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3126B1 - System and method for verifying barcode scanning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verifying barcode scann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3126B1
KR102233126B1 KR1020200100433A KR20200100433A KR102233126B1 KR 102233126 B1 KR102233126 B1 KR 102233126B1 KR 1020200100433 A KR1020200100433 A KR 1020200100433A KR 20200100433 A KR20200100433 A KR 20200100433A KR 102233126 B1 KR102233126 B1 KR 102233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image
barcode
volume change
sc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04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세계아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세계아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세계아이앤씨
Priority to KR1020200100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312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3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3126B1/en
Priority to PCT/KR2021/010407 priority patent/WO2022035141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9/00335
    • G06K9/465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8Input by product or record sensing, e.g. weighing or scanne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5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using two or more images, e.g. averaging or subtr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74Segmentation; Edge detection involving the use of two or more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50Depth or shape recove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06V10/56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relating to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20Movements or behaviour, e.g. gesture recogn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212Image combination
    • G06T2207/20224Image subtr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a method of verifying whether a barcode is scanned, which comprises the steps of: a) acquiring, through an image acquisition module, an image of a product payment area including a barcode scanning area for product recognition and a product holding area in which barcode-scanned products are mounted; b) extracting a product object image from the barcode scanning area from the image through an image-based product recognition module, and recognizing a product under barcode scanning based on the product object image; c) calculating, through a total volume change amount calculation module, the total volume change amount of the product for which barcode scanning in the product holding area is completed based on the image; and d) through a barcode scan error determination module, determining the abnormal barcode scan or barcode scan omission of the product based on the total volume change of the product, the product recognized from the product object image, and the product recognized by the barcode scan.

Description

바코드 스캔 여부 검증 방법 및 시스템{SYSTEM AND METHOD FOR VERIFYING BARCODE SCANNING}Barcode scan verification method and system {SYSTEM AND METHOD FOR VERIFYING BARCODE SCANNING}

본 발명은 바코드 스캔 여부 검증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verifying whether a barcode is scanned.

슈퍼나 할인점 등 상점에서 고객이 구매한 상품의 계산은 대부분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를 읽어서 자동적으로 계산을 하고 있는데, 이러한 구매상품 계산을 위한 스캐너 및 컴퓨터 계산기가 연결된 시스템으로서 POS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POS 시스템은 컴퓨터와 연계되어, 고객이 구매한 상품의 가격을 매우 빠르고 정확하게 계산하여 매우 유용한 시스템을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 POS 시스템에는 스캐너라는 입력장치를 통해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로부터 정보를 읽어 각 상품의 가격 정산을 한다. 따라서, 상기 스캐너에 의해 읽히지 않은 상품은 계산에 제외되며, 이는 매장의 판매손실의 중요한 요인이다.Most of the calculations of products purchased by customers at stores such as supermarkets and discount stores are automatically calculated by reading barcodes attached to the products, and a POS system is used as a system connected to a scanner and a computer calculator for calculating such purchased products. The POS system is linked to a computer, and a very useful system is widely used by calculating the price of a product purchased by a customer very quickly and accurately. In this POS system, the price of each product is settled by reading information from the barcode attached to the product through an input device called a scanner. Therefore, products that have not been read by the scanner are excluded from the calculation, which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sales loss of the store.

최근 각 매장에는 무인 계산대(SCO, Self-Check Out)가 설치되고 있으며 이러한 무인 계산대의 경우 고객이 바코드 스캔을 직접 수행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바코드 스캔 누락 또는 다른 상품의 바코드를 스캔하는 행위들이 발생할 수 있다.Recently, each store has an unmanned checkout counter (SCO, Self-Check Out) installed, and in the case of such an unmanned checkout counter, customers perform barcode scans themselves. In this process, there may be an omission of barcode scanning or the scanning of barcodes of other products.

각 매장에서는 이러한 행위들을 감시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관리자를 배치하고 있으나 관리자 한 명이 여러 대의 무인 계산대를 감시하게 되는 바, 위의 행위들을 모두 감시하기는 실질적으로 어렵고, 여러 명의 감시자를 둘 경우 인건비 상승에 따른 부담이 커질 수 있다.Each store usually has a manager to monitor these activities, but one manager monitors several unmanned checkout counters, so it is practically difficult to monitor all of the above activities. The burden can be increased.

이에 따라, 무인 계산대(SCO, Self-Check Out)를 통한 결제 과장에서 바코드 스캔 누락 또는 다른 상품의 바코드를 스캔하는 행위를 감시하고 이를 방지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Accordingly,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 technology capable of monitoring and preventing the act of scanning barcodes of other products or missing barcode scans in a payment manager through an unmanned checkout counter (SCO, Self-Check Out) is gradually increasing.

본 발명의 실시예는 깊이 영상을 이용하여 산출한 상품의 총 부피 변화량, 컬러 영상을 이용하여 인식한 상품 및 바코드 스캔에 의해 인식된 상품을 기반으로 상품의 비정상 바코드 스캔 또는 바코드 스캔 누락을 판단할 수 있는 바코드 스캔 여부 검증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rmine the abnormal barcode scan or missing barcode scan of the product based on the total volume change amount of the product calculated using the depth image, the product recognized using the color image, and the product recognized by the barcode sca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for verifying whether a barcode can be scanned.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are clearly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will be understandab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코드 스캔 여부 검증 방법은 a) 영상 획득 모듈을 통해, 상품 인식을 위한 바코드 스캔영역과 바코드 스캔이 완료된 상품이 거치되는 상품 거치영역을 포함하는 상품 결제영역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b) 영상기반 상품인식 모듈을 통해, 상기 영상으로부터 상기 바코드 스캔영역에서 상품 객체 영상을 추출하고, 상기 상품 객체 영상을 기반으로 바코드 스캔 중인 상품을 인식하는 단계; c) 총 부피 변화량 산출 모듈을 통해, 상기 영상을 기반으로 상기 상품 거치영역에서의 바코드 스캔이 완료된 상품의 총 부피 변화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d) 바코드 스캔 오류 판단 모듈을 통해, 상기 상품의 총 부피 변화량, 상기 상품 객체 영상으로부터 인식된 상품 및 바코드 스캔에 의해 인식된 상품을 기반으로 상품의 비정상 바코드 스캔 또는 바코드 스캔 누락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verifying whether a barcode is scan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an image of a product payment region including a barcode scanning region for product recognition and a product mounting region in which the barcode-scanned product is mounted through an image acquisition module. Obtaining a; b) extracting a product object image from the barcode scanning area from the image through an image-based product recognition module, and recognizing a product being scanned barcode based on the product object image; c) calculating a total volume change amount of the product on which the barcode scan has been completed in the product storage area based on the image through the total volume change amount calculation module; And d) determining an abnormal barcode scan or missing barcode scan of the product based on the total volume change of the product, the product recognized from the product object image, and the product recognized by the barcode scan through a barcode scan error determination module. Includes.

상기 d) 단계는: d-1) 신규상품 거치여부 판단 유닛을 통해, 상기 총 부피 변화량을 설정된 기준 부피 변화량과 비교하여 상기 상품 거치영역에 신규상품이 거치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d-2) 바코드 스캔여부 판단 유닛을 통해, 상기 신규상품이 거치되기 전에 상기 신규상품에 대한 바코드 스캔이 수행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d-3) 바코드 스캔 오류 판단 유닛을 통해, 상기 신규상품이 상기 상품 거치영역에 거치되기 전에 바코드 스캔이 수행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바코드 스캔 누락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d) includes: d-1) comparing the total volume change amount with a set reference volume change amount through a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a new product is placed, and determining whether a new product is placed in the product storage area; d-2) determining whether a barcode scan has been performed on the new product before the new product is installed, through a barcode scan determination unit; And d-3)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barcode scan has not been performed before the new product is placed in the product mounting area through the barcode scan error determination unit, determining that the barcode scan is omitted.

상기 d) 단계는: d-1) 신규상품 거치여부 판단 유닛을 통해, 상기 총 부피 변화량을 설정된 기준 부피 변화량과 비교하여 상기 상품 거치영역에 신규상품이 거치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d-2) 바코드 스캔여부 판단 유닛을 통해, 상기 신규상품이 거치되기 전에 상기 신규상품에 대한 바코드 스캔이 수행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d-4) 바코드 스캔 오류 판단 유닛을 통해, 상기 신규상품에 대한 바코드 스캔이 수행되었으나 상기 상품 객체 영상을 기반으로 인식된 상품과 상기 바코드 스캔에 의해 인식된 상품이 불일치하는 경우, 상기 비정상 바코드 스캔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d) includes: d-1) comparing the total volume change amount with a set reference volume change amount through a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a new product is placed, and determining whether a new product is placed in the product storage area; d-2) determining whether a barcode scan has been performed on the new product before the new product is installed, through a barcode scan determination unit; And d-4) when a barcode scan is performed on the new product through the barcode scan error determination unit, but the product recognized based on the product object image and the product recognized by the barcode scan do not match, the abnormal barcode It may include the step of determining by scanning.

상기 a) 단계는: a-1) 영상 획득 유닛에 포함된 깊이 카메라에 의해, 상기 상품 거치영역에 대한 깊이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a-2) 영상 획득 유닛에 포함된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상기 바코드 스캔영역에 대한 컬러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a-3) 움직임 영역 추출 유닛을 통해, 상기 컬러영상에서 객체의 움직임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및 a-4) 움직임 정도 판단 유닛을 통해, 상기 움직임 영역에서 상기 객체의 움직임 정도가 설정된 움직임 기준값 미만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a-4) 단계에서 상기 움직임 정도가 상기 움직임 기준값 미만인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The step a) includes: a-1) obtaining a depth image of the product mounting area by a depth camera included in the image acquisition unit; a-2) obtaining a color image for the barcode scan area by a digital camera included in an image acquisition unit; a-3) extracting a motion region of an object from the color image through a motion region extraction unit; And a-4) determining whether the motion degree of the object in the motion region is less than a set motion reference value through a motion degree determination unit, wherein the step b) is performed in the step a-4). It may be performed when it is less than the motion reference value.

