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1373B1 - Display device for driving the vehicle safely - Google Patents

Display device for driving the vehicle safe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1373B1
KR102231373B1 KR1020200122786A KR20200122786A KR102231373B1 KR 102231373 B1 KR102231373 B1 KR 102231373B1 KR 1020200122786 A KR1020200122786 A KR 1020200122786A KR 20200122786 A KR20200122786 A KR 20200122786A KR 102231373 B1 KR102231373 B1 KR 102231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video
camera
detection sensor
infra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27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광남
Original Assignee
김광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남 filed Critical 김광남
Priority to KR1020200122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137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1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13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8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instruments
    • B60K35/81Arrangements for controlling instruments for controlling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4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imminent contact with an obstacle, e.g. using rada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45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two or more image sensors being of different type or operating in different modes, e.g. with a CMOS sensor for moving images in combination with a charge-coupled device [CCD] for still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5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1Circuitry for evaluating the brightness variation
    • H04N5/2257
    • H04N5/2258
    • H04N5/23212
    • H04N5/23241
    • H04N5/235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21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using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5/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exterior conditions, not covered by groups B60W2552/00, B60W2554/00
    • B60W2555/20Ambient conditions, e.g. wind or r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for safe vehicle driving, capable of helping a driver to secure his or her sight in an environment where there is difficulty in sight securement. The display device for safe vehicle driving includes: a user control part generating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of the driver; a standard camera filming an ordinary standard video of the front of a vehicle; an infrared camera filming an infrared video of the front of the vehicle; a graphic processing part signalizing and compressing the standard video and/or the infrared video filmed by the standard camera and/or the infrared camera; a sensing sensor part sensing a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vehicle; a display screen displaying the video signalized by the graphic processing part; and a system control part, based on the control of the driver and/or a sensing signal from the sensing sensor part, controlling the start and stop of the filming of the standard camera and/or the infrared camera, and controlling the signalizing of the graphic processing part, thereby controlling a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Therefore, the display device can provide clear visibility even in a situation with poor visibility such as night, heavy rain or the like, thereby enabling a driver to perform safe driving, and accurately analyzing an accident cause through a black box in case of an accident.

Description

차량 안전 운전용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FOR DRIVING THE VEHICLE SAFELY}Display device for vehicle safe driving {DISPLAY DEVICE FOR DRIVING THE VEHICLE SAFELY}

본 발명은 차량 안전 운전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우천시, 안개시, 야간시와 같이 시야 확보가 어려운 환경에서 차량을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도록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차량 안전 운전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for safe driving of a vehicle, and more specifically, a display device for safe driving of a vehicle capable of securing a view so that a vehicle can be safely driven in an environment where it is difficult to secure a view, such as in rainy weather, fog, and night time. It is about.

내연 기관(internal combustion engine) 자동차, 외연기관(external combustion engine) 자동차, 가스 터빈(gas turbine) 자동차 등과 같은 종래의 연료에서 수소 자동차 및 전기 자동차(electric vehicle) 등과 같은 자동차의 에너지 전환이 시도되고 있다.Energy conversion of automobiles such as hydrogen cars and electric vehicles is being attempted from conventional fuels such as internal combustion engine cars, external combustion engine cars, gas turbine cars, etc. .

이러한 친환경 자동차의 개발과 함께, 이전부터 주목받아 오고 있는 것이 운전자, 보행자 등의 안전이나 편의를 위해 지능형 자동차(Smart Vehicle)의 개발이다.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such eco-friendly vehicles, what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from before is the development of smart vehicles for safety and convenience of drivers and pedestrians.

지능형 자동차는 정보 기술(IT)을 융합한 최첨단 자동차로 스마트 자동차라고도 한다. 지능형 자동차는 자동차 자체의 첨단 시스템 도입은 물론 지능형 교통 시스템(ITS)과의 연동을 통한 최적의 교통 효율을 제공한다.Intelligent vehicles are cutting-edge vehicles that integrate information technology (IT) and are also called smart vehicles. Intelligent cars provide optimal traffic efficiency through the introduction of the car's own advanced system as well as interlocking with the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ITS).

또한, 이러한 지능형 자동차에 탑재되는 카메라, 적외선 센서, 레이더, GPS, 라이더(Lidar), 자이로스코프 등과 같은 센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ㅇ으며, 그 중 카메라는 사람의 눈을 대신하는 역할을 하는 센서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In addition, research on sensors such as cameras, infrared sensors, radar, GPS, lidar, gyroscopes, etc., which are mounted on such intelligent vehicles, are actively being conducted, and among them, cameras play a role in the place of human eyes. It occupies an important position as a sensor.

따라서, 각종 센서와 전자 장비들의 개발로 인하여, 사용자 운전을 보조하고 주행 안전성 및 편의 등을 향상시키는 운전 주행 보조 기능을 구비한 차량이 주목 받고 있다.Therefore, due 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sensors and electronic equipment, a vehicle having a driving assistance function that assists a user's driving and improves driving safety and convenience is attracting attention.

그 일환으로, 본원에서 선행 문헌으로 인용하는 공개특허 제2016-0070527호(공개일자 : 2016년06월20일)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 운전을 위해 운전을 보조하는 영상을 탑승자에게 표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As part of that, Patent Publication No. 2016-0070527 (published date: June 20, 2016) cited as a prior document in this application provides an image that assists driving for safe driving to the occupants as shown in FIG. The display configuration is disclosed.

도 1을 살펴 보면, 하우징(280) 내에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11)을 마련하고, 태양의 위치를 기초로 광 차단 영역 또는 영상 표시 영역의 길이를 조절하고 있다. 이 영상 표시 영역에는 차량의 좌우 사이드 미러의 영상, 백미러의 영상이 분할하여 표시된다.Referring to FIG. 1, a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211 is provided in the housing 280 and the length of the light blocking area or the image display area is adjusted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sun. In this image display area, the image of the left and right side mirrors of the vehicle and the image of the rear view mirror are divided and displayed.

그러나, 이와 같이 표시되는 화면은 차량 주위의 운전 환경이 좋은 상태에서 사이드 미러나 백미러를 대신할 뿐, 우천시, 야간시, 안개시, 폭설시와 같이 기상 조건이 나쁜 환경에서는 양호한 시야를 확보하기 어렵다.However, the screen displayed in this way only replaces the side mirrors or rearview mirrors in a good driving environment around the vehicle, and it is difficult to secure good visibility in poor weather conditions such as rain, night, fog, and heavy snow. .

또한, 도 1에서 도시된 종래의 영상 표시 영역에는 차속 정보, 교통 표지판 정보, 내비게이션 정보, 연료 잔량 정보, 차량 고장 정보, 교통 정보 등과 같이 차량 운행에 필요한 보조 정보들을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image display area shown in FIG. 1 performs a function of displaying auxiliary information necessary for vehicle operation, such as vehicle speed information, traffic sign information, navigation information, fuel remaining amount information, vehicle breakdown information, and traffic information.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영상 표시 영역에서는, 주로 주행 정보를 표시하는 영역으로서 이용될 뿐, 기상 악화에 따른 안전 운전에 관해서는 전혀 개시하고 있지 않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onventional video display area, it is mainly used as an area for displaying driving information, and there is no disclosure of safe driving due to bad weather.

한편, 블랙박스(Black Box)는 항공기 사고에 대비하여 비행중인 항공기의 비행 기록, 비행 영상, 조종석 음성을 기록하는 장치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차동차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유럽, 미국, 일본 등의 국가에서 블랙박스의 설치를 의무화하는 법안이 논의 중에 있으며, 국내에 있어서도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 블랙박스의 설치를 의무화하는 자치조례의 제정을 추진하고 있거나, 블랙박스의 설치시 보험 회사에서 보험료를 할인해 주는 등 블랙박스에 대한 사용이 일반화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lack Box was used as a device to record flight records, flight images, and cockpit voices of aircraft in flight in preparation for aircraft accidents, but in recent years, it is also widely used in differential vehicles. In countries such as Europe, the United States, and Japan, laws that require the installation of black boxes are under discussion, and in Korea, some local governments are promoting the enactment of self-government ordinances requiring the installation of black boxes, or when installing black boxes. The use of black boxes is becoming more common, such as discounting insurance premiums by insurance companies.

이 블랙박스는 사고시 원인 규명에 유용하기 때문에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고 있다. 차량용 블랙박스는 단말기의 내, 외부에 카메라 및 마이크를 설치하여 차량 주행중의 주행 영상이나 음성을 기록한다.Since this black box is useful for determining the cause of an accident, the demand is explosively increasing. In a vehicle black box, cameras and microphones are installed inside and outside the terminal to record driving images or audio while the vehicle is driving.

그런데, 자동차의 사고는 시계가 불량한 야간 운전시와, 안개시, 우천시, 폭설시, 미세 먼지시와 같은 우천 악화시 사고 빈도가 더욱 높아짐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차량용 블랙박스는 단일 모드로 촬영될 뿐, 야간 운전이나 각 기상 악화 상황에서 양호한 동영상을 확보할 방법에 대해서는 지원하지 못하는 실정이다.However, car accidents are more frequent when driving at night with poor visibility and when rainy weather worsens such as fog, rain, heavy snow, and fine dust, but the conventional black box for a vehicle can be photographed in a single mode. However, it is not possible to provide support for driving at night or how to secure good videos in each bad weather situation.

공개특허 제2016-0070527호(공개일자 : 2016년06월20일)Publication Patent No. 2016-0070527 (Publication date: June 20, 2016)

본원 발명은, 어두운 야간에도 양호한 시야를 확보하고, 특히 헤드라이트가 미치지 않는 사각에 대해서도 표준 동영상과 적외선 동영상을 적절히 조합하여 선명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차량 안전 운전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for safe driving of a vehicle that can secure a good view even in dark nights and secure a clear view by appropriately combining a standard video and an infrared video even for a blind spot that is not covered by a headlight. There is this.

또한, 본원 발명은, 우천시와 같이 차량 전면 유리에 비로 인해 시계가 불량한 상황에도, 차량 전면 유리 너머로 촛점 거리를 조절하여, 양호한 시계를 확보할 수 있는 차량 안전 운전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for vehicle safety driving that can secure good visibility by adjusting the focal distance over the vehicle windshield even in a situation in which the visibility is poor due to rain on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such as in rainy weather. There is this.

