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9125B1 - Multi-degree of freedom robot for gait rehabilitation - Google Patents

Multi-degree of freedom robot for gait rehabilit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9125B1
KR102229125B1 KR1020190106603A KR20190106603A KR102229125B1 KR 102229125 B1 KR102229125 B1 KR 102229125B1 KR 1020190106603 A KR1020190106603 A KR 1020190106603A KR 20190106603 A KR20190106603 A KR 20190106603A KR 102229125 B1 KR102229125 B1 KR 102229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de
walking
user
pitching
driv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66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27619A (en
Inventor
조홍철
배동중
권중원
여상석
오승휴
Original Assignee
(주)레아테크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레아테크,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레아테크
Priority to KR1020190106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9125B1/en
Publication of KR20210027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76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9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91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55Both knee and hip of a patient, e.g. in supine or sitting position, the feet being moved together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 plane
    • A61H1/0262Walking movement; Appliances for aiding disabled persons to wal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36Measuring load distribution, e.g. podologic studies
    • A61B5/1038Measuring plantar pressure during ga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Gait an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5Moveable platforms, e.g. vibrating or oscillating platforms for standing, sitting, laying or 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55Both knee and hip of a patient, e.g. in supine or sitting position, the feet being moved together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 plane
    • A61H1/0259Both knee and hip of a patient, e.g. in supine or sitting position, the feet being moved together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 plane moved by trans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201/1215Rotary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4Special force transmission means, i.e. between the driving means and the interface with the user
    • A61H2201/1481Special movement conversion means
    • A61H2201/149Special movement conversion means rotation-linear or vice vers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35Hand or arm, e.g.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61H2201/1642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61H2201/1652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57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 A61H2201/1659Free spatial automatic movement of interface within a working area, e.g. Rob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71Pressure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자유도 보행 재활 로봇에 관한 것으로서, 사사용자의 발이 안착되는 한 쌍의 발판; 상기 한 쌍의 발판을 주기적으로 상반되게 전진 및 후진시켜 보폭을 제어하는 보폭구동부; 상기 한 쌍의 발판을 주기적으로 상반되게 상승 및 하강시켜 걸음 높이를 제어하는 승강구동부; 상기 한 쌍의 발판을 주기적으로 상반되게 보행 전후방향으로 피칭시켜, 발목의 구름각과 디딤각을 제어하는 피칭구동부; 및 보행 운동에 대해 프로그래밍된 보행프로토콜에 의거하여, 상기 보폭구동부와 상기 승강구동부와 상기 피칭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degree of freedom walking rehabilitation robot, comprising: a pair of footrests on which four users' feet are seated; A stride driving unit for controlling the stride length by periodically moving forward and backward in opposite directions of the pair of scaffolds; An elevating driver for controlling the walking height by periodically raising and lowering the pair of scaffolds in opposite directions; A pitching driving unit for controlling the rolling angle and the stepping angle of the ankle by periodically pitching the pair of footboards in opposite directions in the walking direction;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driving of the stride driving unit, the elevation driving unit, and the pitching driving unit, based on a walking protocol programmed for the gait movement.

Figure R1020190106603
Figure R1020190106603

Description

다자유도 보행 재활 로봇{MULTI-DEGREE OF FREEDOM ROBOT FOR GAIT REHABILITATION}{MULTI-DEGREE OF FREEDOM ROBOT FOR GAIT REHABILITATION}

본 발명은 발판 기반형(end effector type) 다자유도 보행 재활 로봇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d effector type multi-degree of freedom walking rehabilitation robot.

일반적으로, 발판 기반형 로봇은 양 발을 전진 및 후진시켜 보폭을 제어하고, 양 발을 상승 및 하강시켜 걸음 높이를 제어하는 움직임에만 초점을 맞추었다.In general, a scaffold-based robot focuses only on the movement of controlling the stride length by moving both feet forward and backward, and controlling the step height by raising and lowering both feet.

그러나, 정상보행 패턴은 양 발의 다양한 움직임뿐 아니라 발끝 떼기(toe off)에서 발생하는 발가락의 움직임도 발생한다.However, in the normal walking pattern, not only various movements of both feet, but also movements of the toes occurring in toe off occur.

따라서, 발목 관절의 제한적인 움직임과 발가락 움직임을 고려하지 않으면, 정상보행 패턴 학습을 위한 훈련시 사용자가 이질감을 느낄 수 있으며, 정상보행 패턴 학습을 위한 적절한 피드백 제공에 제한이 있다.Therefore, if the limited movement of the ankle joint and the toe movement are not taken into account, the user may feel a sense of disparity during training for the normal gait pattern learning, and there is a limitation in providing adequate feedback for learning the normal gait pattern.

또한, 종래에 사용자는 보행패턴 및 속도, 훈련의 시작과 끝을 결정할 때 운영자에게 요청한 후, 운영자는 추가적인 조작을 통해 해당 사용자의 의도를 반영하는 제한이 있다.In addition, in the related art, after the user requests the operator to determine the gait pattern and speed, and the start and end of training,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the operator reflects the intention of the user through additional manipulation.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보행 중에 발끝 떼기 시 발생하는 발가락의 움직임도 커버하여 로봇을 이용한 보행 재활시 발생하는 이질감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다자유도 보행 재활 로봇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Accordingly, the present applicant has come to develop a multi-degree of freedom walking rehabilitation robot that can minimize the sense of heterogeneity that occurs during walking rehabilitation using a robot by covering the movement of the toe that occurs when the toe is removed while walking.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937482호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937482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발목 관절의 다양한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에게 정상보행 패턴 교육시 보다 자연스러운 보행패턴을 학습할 수 있는 다자유도 보행 재활 로봇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ulti-degree of freedom walking rehabilitation robot capable of not only implementing various movements of an ankle joint, but also learning a more natural gait pattern when teaching a normal gait pattern to a user Is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행 훈련의 시작과 끝을 추가적인 조작 없이, 보행 훈련 중 보행 속도 및 보행 패턴의 변화 또한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여 발판을 능동적으로 다자유도로 움직여 보행 훈련을 할 수 있는 다자유도 보행 재활 로봇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ithout additional manipulation of the start and end of gait training, the change in gait speed and gait pattern during gait training, and by grasping the intention of the user, it is possible to actively move the footrest to multi-degree of freedom for gait training. It is to provide a walking rehabilitation robot with a multi-liberty degree.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행 중에 발끝 떼기할 때 발생하는 발가락의 움직임을 구현하여 보행 훈련시 발생하는 이질감을 최소한으로 줄이며 보행 훈련을 할 수 있는 다자유도 보행 재활 로봇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degree of freedom gait rehabilitation robot capable of gait training while minimizing the sense of heterogeneity generated during gait training by implementing the movement of the toe that occurs when the tip of the toe is removed while walking. .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발이 안착되는 한 쌍의 발판; 상기 한 쌍의 발판을 주기적으로 상반되게 전진 및 후진시켜 보폭을 제어하는 보폭구동부; 상기 한 쌍의 발판을 주기적으로 상반되게 상승 및 하강시켜 걸음 높이를 제어하는 승강구동부; 상기 한 쌍의 발판을 주기적으로 상반되게 보행 전후방향으로 피칭시켜, 발목의 구름각과 디딤각을 제어하는 피칭구동부; 및 보행 운동에 대해 프로그래밍된 보행프로토콜에 의거하여, 상기 보폭구동부와 상기 승강구동부와 상기 피칭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다자유도 보행 재활 로봇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footrests on which the user's feet are seated; A stride driving unit for controlling the stride length by periodically moving forward and backward in opposite directions of the pair of scaffolds; An elevating driver for controlling the walking height by periodically raising and lowering the pair of scaffolds in opposite directions; A pitching driving unit for controlling the rolling angle and the stepping angle of the ankle by periodically pitching the pair of footboards in opposite directions in the walking direction; And, based on the gait protocol programmed for the gait movement,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e of the stride driving unit, the elevation driving unit and the pitching driving unit, it can be achieved by a multi-degree of freedom walking rehabilitation robot.

여기서, 상기 발판은, 사용자의 발바닥이 안착되는 발바닥 판; 및 상기 발바닥 판에 대해 경사를 이루거나 또는 수평을 이루도록 상기 발바닥 판에 힌지 결합되어, 사용자의 발가락이 안착되는 발가락 판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foot plate, the sole plate on which the user's foot is seated; And a toe plate on which the user's toe is seated by being hinged to the sole plate so as to be inclined or horizontal with respect to the sole plate.

사용자가 걸음 중 발끝 떼기(toe-off) 후, 상기 발바닥 판과 상기 발가락 판이 수평을 이루도록 상기 발바닥 판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fter the user toe-off while walking, it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member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sole plate so that the sole plate and the toe plate to form a horizontal.