상기 c) 단계는: c-1) 차영상 획득 유닛을 통해, 상기 상품 거치영역에서 획득한 깊이영상과 배경 깊이영상을 비교하여 깊이 차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상품 거치영역에서 획득한 컬러영상과 배경 컬러영상을 비교하여 컬러 차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c-2) 이진화 영상 획득 유닛을 통해, 상기 깊이 차영상을 이진화하여 깊이 이진화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컬러 차영상을 이진화하여 컬러 이진화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c-3) 제1 영상영역 추출 유닛을 통해, 상기 깊이 이진화 영상으로부터 제1 화소값을 갖는 제1 영상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c-4) 제2 영상영역 추출 유닛을 통해, 상기 컬러 이진화 영상으로부터 제2 화소값을 갖는 제2 영상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c-5) 제1 부분 부피 변화량 산출 유닛을 통해, 상기 제1 영상영역의 넓이 및 상기 제1 영상영역에 해당하는 깊이영상을 기반으로 상기 제1 영상영역의 제1 부분 부피 변화량을 산출하는 단계; c-6) 제3 영상영역 추출 유닛을 통해, 상기 제2 영상영역 중 상기 제1 영상영역과 중첩되지 않는 제3 영상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c-7) 제2 부분 부피 변화량 산출 유닛을 통해, 상기 제3 영상영역의 넓이에 대해 기준 상수를 적분하여 제2 부분 부피 변화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c-8) 총 부피 변화량 산출 유닛을 통해, 상기 제1 부분 부피 변화량 및 상기 제2 부분 부피 변화량을 기반으로 상기 상품의 총 부피 변화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c) is: c-1) through a difference image acquisition unit, a depth difference image is obtained by comparing the depth image acquired in the product mounting area with a background depth image, and the color image acquired in the product mounting area Comparing a background color image to obtain a color difference image; c-2) obtaining a depth binarized image by binarizing the depth difference image through a binarized image acquisition unit, and binarizing the color difference image to obtain a color binarized image; c-3) extracting a first image region having a first pixel value from the depth binarized image through a first image region extraction unit; c-4) extracting a second image region having a second pixel value from the color binarized image through a second image region extraction unit; c-5) calculating a first partial volume change amount of the first image region based on the width of the first image region and a depth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image region through a first partial volume change amount calculation unit ; c-6) extracting a third image region that does not overlap with the first image region from among the second image regions through a third image region extraction unit; c-7) calculating a second partial volume change amount by integrating a reference constant with respect to the area of the third image area through a second partial volume change amount calculating unit; And c-8) calculating a total volume change amount of the product based on the first partial volume change amount and the second partial volume change amount through the total volume change amount calculation unit.

e) 배경 영상 갱신 모듈을 통해, 정상 바코드 스캔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상품이 상기 상품 거치영역에 거치된 후에 획득된 컬러영상 및 깊이영상을 상기 배경 컬러영상 및 상기 배경 깊이영상으로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e) updating a color image and a depth image obtained after the product is placed in the product mounting area as the background color image and the background depth image when it is determined that normal barcode scanning has been performed through the background image update module It may further include.

f) 구매 리스트 갱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정상 바코드 스캔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정상 바코드 스캔으로 파악된 상품을 구매 리스트에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f)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normal barcode scan has been performed through the purchase list update module, adding the product identified by the normal barcode scan to the purchase lis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록 매체는 바코드 스캔 여부 검증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이다.A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a method of verifying whether to scan a barcode is record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코드 스캔 여부 검증 시스템은 상품 인식을 위한 바코드 스캔영역과 바코드 스캔이 완료된 상품이 거치되는 상품 거치영역을 포함하는 상품 결제영역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 모듈; 상기 영상으로부터 상기 바코드 스캔영역에서 상품 객체 영상을 추출하고, 상기 상품 객체 영상을 기반으로 바코드 스캔 중인 상품을 인식하는 영상기반 상품인식 모듈; 상기 영상을 기반으로 상기 상품 거치영역에서의 바코드 스캔이 완료된 상품의 총 부피 변화량을 산출하는 총 부피 변화량 산출 모듈; 및 상기 상품의 총 부피 변화량, 상기 상품 객체 영상으로부터 인식된 상품 및 바코드 스캔에 의해 인식된 상품을 기반으로 상품의 비정상 바코드 스캔 또는 바코드 스캔 누락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코드 스캔 오류 판단 모듈을 포함한다.A system for verifying whether to scan a barcod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acquisition module for acquiring an image of a product payment area including a barcode scan area for product recognition and a product placement area in which a product on which the barcode scan has been completed is mounted; An image-based product recognition module for extracting a product object image from the barcode scanning area from the image and recognizing a product being scanned with a barcode based on the product object image; A total volume change calculation module for calculating a total volume change amount of the product on which the barcode scan has been completed in the product storage area based on the image; And determining an abnormal barcode scan or missing barcode scan of a product based on the total volume change of the product, the product recognized from the product object image, and the product recognized by the barcode scan. do.

상기 바코드 스캔 오류 판단 모듈은: 상기 총 부피 변화량을 설정된 기준 부피 변화량과 비교하여 상기 상품 거치영역에 신규상품이 거치되었는지 판단하는 신규상품 거치여부 판단 유닛; 상기 신규상품이 거치되기 전에 상기 신규상품에 대한 바코드 스캔이 수행되었는지 판단하는 바코드 스캔여부 판단 유닛; 및 상기 신규상품이 상기 상품 거치영역에 거치되기 전에 바코드 스캔이 수행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바코드 스캔 누락으로 판단하는 바코드 스캔 오류 판단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The barcode scan error determination module includes: a new product placement determination unit that compares the total volume change amount with a set reference volume change amount to determine whether a new product is placed in the product placement area; A bar code scan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a bar code scan has been performed on the new product before the new product is placed; And a barcode scan error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that the barcode scan is missing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barcode scan has not been performed before the new product is placed in the product mounting area.

상기 바코드 스캔 오류 판단 모듈은: 상기 총 부피 변화량을 설정된 기준 부피 변화량과 비교하여 상기 상품 거치영역에 신규상품이 거치되었는지 판단하는 신규상품 거치여부 판단 유닛; 상기 신규상품이 거치되기 전에 상기 신규상품에 대한 바코드 스캔이 수행되었는지 판단하는 바코드 스캔여부 판단 유닛; 및 상기 신규상품에 대한 바코드 스캔이 수행되었으나 상기 상품 객체 영상을 기반으로 인식된 상품과 상기 바코드 스캔에 의해 인식된 상품이 불일치하는 경우, 상기 비정상 바코드 스캔으로 판단하는 바코드 스캔 오류 판단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The barcode scan error determination module includes: a new product placement determination unit that compares the total volume change amount with a set reference volume change amount to determine whether a new product is placed in the product placement area; A bar code scan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a bar code scan has been performed on the new product before the new product is placed; And a barcode scan error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as the abnormal barcode scan when the barcode scan for the new product is performed but the product recognized based on the product object image and the product recognized by the barcode scan do not match. I can.

상기 영상 획득 모듈은: 깊이 카메라에 의해 상기 상품 거치영역에 대한 깊이영상을 획득하고,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상기 바코드 스캔영역에 대한 컬러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 유닛; 상기 컬러영상에서 객체의 움직임 영역을 추출하는 움직임 영역 추출 유닛; 및 상기 움직임 영역에서 상기 객체의 움직임 정도가 설정된 움직임 기준값 미만인지 판단하고, 상기 움직임 정도가 상기 움직임 기준값 미만인 경우 상기 영상기반 상품인식 모듈의 동작 신호를 발생시키는 움직임 정도 판단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The image acquisition module includes: an image acquisition unit that acquires a depth image of the product mounting area by a depth camera and acquires a color image of the barcode scan area by a digital camera; A motion region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a motion region of an object from the color image; And a motion degree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a motion degree of the object in the motion region is less than a set motion reference value, and generates a motion signal of the image-based product recognition module when the motion degree is less than the motion reference value.

상기 총 부피 변화량 산출 모듈은: 상기 상품 거치영역에서 획득한 깊이영상과 배경 깊이영상을 비교하여 깊이 차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상품 거치영역에서 획득한 컬러영상과 배경 컬러영상을 비교하여 컬러 차영상을 획득하는 차영상 획득 유닛; 상기 깊이 차영상을 이진화하여 깊이 이진화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컬러 차영상을 이진화하여 컬러 이진화 영상을 획득하는 이진화 영상 획득 유닛; 상기 깊이 이진화 영상으로부터 제1 화소값을 갖는 제1 영상영역을 추출하는 제1 영상영역 추출 유닛; 상기 컬러 이진화 영상으로부터 제2 화소값을 갖는 제2 영상영역을 추출하는 제2 영상영역 추출 유닛; 상기 제1 영상영역의 넓이 및 상기 제1 영상영역에 해당하는 깊이영상을 기반으로 상기 제1 영상영역의 제1 부분 부피 변화량을 산출하는 제1 부분 부피 변화량 산출 유닛; 상기 제2 영상영역 중 상기 제1 영상영역과 중첩되지 않는 제3 영상영역을 추출하는 제3 영상영역 추출 유닛; 상기 제3 영상영역의 넓이에 대해 기준 상수를 적분하여 제2 부분 부피 변화량을 산출하는 제2 부분 부피 변화량 산출 유닛; 및 상기 제1 부분 부피 변화량 및 상기 제2 부분 부피 변화량을 기반으로 상기 상품의 총 부피 변화량을 산출하는 총 부피 변화량 산출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The total volume change calculation module: Comparing the depth image and background depth image acquired in the product mounting area to obtain a depth difference image, and comparing the color image and background color image acquired in the product mounting area to obtain a color difference image A difference image acquiring unit for acquiring; A binarized image acquisition unit for binarizing the depth difference image to obtain a depth binarized image, and binarizing the color difference image to obtain a color binarized image; A first image region extraction unit extracting a first image region having a first pixel value from the depth binarized image; A second image region extraction unit extracting a second image region having a second pixel value from the color binarized image; A first partial volume change amount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a first partial volume change amount of the first image region based on the area of the first image region and a depth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image region; A third image region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a third image region not overlapping with the first image region from among the second image regions; A second partial volume change amount calculating unit for calculating a second partial volume change amount by integrating a reference constant with respect to the area of the third image area; And a total volume change amount calculating unit calculating a total volume change amount of the product based on the first partial volume change amount and the second partial volume change amount.

정상 바코드 스캔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상품이 상기 상품 거치영역에 거치된 후에 획득된 컬러영상 및 깊이영상을 상기 배경 컬러영상 및 상기 배경 깊이영상으로 갱신하는 배경 영상 갱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normal barcode scan has been performed, a background image update module for updating a color image and a depth image obtained after the product is mounted in the product mounting area to the background color image and the background depth image may be further included. have.

상기 정상 바코드 스캔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정상 바코드 스캔으로 파악된 상품을 구매 리스트에 추가하여 상기 구매 리스트를 갱신하는 구매 리스트 갱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normal barcode scan has been performed, a purchase list update module for updating the purchase list by adding a product identified by the normal barcode scanning to a purchase list may be further inclu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코드 스캔 여부 검증 방법 및 시스템은 깊이 영상을 이용하여 산출한 상품의 총 부피 변화량, 컬러 영상을 이용하여 인식한 상품 및 바코드 스캔에 의해 인식된 상품을 기반으로 상품의 비정상 바코드 스캔 또는 바코드 스캔 누락을 판단할 수 있다.The method and system for verifying whether a barcode is scan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product's total volume change calculated using the depth image, the product recognized using the color image, and the product recognized by the barcode sca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a barcode scan or a barcode scan omission.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effects obtain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I will be able t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코드 스캔 여부 검증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코드 스캔 여부 검증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영상 획득 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S100 단계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총 부피 변화량 산출 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S300 단계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바코드 스캔 오류 판단 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은 S400 단계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8b은 S400 단계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verifying whether a barcode is scan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verifying whether a barcode is scan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mage acquisition module.
4 is a flowchart showing step S100 in more detail.
5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otal volume change calculation module.
6 is a flowchart showing step S300 in more detail.
7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arcode scan error determination module.
8A is a flowchart of step S4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8B is a flowchart of step S4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Other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to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e possessor,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만일 정의되지 않더라도,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기술 혹은 과학 용어들을 포함)은 이 발명이 속한 종래 기술에서 보편적 기술에 의해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인 사전들에 의해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된 기술 그리고/혹은 본 출원의 본문에 의미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고, 그리고 여기서 명확하게 정의된 표현이 아니더라도 개념화되거나 혹은 과도하게 형식적으로 해석되지 않을 것이다.Even if not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accepted by universal technology in the prior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defined by general dictionaries may be construed as having the same meaning as the related description and/or the text of this application, and not conceptualized or excessively formalized, even if not clearly defined herein. Won't.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이 동사의 다양한 활용형들 예를 들어, '포함', '포함하는', '포함하고', '포함하며' 등은 언급된 조성, 성분,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조성, 성분,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나열된 구성들 각각 또는 이들의 다양한 조합을 가리킨다.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exemplary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As used in the specification,'include' and/or various conjugated forms of this verb, for example,'including','including','including','including', and the like refer to the mentioned composition, ingredient, component,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sitions, components,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and/or' refers to each of the listed components or various combinations thereof.

