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8626B1 - Display device and timing controller - Google Patents

Display device and timing controll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8626B1
KR102228626B1 KR1020140108115A KR20140108115A KR102228626B1 KR 102228626 B1 KR102228626 B1 KR 102228626B1 KR 1020140108115 A KR1020140108115 A KR 1020140108115A KR 20140108115 A KR20140108115 A KR 20140108115A KR 102228626 B1 KR102228626 B1 KR 102228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aving
pixels
pixel
unit area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81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22958A (en
Inventor
박정효
김형래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8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8626B1/en
Publication of KR20160022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29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8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86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666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with the matrix divided into se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02Addressing of scan or signal lines
    • G09G2310/0213Addressing of scan or signal lines controlling the sequence of the scanning lines with respect to the patterns to be displayed, e.g. to save pow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본 실시예들은 표시패널에 형성된 모든 서브 픽셀 중 적어도 하나가 오프되거나, 모든 서브 픽셀에 의해 정의되는 모든 픽셀 중 적어도 하나가 오프 되도록 표시패널을 구동하는 표시장치와 이에 포함된 타이밍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embodiments relate to a display device driving a display panel such that at least one of all subpixels formed on the display panel is turned off or at least one of all pixels defined by all subpixels is turned off, and a timing controller included therein.

Description

표시장치 및 타이밍 컨트롤러{DISPLAY DEVICE AND TIMING CONTROLLER}DISPLAY DEVICE AND TIMING CONTROLLER

본 발명은 표시장치 및 타이밍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a timing controller.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Device), 유기발광표시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과 같은 여러 가지 타입의 표시장치가 활용되고 있다.As the information society develops, demands for display devices for displaying images are increasing in various forms,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LCDs), plasma display devices, an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s ( Various types of display devices such as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re being used.

이와 같이, 다양한 표시장치의 표시패널에 형성된 각 화소에는, 트랜지스터, 캐패시터 등의 회로 소자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표시패널이 유기발광표시패널인 경우, 각 화소에는 유기발광다이오드, 둘 이상의 트랜지스터 및 하나 이상의 캐패시터 등의 회로 소자가 형성되어 있다. In this way, circuit elements such as transistors and capacitors are formed in each pixel formed on a display panel of various display devices. For example, when the display panel i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circuit elements such a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two or more transistors, and one or more capacitors are formed in each pixel.

이러한 각 화소에 형성된 회로 소자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구동 시간이 길어지거나, 구동 전압이 커지는 경우, 열화(Degradation)가 더욱 심각하게 진행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회로 소자의 수명이 짧아져, 표시장치의 수명도 짧아진다. The circuit elements formed in each of these pixels may be degraded more seriously if the driving time is increased or the driving voltage is increased due to various factors, and in this case, the life of the circuit elements is shortened and the display The life of the device is also shortened.

본 실시예들의 목적은, 소비 전력을 줄여주는 타이밍 컨트롤러와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embodiments is to provide a timing controller that reduces power consumption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실시예들의 다른 목적은, 소자 열화를 줄여주고 소자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타이밍 컨트롤러와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embodiments is to provide a timing controller capable of reducing device deterioration and extending device life,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실시예들의 또 다른 목적은, 육안으로 큰 화질 저하 없이 소자 열화를 줄여주고 소자 수명을 연장하며 소비 전력도 줄여줄 수 있는 절전 구동을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와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embodiments is to provide a timing controller that controls power saving driving capable of reducing device deterioration, extending device life, and reducing power consumption without significant deterioration in visual quality,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일 실시예는, 다수의 데이터 라인 및 다수의 게이트 라인이 형성되고, 다수의 픽셀이 형성된 표시패널; 상기 다수의 데이터 라인을 구동하는 데이터 구동부; 상기 다수의 게이트 라인을 구동하는 게이트 구동부; 및 상기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게이트 구동부를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둘 이상의 픽셀이 형성된 영역을 하나의 단위 영역으로 하여, 각 단위 영역에 형성된 둘 이상의 픽셀 중 적어도 하나는 오프 픽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An embodiment includes a display panel in which a plurality of data lines and a plurality of gate lines are formed, and a plurality of pixels are formed; A data driver driving the plurality of data lines; A gate driver driving the plurality of gate lines; And a timing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ata driver and the gate driver, wherein a region in which two or more pixels are formed as one unit region, and at least one of the two or more pixels formed in each unit region is an off pixel. Provides a display device.

다른 실시예는, 다수의 데이터 라인 및 다수의 게이트 라인이 형성되고, 다수의 서브 픽셀이 형성된 표시패널; 상기 다수의 데이터 라인을 구동하는 데이터 구동부; 상기 다수의 게이트 라인을 구동하는 게이트 구동부; 및 상기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게이트 구동부를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서브 픽셀 중 적어도 하나가 오프되거나, 상기 다수의 서브 픽셀에 의해 정의되는 다수의 픽셀 중 적어도 하나가 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In another embodiment, a display panel in which a plurality of data lines and a plurality of gate lines are formed, and a plurality of sub-pixels are formed; A data driver driving the plurality of data lines; A gate driver driving the plurality of gate lines; And a timing controller controlling the data driver and the gate driver,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ubpixels is turned off, or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pixels defined by the plurality of subpixels is turned off. It provides a display device.

또 다른 실시예는, 절전 모드가 되면, 각 단위 영역에 형성된 둘 이상의 픽셀 중 적어도 하나는 오프 시키고 나머지만 온 시키는 절전 구동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절전 제어부; 및 상기 절전 구동 제어 신호에 따라 데이터 구동부 및 게이트 구동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패널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타이밍 컨트롤러를 제공한다. In another embodiment, a power saving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power saving driving control signal for turning off at least one of two or more pixels formed in each unit area and turning on only the remaining pixels when the power saving mode is entered; And a panel driving control unit controlling at least one of a data driving unit and a gate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power saving driving control signal.

이러한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소비 전력을 줄여주는 타이밍 컨트롤러와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se embodiments,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timing controller that reduces power consumption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또한,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소자 열화를 줄여주고 소자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타이밍 컨트롤러와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timing controller capable of reducing device deterioration and extending a device lifespan,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또한,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육안으로 큰 화질 저하 없이, 소자 열화를 줄여주고 소자 수명을 연장하며 소비 전력도 줄여줄 수 있는 절전 구동을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와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the effect of providing a timing controller for controlling power saving driving capable of reducing device deterioration, extending device life, and reducing power consumption without significant deterioration of image quality to the naked eye,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There is.

도 1은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모드(Mode)와 구동(Drive)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의 모드에 따른 구동 타이밍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절전 구동을 위한 단위 영역(UA)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절전 구동을 위한 단위 영역 사이즈(UA Size)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의 절전 구동을 위한 오프 픽셀 비율(Off Pixel Rate)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의 절전 구동 시, 각 단위 영역(UA) 간의 오프 픽셀의 위치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절전 구동 시, 시간 경과에 따라, 각 단위 영역(UA)에서의 오프 픽셀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절전 구동 시, 시간 경과에 따라, 각 단위 영역(UA)에서의 오프 픽셀의 위치를 변경하는 패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의 절전 구동 시, 오프 픽셀 비율(Off Pixel Rate)이 변경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절전 구동 시, 각 오프 픽셀을 구성하는 전체 서브 픽셀 중 오프 서브 픽셀 비율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의 절전 구동 시, 각 오프 픽셀 간의 오프 서브 픽셀의 위치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절전 구동 시, 시간 경과에 따라, 각 오프 픽셀에서의 오프 서브 픽셀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모드를 절전 모드로 변경하는 방식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18은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에서, 센서(1510)를 이용하여 절전 모드로 변경하는 방식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절전 구동을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의 블록도이다.
1 is a schematic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de and a drive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3A and 3B are diagrams illustrating driving timings according to modes of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nit area UA for power saving driving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5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unit area size (UA Size) for power saving driving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6A and 6B are exemplary views for explaining an off pixel rate for power saving driving of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7 is a diagram illustrating positions of off-pixels between each unit area UA when power saving is driven in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hanging a position of an off-pixel in each unit area UA as time elapses when power saving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is driven.
9 and 10 are diagrams illustrating a pattern of changing a position of an off-pixel in each unit area UA as time elapses when power saving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is driven.
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n off pixel rate is changed when power saving is driven in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ff-sub-pixel ratio among all sub-pixels constituting each off-pixel when power saving is driven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positions of off sub-pixels between each off-pixel when power saving is driven in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hanging a position of an off sub-pixel in each off-pixel as time elapses when power-saving driving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changing a mode of a display device to a power saving mode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16 to 18 are diagrams illustrating a method of changing to a power saving mode using a sensor 1510 in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19 is a block diagram of a timing controller that controls power saving driving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elements of each drawing, the same elements may have the same numera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may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der, or numb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nterposed" or that each compon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hrough other components.

도 1은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의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도이다. 1 is a schematic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of a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m개의 데이터 라인(DL1, ... , DLm, m: 자연수) 및 n개의 게이트 라인(GL1, ... , GLn, n: 자연수)이 형성된 표시패널(110)과, m개의 데이터 라인(DL1, ... , DLm)을 구동하는 데이터 구동부(120)와, n개의 게이트 라인(GL1, ... , GLn)을 순차적으로 구동하는 게이트 구동부(130)와, 데이터 구동부(120) 및 게이트 구동부(130)를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140) 등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a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embodiments includes m data lines DL1, ..., DLm, m: natural numbers and n gate lines GL1, ..., GLn, n : A display panel 110 on which a natural number) is formed, a data driver 120 driving m data lines DL1, ..., DLm, and n gate lines GL1, ..., GLn are sequentially And a gate driver 130 that is driven by the method, and a timing controller 140 that controls the data driver 120 and the gate driver 130.

표시패널(110)에는, m개의 데이터 라인(DL1, ... , DLm) 및 n개의 게이트 라인(GL1, ... , GLn)이 서로 교차되는 지점마다 서브 픽셀(SP: Sub Pixel)이 형성되고, 3개 또는 4개의 서브 픽셀(SP)로 구성되어 픽셀(P: Pixel)이 정의된다. In the display panel 110, a sub pixel (SP) is formed at each point where m data lines DL1, ..., DLm and n gate lines GL1, ..., GLn cross each other. And, it is composed of three or four sub-pixels SP to define a pixel (P: Pixel).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각 프레임에서 구현하는 타이밍에 따라 스캔을 시작하고, 인터페이스에서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 구동부(120)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신호 형식에 맞게 전환하여 전환된 영상 데이터(Data)를 출력하고, 스캔에 맞춰 적당한 시간에 데이터 구동을 통제한다. The timing controller 140 starts scanning according to the timing implemented in each frame, converts the image data input from the interface according to the data signal format used by the data driver 120 to convert the converted image data (Data). It outputs and controls the data drive at the appropriate time according to the scan.

이러한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데이터 구동부(120) 및 게이트 구동부(130)를 제어하기 위하여, 데이터 제어 신호(DCS: Data Control Signal), 게이트 제어 신호(GCS: Gate Control Signal) 등의 각종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The timing controller 140 receives various control signals such as a data control signal (DCS) and a gate control signal (GCS) in order to control the data driver 120 and the gate driver 130. Can be printed.

게이트 구동부(130)는, 타이밍 컨트롤러(140)의 제어에 따라, 온(On) 전압 또는 오프(Off) 전압의 스캔 신호를 n개의 게이트 라인(GL1, ... , GLn)으로 순차적으로 공급하여 n개의 게이트 라인(GL1, ... , GLn)을 순차적으로 구동한다. The gate driver 130 sequentially supplies an on voltage or an off voltage scan signal to the n gate lines GL1, ..., GLn under the control of the timing controller 140 The n gate lines GL1, ..., GLn are sequentially driven.

