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2205B1 - A method for generating a virtual driving sound of a vehicle - Google Patents

A method for generating a virtual driving sound of a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2205B1
KR102232205B1 KR1020190127866A KR20190127866A KR102232205B1 KR 102232205 B1 KR102232205 B1 KR 102232205B1 KR 1020190127866 A KR1020190127866 A KR 1020190127866A KR 20190127866 A KR20190127866 A KR 20190127866A KR 102232205 B1 KR102232205 B1 KR 102232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component
acceleration
driving sound
virtual driving
engine ig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78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성환
양재호
차수호
Original Assignee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27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220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2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22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5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 B60Q5/008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for signaling silent vehicles, e.g. for warning that a hybrid or electric vehicle is approach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0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4Sound-produc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1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vehicle conditions
    • B60Q2300/11Linear movements of the vehicle
    • B60Q2300/112Vehicl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1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vehicle conditions
    • B60Q2300/11Linear movements of the vehicle
    • B60Q2300/114Vehicle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11Noise generation, e.g. drive noise to warn pedestrians that an electric vehicle is approach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generating a virtual driving sound of a vehicle includes the following steps of: sensing whether a vehicle is accelerated; the acceleration of the vehicle is sensed, comparing the current acceleration of the vehicle to a predetermined level of acceleration; if the current acceleration is no more than the predetermined acceleration, operating in a slow acceleration mode; if the current acceleration exceeds the predetermined acceleration, operating in a fast acceleration mode; and if the acceleration of the vehicle is not sensed, operating in a constant speed/deceleration mode. The constant speed/deceleration mode is the mode in which a virtual driving sound is not generated. The slow acceleration mode is the mode in which a virtual driving sound is not generated, or a virtual driving sound corresponding to a prim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is generated, depending on the current speed of the vehicle. The fast acceleration mode is a mode in which a virtual driving sound is not generated, a virtual driving sound corresponding to a prim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is generated, or a virtual driving sound corresponding to a half or second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is additionally generated.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satisfying a driver in regard to both comfort and dynamics.

Description

차량의 가상 주행음 생성 방법{A method for generating a virtual driving sound of a vehicle}A method for generating a virtual driving sound of a vehicl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차량의 주행 환경에 따른 가상 주행음 생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method of generating a virtual driving sound according to a driving environment of a vehicle.

차량의 감성 품질 향상과 관련하여 엔진의 음질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엔진의 음질이 우수한 차량은 운전자에게 만족스러운 주행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In connection with improving the emotional quality of vehicles, research on the sound quality of the engine is being actively conducted. A vehicle with excellent engine sound quality can provide a satisfactory driving environment to the driver.

엔진의 음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서 하드웨어적 개선 방안이 있으나 이는 물리적인 한계와 외부 소음 규제 등의 이유로 구현에 제한이 많아, 최근에는 오디오 시스템을 이용하여 가상 주행음을 생성하는 ASD(Active Sound Design)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There is a hardware improvement plan as a way to improve the sound quality of the engine, but this has many limitations in implementation due to physical limitations and external noise regulation, and recently, Active Sound Design (ASD), which generates virtual driving sound using an audio system. Technology is being used.

ASD 기술의 주안점은 주행 환경에 적합한 가상 주행음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자연스러운 차량 내부 음환경을 구현하는 것이다.The main point of ASD technology is to realize a more natural sound environment inside the vehicle by providing a virtual driving sound suitable for the driving environment.

기존의 ASD 기술은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을 증폭시킴으로써 역동감(Dynamic)이 향상된 가상 주행음을 제공하였으나, 역동감이 과도하게 향상된 가상 주행음은 운전자에게 소음으로 느껴져 오히려 불쾌감을 크게 하는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Existing ASD technology amplifies the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to provide a virtual driving sound with improved dynamics, but the virtual driving sound with excessively improved dynamics feels as noise to the driver, causing a problem that increases the discomfort.

따라서, 보다 쾌적한 주행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차량의 속도, 가속도, 가상 주행음의 레벨 등에 따라 제어된 가상 주행음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Accordingly, in order to provide a more comfortable driving environment, there is a need to provide a virtual driving sound controlled according to a vehicle speed, acceleration, a level of a virtual driving sound, and the lik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주행 환경에 적합한 차량의 가상 주행음을 생성하고, 이를 통해 운전자의 쾌적감과 역동감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propose a method of generating a virtual driving sound of a vehicle suitable for a driving environment, thereby satisfying a driver's comfort and dynamics at the same ti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가상 주행음 생성 방법은 차량의 가속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가속이 감지된 경우, 상기 차량의 현재 가속도를 소정 가속도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현재 가속도가 상기 소정 가속도 이하인 경우, 느린 가속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 상기 현재 가속도가 상기 소정 가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빠른 가속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의 가속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정속/감속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정속/감속 모드는 가상 주행음을 생성하지 않는 모드이고, 상기 느린 가속 모드는 상기 차량의 현재 속도에 따라, 가상 주행음을 생성하지 않거나, 1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에 해당하는 가상 주행음을 생성하는 모드이고, 상기 빠른 가속 모드는 상기 현재 가속도에 따라, 가상 주행음을 생성하지 않거나, 1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에 해당하는 가상 주행음을 생성하거나, 반차 또는 2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에 해당하는 가상 주행음을 더 생성하는 모드이다.A method of generating a virtual driving sound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detecting whether the vehicle is accelerated; Comparing the current acceleration of the vehicle with a predetermined acceleration when acceleration of the vehicle is detected; Operating in a slow acceleration mode when the current acceleration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predetermined acceleration; Operating in a fast acceleration mode when the current acceleration exceeds the predetermined acceleration; And when the acceleration of the vehicle is not detected, operating in a constant speed/deceleration mode, wherein the constant speed/deceleration mode is a mode that does not generate a virtual driving sound, and the slow acceleration mode corresponds to the current speed of the vehicle. Accordingly, a virtual driving sound is not generated or a virtual driving sound corresponding to a prim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is generated, and the fast acceleration mode does not generate a virtual driving sound or a prim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according to the current acceleration. This mode generates a virtual driving sound corresponding to or further generates a virtual driving sound corresponding to a half or second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본 실시예에서, 상기 느린 가속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속도를 소정 속도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현재 속도가 상기 소정 속도 이하인 경우, 가상 주행음을 생성하지 않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속도가 상기 소정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1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에 해당하는 가상 주행음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operating in the slow acceleration mode may include comparing the current speed with a predetermined speed; Not generating a virtual driving sound when the current speed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predetermined speed; And generating a virtual driving sound corresponding to a prim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when the current speed exceeds the predetermined spe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빠른 가속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현재 스로틀 위치 변화율을 기준 스로틀 위치 변화율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현재 스로틀 위치 변화율이 상기 기준 스로틀 위치 변화율 이하인 경우, 가상 주행음을 생성하지 않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스로틀 위치 변화율이 상기 기준 스로틀 위치 변화율을 초과하는 경우, 1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에 해당하는 가상 주행음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operating in the fast acceleration mode may include comparing a current throttle position change rate of the vehicle with a reference throttle position change rate; Not generating a virtual driving sound when the current throttle position change rate is less than the reference throttle position change rate; And generating a virtual driving sound corresponding to a prim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when the current throttle position change rate exceeds the reference throttle position change rate.

