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3288B1 -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password awareness using a change in a hidden symbol display pattern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password awareness using a change in a hidden symbol display patter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3288B1
KR102223288B1 KR1020190099816A KR20190099816A KR102223288B1 KR 102223288 B1 KR102223288 B1 KR 102223288B1 KR 1020190099816 A KR1020190099816 A KR 1020190099816A KR 20190099816 A KR20190099816 A KR 20190099816A KR 102223288 B1 KR102223288 B1 KR 102223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word
user
hidden
notification
symb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98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20464A (en
Inventor
이재인
강희현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99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3288B1/en
Publication of KR20210020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04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3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32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5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 G06F21/46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by designing passwords or checking the strength of passwo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일 개시에 의하여 사용자 아이디 및 제 1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아이디에 매핑된 사용자 패스워드와 제 1 패스워드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제 1 패스워드와 사용자 패스워드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패스워드를 이루는 문자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만큼 동일한 형상의 숨김기호를 이용하여 제 1 알림 패스워드를 표시하는 단계, 제 2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제 2 패스워드와 사용자 패스워드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제 2 패스워드와 사용자 패스워드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패스워드를 이루는 문자의 종류수와 동일한 종류수의 숨김기호를 이용하여 제 2 알림 패스워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숨김기호 표시 패턴의 변화를 이용한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Receiving a user input for inputting a user ID and a first password by initiation,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password mapped to the user ID and the first password match, the first password and the user password do not match In this case, the step of displaying the first notification password using a hidden symbol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number of characters constituting the user password, and receiving a user input for inputting the second password, the second password and the user password are Hiding including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y match or not, and displaying a second notification password using a hide symbol having the same number of types as the number of types of characters constituting the user password when the second password and the user password do not match.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hod of improving password awareness by using a change in a symbol display pattern.

Description

숨김기호 표시 패턴의 변화를 이용한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password awareness using a change in a hidden symbol display pattern}{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password awareness using a change in a hidden symbol display pattern}

본 발명은 숨김기호 표시 패턴의 변화를 이용한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일 개시에 의하여 본 발명은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사용자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패스워드를 나타내는 숨김기호가 표시되는 패턴에 변화를 줌으로써 타인이 패스워드를 모르게 하는 원래의 목적은 달성하면서 동시에 사용자가 설정한 패스워드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돕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password awareness using a change in a hidden symbol display pattern. In more detail, according to the disclosu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ssist a user who enters a password, and by changing the pattern in which the hidden sign indicating the password is displayed, the original purpose of not letting others know the password is achieved, and at the same time, the password set by the user. It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to help make it easier to recognize.

일반적으로 패스워드는 포털사이트나 금융사이트와 같은 다중사용자시스템을 개인의 아이디로 이용할 수 있도록 로그인을 하기 위한 보안수단이며, 이 패스워드를 설정할 때, 다중사용자시스템에서 보안강화를 목적으로, 알파벳과 숫자 및 특수문자를 혼용하는 것을 강요하며, 순차 나열된 알파벳 및 숫자 사용을 금하거나, 개인정보(주로 주민등록번호)와 관련성 있는 숫자 사용을 금지 및 아이디와 중복된 알파벳 사용을 금지하고 있는 실정이다.In general, a password is a security means for logging in so that a multi-user system such as a portal site or a financial site can be used as an individual ID. The use of special characters is enforced, and the use of sequential alphabets and numbers is prohibited, the use of numbers related to personal information (mainly resident registration numbers) is prohibited, and the use of duplicated alphabets with IDs is prohibited.

이에, 다수개의 다중사용자시스템마다 또는 몇몇의 다중사용자시스템에서 패스워드를 다르게 설정하여 사용할 경우, 일상생활에서 익숙하지 않을뿐더러, 개연성이 떨어지는 알파벳과 숫자 및 특수문자를 혼용된 패스워드 전부를 다 기억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if passwords are set differently for each multi-user system or in several multi-user systems, it is not only unfamiliar in everyday life, and it is difficult to remember all passwords that mix alphabets, numbers, and special characters with less probability. There was a problem that was not easy.

또한, 최근 인터넷 사이트들은 보안 강화를 위하여 영어의 대소문자, 숫자, 특수기호를 모두 사용한 조합의 긴 패스워드를 요구하고 있으며, 점점 패스워드 설정을 위하여 요구되는 사항이 증가하고 있어 사용자가 느끼는 복잡성은 증가하고 있다. 나아가, 사용자는 인터넷 사이트들마다 다르게 설정된 비밀번호로 인하여 로그인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영문 대소문자, 숫자, 특수기호의 개수 및 위치를 정확하게 기억하기 어려워 로그인에 난항을 겪는 경험이 증가하고 있다.In addition, recent Internet sites require a long password in combination using all English upper and lowercase letters, numbers, and special symbols to enhance security, and as the requirements for password setting are increasing, the complexity that users feel is increasing. have. Furthermore, users are having difficulty logging in due to passwords set differently for each Internet site, and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memorize the number and location of English upper and lowercase letters, numbers, and special symbols, and thus, experience of having difficulty logging in is increasing.

그러나, 사용자의 패스워드 인지 향상 및 오류 감소를 위하여 입력 중인 패스워드의 마지막 글자를 보여주거나, 우측의 미리 보기를 제공하는 종래의 환경은 해킹 수단에 쉽게 노출될 위험이 있으며, 생체 인식 및 비밀번호 자동완성의 경우에도 보안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order to improve the user's password recognition and reduce errors, the conventional environment that shows the last letter of the password being input or provides a preview on the right is at risk of being easily exposed to hacking means, and biometrics and automatic password completion. Even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is vulnerable to security.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 10-2009-0097036호 (2009년 9월 15일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097036 (published on September 15, 2009)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 10-1553482호 (2015년 9월 15일 공고)Korean Patent Registration Publication No. 10-1553482 (announced on September 15, 2015)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패스워드를 나타내는 숨김기호 표시의 패턴 변화를이용하여 사용자의 패스워드 인지도를 향상시켜, 로그인을 도와주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sting login by improving the user's password awareness by using a pattern change in the display of the hidden symbol indicating the password.

제 1 실시예에 의하여 사용자 아이디 및 제 1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아이디에 매핑된 사용자 패스워드와 제 1 패스워드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제 1 패스워드와 사용자 패스워드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패스워드를 이루는 문자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만큼 동일한 형상의 숨김기호를 이용하여 제 1 알림 패스워드를 표시하는 단계, 제 2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제 2 패스워드와 사용자 패스워드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제 2 패스워드와 사용자 패스워드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패스워드를 이루는 문자의 종류수와 동일한 종류수의 숨김기호를 이용하여 제 2 알림 패스워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숨김기호 표시 패턴의 변화를 이용한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Receiving a user input for inputting a user ID and a first passwor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password mapped to the user ID and the first password match, the first password and the user password match If not, the step of displaying the first notification password using a hidden symbol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number of characters constituting the user password, and receiving a user input for entering the second password, the second password and the user Determining whether the password matches or not, and when the second password and the user password do not match, displaying a second notification password using a hidden symbol having the same type number as the type number of characters constituting the user passwor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hod of improving password awareness by using a change in the hidden sign display pattern.

일 개시에 의하여, 빈공간의 자리에, 빈공간이 처음 배열된 숨김기호를 기준으로 몇번째 자리에 해당하는지를 나타내는 숫자를 삽입하여 제 2 알림 패스워드를 표시하는 단계 및 제 3 알림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수를 나숫자를 삽입하는 단계를 제공할 수 있다.At the beginning of the day, the step of displaying the second notification password by inserting a number indicating the number of digits based on the initially arranged hidden symbol in the empty space, and inputting the third notification password As input is received, a step of inserting a number or a number may be provided.

또한, 제 1 알림 패스워드와 함께 제 1 알림 패스워드의 자릿수를 함께 표시하는 단계, 제 2 패스워드가 입력됨에 따라, 제 1 알림 패스워드의 자릿수를 변경하는 단계, 제 1 알림 패스워드의 자릿수가 0이 되는 경우, 모든 자릿수의 패스워드가 입력되었음을 알리기 위해 진동 알림, 팝업 알림 및 소리 알림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displaying the number of digits of the first notification password together with the first notification password, changing the number of digits of the first notification password as the second password is input, and when the number of digits of the first notification password becomes 0 , Outputting at least one of a vibration notification, a pop-up notification, and a sound notification to notify that a password of all digits has been input may be provided.

제 2 실시예에 의하여, 프로세서 및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아이디 및 제 1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 아이디에 매핑된 사용자 패스워드와 제 1 패스워드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제 1 패스워드와 사용자 패스워드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패스워드를 이루는 문자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만큼 동일한 형상의 숨김기호를 이용하여 제 1 알림 패스워드를 표시하고, 제 2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제 2 패스워드와 사용자 패스워드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제 2 패스워드와 사용자 패스워드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패스워드를 이루는 문자의 종류수와 동일한 종류수의 숨김기호를 이용하여 제 2 알림 패스워드를 표시하는 숨김기호 표시 패턴의 변화를 이용한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t includes a processor and a memory for storing executable instructions, the processor receives a user input for inputting a user ID and a first password by executing the instructions, and a user password mapped to the user ID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first password matches, and if the first password and the user password do not match, the first notification password is displayed using a hidden symbol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number of characters constituting the user password, Upon receiving the user input for entering the second passwor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econd password and the user password match, and if the second password and the user password do not match, the same type as the number of characters constituting the user password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pparatus for improving password awareness using a change in a hidden symbol display pattern that displays a second notification password using a number of hidden symbols.

제 3 실시예에 의하여, 숨김기호 표시 패턴의 변화를 이용한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 기록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mputer-readable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rogram for implementing a method for improving password awareness using a change in a hidden symbol display pattern is recorded.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숨김기호 표시 패턴의 변화를 이용한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방법은 사용자 아이디 및 제 1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아이디에 매핑된 사용자 패스워드와 상기 제 1 패스워드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 1 패스워드와 사용자 패스워드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패스워드를 이루는 문자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만큼 동일한 형상의 숨김기호를 이용하여 제 1 알림 패스워드를 표시하는 단계; 제 2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 2 패스워드와 사용자 패스워드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패스워드와 사용자 패스워드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패스워드를 이루는 문자의 종류수와 동일한 종류수의 숨김기호를 이용하여 제 2 알림 패스워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ly, a method for improving password awareness using a change in a hidden sign display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eceiving a user input for inputting a user ID and a first password;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password mapped to the user ID matches the first password; If the first password and the user password do not match, displaying the first notification password using a hidden symbol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number of characters constituting the user password; Determining whether the second password matches the user password upon receiving a user input for inputting a second password; And when the second password and the user password do not match, displaying a second notification password using a hidden symbol having the same number of types as the number of characters constituting the user password.

