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7478B1 -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Packet Processing Time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Packet Processing Ti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7478B1
KR102217478B1 KR1020190109827A KR20190109827A KR102217478B1 KR 102217478 B1 KR102217478 B1 KR 102217478B1 KR 1020190109827 A KR1020190109827 A KR 1020190109827A KR 20190109827 A KR20190109827 A KR 20190109827A KR 102217478 B1 KR102217478 B1 KR 102217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et
information
time
packets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98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동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09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747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7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74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8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in relation to timing considerations
    • H04L47/283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in relation to timing considerations in response to processing delays, e.g. caused by jitter or round trip time [RT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4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 H04L47/2441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relying on flow classification, e.g. using integrated services [IntSer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50Queue scheduling
    • H04L47/56Queue scheduling implementing delay-aware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50Queue scheduling
    • H04L47/62Queue scheduling characterised by scheduling criteria
    • H04L47/625Queue scheduling characterised by scheduling criteria for service slots or service or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82Miscellaneous aspects
    • H04L47/828Allocation of resources per group of connections, e.g. per group of u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In the present embodiment, provided are a packet processing time adjusting method and a device therefor. The packet processing time adjusting method can guarantee a jitter for a packet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traffic in consideration of a packet gap time during packet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through this, a fast and delay-free service suitable for ultra-low latency can be provided. A packet processing device includes a packet grouping unit, a packet processing unit, and a packet output unit.

Description

패킷 처리 시간 조정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Packet Processing Time}Packet processing time adjustment method and apparatus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Packet Processing Time}

본 실시예는 패킷 처리 시간 조정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초저지연 트래픽 처리를 위해 패킷 처리 시간을 조정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embodiment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packet processing time.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packet processing time for processing ultra-low latency traffic.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The content described in this section merely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on the present embodiment and does not constitute the prior art.

5G 표준화를 진행하고 있는 3GPP(Th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는 2020년 5G 상용화를 목표로 모바일 코어 네트워크 시스템 및 모바일 액세스 네트워크 시스템을 위한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특히 SA2 WG(System Architecture 2 Working Group)에서는 NextGen이라는 이름으로 5G 코어 네트워크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한 표준화를 진행하고 있다.Th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which is undergoing 5G standardization, is discussing for mobile core network systems and mobile access network systems with the aim of commercializing 5G in 2020. In particular, SA2 WG (System Architecture 2 Working Group) is standardizing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5G core network under the name of NextGen.

5G 코어 네트워크는 NFV/SDN(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Software Defined Networking) 기술을 사용하기 위한 환경을 마련하고 있으며, UPF의 물리적인 위치의 종속성을 없앰으로써 네트워크 설계 및 운영의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The 5G core network provides an environment for using NFV/SDN (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Software Defined Networking) technology, and provides convenience in network design and operation by removing the dependency of the physical location of UPF.

한편, 5G 코어 네트워크에서 정의된 UPF(User Plane Function)는 초고속, 초저지연적으로 패킷을 처리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지연/지터를 제거해야 한다. 통상적으로 아무리 5G Core(UPF)에서 트래픽을 빨리 처리하더라도, 많은 네트워크 스위치/라우터를 경유하고, 이에 대한 트래픽을 처리/취합하는 관점에서 패킷 지연/지터를 제거하기란 쉽지 않다.Meanwhile, the UPF (User Plane Function) defined in the 5G core network must process packets with ultra-high speed and ultra-low delay, and for this, delay/jitter must be removed. In general, no matter how fast the 5G Core (UPF) processes traffic, it is difficult to remove packet delay/jitter from the viewpoint of passing through many network switches/routers and processing/aggregating traffic for them.

현재, 단말, 기지국, 코어는 트래픽을 송/수신할때, Best Effort 또는 GBR로 전달하지만, 패킷 지터(패킷의 지연 편차)를 보장할 수 없다는 한계가 존재한다.즉, E2E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점에서는, 현재 Rel.15 기준으로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으며, 결국 고객의 서비스 품질이 떨어질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Currently, the terminal, the base station, and the core transmit/receive traffic with Best Effort or GBR, but there is a limitation that packet jitter (delay deviation of packets) cannot be guaranteed. That is, from the viewpoint of providing E2E service In the current Rel.15 standar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ervice cannot be provided, and the service quality of the customer is inevitably deteriorated.

본 실시예는 패킷 송수신 시 패킷 갭 타임을 고려하여 트래픽을 송수신함으로써 패킷에 대한 지터가 보장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초저지연에 적합한 빠르고 지연 없는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to ensure jitter for a packet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traffic in consideration of a packet gap time during packet transmission and reception, thereby providing a fast, delay-free service suitable for ultra-low delay.

본 실시예는, 수신된 각 패킷을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킷 그룹으로 분류하는 패킷 그룹화부; 상기 각 패킷 그룹별 대응되는 갭 타임(Gap Time)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갭 타임 정보에 따라 상기 패킷 그룹 내 패킷 간의 도착 간격 시간(Inter Arrival Time)을 균등하게 조정하는 패킷 처리부; 및 상기 각 패킷 그룹별로 패킷을 출력하는 패킷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처리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acket grouping unit for classifying each received packet into at least one packet group according to a preset condition; A packet processing unit that calculates gap tim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packet group and equally adjusts an inter arrival time between packets in the packet group according to the gap time information; And a packet output unit that outputs a packet for each of the packet groups.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패킷 처리장치의 패킷 처리시간 조정방법에 있어서, 수신된 각 패킷을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킷 그룹으로 분류하는 과정; 상기 각 패킷 그룹별 대응되는 갭 타임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갭 타임 정보에 따라 상기 패킷 그룹 내 패킷 간의 도착 간격 시간을 균등하게 조정하는 과정; 및 상기 각 패킷 그룹별로 패킷을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처리시간 조정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adjusting a packet processing time of a packet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classifying each received packet into at least one packet group according to a preset condition; Calculating gap tim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packet group, and equally adjusting an arrival interval time between packets in the packet group according to the gap time information; And outputting a packet for each packet group.