상기 발바닥 판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족압을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압력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pressure sensors provided on the sole plate to measure the user's foot pressure.

상기 압력센서는 세 개로 마련되며, 상기 세 개의 압력센서 중 하나의 압력센서는 사용자의 발뒤꿈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나머지 한 쌍의 압력센서는 사용자의 발뒤꿈치와 아치를 제외한 나머지 발바닥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발판의 길이방향 중심축선을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될 수 있다.The pressure sensor is provided in three, one of the three pressure sensors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heel, and the other pair of pressure sensors is the rest of the sole area excluding the user's heel and arch It may be disposed opposite to the center axi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caffol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사용자의 발바닥의 안쪽 들림 및 가쪽 들림에 대응하여 상기 발판의 각도를 제어하는 발판 각도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It may include a footrest angle adjustment unit for controlling the angle of the footrest in response to the user's foot lift inward and lateral lift.

상기 피칭구동부는, 상기 발판에 연결되어, 정역 회전하며 상기 발판을 피칭시키는 피칭용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pitching driving unit may include a driving motor for pitching connected to the scaffold, rotating forward and backward, and pitching the scaffold.

상기 피칭용 구동모터를 지지하는 연결 암; 상기 연결 암과 피봇가능하게 연결된 연결 링크; 및 상기 연결 링크를 피봇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구동부는, 정역회전하는 승강용 구동모터; 외주에 수나사를 형성하며 상기 승강용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정역회전하는 승강용 스크루축; 및 내주에 상기 승강용 스크루축과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를 형성하며 상기 제1프레임에 지지되고, 상기 승강용 스크루축의 정역회전운동을 직선 왕복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1프레임을 직선 왕복이동시키는 승강용 너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프레임이 직선 왕복이동함에 따라, 상기 연결 링크가 정역방향으로 선회함과 동시에 상기 연결 암이 정역방향으로 선회하여 상기 발판이 승강할 수 있다.A connection arm supporting the pitching drive motor; A connecting link pivot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ng arm; And a first frame pivotably supporting the connection link, wherein the elevating driver comprises: a driving motor for elevating forward and backward rotating; An elevating screw shaft formed with a male screw on the outer periphery and connected to the elevating driving motor to rotate forward and backward; And forming a female thread screwed to the lifting screw shaft on the inner periphery, supported by the first frame, and converting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al motion of the lifting screw shaft into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to move the first frame linearly and reciprocally. It includes a nut part, and as the first frame moves linearly and reciprocally, the connecting link rotates in a forward-reverse direc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connecting arm rotates in a forward-reverse direction, so that the footrest can be raised and lowered.

상기 연결 암을 피봇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보폭구동부는, 정역회전하는 보폭용 구동모터; 외주에 수나사를 형성하며 상기 보폭용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정역회전하는 보폭용 스크루축; 및 내주에 상기 보폭용 스크루축과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를 형성하며 상기 제2프레임에 지지되고, 상기 보폭용 스크루축의 정역회전운동을 직선 왕복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2프레임을 직선 왕복이동시키는 보폭용 너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프레임이 직선 왕복이동함에 따라, 상기 연결 암이 직선 왕복운동하여 상기 발판을 전진 및 후진시킬 수 있다.And a second frame pivotably supporting the connection arm, and the stride driving unit includes: a driving motor for a stride that rotates forward and backward; A screw shaft for a stride that forms a male screw on the outer periphery and is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for stride length and rotates forward and backward; And forming a female thread screwed with the screw shaft for stride length on the inner periphery, supported by the second frame, and converting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al motion of the screw shaft for stride into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to move the second frame linearly and reciprocally. It includes a nut part, and as the first frame linearly reciprocates, the connection arm may linearly reciprocate to move the scaffold forward and backward.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센서에 의해 측정된 족압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발판의 안착 여부, 안착된 발의 상태 및 사용자의 보행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보폭구동부와 상기 승강구동부와 상기 피칭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Based on the foot pressure data measured by the pressure sensor,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footrest is seated, the seated foot state, and the user's gait state, and controls the driving of the stride driving unit, the elevation driving unit, and the pitching driving unit. can do.

상기 피칭용 구동모터와 상기 승강용 구동모터와 상기 보폭용 구동모터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피칭용 구동모터와 상기 승강용 구동모터와 상기 보폭용 구동모터에서 발생하는 토크를 검출하는 토크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토크센서에서 검출된 토크데이터에 의거하여 사용자의 보행 의도를 판단하고, 상기 보폭구동부와 상기 승강구동부와 상기 피칭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Further comprising a torque sensor provided in the pitching drive motor, the lift drive motor and the stride drive motor, respectively, to detect torque generated by the pitching drive motor, the lift drive motor and the stride drive motor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a user's walking intention based on torque data detected by each of the torque sensors, and control driving of the stride driving unit, the elevation driving unit, and the pitching driving uni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센서에 의해 측정된 족압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발판의 안착된 발 상태에 따라 상기 발판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발판 각도조절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footrest angle adjustment unit to adjust the angle of the footrest according to the seated foot state of the footrest based on the foot pressure data measured by the pressure sensor.

사용자가 보행하는 보행 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발판과 상기 보폭구동부와 상기 승강구동부와 상기 피칭구동부가 마련되는 메인프레임; 및 상기 메인프레임에 보행 영역 주변에 마련되는 핸드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A main frame defining a walking area for a user to walk, and including the footrest, the stride driving unit, the elevating driving unit, and the pitching driving unit; And a hand rail provided around the walking area on the main frame.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에 현수 지지되어, 상기 보행 영역에서 보행 훈련하는 사용자가 착용한 하네스를 지지하는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include a wire that is supported by the main frame and supports a harness worn by a user for walking training in the walking area.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발이 안착되는 한 쌍의 발판을 다자유도로 구현시킴으로써, 사용자의 다양한 보폭에 대응할 수 있고, 발목 관절의 다양한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에게 정상보행 패턴 교육시 보다 자연스러운 보행패턴을 학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mplementing a pair of footrests on which the user's feet are seated in multiple degrees of freedom, it is possible to cope with the user's various strides, to implement various movements of the ankle joint, and to be more natural when teaching the user's normal walking pattern. You can learn gait patterns.

또한, 보행 훈련의 시작과 끝을 추가적인 조작 없이, 보행 훈련 중 보행 속도 및 보행 패턴의 변화 또한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여 발판을 능동적으로 다자유도로 움직여 보행 훈련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without additional manipulation of the start and end of gait training, gait training can be performed by actively moving the footrest with multiple degrees of freedom by grasping the user's intention and changing the gait speed and gait pattern during gait training.

그리고, 보행 중에 발끝 떼기할 때 발생하는 발가락의 움직임을 구현하여 보행 훈련시 발생하는 이질감을 최소한으로 줄이며 보행 훈련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by implementing the movement of the toe that occurs when the toe is removed while walking, it is possible to perform gait training while minimizing the sense of heterogeneity that occurs during gait train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자유도 보행 재활 로봇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3은 도 1의 각 구동부의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도 3을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7은 도 3의 저면 사시도,
도 8은 도 3의 요부 확대 좌측면도,
도 9의 (a) 내지 (c)는 도 1의 발판에서의 발의 운동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자유도 보행 재활 로봇의 제어 블록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degree of freedom walking rehabilitation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Figure 1,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lationship of each driving unit of FIG. 1;
Figure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Figure 3,
5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3 viewed from a different angle,
6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of FIG. 5;
7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FIG. 3,
8 is an enlarged left side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3;
9(a) to (c) are views showing the motion process of the foot in the footrest of FIG. 1;
10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multi-degree of freedom walking rehabilitation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skilled person of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exemplary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other than the mentioned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elements, and "and/or" includes each and all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the mentioned elements. Although "first", "second", and the like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s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used with meanings that can b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explicitly defined specificall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및 도 1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자유도 보행 재활 로봇이 도시되어 있다.1 to 10 illustrate a multi-degree of freedom walking rehabilitation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자유도 보행 재활 로봇(1)은 메인 프레임(10)과, 한 쌍의 발판(31)과, 보폭구동부(70)와, 승강구동부(80)와, 피칭구동부(90)와, 제어부(1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multi-degree of freedom walking rehabilitation robo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frame 10, a pair of scaffolds 31, a stride driving unit 70, and a hatch It includes the eastern part 80, the pitching drive part 90, and the control part 100.

메인 프레임(10)은 다수의 거더가 직육면체의 골격을 이루며 연결되어, 내부와 외부를 구획하는 하나의 틀 형상을 가진다.The main frame 10 has a single frame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girders form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keleton and are connected to divide the inside and the outside.

