 산소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않고, 식물 영양 염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이것을 양분 삼아 플랑크톤이 비정상적으로 번식하여 부영양화를 초래하고 있으며, 이러한 수질오염으로 인하여 수변 생태계가 비정상적으로 변화되고 점차 파괴되는 문제점을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각종 정화장치에 관한 고안이 대두되고 있으나, 시공이 복잡하여 공사기간 및 비용이 크게 소요된다는 점, 하천의 유량의 증감에 따른 고려가 없다는 점, 정화장치의 유지관리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국 특허출원번호 제10 - 2011 - 0030570호 "수직형 풍차를 이용한 물 순환장치" 한구특허출원번호 제10 - 2016 - 0037944호 "수질 개선을 위한 인공 물 순환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강 또는 댐의 바닥에 가까이위치한 물에 공기를 분사시켜 침전물과 함께 수면으로 밀어올리고, 수면에 위치한 물을 바닥으로 순환시키는 방식으로 용존산소량을 높여 용존산소량의 부족으로 발생하는 오염을 줄일수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공기를 분사하여 발생하는 기포에 의해 바닥 가까이에 있는 물을 수면으로 솟아올라 물을 순환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강 또는 댐의 물에 용존산소량을 높이기 위해서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선단에는 견인고리와 상면에는 다수개의 체결고리가 부착되고,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 가이드가 설치되고, 후미에는 꼬리날개가 부착된 메인 지지프레임; 과
상기 메인 지지프레임의 좌측과 우측에는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선단에는 견인고리와 상면에는 다수개의 체결고리가 부착되어 메인 지지프레임의 선단보다 후미에 선단이 위치하도록 사선방향으로 배열되어 좌우측이 대향지게 위치하는 다수개의 좌우측 지지프레임; 과
상기 좌우측 지지프레임의 내부 앞쪽과 뒤쪽에는 좌우측 지지프레임을 각각 연결하여 수평을 잡아주도록 부착된 선수 및 선미 바닥 가이드; 와
상기 좌우측 지지프레임중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좌우측 지지프레임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체결고리가 부착되고, 선미에는 꼬리날개가 부착된 연결 파이프; 와
상기 연결 파이프의 상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부착된 좌우측 수평 가이드;와
상기 메인 지지프레임의 좌우 양측 상하부에 각각 부착되어 공급되는 공기를 분사 파이프로 공급하는 메인 공기 공급 파이프; 와
상기 메인 지지프레임의 좌우 양측 상하부에 각각 부착된 메인 공기 공급 파이프와 연결 파이프 사이에 사선방향으로 배열되어 좌우측 지지프레임에 상하부 2열로 조립한 다음 표면에 형성된 분사공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다수개의 분사 파이프; 와
상기 연결 파이프와 수직 프레임의 상부에 위치하여 물순환장치의 잠수 수위를 조절하도록 수위조절 와이어가 설치된 부력체; 와
상기 상하부에 위치한 메인 공기 공급 파이프의 선단에는 공기를 분기하여 공급하는 분배기; 와
상기 분배기의 일면에는 공급되는 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부착된 역류방지밸브; 와
상기 역류방지밸브와 연결되어 예인선 또는 바지선에 설치된 에어콤프레샤 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공급하고 수면으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무게추가 체결된 공기주입호스; 와
상기 메인 지지프레임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좌우측 지지프레임과 연결파이프에 부착된 체결고리 사이를 와이어로 체결한 다수개의 와이어 턴버클; 과
상기 메인 지지프레임과 좌우측 지지프레임 선단에 부착된 견인고리에는 와이어 턴버클과 견인 와이어가 연결되어 예인선 또는 바지선에 설치된 윈치와 연결되어 견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 또는 댐의 용존산소량을 높이는 물순환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물순환장치는 강 또는 댐의 바닥에 근접되게 잠수시킨 다음 바지선 또는 예인선에 의해 견인하며 이동중 에어콤프레샤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분사 파이프를 통해 분사하여 발생하는 기포에 의해 강의 바닥에 위치한 물과 침전물이 상승하여 상부에 위치한 물을 순환시켜 용존산소량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 물순환장치를 예인선을 통해 견인하면 공기를 수중에 분사하기때문에 유속이 느리거나 고여있는 물이 순환되지않아 발생하는 오염도 줄일 수 있는 효과 가 있다.
