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7681B1 - Underground medium detecting device - Google Patents

Underground medium detect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7681B1
KR102217681B1 KR1020150146829A KR20150146829A KR102217681B1 KR 102217681 B1 KR102217681 B1 KR 102217681B1 KR 1020150146829 A KR1020150146829 A KR 1020150146829A KR 20150146829 A KR20150146829 A KR 20150146829A KR 102217681 B1 KR102217681 B1 KR 102217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ltrasonic
signal
wireless
medium
under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68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62681A (en
Inventor
황건
이성규
염우섭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4/949,628 priority Critical patent/US10078069B2/en
Publication of KR20160062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268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7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76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28Processing seismic data, e.g. for interpretation or for event det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04Analysing solids
    • G01N29/07Analysing solids by measuring propagation velocity or propagation time of acoustic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02Generating seismic energy
    • G01V1/04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16Receiving elements for seismic signals;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receiving elements
    • G01V1/18Receiving elements, e.g. seismometer, geophone or torque detectors, for localised single point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28Processing seismic data, e.g. for interpretation or for event detection
    • G01V1/30Analysis
    • G01V1/303Analysis for determining velocity profiles or travel tim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2210/00Details of seismic processing or analysis
    • G01V2210/10Aspects of acoustic signal generation or detection
    • G01V2210/14Signal detection
    • G01V2210/142Receiver location
    • G01V2210/1429Subsurface, e.g. in borehole or below weathering layer or mud lin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2210/00Details of seismic processing or analysis
    • G01V2210/60Analysis
    • G01V2210/62Physical property of subsurface
    • G01V2210/622Velocity, density or impedance
    • G01V2210/6222Velocity; travel tim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에 존재하는 동공(sinkhole)이나 수도관 혹은 송유관 등에서 유출된 액체의 누수 현상을 감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감지 장치에서는 지하에 설치된 송출장치에서 송신되는 초음파 신호와 초음파 신호와 동기화된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지면에 위치한 다수의 수신장치들이 동시에 수신한다. 또한, 각 수신장치 별로 수신된 무선신호를 트리거링 신호로 삼아 초음파 신호의 도달 시간을 측정함에 의해 송출장치와 수신 장치 간 신호 경로 상에 위치한 동공이나 수도관 혹은 송유관 등에서 유출된 액체의 누수 범위 등이 감지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that detects a leak of a liquid leaked from an underground sinkhole or a water pipe or an oil pipe. In the sens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receiving devices located on the ground simultaneously receive an ultrasonic signal transmitted from a transmitting device installed underground and a radio frequency (RF) signal synchronized with the ultrasonic signal. In addition, by measuring the arrival time of the ultrasonic signal using the wireless signal received by each receiving device as a triggering signal, the leak range of the liquid leaked from the pupil, water pipe or oil pipe located on the signal path between the transmitting device and the receiving device is detected. do.

Figure R1020150146829
Figure R1020150146829

Description

지하 매질 변화 감지 장치{UNDERGROUND MEDIUM DETECTING DEVICE}Underground medium change detection device {UNDERGROUND MEDIUM DETECTING DEVICE}

본 발명은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초음파 신호의 도달시간을 이용한 지하 매질 변화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ns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detecting changes in an underground medium using an arrival time of an ultrasonic signal.

전송 시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에 관한 특허는 미국공개특허 US 2014/00112104 A1(ultrasonic location using only time difference of arrival measurements)에 개시되어 있다. 위 발명은 초음파 신호의 전송 지연 시간을 이용하여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A patent on a method of measuring a location using a difference in transmission time is disclosed in US published patent US 2014/00112104 A1 (ultrasonic location using only time difference of arrival measurements). The above invention discloses a method of measuring a location using a transmission delay time of an ultrasonic signal.

또한, 지하관로의 누수 측정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T. Hao (Condition assessment of the buried utility service infrastructure,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Technology 28 (2012) 331-344)는 각종 관로에서의 누수 현상을 탐색하는 방법들에 관한 연구를 개시하고 있다.In addition, studies on the measurement of water leakage in underground pipelines are actively being conducted. T. Hao (Condition assessment of the buried utility service infrastructure, Tunneling and Underground Space Technology 28 (2012) 331-344) has initiated a study on methods to detect leaks in various pipelines.

그러나, 상기 특허 및 기술들은 주로 초음파 신호 지연시간에 따른 위치를 산출하는 방법에 관한 개념은 가지고 있으나 전자기파와 함께 활용하여 지하 매질의 분포 범위를 산출하는 방법을 개시하지는 않는다. However, the above patents and technologies mainly have a concept of a method of calculating a position according to an ultrasonic signal delay time, but do not disclose a method of calculating a distribution range of an underground medium by using it together with an electromagnetic wave.

본 발명의 목적은 지하에 존재하는 동공이나 수도관 혹은 송유관 등에서 유출된 액체의 누수에 의한 지하에 존재하는 액체의 분포 범위, 즉 두께와 폭을 감지하는 지하 매질 변화 감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 change in an underground medium that detects the distribution range, that is, the thickness and width, of a liquid existing in the basement due to leakage of a liquid leaked from a pupil or a water pipe or an oil pipe. have.