메인 프레임(10)의 내부에는 한 쌍의 발판(31)이 다자유도롤 운동하여 사용자가 보행 훈련을 하는 보행 영역(11)이 마련되고, 메인 프레임(10)의 일측에는 보행 영역(11)으로 출입하기 위한 출입구(13)가 마련된다.In the interior of the main frame 10, a pair of footrests 31 is provided with a walking area 11 in which a user performs gait training by exercising a multi-degree of freedom, and a walking area 11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frame 10. An entrance 13 is provided for entering and exiting.

메인 프레임(10)의 내부에는 한 쌍의 발판(31)과, 보폭구동부(70)와, 승강구동부(80)와, 피칭구동부(90)가 배치된다.Inside the main frame 10, a pair of scaffolds 31, a stride driving unit 70, an elevation driving unit 80, and a pitching driving unit 90 are disposed.

또한, 메인 프레임(10)의 일측에는 예컨대 출입구(13)에는, 사용자가 보행 영역(11)을 향해 출입가능하도록 플랫폼(15)이 마련된다. 플랫폼(15)은 절첩가능하게 마련되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자유도 보행 재활 로봇(1)을 사용할 경우에는 한 쌍의 발판(31)과, 보폭구동부(70)와, 승강구동부(80)와, 피칭구동부(90)가 노출되도록 절첩되고, 다자유도 보행 재활 로봇(1)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한 쌍의 발판(31)과, 보폭구동부(70)와, 승강구동부(80)와, 피칭구동부(90)가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한다.In addition, on one side of the main frame 10, for example, at the entrance 13, a platform 15 is provided so that a user can enter and exit toward the walking area 11. The platform 15 is provided to be foldable, and when using the multi-degree of freedom walking rehabilitation robo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scaffolds 31, a stride driving unit 70, and an elevating driving unit ( 80), and the pitching driving unit 90 is folded to expose, and when the multi-degree of freedom walking rehabilitation robot 1 is not used, a pair of scaffolds 31, a stride driving unit 70, and an elevating driving unit 80 ) And the pitching driving part 90 is covered so that it is not exposed.

그리고, 메인프레임의 보행 영역(11) 주변에는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핸드 레일(17)이 배치된다. 핸드 레일(17)은, 사용자가 보행 영역(11)으로 출입시 충돌하지 않도록, 메인 프레임(10)의 상부에 지지된 핸드 레일 승강기(19)에 의해 승강한다. 이와 같이, 보행 영역(11) 주변에 핸드 레일(17)을 마련함으로써, 사용자는 핸드 레일(17)을 안전하게 잡고 보행 훈련을 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 hand rail 17 that can be held by a user is disposed around the walking area 11 of the main frame. The hand rail 17 is raised and lowered by the hand rail elevator 19 support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frame 10 so that the user does not collide when entering or leaving the walking area 11. In this way, by providing the hand rail 17 around the walking area 11, the user can safely hold the hand rail 17 and perform walking training.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자유도 보행 재활 로봇의 사용 중 안전을 위해,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현수 지지된 와이어(미도시)를 사용자가 착용한 하네스(미도시)를 지지시켜, 사용자가 보행 훈련 중에 발판으로부터 낙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for safety during use of the multi-degree of freedom walking rehabilitation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arness (not shown) in which a user wears a wire (not shown) suspended above the main frame. ) To prevent the user from falling from the footrest during gait training.

메인 프레임(10)의 타측에는 예컨대, 출입구(13)의 반대측에는 사용자가 보행 훈련 상태 등의 훈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21)가 마련되어 있다.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frame 10, for example, on the opposite side of the entrance 13, a display unit 21 through which the user can check training information such as walking training status is provided.

이하에서는, 후술할 발명의 동작의 이해를 돕기 위해 설명의 편리상, 도 1에서 메인 프레임(10)의 출입구(13)로부터 보행 영역(11)을 거쳐 디스플레이부(21)로 이어지는 가상의 축선방향을 x축이라 하고, 메인프레임의 저부로부터 상부로 이어지는 가상의 축선방향을 y축이라 하고, x축 및 y축이 이루는 평면에 대해 직각을 이루는 가상의 축선방향을 z축으로 정의하여, 설명한다.In the following,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order to help understanding the operation of the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in FIG. 1, a virtual axis direction leading from the entrance 13 of the main frame 10 to the display unit 21 through the walking area 11 Is referred to as the x axis, the virtual axis direction from the bottom of the main frame to the top is referred to as the y axis, and the virtual axis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lane formed by the x axis and y axis is defined as the z axis. .

메인 프레임(10)의 저부에는 다수의 캐스터(23)가 롤링가능하게 장착되어, 메인 프레임(10)을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도 있다.A plurality of casters 23 are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main frame 10 so as to be rollable, so that the main frame 10 can be easily moved.

한 쌍의 발판(31)은 장방형의 판 형상을 가지며, 보행 영역(11)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발(1000, 도 9 참조)이 안착된다.The pair of footboards 31 has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is disposed in the walking area 11 so that the user's feet 1000 (see FIG. 9) are seated.

한 쌍의 발판(31)은 발판 조립체(30)의 하나의 구성요소에 해당한다.The pair of scaffolds 31 correspond to one component of the scaffolding assembly 30.

발판 조립체(30)는 사용자의 발(1000)이 안착되는 발판(31)과, 발판(31)의 하부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보조발판(41)과, 제2보조발판(51)과, 지지판(61)을 포함한다.The footrest assembly 30 includes a footrest 31 on which the user's foot 1000 is seated, a first auxiliary footrest 41 and a second auxiliary footrest 51 sequentially disposed under the footrest 31, It includes a support plate (61).

발판(31)은 발바닥 판(33)과 발가락 판(37)을 포함한다.The foot plate 31 includes a sole plate 33 and a toe plate 37.

발바닥 판(33)은 발가락(1100, 도 9 참조)을 제외한 사용자의 발바닥 예컨대, 사용자의 발 볼부터 발뒤꿈치가 안착된다. In the sole plate 33, the heel is seated from the user's sole, for example, the user's foot ball, excluding the toe 1100 (see FIG. 9).

발이 안착되는 발바닥 판의 판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발바닥과의 마찰을 증대시키며 슬립을 방지하기 위해 발바닥 판의 판면으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돌기 또는 발바닥 판의 판면에 부착된 슬립방지 테이프가 마련될 수 있다.On the plate surface of the sole plate on which the feet are seated, although not shown,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plate surface of the sole plate or a slip prevention tape attached to the plate surface of the sole plate may be provided to increase friction with the sole and prevent slipping. have.

또한, 발바닥 판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발바닥을 발바닥 판에 고정하여 발이 발판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발 고정밴드가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on the sole plate, a foot fixing band may be provided to prevent the foot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oot plate by fixing the sole to the sole plate.

발가락 판(37)은 사용자의 발가락(1100)이 안착된다. 발가락 판(37)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바닥 판(33)에 대해 경사를 이루거나 또는 수평을 이루도록, 발바닥 판(33)과 힌지축(39)에 의해 힌지 결합된다. 발가락 판(37)은 발끝 떼기(toe-off) 동작 전과 동작 후에 후술할 탄성부재(43, 도 9 참조)에 의해 발바닥 판(33)과 동일 평면 예컨대, 수평을 이룬다.The toe plate 37 is on which the user's toe 1100 is seated. The toe plate 37 is hinged by the sole plate 33 and the hinge shaft 39 so as to be inclined or horizontal with respect to the sole plate 33 as shown in FIG. 9. The toe plate 37 is flush with the sole plate 33, eg, horizontally, by an elastic member 43 (see FIG. 9) to be described later before and after the toe-off operation.

이와 같이, 발가락 판(37)과 발바닥 판(33)이 힌지 결합함에 따라, 사용자가 보행 중에 발(1000)을 디딛고 발판(31)으로부터 발끝 떼기(toe-off) 동작을 할 때 발가락 판(37)이 발바닥 판(33)에 대해 경사를 이룬 후, 발끝 떼기 후에는 발가락 판(37)과 발바닥 판(33)이 수평을 이룸에 따라 발가락(1100)의 움직임을 자연스럽게 유도하여, 보행 훈련시 발생하는 이질감을 최소한으로 줄이며 자연스럽게 보행 훈련을 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as the toe plate 37 and the sole plate 33 are hinged, the toe plate ( 37)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sole plate (33), and after the toe is removed, the toe plate (37) and the sole plate (33) are leveled to induce the movement of the toe (1100) naturally. The sense of heterogeneity that occurs is reduced to a minimum, and gait training can be performed naturally.