한편, 본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부', '~기', '~블록',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할 수 있다. 그렇지만 '~부', '~기', '~블록', '~모듈' 등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기', '~블록',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Meanwhile, terms such as'~ unit','~ group','~ block', and'~ module' used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may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For example, it can mean software, hardware components such as FPGAs or ASICs. However,'~bu','~gi','~block', and'~module' are not meant to be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The'~ unit','~ group','~ block', and'~ module' may be configured to b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or may be configured to reproduce one or more processors.

이하, 본 명세서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코드 스캔 여부 검증 시스템(1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ystem 10 for verifying whether a barcode is scan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바코드 스캔 여부 검증 시스템(10)은 영상 획득 모듈(100), 영상기반 상품인식 모듈(200), 총 부피 변화량 산출 모듈(300), 바코드 스캔 오류 판단 모듈(400), 배경 영상 갱신 모듈(500) 및 구매 리스트 갱신 모듈(60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barcode scan verification system 10 includes an image acquisition module 100, an image-based product recognition module 200, a total volume change calculation module 300, a barcode scan error determination module 400, and a background An image update module 500 and a purchase list update module 600 may be included.

영상 획득 모듈(100)은 상품 인식을 위한 바코드 스캔영역과 바코드 스캔이 완료된 상품이 거치되는 상품 거치영역을 포함하는 상품 결제영역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영상기반 상품인식 모듈(200)은 상기 영상으로부터 상기 바코드 스캔영역에서 상품 객체 영상을 추출하고, 상기 상품 객체 영상을 기반으로 바코드 스캔 중인 상품을 인식할 수 있다 총 부피 변화량 산출 모듈(300)은 상기 영상을 기반으로 상기 상품 거치영역에서의 바코드 스캔이 완료된 상품의 총 부피 변화량을 산출할 수 있다. 바코드 스캔 오류 판단 모듈(400)은 상기 상품의 총 부피 변화량, 상기 상품 객체 영상으로부터 인식된 상품 및 바코드 스캔에 의해 인식된 상품을 기반으로 상품의 비정상 바코드 스캔 또는 바코드 스캔 누락을 판단할 수 있다. 배경 영상 갱신 모듈(500)은 정상 바코드 스캔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상품이 상기 상품 거치영역에 거치된 후에 획득된 컬러영상 및 깊이영상을 상기 배경 컬러영상 및 상기 배경 깊이영상으로 갱신할 수 있다. 구매 리스트 갱신 모듈(600)은 상기 정상 바코드 스캔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정상 바코드 스캔으로 파악된 상품을 구매 리스트에 추가하여 상기 구매 리스트를 갱신할 수 있다.The image acquisition module 100 may acquire an image of a product payment area including a barcode scan area for product recognition and a product placement area in which a product on which the barcode scan has been completed is mounted. The image-based product recognition module 200 extracts a product object image from the barcode scanning area from the image, and recognizes a product being scanned for a barcode based on the product object image. Based on the image,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total volume change amount of the product on which the barcode scan has been completed in the product mounting area. The barcode scan error determination module 400 may determine an abnormal barcode scan or an omission of barcode scan of a product based on the total volume change amount of the product, the product recognized from the product object image, and the product recognized by the barcode sca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normal barcode scan has been performed, the background image update module 500 may update the color image and the depth image acquired after the product is placed in the product mounting area as the background color image and the background depth image. hav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normal barcode scan has been performed, the purchase list update module 600 may update the purchase list by adding a product identified by the normal barcode scanning to a purchase list.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코드 스캔 여부 검증 방법(S10)의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of a method S10 for verifying whether a barcode is scan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바코드 스캔 여부 검증 방법(S10)은 영상 획득 모듈(100)을 통해, 상품 인식을 위한 바코드 스캔영역과 바코드 스캔이 완료된 상품이 거치되는 상품 거치영역을 포함하는 상품 결제영역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S100), 영상기반 상품인식 모듈(200)을 통해, 상기 영상으로부터 상기 바코드 스캔영역에서 상품 객체 영상을 추출하고, 상기 상품 객체 영상을 기반으로 바코드 스캔 중인 상품을 인식하는 단계(S200), 총 부피 변화량 산출 모듈(300)을 통해, 상기 영상을 기반으로 상기 상품 거치영역에서의 바코드 스캔이 완료된 상품의 총 부피 변화량을 산출하는 단계(S300), 바코드 스캔 오류 판단 모듈(400)을 통해, 상기 상품의 총 부피 변화량, 상기 상품 객체 영상으로부터 인식된 상품 및 바코드 스캔에 의해 인식된 상품을 기반으로 상품의 비정상 바코드 스캔 또는 바코드 스캔 누락을 판단하는 단계(S400), 배경 영상 갱신 모듈(500)을 통해, 정상 바코드 스캔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상품이 상기 상품 거치영역에 거치된 후에 획득된 컬러영상 및 깊이영상을 상기 배경 컬러영상 및 상기 배경 깊이영상으로 갱신하는 단계(S500) 및 구매 리스트 갱신 모듈(600)을 통해, 상기 정상 바코드 스캔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정상 바코드 스캔으로 파악된 상품을 구매 리스트에 추가하는 단계(S6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a method for verifying whether a barcode is scanned (S10) is performed in a product payment area including a barcode scanning area for product recognition and a product mounting area in which a product having completed barcode scanning is mounted, through the image acquisition module 100. Obtaining an image for (S100), extracting a product object image from the barcode scanning area from the image through the image-based product recognition module 200, and recognizing the product being scanned barcode based on the product object image. Step (S200), through the total volume change calculation module 300, calculating the total volume change amount of the product for which the barcode scan has been completed in the product storage area based on the image (S300), a barcode scan error determination module ( 400), determining an abnormal barcode scan or missing barcode scan of a product based on the total volume change amount of the product, the product recognized from the product object image, and the product recognized by the barcode scan (S400), a background imag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normal barcode scan has been performed through the update module 500, updating the color image and the depth image obtained after the product is placed in the product mounting area to the background color image and the background depth image ( S500) and the purchase list update module 60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normal barcode scan has been performed, adding a product identified by the normal barcode scan to the purchase list (S600).

이하에서는 바코드 스캔 여부 검증 시스템(10)을 통한 바코드 스캔 여부 검증 방법(S1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method (S10) for verifying whether to scan a barcode through the system 10 for verifying whether to scan a barcod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3은 영상 획득 모듈(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mage acquisition module 100.

도 3을 참조하면, 영상 획득 모듈(100)은 영상 획득 유닛(110), 움직임 영역 추출 유닛(120) 및 움직임 정도 판단 유닛(13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image acquisition module 100 may include an image acquisition unit 110, a motion region extraction unit 120, and a motion degree determination unit 130.

무인 계산대(SCO, Self-Check Out)의 도입에 따라 상품을 구매하려는 구매자는 구매할 상품을 매대에서 고른 후 무인 계산대로 가져와 직접 바코드 스캔을 진행하게 된다.With the introduction of an unmanned checkout counter (SCO, Self-Check Out), a buyer who wants to purchase a product selects the product to purchase from the counter, then brings it to an unmanned cash register and scans the barcode directly.

무인 계산대에는 바코드 스캔을 수행하기 전의 상품을 거치하는 영역, 바코드 스캐너를 통한 상품 인식을 수행하는 바코드 스캔 영역 및 바코드 스캔이 완료된 상품이 거치되는 상품 거치 영역을 포함하는 상품 결제영역이 제공된다.The unmanned checkout counter is provided with a product payment area including an area for placing products before performing barcode scanning, a barcode scanning area for performing product recognition through a barcode scanner, and a product placing area for placing products on which barcode scanning has been completed.

상품 결제영역을 바라볼 수 있는 영역에는 상품 결제영역에 대한 영상 및 상품 결제영역에 존재하는 상품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영상 획득 유닛(110)이 제공된다.An image acquisition unit 110 capable of acquiring an image of a product payment area and an image of a product existing in the product payment area is provided in an area where the product payment area can be viewed.

영상 획득 유닛(110)은 깊이 카메라에 의해 상기 상품 거치영역에 대한 깊이영상을 획득하고,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상기 바코드 스캔영역에 대한 컬러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물론 이 외에도 영상 획득 유닛(110)에 포함된 깊이 카메라 및 디지털 카메라는 상품 결제영역의 전 영역에 걸쳐 깊이영상 및 컬러영상을 획득하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The image acquisition unit 110 may acquire a depth image of the product mounting area by a depth camera, and acquire a color image of the barcode scan area by a digital camera. Of course, in addition to this, the depth camera and digital camera included in the image acquisition unit 110 may be provided to acquire a depth image and a color image over the entire area of the product payment area.

카메라는 깊이 카메라 및 디지털 카메라로 제공될 수 있다. 깊이 카메라로는 광다이오드(PD, Photo Diode) 형태의 카메라, 비디콘(vidicon) 형태의 카메라, 삼각측량 방식의 3차원 레이저 스캐너, 구조 광선패턴을 이용한 깊이 카메라, 적외선의 반사 시간 차이를 이용한 TOF(Time-Of-flight) 방식의 깊이 카메라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품의 3차원 거리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깊이 카메라라면 종류에 관계없이 적용될 수 있다. 디지털 카메라는 역시 컬러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면 종류에 관계없이 적용될 수 있다.The camera can be provided as a depth camera and a digital camera. The depth camera includes a photodiode (PD) type camera, a vidicon type camera, a triangulation type 3D laser scanner, a depth camera using a structured ray pattern, and a TOF using the difference in reflection time of infrared rays. A depth camera of the (Time-Of-flight) method can be appli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depth camera capable of obtaining 3D distance information of a product may be applied regardless of the type. Digital cameras can also be applied irrespective of the type as long as they can acquire color images.

움직임 영역 추출 유닛(120)은 상기 컬러영상에서 객체의 움직임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바코드 스캔영역에 대한 컬러영상을 획득하면, 움직임 영역 추출 유닛(120)은 바코드 스캔영역에 대한 컬러영상에서 객체의 움직임이 존재하는 영역인 움직임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객체는 바코드 스캔이 진행중인 상품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움직임 영역 추출 유닛(120)을 통해 상품 객체의 움직임이 존재하는 영상만을 추출할 수 있다.The motion region extraction unit 120 may extract a motion region of an object from the color image. When a color image for the barcode scan area is acquired by the digital camera, the motion area extraction unit 120 may extract a motion area, which is an area in which motion of an object exists, from the color image for the barcode scan area. Here, the object may be a product on which barcode scanning is in progress, and in this case, only an image in which the motion of the product object exists may be extracted through the motion region extraction unit 120.

움직임 정도 판단 유닛(130)은 상기 움직임 영역에서 상기 객체의 움직임 정도가 설정된 움직임 기준값 미만인지 판단하고, 상기 움직임 정도가 상기 움직임 기준값 미만인 경우 상기 영상기반 상품인식 모듈(200)의 동작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The motion degree determination unit 130 determines whether the motion degree of the object in the motion area is less than a set motion reference value, and generates an operation signal of the image-based product recognition module 200 when the motion degree is less than the motion reference value. I can.