본 발명에 따른 지하 매질 감지 장치는 지하에 설치된 송출장치에서 송신되는 초음파 신호와 초음파 신호와 동기화된 RF 신호를 지면에 위치한 다수의 수신 장치들이 동시에 수신하고, 각 수신장치 별로 수신된 두 신호 간 지연 시간을 측정하여 이를 바탕으로 송출장치와 수신 장치 간 신호 경로 상에 위치한 동공이나 수도관 혹은 송유관 등에서 유출된 액체의 누수 범위 등 지하 매질의 분포 범위를 구한다.In the underground medium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receiving devices located on the ground simultaneously receive an ultrasonic signal transmitted from a transmitting device installed underground and an RF signal synchronized with the ultrasonic signal, and a delay between the two signals received for each receiving device Time is measured and based on this, the distribution range of the underground medium, such as the leak range of the liquid leaked from the pupil or water pipe or oil pipe located on the signal path between the transmitting device and the receiving device, is obtained.

본 발명의 지하 매질 변화 감지 장치는 초음파 신호와 RF 신호간 신호 지연 현상을 이용하여 지하 동공이나 누수 현상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초음파 송수신부와 무선회로부와 전원부가 일체화된 모듈 구조의 초음파 송수신 장치의 제작이 구현 가능함으로써, 센서네트워크와 연결시 실시간으로 누수 등을 원격에서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누수 감지장치는 비가 오거나 누수가 적을 때에도 누출 량을 감지할 수 없어 오동작할 소지가 있으나, 본 기술은 누수에 의한 누수 범위를 측정하므로 신뢰도가 높다. 또한, 송출 장치만을 지하에 매설하면 되므로 저렴하고 설치가 간단하여, 설치 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데이터를 누적하여 관찰하면 동공의 발생도 감지할 수 있어 동공 발생에 따른 재난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The underground medium change det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ltrasonic transmitter/receiver unit capable of measuring an underground pupil or leakage phenomenon using a signal delay between an ultrasonic signal and an RF signal, and a module structure in which the wireless circuit unit and the power unit are integrated. As manufacturing is possible, when connected to a sensor network, water leakage can be detected remotely in real time. In addition, the existing leak detection device may not detect the amount of leakage even when it rains or the amount of leakage is small, so it may malfunction, but this technology measures the range of leakage caused by leakage, so the reliability is high. In addition, since only the delivery device needs to be buried underground, it is inexpensive and simple to install, so that the installation cost can be reduced. By accumulating and observing data, the occurrence of pupils can also be detected, thus preventing disasters caused by pupil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음파 응용 누수 감지 장치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음파 응용 누수 감지 장치에서 매질에 따른 속도 변화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예시적 신호 파형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ultrasonic leak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hange in speed according to a medium in the apparatus for detecting a water leak using ultrasonic wave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signal waveform diagram according to FIG. 2.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should be noted that only part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descriptions of other parts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지하에 설치된 송출장치에서 동기화된 초음파 신호와 RF 신호를 송신하면 지표면에 위치한 다수의 수신장치들이 수신하고, 각 수신장치 별로 수신된 무선신호를 트리거링 신호로 하고 수신된 초음파 신호의 도달 시간을 측정하여 이를 바탕으로 송출장치와 수신 장치 간 신호 경로 상에 위치한 동공이나 수도관 혹은 송유관 등에서 유출된 액체의 누수 현상을 감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ynchronized ultrasonic signal and an RF signal are transmitted from a transmitter installed underground, a plurality of receivers located on the ground surface receive it, and the radio signal received for each receiver is used as a triggering signal, and the arrival time of the received ultrasonic signa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detecting a leak of a liquid leaked from a pupil or a water pipe or an oil pipe located on a signal path between a transmitting device and a receiving device based on this measurement.

본 발명은 지하에 위치한 송출장치에서 초음파 신호와 동기화된 RF 신호를 동시에 송출하고 이 두 가지 신호를 수신 장치에서 수신하여 두 신호 간 지연시간 차이를 활용하여 신호 경로 상에 존재하는 액체나 공간의 크기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이러한 방법은 구조의 특성상 송출장치와 수신장치 간 유선으로 연결되는 부위를 없앨 수 있어 설치가 간편하고 구조도 간단하여 송수신 장치의 구조도 간단해지고 저렴하게 제작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수분센서와 같이 액체의 존재 유무를 탐지하는 것이 아니라, 초음파 속도가 액체, 고체, 기체 등 매질에 따라 속도가 달라지는 물리 현상을 이용하므로 단순 거리 정보뿐만 아니라, 지하 매질의 분포를 알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simultaneously transmits an RF signal synchronized with an ultrasonic signal from a transmitter located underground, receives these two signals from a receiver, and utilizes the difference in delay time between the two signals to determine the size of a liquid or space existing on the signal path. This method is characterized by calculating the structure, and because of the nature of the structure, the part connected by wire between the transmitting device and the receiving device can be eliminated, so that the installation is simple and the structure is simple. It has the advantage of doing it. In addition, since it does not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liquid like the existing moisture sensor, but uses a physical phenomenon in which the speed of the ultrasonic wave varies depending on the medium such as liquid, solid, gas, etc., not only the distance information but also the distribution of the underground medium is know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본 발명에서는 지하에 존재하는 동공이나 수도관 혹은 송유관 등에서 유출된 액체의 누수에 의한 지하에 존재하는 액체의 분포 범위, 즉 두께와 폭을 감지하는 방법을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서 지하 매질 감지 장치는 지하에 설치되는 송출장치와 지상에 설치되는 수신장치로 구성된다. 지하의 송출장치는 초음파 송수신기, 무선통신 및 초음파 송수신과 관련된 회로부와 이차전지를 포함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로 구성된다. 지표면에 설치되는 지상의 수신장치는 초음파 송수신기, 무선통신 및 초음파 송수신과 관련된 회로부와 이차전지를 포함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로 구성되며 전원은 유선으로 직접 공급될 수도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lement a method of detecting a distribution range of a liquid existing underground, that is, a thickness and a width, due to leakage of a liquid leaked from a pupil existing underground, a water pipe or an oil pipeline. To this end, the underground medium detection device is composed of a transmitting device installed underground and a receiving device installed on the ground. The underground transmission device includes an ultrasonic transceiver, a circuit part related to wireless communication and ultrasonic transmission/reception, and a power supply unit that supplies power including a secondary battery. The ground receiving apparatus installed on the ground surface includes an ultrasonic transceiver, a circuit part related to wireless communication and ultrasonic transmission/reception, and a power supply unit that supplies power including a secondary battery, and the power may be directly supplied by wire.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응용 장치는, 지하에 설치된 송출장치에서 송신되는 초음파 신호와 초음파 신호와 동기화된 RF 신호를 지면에 위치한 다수의 수신장치들이 동시에 수신하고, 각 수신장치 별로 수신된 두 신호 간 지연 시간을 측정하여 이를 바탕으로 송출장치와 수신 장치 간 신호 경로 상에 위치한 동공이나 수도관 혹은 송유관 등에서 유출된 액체의 누수 범위 등 지하 매질의 분포 범위를 구하는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ultrasonic appl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ultrasonic signal transmitted from a transmitter installed underground and an RF signal synchronized with the ultrasonic signal are simultaneously received by a plurality of receivers located on the ground, and a delay between the two signals received for each receiver It is characterized by a method of determining the distribution range of the underground medium, such as the leakage range of the liquid leaked from the pupil or water pipe or oil pipe located on the signal path between the transmitting device and the receiving device based on this measurement of time.

