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0600B1 - Bone screw - Google Patents

Bone screw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0600B1
KR102230600B1 KR1020190011358A KR20190011358A KR102230600B1 KR 102230600 B1 KR102230600 B1 KR 102230600B1 KR 1020190011358 A KR1020190011358 A KR 1020190011358A KR 20190011358 A KR20190011358 A KR 20190011358A KR 102230600 B1 KR102230600 B1 KR 102230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tapping
central axis
area
bone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13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93964A (en
Inventor
강종우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11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0600B1/en
Priority to PCT/KR2019/003217 priority patent/WO2020158998A1/en
Publication of KR20200093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39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6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4Fasteners therefor or fasteners being in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6Pins or screws or threaded wires; nuts therefor
    • A61B17/8625Shanks, i.e. parts contacting bone tissue
    • A61B17/863Shanks, i.e. parts contacting bone tissue with thread interrupted or changing its form along shank, other than constant tap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4Fasteners therefor or fasteners being in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6Pins or screws or threaded wires; nuts therefor
    • A61B17/864Pins or screws or threaded wires; nuts therefor hollow, e.g. with socket or cannul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4Fasteners therefor or fasteners being in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6Pins or screws or threaded wires; nuts therefor
    • A61B2017/8655Pins or screws or threaded wires; nuts therefor with special features for locking in the bo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 나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골 나사(100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일단부터 뼈에 삽입되고 타단에 헤드(130)가 구비된 본체(100), 본체(100)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되어 돌출된 나선부(200), 및 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부(200)가 제거되어 형성된 탭핑부(300)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ne screw, the bone screw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inserted into the bone from one end and provided with a head 130 at the other end, the main body 100,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It includes a spiral portion 200 extending in a spiral shape along the protrusion, and a tapping portion 300 formed by removing the spiral portion 20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0.

Description

골 나사{BONE SCREW}Bone screw {BONE SCREW}

본 발명은 골 나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ne screw.

골절(fracture)은 외부의 힘에 의해서 뼈의 연속성이 완전하게 또는 불완전하게 소실된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다. 골절은 다양한 치료법이 있으나 증세나 부위에 따라 심하게 골절되거나 신속한 치유가 필요한 경우에는 인공적인 금속으로 이루어진 판 형상의 고정판을 고절 부위에 밀착시킨 후 고정나사를 이용하여 고정판을 뼈에 고정시켜 뼈를 지지하는 내고정 치료법(internal fixation)이 사용되고 있다.Fracture refers to a condition in which bone continuity is completely or incompletely lost due to external force. There are various treatments for fracture, but if it is severely fractured depending on the condition or area or requires rapid healing, a plate-shaped fixing plate made of artificial metal is adhered to the fracture area and then fixed to the bone using a fixing screw to support the bone Internal fixation is being used.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른 내고정 치료법은 고정나사를 이용하여 고정판을 뼈에 고정시킬 때, 고정나사가 뼈를 뚫기 어려우므로, 드릴을 이용하여 미리 뼈에 천공을 해줘야 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치료 과정이 복잡하고 치료 시간도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However, in the internal fixation treatment according to the prior art, when fixing the fixing plate to the bone using a fixing screw, it is difficult for the fixing screw to penetrate the bone, so it is necessary to puncture the bone in advance using a drill. Therefore, conventional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reatment process is complicated and the treatment time is also required.

KRKR 10-109450410-1094504 B1B1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나선부를 제거한 탭핑부를 구비함으로써 스스로 뼈를 확공하거나 뚫을 수 있는 골 나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ne screw capable of self-reinforcing or piercing bone by providing a tapping portion with a spiral portion remov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 나사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일단부터 뼈에 삽입되고 타단에 헤드가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되어 돌출된 나선부, 및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나선부가 제거되어 형성된 탭핑부를 포함한다.The bone screw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is inserted into the bone from one end and provided with a head at the other end, a helical part extending in a spiral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and protruding, and And a tapping portion formed by removing the spiral portion along the lin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 나사에 있어서, 상기 탭핑부는, 상기 본체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나선부가 제거되어 형성된 제1 탭핑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in the bone scr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apping part includes a first tapping part formed by removing the spiral part from one end of the main bod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 나사에 있어서, 상기 제1 탭핑부는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제1 면과 상기 제1 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제2 면을 포함한다.In addition, in the bone scr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apping portion includes a first surface formed perpendicular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a second surface formed perpendicular to the first surfa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 나사에 있어서, 상기 제1 탭핑부는 상기 본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소정각도마다 형성된다.In addition, in the bone screw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apping portion is formed at each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main bod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 나사에 있어서, 상기 제1 탭핑부는 상기 본체의 일단으로부터 일정길이까지 형성된다.In addition, in the bone screw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apping portion is formed from one end of the main body to a predetermined length.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 나사에 있어서, 상기 제2 면은, 상기 본체의 중심축과 제1 각도를 이루도록 연장된 제2-1 면, 상기 본체의 일단 방향 쪽의 상기 제2-1 면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중심축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본체의 중심축과 상기 제1 각도보다 큰 제2 각도로 경사진 제2-2 면, 및 상기 제2-1 면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중심축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제2-3 면을 포함한다.In addition, in the bone scr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urface is a 2-1 surface extending to form a first angle with a central axis of the main body, and the second side toward one end direction of the main body. The second-second surface extending in a direction closer to the central axis of the main body from one end of the first surface, and inclined at a second angle greater than the first angle with the central axis of the main body, and It includes a 2-3 surface inclin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main body from the other en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 나사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단에는 말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말단부에는 상기 나선부가 제거되어 상기 제1 탭핑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소정각도마다 형성된 상기 제1 탭핑부 중 인접한 2개의 상기 제1 탭핑부를 제1-1 탭핑부와 제1-2 탭핑부로 정의할 때, 상기 제1-1 탭핑부의 제1 면과 상기 제1-2 탭핑부의 제2 면이 상기 말단부의 말단에서 만나도록, 상기 제1-2 탭핑부의 제2 면의 말단은 상기 본체의 중심축에 대해서 경사지게 연장된다.In addition, in the bone screw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stal end is form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and the spiral part is removed at the distal end to form the first tapping part, and at predetermined angles based on the central axis of the main body When two adjacent first tapping portions of the formed first tapping portions are defined as a 1-1 tapping portion and a 1-2 tapping portion, the first surface of the first-first tapping portion and the 1-2nd tapping portion The end of the second surface of the 1-2nd tapping part extends obliquely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second surface meets at the end of the distal en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 나사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단 이후부터 상기 본체의 소정지점까지를 제1 영역으로 정의하고, 상기 본체의 소정지점에서 상기 본체의 상기 헤드 이전까지를 제2 영역으로 정의할 때,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본체의 직경이 일정하고,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본체의 직경은 상기 헤드 방향으로 갈수록 증가한다.In addition, in the bone screw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region is defined from one end of the main body to a predetermined point of the main body, and a second area is defined from a predetermined point of the main body to before the head of the main body. When defined as an area, the diameter of the main body is constant in the first area, and the diameter of the main body increases in the direction of the head in the second area.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 나사에 있어서, 상기 탭핑부는,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부가 제거되어 형성된 제2 탭핑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in the bone scr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apping portion includes a second tapping portion formed by removing a helical portion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in the second reg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 나사에 있어서, 상기 제2 탭핑부는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제3 면과 상기 제3 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제4 면을 포함한다.In addition, in the bone scr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tapping portion includes a third surface formed perpendicular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a fourth surface formed perpendicular to the third surfa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 나사에 있어서, 상기 제2 탭핑부는 상기 본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소정각도마다 형성된다.In addition, in the bone scr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tapping portion is formed at each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main bod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 나사에 있어서, 상기 제2 탭핑부는 상기 제2 영역 중 상기 소정지점에서 상기 헤드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지점까지 형성된다.In addition, in the bone scr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tapping portion is formed from the predetermined point of the second area to a point spaced apart from the hea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 나사에 있어서, 상기 제4 면은, 상기 본체의 중심축과 소정각도를 이루도록 연장된 제4-1 면, 상기 본체의 일단 방향 쪽의 상기 제4-1 면의 일단으로부터 본체의 중심축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제4-2 면, 및 상기 제4-1 면의 타단으로부터 본체의 중심축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제4-3 면을 포함한다.In addition, in the bone scr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urth surface is a surface 4-1 extending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with a central axis of the main body, and the 4-1 side toward one end direction of the main body. A 4-2 surface inclined away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main body from one end of the surface, and a 4-3 surface inclined away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main body from the other end of the 4-1 surfa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 나사에 있어서, 상기 나선부는 피치가 일정하다.In addition, in the bone screw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iral portion has a constant pitch.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 나사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단 이후부터 상기 본체의 제1 소정지점까지를 제1 영역으로 정의하고, 상기 본체의 제1 소정지점에서 상기 본체의 상기 제2 소정지점까지를 제2 영역으로 정의하며, 상기 본체의 제2 소정지점에서 상기 본체의 상기 헤드 이전까지를 제3 영역으로 정의할 때,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본체의 직경은 일정하고, 상기 제3 영역에서 상기 본체의 직경은 상기 헤드 방향으로 갈수록 증가하며, 상기 나선부는 상기 제2 영역을 제외하고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3 영역에 형성된다.In addition, in the bone scr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region is defined from one end of the main body to a first predetermined point of the main body, and the second area of the main body is at a first predetermined point of the main body. When defining as a second area up to a predetermined point and as a third area from the second predetermined point of the main body to before the head of the main body, the diameter of the main body in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is In the third area, the diameter of the main body increases toward the head, and the spiral portion is formed in the first area and the third area except for the second area.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 나사에 있어서, 상기 탭핑부는, 상기 제3 영역에서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부가 제거되어 형성된 제3 탭핑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in the bone scr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apping part includes a third tapping part formed by removing a helical 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in the third area.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 나사에 있어서, 상기 제3 탭핑부는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제5 면과 상기 제5 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제6 면을 포함한다.In addition, in the bone scr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tapping portion includes a fifth surface formed perpendicular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a sixth surface formed perpendicular to the fifth surfa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 나사에 있어서, 상기 제3 탭핑부는 상기 본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소정각도마다 형성된다.In addition, in the bone screw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tapping portion is formed at each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main bod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 나사에 있어서, 상기 제3 탭핑부는 상기 제3 영역 중 상기 제2 소정지점에서 상기 헤드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지점까지 형성된다.In addition, in the bone scr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tapping portion is formed from the second predetermined point of the third area to a point spaced apart from the head by a predetermined interval.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 나사에 있어서, 상기 제6 면은, 상기 본체의 중심축과 소정각도를 이루도록 연장된 제6-1 면, 상기 본체의 일단 방향 쪽의 상기 제6-1 면의 일단으로부터 본체의 중심축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제6-2 면, 및 상기 제6-1 면의 타단으로부터 본체의 중심축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제6-3 면을 포함한다.In addition, in the bone screw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xth surface is a 6-1 surface extending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central axis of the main body, and the 6-1 side toward one end direction of the main body. And a 6-2 surface inclined away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main body from one end of the surface, and a 6-3 surface inclin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main body from the other end of the 6-1 surfa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 나사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에 형성된 상기 나선부의 피치는 상기 제3 영역에 형성된 나선부의 피치에 비해서 크다.In addition, in the bone scr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tch of the spiral portion formed in the first area is larger than the pitch of the spiral portion formed in the third area.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 나사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관통홀이 형성된다.In addition, in the bone scr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hrough hole penetrat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in the main bod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 나사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에는 와이어가 삽입된다.In addition, in the bone screw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ire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 conventional and dictionary meaning, and the inventor can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describe his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re is.

