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2779B1 - 실시간 방송에 연동되는 모바일 커머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실시간 방송에 연동되는 모바일 커머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2779B1
KR102232779B1 KR1020160110179A KR20160110179A KR102232779B1 KR 102232779 B1 KR102232779 B1 KR 102232779B1 KR 1020160110179 A KR1020160110179 A KR 1020160110179A KR 20160110179 A KR20160110179 A KR 20160110179A KR 102232779 B1 KR102232779 B1 KR 102232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rminal
mobile terminal
commerce
top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0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5966A (ko
Inventor
김광태
김성근
김재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어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어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어코드
Publication of KR20160105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5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2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2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실시간 방송에 연동되는 모바일 커머스 시스템으로서,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하고, 인터넷망 연결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접속 장치에 접속하는 TV 단말, 상기 네트워크 접속 장치에 접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 그리고 상기 네트워크 접속 장치에 접속한 상기 TV 단말과 상기 모바일 단말이 매핑된 매핑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매핑 정보가 유효한 동안 상기 TV 단말에서 출력되는 방송 프로그램에 관련된 커머스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서버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실시간 방송에 연동되는 모바일 커머스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OBILE COMMERCE LINKED WITH LIVE BROADCASTING PROGRAM}
본 발명은 모바일 커머스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TV는 동영상뿐만 아니라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다. 방송 사업자들은 TV에 적합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있고, 가전사와 애플, 구글 등과 같은 플랫폼 사업자들은 스마트 TV를 경쟁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또한, 애플의 아이폰을 계기로 모바일 단말이 PC를 대체하는 대표적인 정보처리 단말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디지털 단말의 확산으로 TV와 모바일 단말을 비롯한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결되어 동작하는 멀티스크린 서비스가 가능하다. 멀티스크린 서비스란 하나의 서비스를 하나의 단말에서만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단말을 통해 순차적으로 사용하거나, 동시에 사용하는 형태의 서비스로서, 디지털 단말이 IP로 연결되는 환경에서 촉진되고 있다. 실제로 상당수의 가정은 유무선 공유기를 통하여 다양한 단말을 IP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양방향 TV 서비스 중 가장 주목을 받았던 서비스는 TV를 통해 전자 상거래를 하는 "T-커머스"이다. TV 프로그램에 노출된 상품 구매를 바로 할 수 있다면 새로운 모델의 전자 상거래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었으나, T-커머스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애초 기대만큼 활성화되지 못하였다.
첫 번째, T-커머스는 전자 상거래를 위해 구매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 및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TV 화면에 노출한다. 따라서, 방송 프로그램과 함께 노출되는 T-커머스 정보는 TV 시청을 방해하는 문제가 있다.
두 번째, 사용자는 T-커머스를 위해 TV GUI와 리모콘을 이용한다. 리모콘은 PC나 모바일 단말 등의 다른 사용자 단말에 비해 반응 속도가 매우 느리다. 따라서 PC나 모바일 단말의 빠른 반응 속도에 익숙한 시청자들은 구매 과정에서 중도 포기하기 쉽고, 제한된 TV 자원을 활용함에 따라 컴퓨터를 이용한 E-커머스에 비해 절차가 복잡하여 사용자의 이용이 제한될 수 있다.
세 번째, T-커머스는 투자비가 많이 발생한다. 사업자는 E-커머스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T-커머스에 적합한 새로운 시스템을 도입하여야 한다. T-커머스의 전망이 불투명한 시점에서 이러한 투자는 신규 사업자의 T-커머스 사업 진입을 방해한다.
이러한 T-커머스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최근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T-커머스가 제안되고 있다. 가장 많이 제안되고 있는 TV-모바일 단말 연동 방법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이용하거나 QR(Quick Response) 코드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그런데 시청자는 NFC 근거리 통신을 처리하거나, 카메라로 QR 코드를 찍기 위해 모바일 단말을 들고 TV로 접근해야 한다. TV는 대체로 3m 이상 떨어져서 시청을 하는데, TV-모바일 단말 연동을 위해 시청자는 일어나서 TV로 이동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TV에 NFC 통신 모듈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 TV-모바일 단말 연동이 불가능하다.
