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4242B1 - Disaster Prevention Status Alarm System for Power Equipment in Power plants - Google Patents

Disaster Prevention Status Alarm System for Power Equipment in Power pla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4242B1
KR102234242B1 KR1020190085341A KR20190085341A KR102234242B1 KR 102234242 B1 KR102234242 B1 KR 102234242B1 KR 1020190085341 A KR1020190085341 A KR 1020190085341A KR 20190085341 A KR20190085341 A KR 20190085341A KR 102234242 B1 KR102234242 B1 KR 102234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ower
partial discharge
temperatur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53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08758A (en
Inventor
오수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강에이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강에이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강에이피
Priority to KR1020190085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4242B1/en
Publication of KR20210008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87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4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42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1/00Predictive 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extrapolation or other computation using updated historic data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001Methods to deal with contingencies, e.g. abnormalities, faults or fail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8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for sector-wide applications
    • Y02P80/10Efficient use of energy, e.g. using compressed air or pressurized fluid as energy carrier

Abstract

본 발명은 부분방전, 온도, 연기, 불꽃을 동시에 검출하여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구축된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전력설비에 대한 화재, 폭발 등의 위험징후를 실시간으로 관리자에게 전달해 줌으로써 화재에 대한 사전 대처를 통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전력설비 및 부품의 성능을 개선하도록 한 발전소 전력설비의 재난 예방 상태감지 경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전력설비내에 부분방전, 온도, 연기 및 불꽃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각 정보 데이터를 전달받아 분석하는 분석부로 구성되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전력설비의 내부에 발생하는 부분방전을 검출하는 UHF 센서와, 상기 전력설비 내부 일정 부분에 대한 온도를 검출하는 열화상 센서와, 상기 전력설비가 설치된 인근에 설치되어 상기 전력설비 및 그에 인접한 부분에서 발생하는 연기 및 불꽃을 감지하는 CCTV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s big data by simultaneously detecting partial discharge, temperature, smoke, and flame, and analyzes the built big data to deliver danger signs such as fire, explosion, etc. for power facilities to the manager in advance to respond to fire. It relates to a disaster prevention state detection and alarm system of a power plant power facility that prevents accidents in advance and improves the performance of power facilities and parts, and a detection unit that detects partial discharge, temperature, smoke and flame in power facilities, and the above. Consist of an analysis unit that receives and analyzes each information data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the detection unit UHF sensor detecting a partial discharge occurring inside the power facility, and a heat detecting temperature for a certain part inside the power facility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mage sensor and a CCTV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the power equipment is installed to detect smoke and flames generated in the power equipment and the adjacent portion thereof.

Description

발전소 전력설비의 재난 예방 상태감지 경보 시스템{Disaster Prevention Status Alarm System for Power Equipment in Power plants}Disaster Prevention Status Alarm System for Power Equipment in Power plants}

본 발명은 발전소 전력설비의 재난 예방 상태감지 경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분방전과 열화상 정보를 교환하여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실시간으로 발전소 전력설비의 화재, 폭발 등의 재난 정보를 운영자에게 알려줄 수 있도록 한 발전소 전력설비의 재난 예방 상태감지 경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aster prevention state detection and alarm system of power plant power facilities, and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construct big data by exchanging partial discharge and thermal image information, and to notify the operator of disaster information such as fire and explosion of power plant power facilities in real time. It relates to a disaster prevention condition detection and alarm system of power plant power facilities that have been made available.

일반적으로 부분방전이라 함은 각종 산업체 및 전력계통 변전소에 설치되는 수전설비 및 고압 배전반, 고압 케이블, 변압기(몰드 변압기 포함), GIS(Gas Insulated Switchgear, 가스절연 개폐장치), 개폐기, 수전설비 등 전력설비의 어느 한 부분에 생기는 방전을 총칭하는 것으로서, 전극의 첨단 부근에 생기는 코로나 방전, 절연물의 표면을 따라서 생기는 연면방전, 절연물 내의 공극에 생기는 보이드 방전 등을 들 수 있다.In general, partial discharge refers to power receiving facilities and high-voltage switchboards, high-voltage cables, transformers (including molded transformers), gas insulated switchgear (GIS), switchgear, and power receiving facilities installed in various industries and power system substations. As a generic term for the discharge generated in any part of the facility, there may be mentioned corona discharge occurring near the tip of an electrode, creepage discharge occurring along the surface of an insulating material, void discharge occurring in voids in the insulating material, and the like.

전력설비의 이상 유무 감지 및 절연체의 열화 정도를 감시하고 수리시기를 예측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부분방전의 측정 및 감시로 이러한 예측과 관리가 가능하다. It is very important to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abnormalities in power facilities, monitor the degree of deterioration of insulators, and predict the timing of repairs, and such prediction and management are possible by measuring and monitoring partial discharges.

산업의 고도화로 전력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고압 케이블, 변압기, GIS, 수전설비, 전력기기 시스템 내의 전력설비에 의한 화재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사고는 경제적 손실뿐만 아니라 기술적 손실도 발생시킬 수 있다. With the advancement of the industry, the demand for power is continuously increasing, and fire accidents are frequently occurring due to high voltage cables, transformers, GIS, power receiving facilities, and power facilities in the power equipment system. These accidents can lead to technical losses as well as economic losses.