본 발명에 따르면, 나선부를 제거한 탭핑부를 구비함으로써 스스로 뼈를 확공하거나 뚫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of self-reinforcing or piercing bones by providing a tapping portion with a spiral portion remov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헤드 방향으로 갈수록 본체의 직경이 증가하는 영역을 구비함으로써, 골 나사와 뼈 사이의 결합력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region in which the diameter of the body increases toward the head, there is an effect of enhancing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bone screw and the bon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피치가 상이한 나선부를 구비하여 골절부위를 압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press the fracture site by providing a helical portion having a different pitch.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골 나사의 사시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골 나사의 측면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골 나사의 사시도,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골 나사의 측면도,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골 나사를 사용하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 및
도 11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골 나사를 사용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1 to 2 are perspective views of a bone screw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4 are side views of the bone screw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6 are perspective views of a bone screw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to 8 are side views of a bone screw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to 10 are side views showing a process of using a bone screw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11 to 17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process of using a bone scr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preferred embodiments associated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elements of each drawing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should be noted that,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only the same elements are to have the same number as possible. In addi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s. Hereinaft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골 나사의 사시도이고,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골 나사의 측면도이다.1 to 2 are perspective views of a bone screw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3 to 4 are side views of a bone screw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골 나사(100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일단부터 뼈에 삽입되고 타단에 헤드(130)가 구비된 본체(100), 본체(100)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되어 돌출된 나선부(200), 및 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부(200)가 제거되어 형성된 탭핑부(300)를 포함한다.1 to 4, the bone screw 10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inserted into the bone from one end, and the main body 100 provided with a head 130 at the other end , A helical part 200 extending in a spiral shape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and protruding, and a tapping part 300 formed by removing the helical part 20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0.

상기 본체(100)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나선부(200)가 형성된다. 여기서, 본체(100)는 일단이 뼈에 삽입되고 타단에 헤드(130)가 구비된다. 이때, 본체(100)의 일단에는 둥근 구조의 말단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본체(100)의 일단에 말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둥근 구조의 말단부(140)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말단부(140)에 의해서 더욱 효과적으로 뼈를 확공하거나 뚫을 수 있다. 게다가, 말단부(140)는 둥글기 때문에 진입 각도에 관계 없이 주변 연부조직에 기계적인 자극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체(100)의 타단에 구비된 헤드(130)에는 골 나사(100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구가 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홀(120, 도 1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체결홀(120)에는 일정한 각도마다 중심방향으로 돌출된 돌기가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돌기에 기구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00)에는 중심축(C)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관통홀(1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관통홀(110)은 체결홀(120)과 연통될 수 있고, 관통홀(110)에는 골 나사(1000)를 가이드하는 와이어(800, 도 14 내지 도 15 참조)가 삽입될 수 있다. 한편, 본체(100)는 일정 영역에서 직경이 변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일단(말단부(140)) 이후부터 본체(100)의 소정지점까지를 제1 영역(A1)으로 정의하고, 본체(100)의 소정지점에서 본체(100)의 헤드(130) 이전까지를 제2 영역(A2)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제1 영역(A1)에서 본체(100)의 직경은 일정하고, 제2 영역(A2)에서 본체(100)의 직경은 헤드(130) 방향으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영역(A2)에서 본체(100)의 직경이 헤드(130) 방향으로 갈수록 증가하면, 골 나사(1000)와 뼈 사이의 결합력을 강화할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The body 100 is generally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 spiral portion 200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Here, the main body 100 has one end inserted into the bone and the head 130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At this time, a round end portion 140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100. That is, a distal end 140 of a round structure having a diameter decreasing toward the distal end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100. By this distal portion 140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reinforce or pierce the bone. In addition, since the distal portion 140 is round, mechanical stimulation may not occur in the surrounding soft tissue regardless of the angle of entry. In addition, a fastening hole 120 (refer to FIG. 1) may be formed in the head 130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100 so that a mechanism for transmitting rotational force to the bone screw 1000 may be coupled. In this case, a protrusion protruding in the center direction may be formed in the fastening hole 120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a mechanism may be coupled to the protrusion. In addition, the body 100 may be formed with a through hole 110 penetra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central axis (C). In this case, the through hole 110 may communicate with the fastening hole 120, and a wire 800 (see FIGS. 14 to 15) for guiding the bone screw 1000 may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10. On the other hand, the main body 100 may change in diameter in a certain area.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3A, from one end (end 140) of the main body 100 to a predetermined point of the main body 100 is defined as the first area A1, and From the point to the head 130 of the main body 100 may be defined as the second area A2. In this case, the diameter of the main body 100 in the first area A1 is constant, and the diameter of the main body 100 in the second area A2 may increase toward the head 130. In this way, when the diameter of the main body 100 increases toward the head 130 in the second area A2,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bone screw 1000 and the bone can be strengthened. .