또한, 본원 발명은, 안개, 폭설, 미세 먼지, 황사 등과 같이 공기중의 미세 입자로 인하여 시계가 불량한 상황에서도, 표준 동영상과 적외선 동영상을 적절히 조합하여 선명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차량 안전 운전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vehicle safe driving display that can secure a clear view by properly combining standard video and infrared video even in situations where the visibility is poor due to fine particles in the air such as fog, heavy snow, fine dust, and yellow dust. Its purpose is to provide a device.

또한, 본원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시계가 불량한 야간 운행시, 또는 안개, 폭설, 미세 먼지, 황사 등과 같은 기상 악화시에도 운전자에게 양호한 시계를 제공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안전하게 운전하도록 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안전 운전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공기내 미사 입자와 같은 형태인 점에서 안개, 폭설, 미세 먼지, 황사 등을 편의상 '안개시'로 통합하여 표현하지만, 이는 각각의 상황에 따라 개별적인 환경으로 구분되어야 하며, 상시 하나로 통합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ood visibility to the driver when driving at night with poor visibility, or in bad weather such as fog, heavy snow, fine dust, and yellow dust, so that the driver can drive safely.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for safe driving. Hereinafter, fog, heavy snow, fine dust, yellow dust, etc. are expressed as a'fog time' for convenience in that they are in the same form as silt particles in the air, but this should be classified into individual environments according to each situation, and it is always intended to be integrated into one. It is not.

또한, 본원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시계가 불량한 야간 운행시, 또는 안개, 폭설, 미세 먼지, 황사 등과 같은 기상 악화시에도 블랙박스에서 차량 주변 상황에 대한 양호한 동영상을 확보하도록 하여, 사고시 정확한 사고 원인을 파악할 수 있게 하는 차량 안전 운전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secures a good video of the situation around the vehicle in the black box even when driving at night with poor visibility, or when weather conditions such as fog, heavy snow, fine dust, yellow dust, etc.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play device for safe driving of a vehicle that allows the cause to be identifi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시야 확보가 어려운 환경에서 운전자의 시야 확보를 돕는 차량 안전 운전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의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신호를 발생하는 사용자 조작부와, 차량 전방의 평상시 표준 동영상을 촬영하는 표준 카메라와, 차량 전방의 적외선 동영상을 촬영하는 적외선 카메라와, 상기 표준 카메라 및/또는 상기 적외선 카메라에서 촬영된 표준 동영상 및/또는 적외선 동영상을 신호 처리 및 압축하는 그래픽 처리부와, 상기 차량 주변의 환경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부와, 상기 그래픽 처리부에서 신호 처리된 동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화면과, 상기 운전자의 조작 및/또는 상기 감지 센서부에서의 감지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표준 카메라 및/또는 상기 적외선 카메라의 촬영 개시 및 정지를 제어하고, 상기 그래픽 처리부의 신호 처리를 제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화면을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안전 운전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display device for safe driving of a vehicle that helps secure a driver's view in an environment in which it is difficult to secure a view, a user control unit that generates an oper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river's operation, and a normal front of the vehicle A standard camera for photographing a standard video, an infrared camera for photographing an infrared video in front of the vehicle, and a graphic processing unit for signal processing and compression of the standard video and/or infrared video captured by the standard camera and/or the infrared camera, Based on a detection sensor unit for sensing the environment around the vehicle, a display screen displaying a video signal processed by the graphic processing unit, and a manipulation of the driver and/or a detection signal from the detection sensor unit, the standard camera And/or a system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start and stop of photographing of the infrared camera, control signal processing by the graphic processor, and control a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감지 센서부는, 상기 차량 주변에 떨어지는 빗방울을 감지하는 우적 감지 센서와, 상기 차량 주변의 밝기를 감지하는 조도 감지 센서와, 상기 차량 주변의 공기 내에 포함된 미세 입자를 감지하는 안개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 운전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detection sensor unit includes a raindrop detection sensor detecting raindrops falling around the vehicle, an illuminance detection sensor detecting brightness around the vehicle, and It provides a display device for safe driving of a vehicle, comprising a fog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fine particles contained in the air around the vehicle.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도 감지 센서에서 기절정된 조도 이하로 어두워진 것을 감지하거나, 상기 안개 감지 센서에서 기설정된 농도 이상으로 공기내 미세 입자를 감지하면, 상기 시스템 제어부는 상기 적외선 카메라를 가동시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서는 적외선 동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 운전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illuminance detection sensor detects that it has become darker than the preset illuminance, or the fog detection sensor detects fine particles in the air above a preset concentration. Then, the system control unit provides a display device for safe driving of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controlling to display an infrared video on the display screen by operating the infrared camera.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도 감지 센서에서 기절정된 조도 이하로 어두워진 것을 감지하거나, 상기 안개 감지 센서에서 기설정된 농도 이상으로 공기내 미세 입자를 감지하면, 상기 시스템 제어부는 상기 표준 카메라 및 상기 적외선 카메라를 가동시키고, 상기 그래픽 처리부에서 상기 표준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동영상과 상기 적외선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동영상을 동기화시켜 합성하고, 상기 합성된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 운전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illuminance detection sensor detects that it has become darker than the preset illuminance, or the fog detection sensor detects fine particles in the air above a preset concentration. Then, the system control unit operates the standard camera and the infrared camera, synchronizes and synthesizes the video shot from the standard camera and the video shot from the infrared camera in the graphic processing unit, and combines the synthesized screen with the display screen. It provides a display device for safe driving of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to display the image.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우적 감지 센서에서 빗방울이 기설정된 양 이상 감지되면, 상기 시스템 제어부는 상기 표준 카메라의 촛점을 기설정된 촛점 거리로 제어하여 아웃포커싱된 동영상을 촬영하도록 상기 표준 카메라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 운전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hen raindrops are detected by the raindrop detection sensor more than a preset amount, the system controller controls the focal point of the standard camera to a preset focal distance to perform out-of-focusing. It provides a display device for safe driving of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controlling the standard camera so as to take a recorded video.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처리부에서 압축된 동영상을 저장하는 동영상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 운전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고한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 display device for safe driving of a vehicle is provided, further comprising a video storage unit for storing a video compressed by the graphic processing unit.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은 상기 사용자 조작부에 의해서 투명도가 조절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 운전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display screen provides a display device for safe driving of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screen is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whose transparency is adjusted by the user manipulation unit.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어두운 야간에도 양호한 시야를 확보하고, 특히 헤드라이트가 미치지 않는 사각에 대해서도 표준 동영상과 적외선 동영상을 적절히 조합하여 선명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 good view can be secured even in dark nights, and a clear view can be secured by appropriately combining a standard video and an infrared video even for a blind spot that is not covered by a headlight.

또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우천시와 같이 차량 전면 유리에 비로 인해 시계가 불량한 상황에도, 차량 전면 유리 너머로 촛점 거리를 조절하여, 양호한 시계를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even in a situation in which the visibility is poor due to rain on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such as in rainy weather, it is possible to secure a good visibility by adjusting the focal length over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또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안개, 폭설, 미세 먼지, 황사 등과 같이 공기중의 미세 입자로 인하여 시계가 불량한 상황에서도, 표준 동영상과 적외선 동영상을 적절히 조합하여 선명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even in a situation in which the visibility is poor due to fine particles in the air such as fog, heavy snow, fine dust, yellow dust, etc., a clear view can be secured by appropriately combining a standard video and an infrared video.

또한, 본원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시계가 불량한 야간 운행시, 또는 안개, 폭설, 미세 먼지, 황사 등과 같은 기상 악화시에도 운전자에게 양호한 시계를 제공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안전하게 운전하도록 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ood visibility to the driver even when driving at night with poor visibility, or in bad weather such as fog, heavy snow, fine dust, and yellow dust, thereby enabling the driver to safely drive. There is.

또한, 본원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시계가 불량한 야간 운행시, 또는 안개, 폭설, 미세 먼지, 황사 등과 같은 기상 악화시에도 블랙박스에서 차량 주변 상황에 대한 양호한 동영상을 확보하도록 하여, 사고시 정확한 사고 원인을 파악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secures a good video of the situation around the vehicle in the black box even when driving at night with poor visibility, or when weather conditions such as fog, heavy snow, fine dust, yellow dust, etc. It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identify the cause.

도면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서 동일한 요소, 그리고 동일한 기능 및/또는 동일한 기술적 또는 물리적 효과를 갖는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거나 동일한 명칭으로 식별하며, 다른 실시예에서 도시 또는 설명된 요소 및 그 기능의 설명은 서로 교환 가능하거나 다른 실시예에서 서로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썬바이저 영상 표시 영역의 일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전 운전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전 운전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2분할 디스플레이 화면과 사용자 조작부를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전 운전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우천시 디스플레이 표시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전 운전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야간시 디스플레이 표시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전 운전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안개시 디스플레이 표시의 예시도이다.
Before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using the drawings, the same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 and elements having the same function and/or the same technical or physical effect,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or have the same names. Identification, and descriptions of elements shown or described in different embodiments and their functions may be interchangeable with each other or may be applied to each other in different embodiments.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un visor image display area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block diagram of a display device for safe driving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two-split display screen and a user operation unit of a display device for safe driving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view of a display display during rain of a display device for safe driving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view of a display display at night of a display device for safe driving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view of a display display during fog of a display device for safe driving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and various embodiments may be provided,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m.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후술하는 특정한 실시 형태로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later,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해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As for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general terms that are currently widely used as possible are selected while considering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this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a technician engaged in the relevant field,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and the like.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In addition, in certain cases, there are terms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of the term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invention.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a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overal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a simple name of the term.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erms such as "... unit" and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 구성요소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제 1, 또는 제 2 등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se elements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element from other elements, and the first or second It is not limited by the like.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element.