상기 숨김기호 표시 패턴의 변화를 이용한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2 알림 패스워드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패스워드를 이루는 영문 대문자, 영문 소문자, 숫자 및 특수 기호의 개수 및 위치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한 영문 대문자, 영문 소문자, 숫자 및 특수기호의 개수만큼 서로 다른 형상의 숨김기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숨김기호를 랜덤으로 배열하는 단계; 처음 배열된 숨김기호를 기준으로 3개의 숨김기호 다음에 빈공간을 삽입하고, 빈공간 다음에 3개의 숨김기호를 배치한 후 빈공간을 삽입하는 것을 반복하는 단계;및 상기 배열이 완성된 숨김기호를 제 2 알림 패스워드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the method for improving password awareness using the change of the hidden symbol display pattern, the displaying of the second notification password comprises: analyzing the number and location of uppercase letters, lowercase letters, numbers, and special symbols constituting the user password; Generating hidden symbols of different shapes as much as the number of the analyzed uppercase English letters, lowercase English letters, numbers, and special symbols; Randomly arranging the generated hidden symbols; Inserting an empty space after the 3 hidden symbols based on the initially arranged hidden symbols, placing the 3 hidden symbols after the empty space, and repeating inserting the empty space; And the hidden symbols in which the arrangement is completed It may include the step of displaying as the second notification password.

상기 숨김기호 표시 패턴의 변화를 이용한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2 알림 패스워드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패스워드를 이루는 영문 대문자, 영문 소문자, 숫자 및 특수 기호의 개수 및 위치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한 영문 대문자, 영문 소문자, 숫자 및 특수기호의 개수만큼 서로 다른 형상의 숨김기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영문 대문자에 대응하는 제 1 숨김기호를 상기 사용자 패스워드에서 영문 대문자가 위치한 자리에, 상기 영문 소문자에 대응하는 제 2 숨김기호를 상기 사용자 패스워드에서 영문 소문자가 위치한 자리에, 상기 숫자에 대응하는 제 3 숨김기호를 상기 사용자 패스워드에서 숫자가 위치한 자리에, 상기 특수기호에 대응하는 제 4 숨김기호를 상기 사용자 패스워드에서 특수기호가 위치한 자리에 배치함으로써 제 2 알림 패스워드를 생성하는 단계;및 상기 제 2 알림 패스워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the method for improving password awareness using a change in the hidden sign display pattern, the displaying of the second notification password comprises: analyzing the number and location of uppercase English letters, lowercase letters, numbers and special symbols constituting the user password. ; Generating hidden symbols of different shapes as much as the number of the analyzed uppercase English letters, lowercase English letters, numbers, and special symbols; The first hidden symbol corresponding to the uppercase English letter is placed in the place where the uppercase English letter is located in the user password, the second hidden symbol corresponding to the lowercase letter is placed in the place where the lowercase English letter is placed in the user password, 3 Generating a second notification password by placing a hidden symbol in the place where the number is located in the user password and the fourth hidden symbol corresponding to the special symbol in the place where the special symbol is located in the user password; and the second It may include displaying a notification password.

상기 숨김기호 표시 패턴의 변화를 이용한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방법은 제 3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 3 패스워드와 사용자 패스워드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 2 알림 패스워드에 포함된 복수개의 종류의 숨김기호 중 어느 하나의 종류의 숨김기호에 대응하는 원래의 문자를 표시하여 제 3 알림 패스워드를 생성하는 단계;및 상기 제 3 알림 패스워드를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계정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method for improving password awareness using a change in the hide symbol display pattern includes determining whether the third password matches the user password upon receiving a user input for inputting a third password; Generating a third notification password by displaying an original character corresponding to any one of a plurality of types of hidden symbols included in the second notification password; and registering the third notification password in advance It may include the step of transmitting to the user's account.

상기 숨김기호 표시 패턴의 변화를 이용한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방법은 주기적으로 상기 사용자 패스워드에 포함된 문자들의 배열을 랜덤으로 변경하는 단계;The method for improving password awareness using a change in the hidden sign display pattern includes periodically changing an arrangement of characters included in the user password at random;

상기 랜덤으로 배열이 변경된 문자들의 종류에 대응하는 숨김기호를 표시함으로써 제 4 알림 패스워드를 생성하는 단계;및 상기 사용자 아이디 및 제 3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 4 알림 패스워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Generating a fourth notification password by displaying a hidden symbol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the randomly changed characters; And upon receiving a user input for inputting the user ID and the third password, the fourth notification password It may include the step of displaying.

상기 숨김기호 표시 패턴의 변화를 이용한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방법은 상기 제 2 패스워드를 순차적으로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입력된 문자의 개수만큼 제 1 알림 패스워드를 이루는 숨김기호를 삭제하는 단계;및 상기 사용자 패스워드를 이루는 모든 문자의 개수가 입력되는 경우, 진동 알림, 팝업 알림 및 소리 알림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password recognition method using the change of the hidden symbol display pattern includes: deleting the hidden symbol constituting the first notification password as many as the number of input characters according to a user input for sequentially inputting the second password; And the user When the number of all characters constituting the password is input, outputting at least one of a vibration notification, a pop-up notification, and a sound notification may be included.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숨김기호 표시 패턴의 변화를 이용한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장치는 프로세서; 및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아이디 및 제 1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아이디에 매핑된 사용자 패스워드와 상기 제 1 패스워드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 1 패스워드와 사용자 패스워드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패스워드를 이루는 문자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만큼 동일한 형상의 숨김기호를 이용하여 제 1 알림 패스워드를 표시하고, 제 2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 2 패스워드와 사용자 패스워드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 2 패스워드와 사용자 패스워드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패스워드를 이루는 문자의 종류수와 동일한 종류수의 숨김기호를 이용하여 제 2 알림 패스워드를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An apparatus for improving password awareness using a change in a hidden sign display patter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cessor; And a memory storing executable instructions, wherein the processor receives a user input for inputting a user ID and a first password by executing the instructions, and the user password mapped to the user ID and the first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password matches, and if the first password and the user password do not match, the first notification password is displayed using a hidden symbol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number of characters constituting the user password, Upon receiving a user input for inputting a second passwor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econd password and the user password match, and if the second password and the user password do not match, the number of characters constituting the user password The second notification password may be displayed using the same type number of hidden symbols.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기록 매체는 상기 숨김기호 표시 패턴의 변화를 이용한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 기록 매체일 수 있다.The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computer in which a program for implementing a method for improving password awareness using a change in the hide symbol display pattern is recorded.

일 개시에 의하여, 본원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사용자의 아이디를 입력한 후 복수회에 걸쳐 정확한 비밀번호를 입력하지 못하는 경우, 사용자의 비밀번호 입력을 도울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비밀번호에 포함된 문자의 개수를 숨김기호를 이용하여 표시한 후, 다시 한번 잘못된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비밀 번호에 포함된 특수문자, 영어 대소문자, 숫자 등을 서로 다른 숨김 기호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비밀번호에 관련된 힌트를 줄 수 있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cannot input the correct password multiple times after inputting the user's ID, it is possible to help the user input the password. More specifically, after displaying the number of characters in the password using a hidden symbol, if an incorrect password is entered again, special characters, English upper and lowercase letters, and numbers included in the password are displayed with different hidden symbols. You can give the user a hint about the password.

또한, 기존의 비밀번호의 일부를 알려주던 방식과 달리 비밀번호의 종류별로 숨김기호를 다르게 표시함으로써 해킹에 의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주기적으로 비밀번호에 포함된 문자의 배열을 달리하면서 사용자에게 숨김기호를 이용한 힌트를 줄 수 있어 사용자의 계정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In addition, unlike the method of indicating a part of the existing password, damage caused by hacking can be prevented by displaying the hidden symbol differently for each type of password.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int using a hidden symbol to the user while periodically changing the arrangement of characters included in the password, thereby effectively protecting the user's account.

도 1은 일 개시에 의하여 숨김기호 표시 패턴의 변화를 이용한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방법을 개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개시에 의하여 숨김기호 표시 패턴의 변화를 이용한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일 개시에 의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잘못된 패스워드가 입력되는 경우 알림 패스워드를 생성하고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개시에 의한 알림 패스워드를 생성하는 특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개시에 의하여 사용자의 패스워드 인지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는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개시에 의한 숨김기호 표시 패턴의 변화를 이용한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시키는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개시에 의한 데이터학습을 통해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생성하는 프로세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improving password awareness using a change in a hidden symbol display pattern according to one disclosure.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improving password awareness using a change in a hidden symbol display pattern according to one disclosure.
FIG.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generating and displaying a notification password when an incorrect password is input by a user by an initiation.
4 is a diagram for illustratively explaining a feature of generating a notification password according to an initiation.
FIG.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feature of outputting a notification message in order to improve the user's password recognition by initiation.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improving password recognition by using a change in a hidden symbol display pattern according to one disclosure.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rocessor that generates an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model through data learning according to one disclosur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개시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In addi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isclos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deno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in the drawings.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Object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naturally understood or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object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only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숨김기호 표시 패턴의 변화를 이용한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방법은 사용자 아이디 및 제 1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아이디에 매핑된 사용자 패스워드와 상기 제 1 패스워드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 1 패스워드와 사용자 패스워드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패스워드를 이루는 문자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만큼 동일한 형상의 숨김기호를 이용하여 제 1 알림 패스워드를 표시하는 단계; 제 2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 2 패스워드와 사용자 패스워드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패스워드와 사용자 패스워드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패스워드를 이루는 문자의 종류수와 동일한 종류수의 숨김기호를 이용하여 제 2 알림 패스워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improving password awareness using a change in a hidden symbol display pattern includes: receiving a user input for inputting a user ID and a first password;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password mapped to the user ID matches the first password; If the first password and the user password do not match, displaying the first notification password using a hidden symbol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number of characters constituting the user password; Determining whether the second password matches the user password upon receiving a user input for inputting a second password; And when the second password and the user password do not match, displaying a second notification password using a hidden symbol having the same number of types as the number of characters constituting the user password.

