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2912B1 - Device and method to control plurality of speakers through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 Google Patents

Device and method to control plurality of speakers through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2912B1
KR102222912B1 KR1020180120569A KR20180120569A KR102222912B1 KR 102222912 B1 KR102222912 B1 KR 102222912B1 KR 1020180120569 A KR1020180120569 A KR 1020180120569A KR 20180120569 A KR20180120569 A KR 20180120569A KR 102222912 B1 KR102222912 B1 KR 102222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s
audio data
speaker
processor
d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05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40531A (en
Inventor
임철재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0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2912B1/en
Publication of KR20200040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05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2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29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복수의 스피커들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는,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의 제어에 응답하여 외부 장치들과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기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인접한 스피커들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초기화하고, 스피커들을 각각 멀티 채널 오디오의 채널들에 할당하고, 스피커들 각각에 테스트 신호를 전송함에 따라 출력되는 소리를 감지하여 스피커들의 딜레이들을 결정하고, 스피커들이 할당된 채널들에 각각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들을 결정된 딜레이들에 따라 선택적으로 버퍼링하고, 선택적으로 버퍼링된 오디오 데이터들을 스피커들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A user terminal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speakers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cessor and a communicator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external devices in response to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The processor initialize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djacent speakers, allocates speakers to channels of multi-channel audio, and determines delays of speakers by detecting sound output as a test signal is transmitted to each of the speakers, The speakers are configured to selectively buffer audio data corresponding to the allocated channels according to the determined delays, and to transmit the selectively buffered audio data to the speakers.

Description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복수의 스피커들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TO CONTROL PLURALITY OF SPEAKERS THROUGH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speakers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ICAL FIELD [DEVICE AND METHOD TO CONTROL PLURALITY OF SPEAKERS THROUGH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본 발명은 무선 통신과 연관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복수의 스피커들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associated with wireless communic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speakers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전자 장치들이 개발 및 보급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 태블릿 PC, 스마트 TV 등과 같은 스마트 전자 장치의 보급이 확대되고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technology, various types of electronic devices are being developed and distributed. In particular, the spread of smart electronic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tablet PCs, and smart TVs is expanding.

전자 장치를 보다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해 전자 장치가 주변 기기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전자 장치를 주변 기기와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하여 음악 파일을 재생하거나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다양한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주변 기기들이 보급됨에 따라 사용자는 전자 장치를 각 주변 기기에 연동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다수의 주변 기기들이 하나의 멀티 채널 오디오를 구성하여 전자 장치와 연동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In order to use an electronic device more conveniently, a technology in which an electronic device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a peripheral device has been developed. For example, a user may play a music file or play a multimedia file by connecting an electronic device to a peripheral device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As peripheral devices providing various services become popular, a user may operate an electronic device in conjunction with each peripheral device. However, it is difficult for such a plurality of peripheral devices to form one multi-channel audio and interwork with the electronic device.

위 기재된 내용은 오직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들에 대한 배경 기술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그것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알려진 선행 기술에 해당하는 내용으로 이해될 수 없다.The above-described content is only intended to aid in understanding the background art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it cannot be understood as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prior art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복수의 스피커들과 통신을 개설하여 멀티 채널 오디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providing multi-channel audio by establishing communication with a plurality of speaker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복수의 스피커들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에 응답하여 외부 장치들과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기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인접한 스피커들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초기화하고; 상기 스피커들을 각각 멀티 채널 오디오의 채널들에 할당하고; 상기 스피커들 각각에 테스트 신호를 전송함에 따라 출력되는 소리를 감지하여 상기 스피커들의 딜레이들을 결정하고; 상기 스피커들이 할당된 상기 채널들에 각각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들을 상기 결정된 딜레이들에 따라 선택적으로 버퍼링하고; 상기 선택적으로 버퍼링된 오디오 데이터들을 상기 스피커들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A user terminal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speakers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cessor; And a communicator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external devices in response to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wherein the processor initiates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djacent speakers; Allocating the speakers to channels of multi-channel audio, respectively; Determining delays of the speakers by sensing sound output as a test signal is transmitted to each of the speakers; Selectively buffering audio data corresponding to the channels to which the speakers are allocate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delays; Configured to transmit the selectively buffered audio data to the speakers.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스피커들 중 제 1 스피커에 제 1 테스트 신호를 전송한 시간과 상기 제 1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소리를 감지한 시간 사이의 차이를 상기 제 1 스피커의 딜레이로 결정하고, 상기 스피커들 중 제 2 스피커에 제 2 테스트 신호를 전송한 시간과 상기 제 2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소리를 감지된 시간 사이의 차이를 상기 제 2 스피커의 딜레이로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processor determines a difference between a time when a first test signal is transmitted to a first speaker among the speakers and a time when a sound output from the first speaker is sensed as a delay of the first speaker, and the speakers It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a difference between a time when the second tes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speaker and a time when the sound output from the second speaker is sensed as a delay of the second speaker.

상기 오디오 데이터들 중 제 1 오디오 데이터는 상기 제 1 스피커에 전송되고, 상기 오디오 데이터들 중 제 2 오디오 데이터는 상기 제 2 스피커에 전송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스피커의 상기 딜레이와 상기 제 2 스피커의 상기 딜레이 사이의 차이에 따라 상기 상기 제 1 오디오 데이터 및 상기 제 2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버퍼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First audio data among the audio 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st speaker, and second audio data among the audio 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speaker. The processor may be configured to buffer at least one of the first audio data and the second audio data according to a difference between the delay of the first speaker and the delay of the second speaker.

상기 오디오 데이터들 각각이 버퍼링되는 시간은 상기 스피커들의 상기 딜레이들 중 가장 긴 딜레이와 해당 스피커의 딜레이 사이의 차이일 수 있다.The time for each of the audio data to be buffered may be a difference between the longest delay among the delays of the speakers and the delay of the corresponding speaker.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스피커들을 상기 채널들에 할당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user interface operating in response to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and the processor may be configured to allocate the speakers to the channels in response to a user input receiv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상기 프로세서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 오디오 소스로부터 상기 오디오 데이터들을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processor may be configured to obtain the audio data from an audio source among multimedia data.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로부터 비디오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결정된 딜레이들에 따라 상기 비디오 데이터의 재생을 버퍼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processor is configured to obtain video data from the multimedia data; It may be configured to buffer the reproduction of the video data according to the determined delays.

본 발명의 다른 일면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복수의 스피커들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인접한 스피커들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초기화하는 단계; 상기 스피커들을 각각 멀티 채널 오디오의 채널들에 할당하는 단계; 상기 스피커들 각각에 테스트 신호를 전송함에 따라 출력되는 소리를 감지하여 상기 스피커들의 딜레이들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스피커들이 할당된 상기 채널들에 각각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들을 상기 결정된 딜레이들에 따라 선택적으로 버퍼링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적으로 버퍼링된 오디오 데이터들을 상기 스피커들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speakers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he method includes initiating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djacent speakers; Allocating the speakers to channels of multi-channel audio, respectively; Determining delays of the speakers by sensing sound output as a test signal is transmitted to each of the speakers; Selectively buffering audio data corresponding to the channels to which the speakers are allocate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delays; And transmitting the selectively buffered audio data to the speakers.

상기 스피커들의 딜레이들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스피커들 각각에 대해 순차적으로, 상기 테스트 신호를 전송함에 따라 출력되는 소리를 감지하여 해당 스피커의 딜레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Determining the delays of the speakers may include determining a delay of the corresponding speaker by sequentially detecting sound output as the test signal is transmitted to each of the speakers.