데이터 구동부(120)는, 타이밍 컨트롤러(140)의 제어에 따라, 입력된 영상 데이터(Data)를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해두고, 특정 게이트 라인이 열리면, 해당 영상 데이터(Data)를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 전압(Vdata)으로 변환하여 m개의 데이터 라인(DL1, ... , DLm)으로 공급함으로써, m개의 데이터 라인(DL1, ... , DLm)을 구동한다. The data driver 120 stores the input image data in a memory (not shown) under the control of the timing controller 140, and when a specific gate line is opened, the corresponding image data Data is stored in an analog form. By converting the data voltage Vdata and supplying it to m data lines DL1, ..., DLm, m data lines DL1, ..., DLm are driven.

데이터 구동부(120)는 다수의 데이터 구동 집적회로(Data Driver IC, 소스 구동 집적회로(Source Driver IC)라고도 함)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다수의 데이터 구동 집적회로는, 테이프 오토메티드 본딩(TAB: Tape Automated Bonding) 방식 또는 칩 온 글래스(COG) 방식으로 표시패널(110)의 본딩 패드(Bonding Pad)에 연결되거나, 표시패널(110)에 직접 형성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표시패널(110)에 집적화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The data driver 1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data driving integrated circuits (Data Driver ICs, also referred to as source driver ICs), and such a plurality of data driving integrated circuits include tape automated bonding (TAB). : Tape Automated Bonding) or chip-on-glass (COG) is connected to the bonding pad of the display panel 110, or may be formed directly on the display panel 110. In some cases, the display panel ( 110).

게이트 구동부(130)는, 구동 방식에 따라서, 도 1에서와 같이 표시패널(110)의 한 측에만 위치할 수도 있고, 2개로 나누어져 표시패널(110)의 양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The gate driver 130 may be positioned on only one side of the display panel 110 as shown in FIG. 1, or may be divided into two and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display panel 110, depending on the driving method.

또한, 게이트 구동부(130)는, 다수의 게이트 구동 집적회로(Gate Driver IC)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다수의 게이트 구동 집적회로는, 테이프 오토메티드 본딩(TAB: Tape Automated Bonding) 방식 또는 칩 온 글래스(COG) 방식으로 표시패널(110)의 본딩 패드(Bonding Pad)에 연결되거나, GIP(Gate In Panel) 타입으로 구현되어 표시패널(110)에 직접 형성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표시패널(110)에 집적화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gate driver 1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gate driver ICs, such as a plurality of gate driving integrated circuits, a tape automated bonding (TAB) method or a chip-on. It may be connected to a bonding pad of the display panel 110 in a glass (COG) method, or implemented in a GIP (Gate In Panel) type to be formed directly on the display panel 110. In some cases, the display panel It may be formed by being integrated in (110).

도 1에 간략하게 도시된 표시장치(100)는, 일 예로,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Device), 유기발광표시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 중 하나일 수 있다. The display device 100 illustrated in FIG. 1 is, for exampl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a plasma display device,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LED). ), etc.

전술한 표시패널(110)에 형성된 각 화소에는, 트랜지스터, 캐패시터 등의 회로 소자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표시패널(110)이 유기발광표시패널인 경우, 각 화소에는 유기발광다이오드, 둘 이상의 트랜지스터 및 하나 이상의 캐패시터 등의 회로 소자가 형성되어 있다. In each pixel formed in the above-described display panel 110, circuit elements such as transistors and capacitors are formed. For example, when the display panel 110 is a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panel, circuit elements such as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two or more transistors, and one or more capacitors are formed in each pixel.

각 화소에 형성된 회로 소자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구동 시간이 길어지거나, 구동 전압이 커지는 경우, 열화(Degradation)가 더욱 심각하게 진행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회로 소자의 수명이 짧아져, 표시장치(100)의 수명도 짧아지게 된다. The circuit elements formed in each pixel may be degraded more seriously if the driving time is increased or the driving voltage is increased due to various factors, and in this case, the life of the circuit elements is shortened and the display device The life of (100) will also be shortened.

이에,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통상적인 디스플레이 모드에 해당하는 일반 모드(General Mode) 이외에, 절전 모드(Power Saving Mode)라는 새로운 모드를 제공하고, 이러한 절전 모드 구간에서, 수행될 수 있는 절전 구동(Power Saving Drive)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provides a new mode called Power Saving Mode, in addition to the General Mode corresponding to the normal display mode, and performs in such a power saving mode period. It can provide a power saving drive (Power Saving Drive) that can be.

여기서, 본 실시예들에서, 절전 모드(Power Saving Mode)는, 사용자가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 메인 보드, 메모리 등을 제외한 사용되지 않는 내부 장치를 끄는 통상적인 절전 모드(Sleep Mode)와는 전혀 다른 개념의 모드이다. Here, in the present embodiments, the power saving mode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normal sleep mode in which an unused internal device other than the main board, memory, etc. is turned off when the user does not use the device. It's a different concept of mode.

아래에서는,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가 제공하는 절전 모드와, 이를 위한 절전 구동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In the following, a power saving mode provided by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and power saving driving therefor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2는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의 모드(Mode)와 구동(Drive)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de and a drive of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일반 모드(General Mode) 및 절전 모드(Power Saving Mode) 등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embodiments may operate in one of a general mode and a power saving mode.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가 일반 모드로 동작할 때에는, 표시패널(110)에서의 모든 픽셀 및 이를 구성하는 모든 서브 픽셀은 정상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든 서브 픽셀이 정상적으로 구동되는 것을 "일반 구동(General Drive)" 또는 "전체 구동(Full Drive)"이라고 한다. 여기서, 정상적으로 구동될 수 있는 픽셀은 "온(On) 된 픽셀" 또는 "온 픽셀(On Pixel)"이라고 하고, 정상적으로 구동될 수 있는 서브 픽셀은 "온(On) 된 서브 픽셀" 또는 "온 서브 픽셀(On Sub Pixel)"이라고 한다. When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operates in the normal mode, all pixels of the display panel 110 and all sub-pixels constituting the same may be normally driven. In this way, normal driving of all sub-pixels is referred to as “general drive” or “full drive”. Here, a pixel that can be normally driven is referred to as “on pixel” or “on pixel”, and a sub pixel that can be normally driven is “on sub pixel” or “on sub pixel”. It is called "On Sub Pixel."

한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가 절전 모드로 동작할 때에는, 표시패널(110)에서의 모든 픽셀이 정상적으로 구동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일부의 픽셀은 정상적으로 구동되지 못하는 "절전 구동(Power Saving Drive)" 또는 "부분 구동(Partial Drive)"이 수행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operates in the power saving mode, not all pixels in the display panel 110 can be normally driven, but some of the pixels are not driven normally. Power Saving Drive)" or "Partial Drive" may be performed.

또는,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가 절전 모드로 동작할 때, 표시패널(110)에서의 모든 서브 픽셀이 정상적으로 구동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일부의 서브 픽셀은 정상적으로 구동되지 못하는 "절전 구동(Power Saving Drive)" 또는 "부분 구동(Partial Drive)"이 수행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when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operates in the power saving mode, not all sub-pixels in the display panel 110 can be normally driven, but some sub-pixels are not normally driven. Driving (Power Saving Drive)" or "Partial Drive" may be performed.

여기서, 모든 픽셀 중에서, 정상적으로 구동될 수 있는 픽셀은 온(On) 된 픽셀 또는 온 픽셀(On Pixel)이라고 하고, 정상적으로 구동될 수 없는 픽셀을 "오프(Off) 된 픽셀" 또는 "오프 픽셀(Off Pixel)"이라고 한다. Here, among all the pixels, a pixel that can be normally driven is referred to as an on pixel or an on pixel, and a pixel that cannot be normally driven is an "off pixel" or an "off pixel. Pixel)".

모든 서브 픽셀 중에서, 정상적으로 구동될 수 있는 서브 픽셀은 "온(On) 된 서브 픽셀" 또는 "온 서브 픽셀(On Sub Pixel)"이라고 하고, 정상적으로 구동될 수 없는 픽셀을 "오프(Off) 된 서브 픽셀" 또는 "오프 서브 픽셀(Off Sub Pixel)"이라고 한다. Among all sub-pixels, a sub-pixel that can be normally driven is referred to as an “on sub-pixel” or an “on sub-pixel”, and a pixel that cannot be normally driven is an “off sub-pixel”. It is referred to as “pixel” or “off sub pixel”.

전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절전 구동(Power Saving Drive)을 통해, 모든 서브 픽셀 및 모든 픽셀이 구동되는 것이 아니라, 일부 픽셀 또는 일부 서브 픽셀을 오프(Off) 시킴으로써, 각 서브 픽셀 내 소자(예: 유기발광다이오드, 트랜지스터 등)의 열화(Degradation)를 줄여줄 수 있고, 이로 인해, 소자 수명도 많이 늘려줄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소비 전력도 줄여주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not all sub-pixels and all pixels are driven through a power saving drive, but some pixels or some sub-pixels are turned off.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degradation of devices (e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transistors, etc.) in each sub-pixel, and thus, the life of the device can be greatly increased. Not only this, but also the effect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can be obtained.

도 3a 및 도 3b는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의 모드에 따른 구동 타이밍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3A and 3B are diagrams illustrating driving timings according to modes of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도 3a을 참조하면, 절전 모드 신호에 따라 일반 모드에서 변경된 절전 모드 구간 동안, 모든 서브 픽셀 중 적어도 하나가 오프되거나, 모든 서브 픽셀에 의해 정의되는 모든 픽셀 중 적어도 하나가 오프되는 절전 구동(Power Saving Drive)이 지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A, during a power saving mode period changed from a normal mode according to a power saving mode signal, at least one of all subpixels is turned off, or at least one of all pixels defined by all subpixels is turned off. Drive) can be performed continuously.

이때, 한 번의 절전 모드 구간에서 절전 구동이 수행되는 시간(T)은, 절전 모드 구간의 시간과 동일하다. In this case, the time T during which power saving driving is performed in one power saving mode section is the same as the time during the power saving mode section.

도 3a에서와 같이, 절전 모드 구간 동안 절전 구동이 지속적으로 수행됨으로써, 소비 전력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 As shown in FIG. 3A,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as much as possible by continuously performing power saving driving during the power saving mode period.

도 3b를 참조하면, 절전 모드 신호에 따라 일반 모드에서 변경된 절전 모드 구간 동안, 절전 구동이 지속적으로 수행되지 않고, 한 차례 이상 일정 시간(T) 동안만 수행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3B, during the power saving mode period changed from the normal mode according to the power saving mode signal, power saving driving may not be continuously performed, but may be performed only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 one or more times.

여기서, 한 차례의 절전 구동이 수행되는 시간(T)은, 절전 요구량, 받아들일 수 있는 해상도 저하 정도 등을 고려하여, 고정적으로 설정되거나 가변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Here, the time (T) at which one power saving driving is performed may be fixedly set or variably set in consideration of a power saving request amount and an acceptable degree of resolution reduction.

도 3b에서와 같이, 절전 모드 구간 동안 절전 구동이 짧게 한 차례 이상 수행됨으로써, 일부 픽셀만 구동되는 시간이 짧아져, 해상도를 크게 낮추지 않으면서,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s shown in FIG. 3B, since the power saving driving is performed one or more briefly during the power saving mode period, the time during which only some pixels are driven is shortened, so that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without significantly lowering the resolution.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절전 구동(Power Saving Drive)은, 타이밍 컨트롤러(14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Meanwhile, the power saving drive as described above may be controlled by the timing controller 140.

이와 관련하여,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표시패널(110)에 형성된 모든 서브 픽셀(SP) 중 적어도 하나가 오프(Off) 되거나, 다수의 서브 픽셀(SP)에 의해 정의되는 모든 픽셀(P) 중 적어도 하나가 오프(Off) 되게 하는 절전 구동 제어 신호(Power Saving Drive Control Signal)을 데이터 구동부(120)및 게이트 구동부(130) 중 적어도 하나로 출력할 수 있다. In this regard, the timing controller 140 may turn off at least one of all sub-pixels SP formed on the display panel 110 or all pixels P defined by a plurality of sub-pixels SP. A power saving drive control signal that turns at least one of them off may be output to at least one of the data driver 120 and the gate driver 130.