본 발명을 통해 동기화된 초음파 신호와 RF 신호 간 신호 지연 현상을 이용하여 지하 동공이나 누수 현상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초음파 송수신부와 무선 회로부와 전지부가 일체화된 모듈 구조의 초음파 송수신 시스템의 제작이 구현 가능하여, 센서네트워크와 연결시 실시간으로 누수 등을 원격에서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누수 감지장치는 비가 오거나 누수가 적을 때에도 누출량을 감지할 수 없어 오동작할 소지가 있으나, 본 기술은 누수에 의한 누수 범위를 측정하므로 신뢰도가 높다. 또한, 송신 장치만을 지하에 매설하면 되므로 저렴하고 설치가 간단하여, 설치 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데이터를 누적하여 관찰하면 동공의 발생도 감지할 수 있어 동공 발생에 따른 재난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By using the signal delay phenomenon between the synchronized ultrasonic signal and the RF signal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the fabrication of an ultrasonic transceiving unit capable of measuring an underground pupil or leakage phenomenon, and an ultrasonic transceiving system having a module structure in which the wireless circuit unit and battery unit are integrated is implemented. It is possible, so when connected to the sensor network, water leakage can be detected remotely in real time. In addition, the existing leak detection device may not detect the amount of leakage even when it rains or the amount of leakage is small, which may cause malfunction, but this technology measures the range of leakage due to leakage, so the reliability is high. In addition, since only the transmission device needs to be buried underground, it is inexpensive and simple to install, so that the installation cost can be reduced. By accumulating and observing the data,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occurrence of pupils, which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disasters caused by pupils in advance.

매질별로 전파되는 음파의 속도는 공기 중에는 330 m/s, 물속에서는 1450 m/s이며, 화강암에서는 5000 m/s이다. 이러한 매질의 음속과 전송시간(Time of flight, TOF)을 구하면 두 위치 간 거리를 알아낼 수 있다. 이때 전자파 신호의 전송속도는 빛의 속도와 같고 매질과 무관하게 일정하나, 초음파 신호의 전송속도는 신호 경로 상에 존재하는 매질에 따라 달라진다. 이러한 전송속도를 구하는 방법으로는 임계값 검출기법, 포락선 추정기법, 주파수 인식기법과 위상변위기법 등이 적용될 수 있다.The speed of sound waves propagating by medium is 330 m/s in air, 1450 m/s in water, and 5000 m/s in granite. By calculating the speed of sound and the time of flight (TOF) of this medium,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positions can be determined. At this time, the transmission speed of the electromagnetic wave signal is the same as the speed of light and is constant regardless of the medium, but the transmission speed of the ultrasonic signal varies depending on the medium existing in the signal path. As a method of obtaining such a transmission rate, a threshold detector method, an envelope estimation method, a frequency recognition method and a phase shift method may be appli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응용 누수 감지 장치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ultrasonic leak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초음파 응용 누수 감지장치는 예시적으로 초음파/무선 송출장치(200)와 초음파/무선 수신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n ultrasonically applied leak detection device may include, for example, an ultrasonic/wireless transmitting device 200 and an ultrasonic/wireless receiving device 100.

상기 초음파/무선 수신장치(100)는 지표면에 위치될 수 있다. 초음파/무선 수신장치(100)는 초음파 수신부(101)와 무선 송수신부(10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ultrasonic/wireless receiving device 100 may be located on the ground surface. The ultrasonic/wireless receiver 100 may include an ultrasonic receiver 101 and a wireless transceiver 102.