본 실시예에서, 상기 1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에 해당하는 가상 주행음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1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에 해당하는 가상 주행음 레벨을 상승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generating the virtual driving sound corresponding to the prim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may be a step of raising the virtual driving sound level corresponding to the prim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본 실시예에서, 상기 빠른 가속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가속도가 최대 가속도와 동일한 경우, 반차 또는 2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에 해당하는 가상 주행음을 더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perating in the fast acceleration mode may further include generating a virtual driving sound corresponding to a half or second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when the current acceleration is equal to the maximum acceleration. .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반차 또는 2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에 해당하는 가상 주행음을 더 생성하는 단계는, 1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에 해당하는 가상 주행음 레벨을 감소시키고, 반차 또는 2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에 해당하는 가상 주행음 레벨을 증가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tep of further generating the virtual running sound corresponding to the half-order or second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reduces the virtual driving sound level corresponding to the prim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and the half-order or second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It may be a step of increasing the virtual driving sound level corresponding to.

본 실시예에서, 상기 차량의 내부에서 측정된 음압 레벨이 기준 음압 레벨을 초과하는 경우, 1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에 해당하는 가상 주행음 레벨과 반차 또는 2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에 해당하는 가상 주행음 레벨을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sound pressure level measured inside the vehicle exceeds the reference sound pressure level, the virtual driving sound level corresponding to the prim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and the virtual driving sound level corresponding to the secondary or second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Maintaining the; may further include.

본 실시예에서, 상기 빠른 가속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가속도가 제1 기준 가속도 이하인 경우, 1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에 해당하는 가상 주행음 레벨을 유지시키고, 반차 또는 2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에 해당하는 가상 주행음 레벨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준 가속도는 상기 최대 가속도를 기준으로 상기 차량의 현재 스로틀 위치, 현재 스로틀 위치 변화율, 및 현재 속도 중 적어도 하나가 적용되어 산출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tep of operating in the fast acceleration mode, when the current acceleration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first reference acceleration, maintains the virtual driving sound level corresponding to the prim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and the half or second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Reducing the virtual driving sound level corresponding to; further comprising, the first reference acceleration is calculated by applying at least one of a current throttle position, a current throttle position change rate, and a current speed of the vehicle based on the maximum acceleration. Can be.

본 실시예에서, 상기 빠른 가속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가속도가 0 미만인 경우, 1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에 해당하는 가상 주행음 레벨을 감소시키고, 반차 또는 2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에 해당하는 가상 주행음 레벨을 오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tep of operating in the fast acceleration mode, when the current acceleration is less than 0, decreases the virtual driving sound level corresponding to the prim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and corresponds to the semi-order or second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Turning off the virtual driving sound level; may further include.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주행 환경에 적합한 차량의 가상 주행음을 생성하고, 이를 통해 운전자의 쾌적감과 역동감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virtual driving sound of a vehicle suitable for a driving environment may be generated, thereby simultaneously satisfying a driver's comfort and dynamic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가상 주행음 생성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가상 주행음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느린 가속 모드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가상 주행음 생성 단계 및 생성음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빠른 가속 모드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NRorder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 virtual driving sound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a virtual driving sound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slow acceleration mod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are graphs each illustrating a virtual driving sound generation step and a generated sound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9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fast acceleration mod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graph for explaining a TNR or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embodi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onvers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이하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다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following examples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xample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multiple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following examples,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other features or possibilities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re not preliminarily exclud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presented by functional block configurations and various processing steps. These functional blocks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numbers of hardware or/and software components that perform specific functions. For exampl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irectly control one or more microprocessors or execute various functions by other control devices, such as memory, processing, logic, and look-up tables. Circuit configurations can be employed. Similar to how the component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with software programming or software element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various algorithms implemented with a combination of data structures, processes, routines or other programming components. , C, C++, Java, assembler (assembler), such as programming or scripting language. Functional aspects can be implemented with an algorithm running on one or more processors. Fur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employ conventional techniques for electronic environment setting, signal processing, and/or data processing. Terms such as mechanism, element, means, and configuration may be widely used, and are not limited to mechanical and physical configurations. The term may include a meaning of a series of routines of software in connection with a processor or the lik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가상 주행음 생성 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apparatus 100 for generating a virtual driving sound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가상 주행음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a virtual driving sound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센서(110)는 차량의 가속 여부를 감지한다(S201). 예를 들어, 센서(110)는 차량의 스로틀 위치 변화율에 기초하여 차량의 가속 여부를 감지하거나, 차량의 속도 변화량에 기초하여 차량의 가속 여부를 감지할 수 있으며,이에 한정하지 않는다.1 and 2, the sensor 110 detects whether the vehicle is accelerated (S201). For example, the sensor 110 may detect whether the vehicle is accelerated based on the rate of change in the throttle position of the vehicle, or may detect whether the vehicle is accelerated based on the amount of change in the speed of the vehic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센서(110)는 차량 내부의 음압 레벨을 측정할 수 있다. 센서(110)는 차량 내부의 음압 레벨을 측정할 수 있다. 차량 내부의 음압 레벨은 차량 내부에서 감지되는 기 설정된 주파수 범위에 해당하는 주파수 성분들의 총합의 레벨일 수 있다.Meanwhile, the sensor 110 may measure the sound pressure level inside the vehicle. The sensor 110 may measure the sound pressure level inside the vehicle. The sound pressure level inside the vehicle may be a level of a sum of frequency components corresponding to a preset frequency range detected inside the vehicle.

센서(110)를 통해 차량의 가속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S201), 프로세서(130)는 차량의 가상 주행음 생성 장치(100)가 정속/감속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S203).When acceleration of the vehicle is not detected through the sensor 110 (S201), the processor 130 controls the virtual driving sound generating apparatus 100 of the vehicle to operate in a constant speed/deceleration mode (S203).

