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7427B1 - Cleaning robot, home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leaning robot, home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7427B1
KR102227427B1 KR1020190174635A KR20190174635A KR102227427B1 KR 102227427 B1 KR102227427 B1 KR 102227427B1 KR 1020190174635 A KR1020190174635 A KR 1020190174635A KR 20190174635 A KR20190174635 A KR 20190174635A KR 102227427 B1 KR102227427 B1 KR 102227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mage
map
home
cleaning rob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46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02747A (en
Inventor
오희진
김경재
민현석
송성근
이창석
이호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4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7427B1/en
Publication of KR20200002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74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7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74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8Manipulators for service tasks
    • B25J11/0085C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52Elements for displacement of the vacuum cleaner or the accessories therefor, e.g. wheels, casters or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03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an audio-responsive inp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25J19/021Optical sensing devices
    • B25J19/023Optical sensing devices including video camera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B25J9/166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tion, path, trajectory plan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7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safety, monitoring, diagno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9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use of sensors other than normal servo-feedback from position, speed or acceleration sensors, perception control, multi-sensor controlled systems, sensor fusion
    • B25J9/1697Vision controlled system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68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internal positioning means
    • G05D1/0274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internal positioning means using mapping information stored in a memory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70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4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Automatic obstacl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 홈 내에서 본체를 이동시키는 이동 어셈블리; 본체 주변의 영상을 수집하는 영상부; 수집된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홈 내의 맵을 작성하는 제어부; 작성된 맵을 홈 모니터링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홈 내부 구조에 대한 2차원 또는 3차원 맵에 전기기기의 위치와 종류를 매치시키는 과정을 자동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청소 로봇이 청소를 위해 작성한 맵 정보를 홈 관리 시에 이용함으로써 홈 내의 구조를 사실적으로 작성할 수 있고, 룸별로 위치한 전기기기를 자동으로 등록시킬 수 있어 사용자가 일일이 룸별로 위치한 전기기기를 등록해야 하는 등의 UX(User Experience)적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main body; A moving assembly that moves the body within the groove; An image unit for collecting images around the main body; A control unit for creating a map in the home based on the collected image information; It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created map to the home monitoring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e the process of matching the location and type of an electric device to a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map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a groove.
In this way, by using the map information created by the cleaning robot for cleaning at the time of home management, the structure in the home can be realistically created, and electric devices located for each room can be automatically registered, so that the user can select the electric devices located for each room. UX (User Experience) difficulties such as having to register can be solved.

Description

청소 로봇, 홈 모니터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leaning robot, home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Cleaning robot, home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홈 내부의 구조를 획득하기 위한 청소 로봇, 그와 통신하는 홈 모니터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ing robot for acquiring a structure inside a groove, a home monitoring device communicating with the cleaning robot,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홈 모니터링 장치는 홈 내 또는 원격지에서 인터넷(internet)을 통해 홈 내의 상태를 감시하는 장치로, 각 홈 또는 감시 대상지역에 카메라 및 서버를 설치하고, 외부에서 단말기를 통해 서버에 접속하여 각 홈 또는 감시 대상 지역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A home monitoring device is a device that monitors the state of the home through the Internet from within a home or remote location. Cameras and servers are installed in each home or area to be monitored, and connected to the server through a terminal from the outside to each home or It is a device that enables monitoring of the area to be monitored.

최근의 홈 모니터링 장치는 보안과 같은 감시 기능 외에도 홈 내에 마련된 기기의 자동화 및 에너지 절약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스마트 홈 이라고도 한다.In addition to monitoring functions such as security, recent home monitoring devices perform functions related to automation and energy saving of devices provided in the home. This is also called a smart home.

스마트 홈(Smart Home)은 지능적인 집(Intelligent House) 또는 서비스 집(Service House)에 해당되는 개념으로서 가정용 주택이나 건물 내부의 부분적인 자동화를 포함하여 홈 내의 각종 전기 기기 및 전자 기기들이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나아가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되는 것을 말한다.Smart Home is a concept corresponding to an intelligent house or a service house, and various electric devices and electronic devices in the home, including partial automation inside a home house or building, connect the internal network. It means that the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n external network and are controlled through an external network.

또한 스마트 홈은 전력 절감을 위해 전력 사용 현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전력 사용 시간과 사용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o save power, the smart home checks the power usage status in real time so that the power usage time and usage can be adjusted.

홈 모니터링 장치는 홈 내부의 구조에 대한 정보 및 기기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기기들과의 통신을 통해 기기들의 상태를 출력하였으며, 전력 사용량을 계측하여 사용자에게 통지하였다.The home monitoring device receives information on the structure of the home and information about the device from the user, outputs the status of the devices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devices, measures the power consumption, and notifies the user.

이때, 사용자는 홈 내의 구조에 대한 정보 및 기기에 대한 정보를 홈 모니터링 장치에 직접 입력해야 하는 매우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At this time, there is a very cumbersome problem in that the user has to directly input information on the structure of the home and information on the device into the home monitoring device.

*일 측면은 홈 내부를 이동하며 홈 내부의 맵을 작성하고, 홈 내부의 전기기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작성된 맵 정보에 전기기기의 배치 정보를 적용하고, 전기기기의 배치 정보가 적용된 맵 정보를 홈 모니터링 장치로 전송하는 청소 로봇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One side moves the inside of the home to create a map inside the home, applies the arrangement inform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to the map information created by communicating with the electric equipment inside the home, and the map information to which the arrangement inform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is applied. It provides a cleaning robot that transmits to a home monitoring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다른 측면은 청소 로봇과 통신을 수행하여 청소 로봇으로부터 전기기기의 배치 정보가 적용된 맵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맵 정보를 표시하고, 홈 내의 전기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홈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한다.Another aspect provides a home monitoring device that communicates with a cleaning robot to receive map information to which arrangement information of an electric device is applied from the cleaning robot, displays the received map information,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an electric device in a home.

일 측면에 따른 청소 로봇은, 본체; 홈 내에서 본체를 이동시키는 이동 어셈블리; 본체 주변의 영상을 수집하는 영상부; 수집된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홈 내의 맵을 작성하는 제어부; 작성된 맵을 홈 모니터링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A cleaning robot according to an aspect includes: a main body; A moving assembly that moves the body within the groove; An image unit for collecting images around the main body; A control unit for creating a map in the home based on the collected image information; It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created map to the home monitoring device.

통신부는, 본체와 인접한 전기기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전기기기로부터 기본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기본 정보를 제어부에 전송한다.The communication unit performs communication with an electric device adjacent to the main body, receives basic information from the electric device, and transmits the received basic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제어부는, 영상을 영상 처리하고 영상 처리된 영상에서 전기기기를 인식한다.The controller image-processes the image and recognizes the electric device from the image-processed image.

영상부는, 본체의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제1촬영부와 제2촬영부를 포함한다.The imaging unit includes a first photographing unit and a second photographing unit disposed at different positions of the main body.

제1촬영부와 제2촬영부는 2차원 영상을 각각 수집하고, 제어부는, 각각 수집된 2차원이 영상을 영상 처리하여 3차원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3차원 영상에 기초하여 전기기기를 인식하고 인식된 전기기기가 매치된 맵을 작성한다.The first and second imaging units respectively collect 2D images, and the control unit processes each collected 2D image to obtain a 3D image, and recognizes an electric device based on the acquired 3D image. Create a map with the recognized electrical equipment matched.

제1촬영부는 2차원 영상을 수집하고, 제2촬영부는 3차원 영상을 수집하고, 제어부는, 2차원 영상 및 3차원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영상 처리하여 전기기기를 인식하고, 3차원 영상에 기초하여 홈 내의 룸을 구분하여 맵을 작성한다.The first imaging unit collects a 2D image, the second imaging unit collects a 3D image, and the control unit recognizes an electric device by image processing at least one of the 2D image and the 3D image, and the 3D image Create a map by classifying the rooms in the home based on.

제어부는, 전기기기가 인식되면 전기기기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 정보를 맵에 매치시킨다. When the electric device is recognized, the control unit check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ic device and matches the check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map.

청소 로봇은 전기기기의 위치 정보를 3축 값으로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한다.The cleaning robot further includes a storage unit for stor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ic device as a 3-axis value.

청소 로봇은 홈의 바닥 면의 이물질을 수집하는 청소 툴을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현재 모드가 청소 모드이면 이동 어셈블리 및 청소 툴의 동작을 제어하고, 청소를 수행하면서 홈 내의 전기기기를 인식하고 인식된 전기기기가 새로운 전기기기인지 기 등록된 전기기기인지 판단하고 새로운 전기기기라고 판단되면 맵을 업데이트한다.The cleaning robot further includes a cleaning tool that collects foreign matter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and the control unit, when the current mode is a cleaning mode,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moving assembly and the cleaning tool, and recognizes electric devices in the groove while performing cleaning.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recognized electrical device is a new electrical device or a registered electrical device,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it is a new electrical device, the map is updated.

청소 로봇은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인식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인식된 음성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이동 어셈블리를 제어한다.The cleaning robot further includes a voice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a voice,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moving assembly to move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voice.

음성 인식부는, 마이크로폰 어레이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마이크로폰 어레이를 통해 검출된 음성의 위치를 인식한다.The voice recognition unit includes a microphone array, and the control unit recognizes a position of a voice detected through the microphone array.

제어부는, 마이크로폰 어레이를 통해 검출된 음성을 음성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이 지시하는 룸을 판단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The controller further includes recognizing the voice detected through the microphone array and determining a room indicated by the recognized voice.

음성 인식부는, 하나의 마이크로폰을 포함하고, 제어부는, 마이크로폰을 통해 검출된 음성을 음성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이 지시하는 룸을 판단한다.The voice recognition unit includes one microphone, and the control unit recognizes a voice detected through the microphone and determines a room indicated by the recognized voice.

홈 모니터링 장치는, 본체에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대에 위치하고, 홈 내 맵에 매치된 전기기기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The home monitoring device is located on a charging station that supplies power to the main body, and displays information on electric devices matched to a map in the home.

홈 모니터링 장치는, 본체에 위치하고, 홈 내 맵에 매치된 전기기기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The home monitoring device displays information on electric devices that are located in the main body and matched to the map in the home.

통신부는, 본체와 별도로 홈 내에 위치하는 홈 모니터링 장치와 통신을 수행한다. The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es with a home monitoring device located in a home separate from the main body.

다른 측면에 따른 청소 로봇의 제어 방법은, 본체와, 홈 내에서 본체를 이동시키는 이동 어셈블리와, 본체 주변의 영상을 수집하는 영상부를 가지는 청소 로봇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동작 명령이 입력되면 입력된 동작 명령이 맵 작성 모드인지 판단하고, 동작 명령이 맵 작성 모드이면 이동 어셈블리를 동작시켜 홈 내를 이동하고, 홈 내를 이동하면서 본체 주변의 영상을 수집하고, 수집된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홈 내의 맵을 작성하고, 수집된 영상을 영상 처리하여 홈 내의 전기기기를 인식하고, 작성된 맵에 인식된 전기기기를 매치시키고, 전기기기가 매치된 맵을 홈 모니터링 장치로 전송한다. A control method of a cleaning robot according to another aspect is a control method of a cleaning robot having a body, a moving assembly that moves the body within a groove, and an image unit that collects an image around the body. Determine whether the operation command is in the map creation mode, and if the operation command is in the map creation mode, the movement assembly is operated to move within the groove, while moving within the groove, the image around the body is collected, and based on the collected image information, A map is created, the collected images are image-processed to recognize electric devices in the home, match the recognized electric devices to the created map, and the electric devices transmit the matched map to the home monitoring device.

영상을 수집하는 것은, 복수의 2차원 영상을 수집하는 것을 포함한다.Collecting the image includes collecting a plurality of two-dimensional images.

전기기기를 인식하는 것은, 복수의 2차원 영상을 이용하여 3차원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3차원 영상을 이용하여 홈의 룸을 구분하고, 구분된 룸별로 전기기기를 인식하는 것을 포함한다.Recognizing an electric device includes generating a 3D image using a plurality of 2D images, classifying a room of a home using the generated 3D image, and recognizing an electric device for each of the separated rooms.

영상을 수집하는 것은, 2차원 영상과 3차원의 영상을 수집하는 것을 포함한다.Collecting an image includes collecting a two-dimensional image and a three-dimensional image.

전기기기를 인식하는 것은, 3차원 영상을 이용하여 홈의 룸을 구분하고, 2차원 영상 및 3차원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이용하여 전기기기를 인식하되, 룸별로 전기기기를 인식하는 것을 포함한다.Recognizing an electric device includes classifying a room in a home using a 3D image, recognizing an electric device using at least one of a 2D image and a 3D image, and recognizing an electric device for each room. do.

청소 로봇의 제어 방법은 홈 내를 이동하면서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에서 전송된 기본 정보가 수신되는지 판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에서 전송된 기본 정보가 수신되었다고 판단되면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기본 정보와 위치 정보를 맵 정보에 매치시키는 더 포함한다.The control method of the cleaning robot determines whether basic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t least one electric device is received while moving within the home,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basic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t least one electric device is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of at least one electric device And matching basic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at least one electric device with map information.