이에 따라, 데이터 구동부(120)는, 절전 구동 제어 신호에 따라, 온 서브 픽셀(On Sub Pixel)로 데이터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data driver 120 may supply the data voltage to the On Sub Pixel according to the power saving driving control signal.

이때, 데이터 구동부(120)는, 절전 구동 제어 신호에 따라, 오프 서브 픽셀(Off Sub Pixel)로는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지 않거나, 오프 서브 픽셀(Off Sub Pixel)이 온(On) 되지 않는 데이터 전압을 공급할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data driver 120 does not supply the data voltage to the off sub pixel or the data voltage at which the off sub pixel is not turned on according to the power saving driving control signal. You can also supply.

또한, 게이트 구동부(120)는, 서브 픽셀 열에 해당하는 게이트 라인을 순차적으로 온(On) 시킴에 있어서, 한 개의 게이트 라인에 연결되는 서브 픽셀 행(Sub Pixel Row)이 오프 서브 픽셀(Off Sub Pixel)로 이루어진 행(Row)인 경우, 해당 게이트 라인으로 스캔 신호(Scan Signal)를 출력하지 않거나, 해당 게이트 라인이 오프(Off) 되는 전압 레벨의 스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gate driver 120 sequentially turns on the gate lines corresponding to the sub-pixel columns, so that a sub pixel row connected to one gate line is turned off. In the case of a row of ), a scan signal may not be output to a corresponding gate line, or a scan signal having a voltage level at which the corresponding gate line is turned off may be output.

한편,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일 예로, 시청자의 유무 또는 움직임에 따라, 절전 구동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절전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Meanwhile, the timing controller 140 may control power saving driving by outputting a power saving driving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movement of a viewer, for example.

가령, 표시장치(100)에서 출력되는 화상을 시청하던 시청자가 사라진 것이 감지되거나, 표시장치(100)에서 출력되는 화상을 시청하던 시청자가 잠을 자는 등 시청을 하지 않는 것이 감지되면, 일반 모드에서 절전 모드로 모드 변경이 된다. 이에 따라,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절전 모드를 위한 절전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절전 구동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it is detected that a viewer who is watching an image output from the display device 100 disappears, or if a viewer who is watching an image output from the display device 100 is not watching, such as asleep, is detected, in the normal mode. The mode is changed to power saving mode. Accordingly, the timing controller 140 may perform power saving driving control to perform power saving driving for the power saving mode.

이와 같이, 사용자가 없어지거나 시청을 하지 않는 상황에, 절전 모드로 모드 변경이 되고 절전 구동이 이루어짐으로써, 시청이 되지 않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불필요한 디스플레이 구동을 줄여주고, 이를 통해, 소자 열화를 감소시킬 수 있고, 소자 수명도 그만큼 늘려줄 수 있다. 또한, 소비 전력도 크게 줄여줄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way, when the user disappears or does not view, the mode is changed to the power saving mode and power saving driving is performed, thereby reducing unnecessary display driving to display an image that cannot be viewed, thereby reducing device deterioration. It can be done, and the life of the device can be extended that much. In addition, it will be able to significantly reduce power consumption.

아래에서는, 이상에서 전술한 절전 구동 및 이를 위한 절전 구동 제어에 대하여, 아래에서, 그 실시 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In the following, the above-described power saving driving and power saving driving control therefor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embodiments thereof.

도 4는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의 절전 구동을 위한 단위 영역(UA: Unit Area)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nit area (UA) for power saving driving of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효과적인 절전 구동을 위하여, 단위 영역(UA)이라는 개념을 도입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introduces a concept of a unit area UA for effective power saving driving.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패널(110)에서는, 둘 이상의 픽셀이 형성된 영역을 하나의 단위 영역(UA)으로 하여, 다수의 단위 영역(UA)이 정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in the display panel 110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a plurality of unit areas UA may be defined by using an area in which two or more pixels are formed as one unit area UA.

이러한 단위 영역(UA)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UHD((Ultra High Definition) 해상도의 경우, 표시패널(110)에는 3840×2160×4 개의 서브 픽셀(SP)이 존재한다. Taking such a unit area UA as an example, in the case of UHD (Ultra High Definition) resolution, 3840×2160×4 sub-pixels SP exist in the display panel 110.

만약, 각 픽셀(P)이 적색(R), 흰색(W), 녹색(G) 및 청색(B)에 해당하는 4개의 서브 픽셀(SP)로 구성된 경우를 가정하면, 표시패널(110)에는 3840×2160 개의 픽셀(P)이 존재한다. If it is assumed that each pixel P is composed of four sub-pixels SP corresponding to red (R), white (W), green (G), and blue (B), the display panel 110 There are 3840×2160 pixels (P).

일 예로, 1개의 단위 영역(UA)이 4개의 픽셀(P)이 형성된 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다면, 표시패널(110)에는, 1/4×3840×2160 개의 단위 영역(UA)이 존재할 것이다. 다른 예로, 1개의 단위 영역(UA)이 25개의 픽셀(P)이 형성된 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다면, 표시패널(110)에는, 1/25×3840×2160 개의 단위 영역(UA)이 존재한다. For example, if one unit area UA can be defined as an area in which four pixels P are formed, 1/4×3840×2160 unit areas UA will exist on the display panel 110. As another example, if one unit area UA can be defined as an area in which 25 pixels P are formed, 1/25×3840×2160 unit areas UA exist on the display panel 110.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각 단위 영역(UA)은, i개의 행과 j개의 열로 이루어진 i×j 개의 픽셀(P11 ... P1j, P21 ... P2j, ... , Pi1 ... Pij)이 형성된 영역일 수 있다. 여기서, i와 j는 자연수이고, i와 j중 적어도 하는 2 이상이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4, each unit area UA includes i×j pixels P11 ... P1j, P21 ... P2j, ..., Pi1 ... consisting of i rows and j columns. It may be a region where Pij) is formed. Here, i and j are natural numbers, and at least one of i and j is 2 or more.

이와 같이, 각 단위 영역(UA)을 행렬 타입으로 정의함으로써, 화상 품질에 큰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효율적인 절전 구동을 가능하게 한다. In this way, by defining each unit area UA in a matrix type, efficient power saving driving is possible without significantly affecting the image quality.

한편, 단위 영역 사이즈(UA Size)는, 형성된 픽셀 개수로 정의될 수 있다. Meanwhile, the unit area size (UA Size) may be defined as the number of formed pixels.

도 4를 참조하면, 각 단위 영역(UA)이 i개의 행과 j개의 열로 이루어진 i×j 개의 픽셀(P11 ... P1j, P21 ... P2j, ... , Pi1 ... Pij)이 형성된 영역이라고 하면, 단위 영역 사이즈(UA Size)는 i×j 가 된다. 4, each unit area UA has i×j pixels (P11 ... P1j, P21 ... P2j, ..., Pi1 ... Pij) consisting of i rows and j columns. Speaking of the formed area, the unit area size (UA Size) is i×j.

한편, 단위 영역(UA)에 형성된 각 픽셀(P)은, 적색(R), 녹색(G) 및 청색(B)에 해당하는 3개의 서브 픽셀(SP)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적색(R), 흰색(W), 녹색(G) 및 청색(B)에 해당하는 4개의 서브 픽셀(SP)로 구성될 수도 있다. Meanwhile, each pixel P formed in the unit area UA may be composed of three sub-pixels SP corresponding to red (R), green (G), and blue (B), or red (R). , May be composed of four sub-pixels SP corresponding to white (W), green (G), and blue (B).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각 단위 영역(UA)에 형성된 둘 이상의 픽셀(P11 ... P1j, P21 ... P2j, ... , Pi1 ... Pij) 중 적어도 하나(예: Pi1, ...)는, 절전 구동 제어에 따라, 오프 픽셀(Off Pixel)일 수 있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4, at least one of two or more pixels P11 ... P1j, P21 ... P2j, ..., Pi1 ... Pij formed in each unit area UA (eg, Pi1, ...) may be an off pixel according to the power saving driving control.

전술한 바와 같이, 절전 구동(Power Saving Drive)을 통해, 각 단위 영역(UA)에서의 모든 픽셀이 구동되는 것이 아니라, 적어도 하나의 픽셀(예: Pi1, ...)이 오프(Off) 됨으로써, 오프 픽셀(예: Pi1, ...)을 이루는 서브 픽셀 영역에 형성된 소자(예: 유기발광다이오드, 트랜지스터 등)의 열화(Degradation)를 줄여줄 수 있고, 이로 인해, 소자 수명도 많이 늘려줄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소비 전력도 줄여주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rough Power Saving Drive, not all pixels in each unit area UA are driven, but at least one pixel (eg, Pi1, ...) is turned off. , Degradation of devices (e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transistors, etc.) formed in the sub-pixel area forming the off-pixel (eg, Pi1, ...) can be reduced, and thus, device life can be greatly increased. have. Not only this, but also the effect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can be obtained.

도 5는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의 절전 구동을 위한 단위 영역 사이즈(UA Size)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5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unit area size (UA Size) for power saving driving of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도 5를 참조하면, 단위 영역 사이즈(UA Size)는, 원하는 해상도, 원하는 절전량 등에 따라 임의로 또는 고정적으로 정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unit area size (UA Size) may be arbitrarily or fixedly determined according to a desired resolution, a desired amount of power saving, and the like.

도 5에는 4가지 케이스의 단위 영역 사이즈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FIG. 5 exemplarily shows unit area sizes of four cases.

CASE 1은 2행 2열의 픽셀(P11, P12, P21, P22)이 형성된 영역을 단위 영역(UA)으로 정의한 경우이며, 이 경우, 단위 영역 사이즈(UA Size)는 2×2이다. CASE 1 is a case in which the area in which the pixels P11, P12, P21, and P22 of 2 rows and 2 columns are formed is defined as a unit area UA, and in this case, the unit area size (UA Size) is 2×2.

CASE 2은 3행 3열의 픽셀(P11, P12, P13, P21, P22, P23, P31, P32, P33)이 형성된 영역을 단위 영역(UA)으로 정의한 경우이며, 이 경우, 단위 영역 사이즈(UA Size)는 3×3이다. CASE 2 is a case in which the area in which the pixels (P11, P12, P13, P21, P22, P23, P31, P32, P33) are formed in 3 rows and 3 columns is defined as a unit area (UA). In this case, the unit area size (UA Size ) Is 3×3.

CASE 3은 4행 4열의 픽셀(P11, P12, P13, P14, P21, P22, P23, P24, P31, P32, P33, P34, P41, P42, P43, P44)이 형성된 영역을 단위 영역(UA)으로 정의한 경우이며, 이 경우, 단위 영역 사이즈(UA Size)는 4×4이다. CASE 3 is the unit area (UA) where the pixels (P11, P12, P13, P14, P21, P22, P23, P24, P31, P32, P33, P34, P41, P42, P43, P44) are formed. This is the case defined as, and in this case, the unit area size (UA Size) is 4×4.

CASE 4은 5행 5열의 픽셀(P11, P12, P13, P14, P15, P21, P22, P23, P24, P25, P31, P32, P33, P34, P34, P34, P41, P42, P43, P44, P45, P51, P52, P53, P54, P55)이 형성된 영역을 단위 영역(UA)으로 정의한 경우이며, 이 경우, 단위 영역 사이즈(UA Size)는 5×5이다. CASE 4 has 5 rows and 5 columns (P11, P12, P13, P14, P15, P21, P22, P23, P24, P25, P31, P32, P33, P34, P34, P34, P41, P42, P43, P44, P45. , P51, P52, P53, P54, P55) is defined as a unit area UA, and in this case, the unit area size is 5×5.