상기 숨김기호 표시 패턴의 변화를 이용한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2 알림 패스워드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패스워드를 이루는 영문 대문자, 영문 소문자, 숫자 및 특수 기호의 개수 및 위치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한 영문 대문자, 영문 소문자, 숫자 및 특수기호의 개수만큼 서로 다른 형상의 숨김기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숨김기호를 랜덤으로 배열하는 단계; 처음 배열된 숨김기호를 기준으로 3개의 숨김기호 다음에 빈공간을 삽입하고, 빈공간 다음에 3개의 숨김기호를 배치한 후 빈공간을 삽입하는 것을 반복하는 단계;및 상기 배열이 완성된 숨김기호를 제 2 알림 패스워드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the method for improving password awareness using the change of the hidden symbol display pattern, the displaying of the second notification password comprises: analyzing the number and location of uppercase letters, lowercase letters, numbers, and special symbols constituting the user password; Generating hidden symbols of different shapes as much as the number of the analyzed uppercase English letters, lowercase English letters, numbers, and special symbols; Randomly arranging the generated hidden symbols; Inserting an empty space after the 3 hidden symbols based on the initially arranged hidden symbols, placing the 3 hidden symbols after the empty space, and repeating inserting the empty space; And the hidden symbols in which the arrangement is completed It may include the step of displaying as the second notification password.

상기 숨김기호 표시 패턴의 변화를 이용한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2 알림 패스워드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패스워드를 이루는 영문 대문자, 영문 소문자, 숫자 및 특수 기호의 개수 및 위치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한 영문 대문자, 영문 소문자, 숫자 및 특수기호의 개수만큼 서로 다른 형상의 숨김기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영문 대문자에 대응하는 제 1 숨김기호를 상기 사용자 패스워드에서 영문 대문자가 위치한 자리에, 상기 영문 소문자에 대응하는 제 2 숨김기호를 상기 사용자 패스워드에서 영문 소문자가 위치한 자리에, 상기 숫자에 대응하는 제 3 숨김기호를 상기 사용자 패스워드에서 숫자가 위치한 자리에, 상기 특수기호에 대응하는 제 4 숨김기호를 상기 사용자 패스워드에서 특수기호가 위치한 자리에 배치함으로써 제 2 알림 패스워드를 생성하는 단계;및 상기 제 2 알림 패스워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the method for improving password awareness using a change in the hidden sign display pattern, the displaying of the second notification password comprises: analyzing the number and location of uppercase English letters, lowercase letters, numbers and special symbols constituting the user password. ; Generating hidden symbols of different shapes as much as the number of the analyzed uppercase English letters, lowercase English letters, numbers, and special symbols; The first hidden symbol corresponding to the uppercase English letter is placed in the place where the uppercase English letter is located in the user password, the second hidden symbol corresponding to the lowercase letter is placed in the place where the lowercase English letter is placed in the user password, 3 Generating a second notification password by placing a hidden symbol in the place where the number is located in the user password and the fourth hidden symbol corresponding to the special symbol in the place where the special symbol is located in the user password; and the second It may include displaying a notification password.

상기 숨김기호 표시 패턴의 변화를 이용한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방법은 제 3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 3 패스워드와 사용자 패스워드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 2 알림 패스워드에 포함된 복수개의 종류의 숨김기호 중 어느 하나의 종류의 숨김기호에 대응하는 원래의 문자를 표시하여 제 3 알림 패스워드를 생성하는 단계;및 상기 제 3 알림 패스워드를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계정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method for improving password awareness using a change in the hide symbol display pattern includes determining whether the third password matches the user password upon receiving a user input for inputting a third password; Generating a third notification password by displaying an original character corresponding to any one of a plurality of types of hidden symbols included in the second notification password; and registering the third notification password in advance It may include the step of transmitting to the user's account.

상기 숨김기호 표시 패턴의 변화를 이용한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방법은 주기적으로 상기 사용자 패스워드에 포함된 문자들의 배열을 랜덤으로 변경하는 단계;The method for improving password awareness using a change in the hidden sign display pattern includes periodically changing an arrangement of characters included in the user password at random;

상기 랜덤으로 배열이 변경된 문자들의 종류에 대응하는 숨김기호를 표시함으로써 제 4 알림 패스워드를 생성하는 단계;및 상기 사용자 아이디 및 제 3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 4 알림 패스워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Generating a fourth notification password by displaying a hidden symbol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the randomly changed characters; And upon receiving a user input for inputting the user ID and the third password, the fourth notification password It may include the step of displaying.

상기 숨김기호 표시 패턴의 변화를 이용한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방법은 상기 제 2 패스워드를 순차적으로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입력된 문자의 개수만큼 제 1 알림 패스워드를 이루는 숨김기호를 삭제하는 단계;및 상기 사용자 패스워드를 이루는 모든 문자의 개수가 입력되는 경우, 진동 알림, 팝업 알림 및 소리 알림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password recognition method using the change of the hidden symbol display pattern includes: deleting the hidden symbol constituting the first notification password as many as the number of input characters according to a user input for sequentially inputting the second password; And the user When the number of all characters constituting the password is input, outputting at least one of a vibration notification, a pop-up notification, and a sound notification may be included.

이하에서 숨김기호 표시 패턴의 변화를 이용한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장치(100)는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장치(100)로 축약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assword awareness improving apparatus 100 using a change in the hidden symbol display pattern will be abbreviated as the password awareness improving apparatus 100 and described.

도 1은 일 개시에 의하여 숨김기호 표시 패턴의 변화를 이용한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방법을 개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improving password awareness using a change in a hidden symbol display pattern according to one disclosure.

일 개시에 의하여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장치(100)는 사용자의 패스워드 인지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두 개의 숨김기호를 이용하여 패스워드에 대한 힌트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apparatus 100 for improving password awareness may provide a hint for a password using at least two hidden symbols in order to improve the user's password awareness.

숨김기호는 사용자가 입력한 패스워드 대신 표시하는 기호 또는 패스워드를 알려주기 위하여 사용되는 기호로서, 실제로 입력한 패스워드를 숨기기 위하여 표시하는 기호이다. 또한, 일 개시에 의하여 본원발명에서의 숨김기호는 사용자의 패스워드 인지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실제 입력한 패스워드에 포함된 문자의 종류별로 미리 설정된 기호를 의미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숨김기호는 문자의 종류에 고정되어 설정되지 않으며, 일시적으로 사용될 수 있거나, 주기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The hide symbol is a symbol displayed instead of a password entered by a user or a symbol used to inform the password, and is a symbol displayed to hide the actually entered password. In addition, 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hidden symbol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mean a preset symbol for each type of characters included in the password actually input by the user in order to improve the user's password awareness. By the beginning, the hidden symbol is fixed to the type of character and is not set, and may be used temporarily or may be changed periodically.

예를 들어, 숨김기호는 *, !, @, #, $, %, ^, &, *,?와 같은 특수기호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으며, 숫자, 영문 대문자, 영문 소문자 중 선택된 기호가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숫자는 *, 영문 대문자는 &, 영문 소문자는 %, 특수기호는 #의 숨김기호가 사용될 수 있다. 숨김기호는 실제 패스워드를 생성할 때 사용되지 않는 특수기호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예시일 뿐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For example, the hidden symbol can be any one of special symbols such as *, !, @, #, $, %, ^, &, *,?, and a symbol selected from numbers, uppercase letters, and lowercase letters can be used. May be. For example, the hidden symbol of * for numbers, & for uppercase English letters,% for lowercase English letters, and # for special symbols may be used. The hidden symbol may be any one of special symbols that are not used when generating an actual password.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hereto.

도 1에서와 같이, 사용자는 사이트에 로그인하기 위하여 ID 및 패스워드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실제로 입력한 패스워드는 동일한 숨김기호로서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ID가 입력되는 경우, 사용자의 아이디에 매핑된 비밀번호에 포함된 문자수에 따라 동일한 숨김기호(도면상에서 *)가 표시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비밀번호는 10자리임을 확인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user can enter an ID and password to log in to the site. The password actually entered by the user can be displayed as the same hidden symbol. Alternatively, when the user's ID is input, the same hidden symbol (* on the drawing) may be display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characters included in the password mapped to the user's ID. In other word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user's password is 10 digits.

그러나, 사용자가 입력한 패스워드가 실제 저장된 패스워드가 다른 경우,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장치(100)는 사용자의 패스워드 인지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자의 패스워드에 포함된 문자의 종류 별로 서로 다른 숨김기호를 표시할 수 있다. 즉 도면에서와 같이,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장치(100)는 숫자는 *, 영문 대문자는 &, 영문 소문자는 %, 특수기호는 #의 숨김기호를 표시할 수 있다. However, when the password input by the user is different from the actual stored password, the password awareness improving apparatus 100 may display different hidden symbols for each type of characters included in the user's password in order to improve the user's password awareness. . That is, as shown in the drawing, the password awareness enhancement apparatus 100 may display a hidden symbol of * for numbers, & for uppercase English characters,% for lowercase English characters, and # for special symbols.

예를 들어, 실제 사용자 패스워드가 1234+$AszT인 경우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장치(100)는 ****##&%%&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어떤 종류의 문자가 패스워드를 이루고 있는지 알려줄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이 설정한 패스워드의 고유 패턴을 기억하고 있기 때문에, 숨김기호를 확인함으로써 자신이 실제로 등록하였던 패스워드를 쉽게 기억해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or example, when the actual user password is 1234+$AszT, the password awareness improving apparatus 100 may inform the user what kind of characters constitute the password by displaying ****##&%%&. Since the user memorizes the unique pattern of the password set by the user, there is an effect of being able to easily memorize the password that he has actually registered by checking the hidden code.

도 2는 일 개시에 의하여 숨김기호 표시 패턴의 변화를 이용한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improving password awareness using a change in a hidden symbol display pattern according to one disclosure.

블록 201에서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장치(100)는 사용자 아이디 및 제 1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아이디는 사용자의 고유 정보로서, 소정의 사이트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고유 계정을 의미한다. 여기서 제 1 패스워드는 사용자가 로그인을 위하여 현재 입력하는 패스워드를 의미하며, 미리 등록된 패스워드 자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In block 201, the password awareness enhancing apparatus 100 may receive a user input for inputting a user ID and a first password. The user ID is unique information of a user and means a unique account for using a predetermined site or service. Here, the first password refers to a password currently input by the user for login, and does not refer to a previously registered password itself.