발판(31)과 제1보조발판(41) 사이에는 구체적으로는 발바닥 판(33)과 제1보조발판(41) 사이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43)가 마련된다.Between the foot plate 31 and the first auxiliary foot plate 41, specifically, an elastic member 43 is provided between the sole plate 33 and the first auxiliary foot plate 41 as shown in FIG. 9.

탄성부재(43)는 발바닥 판(33)과 제1보조발판(41)이 간격을 유지하며 수평을 이루도록 탄성력을 발생한다.The elastic member 43 generates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sole plate 33 and the first auxiliary foot plate 41 are spaced and are horizontal.

이에 따라, 사용자가 걸음 중 발끝 떼기(toe-off) 후, 발바닥 판(33)과 발가락 판(37)이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발바닥 판(33)에 탄성력을 제공한다.Accordingly, an elastic force is provided to the sole plate 33 so that the sole plate 33 and the toe plate 37 form the same plane after the user toe-off while walking.

제2보조발판(51)과 제1보조발판(41)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힌지 브래킷(53a,53b)과 힌지핀(59)에 의해 힌지 결합된다. 제1보조발판(41)에 마련되는 힌지 브래킷(53a)에는 제1보조발판(41)과 제2보조발판(51)의 힌지 결합에 따른 선회 운동에 대응하여 일정 길이의 원호 형상의 가이드공(55)이 형성되어 있다. 제2보조발판(51)에 마련되는 힌지 브래킷(53b)에는 제1보조발판(41)의 가이드공(55)에 결합되는 가이드핀(57)이 마련되어 있다. The second auxiliary footrest 51 and the first auxiliary footrest 41 are hinged together by a pair of hinge brackets 53a and 53b and a hinge pin 59 as shown in FIG. 8. The hinge bracket 53a provided on the first auxiliary foot plate 41 has a guide hole of a certain length in an arc shape corresponding to the pivoting motion caused by the hinge coupling of the first auxiliary foot plate 41 and the second auxiliary foot plate 51 ( 55) is formed. The hinge bracket 53b provided on the second auxiliary foot plate 51 is provided with a guide pin 57 coupled to the guide hole 55 of the first auxiliary foot plate 41.

이와 같이 제1보조발판(41)과 제2보조발판(51)이 힌지 결합됨에 따라, 발목이 한쪽으로 꺾여진 사용자의 발(1000)에 대응하여 예컨대, 안쪽으로 들리거나 또는 가쪽으로 들린 발(1000)의 상태에 대응하여 발판(31)의 각도를 용이하게 변형시킬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as the first auxiliary footrest 41 and the second auxiliary footrest 51 are hinged, corresponding to the user's foot 1000 whose ankle is bent to one side, for example, a foot lifted inward or sideways ( It is possible to easily deform the angle of the footrest 31 in response to the state of 1000).

또한, 지지판(61)은 제1보조발판(41)을 지지함과 동시에, 후술할 피칭용 구동 모터(91)가 연결된다. 이로써, 피칭용 구동모터(71)가 정역회전함에 따라, 발판 조립체(30)는 보행 전후방향으로 피칭(pitching)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upport plate 61 supports the first auxiliary foot plate 41 and a driving motor 91 for pitching,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connected. Accordingly, as the driving motor 71 for pitching rotates forward and backward, the footrest assembly 30 is pitched in the walking direction.

이러한 한 쌍의 발판(31)은 기본적인 보폭에 대응하여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된다.Such a pair of scaffolds 31 are spaced apart at intervals corresponding to the basic stride.

보폭구동부(70)는 한 쌍의 발판(31)을 주기적으로 상반되게 전진 및 후진시켜, 사용자의 보폭을 제어한다. 보폭구동부(70)는 각 발판(31)에 대응하여 각각 마련된다.The stride driving unit 70 periodically advances and reverses the pair of scaffolds 31 to control the user's stride length. The stride driving unit 70 is provided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each footrest 31.

보폭구동부(70)는 보폭용 구동모터(71)와, 보폭용 스크루축(73)과, 보폭용 너트부(75)를 포함한다.The stride drive unit 70 includes a drive motor 71 for stride length, a screw shaft 73 for stride length, and a nut part 75 for stride length.

보폭용 구동모터(71)는 정역회전하며, 메인 프레임(10)의 보행 영역(11)의 하방에 위치한다.The drive motor 71 for stride length rotates forward and backward, and is located below the walking area 11 of the main frame 10.

보폭용 스크루축(73)은 일정 길이의 봉 형상을 가지며, 보폭용 구동모터(71)의 축에 연결되어 있다. 보폭용 스크루축(73)의 외주에는 보폭용 스크루축(7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규격의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다.The step length screw shaft 73 has a rod shape of a certain length and is connected to the shaft of the step length drive motor 71.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crew shaft 73 for stride, a male screw of a certain standard is form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crew shaft 73 for stride.

보폭용 너트부(75)는 블록형상을 가지며, 내주에 보폭용 스크루축(73)의 수나사와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보폭용 너트부(75)는 제2프레임(77)에 지지된다. 보폭용 너트부(75)는 보폭용 스크루축(73)의 정역회전운동을 직선 왕복운동으로 변환하여, 제2프레임(77)을 직선 왕복이동시킨다.The stride nut portion 75 has a block shape, and a female thread screwed with the male screw of the stride screw shaft 73 is formed in the inner circumference. The stride nut portion 75 is supported on the second frame 77. The stride nut portion 75 converts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al motion of the stride screw shaft 73 into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and moves the second frame 77 linearly and reciprocally.

제2프레임(77)은 보폭구동부(70)에 의해 메인프레임의 x축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이동한다. 또한, 제2프레임(77)에는, 피칭용 구동모터(91)를 지지하는 연결 암(79)의 일단부가 피봇가능하게 지지된다.The second frame 77 linearly reciprocates along the x-axis direction of the main frame by the stride drive unit 70. Further, on the second frame 77, one end of a connecting arm 79 that supports the driving motor 91 for pitching is pivotably supported.

이에 따라, 보폭용 구동모터(71)가 정역회전하면, 보폭용 스크루축(73)과 보폭용 너트부(75)는 나사운동을 하며 보폭용 스크루축(73)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제2프레임(77)을 x축방향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시킨다. 이에 의해, 연결 암(79)이 직선 왕복운동하여, 발판(31)을 x축방향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시켜, 사용자의 보폭을 제어한다. 또한, 각 보폭용 구동모터(71)의 회전시간 및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다양한 보폭에 대응하여 한 쌍의 발판(31) 사이의 이격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drive motor 71 for stride is rotated forward and backward, the screw shaft 73 for stride and the nut part 75 for stride are screwed, and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screw shaft 73 for stride is converted into a linear motion. Thus, the second frame 77 is moved forward or backward along the x-axis direction. Thereby, the connecting arm 79 linearly reciprocates and moves the footrest 31 forward or backward along the x-axis direction, thereby controlling the user's stride. In addition, by adjusting the rotation time and rotation speed of the driving motors 71 for each strid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spacing between the pair of scaffolds 31 in response to the user's various stride lengths.

여기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다른 실시예로서 보폭구동부는 각 발판에 독립적으로 연결되어, 한 쌍의 발판을 주기적으로 상반되게 전진 및 후진시킬 수도 있다.Here, although not shown, as another embodiment, the stride driving unit may be independently connected to each footrest, so that the pair of footboards may be periodically moved forward and backward in opposite directions.

승강구동부(80)는 한 쌍의 발판(31)을 주기적으로 상반되게 상승 및 하강시켜, 사용자의 걸음 높이를 제어한다. 승강구동부(80)는 각 발판(31)에 대응하여 각각 마련된다.The elevating driver 80 periodically ascends and descends the pair of scaffolds 31 in opposite directions, thereby controlling the height of the user's walking. The elevating driver 80 is provided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each footrest 31.

승강구동부(80)는 승강용 구동모터(81)와, 승강용 스크루축(83)과, 승강용 너트부(85)를 포함한다.The elevating drive unit 80 includes a driving motor 81 for elevating, a screw shaft 83 for elevating, and a nut portion 85 for elevating.

승강용 구동모터(81)는 정역회전하며, 메인프레임의 보행 영역(11)의 하방에 위치한다.The lifting drive motor 81 rotates forward and backward, and is located below the walking area 11 of the main frame.

승강용 스크루축(83)은 일정 길이의 봉 형상을 가지며, 승강용 구동모터(81)의 축에 연결되어 있다. 승강용 스크루축(83)의 외주에는 승강용 스크루축(8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규격의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다.The lifting screw shaft 83 has a rod shape of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connected to the shaft of the lifting drive motor 81.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lifting screw shaft 83, a male screw of a certain standard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fting screw shaft 83.

