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6403B1 - 영상제공장치 - Google Patents

영상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6403B1
KR102216403B1 KR1020140107451A KR20140107451A KR102216403B1 KR 102216403 B1 KR102216403 B1 KR 102216403B1 KR 1020140107451 A KR1020140107451 A KR 1020140107451A KR 20140107451 A KR20140107451 A KR 20140107451A KR 102216403 B1 KR102216403 B1 KR 102216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king
docking device
hidden cover
case
image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7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1994A (ko
Inventor
김재호
최남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7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6403B1/ko
Publication of KR20160021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1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6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6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47Electrical details of casings, e.g. terminals, passages for cables or wir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제공장치는 외부 기기와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부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도킹부; 상기 도킹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도킹디바이스; 및 상기 도킹디바이스 및 도킹부의 결합 시, 상기 도킹디바이스로부터 조작력을 전달받아 이동 또는 회전되어, 상기 커넥터부 중 일부를 차폐시키는 히든커버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킹디바이스가 결합되는 조작력을 이용하여, 커넥터부의 커넥터 중 사용되지 않는 옵션커넥터를 차폐시킴으로서, 사용자의 오연결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영상제공장치{Apparatus for providing Image}
본 발명은 영상제공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도킹디바이스의 도킹 시, 커넥터부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차폐시킬 수 있는 영상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영상제공장치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제공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사용자는 영상제공장치를 통하여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영상제공장치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을 제공하며, 이러한 방송 영상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현재 방송은 전세계적으로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이다.
디지털 방송은 디지털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송출하는 방송을 의미한다.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외부 잡음에 강해 데이터 손실이 작으며, 에러 정정에 유리하며, 해상도가 높고, 선명한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과 달리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다.
여기서 종래 영상제공장치의 측면 또는 배면에는 다른 기기와의 연결을 위해 USB, HDMI, AV, RGB, S-video 등과 같은 다수개의 커넥터가 설치된다.
그런데 종래 영상제공장치에 설치된 커넥터는 항상 노출된 상태이기 때문에, 외부 신호의 입력이 차단된 커넥터에 사용자가 외부 기기를 연결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4-0008568
본 발명은 영상제공장치가 도킹디바이스와 도킹될 때, 사용되지 않는 커넥터를 감춰 사용가능성을 배제시키는 영상제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제공장치는 외부 기기와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부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도킹부; 상기 도킹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도킹디바이스; 및 상기 도킹디바이스 및 도킹부의 결합 시, 상기 도킹디바이스로부터 조작력을 전달받아 이동 또는 회전되어 상기 커넥터부 중 일부를 차폐시키는 히든커버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도킹디바이스 및 도킹부 중 어느 한쪽에 설치되고, 결합 시 다른 한 쪽과 상호 걸림을 발생시켜 상기 도킹디바이스의 상대 이동을 억제시키는 도킹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킹락은 락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락부재; 상기 락부재에 조립되고, 조작력을 전달받아 상기 락부재를 이동시키는 레버; 및 상기 락부재를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락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락부재는 상기 도킹디바이스가 도킹될 때, 상기 도킹부와 접촉되어 상기 락부재를 회전시키는 가이드면; 및 상기 도킹 후, 상기 도킹부와 상호 걸림을 형성시켜 상기 도킹부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락탄성부재는 상기 락축에 설치된 토션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레버 