또한, "또는"이라는 용어는 '및/또는' 이라는 용어와 혼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즉, 논리적 의미로서, 두가지가 동시에 해당되는 경우와, 둘 중 어느 하나만 해당되는 경우 모두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term “or” may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the term “and/or”, which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or any item among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That is, as a logical meaning, both cases where both are applicable at the same time and cases where only one of the two is applicable are included.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the middle.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전 운전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display device for safe driving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6.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전 운전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전 운전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2분할 디스플레이 화면과 사용자 조작부를 예시한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전 운전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우천시 디스플레이 표시의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전 운전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야간시 디스플레이 표시의 예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전 운전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안개시 디스플레이 표시의 예시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display device for safe driving of a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two-part display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for safe driving of a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user control unit, and FIG. 4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display display in rainy weather of a display device for safe driving of a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emplary view of a display device for safe driving at night, and FIG. 6 is an exemplary view of a display for displaying during fog of the display device for safe driving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전 운전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크게 사용자 조작부(100), 시스템 제어부(200), 외부 환경 감지 센서부(300), 동영상 촬영부(400), 그래픽 처리부(500), 디스플레이 화면(600), 동영상 저장부(7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 2, the display device for safe driving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a user control unit 100, a system control unit 200, an external environment detection sensor unit 300, and a video capture unit 400. , A graphic processing unit 500, a display screen 600, and a video storage unit 700.

먼저 사용자 조작부(100)는 차량 안전 운전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에 관한 사용자의 요구를 입력받기 위한 장치로서, 사용자가 조작 의도에 따라 사용자 조작부(100)에 마련된 입력 수단을 조작하면, 해당 조작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를 발생하여 시스템 제어부(200)에 인가하며, 이 조작 신호에 따라, 동영상 촬영부(400)의 촬영 모드를 선택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 화면(600)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촛점 거리의 설정 및 줌 조정도 가능하다.First, the user control unit 100 is a device for receiving a user's request for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for safe driving of a vehicle, and when the user manipulates the input means provided in the user control unit 100 according to the operation intention, it responds to the corresponding operation. An input signal is generated and applied to the system control unit 200, and according to the manipulation signal, the shooting mode of the video recording unit 400 may be selected, the transparency of the display screen 600 may be adjusted, or if necessary. It is also possible to set the focal length and adjust the zoom.

사용자 조작부(100)의 입력 수단으로서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 수단(예를 들어, 기계식 키, 물리적 버튼, 돔 스위치(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 수단(예를 들어, 터치 패드, 터치 휠 등)이 포함될 수 있다. As the input means of the user operation unit 100, a mechanical input means (for example, a mechanical key, a physical button, a dome switch, a jog wheel, a jog switch, etc.) and a touch input means (for example, Touch pad, touch wheel, etc.) may be included.

또한, 사용자 조작부(100)는, 예컨대 썬바이저로부터 연장하여 장착된 차량 안전 운전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 영역에 마련된 터치 패널로 구성되거나, 차량 안전 운전용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화면에 의패 표시되는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화면 상의 터치 버튼 및 터치 휠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control unit 100 is configured of, for example, a touch panel provided in a partial area of a display device for vehicle safety driving installed extending from a sun visor, or displaying a judgment on the execution screen of an application program driven in a display device for vehicle safety driving. It may be composed of a user interface (UI), a touch button on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screen, and a touch wheel.

또한, 사용자 조작부(100)는 운전자가 차량의 주행을 조작하는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에 부착된 원격 조정기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user manipulation unit 100 may be configured as a remote controller attached to a steering wheel through which the driver manipulates the driving of the vehicle.

또한,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아 전자 신호로 전환하는 음성 인식 수단도 사용자 조작부(100)를 구성하는 입력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Further, a voice recognition means for receiving a user's voice and converting it into an electronic signal may also be used as an input means constituting the user manipulation unit 100.

이와 같이 구성되는 사용자 조작부(10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크게 촬영 모드 선택부(110)와 미세 조절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기타 통상적으로 차량에서 제공되는 입력 조작 수단이 포함될 수 있지만, 통상적인 입력 수단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촬영 모드 선택부(110)와 미세 조절부(12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The user control unit 1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largely configured to include a photographing mode selection unit 110 and a fine adjustment unit 12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ther input manipulation means typically provided in a vehicle. May be included, but the description of the conventional input means will be omitted, and only the photographing mode selection unit 110 and the fine adjustment unit 120 will be described.

촬영 모드 선택부(110)는 평상 주행 모드, 안개 주행 모드, 우천 주행 모드, 야간 주행 모드 등을 포함하여 주행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즉, 도 3의 하우징(800) 내에 마련된 사용자 조작부(100) 내에 각 모드별 선택 버튼을 마련하고, 마련된 버튼을 눌러 주행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예에서는 사용자 조작부(100)는 불투명한 부분으로서 하우징(800)의 표면에 터치 스크린이 마련되고, 내부에 메인 보드가 장착되며, 후면(즉, 차량용 전면 유리창측)에는 표준 카메라(410)와 적외선 카메라(420)로 구성된 동영상 촬영부(400)가 마련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조작부(100)를 포함하여 하우징(800) 내의 전면이 투명한 디스플레이 화면(600)으로 구성되고, 원격 조정기에 의해 제어되어, 보다 넓은 차량 안전 운전용 디스플레이 화면을 제공할 수도 있다.The photographing mode selection unit 110 may select a driving mode including a normal driving mode, a fog driving mode, a rain driving mode, a night driving mode, and the like. That is, a selection button for each mode may be provided in the user manipulation unit 100 provided in the housing 800 of FIG. 3, and the driving mode may be changed by pressing the provided button. In this case, in the example shown in FIG. 3, the user control unit 100 is an opaque part, and the touch screen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housing 800, the main board is mounted therein, and the rear (that is, on the side of the front windshield for a vehicle) A moving picture photographing unit 400 composed of a standard camera 410 and an infrared camera 420 may be provided. Of cours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800 including the user control unit 100 is composed of a transparent display screen 600, and is controlled by a remote controller, so that a wider vehicle safe driving display screen You can also provid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우천시 주행 모드는 우적 감지 센서(310)에 의한 와이퍼 시스템과 연동하여 자동으로 구동되고, 야간 주행 모드는 조도 감지 센서(320)에 의한 차량의 헤드라이트 자동 점멸 장치와 연동하여 자동으로 구성하고, 안개 주행 모드는 안개 감지 센서(330)에 의한 안개등 자동 점멸 시스템과 연동하여 자동으로 구동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운전자의 운전 중 기기 조작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차량 운전시 안전을 더욱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mode in rainy weather is automatically driven in conjunction with the wiper system by the rain detection sensor 310, and the night driving mode is automatically flashing the headlight of the vehicle by the illumination sensor 320 It is configured automatically in conjunction with the device, and the fog driving mode may be implemented to be automatically driven in conjunction with an automatic flashing system of a fog lamp by the fog detection sensor 330. In this case, since the driver's operation of the device while driving can be reduced to a minimum, there is an effect of further enhancing safety when driving the vehicle.

미세 조절부(120)는 업/다운 버튼, 휠 버튼,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의 물리적 입력 장치, 또는 터치 패드 상에서 소프트웨어 적으로 구현되는 터치 스크롤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표준 카메라(410)의 촛점 거리를 조절하는 역할을 행할 수 있다. 즉, 우천 주행 모드시 표준 카메라(410)의 촛점 거리를 차량의 전면 유리 너머로 수동 조절하여, 아웃포커싱하게 함으로써 차량 유리에 의해서 시야가 가리지 않고 전면을 촬영하도록 한다. The fine adjustment unit 120 may be configured with a physical input device such as an up/down button, a wheel button, a jog wheel, a jog switch, or a touch scroll implemented in software on a touch pad, and It can play a role of adjusting the focal length. That is, in the rain driving mode, the focal length of the standard camera 410 is manually adjusted over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to out-focus, so that the front view is not blocked by the vehicle glass.

또한, 미세 조절부(120)의 조작에 의해 표준 카메라(410)의 줌을 조정하여 화면 표시 범위를 설정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creen display range may be set by adjusting the zoom of the standard camera 410 by manipulation of the fine adjustment unit 120.

또한, 미세 조절부(120)의 조작에 의해 디스플레이 화면(600)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운전자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대한 시인성과 전방의 시야 확보를 운전자의 선호에 맞게 적절히 조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nsparency of the display screen 600 may be adjusted by manipulation of the fine adjustment unit 120.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adjust the visibility of the driver's display screen and securing the front view according to the driver's preference.

시스템 제어부(200)는 사용자 조작부(100)로부터의 조작 신호(또는 '입력 신호"라고도 함) 및 감지 센서부(300)로부터의 감지 신호(또는 '감지 데이터'라고도 함), 설정갑 저장부(720)에 저장된 기설정된 저장값(예를 들어, 감지 신호에 대응하는 각종 제어값)에 근거하여, 동영상 촬영부(400), 그래픽 처리부(500), 디스플레이 화면(600)을 포함하여, 차량 안전 운전용 디스플레이 장치 전반을 제어한다. The system control unit 200 includes an operation signal (or also referred to as “input signal”) from the user operation unit 100, a sensing signal from the detection sensor unit 300 (or referred to as “sensing data”), and a set box storage unit 720. ), including a video recording unit 400, a graphic processing unit 500, and a display screen 600, based on a preset storage value (for example, various control values corresponding to a detection signal) stored in the vehicle safely driving Controls the overall display device.

이 시스템 제어부(200)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마이크로컨트롤러(microcontroller),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으로 형성되어, 소정의 회로 보드 일면에 실장될 수 있다.The system controller 200 includes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an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a microcontroller,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and an electrical unit for performing other functions. And may be mounted on one surface of a predetermined circuit board.

먼저, 시스템 제어부(200)는 촬영 모드 선택부(110)의 선택에 따라 동영상 촬영부(400)에서 촬영하여 디스플레이 화면(600)에 표시될 평상 주행 모드, 안개 주행 모드, 우천 주행 모드, 야간 주행 모드 등이 수행되도록, 동영상 촬영부(400) 및 디스플레이 화면(600)을 제어할 수 있다.First, the system control unit 200 shoots in the video recording unit 400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shooting mode selection unit 110 and displays a normal driving mode, a fog driving mode, a rain driving mode, and a night driving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600. The moving picture photographing unit 400 and the display screen 600 may be controlled so that the mode or the like is performed.