특히, 고전압 전력기기는 국가 기간산업뿐 아니라, 민수용에서도 매우 중요한 시설로 취급되고 있으며, 전력기기의 사고는 인명의 피해, 전력 시설의 직접적 손실과 함께 정보통신망에도 영향을 미치는 국가적으로도 중차대한 사안이다. In particular, high-voltage power equipment is treated as a very important facility not only for national infrastructure, but also for civilian use, and accidents of power equipment are an important national issue that affects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 as well as damage to human life and power facilities. .

발전소, 변전소 및 대형공장 등에 설치되어 있는 전력설비 내에 케이블, 차단기, 개폐기, 고압 케이블, GIS, PT, CT, 피뢰기 등의 각종 부품들이 내장되어 있으며, 이들 전력설비에서 부분방전, 열, 불꽃 등의 발생으로 화재 사고가 발생하여 전력공급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Various parts such as cables, circuit breakers, switchgear, high-voltage cables, GIS, PT, CT, and lightning arresters are built into the power facilities installed in power plants, substations, and large factories. As a result, a fire accident has occurred, which has a fatal effect on the power supply.

한편, 종래에는 전력설비의 감시 시스템은 열화상 카메라, CCTV 및 모니터로 구성되어,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전력설비의 열을 감지하고, 연기와 불꽃을 CCTV로 감지하여 그 결과를 전달받아 분석하고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함과 더불어 알람을 발생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conventionally, the monitoring system of power facilities consists of a thermal imaging camera, CCTV, and monitor, and uses a thermal imaging camera to detect the heat of the power facility, detects smoke and flames with CCTV, and receives and analyzes the results. In addition to displaying on the monitor, an alarm is generated.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전력설비의 감시 시스템은 부분방전을 검출했으나 정확히 검출부위를 알 수가 없고, 열화상 카메라는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영역만을 검출함으로써 온도가 낮은 영역의 설비상태에 대해서는 전혀 알 수가 없었다.However, the monitoring system of the electric power facility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detects partial discharge, but it is not possible to accurately determine the detection area, and the thermal imaging camera detects only the relatively high temperature area, so that the condition of the facility in the low temperature area I didn't know.

또한, 전력설비 내부의 부품에 대한 상태감지 및 이력관리가 되지 않고, 폐쇄형의 전력설비에서는 밀폐공간이 어둡고 좁은 환경에서 열, 연기, 불꽃을 동시에 검출하는데 한계가 있었다.In addition, it is not possible to detect the condition and history of parts inside the power facility, and in the closed power facility, there is a limit to simultaneously detecting heat, smoke, and flame in a dark and narrow environment in a closed space.

특히 변압기 모선, 특고압 차단기반은 상시 대전류가 흘러 접속부 과열로 인해 부분방전 발생으로 대형설비의 사고 우려가 높았다.In particular, the transformer bus and the extra-high voltage circuit breaker were always subject to large currents, causing a partial discharge due to overheating of the connection, which raised concerns about accidents in large facilitie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부분방전, 온도, 연기, 불꽃을 동시에 검출하여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구축된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전력설비에 화재, 폭발 등의 재난에 대한 위험징후를 실시간으로 관리자에게 전달해 줌으로써 화재에 대한 사전 대처를 통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전력설비 및 부품의 성능을 개선하도록 한 발전소 전력설비의 재난 예방 상태감지 경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built big data by simultaneously detecting partial discharge, temperature, smoke, and flame, and by analyzing the built big data, there is a risk of disasters such as fire and explosion in power facilities. Its purpose is to provide a disaster prevention condition detection and alarm system for power plants in power plants that prevents accidents in advance and improves the performance of power facilities and parts through proactive response to fires by delivering signs to managers in real time.

또한, 본 발명은 전력설비의 위험 및 화재 진단을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Big Data)를 활용하여 전기화재 및 정전율을 사전에 예방하고, 감시 및 진단장치를 하나로 통합하여 설비의 감시 신뢰도를 높이고 유지관리 및 운영의 업무효율성을 높이도록 한 발전소 전력설비의 재난 예방 상태감지 경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Internet of Things (IoT) and Big Data for risk and fire diagnosis of power facilities to prevent electric fires and power outages in advance, and by integrating a monitoring and diagnosis device into one to monitor facilities.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disaster prevention condition detection and alarm system for power plants in power plants that improves reliability and improves the work efficiency of maintenance and opera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발전소 전력설비의 재난 예방 상태감지 경보 시스템은 전력설비내에 부분방전, 온도, 연기 및 불꽃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각 정보 데이터를 전달받아 분석하는 분석부로 구성되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전력설비의 내부에 발생하는 부분방전을 검출하는 UHF 센서와, 상기 전력설비 내부 일정 부분에 대한 온도를 검출하는 열화상 센서와, 상기 전력설비가 설치된 인근에 설치되어 상기 전력설비 및 그에 인접한 부분에서 발생하는 연기 및 불꽃을 감지하는 CCTV를 포함하고, 상기 분석부는 상기 UHF 센서로부터 검출된 부분방전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부분방전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열화상 센서로부터 검출된 온도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열화상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CCTV로부터 감지된 연기 및 불꽃에 대해서 기준 연기 농도 및 불꽃과 대비하여 분석하는 연기 및 불꽃 분석부와, 상기 부분방전 데이터 베이스 및 열화상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부분방전과 열화상의 정보를 전달받아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상기 구축된 빅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전력설비에 대한 위험감지를 분석하여 실시간으로 위험징후를 관리자에게 전달하는 위험감지 판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aster prevention state detection and alarm system of a power plant power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detection unit that detects partial discharge, temperature, smoke and flame in the power facility, and transmits each information data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It is composed of an analysis unit that receives and analyzes, and the detection unit includes a UHF sensor that detects a partial discharge occurring inside the power facility, a thermal image sensor that detects a temperature for a certain part inside the power facility, and the power facility is installed. It includes a CCTV installed in the vicinity to detect smoke and flames generated in the power equipment and adjacent parts thereof, and the analysis unit receives and stores partial discharge information detected from the UHF sensor, and the heat A thermal image database that receives and stores temperature information detected from an image sensor, a smoke and flame analysis unit that analyzes smoke and flames detected from the CCTV in comparison with a reference smoke concentration and flame, and the partial discharge database And the risk of constructing big data by receiving the information of partial discharge and thermal image stored in the thermal image database, analyzing the risk of the electric power facility based on the built big data, and transmitting the risk symptoms to the manager in real tim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etection determination uni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발전소 전력설비의 재난 예방 상태감지 경보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disaster prevention state detection alarm system of a power plant power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부분방전, 온도, 연기, 불꽃을 동시에 검출하여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구축된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전력설비의 화재, 폭발 등 재난에 위험징후를 실시간으로 관리자에게 전달해 줌으로써 화재에 대한 사전 대처를 통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First, it constructs big data by simultaneously detecting partial discharge, temperature, smoke, and flame, analyzes the built big data, and delivers danger signs to the manager in real time, such as fire and explosion of power facilities, to take precautions against fire. Accidents can be prevented in advance.