도 6a 및 도 6b는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의 절전 구동을 위한 오프 픽셀 비율(Off Pixel Rate)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6A and 6B are exemplary views for explaining an off pixel rate for power saving driving of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도 6a은 단위 영역 사이즈(UA Size)가 2×2인 단위 영역(UA)을 예로 들어, 단위 영역 사이즈(UA Size)가 2×2인 단위 영역(UA)에서의 오프 픽셀 비율(Off Pixel Rate)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6A illustrates a unit area UA having a unit area size of 2×2 as an example, and an Off Pixel Rate in the unit area UA having a unit area size of 2×2. )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도 6b은 단위 영역 사이즈(UA Size)가 5×5인 단위 영역(UA)을 예로 들어, 단위 영역 사이즈(UA Size)가 5×5인 단위 영역(UA)에서의 오프 픽셀 비율(Off Pixel Rate)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6B illustrates an example of a unit area UA having a unit area size of 5×5, and an Off Pixel Rate in the unit area UA having a unit area size of 5×5. )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각 단위 영역(UA)에서의 전체 픽셀 중 오프 픽셀의 비율을 나타내는 오프 픽셀 비율(Off Pixel Rate)은, 원하는 해상도, 원하는 절전량 등에 따라 임의로 또는 고정적으로 정할 수 있다. 6A and 6B, an off pixel rate representing the ratio of off pixels among all pixels in each unit area UA may be arbitrarily or fixedly determined according to a desired resolution, a desired amount of power saving, and the like. have.

도 6a에서, CASE 1은, 단위 영역 사이즈(UA Size)가 2×2인 단위 영역(UA)에서의 오프 픽셀 비율(Off Pixel Rate)은 3/4인 경우이다. 여기서, 오프 픽셀 비율(Off Pixel Rate)이 3/4이라는 것은, 4개의 픽셀 중 3개의 픽셀이 오프 픽셀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In FIG. 6A, CASE 1 is a case in which the off pixel rate in the unit area UA of which the unit area size is 2×2 is 3/4. Here, when the Off Pixel Rate is 3/4, it means that 3 of the 4 pixels are off pixels.

도 6a에서, CASE 2는, 단위 영역 사이즈(UA Size)가 2×2인 단위 영역(UA)에서의 오프 픽셀 비율(Off Pixel Rate)은 1/4인 경우이다. 여기서, 오프 픽셀 비율(Off Pixel Rate)이 1/4이라는 것은, 4개의 픽셀 중 1개의 픽셀이 오프 픽셀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In FIG. 6A, CASE 2 is a case in which an off pixel rate in a unit area UA having a unit area size of 2×2 is 1/4. Here, when the off pixel rate is 1/4, it means that one of the four pixels is an off pixel.

도 6a를 참조하면, 소자 열화를 줄이고, 소자 수명을 늘리며, 소비 전력을 절감하는 측면에서는, 오프 픽셀 비율(Off Pixel Rate)이 3/4인 CASE 1이, 오프 픽셀 비율(Off Pixel Rate)이 3/4인 CASE 2보다 유리하다. Referring to FIG. 6A, in terms of reducing device deterioration, increasing device life, and reducing power consumption, CASE 1 having an Off Pixel Rate of 3/4 is an Off Pixel Rate. It is more advantageous than CASE 2, which is 3/4.

하지만, 해상도 측면에서 보면, 오프 픽셀 비율(Off Pixel Rate)이 3/4인 CASE 2가 오프 픽셀 비율(Off Pixel Rate)이 3/4인 CASE 1보다 더 좋은 해상도를 보인다. However, in terms of resolution, CASE 2 with an Off Pixel Rate of 3/4 shows better resolution than CASE 1 with an Off Pixel Rate of 3/4.

예를 들어, 표시장치(100)에 표시되고 있는 화상을 시청하는 사용자가 일시적으로 전혀 없는 경우, 해상도 보다는 소자 열화, 소자 수명 및 소비 전력 측면에서 보다 유리한 CASE 1, 즉, 오프 픽셀 비율(Off Pixel Rate)이 큰 경우를 채택하여, 절전 구동을 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For example, when there is no user temporarily watching an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00, CASE 1, that is, an off-pixel ratio, is more advantageous in terms of device deterioration, device life, and power consumption rather than resolution. It would be better to adopt the case where the rate) is large and power-saving operation.

한편, 도 5,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전술한 단위 영역 사이즈(UA Size) 및 오프 픽셀 비율(Off Pixel Rate)은, 절전 구동 시 원하는 해상도, 원하는 절전량 등을 고려하여, 고정된 설계 값일 수도 있고, 제품 출하 후에도, 적응적으로 변경되는 값일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unit area size (UA Size) and Off Pixel Rate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5, 6A and 6B are fixed in consideration of a desired resolution and a desired amount of power saving when power saving is driven. It may be a value, or it may be a value that changes adaptively even after the product is shipped.

여기서, 절전 구동을 하게 되면, 해상도의 저하는 불가피하다. 따라서, 절전 구동 시, 해상도 저하를 어느 수준까지 감내할 것인지를 "절전 구동 시 원하는 해상도"로 디폴트 값(Default Value)으로 설정해둘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설정해둘 수 있다. 절전 구동 시, 소비 전력을 어느 수준까지 줄일 것인지를 "원하는 절전량"으로 디폴트 값(Default Value)으로 설정해둘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설정해둘 수 있다. Here, when power saving driving is performed, a decrease in resolution is inevitable. Accordingly, the level to which the resolution deterioration is tolerated during power saving operation may be set as a default value as "desired resolution during power saving operation" as a default value, or in some cases,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During power saving operation, the level to which power consumption is reduced can be set as a "desired power saving amount" as a default value, and in some cases, it can be set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이러한 절전 구동 시 원하는 해상도, 원하는 절전량 등의 설정 값에 따라, 각 단위 영역(UA)에서의 전체 픽셀 개수에 해당하는 단위 영역 사이즈(UA Size)와, 각 단위 영역(UA)에서의 오프 픽셀 비율(Off Pixel Rate)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될 수 있다. In power saving operation, the unit area size (UA Size) corresponding to the total number of pixels in each unit area (UA) and off-pixels in each unit area (UA) according to the setting values such as the desired resolution and the desired power saving amount. At least one of the ratios (Off Pixel Rate) may be changed.

이와 같이, 단위 영역 사이즈(UA Size) 및 오프 픽셀 비율(Off Pixel Rate)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원하는 해상도에 맞게 원하는 정도의 소비 전력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this way, by changing at least one of the unit area size (UA Size) and the off pixel rate (Off Pixel Rate), it is possible to obtain a desired power consumption reduction effect according to a desired resolution.

도 7은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의 절전 구동 시, 각 단위 영역(UA) 간의 오프 픽셀의 위치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7 is a diagram illustrating positions of off-pixels between each unit area UA when power saving is driven in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도 7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위 영역 사이즈(UA Size)가 2×2이고, 오프 픽셀 비율(Off Pixel Rate)이 3/4인 4개의 단위 영역(UA 11, UA 12, UA 21, UA 22)를 예로 든다. In FIG. 7,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four unit areas (UA 11, UA 12, UA 21, and a unit area size of 2×2 and an Off Pixel Rate of 3/4) Take UA 22) as an example.

도 7을 참조하면, CASE 1과 같이,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의 절전 구동 시, 동일 시점에서, 4개의 단위 영역(UA 11, UA 12, UA 21, UA 22) 간의 오프 픽셀 또는 온 픽셀의 위치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like CASE 1, when power saving is driven in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embodiments, an off-pixel between four unit areas UA 11, UA 12, UA 21, and UA 22 at the same time point. Alternatively, the positions of the on-pixels may be the same.

도 7에서, CASE 1의 경우, 동일 시점에서, UA 11, UA 12, UA 21 및 UA 22 모두에서, 온 픽셀은 P11이고 오프 픽셀은 P12, P21, P22이다. In Fig. 7, in case of CASE 1, at the same time point, in all of UA 11, UA 12, UA 21 and UA 22, the on pixel is P11 and the off pixel is P12, P21, P22.

또는, 도 7을 참조하면, CASE 2과 같이,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의 절전 구동 시, 동일 시점에서, 4개의 단위 영역(UA 11, UA ) 간의 오프 픽셀의 위치는 서로 동일하지 않고, 서로 다를 수도 있다. Alternatively, referring to FIG. 7, when power saving is driven in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embodiments, as in CASE 2, the positions of off-pixels between the four unit areas UA 11 and UA are identical to each other at the same time point. They don't, and they can be different.

도 7에서, CASE 2의 경우, 동일 시점에서, UA 11에서, 온 픽셀은 P12이고 오프 픽셀은 P11, P21, P22이고, UA 11에서, 온 픽셀은 P22이고 오프 픽셀은 P11, P12, P21이며, UA 11에서, 온 픽셀은 P11이고 오프 픽셀은 P12, P21, P22이고, UA 11에서, 온 픽셀은 P21이고 오프 픽셀은 P11, P12, P22이다. In FIG. 7, in case of CASE 2, at the same time point, in UA 11, on pixels are P12 and off pixels are P11, P21, P22, and in UA 11, on pixels are P22 and off pixels are P11, P12, P21. , In UA 11, on pixels are P11 and off pixels are P12, P21, P22, and in UA 11, on pixels are P21 and off pixels are P11, P12, P22.

CASE 2와 같이, 4개의 단위 영역(UA 11, UA ) 간의 오프 픽셀의 위치가 서로 다른 경우, 온 픽셀 또는 오프 픽셀의 위치는, 화상 품질을 고려하여, 표시패널(110) 전체에서 온 픽셀이 분산되어 분포되도록 결정될 수 있다. Like CASE 2, when the positions of the off-pixels between the four unit areas UA 11 and UA are different, the positions of the on-pixels or the off-pixels are determined by the on-pixels in the entire display panel 110 in consideration of image quality. It can be determined to be distributed and distributed.

전술한 바와 같이, 각 단위 영역(UA)에서 오프 픽셀 또는 온 픽셀의 위치를 다양하게 함으로써, 절전 구동 제어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해준다. As described above, by varying the positions of off-pixels or on-pixels in each unit area UA,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perform power saving driving control.

도 8은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의 절전 구동 시, 시간 경과에 따라, 각 단위 영역(UA)에서의 오프 픽셀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hanging a position of an off-pixel in each unit area UA as time elapses when power saving of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is driven.

도 8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위 영역 사이즈(UA Size)가 2×2이고, 오프 픽셀 비율(Off Pixel Rate)이 3/4인 4개의 단위 영역(UA 11, UA 12, UA 21, UA 22)를 예로 든다. In FIG. 8,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four unit areas (UA 11, UA 12, UA 21, and a unit area size of 2×2 and an Off Pixel Rate of 3/4). Take UA 22) as an example.

또한, 도 8에서는, 동일 시점에서, 4개의 단위 영역(UA 11, UA 12, UA 21, UA 22) 각각의 온 픽셀 및 오프 픽셀의 위치가 동일한 것을 예로 든다.In addition, in FIG. 8, it is exemplified that the positions of the on and off pixels of the four unit areas UA 11, UA 12, UA 21, and UA 22 are the same at the same time point.

도 8을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의 절전 구동 시, 시간 경과에 따라, 각 단위 영역(UA)에서의 오프 픽셀 또는 온 픽셀의 위치는 고정될 수도 있지만, 변경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8, when power saving is driven in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embodiments, the position of the off-pixel or the on-pixel in each unit area UA may be fixed, but may be changed over time. have.

여기서, 시간 경과는, 일 예로, 프레임의 순서로 표현될 수 있을 것이다. Here, the lapse of time may be expressed in the order of frames, for example.