및 락부재는 서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히든커버모듈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된 히든커버; 및 상기 케이스 및 히든커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히든커버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든커버모듈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된 히든커버; 및 상기 케이스 및 히든커버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설치되고, 자력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마그네틱을 포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든커버모듈은 상기 케이스와 커버축을 통해 조립되고, 상기 커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선택적으로 커넥터부를 차폐시키는 히든커버; 상기 도킹부에 설치되고, 상기 도킹디바이스로부터 조작력을 전달받아 이동되는 슬라이드블럭; 상기 슬라이드블럭 및 히든커버를 연결시키고, 상기 슬라이드블럭에 전달된 조작력을 상기 히든커버로 전달하는 전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달부재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히든커버 및 슬라이드블럭 사이에서 휨변형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부는 외부 기기와 항상 연결될 수 있는 상시개방커넥터 및 외부 기기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옵션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킹디바이스가 상기 도킹부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상기 도킹부 및 도킹디바이스 중 어느 한 쪽에는 레일홈이 형성되고, 다른 한 쪽에는 레일가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영상제공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본 발명은 도킹디바이스가 결합되는 조작력을 이용하여, 커넥터부의 커넥터 중 사용되지 않는 옵션커넥터를 차폐시킴으로서, 사용자의 오연결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킹디바이스가 도킹된 후, 도킹락을 통해 케이스에 고정되기 때문에, 도킹디바이스 및 케이스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히드커버모듈이 케이스 내부에 숨겨져 있다가 상기 도킹디바이스의 도킹 시에만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외부를 단순화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외부 충격 등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킹디바이스의 분리 시 히든커버가 원위치로 복귀되기 때문에, 차폐된 옵션커넥터가 다시 초기 상태로 개방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영상제공장치의 배면측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영상제공장치의 배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도킹디바이스의 분리과정이 도시된 작동 예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도킹디바이스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정면도
도 6은 도 4의 좌측면도
도 7은 도 4의 우측면도
도 8은 도 4의 평면도
도 9는 도 4의 저면도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도킹락의 정면도
도 11은 도 10의 작동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킹락이 도시된 배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히든커버모듈이 도시된 배면도
도 14는 도 13의 작동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용어가 동일하더라도 표시하는 부분이 상이하면 도면 부호가 일치하지 않음을 미리 말해두는 바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실험자 및 측정자와 같은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영상제공장치의 배면측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영상제공장치의 배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도킹디바이스의 분리과정이 도시된 작동 예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도킹디바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좌측면도이고, 도 7은 도 4의 우측면도이고, 도 8은 도 4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4의 저면도이고,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도킹락의 정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작동 예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제공장치는 디스플레이모듈이 설치되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에 형성된 도킹부(20)와, 상기 도킹부(20)에 결합되는 도킹디바이스(30)와, 상기 도킹디바이스(30) 및 도킹부(20)의 결합 시, 상기 케이스(10)에 배치된 커넥터 중 일부를 차폐시키는 히든커버모듈(40)과, 상기 도킹디바이스(30) 및 도킹부(20)의 결합 시 상대 이동을 억제하는 도킹락(50)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0)는 상기 도킹부(20) 주변에 다른 기기와의 연결을 위한 다수개의 커넥터부(12)가 설치되고, 상기 커넥터부(12)는 항상 다른 기기와 연결될 수 있는 상시개방커넥터(13)와, 다른 기기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옵션커넥터(1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커넥터부(12)는 상기 케이스(10)의 배면에 배치되고, 설치된 위치에 제한되진 않는다.