상품 객체의 움직임으로 인해 영상에 번짐(블러) 효과가 생길 경우 상품 인식률이 떨어지기에, 영상기반 상품인식 모듈(200)을 통해 영상으로부터 상품 객체 영상을 추출하고 상품 객체 영상를 기반으로 상품을 인식하기 위해서는, 영상기반 상품인식 모듈(200)이 요구하는 품질 이상의 영상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움직임 정도 판단 유닛(130)은 움직임 영역 추출 유닛(120)을 통해 추출한 움직임 영역에서의 상품 객체의 움직임 정도가 움직임 기준값 미만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상품 객체의 움직임 정도가 움직임 기준값 미만인 경우 영상기반 상품인식 모듈(200)이 요구하는 품질 이상의 영상이 획득되었다고 판단하고, 영상기반 상품인식 모듈(200)의 동작을 위한 동작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Since the product recognition rate decreases when a blur effect occurs in the image due to the movement of the product object, in order to extract the product object image from the image through the image-based product recognition module 200 and recognize the product based on the product object image, , An image higher than the quality required by the image-based product recognition module 200 is required. To this end, the motion degree determination unit 130 determines whether the motion degree of the product object in the motion region extracted through the motion region extraction unit 120 is less than a motion reference value. If the degree of movement of the product object is less than the motion reference value, it is determined that an image higher than the quality required by the image-based product recognition module 200 is obtained, and an operation signal for the operation of the image-based product recognition module 200 may be generated. have.

예를 들어, 구매자가 상품을 바코드 스캐너로 가져가 스캔하려는 과정을 생각해 보면, 바코드 스캐너로 접근하거나 바코드 스캐너로부터 멀어지는 동안에는 상품 객체의 움직임 정도가 움직임 기준값 이상일 수 있다. 하지만 바코드 스캐너로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를 스캔하는 동안에는 상품 객체의 움직임이 줄어들게 됨으로써 상품 객체의 움직임 정도가 움직임 기준값 미만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영상기반 상품인식 모듈(200)은 상품 객체가 바코드 스캐너를 통해 바코드 스캔이 수행되고 있는 시간 동안의 상품 객체에 대한 영상을 기반으로 바코드 스캔 중인 상품을 인식할 수 있다.For example, considering a process in which a buyer takes a product to a barcode scanner and scans it, the degree of movement of the product object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motion reference value while approaching the barcode scanner or moving away from the barcode scanner. However, while the barcode attached to the product is scanned with the barcode scanner, the movement of the product object is reduced, so that the degree of movement of the product object may be less than the motion reference value. Through this, the image-based product recognition module 200 may recognize the product being scanned barcode based on the image of the product object during the time during which the barcode scan is being performed by the product object through the barcode scanner.

도 4는 S100 단계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showing step S100 in more detail.

도 4를 참조하면, S100 단계는 영상 획득 유닛(110)에 포함된 깊이 카메라에 의해, 상기 상품 거치영역에 대한 깊이영상을 획득하는 단계(S110), 영상 획득 유닛(110)에 포함된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상기 바코드 스캔영역에 대한 컬러영상을 획득하는 단계(S120), 움직임 영역 추출 유닛(120)을 통해, 상기 컬러영상에서 객체의 움직임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S130) 및 움직임 정도 판단 유닛(130)을 통해, 상기 움직임 영역에서 상기 객체의 움직임 정도가 설정된 움직임 기준값 미만인지 판단하는 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step S100 is a step of acquiring a depth image for the product mounting area by a depth camera included in the image acquisition unit 110 (S110), and a digital camera included in the image acquisition unit 110 By, obtaining a color image for the barcode scan area (S120), extracting a motion area of an object from the color image through the motion area extraction unit 120 (S130), and a motion degree determination unit ( Through 130), a step S140 of determining whether the degree of motion of the object in the motion region is less than a set motion reference value may be included.

S200 단계에서는 영상기반 상품인식 모듈(200)을 통해, 상기 영상으로부터 상기 바코드 스캔영역에서 상품 객체 영상을 추출하고, 상기 상품 객체 영상을 기반으로 바코드 스캔 중인 상품을 인식할 수 있다.In step S200, through the image-based product recognition module 200, a product object image may be extracted from the barcode scanning area from the image, and a product being scanned barcode may be recognized based on the product object image.

위에서 언급하였듯이 영상기반 상품인식 모듈(200)은 움직임 정도 판단 유닛(130)으로 부터 동작 신호가 발생했을 경우에만 동작할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the image-based product recognition module 200 can operate only when an operation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motion degree determination unit 130.

데이터베이스에는 매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상품 각각의 이미지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영상기반 상품인식 모듈(200)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던 상품 각각의 이미지 정보와 바코드 스캔영역에서 획득한 영상에서 추출한 상품 객체 영상을 비교하여 바코드 스캔 중인 상품을 인식할 수 있다.In the database, image information of each product sold in the store is stored. The image-based product recognition module 200 may compare the image information of each product stored in the database with the product object image extracted from the image acquired in the barcode scanning area to recognize the product being scanned by the barcode.

또한, 영상기반 상품인식 모듈(200)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상품 각각의 이미지 정보가 아닌, 상품 각각의 이미지 정보를 학습 데이터로 사용하여 머신 러닝을 수행한 후 학습 결과를 기반으로 바코드 스캔영역에서 획득한 영상에서 추출한 상품 객체 영상으로부터 바코드 스캔 중인 상품을 인식할 수 있다. 이때 머신 러닝은 심층신경망(Deep neural networks)을 통한 딥러닝 방식으로 수행되는 것 역시 가능하다.In addition, the image-based product recognition module 200 performs machine learning using the image information of each product, not the image information of each product stored in the database, as learning data, and then in the barcode scan area based on the learning result. The product being scanned by barcode can be recognized from the product object image extracted from the acquired image. At this time, machine learning can also be performed in a deep learning method through deep neural networks.

도 5는 총 부피 변화량 산출 모듈(3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otal volume change calculation module 300.

도 5를 참조하면, 총 부피 변화량 산출 모듈(300)은 차영상 획득 유닛(310), 이진화 영상 획득 유닛(320), 제1 영상영역 추출 유닛(330), 제2 영상영역 추출 유닛(340), 제1 부분 부피 변화량 산출 유닛(350), 제3 영상영역 추출 유닛(360), 제2 부분 부피 변화량 산출 유닛(370) 및 총 부피 변화량 산출 유닛(380)을 포함할 수 있다.5, the total volume change calculation module 300 includes a difference image acquisition unit 310, a binarization image acquisition unit 320, a first image region extraction unit 330, and a second image region extraction unit 340. , A first partial volume change amount calculation unit 350, a third image region extraction unit 360, a second partial volume change amount calculation unit 370, and a total volume change amount calculation unit 380.

차영상 획득 유닛(310)은 상기 상품 거치영역에서 획득한 깊이영상과 배경 깊이영상을 비교하여 깊이 차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상품 거치영역에서 획득한 컬러영상과 배경 컬러영상을 비교하여 컬러 차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진화 영상 획득 유닛(320)은 상기 깊이 차영상을 이진화하여 깊이 이진화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컬러 차영상을 이진화하여 컬러 이진화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제1 영상영역 추출 유닛(330)은 상기 깊이 이진화 영상으로부터 제1 화소값을 갖는 제1 영상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제2 영상영역 추출 유닛(340)은 상기 컬러 이진화 영상으로부터 제2 화소값을 갖는 제2 영상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제1 부분 부피 변화량 산출 유닛(350)은 상기 제1 영상영역과 상기 제1 영상영역에 해당하는 깊이영상을 기반으로 상기 제1 영상영역의 제1 상품 부피 변화량을 산출할 수 있다. 제3 영상영역 추출 유닛(360)은 상기 제2 영상영역 중 상기 제1 영상영역과 중첩되지 않는 제3 영상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제2 부분 부피 변화량 산출 유닛(370)은 상기 제3 영상영역에 대해 기준 상수를 적분하여 제2 상품 부피 변화량을 산출할 수 있다. 총 부피 변화량 산출 유닛(380)은 상기 제1 부분 부피 변화량 및 상기 제2 상품 부피 변화량을 기반으로 상기 상품의 총 부피 변화량을 산출할 수 있다.The difference image acquisition unit 310 obtains a depth difference image by comparing the depth image acquired in the product mounting area with a background depth image, and compares the color image acquired in the product mounting area with a background color image to obtain a color difference image. Can be obtained. The binarized image acquisition unit 320 may obtain a depth binarized image by binarizing the depth difference image, and binarize the color difference image to obtain a color binarized image. The first image region extraction unit 330 may extract a first image region having a first pixel value from the depth binarized image. The second image region extraction unit 340 may extract a second image region having a second pixel value from the color binarized image. The first partial volume change amount calculation unit 350 may calculate a first product volume change amount of the first image region based on the first image region and a depth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image region. The third image region extraction unit 360 may extract a third image region that does not overlap with the first image region from among the second image regions. The second partial volume change amount calculation unit 370 may calculate a second product volume change amount by integrating a reference constant with respect to the third image region. The total volume change amount calculation unit 380 may calculate a total volume change amount of the product based on the first partial volume change amount and the second product volume change amount.

차영상 획득 유닛(310)에 대해 보다 상세히 말하면, 차영상 획득 유닛(310)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배경 깊이영상 및 배경 컬러영상을 이용하여 깊이 차영상 및 컬러 차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즉, 깊이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상품 거치영역에서의 깊이 영상에서 상품 거치영역에 대한 배경 깊이영상을 제외하여 깊이 차영상을 획득하고,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상품 거치영역에서의 컬러 영상에서 상품 거치영역에 대한 배경 컬러영상을 제외하여 컬러 차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difference image acquisition unit 310, the difference image acquisition unit 310 may acquire a depth difference image and a color difference image using a background depth image and a background color image stored in a database. That is, the depth difference image is obtained by excluding the background depth image for the product mounting area from the depth image in the product mounting area acquired by the depth camera, and the product is mounted in the color image in the product mounting area acquired by the digital camera. A color difference image may be obtained by excluding a background color image for an area.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진화 영상 획득 유닛(320)은 상기 깊이 차영상을 이진화하여 깊이 이진화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컬러 차영상을 이진화하여 컬러 이진화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the binarized image acquisition unit 320 may obtain a depth binarized image by binarizing the depth difference image, and binarize the color difference image to obtain a color binarized image.

제1 영상영역 추출 유닛(330)은 이진화 영상 획득 유닛(320)을 통해 획득한 깊이 이진화 영상으로부터 제1 화소값을 갖는 제1 영상영역을 추출할 수 있고, 제2 영상영역 추출 유닛(340)은 이진화 영상 획득 유닛(320)을 통해 획득한 컬러 이진화 영상으로부터 제2 화소값을 갖는 제2 영상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The first image region extraction unit 330 may extract a first image region having a first pixel value from the depth binarized image obtained through the binarized image acquisition unit 320, and the second image region extraction unit 340 May extract a second image region having a second pixel value from the color binarized image acquired through the binarized image acquisition unit 320.

예를 들면, 상품 거치영역에 거치된 물체의 일 부분은 깊이 카메라를 통한 높이 검출이 가능한 부분(제1 부분)이고, 동일한 물체의 나머지 부분은 깊이 카메라를 통한 높이 검출이 불가능한 부분(제2 부분)일 수 있다.For example, one part of an object mounted in the product mounting area is a part that can be detected in height through a depth camera (the first part), and the rest of the same object is a part in which the height cannot be detected through a depth camera (the second part). ) Can be.