상기 오디오 데이터들 각각이 버퍼링되는 시간은 상기 스피커들의 상기 딜레이들 중 가장 긴 딜레이와 해당 스피커의 딜레이 사이의 차이일 수 있다.The time for each of the audio data to be buffered may be a difference between the longest delay among the delays of the speakers and the delay of the corresponding speaker.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초기화하는 단계는 상기 스피커들의 정보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방법은, 상기 스피커들의 상기 정보들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스피커들의 오디오 출력들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스피커들의 상기 오디오 출력들에 따라 상기 스피커들에 각각 대응하는 추천 채널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itiating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ay include receiving information of the speakers. In this case, the method includes receiving audio outputs of the speakers from at least one external server using the information of the speakers; And determining recommended channel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speakers according to the audio outputs of the speakers.

상기 스피커들을 각각 채널들에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추천 채널들을 승인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스피커들을 상기 추천 채널들에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llocating the speakers to the respective channels may include allocating the speakers to the recommended channels in response to a user input for approving the recommended channels.

상기 방법은 상기 결정된 딜레이들에 따라 상기 오디오 데이터들과 연관된 비디오 데이터의 재생을 버퍼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buffering reproduction of video data associated with the audio data according to the determined delay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스피커들과 통신을 개설하여 멀티 채널 오디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providing multi-channel audio by establishing communication with a plurality of speakers are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 채널 오디오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사용자 단말기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스피커들의 딜레이들 및 오디오 데이터들의 버퍼링 시간들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수의 스피커들과 통신을 개설하여 멀티 채널 오디오를 제공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5는 스피커들을 채널들에 할당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6은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는 외부 서버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7은 스피커들의 딜레이들을 결정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2의 사용자 단말기를 구현하기에 적합한 컴퓨터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도 8의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 서버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ulti-channel audio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user terminal of FIG. 1.
3 is a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delays of speakers and buffering times of audio data.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multi-channel audio by establishing communication with a plurality of speak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allocating speakers to channels.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ternal server communicating with a user terminal.
7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of determining delays of speakers.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mputer device suitable for implementing the user terminal of FIG. 2.
9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lient server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user terminal of FIG. 8.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단지,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should be noted that only part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descriptions of other parts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However,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re provided to explain in detail enough to be able to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X, Y, 및 Z 중 적어도 어느 하나", 그리고 "X, Y, 및 Z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는 X 하나, Y 하나, Z 하나, 또는 X, Y, 및 Z 중 둘 또는 그 이상의 어떤 조합 (예를 들면, XYZ, XYY, YZ, ZZ) 으로 해석될 수 있다. 여기에서, "및/또는"은 해당 구성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with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 The terms used herein are for describing specific embodiments and not for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At least any one of X, Y, and Z", and "at least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X, Y, and Z" means X one, Y one, Z one, or two of X, Y, and Z, or It can be interpreted as any combination beyond that (eg, XYZ, XYY, YZ, ZZ). Herein, "and/or" includes all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the corresponding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 채널 오디오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ulti-channel audio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멀티 채널 오디오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110) 및 다수의 스피커들(121~126)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multi-channel audio system 100 includes a user terminal 110 and a plurality of speakers 121 to 126.

사용자 단말기(110)는 다수의 스피커들과 통신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1 내지 제 6 스피커들(121~126)이 제공되는 것으로 가정한다.The user terminal 110 may communicate with a plurality of speakers.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first to sixth speakers 121 to 126 are provided.

사용자 단말기(110)는 특정 커버리지 내에서 제 1 내지 제 6 스피커들(121~126)과 근거리 무선 통신(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10)는 제 1 내지 제 6 스피커들(121~126)을 이용하여 멀티 채널 오디오(예를 들면, 5.1채널 오디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10)는 오디오 소스로부터 다수의 채널들에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들을 추출하도록 구성되는 오디오 코덱(CODEC)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10)는 추출된 오디오 데이터들을 제 1 내지 제 6 스피커들(121~126)에 전송하여 오디오를 재생(혹은 플레이)함으로써 멀티 채널 오디오를 제공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110 may perform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to sixth speakers 121 to 126 within a specific coverage. The user terminal 110 may provide multi-channel audio (eg, 5.1-channel audio) using the first to sixth speakers 121 to 126. The user terminal 110 may include an audio codec (CODEC) configured to extract audio data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channels from an audio source. The user terminal 110 may provide multi-channel audio by transmitting the extracted audio data to the first to sixth speakers 121 to 126 to reproduce (or play) the audio.

실시 예들에서, 사용자 단말기(110)는 컴퓨터, UMPC (Ultra Mobile PC), 워크스테이션, 넷북(net-book),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포터블(portable) 컴퓨터, 웹 타블렛(web tablet), 무선 전화기(wireless phone), 모바일 폰(mobile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등과 같이 정보를 무선 환경에서 송수신할 수 있는 컴퓨터 장치일 수 있다.In embodiments, the user terminal 110 is a computer, UMPC (Ultra Mobile PC), workstation, net-book,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ortable computer, web tablet, wireless It may be a computer devic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in a wireless environment, such as a telephone (wireless phone), a mobile phone (mobile phone), a smart phone (smart phone).

제 1 내지 제 6 스피커들(121~126) 각각은 사용자 단말기(11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6 스피커들(121~126) 각각은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전송된 오디오 데이터에 따라 소리를 생성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6 스피커들(121~126)은 제조 시 및/또는 판매 시에 멀티 채널 오디오를 제공하기 위한 하나의 세트로서 제공되는 것들이 아닐 수 있다. 제 1 내지 제 6 스피커들(121~126) 중 적어도 일부는 서로 상이한 모델들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이한 기업체들에 의해 제공된 것들일 수 있다.Each of the first to sixth speakers 121 to 126 may perform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110. Each of the first to sixth speakers 121 to 126 may generate sound according to audio data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10. The first to sixth speakers 121 to 126 may not be provided as a set for providing multi-channel audio at the time of manufacture and/or sale. At least some of the first to sixth speakers 121 to 126 may be of different models, for example, may be provided by different companie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10)는 제 1 내지 제 6 스피커들(121~126)을 이용하여 멀티 채널 오디오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110 may provide multi-channel audio using the first to sixth speakers 121 to 126.

도 2는 도 1의 사용자 단말기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스피커들의 딜레이들 및 오디오 데이터들의 버퍼링 시간들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user terminal of FIG. 1. 3 is a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delays of speakers and buffering times of audio data.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200)는 통신기(210), 메모리(220), 콘텐츠 재생기(230), 그리고 제 1 및 제 2 인터페이스들(201, 202)을 포함할 수 있다.1 and 2, the user terminal 200 may include a communicator 210, a memory 220, a content player 230, and first and second interfaces 201 and 202.

통신기(210)는 콘텐츠 재생기(230)의 제어에 따라 제 1 내지 제 6 스피커들(121~126)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통신기(210)는 제 1 내지 제 6 스피커들(121~126)과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근거리 무선 통신(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은 블루투스, 와이파이(Wi-Fi) 통신, LTE D2D(Device-to-Device)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마그네틱 보안 전송(Magnetic Secure Transmission; MST)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 UWB(ultra wideband) 통신, Ant+ 통신, 및/또는 그와 유사한 것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한 통신을 포함한다.The communicator 210 is configured to perform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to sixth speakers 121 to 126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ent player 230. For example, the communicator 210 may perform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to sixth speakers 121 to 126. Howev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cludes Bluetooth, Wi-Fi communication, LTE D2D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Magnetic Secure Transmission. ; MST) communication, Zigbee communication, infrared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communication, UWB (ultra wideband) communication, Ant+ communication, and/or similar communication using at least one communication protocol. .