상기 나선부(200)는 본체(100)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되어 돌출된 것으로, 실질적으로 골 나사(1000)와 뼈 사이의 결합력을 구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나선부(200)는 본체(100)의 일단(말단부(140))부터 본체(100)의 헤드(130) 이전까지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나선부(200)는 전체적으로 피치(P, pitch)가 일정할 수 있다. 다만, 나선부(200)의 피치는 반드시 일정해야 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영역 별로 상이할 수도 있다.The spiral portion 200 is a spirally extending and protruding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and serves to substantially implement a bonding force between the bone screw 1000 and the bone. Here, the spiral portion 200 may extend from one end (end 140) of the main body 100 to before the head 130 of the main body 100. In addition, the spiral portion 200 may have a uniform pitch (P, pitch) as a whole. However, the pitch of the spiral portion 200 is not necessarily constant, and may be different for each area as necessary.

상기 탭핑부(300, 도 1 내지 도 2 참조)는 나선부(200)가 일부 제거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실질적으로 뼈를 확공하거나 뚫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탭핑부(300)는 제1 탭핑부(310)와 제2 탭핑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탭핑부(310)는 본체(100)의 일단(말단부(140))으로부터 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부(200)가 제거되어 형성된 것으로, 본체(100)의 일단(말단부(140))으로부터 일정길이까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탭핑부(310)는 본체(100)의 중심축(C)을 기준으로 소정각도마다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탭핑부(310)는 본체(100)의 중심축(C)을 기준으로 120도 마다 3개가 형성될 수 있다(도 2 참조). 다만, 제1 탭핑부(310)가 반드시 3개가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2개 내지 5개 등 필요에 따라 제1 탭핑부(310)의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The tapping part 300 (refer to FIGS. 1 to 2) is formed in a form in which the spiral part 200 is partially removed, and serves to substantially expand or pierce a bone. Here, the tapping part 300 may include a first tapping part 310 and a second tapping part 320. At this time, the first tapping portion 310 is formed by removing the spiral portion 20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0 from one end (end 140) of the main body 100, one end ( It may be formed to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end portion 140. In addition, the first tapping portion 310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C of the main body 100. For example, three first tapping portions 310 may be formed every 120 degrees based on the central axis C of the body 100 (see FIG. 2 ). However, three first tapping portions 310 are not necessarily formed, and the number of first tapping portions 310 may be changed as necessary, such as two to five.