청소 로봇의 제어 방법은 동작 명령이 청소 모드이면 이동 어셈블리를 동작시켜 홈 내를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수행하고, 청소를 수행하면서 본체 주변의 영상을 수집하고, 수집된 영상을 영상 처리하여 전기기기를 인식하고, 인식된 전기기기가 새로운 전기기기인지 판단하고, 인식된 전기기기가 새로운 전기기기라고 판단되면 인식된 전기기기의 기본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전기기기의 기본 정보 및 위치 정보를 맵에 매치시켜 맵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The control method of the cleaning robot is to operate the moving assembly when the operation command is in the cleaning mode to perform cleaning while moving the inside of the groove, collect images around the main body while performing cleaning, and process the collected images to recognize electrical devices.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recognized electrical device is a new electrical device,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cognized electrical device is a new electrical device, basic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cognized electrical device are checked, and basic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dentified electrical device are checked. And updating the map information by matching the map.

청소 로봇의 제어 방법은 인식된 전기기기가 기 등록된 전기기기라고 판단되면 인식된 전기기기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전기기기의 위치 정보와 기 등록된 전기기기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두 위치 정보가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두 위치 정보가 불일치하면 전기기기의 위치 정보를 확인된 위치 정보로 재저장하여 맵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The control method of the cleaning robot is to check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cognized electric devic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ecognized electric device is a registered electric device, and compar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dentified electric device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gistered electric device. It further includes determining whether the location information matches, and if the two location information does not match, resto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ic device as the confirmed location information to update the map information.

청소 로봇의 제어 방법은 업데이트된 맵 정보를 홈 모니터링 장치로 재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The control method of the cleaning robot further includes retransmitting the updated map information to the home monitoring device.

전기기기를 인식하는 것은, 홈 내를 이동하면서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에서 전송된 기본 정보가 수신되는지 판단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Recognizing the electric device further includes determining whether basic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at least one electric device is received while moving within the home.

또 다른 측면에 따른 홈 모니터링 장치는 청소 로봇으로부터 홈 내 전기기기의 위치 정보가 매치된 맵 정보를 수신하고, 홈 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수신된 맵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맵 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a home monitoring apparatus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receive map information in which location information of electric devices in a home is matched from a cleaning robot and communicate with at least one electric device disposed in the hom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at least one electric device based on the received map information; And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map information and operation information of at least one electric device.

맵 정보는 룸별 전기기기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룸별 전기기기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룸별 소비 전력을 제어한다.The map information includes location information of electric devices for each room, and the controller controls power consumption for each room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ic devices for each room.

홈 모니터링 장치는 미 등록된 전기기기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한다.The home monitoring apparatus further includes an input unit for receiving information on unregistered electric devices.

홈 모니터링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에 대한 동작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동작을 제어한다.The home monitoring apparatus further includes an input unit for receiving operation information on at least one electric device,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t least one electric device.

일 측면에 따르면 청소 로봇을 이용하여 홈 내의 맵을 작성하고 이를 홈 모니터링 서비스를 위한 맵으로 활용함으로써, 홈 내부의 맵 입력에 따른 페인 포인트(pain point)를 해결할 수 있고, 사용자가 일일이 룸별로 위치한 전기기기를 등록하는 등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by creating a map in the home using a cleaning robot and using it as a map for home monitoring service,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ain point according to the map input inside the home, and the user can individually locate each room. Difficulties such as registering electric devices can be solved.

또한 홈 내의 전력을 룸별로 독립 또는 유기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스마트 홈을 구축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build a smart home by controlling the power in the home independently or organically for each room.

이 경우, 사용하지 않는 룸에 대한 전력을 줄일 수 있다. 즉, 홈 내부의 전력을 룸별로 관리할 수 있다.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reduce power for the unused room. That is, power inside the home can be managed for each room.

또한 홈 모니터링 장치를 통해 홈 내의 룸별로 배치된 전기기기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the home monitoring device, it is possible to easily identify the electric devices arranged for each room in the home.

또한 청소 로봇은 항상 전원이 인가되어 있는 장치로써, 청소 로봇에 홈 모니터링 장치를 구비시킬 수 있다. 즉 청소 로봇의 충전대에 홈 모니터링 장치를 구비시키거나, 본체에 홈 모니터링 장치를 구비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cleaning robot is a device to which power is always applied, and a home monitoring device may be provided in the cleaning robot. That is, a home monitoring device may be provided on the charging base of the cleaning robot, or a home monitoring device may be provided on the main body.

이와 같이, 청소 로봇에 홈 모니터링 장치를 구비시킴으로써 새로운 형태의 스마트 홈 서비스 구상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t can be expected that a new type of smart home service can be conceived by equipping the cleaning robot with a home monitoring device.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 로봇과, 이 청소 로봇 및 복수의 전기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홈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는 홈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 로봇의 평면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 로봇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 로봇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 로봇의 제어 순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 로봇의 맵 작성 예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 로봇에 의해 작성된 맵 예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홈 모니터링 장치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홈 모니터링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예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홈 모니터링 장치에 마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어 예시도이다.
도 13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청소 로봇의 예시도이다.
도 14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청소 로봇의 예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home service system including a cleaning robo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and a home monitoring device that communicates with the cleaning robot and a plurality of electric devices.
2 is a plan perspective view of a cleaning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cleaning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control configuration diagram of a cleaning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control flowchart of a cleaning robo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reating a map of a cleaning robo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7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map created by a cleaning robo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8 is a control configuration diagram of a home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9 is an example of a user interface of a home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10 to 12 are diagrams illustrating control of a user interface provided in a home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13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cleaning rob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4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cleaning rob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 로봇(100)과, 이 청소 로봇 및 복수의 전기기기(300: 300a, 300b, ... , 300n)와 통신을 수행하는 홈 모니터링 장치(400)를 포함하는 홈 서비스 시스템(1)의 구성도이다.1 is a cleaning robo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a home monitoring device 400 that communicates with the cleaning robot and a plurality of electric devices 300: 300a, 300b, ..., 300n. It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home service system 1.

청소 로봇(100)은 사용자의 청소 명령이 입력되거나 청소 예약 시간이 되면 홈 내의 청소 영역을 스스로 주행하면서 바닥 면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흡입함으로써 청소를 수행한다.When a user's cleaning command is input or a cleaning reservation time is reached, the cleaning robot 100 performs cleaning by inhal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on the floor while traveling by itself while traveling in a cleaning area in the groove.

이러한 청소 로봇(100)은 청소 전 홈 내의 맵을 작성하고 작성된 맵에 기초하여 청소를 수행한다. The cleaning robot 100 creates a map in the groove before cleaning and performs cleaning based on the created map.

청소 로봇(100)은 최초에 한 번 맵을 작성하여 저장하거나, 또는 주기적으로 맵을 작성하여 저장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맵을 작성하여 저장한다. The cleaning robot 100 initially creates and stores a map once, or periodically creates and stores a map, or creates and stores a map according to a user's command.

아울러, 청소 로봇은 청소 모드 시 홈 내의 맵 정보없이 랜덤으로 주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cleaning mode, the cleaning robot may perform cleaning while driving randomly without map information in the home.

청소 로봇(100)은 홈 내의 전기기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전기기기로부터 기기에 대한 기본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전기기기에 대한 기본 정보를 인식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기본 정보는 전기기기의 명칭 등을 포함한다.The cleaning robot 100 may recognize basic information about the electric device by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ic device in the home and receiving basic information about the device from the electric device. Here, the basic information includes the name of the electric device.

청소 로봇(100)은 사용자로부터 청소 종료 명령이 입력되거나, 청소가 완료되었다고 판단되거나 또는 배터리의 양이 기준 양보다 낮아지게 되면 충전대(200)와의 도킹을 수행하고, 도킹이 완료되면 충전대(2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을 수행한다.The cleaning robot 100 performs docking with the charging base 200 when a cleaning end command is input from the us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cleaning is completed, or when the amount of the battery is lower than the reference amount, and when the docking is completed, the charging base 200 It receives power from and performs charging.

여기서 충전대(200)는 외부의 상용 교류 전원과 연결되어 외부의 상용 교류 전원을 공급받고 외부에서 공급된 상용 교류 전력을 변환하는 트랜스포머와, 변환된 전력을 반파 정류 또는 전파 정류하는 정류부와, 정류된 전력을 평활하는 평활부와, 평활된 전력을 일정 전압을 가진 직류 전력으로 출력하는 전압조절부를 포함하고, 전압 조절부에서 출력된 직류 전력을 전원 단자를 통해 청소 로봇(100)에 공급한다.Here, the charging base 20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commercial AC power source to receive external commercial AC power and a transformer that converts commercial AC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a rectifier for half-wave or full-wave rectification of the converted power, and a rectified A smoothing unit for smoothing power and a voltage adjusting unit for outputting the smoothed power as DC power having a predetermined voltage, and supplying DC power output from the voltage adjusting unit to the cleaning robot 100 through a power terminal.

또한 충전대(200)는 청소 로봇(100)과의 도킹을 위한 도킹 신호를 청소 로봇(100)과 송수신하는 도킹 통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harging base 200 further includes a docking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that transmits and receives a docking signal for docking with the cleaning robot 100 with the cleaning robot 100.

복수의 전기기기(300: 300a, 300b, ... , 300n)는 홈 내에 배치되고 통신 가능한 기기로, 홈 내에서 미리 정해진 고유 기능 및 부가 기능을 수행하는 가전기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가전기기는, 조명, 텔레비전, 공기조화기, 냉장고, 세탁기 등을 포함한다.The plurality of electric devices 300 (300a, 300b, ..., 300n) are devices disposed in a home and capable of communicating, and include home appliances that perform predetermined unique functions and additional functions within the home. For example, home appliances include lighting, televisions, air conditioners, refrigerators, washing machines, and the like.

또한 복수의 전기기기는 방범 등을 위한 감시 장치(미도시), 보일러와 같은 난방 장치 및 가스 밸브 등을 더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electric devices further include a monitoring device (not shown) for crime prevention, a heating device such as a boiler, and a gas valve.

이러한 복수의 전기기기(300: 300a, 300b, ... , 300n)는 주기적으로 기본 정보를 외부로 각각 송신하고, 홈 모니터링 장치(400)와 통신을 수행하여 홈 모니터링 장치(400)로 동작 정보를 각각 전송한다. 여기서 기기에 대한 기본 정보는, 명칭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Such a plurality of electric devices (300: 300a, 300b, ..., 300n) periodically transmits basic information to the outside, and communicates with the home monitoring device 400 to transmit operation information to the home monitoring device 400. Respectively. Here, the basic information about the device includes information such as a name.

또한 각 전기기기(300)는 홈 모니터링 장치(400)로부터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수신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동작을 수행한다.In addition, when a control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home monitoring device 400, each electric device 300 performs an operation based on the received control command.

전기기기는 기본 정보 등이 기록된 NFC 또는 RFID 태그 등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electric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NFC or RFID tag on which basic information or the like is recorded.

홈 모니터링 장치(400)는 스마트 홈 솔루션을 각 홈에 적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중심으로 조명제어, 가스 밸브 제어, 난방 제어, 에너지 사용량 정보 조회, 에너지 관리 및 기기 제어 등 홈 컨트롤 기능 외에, 방범, 방문자 확인, 통화, 문열림, 출입 관리 및 이벤트 통보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The home monitoring device 400 applies a smart home solution to each home, centering on a user interface, in addition to home control functions such as lighting control, gas valve control, heating control, energy usage information inquiry, energy management and device control, etc. It performs various functions such as confirmation, call, door opening, access management, and event notification.

이러한 홈 모니터링 장치(400)는 청소 로봇(100)과 복수의 전기기기(300: 300a, 300b, ... , 300n)와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홈 모니터링 장치(400)는 방범 등의 감시를 위한 장치와도 통신을 수행한다.The home monitoring device 400 communicates with the cleaning robot 100 and a plurality of electric devices 300 (300a, 300b, ..., 300n). In addition, the home monitoring device 400 also communicates with a device for monitoring security or the like.

홈 모니터링 장치(400)는 청소 로봇(100)으로부터 홈 내의 맵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이 정보들을 표시한다. 여기서 맵 정보 내에는 전기기기의 위치 정보가 매치되어 있다.The home monitoring device 400 receives map information in the home and location information of at least one electric device from the cleaning robot 100 and displays the information. Her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ic device is matched in the map information.

홈 모니터링 장치(400)는 복수의 전기기기(300: 300a, 300b, ... , 300n)로부터 동작 정보를 수신받고, 복수의 전기기기(300: 300a, 300b, ... , 300n) 중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로 제어 명령을 전송한다. The home monitoring device 400 receives operation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electric devices (300: 300a, 300b, ..., 300n), and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electrical devices (300: 300a, 300b, ..., 300n) It transmits control commands to one electric device.

여기서 제어 명령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명령이거나, 또는 홈 내의 전력 상태에 기초하여 결정된 명령이다.Here, the control command is a command input by a user or a command determined based on the power state in the home.

청소 로봇(100)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cleaning robot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도 2는 청소 로봇의 평면 사시도이고, 도 3은 청소 로봇의 저면 사시도이다.2 is a plan perspective view of the cleaning robot, and FIG. 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cleaning robot.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 로봇(100)은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10)와, 본체(110)의 전면에 장착되어 장애물과 충돌 시 충격을 완화시키는 범퍼(111)와, 본체(110)의 상부에 장착되어 동작 정보 및 예약 정보 등을 입력받고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20)와, 본체(110)의 상부에 일체로 고정 장착되어 청소 영역 내 본체 주변의 영상을 수집하는 복수의 영상부(130: 131, 132)와, 충전대(200)와 같은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14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cleaning robot 100 includes a main body 110 forming an external appearance, a bumper 111 that is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to alleviate an impact when colliding with an obstacle, and the main body 110. ), a user interface 120 that receives operation information and reservation information and displays operation information, and a plurality of units that are integrally fixedly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10 to collect images around the main body in the cleaning area. The image unit 130 (131, 132) and a communication unit 140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such as the charging base 200.