둘째, 전력설비 및 각 부품에 대한 고장 및 이상징후를 사전에 파악하여 고장에 따라 중단하지 않고 무중단으로 운영할 수가 있다.Second, failures and abnormal symptoms of power facilities and parts can be identified in advance, and operation can be performed without interruption according to the failure.

셋째,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전력설비 및 부품에 대한 교체주기를 파악함으로써 전력설비 및 부품의 성능을 한층 더 개선할 수 있다.Third,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performance of power facilities and parts by identifying replacement cycles for power facilities and parts using big data.

넷째, 전력설비의 위험 및 화재 진단을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Big Data)를 활용하여 전기화재 및 정전율을 사전에 예방하고, 감시 및 진단장치를 하나로 통합하여 이상징후 인자의 이벤트를 통합 판단하여 시스템의 간소화와 더불어 유지관리 및 운영의 업무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Fourth, by using Internet of Things (IoT) and Big Data for risk and fire diagnosis of power facilities, electric fires and blackout rates are prevented in advance, and events of abnormal symptoms are detected by integrating monitoring and diagnosis devices into one. By making integrated judgment,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system and improve the work efficiency of maintenance and operation.

다섯째, 고압설비의 판넬 내부 밀폐 공간은 20~100℃ 온도 분포별로 감시영역을 세분화하여 설비별 열화정보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Fifth, the closed space inside the panel of the high-pressure facility is subdivided into the monitoring area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20~100℃, so that the deterioration information for each facility can be managed more efficiently.

여섯째, 변압기, 특고압 차단기 등 상시 대전류가 흐르는 밀폐 공간의 사고 징후 지점을 점검하여 화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Sixth, it is possible to prevent fire accidents in advance by checking the points of accident signs in confined spaces where large currents always flow, such as transformers and extra-high voltage circuit breaker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발전소 전력설비의 재난 예방 상태감지 경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위험감지 판단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도 1의 발전소 전력설비의 재난 예방 상태감지 경보 시스템에서 UHF 센서와 열화상 센서를 이용하여 부스바 및 연결부분의 온도 및 부분방전을 검출한 예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의 발전소 전력설비의 재난 예방 상태감지 경보 시스템에서 분석내용을 모니터 화면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의 발전소 전력설비의 재난 예방 상태감지 경보 시스템에서 열화상 센서의 픽셀 제어를 나타낸 화면
도 6은 도 1의 발전소 전력설비의 재난 예방 상태감지 경보 시스템에서 열화상 센서의 픽셀 제어를 나타낸 화면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disaster prevention state detection alarm system of a power plant power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in more detail the risk detection determination unit of Figure 1
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detecting temperature and partial discharge of a busbar and a connection part using a UHF sensor and a thermal image sensor in the disaster prevention state detection alarm system of the power plant of FIG. 1
FIG. 4 is a view showing the analysis contents on a monitor screen in the disaster prevention state detection alarm system of the power plant power facility of FIG. 1
5 is a screen showing pixel control of a thermal image sensor in the disaster prevention state detection alarm system of the power plant of FIG. 1
6 is a screen showing the pixel control of the thermal image sensor in the disaster prevention state detection alarm system of the power plant of FIG. 1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m.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ber is used as much as possible when indicating the same configuration in other drawings.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a known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certain features shown in the drawings are enlarged or reduced or simplified for ease of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and their components are not necessarily drawn to scale. Howeve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understand these detail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발전소 전력설비의 재난 예방 상태감지 경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위험감지 판단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disaster prevention state detection and alarm system of a power plant power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or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risk detection determination unit of FIG.