정속/감속 모드는 가상 주행음을 생성하지 않는 모드이다. 예를 들어, 차량의 속도가 일정하거나 감속하는 경우에는 스피커(150)를 통해 가상 주행음이 출력되지 않을 수 있다.The constant speed/deceleration mode is a mode that does not generate a virtual driving sound. For example, when the vehicle speed is constant or decelerates, the virtual driving sound may not be output through the speaker 150.

차량의 속도가 일정하거나 감속하는 경우에 가상 주행음을 출력하지 않음으로써, 운전자에게 보다 쾌적한 주행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By not outputting a virtual driving sound when the vehicle speed is constant or decelerating, a more comfortable driving environment can be provided to the driver.

이어서, 센서(110)를 통해 차량의 가속이 감지된 경우(S201), 프로세서(130)는 차량의 현재 가속도를 소정 가속도와 비교한다(S205).Subsequently, when acceleration of the vehicle is detected through the sensor 110 (S201), the processor 130 compares the current acceleration of the vehicle with a predetermined acceleration (S205).

소정 가속도는 가속 모드를 느린 가속 모드와 빠른 가속 모드로 구별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예를 들어, 15m/s2 일 수 있다.The predetermined acceleration is a criterion for distinguishing the acceleration mode into a slow acceleration mode and a fast acceleration mode, and may be, for example, 15 m/s2.

현재 가속도는 센서(110)에 의해 검출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The current acceleration may be detected by the sensor 1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현재 가속도가 소정 가속도 이하인 경우, 프로세서(130)는 차량의 가상 주행음 생성 장치(100)가 느린 가속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S207).If the current acceleration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predetermined acceleration, the processor 130 controls the virtual driving sound generating apparatus 100 of the vehicle to operate in a slow acceleration mode (S207).

느린 가속 모드는 차량의 현재 속도에 따라 가상 주행음을 생성하지 않거나, 1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에 해당하는 가상 주행음을 생성하는 모드이다. 느린 가속 모드의 동작은 이하에서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slow acceleration mode is a mode in which a virtual driving sound is not generated according to the current speed of the vehicle or a virtual driving sound corresponding to the prim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is generated. The operation of the slow acceleration mod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 3.

현재 가속도가 소정 가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차량의 가상 주행음 생성 장치(100)가 빠른 가속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S209). 빠른 가속 모드의 동작은 이하에서 도 4a 및 도 4b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When the current acceleration exceeds the predetermined acceleration, the processor 130 controls the virtual driving sound generating apparatus 100 of the vehicle to operate in a fast acceleration mode (S209). The operation of the fast acceleration mod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4A and 4B to 9.

빠른 가속 모드는 현재 가속도에 따라, 가상 주행음을 생성하지 않거나, 1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에 해당하는 가상 주행음을 생성하거나, 반차 또는 2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에 해당하는 가상 주행음을 더 생성하는 모드이다.The fast acceleration mode is a mode that does not generate a virtual driving sound, generates a virtual driving sound corresponding to the prim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or further generates a virtual driving sound corresponding to the half or second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according to the current acceleration. .

반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은 1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을 기준으로 소정 범위 내의 주파수 성분일 수 있다. 2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은 1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의 2배인 주파수 성분일 수 있다The semi-order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may be a frequency component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based on the prim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The second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may be a frequency component that is twice the prim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본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주행 환경에 따라 차량의 가상 주행음 생성 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변경시킴으로써, 주행 환경에 보다 적합한 가상 주행음을 출력할 수 있다. 이로써, 본 실시예는 운전자에게 보다 쾌적하고 역동적인 주행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by chang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virtual driving sound generating apparatus 100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driving environment of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output a virtual driving sound more suitable for the driving environment. Accordingly, the present embodiment can provide a more comfortable and dynamic driving environment to the driver.

상세하게는, 정속/감속 모드에서는 가상 주행음을 출력하지 않음으로써 운전자에게 쾌적한 주행 환경을 제공할 수 있고, 가속 모드에서는 차량의 현재 속도, 현재 가속도에 따라 진폭 또는 음색이 달라지는 가상 주행음을 출력함으로써 운전자에게 보다 역동적인 주행감을 제공할 수 있다.In detail, in the constant speed/deceleration mode, the virtual driving sound is not output to provide a comfortable driving environment to the driver. In the acceleration mode, the driver outputs a virtual driving sound that varies in amplitude or tone depending on the current speed and current acceleration of the vehicle. It can provide a more dynamic driving feeling to the customer.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느린 가속 모드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slow acceleration mod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30)는 현재 속도를 소정 속도와 비교한다(S301).3, the processor 130 compares the current speed with a predetermined speed (S301).

현재 속도는 센서(110)에 의해 검출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The current speed may be detected by the sensor 1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현재 속도가 소정 속도 이하인 경우, 프로세서(130)는 가상 주행음을 생성하지 않는다(S303).If the current speed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predetermined speed, the processor 130 does not generate a virtual driving sound (S303).

예를 들어, 차량의 현재 가속도가 15m/s2 이하이고, 현재 속도가 100 kph(kilometre per hour) 이하인 경우, 프로세서(130)가 가상 주행음을 생성하지 않고, 스피커(150)가 가상 주행음을 출력하지 않음으로써, 운전자에게 쾌적한 주행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current acceleration of the vehicle is 15 m/s2 or less and the current speed is 100 kph (kilometre per hour) or less, the processor 130 does not generate a virtual driving sound, and the speaker 150 does not output the virtual driving sound.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mfortable driving environment to the driver.

현재 속도가 소정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1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을 생성한다(S305).When the current speed exceeds the predetermined speed, the processor 130 generates a prim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S305).

소정 속도는 가상 주행음 출력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예를 들어, 100 kph일 수 있다.The predetermined speed is a criterion for determining whether to output a virtual driving sound, and may be, for example, 100 kph.

프로세서(130)는 현재 가속도를 기준으로 차량의 현재 스로틀 위치, 현재 스로틀 위치 변화율, 및 현재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하여 1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은 가속도의 함수로 표현될 수 있으며, 현재 스로틀 위치, 현재 스로틀 위치 변화율, 및 현재 속도 중 적어도 하나가 가속도의 함수의 가중치로서 적용될 수 있다.The processor 130 may generate a prim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by applying at least one of a current throttle position, a current throttle position change rate, and a current speed of the vehicle based on the current acceleration. For example, the prim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may be expressed as a function of acceleration, and at least one of a current throttle position, a current throttle position change rate, and a current speed may be applied as a weight of the acceleration function.

