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9797B1 -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Google Patents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9797B1
KR102219797B1 KR1020140004174A KR20140004174A KR102219797B1 KR 102219797 B1 KR102219797 B1 KR 102219797B1 KR 1020140004174 A KR1020140004174 A KR 1020140004174A KR 20140004174 A KR20140004174 A KR 20140004174A KR 102219797 B1 KR102219797 B1 KR 102219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display
user
displayed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41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84303A (en
Inventor
이홍진
이청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4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9797B1/en
Priority to EP15150849.6A priority patent/EP2894557B1/en
Priority to US14/594,765 priority patent/US10139990B2/en
Priority to CN201510016299.4A priority patent/CN104777997B/en
Publication of KR20150084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43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9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9797B1/en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컨텐츠 항목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복수의 컨텐츠 항목을 포함하는 컨텐츠 리스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컨텐츠 리스트에 대한 확대 입력에 대응하여, 컨텐츠 리스트를 확대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컨텐츠 리스트 내에, 복수의 컨텐츠 항목 중 적어도 일부 컨텐츠 항목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표시되는 일부 컨텐츠 항목이 재생 가능한 크기인 경우, 해당 컨텐츠를 재생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mory for storing a plurality of content items, a display for displaying a content list including a plurality of content items, and an enlargement of a content list in response to an enlargement input for the content list. And a processor that controls to display, controls to display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content items in the content list, and controls to play and display the corresponding content when the displayed content items have a playable siz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mprove user convenience.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device capable of improving user convenience,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화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다양한 형태가 사용되고 있다. 일례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ane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가 있다. Various types of display devices are used to implement images. For example, there are various displays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 plasma display panel,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anel.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 분야가 점차 확대됨에 따라 각 사용 분야에서 다양한 특성이 요구되고 있으며, 특히,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Meanwhile, as the field of use of the display device is gradually expanded, various characteristics are required in each field of use, and in particular, research on a large display device continues.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capable of improving user convenience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컨텐츠 항목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복수의 컨텐츠 항목을 포함하는 컨텐츠 리스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컨텐츠 리스트에 대한 확대 입력에 대응하여, 컨텐츠 리스트를 확대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컨텐츠 리스트 내에, 복수의 컨텐츠 항목 중 적어도 일부 컨텐츠 항목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표시되는 일부 컨텐츠 항목이 재생 가능한 크기인 경우, 해당 컨텐츠를 재생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memory for storing a plurality of content items, a display for displaying a content list including a plurality of content items, and an enlarged input for the content list. Thus, the content list is controlled to be enlarged and displayed, and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content items are displayed in the content list, and when some of the displayed content items are in a playable size,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played and displayed. It includes a processor that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방법은, 복수의 컨텐츠 항목을 포함하는 컨텐츠 리스트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와, 컨텐츠 리스트에 대한 확대 입력에 대응하여, 컨텐츠 리스트를 확대 표시하면서, 컨텐츠 리스트 내에, 복수의 컨텐츠 항목 중 적어도 일부 컨텐츠 항목을 표시하는 단계와, 표시되는 일부 컨텐츠 항목이 재생 가능한 크기인 경우, 해당 컨텐츠를 재생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a method of operat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displaying a content list including a plurality of content items on a display, and in response to an enlarged input to the content list, And displaying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content items in the content list while expanding the list, and reproducing and displaying the corresponding content when the displayed content items have a reproducible siz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대형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장치로서, 복수의 사용자가 사용 가능하다. 특히, 제1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제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며, 제2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제2 컨텐츠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제1 컨텐츠의 표시 영역을, 제2 사용자 위치를 고려하여, 가변함으로써, 각 사용자 별로, 대응하는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device is a device having a large display and can be used by a plurality of users. In particular, in response to the location of the first user, the first conten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in response to the location of the second user, the second conten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and the display area of the first content is indicated by the second user location. In consideration of, by varying,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 corresponding content for each user.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mprove user convenience.

한편, 제1 컨텐츠에 대한 미니 맵 표시 입력이 있는 경우, 미니 맵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미니 맵 내의 일부 영역에 대한 이동 입력이 있는 경우,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제1 컨텐츠 내의 일부를, 이동시켜, 표시함으로써, 간단하게, 컨텐츠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re is a mini map display input for the first content, the mini map is displayed on the display, and when there is a movement input for a partial area in the mini map, a part of the firs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area is moved. By making and displaying, it becomes possible to easily move the content.

또한, 이동된 컨텐츠를 기반으로, 다른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의 사본을 편집할 수 있게 되어, 복수의 사용자에 의한, 컨텐츠 편집이 가능하게 된다. Also, based on the moved content, other users can edit the copy of the content, so that the content can be edited by a plurality of users.

한편,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기초하여, 각 사용자 별 영역을 설정할 수 있게되며, 이때, 각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 또는 특정 컨텐츠 항목 등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공유되어, 각 사용자 별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각 사용자 별 대응하는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t is possible to set an area for each user, and at this time, a screen displayed on each user's mobile terminal or a specific content item is shared on the display device and displayed in the area for each user. Can b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display content corresponding to each user.

한편, 각 사용자 별 중첩 영역에, 특정 컨텐츠를 위치시키는 경우, 해당 컨텐츠를 각 사용자들과 간단하게 공유할 수 있게 되어,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a specific content is placed in an overlapped area for each user, the corresponding content can be easily shared with each user, thereby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use.

다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대형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장치로서, 복수의 컨텐츠 항목을 포함하는 컨텐츠 리스트를 표시하고, 컨텐츠 리스트에 대한 확대 입력에 대응하여, 컨텐츠 리스트를 확대 표시하면서, 컨텐츠 리스트 내에, 복수의 컨텐츠 항목 중 적어도 일부 컨텐츠 항목을 표시하며, 표시되는 일부 컨텐츠 항목이 재생 가능한 크기인 경우, 해당 컨텐츠를 재생하여 표시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컨텐츠 리스트 내의 컨텐츠를 간편하게 재생시킬 수 있게 되며, 결국,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Nex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device is a device having a large display, displaying a content list including a plurality of content items, and expanding the content list in response to an enlargement input to the content list. While displaying, at least some content items among a plurality of content items are displayed in the content list, and when the displayed content items have a reproducible size,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reproduced and displayed.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reproduce the content in the content list, and consequently, the user's convenience of use can be improved.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는, 컨텐츠 재생 표시시, 일부 컨텐츠 항목 중 재생되는 컨텐츠 항목의 크기가 가장 크게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재생되는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display device displays the largest size of a content item to be played out of some content items when displaying content playback, so that a user can intuitively check the content to be played back.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되는 복수의 컨텐츠 항목 중 일부에 대한 병합 입력이 있는 경우, 해당 컨텐츠 항목들을 포함하는 컨텐츠 파일을 생성함으로써, 간단하게, 컨텐츠 파일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when there is a merge input for some of the displayed plurality of content items, the display device can simply generate a content file by generating a content file including the corresponding content item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4a 내지 도 20c는 도 3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22 내지 도 30b는 도 21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display device of FIG. 1.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to 20C are views referenced to explain the operation method of FIG. 3.
2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to 30B are diagrams referenced to describe the operation method of FIG. 21.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The suffixes "module" and "unit" for the constituent elem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in consideration of only the ease of writing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o not impart a particularly important meaning or role by themselves. Therefore, the "module" and "unit" may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each other.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 표시가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장치로서, 수평하게(hotizontal) 놓인 상태에서, 영상을 표시하거나, 수직하게(vertical) 놓인 상태에서 영상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가 수평하게((hotizontal)) 놓인 상태에서, 다양한 사용자가 가능한,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인 것으로 한다.Meanwhile, the display device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a device having a display capable of displaying an image, and it is possible to display an image in a hotizontal state, or display an image in a vertical state. Do. Hereinafter, it is assumed that the display is a large display device capable of various users while the display is placed horizontally (hotizontal).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 제스쳐 입력, 오디오 입력 등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described herein may be a display device capable of a user's touch input, gesture input, audio input, and the lik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장치로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180)와, 사용자 촬영을 위한 카메라(195)를 구비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a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displaying an image, and includes a display 180 for displaying an image and a camera 195 for photographing a user. can do.

도면에서는 카메라(195)가, 수평으로 놓인 디스플레이(180)의 상부에, 별도의 유닛으로 배치되는 것을 예시하나, 이와 달리 다양한 예가 가능하다.The drawing illustrates that the camera 195 is disposed as a separate unit above the display 180 placed horizontally, but various examples are possible.

예를 들어, 사각형인 디스플레이(180)의 각 모서리 부근 중 적어도 하나에, 복수의 카메라가 부착되거나, 사각형인 디스플레이(180)의 각 모서리 부근 중 적어도 하나에, 스탠드 형의 복수의 카메라가 배치될 수도 있다.For example, a plurality of cameras are attached to at least one of the vicinity of each corner of the rectangular display 180, or a plurality of stand-type cameras may be disposed in at least one of the vicinity of each corner of the rectangular display 180. May b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카메라(195)를 통해, 인식되는,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device 100 displays content in response to a user's location recognized through the camera 195.

특히, 복수의 사용자가 있는 경우, 각 사용자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서로 구분되는 영역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관련한 다양한 예에 대해서는, 도 3 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한다.In particular,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users, it is possible to display contents corresponding to each user in separate areas. Various examples related to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3 or less.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2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display device of FIG. 1.

도면을 참조하면, 도 2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력부(110), 통신부(120), 인터페이스부(130), 메모리(140), 센서부(150), 프로세서(170), 디스플레이(180), 오디오 출력부(185), 전원 공급부(190), 카메라(195)를 구비할 수 있다. 그 외, 오디오 입력부(미도시), 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display device 100 of FIG. 2 includes an input unit 110, a communication unit 120, an interface unit 130, a memory 140, a sensor unit 150, a processor 170, and a display 180. ), an audio output unit 185, a power supply unit 190, and a camera 195 may be provided.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include an audio input unit (not shown).

입력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부착되는 복수의 버튼 또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버튼 또는 터치 스크린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온 시켜,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 외, 다양한 입력 동작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input unit 1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buttons or touch screens attached to the display device 100. It is possible to turn on and operate the display apparatus 100 through a plurality of buttons or a touch screen.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various input operations.

통신부(120)는, 이동 단말기(600) 또는 서버(500)와 무선(wireless) 방식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무선 데이터 통신 방식으로는, 블루투스(Bluetooth), WiFi Direct, WiFi, DLNA, APiX 등 다양한 데이터 통신 방식이 가능하다.The communication unit 120 may exchange data with the mobile terminal 600 or the server 500 in a wireless manner. In particular, the communication unit 120 may wirelessly exchange data with a mobile terminal of a user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As a wireless data communication method, various data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Bluetooth, WiFi Direct, WiFi, DLNA, and APiX are possible.

통신부(120)는, 이동 단말기(600) 또는 서버(500)로부터, 각 사용자에 대응하는 선호 컨텐츠 등을 수신하고, 이를 프로세서(170) 또는 메모리(140)로 전송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20 may receive preferred content corresponding to each user from the mobile terminal 600 or the server 500 and transmit the received content to the processor 170 or the memory 140.

또는, 통신부(120)는, 프로세서(170)로부터, 편집된 컨텐츠 등을 수신하여, 이동 단말기(600) 또는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communication unit 120 may receive the edited content from the processor 170 and transmit it to the mobile terminal 600 or the server 500.

인터페이스부(130)는, 통신부(120) 외의, 다양한 방식에 의해,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프로세서(170)에서 처리 또는 생성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선 방식에 의해, 외부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터페이스부(130)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USB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30 may receive data from the outside through various methods other than the communication unit 120, or may transmit a signal processed or generated by the processor 170 to the outside. For example, data can be exchanged with the outside by wired method. To this end, the interface unit 130 may include a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terminal, an RGB terminal, and a USB terminal.

메모리(140)는, 프로세서(17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디스플레이 장치(100)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memory 140 may store various data for overall operation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such as a program for processing or controlling the processor 170. On the other hand, it is also possible to temporarily store content received from the outside.

센서부(15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 또는 이동 단말기(6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사이의 접촉 등을 감지할 있다. 이를 위해, 센서부(150)는, 터치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or unit 150 may detect a user's touch input or a contact between the mobile terminal 600 and the display device 100. To this end, the sensor unit 150 may include a touch sensor, a position sensor, a motion sensor, a gyro sensor, and the like.

감지된 사용자의 터치 입력 또는, 이동 단말기의 접촉 입력 등은, 프로세서(170)에 입력될 수 있다. The sensed user's touch input or the mobile terminal's touch input may be input to the processor 170.

오디오 출력부(185)는, 프로세서(170)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해, 스피커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입력부(110), 즉 버튼의 동작에 대응하는, 사운드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audio output unit 185 converts the electrical signal from the processor 170 into an audio signal and outputs it. To this end, a speaker or the like may be provided. The audio output unit 185 may output a sound corresponding to an operation of the input unit 110, that is, a button.

오디오 입력부(미도시)는, 사용자 음성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마이크를 구비할 수 있다. 수신되는 음성은,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프로세서(170)로 전달될 수 있다.The audio input unit (not shown) may receive a user's voice. For this, a microphone may be provided. The received voice may be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transmitted to the processor 170.

프로세서(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The processor 17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each unit in the display device 100.

특히, 프로세서(17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각 사용자 별 컨텐츠, 또는 통신부(120)를 통해, 수신되는 각 사용자 별 컨텐츠를 재생하여,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processor 170 may play content for each user stored in the memory 140 or content for each user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20 and control the content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180.

프로세서(170)는, 카메라(195)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의 위치를 연산할 수 있다.The processor 170 may calculate the positions of the first user and the second user based on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195.

프로세서(170)는, 제2 컨텐츠의 표시 영역이, 제1 컨텐츠의 표시 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지 않도록, 제1 컨텐츠의 표시 영역의 크기 또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할 수 있다.The processor 170 may change at least one of the size or position of the display area of the first content so that the display area of the second content does not overlap at least a portion of the display area of the first content.