메모리(220)는 오디오 소스(221) 및/또는 비디오 소스(222)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실시 예들에서, 오디오 소스(221)는 5.1 채널과 같은 서라운드 채널에 적합한 데이터 포멧을 가질 수 있다. 오디오 소스(221) 및 비디오 소스(222)는 멀티미디어 파일의 구성 요소들로서 제공될 수 있다. 메모리(220)는 콘텐츠 재생기(23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오디오 소스(221) 및/또는 비디오 소스(222)는 콘텐츠 재생기(230)에 의해 읽어질 수 있다.The memory 220 is configured to store an audio source 221 and/or a video source 222. In embodiments, the audio source 221 may have a data format suitable for a surround channel such as 5.1 channel. The audio source 221 and the video source 222 may be provided as components of a multimedia file. The memory 220 may operat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ent player 230. The audio source 221 and/or the video source 222 may be read by the content player 230.

콘텐츠 재생기(230)는 제 1 및 제 2 인터페이스들(201, 202)를 통해 통신기(210) 및 메모리(220)와 각각 통신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제 1 및 제 2 인터페이스들(201, 202)은 사용자 단말기(200)에 포함된 시스템 버스의 구성 요소들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제 1 인터페이스(201)는 통신기(210)와 콘텐츠 재생기(230) 사이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제 2 인터페이스(202)는 메모리(220)와 콘텐츠 재생기(230) 사이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The content player 230 may communicate with the communicator 210 and the memory 220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interfaces 201 and 202, respectively. In embodiments, the first and second interfaces 201 and 202 may be provided by components of a system bus included in the user terminal 200. The first interface 201 provides a communication interface between the communicator 210 and the content player 230. The second interface 202 provides a communication interface between the memory 220 and the content player 230.

콘텐츠 재생기(230)는 제 1 내지 제 6 스피커들(121~126)을 각각 멀티 채널 오디오의 채널들에 할당하고, 메모리(220)에 저장된 오디오 소스(221)로부터 채널들에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오디오 데이터들 각각을 통신기(220)를 통해 해당 채널의 스피커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The content player 230 allocates the first to sixth speakers 121 to 126 to channels of multi-channel audio, respectively, and receives audio data corresponding to the channels from the audio source 221 stored in the memory 220. It is configured to extract and transmit each of the extracted audio data to a speaker of a corresponding channel through the communicator 220.

콘텐츠 재생기(230)는 채널 설정기(231), 음향 규격 설정기(232), 딜레이 판별기(233), 및 컨트롤러(23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ent player 230 may include a channel setter 231, a sound standard setter 232, a delay discriminator 233, and a controller 234.

채널 설정기(231)는 컨트롤러(234)의 제어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채널 설정기(231)는 통신기(210)를 통해 제 1 내지 제 6 스피커들(121~126)과 통신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을 초기화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채널 설정기(231)는 블루투스 페어링(Bluetooth pairing)을 수행하여 제 1 내지 제 6 스피커들(121~126)을 감지함으로써 근거리 무선 통신을 초기화할 수 있다. The channel setter 231 may operat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34. The channel setter 231 is configured to initiat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by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to sixth speakers 121 to 126 through the communicator 210. For example, the channel setter 231 may initiat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by detecting the first to sixth speakers 121 to 126 by performing Bluetooth pairing.

채널 설정기(231)는 근거리 무선 통신이 초기화된 제 1 내지 제 6 스피커들(121~126)을 각각 멀티 채널 오디오의 채널들에 할당한다. 각 채널에 어떤 스피커를 할당할지 여부는 다양한 방식들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사용자 단말기(200)는 다양한 타입들의 사용자 입력들을 수신할 수 있는 전자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 있다. 채널 설정기(231)는 제 1 내지 제 6 스피커들(121~126)을 채널들에 할당하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 1 내지 제 6 스피커들(121~126)을 각각 채널들에 할당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채널 설정기(231)는 제 1 내지 제 6 스피커들(121~126)과 통신하여 그것들의 오디오 출력들을 알아내고, 오디오 출력들에 따라 제 1 내지 제 6 스피커들(121~126)에 각각 대응하는 추천 채널들을 결정하고, 결정된 추천 채널들을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채널 설정기(231)는 추천 채널들을 승인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 1 내지 제 6 스피커들(121~126)을 각각 추천 채널들에 할당할 수 있다.The channel setter 231 allocates the first to sixth speakers 121 to 126 in whic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s initialized to channels of multi-channel audio, respectively. Whether to assign which speaker to each channel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various methods. In embodiments, the user terminal 200 may have a user interface including at least one of electronic devices capable of receiving various types of user inputs. The channel setter 231 receives a user input for allocating the first to sixth speakers 121 to 126 to channels through a user interface, and in response to the received user input, the first to sixth speakers ( 121 to 126) can be assigned to each channel. In embodiments, the channel setter 231 communicates with the first to sixth speakers 121 to 126 to find out their audio outputs, and according to the audio outputs, the first to sixth speakers 121 to 126 ) May be determined, and the determined recommended channels may be notified to a user through, for example, a display device. The channel setter 231 may allocate the first to sixth speakers 121 to 126 to the recommended channels, respectively, in response to a user input for approving the recommended channels.

채널 설정기(231)는 제 1 내지 제 6 스피커들(121~126)이 할당된 채널들을 컨트롤러(234) 및/또는 제 1 내지 제 6 스피커들(121~126)에 알릴 수 있다.The channel setter 231 may inform the controller 234 and/or the first to sixth speakers 121 to 126 of channels to which the first to sixth speakers 121 to 126 are allocated.

음향 규격 설정기(232)는 컨트롤러(234)의 제어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음향 규격 설정기(232)는 멀티 채널 오디오의 음향 규격을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음향 규격 설정기(232)는 선택된 멀티 채널 오디오에 적합한 컨트롤러(234)의 오디오 코덱(235)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채널 설정기(231)에 의해 6개의 스피커들(121~126)이 감지된 경우, 음향 규격 설정기(232)는 5.1 채널에 적합한 오디오 코덱을 결정할 수 있다. 음향 규격 설정기(232)는 컨트롤러(234)의 구성 요소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The sound standard setter 232 may operat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34. The sound standard setter 232 is configured to set the sound standard of multi-channel audio. The sound standard setter 232 may determine the audio codec 235 of the controller 234 suitable for the selected multi-channel audio. For example, when six speakers 121 to 126 are detected by the channel setter 231, the sound standard setter 232 may determine an audio codec suitable for 5.1 channels. The sound standard setter 232 may be provided as a component of the controller 234.

딜레이 판별기(233)는 컨트롤러(234)의 제어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딜레이 판별기(233)는 통신기(210)를 통해 제 1 내지 제 6 스피커들(121~126)과 통신하여 제 1 내지 제 6 스피커들(121~126)의 딜레이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딜레이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제어에 대한 스피커의 응답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딜레이는 오디오 데이터를 스피커에 전송한 후 소리가 출력되는 데에 필요한 소요 시간일 수 있다.The delay discriminator 233 may operat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34. The delay discriminator 233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to sixth speakers 121 to 126 through the communicator 210 to determine delays of the first to sixth speakers 121 to 126. In this case, the delay may mean a response time of a speaker to control of the user terminal 200. For example, the delay may be a time required for sound to be output after transmitting audio data to a speaker.

제 1 내지 제 6 스피커들(121~126) 각각의 딜레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내지 제 6 스피커들(121~126) 중 적어도 일부는 서로 상이한 모델들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만약 제 1 내지 제 6 스피커들(121~126)의 딜레이들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고 그것들로 구성된 멀티 채널 오디오가 제공된다면, 멀티 채널 오디오에 의한 소리는 의도치 않게 왜곡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멀티 채널 오디오는 낮은 신뢰성을 가질 수 있다.Delays of each of the first to sixth speakers 121 to 126 may be different. For example, at least some of the first to sixth speakers 121 to 126 may be different models. In this case, if multi-channel audio composed of the first to sixth speakers 121 to 126 is provided without consider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lays, the sound caused by the multi-channel audio may be unintentionally distorted. In this case, multi-channel audio may have low reliability.