예를 들어, 차량의 현재 가속도가 15m/s2 이하이고, 현재 속도가 100 kph를 초과하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1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을 생성하고, 스피커(150)는 1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을 포함하는 가상 주행음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에게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하고 있으며 서서히 가속하고 있다는 주행감을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current acceleration of the vehicle is 15m/s2 or less and the current speed exceeds 100 kph, the processor 130 generates a prim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and the speaker 150 is the prim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A virtual driving sound including components can be output.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driver with a driving feeling that the vehicle is traveling at high speed and is gradually accelerating.

한편, 차량의 현재 가속도 및 현재 스로틀 위치 변화율이 0 미만인 경우, 프로세서(130)는 가상 주행음을 생성하지 않고, 스피커(150)가 가상 주행음을 출력하지 않음으로써, 운전자에게 쾌적한 주행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urrent acceleration of the vehicle and the current throttle position change rate are less than 0, the processor 130 does not generate a virtual driving sound and the speaker 150 does not output a virtual driving sound, thereby providing a comfortable driving environment to the driver. have.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가상 주행음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4A and 4B are graphs each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a virtual driving sound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빠른 가속 모드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5 to 9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fast acceleration mod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빠른 가속 모드 상에서는, 차량의 속도(Speed), 가속도(Acceleration), 스로틀 위치(Throttle position), 스로틀 위치 변화율(Throttle position')이 변경됨에 따라, 1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레벨(1st firing order 레벨), 반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레벨(Half orders 레벨), 2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레벨(2nd firing order 레벨)이 변경될 수 있다.4A and 4B, in the fast acceleration mode, as the speed, acceleration, throttle position, and throttle position of the vehicle are changed, the primary engine ignition The frequency component level (1st firing order level), the half-order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level (Half orders level), and the second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level (2nd firing order level) may be changed.

예를 들어, 차량의 속도(Speed), 가속도(Acceleration), 스로틀 위치(Throttle position), 및 스로틀 위치 변화율(Throttle position')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에 따른 임계 시점을 제1 시점(T1), 제2 시점(T2), 제3 시점(T3), 및 제4 시점(T4)이라 하고, 차량 내부의 음압 레벨이 기준 음압 레벨을 초과하는 시점을 S 시점(Ts)이라 할 때, 프로세서(130)는 제1 시점(T1)과 제2 시점(T2) 사이 구간에서 1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레벨을 상승시키고, 제2 시점(T2)과 S 시점(Ts) 사이의 구간에서 1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레벨을 하강시키면서 반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레벨 또는 2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레벨을 상승시키고, S 시점(Ts)과 제3 시점(T3) 사이의 구간에서 1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레벨과 반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레벨 또는 2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레벨을 유지하고, 제3 시점(T3)과 제4 시점(T4) 사이 구간에서 1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레벨을 유지하면서 반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레벨 또는 2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레벨을 감소시킬 수 있다.For example, a critical point in time according to a change in at least one of a vehicle's speed, acceleration, throttle position, and throttle position When the second time point T2, the third time point T3, and the fourth time point T4 are referred to, and the point in time when the sound pressure level inside the vehicle exceeds the reference sound pressure level is referred to as the point S point Ts, the processor 130 Is to increase the level of the prim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in the section between the first time point T1 and the second time point T2, and the prim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in the section between the second time point T2 and the S time point Ts. As the level is lowered, the level of th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or the ignition frequency of the secondary engine is raised, and the level of the prim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and the ignition frequency of the secondary engine are increased in the section between the point S (Ts) and the third point (T3). The component level or the second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level is maintained, and the prim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level is maintained in the section between the third time point (T3) and the fourth time point (T4), while the half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level or the secondary engin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level of th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이때, 1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레벨, 반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레벨, 2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레벨은 각각 해당 주파수 성분의 실제 주행음 레벨 및 가상 주행음 레벨의 합을 나타내며, 프로세서(130)는 각각의 가상 주행음 레벨을 조절함으로써 1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레벨, 반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레벨, 2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따라서, 1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레벨, 반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레벨, 2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레벨을 생성, 상승, 유지, 감소, 오프시키는 동작은, 1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에 해당하는 가상 주행음 레벨, 반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에 해당하는 가상 주행음 레벨, 2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에 해당하는 가상 주행음 레벨을 생성, 상승, 유지, 감소, 오프시키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im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level, the half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level, and the second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level respectively represent the sum of the actual driving sound level and the virtual driving sound level of the corresponding frequency component, and the processor 130 By adjusting the driving sound level, the prim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level, the second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level, and the second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level can be adjusted. Therefore, the prim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level, the second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level, 2 The operations of generating, raising, maintaining, decreasing, and turning off the level of the car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include the virtual driving sound level corresponding to the prim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the virtual driving sound level corresponding to the semi-car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and the second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It may mean an operation of generating, raising, maintaining, decreasing, or turning off the virtual driving sound level corresponding to the component.

이에 따라, 제1 시점(T1)과 제2 시점(T2) 사이 구간에서는 차량에 제공되는 가상 주행음 레벨이 점차 상승할 수 있고, 제2 시점(T2)과 제4 시점(T4) 사이 구간에서는 차량에 제공되는 가상 주행음 레벨이 유지되되 임계 시점마다 가상 주행음의 진폭 또는 음색이 변경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section between the first time point T1 and the second time point T2, the virtual driving sound level provided to the vehicle may gradually increase, and in the section between the second time point T2 and the fourth time point T4, the vehicle The virtual driving sound level provided to is maintained, but the amplitude or tone of the virtual driving sound may be changed at each critical time point.

한편, 프로세서(130)는 제1 시점(T1) 이전에는 1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레벨, 반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레벨, 및 2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레벨을 유지하고, 제4 시점(T4) 이후에는 1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레벨을 감소시키고 반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레벨 또는 2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레벨을 오프시킬 수 있다.Meanwhile, the processor 130 maintains the prim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level, the semi-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level, and the second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level before the first time point T1, and after the fourth time point T4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rim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level and turn off the sub-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level or the second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level.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제1 시점(T1) 이전에는 1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레벨, 반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레벨, 2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레벨의 가상 주행음 레벨을 오프시킴으로써 1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레벨, 반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레벨, 및 2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레벨을 유지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cessor 130 ignites the primary engine by turning off the virtual driving sound level of the prim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level, the semi-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level, and the second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level before the first time point T1. The frequency component level, the semi-order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level, and the second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level can be maintained.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제4 시점(T4) 이후에는 1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레벨의 가상 주행음 레벨을 감소시킴으로써 1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레벨을 감소시키고, 반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레벨 또는 2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레벨의 가상 주행음 레벨을 오프시킴으로써 반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레벨 또는 2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레벨을 감소시킬 수 있다.For example, after the fourth point in time T4, the processor 130 decreases the level of the first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by reducing the virtual driving sound level of the first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level, and the second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level or 2 By turning off the virtual driving sound level of the vehicle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level, the semi-vehicle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level or the second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level can be reduced.