도 8을 참조하면, 4개의 단위 영역(UA 11, UA 12, UA 21, UA 22) 각각의 온 픽셀이 시간 경과에 따라 P11, P12, P21, P22의 순서로 변경됨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it can be seen that the on-pixels of each of the four unit areas UA 11, UA 12, UA 21, and UA 22 change in the order of P11, P12, P21, and P22 over time.

전술한 바와 같이, 시간 경과에 따라 오프 픽셀 또는 온 픽셀의 위치를 변경하지 않고 고정한다면, 오프 픽셀에 비해, 온 픽셀은 구동 시간이 길어져, 열화가 더욱 심하게 진행되어, 온 픽셀을 구성하는 서브 픽셀 내 회로의 소자 수명이 더욱 많이 줄어들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f the position of the off-pixel or the on-pixel is fixed without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on-pixel over time, compared to the off-pixel, the on-pixel has a longer driving time and deteriorates more severely, and the sub-pixels constituting the on-pixel The device life of my circuit will be further reduced.

하지만, 시간 경과에 따라 오프 픽셀 또는 온 픽셀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오프 픽셀 비율(Off Pixel Rate)이 일정하여 소비 전력의 감소량(절전량)이 동일하더라도, 각 픽셀에 형성된 소자들의 열화 정도를 어느 정도 분산시켜 균등하게 해줄 수 있고, 이로 인해, 각 픽셀에 형성된 소자들의 수명을 균등하게 해줌으로써, 전체적인 소자 수명을 늘려줄 수 있을 것이다.However,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off-pixel or on-pixel over time, even if the off-pixel rate is constant and the amount of reduction in power consumption (power savings) is the same, the degree of deterioration of the elements formed in each pixel can be controlled. It is possible to equalize by dispersing about it, and thus, by making the lifespan of the devices formed in each pixel equal, it will be possible to increase the overall lifespan of the device.

도 9 및 도 10은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의 절전 구동 시, 시간 경과에 따라, 각 단위 영역(UA)에서의 오프 픽셀의 위치를 변경하는 패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9 and 10 are diagrams illustrating a pattern of changing a position of an off-pixel in each unit area UA as time elapses when power saving of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is driven.

도 9 및 도 10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위 영역 사이즈(UA Size)가 2×2이고, 오프 픽셀 비율(Off Pixel Rate)이 3/4인 1개의 단위 영역(UA)을 예로 든다. In FIGS. 9 and 10,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one unit area UA having a unit area size of 2×2 and an off pixel rate of 3/4 is exemplified.

도 9를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의 절전 구동 시, 각 단위 영역(UA)에서의 오프 픽셀의 위치를 시간 경과에 따라 랜덤 방식으로 변경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when power saving is driven in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a position of an off-pixel in each unit area UA may be changed in a random manner over time.

예를 들어, 어느 한 단위 영역(UA)에서, k번째 프레임에는 임의로 선택된 P11만 온 픽셀이 되고, k+1번째 프레임에는 임의로 선택된 P22만 온 픽셀이 되며, k+2번째 프레임에는 임의로 선택된 P12만 온 픽셀이 되고, k+3번째 프레임에는 임의로 선택된 P21만 온 픽셀이 될 수 있다. For example, in one unit area (UA), only randomly selected P11 becomes an on pixel in the kth frame, only randomly selected P22 becomes an on pixel in the k+1th frame, and randomly selected P12 in the k+2th frame. Only the randomly selected P21 may become ON pixels in the k+3th frame.

도 10을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의 절전 구동 시, 각 단위 영역(UA)에서의 오프 픽셀의 위치를 시간 경과에 따라 라운드 로빈(Round Robin) 방식에 따라 변경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10, when power saving is driven in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embodiments, the position of the off-pixel in each unit area UA may be changed according to a round robin method over time. .

예를 들어, 어느 한 단위 영역(UA)에서, k번째 프레임에는 P11만 온 픽셀이 되고, k+1번째 프레임에는 P11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에 있는 P12만 온 픽셀이 되며, k+2번째 프레임에는 P12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에 있는 P22만 온 픽셀이 되고, k+3번째 프레임에는 P22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에 있는임의로 선택된 P21만 온 픽셀이 될 수 있다. For example, in one unit area (UA), only P11 becomes an on pixel in the kth frame, only P12 in the clockwise direction based on P11 becomes an on pixel in the k+1th frame, and the k+2th frame Only P22 in the clockwise direction based on P12 may be an ON pixel, and in the k+3th frame, only P21 randomly selec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based on P22 may be an ON pixel.

한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의 절전 구동 시, 시간 경과에 따라, 각 단위 영역(UA)에서의 오프 픽셀 비율(Off Pixel Rate)은, 일정하거나 변경될 수 있다. Meanwhile, when power saving is driven in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an off pixel rate in each unit area UA may be constant or changed over time.

도 11은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의 절전 구동 시, 오프 픽셀 비율(Off Pixel Rate)이 변경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n off pixel rate is changed when power saving is driven in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도 1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위 영역 사이즈(UA Size)가 2×2인 1개의 단위 영역(UA)을 예로 든다. In FIG. 11,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one unit area UA having a unit area size of 2×2 is taken as an example.

도 11을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의 절전 구동 시, 시간 경과에 따라, 각 단위 영역(UA)에서의 오프 픽셀 비율(Off Pixel Rate)은, 변경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when power saving is driven in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embodiments, an off pixel rate in each unit area UA may be changed over time.

예를 들면, 어느 한 단위 영역(UA)에서, k번째 프레임에는 1개의 픽셀(P22)이 오프 픽셀이고, k+1번째 프레임에는 2개의 픽셀(P11, P22)이 오프 픽셀이며, k+2번째 프레임에는 3개의 픽셀(P12, P21, P22)이 오프 픽셀일 수 있다. For example, in one unit area UA, one pixel P22 is an off-pixel in a k-th frame, two pixels P11 and P22 are off-pixels in a k+1th frame, and k+2 In the first frame, three pixels P12, P21, and P22 may be off-pixels.

즉, 도 11에서는, 시간 경과에 따라, 즉, 프레임이 바뀜에 따라, 오프 픽셀 비율을 1/4, 2/4, 3/4로 증가시키면서 변경하였다. That is, in FIG. 11, as time elapses, that is, as the frame changes, the off-pixel ratio is changed while increasing to 1/4, 2/4, and 3/4.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프 픽셀 비율(Off Pixel Rate)을 서서히 증가시켜 변경함으로써, 절전 구동을 하더라도, 해상도가 급격히 떨어지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11, by gradually increasing and changing the off pixel rate, a situation in which the resolution is rapidly deteriorated even when power saving driving is performed can be prevented.

한편, k+3번째 프레임에서는, k+2번째 프레임과 동일한 오프 픽셀 비율을 갖되, 균등한 픽셀 사용을 위해, 오프 픽셀의 위치가 변경되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k+3th frame, the off-pixel ratio is the same as that of the k+2th frame, but the positions of the off-pixels are changed in order to use the same pixels.

한편, 각 픽셀은 3개 또는 4개의 서브 픽셀로 구성될 수 있는데, 오프 픽셀을 구성하는 서브 픽셀들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것에 대하여,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Meanwhile, each pixel may be composed of three or four sub-pixels. Control of on-off of the sub-pixels constituting the off-pixe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2 to 14.

도 12는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의 절전 구동 시, 각 오프 픽셀을 구성하는 전체 서브 픽셀 중 오프 서브 픽셀 비율(Off Sub Pixel Rate)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ff sub-pixel rate among all sub-pixels constituting each off-pixel when power saving is driven in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도 1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위 영역 사이즈(UA Size)가 2×2이고, 오프 픽셀 비율(Off Pixel Rate)이 3/4인 1개의 단위 영역(UA)를 예로 들고, 단위 영역에서의 4개의 픽셀(P11, P12, P21, P22) 각각은 적색(R), 흰색(W), 녹색(G) 및 청색(B)에 해당하는 4개의 서브 픽셀(SP)로 구성된 것을 예로 든다. In FIG. 12,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aking one unit area UA having a unit area size of 2×2 and an off pixel rate of 3/4 as an example, in the unit area Each of the four pixels P11, P12, P21, and P22 of is composed of four sub-pixels SP corresponding to red (R), white (W), green (G), and blue (B).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오프 픽셀 비율(Off Pixel Rate)이 3/4인 단위 영역(UA)에서, 오프 픽셀은 P12, P21, P22인 것으로 예로 든다. In addi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the unit area UA having an off pixel rate of 3/4, it is assumed that the off pixels are P12, P21, and P22.

도 12를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의 절전 구동 시, CASE 1과 같이, 각 단위 영역(UA)에서의 각 오프 픽셀(P12, P21, P22)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 픽셀(R, W, G, B)은, 모두 오프 서브 픽셀(off Sub Pixel)일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12, when power saving of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is driven, a plurality of subs constituting each off-pixel P12, P21, P22 in each unit area UA, like CASE 1 The pixels R, W, G, and B may all be off sub pixels.

도 12를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의 절전 구동 시, CASE 2와 같이, 각 단위 영역(UA)에서의 각 오프 픽셀(P12, P21, P22)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 픽셀(R, W, G, B)은, 모두 오프 서브 픽셀(off Sub Pixel)이 아니고, 일부(R, G, B)만 오프 서브 픽셀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2, when power saving of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is driven, a plurality of subs constituting each off-pixel P12, P21, P22 in each unit area UA, like CASE 2 The pixels R, W, G, and B are not all off sub pixels, and only some of the pixels R, G, and B may be off sub pixels.

도 12에서, 오프 픽셀을 구성하는 모든 서브 픽셀을 오프 시키는 CASE 1은, 소자 열화를 줄이고, 소자 수명을 늘리며, 소비 전력을 절감하는 측면에서 상당히 유리한 이점이 있다. In FIG. 12, CASE 1, which turns off all sub-pixels constituting an off-pixel, has significant advantages in terms of reducing device deterioration, extending device life, and reducing power consumption.

오프 픽셀을 구성하는 전체 서브 픽셀 중 일부만을 오프 시키는 CASE 2는, 소자 열화를 줄이고, 소자 수명을 늘리며, 소비 전력을 절감하는 측면에서는 CASE 1보다는 유리하지 않지만, 상대적으로 해상도를 덜 저하하면서 절전 구동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점이 있다. CASE 2, which turns off only some of the sub-pixels constituting the off-pixel, is less advantageous than CASE 1 in terms of reducing device deterioration, extending device life, and reducing power consump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you can do it.

도 13은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의 절전 구동 시, 각 오프 픽셀 간의 오프 서브 픽셀의 위치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3 is a diagram illustrating positions of off sub-pixels between each off-pixel when power saving is driven in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도 1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위 영역 사이즈(UA Size)가 2×2이고, 오프 픽셀 비율(Off Pixel Rate)이 3/4인 1개의 단위 영역(UA)를 예로 들고, 단위 영역에서의 4개의 픽셀(P11, P12, P21, P22) 각각은 적색(R), 흰색(W), 녹색(G) 및 청색(B)에 해당하는 4개의 서브 픽셀(SP)로 구성된 것을 예로 든다. In FIG. 13,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aking one unit area UA having a unit area size of 2×2 and an off pixel rate of 3/4 as an example, in the unit area Each of the four pixels P11, P12, P21, and P22 of is composed of four sub-pixels SP corresponding to red (R), white (W), green (G), and blue (B).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3에서는, 오프 픽셀 비율(Off Pixel Rate)이 3/4인 단위 영역(UA)에서, 오프 픽셀은 P12, P21, P22인 것으로 예로 든다.In addi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FIG. 13, in the unit area UA having an off pixel rate of 3/4, it is assumed that the off pixels are P12, P21, and P22.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3에서는, 3개의 오프 픽셀(P12, P21, P22) 각각에서 오프 서브 픽셀의 개수가 3인 것으로 예로 든다. 즉, 오프 서브 픽셀 비율(Off Sub Pixel Rate)이 3/4인 것으로 예로 든다. In addi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FIG. 13, it is assumed that the number of off subpixels is 3 in each of the three off pixels P12, P21, and P22. That is, it is assumed that the Off Sub Pixel Rate is 3/4.