또한 TV-모바일 단말 연동 방법은 가입자의 ID 기반 연동이나 모바일 단말로 SMS 등의 메시지를 발송하여 연동하는 방법 등이 있으나, 사용자가 연동을 위해 TV 상의 GUI 및 리모콘을 사용하여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으며, 민감한 개인 정보 노출이라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T-커머스 활성화를 위해 시청자가 TV-모바일 단말의 연동을 신경쓸 필요 없이 시청자가 TV에서 노출된 상품을 모바일 단말에서 확인 및 구매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TV 단말과 모바일 단말이 접속한 네트워크 장치의 정보를 기초로 TV 단말과 모바일 단말을 매핑하고, TV 단말에서 재생되는 실시간 방송에 관계된 커머스 정보를 매핑된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방송에 연동되는 모바일 커머스 시스템으로서,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하고, 인터넷망 연결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접속 장치에 접속하는 TV 단말, 상기 네트워크 접속 장치에 접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 그리고 상기 네트워크 접속 장치에 접속한 상기 TV 단말과 상기 모바일 단말이 매핑된 매핑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매핑 정보가 유효한 동안 상기 TV 단말에서 출력되는 방송 프로그램에 관련된 커머스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서버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TV 단말은 상기 네트워크 접속 장치에 접속하면 상기 네트워크 접속 장치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상기 서버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TV 단말은 사용자의 제어에 의해 발생하는 이벤트 정보를 상기 서버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이벤트 정보는 상기 TV 단말의 온 정보, 상기 TV 단말의 오프 정보, 그리고 상기 TV 단말에서 출력 중인 채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이벤트 정보에 포함된 채널 정보를 상기 매핑 정보에 저장하고, 채널별 방송 프로그램 편성 정보를 기초로 상기 채널 정보에서 출력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서버 장치는 방송사 시스템과 연동하여 상기 채널별 방송 프로그램 편성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방송사 시스템은 상기 채널별 방송 프로그램 편성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메타 정보를 상기 서버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서버 장치는 커머스 서비스 시스템과 연동하여 상기 채널 정보에 대응된 커머스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커머스 서비스 시스템은 방송 프로그램별 커머스 정보를 상기 서버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TV 단말은 주기적으로 상기 TV 단말에서 출력 중인 채널 정보를 상기 서버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 장치는 수신한 채널 정보를 상기 매핑 정보에 저장하며, 지정된 주기에 상기 채널 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TV 단말이 꺼진 상태라고 판단하고, 상기 매핑 정보에서 상기 TV 단말을 삭제할 수 있다.
상기 TV 단말은 사용자의 제어에 의해 전원 오프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TV 단말의 오프 정보를 상기 서버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오프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TV 단말이 꺼진 상태라고 판단하고, 상기 매핑 정보에서 상기 TV 단말을 삭제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단말은 상기 네트워크 접속 장치와의 연결이 해제되면, 네트워크 연결 해제 정보를 상기 서버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네트워크 연결 해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네트워크 접속 장치의 통신 범위를 벗어난 상태라고 판단하고, 상기 매핑 정보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을 삭제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접속 장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커머스 시스템의 서버 장치가 실시간 방송에 연동되는 모바일 커머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단말이 접속한 네트워크 접속 장치의 제1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제2 단말이 접속한 네트워크 접속 장치의 제2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식별 정보가 상기 제1 식별 정보와 같은 경우,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을 매핑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중 어느 하나가 TV 단말이고 다른 하나가 모바일 단말인 경우, 상기 TV 단말에서 출력되는 방송 프로그램에 관련된 커머스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TV 단말과 상기 모바일 단말 중 어느 하나로부터 네트워크 연결 해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모바일 단말로의 커머스 정보 전송을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접속 장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커머스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TV 단말로부터 채널 정보를 수신하고, 채널별 방송 프로그램 편성 정보를 기초로 상기 채널 정보에서 출력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커머스 시스템의 서버 장치가 실시간 방송에 연동되는 모바일 커머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네트워크 접속 장치 각각에 접속 중인 단말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접속 장치 중에서 TV 단말과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이 접속 중인 타겟 네트워크 접속 장치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타겟 네트워크 접속 장치에 접속 중인 TV 단말에서 출력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관련된 커머스 정보를 상기 타겟 네트워크 접속 장치에 접속 중인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는 임의 네트워크 접속 장치에 접속 중인 단말이 TV 단말인 경우, 해당 TV 단말로부터 출력 중인 채널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채널 정보를 상기 임의 네트워크 접속 장치에 관계된 매핑 정보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단말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는 임의 단말로부터 상기 임의 단말이 접속된 네트워크 접속 장치와의 연결 해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연결 해제 정보를 기초로 해당 네트워크 접속 장치에 관련된 단말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TV 프로그램과 연동된 T-커머스 서비스가 활성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개입 없이 TV 단말과 모바일 단말을 연동할 수 있고, 시청자의 TV 시청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시청자에게 다양한 커머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커머스 사업자는 모바일 커머스를 위해 구축한 시스템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투자 비용을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방송 광고 시장의 위축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방송 사업자에게 새로운 수익 모델을 제시하여 방송 산업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방송에 연동되는 모바일 커머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서버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부터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방송에 연동되는 모바일 커머스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하드웨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방송에 연동되는 모바일 커머스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서버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실시간 방송에 연동되는 모바일 커머스 시스템(앞으로 "커머스 시스템"이라고 한다)(100)은 TV 단말(110), 모바일 단말(130), 네트워크 접속 장치(150), 그리고 서버 장치(170)를 포함한다. 서버 장치(170)는 적어도 하나의 방송사 시스템(200),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커머스 서비스 시스템(300)에 연결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30)과 네트워크 접속 장치(150)는 TV 단말(110) 근처에 위치한다. TV 단말(110)과 모바일 단말(130) 각각은 네트워크 접속 장치(150)에 접속하여 통신망에 연결된다. 네트워크 접속 장치(15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인터넷망 연결 장치로서, 예를 들면 무선랜(Wireless LAN) 접속장치(Access point, AP)일 수 있다. TV 단말(110)과 모바일 단말(130)은 네트워크 접속 장치(150)를 통해 서버 장치(170)에 접속할 수 있다. 한편, TV 단말(110)과 모바일 단말(130)은 네트워크 접속 장치(150)를 통해 서버 장치(170)와 통신할 수 있으나, 서버 장치(170)와 교환하는 정보는 반드시 네트워크 접속 장치(150)를 경유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커머스 정보가 문자 메시지로 전송되는 경우, 문자 메시지는 3GPP/LTE망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TV 단말(110)은 지상파망, 케이블망, 위성망, 인터넷망 등의 방송통신망을 이용하여 방송사 시스템(200)에서 제공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고, 디스플레이에 출력한다. 여기서, TV 단말(110)은 디스플레이와 일체형일 수 있고, 또는 디스플레이와 분리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와 분리된 경우, TV 단말(110)은 셋탑박스와 같은 형태로 디스플레이에 연결될 수 있다.