구체적으로 제1 탭핑부(310)를 살펴보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탭핑부(310)는 본체(100)의 외주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제1 면(313)과 제1 면(313)에 수직으로 형성된 제2 면(31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면(313)은 외주면과 수직으로(즉, 본체(100)의 중심축(C)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되므로, 실질적으로 제1 면(313)은 본체(100)의 회전방향에 수직이다. 따라서, 본체(100)를 회전시켜 골 나사(1000)를 뼈에 결합시킬 때, 제1 면(313)은 뼈를 깎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면(313)과 수직으로 형성된 제2 면(315)을 통해서 제1 면(313으로 깎인 뼈의 부스러기가 배출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2 면(315)은 제2-1 면(315a), 제2-2 면(315b), 및 제2-3 면(315c)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1 면(315a)은 본체(100)의 중심축(C)과 제1 각도를 이루도록 연장된다. 예를 들어, 제2-1 면(315a)은 본체(100)의 일단으로 갈수록 본체(100)의 중심축(C)과 가까워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제1 각도는 0도 내지 10도 사이인 상대적으로 작은 값으로, 제2-1 면(315a)의 경사도는 낮을 수 있다. 또한, 제2-2 면(315b)은 본체(100)의 일단 방향 쪽의 제2-1 면(315a)의 일단(말단부(140) 방향쪽 말단)으로부터 본체(100)의 중심축(C)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본체(100)의 중심축(C)과 제1 각도보다 큰 각도로 경사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각도는 제1 각도보다 큰 30 내지 60도 사이인 상대적으로 큰 값으로, 제2-2 면(315b)의 경사도는 높을 수 있다. 또한, 제2-3 면(315c)은 제2-1 면(315a)의 타단(헤드(130) 방향 쪽 말단)으로부터 본체(100)의 중심축(C)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이때, 제2-3 면(315c)이 부드러운 곡면으로 형성되어, 제2-3 면(315c)을 통해서 제1 면(313으로 깍인 뼈의 부스러기가 쉽게 배출될 수 있다.Specifically, looking at the first tapping part 310, as shown in FIG. 3A, the first tapping part 310 has a first surface 313 and a first surface 313 formed perpendicular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 May include a second surface 315 formed perpendicular to it. Here, since the first surface 313 is formed perpendicular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at i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entral axis C of the main body 100), the first surface 313 is substantially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0 Is perpendicular to Accordingly, when the body 100 is rotated to couple the bone screw 1000 to the bone, the first surface 313 may serve to sharpen the bone. In addition, debris of the bone cut into the first surface 313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surface 315 formed perpendicular to the first surface 313.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surface 315 is the second-second surface 315. The first surface 315a, the 2nd-2nd surface 315b, and the 2-3rd surface 315c may be included. Here, the 2-1st surface 315a is the central axis C of the main body 100. ) And a first angle, For example, the 2-1 surface 315a may extend to become closer to the central axis C of the main body 100 as it goes toward one end of the main body 100. In this case, , The first angle is a relatively small value between 0 degrees and 10 degrees, and the inclination of the 2-1 surface 315a may be low. In addition, the 2-2 surface 315b has one end of the main body 100. It extends in a direction closer to the central axis (C) of the main body 100 from one end (end in the direction toward the end 140) of the 2-1 side 315a on the direction side, and the central axis (C) of the main body 100 ) And may be inclined at an angle greater than the first angle. For example, the second angle is a relatively large value between 30 and 60 degrees greater than the first angle, and the inclination of the 2-2 plane 315b is In addition, the 2-3rd surface 315c is inclin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entral axis C of the main body 100 from the other end of the 2-1 surface 315a (the end toward the head 130). At this time, the 2-3rd surface 315c is formed in a smooth curved surface, so that the bone debris cut into the first surface 313 can be easily discharged through the 2-3rd surface 315c.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일단에 형성된 말단부(140)가 더욱 효과적으로 뼈를 확공하거나 뚫을수 있도록, 제1 탭핑부(310)의 제1 면(313)과 제2 면(315)으로 첨예한 말단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단부(140)에는 나선부(200)가 제거되어 제1 탭핑부(31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체(100)의 중심축(C)을 기준으로 소정각도마다 형성된 제1 탭핑부(310) 중 인접한 2개의 제1 탭핑부(310)를 제1-1 탭핑부(310a)와 제1-2 탭핑부(310b)로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제1-1 탭핑부(310a)의 제1 면(313)과 제1-2 탭핑부(310b)의 제2 면(315)은 말단부(140)의 말단에서 만나도록, 제2 면(315)의 말단(제2-2 면(315b))은 본체(100)의 중심축(C)에 대해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즉, 제1-1 탭핑부(310a)의 제1 면(313)과 제1-2 탭핑부(310b)의 제2 면(315)이 만나면서, 말단부(140)의 말단에 날카로운 부분이 형성될 수 있고, 이 부분을 통해서 뼈를 효과적으로 확공하거나 뚫을 수 있는 것이다. 게다가, 본체(100)의 중심축(C)을 따라 관통홀(110)이 형성되므로, 전체적으로 제1-1 탭핑부(310a)의 제1 면(313), 제1-2 탭핑부(310b)의 제2 면(315), 및 관통홀(110)에 의해서 말단부(140)의 말단에 더욱 날카로운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B, the first side 313 and the second side of the first tapping part 310 are made so that the distal part 140 form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100 can more effectively expand or pierce the bone. It is possible to form a sharp end with the surface 315. Specifically, the first tapping portion 310 may be formed by removing the spiral portion 200 from the distal portion 140. Here, two adjacent first tapping portions 310 of the first tapping portions 310 formed at predetermined angle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C of the main body 100 are connected to the first-first tapping portion 310a and the first tapping portion 310a. It can be defined as -2 tapping part 310b. At this time, the first surface 313 of the 1-1 tapping part 310a and the second surface 315 of the 1-2nd tapping part 310b meet at the end of the distal end 140, so that the second surface ( The end of the 315 (2-2 surface 315b) may extend obliquely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C of the main body 100. That is, while the first surface 313 of the 1-1 tapping part 310a and the second surface 315 of the 1-2 tapping part 310b meet, a sharp part is formed at the end of the distal part 140. It is possible, and through this part, the bone can be effectively expanded or pierced. In addition, since the through hole 110 is formed along the central axis C of the main body 100, as a whole, the first surface 313 of the 1-1 tapping part 310a, the 1-2 tapping part 310b A sharper portion may be formed at the distal end of the distal end 140 by the second surface 315 of the and the through hole 110.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100)는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이때, 제1 영역(A1)에서 본체(100)의 직경은 일정하고, 제2 영역(A2)에서 본체(100)의 직경은 헤드(130) 방향으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영역(A2)에서 본체(100)의 직경이 증가하므로, 골 나사(1000)가 뼈에 삽입될수록 제2 영역(A2)에서의 나선부(200)가 뼈에 강하게 결합되어, 골 나사(1000)와 뼈 사이의 결합력을 강화할 수 있다. 본체(100)의 직경이 증가하는 제2 영역(A2)이 뼈에 효과적으로 삽입되기 위해서, 제2 영역(A2)에는 뼈를 2차로 확공할 수 있는 제2 탭핑부(32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탭핑부(320)는 제2 영역(A2) 중 소정지점으로부터 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부(200)가 제거되어 형성된 것으로, 소정지점에서 헤드(130)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지점까지 형성될 수 있다. 헤드(130)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지점까지만 형성되는 것은 이유는 헤드(130)로부터 일정간격까지 골절부위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400)가 구비되기 때문이다. 한편, 제2 탭핑부(320)는 본체(100)의 중심축(C)을 기준으로 소정각도마다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탭핑부(320)는 본체(100)의 중심축(C)을 기준으로 120도 마다 3개가 형성될 수 있다(도 1 내지 도 2 참조). 다만, 제2 탭핑부(320)는 반드시 3개가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2개 내지 5개 등 필요에 따라 제2 탭핑부(320)의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main body 100 may be divided into a first area A1 and a second area A2. In this case, the diameter of the main body 100 in the first area A1 is constant, and the diameter of the main body 100 in the second area A2 may increase toward the head 130. In this way, since the diameter of the main body 100 increases in the second region A2, the more the bone screw 1000 is inserted into the bone, the stronger the helical portion 200 in the second region A2 is coupled to the bone, It is possible to strengthen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bone screw 1000 and the bone. In order to effectively insert the second area A2 of which the diameter of the body 100 increases into the bone, the second area A2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tapping part 320 capable of secondarily expanding the bone. . Here, the second tapping portion 320 is formed by removing the spiral portion 200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0 from a predetermined point in the second area A2, an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head 130 at a predetermined point. It can be formed up to a spaced apart point. The reason that it is formed only up to a point spaced apart from the head 13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s that a fixing plate 400 is provided that is fixed to the fracture site from the head 130 to a predetermined interval. Meanwhile, the second tapping portions 320 may be formed at predetermined angles based on the central axis C of the main body 100. For example, three second tapping portions 320 may be formed every 120 degrees based on the central axis C of the main body 100 (see FIGS. 1 to 2 ). However, three second tapping portions 320 are not necessarily formed, and the number of second tapping portions 320 may be changed as necessary, such as two to five.