일 개시에 의하여,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장치(100)는 제 1 패스워드가 입력되는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하여 또 다른 숨김기호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장치(100)는 제 1 패스워드가 입력되는 동시에 소정의 특수기호를 사용하여 제 1 패스워드의 입력을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하여 5자리의 패스워드가 입력되는 경우,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장치(100)는 패스워드 입력창에 +++++를 입력함으로써 사용자의 패스워드 입력을 표시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initiation, the password awareness improving apparatus 100 may use another hidden symbol to inform the user of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password is input. For example, the password awareness enhancement apparatus 100 may notify the input of the first password using a predetermined special symbol while the first password is input. For example, when a 5-digit password is input by the user, the password awareness enhancing apparatus 100 may display the user's password input by entering +++++ in the password input window.

블록 202에서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장치(100)는 사용자 아이디에 매핑된 사용자 패스워드와 제 1 패스워드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계정을 생성하던 당시 등록한 사용자 아이디와 사용자 패스워드는 서로 매핑된 채로 저장된다. 따라서, 사용자 아이디는 고유의 사용자 패스워드와 매핑된다. 여기서 사용자 패스워드는 사용자가 등록하고, 로그인을 위한 고유정보로서 저장된 패스워드를 의미하며, 가장 최근 업데이트 된 사용자 패스워드를 나타낸다. In block 202, the password awareness enhancing apparatus 100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password mapped to the user ID matches the first password. That is, the user ID and the user password registered at the time the user created the account are stored mapped to each other. Thus, the user ID is mapped to the unique user password. Here, the user password means a password registered by the user and stored as unique information for login, and represents the most recently updated user password.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장치(100)는 사용자 패스워드와 제 1 패스워드의 동일서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제 1 패스워드가 올바른 사용자 패스워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The password awareness enhancing apparatus 100 may determine whether the first password is a correct user password by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password and the first password are identical.

블록 203에서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장치(100)는 제 1 패스워드와 사용자 패스워드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패스워드를 이루는 문자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만큼 동일한 형상의 숨김기호를 이용하여 제 1 알림 패스워드를 표시할 수 있다.In block 203, when the first password and the user password do not match, the password awareness enhancing apparatus 100 may display the first notification password using the same hidden symbol as the number of characters constituting the user password. have.

즉,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장치(100)는 사용자로 인해 입력된 제 1 패스워드가 틀렸다고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의 패스워드 인지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 1 알림 패스워드를 생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알림 패스워드는 사용자 패스워드에 포함된 문자 개수를 알려주는 용도로서, 동일한 숨김기호를 이용하여 표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입력한 패스워드가 1234+$AszT인 경우 제 1 알림 패스워드는 동일한 숨김기호 10개(ex. **********)로 제 1 알림 패스워드를 표시할 수 있다. That i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password input by the user is incorrect, the password awareness improving apparatus 100 may generate and display the first notification password in order to improve the user's password awareness. Here, the first notification password is used to inform the number of characters included in the user password, and is displayed using the same hidden symbol. For example, if the password input by the user is 1234+$AszT, the first notification password may display the first notification password with the same 10 hidden symbols (ex. **********). .

블록 204에서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장치(100)는 제 2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제 2 패스워드와 사용자 패스워드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In block 204, the apparatus 100 for improving password awareness may determine whether the second password matches the user password as the user input for inputting the second password is received.

즉, 제 1 알림 패스워드를 통해 자신이 입력한 패스워드의 문자 수를 확인한 사용자는 다시 한번 패스워드를 입력할 수 있으며,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장치(100)는 입력된 제 2 패스워드와 사용자 패스워드의 동일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at is, the user who has checked the number of characters in the password that he has entered through the first notification password can enter the password again, and the password awareness enhancement device 100 determines whether the input second password and the user password are identical. can do.

블록 205에서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장치(100)는 제 2 패스워드와 사용자 패스워드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패스워드를 이루는 문자의 종류수와 동일한 종류수의 숨김기호를 이용하여 제 2 알림 패스워드를 표시할 수 있다.In block 205, when the second password and the user password do not match, the password awareness enhancement apparatus 100 may display the second notification password using the same number of types as the number of characters constituting the user password. .

일 개시에 의하여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장치(100)는 사용자 패스워드를 이루는 영문 대문자, 영문 소문자, 숫자 및 특수 기호의 개수 및 위치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패스워드가 1234+$AszT인 경우 4종류의 문자로 이루졌으며, 그 중 숫자 4개, 특수기호 2개, 영문 대문자 2개, 영문 소문자 2개인 10개의 문자를 확인할 수 있다.By initiation, the password awareness enhancement apparatus 100 may analyze the number and location of uppercase English letters, lowercase letters, numbers, and special symbols constituting the user password. For example, if the user password is 1234+$AszT, it consists of 4 types of characters, of which 4 numbers, 2 special symbols, 2 English uppercase letters, and 2 lowercase English letters can be checked.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장치(100)는 분석한 영문 대문자, 영문 소문자, 숫자 및 특수기호의 개수만큼 서로 다른 형상의 숨김기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4종류의 문자에 대응하도록 4개의 숨김기호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영문 대문자, 영문 소문자, 숫자 및 특수기호 각각에 대응하는 숨김기호는 미리 정해져 있거나, 일시적으로 발급된 숨김기호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패스워드가 1234+$AszT인 경우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장치(100)는 ****, ##, &&, %%의 숨김기호를 결정할 수 있다.The password awareness enhancement apparatus 100 may generate hidden symbols of different shapes as many as the number of analyzed English uppercase letters, lowercase letters, numbers, and special symbols. That is, four hidden symbols can be determined to correspond to four types of characters. In this case, the hidden symbol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uppercase letters in English, lowercase letters in English, numbers, and special symbols may be predetermined or may be temporarily issued hidden symbols. For example, when the user password is 1234+$AszT, the password awareness improving apparatus 100 may determine the hidden symbols of ****, ##, &&, and %%.

일 개시에 의하여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장치(100)는 생성된 숨김기호를 랜덤으로 배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장치(100)는 ****, ##, &&, %%의 숨김기호를 랜덤으로 배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 등과 같이 배열할 수 있으며, 배열한 순서는 랜덤 규칙에 의한다.The password recognition enhancement apparatus 100 may randomly arrange the generated hidden symbols by an initiation. For example, the password awareness enhancement apparatus 100 may randomly arrange the hidden symbols of ****, ##, &&, and %%. For example, it can be arranged like **##&%%**&, etc., and the order of arrangement is according to a random rule.

일 개시에 의하여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장치(100)는 처음 배열된 숨김기호를 기준으로 3개의 숨김기호 다음에 빈공간을 삽입하고, 빈공간 다음에 3개의 숨김기호를 배치한 후 빈공간을 삽입하는 것을 반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로 하여금 숨김기호의 개수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숨김기호 사이에 빈칸을 삽입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장치(100)는 숨김기호를 *** *## &%% &와 같이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3개의 숨김기호 다음에 빈공간을 삽입하는 것은 단순한 예시일 뿐, 빈공간 사이의 문자의 개수는 제한되지 않는다.By the beginning, the password awareness enhancement apparatus 100 inserts an empty space after the three hidden symbols based on the initially arranged hidden symbols, and inserts the empty space after placing three hidden symbols after the empty space. Can repeat. That is, a blank space can be inserted between the hidden symbols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number of hidden symbols and displayed. For example, the password awareness enhancement device 100 may display a hidden symbol such as *** *## &%% &. Inserting an empty space after the three hidden symbols is just an example, and the number of characters between the empty spaces is not limited.

일 개시에 의하여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장치(100)는 배열이 완성된 숨김기호를 제 2 알림 패스워드로 표시할 수 있다.By initiation, the password awareness enhancement apparatus 100 may display a hidden symbol whose arrangement is completed as a second notification password.

나아가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장치(100)는 제 3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제 3 패스워드와 사용자 패스워드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password awareness enhancement apparatus 100 may determine whether the third password matches the user password as the user input for inputting the third password is received.

또한,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장치(100)는 제 2 알림 패스워드에 포함된 복수개의 종류의 숨김기호 중 어느 하나의 종류의 숨김기호에 대응하는 원래의 문자를 표시하여 제 3 알림 패스워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 3 알림 패스워드를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계정으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ssword awareness enhancement apparatus 100 may generate a third notification password by displaying an original character corresponding to any one type of hidden symbol among a plurality of types of hidden symbols included in the second notification password. In addition, the third notification password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s account registered in advance.

또한,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장치(100)는 사용자의 패스워드의 보안성을 높이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사용자 패스워드에 포함된 문자들의 배열을 랜덤으로 변경할 수 있다.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장치(100)는 패스워드가 변경된 후, 로그인을 원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랜덤으로 배열이 변경된 문자들의 종류에 대응하는 숨김기호를 표시함으로써 제 4 알림 패스워드를 생성하고 표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장치(100)는 사용자 아이디 및 제 3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제 4 알림 패스워드를 표시할 수 있다.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장치(100)는 제 4 알림 패스워드를 화면상에 표시하거나,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계정으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ssword awareness enhancement apparatus 100 may periodically randomly change the arrangement of characters included in the user password in order to increase the security of the user's password. After the password is changed, the apparatus 100 for improving password awareness may generate and display the fourth notification password by displaying a hidden symbol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characters whose arrangement is randomly changed as a user input for logging in is received. In more detail, the password awareness enhancement apparatus 100 may display a fourth notification password upon receiving a user input for inputting a user ID and a third password. The password awareness enhancement apparatus 100 may display the fourth notification password on the screen or transmit the password to a user's account registered in advance.

도 3은 일 개시에 의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잘못된 패스워드가 입력되는 경우 알림 패스워드를 생성하고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generating and displaying a notification password when an incorrect password is input by a user by an initiation.

일 개시에 의하여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한 제 1 패스워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ID에 매핑된 사용자 패스워드가 1234+$AszT인 경우,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장치(100)는 제 1 패스워드로 입력된 123+$szT와 사용자 패스워드를 비교하여 입력된 패스워드에서 4가 빠졌기 때문에 제 1 패스워드가 잘못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initiation, the password awareness improving apparatus 100 may receive a first password input by a user. For example, if the user password mapped to the user ID is 1234+$AszT, the password awareness enhancement device 100 compares the user password with 123+$szT input as the first password, and 4 is omitted from the input password. Therefor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first password is incorrect.