TV 단말(110)은 네트워크 접속 장치(150)에 접속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네트워크 접속 장치(150)를 통해 인터넷망에 연결된다. TV 단말(110)은 네트워크 접속 장치(150)에 접속하면, 네트워크 접속 장치(150)의 식별 정보를 획득한다. 그리고 TV 단말(110)은 네트워크 접속 장치(150)에 관련된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서버 장치(170)로 전송한다. 네트워크 연결 정보는 네트워크 접속 장치(15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TV 단말(110)은 시청자(사용자)의 제어에 의해 발생하는 이벤트 정보를 서버 장치(170)로 전송한다. 이벤트 정보는 TV 온/오프 정보, 시청 중인 채널 정보, 채널 변경 정보 등을 포함한다. TV 단말(110)은 주기적으로 시청 중인 채널 정보를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서버 장치(170)는 TV 단말(110)로부터 시청 중인 채널 정보가 전송되지 않으면, TV 단말(110)이 꺼졌다고 판단한다. 또는 TV 단말(110)은 채널 변경 이벤트가 발생하면 시청 중인 채널 정보를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TV 단말(110)은 사용자가 전원을 끄더라도(리모콘의 전원 버튼을 누르는 경우), 즉시 전원 공급을 중단하는 것이 아니라, 서버 장치(170)로 TV 오프 정보를 전송한 후 실질적으로 전원 공급을 중단한다.
TV 단말(110)은 서버 장치(170)로 보내는 정보에 자신의 식별 정보를 추가하여 전송한다.
TV 단말(110)은 TV용 연동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고, 탑재된 연동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접속된 네트워크 접속 장치(150)에 관계된 네트워크 연결 정보와 이벤트 정보를 서버 장치(170)로 전송한다. 연동 어플리케이션은 TV 단말의 전원이 온(on)되면 자동으로 활성화되거나, 네트워크 접속 장치(150) 접속 신호가 트리거로 작용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연동 어플리케이션은 TV 단말(110)의 프로세서, 메모리, 통신 모듈 등을 사용하여 프로그램된 동작을 수행한다.
모바일 단말(130)이 네트워크 접속 장치(150)의 통신 범위에 들어가면, 모바일 단말(130)은 네트워크 접속 장치(150)에 접속한다. 모바일 단말(130)은 네트워크 접속 장치(150) 접속을 위해 필요한 정보(패스워드 등)를 미리 알고 있거나, 접속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요청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30)은 네트워크 접속 장치(150)에 접속하면, 네트워크 접속 장치(15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획득한다. 그리고, 모바일 단말(130)은 TV 단말(110)과 마찬가지로 네트워크 접속 장치(150)에 관련된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서버 장치(170)로 전송한다. 만약 모바일 단말(130)이 네트워크 접속 장치(150)의 통신 범위를 벗어나면, 모바일 단말(130)과 네트워크 접속 장치(150)의 접속은 해제된다. 그러면, 모바일 단말(130)은 네트워크 연결 해제 정보를 서버 장치(170)로 전송한다.
모바일 단말(130)은 모바일 단말용 연동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고, 탑재된 연동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접속된 네트워크 접속 장치(150)에 관계된 네트워크 연결 정보 또는 네트워크 연결 해제 정보를 서버 장치(170)로 전송한다. 연동 어플리케이션은 모바일 단말(130)의 프로세서, 메모리, 통신 모듈 등을 사용하여 프로그램된 동작을 수행한다.
네트워크 접속 장치(150)에 접속 중인 모바일 단말(130)은 서버 장치(170)로부터 TV 단말(110)에 관련된 커머스 정보를 수신한다. 커머스 정보는 TV 단말(110)에서 재생 중인 방송에 연결된 상품 정보, 이벤트 정보, 방송 정보 등을 포함한다. 커머스 정보는 다양하게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머스 정보는 상품 정보, 이벤트 정보, 방송 정보 등의 콘텐트일 수 있고 또는 상품 정보, 이벤트 정보, 방송 정보 등의 콘텐트가 저장된 링크 정보(URL)일 수 있다.