본 실시예에 따르면, 패킷 송수신 시 패킷 갭 타임을 고려하여 트래픽을 송수신함으로써 패킷에 대한 지터가 보장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초저지연에 적합한 빠르고 지연 없는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jitter for a packet can be guaranteed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traffic in consideration of a packet gap time during packet transmission and reception, thereby providing a fast, delay-free service suitable for ultra-low delay.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5G 코어 네트워크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패킷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패킷 처리시간 조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패킷 정보 테이블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패킷 처리시간 조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패킷 정보 교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패킷 처리장치의 동작 형태를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패킷 처리시간 조정방법에 의한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5G core network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packet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3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packet processing time adjust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packet information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adjusting a packet processing 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acket information exchang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7 to 8 are exemplary diagrams illustrating an operation form of the packet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9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effect of the packet processing time adjust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5G 코어 네트워크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5G core network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LTE 통신시스템에서 통신서비스의 종류 및 전송 요구 속도 등이 다양해짐에 따라, LTE 주파수 증설 및 5G 통신시스템으로의 진화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In the LTE communication system, as the type of communication service and the transmission request speed are diversified, the LTE frequency expansion and the evolution to the 5G communication system are actively progressing.

이와 같이 빠르게 진화되고 있는 5G 통신시스템은, 한정된 무선자원을 기반으로 최대한 많은 수의 단말을 수용하면서,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향상된 모바일 광대역)/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대규모 기계형 통신)/URLLC(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 고도의 신뢰도와 낮은 지연 시간 통신)의 시나리오를 지원하고 있다.This rapidly evolving 5G communication system accommodates as many terminals as possible based on limited radio resources, while eMBB (Enhanced Mobile Broadband)/mMTC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It supports URLLC (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 scenarios.

특히, 5G에서는, 단말, 기지국(액세스), 코어 및 서버를 End to End로 지원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조를 정의하고 있으며, 기존 LTE(4G)에서 단일 노드(예: S-GW, P-GW 등)가 복합적으로 수행하던 제어 시그널링 및 데이터 송수신의 기능을 분리하여, 제어 시그널링 기능의 영역(Control Plane) 및 데이터 송수신 기능의 영역(User Plane)을 구분한 네트워크 구조를 정의하고 있다.In particular, in 5G, a network structure to support end-to-end terminals, base stations (access), cores, and servers is defined, and a single node (eg, S-GW, P-GW, etc.) in existing LTE (4G) By separating the functions of control signaling and data transmission/reception, which were performed in a complex manner, the network structure is defined by separating the control signaling function area (Control Plane) and the data transmission/reception function area (User Plane).

이때, 5G에서 Control Plane의 제어노드는, 단말의 무선구간 액세스를 제어하는 AMF(Access and Mobility Function), 단말 정보와 단말 별 가입서비스정보, 과금 등의 정책을 관리/제어하는 PCF(Policy Control Function), 단말 별로 데이터 서비스 이용을 위한 세션을 관리/제어하는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 외부 망과의 정보 공유 기능을 담당하는 NEF(Network Exposure Function) 등으로 정의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5G, the control node of the Control Plane is a Policy Control Function (PCF) that manages/controls policies such as AMF (Access and Mobility Function) that controls access to the wireless section of the terminal, terminal information and subscription service information for each terminal, and billing. ), SMF (Session Management Function) for managing/controlling sessions for data service use for each terminal, and NEF (Network Exposure Function) for sharing information with external networks.

도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5G 코어 네트워크에서는 UPF(User Plane Function)을 포함하는 데이터 평면(Data Plane)과 제어 평면(Control Plane)이 분리되어 있다. 이러한, 5G 코어 네트워크는 NFV/SDN(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Software Defined Networking) 기술을 사용하기 위한 환경을 마련하고 있으며, UPF의 물리적인 위치의 종속성을 없앰으로써 네트워크 설계 및 운영의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As shown in FIG. 1, in a 5G core network, a data plane including a user plane function (UPF) and a control plane are separated. The 5G core network provides an environment for using NFV/SDN (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Software Defined Networking) technology, and provides convenience in network design and operation by removing the dependency of the physical location of UPF.

최근, UPF에 대하여 사용자 및 서비스 특성에 따른 다양한 성능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5G 코어 네트워크 상에도 서로 차별화된 패킷 처리 기능을 지원하는 복수 개의 UPF가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5G 코어 네트워크에서 정의된 UPF(User Plane Function)는 초고속, 초저지연적으로 패킷을 처리하여야 한다. Recently, various performances according to user and service characteristics are required for UPF, and in addition, a plurality of UPFs supporting differentiated packet processing functions are provided on a 5G core network. On the other hand, the UPF (User Plane Function) defined in the 5G core network must process packets with ultra high speed and ultra low latency.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단말기, 기지국 또는 코어망에서 동작할 수 있는 패킷 균등 처리 방법을 제시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패킷 송수신 시 패킷 갭 타임을 고려하여 트래픽을 송수신함으로써 패킷에 대한 지터를 보장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초저지연에 적합한 서비스를 보장 받을 수 있도록 하는 패킷 처리 시간 조정방법을 제공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packet equalization processing method that can operate in a terminal, a base station, or a core network. In more detail, it is possible to guarantee jitter for packets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traffic in consideration of the packet gap time when transmitting and receiving packets, and through this, a packet processing time adjustment method that allows users to receive services suitable for ultra-low delays. to provide.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패킷 처리 시간 조정방법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패킷 처리장치가 단말기에서 동작하는 경우를 중점적으로 설명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 따른 패킷 처리장치는 단말기, 기지국, 코어망 중 어느 하나의 장치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Hereinafter, in describing the packet processing time adjust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case in which the packet processing apparatus operates in a terminal is mainly describ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packet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on any one of a terminal, a base station, and a core network.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패킷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packet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2에 도시하듯이, 본 실시예에 따른 패킷 처리장치(200)는 패킷 그룹화부(210), 패킷 처리부(220), 패킷 출력부(230) 및 피드백부(240)를 포함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패킷 처리장치(200)에 포함되는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s shown in FIG. 2, the packet process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acket grouping unit 210, a packet processing unit 220, a packet output unit 230, and a feedback unit 240. In this case,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packet process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패킷 그룹화부(210)는 복수의 패킷을 수신하고, 각 패킷을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킷 그룹으로 분류하는 그룹화 기능을 수행한다.The packet grouping unit 210 receives a plurality of packets and performs a grouping function of classifying each packet into at least one packet group according to a preset condition.