딜레이 판별기(233)는 각 스피커에 테스트 신호를 전송하고 테스트 신호에 따라 출력되는 소리를 감지함으로써 해당 스피커의 딜레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딜레이 판별기(233)는 테스트 신호를 전송한 시간 및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소리를 감지한 시간 사이의 차이를 해당 스피커의 딜레이로 결정할 수 있다.The delay discriminator 233 is configured to determine a delay of a corresponding speaker by transmitting a test signal to each speaker and detecting sound output according to the test signal. The delay discriminator 233 may determine a difference between the time when the test signal is transmitted and the time when the sound output from the speaker is sensed as the delay of the corresponding speaker.

딜레이 판별기(233)는 제 1 내지 제 6 스피커들(121~126)의 소리 특성들을 더 결정할 수 있다. 특정 오디오 데이터에 응답하여 출력되는 소리는 스피커마다 상이할 수 있다. 딜레이 판별기(233)는 특정 테스트 신호에 대한 피드백으로 각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소리를 감지하여 스피커의 소리 특성을 판별할 수 있다. 컨트롤러(234)는 딜레이 판별기(233)에 의해 획득된 소리 특성에 기반하여 제 1 내지 제 6 스피커들(121~126) 각각에 전송될 오디오 데이터를 가공할 수 있다.The delay discriminator 233 may further determine sound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to sixth speakers 121 to 126. Sound output in response to specific audio data may be different for each speaker. The delay discriminator 233 may detect sound output from each speaker as a feedback on a specific test signal and determine sound characteristics of the speaker. The controller 234 may process audio data to be transmitted to each of the first to sixth speakers 121 to 126 based on the sound characteristics acquired by the delay discriminator 233.

컨트롤러(234)는 콘텐츠 재생기(230)의 제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컨트롤러(234)는 메모리(220)로부터 오디오 소스(221)를 읽고 오디오 소스(221)로부터 채널들에 각각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들을 추출하도록 구성되는 오디오 코덱(235)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코덱(235)은 컨트롤러(234)에 포함될 수 있는 다수의 오디오 코덱들 중 위 설명된 바와 같이 음향 규격 설정기(232)에 의해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오디오 코덱(235)은 다양한 알고리즘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오디오 소스(221)를 디코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멀티 채널 오디오의 채널들에 각각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들이 획득될 수 있다.The controller 234 is configured to control all operations of the content player 230. The controller 234 may include an audio codec 235 configured to read the audio source 221 from the memory 220 and extract audio data corresponding to channels from the audio source 221. The audio codec 235 may be selected by the sound standard setter 232 as described above among a plurality of audio codecs that may be included in the controller 234. The audio codec 235 may decode the audio source 221 using at least one of various algorithms, through which audio data corresponding to channels of multi-channel audio may be obtained.

컨트롤러(234)는 오디오 데이터들을 제 1 내지 제 6 스피커들(121~126)의 딜레이들에 따라 선택적으로 버퍼링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짧은 딜레이를 갖는 스피커에 전송될 오디오 데이터는 긴 버퍼링 시간을 갖고, 긴 딜레이를 갖는 스피커에 전송될 오디오 데이터는 짧은 버퍼링 시간을 가질 수 있다. 컨트롤러(234)는 결정된 버퍼링 시간만큼의 지연 시간 후에 오디오 데이터를 해당 스피커에 전송할 수 있다. 컨트롤러(234) 혹은 사용자 단말기(200)는 각 오디오 데이터를 버퍼링하기 위한 버퍼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234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buffer and output audio data according to delays of the first to sixth speakers 121 to 126. Audio data to be transmitted to a speaker having a short delay may have a long buffering time, and audio data to be transmitted to a speaker having a long delay may have a short buffering time. The controller 234 may transmit audio data to a corresponding speaker after a delay time equal to the determined buffering time. The controller 234 or the user terminal 200 may include a buffer unit for buffering each audio data.

도 3을 참조하면, 제 1 내지 제 6 스피커들(121~126)의 제 1 내지 제 6 딜레이 시간들(DLT1~DLT6)이 도식화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 1 내지 제 6 딜레이 시간들(DLT1~DLT6)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도 3에서, 제 5 스피커(125)의 딜레이 시간(DLT5)이 가장 길고, 제 2 스피커(122)의 딜레이 시간(DLT2)이 가장 짧다.Referring to FIG. 3, first to sixth delay times DLT1 to DLT6 of the first to sixth speakers 121 to 126 are schematically illustrated. As such, the first to sixth delay times DLT1 to DLT6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FIG. 3, the delay time DLT5 of the fifth speaker 125 is the longest, and the delay time DLT2 of the second speaker 122 is the shortest.

오디오 데이터들의 버퍼링 시간들은 제 1 내지 제 6 딜레이 시간들(DLT1~DLT6)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각 스피커에 전송될 오디오 데이터의 버퍼링 시간은, 제 1 내지 제 6 딜레이 시간들(DLT1~DLT6) 중 가장 긴 딜레이 시간(DLT5)와 해당 스피커의 딜레이 사이의 차이로 결정될 수 있다. 도 3에서, 제 1 내지 제 6 스피커들(121~126)에 전송될 오디오 데이터들의 제 1 내지 제 6 버퍼링 시간들(BFT1~BFT6)이 도식화되어 있다. 제 1 스피커(121)의 제 1 버퍼링 시간(BFT1)은 제 5 딜레이 시간(DLT5)과 제 1 딜레이 시간(DLT1) 사이의 차이일 수 있다. 제 2 스피커(122)의 제 2 버퍼링 시간(BFT2)은 제 5 딜레이 시간(DLT5)과 제 2 딜레이 시간(DLT2) 사이의 차이일 수 있다. 나머지 스피커들의 버퍼링 시간들도 마찬가지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 제 5 스피커(125)의 제 5 버퍼링 시간(BFT5)은 제 5 스피커(125)가 가장 긴 딜레이 시간(DLT5)을 가지므로 0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스피커의 딜레이 시간과 버퍼링 시간의 합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The buffering times of audio data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first to sixth delay times DLT1 to DLT6. In embodiments, the buffering time of audio data to be transmitted to each speaker may be determined as a difference between the longest delay time DLT5 among the first to sixth delay times DLT1 to DLT6 and the delay of the corresponding speaker. In FIG. 3, first to sixth buffering times BFT1 to BFT6 of audio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first to sixth speakers 121 to 126 are schematically illustrated. The first buffering time BFT1 of the first speaker 121 may be a difference between the fifth delay time DLT5 and the first delay time DLT1. The second buffering time BFT2 of the second speaker 122 may be a difference between the fifth delay time DLT5 and the second delay time DLT2. Buffering times of the remaining speakers can be determined in a similar manner. The fifth buffering time BFT5 of the fifth speaker 125 may be zero because the fifth speaker 125 has the longest delay time DLT5. As shown in FIG. 3, the sum of the delay time and the buffering time of each speaker may be equal to each other.

이와 같이, 각 스피커의 딜레이 시간과 버퍼링 시간의 합은 동일할 수 있고, 그러므로 제 1 내지 제 6 스피커들(121~126)이 구성하는 멀티 채널 오디오에 의한 소리는 의도한 대로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멀티 채널 오디오는 높은 신뢰성을 가질 수 있다.In this way, the sum of the delay time and the buffering time of each speaker may be the same, and therefore, sound by multi-channel audio configured by the first to sixth speakers 121 to 126 may be output as intended. Therefore, multi-channel audio can have high reliability.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오디오 소스(221)가 비디오 소스(222)와 함께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포함되는 경우, 비디오 소스(222)의 재생이 요구된다. 컨트롤러(234)는 메모리(220)로부터 비디오 소스(222)를 읽고, 읽어진 비디오 소스(222)를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기(200)는 비디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며, 컨트롤러(234)는 그 장치를 이용하여 비디오 소스(222)를 재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사용자 단말기(200)는 비디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외부 장치와 통신기(210)를 통해 통신하며, 컨트롤러(234)는 그 장치와 통신하여 비디오 소스(222)를 재생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2, when the audio source 221 is included in the multimedia data together with the video source 222, the video source 222 is required to be played. The controller 234 may read the video source 222 from the memory 220 and reproduce the read video source 222.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200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of various devices capable of displaying video, and the controller 234 can play the video source 222 using the device. As another example, the user terminal 200 communicates with an external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video through the communicator 210, and the controller 234 communicates with the device to play the video source 222.