모바일 단말(130)은 예를 들면,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노트북, 웨어러블 단말 등과 같은 이동형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는 모바일 단말(130)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TV 단말(110) 근처에 위치하고 네트워크 접속 장치(150)에 접속할 수 있는 고정형 단말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서버 장치(170)는 도 2와 같이, 단말 연동부(171), 방송사 및 커머스 서비스 시스템 연동부(173), 그리고 연동 처리부(175)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연동부(171)는 TV 단말(110) 및 모바일 단말(130)과 연동하고, TV 단말(110) 및 모바일 단말(130)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수신한다. 단말 연동부(171)는 수신 정보를 연동 처리부(175)로 전달한다. 단말 연동부(171)는 TV 단말(110)로부터 네트워크 연결 정보와 이벤트 정보를 수신한다. 단말 연동부(171)는 모바일 단말(130)로부터 네트워크 연결 정보/네트워크 연결 해제 정보를 수신한다. 단말 연동부(171)는 모바일 단말(130)로 커머스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정보를 전송한 모바일 단말(130)의 전화 번호를 저장한다.
방송사 및 커머스 서비스 시스템 연동부(173)는 적어도 하나의 방송사 시스템(200)과 적어도 하나의 커머스 서비스 시스템(300)과 연동한다. 방송사 및 커머스 서비스 시스템 연동부(173)는 방송사 시스템(200)으로부터 채널별 방송 프로그램 편성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메타 정보를 가져온다. 방송사 및 커머스 서비스 시스템 연동부(173)는 커머스 서비스 시스템(300)으로부터 채널별 방송 프로그램에 대응된 커머스 정보(예를 들면, 상품 정보)를 가져온다. 방송사 및 커머스 서비스 시스템 연동부(173)가 방송사 시스템(200)/커머스 서비스 시스템(300)에 주기적으로 접속하여 정보를 가져오거나, 연동 처리부(175)의 요청에 따라 방송사 시스템(200)/ 커머스 서비스 시스템(300)에 접속하여 정보를 가져올 수 있다. 방송사 및 커머스 서비스 시스템 연동부(173)는 콘텐츠 메타 정보와 커머스 정보를 생성하거나 편집할 수 있다.
연동 처리부(175)는 단말 연동부(171)로부터 수신한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기초로 TV 단말(110)과 모바일 단말(130)을 매핑한다. 연동 처리부(175)는 복수의 TV 단말과 복수의 모바일 단말로부터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데, TV 단말A와 모바일 단말A로부터 수신한 네트워크 연결 정보(AP 식별 정보)가 같다면 모바일 단말A가 TV 단말A 근처에 있다고 판단된다. 왜냐하면 TV 단말A와 모바일 단말A가 동일한 네트워크 접속 장치에 연결됐기 때문이다.
연동 처리부(175)는 TV 단말과 모바일 단말의 매핑 정보를 관리하고, 예를 들면 표 1과 같은 매핑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매핑 정보는 현재 TV 단말에서 시청 중인 채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V 단말 근처에 복수의 사용자가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어느 네트워크 접속 장치(AP 식별 정보2)에는 한 대의 TV 단말과 두 대의 모바일 단말이 접속할 수 있다.
네트워크 연결 정보 TV 단말 모바일 단말
AP 식별 정보1 TV 단말 식별 정보A,
시청 중인 채널 정보
모바일 단말 식별 정보k
AP 식별 정보2 TV 단말 식별 정보B,
시청 중인 채널 정보
모바일 단말 식별 정보m
모바일 단말 식별 정보n
연동 처리부(175)는 TV 단말(110)과 모바일 단말(130)이 매핑된 경우, TV 단말(110)에서 시청 중인 채널 정보(예를 들면, 채널 9)를 확인한다. 그리고, 연동 처리부(175)는 방송사 및 커머스 서비스 시스템 연동부(173)에서 수집한 방송 프로그램 편성 정보를 기초로 시청 중인 채널(채널 9)에서 방송되는 프로그램 정보(드라마A)를 획득한다. 채널별 방송 프로그램 편성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메타 정보는 연동 처리부(175), 방송사 및 커머스 서비스 시스템 연동부(173) 또는 별도 저장소에 저장될 수 있다. 채널별 방송 프로그램 편성 정보를 갱신될 수 있고 편집될 수 있다.
연동 처리부(175)는 방송사 및 커머스 서비스 시스템 연동부(173)에 프로그램 정보(드라마A)에 관련된 커머스 정보(상품 정보, 이벤트 정보, 방송 정보 등)가 있는지 문의한다. 연동 처리부(175)는 프로그램 정보(드라마A)에 관련된 커머스 정보를 모바일 단말(130)로 전송한다. 커머스 정보는 상품 정보, 이벤트 정보, 방송 정보 등의 콘텐트일 수 있고 또는 상품 정보, 이벤트 정보, 방송 정보 등의 콘텐트가 저장된 링크 정보(URL)일 수 있다.