또한, 본 발명 물순환장치는 강에 물이 흐르지않아 발생하는 녹조와 용존산소량이 부족해서 발생하는 녹조도 지속적으로 공기를 분사함으로 인해 녹조에 대한 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 물순환장치는 사선방향으로 배열된 분사 파이프 전체에 균일하게 공기를 분사하고, 선미 바닥 가이드, 선수 바닥 가이드, 수직 가이드로 수평을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의 수문 바닥에 설치하여 수문을 통과하는 물에 공기를 분사하여 발생하는 기포에 의해 용존산소량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산소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식물 영양 염류 농도가 낮아짐에 따라 이것을 양분 삼아 플랑크톤이 비정상적으로 번식하는 것을 방지하고, 수변 생태계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물순환장치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물순환장치를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물순환장치를 일부 결합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 물순환장치는 하단에만 분사파이프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 물순환장치에서 꼬리날개 설치되지않은 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물순환장치에서 분사 파이프를 도시해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 물순환장치에서 분사노즐이 형성된 분사 파이프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물순환장치에서 분사파이프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물순환장치에서 연결 파이프에 좌우측 밸브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물순환장치에서 메인 공기 공급 파이프의 중간에 중간밸브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고정식 물순환장치를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 고정식 물순환장치를 도시해 보인 결합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 고정식 물순환장치의 다른 형상을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상기와 같은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하기위하여 본 발명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물순환장치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물순환장치를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물순환장치를 일부 결합해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본 발명 물순환장치는 강 또는 댐의 물속으로 잠수시킨 다음 바지선 또는 예인선으로 견인하면서 메인 공기 공급 파이프로 공기를 공급하면 분사 파이프를 통해 강바닥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발생하는 기포에 의해 강의 하부에 위치한 물과 침전물이 수면으로 부상하는 방식으로 물을 순환시켜 용존산소량을 높여 수질을 개선하는 구성이다.
강 또는 댐의 물에 용존산소량을 높이기 위해 메인 지지프레임(2)을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선단에는 견인고리(13)와 상면에는 다수개의 체결고리(27)가 부착되고,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 가이드(8)가 설치되고, 후미에는 꼬리날개(9)가 부착된다.
상기 수직 가이드(8)는 견인시 좌우측방향중 한쪽으로 쏠리거나 흔들림을 방지하고, 꼬리날개(9)는 견인중 상하좌우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메인 지지프레임(2)의 선단은 견인시 물의 저항을 최소화하기위해 사선형으로 형성하는게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 지지프레임(2)의 좌측과 우측에는 수직방향으로 다수개의 좌우측 지지프레임(3, 3')을 세운 상태에서 선단에는 견인고리(13)와 상면에는 다수개의 체결고리(27)가 부착된다.
상기 좌우측 지지프레임(3, 3')의 내부에는 트러스(14) 구조로 형성되어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메인 지지프레임(2)의 선단보다 후미에 선단이 위치하도록 사선방향으로 배열되어 좌우측이 대향지게 위치하여 물의 저항을 최소화한다.
상기 좌우측 지지프레임(3, 3')의 내부 앞쪽과 뒤쪽에는 선수 및 선미 바닥 가이드(6, 7)가 삽입되어 좌우측 지지프레임을 각각 연결하여 수평을 잡아주도록 고정한다.
상기 선수 및 선미 바닥 가이드(6, 7)는 물순환장치를 견인시 속도와 견인력에 의해 수면으로 부상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좌우측 지지프레임(3, 3')중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좌우측 지지프레임에는 길이방향을 연결 파이프(24)가 부착되고, 상기 연결 파이프(24)의 상면에는 체결고리(27)가 각각 부착되고, 선미에는 꼬리날개(9)가 부착된다.
상기 연결 파이프(24)의 상면에는 좌우측 수평 가이드(11, 11')가 부착된다.
상기 좌우측 수평 가이드(11, 11')는 물순환공장치(1)를 빠른 속도로 견인시 수면으로 부상하는 것을 방지하고, 좌우측 수평 가이드(11, 11')의 선단을 하강시키면 수면 아래로 하강하여 수심을 조절을 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상기 메인 지지프레임(2)의 좌우 양측 상하부에 메인 공기 공급 파이프(17)가 각각 부착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분사 파이프(28)로 공급한다.