일 개시에 의하여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장치(100)는 제 1 패스워드가 잘못되었다고 판단하고, 알림 패스워드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알림 패스워드는 사용자 패스워드를 이루는 영문 대문자, 영문 소문자, 숫자 및 특수 기호의 개수 및 위치를 분석하고, 그에 대응하는 숨김기호를 이용하여 생성된 것일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알림 패스워드는 숨김기호들이 랜덤으로 배열된 것일 수 있다. 도면에서와 같이, %&**##&**%로 배열함으로써 실제 사용자 패스워드에 사용된 문자의 종류 및 개수를 사용자로 하여금 인지하게 할 수 있다.The password awareness enhancement apparatus 100 may determine that the first password is incorrect by an initiation and may display a notification password. Here, the notification password may be generated by analyzing the number and location of uppercase English letters, lowercase letters, numbers and special symbols constituting the user password, and using a corresponding hidden sign. By initiation, the notification password may be a random arrangement of hidden symbols. As shown in the drawing, by arranging in %&**##&**%, it is possible to make the user aware of the type and number of characters used in the actual user password.

그런 다음,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제 2 패스워드를 입력받을 수 있다. 제 2 패스워드는 알림 패스워드를 인지한 사용자가 다시 한번 입력한 비밀번호로서, 사용자는 1234+$Aszt를 제 2 패스워드로서 입력할 수 있다. Then, the password awareness enhancing apparatus 100 may receive a second password from the user. The second password is a password once again input by the user who recognizes the notification password, and the user may input 1234+$Aszt as the second password.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장치(100)는 제 2 패스워드의 마지막 t가 대문자가 아니라 소문자로 입력되었으므로 사용자 패스워드와 상이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장치(100)는 숨김기호를 각각의 문자 종류에 대응하도록 배열함으로써 사용자의 패스워드 인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 apparatus 100 for improving password awareness may determine that the last t of the second password is input in lowercase letters instead of uppercase letters, and thus is different from the user password. Accordingly, the password awareness improving apparatus 100 may improve the user's password awareness by arranging the hidden symbols to correspond to respective character types.

또한,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장치(100)는 알림 패스워드를 화면 상에 표시하거나, 사용자 계정 또는 미리 등록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나아가,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장치(100)는 알림 패스워드를 확인하길 원하는 사용자에게만 알림 패스워드를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ssword awareness enhancement apparatus 100 may display a notification password on a screen or transmit a notification password to a user account or a pre-registered user terminal. Furthermore, the password awareness enhancement apparatus 100 may display the notification password only to a user who wants to check the notification password.

도 4는 일 개시에 의한 알림 패스워드를 생성하는 특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for illustratively explaining a feature of generating a notification password according to an initiation.

일 개시에 의하여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장치(100)는 다양한 방법으로 숨김 기호를 표시할 수 있다. The password recognition enhancement apparatus 100 may display the hidden sign in various ways by initiation.

일 개시에 의하여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장치(100)는 문자의 종류에 대응하는 숨김기호를 패스워드 문자에 대응되도록 표시할 수 있으며, 숨김기호 사이에 빈공간을 삽입하여 패스워드가 몇 개의 문자로 이루어졌는지 표시할 수 있다.By initiation, the password awareness enhancement apparatus 100 may display a hidden symbol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character to correspond to the password character, and insert a blank space between the hidden symbols to display how many characters the password consists of. I can.

일 개시에 의하여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장치(100)는 사용자 패스워드를 이루는 영문 대문자, 영문 소문자, 숫자 및 특수 기호의 개수 및 위치를 분석할 수 있다.By initiation, the password awareness enhancement apparatus 100 may analyze the number and location of uppercase English letters, lowercase letters, numbers, and special symbols constituting the user password.

일 개시에 의하여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장치(100)는 분석한 영문 대문자, 영문 소문자, 숫자 및 특수기호의 개수만큼 서로 다른 형상의 숨김기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password recognition enhancement apparatus 100 may generate hidden symbols of different shapes as many as the number of analyzed English uppercase letters, lowercase letters, numbers, and special symbols.

일 개시에 의하여 영문 대문자에 대응하는 제 1 숨김기호를 사용자 패스워드에서 영문 대문자가 위치한 자리에, 영문 소문자에 대응하는 제 2 숨김기호를 사용자 패스워드에서 영문 소문자가 위치한 자리에, 숫자에 대응하는 제 3 숨김기호를 사용자 패스워드에서 숫자가 위치한 자리에, 특수기호에 대응하는 제 4 숨김기호를 사용자 패스워드에서 특수기호가 위치한 자리에 배치함으로써 제 2 알림 패스워드를 생성할 수 있다. By the start of the day, the first hidden symbol corresponding to uppercase English letters is placed in the place where the uppercase English letters are located in the user password, the second hidden symbol corresponding to lowercase English letters is placed in the place where the lowercase English letters are placed in the user password, and the third i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The second notification password can be generated by placing the hidden symbol in the place where the number is located in the user password and the fourth hidden symbol corresponding to the special symbol in the place where the special symbol is located in the user password.

일 개시에 의하여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장치(100)는 빈공간의 자리에, 빈공간이 처음 배열된 숨김 기호를 기준으로 몇번째 자리에 해당하는지를 나타내는 숫자를 삽입하여 제 2 알림 패스워드를 표시할 수 있으며, 제 3 알림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숫자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By the start of the day, the password awareness enhancement apparatus 100 may display the second notification password by inserting a number indicating the number of digits based on the first arranged hidden sign in the empty space, As a user input for inputting the third notification password is received, the number may be changed and displayed.

일 개시에 의하여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장치(100)는 제 1 알림 패스워드와 함께 제 1 알림 패스워드의 자릿수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장치(100)는 숨김기호의 빈공간에 숫자를 표시하거나, 숨김기호의 아랫쪽에 자릿수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래에 3을 표시함으로써, *의 종류에 대응하는 문자는 4번째까지 입력되어야 함을 확인하게 할 수 있다.By initiation, the password awareness enhancement apparatus 100 may display the number of digits of the first notification password together with the first notification password. The password awareness enhancement apparatus 100 may display a number in the empty space of the hidden symbol or the number of digits below the hidden symbol. For example, by displaying 3 under ***, it is possible to confirm that the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 must be entered up to the fourth.

도 5는 일 개시에 의하여 사용자의 패스워드 인지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는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feature of outputting a notification message in order to improve the user's password recognition by initiation.

일 개시에 의하여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장치(100)는 사용자의 패스워드 인지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알림 메시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로그인을 도울 수 있다. 또한, 알림 메시지 외에도, SNS, 문자 메시지, 메일 등을 통하여 패스워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의 패스워드 인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 initiation, the apparatus 100 for improving password awareness may help the user to log in by using a notification message in order to improve the user's password awareness. 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notification messag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user's password awareness by transmitting a password notification message through SNS, text message, mail, or the like.

일 개시에 의하여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장치(100)는 패스워드 알림 메시지를 통해, 숨김기호를 표시할 수 있으며, 나아가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장치(100)는 숨김기호의 개수를 숫자로 표시할 수 있다.By initiation, the password awareness improving apparatus 100 may display a hidden symbol through a password notification message, and further, the password awareness improving apparatus 100 may display the number of hidden symbols as numbers.

일 개시에 의하여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패스워드가 입력됨에 따라, 알림 패스워드에 표시된 숨김기호의 개수를 변경할 수 있으며, 입력된 알림 패스워드에 대응하는 숨김기호를 삭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하여 4개의 패스워드가 입력되는 경우, 패스워드 알림 메시지에 표시된 4개의 숨김기호를 삭제하고, 개수를 10에서 6으로 변경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initiation, the password awareness enhancement apparatus 100 may change the number of hidden symbols displayed in the notification password as the password is inputted from the user, and may delete the hidden symbols corresponding to the input notification password. For example, when four passwords are input by a user, four hidden symbols displayed in the password notification message may be deleted, and the number may be changed from 10 to 6.

일 개시에 의하여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장치(100)는 제 2 패스워드를 순차적으로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입력된 문자의 개수만큼 제 1 알림 패스워드를 이루는 숨김기호를 삭제할 수 있으며, 사용자 패스워드를 이루는 모든 문자의 개수가 입력되는 경우, 진동 알림, 팝업 알림 및 소리 알림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a user input for sequentially inputting the second password, the password awareness enhancement apparatus 100 may delete the hidden symbol constituting the first notification password as many as the number of input characters, and all characters constituting the user password When the number of is input, at least one of a vibration notification, a pop-up notification, and a sound notification may be output.

일 개시에 의하여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장치(100)는 사용자의 패스워드 입력이 잘못되는 경우, 잘못 입력된 문자에 대응하는 숨김기호의 형상을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영문 대문자를 입력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영문 소문자를 입력하는 경우, 영문 대문자에 대응하는 숨김기호의 색상을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팝업 메시지, 소리 알림, 진동 등을 통해서도 알릴 수 있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when a user's password input is incorrect, the password recognition apparatus 100 may change and display a shape of a hidden symbol corresponding to the incorrectly inputted character. For example, even though the user has to input uppercase English letters, when inputting lowercase letters in English, the color of the hidden symbol corresponding to the uppercase English letters may be changed and displayed. It can also be notified through pop-up messages, sound notifications, and vibrations.

일 개시에 의하여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장치(100)는 제 1 알림 패스워드의 자릿수가 0이 되는 경우, 모든 자릿수의 패스워드가 입력되었음을 알리기 위해 진동 알림, 팝업 알림 및 소리 알림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일 개시에 의하여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장치(100)는 올바른 패스워드가 모두 입력되는 경우, 알림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올바른 패스워드가 입력되었음을 인지하게 할 수 있다.When the number of digits of the first notification password becomes 0, the password awareness enhancement apparatus 100 may output at least one of a vibration notification, a pop-up notification, and a sound notification to notify that a password of all digits has been input. That is, when all the correct passwords are input, the apparatus 100 for improving password awareness by initiation may output a notification so that the user recognizes that the correct password has been input.

일 개시에 의하여,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장치(100)는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숨김기호를 배열하거나, 패스워드 알림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By an initiation, the password awareness enhancement apparatus 100 may arrange a hidden symbol or generate a password notification message us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model.