연동 처리부(175)는 TV 단말(110)과 모바일 단말(130)의 매핑이 유지된 상태에서, TV 단말(110)로부터 새로운 채널 정보(예를 들면, 채널 7)를 수신한다. 즉, 채널 9에서 채널 7로 변경된 채널 변경 정보를 수신한다. 그러면, 연동 처리부(175)는 매핑 정보의 시청 중인 채널 정보를 갱신하고, 시청 중인 채널(채널 7)에서 방송되는 프로그램 정보(드라마B)를 획득한다. 그리고, 연동 처리부(175)는 프로그램 정보(드라마B)에 관련된 커머스 정보가 있다면, 해당 커머스 정보를 모바일 단말(130)로 전송한다.
연동 처리부(175)는 TV 단말이나 모바일 단말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 매핑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연동 처리부(175)는 TV 단말로부터 TV 오프 정보를 수신하거나 주기적인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TV 단말이 꺼졌다고 판단하다. 따라서, 연동 처리부(175)는 꺼진 TV 단말의 매핑 정보를 삭제한다. 또는 연동 처리부(175)는 모바일 단말로부터 네트워크 연결 해제 정보를 수신한 경우, 모바일 단말이 TV 단말 근처를 벗어났다고 판단한다. 따라서, 연동 처리부(175)는 TV 단말 근처를 벗어난 모바일 단말의 매핑 정보를 삭제한다.
연동 처리부(175)는 커머스 정보 전송 시점과 전송 방법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동 처리부(175)는 프로그램 정보에 대응된 커머스 정보를 확인하면, 곧바로 모바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연동 처리부(175)는 일정 시간 동안 커머스 정보를 누적하여 전송할 수 있다. 연동 처리부(175)는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에 커머스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연동 처리부(175)는 커머스 정보를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푸쉬)할 수 있다. 연동 처리부(175)는 커머스 정보를 문자 메시지(링크 정보인 경우) 형태로 전송할 수 있다. 연동 처리부(175)는 사용자가 설정한 저장소(메일 등)나 사용자에게 할당된 저장소에 커머스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계정으로 저장소에 접근하여 커머스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30)은 서버 장치(170)로부터 커머스 정보를 수신한다. 커머스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에 푸쉬되거나, 문자 메시지(링크 정보인 경우)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사용자는 커머스 서비스 시스템(300)과 연동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상품 정보를 확인하거나 결재할 수 있다.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이나 문자 메시지에서 링크 정보를 클릭해서, 관련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사용자는 방송 프로그램을 보면서 커머스 정보를 확인할 수 있지만, 방송 프로그램이 끝난 후에도 커머스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3부터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방송에 연동되는 모바일 커머스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TV 단말(110)이 네트워크 접속 장치(AP)(150)에 접속한다(S110). TV 단말(110)이 켜지면 네트워크 접속 장치(150)에 자동으로 접속할 수 있다.
TV 단말(110)은 네트워크 접속 장치(15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서버 장치(170)로 전송한다(S112). TV 단말(110)이 서버 장치(170)로 전송하는 메시지는 네트워크 연결 정보와 함께 TV 단말(11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TV 단말(110)은 네트워크 접속 장치(150)를 통해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서버 장치(170)로 전송할 수 있으나, 도 2에서는 간단히 TV 단말(110)에서 서버 장치(170)로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서버 장치(170)는 네트워크 접속 장치(150)에 TV 단말(110)를 매핑한다(S120).
TV 단말(110)은 시청(재생) 중인 채널 정보를 서버 장치(170)로 전송한다(S130). TV 단말(110)은 채널 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하거나, 채널이 변경될 때 전송할 수 있다. 또는 TV 단말(110)은 사용자가 현재 채널에서 일정 시간(예를 들면 10분) 이상 시청하고 있는지 모니터링하고, 일정 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시청하고 있는 채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서버 장치(170)는 수신한 채널 정보를 네트워크 접속 장치-TV 단말 매핑 정보에 저장한다(S140).
모바일 단말(130)이 네트워크 접속 장치(150)에 접속한다(S150).
모바일 단말(130)은 네트워크 접속 장치(15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서버 장치(170)로 전송한다(S152). 모바일 단말(130)이 서버 장치(170)로 전송하는 메시지는 네트워크 연결 정보와 함께 모바일 단말(130)의 식별 정보(예를 들면, 전화 번호)를 포함한다.
서버 장치(170)는 매핑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서 네트워크 접속 장치(150)에 관련된 매핑 정보를 검색한다(S160).
서버 장치(170)는 네트워크 접속 장치(150)에 관련된 매핑 정보에 모바일 단말(130)을 추가한다(S162). TV 단말(110)과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30)이 매핑되면, 서버 장치(170)는 커머스 정보를 추출한다.