본 발명에 의한 발전소 전력설비의 재난 예방 상태감지 경보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설비내에 부분방전, 온도, 연기 및 불꽃을 검출하는 검출부(100)와, 상기 검출부(100)에서 검출된 각 정보 데이터를 전달받아 분석하는 분석부(200)로 구성되고, 상기 검출부(100)는 상기 전력설비의 내부에 발생하는 부분방전을 검출하는 UHF 센서(110)와, 상기 전력설비 내부 일정 부분에 대한 온도를 검출하는 열화상 센서(120)와, 상기 전력설비가 설치된 인근에 설치되어 상기 전력설비 및 그에 인접한 부분에서 발생하는 연기 및 불꽃을 감지하는 CCTV(130)를 포함하고, 상기 분석부(200)는 상기 UHF 센서(110)로부터 검출된 부분방전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부분방전 데이터 베이스(210)와, 상기 열화상 센서(120)로부터 검출된 온도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열화상 데이터 베이스(220)와, 상기 CCTV(130)로부터 감지된 연기 및 불꽃에 대해서 기준 연기 농도 및 불꽃과 대비하여 분석하는 연기 및 불꽃 분석부(230, 240)와, 상기 부분방전 데이터 베이스(210) 및 열화상 데이터 베이스(220)에 저장된 부분방전과 열화상의 정보를 전달받아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상기 구축된 빅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전력설비(100)에 대한 위험감지를 분석하여 실시간으로 위험징후를 관리자에게 전달하는 위험감지 판단부(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 the disaster prevention state detection alarm system of a power 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tection unit 100 for detecting partial discharge, temperature, smoke, and flame in the power facility, and the detection unit 100 Consisting of an analysis unit 200 that receives and analyzes each of the information data generated, the detection unit 100 includes a UHF sensor 110 that detects partial discharge occurring inside the power facility, and a certain part inside the power facility A thermal image sensor 120 that detects a temperature for, and a CCTV 130 installed near the power facility to detect smoke and flames generated in the power facility and a portion adjacent thereto, and the analysis unit 200 is a partial discharge database 210 that receives and stores partial discharge information detected from the UHF sensor 110, and thermal image data that receives and stores temperature information detected from the thermal image sensor 120 The base 220, smoke and flame analysis units 230 and 240 for analyzing the smoke and flame detected from the CCTV 130 in comparison with the reference smoke concentration and flame, the partial discharge database 210, and Receives the partial discharge and thermal image information stored in the thermal image database 220 to construct big data, and analyzes the risk of the power facility 100 based on the established big data to identify danger signs in real time. It comprises a risk detection determination unit 250 that is transmitted to the manager.

여기서, 상기 전력설비는 대용량의 전력을 사용하는 건축물 또는 공장 등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고압 케이블, 변압기, GIS(Gas Insulated Switchgear, 가스절연 개폐장치), 개폐기, 수전설비, 배전반 등으로 구분되며, 전력설비의 내측에 전력을 분배하고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다양한 부품들이 설치된다. 상기 전력설비들은 단일 전력설비일 수 있고, 복수의 전력설비들이 복합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Here, the power facility is installed in a building or factory that uses a large amount of power, and is divided into a high-voltage cable, a transformer, a gas insulated switchgear (GIS), a switch, a power receiving facility, a switchboard, etc. Various parts are installed inside the facility to distribute and stably supply power. The power facilities may be a single power facility, and a plurality of power facilities may be configured in a complex manner.

한편, 상기 전력설비의 내부에 설치되는 기기 또는 부품은 부스바, 진공차단기(VCB), 계기용변압기(PT), 전력량계량기(MOF), 부하개폐기(LBS), 부싱소자 등과 같이, 각종 몰드형 절연기기와 기기 연결 부품 및 절연 열화 예측이 요구되는 구성품 등이다. On the other hand, devices or parts installed inside the power facility are various mold-type insulation such as busbar, vacuum breaker (VCB), instrument transformer (PT), wattage meter (MOF), load switch (LBS), bushing element, etc. It is a component that is required to predict the deterioration of insulation and equipment and equipment connection parts.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발전소 전력설비의 재난 예방 상태감지 경보 시스템은 전력설비 내부의 저압측 구성장치인 배선용차단기(MCCB: Molded Case Circuit Breaker), 각종 배전 라인 등의 설비를 감시하는 장치로서 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saster prevention state detection and alarm system of a power plant power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s a device for monitoring facilities such as a molded case circuit breaker (MCCB), which is a component device on the low-voltage side of the power facility, and various distribution lines. Can be used.

한편, 미설명한 260은 픽셀 제어부로서, 상기 열화상 데이터 베이스(220)에 저장된 온도에 대한 정보를 제어한다.Meanwhile, 260, which is not described, is a pixel control unit and controls information on temperature stored in the thermal image database 220.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열화상 센서(220)를 이용하여 온도를 검출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온도를 검출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it is described that the temperature is detected using the thermal image sensor 220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mperature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emperature may be detected using a temperature sensor.

여기서, 상기 위험감지 판단부(2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치 설정부(251), 분산 저장부(252), 데이터 처리부(253), 이벤트 발생부(254), 배치부(255) 및 자동 기준치 갱신부(256)로 구성된다.Here, the risk detection determining unit 250 is a reference value setting unit 251, a distributed storage unit 252, a data processing unit 253, an event generating unit 254, a placement unit 255, as shown in FIG. ) And an automatic reference value update unit 256.