본 실시예에 있어서, 패킷 그룹화부(210)는 가입자 프로파일 및 가입자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가입자 정보 및 기 수집된 패킷 정보 테이블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복수의 패킷에 대하여 적응적으로 그룹화를 수행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packet grouping unit 210 adaptively groups a plurality of packets based on at least one of a previously collected packet information table and subscriber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subscriber profile and a subscriber state. can do.

여기서, 가입자 정보는 가입자에 대한 N/W 슬라이스 ID 식별정보, 가입자 단말기의 IP, IMSI, MSISDN, SUPI, GPSI 등의 식별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Here, the subscriber information may include N/W slice I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subscrib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such as IP, IMSI, MSISDN, SUPI, and GPSI of the subscriber terminal.

또한, 가입자가 특정 지역 Entry/Exit 시 Triggering, 가입자가 Handover 시, 특정 제어 Event 시 Triggering 등, 단말의 QoS 상태를 기준으로 Triggering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riggering information based on the QoS state of the terminal, such as triggering when a subscriber enters/exit in a specific area, triggers when a subscriber is handover, or when a specific control event may be included.

또한, 가입자의 RAT 정보(주파수, 4G/5G RAT, 기지국 이름 등), 가입자의 성능(Throughput, Latency, Jitter에 따른 Triggering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bscriber's RAT information (frequency, 4G/5G RAT, base station name, etc.), and the subscriber's performance (Throughput, Latency, triggering information according to jitter, etc.) may be included.

또한, 가입자의 RAT(무선 품질 시그널) 정보(예: Radio Resource Block, RB)가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bscriber's radio quality signal (RAT) information (eg, Radio Resource Block, RB) may be included.

예컨대, 패킷 그룹화부(210)는 가입자 정보를 기반으로 가입자의 무선품질 시그널 정보가 일정 임계치 이하인 경우 패킷 처리 시간 조정을 위한 패킷 그룹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acket grouping unit 210 may perform a packet grouping process for adjusting packet processing time when the subscriber's radio quality signal information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based on the subscriber information.

패킷 정보 테이블을 5G 코어 네트워크 내 단말기와 코어(ex: AMF) 간의 사이에 지속적인 정보 교류를 통해 수집된 패킷 처리 시간 조정과 관련한 패킷 정보를 포함한다.The packet information table includes packet information related to packet processing time adjustment collected through continuous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 terminal in the 5G core network and a core (ex: AMF).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패킷 정보 테이블은 패킷 처리 시간 조정 대상이되는 대상 패킷들에 대한 정보 및 식별 기준 등이 포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packet information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information on target packets subject to packet processing time adjustment and identification criteria.

대상 패킷 정보로는 패킷 플로우 그룹(N-tuple field(예: srcIP, dstIP, srcPort, dstPort, protocol)) 및 패킷 사이즈 그룹 정보(~ 64byte, ~ 128byte, ~ 256byte, ~ 1440byte)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target packet information may include a packet flow group (N-tuple field (e.g., srcIP, dstIP, srcPort, dstPort, protocol)) and packet size group information (~ 64 bytes, ~ 128 bytes, ~ 256 bytes, ~ 1440 bytes), etc. .

대상 패킷 정보는 추가로, 어플리케이션 특징을 나타내는 IMS 플로우 및 mVoIP(예: SIP, RTP 패킷), Streaming 플로우(예: RTSP, HLS, RTMP) , 웹 트래픽(WebSocket, WebRTC, HTTP/S)일 수 있다.The target packet information may additionally be an IMS flow indicating application characteristics, mVoIP (eg, SIP, RTP packet), streaming flow (eg, RTSP, HLS, RTMP), and web traffic (WebSocket, WebRTC, HTTP/S). .

식별 기준으로는 패킷이 지터를 유발할 것인지에 대한 판단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criter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determining whether a packet causes jitter.

그 외, 패킷 갭 시간설정정보, 타임 버퍼 큐 정보, 출력 인터페이스 정보 등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packet gap time setting information, time buffer queue information, output interface information, and the like may be additionally included.

이러한, 패킷 정보 테이블은 패킷에 대한 그룹화 수행여부 결정뿐만 아니라, 이후 그룹화된 패킷들에 대한 갭 타임 정보를 산출하는 과정에서 활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토록 한다.The packet information table may be used not only to determine whether to perform grouping on packets, but also to calculate gap time information for grouped packet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예컨대, 패킷 그룹화부(210)는 패킷 정보 테이블을 기반으로 지터를 유발할 것으로 판단된 특정 패킷의 존재가 확인된 경우 패킷 처리 시간 조정을 위한 패킷 그룹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acket grouping unit 210 may perform a packet grouping process for adjusting a packet processing time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specific packet determined to cause jitter is present based on the packet information table.

패킷 그룹화부(210)는 패킷에 상응하는 플로우 정보, 사이즈 정보 및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패킷 특징에 따라 각 패킷을 분류할 수 있다.The packet grouping unit 210 may classify each packet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f at least one of flow information, size information, and servi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acket.

패킷 그룹화부(210)는 수신한 패킷에 대한 식별화를 수행하고, 이를 기반으로 서로 동일 또는 유사한 패킷 특징을 갖는 패킷 간 그룹화를 수행할 수 있다.The packet grouping unit 210 may identify the received packets, and based on this, group packets having the same or similar packet characteristics.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패킷 그룹화부(210)는 앞서 설명한 패킷 정보 테이블을 활용하여 각 패킷들에 대한 그룹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패킷 그룹화부(210)는 수신한 패킷에 대한 식별화를 수행하고, 패킷 정보 테이블 내 해당 패킷의 특징에 대응되어 정의된 대응 타임 버퍼 큐 정보를 추출하여 패킷 그룹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대응 타임 버퍼 큐로의 입력 기준은 트래픽 식별에 따른 트리거 및 상태를 기준으로 하거나 목적지 인터페이스, 목적지 인터페이스 내 구분되는 포트 정보 및 타임 버퍼 큐 내 할당된 자원 및 사이즈 등일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packet grouping unit 210 may group each packet by using the packet information table described above. For example, the packet grouping unit 210 may perform a packet grouping process by identifying a received packet and extracting corresponding time buffer queue information defined in correspondence with a characteristic of a corresponding packet in the packet information table. In this case, the input criterion to the corresponding time buffer queue may be based on a trigger and status according to traffic identification, or may be a destination interface, port information classified within the destination interface, and resources and sizes allocated within the time buffer queue.