또한, 메인 지지프레임(2)의 좌우 양측 상하부에 각각 부착된 메인 공기 공급 파이프(17)와 연결 파이프(24) 사이에는 다수개의 분사 파이프(28)가 사선방향으로 배열되는 방식으로 좌우측 지지프레임(3, 3')에는 상하 2단으로 조립한 다음 표면에 형성된 분사공(15)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기포를 발생한다.
상기 연결 파이프(24)와 메인 지지프레임(2)의 상부에 위치하는 다수개의 부력체(4)는 물순환장치(1)의 잠수 수위를 조절하도록 예인선에 설치된 윈치와 수위조절 와이어(5)의 일측을 연결하여 풀거나 감아서 수위를 조절한다.
상기 수위조절 와이어(5)는 좌우측 지지 프레임(3, 3')에 부착된 체결고리(27)에는 삽입되어 메인 지지프레임(1)에 부착된 체결고리(27)로 삽입되어 모아서 예인선 또는 바지선에 설치된 윈치에 체결되어 감거나 풀어서 메인 지지프레임(2)의 상부와 부력체(4)의 간격을 조절하여 잠수수위를 조정한다.
상기 상하부에 위치한 메인 공기 공급 파이프(17)의 선단에는 공기를 분기하여 공급하는 분배기(23)가 결합된다.
상기 분배기(23)의 일면에는 역류방지밸브(21)가 결합되어 공급되는 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역류방지밸브(21)와 연결되는 공기주입호스(22)는 예인선 또는 바지선에 설치된 에어콤프레샤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공급하고 견인시 수면으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무게추(20)가 체결된다.
상기 공기주입호스(22)를 통해 공기를 공급하는 장치는 에어콤프레샤를 포함하여 에어펌프에 의해 공기를 공급한다.
상기 메인 지지프레임(2)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좌우측 지지프레임(3, 3')과 연결파이프(24)에 부착된 체결고리(27) 사이를 체결 와이어와 다수개의 와이어 턴버클(10)으로 체결하여 견인시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와이어 턴버클에 의해 체결와이어로 감거나 풀어서 간격을 조절한다.
메인 지지프레임(2)과 좌우측 지지프레임(3, 3')의 선단에 부착된 견인고리(13)에는 와이어 턴버클(10)과 견인 와이어(12)가 연결되어 예인선에 설치된 윈치와 연결되어 견인하면 공기를 분사하여 기포를 형성한다.
상기 물순환장치는 선수가 선미보다 높이를 낮게 형성하여 선수가 기울게 형성하여 예인선으로 견인시 물순환장치의 선수가 들려 자연스럽게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a는 본 발명 물순환장치는 하단에만 분사 파이프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로서, 물순환장치에서 상하 2단으로 분사 파이프를 설치하지않고 메인 지지프레임(2)과 좌우측 지지프레임(3, 3')의 하단에만 분사 파이프를 설치하여도 동일하게 기포를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물순환장치는 메인 지지프레임, 좌우측 지지 프레임, 분사파이프를 U 볼트와 너트로 조임 체결하여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고, 상기 각 부품을 용접에 의해 고정할 수 도 있다.
도 4b는 본 발명 물순환장치에서 꼬리날개 설치되지않은 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물순환장치에서 분사 파이프를 도시해 보인 평면도로서, 분사 파이프의 표면 전체에 분사공이 형성되거나 또는 바닥을 향하는 하단에만 분사공이 형성되어 공기를 분사한다.
도 6은 본 발명 물순환장치에서 분사노즐이 형성된 분사 파이프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다.
상기 분사 파이프는 분사노즐이 하부방향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분사노즐이 돌출되게 형성되면 분사공에서 공기를 분사하는것보다는 분사압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분사노즐이 형성된 분사 파이프에는 도면에 미 도시하였으나 분무기와 연결되어 물을 바닥에 분사함으로 인해 바닥에 있는 미세 친전물이 부상하도록 유도한다.
도 7은 본 발명 물순환장치에서 분사파이프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로서, 물순환장치는 메인 지지프레임의 좌우 양측으로 좌우측 지지 프레임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분사노즐이 형성된 분사 파이프를 설치하여 메인 공기 공급 파이프에서 분기된 공기를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한다.