이 경우 제1 영상영역 추출 유닛(330)은 깊이 차영상을 이진화 하여 획득된 깊이 이진화 영상으로부터 제1 화소값을 갖는 제1 영상영역을 추출하는데, 상기 예의 경우 제1 영상영역은 상품 거치영역에 거치된 물체 중 깊이 카메라를 통한 높이 검출이 가능한 부분(상기 제1 부분)에 해당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image region extraction unit 330 extracts a first image region having a first pixel value from the depth binarized image obtained by binarizing the depth difference image. It may correspond to a portion (the first portion) capable of detecting a height through a depth camera among the mounted objects.

이와 더불어 제2 영상영역 추출 유닛(340)은 컬러 차영상을 이진화 하여 획득된 컬러 이진화 영상으로부터 제2 화소값을 갖는 제2 영상영역을 추출하는데, 상기 예의 경우 제2 영상영역은 상품 거치영역에 거치된 물체의 전체 부분에 해당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image region extraction unit 340 extracts a second image region having a second pixel value from the color binarized image obtained by binarizing the color difference image. It may correspond to the entire part of the mounted object.

제3 영상영역 추출 유닛(360)은 제2 영상영역 중 제1 영상영역과 중첩되지 않는 제3 영상영역만을 추출한다. 즉, 제3 영상영역은 상품 거치영역에 거치된 물체 중 깊이 카메라를 통한 높이 검출이 불가능한 부분(상기 제2 부분)에 해당할 수 있다.The third image region extraction unit 360 extracts only a third image region that does not overlap with the first image region from among the second image regions. That is, the third image region may correspond to a portion (the second portion) in which height detection through a depth camera is impossible among objects mounted on the product mounting region.

제1 부분 부피 변화량 산출 유닛(350)은 제1 영상영역의 넓이 및 깊이영상을 통해 획득된 제1 영상영역의 높이를 통해 제1 영상영역에 해당하는 제1 부분의 부피 변화량인 제1 부분 부피 변화량을 산출할 수 있다.The first partial volume change amount calculation unit 350 includes a first partial volume that is a volume change amount of a first part corresponding to the first image region through the height of the first image region obtained through the width and depth image of the first image region. The amount of change can be calculated.

제2 부분 부피 변화량 산출 유닛(370)은 제3 영상영역의 넓이에 대해 기준 상수를 적분하여 제3 영상영역에 해당하는 제2 부분의 부피 변화량인 제2 부분 부피 변화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기준 상수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깊이영상을 통한 제2 부분의 높이 측정이 불가능하기에, 본 발명에서는 기준 상수를 제2 부분의 높이로 가정하여 제2 부분의 부피를 측정하게 된다.The second partial volume change amount calculation unit 370 may calculate a second partial volume change amount, which is a volume change amount of the second part corresponding to the third image region, by integrating a reference constant with respect to the area of the third image region. In this case, the reference constant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Since it is impossible to measure the height of the second part through the depth imag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olume of the second part is measured by assuming the reference constant as the height of the second part.

총 부피 변화량 산출 유닛(380)은 제1 부분 부피 변화량과 제2 부분 부피 변화량을 합산하여 상품 거치영역에 거치된 상품의 총 부피 변화량을 산출한다. The total volume change amount calculation unit 380 calculates the total volume change amount of the product placed in the product storage area by summing the first partial volume change amount and the second partial volume change amount.

예를 들면, 상품 거치영역에 이미 몇 개의 상품이 거치되지 있는 상태에서 고객이 신규상품을 상품 거치영역에 거치한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이때 신규상품은 위에서 예로 든 바와 같이, 깊이 카메라를 통한 높이 검출이 가능한 부분(제1 부분)과 깊이 카메라를 통한 높이 검출이 불가능한 부분(제2 부분)을 모두 포함하는 상품일 수 있다.For example, it may be assumed that a customer places a new product in the product storage area while several products are not already installed in the product storage area. In this case, the new product may be a product including both a portion capable of detecting the height through a depth camera (a first portion) and a portion incapable of detecting the height through a depth camera (a second portion), as exemplified above.

이 경우 제1 부분 부피 변화량 산출 유닛(350)은 신규상품에서 깊이 카메라를 통한 높이 검출이 가능한 부분(제1 부분)으로 인한 부피 변화량, 즉 제1 부분 부피 변화량을 산출한다.In this case, the first partial volume change amount calculation unit 350 calculates a volume change amount, that is, a first partial volume change amount, due to a part (first part) capable of detecting height through a depth camera in the new product.

이와 더불어 제2 부분 부피 변화량 산출 유닛(370)은 신규상품에서 깊이 카메라를 통한 높이 검출이 불가능한 부분(제2 부분)으로 인한 부피 변화량, 즉 제2 부분 부피 변화량을 산출한다.In addition, the second partial volume change amount calculation unit 370 calculates a volume change amount, that is, a second partial volume change amount, due to a part (second part) in which the height cannot be detected through the depth camera in the new product.

그리고 총 부피 변화량 산출 유닛(380)은 제1 부분 부피 변화량과 제2 부분 부피 변화량을 합산하여 총 부피 변화량을 산출하는데, 이를 통해 상품 거치영역에 신규상품이 추가로 거치되어 발생한 총 부피 변화량이 산출될 수 있다.And the total volume change calculation unit 380 calculates the total volume change by summing the first partial volume change amount and the second partial volume change amount, through which the total volume change amount generated by additionally placing new products in the product storage area is calculated. Can be.

도 6은 S300 단계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showing step S300 in more detail.

도 6을 참조하면, S300 단계는 차영상 획득 유닛(310)을 통해 상기 상품 거치영역에서 획득한 깊이영상과 배경 깊이영상을 비교하여 깊이 차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상품 거치영역에서 획득한 컬러영상과 배경 컬러영상을 비교하여 컬러 차영상을 획득하는 단계(S310), 이진화 영상 획득 유닛(320)을 통해 상기 깊이 차영상을 이진화하여 깊이 이진화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컬러 차영상을 이진화하여 컬러 이진화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S320), 제1 영상영역 추출 유닛(330)을 통해 상기 깊이 이진화 영상으로부터 제1 화소값을 갖는 제1 영상영역을 추출하는 단계(S330), 제2 영상영역 추출 유닛(340)을 통해 상기 컬러 이진화 영상으로부터 제2 화소값을 갖는 제2 영상영역을 추출하는 단계(S340), 제1 부분 부피 변화량 산출 유닛(350)을 통해 상기 제1 영상영역과 상기 제1 영상영역에 해당하는 깊이영상을 기반으로 상기 제1 영상영역의 제1 부분 부피 변화량을 산출하는 단계(S350), 제3 영상영역 추출 유닛(360)을 통해 상기 제2 영상영역 중 상기 제1 영상영역과 중첩되지 않는 제3 영상영역을 추출하는 단계(S360), 제2 부분 부피 변화량 산출 유닛(370)을 통해 상기 제3 영상영역에 대해 기준 상수를 적분하여 제2 부분 부피 변화량을 산출하는 단계(S370) 및 총 부피 변화량 산출 유닛(380)을 통해 상기 제1 부분 부피 변화량 및 상기 제2 상품 부피 변화량을 기반으로 상기 상품의 총 부피 변화량을 산출하는 단계(S38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in step S300, a depth difference image is obtained by comparing a depth image acquired in the product mounting area with a background depth image through the difference image acquisition unit 310, and a color image acquired in the product mounting area. Comparing the color difference image with the background color image (S310), the depth difference image is obtained by binarizing the depth difference image through the binarization image acquisition unit 320, and the color difference image is binarized to perform color binarization. Acquiring an image (S320), extracting a first image region having a first pixel value from the depth binarized image through a first image region extraction unit 330 (S330), a second image region extraction unit ( Extracting a second image region having a second pixel value from the color binarized image through 340 (S340), the first image region and the first image region through a first partial volume change calculation unit 350 Calculating a first partial volume change amount of the first image region based on the depth image corresponding to (S350), and the first image region among the second image regions through the third image region extraction unit 360 Extracting a non-overlapping third image region (S360), calculating a second partial volume change amount by integrating a reference constant for the third image region through the second partial volume change amount calculation unit 370 (S370) ) And calculating the total volume change amount of the product based on the first partial volume change amount and the second product volume change amount through the total volume change amount calculation unit 380 (S380).

도 7은 바코드 스캔 오류 판단 모듈(4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arcode scan error determination module 400.

도 7을 참조하면, 바코드 스캔 오류 판단 모듈(400)은 신규상품 거치여부 판단 유닛(410), 바코드 스캔여부 판단 유닛(420) 및 바코드 스캔 오류 판단 유닛(43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barcode scan error determination module 400 may include a new product placement determination unit 410, a barcode scan determination unit 420, and a barcode scan error determination unit 430.

신규상품 거치여부 판단 유닛(410)은 상기 총 부피 변화량을 설정된 기준 부피 변화량과 비교하여 상기 상품 거치영역에 신규상품이 거치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바코드 스캔여부 판단 유닛(420)은 상기 신규상품이 거치되기 전에 상기 신규상품에 대한 바코드 스캔이 수행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바코드 스캔 오류 판단 유닛(430)은 상기 신규상품이 상기 상품 거치영역에 거치되기 전에 바코드 스캔이 수행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바코드 스캔 누락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바코드 스캔 오류 판단 유닛(430)은 상기 상품 객체 영상을 기반으로 인식된 상품과 상기 바코드 스캔에 의해 인식된 상품이 불일치하는 경우, 상기 비정상 바코드 스캔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new product placement determination unit 410 may compare the total volume change amount with a set reference volume change amount to determine whether a new product is placed in the product placement area. The barcode scan determination unit 420 may determine whether a barcode scan for the new product has been performed before the new product is install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barcode scan has not been performed before the new product is placed in the product mounting area, the barcode scan error determination unit 430 may determine that the barcode scan is omitted. In addition, when the product recognized based on the product object image and the product recognized by the barcode scan do not match, the barcode scan error determination unit 430 may determine the abnormal barcode scan.

도 8a은 S400 단계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8A is a flowchart of step S4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8a를 참조하면, S400 단계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S400 단계는 신규상품 거치여부 판단 유닛(410)을 통해, 상기 총 부피 변화량을 설정된 기준 부피 변화량과 비교하여 상기 상품 거치영역에 신규상품이 거치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S410), 바코드 스캔여부 판단 유닛(420)을 통해, 상기 신규상품이 거치되기 전에 상기 신규상품에 대한 바코드 스캔이 수행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S420) 및 바코드 스캔 오류 판단 유닛(430)을 통해, 상기 신규상품이 상기 상품 거치영역에 거치되기 전에 바코드 스캔이 수행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바코드 스캔 누락으로 판단하는 단계(S4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step S400, in step S400, the total volume change amount is compared with a set reference volume change amount through the unit 410 for determining whether to place a new product. Determining whether the new product has been scanned through the step (S410)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new product has been subjected to a barcode scan through the bar code scan determination unit 420 (S420), and a barcode scan error determination unit ( When it is determined through 430 that the barcode scan has not been performed before the new product is mounted in the product mounting area, determining that the barcode scan is omitted (S430).