컨트롤러(234)는 비디오 소스(222)의 재생을 제 1 내지 제 6 스피커들(121~126)의 딜레이들에 따라 버퍼링할 수 있다. 비디오 소스(222)의 재생을 위한 딜레이는 실질적으로 0일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비디오 소스(222)의 버퍼링 시간은 제 1 내지 제 6 스피커들(121~126)의 딜레이들 중 가장 긴 딜레이로 결정될 수 있다.The controller 234 may buffer playback of the video source 222 according to delays of the first to sixth speakers 121 to 126. The delay for reproduction of the video source 222 may be substantially 0, and in this case, the buffering time of the video source 222 may be determined as the longest delay among delays of the first to sixth speakers 121 to 126. I can.

실시 예들에서, 채널 설정기(231), 음향 규격 설정기(232), 딜레이 판별기(233), 및 컨트롤러(234)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하드웨어 모듈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펌웨어 모듈들, 및 그것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로서 제공될 수 있다.In embodiments, the channel setter 231, the sound standard setter 232, the delay discriminator 233, and the controller 234 are one or more hardware module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one or more It may be provided as at least one of more firmware modules, and combinations thereof.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200)는 멀티 채널 오디오를 구성하는 스피커들(121~126)의 딜레이들을 판별하고, 판별된 딜레이들에 따라 오디오 데이터들을 버퍼링하여 스피커들(121~126)에 전송한다. 이에 따라 만약 스피커들(121~126)의 딜레이들이 서로 다르더라도 버퍼링 시간들에 의해 스피커들은 서로 동기화되고, 그러므로 멀티 채널 오디오에 의한 소리는 의도대로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멀티 채널 오디오는 설사 다른 모델들의 스피커들을 포함하더라도 높은 신뢰성의 소리를 재생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200 determines delays of speakers 121 to 126 constituting multi-channel audio, buffers audio data according to the determined delays, ). Accordingly, even if the delays of the speakers 121 to 126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speakers are synchronized with each other due to buffering times, and therefore, sound by multi-channel audio can be output as intended. Therefore, multi-channel audio can reproduce sound with high reliability even if it includes speakers of different models.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수의 스피커들과 통신을 개설하여 멀티 채널 오디오를 제공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multi-channel audio by establishing communication with a plurality of speak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S110단계에서, 인접한 제 1 내지 제 6 스피커들(121~126)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이 초기화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기(110)는 블루투스 페어링을 수행하여 제 1 내지 제 6 스피커들(121~126)을 감지함으로써 근거리 무선 통신을 초기화할 수 있다.1 and 4, in step S110,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djacent first to sixth speakers 121 to 126 is initialized.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110 may initiat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by detecting the first to sixth speakers 121 to 126 by performing Bluetooth pairing.

S120단계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이 초기화된 스피커들(121~126)이 각각 멀티 채널 오디오의 채널들에 할당된다. 사용자 단말기(11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응답하여 제 1 내지 제 6 스피커들(121~126)을 각각 채널들에 할당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110)는 제 1 내지 제 6 스피커들(121~126)의 제원들에 따라 각 스피커에 적합한 추천 채널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는 도 5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된다.In step S120, the speakers 121 to 126 for whic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s initialized are allocated to channels of multi-channel audio, respectively. The user terminal 110 may allocate the first to sixth speakers 121 to 126 to channels, respectively, in response to a user's selection.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110 may inform the user of a recommended channel suitable for each speaker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first to sixth speakers 121 to 126.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S130단계에서, 각 스피커에 테스트 신호를 전송함에 따라 출력되는 소리가 감지되어 제 1 내지 제 6 스피커들(121~126)의 딜레이들(도 3의 DLT1~DLT6 참조)을 결정한다. 이로부터, 사용자 단말기(110)는 제 1 내지 제 6 스피커들(121~126)의 딜레이들의 사이의 차이를 감지할 수 있다. 이는 도 7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된다.In step S130, the sound output as the test signal is transmitted to each speaker is sensed, and delays of the first to sixth speakers 121 to 126 (see DLT1 to DLT6 in FIG. 3) are determined. From this, the user terminal 110 may detect a difference between delays of the first to sixth speakers 121 to 126.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7.

실시 예들에서, 각 스피커의 딜레이를 저장하는 서버가 제공될 수 있다. 스피커의 딜레이는 미리 측정되고, 측정 결과에 따라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 단말기(110)는 해당 서버에 액세스하여 스피커의 딜레이를 획득할 수 있다.In embodiments, a server may be provided that stores the delay of each speaker. The delay of the speaker is measured in advance and may be stored in the server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result.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110 may access the server to obtain a delay of the speaker.

S140단계에서, 결정된 딜레이들에 따라, 제 1 내지 6 스피커들(121~126)이 할당된 채널들에 각각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들이 선택적으로 버퍼링된다. 사용자 단말기(110)는 오디오 소스로부터 채널들에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들을 추출하도록 구성되는 오디오 코덱(도 2의 235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10)는 결정된 딜레이들에 따라 오디오 데이터들의 버퍼링 시간들(도 3의 BFT1~BFT6 참조)을 결정할 것이다.In step S140, audio data corresponding to channels to which the first to sixth speakers 121 to 126 are allocated are selectively buffere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delays. The user terminal 110 may include an audio codec (refer to 235 of FIG. 2) configured to extract audio data corresponding to channels from an audio source. The user terminal 110 will determine buffering times (refer to BFT1 to BFT6 in FIG. 3) of audio data according to the determined delays.

실시 예들에서, 오디오 소스가 비디오 소스와 함께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포함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110)는 결정된 딜레이들에 따라 비디오 소스(232)의 재생을 버퍼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디오 소스의 버퍼링 시간은 제 1 내지 제 6 스피커들(121~126)의 딜레이들 중 가장 긴 딜레이로 결정될 수 있다.In embodiments, when the audio source is included in the multimedia data together with the video source, the user terminal 110 may buffer the playback of the video source 232 according to the determined delays. For example, the buffering time of the video source may be determined as the longest delay among delays of the first to sixth speakers 121 to 126.

S150단계에서, 선택적으로 버퍼링된 오디오 데이터들이 제 1 내지 제 6 스피커들(121~126)에 전송된다.In step S150, selectively buffered audio data are transmitted to the first to sixth speakers 121 to 126.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들을 이용하여 멀티 채널 오디오를 제공하는 방법은 멀티 채널 오디오를 구성하는 스피커들의 딜레이들을 판별하고, 판별된 딜레이들에 따라 오디오 데이터들을 버퍼링하여 스피커들에 전송한다. 이에 따라 만약 스피커들의 딜레이들이 서로 다르더라도 버퍼링 시간들에 의해 스피커들은 서로 동기화되고, 그러므로 멀티 채널 오디오에 의한 소리는 의도대로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멀티 채널 오디오는 설사 다른 모델들의 스피커들을 포함하더라도 높은 신뢰성의 소리를 재생할 수 있다.In a method of providing multi-channel audio using speak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lays of speakers constituting multi-channel audio are determined, audio data is buffere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delays, and transmitted to the speakers. Accordingly, even if the delays of the speaker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speakers are synchronized with each other by the buffering times, and therefore, sound by multi-channel audio can be output as intended. Therefore, multi-channel audio can reproduce sound with high reliability even if it includes speakers of different models.