본 실시예에 있어서, 패킷 그룹화부(210)는 패킷 처리와 관련하여 서로 상이한 자원이 할당 분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임 버퍼 큐(Time Buffer Queue)를 구현하고, 이를 패킷 그룹화 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packet grouping unit 210 may implement at least one time buffer queue to which different resources are allocated and distributed in relation to packet processing, and may utilize this in a packet grouping process.

타입 버퍼 큐는 패킷들을 그룹화 시키는 큐로서 시간 기반으로 동작한다. 이러한, 타임 버퍼 큐는 패킷 처리 시간 조정과 관련하여 기 설정된 패킷의 특징에 대응하여 복수 개가 구현될 수 있다.The type buffer queue is a queue that groups packets and operates on a time basis. A plurality of time buffer queues may be implemented corresponding to characteristics of a packet preset in connection with packet processing time adjustment.

패킷 그룹화부(210)는 각 패킷 그룹별로 패킷 그룹 내 포함된 패킷들을 해당 패킷의 특징에 대응하는 대응 타임 버퍼 큐 상에 입력시킨다.The packet grouping unit 210 inputs packets included in the packet group for each packet group onto a corresponding time buffer queue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packet.

패킷 그룹화부(210)는 패킷 그룹화 수행 시 각 패킷 그룹 내 포함되는 패킷 사이즈가 이전 패킷 그룹 내 포함되는 패킷 사이즈 대비 순차적으로 커지거나 작아지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는, 패킷 선택이 유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더욱 더 높은 효율과 동시에 저지연을 지속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When performing packet grouping, the packet grouping unit 210 may implement a packet size included in each packet group to increase or decrease sequentially compared to a packet size included in the previous packet group. This, since the packet selection can be changed flexibly, there is an effect of maintaining a higher efficiency and a low delay at the same time.

패킷 처리부(220)는 패킷 처리 시간 조정을 위한 실질적인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장치를 의미한다.The packet processing unit 220 refers to a device that performs a practical process for adjusting packet processing time.

본 실시예에 있어서, 패킷 처리부(220)는 패킷 그룹화부(210)를 통해 그룹화된 각 패킷 그룹별 대응되는 갭 타임(Gap Time)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갭 타임 정보에 따라 패킷 그룹 내 패킷 간의 도착 간격 시간(Inter Arrival Time)을 균등하게 조정한다.In this embodiment, the packet processing unit 220 calculates gap tim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packet group grouped through the packet grouping unit 210, and the packet within the packet group according to the calculated gap time information. Inter Arrival Time is equally adjusted.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패킷 그룹화 과정에서 각 패킷 그룹별로 패킷 그룹 내 포함된 패킷들을 대응하는 대응 타임 버퍼 큐 상에 입력시키며, 이에, 패킷 처리부(220)는 타임 버퍼 큐별로 타임 버퍼 내 입력된 패킷 간의 도착 간격 시간을 균등 조정하기 위한 갭 타임 정보를 산출한다. 즉, 타임 버퍼 큐 내 들어있는 패킷들에 대하여 패킷 간 갭 시간을 균등하게 설정하는 것이다.Meanwhile, 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packets included in the packet group for each packet group are input on the corresponding time buffer queue in the packet grouping process. Accordingly, the packet processing unit 220 Gap time information is calculated for equally adjusting the arrival interval time between the two. That is, the gap time between packets is equally set for packets in the time buffer queue.

통상적으로 패킷 처리시간을 조정하는 방법은 존재하지 않았다. 그 이유는 패킷을 상시‘Best Effort’로, 보낼 수 있으면 보내고, 못 보내면 다른 패킷들과 같이 보내기 때문이다. 그래서 패킷 간 패킷의 Gap(시간 간격)이 상시 불일치 하게 나올 수 밖에 없다. 참고로 패킷 갭 타임은 패킷 도착 간격 시간(Packet Inter-Arrival Time)이라고도 볼 수 있다.Usually, there is no way to adjust the packet processing time. The reason is that packets are always sent as "Best Effort," if they can, and if they can't, they are sent together with other packets. Therefore, the gap (time interval) of the packets between packets is always inconsistent. For reference, the packet gap time can also be considered as the packet inter-arrival time.

이 점에 기인하여, 패킷 처리부(220)는 서비스/종류 등의 분류 품질에 따라 분류된 패킷 간의 갭 타임을 일정하게 만듬으로써 초저지연 트래픽 품질 제공을 위한 데이터 패킷의 지연과 지터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한다.Due to this, the packet processing unit 220 makes the gap time between packet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quality such as service/type constant, so that the delay and jitter of the data packet for providing ultra-low delay traffic quality can be minimized. do.

패킷 처리부(220)는 각 패킷 그룹별로 패킷 그룹 내 포함된 패킷 간의 갭 타임을 동일하게 설정하거나, 특정 평균값 등으로 설정할 수 있다.The packet processing unit 220 may set the same gap time between packets included in the packet group for each packet group or set to a specific average value.

다른 실시예에서, 패킷 처리부(220)는 각 패킷 그룹별 패킷 그룹 내 포함된 패킷들에 대한 패킷 특징 및 기 수집된 패킷 정보 테이블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각 패킷 그룹별 대응되는 갭 타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패킷 처리부(220)는 패킷 정보 테이블 내 패킷별 기 정의된 패킷 갭 시간설정정보를 기반으로 각 패킷 그룹별 패킷 그룹 내 포함된 패킷들에 대하여 수집된 패킷 개수, 패킷 사이즈 및 패킷 스트림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패킷 특징을 고려하여 갭 타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packet processing unit 220 calculates gap tim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packet group based on at least one of packet characteristics and previously collected packet information tables for packets included in the packet group for each packet group. can do. For example, the packet processing unit 220 includes the number of packets collected for the packets included in the packet group for each packet group, the packet size, and packet stream time based on the packet gap time setting information predefined for each packet in the packet information table. Gap time information may be calculated in consideration of at least one packet characteristic.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패킷들이 복수의 패킷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이에, 패킷 그룹별 즉, 타임 버퍼 큐 간의 갭 타임 정보를 추가 산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타임 버퍼 큐 간의 갭 타임 정보는 해당 타임 버퍼 내 포함된 패킷들에 대한 패킷 특징 및 기 수집된 패킷 정보 테이블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산출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packets may be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packet groups, and thus, gap time information for each packet group, that is, between time buffer queues, may be additionally calculated. Similarly, the gap time information between the time buffer queues may be calculated based on at least one of a packet characteristic of packets included in the corresponding time buffer and a previously collected packet information table.