프로세서(170)는, 제2 사용자가 이동하는 경우,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제2 컨텐츠의 표시 위치를 가변하며, 표시 위치 가변된 제2 컨텐츠의 표시 영역이, 제1 컨텐츠의 표시 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지 않도록, 제1 컨텐츠의 표시 영역의 크기 또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할 수 있다.When the second user moves, the processor 170 changes the display position of the second conten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 and the display area of the second content whose display position is changed is at least the display area of the first content. At least one of the size or location of the display area of the first content may be changed so as not to overlap with a part.

프로세서(170)는, 제1 컨텐츠의 이동 입력이 있는 경우, 제1 컨텐츠 또는 제1 컨텐츠 내의 일부를, 제2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이동시키고, 이동된 제1 컨텐츠 또는 제1 컨텐츠 내의 일부를,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n there is a movement input of the first content, the processor 170 moves the first content or a part of the firs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second user, and moves the first content or a part of the first content. May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180.

프로세서(170)는, 제1 컨텐츠에 대한 미니 맵 표시 입력이 있는 경우, 미니 맵을,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미니 맵 내의 일부 영역에 대한 이동 입력이 있는 경우,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제1 컨텐츠 내의 일부를, 이동시켜, 표시하도록 제어When there is a mini-map display input for the first content, the processor 170 controls to display the mini-map on the display 180, and when there is a movement input for a partial area in the mini-map, it corresponds to the corresponding area. Control to move and display part of the first content

프로세서(170)는, 미니 맵에 대한 줌 입력이 있는 경우, 미니 맵을 줌 인 또는 줌 아웃 하고, 줌인 또는 줌 아웃된 미니 맵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n there is a zoom input for the mini map, the processor 170 may control to zoom in or out of the mini map and display the zoomed in or zoomed out mini map.

프로세서(170)는, 제1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복수의 제1 컨텐츠들 중 적어도 두 개에 대한, 병합 입력이 있는 경우, 해당하는 제1 컨텐츠들을 병합하고, 병합된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n there is a merge input for at least two of the plurality of first contents displayed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first user, the processor 170 merges the corresponding first contents and displays the merged contents. Can be controlled.

프로세서(170)는, 제2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제1 컨텐츠의 사본을,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제2 사용자의 편집 입력에 따라, 제1 컨텐츠의 사본을 편집할 수 있다. The processor 170 controls to display a copy of the first content on the display 180 in response to the location of the second user, and can edit the copy of the first content according to the editing input of the second user. have.

프로세서(170)는, 편집된 제1 컨텐츠의 사본 또는 편집된 제1 컨텐츠의 사본의 사본을, 제1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편집 중인 제1 컨텐츠의 사본 또는 편집 중인 제1 컨텐츠의 사본의 사본은, 제1 사용자에 의해 편집 불가능할 수 있다.The processor 170 may control to display a copy of the edited first content or a copy of the edited firs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first user. In this case, a copy of the first content being edited or a copy of the first content being edited may not be editable by the first user.

프로세서(170)는,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600)가 디스플레이(180)에 놓이는 경우, 센서부(150)를 통해 이를 감지할 수 있으며, 통신부(120)를 통해, 이동 단말기(600)와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되는 기기 정보 또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확인 등을 확인할 수 있다.When the user's mobile terminal 600 is placed on the display 180, the processor 170 may detect it through the sensor unit 150, and perform pairing with the mobile terminal 6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20. Can be done. And, based on the received device information or user information, user confirmation may be checked.

프로세서(170)는,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600)에 대한 확인 이후, 해당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대응하는 사용자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After confirming the user's mobile terminal 600, the processor 170 may set a user area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프로세서(170)는,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600)에 대한 확인 이후, 이동 단말기(6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의 데이터 공유 여부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170 may control to display an object indicating whether data is shared between the mobile terminal 600 and the display device 100 after the user confirms the mobile terminal 600.

프로세서(170)는, 이동 단말기(6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데이터 공유되는 경우, 설정된 사용자 영역 내에, 사용자와 관련한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When data is shared between the mobile terminal 600 and the display device 100, the processor 170 may control to display content related to a user within a set user area.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600)에 표시되는 화면 전체가, 디스플레이(180)의 사용자 영역 내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entire screen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600 may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in the user area of the display 180.

다른 예로, 이동 단말기(600)에 표시되는 화면 내에 선택된 컨텐츠 항목이, 디스플레이(180)의 사용자 영역 내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content item selected in the screen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600 may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in the user area of the display 180.

프로세서(170)는, 표시되는 사용자 영역의 크기가, 사용자 입력에 의해 가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170 may control the size of the displayed user area to be varied according to a user input.

한편, 프로세서(170)는,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영역을 디스플레이(180) 상에 설정할 수 있으며, 각 사용자 영역이, 서로 중첩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processor 170 may set user regions for a plurality of users on the display 180, and may set each user region to overlap each other.

특히, 프로세서(170)는, 사용자 영역 중 중첩되는 공통 영역에, 소정 컨텐츠가 위치하는 경우, 해당 컨텐츠를 다른 사용자와 공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해당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로 해당 컨텐츠가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predetermined content is located in an overlapping common area among the user areas, the processor 170 may control the content to be shared with other users. That is,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content to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of the user.

프로세서(170)는, 카메라(195)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의 위치를 연산하고, 각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여, 각 사용자 별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The processor 170 may calculate the positions of the first user and the second user based on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195 and display content for each user in correspondence with the user positions.

프로세서(170)는, 컨텐츠 리스트에 대한 확대 입력에 대응하여, 컨텐츠 리스트를 확대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컨텐츠 리스트 내에, 복수의 컨텐츠 항목 중 적어도 일부 컨텐츠 항목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표시되는 일부 컨텐츠 항목이 재생 가능한 크기인 경우, 해당 컨텐츠를 재생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170 controls the content list to be enlarged and displayed in response to an enlarged input to the content list, and controls to display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content items in the content list, and the displayed content items are In the case of a playable size, the content may be played and displayed.

프로세서(170)는, 컨텐츠 리스트 표시 전에, 복수의 컨텐츠 항목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복수의 컨텐츠 항목에 대한 병합 입력이 있는 경우, 복수의 컨텐츠 항목을 병합하고, 병합된 컨텐츠 항목을 포함하는 컨텐츠 리스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170 controls to display a plurality of content items on the display before displaying the content list, and when there is a merge input for the plurality of content items, merges the plurality of content items, and includes the merged content items. You can control the display of the content list.

프로세서(170)는, 컨텐츠 재생 표시시, 표시되는 일부 컨텐츠 항목이 재생 가능한 크기인 경우, 일부 컨텐츠 항목 중 어느 하나의 컨텐츠 항목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재생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n displaying content reproduction, the processor 170 may control to play and display content corresponding to any one of the content items when some of the displayed content items have a playable size.

프로세서(170)는, 컨텐츠 재생 표시시, 일부 컨텐츠 항목 중 재생되는 컨텐츠 항목의 크기가 가장 크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n displaying content playback, the processor 170 may control the size of a content item to be played out of some content items to be the largest.

프로세서(170)는, 확대 표시시, 확대 입력이 제1 방향 확대 입력인 경우, 컨텐츠 리스트를 제1 방향으로 확대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During enlarged display, when the enlarged input is the enlarged input in the first direction, the processor 170 may control to enlarge and display the content list in the first direction.

프로세서(170)는, 재생되는 컨텐츠에 대한 확대 입력에 대응하여, 재생되는 컨텐츠를 확대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재생되는 컨텐츠의 오디오 볼륨을 증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processor 170 may control to enlarge and display the reproduced content and to increase the audio volume of the reproduced content in response to an enlarged input for the reproduced content.

프로세서(170)는, 재생되는 컨텐츠에 대해, 제1 방향 플리킹 입력이 있는 경우, 컨텐츠와 관련된 이미지들을 제1 방향으로 출력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n there is a first direction flicking input for the reproduced content, the processor 170 may control to output and display images related to the content in the first direction.

프로세서(170)는, 컨텐츠와 관련된 이미지 외에, 추가 이미지 삽입 입력이 있는 경우, 추가 이미지를 컨텐츠와 관련된 이미지들 사이에 삽입하고, 컨텐츠와 관련된 이미지들에 대해,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 플리킹 입력이 있는 경우, 추가 이미지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n there is an additional image insertion input in addition to the image related to the content, the processor 170 inserts the additional image between the images related to the content, and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for the images related to the content. When there is a flicking input, it is possible to control to display content including an additional image.

프로세서(170)는, 표시되는 복수의 컨텐츠 항목 중 일부에 대한 병합 입력이 있는 경우, 해당 컨텐츠 항목들을 포함하는 컨텐츠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When there is a merge input for some of the displayed plurality of content items, the processor 170 may generate a content file including the corresponding content items.

디스플레이(18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과 관련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 표시를 위해, 디스플레이(180)는, PDP, LCD, OLED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또는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가 가능할 수 있다.The display 180 may display an image related to an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00. For such image display, the display 180 may be implemented as a PDP, LCD, OLED, or the like, and may be a flexible display or a 3D display.

디스플레이(18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과 관련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 표시를 위해, 디스플레이(180)는, PDP, LCD, OLED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또는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가 가능할 수 있다.The display 180 may display an image related to an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00. For such image display, the display 180 may be implemented as a PDP, LCD, OLED, or the like, and may be a flexible display or a 3D display.

전원 공급부(190)는, 프로세서(170)의 제어에 의해,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프로세서(1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18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85)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supply power required for operation of each component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170. In particular,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processor 170, which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ystem on chip (SOC), the display 180 for displaying an image, and the audio output unit 185 for outputting audio. have.

이를 위해,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80)가 다수의 백라이트 램프를 구비하는 액정패널로서 구현되는 경우, 휘도 가변 또는 디밍(dimming) 구동을 위해, PWM 동작이 가능한 인버터(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To this end,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include a converter (not shown) that converts AC power into DC power. Meanwhile, for example, when the display 180 is implemented as a liquid crystal panel having a plurality of backlight lamps, an inverter (not shown) capable of PWM operation may be further provided for luminance variable or dimming driving. have.

카메라(195)는, 단일 또는 복수의 카메라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195)에서 촬영된 영상은, 프로세서(170)로 전송되며, 프로세서(170)는, 촬영된 영상에 대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각 사용자 확인, 사용자 위치 확인, 제스쳐 인식 등을 수행할 수 있다.The camera 195 may be provided with a single or a plurality of cameras.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195 is transmitted to the processor 170, and the processor 170 performs signal processing on the captured image to perform user identification, user location identification, gesture recognition, etc. have.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TV 수상기, 모니터, 프로젝터, 등이 포함될 수 있다.Meanwhile, the display device 100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include a TV receiver, a monitor, a projector, and the like.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이동 단말기(600)는, 스마트 폰, 음악 재생 장치, 태블릿, 이북, 탭 북 등 이동 가능한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mobile terminal 600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include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a music player, a tablet, an e-book, and a tab book.

한편, 도 2는 저장부(140)가 프로세서(1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140)는 프로세서(170)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Meanwhile, FIG. 2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the storage unit 140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processor 170,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storage unit 140 may be included in the processor 170.

한편,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Meanwhile, a block diagram of the display device 100 shown in FIG. 2 is a block diagram fo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component of the block diagram may be integrated, added, or omitte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display device 100 that is actually implemented. That is, if necessary, two or more components may be combined into a single component, or one component may be subdivided into two or more components and configured. In addition, the functions performed by each block are for explain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pecific operations or devices thereof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4a 내지 도 20c는 도 3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3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4A to 20C are views referenced to explain the operating method of FIG. 3.

도면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제1 사용자의 위치를 연산한다(S310).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processor 170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calculates a location of a first user (S310).

도 1과 같이, 수평으로 놓인 디스플레이(180)의 상부에, 배치되는 카메라(195)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수신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연산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a photographed image may be received through a camera 195 disposed above the display 180 placed horizontally, and the processor 170 of the display device 100 Based on this, the user's location can be calculated.

도 4a와 같이, 수평으로 놓인 디스플레이(180)의 상측에, 제1 사용자(10)가 위치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카메라(195)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통해, 제1 사용자(10)의 위치를 연산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A, when the first user 10 is positioned above the display 180 placed horizontally, the processor 170 of the display device 100 transmits the captured image through the camera 195. Through this, the location of the first user 10 can be calculated.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제1 사용자(10)의 위치 외에, 해당 사용자를 인식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얼굴 인식 알고리즘, 홍채 인식 알고리즘 등을 통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 이미지와 매칭하여,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rocessor 170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recognize the user in addition to the location of the first user 10. For example, a user may be recognized by matching a user image stored in a database through a face recognition algorithm, an iris recognition algorithm, or the like.

다음,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제1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제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S315).Next, the processor 170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displays the first content on the display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first user (S315).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제1 사용자(10) 확인 및 위치 확인 완료 후에, 제1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제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의, 제1 컨텐츠 표시는, 제1 사용자(10) 확인 및 위치 확인 완료 후에, 자동으로 수행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와 달리, 별도의 컨텐츠 표시 입력에 의해,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processor 170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control to display the first content on the display 180 in response to the location of the first user after the first user 10 is checked and the location is completed. At this time, the first content display may be automatically performed after the first user 10 checks and position check is completed. Alternatively, it may be displayed by a separate content display input.

도 4a에서는, 제1 사용자(10)의 위치에 대응하여, 이미지 기반의 제1 컨텐츠(410)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특히, 제1 사용자(10)의 위치에 대응하여, 이미지 기반의 제1 컨텐츠(410)가 180도 회전하여,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의해, 제1 사용자(10)는, 간편하게, 해당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In FIG. 4A, it is illustrated that the image-based first content 410 is display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location of the first user 10. In particular, in response to the location of the first user 10, the image-based first content 410 is rotated 180 degrees and displayed. Accordingly, the first user 10 can conveniently check the corresponding content.

이후, 제1 사용자(10)는, 디스플레이(180)에 대한 터치 입력 등에 의해, 제1 컨텐츠(410)의 이동, 줌인/줌아웃, 병합 등의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Thereafter, the first user 10 may perform various operations such as moving, zooming in/zooming out, merging, etc. of the first content 410 by a touch input to the display 180.

다음,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제2 사용자의 위치를 연산한다(S320).Next, the processor 170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calculates the location of the second user (S320).