도 8은 본 발명 물순환장치에서 연결 파이프에 좌우측 밸브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 물순환장치는 메인 지지프레임(2)의 좌우측에 위치한 연결 파이프(24)의 선단에 좌우측 밸브(18, 18')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좌우측 밸브(18, 18')에 공기 주입호스(22)가 연결되어 메인 공기 공급 파이프(17)와 함께 공기를 공급한다.
상기와 같이 메인 공기 공급 파이프와 좌우측밸브을 통해 물순환장치의 중앙과 좌우 양단에서 공기를 공급하여 분사하면 연결 파이프와 근접된 분사 파이프쪽에서 공기 압력이 낮을 것을 보완하고 동시에 공기를 균일한 압력으로 분사하여 견인시 한쪽으로 쏠리거나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고 물의 순환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 물순환장치에서 메인 공기 공급 파이프의 중간에 중간밸브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다.
상기 메인 공기 공급 파이프(17)의 중간에 중간밸브(19)가 설치되고, 상기 중간밸브(19)에 공기 주입호스(22)가 연결되어 메인 공기 공급 파이프(17)의 선단과 중간에서도 공기를 동시에 공급하여 메인 공기 공급 파이프의 선미로 공급되는 공기 압력이 약한 경우를 보완하여 메인 공기 공급 파이프의 선수와 중간에 동시에 공기를 공급하여 공기압력이 전체적으로 균일하도록 하여 수평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본 발명 물순환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강이나 댐의 크기에 따라 가로가 20 ∼ 50m 크기로 구성하고, 부력체와 선수 바닥 가이드, 선미 바닥 가이드, 수직 가이드와 꼬리 날개에 의해 한쪽으로 쏠리거나 흔들리지않도록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예인선이나 바지선에 설치된 윈치에 견인와이어를 연결하여 감거나 풀어서 거리를 유지하고, 예인선이나 바지선에 설치된 에어콤프레샤에 공기주입호스의 일측을 연결하고 타측은 공기역류방지밸브에 연결하여 공기를 공급한다.
그러면 예인선 또는 바지선이 운행하면 물순환공급장치는 강또는 바닥에 근접되게 잠수한 상태에서 견인됨과 동시에 공기가 공급되어 분사파이프의 분사공을 통해 공기를 분사하여 발생하는 기포에 의해 바닥에 위치한 물과 침전물이 부상하여 수면에 위치한 물과 순환되어 용존산소량을 높이는 것이다.
본 발명 물순환장치는 견인력 속도에 의해 선수가 들ㄹ리는 현상을 감안해서 앞중심이 낮고 선미로 갈수록 높게 형성되었으며, 앞중심에서 좌우방향으로 갈수록 높게 형성하였다.
따라서 물순환장치는 전체적으로 메인 지지프레임 에서 좌우방향 가장자리로 갈수록 높게 형성되었으며 좌우 가장자리에서도 선미로 갈수록 높게 형성되었다.
본 발명 물순환장치는 한쪽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도 공기가 고르게 분사된다.
따라서 본 발명 물순환장치는 밸브의 부착 위치에 따라 강바닥이 비스듬한 상태에서도 고르게 공기 분사가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 고정식 물순환장치를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 고정식 물순환장치를 도시해 보인 결합 사시도이다.
보의 수문 바닥에 설치되는 고정식 물순환 공급장치(1)는 메인 공기 공급 파이프(17)와 상기 메인 공기 공급 파이프(17)와 연결되어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 파이프(28)는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져 이격된 상태에서 겹치게 배열된 공기 분사체(25)를 형성한다.
상기 공기 분사체(25)를 보호하도록 공기 분사체(25)와 동일한 형상의 하우징(26)이 형성되어 내부에 공기 분사체(25)를 삽입하여 결합한 다음 공기를 분사한다.
메인 공기 공급 파이프에 에어콤프레샤와 연결된 공기주입호스를 연결한 다음 공기를 공급하면 분사파이프에 형성된 분사공을 통해 공기를 분사한다.
그러면 수문을 통과하는 물에 공기를 분사하여 기포를 발생시키므로 인해 용존산소량을 높일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바닥면과 커버로 형성되어 수문 바닥에 고정하고, 바닥면과 커버사이에는 트러스가 형성되어 내부에 삽입된 공기 분사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2는 본 발명 고정식 물순환장치의 다른 형상을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로서 공기 분사체를 형성하는 분사 파이프의 형상을 크기를 달리하여 사각형으로 형성한 다음 이격된 상태로 겹치게 설치한 후 박스형상으로 형성된 하우징 내부로 공기 분사체를 삽입하여 보의 수문 바닥에 고정되게 설치한 다음 에어콤프레샤와 연결하여 공기를 분사하여 흘러가는 물의 용존산소량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상기 공기 분사체(25)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으로 형성한다.