한편, 시스템 제어부(200)는, 감지 센서부(300)의 우적 감지 센서(310)에서 감지되는 신호와 설정값 저장부(720)에 저장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와이퍼의 가동과 함께 우천 주행 모드를 시행하여 표준 카메라(410)의 촛점 거리를 아웃 포커싱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600) 화면에서는 차량 전면 유리 너머의 시야를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다. 이때, 표준 카메라는 차량 외부의 비의 유입이 차단된 위치에도 적어도 하나 또는 다수개가 마련되어, 시스템 제어부(200)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구동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ystem control unit 200, based on the signal detected by the rain detection sensor 310 of the detection sensor unit 300 and the data stored in the set value storage unit 720, the rainy weather driving mode with the operation of the wiper. By implementation, the focal length of the standard camera 410 may be set to out-focusing. Accordingly,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screen 600, the field of view over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may be clearly captured. In this case, at least one or a plurality of standard cameras may be provided at a location where the inflow of rain outside the vehicle is blocked, and may be selectively driven by the system controller 200.

그 결과, 우천시에도 선명한 시야를 확보하여 주행 안전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a result, there is an effect of further enhancing driving safety by securing a clear view even in rainy weather.

또한, 시스템 제어부(200)는 감지 센서부(300)의 조도 감지 센서(320)에서 감지되는 신호와 설정값 저장부(720)에 저장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차량 전면의 헤드라이트를 점등함과 아울러, 동영상 촬영부(400)를 표준 카메라(410)를 턴오프하고 적외선 카메라(420)를 턴온하여 디스플레이 화면(600) 상에 적외선 동영상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ystem controller 200 turns on the headlight of the front of the vehicle based on the signal detected by the illuminance sensor 320 of the detection sensor unit 300 and the data stored in the set value storage unit 720 , The moving picture photographing unit 400 may turn off the standard camera 410 and turn on the infrared camera 420 to display an infrared video on the display screen 600.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서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표준 카메라(410)와 적외선 카메라(420)를 둘 다 가동하도록 제어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화면으로 분할하여 제1영역에는 표준 동영상을 표시하고, 제2영역에는 적외선 동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주변 조명 및 헤드라이트에 의해 시야 확보가 원할한 경우에는 야간 주행 모드라도 시인성이 좋으므로 디스플레이 화면(600)의 제1영역에는 표준 동영상을 표시하되, 헤드라이트의 사각에서의 시인성을 높이도록 적외선 동영상을 디스플레이 화면(600)의 제2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조합에 의해 표준 동영상에 의해 보다 세밀하게 표시되는 시야를 확보하면서도 헤드라이트에 의해서 시야가 확보되지 않는 사각 지대에 대한 시야도 확보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ntrolling to operate both the standard camera 410 and the infrared camera 420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as shown in FIG. May be displayed, and an infrared video may be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That is, when it is desirable to secure a view by ambient lighting and headlights, the standard video is displayed in the first area of the display screen 600 because visibility is good even in the night driving mode, but to increase the visibility in the blind spot of the headlight. An infrared video may be displayed on the second area of the display screen 600. With such a combination, it is possible to secure a field of view that is displayed in more detail by a standard video, while also securing a field of view in a blind spot where a field of view is not secured by a headlight.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0)는 표준 카메라(410)와 적외선 카메라(420)가 둘 다 가동되도록 제어하고, 그래픽 제어부(500)에서는 표준 카메라(410)로부터의 표준 동영상과 적외선 카메라(420)로부터의 적외선 동영상을 합성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화면(600) 전체를 통해 넓은 차량 안전 운전용 디스플레이 화면을 확보하면서도, 가시적으로 볼 수 없는 물체에 까지 시인성을 높이면서도, 적외선 동영상에 비해 세밀한 동영상 화면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On the other han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ystem control unit 200 controls both the standard camera 410 and the infrared camera 420 to operate, and the graphic control unit 500 controls the standard video from the standard camera 410. By controlling to synthesize the infrared video from the infrared camera 420, while securing a wide display screen for vehicle safety driving through the entire display screen 600, while increasing the visibility to objects that can not be seen, infrared video Compared to that, it has the effect of obtaining a detailed video screen.

그 결과, 야간 주행의 안전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a resul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further increase the safety of night driving.

한편, 시스템 제어부(200)는 감지 센서부(300)의 안개 감지 센서(320)에서 감지되는 신호와 설정값 저장부(720)에 저장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안개등을 점등함과 아울러, 동영상 촬영부(400)를 표준 카메라(410)를 턴오프하고 적외선 카메라(420)를 턴온하여 디스플레이 화면(600) 상에 적외선 동영상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ystem control unit 200 turns on the fog lamp and, based on the signal detected by the fog detection sensor 320 of the detection sensor unit 300 and the data stored in the setting value storage unit 720, By turning off the standard camera 410 at 400 and turning on the infrared camera 420, an infrared video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600.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서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표준 카메라(410)와 적외선 카메라(420)를 둘 다 가동하도록 제어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화면으로 분할하여 제1영역에는 표준 동영상을 표시하고, 제2영역에는 적외선 동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안개의 농담이 간헐적으로 짙어지는 경우 안개의 농담이 얕은 구간에서는 시야 확보가 원할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화면(600)의 제1영역에는 표준 동영상을 표시하되, 헤드라이트의 사각에서의 시인성을 높이도록 적외선 동영상을 디스플레이 화면(600)의 제2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특히 수동인 경우에는 너무 전환이 느려 안개가 얕은 구간에서도 계속 안개 주행 모드로 운행하거나, 빈번한 전환 조작으로 오히려 위험이 증가할 수 있는 단점을 억제하고, 자동인 경우에는 너무 전환이 빈번하여 화면 전환에 의한 혼선이 야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억제하면서도, 안개가 얕은 구간에서의 시야 확보와 안개가 짙은 구간에서의 시야 확보가 동시에 이루어지므로, 안개 주행 모드시의 차량 운전 안전성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ntrolling to operate both the standard camera 410 and the infrared camera 420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as shown in FIG. May be displayed, and an infrared video may be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For example, if the shade of the fog is intermittently thick, since it is desirable to secure a view in a section where the shade of the fog is shallow, a standard video is displayed in the first area of the display screen 600, but the visibility in the blind spot of the headlight is increased. Infrared video may be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of the display screen 600 so as to be possible. In this case, especially in the case of manual mode, the conversion is too slow to continue driving in the fog driving mode even in the section where the fog is shallow, or the disadvantage that may increase the risk due to frequent switching operation is suppressed, and in the case of automatic, the conversion is too frequent. There is an effect of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confusion caused by screen switching. While suppressing such a problem, since the visibility in the shallow fog section and the visibility in the thick fog section are simultaneously secured, vehicle driving safety in the fog driving mode can be further improved.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00)는 표준 카메라(410)와 적외선 카메라(420)가 둘 다 가동되도록 제어하고, 그래픽 제어부(500)에서는 표준 카메라(410)로부터의 표준 동영상과 적외선 카메라(420)로부터의 적외선 동영상을 합성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화면(600) 전체를 통해 넓은 차량 안전 운전용 디스플레이 화면을 확보하면서도, 가시적으로 볼 수 없는 물체에 까지 시인성을 높이면서도, 적외선 동영상에 비해 세밀한 동영상 화면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On the other han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ystem control unit 200 controls both the standard camera 410 and the infrared camera 420 to operate, and the graphic control unit 500 controls the standard video from the standard camera 410. By controlling to synthesize the infrared video from the infrared camera 420, while securing a wide display screen for vehicle safety driving through the entire display screen 600, while increasing the visibility to objects that can not be seen, infrared video Compared to that, it has the effect of obtaining a detailed video screen.

이에 따라, 안개시에 차량 운전의 안전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re is an effect of further increasing the safety of vehicle driving during fog.

한편, 시스템 제어부(200)는 그래픽 처리부(500)를 제어하여 동영상 저장부(710)에 저장되는 동영상의 압축율 및 포맷을 설정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안전 운전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차량용 블랙 박스에도 적용되어, 시야가 확보가 어려운 환경에서도 차량 주변 상황에 대해 시인성이 양호한 동영상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Meanwhile, the system controller 200 may control the graphic processing unit 500 to set the compression rate and format of the moving picture stored in the moving picture storage unit 710. Accordingly, the display device for safe driving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ed to a black box for a vehicle, and there is an effect of securing a video having good visibility for a situation around the vehicle even in an environment where visibility is difficult to secure.

감지 센서부(300)는 우적 감지 센서(310), 조도 감지 센서(320), 안개 감지 센서(330)를 포함하여 다수 다종의 감지 센서로 구성되어, 차량 주행과 관련된 주변 환경 정보를 감지하여 전기전 신호를 거쳐 디지털 정보로 생성한다.The detection sensor unit 30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types of detection sensors including a rain detection sensor 310, an illuminance detection sensor 320, and a fog detection sensor 330, and detects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related to vehicle driving to generate electricity. It is generated as digital information through all signals.