도 5는 스피커들을 채널들에 할당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6은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는 외부 서버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5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allocating speakers to channels.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ternal server communicating with a user terminal.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S210단계에서, 제 1 내지 제 6 스피커들(121~126)의 정보들이 수신된다. 사용자 단말기(11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초기화하기 위한 동작들(예를 들면, 블루투스 페어링)을 통해 제 1 내지 제 6 스피커들(121~126)의 정보들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기(110)는 제 1 내지 제 6 스피커들(121~126)의 모델명들(혹은, 식별자들)을 수신할 수 있다.1 and 5, in step S210, information on the first to sixth speakers 121 to 126 is received. The user terminal 110 may receive information on the first to sixth speakers 121 to 126 through operations (eg, Bluetooth pairing) for initializ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110 may receive model names (or identifiers) of the first to sixth speakers 121 to 126.

S220단계에서, 제 1 내지 제 6 스피커들(121~126)의 정보들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로부터 제 1 내지 제 6 스피커들(121~126)의 오디오 출력들과 같은 제원들을 수신한다. 사용자 단말기(1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12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130)에 액세스하여 제 1 내지 제 6 스피커들(121~126)의 제원들을 조회할 수 있다.In step S220, specifications such as audio outputs of the first to sixth speakers 121 to 126 are received from at least one external server by using information of the first to sixth speakers 121 to 126. As illustrated in FIG. 6, the user terminal 110 may access at least one external server 130 through the network 120 to inquire specifications of the first to sixth speakers 121 to 126.

S230단계에서, 제 1 내지 제 6 스피커들(121~126)의 오디오 출력들과 같은 제원들에 따라, 제 1 내지 제 6 스피커들(121~126)에 각각 대응하는 추천 채널들이 결정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기(110)는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출력들을 갖는 2개의 스피커들을 전면 채널들에 매핑하고 그보다 낮은 출력들을 갖는 스피커들을 측면 혹은 후면 채널들로 매핑하고,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출력을 갖는 스피커를 보조 채널(예를 들면 우퍼 채널)로 매핑하도록, 제 1 내지 제 6 스피커들(121~126)에 각각 대응하는 추천 채널들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제 1 내지 제 6 스피커들(121~126)과 연관하여 조회된 다양한 제원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제 1 내지 제 6 스피커들(121~126)에 각각 대응하는 추천 채널들이 결정될 수 있다. 멀티 채널 오디오의 용도, 사용자의 기호, 재생될 소리 등 다양한 요소들에 따라 추천 채널들이 결정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제 1 내지 제 6 스피커들(121~126)에 대응하는 추천 채널들은 사용자 단말기(110)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In step S230, recommended channels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 sixth speakers 121 to 126, respectively,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ame specifications as the audio outputs of the first to sixth speakers 121 to 126.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110 maps two speakers having the relatively highest outputs to the front channels, and maps speakers having lower outputs to the side or rear channels, and has the relatively lowest output. Recommended channels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 sixth speakers 121 to 126 may be determined to map the speaker to an auxiliary channel (eg, a woofer channel). In addition, recommended channel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rst to sixth speakers 121 to 126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various specifications that are inquired in connection with the first to sixth speakers 121 to 126. . It should be noted that the recommended channels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various factors such as the use of multi-channel audio, user preference, and sound to be reproduced. Recommended channels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 sixth speakers 121 to 126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device of the user terminal 110.

도 7은 스피커들의 딜레이들을 결정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7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of determining delays of speakers.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S310단계에서, 제 n 스피커에 제 n 테스트 신호를 전송함에 따라 출력되는 소리가 감지되어 제 n 스피커의 딜레이를 측정한다(n은 양의 정수). S320단계에서, 마지막 스피커인지 여부에 따라 S330단계가 수행된다. S330단계에서, 다음 스피커에 대해 S310단계와 S320단계가 재수행된다. 이와 같이, 스피커들의 딜레이들의 측정을 구분된 시간 구간들에서 독립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측정된 딜레이들의 신뢰성은 향상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7, in step S310, the sound output as the nth tes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nth speaker is sensed to measure the delay of the nth speaker (n is a positive integer). In step S320, step S330 is performed depending on whether it is the last speaker. In step S330, steps S310 and S320 are performed again for the next speaker. In this way,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d delays can be improved by independently performing the measurement of the delays of the speakers in divided time periods.

도 8은 도 2의 사용자 단말기를 구현하기에 적합한 컴퓨터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mputer device suitable for implementing the user terminal of FIG. 2.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000)는 통신기(1100), A/V(Audio/Video) 입력기(1200), 사용자 인터페이스(1300), 디스플레이 장치(1400), 불휘발성 저장 매체(1500), 프로세서(1600), 및 시스템 메모리(17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8, the user terminal 1000 includes a communication device 1100, an audio/video (A/V) input device 1200, a user interface 1300, a display device 1400, a nonvolatile storage medium 1500, and A processor 1600, and a system memory 1700.

통신기(1100)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서버, 및 외부의 단말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타입들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기(1100)는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도록 구성된다. 나아가, 통신기(1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근거리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 와이파이 통신, LTE D2D 통신, NFC, 마그네틱 보안 전송 통신, 지그비 통신, 적외선 통신, UWB 통신, Ant+ 통신, 및/또는 그와 유사한 것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한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기(1100)는 도 2의 통신기(210)로서 기능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00 is configured to transmit a radio signal to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server, and an external terminal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this case,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signal, or various types of data according to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ext/multimedia messages. Further, the communicator 1100 is configured to access the wireless Internet. Further, the communicator 1100 is configured to perform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here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cludes Bluetooth, Wi-Fi communication, LTE D2D communication, NFC, magnetic secure transmission communication, Zigbee communication, infrared communication, UWB communication, Ant+ communication, and / Or may include communication using at least one communication protocol among similar ones. The communicator 1100 may function as the communicator 210 of FIG. 2.

A/V 입력기(1200)는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는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이미지를 처리한다. 카메라에 의해 처리된 이미지는 시스템 메모리(1700)에 저장되거나 통신기(1100)를 통해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The A/V input unit 1200 is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and a video signal, and may include a camera. The camera processes the image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The image processed by the camera may be stored in the system memory 1700 or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mmunicator 1100.

사용자 인터페이스(1300)는 사용자 단말기(1000) 혹은 프로세서(1600)의 동작들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30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핑거 마우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디스플레이 장치(140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1300)는 디스플레이 장치(1400)에 의해 시각화될 수 있다.The user interface 1300 receives a user input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user terminal 1000 or the processor 1600. The user interface 1300 may include a key pad, a dome switch, a touch pad (positive pressure/electrostatic), a jog wheel, a jog switch, a finger mouse, and the like. In particular, when the touch pad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display device 1400, it may be referred to as a touch screen. In this case, the user interface 1300 may be visualized by the display device 1400.

디스플레이 장치(1400)는 프로세서(1600)의 제어에 응답하여 동작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400)는 사용자 단말기(1000) 혹은 프로세서(1600)에 의해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1400)는 프로세서(1600)의 제어에 따라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400)가 터치 패드와 일체로 형성되어 터치 스크린을 구성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4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300)를 시각화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1400 operates in response to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1600. The display device 1400 display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user terminal 1000 or the processor 1600. For example, the display device 1400 may display an image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1600. When the display device 1400 is integrally formed with a touch pad to configure a touch screen, the display device 1400 may visualize the user interface 1300.

디스플레이 장치(140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등 다양한 타입의 디스플레이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display device 14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various types of display devices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and a flexible display.

불휘발성 저장 매체(1500)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multimedia card) 등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불휘발성 저장 매체(1500)는 프로세서(1600)의 제어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기입하고 독출하도록 구성된다. 불휘발성 저장 매체(1500)는 도 2의 메모리(220)로서 기능할 수 있다.The nonvolatile storage medium 1500 may be at least one of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nd a multimedia card. The nonvolatile storage medium 1500 is configured to write and read data in response to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1600. The nonvolatile storage medium 1500 may function as the memory 220 of FIG. 2.