승강용 너트부(85)는 블록형상을 가지며, 내주에 승강용 스크루축(83)의 수나사와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승강용 너트부(85)는 제1프레임(87)에 지지된다. 승강용 너트부(85)는 승강용 스크루축(83)의 정역회전운동을 직선 왕복운동으로 변환하여, 제1프레임(87)을 직선 왕복이동시킨다.The lifting nut part 85 has a block shape, and a female screw screwed with the male screw of the lifting screw shaft 83 is formed in the inner periphery. The lifting nut 85 is supported by the first frame 87. The lifting nut part 85 converts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al motion of the lifting screw shaft 83 into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so that the first frame 87 is linearly reciprocated.

제1프레임(87)은 승강구동부(80)에 의해 메인 프레임(10)의 x축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이동한다. 또한, 제1프레임(87)에는, 연결 링크(89)의 일단부가 피봇가능하게 지지된다.The first frame 87 linearly reciprocates along the x-axis direction of the main frame 10 by the elevating drive unit 80. Further, on the first frame 87, one end of the connection link 89 is pivotably supported.

연결 링크(89)의 타단부는 피칭용 구동모터(91)를 지지하는 연결 암(79)의 중간에 피봇가능하게 지지된다.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link 89 is pivotably supported in the middle of the connecting arm 79 supporting the driving motor 91 for pitching.

이로써, 제1프레임(87)과 연결 암(79)은 연결 링크(89)에 의해 연결되고, 제1프레임(87)이 x축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이동하면 연결 링크(89)는 제1프레임(87)에 대해 정역방향으로 선회함과 동시에, 연결 암(79)을 정역방향으로 선회시킨다.Accordingly, the first frame 87 and the connecting arm 79 are connected by the connecting link 89, and when the first frame 87 is linearly reciprocated along the x-axis direction, the connecting link 89 is a first frame. At the same time, the connecting arm 79 is rotated in the forward/reverse direction with respect to (87).

이에 따라, 승강용 구동모터(81)가 정역회전하면, 승강용 스크루축(83)과 승강용 너트부(85)는 나사운동을 하며 승강용 스크루축(83)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제1프레임(87)을 x축방향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시킨다. 이에 의해, 연결 링크(89)가 정역방향으로 선회하여 연결 링크(89)의 링크 운동에 의해 연결 암(79)이 정역방향으로 선회하며, 발판(31)을 y축방향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시켜, 사용자의 걸음 높이를 제어한다.Accordingly, when the lifting drive motor 81 rotates forward and backward, the lifting screw shaft 83 and the lifting nut part 85 perform a screw motion and convert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lifting screw shaft 83 into a linear motion. Thus, the first frame 87 is moved forward or backward along the x-axis direction. Thereby, the connecting link 89 rotates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 and the connecting arm 79 rotates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 by the link movement of the connecting link 89, and the footrest 31 is raised or lowered along the y-axis direction. , To control the height of the user's steps.

여기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다른 실시예로서 승강구동부는 각 발판에 독립적으로 연결되어, 한 쌍의 발판을 주기적으로 상반되게 상승 및 하강시킬 수도 있다.Here, although not shown, as another embodiment, the elevating drive unit is independently connected to each footrest, so that the pair of footboards may be periodically raised and lowered in opposite directions.

피칭구동부(90)는 한 쌍의 발판(31)을 주기적으로 보행 전후방향으로 피칭시킨다. 피칭구동부(90)는 보행시 발(1000)을 구를 때의 발목의 구름각과, 발(1000)을 디딜 때의 발목의 디딤각을 제어한다. 피칭구동부(90)는 각 발판(31)에 대응하여 각각 마련된다.The pitching drive unit 90 periodically pitches the pair of footboards 31 in the walking forward/rearward direction. The pitching driving unit 90 controls the rolling angle of the ankle when rolling the foot 1000 during walking and the treading angle of the ankle when treading the foot 1000. The pitching driving units 90 are provided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footboards 31.

피칭구동부(90)는 피칭용 구동모터(91)를 포함한다.The pitching driving unit 90 includes a driving motor 91 for pitching.

피칭용 구동모터(91)의 축은 발판(31)의 길이방향에 대해 가로로 발판 조립체(30)의 지지판(61)에 연결된다.The shaft of the driving motor 91 for pitching is connected to the support plate 61 of the scaffold assembly 30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caffold 31.

그리고, 피칭용 구동모터(91)는 연결 암(79)의 단부에 지지된다.In addition, the pitching drive motor 91 is supported at the end of the connecting arm 79.

이에 따라, 피칭용 구동모터(91)를 정역 회전시키면, 발판(31)은 보행 전후방향으로 예컨대, 발판(31)은 z축선에 대해 정역방향으로 선회하며 피칭한다. 이에 의해, 발판(31)에 안착된 사용자 발목의 구름각과 디딤각을 제어하여 사용자 발목의 굽힘(flexion) 및 펼침(extension) 보행 훈련을 하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driving motor 91 for pitching is rotated forward and backward, the scaffold 31 is pitched while turning in the forward/rearward direction of walking, for example, the scaffold 31 pivots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z-axis. Accordingly, the user's ankle flexion and extension gait training is performed by controlling the rolling angle and the treading angle of the user's ankle seated on the footrest 31.

제어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로 마련되는 콘트롤 박스(105)에 마련되거나, 메인 프레임(10)의 일측에 마련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1, the control unit 100 may be provided in a separate control box 105 or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frame 10.

제어부(100)는 사용자의 보행 운동에 대해 프로그래밍된 보행프로토콜에 의거하여, 보폭구동부(70)와 승강구동부(80)와 피칭구동부(90)의 구동을 제어하여, 사용자는 수동적으로 보행 훈련을 할 수 있게 된다. The control unit 100 controls the driving of the stride driving unit 70, the elevation driving unit 80 and the pitching driving unit 90 based on the gait protocol programmed for the user’s gait exercise, so that the user can passively perform gait training. You will be able to.

즉, 제어부(100)는 각 발판(31)을 기본적인 보폭에 대응하여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한 상태에서 보폭구동부(70)를 구동하여, 각 발판(31)을 주기적으로 상반되게 x축방향으로 전진 및 후진시켜, 사용자의 보폭을 제어한다.In other words, the control unit 100 drives the stride drive unit 70 in a state in which each footrest 31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correspondence with the basic stride length, so that each footrest 31 is periodically moved forward in the x-axis direction. And by moving backward, the user's stride is controlled.

또한, 제어부(100)는 승강구동부(80)를 구동하여, 각 발판(31)을 주기적으로 상반되게 y축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시켜 걸음 높이를 제어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00 controls the height of the step by driving the elevating driver 80 to periodically ascend and descend in the y-axis direction in opposite directions.

그리고, 제어부(100)는 피칭구동부(90)를 구동하여, 각 발판(31)을 주기적으로 상반되게 z축을 중심으로 보행 전후방향으로 피칭시켜, 사용자의 발목이 굽힘(flexion) 및 펼침(extension) 동작하도록 제어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00 drives the pitching drive unit 90 to periodically pitch each footrest 31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walking around the z-axis, so that the ankle of the user is flexed and extended. Control to operate.

이로써, 사용자의 발(1000)이 안착되는 각 발판(31)의 동작을 다자유도로 구현할 수 있고, 사용자의 다양한 보폭에 대응할 수 있으며,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1000)을 발판(31)에 디딜 때와,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1000)이 발판(31)과 수평을 이룰 때와,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1000)의 발가락(1100)이 발판(31)에 구를 때의 일련의 동작 중 발목 관절의 다양한 움직임 예컨대, 굽힘(flexion), 펼침(extension), 앞으로 굽음(anteversion), 뒤로 굽음(retroversion)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에게 정상보행 패턴 교육시 보다 자연스러운 보행패턴을 학습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operation of each footrest 31 on which the user's foot 1000 is seated can be implemented with multiple degrees of freedom, and it is possible to respond to various strides of the user, and the foot 1000 as shown in FIG. 9(a) When treading on the footrest 31, when the foot 1000 is level with the footrest 31 as shown in FIG. 9(b), and when the foot ( 1000) of various movements of the ankle joint during a series of movements when the toe 1100 is rolled on the footrest 31, such as flexion, extension, anteversion, and retroversion movement Not only can it be implemented, but it is also possible to learn more natural gait patterns when educating a user to a normal gait pattern.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자유도 보행 재활 로봇(1)은 사용자의 족압을 측정하는 압력센서(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multi-degree of freedom walking rehabilitation robo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ressure sensor 110 for measuring a user's foot pressure.