서버 장치(170)는 채널별 방송 프로그램 편성 정보를 기초로 매핑 정보에 저장된 채널의 프로그램 정보를 획득한다(S170).
서버 장치(170)는 획득한 프로그램 정보에 관련된 커머스 정보가 있는지 확인한다(S180).
서버 장치(170)는 커머스 정보를 모바일 단말(130)로 전송한다(S190). 서버 장치(170)는 커머스 정보가 있으면 모바일 단말(130)로 바로 전송할 수 있고, 일정 시간 대기한 후 전송할 수 있으며, 또는 설정에 따라 특정 장소에 저장해 둘 수 있다.
도 3에서는 TV 단말(110)의 연결 정보가 서버 장치(170)에 저장된 후, 모바일 단말(130)의 연결 정보가 서버 장치(170)에 저장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서버 장치(170)는 TV 단말(110)과 모바일 단말(130)이 네트워크 접속 장치(150)에 연결되는 순서에 상관없이 네트워크 접속 장치(150)에 연결되는 단말 정보를 관리한다.
도 4를 참고하여 TV 단말(110)과 모바일 단말(130)이 네트워크 접속 장치(150)에 접속 중인 상태에서, 사용자(시청자)가 TV 단말(110)을 제어하는 경우에 대해 살펴본다.
도 4를 참고하면, 서버 장치(170)는 네트워크 접속 장치(150)에 접속된 TV 단말(110)과 모바일 단말(130)의 매핑 정보를 관리한다(S210). 매핑 정보는 TV 단말에서 출력 중인 채널 정보를 포함한다.
TV 단말(110)은 채널 변경 정보를 입력받는다(S220). 사용자가 리모콘을 통해 채널을 이동하거나 채널 이동 버튼을 눌러 채널을 이동하면, TV 단말(110)은 채널 변경 정보를 입력받는다.
TV 단말(110)은 채널 변경 정보를 서버 장치(170)로 전송한다(S230). 채널 변경 정보는 현재 시청 중인 채널 정보로서, 이전 채널과 다른 채널이다. TV 단말(110)은 사용자가 리모콘을 통해 채널을 탐색하는 중이라면 채널 변경 정보를 서버 장치(170)로 즉시 전송하지 않고 일정 시간 대기한다. 즉, TV 단말(110)은 사용자가 시청을 위해 머무르는 채널을 탐지하고, 사용자가 어느 채널을 시청 중이라고 판단하면 해당 채널 정보를 서버 장치(17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 장치(170)는 수신한 채널 변경 정보를 TV 단말(110)과 모바일 단말(130)의 매핑 정보에 저장한다(S240).
서버 장치(170)는 채널별 방송 프로그램 편성 정보를 기초로 변경된 채널의 프로그램 정보를 획득한다(S250).
서버 장치(170)는 획득한 프로그램 정보에 관련된 커머스 정보가 있는지 확인한다(S260).
서버 장치(170)는 커머스 정보를 모바일 단말(130)로 전송한다(S270).
도 5를 참고하여 TV 단말(110)과 모바일 단말(130)이 네트워크 접속 장치(150)에 접속 중인 상태에서, 모바일 단말(130)이 네트워크 접속 장치(150)와의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에 대해 살펴본다.
도 5를 참고하면, 서버 장치(170)는 네트워크 접속 장치(150)에 접속된 TV 단말(110)과 모바일 단말(130)의 매핑 정보를 관리한다(S310).
모바일 단말(130)은 네트워크 접속 장치(150)의 통신 범위를 벗어나면, 네트워크 접속 장치(150)와의 접속을 해제한다(S320).
모바일 단말(130)은 네트워크 연결 해제 정보를 서버 장치(170)로 전송한다(S330). 네트워크 연결 해제 정보는 모바일 단말(13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네트워크 접속 장치(150)의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버 장치(170)는 수신한 네트워크 연결 해제 정보를 기초로 매핑 정보에 매핑된 모바일 단말(130)의 정보를 삭제한다(S340).
서버 장치(170)는 TV 단말(110)에 매핑된 모바일 단말이 없으면, TV 단말(110)과 관련된 커머스 정보를 추출하지 않는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130)은 네트워크 연결 해제 시점부터 TV 단말(110)에서 재생 중인 프로그램 관련 커머스 정보를 수신할 수 없다. 그러나, 모바일 단말(130)은 네트워크 연결 해제되더라도, 이미 수신한 커머스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여 TV 단말(110)과 모바일 단말(130)이 네트워크 접속 장치(150)에 접속 중인 상태에서, TV 단말(110)이 네트워크 접속 장치(150)와의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에 대해 살펴본다. 즉, 사용자가 TV 단말(110)의 전원을 끄면, TV 단말(110)이 네트워크 접속 장치(150)와의 연결이 해제된다.
도 6을 참고하면, 서버 장치(170)는 네트워크 접속 장치(150)에 접속된 TV 단말(110)과 모바일 단말(130)의 매핑 정보를 관리한다(S410).