도 3의 (a)를 참조하면, 종래의 패킷 처리방법에 의하는 경우 패킷을 상시‘Best Effort’로 보내기 때문에 패킷 간 패킷의 Gap이 상시 불일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A,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packet processing method, since packets are always sent as'Best Effort',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gap between packets is always inconsistent.

반면, 도 3의 (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패킷 처리 시간 조정에 의하는 경우 패킷별 특징에 따라 각 패킷이 대응되는 타임 버퍼 큐 상에 입력되어 그룹화가 이루어지며, 타임 버퍼 큐별로 타임 버퍼 내 패킷 간의 갭 타임(ex: 패킷 그룹1: gA, 패킷 그룹2: gB)이 균등하게 정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b) of FIG. 3, in the case of packet processing time adjus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each packet is input on a corresponding time buffer queu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acket to be grouped. It can be seen that the gap times between packets in the time buffer (ex: packet group 1: gA, packet group 2: gB) are evenly arranged.

또한, 복수의 타임 버퍼 큐 간에도 갭 타임(gX)이 균등하게 정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gap times gX are evenly arranged between a plurality of time buffer queues.

패킷 출력부(230)는 각 패킷 그룹별로 패킷을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패킷 출력부(230)는 타임 버퍼 큐별 트래픽을 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하게 된다. 즉, 패킷 출력부(230)는 각각의 타임 버퍼 큐들이 일정 시간이 되면, 각 타임 버퍼 큐 내에 있는 패킷들을 송신한다. 여기서 인터페이스의 종류는 무선 관련 RLC 레이어, PDCP 레이어 등 분리 구조로 구분되어 각 주파수(3.5Ghz/28Ghz 등)에 따라 송신될 수 있다.The packet output unit 230 outputs a packet for each packet group. In this embodiment, the packet output unit 230 transmits traffic for each time buffer queue through the output interface. That is, the packet output unit 230 transmits packets in each time buffer queue when each of the time buffer queues reaches a predetermined time. Here, the interface type is divided into a separate structure such as a radio-related RLC layer and a PDCP layer, and can be transmitted according to each frequency (3.5Ghz/28Ghz, etc.).

피드백부(240)는 이동성 관리 기능을 담당하는 이동성 관리장치(ex: AMF)와의 사이에 패킷 처리와 관련한 정보를 서로 공유하는 기능을 담당한다.The feedback unit 240 is responsible for a function of sharing information related to packet processing with a mobility management apparatus (ex: AMF) in charge of a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본 실시예에 있어서, 피드백부(240)는 이동성 관리장치로부터 단말기와 코어 간의 사이에 지속적인 정보 교류를 통해 수집된 패킷 처리 시간 조정과 관련한 패킷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패킷 정보는 바람직하게는 패킷 처리 시간 조정 대상이되는 대상 패킷들에 대한 정보 및 식별 기준 등이 정의된 패킷 정보 테이블일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eedback unit 240 may receive packet information related to packet processing time adjustment collected through continuous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core from the mobility management device. Here, the packet information may preferably be a packet information table in which information on target packets to be subjected to packet processing time adjustment and identification criteria are defined.

이후, 피드백부(240)는 제공받은 패킷 정보 테이블에 기반하여 조정된 패킷 처리 시간과 관련된 상태 정보 예컨대, 현재 트래픽 패킷 상태 및 패킷 전송 시간 등의 정보를 이동성 관리장치로 피드백한다. 이러한, 상태 정보는 이동성 관리장치로 하여금 패킷 정보 테이블을 업그레이드하는 데 있어서 활용되며, 이동성 관리장치는 업그레이드된 패킷 정보 테이블을 다시 피드백부(240)로 전달한다.Thereafter, the feedback unit 240 feeds back information related to the packet processing time adjusted based on the received packet information table, such as current traffic packet status and packet transmission time, to the mobility management apparatus. Such state information is used by the mobility management device to upgrade the packet information table, and the mobility management device transmits the upgraded packet information table back to the feedback unit 240.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패킷 처리시간 조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adjusting a packet processing 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패킷 처리장치(200)는 복수의 패킷이 수신되면 수신한 패킷에 대한 식별화를 수행하고, 패킷 정보를 입수한다(S502). 단계 S502에서 패킷 처리장치(200)는 이동성 관리장치로부터 단말기와의 사이에 지속적인 정보 교류를 통해 수집된 패킷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한 패킷 정보 테이블을 수신할 수 있다.When a plurality of packets are received, the packet processing apparatus 200 identifies the received packets and obtains packet information (S502). In step S502, the packet processing apparatus 200 may receive a packet information table based on packet-related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continuous exchange of information with the terminal from the mobility management apparatus.

또한, 패킷 처리장치(200)는 가입자 프로파일 및 가입자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가입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cket processing apparatus 200 may receive subscriber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subscriber profile and a subscriber status.

패킷 처리장치(200)는 수신한 패킷이 지연/지터를 보장해야할 트래픽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504). 단계 S504에서 패킷 처리장치(200)는 단계 S502에서 수신한 가입자 정보 및 패킷 정보 테이블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패킷에 대한 지연/지터 보장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The packet processing apparatus 200 checks whether the received packet is traffic to be guaranteed for delay/jitter (S504). In step S504, the packet processing apparatus 200 may check whether delay/jitter is guaranteed for the packet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subscriber information and the packet information table received in step S502.

패킷 처리장치(200)는 단계 S504에서 지연/지터 보장 대상이 아닌 패킷에 대해서는 일반적인 패킷 처리방식에 따라 패킷을 송신한다(S506).In step S504, the packet processing apparatus 200 transmits a packet according to a general packet processing method for packets that are not subject to delay/jitter guarantee (S506).