도 6은 일 개시에 의한 숨김기호 표시 패턴의 변화를 이용한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시키는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improving password recognition by using a change in a hidden symbol display pattern according to one disclosure.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숨김기호 표시 패턴의 변화를 이용한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장치는 프로세서; 및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아이디 및 제 1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아이디에 매핑된 사용자 패스워드와 상기 제 1 패스워드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 1 패스워드와 사용자 패스워드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패스워드를 이루는 문자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만큼 동일한 형상의 숨김기호를 이용하여 제 1 알림 패스워드를 표시하고, 제 2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 2 패스워드와 사용자 패스워드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 2 패스워드와 사용자 패스워드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패스워드를 이루는 문자의 종류수와 동일한 종류수의 숨김기호를 이용하여 제 2 알림 패스워드를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An apparatus for improving password awareness using a change in a hidden sign display patter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cessor; And a memory storing executable instructions, wherein the processor receives a user input for inputting a user ID and a first password by executing the instructions, and the user password mapped to the user ID and the first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password matches, and if the first password and the user password do not match, the first notification password is displayed using a hidden symbol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number of characters constituting the user password, Upon receiving a user input for inputting a second passwor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econd password and the user password match, and if the second password and the user password do not match, the number of characters constituting the user password The second notification password may be displayed using the same type number of hidden symbols.

일 개시에 의하여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장치(100)는 프로세서(1300) 및 메모리(1100)를 포함할 수 있지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수 구성요소보다 더 많은 구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apparatus 100 for improving password awareness may include a processor 1300 and a memory 1100, but as shown in FIG. 6, it may be implemented with more configurations than essential components.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장치(100)는, 메모리(1100), 디스플레이부(1210), 카메라(1610) 및 프로세서(1300), 출력부(1200), 통신부(1500), 센싱부(1400), A/V 입력부(1600) 및 사용자 입력부(17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the password awareness improv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memory 1100, a display unit 1210, a camera 1610 and a processor 1300, an output unit ( 1200), a communication unit 1500, a sensing unit 1400, an A/V input unit 1600, and a user input unit 1700 may be further included.

메모리(1100)는, 프로세서(13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장치(100)로 입력되는 이미지 또는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장치(100)로부터 출력되는 가이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100)는 가이드 정보의 출력 여부 판단을 위한 특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1100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processor 1300, and may store an image input to the password awareness enhancing device 100 or guid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password awareness enhancing device 100. . Also, the memory 1100 may store specific information for determining whether to output the guide information.

메모리(110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mory 1100 is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etc.), and RAM. (RAM, Random Access Memory)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ROM (ROM, Read-Only Memory),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magnetic memory, magnetic disk And at least one type of storage medium among optical disks.

메모리(11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UI 모듈(1110), 터치 스크린 모듈(1120), 알림 모듈(1130)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Programs stored in the memory 1100 may be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modules according to their functions, for example, a UI module 1110, a touch screen module 1120, a notification module 1130, and the like. .

UI 모듈(1110)은, 애플리케이션 별로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장치(100)와 연동되는 특화된 UI, GUI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1120)은 사용자의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제스처를 감지하고, 터치 제스처에 관한 정보를 프로세서(130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모듈(1120)은 터치 코드를 인식하고 분석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1120)은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별도의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UI module 1110 may provide a specialized UI, GUI, etc. that are linked with the password awareness enhancement device 100 for each application. The touch screen module 1120 may detect a user's touch gesture on a touch screen and transmit information on the touch gesture to the processor 1300. The touch screen module 1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recognize and analyze a touch code. The touch screen module 1120 may be configured with separate hardware including a controller.

알림 모듈(1130)은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장치(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장치(10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일정 알림 등이 있다. 알림 모듈(1130)은 디스플레이부(1210)를 통해 비디오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음향 출력부(1220)를 통해 오디오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진동 모터(1230)를 통해 진동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알림 모듈(1130)은 추정된 차선 정보에 기초하여 가이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The notification module 1130 may generate a signal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of the apparatus 100 for enhancing password awareness. Examples of events occurring in the password awareness enhancing apparatus 100 include call signal reception, message reception, key signal input, schedule notification, and the like. The notification module 1130 may output a notification signal in the form of a video signal through the display unit 1210, may output a notification signal in the form of an audio signal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1220, and the vibration motor 1230 The notification signal may be output in the form of a vibration signal through For example, the notification module 1130 may generate a signal for outputting guide information based on the estimated lane information.

출력부(120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출력부(1200)는 디스플레이부(1210), 음향 출력부(1220), 및 진동 모터(12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1200 may output an audio signal, a video signal, or a vibration signal, and the output unit 1200 may include a display unit 1210, an audio output unit 1220, and a vibration motor 1230. have.

디스플레이부(1210)는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210)는 카메라(1610)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210)는 프로세서(1300)에서 생성된 가이드 정보를 촬영된 이미지에 합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210 displays and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password awareness enhancing apparatus 100. Specifically, the display 1210 may output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1610. Also, the display 1210 may synthesize and output the guid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processor 1300 with the captured image.

또한, 디스플레이부(1210)는, 사용자의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응답에 관련된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1210 may display a user interface for executing an operation related to the response in response to a user's input.

음향 출력부(1220)는 통신부(150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10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220)는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 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알림음)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음향 출력부(1220)는 프로세서(1300)의 제어에 의해 알림 모듈(1130)에서 신호로 발생된 가이드 정보를 음향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The sound output unit 1220 outputs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1500 or stored in the memory 1100. In addition, the sound output unit 1220 outputs a sound signal related to a function (eg, a call signal reception sound, a message reception sound, and a notification sound) performed by the password awareness enhancing apparatus 100. For example, the sound output unit 1220 may output guide information generated as a signal from the notification module 1130 as an sound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1300.

프로세서(1300)는, 통상적으로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0)는, 메모리(11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입력부(1700), 출력부(1200), 센싱부(1400), 통신부(1500), A/V 입력부(1700)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0)는 메모리(11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장치(10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processor 1300 gener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assword recognition enhancement apparatus 100. For example, the processor 1300 executes programs stored in the memory 1100, so that the user input unit 1700, the output unit 1200, the sensing unit 1400, the communication unit 1500, the A/V input unit 1700 ) And so on. In addition, the processor 1300 may perform a function of the password awareness enhancing apparatus 100 by executing programs stored in the memory 1100.

센싱부(1400)는,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장치(100)의 상태 또는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장치(100) 주변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프로세서(1300)로 전달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400 may detect a state of the password awareness enhancing device 100 or a state around the password awareness enhancing device 100 and transmit the detected information to the processor 1300.

센싱부(1400)는, 지자기 센서(Magnetic sensor)(1410),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1420), 온/습도 센서(1430), 적외선 센서(1440), 자이로스코프 센서(1450), 위치 센서(예컨대, GPS)(1460), 기압 센서(1470), 근접 센서(1480), 및 RGB 센서(RGB sensor)(149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센서들의 기능은 그 명칭으로부터 당업자가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sensing unit 1400 includes a magnetic sensor 1410, an acceleration sensor 1420, a temperature/humidity sensor 1430, an infrared sensor 1440, a gyroscope sensor 1450, and a position sensor. (For example, a GPS) 1460, an atmospheric pressure sensor 1470, a proximity sensor 1480, and an RGB sensor 1490 may be includ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Since the function of each sensor can be intuitively inferr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from its name,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일 실시예에 따라, 센싱부(1400)는 촬영된 이미지에서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와 차량 간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nsing unit 1400 may measure a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at least one object determined from the captured image.

통신부(1500)는,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장치(100)가 다른 장치(미도시) 및 서버(미도시)와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장치(미도시)는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장치(100)와 같은 컴퓨팅 장치이거나, 센싱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통신부(1500)는, 근거리 통신부(1510), 이동 통신부(1520), 방송 수신부(153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500 may include one or more components that allow the password recognition enhancement device 100 to communicate with other devices (not shown) and servers (not shown). Another device (not shown) may be a computing device such as the password recognition enhancement device 100 or a sensing devi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1500 may include a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1510, a mobile communication unit 1520, and a broadcast reception unit 1530.

근거리 통신부(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1510)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10 includes a Bluetooth communication unit, a Bluetooth Low Energy (BLE) communication unit, a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a WLAN (Wi-Fi) communication unit, a Zigbee communication unit, an infrared (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communication unit, WFD (Wi-Fi Direct) communication unit, UWB (ultra wideband) communication unit, Ant+ communication unit, etc. may be includ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동 통신부(1520)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unit 1520 transmits and receives a radio signal with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Here,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signal, or various types of data according to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ext/multimedia messages.

방송 수신부(1530)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장치(100)가 방송 수신부(153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The broadcast receiving unit 1530 receives a broadcast signal and/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from outside through a broadcast channel. Broadcast channels may include satellite channels and terrestrial channels. 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example, the password recognition enhancement apparatus 100 may not include the broadcast reception unit 1530.

A/V(Audio/Video) 입력부(160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610)와 마이크로폰(1620)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610)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를 통해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얻을 수 있다. 이미지 센서를 통해 캡처된 이미지는 프로세서(1300) 또는 별도의 이미지 처리부(미도시)를 통해 처리될 수 있다. The A/V (Audio/Video) input unit 1600 is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and may include a camera 1610 and a microphone 1620. The camera 1610 may obtain an image frame such as a still image or a video through an image sensor in a video call mode or a photographing mode. The image captured through the image sensor may be processed through the processor 1300 or a separate image processing unit (not shown).

마이크로폰(1620)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1620)은 외부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로부터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1620)은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1620)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 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The microphone 1620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and processes it as electrical voice data. For example, the microphone 1620 may receive an acoustic signal from an external device or a user. The microphone 1620 may receive a user's voice input. The microphone 1620 may use various noise removal algorithms for removing noise generated in a process of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사용자 입력부(1700)는, 사용자가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700)에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user input unit 1700 refers to a means for a user to input data for controlling the password awareness enhancing apparatus 100. For example, the user input unit 1700 includes a key pad, a dome switch, and a touch pad (contact type capacitive type, pressure type resistive film type, infrared detection method, surface ultrasonic conduction method, integral type). There may be a tension measurement method, a piezo effect method, etc.), a jog wheel, a jog switch, etc.,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7은 일 개시에 의한 데이터학습을 통해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생성하는 프로세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rocessor that generates an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model through data learning according to one disclosure.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300)는 데이터 학습부(1310) 및 데이터 인식부(13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ocessor 1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data learning unit 1310 and a data recognition unit 1320.