이에 따라, 제1 시점(T1) 이전에는 차량에 가상 주행음 레벨이 제공되지 않을 수 있고, 제4 시점(T4) 이후에는 차량에 반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레벨 또는 2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레벨의 가상 주행음 레벨이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Accordingly, the virtual driving sound level may not be provided to the vehicle before the first point in time (T1), and after the fourth point in time (T4), the virtual driving sound at the half-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level or the second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level Level may not be provided.

제1 시점(T1)은 예를 들어, 현재 스로틀 위치 변화율이 기준 스로틀 위치 변화율을 초과하는 시점을 가리킬 수 있다.The first time point T1 may indicate, for example, a time point in which the current throttle position change rate exceeds the reference throttle position change rate.

기준 스로틀 위치 변화율은 빠른 가속 모드에서 가상 주행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기준일 수 있다.The reference throttle position change rate may be a reference for generating a virtual driving sound in a fast acceleration mode.

제2 시점(T2)은 예를 들어, 현재 가속도가 최대 가속도와 동일해지는 시점을 가리킬 수 있다.The second point of view T2 may indicate, for example, a point of time at which the current acceleration is equal to the maximum acceleration.

최대 가속도는 차량이 실제로 낼 수 있는 가속도의 최대치일 수 있다.The maximum acceleration may be the maximum acceleration the vehicle can actually provide.

제3 시점(T3)은 예를 들어, 현재 가속도가 제1 기준 가속도 이하가 되는 시점을 가리킬 수 있다.The third time point T3 may refer to a time point at which the current acceleration becomes less than or equal to the first reference acceleration.

제1 기준 가속도는 최대 가속도를 기준으로 차량의 현재 스로틀 위치, 현재 스로틀 위치 변화율, 및 현재 속도 중 적어도 하나가 적용되어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준 가속도는 WOT(Wide Open Throttle) 가속하는 차량의 최대 가속도의 80%인 값에, 현재 스로틀 위치, 현재 스로틀 위치 변화율, 및 현재 속도 중 적어도 하나가 가중치로 적용됨으로써 산출될 수 있다.The first reference acceleration may be calculated by applying at least one of a current throttle position, a current throttle position change rate, and a current speed of the vehicle based on the maximum acceleration. For example, the first reference acceleration is calculated by applying at least one of the current throttle position, the current throttle position change rate, and the current speed to a value that is 80% of the maximum acceleration of the vehicle accelerating wide open throttle (WOT). I can.

제4 시점(T4)은 예를 들어, 현재 가속도 및 현재 스로틀 위치 변화율이 0 미만이 되는 시점을 가리킬 수 있다.The fourth point in time T4 may refer to a point in time when the current acceleration and the current throttle position change rate become less than zero.

S 시점(Ts)은 센서(110)에 의해 측정된 차량 내부의 음압 레벨이 기준 음압 레벨을 초과하는 시점을 가리킬 수 있다.The S time point Ts may refer to a time point in which the sound pressure level inside the vehicle measured by the sensor 110 exceeds the reference sound pressure level.

1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레벨, 반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레벨 또는 2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레벨의 단위는 dB일 수 있고, 기준 음압 레벨의 단위는 dB(A)일 수 있다.The unit of the prim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level, the sub-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level, or the second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level may be dB, and the unit of the reference sound pressure level may be dB(A).

1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레벨, 반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레벨, 또는 2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레벨의 단위인 dB는 TNRorder의 단위일 수 있다. TNRorder는 엔진 오더와 노이즈의 에너지 비를 나타내며, 노이즈 밴드폭의 단위로서 라우드니스 계산모델 ISO 532-2의 ERB인 1Cam이 사용될 수 있다.The unit of the prim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level, the semi-order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level, or the second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level may be a unit of TNR order. The TNR order represents the energy ratio between the engine order and the noise, and as a unit of the noise bandwidth, 1Cam, an ERB of the loudness calculation model ISO 532-2, can be used.

프로세서(130)는 수학식 1을 이용하여 TNRorder를 구할 수 있다.The processor 130 may calculate the TNR order using Equation 1.

Figure 112019105069500-pat00001
Figure 112019105069500-pat00001

이때, OrderPower는 1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반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또는 2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의 사운드 파워일 수 있고, NoisePower는 1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반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또는 2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을 중심 주파수로 하여 ISO 532-2의 라우드니스 계산 모델에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 밴드인 ERB의 1[Cam]에 해당하는 사운드 파워일 수 있다.At this time, OrderPower may be a prim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a semi-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or a sound power of a second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and NoisePower is a prim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a semi-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or a secondary engine. It may be a sound power corresponding to 1[Cam] of ERB, which is a frequency band band used in the loudness calculation model of ISO 532-2 with th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as the center frequency.

1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레벨, 반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레벨, 또는 2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레벨의 단위로서 TNRorder을 사용함으로써 가상 주행음의 명료도를 정량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By using the TNR order as a unit of the prim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level, the half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level, or the second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level, the intelligibility of the virtual driving sound can be quantitatively generated.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NRorder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10 is a graph for explaining a TNR or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여 1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레벨, 반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레벨, 또는 2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레벨을 정량화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10, the prim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level, the semi-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level, or the second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level may be quantifi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5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30)는 차량의 현재 스로틀 위치 변화율을 기준 스로틀 위치 변화율과 비교한다(S501). 차량의 현재 스로틀 위치 변화율은 센서(110)에 의해 획득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5, the processor 130 compares the current throttle position change rate of the vehicle with the reference throttle position change rate (S501). The current rate of change of the throttle position of the vehicle may be obtained by the sensor 1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현재 스로틀 위치 변화율이 기준 스로틀 위치 변화율 이하인 경우, 프로세서(130)는 가상 주행음을 생성하지 않는다(S503).If the current throttle position change rate is less than the reference throttle position change rate, the processor 130 does not generate a virtual driving sound (S503).

예를 들어, 기준 스로틀 위치 변화율이 30%/s이고, 현재 스로틀 위치 변화율이 30%/s 이하인 경우, 프로세서(130)가 가상 주행음을 생성하지 않고, 스피커(150)가 가상 주행음을 출력하지 않음으로써, 운전자에게 쾌적한 주행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시점(T1) 이전에는 차량에 가상 주행음 레벨이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reference throttle position change rate is 30%/s and the current throttle position change rate is 30%/s or less, the processor 130 does not generate a virtual driving sound, and the speaker 150 does not output a virtual driving sound. Thu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mfortable driving environment to the driver. In other words, the virtual driving sound level may not be provided to the vehicle before the first point in time T1.