다만, 후술하는 상기 히든커버모듈(40)과의 상호 작용을 위해 상기 도킹부(20) 주변에 배치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도킹디바이스(30)는 상기 도킹부(20)에 탈착되는 장치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일반적인 Personal Computer이고, 상기 케이스(1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영상제공장치와 연동되어 작동되고, 분리되면 독립적인 Personal Computer로 작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킹디바이스를 피씨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와 달리 태블릿이 결합되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도킹부(20)는 상기 케이스(10)의 배면에 오목한 홈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도킹디바이스(30)가 슬라이드 형태로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도킹디바이스(30)는 상기 케이스(10)의 배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상기 도킹부(20)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도킹부(20)에는 상기 도킹디바이스(30)와의 결합 시, 상기 도킹디바이스(30)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가이드(22)가 형성된다. 상기 레일가이드(22)는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도킹부(20)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도킹디바이스(30)에는 상기 레일가이드(22)와 형합되는 레일홈(32)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레일가이드(22)는 상기 도킹디바이스(30) 측으로 돌출된 철(凸)형상으로 형성되고, 본 실시예와 달리 요(凹)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도킹부(20) 및 도킹디바이스(30)에는 각각 제 1 커넥터(21) 및 제 2 커넥터(31)가 설치되고, 상기 도킹디바이스(30)가 슬라이드 결합되어 상기 제 1, 2 커넥터(21)(31)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 1, 2 커넥터(21)(31)는 상기 영상제공장치 및 도킹디바이스(30)를 물리적으로 연결시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히든커버모듈(40)은 상기 케이스(10)에 설치된 히든커버(42)와, 상기 케이스(10) 및 히든커버(42)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히든커버(42)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4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히든커버(42)는 상기 커넥터부(12)의 옵션커넥터(14)를 선택적으로 노출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히든커버(42)는 상기 케이스(10)에 숨겨져 있다가, 상기 도킹디바이스(30)가 조립되는 과정에서 이동되어 상기 옵션커넥터(14)를 차폐시킨다.
여기서 상기 히든커버(42)는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도킹디바이스(30)로부터 조작력을 전달받아 상기 옵션커넥터(14)를 선택적으로 차폐시키는 커버바디(45)와, 상기 케이스(10) 및 커버바디(45)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바디(45)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42)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바디(45)에는 상기 탄성부재(42)를 지지하는 탄성지지부(46)가 더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커버바디(45)에는 상기 도킹디바이스(30)로부터의 조작력을 전달받아 상기 히든커버(42)에 전달하는 전달부재(43)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달부재(43)가 상기 커버바디(45)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도킹부(20)에 배치되며, 상기 도킹디바이스(30)로 부터 조작력을 전달받는다.
상기 전달부재(43)는 상기 도킹디바이스(30)의 슬라이드 이동 시, 상기 도킹디바이스(30)에 밀려 상기 옵션커넥터(14) 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전달부재(43) 및 커버부(45)는 본 실시예에서 일체화되어 제작되고, 본 실시예와 달리 분리되어 제작된 후 조작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탄성부재(42)는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탄성지지부(46) 및 케이스(1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커버바디(45)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부재(42)는 상기 커버바디(45)를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탄성력이 제공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킹디바이스(30)가 상기 도킹부(20)에서 분리될 때, 상기 탄성부재(42)는 상기 커버바디(45)를 초기 위치로 이동시킨다.
한편,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탄성부재(42) 대신 상기 전달부재(43)에 마그네틱(미도시)을 설치하고, 자력을 통해 상기 도킹디바이스(30)와 결합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마그네틱은 자력을 통해 상기 도킹디바이스(30)에 결합되는 바, 도킹 시에는 상기 도킹디바이스(30)와 함께 슬라이드 이동되어 상기 히든커버(42)를 이동시킬 수 있다. 반대로 상기 도킹디바이스(30)가 분리될 때, 상기 히든커버(42)의 초기 위치까지 슬라이드 이동되고, 상기 케이스(10)에 걸려 상기 도킹디바이스(30)와 분리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히든커버(42)는 상기 도킹디바이스(30)가 도킹되는 조작력을 이용하여 슬라이드 이동되고, 이를 통해 상기 커넥터부(12)의 옵션커넥터(14)를 선택적으로 차폐시킨다.
상기 옵션커넥터(14)는 상기 도킹디바이스(30)가 결합된 후에는 사용되지 않는 것으로서, 상기 히든커버(42)에 의해 차폐됨으로써 상기 옵션커넥터(14)가 연결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한다.