압력센서(110)는 로드셀 형태를 가지며, 발바닥 판(33)에 마련되어 발바닥 판(33)에 작용하는 사용자의 족압을 측정하여 제어부(100)로 전송한다.The pressure sensor 110 has a load cell shape and is provided on the sole plate 33 to measure the user's foot pressure acting on the sole plate 33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 unit 100.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압력센서(110)가 마련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압력센서는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ree pressure sensors 110 are provid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one or more pressure sensors may be provided.

3개의 압력센서(110) 중 하나의 압력센서는 사용자의 발뒤꿈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One of the three pressure sensors 110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heel.

나머지 한 쌍의 압력센서는 사용자의 발뒤꿈치와 아치를 제외한 나머지 발바닥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한 쌍의 압력센서는 발바닥의 볼에 대응하는 영역에, 발판(31)의 길이방향 중심축선을 사이에 두고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되어 있다.The remaining pair of pressure sensors are provid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rest of the foot except for the user's heel and arch.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air of pressure sensors are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at intervals with the lengthwise central axis of the footrest 31 interposed therebetween,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ball of the sole of the foot.

이와 같이, 압력센서(110)를 마련함으로써, 제어부(100)는 압력센서(110)에 의해 측정된 족압데이터에 의거하여, 사용자의 발(1000)이 발판(31)에 정상적으로 안착되었는지, 안착된 발(1000)이 좌우로 기울어져 있는지, 보행 훈련 중에 발(1000)에 힘을 가하는지 등의 보행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by providing the pressure sensor 110, the controller 100 is based on the foot pressure data measured by the pressure sensor 110, whether the user's foot 1000 is normally seated on the footrest 31, It is possible to grasp the walking state, such as whether the foot 1000 is inclined to the left or right, or whether a force is applied to the foot 1000 during walking training.

그리고, 제어부(100)는 사용자가 보행 훈련하는 중에 족압데이터에 의거하여, 보행 훈련 중에 발(1000)이 기울어지는지, 사용자의 발 디딤각, 발 구름각 등을 분석하여 보행 패턴을 판단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00 determines the gait pattern by analyzing whether the foot 1000 is tilted during gait training, the user's foot stepping angle, and the foot rolling angle, based on the foot pressure data during gait training.

또한, 제어부(100)는 사용자의 보행 패턴에 맞추어 보행 폭과 보행 속도에 대한 새로운 보행프로토콜을 프로그래밍하여, 보폭구동부(70)와 승강구동부(80)와 피칭구동부(90)의 구동을 제어하여, 사용자는 능동적으로 보행 훈련을 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00 programs a new walking protocol for the walking width and walking speed according to the user's walking pattern, and controls the driving of the stride driving unit 70, the elevation driving unit 80 and the pitching driving unit 90, Users can actively perform gait training.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자유도 보행 재활 로봇(1)은 사용자의 발바닥의 안쪽 들림 및 가쪽 들림에 대응하여, 발판(31)의 각도를 제어하는 발판 각도조절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ulti-degree of freedom walking rehabilitation robo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ootrest angle adjustment unit 120 for controlling the angle of the footrest 31 in response to the user's foot lifting and lateral lifting. It may contain more.

본 실시예에서는 발판 각도조절부(120)로서 발판(31)의 저부에 장착되는 발판 각도 조절볼트(121)와, 발판(31)을 발판 각도 조절볼트(121)에 고정하기 위한 각도 조절너트(125)를 포함한다.In this embodiment, as the footrest angle adjustment unit 120, the footrest angle adjustment bolt 121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footrest 31, and an angle adjustment nut for fixing the footrest 31 to the footrest angle adjustment bolt 121 ( 125).

이로써, 사용자의 발바닥의 안쪽 들림 및 가쪽 들림 각도에 대응하여, 발판(31)을 발판 각도 조절볼트(121)에 발판 각도 조절너트(125)로 수동으로 고정하여, 발판(31)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in response to the user's inward lifting and lateral lifting angles, the footrest 31 is manually fixed to the footrest angle adjusting bolt 121 with the footrest angle adjusting nut 125, so that the angle of the footrest 31 can be adjusted. You will be able to.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발판 각도 조절볼트(121)와 발판 각도 조절너트(125)로 발판(31)의 각도를 수동으로 조절하도록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발판 각도조절부로서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마련하여, 사용자의 발바닥의 안쪽 들림 및 가쪽 들림 각도에 대응하여 발판의 각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도 있다. 즉, 압력센서에 의해 검출된 족압데이터에 의거하여 사용자의 발 상태에 따라 기울어진 정도를 조저라고, 사용자의 발 상태가 호전됨에 따라 발판을 편평한 각도로 조금씩 조절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is embodiment, although it is shown to manually adjust the angle of the footrest 31 with the footrest angle adjustment bolt 121 and the footrest angle adjustment nut 125,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ndependently driven as a footrest angle adjustment unit. By providing a driving motor,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adjust the angle of the footrest in response to the inner lifting and lateral lifting angle of the user's sole. That is, based on the foot pressure data detected by the pressure sensor, the degree of inclination according to the user's foot condition is called control, and as the user's foot condition improves, the footrest can be gradually adjusted to a flat angle.

이와 같이, 발판 각도조절부(120)를 마련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자유도 보행 재활 로봇(1)은 보폭구동부(70)와 승강구동부(80)와 피칭구동부(90)와 함께 사용자의 발(1000)이 안착되는 한 쌍의 발판(31)을 더 넓은 범위의 다자유도로 구현시킴으로써, 발목 관절이 굽힘(flexion), 펼침(extension), 앞으로 굽음(anteversion), 뒤로 굽음(retroversion) 움직임뿐만 아니라 안쪽 들림(inversion), 가쪽 들림(eversion) 움직임에 대응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에게 정상보행 패턴 교육시 보다 더 자연스러운 보행패턴을 학습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by providing the footrest angle adjustment unit 120, the multi-degree of freedom walking rehabilitation robo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ride driving unit 70, an elevation driving unit 80, and a pitching driving unit 90 By implementing a pair of scaffolds 31 on which the user's feet 1000 are seated together with a wider range of multiple degrees of freedom, the ankle joint is flexed, extended, anteversion, and bent backwards. It is possible to respond not only to retroversion) movements, but also to inversion and eversion movements, allowing users to learn more natural gait patterns than when educating a normal gait patter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자유도 보행 재활 로봇(1)은 토크를 검출하는 토크센서(130a,130b,130c, 도 10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ulti-degree of freedom walking rehabilitation robo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torque sensors 130a, 130b, 130c (refer to FIG. 10) for detecting torque.

토크센서(130a,130b,130c)는 피칭용 구동모터(91)와 승강용 구동모터(81)와 보폭용 구동모터(71)에 각각 마련되어, 피칭용 구동모터(91)와 승강용 구동모터(81)와 보폭용 구동모터(71)에서 각각 발생하는 토크를 검출하여, 검출된 토크데이터를 제어부(100)로 전송한다.Torque sensors (130a, 130b, 130c) are provided in the driving motor 91 for pitching, the driving motor 81 for elevation, and the driving motor 71 for stride length, respectively, and the driving motor 91 for pitching and the driving motor for elevation ( 81) and the driving motor 71 for stride length are respectively detected, and the detected torque data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00.

제어부(100)는 각 토크센서(130a,130b,130c)에서 검출된 토크데이터에 의거하여 사용자의 보행 의도를 판단한다.The control unit 100 determines the user's walking intention based on the torque data detected by each of the torque sensors 130a, 130b, and 130c.