여기서 수집된 영상은, 홈 내의 맵을 작성하고 홈 내의 전기기기를 인식하는데 이용되는 영상이다. 아울러, 수집된 영상은 청소 모드 시 본체의 위치 인식 및 장애물 검출에 이용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images collected here are images used to create a map in the home and to recognize electric devices in the home. In addition, the collected image may be used to recognize the location of the main body and detect obstacles in the cleaning mode.

아울러 영상부는 제1촬영부(131)와 제2촬영부(132)를 포함하며, 제1촬영부(131)와 제2촬영부(132)는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전후로 배치되어 있으나,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좌우로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image unit includes a first photographing unit 131 and a second photographing unit 132, and the first photographing part 131 and the second photographing part 132 are arranged back and forth based on the driving direction, but the driving direction It is also possible to arrange it left and right based on.

범퍼(111)는 본체(110)의 후면에 더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bumper 111 may be further mounted on the rear of the body 110.

청소 로봇(100)은 본체(110)의 후방에 마련되되 메인 청소 툴의 주변에 마련되어 메인 청소 툴(170)을 통해 집진된 먼지 등의 이물질을 모으는 집진부(112)를 더 포함한다.The cleaning robot 100 further includes a dust collecting unit 112 provided at the rear of the main body 110 and provided around the main cleaning tool to collect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collected through the main cleaning tool 170.

청소 로봇(100)은 본체(110)의 전면 및 좌우 측면에 장착되어 청소 로봇의 전방 및 좌우 측방에 위치한 장애물을 검출하는 장애물 검출부(151)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cleaning robot 100 may further include an obstacle detection unit 151 mounted on the front and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body 110 to detect obstacles located in the front and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leaning robot.

아울러 청소 로봇은 장애물 검출부(151)에 검출된 장애물 검출 신호를 맵 작성에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청소 로봇은 소파나 식탁 등과 같은 가구를 장애물로 인식한 후 이를 맵에 적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cleaning robot may use the obstacle detection signal detected by the obstacle detection unit 151 to create a map. For example, a cleaning robot may recognize furniture such as a sofa or a dining table as an obstacle and apply it to a map.

청소 로봇은 본체에 마련되고, 홈 내의 소리를 검출하는 소리 검출부(153)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소리는 사용자의 음성을 포함한다.The cleaning robot may be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further include a sound detection unit 153 for detecting sound in the groove. Here, the sound includes the user's voic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 로봇(100)은 본체(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본체(110)를 이동시키는 이동 어셈블리(160)와, 본체(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바닥의 먼지를 쓸거나 비산시키고 쓸리거나 비산된 먼지를 흡입하는 청소 툴(170)과, 각 구성부에 구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18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cleaning robot 100 includes a moving assembly 160 installed under the main body 110 to move the main body 110, and a moving assembly 160 installed under the main body 110 to remove dust from the floor. A cleaning tool 170 that sweeps or scatters and sucks the scattered or scattered dust, and a power supply unit 180 that supplies power for driving to each component.

이동 어셈블리(160)는 본체(110)의 중앙 영역을 기준으로 좌우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청소 로봇(100)을 전진, 후진 및 회전시키는 한 쌍의 휠(161, 162)과, 각 휠(161, 162)에 이동력을 인가하는 휠 모터(163, 164)와, 본체(110)의 전방에 설치되어 청소 로봇(100)이 이동하는 바닥 면의 상태에 따라 회전하여 각도가 변화하는 캐스터 휠(165)을 포함한다. The moving assembly 160 includes a pair of wheels 161 and 162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edges based on the central area of the main body 110 to advance, reverse and rotate the cleaning robot 100, and each of the wheels 161 and 162. ) Wheel motors (163, 164) that apply a moving force, and a caster wheel (165) that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main body (110) and rotates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floor surface on which the cleaning robot (100) moves and changes its angle Includes.

여기서 한 쌍의 휠(161, 162)은 본체(110)에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다.Here, the pair of wheels 161 and 162 are disposed symmetrically to each other on the body 110.

캐스터 휠(165)은 청소 로봇(100)의 자세 안정 및 추락 방지 등에 활용되어 청소 로봇(100)을 지지하며, 롤러나 캐스터 형상의 휠로 이루어진다.The caster wheel 165 is utilized for stabilizing the posture of the cleaning robot 100 and preventing fall, and supports the cleaning robot 100, and is made of a roller or caster-shaped wheel.

청소 툴(170, 174)은 본체(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바닥의 먼지를 쓸거나 비산시키고 쓸거나 비산된 먼지를 흡입하는 메인 브러시 어셈블리(170)와, 본체(110)의 하부에 설치되되 외부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고 메인 브러시 어셈블리(170)에 의해 청소되는 영역과 다른 영역의 먼지를 쓸어 메인 브러시 어셈블리(170)로 전달하는 사이드 브러시 어셈블리(174: 174a, 174b)를 포함한다.The cleaning tools 170 and 174 are installed under the main body 110 to sweep or scatter the dust on the floor, and the main brush assembly 170 to suck the scattered or scattered dust, and the main brush assembly 170, which is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110. It includes side brush assemblies 174 (174a, 174b) installed so as to be protruding to the outside and sweeping dust in a region different from the region cleaned by the main brush assembly 170 and transferring the dust to the main brush assembly 170.

메인 브러시 어셈블리(170)는 본체(110)의 하부의 흡입구(171)에 마련되고 본체(110) 하측의 바닥 먼지를 쓸거나 비산시키는 메인 브러시(172)와, 메인 브러시(172)를 회전시키는 브러시 모터(173)를 포함한다.The main brush assembly 170 is provided in the suction port 171 of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110, and the main brush 172 sweeps or scatters floor dust under the main body 110, and a brush that rotates the main brush 172. Includes a motor 173.

여기서 메인 브러시(172)는 브러시 모터(173)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롤러와, 롤러의 외주면에 장착된 브러시 부재를 포함한다. 즉 브러시 모터(173)의 구동에 의해 메인 브러시(172)의 롤러가 회전하면서, 롤러에 장착된 브러시 부재를 회전시킨다. 이때 메인 브러시(172)의 브러시 부재는 바닥면의 먼지를 흡입구(171)로 보낸다. Here, the main brush 172 includes a roller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brush motor 173 and a brush member mount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ller. That is, while the roller of the main brush 172 rotates by driving of the brush motor 173, the brush member mounted on the roller is rotated. At this time, the brush member of the main brush 172 sends dust from the bottom surface to the suction port 171.

이러한 청소 로봇(100)은 흡입력을 이용하여 먼지 등의 이물질을 집진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cleaning robot 100 may collect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by using a suction force.

즉 메인 브러시 어셈블리(170)는 본체(110) 내부에 마련되되 메인 브러시의 주변에 마련되어 흡입구(171)의 내부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That is, the main brush assembly 170 may be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10, but may further include a suction unit provided around the main brush to generate suction force into the suction port 171.

여기서 흡입부는 송풍기(미도시)를 포함한다. 즉, 메인 브러시 어셈블리(170)의 흡입부는 송풍기의 송풍력을 이용하여 흡입구(171)로 유입된 먼지를 집진부(112)로 안내하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송풍력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Here, the suction unit includes a blower (not shown). That is, the suction unit of the main brush assembly 170 guides dust introduced into the suction port 171 to the dust collecting unit 112 using the blowing force of the blower, and the blowing force can be adjus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사이드 브러시 어셈블리(174)는 본체(110)의 전방 및 사이드 방향의 바닥 먼지와 메인 브러시(172)가 쓸지 못하는 곳의 바닥 먼지를 흡입구(171) 측으로 쓸어 주어 청소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본체(110)의 전면의 좌 측면에 위치한 제1 사이드 브러시 어셈블리(174a)와, 본체(110)의 전면의 우측면에 위치한 제2사이드 브러시 어셈블리(174b)를 포함한다. The side brush assembly 174 is intended to improve cleaning efficiency by sweeping floor dust in the front and side directions of the main body 110 and floor dust in a place where the main brush 172 cannot use to the inlet 171. It includes a first side brush assembly 174a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front of the body 110, and a second side brush assembly 174b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front of the body 110.

이러한 좌우의 제1, 2 사이드 브러시 어셈블리(174a, 174b)는 본체(11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 몸체와,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본체 외부로 돌출 가능한 사이드 암과, 본체(110)의 외부로 돌출 가능한 사이드 암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사이드 브러시를 포함한다.These left and right first and second side brush assemblies 174a and 174b include a body detachably mounted on the body 110, a side arm rotatably mounted on the body and protruding outside the body, and It includes a side brush rotatably mounted on a side arm protruding outward.

아울러, 제1, 2 사이드 브러시 어셈블리(174a, 174b)는 본체(110)의 전면 좌우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사이드 브러시만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side brush assemblies 174a and 174b may include only side brushes rotatably mounted on the front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body 110.

전원부(180)는 본체(110)에 장착된 각종 구성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종 구성부에 구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한다. The power supply unit 180 includes a battery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various constituent units mounted on the main body 110 to supply power for driving to the various constituent units.

여기서 배터리는 재충전이 가능한 2차 배터리로, 두 개의 충전단자(181)를 통해 충전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충전대(2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을 수행한다.Here, the battery is a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y,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ing base 200 through two charging terminals 181 to receive power from the charging base 200 to perform charging.

이러한 청소 로봇(100)은 장애물 검출부(151) 등에서 검출된 장애물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청소 영역을 자동으로 주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의도를 반영하여 청소 영역을 주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한다. The cleaning robot 100 not only performs cleaning while automatically driving the cleaning area based on the obstacle detection signal detected by the obstacle detection unit 151, but also performs cleaning while driving the cleaning area reflecting the user's intention. .

즉 청소 로봇(100)은 자동 모드로 청소 수행 시 장애물 검출부(151)를 통해 청소 영역 내에 설치된 가구나 사무용품, 벽 등의 장애물 및 그 장애물까지의 거리를 확인하고, 그 결과에 따라 이동 어셈블리(160)의 휠(161, 162)을 구동시켜 스스로 방향을 전환해가면서 청소 영역을 청소한다. That is, when cleaning in the automatic mode, the cleaning robot 100 checks the obstacles such as furniture, office supplies, walls, etc. installed in the cleaning area and the distance to the obstacles through the obstacle detection unit 151, and according to the result, the moving assembly 160 By driving the wheels 161 and 162 of the unit, the cleaning area is cleaned while changing the direction by itself.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 로봇의 제어 구성도로, 청소 로봇은 사용자 인터페이스(120), 영상부(130), 통신부(140), 검출부(150) 및 구동모듈(190)을 포함한다.4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cleaning robo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cleaning robot includes a user interface 120, an image unit 130, a communication unit 140, a detection unit 150, and a driving module 190.

사용자 인터페이스(120)는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고 동작 상태 등을 표시한다.The user interface 120 receives a command from a user and displays an operation state.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20)는 청소 예약 정보, 청소 시작/종료, 맵 작성, 운전 모드 및 주행 패턴 등을 입력받는 입력부(121)와, 청소 예약 정보, 충전 상태, 집진 상태, 주행 패턴 및 운전 모드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122)를 포함한다.The user interface 120 includes an input unit 121 that receives cleaning reservation information, cleaning start/end, map creation, driving mode and driving pattern, etc., cleaning reservation information, charging status, dust collection status, driving pattern and driving mode, etc. It includes a display unit 122 that displays.

여기서 운전 모드는 청소 모드, 맵 작성 모드, 대기 모드, 도킹 모드, 예약 모드 등을 포함한다. Here, the driving mode includes a cleaning mode, a map creation mode, a standby mode, a docking mode, a reservation mode, and the like.

사용자 인터페이스(12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 가능하다. 아울러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전원 온 오프 버튼은 터치 스크린과 별도로 마련된 버튼일 수 있다. The user interface 120 can be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In addition, the power on-off button of the user interface may be a button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touch screen.

아울러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입력부(121)는 터치 패드, 표시부(122)는 액정디스플레이(LCD)로 구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input unit 121 of the user interface may be implemented as a touch pad, and the display unit 122 may be implemented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영상부(130)는 본체(110)의 주변 영상을 수집한다. 여기서 영상부(130)의 촬영 방향은 바닥 면과 반대 방향인 상측 방향을 향한다.The imaging unit 130 collects images around the main body 110. Here, the photographing direction of the image unit 130 faces an upward direction opposite to the bottom surface.

이러한 영상부(130)는 맵 작성 모드일 때 홈 내의 맵을 작성하기 위해 본체 주변의 영상을 수집하고, 청소 모드일 때 본체의 위치 정보 및 장애물을 검출하기 위해 본체 주변의 영상을 수집한다.In the map creation mode, the image unit 130 collects images around the main body to create a map in the home, and in the cleaning mode, collects images around the main body to detect location information and obstacles of the main body.

영상부(130)는 제1촬영부(131)와 제2촬영부(132)를 포함한다.The imaging unit 130 includes a first imaging unit 131 and a second imaging unit 132.