예를 들어 상기 옵션커넥터(14)는 영상을 입력받거나 외부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HDMI 단자일 수 있고, 상기 도킹디바이스(30)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도킹디바이스(30)로만 영상신호를 입력 또는 출력 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히든커버(42)에 의해 가려지는 옵션커넥터(14)는 상기 도킹디바이스(30)의 연결 시 외부노출이 차단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잘못된 연결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킹락(50)은 상기 도킹디바이스(30)에 설치되고, 상기 도킹디바이스(30)가 상기 도킹부(20)에 결합 완료된 후, 상기 도킹부(20)에서 분리되는 것을 차단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도킹락(50)은 상기 도킹디바이스(30)에 설치된 락축(51)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락부재(52)와, 상기 락부재(52)에 조립되고, 상기 락부재(52)를 이동시키는 레버(55)와, 상기 락부재(52)를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락탄성부재(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락부재(52)는 상기 도킹디바이스(30)가 도킹될 때, 상기 도킹부(20)와 접촉되어 상기 락부재(52)를 회전시키는 가이드면(53)과, 상기 도킹 후, 도킹부(20)와 상호 걸림을 형성시켜 상기 도킹디바이스(30)가 상기 도킹부(20)에서 분리되는 방지하는 걸림면(54)을 포함한다.
상기 락탄성부재는 상기 락축(51)에 설치된 토션스프링일 수 있고, 상기 락부재(52)가 상기 도킹부(20) 측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락부재(52)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레버(55)는 도킹 시, 상기 도킹디바이스(30)가 노출되는 면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이동될 수 있는 구조이고, 사용자의 조작력을 상기 락부재(52)에 전달하며, 상기 락부재(52)가 상기 락축(51)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레버(55)는 상기 락부재(52)와 상호 걸림되는 레버가이드(56)가 형성되고, 상기 레버가이드(56)에 상기 락부재(52)의 락돌기(57)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그래서 사용자가 상기 레버(55)를 당기면, 상기 락돌기(57)가 상기 레버가이드(56)를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락부재(52)가 락축(51)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버(55)에 가해진 사용자의 조작력이 제거되면 상기 락부재(52)는 락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그래서 상기 도킹디바이스(30)가 도킹될 때, 상기 가이드면(53)과 도킹부(20)의 내측면이 접촉되면서 상기 락부재(52)를 회전시키고, 상기 도킹이 완료되면 상기 락부재(52)가 락탄성부재에 의해 초기위치로 회전되면서 상기 도킹부(20)에 형성된 락홈(25)에 걸림고정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레버(55)를 당겨 상기 락부재(52)의 상호 걸림을 해제한 후, 상기 도킹디바이스(30)를 상기 도킹부(20)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킹락이 도시된 배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킹락(150)은 락부재(152)가 상기 케이스(10)와 직선이동되어 상호 걸림을 형성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 실시예에서는 상기 레버(55)에 전달된 조작력에 의해 상기 락부재(52)가 회전되도록 구성되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락부재(152)가 상하 방향으로 직선이동되어 상기 도킹부(20)의 락홈(25)에 상호 걸림된다.
상기 락부재(152)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락탄성부재(58)는 상기 도킹디바이스(30)에 지지되어 상기 락부재(152)가 직선이동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레버(55) 및 락부재(152)는 일체로 제작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제 1, 2 실시예의 도킹부(20)는 서로 반대 위치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즉, 상기 락홈이 도킹디바이스 측에 설치되고, 상기 도킹락이 도킹부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히든커버모듈이 도시된 배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작동 예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히든커버(142)는 상기 1 실시예에서 직선이동되는 것과 달리, 커버축(141)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구성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 따른 히든커버모듈(140)은 케이스(10)와 커버축(141)을 통해 조립되고, 상기 커버축(141)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선택적으로 옵션커넥터(14)를 차폐시키는 히든커버(142)와, 상기 도킹부(20)에 설치되고, 상기 도킹디바이스(30)가 도킹부(20)에 결합되는 조작력에 의해 상기 옵션커넥터(14) 측으로 이동되는 슬라이드블럭(144)과, 상기 슬라이드블럭(144) 및 히든커버(142)를 연결하고, 상기 슬라이드블럭(144)에 전달된 조작력을 상기 히든커버(142)에 전달하는 전달부재(143)를 포함한다.