예컨대, 사용자가 보행 훈련 중에, 제어부(100)는 일측 발판 또는 양측 발판에 대응하는 각 구동부의 각 토크센서(130a,130b,130c)에서 검출된 토크데이터에 의거하여, 사용자가 발판(31)을 움직이려고 하는 힘과 보행 속도를 통해 사용자의 보행 패턴 분석 및 변화를 판단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00)는 사용자의 보행 의도를 파악하여, 발판(31)의 보폭을 조절하거나 보행 속도를 조절하도록 보폭구동부(70)를 제어하고, 발판(31)의 걸음 높이를 조절하거나 발판(31)의 승강 속도를 조절하도록 승강구동부(80)를 제어하고, 발판(31)의 피칭 폭 및 피칭 속도를 조절하도록 피칭구동부(90)를 제어하는 새로운 보행프로토콜을 프로그래밍하여, 새로이 프로그래밍된 보행프로토콜에 의거하여 보폭구동부(70)와 승강구동부(80)와 피칭구동부(90)의 구동을 제어한다.For example, while the user is walking training, the control unit 100 is based on the torque data detected by the torque sensors 130a, 130b, 130c of each driving unit corresponding to one footrest or both footrests, It analyzes the user's walking pattern and judges changes through the force and walking speed to move. Accordingly, the controller 100 recognizes the user's walking intention, controls the stride drive unit 70 to adjust the stride length of the footrest 31 or adjust the walking speed, and adjusts the walking height of the footrest 31 or By programming a new walking protocol that controls the lifting drive unit 80 to adjust the lifting speed of 31, and controlling the pitching drive part 90 to adjust the pitching width and pitching speed of the footrest 31, the newly programmed walking According to the protocol, the driving of the stride driving unit 70, the lifting driving unit 80, and the pitching driving unit 90 is controlled.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자유도 보행 재활 로봇(1)은, 보행 훈련의 시작과 끝을 추가적인 조작 없이, 보행 훈련 중 보행 속도 및 보행 패턴의 변화 등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고, 보행 패턴 및 보행 속도를 새로이 프로그래밍한 보행프로토콜을 마련하여, 사용자는 능동적으로 보행 훈련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새로이 프로그래밍된 보행프로토콜을 통해, 평지 빨리 걷기 이외에 계단 오르기 등과 같이 난이도가 요구되는 다양한 보행 훈련을 할 수도 있다. Thus, the multi-degree of freedom walking rehabilitation robo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the intention of the user, such as changes in walking speed and gait pattern during gait training, without additional manipulation of the start and end of gait training, By providing a walking protocol in which the walking pattern and walking speed are newly programmed, the user can actively perform walking training. In addition, through the newly programmed walking protocol, it is possible to perform various gait training that requires difficulty, such as climbing stairs in addition to fast walking on flat ground.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In the abo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understood as non-limiting.

1: 다자유도 보행 재활 로봇
10: 메인 프레임
31: 발판
33: 발바닥 판
37: 발가락 판
41: 제1보조발판
43: 탄성부재
51: 제2보조발판
70: 보폭구동부
80: 승강구동부
90: 피칭구동부
100: 제어부
110: 압력센서
120: 발판 각도조절부
130: 토크센서
1: multi-degree of freedom walking rehabilitation robot
10: main frame
31: scaffold
33: sole plate
37: toe plate
41: first auxiliary footrest
43: elastic member
51: second auxiliary footrest
70: stride drive unit
80: elevating drive unit
90: pitching drive unit
100: control unit
110: pressure sensor
120: footrest angle adjustment unit
130: torque sensor

Claims (14)

사용자의 발이 안착되는 한 쌍의 발판;
상기 한 쌍의 발판을 주기적으로 상반되게 전진 및 후진시켜 보폭을 제어하는 보폭구동부;
상기 한 쌍의 발판을 주기적으로 상반되게 상승 및 하강시켜 걸음 높이를 제어하는 승강구동부;
정역 회전하는 피칭용 구동모터를 가지며, 상기 피칭용 구동모터의 정역 회전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발판을 주기적으로 상반되게 보행 전후방향으로 피칭시켜, 발목의 구름각과 디딤각을 제어하는 피칭구동부; 및
보행 운동에 대해 프로그래밍된 보행프로토콜에 의거하여, 상기 보폭구동부와 상기 승강구동부와 상기 피칭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칭용 구동모터를 지지하는 연결 암;
상기 연결 암과 피봇가능하게 연결된 연결 링크; 및
상기 연결 링크를 피봇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승강구동부는,
정역회전하는 승강용 구동모터;
외주에 수나사를 형성하며 상기 승강용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정역회전하는 승강용 스크루축; 및
내주에 상기 승강용 스크루축과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를 형성하며 상기 제1프레임에 지지되고, 상기 승강용 스크루축의 정역회전운동을 직선 왕복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1프레임을 직선 왕복이동시키는 승강용 너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프레임이 직선 왕복이동함에 따라, 상기 연결 링크가 정역방향으로 선회함과 동시에 상기 연결 암이 정역방향으로 선회하여 상기 발판이 승강하는, 다자유도 보행 재활 로봇.
A pair of footrests on which the user's feet are seated;
A stride driving unit for controlling the stride length by periodically moving forward and backward in opposite directions of the pair of scaffolds;
An elevating driver for controlling the walking height by periodically raising and lowering the pair of scaffolds in opposite directions;
A pitching drive unit having a pitching drive motor rotating forward and backward, and periodically pitching the pair of footboards in a walking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by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pitching drive motor, thereby controlling a rolling angle and a stepping angle of the ankle; And
Based on the gait protocol programmed for the gait movement,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step length driving unit, the elevation driving unit, and the pitching driving unit,
A connection arm supporting the pitching drive motor;
A connecting link pivot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ng arm; And
Further comprising a first frame pivotably supporting the connection link,
The elevating drive unit,
An elevating drive motor that rotates forward and backward;
An elevating screw shaft formed with a male screw on the outer periphery and connected to the elevating driving motor to rotate forward and backward; And
An elevating nut that forms a female thread screwed with the elevating screw shaft on the inner periphery, is supported by the first frame, and converts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motion of the elevating screw shaft into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to move the first frame linearly Includes wealth,
As the first frame linearly reciprocates, the connecting link rotates in a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connecting arm rotates in a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 thereby raising and lowering the footres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은,
사용자의 발바닥이 안착되는 발바닥 판; 및
상기 발바닥 판에 대해 경사를 이루거나 또는 수평을 이루도록 상기 발바닥 판에 힌지 결합되어, 사용자의 발가락이 안착되는 발가락 판을 포함하는, 다자유도 보행 재활 로봇.
The method of claim 1,
The scaffolding,
A sole plate on which the user's sole is seated; And
A multi-degree of freedom walking rehabilitation robot comprising a toe plate on which a user's toe is seated by being hinged to the sole plate to be inclined or horizontal with respect to the sole plate.
제2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걸음 중 발끝 떼기(toe-off) 후, 상기 발바닥 판과 상기 발가락 판이 수평을 이루도록 상기 발바닥 판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다자유도 보행 재활 로봇.
The method of claim 2,
After the user's toe off (toe-off) while walking, further comprising an elastic member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sole plate so that the sole plate and the toe plate to form a horizontal, multi-degree of freedom walking rehabilitation robo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바닥 판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족압을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압력센서를 더 포함하는, 다자유도 보행 재활 로봇.
The method of claim 2,
Provided on the sole plate, the multi-degree of freedom walking rehabilitation robot further comprising one or more pressure sensors for measuring the user's foot pressur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센서는 세 개로 마련되며,
상기 세 개의 압력센서 중 하나의 압력센서는 사용자의 발뒤꿈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나머지 한 쌍의 압력센서는 사용자의 발뒤꿈치와 아치를 제외한 나머지 발바닥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발판의 길이방향 중심축선을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는, 다자유도 보행 재활 로봇.
The method of claim 4,
The pressure sensor is provided in three,
One of the three pressure sensors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heel, and the other pair of pressure sensors is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st of the sole area excluding the user's heel and arch. A multi-degree-of-freedom walking rehabilitation robot that is arranged opposite to each other across the direction central axis.
제4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발바닥의 안쪽 들림 및 가쪽 들림에 대응하여 상기 발판의 각도를 제어하는 발판 각도조절부를 포함하는, 다자유도 보행 재활 로봇.
The method of claim 4,
A multi-degree of freedom walking rehabilitation robot comprising a footrest angle adjustment unit for controlling the angle of the footrest in response to the user's foot lifting and lateral lift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암을 피봇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보폭구동부는,
정역회전하는 보폭용 구동모터;
외주에 수나사를 형성하며 상기 보폭용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정역회전하는 보폭용 스크루축; 및
내주에 상기 보폭용 스크루축과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를 형성하며 상기 제2프레임에 지지되고, 상기 보폭용 스크루축의 정역회전운동을 직선 왕복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2프레임을 직선 왕복이동시키는 보폭용 너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프레임이 직선 왕복이동함에 따라, 상기 연결 암이 직선 왕복운동하여 상기 발판을 전진 및 후진시키는, 다자유도 보행 재활 로봇.
The method of claim 1,
And a second frame pivotally supporting the connection arm,
The stride driving part,
A drive motor for a stride that rotates forward and backward;
A screw shaft for a stride that forms a male screw on the outer periphery and is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for stride length and rotates forward and backward; And
A stride nut that forms a female thread screwed with the stride screw shaft in the inner circumference, is supported by the second frame, and converts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al motion of the stride screw shaft into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to linearly reciprocate the second frame Includes wealth,
As the first frame is linearly reciprocated, the connecting arm is linearly reciprocated to move the footrest forward and backward, a multi-degree of freedom walking rehabilitation robo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센서에 의해 측정된 족압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발판의 안착 여부, 안착된 발의 상태 및 사용자의 보행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보폭구동부와 상기 승강구동부와 상기 피칭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다자유도 보행 재활 로봇.
The method of claim 4,
Based on the foot pressure data measured by the pressure sensor,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footrest is seated, the seated foot state, and the user's gait state, and controls the driving of the stride driving unit, the elevation driving unit, and the pitching driving unit. A multi-degree of freedom gait rehabilitation robot.
사용자의 발이 안착되는 한 쌍의 발판;
정역 회전하는 보폭용 구동모터를 가지며, 상기 보폭용 구동모터의 정역 회전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발판을 주기적으로 상반되게 전진 및 후진시켜 보폭을 제어하는 보폭구동부;
정역 회전하는 승강용 구동모터를 가지며, 상기 승강용 구동모터의 정역 회전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발판을 주기적으로 상반되게 상승 및 하강시켜 걸음 높이를 제어하는 승강구동부;
정역 회전하는 피칭용 구동모터를 가지며, 상기 피칭용 구동모터의 정역 회전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발판을 주기적으로 상반되게 보행 전후방향으로 피칭시켜, 발목의 구름각과 디딤각을 제어하는 피칭구동부;
상기 피칭용 구동모터와 상기 승강용 구동모터와 상기 보폭용 구동모터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피칭용 구동모터와 상기 승강용 구동모터와 상기 보폭용 구동모터에서 발생하는 토크를 검출하는 토크센서; 및
상기 각 토크센서에서 검출된 토크데이터에 의거하여 사용자의 보행 의도를 판단하고, 상기 보폭구동부와 상기 승강구동부와 상기 피칭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다자유도 보행 재활 로봇.
A pair of footrests on which the user's feet are seated;
A stride driving unit having a stride driving motor that rotates forward and backward, and controlling the stride length by periodically moving the pair of scaffolds forward and backward in opposite directions by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stride driving motor;
An elevating drive unit having an elevating drive motor rotating forward and backward, and controlling a walking height by periodically raising and lowering the pair of scaffolds by the forward/reverse rotation of the elevating drive motor;
A pitching drive unit having a pitching drive motor rotating forward and backward, and periodically pitching the pair of footboards in a walking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by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pitching drive motor, thereby controlling a rolling angle and a stepping angle of the ankle;
A torque sensor provided in the pitching drive motor, the lift drive motor, and the stride drive motor, respectively, to detect torque generated by the pitching drive motor, the lift drive motor, and the stride drive motor; And
A multi-degree of freedom walking rehabilitation robot comprising a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a user's walking intention based on torque data detected by each of the torque sensors, and controls driving of the stride driving unit, the elevation driving unit, and the pitching driving uni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센서에 의해 측정된 족압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발판의 안착된 발 상태에 따라 상기 발판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발판 각도조절부를 제어하는, 다자유도 보행 재활 로봇.
The method of claim 6,
The control unit,
Based on the foot pressure data measured by the pressure sensor, controlling the footrest angle adjustment unit to adjust the angle of the footrest according to the seated foot state of the footrest, a multi-degree of freedom walking rehabilitation robot.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보행하는 보행 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발판과 상기 보폭구동부와 상기 승강구동부와 상기 피칭구동부가 마련되는 메인프레임; 및
상기 메인프레임에 보행 영역 주변에 마련되는 핸드 레일을 포함하는, 다자유도 보행 재활 로봇.
The method of claim 1,
A main frame defining a walking area for a user to walk, and including the footrest, the stride driving unit, the elevating driving unit, and the pitching driving unit; And
A multi-degree of freedom walking rehabilitation robot comprising a hand rail provided around the walking area on the main fram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에 현수 지지되어, 상기 보행 영역에서 보행 훈련하는 사용자가 착용한 하네스를 지지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다자유도 보행 재활 로봇.
The method of claim 13,
A multi-degree of freedom walking rehabilitation robot including a wire that is supported by the main frame and supports a harness worn by a user for walking training in the walking area.
KR1020190106603A 2019-08-29 2019-08-29 Multi-degree of freedom robot for gait rehabilitation KR1022291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603A KR102229125B1 (en) 2019-08-29 2019-08-29 Multi-degree of freedom robot for gait rehabilit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603A KR102229125B1 (en) 2019-08-29 2019-08-29 Multi-degree of freedom robot for gait rehabilit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7619A KR20210027619A (en) 2021-03-11
KR102229125B1 true KR102229125B1 (en) 2021-03-19