제1촬영부(131)와 제2촬영부(132)는 2차원의 컬러 카메라를 각각 포함하고, 2차원의 컬러 카메라를 이용하여 2차원의 컬러 영상을 각각 수집한다. 이때 제1촬영부(131)와 제2촬영부(132)에서 수집된 2차원의 두 영상은 3차원의 영상을 획득하는데 이용된다. The first photographing unit 131 and the second photographing unit 132 each include a two-dimensional color camera, and respectively collect two-dimensional color images using the two-dimensional color camera. At this time, the two-dimensional images collected by the first and second photographing units 131 and 132 are used to acquire a three-dimensional image.

아울러 제1촬영부와 제2촬영부는 적외선(IR:Infra Red) 송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photographing units may include infrared (I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s.

또한 제1촬영부(131)는 2차원의 컬러 카메라를 포함하고, 제2촬영부(132)는 3차원 카메라인 깊이 카메라(Depth Camera)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first photographing unit 131 may include a two-dimensional color camera, and the second photographing unit 132 may include a depth camera that is a three-dimensional camera.

이와 같이 청소 로봇은 적어도 두 개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3차원의 영상을 획득함으로써, 홈 내부 구조를 파악한다.In this way, the cleaning robot obtains a three-dimensional image using at least two cameras to grasp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groove.

아울러 영상부(130)는 맵 작성 모드일 때 제1촬영부(131)와 제2촬영부(132)를 모두 동작시키고, 청소 모드일 때 제1촬영부(131)만을 동작시키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imaging unit 130 may operate both the first and second photographing units 131 and 132 in the map creation mode, and may operate only the first photographing unit 131 in the cleaning mode.

통신부(140)는 도킹 모드 시에 충전대(200)와 통신을 수행한다. The communication unit 140 communicates with the charging station 200 in the docking mode.

아울러 통신부(140)는 청소 로봇의 동작을 조작하는 리모컨(미도시)과 통신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140 may communicate with a remote control (not shown) that manipulates the operation of the cleaning robot.

통신부(140)는 맵 작성 모드 및 청소 모드 시 복수의 전기기기(300)와 통신을 수행한다. 이때 통신부(140)는 전기기기(300)에서 전송된 기본 정보를 수신한다.The communication unit 140 communicates with the plurality of electric devices 300 in the map creation mode and the cleaning mode. 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unit 140 receives basic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electric device 300.

통신부(140)는 홈 모니터링 장치(400)와 통신을 수행하고, 홈 모니터링 장치(400)로 맵 정보를 전송한다.The communication unit 140 communicates with the home monitoring device 400 and transmits map information to the home monitoring device 400.

아울러 통신부(140)는 청소 로봇의 동작 정보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140 may transmit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cleaning robot.

이러한 통신부(140)는 홈 모니터링 장치(400) 및 전기기기(300)와의 통신을 위해, ZigBee, Z-Wave, WiFi, Ethernet 등 다양한 유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을 수행한다. The communication unit 140 performs at least one of various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s such as ZigBee, Z-Wave, WiFi, and Ethernet for communication with the home monitoring device 400 and the electric device 300.

통신부(140)는 도킹 수행을 위해 RF 통신, 적외선 통신, 초음파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을 수행한다.The communication unit 140 performs at least one of RF communication, infrared communication, and ultrasonic communication to perform docking.

통신부(140)는 전기기기에 부착된 NFC, RFID 등의 태그를 판독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태그 내에는 전기기기에 대한 기본 정보 등이 기록되어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40 may read a tag such as NFC or RFID attached to an electric device. In this tag, basic information about electric equipment and the like are recorded.

검출부(150)는 청소 로봇(100)은 본체(110)에 장착되어 청소 영역의 장애물을 검출하기 위한 장애물 검출부(151)와, 본체의 이동 거리를 예측하기 위해 휠 모터(163, 164)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수 검출부(152)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detection unit 150 includes an obstacle detection unit 151 for detecting obstacles in the cleaning area by being mounted on the main body 110, and rotation of the wheel motors 163 and 164 to predict the moving distance of the main body. It is also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 rotation speed detection unit 152 for detecting the number.

즉 청소 로봇(100)은 영상부(130)에서 수집된 영상 정보와, 장애물 검출부(151)에서 검출된 장애물의 검출 정보와, 휠 모터(163, 164)의 회전수 검출 정보들을 이용하여 맵을 생성하고, 청소 모드 시에 생성된 맵을 이용하여 주행하는 것도 가능하다.That is, the cleaning robot 100 uses the imag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imaging unit 130, the obstacle detec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obstacle detection unit 151, and the rotation speed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wheel motors 163 and 164 to generate a map. It is also possible to generate and drive using the generated map in the cleaning mode.

또한 검출부(150)는 홈 내의 소리를 검출하는 소리 검출부(153)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detection unit 150 further includes a sound detection unit 153 that detects sound in the groove.

여기서 소리 검출부(153)는 하나의 마이크로 폰 또는 마이크로폰 어레이(microphone array)를 포함한다.Here, the sound detection unit 153 includes one microphone or a microphone array.

아울러 청소 로봇은 소리 검출부로 마이크로폰과 마이크로폰 어레이를 모두 이용함으로써 청소하고자 하는 위치의 인식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leaning robot can improve the accuracy of recognizing a location to be cleaned by using both a microphone and a microphone array as a sound detection unit.

구동모듈(190)은 정보의 입출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20), 영상 수집 동작을 위한 영상부(130)를 구동시키고,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20)에 입력된 정보, 영상부(130)에 수집된 영상 정보 및 검출부(150)에서 검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 어셈블리(160) 및 청소 툴(170)을 구동시키는 것으로, 제어부(191), 저장부(192) 및 구동부(193, 194)를 포함한다.The driving module 190 drives the user interface 120 for input/output of information and the image unit 130 for an image collection operation, and the information input to the user interface 120 and the image unit 130 are collected. It drives the moving assembly 160 and the cleaning tool 170 based on image information and information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150, and includes a control unit 191, a storage unit 192, and driving units 193 and 194. .

제어부(191)는 현재 모드가 맵 작성 모드이면 이동 어셈블리(160)의 구동을 제어하고 영상부(130)에서 수집된 영상에 기초하여 홈 내의 맵을 작성한다. If the current mode is the map creation mode, the controller 191 controls the driving of the moving assembly 160 and creates a map in the groove based on the image collected by the imaging unit 130.

이때 맵 작성은 제1촬영부(131), 제2촬영부(132), 통신부(140)의 기능에 따라 결정된다. 이와 같은 맵 작성의 예를 설명한다. At this time, the map creation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functions of the first photographing unit 131, the second photographing unit 132, and the communication unit 140. An example of such a map creation will be described.

일 예로, 제어부(191)는 제1촬영부(131)에서 촬영된 2차원 영상 및 제2촬영부(132)에서 촬영된 3차원 영상에 기초하여 룸의 위치를 인식하고, 전기기기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며 전기기기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2차원 영상 또는 3차원 영상을 영상 처리하여 전기기기의 종류 및 위치를 인식하고, 확인된 위치 정보를 맵에 적용하여 홈 내의 맵을 작성한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91 recognizes the location of the room based on the 2D image captured by the first imaging unit 131 and the 3D image captured by the second imaging unit 132, and whether an electric device exist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electrical device exists, the 2D image or the 3D image is image-processed to recognize the type and location of the electrical device, and the identified location information is applied to the map to create a map in the home.

다른 예로, 제어부(191)는 제1촬영부(131)에서 촬영된 2차원 영상과 제2촬영부(132)에서 촬영된 2차원 영상이 수신되면 수신된 두 2차원 영상을 이용하여 3차원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3차원 영상에 기초하여 룸의 위치를 인식하며, 두 2차원의 영상 및 3차원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에 기초하여 전기기기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전기기기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영상 처리하여 전기기기의 종류 및 위치를 인식하고, 확인된 위치 정보를 맵에 적용하여 홈 내의 맵을 작성한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2D image captured by the first imaging unit 131 and the 2D image captured by the second imaging unit 132 are received, the control unit 191 uses the received two 2D images to generate a 3D image. Is generated and the location of the room is recognized based on the generated 3D image, and the existence of an electric device is determine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two 2D and 3D images,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electric device exists At least one image is image-processed to recognize the type and location of the electric device, and the identified location information is applied to the map to create a map in the home.

또 다른 예로, 제어부(191)는 제1촬영부(131)에서 촬영된 2차원 영상 및 제2촬영부(132))에서 촬영된 3차원 영상에 기초하여 룸의 위치를 인식하면서 맵을 작성하고 맵을 작성하면서 주기적으로 전기기기(300)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전기기기(300)로부터 기본 정보가 수신되는지 판단하고 전기기기(300)로부터 기존 정보가 수신된다고 판단되면 수신된 기본 정보를 맵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제어부(191)는 2차원 영상 또는 3차원 영상을 영상 처리하여 전기기기(300)의 위치 정보를 인식한다.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ler 191 creates a map while recognizing the location of the room based on the 2D image captured by the first imaging unit 131 and the 3D image captured by the second imaging unit 132 While creating a map, periodically communicate with the electrical device 300 to determine whether basic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electrical device 300, and apply the received basic information to the map when it is determined that existing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electrical device 300. It is also possible to do it.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91 recogniz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ic device 300 by image-processing the 2D image or the 3D image.

제어부(191)는 통신부(140)로부터 기본 정보를 전송받되, 수신 신호의 크기가 기준 크기 이상인 신호 내의 기본 정보만을 전송받는다.The control unit 191 receives basic information from the communication unit 140, but receives only basic information in a signal having a size of a received signal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size.

아울러 제어부(191)는 통신부(140)를 통해 신호가 수신되면 신호가 수신되는 방향으로 본체(110)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when a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40, the control unit 191 may control the movement of the main body 11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ignal is received.

또 다른 예로, 제어부(191)는 맵 작성 모드 시 영상부(130)에서 수집된 영상 정보 및 통신부(140)에 수신된 전기기기(300)의 기본 정보에 기초하여 맵을 작성하되, 회전수 검출부(152)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룸의 크기나 형상을 예측하고, 장애물 검출부(151)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가구 등과 같은 장애물의 크기, 형상, 위치 등을 예측한 후 예측된 정보를 맵에 적용하여 맵을 작성한다.In another example, the control unit 191 creates a map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image unit 130 and basic information of the electric device 300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140 in the map creation mode,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of 152, the size or shape of the room is predicted, and the size, shape, and location of obstacles such as furniture are predicted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of the obstacle detection unit 151, and the predicted information is transferred to the map. Apply to create a map.

제어부(191)는 맵 작성 모드 시 영상 간에 발생하는 시각 차를 이용하거나, 적외선(IR) 장치에서 송신된 빛이 반사되어 도달하는 시간 차나 빛의 왜곡 정도를 계산하여 홈 내의 공간을 구분한다. The control unit 191 classifies a space in the groove by using a visual difference occurring between images in the map creation mode, or by calculating a time difference or a degree of distortion of light that arrives by reflecting light transmitted from an infrared (IR) device.

제어부(191)는 현재 모드가 청소 모드이면 이동 어셈블리(160) 및 청소 툴(170)의 동작을 제어하여 홈 내의 청소 영역을 청소하도록 한다. If the current mode is a cleaning mode, the controller 191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moving assembly 160 and the cleaning tool 170 to clean the cleaning area in the groove.

제어부(191)는 청소 모드 시 주기적으로 전기기기(300)와 통신을 수행하고, 전기기기(300)로부터 기본 정보가 수신되면 통신 중인 전기기기가 미리 저장된 전기기기인지 판단하고, 미리 저장된 전기기기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새로운 기기로 등록하고, 미리 저장된 전기기기라고 판단되면 전기기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현재 위치 정보와 저장된 위치 정보가 일치하면 해당 전기기기에 대한 인식 과정을 종료하고, 확인된 현재 위치 정보와 저장된 위치 정보가 불일치하면 해당 전기기기의 위치 정보를 다시 저장한다. 즉, 제어부(191)는 저장부(192)에 저장된 정보들을 업데이트한다.The control unit 191 periodically communicates with the electric device 300 in the cleaning mode, and when basic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electric device 300, the control unit 191 determines whether the electric device in communication is a pre-stored electric device, and the previously stored electric device is If it is determined that it is not, it is registered as a new device,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it is a pre-stored electrical device,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ical device is checked. If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stored location information are inconsisten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electric device is stored again. That is, the control unit 191 updates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192.

제어부(191)는 새로운 기기로 등록할 때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 정보와 기본 정보를 함께 저장하고, 새로 등록된 전기기기에 대한 정보를 가진 맵 정보의 전송을 제어한다.When registering as a new device, the controller 191 checks the location information, stores the checked location information and basic information together, and controls the transmission of map information having information on the newly registered electric device.

제어부(191)는 청소 모드 시 저장부에 저장된 맵 정보에 기초하여 청소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고, 또한 주행 패턴에 기초하여 주행하며 청소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주행 패턴은, 미리 정해진 패턴이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패턴이다.In the cleaning mode, the control unit 191 may perform cleaning based on map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may also drive and clean based on a driving pattern. Here, the driving pattern is a predetermined pattern or a pattern selected by a user.

제어부(191)는 청소 모드 시에 사용자의 음성이 검출되면 검출된 음성의 음성 인식을 수행하고, 음성이 인식된 위치로 이동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When a user's voice is detected in the cleaning mode, the controller 191 may perform voice recognition of the detected voice and control movement to a location where the voice is recognized.

이때 음성 인식은, 음성으로부터 룸에 대한 명칭을 인식하거나, 또는 음성이 발화된 위치를 인식하는 것을 포함한다.In this case, the speech recognition includes recognizing the name of the room from the voice or recognizing the location where the voice was uttered.