구체적으로 제2 탭핑부(320)를 살펴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탭핑부(320)는 본체(100)의 외주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제3 면(323)과 제3 면(323)에 수직으로 형성된 제4 면(32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면(323)은 외주면과 수직으로(즉, 본체(100)의 중심축(C)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되므로, 실질적으로 제3 면(323)은 본체(100)의 회전방향에 수직이다. 따라서, 본체(100)를 회전시켜 골 나사(1000)를 뼈에 결합시킬 때, 제3 면(323)은 뼈를 깎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3 면(323)과 수직으로 형성된 제4 면(325)을 통해서 제3 면(323)으로 깎인 뼈의 부스러기가 배출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4 면(325)은 제4-1 면(325a), 제4-2 면(325b), 및 제4-3 면(325c)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4-1 면(325a)은 본체(100)의 중심축(C)과 소정각도를 이루도록 연장된다. 예를 들어, 제4-1 면(325a)은 본체(100)의 헤드(130) 방향으로 갈수록 본체(100)의 중심축(C)과 멀어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제4-1 면(325a)의 소정각도는 0도 내지 20도 사이인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4-2 면(325b)은 본체(100)의 일단 방향 쪽의 제4-1 면(325a)의 일단(말단부(140) 방향쪽 말단)으로부터 본체(100)의 중심축(C)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그리고, 제4-3 면(325c)은 제4-1 면(325a)의 타단(헤드(130) 방향 쪽 말단)으로부터 본체(100)의 중심축(C)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이때, 제4-2 면(325b)과 제4-3 면(325c)이 부드러운 곡면으로 형성되어, 제3 면(323)으로 깍인 뼈의 부스러기는 제4-2 면(325b), 제4-1 면(325a), 및 제4-3 면(325c) 순으로 배출될 수 있다.Specifically, looking at the second tapping part 320, as shown in FIG. 4, the second tapping part 320 has a third surface 323 and a third surface 323 formed perpendicular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 May include a fourth surface 325 formed perpendicular to. Here, since the third surface 323 is formed perpendicular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at i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entral axis C of the main body 100), substantially the third surface 323 is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0 Is perpendicular to Accordingly, when the body 100 is rotated to couple the bone screw 1000 to the bone, the third surface 323 may serve to sharpen the bone. In addition, bone debris cut into the third surface 323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fourth surface 325 formed perpendicular to the third surface 323. More specifically, the fourth surface 325 may include a 4-1 surface 325a, a 4-2 surface 325b, and a 4-3 surface 325c. Here, the 4-1 surface 325a extends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central axis C of the main body 100. For example, the 4-1th surface 325a may extend away from the central axis C of the main body 100 toward the head 130 of the main body 100. In this case, the predetermined angle of the 4-1th surface 325a may have a value between 0 degrees and 20 degrees. In addition, the 4-2 surface 325b is the central axis (C) of the main body 100 from one end (the end toward the end 140) of the 4-1 surface 325a on the one end direction side of the main body 100 It can be inclin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urther, the 4-3 surface 325c may be inclin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entral axis C of the main body 100 from the other end of the 4-1 surface 325a (the end toward the head 130). At this time, the 4-2 surface 325b and the 4-3 surface 325c are formed in a smooth curved surface, and the bone debris cut with the third surface 323 is the 4-2 surface 325b and the 4-th surface It may be discharged in the order of the first side (325a), and the 4-3 side (325c).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골 나사의 사시도이고,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골 나사의 측면도이다.5 to 6 are perspective views of a bone screw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7 to 8 are side views of a bone screw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골 나사(2000)는 본체(100), 나선부(200), 및 탭핑부(30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제1 실시예에 따른 골 나사(1000)와 유사한 부분이 존재하고, 상이한 부분(나선부(200)의 형태 등)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골 나사(200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골 나사(1000)와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하고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5 to 8, the bone screw 20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00, a spiral portion 200, and a tapping portion 300, the first A portion similar to the bone screw 10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exists, and a different portion (such as the shape of the spiral portion 200) exists. Therefore, in the bone screw 20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ortions overlapping with the bone screw 10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re omitted, and different portions will be described as the center.

본 실시예에 따른 골 나사(2000)의 본체(100)는 일정 영역에서 직경이 변화할 수 있고, 일정 영역에 나사부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일단(말단부(140)) 이후부터 본체(100)의 제1 소정지점까지를 제1 영역(A1)으로 정의하고, 본체(100)의 제1 소정지점에서 본체(100)의 제2 소정지점까지를 제2 영역(A2)으로 정의하며, 본체(100)의 제2 소정지점에서 본체(100)의 헤드(130) 이전까지를 제3 영역(A3)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에서 본체(100)의 직경은 일정하고, 제3 영역(A3)에서 본체(100)의 직경을 헤드(130) 방향으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 영역(A3)에서 본체(100)의 직경이 헤드(130) 방향으로 갈수록 증가하면, 골 나사(2000)와 뼈 사이의 결합력을 강화할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나선부(200)는 제2 영역(A2)을 제외하고 제1 영역(A1)과 제3 영역(A3)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나선부(200)는 제2 영역(A2)에 형성되지 않고, 제1 영역(A1)과 제3 영역(A3)에만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제1 영역(A1)에 형성된 나선부(200)의 피치(P1)는 제3 영역(A3)에 형성된 나선부(200)의 피치(P2)에 비해서 클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영역(A1)에서의 나선부(200)의 피치(P1)가 제3 영역(A3)에서의 나선부(200)의 피치(P2)에 비해서 크면, 골절부위를 압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뼈가 골절되어 제1 부분(F1)과 제2 부분(F2)으로 분리되었을 때, 제1 부분(F1)에 제1 영역(A1)에서의 나선부(200)를 삽입시키고, 제2 부분(F2)에 제3 영역(A3)에서의 나선부(200)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골 나사(2000)를 회전시키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피치(P1)가 큰 제1 영역(A1)에서의 나선부(200)에 의해서 제1 부분(F1)을 제2 부분(F2) 방향으로 압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골 나사(2000)는 뼈가 골절되어 두 부분으로 분리되었을 때 치료 효과가 크다.The main body 100 of the bone screw 2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have a variable diameter in a certain area, and a threaded part may not be formed in a certain area.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7, from one end (end 140) of the main body 100 to a first predetermined point of the main body 100 is defined as a first area A1, and the main body 100 The second area A2 is defined as the second area A2 from the first predetermined point of the main body 100 to the second predetermined point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distance from the second predetermined point of the main body 100 to the head 130 of the main body 100 is delimited. It can be defined as three areas (A3). At this time, the diameter of the main body 100 in the first area A1 and the second area A2 is constant, and the diameter of the main body 100 in the third area A3 may increase toward the head 130. have. In this way, when the diameter of the main body 100 increases toward the head 130 in the third area A3,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bone screw 2000 and the bone can be strengthened,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 Also, the spiral portion 200 may be formed in the first area A1 and the third area A3 except for the second area A2. That is, the spiral portion 200 is not formed in the second region A2, but may be formed only in the first region A1 and the third region A3. In this case, the pitch P1 of the spiral portion 200 formed in the first area A1 may be larger than the pitch P2 of the spiral portion 200 formed in the third area A3. As described above, if the pitch P1 of the spiral portion 200 in the first area A1 is larger than the pitch P2 of the spiral portion 200 in the third area A3, the fracture site can be pressed. hav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9, when the bone is fractured and separated into a first portion F1 and a second portion F2, the spiral portion in the first region A1 in the first portion F1 When 200 is inserted and the helical part 200 in the third area A3 is inserted in the second part F2, when the bone screw 2000 is rotated, as shown in FIG. 10, The first portion F1 may be pr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portion F2 by the spiral portion 200 in the first region A1 having a relatively large pitch P1. Therefore, the bone screw 2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large therapeutic effect when the bone is fractured and separated into two parts.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탭핑부(300)는 제1 탭핑부(310)와 제3 탭핑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탭핑부(310)는 실질적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골 나사(1000)와 동일하다. 즉, 제1 탭핑부(310)는 본체(100)의 일단(말단부(140))으로부터 일정길이까지 형성되어, 실질적으로 뼈를 확공하거나 뚫는 역할을 수행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7, the tapping part 300 may include a first tapping part 310 and a third tapping part 330. At this time, the first tapping portion 310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bone screw 10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first tapping portion 310 is formed to a predetermined length from one end (the end portion 140) of the main body 100, and serves to substantially expand or pierce a bone.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100)는 제1 영역(A1), 제2 영역(A2), 및 제3 영역(A3)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이때,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에서 본체(100)의 직경은 일정하고, 제3 영역(A3)에서 본체(100)의 직경은 헤드(130) 방향으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 영역(A3)에서 본체(100)의 직경이 증가하므로, 골 나사(2000)가 뼈에 삽입될수록 제3 영역(A3)에서의 나사부가 뼈에 강하게 결합되어, 골 나사(2000)와 뼈 사이의 결합력을 강화할 수 있다. 본체(100)의 직경이 증가하는 제3 영역(A3)이 뼈에 효과적으로 삽입되기 위해서, 제3 영역(A3)에는 뼈를 2차로 확공할 수 있는 제3 탭핑부(33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탭핑부(330)는 제3 영역(A3) 중 제2 소정지점부터 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부(200)가 제거되어 형성된 것으로, 제2 소정지점에서 헤드(130)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지점까지 형성될 수 있다. 헤드(130)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지점까지만 형성되는 것은 이유는 헤드(130)로부터 일정간격까지 골절부위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400)가 구비되기 때문이다. 한편, 제3 탭핑부(330)는 본체(100)의 중심축(C)을 기준으로 소정각도마다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탭핑부(330)는 본체(100)의 중심축(C)을 기준으로 120도 마다 3개가 형성될 수 있다(도 5 내지 도 6 참조). 다만, 제3 탭핑부(330)는 반드시 3개가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2개 내지 5개 등 필요에 따라 제3 탭핑부(330)의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main body 100 may be divided into a first area A1, a second area A2, and a third area A3. In this case, the diameter of the main body 100 in the first area A1 and the second area A2 is constant, and the diameter of the main body 100 in the third area A3 may increase toward the head 130. have. In this way, since the diameter of the main body 100 increases in the third area A3, the more the bone screw 2000 is inserted into the bone, the stronger the screw portion in the third area A3 is coupled to the bone, and thus the bone screw 2000 ) And the bond between the bones can be strengthened. In order to effectively insert the third area A3 with an increasing diameter of the body 100 into the bone, the third area A3 may be provided with a third tapping part 330 capable of secondarily expanding the bone. . Here, the third tapping portion 330 is formed by removing the spiral portion 200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0 from a second predetermined point in the third area A3, and the head 130 at the second predetermined point. ) Can be formed to a point separated by a certain interval. The reason that it is formed only up to a point spaced apart from the head 13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s that a fixing plate 400 is provided that is fixed to the fracture site from the head 130 to a predetermined interval. Meanwhile, the third tapping portion 330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C of the main body 100. For example, three third tapping portions 330 may be formed every 120 degrees based on the central axis C of the main body 100 (see FIGS. 5 to 6 ). However, three third tapping portions 330 are not necessarily formed, and the number of third tapping portions 330 may be changed as necessary, such as two to five.