먼저, 우적 감지 센서(310)는 앞유리 상단 중앙 등에 설치되어 빗물의 양을 감지하여, 그 감지된 빗물의 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후, 디지털 데이터로 시스템 제어부(200)에 제공한다. 즉, 우적 감지 센서(310)는 LED(Light-Emitting Diode)에서 방출한 적외선이 유리 표면의 빗물에 의해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적외선을 포토 다이오드가 감지하여 비의 양을 감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우적 감지 센서(310)는 유리 투과율을 스스로 보정하는 서보(servo) 회로를 포함하여, 앞쪽 유리의 투과율에 상관없이 일정하게 빗물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림직하다.First, the rain detection sensor 310 is installed in the upper center of the windshield to detect the amount of rainwater, converts the detected amount of rainwater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provides digital data to the system controller 200. That is, the rain detection sensor 310 detects the amount of rain by detecting the infrared ray emitted from the LED (Light-Emitting Diode) is reflected by rainwater on the glass surface and returned by the photodiode. In addition, the rain detection sensor 31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rvo circuit for self-correcting the transmittance of the glass, and is configured to constantly detect rainwater regardless of the transmittance of the front glass. It is hop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우적 감지 센서(310)는 상시 전원에 연결되어 상시 빗방울을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지만, 와이퍼의 조작 스위치와 연동하여 빗방울을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raindrop detection sensor 31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detect raindrops by being connected to a power supply at all times, but may be configured to detect raindrops by interlocking with an operation switch of a wiper.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우적 감지 센서(310)는 와이퍼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우적 감시 센서(310)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통상적인 와이퍼 시스템은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서, 차량의 전면 유리에 내리는 빗방울을 제거할 수 있도록 단계별로 와이퍼의 작동 속도가 조작되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우적 감시 센서(310)는 운전자가 원할한 전방 시야 확보가 안될 경우, 즉 와이퍼를 조절하는 다수의 단계(예컨대, 16 단계) 중 기설정된 단계 이상이 될 경우, 후술하는 표준 카메라(410)의 촛점 거리를 조절하여 안개 속에서도 선명한 시야를 확보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우적 감시 센서(310)는 운전자의 전방 시야가 불량할 정도의 비가 내리는 지를 감지하는 것이 주 목적이다.Accordingly, the rain detection sensor 31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the rain detection sensor 310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a wiper in common. At this time, in the conventional wiper system, the operating speed of the wiper is manipulated step by step to remove raindrops falling on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in order to secure the driver's view, but the rain monitoring sensor 31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Means that when the driver cannot secure a smooth front view, that is, when the wiper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level among a number of steps (eg, 16 steps), the focal length of the standard camera 410 to be described later is adjusted to prevent fog. The goal is to secure a clear view even from the inside. As described above, the rain monitoring sensor 31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ain purpose of detecting whether it is raining enough to cause the driver's front vision to be poor.

한편, 조도 감지 센서(320)는 특정 면적이 받는 '빛의 세기'를 그 면적에 비치는 '광속'으로 나타내는 센서로서, 차량 외부의 밝기를 감지한다. 여기에서, 광속은 빛이 진행하는 방향에 수직인 단위 면적을 단위 시간에 지나가는 빛의 양을 말한다. 즉, 조도 감지 센서(320)는 차량 주위 환경의 밝기 정도를 감지하는 것으로서 사용자에게는 룩스(lx)나 포토(ph) 단위로 표시될 수 있으며, 조도 감지 센서(320)에서 감지된 차량 주위 환경의 밝기는 디지털 데이터로서 시스템 제어부(200)에 제공된다. On the other hand, the illuminance sensor 320 is a sensor that indicates the'intensity of light' received by a specific area as a'light flux' reflected in the area, and detects brightness outside the vehicle. Here, the luminous flux refers to the amount of light passing through a unit area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light travels per unit time. That is, the illuminance sensor 320 detects the degree of brightness of the environment around the vehicle, and may be displayed to the user in units of lux (lx) or photo (ph), and Brightness is provided to the system controller 200 as digital data.

이 조도 감지 센서(320)는, 빛에너지를 받게 되면 조도센서 내부에 움직이는 자유 전자가 발생하게 되며 전도율이 변하는 광전 효과(빛을 쪼였을 때에 전류가 흐르는 현상)를 가지는 소자, 예컨대 황화카드뮴(CdS)소자를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빛이 강하면 저항값이 약해지고, 빛이 약하면 저항값이 높아지는 성질에 따라, 조도 감지 센서(320)에 비치는 빛의 세기에 대응하는 아날로그 신호를 발생시키고, 이에 대응한느 디지털 데이터를 시스템 제어부(200)에 전달하게 된다. 이 조도 감지 센서(320)에 의해서 감지되는 디지털 데이터에 따라, 시스템 제어부(200)는 차량이 주행중인 환경의 낮과 밤을 구별할 수 있게 되며, 기설정된 조도 기준에 의해 운전자가 외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조도(즉, 낮)와, 외부 시야를 확보할 수 없는 조도(즉, 밤)을 결정할 수 있게 된다.The illuminance sensor 320 generates free electrons moving inside the illuminance sensor when light energy is received, and an element having a photoelectric effect (a phenomenon in which a current flows when light is irradiated) in which the conductivity changes, for example, cadmium sulfide (CdS). ) It can be configured using an element, and according to the property that the resistance value decreases when the light is strong, and the resistance value increases when the light is weak, an analo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tensity of light reflected on the illumination sensor 320 is generated. Corresponding digital data is transmitted to the system control unit 200. According to the digital data detected by the illuminance sensor 320, the system controller 200 can distinguish between day and night in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vehicle is driving, and the driver secures an external view based on a preset illuminance standar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illuminance that can be performed (ie, day) and the illuminance that cannot secure an external view (ie, nigh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본 조도 감지 센서(320)를 차량의 내외부에 분산 배치할 수 있지만, 통상의 조명 자동 점등 장치(즉, 헤드 라이트)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조도 감지 센서(320)와 공동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present illuminance sensor 320 may be distributed inside and outside the vehicle, the illuminance sensor 320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a conventional automatic lighting device (ie, headlight). It can also be used in conjunction with.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자동차의 조도 감지 센서(320)에서 감지되는 조도가 기설정된 기준 이하가 되면, 자동차 전면의 헤드라이트가 자동 점등되는데 사용되는 것과 연동하여, 자동차의 점등과 동시에 적외선 카메라(420)에 의해 촬영된 적외선 화면을 디스플레이 화면(600) 상에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밤이 되어 주행중인 자동차 외부 환경이 시야가 확보되지 않을 정도로 어두워지면, 자동차의 점등과 동시에 적외선 카메라(420)에 의해 촬영된 적외선 화면을 디스플레이 화면(600) 상에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운전자의 운전 중 불필요한 조작없이 차량의 안전 운전을 위한 적외선 화면을 디스플레이 화면(600) 상에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차량의 안전 운전에 보다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lluminance detected by the illuminance sensor 320 of the vehicle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reference, the headlight on the front of the vehicle is automatically turned on. At the same time, it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an infrared screen photographed by the infrared camera 420 on the display screen 600. That is, when the external environment of the vehicle being driven at night becomes dark enough to prevent visibility, it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an infrared screen photographed by the infrared camera 420 on the display screen 600 at the same time as the vehicle is turned on. . With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infrared screen for safe driving of the vehicle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600 without unnecessary manipulation while the driver is driving, there is an effect that can contribute more to the safe driving of the vehicle.

한편, 안개 감지 센서(330)는, LED 혹은 레이저 다이오드와 같은 발광부에서 적외선 혹은 자외선 파장의 광을 방출하고, 먼지 또는 수분과 같은 미세 입자(즉, 공기중에 부유된 입자)에 의해 산란 또는 반사된 광을 적외선 혹은 자외선용 수광부에서 수광하여 수광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 수광 신호로부터 미세 입자의 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수광부는 가시광 차단 필터 또는 수지를 사용하여 주변 빛에 의해 간섭을 받지 않는 것이 효과적이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통상의 가시광 범위의 광을 사용할 수도 있다. 하지만, 적외선 또는 자외선 광을 사용하는 것이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Meanwhile, the fog detection sensor 330 emits light of an infrared or ultraviolet wavelength from a light emitting unit such as an LED or a laser diode, and is scattered or reflected by fine particles such as dust or moisture (that is, particles suspended in the air). The received light is received by an infrared or ultraviolet light receiving unit to generate a light receiving signal. The concentration of fine particles can be detected from this light-receiving signal. Here, it is effective that the light receiving unit is not interfered with by ambient light by using a visible light blocking filter or resin.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light in the normal visible range may be used. However, using infrared or ultraviolet light can improve the sensitivity.

또한, 이 미세 입자를 별도의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에 의해서 감지된 온도 및 습도에 근거하여 이슬점 함수로부터 해당 입자가 안개 입자임을 판정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안개 감지 센서(330)는 안개에 의해서 주행중인 차량 내의 운전자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에 의해서 감지된 온도 및 습도로 이슬점에 도달하는 지 여부, 즉, 미세 입자가 안개 입자인 것을 확인하는 것보다는 안개 입자의 농도를 정확히 감지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n addition, based o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ed by separate temperature sensors and humidity sensors, the fine particles may be determined to be fog particles from a dew point function. However, since it is important for the fog detection sensor 3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determine whether a driver in a vehicle driving due to fog can secure a view, it is detected by a temperature sensor and a humidity sensor. It is more desirable to accurately detect the concentration of the fog particles rather than confirming whether the dew point is reached with the specified temperature and humidity, that is, that the fine particles are fog particles.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안개 감지 센서(330)는 차량의 내외에 고르게 분산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안개등 자동 점등 시스템에서 이용하는 안개 센서와 공동으로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fog detection sensor 3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venly distributed inside and outside the vehicle, but it is also preferable to use in common with the fog sensor used in the automatic fog light lighting system.

한편, 짙은 농도의 황사나 미세 먼지도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안개 감지 센서(330)와 함께 미세 먼지 감시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미세 먼지나 황사 역시 안개와 마찬가지로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는 미세 입자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안개 감지 센서(330)로서 설명하지만, 별도의 미세 입자 감지 센서로서 구성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since dense yellow sand or fine dust also interferes with the driver's field of view,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ne dust monitoring sensor (not shown) may be further included in addition to the fog detection sensor 330.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fine dust or yellow dust acts as fine particles that obstruct the driver's view like fog, it is described as the fog detection sensor 330, but may be configured as a separate fine particle detection senso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안개 감지 센서(330)에서는 미세 먼지와 같은 작은 입자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짧은 파장의 빛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안개 감지부와 미세 입자 감지부의 파장을 각각 다르게 구성하여 안개 또는 미세 입자의 농도를 감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the fog detection sensor 33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use light of a short wavelength in order to detect small particles such as fine dust. To this end, the fog detection unit and the fine particle detection unit may be configured to detect the concentration of the fog or fine particles by configuring different wavelengths.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안전 운행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술한 우적 감지 센서(310), 조도 감지 센서(320), 안개 감지 센서(330) 외에도, 예컨대, 지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위치 센서,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음향 센서, 온/습도 센서, 근접 센서, 적외선 센서, RGB 센서(illuminance sensor) 및 충격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rain detection sensor 310, illuminance detection sensor 320, and fog detection sensor 330, the display device for vehicle safety driv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or example, a magnetic sensor. ), a position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n acoustic sensor, a temperature/humidity sensor, a proximity sensor, an infrared sensor, an RGB sensor, and an impact sensor.