상기 히든커버(142)는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시키고, 상기 커버축(141)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히든커버(142)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회전되게 구성되고, 상기 도킹디바이스(30)가 도킹부(20)에서 분리되었을 때, 자중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된다. 즉, 상기 옵션커넥터(14)를 차폐할 때는 상기 도킹디바이스(30)로 부터 전달된 조작력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옵션커넥터(14)를 개방할 때에는 히든커버(142)의 자중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슬라이드블럭(144)은 상기 도킹부(20)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상기 도킹디바이스(30)의 이동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도킹디바이스(30)가 슬라이드 이동될 때, 상기 도킹디바이스(30)에 밀려 이동되고, 상기 이동 시 상기 전달부재(143)에 조작력을 전달한다.
상기 전달부재(143)는 상기 슬라이드블럭(144)의 조작력을 히든커버(142)에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을 갖는 링크 형태로 설치된다.
그래서 상기 슬라이드블럭(144)이 좌측으로 이동되면, 재질의 탄성에 의해 휘어지면서 상기 히든커버(142)를 회전시킨다.
반대로 상기 도킹디바이스(30)가 분리되면 상기 전달부재(143)의 탄성력이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상기 슬라이드블럭(144)을 우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히든커버(142)가 원위치로 복귀될 때, 상기 히든커버(142)의 자중 및 상기 전달부재(143)의 복원력을 통해 상기 슬라이드블럭(144)을 원위치로 이동시킨다.
한편, 상기 히든커버(142)는 회전되어 선택적인 차폐를 구현시키기 때문에, 상기 히든커버모듈(140)이 케이스(10)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시킨다.
또한, 본 실시예와 같이 탄성을 갖는 전달부재(143)를 상기 제 1 실시예에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케이스 20 : 도킹부
30 : 도킹디바이스 40 : 히든커버모듈
50 : 도킹락

Claims (13)

  1. 외부 기기와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부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도킹부;
    상기 도킹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도킹디바이스; 및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도킹디바이스 및 도킹부의 결합 시, 상기 도킹디바이스로부터 조작력을 전달받아 이동되어, 상기 커넥터부 중 적어도 일부를 차폐시키는 히든커버을 포함하고,
    상기 히든커버는 상기 도킹디바이스가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조작력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되는 영상제공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킹디바이스 및 도킹부 중 어느 한쪽에 설치되고, 결합 시 다른 한 쪽과 상호 걸림을 발생시켜 상기 도킹디바이스의 상대 이동을 억제시키는 도킹락을 더 포함하는 영상제공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도킹락은
    락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락부재;
    상기 락부재에 조립되고, 조작력을 전달받아 상기 락부재를 이동시키는 레버; 및
    상기 락부재를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락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영상제공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락부재는
    상기 도킹디바이스가 도킹될 때, 상기 도킹부와 접촉되어 상기 락부재를 회전시키는 가이드면; 및 상기 도킹 후, 상기 도킹부와 상호 걸림을 형성시켜 상기 도킹부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면을 포함하는 영상제공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락탄성부재는 상기 락축에 설치된 토션스프링인 영상제공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레버 및 락부재는 서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영상제공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및 히든커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히든커버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영상제공장치.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디바이스 및 히든커버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배치되는 마그네틱;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킹디바이스의 결합 시, 상기 마그네틱의 자기력에 의해 상기 히든커버와 결합되는 영상제공장치.