예를 들어, 제어부(191)는 소리 검출부가 마이크로 폰인 경우, 마이크로 폰을 통해 검출된 음성의 음성 인식을 수행하여 룸의 명칭을 확인하고 확인된 명칭을 가진 룸으로 이동하도록 이동 어셈블리(160)를 제어한다.For example, when the sound detection unit is a microphone, the control unit 191 checks the name of the room by performing voice recognition of the voice detected through the microphone and moves the moving assembly 160 to move to the room having the identified name. Control.

또는 제어부(191)는 소리 검출부가 마이크로 폰 어레이인 경우 빔포밍 등과 같은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발화 위치를 인식하고, 확인된 발화 위치로 이동하도록 이동 어셈블리(160)를 제어한다.Alternatively, when the sound detector is a microphone array, the control unit 191 recognizes the utterance position by performing signal processing such as beamforming, and controls the moving assembly 160 to move to the identified utterance position.

아울러 제어부(191)는 마이크로 폰과 마이크로폰 어레이 모두를 이용하여, 위치 인식을 수행하고 인식된 위치로 이동하도록 이동 어셈블리(160)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91 may control the moving assembly 160 to perform position recognition and move to the recognized position using both the microphone and the microphone array.

저장부(192)는 홈 내의 맵 정보 및 맵 내의 전기기기의 기본 정보와 위치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저장부(192)는 룸별 전기기기의 위치 정보를 3축 방향, 즉 X, Y, Z축 값으로 저장한다. 여기서 맵 정보는 룸별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The storage unit 192 stores map information in the home and basic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electric devices in the map. At this time, the storage unit 192 stor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ic device for each room in the three-axis direction, that is, values of the X, Y, and Z axes. Here, the map information includes location information for each room.

저장부(192)는 전기기기의 종류별로 기준 영상 정보를 저장한다.The storage unit 192 stores reference image information for each type of electric device.

저장부(192)는 룸의 명칭과 대응하는 음성 정보를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storage unit 192 may also store the name of the room and audio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oom name.

제1구동부(193)는 제어부(191)의 명령에 기초하여 이동 어셈블리의 휠 모터(163, 164)를 구동시킨다. 이때 좌우 휠 모터(163, 164)의 회전속도를 달리함으로써 본체(11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The first driving unit 193 drives the wheel motors 163 and 164 of the moving assembly based on a command from the control unit 191. At this time, by vary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left and right wheel motors 163 and 164, the main body 110 can be rotated.

제2구동부(194)는 제어부(191)의 명령에 기초하여 청소 툴(170)의 브러시 모터(173)를 구동시킨다.The second driving unit 194 drives the brush motor 173 of the cleaning tool 170 based on a command from the control unit 191.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 로봇의 제어 순서도이다.5 is a control flowchart of a cleaning robo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청소 로봇(100)은 전원이 온 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120)를 통해 동작 명령이 입력(501)되면 입력된 동작 명령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When the power is turned on and an operation command is input 501 through the user interface 120, the cleaning robot 100 performs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 operation command.

청소 로봇(100)은 입력된 동작 명령이 맵 작성 모드인지 판단(502)한다.The cleaning robot 100 determines (502) whether the input operation command is in the map creation mode.

청소 로봇(100)은 현재 모드가 맵 작성 모드이면 이동 어셈블리(160) 및 영상부(130)를 동작시켜 홈 내를 이동하면서 홈 내의 영상을 수집하고 수집된 영상을 이용하여 맵을 작성(503)한다. If the current mode is the map creation mode, the cleaning robot 100 collects images in the home while moving within the home by operating the moving assembly 160 and the imaging unit 130 and creates a map using the collected images (503). do.

청소 로봇(100)은 홈 내의 맵 작성 시 홈 내의 룸을 공간별로 구분하여 작성하고 공간적으로 분리된 룸별로 명칭을 설정한다. When creating a map in the home, the cleaning robot 100 divides and creates the rooms in the home by space, and sets a name for each spatially separated room.

여기서 룸의 명칭은 청소 로봇의 이동 순서에 따라 번호로 설정되되, 추후 사용자에 의해 새로운 명칭으로 설정되거나, 새로운 번호로 수정 가능하다.Here, the name of the room is set as a number according to the movement order of the cleaning robot, but it can be set as a new name by the user later, or can be modified with a new number.

또한 룸을 구분하는 것은, 3차원 영상 내의 깊이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 내의 일정 공간이 현재 룸과 공간적으로 독립된 룸인지를 구분하는 것을 포함한다.In addition, classifying the room includes discriminating whether a certain space in the image is a room that is spatially independent from the current room by using depth information in the 3D image.

아울러 청소 로봇은 맵 작성 시, 회전수 검출부(152)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룸의 크기나 형상을 예측하고, 장애물 검출부(151)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가구 등과 같은 장애물의 크기, 형상, 위치 등을 예측한 후 예측된 정보를 맵에 적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when creating a map, the cleaning robot predicts the size or shape of the room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of the rotation speed detection unit 152, and the size, shape, and location of obstacles such as furniture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of the obstacle detection unit 151. It is also possible to predict the like and then apply the predicted information to the map.

다음 청소 로봇(100)은 맵을 작성하면서 현재 본체가 위치한 룸 내의 전기기기를 인식(504)하고,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인식된 전기기기가 존재하는지 판단(505)하고, 이때 전기기기가 없다고 판단되면 계속적으로 이동을 수행하고 전기기기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인식된 전기기기의 기본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인식(506)한다.Next, while creating a map, the cleaning robot 100 recognizes 504 electrical devices in the room where the main body is currently located, determines whether the recognized electrical device exists based on the recognition result (505), and determines that there is no electrical device at this tim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lectric device is present, the movement is continuously performed, and basic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cognized electric device are recognized (506).

다음 청소 로봇은 인식된 전기기기의 기본 정보 및 위치 정보를 맵 정보에 적용(507)한다.Next, the cleaning robot applies the recognized basic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ic device to the map information (507).

전기기기에 대한 정보가 적용된 맵을 작성하는 예(1) 내지 (3)을 설명한다.Examples (1) to (3) of creating a map to which information on electric devices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1) 영상부(130)에 2차원 컬러 영상을 각각 수집하는 제1촬영부(313) 및 제2촬영부(132)가 마련된 청소 로봇을 예로 설명한다.(1) A cleaning robot provided with a first photographing unit 313 and a second photographing unit 132 respectively collecting 2D color images in the image unit 130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청소 로봇은 제1촬영부(131)에서 촬영된 제1 영상과 제2촬영부(132)에서 촬영된 제2 영상이 수신되면 수신된 2차원의 제1 영상 및 제 2 영상을 이용하여 3차원 영상을 생성한다.When the first image captured by the first imaging unit 131 and the second image captured by the second imaging unit 132 are received, the cleaning robot uses the received two-dimensional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Create an image.

다음 청소 로봇은 제1영상, 제2영상 및 3차원 영상에 기초하여 룸 및 룸의 위치를 인식하고, 제1 영상, 제2영상 및 3차원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 내에 전기기기라고 판단되는 물체가 인식되었는지 확인하고, 전기기기라고 판단되는 물체가 인식되었다고 판단되면 제1영상, 제2영상 및 3차원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영상 처리하여 전기기기의 종류 및 위치를 인식한다.Next, the cleaning robot recognizes the location of the room and the room based on the first image, the second image, and the 3D image, and the object determined to be an electric device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image, the second image, and the 3D image. Is recognized,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an object determined as an electric device is recognized, at least one of the first image, the second image, and the 3D image is image-processed to recognize the type and location of the electric device.

여기서 전기기기의 종류를 확인하는 것은, 저장부(192)에 저장된 복수 전기기기의 기준 영상 중 인식된 전기기기의 영상과 매치되는 영상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인식된 전기기기의 영상과 매치되는 기준 영상이 있으면 기준 영상에 대응하는 기본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인식된 전기기기의 종류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Here, checking the type of the electric device is to check whether there is an image matching the image of the recognized electric device among the reference images of the plurality of electric device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92, and the criterion matching the image of the recognized electric device. If there is an image, it is possible to check the type of the recognized electric device by checking bas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image.

전기기기의 위치를 인식하는 것은, 회전수 검출부(152)에서 검출된 회전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이동 정보에 기초하여 룸 내의 본체의 위치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X, Y 축 값을 획득하고, 영상에 기초하여 높이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Z 축 값을 획득하는 것을 포함한다.Recognizing the location of the electric device is to check the movement information based on the rota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rotation speed detection unit 152, and check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ain body in the room based on the confirmed movement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X, Y axis values. And acquiring a Z-axis value by acquiring and checking height information based on the image.

다음 청소 로봇은 인식된 전기기기의 종류에 해당하는 기본 정보와 위치 정보를 맵 내의 룸 정보에 매치시킴으로써 홈 내의 맵을 작성한다.Next, the cleaning robot creates a map in the home by matching basic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the recognized electric device with room information in the map.

(2) 영상부(130)에 2차원 영상을 수집하는 제1촬영부(313)와, 3차원 영상을 수집하는 제2촬영부(132)가 마련된 청소 로봇을 예로 설명한다. 이를 도 6a 내지 도 6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2) A cleaning robot including a first imaging unit 313 that collects a 2D image in the imaging unit 130 and a second imaging unit 132 that collects a 3D imag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A to 6D.

청소 로봇(100)은 제1촬영부(131)에서 촬영된 2차원 영상 및 제2촬영부(132)에서 촬영된 3차원 영상에 기초하여 룸 및 룸에서의 본체의 위치를 인식한다. The cleaning robot 100 recognizes the location of the body in the room and the room based on the 2D image captured by the first imaging unit 131 and the 3D image captured by the second imaging unit 132.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 로봇은 홈(Home) 내의 공간 중 처음 주행하는 룸을 룸1(Room1)로 설정하고, 룸1을 이동하면서 2차원의 영상 및 3차원의 영상을 수집한다.As shown in FIG. 6A, the cleaning robot sets the first room in the home to travel as Room 1 and collects 2D and 3D images while moving the room 1.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촬영부(131)를 통해 롬 1에 대한 2차원 영상(m1)을 획득하고, 제2촬영부(132)를 통해 룸 1에 대한 깊이 정보를 가진 3차원 영상(m2)을 획득한다.As shown in FIG. 6B, a two-dimensional image m1 for ROM 1 is obtained through the first photographing unit 131, and a three-dimensional image having depth information for the room 1 through the second photographing unit 132 Acquire an image (m2).

청소 로봇은 2차원 영상 및 3차원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영상 처리하여 전기기기로 판단되는 물체가 인식되었지 확인하고, 전기기기라고 판단되는 물체가 인식되었다고 판단되면 2차원 영상 및 3차원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이용하여 전기기기의 종류 및 위치를 인식한다.The cleaning robot processes at least one of a 2D image and a 3D image to check whether an object determined to be an electric device has been recognized,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an object determined to be an electric device is recognized, one of the 2D and 3D images Recognize the type and location of an electric device by using at least one image.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수 검출부(152)에서 검출된 회전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이동 정보에 기초하여 룸 내의 본체의 위치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X, Y 축 값을 획득한다.As shown in FIG. 6D, X, Y axis values are obtained by checking movement information based on rota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rotation speed detection unit 152 and check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ain body in the room based on the confirmed movement information. do.

그리고 청소 로봇은 2차원 영상 및 3차원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에 기초하여 전기기기의 높이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Z 축 값을 획득한다.In addition, the cleaning robot obtains a Z-axis value by checking height information of the electric device based on at least one of a 2D image and a 3D image.

그리고 청소 로봇은 저장부(192)에 저장된 전기기기의 기준 영상에 기초하여 인식된 전기기기의 종류를 확인한다.In addition, the cleaning robot checks the type of the recognized electric device based on the reference image of the electric devic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92.

다음 청소 로봇은 인식된 전기기기의 종류에 해당하는 기본 정보와 위치 정보를 맵 내의 룸 정보에 매치시킴으로써 홈 내의 맵을 작성한다.Next, the cleaning robot creates a map in the home by matching basic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the recognized electric device with room information in the map.

(3) 영상부(130)에 2차원 영상을 수집하는 제1촬영부(313)와, 3차원 영상을 수집하는 제2촬영부(132)가 마련되고, 전기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140)를 포함하는 청소 로봇을 예로 설명한다.(3) A first photographing unit 313 for collecting a two-dimensional image and a second photographing unit 132 for collecting a three-dimensional image are provided in the imaging unit 130,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an electric device ( 140)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청소 로봇(100)은 제1촬영부(131)에서 촬영된 2차원 영상 및 제2촬영부(132)에서 촬영된 3차원 영상에 기초하여 룸 및 룸에서의 본체의 위치를 인식하면서 맵을 작성한다. The cleaning robot 100 creates a map while recognizing the location of the body in the room and the room based on the 2D image captured by the first imaging unit 131 and the 3D image captured by the second imaging unit 132 do.

청소 로봇은 외부의 전기기기로부터 기본 정보가 수신되는지 판단하고, 수신된 기본 정보가 있다고 판단되면 기본 정보를 전송한 전기기기를 등록한다.The cleaning robot determines whether basic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an external electric device,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the received basic information, registers the electric device that has transmitted the basic information.

다음 청소 로봇은 2차원 영상 및 3차원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영상 처리하여 전기기기의 위치를 인식하고 확인된 위치 정보를 기본 정보와 함께 저장한다.Next, the cleaning robot performs image processing on at least one of the 2D image and the 3D image, recognizes the location of the electric device, and stores the identified loca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basic information.