또한, 휠 속도 센서, 헤딩 센서(heading sensor), 요 센서(yaw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포지션 모듈(position module), 차량 전진/후진 센서, 휠 센서(wheel sensor), 차량 속도 센서, 차체 경사 감지 센서, 배터리 센서, 연료 센서, 타이어 센서, 핸들 회전에 의한 스티어링 센서, 차량 내부 온도 센서, 차량 내부 습도 센서 등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센서들의 기능은 그 명칭으로부터 당업자가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wheel speed sensor, heading sensor, yaw sensor, gyro sensor, position module, vehicle forward/reverse sensor, wheel sensor, vehicle speed sensor , A vehicle body tilt detection sensor, a battery sensor, a fuel sensor, a tire sensor, a steering sensor by rotation of a steering wheel, a temperature sensor inside a vehicle, a humidity sensor inside a vehicle, and the like.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Since the function of each sensor can be intuitively inferr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from its name,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와 같이 감지 센서부(300)는 상술한 부가적인 센서에 의해서, 차량의 슬립 정도, 차량 방향 정보, 차량 위치 정보(GPS 정보), 차량 각도 정보, 차량 속도 정보, 차량 가속도 정보, 차량 기울기 정보, 차량 전진/후진 정보, 배터리 정보, 연료 정보, 타이어 정보, 차량 램프 정보, 차량 내부 온도 정보, 차량 내부 습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감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the above-described additional sensor, the detection sensor unit 300 includes a vehicle slip degree, vehicle direction information, vehicle position information (GPS information), vehicle angle information, vehicle speed information, vehicle acceleration information, vehicle inclination information, Vehicle forward/reverse information, battery information, fuel information, tire information, vehicle lamp information, vehicle interior temperature information, and vehicle interior humidity information may be included and detected.

또한, 차량 자체의 동작 감지를 위한 가속 페달 센서, 압력 센서, 엔진 회전 속도 센서(engine speed sensor), 공기 유량 센서(AFS), 흡기 온도 센서(ATS), 수온 센서(WTS), 스로틀 위치 센서(TPS), TDC 센서, 크랭크각 센서(CAS) 등도 함께 이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ccelerator pedal sensor, pressure sensor, engine speed sensor, air flow sensor (AFS), intake air temperature sensor (ATS), water temperature sensor (WTS), throttle position sensor ( TPS), TDC sensor, crank angle sensor (CAS), etc. may also be used.

또한, 보조적으로, 차선 검출(Lane Detection, LD), 주변 차량 검출(VehicleIn addition, as an auxiliary, lane detection (LD), surrounding vehicle detection (Vehicle

Detection, VD), 보행자 검출(Pedestrian Detection,PD), 불빛 검출(Brightspot Detection, BD), 교통 표지판 검출(Traffic Sign Recognition, TSR), 도로면 검출 등과 같은 객체 검출 기술을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다.Object detection technologies such as Detection, VD), Pedestrian Detection (PD), Brightspot Detection (BD), Traffic Sign Recognition (TSR), and road surface detection can be used in parallel.

동영상 촬영부(400)는 각기 하나 또는 다수의 표준 카메라(410) 및 적외선 카메라(4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차량 전방의 상황에 대해 동영상을 촬영한다.The video capture unit 400 is configured to include one or a plurality of standard cameras 410 and infrared cameras 420, respectively, and captures a video of a situation in front of the vehicle.

표준 카메라(410)는 평상시 차량 외부, 특히 전방의 운전자 시야를 촬영하는 통상의 카메라로서, 후술하는 적외선 카메라(420)와 구분하기 위하여 표준 카메라(410)라 칭하지만, '가시 카메라'로 칭할 수도 있다.The standard camera 410 is a conventional camera that photographs the driver's field of view outside the vehicle, particularly in front, and is referred to as a standard camera 410 to distinguish it from the infrared camera 420 to be described later, bu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visible camera'. have.

표준 카메라(410)를 구성하는 카메라로는 비디오 카메라 또는 스틸 카메라가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비디오 카메라로는 줌의 기능을 가진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가 적용될 수 있다. 줌 렌즈를 조정하기 위한 줌 모터에 절대값 엔코더를 장착하여 줌 렌즈의 위치를 디지털 데이터로 출력한다. 한편, 스틸 카메라인 경우에는 디지털 카메라로서 줌 렌즈의 위치를 알 수 있도록 줌 모터에 절대값 엔코더를 장착하여 위치값을 디지털 데이터로 출력될 수 있어야 한다.As a camera constituting the standard camera 410, both a video camera or a still camera may be used. As a video camera, an analog or digital video camera having a zoom function can be applied. An absolute encoder is attached to the zoom motor for adjusting the zoom lens, and the position of the zoom lens is output as digital data.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still camera, the position value must be output as digital data by attaching an absolute value encoder to the zoom motor so that the position of the zoom lens can be known as a digital camera.

표준 카메라(410)를 구성하는 카메라는 1개 이상 사용될 수 있다. 카메라가 2개인 경우 즉, 스테레오 카메라인 경우, 입체 영상을 획득할 수 있고, 3개 이상이면 다시점의 입체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One or more cameras constituting the standard camera 410 may be used. When there are two cameras, that is, a stereo camera, a stereoscopic image can be obtained, and if there are three or more, a multiview stereoscopic image can be obtained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표준 카메라(410)는 동영상 촬영되는 화각을 조정하는 줌(zoom) 기능과, 촛점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액츄에이터(미도시)를 포함한다. 즉, 표준 카메라(410)의 렌즈와 촬상 이미지 센서(미도시) 간의 거리를 조절하여, 표준 카메라(410)의 촛점이 맺히는 위치를 조절하여, 빗속에서 차량이 운행될 때 촬영되는 동영상의 촛점을 원하는 위치로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되는 동영상의 촛점이 차량 전면 유리 뒷쪽에 맺히도록 아웃포커싱하여, 우천시 차량 앞 유리창에 촛점이 맺히지 않고 유리창 너머에서 촛점이 맺히도록 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ndard camera 410 includes a zoom function for adjusting the angle of view at which a video is captured, and an actuator (not shown) capable of adjusting a focal length. That is,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lens of the standard camera 410 and the image sensor (not shown), the position at which the standard camera 410 focuses is adjusted, so that the focus of the video captured when the vehicle is operated in the rain You can adjust it to the desired position.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driver's field of view by out-focusing so that the focus of the video being photographed is on the rear of the front windshield of the vehicle, so that the focus is not focused on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in rainy weather, but is focused from beyond the windshield.

한편, 적외선 카메라(420)는 절대 온도 0K(즉 -273.15℃) 이상에서 열의 강도에 따라, 물체 표면의 온도차이에 따라 달라지는 적외선의 강도를 수천개의 점으로 인식해 색깔로 표현하는 카메라로서, 모든 물체는 절대영도 0K(-273℃) 이상의 온도에서 방사, 전송 또는 반사되는 적외선 에너지를 방사하는데 이때 물체의 온도가 높을수록 적외선의 파장이 짧아진다는 원리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적외선 센서를 통해 이미지를 촬상한다. 예컨대, 적외선의 LW(LONG WAVELENGTH)대역(7 - 14㎛)을 감지하는마이크로 볼로미터(micro-bolometer)형 카메라를 사용하여 육안으로 식별하기 어려운 물체의 이미지를 촬상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frared camera 420 is a camera that recognizes the intensity of infrared rays, which varies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surface of the object,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heat at an absolute temperature of 0K (that is, -273.15 °C) or higher, and expresses it in colors. An object emits infrared energy that is radiated, transmitted or reflected at a temperature of 0K (-273℃) or higher with absolute zero. At this time, an image is captured through an infrared sensor made using the principle that the higher the temperature of the object, the shorter the wavelength of the infrared ray. do. For example, using a micro-bolometer type camera that detects the LW (LONG WAVELENGTH) band (7-14 μm) of infrared rays can be used to capture an image of an object that is difficult to identify with the naked eye.

그래픽 처리부(500)는 시스템 제어부(500)의 제어에 따라, 표준 카메라(410) 및/또는 적외선 카메라(420)로부터 촬상된 동영상 이미지를 시스템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른 해상도 및 재생 프레임으로 변환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화면(600) 상에 표시하도록 한다. 이때, 그래픽 처리부(500)는 디스플레이 화면(600) 전체에 표준 카메라(410)에 의해서 촬영된 표준 동영상, 즉, 운전자의 시야에 대응하여 운행중인 차량의 전방을 촬영한 화면(이하, "표준 동영상"이라고도 함)을 디스플레이 화면(600) 전체에 표시하도록 동영상 처리하거나, 적외선 카메라(420)에 의해서 촬상된 적외선 동영상 화면(이하, "적외선 동영상"이라고도 함)을 디스플레이 화면(600) 전체에 표시하도록 동영상 처리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화면(600)을 다수개로 분할한 디스플레이 화면(600)의 구역별로 구분하여 표시하도록 동영상 처리할 수 있다. The graphic processing unit 500 converts the video image captured from the standard camera 410 and/or the infrared camera 420 into a resolution and playback frame under the control of the system controller 200 under the control of the system controller 500 Processing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600. At this time, the graphic processing unit 500 is a standard video captured by the standard camera 410 on the entire display screen 600, that is, a screen photographing the front of the vehicle in motion corresponding to the driver's field of view (hereinafter, "standard video Video processing to display “infrared video” on the entire display screen 600, or to display an infrared video screen captured by the infrared camera 420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infrared video”) on the entire display screen 600 Video processing may be performed, or video processing may be performed so that the display screen 600 is divided and displayed for each area of the display screen 600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ieces.