제1 사용자(10)만이 디스플레이 장치(100) 앞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사용하고 있다가, 제2 사용자가 나타내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카메라(195)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제2 사용자(20)의 위치를 연산할 수 있다.When only the first user 10 is using the display device 100 in front of the display device 100, and the second user indicates, the processor 170 of the display device 100 may use the camera 195. , Based on the captured image, the location of the second user 20 may be calculated.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제2 사용자(10)의 위치 외에, 해당 사용자를 인식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is case, the processor 170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recognize the user in addition to the location of the second user 10.

한편, 도 4b에서는, 수평으로 놓인 디스플레이(180)의 하측에, 제2 사용자(20)가 위치하는 것을 예시한다. Meanwhile, in FIG. 4B, it is illustrated that the second user 20 is positioned under the display 180 placed horizontally.

다음,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제2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제2 컨텐츠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S325).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제1 컨텐츠의 표시 영역을, 제2 사용자 위치를 고려하여, 가변한다(S330).Next, the processor 170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displays the second content on the display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second user (S325). In this case, the processor 170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changes the display area of the first content in consideration of the location of the second user (S330).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제2 사용자(20) 확인 및 위치 확인 완료 후에, 제2 사용자(20)의 위치에 대응하여, 제2 컨텐츠를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의, 제2 컨텐츠 표시는, 제2 사용자(20) 확인 및 위치 확인 완료 후에, 자동으로 수행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와 달리, 별도의 컨텐츠 표시 입력에 의해,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processor 170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control to display the second content on the display 180 in response to the location of the second user 20 after the second user 20 is checked and the location is completed. I can. At this time, the second content display may be automatically performed after the second user 20 checks and position check is completed. Alternatively, it may be displayed by a separate content display input.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제1 컨텐츠의 표시 영역을, 제2 사용자 위치를 고려하여, 가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제2 컨텐츠의 표시 영역이, 제1 컨텐츠의 표시 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지 않도록, 제1 컨텐츠의 표시 영역의 크기 또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rocessor 170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change the display area of the first content in consideration of the location of the second user. For example, the processor 170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configure at least one of the size or position of the display area of the first content so that the display area of the second content does not overlap at least a portion of the display area of the first content. One can be variable.

도 4b에서는, 제2 사용자(20)의 위치에 대응하여, 이미지 기반의 제2 컨텐츠(418)가 추가로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특히, 수평으로 놓인 디스플레이(180)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2 사용자(20)의 위치에 대응하여, 이미지 기반의 제2 컨텐츠(418)가 다운 스케일링되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특히, 상하로 다운 스케일링되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의해, 제2 사용자(20)는, 간편하게, 해당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In FIG. 4B, it is illustrated that the image-based second content 418 is additionally display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location of the second user 20. In particular, it is illustrated that the image-based second content 418 is down-scaled and displayed in response to the position of the second user 20 positioned under the display 180 placed horizontally. In particular, the display is exemplified by being scaled up and down. Accordingly, the second user 20 can conveniently check the corresponding content.

한편, 제2 컨텐츠(418)의 표시와 함께, 도 4a와 같이 표시되는 제1 컨텐츠(410)는, 그 크기가,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b에서는, 제1 사용자(10)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하로 다운 스케일링된 제1 컨텐츠(415)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의해, 제1 사용자(10)는, 제2 컨텐츠와의 중첩 없이, 제1 컨텐츠(415)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size of the first content 410 displayed as shown in FIG. 4A along with the display of the second content 418 be reduced. In FIG. 4B, it is illustrated that the first content 415 down-scaled up and down is displayed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first user 10. Accordingly, the first user 10 can recognize the first content 415 without overlapping with the second content.

도 5a는 도 4a와 달리, 제1 사용자(10)가, 수평으로 놓인 디스플레이(180)의 좌측에, 위치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도면과 같이, 이미지 기반의 제1 컨텐츠(410)가 좌측으로 90도 회전하여, 표시될 수 있다.5A illustrates that, unlike FIG. 4A, the first user 10 is positioned on the left side of the display 180 placed horizontally. Accordingly, as shown in the drawing, the image-based first content 410 may be rotated 90 degrees to the left and displayed.

도 5b는, 추가로, 제2 사용자(20)가, 수평으로 놓인 디스플레이(180)의 우측에, 위치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도면과 같이, 이미지 기반의 제2 컨텐츠(428)가 좌우로 다운 스케일링되고, 우측으로 90도 회전하여, 제2 사용자(20) 앞에 표시된다. 추가적으로, 도 5a에서 표시되던 제1 컨텐츠(410)는, 좌우로 다운 스케일링되어, 다운 스케일링된 제1 컨텐츠(425)가 제1 사용자(10) 앞에 표시될 수 있다.FIG. 5B further illustrates that the second user 20 is positioned on the right side of the horizontally placed display 180. Accordingly, as shown in the drawing, the image-based second content 428 is downscaled left and right, rotated 90 degrees to the right, and displayed in front of the second user 20. Additionally, the first content 410 displayed in FIG. 5A may be downscaled left and right, and the downscaled first content 425 may be displayed in front of the first user 10.

한편, 프로세서(170)는, 제2 사용자가 이동하는 경우,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제2 컨텐츠의 표시 위치를 가변하며, 표시 위치 가변된 제2 컨텐츠의 표시 영역이, 제1 컨텐츠의 표시 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지 않도록, 제1 컨텐츠의 표시 영역의 크기 또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second user moves, the processor 170 changes the display position of the second conten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 and the display area of the second content whose display position is changed is the display area of the first content. At least one of the size or position of the display area of the first content may be changed so as not to overlap with at least a portion of.

도 5c는, 도 5b와 같이, 수평으로 놓인 디스플레이(18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위치하는 제1 및 제2 사용자(10,20) 중, 제2 사용자가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구체적으로, 우측에서, 하측으로 이동하는것을 예시한다.5C illustrates that the second user moves among the first and second users 10 and 20 respectively position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isplay 180 placed horizontally, as illustrated in FIG. 5B. Specifically, it illustrates moving from the right side to the bottom side.

프로세서(170)는, 카메라(195)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제2 사용자(20)의 이동을 파악하고, 이동된 제2 사용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제2 컨텐츠의 표시 영역의 위치를 가변할 수 있다.The processor 170 determines the movement of the second user 20 based on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195, and the position of the display area of the second content based on the moved position of the second user. Can be changed.

도 5c에서는, 도 5b에서, 디스플레이(180)의 우측에 표시되던 제2 컨텐츠(428)가, 좌측으로 90도 회전하여, 회전된 제2 컨텐츠(515)가 디스플레이(180)의 우하측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제2 사용자는 이동에도 불구하고, 대응하는 컨텐츠를 바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In FIG. 5C, in FIG. 5B, the second content 428 displayed on the right side of the display 180 is rotated 90 degrees to the left, and the rotated second content 515 is displayed on the lower right side of the display 180. Illustrate what is going on. Accordingly, the second user can immediately check the corresponding content despite the movement.

한편, 도 5c에서는, 수평으로 놓인 디스플레이(180)의 좌측에 위치하는 제1 사용자(10)에 대응하여, 제1 컨텐츠(510)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Meanwhile, in FIG. 5C, it is illustrated that the first content 510 is displayed in response to the first user 10 positioned on the left side of the display 180 placed horizontally.

도 5d는, 도 5c에서 더 좌측으로, 제2 사용자(20)가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70)는, 제2 컨텐츠(518)가 좌측으로 이동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FIG. 5D illustrates that the second user 20 moves further to the left in FIG. 5C. Accordingly, the processor 170 may control the second content 518 to be moved and displayed to the left.

이때, 도면과 같이, 제1 컨텐츠(510)와 제2 컨텐츠(518)가 중첩되는 중첩 영역(519)이 발생할 수 있다.In this case, as shown in the drawing, an overlapping area 519 in which the first content 510 and the second content 518 overlap may occur.

프로세서(170)는, 이러한 중첩 영역(519)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1 컨텐츠(510)와 제2 컨텐츠(518) 중 적어도 하나의 크기, 또는 위치 등을 가변할 수 있다. The processor 170 may change the size or location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content 510 and the second content 518 so that the overlapping area 519 does not occur.

예를 들어, 이동 표시되는 제2 컨텐츠(518)에 가중치를 부가하여, 제1 컨텐츠(510)의 크기 또는 위치를 가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역으로, 미리 표시되고 있던, 제1 컨텐츠(510)에 가중치를 부가하여, 제2 컨텐츠(518)의 크기 또는 위치를 가변하는 것이 가능하다.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size or position of the first content 510 by adding a weight to the second content 518 that is displayed to be moved. Or, conversely,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size or position of the second content 518 by adding a weight to the first content 510 that has been displayed in advance.

도 5e는, 제1 컨텐츠(510)의 크기를 가변하는 것을 예시한다. 즉, 도면과 같이, 프로세서(170)는, 제2 사용자(20)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여, 제1 컨텐츠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컨텐츠(511)와 제2 컨텐츠(518)와의 중첩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5E illustrates changing the size of the first content 510. That is, as shown in the drawing, the processor 170 may reduce the size of the firs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econd user 20. Accordingly, overlapping of the first content 511 and the second content 518 does not occur.

도 6a는, 제1 사용자(10)와 제2 사용자(20)가 각각 디스플레이(180)의 상측, 하측에 위치하고, 이에 대응하여, 제1 컨텐츠(415)와 제2 컨텐츠(418)가, 디스플레이(180) 내의 상측, 하측으로 구분되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6A shows that the first user 10 and the second user 20 are positioned above and below the display 180, respectively, and correspondingly, the first content 415 and the second content 418 are displayed. (180) exemplifies that the display i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sides.

도 6b는, 제1 사용자(10)와 제2 사용자(20)가 각각 디스플레이(180)의 상측의 좌측과 우측에 위치하고, 제3 사용자(30)가, 하측에 위치하며, 이에 대응하여, 제1 컨텐츠(611)와 제2 컨텐츠(613)가, 디스플레이(180) 내의 상측 좌, 우에 각각 표시되며, 제3 컨텐츠(617)가 디스플레이(180) 내의 하측에 구분되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6B, the first user 10 and the second user 20 are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side of the display 180, respectively, and the third user 30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and correspondingly, The first content 611 and the second content 613 are displayed on the upp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isplay 180, respectively, and the third content 617 is divided and displayed on the lower side of the display 180.

도 7a는, 제1 사용자(10)와 제2 사용자(20)가 각각 디스플레이(180)의 좌측, 우측에 위치하고, 이에 대응하여, 제1 컨텐츠(425)와 제2 컨텐츠(428)가, 디스플레이(180) 내의 좌측과 우측에 구분되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7A shows that the first user 10 and the second user 20 are position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isplay 180, respectively, and correspondingly, the first content 425 and the second content 428 are displayed. It exemplifies what is displayed separately on the left and right sides in (180).

도 7b는, 제1 사용자(10)가 디스플레이(180)의 좌측에 위치하고, 제2 사용자(20)와 제3 사용자(30)가 디스플레이(180)의 우측의 상, 하측에 각각 위치하며, 이에 대응하여, 제1 컨텐츠(425)가 디스플레이(180) 내의 좌측에 표시되며, 제2 컨텐츠(621)와 제3 컨텐츠(623)가, 디스플레이(180) 내의 우측 상, 하에 각각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7B, the first user 10 i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display 180, the second user 20 and the third user 30 are located above and below the right side of the display 180, respectively. Correspondingly, it exemplifies that the first content 425 is displayed on the left side of the display 180, and the second content 621 and the third content 623 are displayed on the upper and lower right side of the display 180, respectively. .

도 7c는, 제1 내지 제3 사용자(10,20,30)가 디스플레이(180)의 상측에 각각 순차적으로 나란히 위치한 상태에서, 제3 사용자(30)가 제2 사용자(20) 방향으로, 좌측으로 이동할 때, 디스플레이(180)에 나란히 표시되던, 제1 내지 제3 컨텐츠(711,713,717)들 중 제2 컨텐츠(713)와 제3 컨텐츠(717) 사이에, 중첩 영역(718)이 발생하는 것을 예시한다.7C is a state in which the first to third users 10, 20, and 30 are sequentially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display 180, and the third user 30 is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user 20, and When moving to, an overlapping region 718 occurs between the second content 713 and the third content 717 among the first to third contents 711, 713, and 717 displayed side by side on the display 180 do.

프로세서(170)는, 이러한 중첩 영역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2 컨텐츠(713)의 크기 또는 표시 위치를 가변하거나, 제3 컨텐츠(717)의 크기를 가변할 수 있다.The processor 170 may change the size or display position of the second content 713 or change the size of the third content 717 so that such an overlapping area does not occur.

예를 들어, 제2 컨텐츠(713)의 표시 위치를 도 7c 보다 조금 더 좌측으로 이동시키거나, 그 크기가 작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3 컨텐츠(717)의 크기가 작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display position of the second content 713 may be moved slightly more to the left than in FIG. 7C, or the size thereof may be controlled to decrease. As another example, the size of the third content 717 may be controlled to decrease.

한편, 프로세서(170)는, 제1 컨텐츠의 이동 입력이 있는 경우, 제1 컨텐츠 또는 제1 컨텐츠 내의 일부를, 제2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이동시키고, 이동된 제1 컨텐츠 또는 제1 컨텐츠 내의 일부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re is a movement input of the first content, the processor 170 moves the first content or a part of the firs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second user, and moves the first content or the first content. A part of the inside can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도 8a는, 제1 사용자(10)가 디스플레이(180)의 좌측에 위치하고, 제2 사용자(20)가 디스플레이(180)의 우상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1 사용자(10)가 오른손(11)을 이용하여, 표시되고 이던 제1 컨텐츠(810)에 대한 우측 이동 입력을 취한 경우, 제1 컨텐츠가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즉, 디스플레이(180)의 우상측에, 이동된 제1 컨텐츠(811)가 표시될 수 있다. FIG. 8A shows,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user 10 i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display 180 and the second user 20 is located on the upper right side of the display 180, the first user 10 is the right hand 11 Using, when a right movement input for the displayed first content 810 is taken, the first content is moved. That is, the moved first content 811 may be displayed on the upper right side of the display 180.

이때의 우측 이동 입력은, 디스플레이(180) 터치 기반의 우측 드래그 입력 또는 우측 플릭킹 입력일 수 있다. 또는 제스쳐 기반의 우측 이동 입력일 수도 있다.The right movement input at this time may be a right drag input or a right flicking input based on a touch of the display 180. Alternatively, it may be a gesture-based right movement input.