패킷 처리장치(200)는 단계 S504에서 지연/지터 보장 대상으로 판별된 패킷에 대해서는 대응되는 타임 버퍼 큐의 종류를 선택하고, 선택한 타임 버퍼 큐 상에 패킷을 입력한다(S508). 단계 S508에서 패킷 처리장치(200)는 패킷 정보 테이블 내 지연/지터 보장 대상 패킷의 특징에 대응되어 정의된 타임 버퍼 큐 정보를 추출하여 패킷 그룹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The packet processing apparatus 200 selects the type of the corresponding time buffer queue for the packet determined as the delay/jitter guarantee object in step S504, and inputs the packet onto the selected time buffer queue (S508). In step S508, the packet processing apparatus 200 may perform a packet grouping process by extracting time buffer queue information defined in response to a characteristic of a packet to be guaranteed delay/jitter in the packet information table.

패킷 처리장치(200)는 각각의 타임 버퍼 큐별로 타임 버퍼 내 패킷들 간의 갭 타임을 선정한다(S510). 단계 S510에서 패킷 처리장치(200)는 서비스/종류 등의 분류 품질에 따라 분류된 패킷 간의 갭 타임을 일정하게 만듬으로써 초저지연 트래픽 품질 제공을 위한 데이터 패킷의 지연과 지터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한다.The packet processing apparatus 200 selects a gap time between packets in the time buffer for each time buffer queue (S510). In step S510, the packet processing apparatus 200 uniformly sets a gap time between packets classified according to classification quality such as service/type, so that delay and jitter of data packets for providing ultra-low-latency traffic quality can be minimized.

패킷 처리장치(200)는 각 타임 버퍼 큐별 타임 버퍼 내 포함된 패킷들에 대한 패킷 특징 및 기 수집된 패킷 정보 테이블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각 패킷 그룹별 대응되는 갭 타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The packet processing apparatus 200 may calculate gap tim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packet group based on at least one of a packet characteristic of packets included in the time buffer for each time buffer queue and a previously collected packet information table.

패킷 처리장치(200)는 각 타임 버퍼 큐별로 타임 버퍼 내 순차적으로 패킷 전송을 준비하고(S510), 준비된 기준으로 패킷을 전송한다(S512). 단계 S510에서 패킷 처리장치(200)는 현재 트래픽 패킷 상태 및 패킷 전송 시간 등의 정보를 이동성 관리장치로 피드백할 수 있다.The packet processing apparatus 200 prepares for sequential packet transmission in the time buffer for each time buffer queue (S510), and transmits the packet based on the prepared reference (S512). In step S510, the packet processing apparatus 200 may feed back information such as a current traffic packet state and a packet transmission time to the mobility management apparatus.

여기서, 단계 S502 내지 S512는 앞서 설명된 패킷 처리장치(200)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에 대응되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 steps S502 to S512 correspond to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of the packet processing apparatus 200 described above, and thus further detailed descriptions are omitted.

도 5에서는 각각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도 5에 기재된 과정을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5는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FIG. 5, it is described that each process is sequentially execut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other words, since the process described in FIG. 5 may be changed and executed or one or more processes may be executed in parallel, FIG. 5 is not limited to a time series order.

전술한 바와 같이 도 5에 기재된 패킷 처리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CD-ROM, RAM, ROM, 메모리 카드,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디바이스 등)에 기록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acket processing method described in FIG. 5 is a recording medium (CD-ROM, RAM, ROM, memory card, hard disk, magneto-optical disk, storage device, etc.) that is implemented as a program and can be read using software of a computer. Can be written on.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패킷 정보 교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한편, 도 6에서는 패킷 처리장치(200)가 단말기 상에 구현된 경우를 예시하였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acket information exchang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eanwhile, in FIG. 6, a case in which the packet processing apparatus 200 is implemented on a terminal is illustrated.

도 6에 도시하듯이, 본 실시예에 따른 패킷 정보 교류방법은 ① 내지 ④의 단계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6, the packet information exchange method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onsists of steps ① to ④.

단계 ①은 이동성 관리 장치가 PCF, NF 등으로부터 트래픽 지터 처리와 관련한 정책을 제공받는 과정이다.Step ① is a process in which the mobility management device receives a policy related to traffic jitter processing from PCF, NF, etc.

단계 ②는 이동성 관리장치가 단계 ①에서 제공받은 정책 및 단말기와의 사이에 지속적인 정보 교류를 통해 수집된 패킷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한 패킷 정보 테이블을 단말기 단말기 상의 패킷 처리장치(200)로 제공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패킷 처리장치(200)는 수신한 패킷 정보 테이블의 설정 가능성을 확인하고, 설정이 완료되면 이에 대한 응답 또는 현재 상태를 이동성 관리장치로 전송한다.Step ② is a process in which the mobility management device provides a packet information table based on the policy provided in step ① and packet-related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continuous exchange of information with the terminal to the packet processing device 200 on the terminal terminal. to be. Here, the packet processing apparatus 200 checks the possibility of setting the received packet information table, and when the setting is completed, transmits a response or a current state thereof to the mobility management apparatus.

단계 ③은 패킷 처리장치(200)가 지연/지터 보장 대상으로 판별된 패킷에 대해서 단계 ②의 패킷 정보 테이블을 활용하여 대응되는 타임 버퍼 큐의 종류를 선택하고, 선택한 타임 버퍼 큐 상에 패킷을 입력 및 각각의 타임 버퍼 큐별로 타임 버퍼 내 패킷들 간의 갭 타임을 선정하는 과정이다.In step ③, the packet processing apparatus 200 selects the type of the corresponding time buffer queue using the packet information table of step ② for the packet determined as the delay/jitter guarantee target, and inputs the packet on the selected time buffer queue. And selecting a gap time between packets in the time buffer for each time buffer queue.

단계 ④는 패킷 처리장치(200)가 단계 ③의 패킷 처리 시간 조정에 따른 현재 상태를 이동성 관리장치로 전달하고, 이동성 관리장치로부터 현재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업그레이드된 패킷 정보 테이블을 피드백받는 과정이다.Step ④ is a process in which the packet processing device 200 transmits the current state according to the packet processing time adjustment in step ③ to the mobility management device, and receives an upgraded packet information table from the mobility management device based on the current state information.

도 7 내지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패킷 처리장치의 동작 형태를 예시한 예시도이다.7 to 8 are exemplary diagrams illustrating an operation form of the packet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패킷 처리장치(120)가 단말기 상에 구현된 경우를 예시한 예시도이다. 이때, 단말기 내 패킷 스트림부(앞단의 packet transmit), Qos 제어부, 패킷 전송부(뒷단의 packet transmit)가 각각 패킷 처리장치(120)의 패킷 그룹화부(210), 패킷 처리부(220) 및 패킷 출력부(230)로서 동작할 수 있다.7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packet processing apparatus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implemented on a terminal. At this time, the packet stream unit (packet transmit at the front end), the Qos control unit, and the packet transmission unit (packet transmit at the rear end) in the terminal are the packet grouping unit 210, the packet processing unit 220 and the packet output of the packet processing unit 120, respectively. It can operate as the unit 230.