지하 타겟 예컨대 수도관(600)의 하부에는 초음파/무선 송출장치(200)가 설치된다. 상기 초음파/무선 송출장치(200)는 초음파 송신부(201)와 무선 송수신부(202)를 포함할 수 있다. An ultrasonic/wireless transmission device 200 is installed below the underground target, for example, the water pipe 600. The ultrasonic/wireless transmission device 200 may include an ultrasonic transmitter 201 and a wireless transmission/reception unit 202.

이해의 편의를 위해 상기 수도관(600)의 이음새 사이에는 누수된 액체(500)가 도시되어 있다.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the leaked liquid 500 is shown between the seams of the water pipe 600.

상기 초음파/무선 송출장치(200)는 상기 수도관(600)의 아래에 위치하여 지표면을 향해 초음파 신호와 RF 신호를 송출한다. The ultrasonic/wireless transmitting device 200 is located under the water pipe 600 and transmits an ultrasonic signal and an RF signal toward the ground surface.

상기 초음파/무선 수신장치(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 지표면에서 배열되고, 상기 초음파/무선 송출장치(200)로부터 송출되는 상기 초음파 신호와 RF 신호를 수신한다. The ultrasonic/wireless receiver 100 is arranged on at least one ground surface, and receives the ultrasonic signal and the RF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ltrasonic/wireless transmitter 200.

상기 RF 신호는 상기 초음파/무선 수신장치(100)에서 트리거링 신호로 이용된다. 상기 초음파/무선 수신장치(100)는 상기 초음파 신호의 도달 시간을 측정함에 의해 상기 초음파 신호의 수신 경로 상에 존재하는 매질의 성분에 따라 달라지는 음속의 크기에 기반하여 상기 수신 경로 상에 위치한 지하 지질 구성 성분의 크기를 감지한다. 결국, 도 1의 경우에는 누수의 크기를 감지한다. The RF signal is used as a triggering signal in the ultrasonic/wireless receiver 100. The ultrasonic/wireless receiving device 100 measures the arrival time of the ultrasonic signal, and based on the magnitude of the sound velocity that varies depending on the component of the medium existing on the receiving path of the ultrasonic signal, the subterranean lipid located on the receiving path Detect the size of the components. As a result, in the case of FIG. 1, the size of the leak is detected.

상기 초음파/무선 수신장치(100)가 복수로 상기 지표면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됨에 의해, 상기 지하 지질 구성 성분의 크기는 3차원적으로 감지될 수 있다. Since a plurality of the ultrasonic/wireless receivers 100 are arranged on the ground surface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 size of the subsurface geological constituents can be detected in three dimensions.

상기 초음파/무선 송출장치(200)의 전원은 일차 전지로부터 제공되어 외부 전원이 필요 없는 구조, 지표면에서 연장된 전원선을 통해 전원을 수신하는 구조, 또는 이차전지를 구비하고 지표면에서 제공되는 초음파나 자기장을 통해 무선으로 충전되는 구조일 수 있다. The power of the ultrasonic/wireless transmission device 200 is provided from a primary battery and does not require external power, a structure for receiving power through a power line extending from the ground surface, or an ultrasonic wave or ultrasonic wave provided from the ground surface with a secondary battery. It may be a structure that is wirelessly charged through a magnetic field.

또한, 상기 초음파/무선 수신장치(100)의 전원도 유사하게, 일차 전지로부터 제공되어 외부 전원이 필요 없는 구조, 지표면의 전원 장치에서 연장된 전원선을 통해 전원을 수신하는 구조, 또는 이차전지를 구비하고 지표면의 전원 장치에서 제공되는 초음파나 자기장을 통해 무선으로 충전되는 구조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power of the ultrasonic/wireless receiver 100 is similarly provided from a primary battery so that external power is not required, a structure in which power is received through a power line extended from a power supply device on the ground surface, or a secondary battery. It may have a structure that is wirelessly charged through an ultrasonic wave or a magnetic field provided by a power device on the ground surface.

상기 초음파/무선 수신장치(100)는 수신 장치 간 통신이 가능하고 그 중 하나는 센서 게이트웨이를 통해 외부 통신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원격에서도 송수신 장치의 작동 및 측정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ultrasonic/wireless receiving device 100 may be configured to enable communication between receiving devices, and one of them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a sensor gateway to obtain operation and measurement data of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from a remote location.

상기 초음파/무선 수신장치(100)는 상기 초음파/무선 송출장치(200)와 무선이나 초음파로 통신하며 원격으로 상기 초음파/무선 송출장치를 휴면 상태(sleep mode) 혹은 동작 상태(operating mode)로 변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ultrasonic/wireless receiver 100 communicates with the ultrasonic/wireless transmitter 200 by wireless or ultrasonic waves, and remotely converts the ultrasonic/wireless transmitter to a sleep mode or an operating mode. It can be configured to be able to do.

상기 초음파/무선 수신장치(100)와 상기 초음파/무선 송출장치(200)는 파워 세이빙을 위해 일정시간 이상 비작동 상태이면 휴면 상태(sleep mode)로 자동 변환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ultrasonic/wireless receiving device 100 and the ultrasonic/wireless transmitting device 200 may be configured to automatically convert to a sleep mode when they are inactiv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or more for power saving.

상기 초음파/무선 송출장치(200)가 하나 이상인 경우에 상기 초음파/무선 수신장치(100)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하 타겟의 매질 변화를 감지하기 위해 서로 결합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초음파/무선 송출장치(200)가 하나 이상인 경우에는 각 송출신호에 발생 장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주파수를 다르게 하거나 송출 신호에 송출장치의 번호를 신호의 헤더 부분을 통해 보내어 수신장치에서 구별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re are more than one ultrasonic/wireless transmitting device 200, the ultrasonic/wireless receiving device 100 may also be composed of one or more and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to detect a change in the medium of the underground target. In addition, in the case of more than one ultrasonic/wireless transmitting device 200, the frequency is different to identify the generating device for each transmission signal, or the number of the transmitting device is sent to the transmitted signal through the header portion of the signal to distinguish it from the receiving device. To be able to do it.