상기 기준치 설정부(251)는 UHF 센서(210)와 열화상 센서(220)를 전력설비의 내부에 장소별로 설치하고, 상기 열화상 센서(220)는 장소의 영역별로 기준온도 데이터를 설정하고 상기 UHF 센서(210)는 장소별로 센서의 기준 방전 데이터를 설정한다. 즉, 상기 기준치 설정부(251)는 온도 및 부분방전 데이터에 대한 기준 데이터가 미리 설정되어 있다.The reference value setting unit 251 installs the UHF sensor 210 and the thermal image sensor 220 for each place in the power facility, and the thermal image sensor 220 sets reference temperature data for each area of the place, and the The UHF sensor 210 sets the reference discharge data of the sensor for each location. That is, the reference value setting unit 251 has preset reference data for temperature and partial discharge data.

상기 분산 저장부(252)는 상기 열화상 센서(220)로부터 검출된 온도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이때 장소별, 영역별 온도 데이터를 추출하여 장소명, 영역명과 함께 영역별 최고 온도 데이터를 연/월/일/시/분/초 단위로 저장한다.The distributed storage unit 252 stores temperature data detected from the thermal image sensor 220, and extracts temperature data for each location and area, and stores the maximum temperature data for each area along with the place name and area name. It is stored in units of days/hours/minutes/seconds.

또한, 상기 분산 저장부(252)는 상기 UHF 센서(210)로부터 검출된 부분방전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이때 부분방전 데이터의 장소별 부분방전 데이터를 추출하여 장소명, 영역명, 영역별 방전 데이터를 연/월/일/시/분/초 단위로 저장한다.In addition, the distributed storage unit 252 stores partial discharge data detected from the UHF sensor 210, and extracts partial discharge data for each place of the partial discharge data and links the place name, area name, and discharge data for each area. Save in /month/day/hour/minute/second unit.

상기 데이터 처리부(253)는 상기 분산 저장부(252)에서 장소 및 영역별로 추출된 온도 데이터 및 장소별로 추출된 부분방전 데이터를 상기 기준치 설정부(251)에 설정된 온도 기준 데이터 및 부분방전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고 그 결과를 상기 이벤트 발생부(254)로 전달한다.The data processing unit 253 converts the temperature data extracted for each location and area from the distributed storage unit 252 and the partial discharge data extracted for each location to the temperature reference data and the partial discharge reference data set in the reference value setting unit 251. It compares and transfers the result to the event generator 254.

상기 이벤트 발생부(254)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253)에서 처리된 온도 데이터 및 부분방전 데이터가 상기 기준치 설정부(251)의 기준 데이터보다 크면 온도 및 방전 이벤트 정보를 저장하고 각각 팝업을 표출한다. 이때 상기 온도 및 방전 이벤트는 알람이나 디스플레이를 통해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temperature data and partial discharge data processed by the data processing unit 253 are greater than the reference data of the reference value setting unit 251, the event generator 254 stores temperature and discharge event information and displays a pop-up,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temperature and discharge events can be checked by an administrator through an alarm or display.

상기 배치부(255)는 상기 UHF 센서(210) 및 열화상 센서(220)로부터 실시간으로 검출된 온도 데이터 및 부분방전 데이터를 기반으로 시간대별, 일별, 월별, 분기별로 자동으로 평균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해 배치 프로세스를 실행하여 평균 기준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한다.The placement unit 255 automatically extracts average data by time, daily, monthly, and quarterly based on temperature data and partial discharge data detected in real time from the UHF sensor 210 and the thermal image sensor 220. For this, the batch process is executed to generate and store the average reference data.

상기 자동 기준치 갱신부(256)는 상기 배치부(255)에서 생성된 평균 기준 데이터의 온도 데이터 및 부분방전 데이터를 기준으로 기준설정 온도 데이터 및 부분방전 데이터를 자동으로 갱신한다.The automatic reference value update unit 256 automatically updates the reference setting temperature data and partial discharge data based on the temperature data and partial discharge data of the average reference data generated by the arrangement unit 255.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발전소 전력설비의 재난 예방 상태감지 경보 시스템은 RDBMS(Relational Data Base Management System)로 구축되어 있으며 데이터를 저장하는 통합 데이터 베이스와, 온도 및 부분방전 데이터, 기준치 설정 데이터, 이벤트 데이터, 평균 데이터(시간, 일, 월별, 분기별) 등의 각종 데이터가 축적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isaster prevention state detection and alarm system of power plant power facili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uilt with RDBMS (Relational Data Base Management System), an integrated database that stores data, temperature and partial discharge data, reference value setting data, and event data. , Average data (hour, day, month, quarter), etc. are accumulated.

또한, IoT는 RDBMS에 Quary 기반의 분석 엔진을 사용하여 부분방전과 온도의 1차 기준치 정보는 시간대별, 일별, 월별, 분기별 평균 데이터 순으로 생성되며, 부분방전의 이상징후 지점을 확인하기 위해서 온도를 여러 영역으로 설정하고, 부분방전시 발생하는 온도변화지점 정보를 생성하여 이상징후 포인트(Point) 생성시 이벤트를 통해 팝업을 표출한다.In addition, IoT uses a Quary-based analysis engine in the RDBMS, and the primary reference value information of partial discharge and temperature is generated in the order of hourly, daily, monthly, and quarterly average data, and to identify abnormal signs of partial discharge. The temperature is set in several areas, and information on the temperature change point that occurs during partial discharge is generated, and when an abnormal symptom point is created, a pop-up is displayed through an event.