이때 청소 로봇은 2차원 영상 및 3차원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에 기초하여 룸에서의 평면 위치 정보 및 전기기기의 높이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X, Y, Z 축 값을 획득한다.At this time, the cleaning robot obtains X, Y, and Z axis values by checking plane location information in a room and height information of an electric device based on at least one of a 2D image and a 3D image.

아울러 청소 로봇은 회전수 검출부(152)에서 검출된 회전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이동 정보에 기초하여 룸 내의 본체의 위치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X, Y 축 값을 획득하고 획득된 축 값으로 위치 정보로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소 로봇은 2차원 영상 및 3차원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에 기초하여 전기기기의 높이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Z 축 값을 획득한다.In addition, the cleaning robot checks the movement information based on the rota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rotation speed detection unit 152 and check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ain body in the room based on the checked movement information, thereby acquiring the X and Y axis values. It is also possible to save location information as a value. In this case, the small robot obtains the Z-axis value by checking height information of the electric device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2D image and the 3D image.

다음 청소 로봇은 수신된 전기기기의 기본 정보와 위치 정보를 맵 내의 룸 정보에 매치시킴으로써 홈 내의 맵을 작성한다.Next, the cleaning robot creates a map in the home by matching the received basic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ic device with the room information in the map.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 로봇은 홈 내부의 맵을 작성하되, 복수의 룸을 공간별로 구분하여 맵을 작성하고, 또한 룸별로 배치된 전기기기의 위치 정보를 룸에 매치시켜 맵을 작성한다. 이때 맵에는 복수 룸의 구조 및 전기기기의 실제 위치가 적용되어 있다. 아울러 홈 내의 가구 등과 같은 장애물도 맵에 적용 가능하다.As shown in Fig. 7, the cleaning robot creates a map inside the home, divides a plurality of rooms by space to create a map, and also creates a map by match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lectric devices arranged for each room to the room. do. In this case, the structure of the multiple rooms and the actual location of the electric devices are applied to the map. In addition, obstacles such as furniture in the home can also be applied to the map.

청소 로봇은 홈 내의 모든 룸의 이동 완료를 판단(508)한다. 여기서 이동 완료를 판단하는 것은, 현재 인식된 룸이 기존에 인식된 룸과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The cleaning robot judges (508) the completion of movement of all rooms in the home. Determining the completion of the movement here includes determining whether the currently recognized room matches the previously recognized room.

청소 로봇은 이동 완료로 판단되면 맵 작성 동작을 완료하고 전기기기에 대한 정보를 가진 맵 정보를 저장(509)하고, 작성된 맵 정보를 홈 모니터링 장치(300)로 전송(510)한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ovement is complete, the cleaning robot completes the map creation operation, stores 509 map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electric device, and transmits the created map information to the home monitoring device 300 (510).

청소 로봇은 현재 모드가 청소 모드이면 이동 어셈블리(160) 및 청소 툴(170)의 동작시켜 홈 내의 청소 영역을 청소하고, 청소를 수행하면서 전기기기를 인식(511)한다.If the current mode is the cleaning mode, the cleaning robot operates the moving assembly 160 and the cleaning tool 170 to clean the cleaning area in the groove, and recognizes 511 the electric device while performing cleaning.

여기서 제1촬영부 및 제2촬영부에서 수집된 영상 및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기본 정보에 기초하여 전기기기를 인식한다.Here, the electric device is recognized based on the image collected by the first and second photographing units and basic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청소 로봇은 청소 모드 시 제1촬영부 및 제2촬영부 중 어느 하나의 촬영부만을 동작시키는 것도 가능하다.The cleaning robot may operate onl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photographing units in the cleaning mode.

청소 로봇은 적어도 하나의 영상 내에 전기기기라고 판단되는 물체가 인식되었는지 판단(512)하고, 전기기기라고 판단되는 물체가 인식되었다고 판단되면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영상 처리하여 전기기기의 종류를 확인한다. 이때 청소 로봇은 저장부에 저장된 기준 영상과 비교하여 전기기기의 기본 정보를 확인한다.The cleaning robot determines whether an object determined to be an electric device is recognized in at least one image (512),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an object determined to be an electric device is recognized, the at least one image is image-processed to determine the type of the electric device. At this time, the cleaning robot checks basic information of the electric device by comparing it with the reference image stored in the storage unit.

아울러 청소 로봇은 통신부(140)로부터 전기기기의 기본 정보를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cleaning robot may receive basic information of the electric device from the communication unit 140.

청소 로봇은 인식된 전기기기가 저장부(192)에 저장된 전기기기인지 판단(513)하고, 인식된 전기기기가 저장부(192)에 저장된 전기기기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인식된 전기기기를 신규 기기로 등록(514)한다.The cleaning robot determines 513 whether the recognized electrical device is an electrical devic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92,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cognized electrical device is not an electrical devic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92, the recognized electrical device is used as a new device. Register (514).

여기서 인식된 전기기기를 신규 기기로 등록하는 것은, 인식된 전기기기의 종류 및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인식된 전기기기의 종류에 해당하는 기본 정보와 위치 정보를 맵 내의 룸 정보에 매치시킴으로써 맵 정보를 업데이트(515)하고 업데이트된 맵 정보를 저장부(192)에 저장한다.Registering the recognized electrical device as a new device is to check the type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cognized electrical device, and match basic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the recognized electrical device to the room information in the map. Is updated (515) and the updated map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92).

청소 로봇은 인식된 전기기기가 저장부(192)에 저장된 전기기기라고 판단되면 인식된 전기기기를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 정보가 저장부(192)에 저장된 위치 정보와 일치하는지 판단(516)한다.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ecognized electric device is an electric devic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92, the cleaning robot check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cognized electric device, and determines whether the identified location information matches the lo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192 ( 516).

이때 청소 로봇은 인식된 전기기기의 위치 정보가 저장부(192)에 저장된 전기기기의 위치 정보와 일치하면 해당 전기기기에 대한 인식 수행 과정을 종료하고, 인식된 전기기기의 위치 정보가 저장부에 저장된 전기기기의 위치 정보와 불일치하면 저장부에 저장된 전기기기의 위치 정보를 인식된 전기기기의 위치 정보로 수정하고, 맵 정보를 업데이트(515)하고 업데이트된 맵 정보를 저장부(192)에 저장한다.At this time, i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cognized electric device match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ic devic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92, the cleaning robot ends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recognition of the electric devic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cognized electric device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I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tored electric device is inconsisten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ic device stored in the storage unit is corrected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cognized electric device, the map information is updated 515, and the updated map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92. do.

청소 로봇은 청소 모드 시에 사용자의 음성이 검출되는지 판단하고, 사용자의 음성이 검출되면 검출된 음성의 음성 인식을 수행하고, 음성이 인식된 위치로 이동한 후 음성이 인식된 위치에서 청소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cleaning robot determines whether the user's voice is detected in the cleaning mode, and when the user's voice is detected, performs speech recognition of the detected voice, moves to the location where the voice is recognized, and then performs cleaning at the location where the voice is recognized. It is also possible to do it.

예를 들어, 청소 로봇은 주방에서 청소를 수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거실에서 부르면 마이크로폰 어레이에서 수집된 음성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고, 인식된 위치인 거실로 이동을 수행한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calls in the living room while cleaning in the kitchen, the cleaning robot recognizes the user's location based on the voice collected from the microphone array, and moves to the recognized location, the living room.

아울러, 청소 로봇은 하나의 마이크로폰을 통해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사용자가 어느 위치로의 이동을 지시하는지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cleaning robot may recognize the user's voice through a single microphone to determine which position the user instructs to move to.

이와 같이 청소 로봇은 거실로 이동 시, 사용자가 위치하는 곳까지 이동 가능하다. In this way, when the cleaning robot moves to the living room, it can move to the place where the user is located.

청소 로봇은 현재 위치가 인식된 사용자의 위치이면 바닥의 상태를 판단하고, 청소가 필요한 곳이라고 판단되면 청소를 수행한다.If the current location is the recognized user's location, the cleaning robot determines the condition of the floor,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location needs cleaning, the cleaning robot performs cleaning.

아울러 청소 로봇은 현재 위치가 인식된 사용자의 위치이면 음성 인식을 다시 수행하고, 이때 마이크로폰 어레이를 통해 음성이 다시 검출되면 검출된 음성의 노이즈 제거 및 음성 인식을 위한 전처리를 수행하여 사용자의 위치 및 명령을 판단한다. 이를 통해 청소 로봇은 사용자의 위치 및 명령을 좀 더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if the current location is the recognized user's location, the cleaning robot performs voice recognition again. At this time, when voice is detected again through the microphone array, it removes noise from the detected voice and performs pre-processing for voice recognition to determine the location and command of the user. Judge. Through this, the cleaning robot can more accurately recognize the user's location and command.

그리고 청소 로봇은 주방에서 거실로 이동 시 맵 정보에 기초하여 최적 경로를 검색하고 검색된 최적 경로로 이동한다. And when moving from the kitchen to the living room, the cleaning robot searches for an optimal path based on map information and moves to the searched optimal path.

또 다른 예로, 청소 로봇은 사용자가 위치하는 곳까지 이동하고, 영상부(130)를 통해 사용자를 인식하고 사용자가 인식되면 사용자의 자세를 인식하고, 사용자의 자세가 바닥을 응시하고 있으면 바닥의 상태를 판단하고, 바닥에 물이 쏟아 진 것으로 판단되면 능동적으로 바닥을 청소하는 것도 가능하다.As another example, the cleaning robot moves to the location where the user is located, recognizes the user through the image unit 130, and when the user is recognized, recognizes the user's posture, and if the user's posture is staring at the floor, the state of the floor If it is determined that water has been spilled on the floor, it is also possible to actively clean the floor.

다음 청소 로봇은 청소 완료를 판단(518)하고 청소 완료라고 판단되면 맵 정보의 업데이트 여부를 판단(519)하며, 맵 정보가 업데이트되었다고 판단되면 업데이트된 맵 정보를 홈 모니터링 장치로 전송(510)한다.The next cleaning robot determines whether cleaning is complete (518),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cleaning is complete, determines whether the map information is updated (519),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ap information is updated, transmits the updated map information to the home monitoring device (510). .

아울러, 맵 정보의 업데이트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없이 청소가 완료되면 맵 정보를 홈 모니터링 장치로 항상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lways transmit the map information to the home monitoring device when cleaning is completed without a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to update the map information.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홈 모니터링 장치(400)의 제어 구성도로, 홈 모니터링 장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10), 제어부(420), 저장부(430) 및 통신부(440)를 포함한다.FIG. 8 is a control configuration diagram of a home monitoring device 4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home monitoring device includes a user interface 410, a control unit 420, a storage unit 430, and a communication unit 440.

사용자 인터페이스(410)는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411)와, 홈 내부의 모니터링 정보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412)를 포함한다.The user interface 410 includes an input unit 411 for receiving a command from a user, and a display unit 412 for displaying monitoring information inside the home.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410)의 입력부(411)는 룸별 난방 및 가스 등을 제어하기 위한 버튼과, 홈 내의 전기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버튼과, 에너지 관리를 위한 버튼 및 방범 등을 관리하기 위한 버튼 등을 포함하고, 표시부(412)는 룸별 전기기기의 배치 정보를 갖는 맵 정보를 표시한다.9, the input unit 411 of the user interface 410 includes a button for controlling heating and gas for each room, a butto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devices in the home, a button for energy management, and It includes buttons for managing crime prevention and the like, and the display unit 412 displays map information having arrangement information of electric devices for each room.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입력부(411)는 기기를 수동으로 입력하기 위한 기기 등록 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통해 청소 로봇을 통해 인식되지 못한 전기기기를 사용자가 수동으로 직접 등록할 수 있도록 한다. The input unit 411 of the user interface may further include a device registration button for manually inputting a device. This allows the user to manually register electric devices that are not recognized by the cleaning robot.

즉 사용자는 전기기기를 수동으로 등록할 때 룸 및 룸 내의 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That is, the user can designate a room and a location within the room when manually registering an electric device.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부(412)는 맵 정보를 3차원으로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display unit 412 of the user interface may display map information in three dimensions.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410)의 입력부(411)는 터치 패드, 표시부(412)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 가능하다. 아울러 사용자 인터페이스(410)의 입력부(411)는 터치 패드, 표시부(412)는 액정디스플레이(LCD)로 구현 가능하다.The input unit 411 of the user interface 410 may be implemented as a touch pad, and the display unit 412 may be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In addition, the input unit 411 of the user interface 410 may be implemented as a touch pad, and the display unit 412 may be implemented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제어부(420)는 청소 로봇(100)으로부터 맵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맵 정보의 저장을 제어하고, 맵 정보의 표시를 제어한다. 이때 맵 정보는 홈 내의 전기기기에 대한 정보를 룸별로 저장하고 있다.When the map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cleaning robot 100, the controller 420 controls the storage of the received map information and controls the display of the map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map information stores information on electric devices in the home for each room.

제어부(4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10)의 입력부(411)에 기기 수동 등록 버튼이 입력되면 현재 표시 모드를 기기 수동 등록 모드로 전환하고 입력부(411)에 입력되는 기기에 대한 정보를 맵 정보에 추가함으로써 맵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When a device manual registration button is input to the input unit 411 of the user interface 410, the control unit 420 switches the current display mode to the device manual registration mode and adds information on the device input to the input unit 411 to the map information. To update the map information.