상기 초음파 신호는 펄스파 형태나 싸인파 형태의 신호이며, 상기 도달 시간의 측정은 상기 초음파 신호와 상기 RF 신호의 펄스들 사이의 차이를 이용하거나 위상들 사이의 차이를 이용함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The ultrasonic signal is a signal in the form of a pulse wave or a sine wave, and the measurement of the arrival time may be obtained by using a difference between pulses of the ultrasonic signal and the RF signal or by using a difference between phases. .

상기 초음파/무선 수신장치(100)는 중심에서 방사형 방향으로 동심원상에 복수로 배열되거나 바둑판과 같은 사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으로 복수로 배열될 수 있다. The ultrasonic/wireless receiving apparatus 100 may be arranged in a plurality of concentric circles in a radial direction from the center or in a plurality of polygons including a square such as a checkerboard.

상기 초음파/무선 송출장치(200)와 상기 초음파/무선 수신장치(100)를 설치한 직후에 측정한 초음파 신호의 도달 시간을 기준으로 설정하고, 일정 시간 후 측정한 초음파 신호의 도달 시간과 상기 설정된 기준을 비교함에 의해 신호 경로 상에 위치한 상기 지하 타겟의 매질 변화가 감지될 수 있다. It is set based on the arrival time of the ultrasonic signal measured immediately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ultrasonic/wireless transmitting device 200 and the ultrasonic/wireless receiving device 100, and the arrival time of the ultrasonic signal measured after a certain time and the set A change in the medium of the underground target located on the signal path may be detected by comparing the reference.

상기 지하 타겟의 매질에서의 초음파 속도를 수학적 모델링을 통해서 계산한 후, 지하 매질 변화에 대한 속도 차를 측정하여 상기 지하 타겟의 누수나 싱크홀(동공) 또는 오염을 감지할 수 있다. After calculating the ultrasonic velocity in the medium of the underground target through mathematical modeling, a difference in velocity due to the change in the underground medium may be measured to detect leakage, sinkhole (pupil), or contamination of the underground target.

상기 RF 신호는 지면에서의 감쇄 정도에 따라 주파수가 가감될 수 있으며, 펄스파 형태나 싸인파 형태의 신호일 수 있다. The frequency of the RF signal may be increased or decreas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attenuation on the ground, and may be a pulse wave type or a sine wave type signal.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응용 누수 감지 장치에서 매질에 따른 속도 변화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예시적 신호 파형도이다.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hange in speed according to a medium in an ultrasonic water leak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signal waveform diagram according to FIG. 2.

도 2를 참조하면, 초음파 응용 누수 감지장치의 구성 예(단면도)에서는 초음파/무선 송출장치(200)와 초음파/무선 수신장치(100)의 사이에 수도관(600)이 존재하고, 수도관(600)의 주변에는 누수된 액체(500)가 존재한다. 초음파/무선 송출장치(200)에서 동기화된 초음파 신호와 RF 신호를 도 3과 같이 송신하면, 이 신호들은 각각 D1, D3와 D4 의 경로를 따라 초음파/무선 수신장치들(100,300,400)로 전송된다. Referring to FIG. 2, in an exemplary configuration (cross-sectional view) of an ultrasonic applied leak detection device, a water pipe 600 exists between the ultrasonic/wireless transmitting device 200 and the ultrasonic/wireless receiving device 100, and the water pipe 600 There is a leaked liquid 500 around the. When the ultrasonic signal and the RF signal synchronized by the ultrasonic/wireless transmitter 200 are transmitted as shown in FIG. 3, these signals are transmitted to the ultrasonic/wireless receivers 100, 300 and 400 along the paths of D1, D3 and D4, respectively.

매질의 밀도가

Figure 112015102313774-pat00001
인 흙에서는 초음파의 진행속도 및 전송시간을 각각 V1과 TOF1, 같은 매질에서 RF신호의 속도 및 전송시간을 각각 V2와 TOF2라고 하면, 이때 거리 D에서 총 지연 시간 ΔT 는 아래의 수학식 1에서 구할 수 있다.The density of the medium
Figure 112015102313774-pat00001
In soil, suppose that the speed and transmission time of ultrasonic waves are V1 and TOF1, respectively, and the speed and transmission time of RF signals in the same medium are V2 and TOF2, respectively.At this time, the total delay time ΔT at distance D can be obtained from Equation 1 below. I can.

Figure 112015102313774-pat00002
Figure 112015102313774-pat00002

도 3의 신호 파형에서 S1은 RF 신호를 나타내고, S3는 상기 RF 신호에 동기된 초음파 신호, S2는 전송경로를 통해 전송되는 RF 신호, G1은 다른 매질이 없는 경우 즉 누수나 누유, 싱크홀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의 초음파 신호를 나타낸다. G2는 다른 매질이 있는 경우 즉 누수나 누유, 싱크홀이 존재하는 경우의 지연(딜레이)된 초음파 신호를 나타낸다.In the signal waveform of FIG. 3, S1 represents an RF signal, S3 represents an ultrasonic signal synchronized with the RF signal, S2 represents an RF signal transmitted through a transmission path, and G1 represents a leak, leakage, or sinkhole when there is no other medium. It shows the ultrasonic signal when it does not exist. G2 denotes a delayed (delayed) ultrasonic signal when there is another medium, that is, leakage, leakage, or sinkhole.