한편, 프로세서(170)는, 제1 컨텐츠에 대한 미니 맵 표시 입력이 있는 경우, 미니 맵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미니 맵 내의 일부 영역에 대한 이동 입력이 있는 경우,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제1 컨텐츠 내의 일부를, 이동시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the processor 170 controls to display the mini map on the display when there is a mini map display input for the first content, and when there is a movement input for a partial area in the mini map, the processor 170 A part of the first content can be controlled to be moved and displayed.

또한, 프로세서(170)는, 미니 맵에 대한 줌 입력이 있는 경우, 미니 맵을 줌 인 또는 줌 아웃 하고, 줌인 또는 줌 아웃된 미니 맵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re is a zoom input for the mini-map, the processor 170 may control to zoom in or out of the mini-map and display the zoomed-in or zoomed out mini-map.

도 9a는, 디스플레이(180)의 좌측, 우측에 각각 제1 및 제2 사용자(10,20)가 위치함에 따라, 대응하는 제1 컨텐츠(911)와 제2 컨텐츠(913)가 각각 구분되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9A shows, as the first and second users 10 and 20 are position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isplay 180, respectively, corresponding first content 911 and second content 913 are separately displayed. Illustrate what is going on.

이때, 프로세서는, 제1 컨텐츠에 대한 미니 맵 표시 입력이 있는 경우, 제1 컨텐츠(911)에 대한 미니 맵(mini map)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re is a mini map display input for the first content, the processor may control to display a mini map for the first content 911.

도면에서는, 제1 사용자(10)가, 양손을 디스플레이(180)에 접촉하는 경우, 구체적으로, 내려치는 경우, 도 9a의 (b)와 같이, 미니맵(912)이 제1 컨텐츠(911)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제1 컨텐츠(911)와 이격되어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drawing, when the first user 10 contacts the display 180 with both hands, specifically, when they strike, the minimap 912 is the first content 911 as shown in FIG. 9A(b). Can be displayed on Alternatively, it may be displayed apart from the first content 911.

이러한 미니 맵(921)은, 제1 컨텐츠(911) 보다 그 크기가 작으며, 사용자가 조작 가능하도록, 사용자 손 위치에 대응하여, 표시될 수 있다.The mini map 921 is smaller in size than the first content 911 and may be display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user's hand position so that the user can manipulate it.

한편, 제1 사용자(10)의 미니 맵(912)에 대한 터치 입력 또는 제스쳐 입력이 있는 경우, 프로세서(170)는, 미니 맵(912)이 줌 인 또는 줌 아웃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re is a touch input or gesture input for the mini map 912 of the first user 10, the processor 170 may control the mini map 912 to zoom in or zoom out.

도 9b는, 미니 맵의 줌 인 입력에 의해, 확대된 미니맵(914)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면에서는 확대된 미니맵(914)이 텍스트 영역과 이미지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한다. 9B illustrates that an enlarged mini-map 914 is displayed by a zoom-in input of the mini-map. In the drawing, it is illustrated that the enlarged minimap 914 includes a text area and an image area.

도 9c는, 확대된 미니맵(914) 내의 특정 영역을 제1 사용자가 선택하고, 그에 대한 이동 입력을 취하는 경우, 특정 영역이, 이동하여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9C illustrates that when a first user selects a specific area in the enlarged minimap 914 and takes a movement input thereto, the specific area is moved and displayed.

구체적으로, 제1 사용자(10)가 확대된 미니맵(914) 내의 이미지 영역(931)이 선택되고, 선택된 이미지 영역(931)에 대한 우측 이동 입력이 있는 경우, 프로세서(170)는, 제2 사용자(20)에 대응하는 위치에 이동된 이미지(933)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사용자가 공유하길 원하는 이미지 영역, 즉 컨텐츠 부분이, 제2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image area 931 in the minimap 914 in which the first user 10 is enlarged is selected and there is a right movement input for the selected image area 931, the processor 170 It is possible to control to display the moved image 933 at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20. Accordingly, an image area that the first user wants to share, that is, a content portion, can be delivered to the second user, thereby increasing user convenience.

한편, 컨텐츠 이동시, 영역 별로, 그 이동 속도가 다른 것도 가능하다. 프로세서(170)는, 이미지 영역(931)에 대한 우측 이동 입력이 있는 경우, 제1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1 영역(911) 내에서는, 이동 속도가 빠르도록 설정하고, 제2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2 영역(913) 내에서는, 이동 속도가 작아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설정에 의해, 제2 사용자가 이동되는 컨텐츠를 쥐는 그랩(grab) 입력을 취하는 경우, 사용자 친화적인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moving the content, it is possible that the moving speed is different for each area. When there is a right movement input for the image area 931, the processor 170 sets the movement speed to be high in the first area 911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first user, and sets the location of the second user. In the second region 913 corresponding to, it can be set so that the moving speed becomes small. With this setting, when the second user takes a grab input for holding the moving content, it is possible to configure a user-friendly user interface.

프로세서(170)는, 제1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복수의 제1 컨텐츠들 중 적어도 두 개에 대한, 병합 입력이 있는 경우, 해당하는 제1 컨텐츠들을 병합하고, 병합된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n there is a merge input for at least two of the plurality of first contents displayed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first user, the processor 170 merges the corresponding first contents and displays the merged contents. Can be controlled.

도 10a는, 제1 사용자(10)의 위치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복수의 컨텐츠들(1011,1012)에 대해, 제1 사용자(10)가 병합 입력을 취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러한 경우, 프로세서(170)는, 복수의 컨텐츠들(1011,1012)을 병합할 수 있다. 즉, 서로 이격되어 표시되는 복수의 컨텐츠들(1011,1012)을, 하나의 컨텐츠로 통합할 수 있다.10A illustrates that the first user 10 takes a merge input for a plurality of contents 1011 and 1012 displayed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first user 10. In this case, the processor 170 may merge a plurality of contents 1011 and 1012. That is, a plurality of contents 1011 and 1012 display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may be combined into one content.

도 10b는, 하나의 컨텐츠로 통합된, 통합 컨텐츠(1013)가 서로 포개져서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그리고, 소정 시간 이후, 다시, 서로 포개진 통합 컨텐츠는, 하나의 파일로서, 병합되게 된다.FIG. 10B illustrates that the integrated content 1013, which is integrated into one content, is displayed on top of each other. Then, after a predetermined time, the combined contents overlapped with each other are merged as one file.

도 10c는, 하나의 파일, 또는 하나의 페이지로서 병합된, 병합 컨텐츠(1014)를 예시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컨텐츠들을 병합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10C illustrates merged content 1014, merged as one file or one page. Accordingly, the user can merge the contents and manage them efficiently.

한편, 서로 병합되는 컨텐츠들이 서로 다른 경우에는, 도 10a 내지 도 10c와 같이, 하나의 파일 또는 하나의 페이지로서 병합되지만, 동일한 컨텐츠인 경우에는, 병합되지 않을 수도 있다.Meanwhile, when the contents to be merged with each other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s shown in FIGS. 10A to 10C, they are merged as one file or one page, but in the case of the same content, they may not be merged.

도 11a는, 도 10a와 동일하게, 제1 사용자(10)의 위치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복수의 컨텐츠들(1011,1012)에 대해, 제1 사용자(10)가 병합 입력을 취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러한 경우, 프로세서(170)는, 복수의 컨텐츠들(1011,1012)을 병합할 수 있다. 즉, 서로 이격되어 표시되는 복수의 컨텐츠들(1011,1012)을, 하나의 컨텐츠로 통합할 수 있다.FIG. 11A illustrates that the first user 10 takes a merge input for a plurality of contents 1011 and 1012 displayed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first user 10, similar to FIG. 10A. In this case, the processor 170 may merge a plurality of contents 1011 and 1012. That is, a plurality of contents 1011 and 1012 display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may be combined into one content.

도 11b는, 하나의 컨텐츠로 통합된, 통합 컨텐츠(1016)가 서로 포개져서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FIG. 11B illustrates that the integrated content 1016, which is integrated into one content, is superimposed on each other and displayed.

도 11c는, 동일한 컨텐츠에 대해, 하나의 파일, 또는 하나의 페이지로서 병합되는 것이 아닌, 어느 하나의 컨텐츠(1011)만 남고 다른 컨텐츠(1012)의 표시는 사라지는 것을 예시한다.11C illustrates that the same content is not merged as one file or one page, but only one content 1011 remains and the display of the other content 1012 disappears.

프로세서(170)는, 제2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제1 컨텐츠의 사본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제2 사용자의 편집 입력에 따라, 제1 컨텐츠의 사본을 편집할 수 있다.The processor 170 controls to display a copy of the first content on the display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second user, and may edit the copy of the first content according to the editing input of the second user.

프로세서(170)는, 편집된 제1 컨텐츠의 사본 또는 편집된 제1 컨텐츠의 사본의 사본을, 제1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편집 중인 제1 컨텐츠의 사본 또는 편집 중인 제1 컨텐츠의 사본의 사본은, 제1 사용자에 의해 편집 불가능한 것일 수 있다.The processor 170 may control to display a copy of the edited first content or a copy of the edited firs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first user. A copy of the first content being edited or a copy of the first content being edited may not be editable by the first user.

도 12a는, 디스플레이(180)의 좌측, 우측에 각각 위치하는 제1 및 제2 사용자(10,20)에 대응하여, 제1 컨텐츠(1211)와, 제1 컨텐츠의 사본(1213)이 각각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12A shows a first content 1211 and a copy 1213 of the first content,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users 10 and 20 position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isplay 180, respectively. Illustrate what is going on.

특히, 제2 사용자(20) 앞에 표시되는 제1 컨텐츠의 사본(1213)은, 상술한 도 9a 내지 도 9c와 유사하게, 컨텐츠 이동 입력에 의해, 이동 표시되거나, 제2 사용자의 컨텐츠 편집 입력에 의해,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In particular, the copy 1213 of the first content displayed in front of the second user 20 is displayed as a movement by the content movement input, or in response to the content editing input of the second user, similar to the above-described FIGS. 9A to 9C. By, it may be displayed.

컨텐츠 편집을 위해, 제2 사용자(20)는, 제1 컨텐츠의 사본을 줌인시킬 수 있으며, 도 12a에서는, 제1 컨텐츠(1211) 보다, 제1 컨텐츠의 사본(1213)이 더 큰 것을 예시한다.For content editing, the second user 20 may zoom in a copy of the first content, and in FIG. 12A, it is illustrated that the copy 1213 of the first content is larger than the first content 1211. .

한편, 제2 사용자(20)의 편집 입력에 의해, 추가 내용이, 제1 컨텐츠의 사본(1213) 내에 추가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텍스트 기반의 추가 내용(1219)이, 제1 컨텐츠의 사본(1213) 내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하나, 이미지, 오디오, 웹 주소 등 다양한 형식의 데이터가, 추가되는 것이 가능하다.Meanwhile, additional content may be added in the copy 1213 of the first content by the editing input of the second user 20. In the drawing, although the text-based additional content 1219 is displayed in the copy 1213 of the first content, it is possible to add data in various formats such as images, audios, and web addresses.

한편, 제2 사용자의 편집 내용 확인을 위해, 프로세서(170)는, 편집 중인 또는 편집 완료된, 제1 컨텐츠의 사본 또는 제1 컨텐츠의 사본의 사본을, 제1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Meanwhile, in order to confirm the edited content of the second user, the processor 170 may display a copy of the first content or a copy of the first content, which is being edited or edi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location of the first user. Can be controlled.

도 12b는, 편집 중인 제1 컨텐츠의 사본의 사본(1217)을, 제1 컨텐츠(1211) 옆에 나란히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12B illustrates that a copy 1217 of a copy of the first content being edited is displayed side by side next to the first content 1211.

이때, 제1 컨텐츠의 사본의 사본(1217)은, 편집 불가능할 수 있으며, 이를 나타내는 잠금 오브젝트 등이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제2 사용자의 편집이 완료된 이후에는, 제1 컨텐츠의 사본의 사본(1217)에 대한 편집이 가능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py 1217 of the copy of the first content may not be editable, and a lock object indicating this may be displayed. Meanwhile, after the editing of the second user is completed, the copy 1217 of the copy of the first content may be edited.

이에 의해, 제1 사용자는, 편집 중인 내용 또는 편집 완료된 내용을 간단히 파악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first user can easily grasp the content being edited or the content being edited.

편집 완료된 이후, 제1 컨텐츠(1211)와 제1 컨텐츠의 사본의 사본(1217)에 대한 병합도 가능하다. 즉, 도 10a 내지 도 10c와 같이, 병합 입력이 있는 경우, 변경된 부분이 있는, 제1 컨텐츠의 사본의 사본(1217)만이 남고, 제1 컨텐츠(1211)는 사라질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업데이트된 제1 컨텐츠(1211)를 저장 또는 표시할 수 있게 된다.After editing is completed, the first content 1211 and the copy 1217 of the copy of the first content may be merged. That is, as shown in FIGS. 10A to 10C, when there is a merge input, only a copy 1217 of a copy of the first content with a changed portion remains, and the first content 1211 may disappear. Accordingly, the updated first content 1211 may be stored or displayed.

한편, 제1 및 제2 사용자의 위치는, 카메라(195) 외에, 각 사용자가 사용하는 이동 단말기를 통해, 파악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the loc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users may be identified through a mobile terminal used by each user in addition to the camera 195.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이동 단말기와의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부(150)가 있는 경우, 특히, 센서부(150)가, 압력 방식의 터치 센서를 구비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이동 단말기에 의한 압력을 감지하여, 각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For example, when the display device 100 includes a sensor unit 150 that detects a contact with a mobile terminal, in particular, when the sensor unit 150 includes a pressure-type touch sensor, the display device 100 ) Of the processor 170, by detecting the pressure by the mobile terminal,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each user.

다른 예로, 센서부(150)가,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를 구비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이동 단말기에 의한 정전 용량 가변을 감지하여, 각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As another example, when the sensor unit 150 includes a capacitive touch sensor, the processor 170 of the display device 100 detects a change in capacitance by the mobile terminal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each user. It is possible to do.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사용자 위치 파악 이후, 각 이동 단말기와의 페어링을 수행하여, 통신부(120)를 통해, 이동 단말기의 기기 정보 또는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를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170 of the display device 100 performs pairing with each mobile terminal after determining the user location, and receives device information or user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20, and Based on the information, the user can be identified.