통신기(1100), A/V 입력기(1200), 사용자 인터페이스(1300), 디스플레이 장치(1400), 불휘발성 저장 매체(1500), 프로세서(1600), 및 시스템 메모리(1700)를 서로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버스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시스템 버스는 도 2의 제 1 및 제 2 인터페이스들(201, 202)로서 제공될 수 있다.An interface for connecting the communication unit 1100, A/V input unit 1200, user interface 1300, display device 1400, nonvolatile storage medium 1500, processor 1600, and system memory 1700 to each other is provided. A system bus to provide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is case, the system bus may be provided as the first and second interfaces 201 and 202 of FIG. 2.

프로세서(1600)는 범용 혹은 전용 프로세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통신기(1100), A/V 입력기(1200), 사용자 인터페이스(1300), 디스플레이 장치(1400), 불휘발성 저장 매체(1500), 및 시스템 메모리(1700)의 동작들을 제어한다.The processor 1600 may include either a general-purpose or a dedicated processor, and a communication unit 1100, an A/V input unit 1200, a user interface 1300, a display device 1400, and a nonvolatile storage medium 1500 , And operations of the system memory 1700 are controlled.

프로세서(1600)는 프로그램 코드들을 불휘발성 저장 매체(1500)로부터 시스템 메모리(1700)에 로딩하고, 로딩된 프로그램 코드들을 실행하여 도 2, 도 4, 도 5,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된 동작들 및/또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1600)는 프로세서(1600)에 의해 실행될 때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콘텐츠 재생기(230)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콘텐츠 재생 모듈(1710)을 시스템 메모리(1700)에 로딩하고, 로딩된 콘텐츠 재생 모듈(1710)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콘텐츠 재생 모듈(1710)은, 프로세서(1600)에 의해 실행될 때, 채널 설정기(231)의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 음향 규격 설정기(232)의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 그리고 딜레이 판별기(233)의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ocessor 1600 loads program codes from the nonvolatile storage medium 1500 into the system memory 1700 and executes the loaded program codes to perform operation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4, 5, and 7. And/or functions. When executed by the processor 1600, the processor 1600 loads the content playback module 1710, which performs the functions of the content player 23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into the system memory 1700, and plays the loaded content. The module 1710 can be executed. For example, the content playback module 1710, when executed by the processor 1600, commands for performing functions of the channel setter 231 and command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of the sound standard setter 232 And instructions for performing functions of the delay discriminator 233.

실시 예들에서, 시스템 메모리(1700)는 프로세서(1600)의 워킹 메모리로서 제공될 수 있다. 도 8에서, 시스템 메모리(1700)는 프로세서(1600)와 분리된 구성 요소로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시스템 메모리(1700)의 적어도 일부는 프로세서(1600) 내에 통합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시스템 메모리(1700)는 버퍼 메모리로서 제공될 수 있다. 시스템 메모리(1700)는 도 2의 메모리(220)로서 기능할 수 있다.In embodiments, the system memory 1700 may be provided as a working memory of the processor 1600. In FIG. 8, the system memory 1700 is shown as a separate component from the processor 1600, but this is exemplary,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ystem memory 1700 may be integrated into the processor 1600. In embodiments, the system memory 1700 may be provided as a buffer memory. The system memory 1700 may function as the memory 220 of FIG. 2.

시스템 메모리(1700)는 램(Random Access Memory, RAM), 롬(Read Only Memory, ROM), 및 다른 타입들의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system memory 17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random access memory (RAM), read only memory (ROM), and other types of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

도 9는 도 8의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 서버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9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lient server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user terminal of FIG. 8.

도 8의 사용자 단말기(1000)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코드들은 클라이언트 서버(2000)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클라이언트 서버(2000)는 통신기(2100), 프로세서(2200), 및 데이터베이스(230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기(2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0)와 통신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300)는 사용자 단말기(1000) 및/또는 도 8의 프로세서(160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코드들, 예를 들면 도 8의 콘텐츠 재생 모듈(1710) 혹은 콘텐츠 재생 모듈(1710)을 포함하는 응용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0)는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데이터베이스(2300)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들을 통신기(210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0)에 제공할 수 있다. 프로그램 코드들은 사용자 단말기(1000)에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다.Program codes executed by the user terminal 1000 of FIG. 8 may be provided from the client server 2000. Referring to FIG. 9, the client server 2000 may include a communicator 2100, a processor 2200, and a database 2300. The communicator 2100 may communicate with the user terminal 1000 through a network. The database 2300 includes program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the user terminal 1000 and/or the processor 1600 of FIG. 8, for example, the content playback module 1710 or the content playback module 1710 of FIG. You can save the application application. The processor 2200 may provide program codes stored in the database 2300 to the user terminal 1000 through the communicator 2100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1000. Program codes may be installed and executed in the user terminal 1000.

비록 특정 실시 예들 및 적용 례들이 여기에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들 및 변형들이 가능하다.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and application examples have been described herein, these are provided only to aid in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ose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s it grow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this descrip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defined, and all things that are equivalent or equivalent to the claims as well as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

210: 통신기
220: 메모리
230: 콘텐츠 재생기
231: 채널 설정기
232: 음향 규격 설정기
233: 딜레이 판별기
234: 컨트롤러
210: communicator
220: memory
230: content player
231: channel setter
232: sound standard setter
233: delay discriminator
234: controller