도 13을 참조하면, CASE 1과 같이, 각 단위 영역(UA)에서의 개의 오프 픽셀(P12, P21, P22) 각각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 픽셀(R, W, G, B)이 오프 서브 픽셀과 온 서브 픽셀이 혼합된 경우, 동일 시점에서, 3개의 오프 픽셀(P12, P21, P22) 간의 오프 서브 픽셀(R, G, B) 및 온 서브 픽셀(W)의 위치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3, as in CASE 1, a plurality of sub-pixels R, W, G, and B constituting each of the number of off-pixels P12, P21, and P22 in each unit area UA are off-sub-pixels. When the on-sub-pixels and on-sub-pixels are mixed, the positions of the off-sub-pixels R, G, and B and the on-sub-pixels W between the three off-pixels P12, P21, and P22 may be the same at the same time point. have.

도 13을 참조하면, CASE 2와 같이, 각 단위 영역(UA)에서의 개의 오프 픽셀(P12, P21, P22) 각각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 픽셀(R, W, G, B)이 오프 서브 픽셀과 온 서브 픽셀이 혼합된 경우, 동일 시점에서, 3개의 오프 픽셀(P12, P21, P22) 간의 오프 서브 픽셀 및 온 서브 픽셀의 위치는, 서로 다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3, as in CASE 2, a plurality of sub-pixels R, W, G, and B constituting each of the number of off-pixels P12, P21, and P22 in each unit area UA are off-sub-pixels. When the and on subpixels are mixed, positions of the off subpixel and the on subpixel between the three off pixels P12, P21, and P22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at the same time point.

CASE 2와 같이, 3개의 오프 픽셀(P12, P21, P22) 간의 오프 서브 픽셀 및 온 서브 픽셀의 위치가 서로 다른 경우, 오프 서브 픽셀 또는 온 서브 픽셀의 위치는, 화상 품질을 고려하여, 표시패널(110) 전체에서 온 픽셀이 분산되어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결정될 수 있다. Like CASE 2, when the positions of the off sub-pixels and the on-sub-pixels between the three off-pixels P12, P21, and P22 are different, the positions of the off-sub-pixels or the on-sub-pixels are determined by considering the image quality. (110) It may be determined that pixels from the whole are distributed and uniformly distributed.

도 13의 CASE 1 및 2와 같이, 각 오프 픽셀(Off Pixel)에서의 오프 서브 픽셀(Off Sub Pixel)의 위치를 동일하게 하거나 다르게 조절함으로써, 절전 구동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As shown in CASEs 1 and 2 of FIG. 13, power saving driving can be effectively controlled by making the positions of off sub pixels in each off pixel the same or differently.

도 14는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의 절전 구동 시, 시간 경과에 따라, 각 오프 픽셀에서의 오프 서브 픽셀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hanging a position of an off sub-pixel in each off-pixel as time elapses when power saving of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is driven.

도 1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위 영역 사이즈(UA Size)가 2×2이고, 오프 픽셀 비율(Off Pixel Rate)이 3/4인 1개의 단위 영역(UA)를 예로 들고, 단위 영역에서의 4개의 픽셀(P11, P12, P21, P22) 각각은 적색(R), 흰색(W), 녹색(G) 및 청색(B)에 해당하는 4개의 서브 픽셀(SP)로 구성된 것을 예로 든다. In FIG. 14,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aking one unit area UA with a unit area size of 2×2 and an off pixel rate of 3/4 as an example, in the unit area Each of the four pixels P11, P12, P21, and P22 of is composed of four sub-pixels SP corresponding to red (R), white (W), green (G), and blue (B).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4에서는, 오프 픽셀 비율(Off Pixel Rate)이 3/4인 단위 영역(UA)에서, 오프 픽셀은 P12, P21, P22인 것으로 예로 든다. In addi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FIG. 14, in the unit area UA having an off pixel rate of 3/4, it is assumed that the off pixels are P12, P21, and P22.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4에서는, 3개의 오프 픽셀(P12, P21, P22) 각각에서 오프 서브 픽셀의 개수가 3인 것으로 예로 든다. 즉, 오프 서브 픽셀 비율(Off Sub Pixel Rate)이 3/4인 것으로 예로 든다. In addi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FIG. 14, it is assumed that the number of off sub-pixels is 3 in each of the three off pixels P12, P21, and P22. That is, it is assumed that the Off Sub Pixel Rate is 3/4.

도 14를 참조하면, 각 단위 영역(UA)에서의 3개의 오프 픽셀(P12, P21, P22) 각각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 픽셀(R, W, G, B)이 오프 서브 픽셀과 온 서브 픽셀이 혼합된 경우, 시간 경과에 따라, 3개의 오프 픽셀(P12, P21, P22) 각각에서의 오프 서브 픽셀 또는 온 서브 픽셀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a plurality of sub-pixels R, W, G, and B constituting each of the three off-pixels P12, P21, and P22 in each unit area UA are off-sub-pixels and on-sub-pixels. When these are mixed, the positions of the off sub-pixels or the on sub-pixels in each of the three off-pixels P12, P21, and P22 may be changed over time.

도 14의 경우, 시간 경과에 따라, 3개의 오프 픽셀(P12, P21, P22) 각각에서 온 서브 픽셀이 R, W, G, B의 서브 픽셀 순으로 변경된다. In the case of FIG. 14, as time elapses, the subpixels from each of the three off pixels P12, P21, and P22 are changed in the order of R, W, G, and B subpixels.

만약, 시간 경과에 따라 오프 서브 픽셀 또는 온 서브 픽셀의 위치를 변경하지 않고 고정한다면, 오프 서브 픽셀에 비해, 온 서브 픽셀은 구동 시간이 길어져, 열화가 더욱 심하게 진행되어, 온 서브 픽셀 내 회로의 소자 수명이 더욱 많이 줄어들 것이다.If the position of the off-subpixel or the on-subpixel is fixed without changing the position over time, compared to the off-subpixel, the driving time of the on-subpixel becomes longer and the deterioration proceeds more severely. The device life will be further reduced.

하지만, 시간 경과에 따라 오프 서브 픽셀 또는 온 서브 픽셀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오프 서브 픽셀 비율(Off Sub Pixel Rate)이 일정하여 소비 전력의 감소량(절전량)이 동일하더라도, 각 서브 픽셀에 형성된 소자들의 열화 정도를 어느 정도 분산시켜 균등하게 해줄 수 있고, 이로 인해, 각 서브 픽셀에 형성된 소자들의 수명을 균등하게 해줌으로써, 전체적인 소자 수명을 늘려줄 수 있을 것이다.However,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off sub-pixel or the on-sub-pixel over time, the device formed in each sub-pixel is the same even if the off-sub-pixel rate is constant and the amount of reduction in power consumption (power saving amount) is the same. The degree of deterioration of the fields can be distributed to some extent to make them even, and thus, the lifetime of the elements formed in each sub-pixel can be made equal, thereby increasing the overall life of the elements.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이상에서 전술한 절전 구동(Power Saving Drive)은, 타이밍 컨트롤러(140)에서 수행될 수 있다. The power saving drive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4 may be performed by the timing controller 140.

도 15는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의 모드를 절전 모드로 변경하는 방식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changing a mode of the display device 100 to a power saving mode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절전 구동(Power Saving Drive)은, 모드가 일반 모드에서 절전 모드로 변경된 경우, 절전 모드 구간의 전체 시간 또는 일부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5, when a mode is changed from a normal mode to a power saving mode, the power saving dri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may be performed for the entire time or for a portion of the power saving mode period.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절전 구동(Power Saving Drive)은, 절전 모드 신호가 발생하여 모드가 일반 모드에서 절전 모드로 변경되면, 수행된다. Referring to FIG. 15, a power saving dri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is performed when a power saving mode signal is generated and the mode is changed from a normal mode to a power saving mode.

도 15를 참조하면,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절전 모드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된 절전 모드 신호에 따라 절전 모드로 변경되면, 각 단위 영역(UA)에 형성된 둘 이상의 픽셀 중 적어도 하나가 오프 픽셀이 되도록 하는 절전 구동 제어(Power Saving Drive Control)를 수행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5, when the timing controller 140 receives a power saving mode signal and changes to a power saving mode according to the input power saving mode signal, at least one of two or more pixels formed in each unit area UA is an off pixel. Power Saving Drive Control to achieve this can be performed.

전술한 바와 같이, 타이밍 컨트롤러(140)가 절전 구동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기본적으로 수행하는 패널 구동 제어와 연계하여, 효율적인 절전 구동 제어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timing controller 140 performs power saving driving control, it is possible to enable efficient power saving driving control in connection with the panel driving control that is basically performed.

한편, 도 15를 참조하면,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절전 모드 신호를 센서(1510)로부터 입력받을 수도 있고, 리모컨 등의 입력장치(1520)로부터 입력받을 수도 있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15, the timing controller 140 may receive a power saving mode signal from the sensor 1510 or from an input device 1520 such as a remote control.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의 타이밍 컨트롤러(140)와 연동하는 센서(1510)는, 표시장치(100)에 장착될 수 있으며, 센싱 동작으로 통해, 일반 모드에서 절전 모드로 모드를 변경시키는 절전 모드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The sensor 1510 interlocking with the timing controller 140 of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may be mounted on the display device 100 and changes the mode from a normal mode to a power saving mode through a sensing operation. It can generate a power-saving mode signal.

이와 같이, 센서(1510)를 이용하여, 절전 모드로의 모드 변경을 제공하는 경우, 절전 모드를 자동으로 트리거 시켜, 자동화된 절전 구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In this way, when a mode change to the power saving mode is provided using the sensor 1510, the power saving mode is automatically triggered, thereby enabling an automated power saving operation.

이는, 사용자가 주변에 없거나 시청하지 않는 상황에서, 절전 모드로 변경하여 절전 구동을 하는 본 실시예들에 부합되는 측면이 있다. This has an aspect consistent with the present embodiments in which the user changes to a power saving mode and performs power saving driving in a situation where the user is not around or does not watch.

즉, 사용자가 주변에 없거나 시청하지 않는 상황의 경우, 절전 모드 변경 시점에서, 절전 모드 변경 및 절전 구동을 위한 사용자 입력이 없기 때문에, 센서(1510)를 이용한 자동화된 절전 모드 트리거와 그에 따른 절전 구동이 매우 효과적일 것이다. That is, in the case of a situation where the user is not around or is not watching, at the time of the power saving mode change, there is no user input for changing the power saving mode and driving the power saving, so an automated power saving mode trigger using the sensor 1510 and power saving driving accordingly This would be very effective.

물론, 도 1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리모컨 등의 입력장치(1520)를 통해 절전 모드로 모드 변경을 하는 사용자 입력을 발생시키고, 이에 따라, 입력장치(1520)는, 사용자 입력에 의한 절전 모드 설정 정보에 따라, 절전 모드 신호를 발생시켜 타이밍 컨트롤러(140)로 출력함으로써, 절전 모드를 수동으로 트리거 시킬 수 있을 것이다. Of course, referring to FIG. 15, a user generates a user input for changing the mode to a power saving mode through an input device 1520 such as a remote control, and accordingly, the input device 1520 sets a power saving mode according to a user input.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by generating a power saving mode signal and outputting it to the timing controller 140, the power saving mode may be manually triggered.