서버 장치(170)는 TV 단말(110)로부터 지정된 주기에 시청 중인 채널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거나, TV 단말(110)로부터 TV 오프 정보를 수신하면, TV 단말(110)이 꺼진 상태라고 판단한다(S420).
서버 장치(170)는 매핑 정보에서 TV 단말(110)의 정보를 삭제한다(S430).
서버 장치(170)는 모바일 단말(130)에 매핑된 TV 단말(110)이 없으므로, TV 단말(110)과 관련된 커머스 정보를 추출하지 않는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하드웨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TV 단말과 모바일 단말을 포함하는 단말은 메모리(1100), 프로세서(1200), 디스플레이(1300) 그리고 통신모듈(1400)을 포함하는 하드웨어로 구성된다.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저장 장치(1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동 어플리케이션은 본 발명에서 도면을 참고로 설명한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연동 어플리케이션은 해당 단말에 탑재되고, 단말의 메모리(1100) 프로세서(1200) 그리고 디스플레이(1300)를 포함하는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프로그램된 동작을 실행한다.
메모리(1100)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instructions)를 저장하고 있거나, 저장 장치로부터 명령어를 로드하여 일시 저장한다. 프로세서(1200)는 메모리(1100)에 저장되어 있거나 로드된 명령어를 실행하여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한다. 디스플레이(130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TV 프로그램과 연동된 T-커머스 서비스가 활성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개입 없이 TV 단말과 모바일 단말을 연동할 수 있고, 시청자의 TV 시청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시청자에게 다양한 커머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커머스 사업자는 모바일 커머스를 위해 구축한 시스템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투자 비용을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방송 광고 시장의 위축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방송 사업자에게 새로운 수익 모델을 제시하여 방송 산업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5)

  1. 실시간 방송에 연동되는 모바일 커머스 시스템으로서,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하고, 네트워크 접속 장치에 접속하여 인터넷망에 연결되는 셋탑박스,
    상기 네트워크 접속 장치에 접속하여 인터넷망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 그리고
    상기 셋탑박스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접속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접속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제1 네트워크 연결 정보와 상기 제2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기초로 상기 셋탑박스과 상기 모바일 단말이 접속한 장치 식별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셋탑박스과 상기 모바일 단말이 동일한 상기 네트워크 접속 장치에 접속한 경우, 상기 셋탑박스의 식별 정보와 상기 모바일 단말의 식별 정보를 매핑한 매핑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매핑 정보가 유지되는 동안 상기 셋탑박스에서 출력되는 방송 프로그램에 관련된 커머스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서버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셋탑박스의 채널 정보를 상기 매핑 정보에 저장하고, 채널별 방송 프로그램 편성 정보를 기초로 상기 채널 정보에서 출력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확인한 후, 커머스 서비스 시스템과 연동하여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대응된 상기 커머스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매핑 정보를 기초로 상기 셋탑박스에 매핑된 상기 모바일 단말을 확인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로 획득한 상기 커머스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셋탑박스는
    상기 네트워크 접속 장치에 접속하면 상기 네트워크 접속 장치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상기 서버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은
    상기 네트워크 접속 장치에 접속하면 상기 네트워크 접속 장치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2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상기 서버 장치로 전송하는, 모바일 커머스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셋탑박스은
    사용자의 제어에 의해 발생하는 이벤트 정보를 상기 서버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이벤트 정보는
    상기 셋탑박스의 온 정보, 상기 셋탑박스의 오프 정보, 그리고 상기 셋탑박스에서 출력 중인 채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모바일 커머스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서,
    상기 서버 장치는 방송사 시스템과 연동하여 상기 채널별 방송 프로그램 편성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방송사 시스템은 상기 채널별 방송 프로그램 편성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메타 정보를 상기 서버 장치에 제공하는 모바일 커머스 시스템.
  6. 제1항에서,
    상기 커머스 서비스 시스템은 방송 프로그램별 커머스 정보를 상기 서버 장치에 제공하는 모바일 커머스 시스템.
  7. 제1항에서,
    상기 셋탑박스은
    주기적으로 상기 셋탑박스에서 출력 중인 채널 정보를 상기 서버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 장치는
    수신한 채널 정보를 상기 매핑 정보에 저장하며, 지정된 주기에 상기 채널 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셋탑박스이 꺼진 상태라고 판단하고, 상기 매핑 정보에서 상기 셋탑박스을 삭제하는 모바일 커머스 시스템.
  8. 제1항에서,
    상기 셋탑박스은
    사용자의 제어에 의해 전원 오프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셋탑박스의 오프 정보를 상기 서버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오프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셋탑박스이 꺼진 상태라고 판단하고, 상기 매핑 정보에서 상기 셋탑박스을 삭제하는 모바일 커머스 시스템.
  9. 제1항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은
    상기 네트워크 접속 장치와의 연결이 해제되면, 네트워크 연결 해제 정보를 상기 서버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네트워크 연결 해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네트워크 접속 장치의 통신 범위를 벗어난 상태라고 판단하고, 상기 매핑 정보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을 삭제하는 모바일 커머스 시스템.