Family

ID=75143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6603A KR102229125B1 (en) 2019-08-29 2019-08-29 Multi-degree of freedom robot for gait rehabilit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9125B1 (en)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177B1 (en) 2007-05-04 2008-06-24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A walking training robot system having upper limbs linking device
JP2008220580A (en) * 2007-03-12 2008-09-25 Univ Of Tsukuba Immersive sense of walk presentation device
KR101025512B1 (en) * 2009-06-16 2011-04-04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Walking Assistant Apparatus for High Walking Stability
US20110294624A1 (en) 2009-10-12 2011-12-01 Nutech Ventures Rehabilitation and Exercise Machine
KR101131973B1 (en) * 2009-11-30 2012-03-29 주식회사 무한기업 Semi-passive gait rehabilitation device
KR101623686B1 (en) 2015-05-18 2016-05-2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A seating-type robot for gait trainer apparatus
KR101661534B1 (en) 2015-07-31 2016-09-30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Active Ankle Rehabilitation Device
KR101682450B1 (en) 2015-07-14 2016-12-05 (주)세아메카닉스 Ankle joint orthosis
KR101912320B1 (en) * 2016-10-17 2018-10-26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The walking rehabilitation apparatus for severe disability including virtual reality platfor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7482B1 (en) 2017-08-21 2019-01-11 (주)광원메디텍 Rehabilitation device for walk training
KR102018175B1 (en) * 2017-10-25 2019-09-0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Gait rehabilitation robot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20580A (en) * 2007-03-12 2008-09-25 Univ Of Tsukuba Immersive sense of walk presentation device
KR100841177B1 (en) 2007-05-04 2008-06-24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A walking training robot system having upper limbs linking device
KR101025512B1 (en) * 2009-06-16 2011-04-04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Walking Assistant Apparatus for High Walking Stability
US20110294624A1 (en) 2009-10-12 2011-12-01 Nutech Ventures Rehabilitation and Exercise Machine
KR101131973B1 (en) * 2009-11-30 2012-03-29 주식회사 무한기업 Semi-passive gait rehabilitation device
KR101623686B1 (en) 2015-05-18 2016-05-2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A seating-type robot for gait trainer apparatus
KR101682450B1 (en) 2015-07-14 2016-12-05 (주)세아메카닉스 Ankle joint orthosis
KR101661534B1 (en) 2015-07-31 2016-09-30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Active Ankle Rehabilitation Device
KR101912320B1 (en) * 2016-10-17 2018-10-26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The walking rehabilitation apparatus for severe disability including virtual reality platfor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7619A (en) 2021-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02442B2 (en) Walking aid device
EP3095430A2 (en) Gait training apparatus
US8858648B2 (en) Rehabilitation using a prosthetic device
US7883450B2 (en) Body weight support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20030064869A1 (en) Mechanism for manipulating and measuring legs during stepping
WO2012118143A1 (en) Ambulation training device and ambulation training system
EP2730265B1 (en) Apparatus for locomotion therapy
KR20070061475A (en) Gait rehabilit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WO2009125397A2 (en) Device and method for foot drop analysis and rehabilitation
JP2007533375A (en) Gravity compensat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feasibility multiple parameters
EP0559446B1 (en) An exercise machine
KR101730909B1 (en) Wearing robot and variable impedance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210005106A1 (en) Motion support system, action support method, program, learning apparatus, trained model, and learning method
KR102229125B1 (en) Multi-degree of freedom robot for gait rehabilitation
KR102397306B1 (en) Control method and system of wearable apparatus for assisting muscular strength
KR100870168B1 (en) A postural balance training machin
CN111973406B (en) Follow-up flexible servo traction gait rehabilitation robot system
Zhang et al. Kinematic design of a footplate drive mechanism using a 3-DOF parallel mechanism for walking rehabilitation device
US11877978B2 (en) Track and lift rehabilitation systems and related methods
JP2003340763A (en) Biped walking robot step elevating/lowering method and biped walking robot
KR102262191B1 (en) Robot of assisting to exercise one's lower body, the production method of it, and the controlling method of it
JP2001087415A (en) Virtual walking device
Yang et al. Automatic walking pattern transformation method of an assistive device during stair-ground transition
JP3649852B2 (en) Remote control system for biped robot
JP3393690B2 (en) Walking train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