예컨대, 디스플레이 화면(600)을 2분할하도록 처리할 경우, 제1구역에는 표준 동영상이 표시되도록 하고, 제2구역에는 적외선 동영상이 처리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구역에는 표준 동영상의 촛점 거리(이하, "표준 촛점 거리"라 함)에서 촬영된 동영상을 표시하고, 제 2 구역에서 운전자가 수동 조작한 촛점 거리(이하, "수동 촛점 거리"라 함)에서 촬영한 동영상이 표시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현재 상태와 원하는 상태를 동시에 표시하여 비교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황의 전환시 둘 중 한 화면을 터치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화면 전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or example, when processing the display screen 600 to be divided into two, a standard video may be displayed in a first area and an infrared video may be processed in a second area. Alternatively, in another embodiment, a video shot at a focal length of a standard video (hereinafter referred to as “standard focal length”) is displayed in the first zone, and a focus distance manually operated by the driver in the second zone (hereinafter, “manual It can be set to display a video taken at "focal distance"). In this way, not only can the current state and the desired state be displayed and checked at the same time, but also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screen can be switched simply by touching one of the two screens when the situation is switch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 그래픽 처리부(500)가 표준 카메라(410)에서 출력되는 표준 동영상과 적외선 카메라(420)에서 촬영되는 적외선 동영상을 합성하여 디스플레이 화면(600)에 표시하도록 동영상 처리할 수 있다. 가시 영상은 적외선 영상에 비해 섬세한 고주파 성분을 가지고 있는 반면에 적외선 영상은 상대적으로 저주파 특성을 가지지만 열(thermal)정보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들의 특성을 융합하기 위해 다중스케일(multi-scaling) 방식 등을 사용하고 의사 칼라(pseudo coloring)처리를 행하면 관측자에게 표준 동영상으로는 안보이는 화면을 적외선 동영상보다 세밀하게 표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aphic processing unit 500 processes a video so that the standard video output from the standard camera 410 and the infrared video captured by the infrared camera 420 are combin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600. can do. Visible images have more delicate high-frequency components than infrared images, whereas infrared images have relatively low-frequency characteristics, but have thermal information. Therefore, if a multi-scaling method or the like is used to fuse these characteristics and a pseudo coloring process is performed, there is an effect that a screen that cannot be seen by a standard video to the observer can be displayed in more detail than an infrared video. .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처리부(500)는 표준 카메라(410)로부터 촬영되는 표준 동영상 및/또는 적외선 카메라(420)로부터 촬영되는 적외선 동영상을 시스템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른 압축 포맷(에컨대, mp4)으로 압축하여 데이터 저장부(700)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raphic processing unit 5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esses a standard video shot from the standard camera 410 and/or an infrared video shot from the infrared camera 420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system controller 200. It may be compressed in a format (eg, mp4) and transmitted to the data storage unit 700.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화면(600)은, 사용자에 의해서 투명도가 조절될 수 있는, 투명 TFEL(Thin Film Elecroluminescent), 투명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투명 LCD(Liquid Crystal Display), 투과형 투명 디스플레이, 투명 LED(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화면(600)의 투명도는 사용자 조작부(100) 내이 미세 조절부(120)의 조작에 의해서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를 채용함으로써, 전방의 시야를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차량 안전 운전용 디스플레이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The display screen 6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parent thin film elecroluminescent (TFEL), a transparent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in which transparency can be adjusted by a user. ), a transmissive transparent display, and a transparent light emitting diode (LED) display. In this case, the transparency of the display screen 600 may be adjusted by manipulation of the inner ear fine adjustment unit 120 of the user manipulation unit 100.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employing a transparent display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isplay screen for safe driving of a vehicle while sufficiently securing a front view.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저장부(700)는 동영상 저장부(710) 및 설정값 저장부(7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 매체로 구성될 수 있다.The data storage unit 7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ideo storage unit 710 and a setting value storage unit 720, and includes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nd a multimedia device. Card, multimedia card micro type,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SD or XD memory, etc.), random access memory (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read-only memory, 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magnetic memory, magnetic disk, and optical disk.

동영상 저장부(710)는 그래픽 저장부(500)에서 압축되어 전송되는 동영상 데이터가 저장된다. 이때, 압축 방식으로는 예컨대 MPEG4, AVI, H.264 등을 포함하는 종래의 A/V 압축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동영상은 압축한다 해도 그 용량이 크기 때문에, 동영상 저장부(710)는 비휘발성의 메모리 소자로서 차량용 블랙박스의 메모리 인터페이스에 착탈되는 기억 소자 모듈을 사용하며, 제한된 용량에 대해 반복적으로 기록하도록 서큘러 버퍼(circular buffer), 또는 링 버퍼(ring buffer) 방식으로 구동할 수도 있다.The moving picture storage unit 710 stores moving picture data compressed and transmitted by the graphic storage unit 500. In this case, as the compression method, a conventional A/V compression method including, for example, MPEG4, AVI, H.264, etc. may be applied. On the other hand, even if a video is compressed, its capacity is large, so the video storage unit 710 uses a memory device module that is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memory interface of the vehicle black box as a nonvolatile memory device, so that the limited capacity can be repeatedly recorded. It may be driven in a circular buffer or a ring buffer method.

한편, 동영상 저장부(710)는 디스플레이 화면(600)이 차량의 선바이저 방식으로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거나, HUD(Head Up Display) 방식으로 차량의 전면 유리창에 화면이 표시되더라도, 그 구조적 제한을 받지 않도록 차량 내에 별도로 마련된 외장형 메모리가 사용될 수 있으며, 동영상 촬영부(400)의 표준 카메라(410) 및 적외선 카메라(420)도 동영상 저장부(710)와 마찬가지로 차량 내부에 별도로 장착될 수 있다. 이 동영상 저장부(710)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안전 운전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차량용 블랙박스로서의 기능을 병행하며, 종래의 차량용 블랙 박스에 비해 시계가 불량한 야간 주행시나, 폭설, 안개, 미세 먼지, 황사, 우천 등의 기상 악화 시에도 차량 주변 상황을 선명하게 촬영한 동영상을 저장하여, 사고 발생시 사고 발생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video storage unit 710 is not subject to structural restrictions even if the display screen 600 is configured to be opened and closed in the vehicle's sun visor method or the screen is displayed on the front windshield of the vehicle in the HUD (Head Up Display) method. An external memory separately provided in the vehicle may be used, and the standard camera 410 and the infrared camera 420 of the moving picture photographing unit 400 may be separately mounted inside the vehicle like the moving picture storage unit 710. By this moving picture storage unit 710, the display device for safe driving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nctions as a vehicle black box at the same time, and when driving at night with poor visibility compared to a conventional vehicle black box, heavy snow, fog, and fine dust , Even in the event of bad weather such as yellow sand, rain, etc., it is possible to clearly check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by storing a video that clearly captures the situation around the vehicle.

설정값 저장부(720)에는 사용자 조작부(100) 내의 각종 조작 신호에 따른 시스템 제어부(200)의 제어 동작 및 제어량, 감지 센서부(300) 내의 각 감지 신호에 따른 제어 동작 및 제어량, 그리고 표준 카메라(410) 및 적외선 카메라(420)의 온/오프 제어, 디스플레이 화면(600)의 화면 전환 제어, 그래픽 처리부(500)에서의 압축 포맷 및 압축율을 포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안전 운행용 디스플레이 장치 전반의 제어에 필요한 제어 프로그램 또는 제어 애플리케이션 및 제어 데이터가 저장된다.The set value storage unit 720 includes a control operation and control amount of the system controller 200 according to various manipulation signals in the user manipulation unit 100, a control operation and control amount according to each detection signal in the detection sensor unit 300, and a standard camera. Including the on/off control of the 410 and the infrared camera 420, the screen switching control of the display screen 600, the compression format and the compression ratio in the graphic processing unit 500, the display device for vehicle safety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ntrol program or control application required for overall control and control data are stored.

하우징(800)은 사용자 조작부(100) 및 디스플레이 화면(600)이 탑재되고, 도시 생략한 메인모드, 카메라, 터치 패널 등이 탑재될 수 있으며, 예컨대 회전자 등에 의해 차량의 천정부 등에 개폐 방식으로 부착되어 운전자가 필요로 할때만 운전자 시야로 개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하좌우로 이동 등 부착 위치를 가변하여 운전자의 시야에 적합하게 조정할 수 있다.The housing 800 is equipped with a user operation unit 100 and a display screen 600, and may be equipped with a main mode, a camera, a touch panel, etc., which are not shown, and is attached to the ceiling of a vehicle by, for example, a rotor, etc. Therefore, it can be opened to the driver's view only when the driver needs it, and it can be adjusted to suit the driver's view by changing the attachment position, such as moving up, down, left and right, if necessary.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화면(600)이 하우징(800)에 탑재된느 것이 아니라, HUD(Head Up Display) 방식의 전방 표시 장치로서 구현되어, 차량의 전면 유리창에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동영상 촬영부(400)의 표준 카메라(410) 및 적외선 카메라(420)는 차량 전며 유리창 또는 대쉬 보드 상의 소정 부위에 마련될 수 있다. Meanwhil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screen 600 is not mounted on the housing 800, but is implemented as a front display device of a HUD (Head Up Display) type, and is configured to be displayed on the front windshield of the vehicle. It could be. In this case, the standard camera 410 and the infrared camera 420 of the moving picture photographing unit 400 may be provided on a predetermined portion of a vehicle window or dashboard.

이상 상술한 설명에 의하면, 시스템 제어부(200)에서 설명한 동작을 중심으로, 사용자 조작부(100), 감지 센서부(300), 동영상 촬영부(400), 그래픽 처리부(500), 디스플레이 화면(600), 데이터 저장부(700)가 서로 연계된 동작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안전 운전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작동하여, 차량을 보다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도록 운전자를 보조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안전 운전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과정에 대해서는, 시스템 제어부(200)에서 설명한 동작을 중심으로 각 구성 부재의 연계 동작에 대해서 이미 충분히 설명하였는 바, 불필요한 중복 설명을 피하고자 그 설명은 생략한다.According to the above description, focusing on the operation described by the system control unit 200, the user operation unit 100, the detection sensor unit 300, the video capture unit 400, the graphic processing unit 500, and the display screen 600 , The display device for safe driving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by an operation in which the data storage unit 700 is linked to each other, thereby assisting the driver to drive the vehicle more safely. In addition, with respect to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display device for safe driving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nkage operation of each constituent member has already been sufficiently described, focusing on the operation described in the system control unit 200, so that unnecessary redundancy Description is omitted.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안전 운전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은, 다양한 예시적인 로직들,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이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주문형 집적회로(ASIC), 필드 프로그래밍 가능한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 장치,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이러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것들의 조합을 통해 구현 또는 수행될 수 있다. The display device for safe driving of a vehicle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nclude various exemplary logics, logic blocks, modules, and circuits, including a general-purpose processor,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and an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or other programmable logic device, discrete gate or transistor logic, discrete hardware components, or a combination of those designed to perform these functions.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지만, 대안적 실시예에서, 이러한 프로세서는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예를 들어,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이러한 구성들의 조합과 같이 계산 장치들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A general purpose processor may be a microprocessor, but in an alternative embodiment, such a processor may be a conventional processor, controller, microcontroller. The processor may also be implemented as a combination of computing devices, such as, for example, a DSP and a microprocessor, a plurality of microprocessors, one or more microprocessors in combination with a DSP core, or a combination of these configurations.