도 7을 참조하면, 패킷 스트림부는 들어오는 패킷 입력 스트림들에 대한 기간 또는 주기를 설정하며, 해당 패킷들을 패킷의 특징에 따라 동일 그룹핑을 만들어서 대응되는 타임 버퍼 큐에 넣는다.Referring to FIG. 7, the packet stream unit sets a period or period for incoming packet input streams, creates the same grouping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cket, and puts them in a corresponding time buffer queue.

Qos 제어부는 각 타임 버퍼 내 포함된 패킷들 간의 특정 갭 타임 시간을 만든다.The Qos control unit creates a specific gap time time between packets included in each time buffer.

패킷 출력부(230)는 각각의 타임 버퍼들이 일정 시간이 되면, 각 타임 버퍼에 있는 패킷들을 송신한다. 참고로, 입력 패킷 전송 시간은 출력 패킷 전송 시간과 유사해야 한다. 단, 출력 패킷 전송은 통상적으로 처리 시간까지 포함되기 때문에 출력시간이 입력 시간보다 좀 더 길 수 있다.The packet output unit 230 transmits packets in each time buffer when each of the time buffers reaches a predetermined time. For reference, the input packet transmission time should be similar to the output packet transmission time. However, since the output packet transmission usually includes processing time, the output time may be longer than the input time.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패킷 처리장치(120)가 UPF 상에 구현된 경우를 예시한 예시도이다. 이때, UPF 내 PDR, QER, FAR 및 URR이 각각 패킷 처리장치(120)의 패킷 그룹화부(210), 패킷 처리부(220), 패킷 출력부(230) 및 피드백부(240)로서 동작할 수 있다.8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packet processing apparatus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implemented on the UPF. At this time, PDR, QER, FAR, and URR in the UPF may operate as the packet grouping unit 210, the packet processing unit 220, the packet output unit 230, and the feedback unit 240 of the packet processing apparatus 120, respectively. .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패킷 처리시간 조정방법에 의한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9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effect of the packet processing time adjust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9의 (a)를 참조하면, 현재 단말, 기지국, 코어는 트래픽을 송/수신할 때, Best Effort 또는 GBR로 전달하지만, 패킷 지터(패킷의 지연 편차)를 보장할 수 없다. 즉, E2E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점에서는 현재 Rel.15 기준으로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으며 결국 고객의 서비스 품질이 떨어질 수 밖에 없다.Referring to (a) of FIG. 9, when a current terminal, a base station, and a core transmit/receive traffic, the best effort or GBR is used, but packet jitter (packet delay deviation) cannot be guaranteed. In other words, from the perspective of providing E2E service, the service cannot be provided based on the current Rel.15 standard, and the service quality of the customer is inevitably lowered.

반면, 도 9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단말, 기지국 또는 코어망에서 동작할 수 있는 패킷 균등 처리 방법을 제시하며, 패킷 송/수신 시 패킷 갭 타임을 고려하여 트래픽을 송/수신함으로 패킷에 대한 지터를 보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객은 초저지연에 적합한 서비스를 보장받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b) of FIG. 9,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packet equalization processing method that can operate in a terminal, a base station or a core network, and transmits/receives traffic in consideration of the packet gap time when transmitting/receiving packets. As a result, jitter for packets can be guaranteed. Through this, customers can be guaranteed a service suitable for ultra-low delay.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embodiment belongs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embodiment. Accordingly,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but are illustrative,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s not limited by these exemplary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is embodiment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embodiment.

200: 패킷 처리장치 210: 패킷 그룹화부
220: 패킷 처리부 230: 패킷 출력부
240: 피드백부
200: packet processing unit 210: packet grouping unit
220: packet processing unit 230: packet output unit
240: feedback unit

Claims (11)