도 8b은 S400 단계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8B is a flowchart of step S4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8b를 참조하면, S400 단계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S400 단계는 신규상품 거치여부 판단 유닛(410)을 통해, 상기 총 부피 변화량을 설정된 기준 부피 변화량과 비교하여 상기 상품 거치영역에 신규상품이 거치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S410), 바코드 스캔여부 판단 유닛(420)을 통해, 상기 신규상품이 거치되기 전에 상기 신규상품에 대한 바코드 스캔이 수행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S420) 및 바코드 스캔 오류 판단 유닛(430)을 통해, 상기 신규상품에 대한 바코드 스캔이 수행되었으나 상기 상품 객체 영상을 기반으로 인식된 상품과 상기 바코드 스캔에 의해 인식된 상품이 불일치하는 경우, 상기 비정상 바코드 스캔으로 판단하는 단계(S4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B,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step S400, in step S400, the total volume change amount is compared with a set reference volume change amount through the new product placement determination unit 410, and the new product is placed in the product placement area. Determining whether the new product has been scanned through the step (S410)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new product has been subjected to a barcode scan through the bar code scan determination unit 420 (S420), and a barcode scan error determination unit ( In step 430, when the barcode scan for the new product is performed, but the product recognized based on the product object image and the product recognized by the barcode scan do not match, determining as the abnormal barcode scan (S440) It may include.

바코드 스캔 오류 판단 모듈(400)을 통해 수행되는 S400 단계의 제1 실시예와 S400 단계의 제2 실시예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The first embodiment of step S400 performed by the barcode scan error determination module 400 and the second embodiment of step S400 are summarized as follows.

신규상품 거치여부 판단 유닛(410)은 총 부피 변화량 산출 모듈(300)을 통해 획득된 상품 거치영역에서의 총 부피 변화량을 기준 부피 변화량과 비교하여 상품 거치영역에 신규상품이 거치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보다 엄밀히 말하면, 총 부피 변화량이 기준 부피 변화량을 초과하는 경우, 신규상품 거치여부 판단 유닛(410)은 상품 거치영역에 신규상품이 거치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때 기준 부피 변화량은 매장에서 판매되는 상품의 최소 부피에 대응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기준 부피 변화량은 조절될 수 있다.The new product placement determination unit 410 compares the total volume change amount in the product placement area obtained through the total volume change amount calculation module 300 with a reference volume change amount to determine whether a new product is placed in the product placement area. More precisely, when the total volume change amount exceeds the reference volume change amount, the new product deferment determination unit 410 may determine that the new product is placed in the product deferment area. In this case, the reference volume change amount may be set to correspond to the minimum volume of the product sold in the stor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amount of change in the reference volume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바코드 스캔여부 판단 유닛(420)은 상품 거치영역에 신규상품이 거치되기 전에 해당 신규상품이 바코드 스캐너에 의한 바코드 스캔이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자세히 말하면, 신규상품 거치여부 판단 유닛(410)을 통해 상품 거치영역에 신규상품이 거치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신규상품이 거치된 것으로 판단되기 전 시점에서 바코드 스캐너에 의한 바코드 스캔이 수행되었는지를 감지함으로써 해당 신규상품의 바코드 스캔이 수행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The bar code scan determination unit 420 determines whether the new product has been scanned by a barcode scanner before the new product is placed in the product mounting area. Specifical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new product has been placed in the product placement area through the new product placement determination unit 410, it is detected whether a barcode scan has been performed by a bar code scanner at a time before it is determined that the new product has been placed. By doing so,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the barcode scan of the new product has been performed.

바코드 스캔 오류 판단 유닛(430)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바코드 스캔 오류 판단 유닛(430)은 신규상품 거치여부 판단 유닛(410)을 통해 신규상품이 거치된 것으로 판단되고 바코드 스캔여부 판단 유닛(420)을 통해 신규상품에 대한 바코드 스캔이 수행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해당 신규상품에 대한 바코드 스캔이 누락된 것으로 판단한다.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barcode scanning error determination unit 430, the barcode scanning error determination unit 430 determines that a new product has been installed through the new product placement determination unit 410, and the barcode scan whether or not a determination unit ( If it is determined through 420) that the barcode scan for the new product has not been performed, it is determined that the barcode scan for the new product is omitted.

예를 들어, 고객이 바코드 스캔을 수행하지 않고 상품을 상품 거치영역으로 옮긴 경우 바코드 스캔 오류 판단 유닛(430)은 고객이 바코드 스캔을 누락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customer moves a product to a product storage area without performing a barcode scan, the barcode scan error determination unit 430 may determine that the customer misses the barcode scan.

바코드 스캔 오류 판단 유닛(430)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바코드 스캔 오류 판단 유닛(430)은 신규상품 거치여부 판단 유닛(410)을 통해 신규상품이 거치된 것으로 판단되고 바코드 스캔여부 판단 유닛(420)을 통해 신규상품에 대한 바코드 스캔이 수행된 것으로 판단되었으나 상품 객체 영상을 기반으로 인식된 상품과 바코드 스캔에 의해 인식된 상품이 불일치하는 경우, 영상 획득 유닛(110)에 비춰지도록 한 상품이 아닌 다른 상품의 바코드 스캔이 수행된 것으로, 즉 비정상 바코드 스캔이 수행된 것으로 판단한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barcode scanning error determination unit 430, the barcode scanning error determination unit 430 determines that a new product has been installed through the new product placement determination unit 410, and the barcode scan whether or not a determination unit (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barcode scan for the new product has been performed through 420, but the product recognized based on the product object image and the product recognized by the barcode scan are inconsistent, the product to be viewed by the image acquisition unit 110 is It is determined that barcode scanning of other products has been performed, that is, abnormal barcode scanning has been performed.

예를 들어, 고객이 고가의 상품이 카메라에 비춰지도록 한 상태에서 고가의 상품 아래에 저가의 상품을 위치시킨 후 저가의 상품에 대한 바코드 스캔만을 수행한 경우, 바코드 스캔 오류 판단 유닛(430)은 고객이 비정상 바코드 스캔을 수행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if a customer places a low-priced product under a high-priced product while allowing the high-priced product to be reflected on the camera and then only scans the barcode on the low-priced product, the barcode scan error determination unit 430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customer has performed an abnormal barcode scan.

바코드 스캔 오류 판단 유닛(430)의 상기 두 실시예의 경우, 바코드 스캔 오류 판단 유닛(430)은 추가적인 바코드 스캔 작업을 중지시킬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바코드 스캔이 누락되었거나 비정상 바코드 스캔이 수행되었음을 통신 신호, 발광체의 발광 또는 알람 등의 방식으로 관리자에게 통보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above two embodiments of the barcode scanning error determination unit 430, the barcode scanning error determination unit 430 may stop an additional barcode scanning operation, and furthermore, a communication signal indicating that a barcode scan is missing or an abnormal barcode scan has been performed, The manager can be notified by means of light emission or an alarm.

바코드 스캔 오류 판단 유닛(430)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바코드 스캔 오류 판단 유닛(430)은 상품 객체 영상을 기반으로 인식된 상품의 부피 또는 바코드 스캔에 의해 인식된 상품의 부피와 총 부피 변화량 산출 모듈(300)을 통해 산출된 총 부피 변화량을 비교하여 또 다른 종류의 바코드 스캔 오류가 있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barcode scanning error determination unit 430, the barcode scanning error determination unit 430 is the volume of the product recognized based on the product object image or the volume and total volume change of the product recognized by barcode scanning.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nother type of barcode scanning error by comparing the total volume change amount calculated through the calculation module 300.

보다 자세히 말하면, 데이터베이스에는 매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상품 각각의 부피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품 객체 영상을 기반으로 인식된 상품 또는 바코드 스캔에 의해 인식된 상품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품 부피와 매칭시킬 수 있다. 바코드 스캔 오류 판단 유닛(430)은 상품 객체 영상을 기반으로 인식된 상품 또는 바코드 스캔에 의해 인식된 상품의 부피와 총 부피 변화량 산출 모듈(300)에 의해 산출된 부피 변화량이 서로 다를 경우, 상품 객체 영상을 기반으로 인식된 상품 또는 바코드 스캔에 의해 인식된 상품 아래에 또 다른 상품을 숨긴 체 상품 거치영역으로 함께 이동시킨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volume of each product sold in the store may be stored in the database, and accordingly, the product recognized based on the product object image or the product recognized by barcode scanning can be matched with the product volume stored in the database. I can. When the volume of the product recognized based on the product object image or the product recognized by the barcode scan and the volume change amount calculated by the total volume change amount calculation module 30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barcode scan error determination unit 430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product recognized based on the image or another product hidden under the product recognized by barcode scanning and moved to the product storage area together.

예를 들어, 고객이 저가의 상품 아래에 고가의 상품을 숨긴 후, 저가의 상품만을 영상 획득 유닛(110)에 비춘 체 저가의 상품에 대한 바코드 스캔만을 수행한 다음, 저가의 물체 및 고가의 물체를 동시에 상품 거치영역에 거치 시키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바코드 스캔 오류 판단 유닛(430)은 상품 객체 영상을 기반으로 인식된 상품의 부피 또는 바코드 스캔에 의해 인식된 상품의 부피에 비해 총 부피 변화량 산출 모듈(300)을 통해 산출된 총 부피 변화량이 더 크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고가의 상품에 대한 바코드 스캔 누락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after a customer hides a high-priced product under a low-priced product, only the low-priced product is projected on the image acquisition unit 110 to scan the barcode on the low-priced product, and then the low-cost object and the high-priced object At the same time, it can be assumed that the product is mounted in the product storage area. In this case, the barcode scan error determination unit 430 is the total volume change calculated through the total volume change calculation module 300 compared to the volume of the product recognized based on the product object image or the product volume recognized by the barcode scan. It can be determined that this is larger, and through this, it can be determined that a barcode scan omission has occurred for an expensive product.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배경 영상 갱신 모듈(500)은 바코드 스캐너를 통한 신규상품의 바코드 스캔이 비정상 바코드 스캔, 바코드 스캔 누락 및 또 다른 종류의 바코드 스캔 오류가 아닌 정상 바코드 스캔이 이루어졌는지 판단한다. 만약 정상 바코드 스캔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되었다면, 신규상품이 상품 거치영역에 거치된 후에 획득된 컬러영상을 배경 컬러영상으로 갱신하고, 신규상품이 상품 거치영역에 거치된 후에 획득된 깊이영상을 배경 깊이영상으로 갱신한다. 이를 통해, 상기 신규상품이 상품 거치영역에 거치된 이후 또 다른 신규상품이 상품 거치영역에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Referring back to FIGS. 1 and 2, the background image update module 500 performs a normal barcode scan, rather than an abnormal barcode scan, an omission of barcode scan, and another type of barcode scan error, when the barcode scan of a new product through a barcode scanner Determine if you have lost. If it is determined that a normal barcode scan has been performed, the color image acquired after the new product is placed in the product mounting area is updated as a background color image, and the depth image acquired after the new product is placed in the product mounting area is used as a background depth image. To update.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another new product has been placed in the product receiving area after the new product has been placed in the product receiving area.

구매 리스트 갱신 모듈(600)은 정상 바코드 스캔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정상 바코드 스캔으로 파악된 상품을 구매 리스트에 추가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구매 리스트에는 구매자가 스캔한 모든 상품이 등록될 수 있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normal barcode scan has been performed, the purchase list update module 600 performs a task of adding the product identified by the normal barcode scan to the purchase list. Through this, all products scanned by the buyer can be registered in the purchase lis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록 매체는 상기 바코드 스캔 여부 검증 방법(S10)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일 수 있다.The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S10 for verifying whether to scan a barcode is recor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코드 스캔 여부 검증 방법(S10) 및 시스템(10)은 깊이영상을 이용하여 산출한 상품의 총 부피 변화량, 컬러 영상을 이용하여 인식한 상품 및 바코드 스캔에 의해 인식된 상품을 기반으로 상품의 비정상 바코드 스캔 또는 바코드 스캔 누락을 판단할 수 있다.The method (S10) and the system 10 for verifying whether a barcode is scan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total volume change of a product calculated using a depth image, a product recognized using a color image, and a product recognized by a barcode scan. Based on thi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an abnormal barcode scan of a product or an omission of a barcode scan.