데이터 학습부(1310)는 사용자의 패스워드에 사용된 문자들을 이용하여 새로운 패스워드를 생성시키도록 학습시킬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학습부(1310)는 문자의 종류에 대응하는 숨김 기호들의 연관관계를 학습하여, 사용자의 패스워드에 대응하는 숨김기호들을 생성시키도록 학습할 수 있다.The data learning unit 1310 may learn to generate a new password using characters used in the user's password. In addition, the data learning unit 1310 may learn to generate the hidden symbols corresponding to the user's password by learning the associ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hidden symbols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the character.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학습부(1310)는 미리 구축된 데이터 인식 모델이 복수 개가 존재하는 경우, 입력된 학습 데이터와 기본 학습 데이터의 관련성이 큰 데이터 인식 모델을 학습할 데이터 인식 모델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기본 학습 데이터는 데이터의 타입 별로 기 분류되어 있을 수 있으며, 데이터 인식 모델은 데이터의 타입 별로 미리 구축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 학습 데이터는 학습 데이터가 생성된 지역, 학습 데이터가 생성된 시간, 학습 데이터의 크기, 학습 데이터의 장르, 학습 데이터의 생성자, 학습 데이터 내의 오브젝트의 종류 등과 같은 다양한 기준으로 기 분류되어 있을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pre-built data recognition models, the data learning unit 1310 may determine a data recognition model having a high correlation between input training data and basic training data as a data recognition model to be trained. have. In this case, the basic training data may be pre-classified by data type, and the data recognition model may be pre-built for each data type. For example, basic training data is classified based on various criteria such as the region where the training data was created, the time when the training data was created, the size of the training data, the genre of the training data, the creator of the training data, and the type of objects in the training data. Can be.

데이터 학습부(1310) 및 데이터 인식부(1320)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칩 형태로 제작되어 디바이스에 탑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학습부(1310) 및 데이터 인식부(1320) 중 적어도 하나는 인공 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을 위한 전용 하드웨어 칩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고, 또는 기존의 범용 프로세서(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 또는 그래픽 전용 프로세서(예: GPU)의 일부로 제작되어 전술한 각종 디바이스에 탑재될 수도 있다.At least one of the data learning unit 1310 and the data recognition unit 1320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t least one hardware chip and mounted on a device. For example, at least one of the data learning unit 1310 and the data recognition unit 1320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dedicated hardware chip for artificial intelligence (AI), or an existing general-purpose processor (eg, a CPU Alternatively, it may be manufactured as a part of an application processor) or a graphics dedicated processor (eg, a GPU) and mounted on the aforementioned various devices.

이 경우, 데이터 학습부(1310) 및 데이터 인식부(1320)는 하나의 디바이스에 탑재될 수도 있으며, 또는 별개의 디바이스들에 각각 탑재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학습부(1310) 및 데이터 인식부(1320) 중 하나는 디바이스에 포함되고, 나머지 하나는 서버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학습부(1310) 및 데이터 인식부(132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하여, 데이터 학습부(1310)가 구축한 모델 정보를 데이터 인식부(1320)로 제공할 수도 있고, 데이터 인식부(1320)로 입력된 데이터가 추가 학습 데이터로서 데이터 학습부(1310)로 제공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data learning unit 1310 and the data recognition unit 1320 may be mounted on one device or may be mounted on separate devices, respectively. For example, one of the data learning unit 1310 and the data recognition unit 1320 may be included in the device, and the other may be included in the server. In addition, the data learning unit 1310 and the data recognition unit 1320 may provide model information built by the data learning unit 1310 to the data recognition unit 1320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or the data recognition unit ( Data input to 1320 may be provided to the data learning unit 1310 as additional learning data.

한편, 데이터 학습부(1310) 및 데이터 인식부(1320) 중 적어도 하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 학습부(1310) 및 데이터 인식부(1320) 중 적어도 하나가 소프트웨어 모듈(또는, 인스터력션(instruction) 포함하는 프로그램 모듈)로 구현되는 경우, 소프트웨어 모듈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은 OS(Operating System)에 의해 제공되거나,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 중 일부는 OS(Operating System)에 의해 제공되고, 나머지 일부는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Meanwhile, at least one of the data learning unit 1310 and the data recognition unit 1320 may be implemented as a software module. When at least one of the data learning unit 1310 and the data recognition unit 1320 is implemented as a software module (or a program module including an instruction), the software module is a computer-readable non-transitory It may be stored in a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 Also, in this case, at least one software module may be provided by an operating system (OS) or may be provided by a predetermined application. Alternatively, some of the at least one software module may be provided by an operating system (OS), and the remaining part may be provided by a predetermined application.

또한, 데이터 인식부(1320)는 상황 판단에 이용되는 데이터 인식 모델을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습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 인식 모델은 미리 구축된 모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인식 모델은 기본 학습 데이터(예를 들어, 샘플 이미지 등)을 입력 받아 미리 구축된 모델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data recognition unit 1320 may train a data recognition model used to determine a situation by using the training data. In this case, the data recognition model may be a pre-built model. For example, the data recognition model may be a model built in advance by receiving basic training data (eg, a sample image, etc.).

데이터 인식 모델은, 인식 모델의 적용 분야, 학습의 목적 또는 장치의 컴퓨터 성능 등을 고려하여 구축될 수 있다. 데이터 인식 모델은, 예를 들어, 신경망(Neural Network)을 기반으로 하는 모델일 수 있다. 예컨대, DNN(Deep Neural Network), RNN(Recurrent Neural Network), BRDNN(Bidirectional Recurrent Deep Neural Network)과 같은 모델이 데이터 인식 모델로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data recognition model may be constructed in consideration of the application field of the recognition model, the purpose of learning, or the computer performance of the device. The data recognition model may be, for example, a model based on a neural network. For example, a model such as a deep neural network (DNN), a recurrent neural network (RNN), or a bidirectional recurrent deep neural network (BRDNN) may be used as a data recognition model, but is not limited thereto.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학습부(1310)는 미리 구축된 데이터 인식 모델이 복수 개가 존재하는 경우, 입력된 학습 데이터와 기본 학습 데이터의 관련성이 큰 데이터 인식 모델을 학습할 데이터 인식 모델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기본 학습 데이터는 데이터의 타입 별로 기 분류되어 있을 수 있으며, 데이터 인식 모델은 데이터의 타입 별로 미리 구축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 학습 데이터는 학습 데이터가 생성된 지역, 학습 데이터가 생성된 시간, 학습 데이터의 크기, 학습 데이터의 장르, 학습 데이터의 생성자, 학습 데이터 내의 오브젝트의 종류 등과 같은 다양한 기준으로 기 분류되어 있을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when a plurality of pre-built data recognition models exist, the data learning unit 1310 may determine a data recognition model having a high correlation between input training data and basic training data as a data recognition model to be trained. have. In this case, the basic training data may be pre-classified by data type, and the data recognition model may be pre-built for each data type. For example, basic training data is classified based on various criteria such as the region where the training data was created, the time when the training data was created, the size of the training data, the genre of the training data, the creator of the training data, and the type of objects in the training data. Can be.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기록 매체는 상기 숨김기호 표시 패턴의 변화를 이용한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 기록 매체일 수 있다.The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computer in which a program for implementing a method for improving password awareness using a change in the hide symbol display pattern is recorded.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One embodiment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includ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such as a program module executed by a computer. Computer-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Further,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both computer storage media and communication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Communication media typically include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in a modulated data signal such as a carrier wave, or other transmission mechanism, and includes any information delivery media.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는 프로세서 또는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hardware component), 및/또는 프로세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구성(software component)일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unit" may be a hardware component such as a processor or a circuit, and/or a software component executed by a hardware configuration such as a processor.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other specific forms can be easily modified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and non-limiting in all respects.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Claims (8)