수신된 각 패킷을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킷 그룹으로 분류하는 패킷 그룹화부;
상기 각 패킷 그룹별 대응되는 갭 타임(Gap Time)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갭 타임 정보에 따라 상기 패킷 그룹 내 패킷 간의 도착 간격 시간(Inter Arrival Time)이 균등해지도록 상기 패킷 그룹 내 패킷의 전송 시간을 조정하는 패킷 처리부; 및
상기 각 패킷 그룹별로 패킷을 출력하는 패킷 출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처리장치.
A packet grouping unit for classifying each received packet into at least one packet group according to a preset condition;
Calculates corresponding gap time information for each packet group, and transmits time of packets in the packet group so that inter-arrival time between packets in the packet group is equalized according to the gap time information A packet processing unit that adjusts; And
Packet output unit for outputting packets for each of the packet groups
Packet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그룹화부는,
가입자 프로파일 및 가입자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가입자 정보 및 기 수집된 패킷 정보 테이블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패킷에 대하여 적응적으로 그룹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acket grouping unit,
And adaptively grouping the plurality of packets based on subscriber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subscriber profile and subscriber status and a previously collected packet information tab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그룹화부는,
상기 패킷에 상응하는 플로우 정보, 사이즈 정보 및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패킷 특징에 따라 상기 각 패킷을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acket grouping unit,
And classifying each packet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f at least one of flow information, size information, and servi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acke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그룹화부는,
상기 각 패킷 그룹 내 포함되는 패킷 사이즈가 이전 패킷 그룹 내 포함되는 패킷 사이즈 대비 순차적으로 커지거나 작아지도록 그룹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acket grouping unit,
And grouping such that a packet size included in each packet group is sequentially increased or decreased compared to a packet size included in a previous packet group.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그룹화부는,
패킷 처리와 관련하여 서로 상이한 자원이 할당 분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임 버퍼 큐(Time Buffer Queue)를 구비하며, 상기 각 패킷 그룹별로 패킷 그룹 내 포함된 패킷들을 대응하는 대응 타임 버퍼 큐 상에 입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acket grouping unit,
It includes at least one time buffer queue to which different resources are allocated and distributed in relation to packet processing, and inputting packets included in the packet group for each packet group onto a corresponding corresponding time buffer queue Packet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by the above.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처리부는,
상기 대응 타임 버퍼 큐별로 타임 버퍼 내 입력된 패킷 간의 상기 도착 간격 시간을 균등 조정하기 위한 상기 갭 타임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packet processing unit,
And calculating the gap time information for equally adjusting the arrival interval time between packets input in the time buffer for each corresponding time buffer queu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처리부는,
상기 각 패킷 그룹별 패킷 그룹 내 포함된 패킷들에 대한 패킷 특징 및 기 수집된 패킷 정보 테이블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각 패킷 그룹별 대응되는 갭 타임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acket processing unit,
And calculating gap tim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packet group based on at least one of a packet characteristic and a previously collected packet information table for packets included in the packet group for each packet group.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처리부는,
상기 패킷 정보 테이블 내 패킷별 기 정의된 패킷 갭 시간설정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각 패킷 그룹별 패킷 그룹 내 포함된 패킷들에 대하여 수집된 패킷 개수, 패킷 사이즈 및 패킷 스트림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패킷 특징을 고려하여 상기 갭 타임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7,
The packet processing unit,
The packet characteristic of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packets collected for the packets included in the packet group for each packet group, the packet size, and the packet stream time based on predefined packet gap time setting information for each packet in the packet information table And calculating the gap time information in consideration of.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처리부는,
상기 각 패킷 그룹 단위에 대응하는 갭 타임 정보를 추가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acket processing unit,
And further calculating gap tim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packet group unit.
제 1항에 있어서,
이동성 관리 기능을 담당하는 이동성 관리장치와의 사이에 상기 패킷 처리와 관련한 정보를 서로 공유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피드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피드백부는, 현재 트래픽 패킷 상태 및 패킷 전송 시간 정보를 포함한 패킷 상태 정보를 상기 이동성 관리장치로 전달하고, 상기 이동성 관리장치로부터 상기 패킷 상태 정보가 반영된 패킷 정보 테이블을 피드백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eedback unit in charge of shar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packet processing with a mobility management device in charge of a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The feedback unit transmits packet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current traffic packet status and packet transmission time information to the mobility management device, and receives a feedback packet information table reflecting the packet status information from the mobility management device. Device.
패킷 처리장치의 패킷 처리시간 조정방법에 있어서,
수신된 각 패킷을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킷 그룹으로 분류하는 과정;
상기 각 패킷 그룹별 대응되는 갭 타임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갭 타임 정보에 따라 상기 패킷 그룹 내 패킷 간의 도착 간격 시간이 균등해지도록 상기 패킷 그룹 내 패킷의 전송 시간을 조정하는 과정; 및
상기 각 패킷 그룹별로 패킷을 출력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처리시간 조정방법.
In the packet processing time adjustment method of the packet processing apparatus,
Classifying each received packet into at least one packet group according to a preset condition;
Calculating gap tim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acket groups, and adjusting a transmission time of a packet in the packet group so that an arrival interval time between packets in the packet group is equalized according to the gap time information; And
The process of outputting packets for each packet group
Packet processing time adjustment method comprising a.
KR1020190109827A 2019-09-05 2019-09-05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Packet Processing Time KR1022174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827A KR102217478B1 (en) 2019-09-05 2019-09-05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Packet Processing Ti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827A KR102217478B1 (en) 2019-09-05 2019-09-05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Packet Processing Ti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7478B1 true KR102217478B1 (en) 2021-02-18

Family

ID=74688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9827A KR102217478B1 (en) 2019-09-05 2019-09-05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Packet Processing Ti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7478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5793B1 (en) * 2003-12-18 2006-01-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cheduling Method and Device in Dynamic Multichannel Environment
JP2009033276A (en) * 2007-07-25 2009-02-12 Yokogawa Electric Corp Control network system
KR20120055946A (en) * 2010-11-24 2012-06-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and apparatus for packet scheduling based on allocating fair bandwidth
JP2012178665A (en) * 2011-02-25 2012-09-13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Uninterruptible packet transmission device and uninterruptible packet transmission method
KR20130069836A (en) * 2010-10-01 2013-06-26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Systems and methods for uplink feedback for 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s(hsdpa)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5793B1 (en) * 2003-12-18 2006-01-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cheduling Method and Device in Dynamic Multichannel Environment
JP2009033276A (en) * 2007-07-25 2009-02-12 Yokogawa Electric Corp Control network system
KR20130069836A (en) * 2010-10-01 2013-06-26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Systems and methods for uplink feedback for 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s(hsdpa)
KR20120055946A (en) * 2010-11-24 2012-06-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and apparatus for packet scheduling based on allocating fair bandwidth
JP2012178665A (en) * 2011-02-25 2012-09-13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Uninterruptible packet transmission device and uninterruptible packet transmission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1720B2 (en) System and method for quality of service in a wireless network environment
US11877227B2 (en) User access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9380489B2 (en) Dynamic network traffic analysis and traffic flow configuration for radio networks
WO2020057261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8385221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of user quality-of-experience on a wireless network
WO2019242664A1 (en) Resource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KR20170093938A (en) Quality of experience enforcement in communications
CN102547388A (en) Adaptive control of video transcoding in mobile networks
US8879409B2 (e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QoS in a wireless network
Amani et al. Programmable policies for data offloading in LTE network
WO2023035895A1 (en) Data processing method, device, readable storage medium, and program product
WO2023035894A1 (en) Data processing method, device, readable storage medium, and program product
US20160164791A1 (en) Method and network node for congestion manag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CN111066272B (en) Packet delay reduction in mobile radio access networks
US9161376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ccess point communication channel utilization
US20150295835A1 (en) Optimizing radio access network resources based on end-to-end analytics
KR10221747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Packet Processing Time
US20180191628A1 (en) Scheduling granularity based on application type
Khan et al. QoE-based video delivery over LTE hierarchical architecture
JP2016046669A (en) Packet processing device, program and method
KR102450152B1 (en) Method for determining traffic size
Diego et al. Cross-layer design and performance evaluation for ip-centric qos model in lte-epc networks
Khorov et al. SAND-inspired Cross-layer Approach for CCTV in 5G Networks
WO2023000305A1 (en) Qos adjustment method and apparatus, device, and medium
Chen et al. A multi-wireless bandwidth aggregation mechanism in SDN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