현재 스로틀 위치 변화율이 기준 스로틀 위치 변화율을 초과하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1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레벨을 상승시킨다(S505). 다시 말해, 차량의 현재 가속도가 점차 증가하여 제1 시점(T1)에 이르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1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에 해당하는 가상 주행음 레벨을 증가시키고, 스피커(150)는 점점 증가하는 1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레벨을 출력함으로써 운전자에게 차량이 가속하고 있다는 주행감을 제공할 수 있다.When the current throttle position change rate exceeds the reference throttle position change rate, the processor 130 raises the prim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level (S505). In other words, when the current acceleration of the vehicle gradually increases to reach the first time point T1, the processor 130 increases the virtual driving sound level corresponding to the prim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and the speaker 150 gradually increases. By outputting the prim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level,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driver with a driving feeling that the vehicle is accelerating.

S505에서, 1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은 가속도의 함수로 표현될 수 있으며, 현재 스로틀 위치, 현재 스로틀 위치 변화율, 및 현재 속도 중 적어도 하나가 가속도의 함수의 가중치로서 적용될 수 있다.In S505, the prim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may be expressed as a function of acceleration, and at least one of a current throttle position, a current throttle position change rate, and a current speed may be applied as a weight of the acceleration function.

도시하지 않았으나, S505 이후, 차량의 현재 가속도 및 현재 스로틀 위치 변화율이 0 미만이 되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1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을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after S505, when the current acceleration of the vehicle and the current throttle position change rate become less than 0, the processor 130 may not generate the prim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도 6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30)는 차량의 현재 가속도를 최대 가속도와 비교한다(S601). 차량의 현재 가속도는 센서(110)에 의해 획득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6, the processor 130 compares the current acceleration of the vehicle with the maximum acceleration (S601). The current acceleration of the vehicle may be obtained by the sensor 1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현재 가속도가 최대 가속도와 동일한 경우, 프로세서(130)는 1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레벨을 감소시키면서 반차 또는 2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레벨을 증가시킨다(S603). 다시 말해, 차량의 현재 가속도가 점차 증가하여 제2 시점(T2)에 이르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1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에 해당하는 가상 주행음 레벨을 감소시키고 반차 또는 2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에 해당하는 가상 주행음 레벨을 증가시키고, 스피커(150)는 점점 감소하는 1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레벨과 점점 증가하는 반차 또는 2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레벨을 출력함으로써 운전자에게 차량 고유의 주행감을 더 제공할 수 있다.When the current acceleration is the same as the maximum acceleration, the processor 130 increases the level of the half or second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while decreasing the level of the prim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S603). In other words, when the current acceleration of the vehicle gradually increases to reach the second time point T2, the processor 130 decreases the virtual driving sound level corresponding to the prim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and adjusts the half or second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The corresponding virtual driving sound level is increased, and the speaker 150 outputs a gradually decreasing prim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level and an increasingly increasing semi-difference or second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level to further provide a vehicle-specific driving feel to the driver. I can.

차량 고유의 주행감은 차량 모델 및/또는 차량 스펙에 따른 특유의 주행감을 가리킬 수 있다.The vehicle-specific driving feeling may indicate a specific driving feeling according to the vehicle model and/or vehicle specifications.

도시하지 않았으나, S603 이후, 차량의 현재 가속도 및 현재 스로틀 위치 변화율이 0 미만이 되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1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과 반차 또는 2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을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after S603, when the current acceleration of the vehicle and the current throttle position change rate are less than 0, the processor 130 may not generate a half difference from the prim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or the second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도 7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30)는 S601에 대응하여 1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레벨을 감소시키고, 반차 또는 2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레벨을 증가시키고(S701), 센서(110)에 의해 측정된 차량 내부의 음압 레벨과 기준 음압 레벨을 비교한다(S703).Referring to FIG. 7, the processor 130 decreases the level of the prim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in response to S601, increases the level of the semi-order or second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S701), and is measured by the sensor 110. The sound pressure level inside the vehicle and the reference sound pressure level are compared (S703).

측정된 차량 내부의 음압 레벨과 기준 음압 레벨이 동일해지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1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레벨과 반차 또는 2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레벨을 유지한다(S705). 다시 말해, 1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레벨이 감소되고 반차 또는 2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레벨이 증가되어 S 시점(Ts)에 이르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1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레벨과 반차 또는 2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레벨의 감소 또는 증가를 중단할 수 있다.When the measured sound pressure level inside the vehicle and the reference sound pressure level become the same, the processor 130 maintains the level of the first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and the half or second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level (S705). In other words, when the prim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level is decreased and the semi-order or second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level is increased to reach the point S (Ts), the processor 130 is half or two from the prim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level. The reduction or increase in the level of the car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can be stopped.

S705에서, 프로세서(130)는 1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에 해당하는 가상 주행음 레벨과 반차 또는 2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에 해당하는 가상 주파수 레벨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지 않고 유지할 수 있다.In S705, the processor 130 may maintain the virtual driving sound level corresponding to the prim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and the virtual frequency level corresponding to the half difference or second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without raising or lowering.

이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고정된 레벨의 1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과 반차 또는 2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을 생성하고, 스피커(150)는 고정된 레벨의 1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과 반차 또는 2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을 출력함으로써 운전자에게 소음으로 느껴지지 않는 적당한 정도의 가상 주행음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rocessor 130 generates a first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at a fixed level and a half or a second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and the speaker 150 is half or two from the first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at a fixed level. By outputting the vehicle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irtual driving sound of an appropriate degree that is not felt as noise to the driver.

도시하지 않았으나, S705 이후, 차량의 현재 가속도 및 현재 스로틀 위치 변화율이 0 미만이 되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1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과 반차 또는 2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을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after S705, when the current acceleration of the vehicle and the current throttle position change rate become less than 0, the processor 130 may not generate a half difference from the prim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or the second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도 8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30)는 차량의 현재 가속도를 제1 기준 가속도와 비교한다(S801).Referring to FIG. 8, the processor 130 compares the current acceleration of the vehicle with the first reference acceleration (S801).