D3와 같이 신호 경로 상에 매질이 일정하다면, 이때 신호지연 시간

Figure 112015102313774-pat00003
은 아래의 수학식 2를 통해 구할 수 있다.If the medium on the signal path is constant, such as D3, then the signal delay time
Figure 112015102313774-pat00003
Can be obtained through Equation 2 below.

Figure 112015102313774-pat00004
Figure 112015102313774-pat00004

본 장치의 설치 이후에 여러 가지 원인으로 초음파/무선 송출장치(200)와 초음파/무선 수신장치(100) 사이에 공간이 생겨서 동공이 존재하거나 수도관의 누수로 인해 물이 존재하여 D4와 같은 경로가 생긴다면, 신호지연시간은

Figure 112015102313774-pat00005
는 아래 수학식 3과 같이 구해진다.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device, there is a space between the ultrasonic/wireless transmitting device 200 and the ultrasonic/wireless receiving device 100 due to various causes, so that a pupil exists, or water exists due to a leak in the water pipe, so that the same path as D4 is If so, the signal delay time is
Figure 112015102313774-pat00005
Is obtained as in Equation 3 below.

Figure 112015102313774-pat00006
Figure 112015102313774-pat00006

이때, D3와 D4는 같은 거리의 동일 경로인 경우, D4 = D3 = D41 + D42 + D43 이며, 단지 시간의 변화에 따라 매질이 변화된 경로를 의미한다.In this case, when D3 and D4 are the same path with the same distance, D4 = D3 = D41 + D42 + D43, and only means a path in which the medium is changed according to time.

초음파/무선 송출장치(200)와 초음파/무선 수신장치(100)간 초음파 신호 지연시간이 동일 경로 상에서

Figure 112015102313774-pat00007
에서
Figure 112015102313774-pat00008
로 신호 전달시간이 지연된다면, 지연 시간만큼 매질의 변화에 따른 속도의 변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초음파/무선 송출장치(200)와 초음파/무선 수신장치(100)간 초음파 신호 지연시간의 변화로 매질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동공이 없는 경우의 시간지연
Figure 112015102313774-pat00009
과 동공이 있는 경우의 시간지연
Figure 112015102313774-pat00010
의 시간차가 동공의 크기를 결정한다.The ultrasonic signal delay time between the ultrasonic/wireless transmitting device 200 and the ultrasonic/wireless receiving device 100 is on the same path.
Figure 112015102313774-pat00007
in
Figure 112015102313774-pat00008
If the signal transmission time is delayed, it can be seen that there was a change in spe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medium as much as the delay time. In this way, a change in the medium may be detected due to a change in the delay time of an ultrasonic signal between the ultrasonic/wireless transmitting device 200 and the ultrasonic/wireless receiving device 100. Time delay when there is no pupil
Figure 112015102313774-pat00009
Time delay when there is a pupil and
Figure 112015102313774-pat00010
The difference in time determines the size of the pupil.

초음파 신호 지연시간은 상기의 시간차를 이용할 수 있지만, 싸인(sine)파와 같은 주기적 파를 이용할 때 발생하는 위상차로도 구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분야의 기초적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구현이 가능하다.The ultrasonic signal delay time can be obtained by using the above time difference, but can also be obtained as a phase difference generated when a periodic wave such as a sine wave is used, which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a person with basic knowledge in the field.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Meanwhile, 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determined,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equival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100: 수신 장치 101: 초음파 수신부
102: 무선 송수신부 300: 수도관
200: 송출 장치 201: 초음파 송신부
202: 무선 송수신부
100: receiving device 101: ultrasonic receiver
102: wireless transceiver 300: water pipe
200: transmitting device 201: ultrasonic transmitter
202: wireless transceiver

Claims (15)