또한, 도 1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리모컨 등의 입력장치(1520)를 통해 절전 모드로 모드를 변경하고자 하는 예약 시간을 절전 모드 설정 정보로서 설정해두면, 표시장치(100)는 절전 모드 설정 정보에 따라, 해당 예약 시간에 절전 모드로 모드를 변경하면서, 절전 모드 신호를 발생시켜 타이밍 컨트롤러(140)로 출력함으로써, 절전 모드를 수동으로 트리거 시킬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15, if the user sets a reservation time for changing the mode to the power saving mode through an input device 1520 such as a remote control as power saving mode setting information, the display device 100 may display the power saving mode setting information. Accordingly, while changing the mode to the power saving mode at the corresponding reservation time, the power saving mode signal is generated and output to the timing controller 140, thereby manually triggering the power saving mode.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리모컨 등의 입력장치(1520)를 통해, 절전 모드로 모드를 바로 변경하기 위한 입력을 하거나, 원하는 예약 시간에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입력을 하는 경우, 입력에 따른 절전 모드 설정에 의해 절전 모드 신호가 발생하여, 절전 모드를 수동으로 트리거 시켜, 절전 구동이 일어나도록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inputs to change the mode directly to the power saving mode through the input device 1520 such as a remote control or inputs to change the mode at a desired reservation time, the power saving mode according to the input By setting, a power saving mode signal is generated, and the power saving mode can be manually triggered to cause power saving driving.

이는, 사용자 자신이 원하는 시간에 맞추어 매뉴얼 방식으로 절전 모드를 트리거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is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trigger the power saving mode in a manual manner according to a time desired by the user.

도 16 내지 도 18은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에서, 센서(1510)를 이용하여 절전 모드로 변경하는 방식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16 to 18 are diagrams illustrating a method of changing to a power saving mode using a sensor 1510 in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도 16을 참조하면, 표시장치(100)에 장착된 센서(1510)는, 표시장치(100)에서 표시되는 화상을 시청하는 사용자(1500)가 주변에 있는지 없는지를 센싱하거나, 주변에 있는 사용자(1500)가 화상을 시청하는지를 센싱하여, 그 결과, 주변에 사용자가 없어졌다고 판단되거나, 주변에 있는 사용자가 시청을 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절전 모드 신호를 발생시켜 타이밍 컨트롤러(140)로 출력한다. Referring to FIG. 16, a sensor 1510 mounted on the display device 100 senses whether or not a user 1500 viewing an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00 is nearby or a nearby user ( 1500) senses whether or not the image is viewed, and as a resul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n the vicinity has disappeared or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n the vicinity is not watching, a power saving mode signal is generated and output to the timing controller 140.

본 실시예들에서 센서(1510)는, 열 센서, 적외선 센서, 포토 센서, 거리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s, the sensor 15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hermal sensor, an infrared sensor, a photo sensor, and a distance sensor.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센서(1510)는, 센싱 데이터를 토대로 일정 거리 이내에 사용자(1500)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일정 거리 이내에 사용자(1500)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절전 모드 신호를 출력한다. In more detail, the sensor 151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1500 exist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based on the sensing data,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1500 exist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outputs a power saving mode signal.

예를 들어, 센서(1510)가 열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인 경우, 센서(1510)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 데이터로부터 체온을 탐색하여 사용자 존재를 알 수 있으며, 사용자가 없어졌다고 판단되면, 절전 모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sensor 1510 is a thermal sensor or an infrared sensor, the sensor 1510 can detect the user's presence by searching for body temperature from the sensing data, as shown in FIG. 17, and determine that the user has disappeared. If so, a power saving mode signal can be output.

또한, 센서(1510)는, 사용자(1500)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사용자(1500)의 시청 유무를 판단하고, 사용자(1500)가 시청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절전 모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nsor 1510 may sense the movement of the user 1500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1500 is watching,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1500 is not watching, may output a power saving mode signal.

예를 들어, 센서(1510)가 포토 센서인 경우, 센서(1510)는, N-1번째 이미지(1810)를 얻은 후, N번째 이미지(1820)를 얻고, 두 이미지(1810, 1820)의 차이값(1830)을 계산하여, 사용자의 존재 여부나, 사용자의 눈 깜박거림, 숨 쉬는 모습 등의 미세한 움직임 계산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없어졌다고 판단되거나, 사용자가 시청을 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절전 모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sensor 1510 is a photosensor, the sensor 1510 obtains the N-1th image 1810, then the Nth image 1820,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images 1810 and 1820. By calculating the value 1830,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user, the user's blinking, breathing, etc.,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disappeared or that the user is not watching , Can output power saving mode signal.

이에 따라, 표시장치(100)에서 표시되는 화상을 시청하는 사용자(1500)가 없어졌거나 시청을 하지 않는 경우, 해당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구동과, 이에 따른 소비 전력은 불필요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소비 전력을 줄여주고, 불필요한 디스플레이 구동에 따른 소자 열화를 줄여주며, 그 결과 소자 수명을 늘려주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ly, when the user 1500 viewing an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00 disappears or does not view the image, driving a display for displaying the image and power consumption accordingly may be unnecessary. In this situation,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reducing device deterioration due to unnecessary display driving, and consequently extending device life.

한편, 표시장치(100)에서 표시되는 화상을 시청하는 사용자(1500)가 없어지거나 시청을 하지 않는 상황이더라도, 사용자(1500)가 다시 돌아오거나 다시 시청을 할 수도 있기 때문에, 완전한 전원 오프를 하거나 일반적인 절전 모드(Sleep Mode)로 동작하게 하지 않고, 어느 정도의 해상도를 떨어뜨리면서, 표시패널(110)에서의 일부 픽셀만 구동시키는 절전 구동(Power Saving Drive)를 하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even in a situation where the user 1500 watching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00 disappears or does not view the image, the user 1500 may return or watch again. A power saving drive is performed in which only some pixels in the display panel 110 are driven without operating in a sleep mode, but a certain degree of resolution is deteriorated.

한편, 경우에 따라서, 사용자가 주변에서 없더라도, 멀리 있는 사용자가 표시장치(100)를 볼 수도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들에 따른 절전 구동을 통해, 단위 영역 사이즈, 오프 픽셀 비율 및 오프 서브 픽셀 비율 등을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멀리서 봤을 때에는, 육안으로, 큰 해상도 저하가 없도록 해줄 수 있을 것이다. Meanwhile, in some cases, even if a user is not in the vicinity, a distant user may view the display device 100, so the unit area size, the off-pixel ratio, and the off-sub-pixel ratio are performed through power saving driving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By setting the lights appropriately, it will be possible to ensure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eterioration in resolution to the naked eye when viewed from a distance.

이러한 점은, 표시장치(100)가 거실에 설치되어 있고, 다른 공간(예: 부엌, 욕실 등)에 있는 사용자가 표시장치(100)를 시청하는 경우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may be utilized when the display device 100 is installed in a living room and a user in another space (eg, a kitchen, a bathroom, etc.) watches the display device 100.

또한, 표시장치(100)가 역, 터미널 등의 공공 장소에 설치된 퍼블릭 표시장치(Public Display Device)인 경우, 장시간 켜져 있고, 멀리서 시청하는 사용자가 많기 때문에, 본 실시예들에 따른 절전 구동을 통해, 단위 영역 사이즈, 오프 픽셀 비율 및 오프 서브 픽셀 비율 등을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멀리서 봤을 때에는, 육안으로, 큰 해상도 저하가 없도록 해줄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when the display device 100 is a public display device installed in a public place such as a station or a terminal, since it is turned on for a long time and there are many users watching from a distance, the power saving dri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By appropriately setting the unit area size, the off-pixel ratio, and the off-sub-pixel ratio, etc., when viewed from a distance, it will be possible to prevent a large decrease in resolution with the naked eye.

이상에서 설명한 모든 내용의 절전 구동 제어는, 타이밍 컨트롤러(14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타이밍 컨트롤러(140)에 대하여, 다시 한번, 도 19를 참조하여, 간략하게 표시한다. All of the above-described power saving driving control may be performed by the timing controller 140. The timing controller 140 is again briefly displayed with reference to FIG. 19.

도 19는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의 절전 구동을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140)의 블록도이다.19 is a block diagram of a timing controller 140 that controls power saving driving of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도 19를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의 절전 구동을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절전 모드가 되면, 각 단위 영역(UA)에 형성된 둘 이상의 픽셀 중 적어도 하나는 오프 시키고 나머지만 온 시키는 절전 구동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절전 제어부(1910)와, 절전 구동 제어 신호에 따라 데이터 구동부(120) 및 게이트 구동부(13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패널 구동 제어부(19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9, when the timing controller 140 for controlling power saving driving of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is in a power saving mode, at least one of two or more pixels formed in each unit area UA is turned off. And a power saving control unit 1910 that outputs a power saving driving control signal that turns on only the rest and a panel driving control unit 1920 that controls at least one of the data driving unit 120 and the gate driving unit 130 according to the power saving driving control signal. Can include.

도 19를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의 절전 구동을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표시패널(110)의 특성(예: 서브 픽셀 내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 이동도 등)을 센싱하여, 그 변화 및 서브 픽셀 간 편차를 보상해주는 보상 데이터를 계산하여, 패널 구동 제어부(1920)를 통해, 데이터 구동부(120)로 입력시켜주는 보상부(19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9, the timing controller 140 for controlling power saving driving of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includes characteristics of the display panel 110 (eg, a threshold voltage of a transistor in a subpixel, a mobility, etc.). A compensation unit 1930 for sensing ), calculating compensation data for compensating for the change and deviation between sub-pixels, and inputting it to the data driving unit 120 through the panel driving control unit 1920 may be further included. .

전술한 바와 같이, 타이밍 컨트롤러(140)가 절전 구동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기본적으로 수행하는 패널 구동 제어와 연계하여, 효율적인 절전 구동 제어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timing controller 140 performs power saving driving control, it is possible to enable efficient power saving driving control in connection with the panel driving control that is basically performed.

절전 제어부(1910)는, 이상에 도면들(특히, 도 2 내지 도 14)을 참조하여 설명한 각종 절전 구동 제어와 관련하여, 각 단위 영역(UA)에서의 전체 픽셀 개수와, 각 단위 영역(UA)에서의 오프 픽셀 비율(Off Pixel Rate)과, 각 단위 영역(UA)에서의 오프 픽셀의 위치와, 각 오프 픽셀에서의 오프 서브 픽셀 비율과, 각 오프 픽셀에서의 오프 서브 픽셀의 위치 등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절전 구동 제어 신호(이는 마스크 신호(Mask Signal)라고도 함)를 출력할 수 있다. The power saving control unit 1910 includes the total number of pixels in each unit area UA and the total number of pixels in each unit area UA in relation to various power saving driving control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especially FIGS. 2 to 14). ), the off-pixel position in each unit area (UA), the off-subpixel ratio in each off-pixel, the off-subpixel position in each off-pixel, etc. A power saving driving control signal (also referred to as a mask signal) for controlling one or more may be output.

절전 제어부(1910)는, 각 단위 영역(UA)에서의 전체 픽셀 개수에 해당하는 단위 영역 사이즈와, 각 단위 영역(UA)에서의 오프 픽셀 비율(Off Pixel Rate)와, 각 오프 픽셀에서의 오프 서브 픽셀 비율(Off Sub Pixel Rate)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The power saving control unit 1910 includes a unit area size corresponding to the total number of pixels in each unit area UA, an off pixel rate in each unit area UA, and an off pixel rate in each unit area UA. At least one of Off Sub Pixel Rate may be controlled.

절전 제어부(1910)는, 절전 모드 구간 동안, 각 단위 영역(UA)에 형성된 둘 이상의 픽셀 중 적어도 하나가 오프 되는 절전 구동이 지속적으로 수행되거나 한 차례 이상 일정 시간 동안만 수행되는 타이밍을 제어할 수도 있다. During the power saving mode period, the power saving control unit 1910 may control a timing in which at least one of two or more pixels formed in each unit area UA is continuously performed or only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during the power saving mode period. have.