1: 물순환장치 2: 메인 지지프레임
3, 3': 좌우측 지지프레임 4: 부력체
5: 수위조절 와이어 6: 선수 바닥 가이드
7: 후미 바닥 가이드 8: 수직 날개
9: 꼬리 날개 10: 와이어 턴버클
11, 11': 좌우측 수평 가이드 12: 견인 와이어
13: 견인고리 14: 트러스
15: 분사공 16: 분사노즐
17: 메인 공기 공급 파이프 18, 18': 좌우측 밸브
19: 증간 밸브 20: 무게추
21: 공기역류방지밸브 22: 공기주입호스
23: 분배기 24: 연결 파이프
25: 공기 분사체 26: 하우징

Claims (6)

  1. 강 또는 댐의 물에 용존산소량을 높이기 위해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선단에는 견인고리(13)와 상면에는 다수개의 체결고리(27)가 부착되고,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 가이드(8)가 설치되고, 후미에는 꼬리날개(9)가 부착된 메인 지지프레임(2); 과
    상기 메인 지지프레임(2)의 좌측과 우측에는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선단에는 견인고리(13)와 상면에는 다수개의 체결고리(27)가 부착되어 메인 지지프레임(2)의 선단보다 후미에 선단이 위치하도록 사선방향으로 배열되어 좌우측이 대향지게 위치하는 다수개의 좌우측 지지프레임(3, 3'); 과
    상기 좌우측 지지프레임(3, 3')의 내부 앞쪽과 뒤쪽에는 좌우측 지지프레임을 각각 연결하여 수평을 잡아주도록 부착된 선수 및 선미 바닥 가이드(6, 7); 와
    상기 좌우측 지지프레임(3, 3')중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좌우측 지지프레임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체결고리(27)가 부착되고, 선미에는 꼬리날개(9)가 부착된 연결 파이프(24); 와
    상기 연결 파이프(24)의 상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부착된 좌우측 수평 가이드(11, 11');와
    상기 메인 지지프레임(2)의 좌우 양측의 상하부에 각각 부착되어 공급되는 공기를 분사 파이프(28)로 공급하는 메인 공기 공급 파이프(17); 와
    메인 공기 공급 파이프(17)의 중간에 중간밸브(19)가 설치되고, 상기 중간밸브(19)에 공기 주입호스(22)가 연결되어 메인 공기 공급 파이프(17)의 선단과 중간에서도 공기를 동시에 공급하는 중간밸브(19); 와
    상기 메인 지지프레임(2)의 좌우측에 위치한 연결 파이프(24)의 선단에 좌우측 밸브(18, 18')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좌우측 밸브(18, 18')에 공기 주입호스(22)가 연결되어 메인 공기 공급 파이프(17)와 함께 공기를 공급하는 좌우측 밸브(18, 18'); 와
    상기 메인 지지프레임(2)의 좌우 양측 상하부에 각각 부착된 메인 공기 공급 파이프(17)와 연결 파이프(24) 사이에 사선방향으로 배열되어 좌우측 지지프레임(3, 3')에서 상하 2단으로 조립한 다음 표면에 형성된 분사공(15)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다수개의 분사 파이프(28); 와
    상기 분사 파이프(28)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하부 방향을 향해 돌출되게 배열되어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노즐(16);과
    상기 연결 파이프(24)와 메인 지지프레임(2)의 상부에 위치하여 물순환장치(1)의 잠수 수위를 조절하도록 예인선에 설치된 윈치와 수위조절 와이어(5)의 일측을 연결하여 풀거나 감아서 수위를 조절하는 다수개의 부력체(4); 와
    상기 상하부에 위치한 메인 공기 공급 파이프(17)의 선단에는 공기를 분기하여 공급하는 분배기(23); 와
    상기 분배기(23)의 일면에는 공급되는 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부착된 역류방지밸브(21); 와
    상기 역류방지밸브(21)와 연결되어 예인선 또는 바지선에 설치된 에어콤프레샤 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공급하고 수면으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무게추(20)가 체결된 공기주입호스(22); 와
    상기 메인 지지프레임(2)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좌우측 지지프레임(3, 3')과 연결파이프(24)에 부착된 체결고리(27) 사이를 체결 와이어로 체결한 다수개의 와이어 턴버클(10); 과
    상기 메인 지지프레임(2)과 좌우측 지지프레임(3, 3')의 선단에 부착된 견인고리(13)에는 와이어 턴버클(10)과 견인 와이어(12)가 연결되어 예인선에 설치된 윈치와 연결되어 견인하면 공기를 분사하여 기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 또는 댐의 용존산소량을 높이는 물순환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보의 수문 바닥에 설치되는 고정식 물순환 공급장치(1)는