또는, 각 이동 단말기가 소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통신부(120)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기기 정보, 사용자 정보 등을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 등에 기초하여, 사용자 확인 및 위치를 파악할 수도 있다. 한편, 소정 거리 이내로 접근할 때의 데이터 교환 방식은, NFC 방식일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each mobile terminal approache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processor 170 of the display device 100 receives device information, user information, etc.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20, and Based on information and the like, it is also possible to identify the user and determine the location. Meanwhile, the data exchange method when approaching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may be an NFC method.

이하에서는, 센서부(150)에 의해, 이동 단말기의 접촉을 감지하고, 통신부(120)를 통해, 이동 단말기의 기기 정보 또는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를 확인하는 내용을 기반으로 다른 실시예들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ensor unit 150 detects a contact of the mobile terminal, receives device information or user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20, and identifies the user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Oth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content.

도 13a 내지 도 18b는 상술한, 센서부(150), 및 통신부(120)를 활용한, 사용자 위치 인식 및 사용자 확인을 수행하는 것을 예시한다.13A to 18B illustrate performing the user location recognition and user verification using the sensor unit 150 and the communication unit 120 described above.

먼저, 도 13a는 제1 사용자(10)가 자신의 이동 단말기(600a)를 수평으로 놓인 디스플레이(180)의 상측에, 놓아두는 것을 예시한다.First, FIG. 13A illustrates that the first user 10 places his or her mobile terminal 600a on the upper side of the display 180 placed horizontally.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센서부(150)를 통해, 제1 이동 단말기(600a)의 위치를 연산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제1 사용자의 위치를 추정(연산)할 수 있다. The processor 170 of the display device 100 may calculate the position of the first mobile terminal 600a through the sensor unit 150, and based on this, estimate (calculate) the position of the first user. I can.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통신부(120)를 통해, 제1 이동 단말기(600a)와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신되는 기기 정보 또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가 사용하는, 제1 이동 단말기(600a)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Meanwhile, the processor 170 of the display device 100 may perform pairing with the first mobile terminal 600a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20, and accordingly, based on the received device information or user information, 1 It can be seen that it is the first mobile terminal 600a used by the user.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제1 사용자(10)의 위치에 대응하여, 이미지 기반의 제1 컨텐츠(410)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processor 170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control the image-based first content 410 to be displayed in response to the location of the first user 10.

이때의 제1 컨텐츠(410)는, 제1 이동 단말기(600a) 내에 저장된 컨텐츠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장 최신 재생한 컨텐츠이거나, 가장 좋아하는 컨텐츠이거나, 사용자 설정에 의해 설정된 컨텐츠일 수 있다.The first content 410 at this time may be any one of the content stored in the first mobile terminal 600a. For example, it may be the most recently played content, the most favorite content, or the content set by user settings.

한편, 도 13b에서는, 제1 이동 단말기(600a)가 디스플레이(180)의 상측에 놓인 상태에서, 새롭게, 제2 사용자(20)의 제2 이동 단말기(600b)가 디스플레이(180)의 하측에 놓인 것을 예시한다.Meanwhile, in FIG. 13B, while the first mobile terminal 600a is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display 180, the second mobile terminal 600b of the second user 20 is newly placed on the lower side of the display 180. Illustrate that.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센서부(150)를 통해, 제2 이동 단말기(600b)의 위치를 연산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제2 사용자의 위치를 추정(연산)할 수 있다. The processor 170 of the display device 100 may calculate the position of the second mobile terminal 600b through the sensor unit 150, and based on this, estimate (calculate) the position of the second user. I can.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통신부(120)를 통해, 제2 이동 단말기(600b)와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신되는 기기 정보 또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사용자가 사용하는, 제2 이동 단말기(600b)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Meanwhile, the processor 170 of the display device 100 may perform pairing with the second mobile terminal 600b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20, and accordingly, based on the received device information or user information, 2 It can be seen that it is the second mobile terminal 600b used by the user.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제2 사용자(20)의 위치에 대응하여, 이미지 기반의 제2 컨텐츠(418)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processor 170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control the image-based second content 418 to be displayed in response to the location of the second user 20.

이때의 제1 컨텐츠(410)는, 제1 이동 단말기(600a) 내에 저장된 컨텐츠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장 최신 재생한 컨텐츠이거나, 가장 좋아하는 컨텐츠이거나, 사용자 설정에 의해 설정된 컨텐츠일 수 있다.The first content 410 at this time may be any one of the content stored in the first mobile terminal 600a. For example, it may be the most recently played content, the most favorite content, or the content set by user settings.

한편, 제2 컨텐츠(418)의 표시와 함께, 도 13a와 같이 표시되는 제1 컨텐츠(410)는, 그 크기가,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b에서는, 제1 사용자(10)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하로 다운 스케일링된 제1 컨텐츠(415)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의해, 제1 사용자(10)는, 제2 컨텐츠와의 중첩 없이, 제1 컨텐츠(415)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size of the first content 410 displayed as shown in FIG. 13A becomes smaller in addition to the display of the second content 418. In FIG. 13B, it is illustrated that the first content 415 down-scaled up and down is displayed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first user 10. Accordingly, the first user 10 can recognize the first content 415 without overlapping with the second content.

한편, 도 14a 내지 도 14e는, 각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에 의해, 사용자 확인 및 위치 확인이 수행되는 것 외에는, 도 5a 내지 도 5e와, 그 동작이 동일하다. 이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한다.Meanwhile, FIGS. 14A to 14E have the same operation as those of FIGS. 5A to 5E except that user verification and location verification are performed by each user's mobile terminal. Accordingly, the description is omitted.

유사하게, 도 15a 내지 도 15b는, 도 6a 내지 도 6b에 대응하며, 도 16a 내지 도 16c는, 도 7a 내지 도 7c에 대응하며, 도 17a 내지 도 17b는, 도 8a 내지 도 8b에 대응하며, 도 18a 내지 도 18b는, 도 12a 내지 도 12b에 대응한다.Similarly, FIGS. 15A to 15B correspond to FIGS. 6A to 6B, FIGS. 16A to 16C correspond to FIGS. 7A to 7C, and FIGS. 17A to 17B correspond to FIGS. 8A to 8B, and 18A to 18B correspond to FIGS. 12A to 12B.

한편,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 9a 내지 도 11c의 동작에 대응하는 동작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FIGS. 9A to 11C may be performed.

한편, 상술한 도 13a 내지 도 18b의,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 확인 이후, 컨텐츠 표시시, 프로세서(170)는, 이동 단말기의 외형 크기에 비례하여, 컨텐츠 표시 영역을 가변할 수도 있다.Meanwhile, in the above-described FIGS. 13A to 18B, when content is displayed after user confirmation using a mobile terminal, the processor 170 may change the content display area in proportion to the external size of the mobile terminal.

또는, 프로세서(170)는, 이동 단말기 내에 저장된 컨텐츠 데이터의 양에 따라, 또는 표시할 컨텐츠 데이터의 해상도에 비례하여, 컨텐츠 표시 영역을 가변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직관적으로, 이동 단말기 내의 컨텐츠 데이터 양 등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Alternatively, the processor 170 may change the content display area according to the amount of content data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or in proportion to the resolution of the content data to be display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ntuitively recognize the amount of content data in the mobile terminal.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선세부(150)는, 이동 단말기의 제1 면과 제2 면을 구분하여 센싱하는 것도 가능하다. Meanwhile, the pre-detail part 150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separate and sense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터치 스크린이 배치된 이동 단말기의 앞면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접촉하는 경우와, 이동 단말기의 뒷면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접촉하는 경우, 서로 다른 정전 용량의 변화를 이용하여, 이를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앞면과 뒷면에 대응하는, 서로 다른 컨테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processor 170, when the front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on which the touch screen is in contact with the display device 100, and when the back of the mobile terminal contacts the display device 100, different This can be distinguished by using the change in capacitance. In addition, the processor 170 may control to display different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도 19a는, 복수의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 주변에 위치한 상태에서, 각 사용자 별 사용자 영역이 지정된 것을 예시한다.19A illustrates that, while a plurality of users are positioned around the display 180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a user area for each user is designated.

특히, 각 사용자(10,20,30,40,50) 별 이동 단말기들(600a,600b,600c,600d,600e)가 디스플레이(180) 상에 위치하고, 그에 따라, 각 사용자 영역들(Ar1,Ar2,Ar3,Ar4,Ar5)이 설정되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In particular, mobile terminals 600a, 600b, 600c, 600d, 600e for each user 10, 20, 30, 40, 50 are located on the display 180, and accordingly, the respective user areas Ar1 and Ar2 ,Ar3,Ar4,Ar5) is set and displayed.

한편, 프로세서(170)는, 사용자 영역 생성시, 사용자(10,20,30,40,50)들이, 각 사용자 기준으로 이동 단말기들(600a,600b,600c,600d,600e)을 어느 위치에 놓느냐에 따라, 그 크기, 형상, 색상 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다르게 생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ocessor 170, when creating a user area, the users (10, 20, 30, 40, 50) to place the mobile terminals (600a, 600b, 600c, 600d, 600e) on a per user basis. Depending on whether or not, at least one of the size, shape, and color may be differently generated.

도면에서는, 제1 사용자(10) 기준으로, 왼쪽에, 이동 단말기(600a)를 디스플레이(180)에 올려놓았을 경우, 이동 단말기(600a)를 기준으로 오른쪽에 치우치게 제1 사용자 영역(Ar1)이 생성되는 것을 예시한다.In the drawing, when the mobile terminal 600a is placed on the display 180 on the left side based on the first user 10, the first user area Ar1 is biased to the right side based on the mobile terminal 600a. Illustrate what is created.

도면에서는, 제2 사용자(20) 기준으로, 오른쪽에, 이동 단말기(600b)를 디스플레이(180)에 올려놓았을 경우, 이동 단말기(600b)를 기준으로 왼쪽에 치우치게 제2 사용자 영역(Ar2)이 생성되는 것을 예시하며, 제3 사용자(30) 기준으로, 위쪽 방향에 이동 단말기(600c)를 디스플레이(180)에 올려놓았을 경우, 이동 단말기(600c)를 기준으로 아래쪽에 제3 사용자 영역(Ar3)이 설정되는 것을 예시하며, 제4 사용자(40) 기준으로, 아래쪽 방향에, 이동 단말기(600d)를 디스플레이(180)에 올려놓았을 경우, 이동 단말기(600d)를 기준으로 위쪽에 제1 사용자 영역(Ar1)이 설정되는 것을 예시하며, 제5 사용자(50) 기준으로, 가운데에, 이동 단말기(600e)를 디스플레이(180)에 올려놓았을 경우, 이동 단말기(600e)를 기준으로 양쪽으로 제5 사용자 영역(Ar5)이 설정되는 것을 예시한다.In the drawing, when the mobile terminal 600b is placed on the display 180 on the right side based on the second user 20, the second user area Ar2 is biased to the left side based on the mobile terminal 600b. It is illustrated that it is generated, and when the mobile terminal 600c is placed on the display 180 in the upward direction based on the third user 30, the third user area Ar3 is placed below the mobile terminal 600c. ) Is set, and when the mobile terminal 600d is placed on the display 180 in the downward direction based on the fourth user 40, the first user in the upper part based on the mobile terminal 600d It exemplifies that the area Ar1 is set, and when the mobile terminal 600e is placed on the display 180 in the center, based on the fifth user 50, it is divided in both directions based on the mobile terminal 600e. 5 exemplifies that the user area Ar5 is set.

한편, 프로세서(170)는, 각 사용자를 기준으로 사용자 영역 내에서, 사용하기 좋도록 컨텐츠 항목을 배치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rocessor 170 may arrange content items so that it is easy to use within a user area based on each user.

프로세서(170)는,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들(600a,600b,600c,600d,600e)이 디스플레이(180)에 놓이는 경우, 센서부(150)를 통해 이를 감지할 수 있으며, 통신부(120)를 통해, 이동 단말기(600)와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되는 기기 정보 또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확인 등을 확인할 수 있다.When the user's mobile terminals 600a, 600b, 600c, 600d, and 600e are placed on the display 180, the processor 170 may detect it through the sensor unit 150, an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20 , Pairing with the mobile terminal 600 may be performed. And, based on the received device information or user information, user confirmation may be checked.

프로세서(170)는,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600)에 대한 확인 이후, 해당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대응하는 사용자 영역들(Ar1,Ar2,Ar3,Ar4,Ar5)을 설정할 수 있다. After confirming the user's mobile terminal 600, the processor 170 may set user areas Ar1, Ar2, Ar3, Ar4, and Ar5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프로세서(170)는,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600)에 대한 확인 이후, 이동 단말기(6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의 데이터 공유 여부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170 may control to display an object indicating whether data is shared between the mobile terminal 600 and the display device 100 after the user confirms the mobile terminal 600.

이러한 오브젝트는, 각 사용자 영역들(Ar1,Ar2,Ar3,Ar4,Ar5) 내에 각각 표시될 수 있다. 해당 사용자가, 데이터 공유 항목을 선택하는 경우, 프로세서(170)는, 이동 단말기(600)와 데이터 공유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되는 데이터를, 해당 사용자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se objects may be displayed in each of the user areas Ar1, Ar2, Ar3, Ar4, and Ar5, respectively. When a corresponding user selects a data sharing item, the processor 170 may control to perform data sharing with the mobile terminal 600.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control to receive data from the mobile terminal 600 and display the received data in a corresponding user area.

한편, 프로세서(170)는, 표시되는 사용자 영역의 크기가, 디폴트로 설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the processor 170 may control the size of the displayed user area to be set as a default.

또는, 프로세서(170)는, 표시되는 사용자 영역의 크기가, 사용자 입력에 의해 가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processor 170 may control the size of the displayed user area to be varied according to a user input.