이상에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위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상의 기술자는 전술한 실시예에 다양한 변형이 가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해석을 통해서만 정해진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hrough the embodiments, but the above embodiments are merely for explaining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limited thereto.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only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10: 바코드 스캔 여부 검증 시스템
100: 영상 획득 모듈 110: 영상 획득 유닛
120: 움직임 영역 추출 유닛 130: 움직임 정도 판단 유닛
200: 영상기반 상품인식 모듈 300: 총 부피 변화량 산출 모듈
310: 차영상 획득 유닛 320: 이진화 영상 획득 유닛
330: 제1 영상영역 추출 유닛 340: 제2 영상영역 추출 유닛
350: 제1 부분 부피 변화량 산출 유닛 360: 제3 영상영역 추출 유닛
370: 제2 부분 부피 변화량 산출 유닛 380: 총 부피 변화량 산출 유닛
400: 바코드 스캔 오류 판단 모듈
410: 신규상품 거치여부 판단 유닛
420: 바코드 스캔여부 판단 유닛
430: 바코드 스캔 오류 판단 유닛 500: 배경 영상 갱신 모듈
600: 구매 리스트 갱신 모듈
10: Barcode scan verification system
100: image acquisition module 110: image acquisition unit
120: motion region extraction unit 130: motion degree determination unit
200: image-based product recognition module 300: total volume change calculation module
310: difference image acquisition unit 320: binarization image acquisition unit
330: first image region extraction unit 340: second image region extraction unit
350: first partial volume change amount calculation unit 360: third image region extraction unit
370: second partial volume change amount calculation unit 380: total volume change amount calculation unit
400: barcode scan error determination module
410: new product deferment determination unit
420: bar code scan determination unit
430: barcode scan error determination unit 500: background image update module
600: purchase list update module

Claims (15)

a) 영상 획득 모듈을 통해, 상품 인식을 위한 바코드 스캔영역과 바코드 스캔이 완료된 상품이 거치되는 상품 거치영역을 포함하는 상품 결제영역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b) 영상기반 상품인식 모듈을 통해, 상기 영상으로부터 상기 바코드 스캔영역에서 상품 객체 영상을 추출하고, 상기 상품 객체 영상을 기반으로 바코드 스캔 중인 상품을 인식하는 단계;
c) 총 부피 변화량 산출 모듈을 통해, 상기 영상을 기반으로 상기 상품 거치영역에서의 바코드 스캔이 완료된 상품의 총 부피 변화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d) 바코드 스캔 오류 판단 모듈을 통해, 상기 상품의 총 부피 변화량, 상기 상품 객체 영상으로부터 인식된 상품 및 바코드 스캔에 의해 인식된 상품을 기반으로 상품의 비정상 바코드 스캔 또는 바코드 스캔 누락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c-1) 차영상 획득 유닛을 통해, 상기 상품 거치영역에서 획득한 깊이영상과 배경 깊이영상을 비교하여 깊이 차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상품 거치영역에서 획득한 컬러영상과 배경 컬러영상을 비교하여 컬러 차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c-2) 이진화 영상 획득 유닛을 통해, 상기 깊이 차영상을 이진화하여 깊이 이진화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컬러 차영상을 이진화하여 컬러 이진화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c-3) 제1 영상영역 추출 유닛을 통해, 상기 깊이 이진화 영상으로부터 제1 화소값을 갖는 제1 영상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c-4) 제2 영상영역 추출 유닛을 통해, 상기 컬러 이진화 영상으로부터 제2 화소값을 갖는 제2 영상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c-5) 제1 부분 부피 변화량 산출 유닛을 통해, 상기 제1 영상영역의 넓이 및 상기 제1 영상영역에 해당하는 깊이영상을 기반으로 상기 제1 영상영역의 제1 부분 부피 변화량을 산출하는 단계;
c-6) 제3 영상영역 추출 유닛을 통해, 상기 제2 영상영역 중 상기 제1 영상영역과 중첩되지 않는 제3 영상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c-7) 제2 부분 부피 변화량 산출 유닛을 통해, 상기 제3 영상영역의 넓이에 대해 기준 상수를 적분하여 제2 부분 부피 변화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c-8) 총 부피 변화량 산출 유닛을 통해, 상기 제1 부분 부피 변화량 및 상기 제2 부분 부피 변화량을 기반으로 상기 상품의 총 부피 변화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코드 스캔 여부 검증 방법.
a) obtaining, through an image acquisition module, an image of a product payment area including a barcode scanning area for product recognition and a product placement area in which a product having completed barcode scanning is mounted;
b) extracting a product object image from the barcode scanning area from the image through an image-based product recognition module, and recognizing a product being scanned barcode based on the product object image;
c) calculating a total volume change amount of the product on which the barcode scan has been completed in the product storage area based on the image through the total volume change amount calculation module; And
d) Determining an abnormal barcode scan or missing barcode scan of a product based on the total volume change amount of the product, the product recognized from the product object image, and the product recognized by the barcode scan through the barcode scan error determination module. Including,
Step c) is:
c-1) Through the difference image acquisition unit, a depth difference image is obtained by comparing the depth image acquired in the product mounting area and the background depth image, and the color image acquired in the product mounting area and the background color image are compared. Obtaining a color difference image;
c-2) obtaining a depth binarized image by binarizing the depth difference image through a binarized image acquisition unit, and binarizing the color difference image to obtain a color binarized image;
c-3) extracting a first image region having a first pixel value from the depth binarized image through a first image region extraction unit;
c-4) extracting a second image region having a second pixel value from the color binarized image through a second image region extraction unit;
c-5) calculating a first partial volume change amount of the first image region based on the width of the first image region and a depth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image region through a first partial volume change amount calculation unit ;
c-6) extracting a third image region that does not overlap with the first image region from among the second image regions through a third image region extraction unit;
c-7) calculating a second partial volume change amount by integrating a reference constant with respect to the area of the third image area through a second partial volume change amount calculating unit; And
c-8) A method of verifying whether to scan a barcode comprising the step of calculating a total volume change amount of the product based on the first partial volume change amount and the second partial volume change amount through a total volume change amount calculation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1) 신규상품 거치여부 판단 유닛을 통해, 상기 총 부피 변화량을 설정된 기준 부피 변화량과 비교하여 상기 상품 거치영역에 신규상품이 거치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d-2) 바코드 스캔여부 판단 유닛을 통해, 상기 신규상품이 거치되기 전에 상기 신규상품에 대한 바코드 스캔이 수행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d-3) 바코드 스캔 오류 판단 유닛을 통해, 상기 신규상품이 상기 상품 거치영역에 거치되기 전에 바코드 스캔이 수행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바코드 스캔 누락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코드 스캔 여부 검증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Step d) is:
d-1) determining whether a new product has been placed in the product receiving area by comparing the total volume change amount with a set reference volume change amount through a new product placement determination unit;
d-2) determining whether a barcode scan has been performed on the new product before the new product is installed, through a barcode scan determination unit; And
d-3)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barcode scan has not been performed before the new product is placed in the product mounting area through the barcode scanning error determination unit, verification of whether the barcode is scanned, including determining that the barcode scan is missing W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1) 신규상품 거치여부 판단 유닛을 통해, 상기 총 부피 변화량을 설정된 기준 부피 변화량과 비교하여 상기 상품 거치영역에 신규상품이 거치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d-2) 바코드 스캔여부 판단 유닛을 통해, 상기 신규상품이 거치되기 전에 상기 신규상품에 대한 바코드 스캔이 수행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d-4) 바코드 스캔 오류 판단 유닛을 통해, 상기 신규상품에 대한 바코드 스캔이 수행되었으나 상기 상품 객체 영상을 기반으로 인식된 상품과 상기 바코드 스캔에 의해 인식된 상품이 불일치하는 경우, 상기 비정상 바코드 스캔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코드 스캔 여부 검증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Step d) is:
d-1) determining whether a new product has been placed in the product receiving area by comparing the total volume change amount with a set reference volume change amount through a new product placement determination unit;
d-2) determining whether a barcode scan has been performed on the new product before the new product is installed, through a barcode scan determination unit; And
d-4) When the barcode scan for the new product is performed through the barcode scan error determination unit, but the product recognized based on the product object image and the product recognized by the barcode scan do not match, scan the abnormal barcode A method of verifying whether to scan a barcode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a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영상 획득 유닛에 포함된 깊이 카메라에 의해, 상기 상품 거치영역에 대한 깊이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a-2) 영상 획득 유닛에 포함된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상기 바코드 스캔영역에 대한 컬러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a-3) 움직임 영역 추출 유닛을 통해, 상기 컬러영상에서 객체의 움직임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및
a-4) 움직임 정도 판단 유닛을 통해, 상기 움직임 영역에서 상기 객체의 움직임 정도가 설정된 움직임 기준값 미만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a-4) 단계에서 상기 움직임 정도가 상기 움직임 기준값 미만인 경우에 수행되는 바코드 스캔 여부 검증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tep a) is:
a-1) obtaining a depth image of the product mounting area by a depth camera included in the image acquisition unit;
a-2) obtaining a color image for the barcode scan area by a digital camera included in an image acquisition unit;
a-3) extracting a motion region of an object from the color image through a motion region extraction unit; And
a-4) determining, through a motion degree determination unit, whether the motion degree of the object in the motion region is less than a set motion reference value,
The step b) is a method of verifying whether to scan a barcode performed when the degree of motion is less than the motion reference value in step a-4).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e) 배경 영상 갱신 모듈을 통해, 정상 바코드 스캔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상품이 상기 상품 거치영역에 거치된 후에 획득된 컬러영상 및 깊이영상을 상기 배경 컬러영상 및 상기 배경 깊이영상으로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바코드 스캔 여부 검증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e) updating a color image and a depth image obtained after the product is placed in the product mounting area as the background color image and the background depth image when it is determined that normal barcode scanning has been performed through the background image update module A method of verifying whether to scan a barcode further comprising a.
제6항에 있어서,
f) 구매 리스트 갱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정상 바코드 스캔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정상 바코드 스캔으로 파악된 상품을 구매 리스트에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바코드 스캔 여부 검증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f)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normal barcode scan has been performed through a purchase list update module, adding a product identified by the normal barcode scan to a purchase list.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바코드 스캔 여부 검증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for verifying whether to scan a barcod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6, and 7 is recorded. 상품 인식을 위한 바코드 스캔영역과 바코드 스캔이 완료된 상품이 거치되는 상품 거치영역을 포함하는 상품 결제영역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 모듈;
상기 영상으로부터 상기 바코드 스캔영역에서 상품 객체 영상을 추출하고, 상기 상품 객체 영상을 기반으로 바코드 스캔 중인 상품을 인식하는 영상기반 상품인식 모듈;
상기 영상을 기반으로 상기 상품 거치영역에서의 바코드 스캔이 완료된 상품의 총 부피 변화량을 산출하는 총 부피 변화량 산출 모듈; 및
상기 상품의 총 부피 변화량, 상기 상품 객체 영상으로부터 인식된 상품 및 바코드 스캔에 의해 인식된 상품을 기반으로 상품의 비정상 바코드 스캔 또는 바코드 스캔 누락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코드 스캔 오류 판단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총 부피 변화량 산출 모듈은:
상기 상품 거치영역에서 획득한 깊이영상과 배경 깊이영상을 비교하여 깊이 차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상품 거치영역에서 획득한 컬러영상과 배경 컬러영상을 비교하여 컬러 차영상을 획득하는 차영상 획득 유닛;
상기 깊이 차영상을 이진화하여 깊이 이진화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컬러 차영상을 이진화하여 컬러 이진화 영상을 획득하는 이진화 영상 획득 유닛;
상기 깊이 이진화 영상으로부터 제1 화소값을 갖는 제1 영상영역을 추출하는 제1 영상영역 추출 유닛;
상기 컬러 이진화 영상으로부터 제2 화소값을 갖는 제2 영상영역을 추출하는 제2 영상영역 추출 유닛;
상기 제1 영상영역의 넓이 및 상기 제1 영상영역에 해당하는 깊이영상을 기반으로 상기 제1 영상영역의 제1 부분 부피 변화량을 산출하는 제1 부분 부피 변화량 산출 유닛;
상기 제2 영상영역 중 상기 제1 영상영역과 중첩되지 않는 제3 영상영역을 추출하는 제3 영상영역 추출 유닛;
상기 제3 영상영역의 넓이에 대해 기준 상수를 적분하여 제2 부분 부피 변화량을 산출하는 제2 부분 부피 변화량 산출 유닛; 및
상기 제1 부분 부피 변화량 및 상기 제2 부분 부피 변화량을 기반으로 상기 상품의 총 부피 변화량을 산출하는 총 부피 변화량 산출 유닛을 포함하는 바코드 스캔 여부 검증 시스템.
An image acquisition module for acquiring an image of a product payment area including a barcode scan area for product recognition and a product placement area in which a product on which the barcode scan is completed is mounted;
An image-based product recognition module for extracting a product object image from the barcode scanning area from the image and recognizing a product being scanned with a barcode based on the product object image;
A total volume change calculation module for calculating a total volume change amount of the product on which the barcode scan has been completed in the product storage area based on the image; And
A barcode scan error determination module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an abnormal barcode scan or missing barcode scan of a product based on the total volume change amount of the product, the product recognized from the product object image, and the product recognized by the barcode scan, ,
The total volume change calculation module is:
A difference image acquisition unit that compares the depth image acquired in the product mounting area with a background depth image to obtain a depth difference image, and compares the color image acquired in the product mounting area with a background color image to obtain a color difference image;
A binarized image acquisition unit for binarizing the depth difference image to obtain a depth binarized image, and binarizing the color difference image to obtain a color binarized image;
A first image region extraction unit extracting a first image region having a first pixel value from the depth binarized image;
A second image region extraction unit extracting a second image region having a second pixel value from the color binarized image;
A first partial volume change amount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a first partial volume change amount of the first image region based on the area of the first image region and a depth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image region;
A third image region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a third image region not overlapping with the first image region from among the second image regions;
A second partial volume change amount calculating unit for calculating a second partial volume change amount by integrating a reference constant with respect to the area of the third image area; And
And a total volume change amount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a total volume change amount of the product based on the first partial volume change amount and the second partial volume change amoun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 스캔 오류 판단 모듈은:
상기 총 부피 변화량을 설정된 기준 부피 변화량과 비교하여 상기 상품 거치영역에 신규상품이 거치되었는지 판단하는 신규상품 거치여부 판단 유닛;
상기 신규상품이 거치되기 전에 상기 신규상품에 대한 바코드 스캔이 수행되었는지 판단하는 바코드 스캔여부 판단 유닛; 및
상기 신규상품이 상기 상품 거치영역에 거치되기 전에 바코드 스캔이 수행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바코드 스캔 누락으로 판단하는 바코드 스캔 오류 판단 유닛을 포함하는 바코드 스캔 여부 검증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The barcode scan error determination module:
A new product placement determination unit that compares the total volume change amount with a set reference volume change amount to determine whether a new product is placed in the product placement area;
A bar code scan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a bar code scan has been performed on the new product before the new product is placed;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barcode scan has not been performed before the new product is placed in the product mounting area, a barcode scan verification system including a barcode scan error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that the barcode scan is missing.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 스캔 오류 판단 모듈은:
상기 총 부피 변화량을 설정된 기준 부피 변화량과 비교하여 상기 상품 거치영역에 신규상품이 거치되었는지 판단하는 신규상품 거치여부 판단 유닛;
상기 신규상품이 거치되기 전에 상기 신규상품에 대한 바코드 스캔이 수행되었는지 판단하는 바코드 스캔여부 판단 유닛; 및
상기 신규상품에 대한 바코드 스캔이 수행되었으나 상기 상품 객체 영상을 기반으로 인식된 상품과 상기 바코드 스캔에 의해 인식된 상품이 불일치하는 경우, 상기 비정상 바코드 스캔으로 판단하는 바코드 스캔 오류 판단 유닛을 포함하는 바코드 스캔 여부 검증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The barcode scan error determination module:
A new product placement determination unit that compares the total volume change amount with a set reference volume change amount to determine whether a new product is placed in the product placement area;
A bar code scan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a bar code scan has been performed on the new product before the new product is placed; And
A barcode including a barcode scan error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as the abnormal barcode scan when a barcode scan is performed on the new product but the product recognized based on the product object image and the product recognized by the barcode scan do not match. Scanning Verification System.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획득 모듈은:
깊이 카메라에 의해 상기 상품 거치영역에 대한 깊이영상을 획득하고,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상기 바코드 스캔영역에 대한 컬러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 유닛;
상기 컬러영상에서 객체의 움직임 영역을 추출하는 움직임 영역 추출 유닛; 및
상기 움직임 영역에서 상기 객체의 움직임 정도가 설정된 움직임 기준값 미만인지 판단하고, 상기 움직임 정도가 상기 움직임 기준값 미만인 경우 상기 영상기반 상품인식 모듈의 동작 신호를 발생시키는 움직임 정도 판단 유닛을 포함하는 바코드 스캔 여부 검증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The image acquisition module:
An image acquisition unit that acquires a depth image of the product mounting area by a depth camera, and acquires a color image of the barcode scan area by a digital camera;
A motion region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a motion region of an object from the color image;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motion degree of the object in the motion area is less than a set motion reference value, and if the motion degree is less than the motion reference value, verification of a barcode scan including a motion degree determination unit that generates an operation signal of the image-based product recognition module system.
삭제delete 제9항에 있어서,
정상 바코드 스캔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상품이 상기 상품 거치영역에 거치된 후에 획득된 컬러영상 및 깊이영상을 상기 배경 컬러영상 및 상기 배경 깊이영상으로 갱신하는 배경 영상 갱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바코드 스캔 여부 검증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normal barcode scan has been performed, a barcode further comprising a background image update module for updating a color image and a depth image obtained after the product is mounted in the product mounting area into the background color image and the background depth image. Scanning Verification System.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 바코드 스캔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정상 바코드 스캔으로 파악된 상품을 구매 리스트에 추가하여 상기 구매 리스트를 갱신하는 구매 리스트 갱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바코드 스캔 여부 검증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4,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normal barcode scan has been performed, the system further comprises a purchase list update module for updating the purchase list by adding a product identified by the normal barcode scanning to a purchase list.
KR1020200100433A 2020-08-11 2020-08-11 System and method for verifying barcode scanning KR1022331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433A KR102233126B1 (en) 2020-08-11 2020-08-11 System and method for verifying barcode scanning
PCT/KR2021/010407 WO2022035141A1 (en) 2020-08-11 2021-08-06 Method and system for verifying whether barcode is scann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433A KR102233126B1 (en) 2020-08-11 2020-08-11 System and method for verifying barcode scann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3126B1 true KR102233126B1 (en) 2021-03-26