도 3은 도 1의 발전소 전력설비의 재난 예방 상태감지 경보 시스템에서 UHF 센서와 열화상 센서를 이용하여 부스바 및 연결부분의 온도 및 부분방전을 검출한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detecting the temperature and partial discharge of a busbar and a connection part using a UHF sensor and a thermal image sensor in the disaster prevention state detection alarm system of the power plant of FIG. 1.

도 3에서와 같이, 다수의 열화상 센서를 이용하여 부스바를 포함하여 연결부위(B)에 대한 부분방전과 온도를 영역별로 검출하여 그 결과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한다.As shown in FIG. 3, a plurality of thermal image sensors are used to detect partial discharge and temperature of the connection part (B) including the bus bar for each area, and the result is stored in a database.

즉, 각 영역별로 검출된 부분방전 및 온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시간대별, 일별, 월별, 분기별로 평균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때 부분방전의 이상징후 지점을 확인하기 위해 온도를 여러 영역으로 설정하고 부분방전시 발생하는 온도변화 지점 정보를 생성하여 이상징후가 발생한 지점에 대한 이벤트를 발생한다. In other words, by using the partial discharge and temperature data detected for each region, average data is generated by time, daily, monthly, and quarterly, and at this time, the temperature is set in several regions to check the abnormal signs of partial discharge and partial discharge. Generates information on the point of temperature change that occurs during the event, and generates an event for the point where the abnormality occurs.

도 4는 도 1의 발전소 전력설비의 재난 예방 상태감지 경보 시스템에서 분석내용을 모니터 화면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 4 is a view showing the analysis contents on a monitor screen in the disaster prevention state detection alarm system of the power plant of FIG. 1.

도 4에서와 같이, 전체 설비 및 개별 설비에 대한 트랜드를 분석하여 실시간으로 부분방전 크기 및 실시간 온도를 디스플레이함과 더불어 방전 및 열화상 크기와 함께 방전 및 열화상에 대한 이벤트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As shown in FIG. 4, the trend of the entire facility and individual facilities is analyzed to display the partial discharge size and real-time temperature in real time, as well as the discharge and thermal image size, as well as event information on the discharge and thermal images.

또한, 관리자는 모니터 화면을 보면서 일별, 주별, 월별, 연간 단위로 각 설비에 대한 부분방전 및 온도 정보를 확인할 수가 있다.In addition, the administrator can check the partial discharge and temperature information for each facility on a daily, weekly, monthly, or annual basis while viewing the monitor screen.

도 5는 도 1의 발전소 전력설비의 재난 예방 상태감지 경보 시스템에서 열화상 센서의 픽셀 제어를 나타낸 화면이다.5 is a screen showing the pixel control of the thermal image sensor in the disaster prevention state detection alarm system of the power plant of FIG. 1.

도 5에서와 같이, 열화상 센서의 온도 데이터를 제어하여 각 영역을 설정하여 세부 온도를 검출할 수 있는데, 그 설정 방법은 마우스로 시작점을 클릭하고 영역의 끝 부분을 클릭하여 감시영역을 설정하여 해당 부분에 대한 온도 정보를 검출하게 된다. 이때 영역 설정시 CCTV의 영상도 동시에 제공된다.As shown in Fig. 5, by controlling the temperature data of the thermal image sensor, each area can be set to detect the detailed temperature. The setting method is by clicking the start point with a mouse and clicking the end of the area to set the monitoring area. The temperature information for that part is detected. At this time, CCTV video is also provided at the same time when setting the area.

예를 들면, 고압설비의 판넬 내부 밀폐 공간은 20~100℃ 온도 분포별로 감시영역을 세분화하여 설비별 열화정보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For example, a closed space inside a panel of a high-pressure facility can more efficiently manage deterioration information for each facility by subdividing the monitoring area by temperature distribution of 20 to 100°C.

또한, 변압기, 특고압 차단기 등 상시 대전류가 흐르는 밀폐 공간의 사고 징후 지점을 점검하여 화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 fire accident in advance by checking the accident sign points in a confined space where a high current flows at all times, such as a transformer and a special high voltage circuit breaker.

도 6은 도 1의 발전소 전력설비의 재난 예방 상태감지 경보 시스템에서 열화상 센서의 픽셀 제어를 나타낸 화면이다.6 is a screen showing pixel control of a thermal image sensor in the disaster prevention state detection alarm system of the power plant of FIG. 1.

한편,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shown and described in specific embodiments to illustrat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am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s the specific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do not depart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arried out within the limits.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should be regarded as belongi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100 : 검출부 110 : UHF 센서
120 : 열화상 센서 130 : CCTV
200 : 분석부
210 : 부분방전 데이터 베이스 220 : 열화상 데이터 베이스
230 : 연기 분석부 240 : 불꽃 분석부
250 : 위험감지 판단부 260 : 픽셀 제어부
100: detection unit 110: UHF sensor
120: thermal image sensor 130: CCTV
200: analysis unit
210: partial discharge database 220: thermal image database
230: smoke analysis unit 240: flame analysis unit
250: risk detection determination unit 260: pixel control unit

Claims (8)