여기서, 개시된 실시 형태와 관련하여 상술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디스크, 휴대용 디스크, CD-ROM, 또는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된 저장 매체의 임의의 형태 내에 존재한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와 결합되어,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여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한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집적화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 및 저장매체는 ASIC에 위치한다. ASIC은 사용자 단말에 위치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에서 이산 컴포넌트들로서 존재할 수 있다.Here, the steps of the method or algorithm described above in connection with the disclosed embodiment may be directly implemented by hardware, a software module executed by a processor, or a combination thereof. The software module resides in RAM memory, flash memory, ROM memory, EPROM memory, EEPROM memory, registers, hard disk, portable disk, CD-ROM, or any form of storage media known in the art. An exemplary storage medium is coupled with a processor, where the processor reads information from the storage medium and writes the information to the storage medium. Alternatively, the storage medium can be integrated into the processor. These processors and storage media are located in the ASIC. The ASIC can be located in the user terminal. Alternatively, the processor and storage medium may exist as discrete components in the user terminal.

제시된 실시 형태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ed embodiments is provided so that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use or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o these embodiments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단어 "예시적인"은 예, 일례, 또는 설명으로서 제공되는 것을 의미하기 위해 여기서 사용된다.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but is to be construed in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presented herein. Also, the word “exemplary” is used herein to mean serving as an example, example, or descrip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도시 및 설명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 특히 필수적인 특성들을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경, 변형 및 수정 실시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개시 및 설명한 사항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예시적인 것이고,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그 범위를 특정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referred embodiments shown and described herein can be variously changed, modified, and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particularly essential characteristics. That is, matters disclosed and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exemplary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specify the scope only by the appended claims.

또한, 본 발명에의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실시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있다. Further, similar to how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with software programming or software elements, embodiments include various algorithms implemented with a combination of data structures, processes, routines or other programming configurations, including C. , C++, Java, assembler, etc. can be implemented in a programming or scripting language. Functional aspects can be implemented with an algorithm running on one or more processors. Further, the embodiments may employ conventional techniques for electronic environment setting, signal processing, and/or data processing. Terms such as "mechanism", "element", "means", and "configuration" may be used broadly, and are not limited to mechanical and physical configurations. The term may include the meaning of a series of routines of software in connection with a processor or the like.

100 : 사용자 조작부
110 : 촬영 모드 선택부
120 : 미세 조절부
200 : 시스템 제어부
300 : 감지 센서부
310 : 우적 감지 센서
320 : 조도 감지 센서
330 : 안개 감지 센서
400 : 동영상 촬영부
410 : 표준 카메라
420 : 적외선 카메라
500 : 그래픽 처리부
600 : 디스플레이 화면
700 : 데이터 저장부
710 : 동영상 저장부
720 : 설정값 저장부
800 : 하우징
100: user control panel
110: shooting mode selection unit
120: fine adjustment unit
200: system control unit
300: detection sensor unit
310: rain detection sensor
320: illuminance detection sensor
330: fog detection sensor
400: video recording unit
410: standard camera
420: infrared camera
500: graphic processing unit
600: display screen
700: data storage unit
710: video storage unit
720: setting value storage unit
800: housing

Claims (5)

시야 확보가 어려운 환경에서 운전자의 시야 확보를 돕는 차량 안전 운전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의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신호를 발생하는 사용자 조작부;
차량 전방의 평상시 표준 동영상을 촬영하는 표준 카메라;
차량 전방의 적외선 동영상을 촬영하는 적외선 카메라;
상기 표준 카메라 또는 상기 적외선 카메라에서 촬영된 표준 동영상 또는 적외선 동영상을 신호 처리 및 압축하는 그래픽 처리부;
상기 차량 주변의 환경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부;
상기 그래픽 처리부에서 신호 처리된 동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화면; 및
상기 운전자의 조작 및/또는 상기 감지 센서부에서의 감지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표준 카메라 및/또는 상기 적외선 카메라의 촬영 개시 및 정지를 제어하고, 상기 그래픽 처리부의 신호 처리를 제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화면을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감지 센서부는 상기 차량 주변에 떨어지는 빗방울을 감지하는 우적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우적 감지 센서에서 빗방울이 기설정된 양 이상 감지되면, 상기 시스템 제어부는 상기 표준 카메라의 촛점을 기설정된 촛점 거리로 제어하여 아웃포커싱된 동영상을 촬영하도록 상기 표준 카메라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 운전용 디스플레이 장치.
In a display device for safe driving of a vehicle that helps secure a driver's view in an environment where it is difficult to secure a view,
A user manipulation unit that generates a manipul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river's manipulation;
A standard camera for shooting a standard video in front of the vehicle;
An infrared camera for photographing an infrared video in front of the vehicle;
A graphic processing unit for signal processing and compression of the standard video or infrared video captured by the standard camera or the infrared camera;
A detection sensor unit that senses an environment around the vehicle;
A display screen for displaying a video signal processed by the graphic processing unit; And
Based on the driver's manipulation and/or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detection sensor unit, the standard camera and/or the infrared camera control start and stop of shooting, and control signal processing of the graphic processing unit, so that the display screen Including; a system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screen displayed on,
The detection sensor unit includes a raindrop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raindrops falling around the vehicle, and when the raindrops are detected by the raindrop detection sensor more than a preset amount, the system controller controls the focal point of the standard camera to a preset focal length. A display device for safe driving of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controlling the standard camera to take an out-of-focused video.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센서부는,
상기 차량 주변의 밝기를 감지하는 조도 감지 센서; 및
상기 차량 주변의 공기 내에 포함된 미세 입자를 감지하는 안개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는 차량 안전 운전용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etection sensor unit,
An illuminance sensor for detecting brightness around the vehicle; And
A display device for safe driving of a vehicle further comprising a; fog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fine particles contained in the air around the vehicl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도 감지 센서에서 기절정된 조도 이하로 어두워진 것을 감지하거나, 상기 안개 감지 센서에서 기설정된 농도 이상으로 공기내 미세 입자를 감지하면, 상기 시스템 제어부는 상기 적외선 카메라를 가동시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서는 적외선 동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 운전용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n the illuminance detection sensor detects that it is dark below the preset illuminance, or when the fog detection sensor detects fine particles in the air above a preset concentration, the system controller activates the infrared camera, and the display screen displays A display device for safe driving of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controlling to display an infrared video.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도 감지 센서에서 기절정된 조도 이하로 어두워진 것을 감지하거나, 상기 안개 감지 센서에서 기설정된 농도 이상으로 공기내 미세 입자를 감지하면, 상기 시스템 제어부는 상기 표준 카메라 및 상기 적외선 카메라를 가동시키고, 상기 그래픽 처리부에서 상기 표준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동영상과 상기 적외선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동영상을 동기화시켜 합성하고, 상기 합성된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 운전용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n the illuminance detection sensor detects that it is dark below the preset illuminance, or when the fog detection sensor detects fine particles in the air above a preset concentration, the system control unit operates the standard camera and the infrared camera, The display device for safe driving of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graphic processing unit synchronizes and synthesizes the video captured by the standard camera and the video captured by the infrared camera, and controls the combined screen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삭제delete
KR1020200122786A 2020-09-23 2020-09-23 Display device for driving the vehicle safely KR1022313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786A KR102231373B1 (en) 2020-09-23 2020-09-23 Display device for driving the vehicle safe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786A KR102231373B1 (en) 2020-09-23 2020-09-23 Display device for driving the vehicle safe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1373B1 true KR102231373B1 (en) 2021-03-25

Family

ID=75222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2786A KR102231373B1 (en) 2020-09-23 2020-09-23 Display device for driving the vehicle safe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137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15436A (en) * 2022-02-25 2022-04-29 吉林大学 Transparent display system suitable for intelligent automobile information feedback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9914A (en) * 2010-12-21 2012-06-29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Night vision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20098107A (en) * 2011-02-28 2012-09-05 삼성전기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assisting a driver
KR20140046623A (en) * 2012-10-09 2014-04-21 (주)토핀스 Safety system using transparent display
KR101533285B1 (en) * 2014-08-01 2015-07-02 우병욱 Car safety system to get and display infrared images for sensing dangers in dark environments and photographing method for infrared images
KR20160070527A (en) 2014-12-10 2016-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Driver assistance apparatus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WO2017039047A1 (en) * 2015-09-01 201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9914A (en) * 2010-12-21 2012-06-29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Night vision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20098107A (en) * 2011-02-28 2012-09-05 삼성전기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assisting a driver
KR20140046623A (en) * 2012-10-09 2014-04-21 (주)토핀스 Safety system using transparent display
KR101533285B1 (en) * 2014-08-01 2015-07-02 우병욱 Car safety system to get and display infrared images for sensing dangers in dark environments and photographing method for infrared images
KR20160070527A (en) 2014-12-10 2016-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Driver assistance apparatus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WO2017039047A1 (en) * 2015-09-01 201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15436A (en) * 2022-02-25 2022-04-29 吉林大学 Transparent display system suitable for intelligent automobile information feedbac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47836B2 (en) Vehicular control system with road curvature determination
CN107406031B (en) Image projection apparatus
KR101819000B1 (en) Lamp for vehicl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KR101789984B1 (en) Side Mirror Camera System For Vehicle
CN102365190A (en) Method and device for illuminating lateral road regions
KR102231373B1 (en) Display device for driving the vehicle safely
WO2006087524A1 (en) A driver assistance system
US20230173983A1 (en) Vehicle Tracking for a Camera Wing System
KR102213632B1 (en) Driver assistance apparatus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