구체적으로 제3 탭핑부(330)를 살펴보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탭핑부(330)는 본체(100)의 외주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제5 면(333)과 제5 면(333)에 수직으로 형성된 제6 면(33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5 면(333)은 외주면과 수직으로(즉, 본체(100)의 중심축(C)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되므로, 실질적으로 제5 면(333)은 본체(100)의 회전방향에 수직이다. 따라서, 본체(100)를 회전시켜 골 나사(2000)를 뼈에 결합시킬 때, 제5 면(333)은 뼈를 깎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5 면(333)과 수직으로 형성된 제6 면(335)을 통해서 제5 면(333)으로 깎인 뼈의 부스러기가 배출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6 면(335)은 제6-1 면(335a), 제6-2 면(335b), 및 제6-3 면(335c)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6-1 면(335a)은 본체(100)의 중심축(C)과 소정각도를 이루도록 연장된다. 예를 들어, 제6-1 면(335a)은 본체(100)의 헤드(130) 방향으로 갈수록 본체(100)의 중심축(C)과 멀어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제6-1 면(335a)의 소정각도는 0도 내지 20도 사이인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6-2 면(335b)은 본체(100)의 일단 방향 쪽의 제6-1 면(335a)의 일단(말단부(140) 방향쪽 말단)으로부터 본체(100)의 중심축(C)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그리고, 제6-3 면(335c)은 제6-1 면(335a)의 타단(헤드(130) 방향 쪽 말단)으로부터 본체(100)의 중심축(C)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이때, 제6-2 면(335b)과 제6-3 면(335c)이 부드러운 곡면으로 형성되어, 제5 면(333)으로 깍인 뼈의 부스러기는 제6-2 면(335b), 제6-1 면(335a), 및 제6-3 면(335c) 순으로 배출될 수 있다.Specifically, looking at the third tapping part 330, as shown in FIG. 8, the third tapping part 330 has a fifth surface 333 and a fifth surface 333 formed perpendicular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 May include a sixth surface 335 formed perpendicular to. Here, since the fifth surface 333 is formed perpendicular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at i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entral axis C of the main body 100), substantially the fifth surface 333 is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0 Is perpendicular to Accordingly, when the body 100 is rotated to couple the bone screw 2000 to the bone, the fifth surface 333 may serve to sharpen the bone. In addition, bone debris cut into the fifth surface 333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sixth surface 335 formed perpendicular to the fifth surface 333. More specifically, the sixth surface 335 may include a 6-1 surface 335a, a 6-2 surface 335b, and a 6-3 surface 335c. Here, the 6-1th surface 335a extends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central axis C of the main body 100. For example, the 6-1th surface 335a may extend away from the central axis C of the main body 100 toward the head 130 of the main body 100. In this case, the predetermined angle of the 6-1th surface 335a may have a value between 0 degrees and 20 degrees. In addition, the 6-2th surface 335b is the central axis (C) of the main body 100 from one end (the end toward the end 140) of the 6-1 surface 335a toward the one end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0 It can be inclin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urther, the 6-3th surface 335c may be inclin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entral axis C of the main body 100 from the other end of the 6-1th surface 335a (the end toward the head 130). At this time, the 6-2 surface 335b and the 6-3 surface 335c are formed in a smooth curved surface, and the bone debris cut with the fifth surface 333 is the 6-2th surface 335b and the 6th surface. It may be discharged in the order of the first side (335a), and the 6-3th side (335c).

도 11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골 나사를 사용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1 to 17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process of using a bone scr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절부위에 고정플레이트(400)와 가이드(500)를 배치한다. 이때, 고정플레이트(400)와 가이드(500)에는 골 나사(1000, 2000)가 삽입될 체결공(600)이 형성된다.First, as shown in FIG. 11, the fixing plate 400 and the guide 500 are disposed on the fracture site. At this time, the fixing plate 400 and the guide 500 are formed with fastening holes 600 into which the bone screws 1000 and 2000 are to be inserted.

다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플레이트(400)와 가이드(500)의 체결공(600)에 관통공이 형성된 슬리브(700)를 배치한 후,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700)의 관통공에 와이어(800, 금속 강선)를 삽입시킨다. 이후, 와이어(800)를 이용하여 뼈를 관통시킨다. 또한, 삽입된 와이어(800)의 길이를 통해서 삽입할 적절한 골 나사(1000, 2000)의 길이를 확인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 12, after disposing the sleeve 700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fastening hole 600 of the fixing plate 400 and the guide 500, as shown in FIG. 13, the sleeve 700 Insert a wire (800, metal steel wire) into the through hole of ). Thereafter, a wire 800 is used to penetrate the bon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heck the length of the appropriate bone screws 1000 and 2000 to be inserted through the length of the inserted wire 800.

다음, 도 14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 나사(1000, 2000)의 관통홀(110)에 와이어(800)를 삽입한 상태로 골 나사(1000, 2000)를 회전시켜 뼈에 결합시킨다. 이때, 골 나사(1000, 2000)는 와이어(800)에 의해서 가이드되며 뼈를 확공하면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골 나사(1000, 2000)의 헤드 부분이 고정플레이트(400)에 걸림으로써, 고정플레이트(400)를 골절부위에 고정할 수 있다. 이후,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800)를 제거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S. 14 to 15, the bone screws 1000 and 2000 are rotated while the wire 80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10 of the bone screws 1000 and 2000 to be coupled to the bone. . At this time, the bone screws 1000 and 2000 are guided by the wire 800 and may be inserted while expanding the bone. In addition, since the head portions of the bone screws 1000 and 2000 are caught by the fixing plate 400, the fixing plate 400 can be fixed to the fracture site. Thereafter, as shown in FIG. 16, the wire 800 may be removed.