  10. 제1항에서,
    상기 네트워크 접속 장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장치인 모바일 커머스 시스템.
  11. 모바일 커머스 시스템의 서버 장치가 실시간 방송에 연동되는 모바일 커머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단말이 접속한 네트워크 접속 장치의 제1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의 식별 정보와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제2 단말이 접속한 네트워크 접속 장치의 제2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식별 정보가 상기 제1 식별 정보와 같은 경우, 상기 제1 단말의 식별 정보와 상기 제2 단말의 식별 정보를 매핑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의 매핑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중 어느 하나가 셋탑박스이고 다른 하나가 모바일 단말인 경우, 상기 셋탑박스에서 출력되는 방송 프로그램에 관련된 커머스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셋탑박스과 상기 모바일 단말 중 어느 하나로부터 네트워크 연결 해제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의 매핑을 해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의 매핑이 해제된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로의 커머스 정보 전송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커머스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셋탑박스로부터 채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셋탑박스의 채널 정보 및 채널별 방송 프로그램 편성 정보를 기초로 상기 셋탑박스에서 출력되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확인하는 단계,
    커머스 서비스 시스템과 연동하여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대응된 상기 커머스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셋탑박스에 매핑된 상기 모바일 단말을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모바일 단말로 획득한 상기 커머스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모바일 단말과 상기 셋탑박스 각각은 접속한 네트워크 접속 장치의 식별 정보를 상기 서버 장치로 전송하는, 방법.
  12. 제11항에서,
    상기 네트워크 접속 장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장치인, 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60110179A 2014-07-18 2016-08-29 실시간 방송에 연동되는 모바일 커머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2327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90688 2014-07-18
KR1020140090688 2014-07-18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4194A Division KR20160010851A (ko) 2014-07-18 2015-06-15 실시간 방송에 연동되는 모바일 커머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5966A KR20160105966A (ko) 2016-09-08
KR102232779B1 true KR102232779B1 (ko) 2021-03-29

Family

ID=5530985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4194A KR20160010851A (ko) 2014-07-18 2015-06-15 실시간 방송에 연동되는 모바일 커머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0160110179A KR102232779B1 (ko) 2014-07-18 2016-08-29 실시간 방송에 연동되는 모바일 커머스 시스템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4194A KR20160010851A (ko) 2014-07-18 2015-06-15 실시간 방송에 연동되는 모바일 커머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6001085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34440A1 (ko) * 2022-06-02 2023-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텔레비전 및 시스템의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865B1 (ko) * 2010-07-06 2013-10-04 김덕중 모바일 환경에서 tv 화면과 연동하는 증강 현실을 제공하는 방법, 이를 위한 부가 서비스 서버 및 방송 시스템
KR101179121B1 (ko) * 2010-09-30 2012-09-07 (주)인포모션 방송연동형 부가정보 처리방법
KR101423231B1 (ko) * 2011-10-25 2014-07-29 주식회사 케이티 콘텐츠 관련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홈 게이트웨이 및 부가 정보 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34440A1 (ko) * 2022-06-02 2023-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텔레비전 및 시스템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5966A (ko) 2016-09-08
KR20160010851A (ko) 2016-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9209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configuring a user equipment device with content consumption material
US9967708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erforming actions based on location-based rules
US10986470B2 (en) Bi-directional integration and control of managed and unmanaged devices
CN102396205B (zh) 与选定用户共享音频/视觉内容
US8925026B2 (en) Back office support for a video provisioning system
CN111935086A (zh) 一种账号登录方法与装置
CN103828388A (zh) 提供智能电视徽标的方法和显示屏
CA281050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dvertisements to user devices using an advertisement gateway
CN103430570A (zh) 用于视频点播系统中带宽节省的社交网络
CN103797811B (zh) 用于消费者对交互式电视接触的控制的系统和方法
CN103748542A (zh) 互动电视的屏幕上设置互动
KR102232779B1 (ko) 실시간 방송에 연동되는 모바일 커머스 시스템 및 방법
US1059295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on-line purchase of items displayed within video content
KR101207893B1 (ko) 인터액티브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스마트 티브이용 vod 트위터 시스템 및 비디오 컨텐츠의 전달 방법
JP5836406B2 (ja) Api提供サーバ及びapi提供システム
KR20110065292A (ko) 컨텐트에 대한 코멘트 공유 방법 및 그 장치
KR100752753B1 (ko) 인터넷 환경의 홈페이지 서비스와 연계된 텔레비전 환경의양방향 방송 서비스의 간편하고 효율적인 구현방법 및 이를위한 시스템
KR101563134B1 (ko) 블로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블로그 서버, 셋탑박스 및시스템
JP6408325B2 (ja) 通信制御装置、コンテンツ視聴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方法
KR20110126845A (ko) 아이피 텔레비젼과 스마트폰을 결합한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338224B1 (ko) 아이피 텔레비젼과 스마트폰을 결합한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