Claims (13)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복수의 스피커들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에 있어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에 응답하여 외부 장치들과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기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인접한 스피커들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초기화하고;
상기 스피커들을 각각 멀티 채널 오디오의 채널들에 할당하고;
상기 스피커들 각각에 테스트 신호를 전송함에 따라 출력되는 소리를 감지하여 상기 스피커들의 딜레이들을 결정하고;
상기 스피커들이 할당된 상기 채널들에 각각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들을 상기 결정된 딜레이들에 따라 선택적으로 버퍼링하고;
상기 스피커들이 상이한 버퍼링 시간들 후에 상기 오디오 데이터들을 수신하도록, 상기 선택적으로 버퍼링된 오디오 데이터들을 상기 스피커들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스피커들 중 제 1 스피커에 제 1 테스트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테스트 신호로서 전송한 시간과 상기 제 1 스피커가 상기 제 1 테스트 오디오 데이터에 응답하여 출력하는 소리를 감지한 시간 사이의 차이를 상기 제 1 스피커의 딜레이로 결정하고,
상기 스피커들 중 제 2 스피커에 제 2 테스트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테스트 신호로서 전송한 시간과 상기 제 2 스피커가 상기 제 2 테스트 오디오 데이터에 응답하여 출력하는 소리를 감지된 시간 사이의 차이를 상기 제 2 스피커의 딜레이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단말기.
In the user terminal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speakers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Processor; And
Comprising a communicator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external devices in response to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The processor,
Initiating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djacent speakers;
Allocating the speakers to channels of multi-channel audio, respectively;
Determining delays of the speakers by sensing sound output as a test signal is transmitted to each of the speakers;
Selectively buffering audio data corresponding to the channels to which the speakers are allocate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delays;
Configured to transmit the selectively buffered audio data to the speakers so that the speakers receive the audio data after different buffering times,
The processor,
The difference between a time when the first test audio data is transmitted as the test signal to a first speaker among the speakers and a time when the first speaker detects a sound output in response to the first test audio data is determined as the first Is determined by the delay of the speaker,
The second difference between the time when the second test audio data is transmitted as the test signal to the second speaker among the speakers and the time when the sound output by the second speaker in response to the second test audio data is sensed. User terminal configured to determine the delay of the speaker.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들 중 제 1 오디오 데이터는 상기 제 1 스피커에 전송되고, 상기 오디오 데이터들 중 제 2 오디오 데이터는 상기 제 2 스피커에 전송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스피커의 상기 딜레이와 상기 제 2 스피커의 상기 딜레이 사이의 차이에 따라 상기 상기 제 1 오디오 데이터 및 상기 제 2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버퍼링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First audio data among the audio data is transmitted to the first speaker, and second audio data among the audio data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speaker,
The processor,
A user terminal configured to buffer at least one of the first audio data and the second audio data according to a difference between the delay of the first speaker and the delay of the second speak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들 각각이 버퍼링되는 시간은 상기 스피커들의 상기 딜레이들 중 가장 긴 딜레이와 해당 스피커의 딜레이 사이의 차이인 사용자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time when each of the audio data is buffered is a difference between the longest delay among the delays of the speakers and the delay of the corresponding speak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스피커들을 상기 채널들에 할당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user interface operating in response to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The processor,
A user terminal configured to allocate the speakers to the channels in response to a user input receiv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 오디오 소스로부터 상기 오디오 데이터들을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processor,
A user terminal configured to obtain the audio data from an audio source among multimedia data.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로부터 비디오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결정된 딜레이들에 따라 상기 비디오 데이터의 재생을 버퍼링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6,
The processor,
Obtaining video data from the multimedia data;
A user terminal configured to buffer the reproduction of the video data according to the determined delays.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복수의 스피커들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인접한 스피커들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초기화하는 단계;
상기 스피커들을 각각 멀티 채널 오디오의 채널들에 할당하는 단계;
상기 스피커들 각각에 테스트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함에 따라 출력되는 소리를 감지하여 상기 스피커들의 딜레이들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스피커들이 할당된 상기 채널들에 각각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들을 상기 결정된 딜레이들에 따라 선택적으로 버퍼링하는 단계; 및
상기 스피커들이 상이한 버퍼링 시간들 후에 상기 오디오 데이터들을 수신하도록, 상기 선택적으로 버퍼링된 오디오 데이터들을 상기 스피커들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스피커들의 딜레이들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스피커들 각각에 대해 순차적으로, 해당 스피커에 상기 테스트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한 시간과 상기 해당 스피커가 상기 테스트 오디오 데이터에 응답하여 출력하는 소리를 감지한 시간 사이의 차이를 상기 해당 스피커의 딜레이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In the method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speakers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itiating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djacent speakers;
Allocating the speakers to channels of multi-channel audio, respectively;
Determining delays of the speakers by sensing sound output as test audio data is transmitted to each of the speakers;
Selectively buffering audio data corresponding to the channels to which the speakers are allocate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delays; And
Transmitting the selectively buffered audio data to the speakers such that the speakers receive the audio data after different buffering times,
The step of determining the delays of the speakers is sequentially for each of the speakers, between a time when the test audio data is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speaker and a time when the corresponding speaker detects a sound output in response to the test audio data. And determining the difference as a delay of the corresponding speaker.
삭제delet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들 각각이 버퍼링되는 시간은 상기 스피커들의 상기 딜레이들 중 가장 긴 딜레이와 해당 스피커의 딜레이 사이의 차이인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The time for each of the audio data to be buffered is a difference between the longest delay among the delays of the speakers and the delay of the corresponding speaker.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초기화하는 단계는 상기 스피커들의 정보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스피커들의 상기 정보들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스피커들의 오디오 출력들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스피커들의 상기 오디오 출력들에 따라 상기 스피커들에 각각 대응하는 추천 채널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Initiating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cludes receiving information of the speakers,
Receiving audio outputs of the speakers from at least one external server using the information of the speakers; And
And determining recommended channel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speakers according to the audio outputs of the speakers.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들을 각각 채널들에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추천 채널들을 승인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스피커들을 상기 추천 채널들에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Allocating the speakers to respective channels includes allocating the speakers to the recommended channels in response to a user input for approving the recommended channels.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딜레이들에 따라 상기 오디오 데이터들과 연관된 비디오 데이터의 재생을 버퍼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And buffering reproduction of video data associated with the audio data according to the determined delays.

KR1020180120569A 2018-10-10 2018-10-10 Device and method to control plurality of speakers through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KR1022229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569A KR102222912B1 (en) 2018-10-10 2018-10-10 Device and method to control plurality of speakers through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569A KR102222912B1 (en) 2018-10-10 2018-10-10 Device and method to control plurality of speakers through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0531A KR20200040531A (en) 2020-04-20
KR102222912B1 true KR102222912B1 (en) 2021-03-04

Family

ID=70467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0569A KR102222912B1 (en) 2018-10-10 2018-10-10 Device and method to control plurality of speakers through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291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9310A1 (en) * 2020-08-21 2022-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Terminal and method for outputting multi-channel audio by using plurality of audio devices
AU2021392734A1 (en) * 2020-12-04 2023-07-06 Fasett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surround sound
KR102456748B1 (en) * 2020-12-17 2022-10-2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Settop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220246163A1 (en) * 2021-01-29 2022-08-04 Arris Enterprises Llc Technologies for syncronizing rendering of multi-channel audio
WO2024014586A1 (en) * 2022-07-15 2024-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Wireless audio reception apparatus, wireless audio transmission apparatus, and wireless audio output system comprising same
CN116170039A (en) * 2023-02-10 2023-05-26 潍坊歌尔丹拿电子科技有限公司 Audio play control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4600A (en) * 2002-01-08 2003-07-18 Mitsubishi Electric Corp Multi-channel reproduction acoustic apparatus
JP2007013707A (en) * 2005-06-30 2007-01-18 Sony Corp Wireless speaker system, audio signal transmitter, reproduced sound phase synchronizing device, reproduced sound phase synchronizing method and reproduced sound phase synchronization program
JP2017143357A (en) * 2016-02-08 2017-08-17 株式会社ディーアンドエムホールディングス Wireless audio system, controller, wireless speaker, and computer readable progra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1979A (en) * 2009-07-29 2011-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htod for signal matching of image signal im image display devk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4600A (en) * 2002-01-08 2003-07-18 Mitsubishi Electric Corp Multi-channel reproduction acoustic apparatus
JP2007013707A (en) * 2005-06-30 2007-01-18 Sony Corp Wireless speaker system, audio signal transmitter, reproduced sound phase synchronizing device, reproduced sound phase synchronizing method and reproduced sound phase synchronization program
JP2017143357A (en) * 2016-02-08 2017-08-17 株式会社ディーアンドエムホールディングス Wireless audio system, controller, wireless speaker, and computer readable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0531A (en) 2020-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2912B1 (en) Device and method to control plurality of speakers through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KR102350498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reproducing audio signal via the external device
EP299093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oice recording and playback
KR101982243B1 (en) User terminal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228396B1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trolling speaker
KR102045281B1 (en) Method for processing data and an electronis device thereof
US20150078574A1 (en) Headset hav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oss prevention function and headset system having loss prevention function
US20150333820A1 (en) Synchronized Multichannel Data
US1115723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ound signal output
JP6625383B2 (en) Computer readable program, audio controller, and wireless audio system
KR2011001230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olume in a electronic machine
KR102378440B1 (en) Electronic device and audio ouputting method thereof
US10848868B2 (en) Audio signal routing to audio devices
JP2019117633A (en) Mobile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for mobile terminal apparatus
CN105704110B (en) Media transmission method, media control method and device
CN110809226A (en) Audio playing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US984387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multi-sound channel contents using DLNA in mobile terminal
KR102283778B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contents in communication system
KR20180083572A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5220533A (en) On-vehicle information system, on-vehicle device, information terminal, application execution method
CN106604204B (en) Method and system for remotely controlling terminal application through Bluetooth
JP6040617B2 (en) COMMUNICATION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11303746B2 (en) Terminal apparatus that displays which communication system is available from multiple communication systems being used
KR102404364B1 (en) Electronic apparatus paired with external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3805837A (en) Audio processing method, mobil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