다음,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종적으로 가이드(500)를 제거하고, 고정플이트(400)만 골절부위에 고정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 17, the guide 500 is finally removed, and only the fixed plate 400 can be fixed to the fracture site.

상술한 과정은 손목 골절부위를 기준으로 기술하였다. 단, 본 발명에 따른 골 나사(1000, 2000)가 손목 골절부위 사용하는 것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계에 공지된 모든 골절부위에 본 발명에 따른 골 나사(1000, 2000)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술한 과정에서 가이드(500)와 와이어(800) 등을 이용하였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above-described process was described based on the wrist fracture site. However, the bone screws 1000 and 2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use of the wrist fracture site, and the bone screws 1000 and 2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for all fracture sites known in the art. Of course. In addition, although the guide 500 and the wire 800 were used in the above-described process, this is exemplary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specific examples, this is for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It is clear that modifications or improvements are possible.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All simple modifications to changes of the present invention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ade clear by the appended claims.

1000, 2000: 골 나사 100: 본체
110: 관통홀 120: 체결홀
130: 헤드 140: 말단부
200: 나선부 300: 탭핑부
310: 제1 탭핑부 310a: 제1-1 탭핑부
310b: 제1-2 탭핑부 313: 제1 면
315: 제2 면 315a: 제2-1 면
315b: 제2-2 면 315c: 제2-3 면
320: 제2 탭핑부 323: 제3 면
325: 제4 면 325a: 제4-1 면
325b: 제4-2 면 325c: 제4-3 면
330: 제3 탭핑부 333: 제5 면
335: 제6 면 335a: 제6-1 면
335b: 제6-2 면 335c: 제6-3 면
400: 고정플레이트 500: 가이드
600: 체결공 700: 슬리브
800: 와이어 P, P1, P2: 피치
A1: 제1 영역 A2: 제2 영역
A3: 제3 영역 C: 중심축
1000, 2000: bone screw 100: main body
110: through hole 120: fastening hole
130: head 140: distal portion
200: spiral portion 300: tapping portion
310: first tapping portion 310a: 1-1th tapping portion
310b: 1-2 tapping portion 313: first surface
315: page 2 315a: page 2-1
315b: page 2-2 315c: page 2-3
320: second tapping portion 323: third surface
325: page 4 325a: page 4-1
325b: pp. 4-2 325c: pp. 4-3
330: third tapping portion 333: fifth surface
335: page 6 335a: page 6-1
335b: page 6-2 335c: page 6-3
400: fixed plate 500: guide
600: fastening hole 700: sleeve
800: wire P, P1, P2: pitch
A1: first area A2: second area
A3: third area C: central axis