  9. 외부 기기와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부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도킹부;
    상기 도킹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도킹디바이스; 및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도킹디바이스 및 도킹부의 결합 시, 상기 도킹디바이스로부터 조작력을 전달받아 회전되어, 상기 커넥터부 중 적어도 일부를 차폐시키는 히든커버;
    상기 케이스 및 히든커버를 결합시키고, 상기 히든커버의 회전 시 회전중심을 제공하는커버축;
    상기 도킹부에 설치되고, 상기 도킹디바이스로부터 조작력을 전달받아 이동되는 슬라이드블럭;
    상기 슬라이드블럭 및 히든커버를 연결시키고, 상기 슬라이드블럭에 전달된 조작력을 상기 히든커버로 전달하는 전달부재;를 포함하는 영상제공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재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 영상제공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히든커버 및 슬라이드블럭 사이에서 휨변형되게 구성된 영상제공장치.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는
    외부 기기와 항상 연결될 수 있는 상시개방커넥터 및
    외부 기기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옵션커넥터를 포함하는 영상제공장치.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디바이스가 상기 도킹부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상기 도킹부 및 도킹디바이스 중 어느 한 쪽에는 레일홈이 형성되고, 다른 한 쪽에는 레일가이드가 형성된 영상제공장치.
KR1020140107451A 2014-08-19 2014-08-19 영상제공장치 KR102216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7451A KR102216403B1 (ko) 2014-08-19 2014-08-19 영상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7451A KR102216403B1 (ko) 2014-08-19 2014-08-19 영상제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1994A KR20160021994A (ko) 2016-02-29
KR102216403B1 true KR102216403B1 (ko) 2021-02-16

Family

ID=55448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7451A KR102216403B1 (ko) 2014-08-19 2014-08-19 영상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640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8215B2 (ja) * 1990-09-10 2000-10-16 スターサイト テレキャス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ビデオ記録装置のための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JP2001230989A (ja) 2000-02-18 2001-08-24 Canon Inc テレビジョン受像機、及びテレビジョン受像機兼用画像表示装置
JP2003072477A (ja) * 2001-09-06 2003-03-12 Kenwood Corp 電動パネル装置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6265B1 (ko) * 2000-04-28 2002-07-26 엘지전자주식회사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 이동장치
JP3098215U (ja) * 2003-05-30 2004-02-26 瑞軒科技股▲ふん▼ 有限公司 ディスプレイ拡張構造
KR20140008568A (ko) 2012-07-06 2014-01-22 주식회사 케이티 영상 출력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8215B2 (ja) * 1990-09-10 2000-10-16 スターサイト テレキャス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ビデオ記録装置のための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JP2001230989A (ja) 2000-02-18 2001-08-24 Canon Inc テレビジョン受像機、及びテレビジョン受像機兼用画像表示装置
JP2003072477A (ja) * 2001-09-06 2003-03-12 Kenwood Corp 電動パネル装置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1994A (ko) 2016-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582804B (zh) 包括柔性显示器的电子装置
US6166722A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having pointing device
TWI548250B (zh) 可攜式電子裝置
KR101833838B1 (ko) 노트북 카메라의 가림장치
CN102562776A (zh) 电子设备
CN105359055A (zh) 计算设备的滑盖
US9192061B2 (en) Electronic device
US9575513B2 (en) Electronic device and apparatus
KR20120080182A (ko) 휴대형 전자기기
EP3067745B1 (en) Image-capturing device
KR102375542B1 (ko) 전개 가능한 커넥터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110143818A1 (en) Mobile device
KR102216403B1 (ko) 영상제공장치
US20140211396A1 (en) Electronic apparatus
CN105407663B (zh) 可携带式电子装置及其遮盖机构
US9105425B2 (en) Electronic apparatus
US20160006170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jumper element assembled thereon
JP5319811B2 (ja) 電子機器
EP3681257A1 (en) Electronic apparatus
CN107925185A (zh) 可伸展连接器端口
US20180004477A1 (en) Integrated display device for mobile terminal
US20130180750A1 (en) Cover attachment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US20180097989A1 (en) Smartphone camera case
US10195862B2 (en) Off-axis printhead assembly attachable to a carriage
WO2014119010A1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