전력설비내에 부분방전, 온도, 연기 및 불꽃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각 정보 데이터를 근거로 분석하는 분석부로 구성되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전력설비의 내부에 발생하는 부분방전을 검출하는 UHF 센서와, 상기 전력설비 내부 일정 부분에 대한 온도를 검출하는 열화상 센서와, 상기 전력설비가 설치된 인근에 설치되어 상기 전력설비 및 그에 인접한 부분에서 발생하는 연기 및 불꽃을 감지하는 CCTV를 포함하고,
상기 분석부는 상기 UHF 센서로부터 검출된 부분방전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부분방전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열화상 센서로부터 검출된 온도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열화상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CCTV로부터 감지된 연기 및 불꽃에 대해서 기준 연기 농도 및 불꽃과 대비하여 분석하는 연기 및 불꽃 분석부와, 상기 부분방전 데이터 베이스 및 열화상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부분방전과 열화상의 정보를 전달받아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상기 구축된 빅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전력설비에 대한 위험감지를 분석하여 실시간으로 위험징후를 관리자에게 전달하는 위험감지 판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위험감지 판단부는
상기 UHF 센서와 열화상 센서를 전력설비의 내부에 장소별로 설치하고, 상기 열화상 센서는 장소의 영역별로 기준온도 데이터를 설정하고 상기 UHF 센서는 장소별로 센서의 기준 방전 데이터를 설정하는 기준치 설정부와,
상기 UHF 센서로부터 검출된 부분방전 데이터 및 열화상 센서로부터 검출된 온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분산 저장부와,
상기 분산 저장부에서 장소 및 영역별로 추출된 온도 데이터 및 장소별로 추출된 부분방전 데이터를 상기 기준치 설정부에 설정된 온도 기준 데이터 및 부분방전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고 그 결과를 전달하는 데이터 처리부와,
상기 데이터 처리부에서 처리된 온도 데이터 및 부분방전 데이터가 상기 기준치 설정부의 기준 데이터보다 크면 온도 이벤트 및 방전 이벤트 정보를 저장하고 각각 팝업을 표출하는 이벤트 발생부와,
상기 UHF 센서 및 열화상 센서로부터 실시간으로 검출된 온도 데이터 및 부분방전 데이터를 기반으로 시간대별, 일별, 월별, 분기별로 자동으로 평균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해 배치 프로세스를 실행하여 평균 기준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배치부와,
상기 배치부에서 생성된 평균 기준 데이터의 온도 데이터 및 부분방전 데이터를 기준으로 기준설정 온도 데이터 및 부분방전 데이터를 자동으로 갱신하는 자동 기준치 갱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전력설비의 재난 예방 상태감지 경보 시스템.
A detection unit that detects partial discharge, temperature, smoke and flame in the power facility,
It is composed of an analysis unit that analyzes based on each information data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The detection unit includes a UHF sensor that detects a partial discharge occurring inside the power facility, a thermal image sensor that detects a temperature for a certain part of the power facility, and is installed near the power facility to be installed in the power facility and Including a CCTV that detects smoke and flame generated in the adjacent part,
The analysis unit receives and stores partial discharge information detected from the UHF sensor, a thermal image database receives and stores temperature information detected from the thermal image sensor, and smoke detected from the CCTV and A smoke and flame analysis unit that analyzes the flame in comparison with the reference smoke concentration and flame, and the partial discharge and thermal image information stored in the partial discharge database and the thermal image database are received to construct big data, and the constructed It includes a risk detection judgment unit that analyzes risk detection for the power facility based on big data and delivers risk symptoms to the manager in real time,
The risk detection determination unit
The UHF sensor and the thermal image sensor are installed for each place in the power facility, the thermal image sensor sets the reference temperature data for each area of the place, and the UHF sensor is a reference value setting unit that sets the reference discharge data of the sensor for each place. Wow,
A distributed storage unit for storing partial discharge data detected from the UHF sensor and temperature data detected from a thermal image sensor,
A data processing unit that compares the temperature data extracted for each location and area from the distributed storage unit and the partial discharge data extracted for each location with the temperature reference data and the partial discharge reference data set in the reference value setting unit and delivers the result;
An event generator configured to store temperature event and discharge event information and display a pop-up respectively when the temperature data and partial discharge data processed by the data processing unit are greater than the reference data of the reference value setting unit;
Based on the temperature data and partial discharge data detected in real time from the UHF sensor and the thermal image sensor, a batch process is executed to automatically extract average data by time, daily, monthly, and quarterly to generate and store average reference data. And the placement unit to do it,
Disaster prevention state of a power plant power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utomatic reference value update unit that automatically updates the reference setting temperature data and partial discharge data based on the temperature data and partial discharge data of the average reference data generated by the arrangement unit. Detection alarm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감지 판단부는 상기 전력설비의 모니터 화면에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전력설비의 재난 예방 상태감지 경보 시스템.The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danger detection determination unit displays a result on a monitor screen of the power facilit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설비는 고압 케이블, 변압기, GIS, 개폐기, 수전설비, 배전반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전력설비의 재난 예방 상태감지 경보 시스템.The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power facility is any one of a high-voltage cable, a transformer, a GIS, a switch, a power receiving facility, and a switchboard.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설비의 내부에 설치되는 기기 또는 부품은 부스바, 진공차단기(VCB), 계기용변압기(PT), 전력량계량기(MOF), 부하개폐기(LBS), 부싱소자, 각종 몰드형 절연기기와 기기 연결 부품 및 절연 열화 예측이 요구되는 구성품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전력설비의 재난 예방 상태감지 경보 시스템.The apparatus of claim 3, wherein the equipment or parts installed inside the power facility is a bus bar, a vacuum circuit breaker (VCB), an instrument transformer (PT), a power meter (MOF), a load switch (LBS), a bushing element, and various types of equipment. Disaster prevention state detection alarm system of a power plant power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ny one of molded insulators, device connection parts, and components requiring prediction of insulation deterior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화상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온도에 대한 정보를 제어하는 픽셀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전력설비의 재난 예방 상태감지 경보 시스템.[2] The system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ixel controller for controlling temperature information stored in the thermal image databas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 저장부는 상기 열화상 센서로부터 검출된 데이터 정보를 장소별, 영역별로 온도 데이터를 추출하여 장소명, 영역명과 함께 영역별 최고 온도 데이터 및 연/월/일/시/분/초 단위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전력설비의 재난 예방 상태감지 경보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istributed storage unit extracts temperature data for each location and each area from the data information detected from the thermal image sensor, and the maximum temperature data for each area along with the place name and area name, and year/month/day/hour/minute. Disaster prevention state detection alarm system of power plant power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stored in / second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 저장부는 상기 UHF 센서로부터 검출된 부분방전 데이터를 장소별로 부분방전 데이터를 추출하여 장소명, 영역명, 영역별 방전 데이터를 연/월/일/시/분/초 단위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전력설비의 재난 예방 상태감지 경보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istributed storage unit extracts the partial discharge data detected from the UHF sensor for each place, and stores the place name, area name, and discharge data for each area in units of year/month/day/hour/minute/second. Disaster prevention condition detection and alarm system of a power plant power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stored as.
KR1020190085341A 2019-07-15 2019-07-15 Disaster Prevention Status Alarm System for Power Equipment in Power plants KR1022342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341A KR102234242B1 (en) 2019-07-15 2019-07-15 Disaster Prevention Status Alarm System for Power Equipment in Power pla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341A KR102234242B1 (en) 2019-07-15 2019-07-15 Disaster Prevention Status Alarm System for Power Equipment in Power pla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8758A KR20210008758A (en) 2021-01-25
KR102234242B1 true KR102234242B1 (en) 2021-04-01