예를 들어, OSD 메뉴 등을 통해, 사용자 영역의 크기를 조절허가너, 영역의 경계를 터치 앤 드래그 하여, 사용자 영역의 크기를 줄이거나 늘리거나 할 수 있다. 그리고, 대각선 방향으로 늘리거나 줄이는 경우, 사용자 영역의 크기 전체가 커지거나 작아질 수 있으며, 수평 방향으로 늘리거나 줄이는 경우, 사용자 영역의 수평 방향으로만 그 크기가 커지거나 작아질 수 있다. 일 방향으로 늘리거나 줄이는 경우, 이하의 도 25a 내지 도 25b와 같이, 사용자 영역 내의 컨텐츠 항목들의 배치가 가변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size of the user area may be adjusted through an OSD menu, and the size of the user area may be reduced or increased by touching and dragging the border of the area. In addition, when increasing or decreasing in a diagonal direction, the entire size of the user area may increase or decrease. When increasing or decreas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 size may increase or decrease on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user area. When increasing or decreasing in one direction, the arrangement of content items in the user area may vary as shown in FIGS. 25A to 25B below.

도 19b는, 제1 사용자(10)의 제1 사용자 영역(Ar1)에 대한 가변 입력에 대응하여, 제1 사용자 영역(Ar1)의 크기가 가변하는 것을 예시한다.19B illustrates that the size of the first user area Ar1 varies in response to a variable input to the first user area Ar1 by the first user 10.

특히, 제1 사용자(10)가 양손을 이용하여, 제1 사용자 영역(Ar1)의 대각선을 늘리거나 줄이는 경우, 제1 사용자 영역(Ar1)의 크기가, 커지거나 작아질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first user 10 uses both hands to increase or decrease the diagonal of the first user area Ar1, the size of the first user area Ar1 may increase or decrease.

한편 프로세서(170)는, 이동 단말기(6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데이터 공유되는 경우, 설정된 사용자 영역 내에, 사용자와 관련한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mobile terminal 600 and the display device 100 share data, the processor 170 may control to display content related to the user within a set user area.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600)에 표시되는 화면 전체가, 디스플레이(180)의 사용자 영역 내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entire screen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600 may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in the user area of the display 180.

다른 예로, 이동 단말기(600)에 표시되는 화면 내에 선택된 컨텐츠 항목이, 디스플레이(180)의 사용자 영역 내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content item selected in the screen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600 may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in the user area of the display 180.

도 19c는, 제1 사용자(10)의 제1 사용자 영역(Ar1)에, 이동 단말기(600a)의 화면 내의 컨텐츠들이 그대로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19C illustrates that contents within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600a are displayed as they are in the first user area Ar1 of the first user 10.

데이터 공유가 설정된 이후, 이동 단말기(600a)에 대한 터치 입력 또는 플릭킹 입력이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이동 단말기(600a)로부터 이동 단말기(600a)에 표시되는 화면(1905) 전체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170)는, 이를, 제1 사용자(10)의 제1 사용자 영역(Ar1)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fter data sharing is set, when there is a touch input or flicking input to the mobile terminal 600a, the display device 100 displays the entire screen 1905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600a from the mobile terminal 600a. For example, data may be received, and the processor 170 may control it to be displayed in the first user area Ar1 of the first user 10.

이때, 표시되는 각 컨텐츠 항목들 및 이를 포함하는 화면(1910)의 크기는, 이동 단말기(600a)에 표시되는 컨텐츠 항목들 및 이를 포함하는 화면(1905)의 크기 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제1 사용자(10)는, 간단하게, 이동 단말기(600a) 내의 컨텐츠 항목들을 확인, 및 공유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the size of each displayed content item and the screen 1910 including the same is preferably larger than the size of the content items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600a and the screen 1905 including the same. Accordingly, the first user 10 can simply check and share content items in the mobile terminal 600a.

다음, 도 19d는, 제1 사용자(10)의 제1 사용자 영역(Ar1)에, 이동 단말기(600a)의 화면 중 선택된 컨텐츠 항목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Next, FIG. 19D illustrates that a selected content item from among the screens of the mobile terminal 600a is displayed in the first user area Ar1 of the first user 10.

데이터 공유가 설정된 이후, 이동 단말기(600a)에 표시되는 화면(1905) 중 특정 컨텐츠 항목(1908)에 대한 터치 입력 또는 플릭킹 입력이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이동 단말기(600a)로부터 선택된 컨텐츠 항목(1906)과 관련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170)는, 이를, 제1 사용자(10)의 제1 사용자 영역(Ar1)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fter data sharing is set, when there is a touch input or a flicking input for a specific content item 1908 among the screens 1905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600a, the display device 100, from the mobile terminal 600a Data related to the selected content item 1906 may be received, and the processor 170 may control the data to be displayed in the first user area Ar1 of the first user 10.

이때 표시되는 특정 컨텐츠 항목(1918)의 크기는, 이동 단말기(600a)에 표시되는 컨텐츠 항목(1908)의 크기 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제1 사용자(10)는, 간단하게, 이동 단말기(600a) 내의 컨텐츠 항목들을 확인, 및 공유할 수 있게 된다.The size of the specific content item 1918 displayed at this time is preferably larger than the size of the content item 1908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600a. Accordingly, the first user 10 can simply check and share content items in the mobile terminal 600a.

한편, 이동 단말기(600a)에 표시되는 화면(1905) 중 특정 컨텐츠 항목(1908)에 대한 터치 입력 또는 플릭킹 입력이 있는 경우, 해당 컨텐츠 항목(1908)은, 테두리 색상이 변한다던지 하여, 하이라이트 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re is a touch input or flicking input for a specific content item 1908 among the screen 1905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600a, the corresponding content item 1908 is to be highlighted by changing the border color. May be.

한편, 이동 단말기(600a)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사이에, 데이터 공유 모드시, 이동 단말기(600a)에 대한 터치 입력 또는 플릭킹 입력은, 이동 단말기(600a)에 대한 제어 입력이 아닌,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한 제어 입력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600a)의 제어부는, 데이터 공유 모드시, 이동 단말기(600a)에 대한 터치 입력 또는 플릭킹 입력을 무시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터치 입력 또는 플릭킹 입력을 전송할 수 있다.Meanwhile, between the mobile terminal 600a and the display device 100, in the data sharing mode, a touch input or a flicking input to the mobile terminal 600a is not a control input to the mobile terminal 600a, but a display device It can be set as a control input for (100). Accordingly, in the data sharing mode, the control unit of the mobile terminal 600a may ignore a touch input or a flicking input to the mobile terminal 600a and transmit a touch input or a flicking input to the display device 100. .

한편, 이동 단말기(600a)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사이에, 데이터 공유 모드 설정시, 이동 단말기(600a)에 폴더가 표시되고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폴더 전체를 공유할 수도 있다. Meanwhile, when a data sharing mode is set between the mobile terminal 600a and the display device 100, when a folder is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600a, the display device 100 may share the entire folder.

한편, 프로세서(170)는, 데이터 공유 모드시, 데이터 공유가 온(on) 되었음을 알리는 오브젝트를 각 사용자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각 사용자는, 데이터 공유가 동작하고 있음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data sharing mode, the processor 170 may control to display an object indicating that data sharing is on in each user area. Thereby, each user can intuitively grasp that data sharing is operating.

한편, 프로세서(170)는,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영역을 디스플레이(180) 상에 설정할 수 있으며, 각 사용자 영역이, 서로 중첩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processor 170 may set user regions for a plurality of users on the display 180, and may set each user region to overlap each other.

특히, 프로세서(170)는, 사용자 영역 중 중첩되는 공통 영역에, 소정 컨텐츠가 위치하는 경우, 해당 컨텐츠를 다른 사용자와 공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해당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로 해당 컨텐츠가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predetermined content is located in an overlapping common area among the user areas, the processor 170 may control the content to be shared with other users. That is,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content to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of the user.

도 20a는, 디스플레이(180) 상에 제1 및 제2 사용자(10,20)에 대한 사용자 영역(Ara,Arb)이 설정되어 표시되며, 특히, 제1 사용자 영역(Ara)과 제2 사용자 영역(Arb)이 일부 중첩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때 중첩 영역은 하이라이트되어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In FIG. 20A, user areas Ara and Arb for first and second users 10 and 20 are set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180, and in particular, a first user area Ara and a second user area (Arb) illustrates some overlapping. In this case, the overlapped area may be highlighted and displayed.

한편, 사용자의 이동, 또는 사용자 영역의 크기 가변, 또는 표시되는 컨텐츠 데이터의 종류나 크기 등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 영역(Ara)과 제2 사용자 영역(Arb)이 중첩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first user area Ara and the second user area Ar may overlap based on the movement of the user, the variable size of the user area, or the type or size of displayed content data.

도 20b는, 각 사용자 영역(Ara,Arb,Arc)에 각 사용자(10,20,30) 별 컨텐츠 리스트(2010a,2010b,2010c)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FIG. 20B illustrates that content lists 2010a, 2010b, and 2010c for each user 10, 20, and 30 are displayed in each user area Ara, Arb, and Arc.

이때, 제2 사용자(20)가 제2 컨텐츠 리스트(2010b) 중 소정 컨텐츠 항목(2018)을, 제3 사용자 영역과 중첩되는 공통 영역(Arz)에 위치시키는 경우를 예시한다. In this case, an example of a case in which the second user 20 places the predetermined content item 2018 in the second content list 2010b in the common area Arz overlapping the third user area is illustrated.

이에 의해, 프로세서(170)는, 컨텐츠 항목(2018)이, 제2 사용자(20)에게 공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2 사용자(20)에 대한 제2 사용자 영역(Arb)으로, 전송되거나, 제2 이동 단말기(600b)로 전송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processor 170 may control the content item 2018 to be shared with the second user 20. That is, it may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user area (Arb) for the second user 20 or may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mobile terminal 600b.

한편, 도 20c는, 디스플레이(180) 상에 제1 및 제2 사용자(10,20)에 대한 사용자 영역(Ara,Arm)이 설정되어 표시되며, 특히, 제1 사용자 영역(Ara) 내에 데이터가, 그대로 공유되어, 제2 사용자 영역(Arm) 내에 전송되는 것을 예시한다.Meanwhile, in FIG. 20C, user areas Ara and Arm for the first and second users 10 and 20 are set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180. In particular, data is displayed in the first user area Ara. , Is shared as it is, and transmitted in the second user area Arm.

이때, 제2 사용자(20)는, 공유된 컨텐츠의 사용 및 편집을 수행할 수 있으며, 편집된 컨텐츠는, 다시 제1 사용자(10)에게 재 공유하여 컨텐츠를 재구성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second user 20 may use and edit the shared content, and the edited content may be re-shared to the first user 10 to reconstruct the content.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22 내지 도 30b는 도 21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2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2 to 30B are views referenced to explain the operating method of FIG. 21.

도면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복수의 컨텐츠 항목을 포함하는 컨텐츠 리스트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S2310).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processor 170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controls to display a content list including a plurality of content items on the display (S2310).

도 23(a)는, 수평으로 놓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에, 복수의 컨텐츠 항목을 포함하는 컨텐츠 리스트(2415)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FIG. 23A illustrates that a content list 2415 including a plurality of content items is displayed on the display 180 of the display device 100 placed horizontally.

이때의, 컨텐츠 리스트(2415)는, 사용자 인식 이후, 자동으로 표시되거나, 별도의 입력에 의해,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At this time, the content list 2415 may be automatically displayed after user recognition, or may be displayed by a separate input.

한편, 제310 단계 이전에, 복수의 컨텐츠 항목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와, 복수의 컨텐츠 항목에 대한 병합 입력이 있는 경우, 복수의 컨텐츠 항목을 병합하고, 병합된 컨텐츠 항목을 포함하는 컨텐츠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before step 310, displaying a plurality of content items on the display, and when there is a merge input for the plurality of content items, merging the plurality of content items and creating a content list including the merged content items The displaying step can be performed.

도 22를 참조하면, 수평으로 놓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에, 복수의 컨텐츠 항목들(CT1~CT24)을 포함하는 컨텐츠 리스트(2415)가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2, a content list 2415 including a plurality of content items CT1 to CT24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180 of the display device 100 placed horizontally.

도 22에서는, 디스플레이(180)의 전 영역에, 복수의 컨텐츠 항목들(CT1~CT24)(2410)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하나, 이와 달리,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일부 영역에, 복수의 컨텐츠 항목들(CT1~CT24)(2410)이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In FIG. 22, a plurality of content items CT1 to CT24 and 2410 are displayed in the entire area of the display 180. Unlike this, a plurality of content items are displayed in a partial area corresponding to the user's location. It is also possible to display items (CT1 to CT24) 2410.

이때, 사용자의 위치는, 카메라(195)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에 기반하여, 프로세서(170)가 연산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user's location may be calculated by the processor 170 based on the image acquired through the camera 195.

한편, 도 22에서는, 사용자가 양손을 이용하여, 구체적으로는, 표시되는 복수의 컨텐츠 항목들(CT1~CT24)(2410)을 사용자 방향으로 모으는 터치 입력을 수행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의해, 복수의 컨텐츠 항목들(CT1~CT24)이 하나의 파일, 또는 하나의 컨텐츠 리스트(2415)로 합쳐지게 된다. Meanwhile, in FIG. 22, it is exemplified that a user performs a touch input for collecting a plurality of displayed content items CT1 to CT24 and 2410 in a user direction using both hands. Accordingly, a plurality of content items CT1 to CT24 are combined into one file or one content list 2415.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복수의 컨텐츠 항목들(2410)에 대한 병합 입력에 기초하여, 병합된 컨텐츠 항목을 포함하는 컨텐츠 리스트(2415)를 생성하고, 생성된 컨텐츠 리스트(2415)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at is, the processor 170 of the display device 100 generates a content list 2415 including the merged content item based on a merge input for the plurality of content items 2410, and the generated content list (2415) can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다음, 컨텐츠 리스트에 대한 확대 입력에 대응하여, 컨텐츠 리스트를 확대 표시하면서, 컨텐츠 리스트 내에, 복수의 컨텐츠 항목 중 적어도 일부 컨텐츠 항목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S2320).Next, in response to an enlarged input to the content list, the content list is enlarged and displayed, and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content items are displayed in the content list (S2320).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컨텐츠 리스트 확대 입력에 대해, 순차적으로, 컨텐츠 리스트를 확대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컨텐츠 리스트 내에, 복수의 컨텐츠 항목 중 적어도 일부 컨텐츠 항목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간편하게, 해당 컨텐츠 리스트 내의 컨텐츠 항목들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The processor 170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controls the contents list to be enlarged and displayed sequentially in response to the contents list enlargement input. In this case, the processor 170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controls to display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content items in the content list. Accordingly, the user can conveniently check the content items in the content list.