    메인 공기 공급 파이프(17)와 상기 메인 공기 공급 파이프(17)와 연결되어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 파이프(28)는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져 이격된 상태에서 겹치게 배열된 공기 분사체(25)와,
    상기 공기 분사체(25)를 보호하도록 공기 분사체(25)와 동일한 형상의 하우징(26)이 형성되어 내부에 공기 분사체(25)를 삽입하여 결합한 다음 공기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 또는 댐의 용존산소량을 높이는 물순환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분사체(25)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 또는 댐의 용존산소량을 높이는 물순환장치.
KR1020190053363A 2019-05-07 2019-05-07 강 또는 댐의 용존산소량을 높이는 물순환장치 KR102241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363A KR102241582B1 (ko) 2019-05-07 2019-05-07 강 또는 댐의 용존산소량을 높이는 물순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363A KR102241582B1 (ko) 2019-05-07 2019-05-07 강 또는 댐의 용존산소량을 높이는 물순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014A KR20200129014A (ko) 2020-11-17
KR102241582B1 true KR102241582B1 (ko) 2021-04-19

Family

ID=73642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3363A KR102241582B1 (ko) 2019-05-07 2019-05-07 강 또는 댐의 용존산소량을 높이는 물순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158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7121Y1 (ko) * 2003-10-06 2003-12-31 효림산업주식회사 튜브형 인공 폭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73851B2 (en) 2004-04-16 2012-05-08 Marathon Gtf Technology, Ltd. Processes for converting gaseous alkanes to liquid hydrocarbons
ES2735025T3 (es) 2013-07-30 2019-12-13 Inofea Ag Composición biocatalítica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7121Y1 (ko) * 2003-10-06 2003-12-31 효림산업주식회사 튜브형 인공 폭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014A (ko) 2020-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7331Y1 (ko) 부력 분수
RU2720096C1 (ru) Установка и способ разведения рыб
KR100631079B1 (ko) 부양식 분수대
KR101544708B1 (ko) 부력기능을 구비한 양식장 프레임을 이용한 해저양식 시스템
KR101393721B1 (ko) 수초섬에 의해 은폐되는 수질정화장치
KR102241582B1 (ko) 강 또는 댐의 용존산소량을 높이는 물순환장치
KR100986820B1 (ko) 막힘방지형 고효율 산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질정화장치
KR101666627B1 (ko) 수질정화장치
JP2008196263A (ja) 汚濁防止装置
JP2005334835A (ja) 気体溶解装置
JP3082853B2 (ja) 水質浄化装置
KR20180009926A (ko) 수질 정화 및 조류 방제 시스템
KR20220147868A (ko) 호수 정화 시스템
KR100612490B1 (ko) 저장수 정화장치
CN208762257U (zh) 一种用于河道污染生态修复的漂浮式曝气装置
KR20090029433A (ko) 저층수를 이용한 적조 피해 방지 장치
KR100653595B1 (ko) 표층수의 심층 유입장치 및 그 방법
KR100714056B1 (ko) 해저토질 개선기
KR200475766Y1 (ko) 폭기 및 물의 유동을 이용한 수질개선장치
KR101153077B1 (ko) 해저토질 개선기
KR102370685B1 (ko) 연안해역의 빈산소환경 개선을 위한 무동력 폭기장치
KR101498659B1 (ko) 녹조제거장치
KR200381210Y1 (ko) 가두리 양식장 적조방지 장치
KR200374562Y1 (ko) 높낮이 조절형 간헐식 수중폭기기
JP3098569U (ja) 湖沼汚水の浄化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