Claims (23)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일단부터 뼈에 삽입되고 타단에 헤드가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되어 돌출된 나선부; 및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나선부가 제거되어 형성된 탭핑부;
를 포함하고,
상기 탭핑부는,
상기 본체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나선부가 제거되어 형성된 제1 탭핑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탭핑부는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제1 면과 상기 제1 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면은,
상기 본체의 중심축과 제1 각도를 이루도록 연장된 제2-1 면;
상기 본체의 일단 방향 쪽의 상기 제2-1 면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중심축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본체의 중심축과 상기 제1 각도보다 큰 제2 각도로 경사진 제2-2 면; 및
상기 제2-1 면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중심축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제2-3 면;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각도는 0도 내지 10도 사이이고, 상기 제2 각도는 30 내지 60도 사이이며,
상기 본체의 일단 이후부터 상기 본체의 소정지점까지를 제1 영역으로 정의하고, 상기 본체의 소정지점에서 상기 본체의 상기 헤드 이전까지를 제2 영역으로 정의할 때,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본체의 직경이 일정하고,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본체의 직경은 상기 헤드 방향으로 갈수록 증가하고,
상기 탭핑부는,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부가 제거되어 형성된 제2 탭핑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탭핑부는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제3 면과 상기 제3 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제4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4 면은,
상기 본체의 중심축과 소정각도를 이루도록 연장된 제4-1 면;
상기 본체의 일단 방향 쪽의 상기 제4-1 면의 일단으로부터 본체의 중심축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제4-2 면; 및
상기 제4-1 면의 타단으로부터 본체의 중심축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제4-3 면;
을 포함하며,
상기 헤드가 고정플레이트에 걸림으로써, 상기 고정플레이트를 골절부위에 고정하는 골 나사.
A body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inserted into the bone from one end and provided with a head at the other end;
A spiral portion extending in a spiral shape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protruding; And
A tapping portion formed by removing the spiral por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Including,
The tapping part,
A first tapping portion formed by removing the spiral portion from one end of the main bod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Including,
The first tapping portion includes a first surface formed perpendicular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a second surface formed perpendicular to the first surface,
The second side,
A second surface extending to form a first angle with the central axis of the main body;
A second 2-extending in a direction closer to the central axis of the main body from one end of the 2-1 surface toward one end direction of the main body and inclined at a second angle greater than the first angle with the central axis of the main body 2 sides; And
A third surface inclin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main body from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rface;
Including,
The first angle is between 0 degrees and 10 degrees, the second angle is between 30 and 60 degrees,
When defining as a first area from one end of the main body to a predetermined point of the main body, and from a predetermined point of the main body to before the head of the main body as a second area,
The diameter of the body is constant in the first region, and the diameter of the body in the second region increases toward the head,
The tapping part,
A second tapping portion formed by removing a helical portion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in the second region;
Including,
The second tapping portion includes a third surface formed perpendicular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a fourth surface formed perpendicular to the third surface,
The fourth side,
A 4-1 surface extending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central axis of the main body;
A 4-2 surface inclin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body from one end of the 4-1 surface toward one end direction of the body; And
A 4-3 surface inclin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main body from the other end of the 4-1 surface;
Including,
Bone screw for fixing the fixing plate to the fracture site by engaging the head with the fixing pla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탭핑부는 상기 본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소정각도마다 형성되는 골 나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tapping part is a bone screw form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main bod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탭핑부는 상기 본체의 일단으로부터 일정길이까지 형성되는 골 나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tapping part is a bone screw formed to a predetermined length from one end of the main body.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단에는 말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말단부에는 상기 나선부가 제거되어 상기 제1 탭핑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소정각도마다 형성된 상기 제1 탭핑부 중 인접한 2개의 상기 제1 탭핑부를 제1-1 탭핑부와 제1-2 탭핑부로 정의할 때,
상기 제1-1 탭핑부의 제1 면과 상기 제1-2 탭핑부의 제2 면이 상기 말단부의 말단에서 만나도록, 상기 제1-2 탭핑부의 제2 면의 말단은 상기 본체의 중심축에 대해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골 나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end portion is form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and the spiral portion is removed at the end portion to form the first tapping portion,
When defining two adjacent first tapping portions among the first tapping portions formed at predetermined angle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main body as a 1-1 tapping portion and a 1-2 tapping portion,
The end of the second surface of the 1-2nd tapping part i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first surface of the 1-1 tapping part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1-2 tapping part meet at the end of the distal end. Bone screws extending obliquely.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탭핑부는 상기 본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소정각도마다 형성되는 골 나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tapping part is a bone screw form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main bod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탭핑부는 상기 제2 영역 중 상기 소정지점에서 상기 헤드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지점까지 형성되는 골 나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tapping portion is formed to a point spaced apart from the head at the predetermined point in the second area.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나선부는 피치가 일정한 골 나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piral portion is a bone screw having a constant pitch.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일단부터 뼈에 삽입되고 타단에 헤드가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되어 돌출된 나선부; 및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나선부가 제거되어 형성된 탭핑부;
를 포함하고,
상기 탭핑부는,
상기 본체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나선부가 제거되어 형성된 제1 탭핑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탭핑부는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제1 면과 상기 제1 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면은,
상기 본체의 중심축과 제1 각도를 이루도록 연장된 제2-1 면;
상기 본체의 일단 방향 쪽의 상기 제2-1 면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중심축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본체의 중심축과 상기 제1 각도보다 큰 제2 각도로 경사진 제2-2 면; 및
상기 제2-1 면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중심축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제2-3 면;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각도는 0도 내지 10도 사이이고, 상기 제2 각도는 30 내지 60도 사이이며,
상기 본체의 일단 이후부터 상기 본체의 제1 소정지점까지를 제1 영역으로 정의하고, 상기 본체의 제1 소정지점에서 상기 본체의 제2 소정지점까지를 제2 영역으로 정의하며, 상기 본체의 제2 소정지점에서 상기 본체의 상기 헤드 이전까지를 제3 영역으로 정의할 때,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본체의 직경은 일정하고, 상기 제3 영역에서 상기 본체의 직경은 상기 헤드 방향으로 갈수록 증가하며,
상기 나선부는 상기 제2 영역을 제외하고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3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탭핑부는,
상기 제3 영역에서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부가 제거되어 형성된 제3 탭핑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3 탭핑부는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제5 면과 상기 제5 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제6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6 면은,
상기 본체의 중심축과 소정각도를 이루도록 연장된 제6-1 면;
상기 본체의 일단 방향 쪽의 상기 제6-1 면의 일단으로부터 본체의 중심축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제6-2 면; 및
상기 제6-1 면의 타단으로부터 본체의 중심축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제6-3 면;
을 포함하며,
상기 헤드가 고정플레이트에 걸림으로써, 상기 고정플레이트를 골절부위에 고정하는 골 나사.
A body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inserted into the bone from one end and provided with a head at the other end;
A spiral portion extending in a spiral shape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protruding; And
A tapping portion formed by removing the spiral por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Including,
The tapping part,
A first tapping portion formed by removing the spiral portion from one end of the main bod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Including,
The first tapping portion includes a first surface formed perpendicular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a second surface formed perpendicular to the first surface,
The second side,
A second surface extending to form a first angle with the central axis of the main body;
A second 2-extending in a direction closer to the central axis of the main body from one end of the 2-1 surface toward one end direction of the main body and inclined at a second angle greater than the first angle with the central axis of the main body 2 sides; And
A third surface inclin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main body from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rface;
Including,
The first angle is between 0 degrees and 10 degrees, the second angle is between 30 and 60 degrees,
A first area is defined from one end of the main body to a first predetermined point of the main body, and a second predetermined point of the main body is defined as a second area, and the first predetermined point of the main body is defined as a second area. 2 When defining as a third area from a predetermined point to before the head of the main body,
The diameter of the body is constant i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and the diameter of the body in the third region increases toward the head,
The spiral portion is formed in the first region and the third region excluding the second region,
The tapping part,
A third tapping portion formed by removing a helical portion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in the third area;
Including,
The third tapping portion includes a fifth surface formed perpendicular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a sixth surface formed perpendicular to the fifth surface,
The sixth side,
A 6-1 surface extending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central axis of the main body;
A 6-2th surface inclin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main body from one end of the 6-1th surface toward one end of the main body; And
A 6-3 surface inclin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main body from the other end of the 6-1 surface;
Including,
Bone screw for fixing the fixing plate to the fracture site by engaging the head with the fixing pla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3 탭핑부는 상기 본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소정각도마다 형성되는 골 나사.
The method of claim 15,
The third tapping part is a bone screw form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main body.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3 탭핑부는 상기 제3 영역 중 상기 제2 소정지점에서 상기 헤드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지점까지 형성되는 골 나사.
The method of claim 15,
The third tapping part is formed from the second predetermined point of the third area to a point spaced apart from the hea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삭제delete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에 형성된 상기 나선부의 피치는 상기 제3 영역에 형성된 나선부의 피치에 비해서 큰 골 나사.
The method of claim 15,
The pitch of the spiral portion formed in the first area is larger than the pitch of the spiral portion formed in the third area.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관통홀이 형성된 골 나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15,
A bone screw having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rough the body in a longitudinal direction.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에는 와이어가 삽입되는 골 나사.
The method of claim 22,
A bone screw into which a wire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KR1020190011358A 2019-01-29 2019-01-29 Bone screw KR1022306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1358A KR102230600B1 (en) 2019-01-29 2019-01-29 Bone screw
PCT/KR2019/003217 WO2020158998A1 (en) 2019-01-29 2019-03-20 Fixing unit for fracture treatment, and traction unit and bone screw for fracture treatment used for fixing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1358A KR102230600B1 (en) 2019-01-29 2019-01-29 Bone screw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3964A KR20200093964A (en) 2020-08-06
KR102230600B1 true KR102230600B1 (en) 2021-03-22

Family

ID=72040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1358A KR102230600B1 (en) 2019-01-29 2019-01-29 Bone screw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060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93799A1 (en) 2001-06-18 2002-12-19 Chappuis James L. Surgical instrumentation and method for forming a passage in bone having an enlarged cross-sectional portion
US20030181912A1 (en) 1997-02-11 2003-09-25 Michelson Gary K. Anterior cervical plating system and bone screw
US20150182271A1 (en) * 2009-02-09 2015-07-02 Stryker European Holdings I, Llc Screw for osteosynthesis and arthrodesis
US20150196336A1 (en) * 2014-01-16 2015-07-16 Amendia, Inc. Orthopedic fasten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4504B1 (en) 2011-08-09 2011-12-19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Bone screw enhanced with beter driver connection and improved for unwind and breakag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81912A1 (en) 1997-02-11 2003-09-25 Michelson Gary K. Anterior cervical plating system and bone screw
US20020193799A1 (en) 2001-06-18 2002-12-19 Chappuis James L. Surgical instrumentation and method for forming a passage in bone having an enlarged cross-sectional portion
US20150182271A1 (en) * 2009-02-09 2015-07-02 Stryker European Holdings I, Llc Screw for osteosynthesis and arthrodesis
US20150196336A1 (en) * 2014-01-16 2015-07-16 Amendia, Inc. Orthopedic faste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3964A (en) 2020-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9245B2 (en) Fracture fixation system including locking cap and wire
US20240024002A1 (en) Adjustable angle bone fixation assembly
US6984235B2 (en) System for fusing joints
AU2019257458B2 (en) Blunt tip bone screw
US8070786B2 (en) System for fusing joints
CA2805109C (en) Assemblies for aligning a bone fixation plate
US20170119444A1 (en) Bone screw
KR101131253B1 (en) Bone plate
US8808338B2 (en) Flexible bone screw
US11020159B2 (en) Differential compression bone screw
CN102421382A (en) Multiplexed screws
SE533632C2 (en) Device for internal fixation of the bone fragments in a bone fracture
JP2013512042A (en) Planar fixation concept for distal radius fractures
US11737798B2 (en) Surgical screw system
KR102230600B1 (en) Bone screw
JP2019069142A (en) Wrist stabilization systems
JP5000218B2 (en) Humeral nail
KR102226651B1 (en) Fixing unit for remedy of fracture bone
US11701132B2 (en) Lateral cortex penetrator
JP2023501964A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bone
US10842543B2 (en) Load sharing bone plate
CN107257667A (en) Elongate pin for external fixator
KR20130042751A (en) Screw for fra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