도 23(a)에서는, 사용자가 양손을 이용하여, 구체적으로는, 표시되는 컨텐츠 리스트(2415)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확대하는 터치 입력을 수행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의해, 컨텐츠 리스트(2415)가 확대된다.In FIG. 23(a), it is exemplified that a user performs a touch input that expands in the left-right direction on the displayed content list 2415 using both hands. Accordingly, the content list 2415 is enlarged.

도 23(b)는, 제1 시간 이후에 확대된 컨텐츠 리스트(2416)를 예시하며, 도 23(c)는, 제2 시간 이후에 확대된 컨텐츠 리스트(2417)를 예시한다.FIG. 23(b) illustrates the content list 2416 enlarged after the first time, and FIG. 23(c) shows the content list 2417 enlarged after the second time.

도면에서는, 도 23(b)의 컨텐츠 리스트(2416) 내의 컨텐츠 항목들을, 제1 크기의, 컨텐츠 항목들(CTa,...CTk)로 예시하며, 도 23(c)의 컨텐츠 리스트(2417) 내의 컨텐츠 항목들을, 제1 크기 보다 큰 제2 크기의, 컨텐츠 항목들(CT1,...CT11)로 예시하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In the drawing, the content items in the content list 2416 of FIG. 23(b) are exemplified as content items CTa, ... CTk of a first size, and the content list 2417 of FIG. 23(c) The content items within are illustrated as content items CT1, ... CT11 of a second size larger than the first size,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예를 들어, 도 23(b)와 도 23(c)의 각 컨텐츠 항목들이, 파일명이 아닌, 썸네일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으며, 확대 입력에 의해, 썸네일 이미지의 크기 또는 선명도가 더 커질 수 있다. For example, each content item of FIGS. 23(b) and 23(c) may be displayed as a thumbnail image rather than a file name, and the size or sharpness of the thumbnail image may be increased by an enlarged input.

다른 예로, 도 23(c)에서 표시되는 컨텐츠 항목들의 크기가, 도 23(b) 보다 더 크므로, 도 23(c)에서 표시되는 컨텐츠 항목들의 개수가 더 적은 것도 가능하다.As another example, since the size of the content items displayed in FIG. 23(c) is larger than that of FIG. 23(b), it is possible that the number of content items displayed in FIG. 23(c) is smaller.

다음,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표시되는 일부 컨텐츠 항목이 재생 가능한 크기인 경우, 해당 컨텐츠를 재생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한다(S2330).Next, the processor 170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controls to play and display the corresponding content when some of the displayed content items have a playable size (S2330).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확대 입력이 있는 경우, 컨텐츠 리스트를 계속 확대하여 표시한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표시되는 일부 컨텐츠 항목이 재생 가능한 크기인 경우, 해당 컨텐츠를 재생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n there is an enlargement input, the processor 170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continues to enlarge and display the content list. In this case, the processor 170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control to play and display the corresponding content when some of the displayed content items have a reproducible size.

도 24은, 도 23(c) 이후, 계속하여, 사용자가 좌우 방향 확대 입력을 수행하는 경우에 대응하여, 컨텐츠 리스트 내의 일부 컨텐츠 항목들(2607,2608,2609,2610,2611,2612,2613)이 좌우 방향으로 정렬되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24 shows some content items in the content list (2607, 2608, 2609, 2610, 2611, 2612, 2613) in response to a case in which the user performs an enlargement inpu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continuously after FIG. 23(c). This exemplifies the display arrang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컨텐츠 리스트 내의 일부 컨텐츠 항목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의 크기가, 재생 가능한 크기인 경우, 도 24과 같이, 해당 컨텐츠(2610)를 재생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재생되는 컨텐츠(2610)의 크기가, 다른 일부 컨텐츠 항목들(2607,2608,2609,2611,2612,2613) 보다 그 크기가 더 크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재생되는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The processor 170 of the display device 100 controls to play and display the content 2610 as shown in FIG. 24 when the size of any one of the content items in the content list is a playable size. I can. In particular, the processor 170 of the display device 100 sets the size of the reproduced content 2610 to be larger than that of some other content items 2607, 2608, 2609, 2611, 2612, and 2613. I can. Accordingly, the user can intuitively check the reproduced content.

한편, 도 25a는, 디스플레이(180)의 일 영역에, 일부 컨텐츠 항목(2711)을 포함하는 컨텐츠 리스트(2710)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상,하 확대 터치 입력이 있는 것을 예시한다.Meanwhile, FIG. 25A illustrates that, in a state in which a content list 2710 including some content items 2711 is displayed in one area of the display 180, a user's up-and-down zoom-in touch input is present.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상,하 확대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도 25a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확대된 컨텐츠 리스트(2715)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디스플레이(180)의, 상,하 영역의 전 영역에, 확대된 컨텐츠 리스트(2715)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The processor 170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control to display the content list 2715 enlar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FIG. 25A, in response to an upward/ downward enlargement touch input. In the drawing, an enlarged content list 2715 is displayed in all areas of the upper and lower areas of the display 180.

다음, 도 25b는, 디스플레이(180)의 일 영역에, 일부 컨텐츠 항목(2711)을 포함하는 컨텐츠 리스트(2710)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좌,우 확대 터치 입력이 있는 것을 예시한다.Next, FIG. 25B illustrates that, in a state in which a content list 2710 including some content items 2711 is displayed in an area of the display 180, a user's left and right enlarged touch inputs are performed.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좌,우 확대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도 25b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확대된 컨텐츠 리스트(2725)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디스플레이(180)의, 좌,우 영역의 전 영역에, 일부 컨텐츠 항목(27201)을 포함하는 확대된 컨텐츠 리스트(2725)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The processor 170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control to display a content list 2725 enlarg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s shown in FIG. 25B in response to a left and right enlarged touch input. In the drawing, an enlarged content list 2725 including some content items 27201 is displayed in all areas of the left and right areas of the display 180.

다음, 도 26은, 사용자의 확대 입력에 대응하여, 재생되는 컨텐츠가 확대되면서, 해당 컨텐츠의 오디오 볼륨도 확대되는 것을 예시한다.Next, FIG. 26 illustrates that as the reproduced content is enlarged in response to the user's enlargement input, the audio volume of the content is also enlarged.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재생되는 컨텐츠에 대한 확대 입력에 대응하여, 재생되는 컨텐츠를 확대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재생되는 컨텐츠의 오디오 볼륨을 증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170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control to enlarge and display the reproduced content and to increase the audio volume of the reproduced content in response to an enlargement input for the reproduced content.

도 26(a)는, 디스플레이(180)의 일 영역에, 사용자의 확대 입력에 대응하여, 제1 크기의 소정 컨텐츠(2810)가 재생되고 있는 것을 예시한다. 도면에서는, 컨텐츠(2810)의 크기에 비례하여, 제1 볼륨 크기의 사운드(2820a,2820b)가 오디오 출력부(미도시)를 통해 출력되는 것을 예시한다.FIG. 26A illustrates that a predetermined content 2810 of a first size is being played in a region of the display 180 in response to an enlarged input of a user. In the drawing, in proportion to the size of the content 2810, it is exemplified that sounds 2820a and 2820b having a first volume size are output through an audio output unit (not shown).

도 26(b)는, 디스플레이(180)의 일 영역에, 사용자의 확대 입력에 대응하여, 도 26(a)의 컨텐츠(2810) 보다 크기가 더 큰, 제2 크기의 소정 컨텐츠(2812)가 재생되고 있는 것을 예시한다. 도면에서는, 컨텐츠(2812)의 크기에 비례하여, 도 26(a) 보다 볼륨 크기가 더 큰, 제2 볼륨 크기의 사운드(2822a,2822b)가 오디오 출력부(미도시)를 통해 출력되는 것을 예시한다.26(b) shows, in one area of the display 180, in response to a user's enlarged input, a second sized predetermined content 2812 that is larger than the content 2810 of FIG. 26(a) is Illustrate what is being played. In the drawing, in proportion to the size of the content 2812, it is illustrated that the sound (2822a, 2822b) of the second volume size, which has a larger volume size than that of FIG. 26(a), is output through an audio output unit (not shown). do.

도 26(c)는, 디스플레이(180)의 일 영역에, 사용자의 확대 입력에 대응하여, 도 26(b)의 컨텐츠(2812) 보다 크기가 더 큰, 제3 크기의 소정 컨텐츠(2816)가 재생되고 있는 것을 예시한다. 도면에서는, 컨텐츠(2816)의 크기에 비례하여, 도 26(c) 보다 볼륨 크기가 더 큰, 제3 볼륨 크기의 사운드(2826a,2826b)가 오디오 출력부(미도시)를 통해 출력되는 것을 예시한다.26(c) shows, in one area of the display 180, in response to a user's enlarged input, predetermined content 2816 of a third size, which is larger than the content 2812 of FIG. 26(b), is Illustrate what is being played. In the drawing, in proportion to the size of the content 2816, it is illustrated that the sound 2826a and 2826b of the third volume size, which has a larger volume size than that of FIG. 26(c), is output through an audio output unit (not shown). do.

이와 같이, 재생되는 컨텐츠의 크기에 따라, 오디오 볼륨 크기가 가변함으로써,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컨텐츠의 크기 등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the audio volume size varie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ontent to be played, so that the user can intuitively recognize the size of the content.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재생되는 컨텐츠에 대해, 제1 방향 플리킹 입력이 있는 경우, 컨텐츠와 관련된 이미지들을 제1 방향으로 출력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re is a first direction flicking input for the reproduced content, the processor 170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control to output and display images related to the content in the first direction.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컨텐츠와 관련된 이미지 외에, 추가 이미지 삽입 입력이 있는 경우, 추가 이미지를 컨텐츠와 관련된 이미지들 사이에 삽입하고, 컨텐츠와 관련된 이미지들에 대해,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 플리킹 입력이 있는 경우, 추가 이미지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re is an additional image insertion input in addition to the image related to the content, the processor 170 inserts the additional image between the images related to the content, and for images related to the content, When there is a 2-way flicking input, it is possible to control to display content including an additional image.

도 27a 내지 도 27e는, 재생되는 컨텐츠에 대해, 추가 이미지를 삽입하여, 새로운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예시한다. 27A to 27E illustrate generating new content by inserting an additional image with respect to the reproduced content.

도면을 참조하면, 도 27a는, 사용자(1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좌측 영역에 위치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180)에, 소정 컨텐츠(2910)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때의 컨텐츠(2910)는, 재생 중인 컨텐츠일 수 있다. 도 24에서 기술한 컨텐츠(2610)에 대응하는 컨텐츠일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FIG. 27A illustrates that predetermined content 291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180 while the user 10 is located in the left area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The content 2910 at this time may be content being played. It may b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2610 described in FIG. 24.

한편, 도면과 같이, 사용자(10)가 우측 방향으로 터치에 기초한 플리킹 입력을 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도 27b와 같이, 컨텐츠(2910)를 구성하는 복수의 이미지가 우측 방향으로, 펼쳐서 정렬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재생 중인 컨텐츠(2910)는 일시 정지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user 10 makes a flicking input based on a touch in the right direction, the processor 170 of the display device 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mponents constituting the content 2910 as shown in FIG. 27B. You can control the image to be displayed in the right direction, unfolded and aligned. In this case, the content 2910 being played may be paused.

도 27b에서는, 컨텐츠(2910)를 구성하는 복수의 이미지들로, TH1~TH7(2912~918) 등의 썸네일 이미지를 예시한다.In FIG. 27B, thumbnail images such as TH1 to TH7 (2912 to 918) are illustrated as a plurality of images constituting the content 2910.

다음, 도 27c와 같이, 사용자(10)가, 제4 이미지(TH4)와 제5 이미지(TH5) 사이를 넓게하는 터치 입력을 한 후, 새로운 추가 이미지(THa)(2920)를, 제4 이미지(TH4)와 제5 이미지(TH5) 사이에, 추가하는 경우, 도 27d와 같이, 추가 이미지(2920)가, 제4 이미지(TH4)와 제5 이미지(TH5) 사이에, 추가되어 표시될 수 있다. Next, as shown in FIG. 27C, after the user 10 makes a touch input that widens the space between the fourth image TH4 and the fifth image TH5, a new additional image THa 2920 is transferred to the fourth image. Between (TH4) and the fifth image (TH5), when adding, as shown in FIG. 27D, an additional image 2920 may be added and displayed between the fourth image (TH4) and the fifth image (TH5). have.

그리고, 다시 사용자(10)가 복수의 이미지들(TH1~TH7, THa)(2912~918, 920)에 대해, 좌측 방향으로 터치에 기초한 플리킹 입력을 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도 27e와 같이, 복수의 이미지가 사라지면서, 새로운 추가 이미지를 포함하는 새로운 컨텐츠(2930)를 생성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편하게, 원하는 이미지를 포함시킨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새로 생성된 컨텐츠(2930)는, 생성 완료 후, 자동으로 재생될 수 있다.And, when the user 10 again makes a flicking input based on a touch in the lef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lurality of images TH1 to TH7 and THa (2912 to 918, 920), the processor of the display device 100 ( As shown in FIG. 27E, as shown in FIG. 27E, while a plurality of images disappears, a new content 2930 including a new additional image may be generated and displayed. Accordingly, content including a desired image can be easily generated. In addition, the newly created content 2930 may be automatically played after generation is completed.

한편, 프로세서(170)는, 표시되는 복수의 컨텐츠 항목 중 일부에 대한 병합 입력이 있는 경우, 해당 컨텐츠 항목들을 포함하는 컨텐츠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re is a merge input for some of the displayed plurality of content items, the processor 170 may generate a content file including the corresponding content items.

도 28a 내지 도 30b는, 복수의 컨텐츠 항목이 표시된 상태에서, 복수의 컨텐츠 항목 중 일부에 대한 병합 입력이 있는 경우, 해당 컨텐츠 항목들을 포함하는 컨텐츠 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예시한다. 28A to 30B illustrate generating a content file including the corresponding content items when there is a merge input for some of the plurality of content items while a plurality of content items are displayed.