제어부(4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입력부(411)에 입력된 사용자의 명령에 기초하여 표시부(412)의 표시 동작을 제어하고, 또한 입력된 명령에 기초하여 전기기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420 controls the display operation of the display unit 412 based on a user command input to the input unit 411 of the user interface, and also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device based on the input command.

제어부(420)는 에너지 관리 시 룸별, 기기별로 관리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도 10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The control unit 420 may manage and control each room and each device during energy management.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and 12.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410)의 표시부(412)는 전기기기의 위치 정보가 매치된 룸별 맵 정보를 표시한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어느 하나의 전기기기가 선택되면 사용자의 식별이 용이하도록 선택된 전기기기에 대한 기본 정보를 확대 표시한다. As shown in FIG. 10, the display unit 412 of the user interface 410 displays map information for each room in whic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ic device is matched. At this time, when any one electric device is selected by the user, basic information on the selected electric device is enlarged and displayed to facilitate identification by the user.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410)는 에너지 관리 중 룸 관리 버튼이 선택되면 입력부(411)에 홈 내의 복수 룸의 룸 번호를 출력한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룸이 선택되면 선택된 룸 내의 전기기기에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된다.In addition, when the room management button is selected during energy management, the user interface 410 outputs room numbers of a plurality of rooms in the home to the input unit 411. At this time, when at least one room is selected by the user, power applied to the electric device in the selected room is cut off.

예를 들어, 제어부(420)는 사용자에 의해 룸4(Room4)가 선택되면 룸4(Room4)에 배치된 PC와 조명4에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전원을 제어한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selects Room 4, the control unit 420 controls the power to cut off the power applied to the PC and the lighting 4 arranged in the room 4 (Room 4).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410)의 표시부(412)는 전기기기의 위치 정보가 매치된 룸별 맵 정보를 표시한다. As shown in FIG. 11, the display unit 412 of the user interface 410 displays map information for each room in whic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ic device is matched.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410)는 에너지 관리 중 조명 관리 버튼이 선택되면 입력부(411)에 홈 내의 복수 조명의 조명 번호를 출력하고, 표시부(412)에 룸마다 배치된 조명을 표시한다. In addition, when the lighting management button is selected during energy management, the user interface 410 outputs lighting numbers of a plurality of lights in the home to the input unit 411 and displays lights arranged for each room on the display unit 412.

이때 표시부(412)에 표시된 조명의 번호는 입력부(411)에 출력된 조명번호와 대응한다.At this time, the number of light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412 corresponds to the number of lights output to the input unit 411.

아울러,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부(412)는 홈 내의 모든 전기기기를 표시하지 않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조명만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412 of the user interface may not display all electric devices in the home, but may display only the lighting selected by the user.

제어부(42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조명 번호와 대응하는 조명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한다.The controller 420 controls the power applied to the lighting corresponding to the lighting number selected by the user.

예를 들어 제어부(42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부(411)의 조명4가 선택되면 룸4(Room4)에 배치된 조명4에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전원을 제어한다. For example, the controller 420 controls the power so that the power applied to the lighting 4 arranged in the room 4 is cut off when the lighting 4 of the input unit 411 is selected by the user.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410)의 표시부(412)는 전기기기의 위치 정보가 매치된 룸별 맵 정보를 표시한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410)는 에너지 관리 중 공기 조화기 관리 버튼이 선택되면 입력부(411)에 홈 내의 배치된 공기조화기의 번호를 출력하고, 표시부(412)에 룸별로 배치된 공기조화기를 표시한다. As shown in FIG. 12, the display unit 412 of the user interface 410 displays map information for each room in whic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ic device is matched. In addition, when the air conditioner management button is selected during energy management, the user interface 410 outputs the number of the air conditioner disposed in the home to the input unit 411, and displays the air conditioner disposed for each room on the display unit 412. .

이때 표시부(412)에 표시된 공기조화기의 번호는 입력부(411)에 출력된 공기조화기의 번호와 대응한다.At this time, the number of the air conditioner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412 corresponds to the number of the air conditioner output to the input unit 411.

아울러,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부(412)는 홈 내의 모든 전기기기를 표시하지 않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공기조화기만을 표시하거나, 공기 조화기만을 다른 전기기기와 상이하게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412 of the user interface may not display all electric devices in the home, but may display only the air conditioner selected by the user, or display only the air conditioner differently from other electric devices.

제어부(42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공기조화기의 번호와 대응하는 공기조화기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420 controls power applied to the air condition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air conditioner selected by the user.

또한 제어부(42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공기조화기의 온도 설정 및 모드 설정과 같은 동작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420 may control operations such as temperature setting and mode setting of the air conditioner selected by the user.

예를 들어, 제어부(42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부(411)의 공기조화기 2가 선택되면 룸2(Room2)에 배치된 공기조화기2가 선택되었음을 식별할 수 있도록 공기 조화기 2의 선택 표시를 제어하고, 이때 사용자에 의해 오프 버튼이 선택되면 공기조화기2에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전원을 제어한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selects the air conditioner 2 of the input unit 411, the control unit 420 displays the selection of the air conditioner 2 so that it can be identified that the air conditioner 2 disposed in the room 2 is selected. And, at this time, when the off button is selected by the user, power is controlled so that the power applied to the air conditioner 2 is cut off.

여기서 선택 표시는, 표시부(412)에 표시된 공기 조화기 2를 깜빡이거나, 다른 색으로 표시하는 것을 포함한다.Here, the selection display includes blinking the air conditioner 2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412 or displaying a different color.

제어부(420)는 전기기기로부터 소비 전력 정보가 수신되면 홈 내의 전체 소비 전력을 예측하되, 룸별로 전기기기의 소비 전력을 예측하고, 예측된 소비 전력에 대한 정보가 표시부(412)에 표시되도록 한다. 즉 홈 모니터링 장치는 이를 소비 전력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When the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electric device, the control unit 420 predicts the total power consumption in the home, predicts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electric device for each room, and displays the information on the predicted power consumption on the display unit 412. . That is, the home monitoring device provides information on power consumption to the user.

제어부(420)는 전기기기로부터 동작 정보가 수신되면 표시부(412)를 통해 각 전기기기의 동작 정보가 표시되도록 한다.When the oper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electric device, the control unit 420 causes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each electric device to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412.

제어부(420)는 룸별 소비 전력 정보에 기초하여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control unit 420 may provide information on efficient energy management based on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for each room.

제어부(420)는 방범 및 가스 누출 등과 관련된 안전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통보하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420 monitors safety information related to crime prevention and gas leakage, and controls it to notify the user.

즉 제어부(420)는 사용자 단말기 또는 홈 외의 서버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고, 홈 내의 모니터링 정보의 제공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That is, the control unit 420 may manage information on a user terminal or a server other than the home, and control provision of monitoring information in the home.

저장부(430)는 전기기기에 대한 정보가 매치되어 있는 맵 정보를 저장한다.The storage unit 430 stores map information in which information on an electric device is matched.

저장부(430)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기본 정보, 동작 정보 및 소비 전력 정보 등을 저장한다.The storage unit 430 stores basic information, operation information,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of at least one electric device.

통신부(440)는 청소 로봇 및 그 외의 전기기기들과 통신을 수행한다.The communication unit 440 communicates with a cleaning robot and other electric devices.

즉, 통신부(440)는 청소 로봇으로부터 전기기기에 대한 정보가 매치되어 있는 맵 정보를 수신하고, 또한 청소 로봇의 동작 정보를 수신한다.That is, the communication unit 440 receives map information in which information on the electric device is matched from the cleaning robot, and also receives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cleaning robot.

또한 통신부(440)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로부터 동작 정보를 수신하고, 전기기기의 소비 전력 정보를 수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로 제어 명령을 전송한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440 receives operation information from at least one electric device, receives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ic device, and transmits a control command to at least one electric device.

이러한 통신부(440)는 ZigBee, Z-Wave, WiFi, Ethernet 등 다양한 유무선 통신을 수행한다.The communication unit 440 performs various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ZigBee, Z-Wave, WiFi, and Ethernet.

아울러 통신부(440)는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사용자에게 홈 내의 모니터링 정보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440 may transmit monitoring information in the home to the user by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또한 통신부(440)는 홈 외부의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여 서버로 홈 내의 모니터링 정보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440 may transmit monitoring information in the home to the server by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a server outside the home.

도 13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청소 로봇의 예시도이다.13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cleaning rob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다른 실시 예의 홈 모니터링 장치는, 홈 내의 복수 룸 중 어느 하나의 룸의 벽 부분에 설치된 일 실시 예와 달리, 청소 로봇의 본체(110)에 구비된다.The home monitoring device of another embodiment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110 of the cleaning robot, unlike the embodiment installed on the wall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rooms in the home.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 로봇(100)은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10)와, 본체(110)의 전면에 장착되어 장애물과 충돌 시 충격을 완화시키는 범퍼(111)와, 본체(110)의 상부에 장착되어 동작 정보 및 예약 정보 등을 입력받고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20)와, 본체(110)의 상부에 일체로 고정 장착되어 청소 영역 내 본체 주변의 영상을 수집하는 복수의 영상부(130: 131, 132)와, 충전대(200)와 같은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14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3, the cleaning robot 100 includes a main body 110 forming an external appearance, a bumper 111 mount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10 to alleviate an impact when colliding with an obstacle, and the main body 110. ), a user interface 120 that receives operation information and reservation information and displays operation information, and a plurality of units that are integrally fixedly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10 to collect images around the main body in the cleaning area. The image unit 130 (131, 132) and a communication unit 140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such as the charging base 200.

여기서 수집된 영상은, 홈 내의 맵을 작성하고 홈 내의 전기기기를 인식하는데 이용되는 영상이다. 아울러, 수집된 영상은 청소 모드 시 본체의 위치 인식 및 장애물 검출에 이용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images collected here are images used to create a map in the home and to recognize electric devices in the home. In addition, the collected image may be used to recognize the location of the main body and detect obstacles in the cleaning mode.

아울러 영상부는 제1촬영부(131)와 제2촬영부(132)를 포함하며, 제1촬영부(131)와 제2촬영부(132)는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좌우로 배치되어 있으나,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전후로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image unit includes a first photographing unit 131 and a second photographing unit 132, and the first photographing part 131 and the second photographing part 132 are arranged left and right based on the driving direction, but the driving It is also possible to arrange it back and forth based on the direction.

범퍼(111)는 본체(110)의 후면에 더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bumper 111 may be further mounted on the rear of the body 110.

청소 로봇(100)은 본체(110)의 후방에 마련되되 메인 청소 툴의 주변에 마련되어 메인 청소 툴(170)을 통해 집진된 먼지 등의 이물질을 모으는 집진부(112)를 더 포함한다.The cleaning robot 100 further includes a dust collecting unit 112 provided at the rear of the main body 110 and provided around the main cleaning tool to collect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collected through the main cleaning tool 170.

청소 로봇(100)은 본체(110)의 전면 및 좌우 측면에 장착되어 청소 로봇의 전방 및 좌우 측방에 위치한 장애물을 검출하는 장애물 검출부(151)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cleaning robot 100 may further include an obstacle detection unit 151 mounted on the front and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body 110 to detect obstacles located in the front and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leaning robot.

아울러 청소 로봇은 장애물 검출부(151)에 검출된 장애물 검출 신호를 맵 작성에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청소 로봇은 소파나 식탁 등과 같은 가구를 장애물로 인식한 후 이를 맵에 적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cleaning robot may use the obstacle detection signal detected by the obstacle detection unit 151 to create a map. For example, a cleaning robot may recognize furniture such as a sofa or a dining table as an obstacle and apply it to a map.

청소 로봇은 본체에 마련되어 주변의 소리를 검출하는 소리 검출부(153)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cleaning robot may further include a sound detection unit 153 that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detects ambient sound.

청소 로봇의 맵 작성 및 청소에 대한 구성은 일 실시예와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한다.The configuration of map creation and cleaning of the cleaning robot is the same as in the exemplary embodiment, and thus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청소 로봇은 본체(110)의 상면에 마련된 홈 모니터링 장치(400)를 더 포함한다.The cleaning robot further includes a home monitoring device 400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여기서 홈 모니터링 장치(400)는 스마트 홈 솔루션을 각 홈에 적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중심으로 조명제어, 가스 밸브 제어, 난방 제어, 에너지 사용량 정보 조회, 에너지 관리 및 기기 제어 등 홈 컨트롤 기능 외에, 방범, 방문자 확인, 통화, 문열림, 출입 관리 및 이벤트 통보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Here, the home monitoring device 400 applies a smart home solution to each home, and in addition to home control functions such as lighting control, gas valve control, heating control, energy usage information inquiry, energy management, and device control, based on a user interface, crime prevention, It performs various functions such as visitor confirmation, call, door opening, access management, and event notification.

이러한 홈 모니터링 장치(400)는 복수의 전기기기와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홈 모니터링 장치(400)는 방범 등의 감시를 위한 장치와도 통신을 수행한다.The home monitoring device 400 communicates with a plurality of electric devices. In addition, the home monitoring device 400 also communicates with a device for monitoring security or the like.

홈 모니터링 장치(400)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위치 정보가 매치된 맵 정보를 수신하고, 이 정보들을 표시한다. The home monitoring apparatus 400 receives map information in which location information of at least one electric device is matched, and displays the information.