지하 타겟 아래에 위치하여 지표면을 향해 초음파 신호와 RF 신호를 송출하는 초음파/무선 송출장치; 및
상기 지하 타겟의 상부에 있는 지표면에 위치하면서 상기 초음파/무선 송출장치로부터 송출되는 상기 초음파 신호와 RF 신호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초음파/무선 수신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RF 신호를 트리거링 신호로 이용하고 상기 초음파/무선 수신장치에 수신된 상기 초음파 신호의 도달 시간을 측정함에 의해 상기 초음파 신호의 수신 경로 상에 존재하는 매질의 성분에 따라 달라지는 음속의 크기에 기반하여 상기 수신 경로 상에 위치한 지하 지질 구성 성분의 크기를 감지하는 매질 변화 감지 장치.
An ultrasonic/wireless transmitting device located under an underground target and transmitting an ultrasonic signal and an RF signal toward the ground surface; And
At least one ultrasonic/wireless receiver positioned on the ground surface above the underground target and receiving the ultrasonic signal and the RF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ltrasonic/wireless transmitter,
Using the RF signal as a triggering signal and measuring the arrival time of the ultrasonic signal received by the ultrasonic/wireless receiver, based on the magnitude of the sound velocity that varies depending on the component of the medium existing on the receiving path of the ultrasonic signal A medium change detection device for detecting the size of an underground geological component located on the receiving pa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무선 수신장치는 복수로 상기 지표면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됨에 의해, 상기 지하 지질 구성 성분의 크기를 3차원적으로 감지하는 매질 변화 감지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ultrasonic/wireless receiving apparatus is arranged in a plurality on the ground surface at regular intervals to detect the size of the subsurface geological component in three dimension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신호는 펄스파 형태나 싸인파 형태의 신호이며, 상기 도달 시간의 측정은 상기 초음파 신호와 상기 RF 신호의 펄스들 사이의 차이를 이용하거나 위상들 사이의 차이를 이용함에 의해 얻는 매질 변화 감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ultrasonic signal is a signal in the form of a pulse wave or a sine wave, and the measurement of the arrival time uses a difference between pulses of the ultrasonic signal and the RF signal or a difference between phases. Medium change detection device obtained b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무선 수신장치는 중심에서 방사형 방향으로 동심원상에 배열되거나 바둑판과 같은 사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으로 배열되는 매질 변화 감지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ultrasonic/wireless receiver is arranged in a concentric circle in a radial direction from the center or in a polygonal shape including a square such as a checkerboa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무선 송출장치와 상기 초음파/무선 수신장치를 설치한 직후에 측정한 초음파 신호의 도달 시간을 기준으로 설정하고, 일정 시간 후 측정한 초음파 신호의 도달 시간과 상기 설정된 기준을 비교하여 신호 경로 상에 위치한 상기 지하 타겟과 지표면 사이에 위치한 매질 변화를 감지하는 매질 변화 감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ultrasonic/wireless transmitting device and the ultrasonic/wireless receiving device are set based on an arrival time of an ultrasonic signal measured immediately after installation, and an arrival time of the ultrasonic signal measur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 set A medium change detection device for comparing a reference and detecting a change in a medium located between the underground target located on the signal path and the ground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하 타겟과 지표면 사이에 위치한 매질에서의 초음파 속도를 수학적 모델링을 통해서 계산한 후, 지하 매질 변화에 대한 속도 차를 측정하여 상기 지하 타겟의 누수나 동공 또는 오염을 감지하는 매질 변화 감지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fter calculating the ultrasonic velocity in the medium located between the underground target and the ground surface through mathematical modeling, by measuring the difference in velocity of the change in the underground medium to detect leakage, pupil, or contamination of the underground target. Medium change detec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F 신호는 지면에서의 감쇄 정도에 따라 주파수가 가감될 수 있으며, 펄스파 형태나 싸인파 형태의 신호인 매질 변화 감지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frequency of the RF signal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according to a degree of attenuation on the ground, and is a signal in the form of a pulse wave or a sine wa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무선 송출장치의 전원은 일차 전지로부터 제공되어 외부 전원이 필요 없는 구조, 지표면에서 연장된 전원선을 통해 전원을 수신하는 구조, 또는 이차전지를 구비하고 지표면에서 제공되는 초음파나 자기장을 통해 무선으로 충전되는 구조인 매질 변화 감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ower supply of the ultrasonic/wireless transmission device is provided from a primary battery so that external power is not required, a structure that receives power through a power line extending from the ground surface, or a secondary battery is provided on the ground surface. A medium change detection device with a structure that is wirelessly charged through an ultrasonic or magnetic fiel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무선 수신장치는 수신 장치 간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고 그 중 하나는 센서 게이트웨이를 통해 외부 통신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원격에서도 송수신 장치의 작동 및 측정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매질 변화 감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ultrasonic/wireless receiving device enables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receiving devices, and one of them is connected to an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a sensor gateway so that operation and measurement data of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can be obtained from a remote location. Medium change detec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무선 수신장치는 상기 초음파/무선 송출장치와 무선이나 초음파로 통신하며 원격으로 상기 초음파/무선 송출장치를 휴면 상태(sleep mode) 혹은 동작 상태(operating mode)로 변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매질 변화 감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ultrasonic/wireless receiving device communicates with the ultrasonic/wireless transmitting device wirelessly or ultrasonically, and remotely converts the ultrasonic/wireless transmitting device into a sleep mode or an operating mode. A medium change detection device configured to be able to do so.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무선 수신장치는 상기 초음파/무선 송출장치와 무선이나 초음파로 통신하며 정기적으로 원격으로 상기 초음파/무선 송출장치를 휴면 상태(sleep mode) 에서 동작 상태(operating mode)로 변환하여 정기적인 측정을 행한 후, 다시 원격으로 상기 초음파/무선 송출장치를 휴면 상태(sleep mode)로 변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매질 변화 감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ultrasonic/wireless receiver communicates wirelessly or ultrasonically with the ultrasonic/wireless transmitter, and periodically remotely operates the ultrasonic/wireless transmitter in a sleep mode. A medium change detection device configured to be capable of converting to and performing periodic measurements, and then remotely converting the ultrasonic/wireless transmitting device to a sleep mod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무선 수신장치와 상기 초음파/무선 송출장치는 일정시간 이상 비작동 상태이면 휴면 상태(sleep mode)로 자동 변환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매질 변화 감지 장치.
11. The apparatus of claim 10, wherein the ultrasonic/wireless receiving device and the ultrasonic/wireless transmitting device are configured to automatically convert to a sleep mode when they are inactive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무선 송출장치가 하나 이상인 경우에 각 송출장치에서 송출되는 초음파 신호를 구별하기 위하여 송출되는 시간을 다르게 하거나, 신호의 앞부분에 헤더(header) 신호로써 송출장치의 번호를 구별되도록 하여 초음파 신호를 송출하는 매질 변화 감지 장치.
The number of the transmiss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when there is more than one ultrasonic/wireless transmission device, the transmission time is different to distinguish the ultrasonic signal transmitted from each transmission device, or as a header signal at the front of the signal. A medium change detection device that transmits an ultrasonic signal by making it distinc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무선 송출장치가 하나 이상인 경우에 상기 초음파/무선 수신장치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하 타겟의 매질 변화를 감지하기 위해 서로 결합 구성되는 매질 변화 감지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when there are more than one ultrasonic/wireless transmitting device, the ultrasonic/wireless receiving device is also composed of one or more and is coupled to each other to detect a change in the medium of the underground target.
수도관 아래에 위치하여 지표면을 향해 초음파 신호와 RF 신호를 송출하는 초음파/무선 송출장치; 및
상기 수도관의 상부에 있는 지표면에 위치하면서 상기 초음파/무선 송출장치로부터 송출되는 상기 초음파 신호와 RF 신호를 수신하는 2개 이상의 초음파/무선 수신장치들을 포함하고,
상기 RF 신호의 수신을 기점으로 상기 초음파/무선 수신장치에 수신된 상기 초음파 신호의 도달 시간을 측정함에 의해 상기 초음파 신호의 수신 경로 상에 존재하는 수도관 누수의 크기를 감지하는 매질 변화 감지 장치.