현재 가속도가 제1 기준 가속도 이하인 경우, 프로세서(130)는 1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레벨을 유지시키고, 반차 또는 2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레벨을 감소시킨다(S803). 다시 말해, 차량의 현재 가속도가 점차 감소하여 제3 시점(T3)에 이르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1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에 해당하는 가상 주행음 레벨을 유지시키고, 반차 또는 2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에 해당하는 가상 주행음 레벨을 감소시키고, 스피커(150)는 유지된 1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레벨과 감소된 반차 또는 2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레벨을 출력함으로써 운전자에게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하고 있으며 서서히 감속하고 있다는 주행감을 제공할 수 있다.If the current acceleration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first reference acceleration, the processor 130 maintains the prim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level and decreases the semi-order or second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level (S803). In other words, when the current acceleration of the vehicle gradually decreases to reach the third time point T3, the processor 130 maintains the virtual driving sound level corresponding to the prim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and the half or second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The virtual driving sound level corresponding to is reduced, and the speaker 150 outputs the maintained prim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level and the reduced half or second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level to the driver, so that the vehicle is traveling at high speed and gradually decelerates. You can provide a feeling of driving that you are doing.

도시하지 않았으나, S803 이후, 차량의 현재 가속도 및 현재 스로틀 위치 변화율이 0 미만이 되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1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과 반차 또는 2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을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after S803, when the current acceleration of the vehicle and the current throttle position change rate are less than 0, the processor 130 may not generate a half difference from the prim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or the second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도 9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30)는 차량의 현재 가속도를 검출한다(S901).9, the processor 130 detects the current acceleration of the vehicle (S901).

현재 가속도가 0 미만인 경우, 프로세서(130)는 1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레벨을 감소시키고, 반차 또는 2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레벨을 오프시킨다(S903). 다시 말해, 임계 시점이 제4 시점(T4)에 이르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1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에 해당하는 가상 주행음 레벨을 감소시키고, 반차 또는 2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에 해당하는 가상 주행음 레벨을 오프시키고, 스피커(150)는 점점 감소하는 1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레벨을 출력함으로써 운전자에게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하고 있으며 급하게 감속하고 있다는 주행감을 제공할 수 있다.When the current acceleration is less than 0, the processor 130 reduces the level of the prim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and turns off the half or second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level (S903). In other words, when the critical time point reaches the fourth time point T4, the processor 130 reduces the virtual driving sound level corresponding to the first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and the virtual driving sound corresponding to the half or second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The level is turned off, and the speaker 150 outputs a gradually decreasing prim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level, thereby providing the driver with a driving feeling that the vehicle is traveling at high speed and is rapidly decelerating.

도시하지 않았으나, S903 이후, 차량의 현재 가속도 및 현재 스로틀 위치 변화율이 0 미만이 되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1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 및 반차 또는 2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을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f the current acceleration of the vehicle and the current throttle position change rate become less than 0 after S903, the processor 130 may not generate the prim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and the semi- or second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내연기관 자동차뿐만 아니라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이때, 가상 주행음 생성을 위한 인자로서, 스로틀 위치, 스로틀 위치 변화율을 대체하여, 모터 전류, 모터 회전력이 이용될 수 있다. 또는 가속 페달 위치, 클러치 페달 위치, 모터 전압, 모터 RPM(Revolutions Per Minite)이 가상 주행음 생성에 이용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not only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vehicle, but also an electric vehicle, a hybrid vehicle, and the like. In this case, as a factor for generating a virtual driving sound, a motor current and a motor rotational force may be used by substituting a throttle position and a rate of change of the throttle position. Alternatively, an accelerator pedal position, a clutch pedal position, a motor voltage, and a motor RPM (Revolutions Per Minite) may be used to generate a virtual driving soun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So far, we have looked at the center of the preferred embodiment for the present invention.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상기 개시된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청구된 발명 및 청구된 발명과 균등한 발명들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from an explanatory point of view rather than a limiting point of view.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scription, and the invention claimed by the claims and the inventions equivalent to the claimed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00: 차량의 가상 주행음 생성 장치
110: 센서
130: 프로세서
150: 스피커
100: a device for generating a virtual driving sound of a vehicle
110: sensor
130: processor
150: speaker

Claims (9)