도 20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절전 구동을 한 경우와 일반 구동을 한 경우, 표시패널(110)에 표시된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2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110 when power saving driving and normal driving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are performed.

도 20에서는, 표시장치(100)는 UHD(Ultra High Definition) 해상도를 지원하는 장치로 예로 든다. In FIG. 20, the display device 100 is exemplified as a device supporting Ultra High Definition (UHD) resolution.

이에, 표시패널(110)에는 표시패널(110)에는 3840×2160 개의 서브 픽셀(SP)이 존재하고, 3840×2160×4 개의 서브 픽셀(SP)이 존재한다. Accordingly, in the display panel 110, 3840×2160 subpixels SP exist in the display panel 110, and 3840×2160×4 subpixels SP exist.

도 20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 단위 영역(UA)은 2×2의 단위 영역 사이즈(UA Size)이고, 각 단위 영역(UA)에서의 오프 픽셀 비율(Off Pixel Rate)은 3/4인 것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표시패널(110)에는, 1/4×3840×2160 개의 단위 영역(UA)이 존재한다. In FIG. 20,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each unit area UA is a unit area size of 2×2, and an off pixel rate in each unit area UA is 3/4. Is assumed to be. Accordingly, in the display panel 110, there are 1/4×3840×2160 unit areas UA.

도 20을 참조하면, 일반 구동을 한 경우, 3840×2160 개의 픽셀이 모두 구동되지만, 절전 구동을 한 경우, 1/4×3840×2160 (=1920×1080) 개의 픽셀만 구동된다. Referring to FIG. 20, when normal driving is performed, all 3840×2160 pixels are driven, but when power saving driving is performed, only 1/4×3840×2160 (=1920×1080) pixels are driven.

따라서, 일반 구동의 경우, 기본적으로 지원하는 UHD 해상도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하지만, 절전 구동의 경우, UHD 해상도의 1/4에 해당하는 FHD(Full High Definition) 해상도로 화상을 표시한다. 즉, 절전 구동 시, 화질의 선명도가 1/4로 줄어든다. Therefore, in the case of normal driving, images can be displayed in UHD resolution that is basically supported. However, in the case of power saving driving, an image is displayed in full high definition (FHD) resolution equivalent to 1/4 of the UHD resolution. That is, during power saving operation, the sharpness of image quality is reduced to 1/4.

이와 같이, 절전 구동을 하게 되면, 해상도의 저하가 발생한다. In this way, when power saving driving is performed, a decrease in resolution occurs.

그럼에도, 시청자가 멀리 있는 경우, 일반 구동을 한 경우의 화면(2010)과 절전 구동을 한 경우의 화면(2020)에 대하여, 해상도 차이를 육안으로 크게 인지하지 못할 수 있다. Nevertheless, when the viewer is far away, the difference in resolution may not be significantly perceived by the naked eye for the screen 2010 when the normal driving is performed and the screen 2020 when the power saving driving is performed.

또한, 절전 구동 시, FHD 해상도보다 더 좋은 해상도(예: QHD(Quad High Definition))로 화상을 표시하고자 한다면, 오프 픽셀 비율(Off Pixel Rate)을 줄이는 절전 구동 제어를 수행하면 된다. In addition, if you want to display an image with a higher resolution than the FHD resolution (for example, QHD (Quad High Definition)) during power saving driving, you can perform power saving driving control to reduce the off pixel rate.

이상에서 설명한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소비 전력을 줄여주는 타이밍 컨트롤러(140)와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100)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the timing controller 140 that reduces power consumption and the display device 100 including the same.

또한,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소자 열화를 줄여주고 소자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타이밍 컨트롤러(140)와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100)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s,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timing controller 140 capable of reducing device deterioration and extending a device lifetime, and a display device 100 including the same.

또한,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육안으로 큰 화질 저하 없이 소자 열화를 줄여주고 소자 수명을 연장하며 소비 전력도 줄여줄 수 있는 절전 구동을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140)와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100)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the timing controller 140 for controlling power saving driving capable of reducing device deterioration, extending device life, and reducing power consumption without significant deterioration of image quality to the naked eye, and the display device 100 including the same. ) Has the effect of providing.

이러한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일 예로, 텔레비전, 노트북, 모바일 단말, 전광판 등의 다양한 모델에 적용될 수 있다.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s may be applied to various models such as a television, a notebook computer, a mobile terminal, and an electric sign.

이상에서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결합, 분리, 치환 및 변경 등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description above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ombinations of configurations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such as separation, substitution, and alteration, will be possible.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the technical idea,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표시장치
110: 표시패널
120: 데이터 구동부
130: 게이트 구동부
140: 타이밍 컨트롤러
100: display device
110: display panel
120: data driver
130: gate driver
140: timing controller

Claims (18)

다수의 데이터 라인 및 다수의 게이트 라인이 형성되고, 다수의 픽셀이 형성된 표시패널;
상기 다수의 데이터 라인을 구동하는 데이터 구동부;
상기 다수의 게이트 라인을 구동하는 게이트 구동부; 및
상기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게이트 구동부를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둘 이상의 픽셀이 형성된 영역을 하나의 단위 영역으로 하여, 해상도 또는 절전량에 따라 상기 단위 영역 사이즈 및 각 단위 영역에서의 오프 픽셀 비율을 변경하며,
동일 시점에서, 상기 단위 영역 간 오프 픽셀의 위치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A display panel on which a plurality of data lines and a plurality of gate lines are formed, and a plurality of pixels are formed;
A data driver driving the plurality of data lines;
A gate driver driving the plurality of gate lines; And
A timing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data driver and the gate driver,
Using an area in which two or more pixels are formed as one unit area, the unit area size and the off-pixel ratio in each unit area are changed according to resolution or power saving amount,
At the same time, the positions of the off-pixels between the unit region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위 영역은,
i개의 행과 j개의 열로 이루어진 i×j 개의 픽셀이 형성된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Each of the unit areas,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n area in which i×j pixels consisting of i rows and j columns are form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시간 경과에 따라, 상기 각 단위 영역에서의 오프 픽셀 또는 온 픽셀의 위치는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s time elapses, positions of off-pixels or on-pixels in each unit area are changed.
제1항에 있어서,
시간 경과에 따라, 상기 각 단위 영역에서의 오프 픽셀 비율은, 일정하거나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isplay device, wherein the off-pixel ratio in each unit area is constant or changed as time elap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위 영역에서의 각 오프 픽셀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 픽셀은, 모두 오프 서브 픽셀이거나 일부만 오프 서브 픽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plurality of sub-pixels constituting each off-pixel in each unit area are all off-sub-pixels or partially off-sub-pixel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위 영역에서의 각 오프 픽셀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 픽셀이 오프 서브 픽셀과 온 서브 픽셀이 혼합된 경우,
각 오프 픽셀 간의 오프 서브 픽셀 또는 온 서브 픽셀의 위치는, 동일 시점에서,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n a plurality of sub-pixels constituting each off-pixel in each unit area are mixed with an off-subpixel and an on-subpixel,
The display device, wherein the positions of the off sub-pixels or the on sub-pixels between the respective off-pixels ar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t the same viewpoin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위 영역에서의 각 오프 픽셀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 픽셀이 오프 서브 픽셀과 온 서브 픽셀이 혼합된 경우,
시간 경과에 따라, 각 오프 픽셀에서의 오프 서브 픽셀 또는 온 서브 픽셀의 위치는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n a plurality of sub-pixels constituting each off-pixel in each unit area are mixed with an off-subpixel and an on-subpixel,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osition of an off sub-pixel or an on sub-pixel in each of the off-pixels is changed over time.
제1항에 있어서,
절전 모드 신호에 따라 절전 모드로 변경되어 상기 각 단위 영역에 형성된 둘 이상의 픽셀 중 적어도 하나가 오프 픽셀이 되는 절전 구동(Power Saving Drive)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power saving drive is performed in which at least one of two or more pixels formed in each unit area is changed to a power saving mode according to a power saving mode signal.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 모드로 변경시키는 상기 절전 모드 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sensor that generates the power saving mode signal for changing to the power saving mod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센싱 데이터를 토대로 일정 거리 이내에 사용자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일정 거리 이내에 사용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절전 모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The sensor,
A display device comprising: determining whether a user exist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based on sensing data, and outputting the power saving mode sig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exist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상기 사용자의 시청 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가 시청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절전 모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The sensor,
And outputting the power saving mode sig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not watching by sensing the movement of the us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 모드 신호는,
사용자 입력에 의한 절전 모드 설정 정보에 따라 발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The power saving mode signal,
A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generated according to power saving mode set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 user inpu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 모드 신호에 따른 절전 모드 구간 동안, 상기 절전 구동이 지속적으로 수행되거나, 한 차례 이상 일정 시간 동안만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During a power saving mode period according to the power saving mode signal, the power saving driving is continuously performed or is performed only once or mor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삭제delete 삭제delete 둘 이상의 픽셀이 형성된 영역을 하나의 단위 영역으로 설정하고, 동일 시점에서 상기 단위 영역 간 오프 픽셀의 위치가 서로 상이하도록, 해상도 또는 절전량에 따라 상기 단위 영역의 사이즈 및 각 단위 영역에서의 오프 픽셀 비율을 변경하는 절전 구동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절전 제어부; 및
상기 절전 구동 제어 신호에 따라 데이터 구동부 및 게이트 구동부 중 적어도 하나로 제어하는 패널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타이밍 컨트롤러.
An area in which two or more pixels are formed is set as one unit area, and the size of the unit area and the off-pixel in each unit area according to resolution or power saving amount so that the positions of off-pixels between the unit area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t the same time point. A power saving control unit outputting a power saving driving control signal for changing a ratio; And
A timing controller including a panel driving control unit controlling at least one of a data driving unit and a gate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power saving driving control signal.
KR1020140108115A 2014-08-20 2014-08-20 Display device and timing controller KR1022286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115A KR102228626B1 (en) 2014-08-20 2014-08-20 Display device and timing control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115A KR102228626B1 (en) 2014-08-20 2014-08-20 Display device and timing controll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2958A KR20160022958A (en) 2016-03-03
KR102228626B1 true KR102228626B1 (en) 2021-03-17

Family

ID=55535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8115A KR102228626B1 (en) 2014-08-20 2014-08-20 Display device and timing controll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8626B1 (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5092B1 (en) * 2000-07-04 2002-05-04 구자홍 Drive Control Method for Display Device
KR101354377B1 (en) * 2006-12-29 2014-01-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riving circuit of liquid crystal display
US8610705B2 (en) * 2007-11-12 2013-12-17 Lg Display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476882B1 (en) * 2012-02-06 2014-12-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Liquid crystal display and frame rate control method thereof
KR101526351B1 (en) * 2012-07-20 2015-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2958A (en) 2016-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0765B1 (en) Display device, driving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display device
US9659517B2 (en) Converting system and converting method of three-color data to four-color data
KR102607397B1 (en) Power Control Circuit For Display Device
US9530380B2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9711080B2 (en) Timing controller, driv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TW201419258A (en) Content-based adaptive refresh schemes for low-power displays
US10019961B2 (en) Display device
JP2007108615A (en) Electro-optical device, method of driving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US20140375627A1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9384714B2 (en) Display device
US10902764B2 (en)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three-color and four-color pixel display panel
WO2019187062A1 (en) Method for driving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KR20180033001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data driver, and low power driving method
US2015013086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KR102582287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256025B1 (en) De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361445B1 (en) Display device, display panel and timing controller thereof
KR20190016831A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102244243B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panel
KR102237388B1 (en) Display device
KR102520697B1 (en) Display device using subpixel rendering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hereof
JP2017151211A (en) Display device
KR102228626B1 (en) Display device and timing controller
US9916810B2 (en) Method of driving a display apparatus
KR102170549B1 (en)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