Family

ID=74238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5341A KR102234242B1 (en) 2019-07-15 2019-07-15 Disaster Prevention Status Alarm System for Power Equipment in Power plan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424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5245B1 (en) * 2021-06-24 2024-03-12 더블유에스테크 주식회사 Distribution board for figuring out sign of electric fire or abnormality
CN113884846B (en) * 2021-12-07 2022-02-15 山东理工大学 Partial discharge and temperature rise online monitoring system for switch cabinet
CN117079441B (en) * 2023-10-16 2024-03-12 合肥工业大学 Fire disaster early warning method based on physical state of transformer of substa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8102B1 (en) * 2016-12-14 2017-09-13 유호전기공업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dedicated to power facility comprehensive preventive diagnosis and power facility comprehensive preventive diagnosis system
KR101894738B1 (en) * 2017-09-06 2018-09-04 주식회사 현태 System and methods for fire alarm of switchgea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961B1 (en) * 2006-11-14 2008-07-09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diagnosing electronic equipment using pattern recognition of thermal imag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8102B1 (en) * 2016-12-14 2017-09-13 유호전기공업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dedicated to power facility comprehensive preventive diagnosis and power facility comprehensive preventive diagnosis system
KR101894738B1 (en) * 2017-09-06 2018-09-04 주식회사 현태 System and methods for fire alarm of switchge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8758A (en) 2021-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7775B1 (en) System for Analysising and Predicting Electric Fire using Intelligent Pre-signal Analysis
KR102234242B1 (en) Disaster Prevention Status Alarm System for Power Equipment in Power plants
KR102008472B1 (en) Real Time Remote Management and Alarm Call out System of Electrical Consumers Type based on IoT
KR101824718B1 (en) Intelligent Automatic Control Panel Equipped with Self Diagnosis and Safety Functions
US20160349305A1 (en) Automated digital earth fault system
KR102309900B1 (en) The iot-based contactless lightning arrester diagnostic device and its management system using the device
KR101336317B1 (en) A u-city integration electrical safety management system including real time management and operation of the electrical installation of the large cities like u-city
US8583405B2 (en) Contingency analysis information for utility service network
KR100763881B1 (en) Method for digital diagnosising circuit breaker motion time of measurement
KR102145266B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power system
KR20100138248A (en) The electric-safety monitoring system managing state of the local leakage curcuit breaker and distributing board
CN106460198A (en) Cathodic protection management system
CN104977087A (en) Method for automatic early warning of power device fault based on infrared imaging and temperature measurement
US10761129B2 (en) Electrical power supply panel with increased safety through monitoring and control
KR101713076B1 (en) Measuring value and operating state indicating system for protection function of protective relay
KR20180070208A (en) Abnormality detection system of power line and distribution facility
KR101081929B1 (en) A distributing switch watch system
CN104777398A (en) Method and device for insulation monitoring including alarm diagnosis display
KR101535923B1 (en) An electric distributing board with diagnosis function of electric power quality through monitoring carbonization of power cable and dischare of power apparatus connecting parts
KR101510676B1 (en) Intelligent discharge monitoring vision system for electric distributing board
KR101302068B1 (en) The integrated gis local controlling panel digital system
KR101064673B1 (e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contact resistances of main circuit in a gas insulated switchgear
CN113064033B (en) Gas insulated switchgear and fault monitoring device thereof
CN115980438A (en) Method and system for acquiring double-bus electric energy metering voltage of transformer substation
CN212258243U (en) On-line monitoring system for switching s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