홈 모니터링 장치(400)는 복수의 전기기기로부터 동작 정보를 수신받고, 복수의 전기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로 제어 명령을 전송한다. The home monitoring apparatus 400 receives operation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electric devices and transmits a control command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electric devices.

여기서 제어 명령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명령이거나, 또는 홈 내의 전력 상태에 기초하여 결정된 명령이다.Here, the control command is a command input by a user or a command determined based on the power state in the home.

홈 모니터링 장치(400)의 구체적인 기능은 일 실시예의 홈 모니터링 장치와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한다.A detailed function of the home monitoring device 400 is the same as that of the home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and thus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4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청소 로봇의 충전대의 예시도이다.14 is an exemplary view of a charging station of a cleaning rob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또 다른 실시 예의 홈 모니터링 장치는, 홈 내의 복수 룸 중 어느 하나의 룸의 벽 부분에 설치된 일 실시 예와 달리, 청소 로봇에 충전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대(200)에 구비된다.The home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provided on the charging base 200 that supplies power for charging to the cleaning robot, unlike the embodiment installed on the wall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rooms in the home.

충전대(200)는 외부의 상용 교류 전원과 연결되어 외부의 상용 교류 전원을 공급받고 외부에서 공급된 상용 교류 전력을 변환하는 트랜스포머와, 변환된 전력을 반파 정류 또는 전파 정류하는 정류부와, 정류된 전력을 평활하는 평활부와, 평활된 전력을 일정 전압을 가진 직류 전력으로 출력하는 전압조절부를 포함하고, 전압 조절부에서 출력된 직류 전력을 전원 단자를 통해 청소 로봇(100)에 공급한다.The charging station 20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commercial AC power source to receive an external commercial AC power supply and converts the commercial AC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a rectifier unit for half-wave rectification or full-wave rectification of the converted power, and rectified power. A smoothing unit for smoothing and a voltage adjusting unit for outputting the smoothed power as DC power having a predetermined voltage, and supplying DC power output from the voltage adjusting unit to the cleaning robot 100 through a power terminal.

또한 충전대(200)는 청소 로봇(100)과의 도킹을 위한 도킹 신호를 청소 로봇(100)과 송수신하는 도킹 통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harging base 200 further includes a docking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that transmits and receives a docking signal for docking with the cleaning robot 100 with the cleaning robot 100.

충전대(200)는 사용자가 식별하기 용이한 위치인 본체의 상면에 마련된 홈 모니터링 장치(400)를 더 포함한다.The charging base 200 further includes a home monitoring device 400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which is a location that is easy for a user to identify.

이러한 홈 모니터링 장치(400)는 충전대로부터 구동 전력을 공급받고, 공급된 전력을 이용하여 동작한다.The home monitoring device 400 receives driving power from a charging station and operates using the supplied power.

충전대에 마련된 홈 모니터링 장치(400)는 청소 로봇과 통신을 수행하고, 복수의 전기기기와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홈 모니터링 장치(400)는 방범 등의 감시를 위한 장치와도 통신을 수행한다.The home monitoring device 400 provided in the charging station communicates with the cleaning robot and communicates with a plurality of electric devices. In addition, the home monitoring device 400 also communicates with a device for monitoring security or the like.

홈 모니터링 장치(400)는 청소 로봇(100)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의 위치 정보가 매치된 맵 정보를 수신하고, 이 정보들을 표시한다. The home monitoring device 400 receives map information in which location information of at least one electric device is matched from the cleaning robot 100 and displays the information.

홈 모니터링 장치(400)는 복수의 전기기기로부터 동작 정보를 수신받고, 복수의 전기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기로 제어 명령을 전송한다. The home monitoring apparatus 400 receives operation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electric devices and transmits a control command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electric devices.

홈 모니터링 장치(400)의 구체적인 기능은 일 실시예의 홈 모니터링 장치와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한다.A detailed function of the home monitoring device 400 is the same as that of the home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and thus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홈 내부 구조에 대한 2차원 또는 3차원 맵에 전기기기의 위치와 종류를 매치시키는 과정을 자동화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automate the process of matching the location and type of electrical devices to a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map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home.

이와 같이, 청소 로봇이 청소를 위해 작성한 맵 정보를 홈 관리 시에 이용함으로써 홈 내의 구조를 사실적으로 작성할 수 있고, 룸별로 위치한 전기기기를 자동으로 등록시킬 수 있어 사용자가 일일이 룸별로 위치한 전기기기를 등록해야 하는 등의 UX(User Experience)적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다.In this way, by using the map information created by the cleaning robot for cleaning at the time of home management, the structure in the home can be realistically created, and electric devices located for each room can be automatically registered, so that the user can individually select the electric devices located for each room. UX (User Experience) difficulties such as having to register can be solved.

100: 청소 로봇 110: 본체
120: 사용자 인터페이스 130: 영상부
140: 통신부 151: 장애물 검출부
160: 이동 어셈블리 170: 청소 툴
180: 전원부 200: 충전대
300: 전기기기 400: 홈 모니터링 장치
100: cleaning robot 110: main body
120: user interface 130: image unit
140: communication unit 151: obstacle detection unit
160: moving assembly 170: cleaning tool
180: power supply 200: charging base
300: electric device 400: home monitoring device

Claims (12)

본체;
홈 내에서 상기 본체를 이동시키는 이동 어셈블리;
홈 모니터링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의 주변의 영상을 수집하되 2차원 영상을 수집하는 제1촬영부;
상기 본체에 배치되되 상기 제1촬영부와 다른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의 주변의 영상을 수집하되 상기 제1촬영부와 다른 2차원 영상을 수집하는 제2촬영부; 및
상기 제1, 2 촬영부에서 수집된 2차원 영상을 영상 처리하여 3차원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3차원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홈 내의 룸을 구분하고, 상기 2차원 영상 및 상기 3차원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영상 처리하여 상기 구분된 룸 내 전기기기의 종류 및 위치를 인식하고, 상기 구분된 룸 내 상기 인식된 전기기기의 종류 및 위치에 대한 정보가 매치된 맵을 작성하고, 상기 구분된 룸 내 상기 인식된 전기기기의 종류 및 위치에 대한 정보가 매치된 맵을 상기 홈 모니터링 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분된 룸 내 상기 인식된 전기기기의 위치에 대한 정보는, 상기 구분된 룸 내 상기 인식된 전기기기의 3축 방향의 축값을 포함하는 청소 로봇.
main body;
A moving assembly for moving the main body within a groove;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home monitoring device;
A first photographing unit disposed on the main body and collecting images around the main body but collecting a two-dimensional image;
A second photographing unit disposed on the main body, disposed at a different position from the first photographing unit, and collecting an image around the main body but collecting a two-dimensional image different from the first photographing unit; And
To obtain a 3D image by image processing the 2D image collected by the first and second photographing units, to classify a room in the home based on the 3D image, at least one of the 2D image and the 3D image Recognizes the type and location of electric devices in the divided rooms by image processing the images of, and creates a map in which information on the types and locations of the recognized electric devices in the divided rooms is matched, and the divided rooms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a map in which information on the type and location of the recognized electric device is matched to the home monitoring device,
The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the recognized electric device in the divided room includes an axis value in the three-axis direction of the recognized electric device in the divided room.
삭제delete 본체;
홈 내에서 상기 본체를 이동시키는 이동 어셈블리;
홈 모니터링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의 주변의 영상을 수집하되 2차원 영상을 수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촬영부;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의 주변의 영상을 수집하되 3차원 영상을 수집하는 제2촬영부;
상기 3차원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홈 내의 룸을 구분하고, 상기 2차원 영상 및 3차원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영상 처리하여 상기 구분된 룸 내 전기기기의 종류 및 위치를 인식하고, 상기 구분된 룸 내 인식된 전기기기의 종류 및 위치에 대한 정보가 매치된 맵을 작성하고, 상기 구분된 룸 내 인식된 전기기기의 종류 및 위치에 대한 정보가 매치된 맵을 상기 홈 모니터링 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분된 룸 내 상기 인식된 전기기기의 위치에 대한 정보는, 상기 구분된 룸 내 상기 인식된 전기기기의 3축 방향의 축값을 포함하는 청소 로봇.
main body;
A moving assembly for moving the main body within a groove;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home monitoring device;
At least one first photographing unit disposed on the main body and collecting images around the main body but collecting a two-dimensional image;
A second photographing unit disposed on the main body and collecting images around the main body but collecting a three-dimensional image;
The room in the home is classified based on the 3D image, and at least one of the 2D image and the 3D image is image-processed to recognize the type and location of the electric device in the separated room, and the classified Create a map in which information on the type and location of recognized electric devices in a room is matched, and transmit a map in which information on the type and location of recognized electric devices in the separated room is matched to the home monitoring device.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unit,
The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the recognized electric device in the divided room includes an axis value in the three-axis direction of the recognized electric device in the divided room.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바닥 면의 이물질을 수집하는 청소 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현재 모드가 청소 모드이면 상기 이동 어셈블리 및 청소 툴의 동작을 제어하고, 청소를 수행하면서 상기 홈 내의 전기기기를 인식하고 인식된 전기기기가 새로운 전기기기인지 기 등록된 전기기기인지 판단하고 새로운 전기기기라고 판단되면 상기 맵을 업데이트하는 청소 로봇.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leaning tool for collecting foreign matter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If the current mode is a cleaning mode,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moving assembly and the cleaning tool, recognizes the electric device in the groove while performing cleaning, and determines whether the recognized electric device is a new electric device or a previously registered electric device.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it is a new electric device, the cleaning robot updates the map.
제 6 항에 있어서,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인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된 음성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이동 어셈블리를 제어하는 청소 로봇.
The method of claim 6,
Further comprising a voice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a voice,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moving assembly to move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voic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인식부는, 마이크로폰 어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로폰 어레이를 통해 검출된 음성의 위치를 인식하는 청소 로봇.
The method of claim 7,
The voice recognition unit includes a microphone array,
The control unit is a cleaning robot that recognizes the position of the voice detected through the microphone array.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로폰 어레이를 통해 검출된 음성을 음성 인식하고 상기 구분된 룸 중 상기 인식된 음성이 지시하는 룸을 판단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청소 로봇.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control unit,
And recognizing the voice detected through the microphone array and determining a room indicated by the recognized voice among the divided rooms.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인식부는, 하나의 마이크로폰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검출된 음성을 음성 인식하고, 상기 구분된 룸 중 상기 인식된 음성이 지시하는 룸을 판단하는 청소 로봇.
The method of claim 9,
The voice recognition unit includes one microphone,
The control unit is a cleaning robot that recognizes the voice detected through the microphone and determines a room indicated by the recognized voice among the divided room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본체에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대에 위치하고, 상기 맵에 매치된 전기기기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청소 로봇.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home monitoring device,
A cleaning robot that is located on a charging station that supplies power to the main body and displays information on electric devices matched to the map.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본체에 위치하고, 상기 홈 내 맵에 매치된 전기기기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청소 로봇.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home monitoring device,
A cleaning robot positioned on the main body and displaying information on electric devices matched to the map in the home.
KR1020190174635A 2019-12-26 2019-12-26 Cleaning robot, home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2274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4635A KR102227427B1 (en) 2019-12-26 2019-12-26 Cleaning robot, home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4635A KR102227427B1 (en) 2019-12-26 2019-12-26 Cleaning robot, home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6624A Division KR102061511B1 (en) 2013-04-26 2013-04-26 Cleaning robot, home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747A KR20200002747A (en) 2020-01-08
KR102227427B1 true KR102227427B1 (en) 2021-03-12

Family

ID=69154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4635A KR102227427B1 (en) 2019-12-26 2019-12-26 Cleaning robot, home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742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60424A (en) * 2020-04-09 2023-06-30 北京石头创新科技有限公司 Image viewing method, obstacle viewing method, terminal and cleaning machine
DE102020114660A1 (en) * 2020-06-02 2021-12-02 Vorwerk & Co. Interholding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Self-moving soil cultivation device with a map of the area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636B1 (en) * 2001-04-18 2003-11-21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Robot cleaner and system and method of controling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4055B1 (en) * 2004-10-13 2007-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Voice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 in using for robot cleaner
KR101842458B1 (en) * 2011-04-07 2018-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Robot cleaner, electronic devices controll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s of the robot clean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636B1 (en) * 2001-04-18 2003-11-21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Robot cleaner and system and method of controling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747A (en) 2020-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1511B1 (en) Cleaning robot, home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3727122B1 (en) Robot cleaner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9629514B2 (en) Traveling cleaning appliance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an appliance
EP2908204B1 (en) Robot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9658616B2 (en) Cleaning robo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082757B1 (en) Cleaning robo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40145648A (en) Cleaning robo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119484B2 (en) Vacuum cleaner and travel control method thereof
CN110636789B (en) Electric vacuum cleaner
TWI731555B (en) Mobile robot and method of controlling plurality of mobile robots
KR20190010303A (en)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227427B1 (en) Cleaning robot, home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082754B1 (en) Cleaning robo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00037200A (en) A plurality of robot cleaner and A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102183098B1 (en) A moving-robot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9991961A (en) Mobile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tele-control system
KR102508073B1 (en) A moving-robot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6259979B2 (en) Mobile platform system
KR20190003157A (en) Robot cleaner and robot cleaning system
JP7315262B2 (en) Cleaning system, robot cleaning device constituting cleaning system, and flying object device
JP7295657B2 (en) Autonomous vehicle device
KR102245953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KR20240029949A (en) A moving-robot
KR20240040180A (en) A moving-robot
KR20210039176A (en) Robot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