Family

ID=75259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0433A KR102233126B1 (en) 2020-08-11 2020-08-11 System and method for verifying barcode scanning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33126B1 (en)
WO (1) WO2022035141A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5141A1 (en) * 2020-08-11 2022-02-17 주식회사 신세계아이앤씨 Method and system for verifying whether barcode is scanned
KR20230015618A (en) * 2021-07-23 2023-01-31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Unmanned payment system
KR102519711B1 (en) * 2022-03-29 2023-04-10 주식회사 날비컴퍼니 Method and system for recognizing barcodes based on imag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7724B2 (en) * 1984-06-05 1992-02-12 Nippon Seiyaku Kk
KR101424706B1 (en) * 2013-10-23 2014-08-01 (주)메티스 shopping cart for self-settlement
KR101850315B1 (en) * 2018-01-22 2018-05-31 주식회사 엑사스코프 Apparatus for self-checkout applied to hybrid product recognition
JP6707724B1 (en) * 2018-07-16 2020-06-10 アクセル ロボティクス コーポレーションAccel Robotics Corp. Autonomous store track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871B1 (en) * 2010-03-12 2011-06-16 (주) 웨이브링크 A device and system for preventing scan missing, and a method of preventing scan missing
KR101807205B1 (en) * 2017-06-28 2017-12-08 주식회사 코리아세븐 Unattended payment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the device,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device
KR102233126B1 (en) * 2020-08-11 2021-03-26 주식회사 신세계아이앤씨 System and method for verifying barcode scann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7724B2 (en) * 1984-06-05 1992-02-12 Nippon Seiyaku Kk
KR101424706B1 (en) * 2013-10-23 2014-08-01 (주)메티스 shopping cart for self-settlement
KR101850315B1 (en) * 2018-01-22 2018-05-31 주식회사 엑사스코프 Apparatus for self-checkout applied to hybrid product recognition
JP6707724B1 (en) * 2018-07-16 2020-06-10 アクセル ロボティクス コーポレーションAccel Robotics Corp. Autonomous store tracking system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5141A1 (en) * 2020-08-11 2022-02-17 주식회사 신세계아이앤씨 Method and system for verifying whether barcode is scanned
KR20230015618A (en) * 2021-07-23 2023-01-31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Unmanned payment system
KR102655145B1 (en) * 2021-07-23 2024-04-04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Unmanned payment system
KR102519711B1 (en) * 2022-03-29 2023-04-10 주식회사 날비컴퍼니 Method and system for recognizing barcodes based on images
WO2023191371A1 (en) * 2022-03-29 2023-10-05 주식회사 날비컴퍼니 Method and system for image-based barcode recogn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35141A1 (en) 2022-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3126B1 (en) System and method for verifying barcode scanning
US1110033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suspicious activity using video analysis
US9477955B2 (en) Automatic learning in a merchandise checkout system with visual recognition
US10169752B2 (en) Merchandise item registration apparatus, and merchandise item registration method
KR101850315B1 (en) Apparatus for self-checkout applied to hybrid product recognition
US20160371524A1 (en) Commodity recognition apparatus and commodity recognition method
KR20040036899A (en) Automatic check-out system
JP6330115B1 (en) Product management server, automatic cash register system, product management program, and product management method
JP5847117B2 (en) Recognition dictionary creation device and recognition dictionary creation program
EP1872307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suspicious activity using video analysis
US20130322700A1 (en) Commodity recognition apparatus and commodity recognition method
EP2980730A1 (en) Object recognition apparatus that performs object recognition based on infrared image and visible image
US11216657B2 (en) Commodity recognition apparatus
US2014022260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stain on iamge capturing surface thereof
US10720027B2 (en) Reading device and method
US11328139B1 (en) Method for scanning multiple items in a single swipe
US20180174126A1 (en) Object recognition apparatus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