사용자 아이디 및 제 1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아이디에 매핑된 사용자 패스워드와 상기 제 1 패스워드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 1 패스워드와 사용자 패스워드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패스워드를 이루는 문자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만큼 동일한 형상의 숨김기호를 이용하여 제 1 알림 패스워드를 표시하는 단계;
제 2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 2 패스워드와 사용자 패스워드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 2 패스워드와 사용자 패스워드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패스워드를 이루는 문자의 종류수와 동일한 종류수의 숨김기호를 이용하여 제 2 알림 패스워드를 표시하는 단계;
제 3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 3 패스워드와 사용자 패스워드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 2 알림 패스워드에 포함된 복수개의 종류의 숨김기호 중 어느 하나의 종류의 숨김기호에 대응하는 원래의 문자를 표시하여 제 3 알림 패스워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3 알림 패스워드를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계정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알림 패스워드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패스워드를 이루는 영문 대문자, 영문 소문자, 숫자 및 특수 기호의 개수 및 위치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한 영문 대문자, 영문 소문자, 숫자 및 특수기호의 개수만큼 서로 다른 형상의 숨김기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영문 대문자에 대응하는 제 1 숨김기호를 상기 사용자 패스워드에서 영문 대문자가 위치한 자리에, 상기 영문 소문자에 대응하는 제 2 숨김기호를 상기 사용자 패스워드에서 영문 소문자가 위치한 자리에, 상기 숫자에 대응하는 제 3 숨김기호를 상기 사용자 패스워드에서 숫자가 위치한 자리에, 상기 특수기호에 대응하는 제 4 숨김기호를 상기 사용자 패스워드에서 특수기호가 위치한 자리에 배치함으로써 제 2 알림 패스워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 2 알림 패스워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알림 패스워드에 포함된 복수개의 종류의 숨김기호는 특수기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종류의 숨김기호에 포함되는 특수기호는,
상기 사용자 아이디에 매핑된 사용자 패스워드에서 사용되지 않는 특수기호인 것인, 숨김기호 표시 패턴의 변화를 이용한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방법.
Receiving a user input for inputting a user ID and a first password;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password mapped to the user ID matches the first password;
If the first password and the user password do not match, displaying the first notification password using a hidden symbol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number of characters constituting the user password;
Determining whether the second password matches the user password upon receiving a user input for inputting a second password;
If the second password and the user password do not match, displaying a second notification password using a hidden symbol having the same type number as the type number of characters constituting the user password;
Determining whether the third password matches the user password upon receiving a user input for inputting a third password;
Generating a third notification password by displaying an original character corresponding to any one type of hidden symbol among a plurality of types of hidden symbols included in the second notification password; And
Transmitting the third notification password to a pre-registered user's account;
Including,
Displaying the second notification password,
Analyzing the number and location of uppercase English letters, lowercase letters, numbers and special symbols constituting the user password;
Generating hidden symbols of different shapes as much as the number of the analyzed uppercase English letters, lowercase English letters, numbers, and special symbols;
The first hidden symbol corresponding to the uppercase English letter is placed in the place where the uppercase English letter is located in the user password, the second hidden symbol corresponding to the lowercase letter is placed in the place where the lowercase English letter is placed in the user password, and the first hiding symbol corresponding to the number is 3 generating a second notification password by placing a hidden symbol in a position where a number is located in the user password and a fourth hidden symbol corresponding to the special symbol in a position in the user password where a special symbol is located; And
Including; displaying the generated second notification password;
The plurality of types of hidden symbols included in the second notification password include special symbols,
Special symbols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types of hidden symbols,
A method for improving password awareness using a change in a hidden symbol display pattern, which is a special symbol that is not used in a user password mapped to the user I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알림 패스워드를 표시하는 단계는,
처음 배열된 숨김기호를 기준으로 3개의 숨김기호 다음에 빈공간을 삽입하고, 빈공간 다음에 3개의 숨김기호를 배치한 후 빈공간을 삽입하는 것을 반복하는 단계;및
상기 배열이 완성된 숨김기호를 제 2 알림 패스워드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숨김기호 표시 패턴의 변화를 이용한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Displaying the second notification password,
Inserting an empty space after the three hidden symbols based on the initially arranged hidden symbols, placing three hidden symbols after the empty space, and repeating inserting the empty space; And
Displaying the arrangement of the completed hidden symbol as a second notification password; further comprising, password awareness improvement method using a change in the hidden symbol display patter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알림 패스워드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반복되게 삽입된 빈공간에 숫자를 더 표시하되 상기 숫자는 상기 빈공간까지 배치된 숨김기호의 개수를 나타내는 것인, 숨김기호 표시 패턴의 변화를 이용한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Displaying the second notification password,
The number is further displayed in the repeatedly inserted empty space, but the number represents the number of hidden symbols arranged up to the empty spa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되게 삽입된 빈공간은,
상기 처음 배열된 숨김기호를 기준으로 3개의 숨김기호 다음에 삽입된 제1 빈공간; 및
상기 제1 빈공간 다음에 배치된 3개의 숨김기호 다음에 삽입된 제2 빈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빈공간은 상기 숨김기호의 개수인 3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빈공간은 상기 숨김기호의 개수인 6을 포함하는 것인, 숨김기호 표시 패턴의 변화를 이용한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The repeatedly inserted empty space,
A first empty space inserted after the three hidden symbols based on the initially arranged hidden symbols; And
Including; a second empty space inserted after the three hidden symbols arranged after the first empty space,
The first empty space includes 3, which is the number of hidden symbols,
The second empty space includes 6, which is the number of the hidden symbols, a password recognition improvement method using a change in a hidden symbol display pattern.
제 1 항에 있어서,
주기적으로 상기 사용자 패스워드에 포함된 문자들의 배열을 랜덤으로 변경하는 단계;
상기 랜덤으로 배열이 변경된 문자들의 종류에 대응하는 숨김기호를 표시함으로써 제 4 알림 패스워드를 생성하는 단계;및
상기 사용자 아이디 및 제 3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 4 알림 패스워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숨김기호 표시 패턴의 변화를 이용한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Periodically randomly changing an arrangement of characters included in the user password;
Generating a fourth notification password by displaying a hidden symbol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the randomly changed characters; And
And displaying the fourth notification password upon receiving a user input for inputting the user ID and the third passwor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패스워드를 순차적으로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입력된 문자의 개수만큼 제 1 알림 패스워드를 이루는 숨김기호를 삭제하는 단계;및
상기 사용자 패스워드를 이루는 모든 문자의 개수가 입력되는 경우, 진동 알림, 팝업 알림 및 소리 알림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숨김기호 표시 패턴의 변화를 이용한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accordance with a user input for sequentially inputting the second password, deleting the hidden symbol constituting the first notification password as many as the number of input characters; And
When the number of all characters constituting the user password is input, a method for improving password awareness using a change in a hidden symbol display pattern comprising the step of outputting at least one of a vibration notification, a pop-up notification, and a sound notification.
프로세서;및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아이디 및 제 1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아이디에 매핑된 사용자 패스워드와 상기 제 1 패스워드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 1 패스워드와 사용자 패스워드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패스워드를 이루는 문자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만큼 동일한 형상의 숨김기호를 이용하여 제 1 알림 패스워드를 표시하고,
제 2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 2 패스워드와 사용자 패스워드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 2 패스워드와 사용자 패스워드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패스워드를 이루는 문자의 종류수와 동일한 종류수의 숨김기호를 이용하여 제 2 알림 패스워드를 표시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제 3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 3 패스워드와 사용자 패스워드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 2 알림 패스워드에 포함된 복수개의 종류의 숨김기호 중 어느 하나의 종류의 숨김기호에 대응하는 원래의 문자를 표시하여 제 3 알림 패스워드를 생성하며, 상기 제 3 알림 패스워드를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계정으로 전송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패스워드를 이루는 영문 대문자, 영문 소문자, 숫자 및 특수 기호의 개수 및 위치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한 영문 대문자, 영문 소문자, 숫자 및 특수기호의 개수만큼 서로 다른 형상의 숨김기호를 생성하며, 상기 영문 대문자에 대응하는 제 1 숨김기호를 상기 사용자 패스워드에서 영문 대문자가 위치한 자리에, 상기 영문 소문자에 대응하는 제 2 숨김기호를 상기 사용자 패스워드에서 영문 소문자가 위치한 자리에, 상기 숫자에 대응하는 제 3 숨김기호를 상기 사용자 패스워드에서 숫자가 위치한 자리에, 상기 특수기호에 대응하는 제 4 숨김기호를 상기 사용자 패스워드에서 특수기호가 위치한 자리에 배치함으로써 제 2 알림 패스워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 2 알림 패스워드를 표시하며,
상기 제2 알림 패스워드에 포함된 복수개의 종류의 숨김기호는 특수기호를 포함하고,
상기 특수기호는 상기 사용자 아이디에 매핑된 사용자 패스워드에서 사용되지 않는 특수기호인 것인, 숨김기호 표시 패턴의 변화를 이용한 패스워드 인지도 향상 장치.
Processor; and
Including; memory for storing executable instructions,
The processor,
By executing the above commands,
Receiving a user input for entering a user ID and a first passwor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user password mapped to the user ID and the first password match,
When the first password and the user password do not match, the first notification password is displayed using a hidden symbol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number of characters constituting the user password,
Upon receiving a user input for inputting a second passwor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econd password and the user password match,
If the second password and the user password do not match, the second notification password is displayed using a hidden symbol of the same type number as the type number of characters constituting the user password,
The processor,
Upon receiving a user input for inputting a third passwor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third password and the user password match, and any one type of hidden symbol among a plurality of types of hidden symbols included in the second notification password Generating a third notification password by displaying the original character corresponding to, and transmitting the third notification password to a pre-registered user's account,
The processor,
Analyzing the number and location of uppercase English letters, lowercase letters, numbers and special symbols constituting the user password, and generating hidden symbols of different shapes as many as the number of analyzed uppercase letters, lowercase letters, numbers and special symbols, and the A first hide symbol corresponding to an English uppercase letter is placed in a place where an English uppercase letter is located in the user password, a second hide symbol corresponding to the lowercase letter is placed in a place where an English lowercase letter is placed in the user password, and a third letter corresponds to the number. A second notification password is generated by placing a hidden symbol in the place where the number is located in the user password and the fourth hidden symbol corresponding to the special symbol in the place where the special symbol is located in the user password, and the second notification password is Display,
The plurality of types of hidden symbols included in the second notification password include special symbols,
The special symbol is a special symbol that is not used in a user password mapped to the user ID, and password awareness enhancement device using a change in a hidden symbol display pattern.
제 1 항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 기록 매체.A computer-readable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of claim 1 is recorded.
KR1020190099816A 2019-08-14 2019-08-14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password awareness using a change in a hidden symbol display pattern KR1022232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816A KR102223288B1 (en) 2019-08-14 2019-08-14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password awareness using a change in a hidden symbol display patter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816A KR102223288B1 (en) 2019-08-14 2019-08-14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password awareness using a change in a hidden symbol display patter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0464A KR20210020464A (en) 2021-02-24
KR102223288B1 true KR102223288B1 (en) 2021-03-04

Family

ID=74689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9816A KR102223288B1 (en) 2019-08-14 2019-08-14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password awareness using a change in a hidden symbol display patter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3288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41487A (en) * 2006-03-07 2007-09-20 Shoichiro Yoshimura Device for confirming secret code number or the like
JP4522618B2 (en) * 2001-07-23 2010-08-11 京セラ株式会社 Mobile terminal device and password input support method
JP2013161150A (en) * 2012-02-02 2013-08-19 Nifty Corp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2019045946A (en) * 2017-08-30 2019-03-2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097B1 (en) 2008-03-10 2015-07-15 주식회사 케이티 Otp certification method using the sms and system thereof
KR101553482B1 (en) 2014-08-13 2015-09-15 중소기업은행 Authentication System For Password And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22618B2 (en) * 2001-07-23 2010-08-11 京セラ株式会社 Mobile terminal device and password input support method
JP2007241487A (en) * 2006-03-07 2007-09-20 Shoichiro Yoshimura Device for confirming secret code number or the like
JP2013161150A (en) * 2012-02-02 2013-08-19 Nifty Corp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2019045946A (en) * 2017-08-30 2019-03-2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0464A (en) 2021-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22154B2 (en) Voice signature for user authentication to electronic device
US20210176228A1 (en) Establishing access to a secure network based on user-created credential indicia
US9996254B2 (en) Hidden application icons
JP7102431B2 (en) Automatic filling for user equipment
US10769253B2 (en) Method and device for realizing verification code
US11392680B2 (en) Authentication and generation of information for authentication
US9030293B1 (en) Secure passcode entry
CN102916815A (en) Method and device for checking identity of user
CN108877334B (en) Voice question searching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US20180165433A1 (en) User authentication system and user authentication application program
CN110730162B (en) Page verification method, mobile terminal and readable storage medium
WO2013176837A1 (en) Learning information on usage of one or more device(s) for cumulative inference of user situation
CN109522706B (en) Information prompting method and terminal equipment
EP352815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er authentication
US9900470B2 (en) Storage medium, symbol entry device, and system for accepting touch inputs on a display
CN105100005B (en) Identity verification method and device
KR10222328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password awareness using a change in a hidden symbol display pattern
US20200356647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EP3567501B1 (en) Electronic device
CN107276962B (en) Dynamic password voice authentication system capable of combining any gesture
CN113806712A (en) Authentication processing method, processing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104898935A (en) Group message data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US11048356B2 (en) Microphone on controller with touchpad to take in audio swipe feature data
CN114510171B (en) Portable three-dimensional interaction system based on image processing technology
KR101968677B1 (en) Method for certification and apparatus for executing the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