차량의 가속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가속이 감지된 경우, 상기 차량의 현재 가속도를 소정 가속도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현재 가속도가 상기 소정 가속도 이하인 경우, 느린 가속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
상기 현재 가속도가 상기 소정 가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빠른 가속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의 가속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정속/감속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정속/감속 모드는 가상 주행음을 생성하지 않는 모드이고,
상기 느린 가속 모드는 상기 차량의 현재 속도에 따라, 가상 주행음을 생성하지 않거나, 1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에 해당하는 가상 주행음을 생성하는 모드이고,
상기 빠른 가속 모드는 상기 현재 가속도에 따라, 가상 주행음을 생성하지 않거나, 1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에 해당하는 가상 주행음을 생성하거나, 반차 또는 2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에 해당하는 가상 주행음을 더 생성하는 모드이고,
상기 빠른 가속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현재 스로틀 위치 변화율을 기준 스로틀 위치 변화율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현재 스로틀 위치 변화율이 상기 기준 스로틀 위치 변화율 이하인 경우, 가상 주행음을 생성하지 않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스로틀 위치 변화율이 상기 기준 스로틀 위치 변화율을 초과하는 경우, 1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에 해당하는 가상 주행음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가상 주행음 생성 방법.
Detecting whether the vehicle is accelerating;
Comparing the current acceleration of the vehicle with a predetermined acceleration when acceleration of the vehicle is detected;
Operating in a slow acceleration mode when the current acceleration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predetermined acceleration;
Operating in a fast acceleration mode when the current acceleration exceeds the predetermined acceleration; And
When the acceleration of the vehicle is not detected, operating in a constant speed/deceleration mode; Including,
The constant speed/deceleration mode is a mode that does not generate a virtual driving sound,
The slow acceleration mode is a mode in which a virtual driving sound is not generated or a virtual driving sound corresponding to a prim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current speed of the vehicle,
The fast acceleration mode does not generate a virtual driving sound according to the current acceleration, generates a virtual driving sound corresponding to a prim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or further generates a virtual driving sound corresponding to a half or second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Mode,
Operating in the fast acceleration mode,
Comparing a current throttle position change rate of the vehicle with a reference throttle position change rate;
Not generating a virtual driving sound when the current throttle position change rate is less than the reference throttle position change rate; And
Generating a virtual driving sound corresponding to a prim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when the current throttle position change rate exceeds the reference throttle position change ra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느린 가속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속도를 소정 속도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현재 속도가 상기 소정 속도 이하인 경우, 가상 주행음을 생성하지 않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속도가 상기 소정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1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에 해당하는 가상 주행음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가상 주행음 생성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perating in the slow acceleration mode,
Comparing the current speed with a predetermined speed;
Not generating a virtual driving sound when the current speed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predetermined speed; And
If the current speed exceeds the predetermined speed, generating a virtual driving sound corresponding to the prim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Containing, virtual driving sound generation method of the vehicl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1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에 해당하는 가상 주행음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1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에 해당하는 가상 주행음 레벨을 상승시키는 단계인, 차량의 가상 주행음 생성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Generating a virtual running sound corresponding to the prim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In the step of raising a virtual driving sound level corresponding to the prim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the method of generating a virtual driving sound of a vehicl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빠른 가속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가속도가 최대 가속도와 동일한 경우, 반차 또는 2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에 해당하는 가상 주행음을 더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가상 주행음 생성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Operating in the fast acceleration mode,
If the current acceleration is the same as the maximum acceleration, further generating a virtual driving sound corresponding to a semi- or second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further comprising, the method of generating a virtual driving sound of the vehicl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반차 또는 2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에 해당하는 가상 주행음을 더 생성하는 단계는,
1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에 해당하는 가상 주행음 레벨을 감소시키고, 반차 또는 2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에 해당하는 가상 주행음 레벨을 증가시키는 단계인, 차량의 가상 주행음 생성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The step of further generating a virtual running sound corresponding to the semi-order or second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A method of generating a virtual driving sound of a vehicle, which is a step of reducing a virtual driving sound level corresponding to a prim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and increasing a virtual driving sound level corresponding to a semi- or second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내부에서 측정된 음압 레벨이 기준 음압 레벨을 초과하는 경우, 1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에 해당하는 가상 주행음 레벨과 반차 또는 2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에 해당하는 가상 주행음 레벨을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가상 주행음 생성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If the sound pressure level measured inside the vehicle exceeds the reference sound pressure level, maintaining a virtual driving sound level corresponding to a first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and a virtual driving sound level corresponding to a semi-difference or second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A method for generating a virtual driving sound of a vehicle further comprising a.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빠른 가속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가속도가 제1 기준 가속도 이하인 경우, 1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에 해당하는 가상 주행음 레벨을 유지시키고, 반차 또는 2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에 해당하는 가상 주행음 레벨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준 가속도는 상기 최대 가속도를 기준으로 상기 차량의 현재 스로틀 위치, 현재 스로틀 위치 변화율, 및 현재 속도 중 적어도 하나가 적용되어 산출되는, 차량의 가상 주행음 생성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Operating in the fast acceleration mode,
If the current acceleration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first reference acceleration, maintaining a virtual driving sound level corresponding to a prim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and reducing a virtual driving sound level corresponding to a semi- or second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further comprising ,
The first reference acceleration is calculated by applying at least one of a current throttle position, a current throttle position change rate, and a current speed of the vehicle based on the maximum acceleration.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빠른 가속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가속도가 0 미만인 경우, 1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에 해당하는 가상 주행음 레벨을 감소시키고, 반차 또는 2차 엔진 점화 주파수 성분에 해당하는 가상 주행음 레벨을 오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가상 주행음 생성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Operating in the fast acceleration mode,
If the current acceleration is less than 0, reducing the virtual driving sound level corresponding to the prim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and turning off the virtual driving sound level corresponding to the half or secondary engine ignition frequency component; further comprising, of the vehicle. How to create a virtual driving sound.
KR1020190127866A 2019-10-15 2019-10-15 A method for generating a virtual driving sound of a vehicle KR1022322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866A KR102232205B1 (en) 2019-10-15 2019-10-15 A method for generating a virtual driving sound of a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866A KR102232205B1 (en) 2019-10-15 2019-10-15 A method for generating a virtual driving sound of a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2205B1 true KR102232205B1 (en) 2021-03-25

Family

ID=75222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7866A KR102232205B1 (en) 2019-10-15 2019-10-15 A method for generating a virtual driving sound of a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2205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70420B2 (en) * 2005-03-24 2011-04-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Engine sound control device
US20120130580A1 (en) * 2010-05-26 2012-05-24 Asako Omote Artificial engine sound control unit, approaching vehicle audible system, and electric vehicle having them
KR20150057986A (en) * 2013-11-19 2015-05-28 하만인터내셔날인더스트리스인코포레이티드 Apparatus for providing environmental noise compensation for a synthesized vehicle sound
KR20170003785A (en) * 2015-06-30 2017-01-10 엘에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Sound Generating System for Environment Friendly Vehicl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ystem
KR101725673B1 (en) * 2015-11-03 2017-04-11 엘에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Vehicular sound generator un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90044292A (en) * 2017-10-20 2019-04-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ound control method for hybrid vehicl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70420B2 (en) * 2005-03-24 2011-04-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Engine sound control device
US20120130580A1 (en) * 2010-05-26 2012-05-24 Asako Omote Artificial engine sound control unit, approaching vehicle audible system, and electric vehicle having them
KR20150057986A (en) * 2013-11-19 2015-05-28 하만인터내셔날인더스트리스인코포레이티드 Apparatus for providing environmental noise compensation for a synthesized vehicle sound
KR20170003785A (en) * 2015-06-30 2017-01-10 엘에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Sound Generating System for Environment Friendly Vehicl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ystem
KR101725673B1 (en) * 2015-11-03 2017-04-11 엘에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Vehicular sound generator un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90044292A (en) * 2017-10-20 2019-04-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ound control method for hybrid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4653B2 (en) Vehicle noise suppression method
JP6465058B2 (en) Sound effect generator for vehicles
US10266112B1 (en) Sound control method for hybrid vehicle
CN111284400A (en) Electric automobile driving sound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JP6340698B2 (en) Sound effect generator for vehicles
US11981259B2 (en) Sound generation device for vehicle
KR102232205B1 (en) A method for generating a virtual driving sound of a vehicle
CN113212299A (en) Sound generating device for vehicle
US10611302B2 (en) Hybrid vehicle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noise
JP7421725B2 (en) Vehicle sound generator
JP6586982B2 (en) Vehicle acoustic control device
EP3419017A1 (en) Sound effect generation device for vehicles
JP6586983B2 (en) Vehicle acoustic control device
US11763795B2 (en) Vehicle sound generation device
EP3438971A1 (en) Vehicle sound effect generation apparatus
JP6327167B2 (en) Sound effect generator for vehicles
KR2023009005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sound
KR2023006930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sound of electrification vehicle
KR20230053940A (en) Indoor sound control method for car and sound control apparatus providing the same
JP2022155835A (en) Sound generation device for vehicles
JP2008280006A (en) Vehicle control device and method
JPH04303044A (en) Speed sense compensator for dri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