An ultrasonic/wireless transmitting device located under the water pipe and transmitting an ultrasonic signal and an RF signal toward the ground surface; And
Including two or more ultrasonic/wireless receivers positioned on the ground surface above the water pipe and receiving the ultrasonic signal and the RF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ltrasonic/wireless transmitter,
A medium change detection device configured to detect the magnitude of a water pipe leak present on a receiving path of the ultrasonic signal by measuring an arrival time of the ultrasonic signal received by the ultrasonic/wireless receiver starting from the reception of the RF signal.




KR1020150146829A 2014-11-24 2015-10-21 Underground medium detecting device KR1022176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949,628 US10078069B2 (en) 2014-11-24 2015-11-23 Device for detecting change in underground mediu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64537 2014-11-24
KR1020140164537 2014-11-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2681A KR20160062681A (en) 2016-06-02
KR102217681B1 true KR102217681B1 (en) 2021-02-22

Family

ID=56135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6829A KR102217681B1 (en) 2014-11-24 2015-10-21 Underground medium detect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768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27872B (en) * 2019-06-24 2024-03-22 南京延长反应技术研究院有限公司 Safety monitoring system in combustible ice exploitation process
CN113007611B (en) * 2021-02-18 2022-12-02 呼和浩特中燃城市燃气发展有限公司 Monitoring system for gas pipeline crossing river botto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1267A (en) 1998-11-25 2000-08-11 Osaka Gas Co Ltd Three-dimensional survey method and device
JP2012058038A (en) 2010-09-07 2012-03-22 Univ Of Tsukuba Underground movable body position estimation system, underground movable body position estimation device and underground movable body position estimation method
KR101463470B1 (en) 2014-05-29 2014-11-20 주식회사 씨에스 Remote managemmant system for the underground water using place and its probing MCU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6561A (en) * 2011-07-27 2013-03-14 (주)씨엠엔텍 Ultrasonic flowmeter and method for maintaining water grid system using in-line pressu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1267A (en) 1998-11-25 2000-08-11 Osaka Gas Co Ltd Three-dimensional survey method and device
JP2012058038A (en) 2010-09-07 2012-03-22 Univ Of Tsukuba Underground movable body position estimation system, underground movable body position estimation device and underground movable body position estimation method
KR101463470B1 (en) 2014-05-29 2014-11-20 주식회사 씨에스 Remote managemmant system for the underground water using place and its probing MCU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2681A (en) 2016-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78069B2 (en) Device for detecting change in underground medium
KR101876730B1 (en) Monitoring System for Leak Detection of Waterworks
US6003376A (en) Acoustic system for measuring the location and depth of underground pipe
US20120285221A1 (en) Acoustic probe for leak detection in water pipelines
US20200116536A1 (en) Ultrasonic flow meter
GB2468734A (en) Em-guided drilling relative to an existing borehole
US20170268954A1 (en) Pipeline Wireless Sensor Network
MX2010014443A (en) Apparatus and method to locate an object in a pipeline.
AU2016254739B2 (en) Device for detecting water leaks in pipelines and leak detection method
CN104183155A (en) Device for detecting parking space in parking lot and detection method
CN102221711A (en) Advanced prediction device for tunnel water inrush by using nuclear magnetic resonance differential detection and detection method
KR102293302B1 (en) An apparatus for detecting leakage and a system thereof
KR101956160B1 (en) Leak detecting apparatus
WO2015082702A3 (en) Downhole sonar
KR102217681B1 (en) Underground medium detecting device
WO2016158289A1 (en) Method and device for sensing buried metal using synchronous detection method
KR101526962B1 (en) System for detacting oil leakage of gas station and measuring level of oil in oil tank to prevent pollution of soil or underwater
CN103528548A (en) Wireless landslide monitoring device and monitoring method
CN105548362B (en) It is a kind of for detecting the sound wave reflection unit and method of stake holes substrate Geological Defects
JP2009250627A (en) Sensor position locating method
US20090126464A1 (en) Acoustic Detector
KR101165001B1 (en) System for measuring location using fixed reference node and moved reference node
CN205139380U (en) Sound wave reflection detects device of stake hole basement geology defect
CN113514199A (en) Method for detecting and locating fluid leaks
CN105300654A (en) Ultrasonic precise range finding system in low speed wind tun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