먼저, 도 28a는 복수의 서로 다른 종류의 컨텐츠 항목들(PHOTO, MUSIC 등)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10)가, 제1 사진 항목(3011)과 제1 음악 항목(3012)을, 병합하는 터치 입력을 수행하는 것을 예시한다.First, FIG. 28A shows that a user 10 merges a first photo item 3011 and a first music item 3012 while a plurality of different types of content items (PHOTO, MUSIC, etc.) are displayed. It exemplifies performing a touch input.

이에 따라, 이동된 제1 사진 항목(3011a)과 이동된 제1 음악 항목(3012a)이 일부 중첩되어 중첩된 컨텐츠(3015)가 표시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moved first photo item 3011a and the moved first music item 3012a partially overlap each other to display the overlapped content 3015.

그리고, 도 28b와 같이, 제1 사진 항목(3011a)과 제1 음악 항목(3012a)이, 하나의 파일(3055)로서 생성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 의도대로, 원하는 컨텐츠 파일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8B, a first photo item 3011a and a first music item 3012a may be generated and displayed as a single file 3055.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create a desired content file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다음, 도 29a는 복수의 서로 다른 종류의 컨텐츠 항목들(PHOTO, MUSIC 등)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10)가, 제2 사진 항목(3022)과 제4 사진 항목(3024)을, 병합하는 터치 입력을 수행하는 것을 예시한다.Next, FIG. 29A shows that while a plurality of different types of content items (PHOTO, MUSIC, etc.) are displayed, the user 10 merges the second picture item 3022 and the fourth picture item 3024. It exemplifies performing a touch input.

이에 따라, 이동된 제2 사진 항목(3022a)과 이동된 제4 사진 항목(3024a)이 일부 중첩되어 중첩된 컨텐츠(3025)가 표시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moved second photo item 3022a and the moved fourth photo item 3024a partially overlap each other to display the overlapped content 3025.

그리고, 도 29b와 같이, 제2 사진 항목(3022a)과 제4 사진 항목(3024a)이, 하나의 파일(3155)로서 생성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 의도대로, 원하는 컨텐츠 파일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9B, the second photo item 3022a and the fourth photo item 3024a may be generated and displayed as a single file 3155.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create a desired content file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다음, 도 30a는 복수의 서로 다른 종류의 컨텐츠 항목들(PHOTO, MUSIC 등)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10)가, 제3 음악 항목(3032)과 제2 음악 항목(3034)을, 병합하는 터치 입력을 수행하는 것을 예시한다.Next, FIG. 30A shows that, while a plurality of different types of content items (PHOTO, MUSIC, etc.) are displayed, the user 10 merges the third music item 3032 and the second music item 3034. It exemplifies performing a touch input.

이에 따라, 이동된 제3 음악 항목(3032a)과 이동된 제2 음악 항목(3034a)이 일부 중첩되어 중첩된 컨텐츠(3035)가 표시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moved third music item 3032a and the moved second music item 3034a partially overlap, so that the overlapped content 3035 may be displayed.

그리고, 도 30b와 같이, 제3 음악 항목(3032a)과 제2 음악 항목(3034a)이, 하나의 파일(3255)로서 생성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 의도대로, 원하는 컨텐츠 파일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0B, a third music item 3032a and a second music item 3034a may be generated and displayed as one file 3255.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create a desired content file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한편, 상술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따르면, 복수의 사용자가 사용 가능한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컨텐츠의 이동, 공유, 편집 등이 가능하게 되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display device and its operation method, it is possible to move, share, and edit content by using a large display device that can be used by a plurality of users, thereby increasing user convenience.

특히, 각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 내의 컨텐츠 또는 각 사용자 별로 설정한, 디스플레이 장치 내의 컨텐츠를, 사용자 위치 별로 표시할 수 있게 되어, 동시에, 서로 다른 컨텐츠의 재생, 표시 등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In particular, content in the mobile terminal of each user or content in the display device set for each user can be displayed for each user location, and at the same time, different content can be reproduced and displayed. Accordingly, user convenience may be increased.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display device and its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but the embodiments are all or part of each embodiment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May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한편,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방법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Meanwhile, the method of operating a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a code that can be read by a processor on a recording medium that can be read by a processor provided in the display device. The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that store data that can be read by the processor. Examples of recording media that can be read by the processor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etc., and also include those implemented in the form of carrier waves such as transmission through the Internet. . Further, the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is distributed over a computer system connected through a network, so that the processor-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In addition,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In addition,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8)

복수의 컨텐츠 항목을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복수의 컨텐츠 항목을 포함하는 컨텐츠 리스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컨텐츠 리스트에 대한 확대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컨텐츠 리스트를 확대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컨텐츠 리스트 내에, 복수의 컨텐츠 항목 중 적어도 일부 컨텐츠 항목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표시되는 일부 컨텐츠 항목이 재생 가능한 크기인 경우, 해당 컨텐츠를 재생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컨텐츠에 대한 미니 맵 표시 입력이 있는 경우, 미니 맵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미니 맵에 대한 이동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에서 제2 영역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1 영역에서 보다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미니 맵의 이동 속도가 더 작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 memory for storing a plurality of content items;
A display for displaying a content list including the plurality of content items; And
In response to an enlarged input to the content list, controlling the content list to be enlarged and displayed, controlling to display at least some content items among a plurality of content items in the content list, and reproducing the displayed content items In the case of the size, a processor that controls to reproduce and display the corresponding content; includes,
The processor,
When there is a mini map display input for the first content, controlling to display the mini map on the display,
When there is a movement input for the mini-map, controlling the display to move from the first area to the second area,
Th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vement speed of the mini-map is controlled to be smaller in the second area than in the first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컨텐츠 리스트 표시 전에, 상기 복수의 컨텐츠 항목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복수의 컨텐츠 항목에 대한 병합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복수의 컨텐츠 항목을 병합하고, 상기 병합된 컨텐츠 항목을 포함하는 컨텐츠 리스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rocessor,
Before displaying the content list, control to display the plurality of content items on the display, and when there is a merge input for the plurality of content items, merge the plurality of content items, and include the merged content item A display device comprising controlling to display a content lis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컨텐츠 재생 표시시, 상기 표시되는 일부 컨텐츠 항목이 재생 가능한 크기인 경우, 상기 일부 컨텐츠 항목 중 어느 하나의 컨텐츠 항목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재생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rocessor,
And controlling to play and display a content corresponding to any one of the content items when the displayed content item is a playable size during the content reproduction displa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컨텐츠 재생 표시시, 상기 일부 컨텐츠 항목 중 재생되는 컨텐츠 항목의 크기가 가장 크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processor,
When the content is displayed, the size of a content item to be played out of the some content items is controlled to be the larges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확대 표시시, 상기 확대 입력이 제1 방향 확대 입력인 경우, 상기 컨텐츠 리스트를 상기 제1 방향으로 확대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rocessor,
When the enlarged display is performed and the enlarged input is a first direction enlarged input, the content list is controlled to be enlarged and displayed in the first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재생되는 컨텐츠에 대한 확대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재생되는 컨텐츠를 확대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재생되는 컨텐츠의 오디오 볼륨을 증가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rocessor,
And controlling to enlarge and display the reproduced content and to increase an audio volume of the reproduced content in response to an enlargement input for the reproduced cont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재생되는 컨텐츠에 대해, 제1 방향 플리킹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이미지들을 상기 제1 방향으로 출력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rocessor,
And controlling to output and display images related to the content in the first direction when there is a first direction flicking input for the reproduced conten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이미지 외에, 추가 이미지 삽입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추가 이미지를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이미지들 사이에 삽입하고,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이미지들에 대해,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 플리킹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추가 이미지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The processor,
When there is an additional image insertion input in addition to the image related to the content, the additional image is inserted between the images related to the content, and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is flipped for the images related to the content. When there is a king input, control to display the content including the additional imag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표시되는 복수의 컨텐츠 항목 중 일부에 대한 병합 입력이 있는 경우, 해당 컨텐츠 항목들을 포함하는 컨텐츠 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processor,
When there is a merge input for some of the plurality of displayed content items, a content file including the corresponding content items is generated.
복수의 컨텐츠 항목을 포함하는 컨텐츠 리스트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리스트에 대한 확대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컨텐츠 리스트를 확대 표시하면서, 상기 컨텐츠 리스트 내에, 상기 복수의 컨텐츠 항목 중 적어도 일부 컨텐츠 항목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되는 일부 컨텐츠 항목이 재생 가능한 크기인 경우, 해당 컨텐츠를 재생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1 컨텐츠에 대한 미니 맵 표시 입력이 있는 경우, 미니 맵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며,
상기 미니 맵에 대한 이동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에서 제2 영역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제1 영역에서 보다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미니 맵의 이동 속도가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방법.
Displaying a content list including a plurality of content items on a display;
Displaying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content items in the content list while expanding the content list in response to an enlarged input for the content list; And
If the displayed content items are in a playable size, reproducing and displaying the corresponding content; and
When there is a mini map display input for the first content, a mini map is displayed on the display,
When there is a movement input for the mini-map, the display is moved from the first area to the second area,
A method of operating a display device, wherein a moving speed of the mini-map is smaller in the second area than in the first area.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리스트 표시 전에, 상기 복수의 컨텐츠 항목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컨텐츠 항목에 대한 병합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복수의 컨텐츠 항목을 병합하고, 상기 병합된 컨텐츠 항목을 포함하는 컨텐츠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Before displaying the content list, displaying the plurality of content items on the display; And
When there is a merge input for the plurality of content items, merging the plurality of content items, and displaying a content list including the merged content items; and further comprising: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재생 표시 단계는,
상기 표시되는 일부 컨텐츠 항목이 재생 가능한 크기인 경우, 상기 일부 컨텐츠 항목 중 어느 하나의 컨텐츠 항목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재생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The content reproduction display step,
When the displayed content items have a reproducible size,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one of the content items is reproduced and displayed.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재생 표시시, 상기 일부 컨텐츠 항목 중 재생되는 컨텐츠 항목의 크기가 가장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The operating method of a display device, wherein the size of a content item to be played out of the some content items is largest when the content is displayed.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 표시시, 상기 확대 입력이 제1 방향 확대 입력인 경우, 상기 컨텐츠 리스트를 상기 제1 방향으로 확대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In the enlarged display, when the enlarged input is a first direction enlarged input, the content list is enlarged and displayed in the first direc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되는 컨텐츠에 대한 확대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재생되는 컨텐츠를 확대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재생되는 컨텐츠의 오디오 볼륨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Expanding and displaying the reproduced content in response to an enlargement input for the reproduced content; And
And increasing the audio volume of the reproduced conten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되는 컨텐츠에 대해, 제1 방향 플리킹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이미지들을 상기 제1 방향으로 출력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And outputting and displaying images related to the content in the first direction when there is a first direction flicking input for the reproduced content.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이미지 외에, 추가 이미지 삽입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추가 이미지를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이미지들 사이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이미지들에 대해,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 플리킹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추가 이미지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방법.
The method of claim 16,
Inserting the additional image between images related to the content when there is an additional image insertion input in addition to the image related to the content; And
When there is a second direction flicking input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for the images related to the content, displaying the content including the additional image; operation of the display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Way.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되는 복수의 컨텐츠 항목 중 일부에 대한 병합 입력이 있는 경우, 해당 컨텐츠 항목들을 포함하는 컨텐츠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When there is a merge input for some of the displayed plurality of content items, generating a content file including the corresponding content items; and further comprising a.



KR1020140004174A 2014-01-13 2014-01-13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22197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4174A KR102219797B1 (en) 2014-01-13 2014-01-13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EP15150849.6A EP2894557B1 (en) 2014-01-13 2015-01-12 Display apparatus
US14/594,765 US10139990B2 (en) 2014-01-13 2015-01-12 Display apparatus for content from multiple users
CN201510016299.4A CN104777997B (en) 2014-01-13 2015-01-13 Show equipment and its operat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4174A KR102219797B1 (en) 2014-01-13 2014-01-13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4303A KR20150084303A (en) 2015-07-22
KR102219797B1 true KR102219797B1 (en) 2021-02-23

Family

ID=53874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4174A KR102219797B1 (en) 2014-01-13 2014-01-13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9797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328423A1 (en) 2009-06-30 2010-12-30 Walter Etter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mactching of auditory space to visual space in video teleconferencing applications using window-based displays
US20110246918A1 (en) 2010-04-05 2011-10-06 Andrew Henderso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arranging a plurality of icons on a touch sensitive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3922A (en) * 2009-04-14 2010-10-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for displaying multimedia contents, touch screen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program therefor
KR101673413B1 (en) * 2010-09-17 2016-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mobile terminal
KR101711537B1 (en) * 2012-02-24 2017-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146655B2 (en) * 2012-04-06 2015-09-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executing object on displa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328423A1 (en) 2009-06-30 2010-12-30 Walter Etter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mactching of auditory space to visual space in video teleconferencing applications using window-based displays
US20110246918A1 (en) 2010-04-05 2011-10-06 Andrew Henderso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arranging a plurality of icons on a touch sensitive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4303A (en) 201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94557B1 (en) Display apparatus
JP6816858B2 (en) How to control the display of multiple objects by operation-related input to the mobile terminal and the mobile terminal
US1076880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for displaying list items and changing hierarchical level of display
US10187520B2 (en) Terminal device and content displaying method thereof, serv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88192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multi-vision system using multiple portable terminals
KR102216246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TWI626583B (en) Electronic device and data processing method thereof
KR102126292B1 (en) Method for displaying a screen in mobile terminal and the mobile terminal therefor
US932335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N105468229A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20306782A1 (en) Apparatus including multiple touch screens and method of changing screens therein
US20150317026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50325211A1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2146858B1 (en)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a video
JP5766019B2 (en) Binocular imaging device, control method thereof, control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2072509B1 (en) Group recording method,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TW201643661A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219798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20150363091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JP2012073746A (en) Information processor,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KR102255087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object
CN103809872B (en) The method of mobile device and the control mobile device with parallax scrolling function
KR102317619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ing the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2219797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30067005A (en) User interface method and apparatus in device for displaying 3-dimensional im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