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6126B1 - 정맥 인증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정맥 인증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6126B1
KR102216126B1 KR1020140098645A KR20140098645A KR102216126B1 KR 102216126 B1 KR102216126 B1 KR 102216126B1 KR 1020140098645 A KR1020140098645 A KR 1020140098645A KR 20140098645 A KR20140098645 A KR 20140098645A KR 102216126 B1 KR102216126 B1 KR 102216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able device
user
authentication
vein
vein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8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5842A (ko
Inventor
윤인국
류제인
정대광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8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6126B1/ko
Priority to US14/812,436 priority patent/US10235510B2/en
Priority to PCT/KR2015/007959 priority patent/WO2016018083A1/en
Priority to EP15179196.9A priority patent/EP2980720B1/en
Priority to TW104124622A priority patent/TWI688878B/zh
Priority to CN202010963127.9A priority patent/CN112083764B/zh
Priority to CN201510463422.7A priority patent/CN105320276B/zh
Publication of KR20160015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5842A/ko
Priority to US16/353,065 priority patent/US10552598B2/en
Priority to US16/711,543 priority patent/US1086702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6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6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2Matching criteria, e.g. proximity meas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4Hand-worn input/output arrangements, e.g. data glo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12/065Continuous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12/068Authentication using credential vaults, e.g. password manager applications or one time password [OTP]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30Security of mobile devices; Security of mobile applications
    • H04W12/33Security of mobile devices; Security of mobile applications using wearable devices, e.g. using a smartwatch or smart-gla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38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mage capture systems, e.g. camera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nformation/image processing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027/0178Eyeglass typ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4Vascular patter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61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biometrical features, e.g. fingerprint, retina-sca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5Environment-dependent, e.g. using captured environmental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Abstract

사용자의 정맥 이미지를 촬영하는 센서; 및 기능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하는 사용자의 정맥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상기 센서를 제어하고, 상기 촬영된 정맥 이미지와 등록된 정맥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고, 상기 사용자가 실행 권한이 있는 경우에 상기 기능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정맥 인증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Wearable device for operating using vein authentication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개시된 실시 예들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등 사용자가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촬영할 수 있고, 촬영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스마트 워치의 경우, 스마트 워치는 사용자의 손에 착용되어, 사용자의 정맥을 촬영하여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으며, 스마트 글래스의 경우, 사용자의 눈을 촬영하여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특이한 사용 환경에 따라,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보다 편리하고, 쉽게 이용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개시된 일 실시 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에 적합한 사용 환경을 제공하는데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정맥 이미지를 촬영하는 센서; 및 기능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하는 사용자의 정맥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상기 센서를 제어하고, 상기 촬영된 정맥 이미지와 등록된 정맥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고, 상기 사용자가 실행 권한이 있는 경우에 상기 기능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정맥 이미지를 촬영하는 센서; 및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 시, 상기 사용자의 정맥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상기 센서를 제어하고, 상기 촬영된 정맥 이미지와 등록된 정맥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고, 상기 사용자에 대해 등록된 설정 정보에 따라 설정을 변경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정맥 이미지를 촬영하는 센서; 연락처 목록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연락처가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의 정맥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상기 센서를 제어하고, 상기 촬영된 정맥 이미지와 등록된 정맥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사용자에 대해 등록된 연락처 목록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정맥 이미지를 촬영하는 센서; 뮤직 리스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뮤직 플레이어가 선택되면 상기 센서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정맥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촬영된 정맥 이미지와 등록된 정맥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사용자에 대해 등록된 뮤직 리스트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정맥 이미지를 촬영하는 센서; 및 상기 프로세서는 SNS에 접속 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하는 사용자의 정맥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상기 센서를 제어하고, 상기 촬영된 정맥 이미지와 등록된 정맥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고, 상기 사용자에 대해 등록된 인증 정보를 입력하여 SNS에 로그인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의 실행 권한 및 사용자의 정맥 이미지를 등록하는 단계; 기능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정맥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촬영된 정맥 이미지와 상기 등록된 정맥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하는 사용자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사용자가 실행 권한이 있는 경우에 상기 기능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의 설정 정보 및 사용자의 정맥 이미지를 등록하는 단계;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 시, 상기 사용자의 정맥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 상기 촬영된 정맥 이미지와 상기 등록된 정맥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설정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의 연락처 목록 및 사용자의 정맥 이미지를 등록하는 단계; 연락처가 선택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정맥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 상기 촬영된 정맥 이미지와 상기 등록된 정맥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하는 사용자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연락처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의 뮤직 리스트 및 사용자의 정맥 이미지를 등록하는 단계; 뮤직 플레이어가 선택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정맥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 상기 촬영된 정맥 이미지와 상기 등록된 정맥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하는 사용자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뮤직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의 SNS 인증 정보 및 사용자의 정맥 이미지를 등록하는 단계; SNS에 접속 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정맥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 상기 촬영된 정맥 이미지와 상기 등록된 정맥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하는 사용자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입력하여 SNS에 로그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하는 사용자에 적합한 기능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정맥 인증을 통해, 사용자에게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정맥 인증을 통해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설정을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설정을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연락처 목록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연락처 목록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뮤직 리스트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뮤직 리스트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정맥 인증을 수행하는 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식별된 사용자에 대한 뮤직 리스트를 제공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SNS에 로그인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자동으로 로그인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자동으로 로그인을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기능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자동으로 신용카드 결제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등록된 신용카드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관심 정보를 등록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다른 기기와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정맥 인증 과정을 표시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인증 영역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센서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센서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개시된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정맥 인증을 통해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센서(110) 및 디스플레이부(120)를 포함한다. 센서(110)는 정맥을 촬영하거나 사용자의 체온을 감지하는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이미지, 아이콘, 시계, 동영상 등을 표시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정맥을 촬영하여 정맥 이미지를 획득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미리 정해진 상황이 되면, 정맥 이미지를 촬영한다. 다시 말해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착용, 사용자의 조작, 특정 기능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등과 같은 상황이 발생하는지를 감지한다.
일 예로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할 때, 정맥 이미지를 촬영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하는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하는 시점에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이벤트가 발생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정맥을 촬영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다양한 센서를 통해서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센서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 시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또 다른 예로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권한이 요구되는 기능 또는 프로그램이 선택되는 경우 정맥 이미지를 촬영한다. 다시 말해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기능 또는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시점에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이벤트가 발생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정맥을 촬영한다. 사용자의 권한이 요구되는 기능 또는 프로그램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특정 기능 또는 특정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권한을 요구할 수 있다. 기능이 실행된다는 것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데이터를 처리한다는 것을 나타내거나,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내용을 변경하는 것을 나타내거나,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설정된 데이터들을 변경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프로그램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설치된 뮤직 플레이어, 동영상 플레이어, 이미지 플레이어, 게임 또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나타낼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정맥 인증을 수행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촬영된 정맥 이미지와 등록된 정맥 이미지를 비교하여 정맥 인증을 수행한다. 정맥 인증을 수행한다는 것은 촬영된 정맥 이미지가 등록된 정맥 이미지들 중 일치하는 정맥 이미지가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정맥 인증을 수행한다는 것은 촬영된 정맥 이미지가 등록된 정맥 이미지들 중 어느 정맥 이미지와 일치하는가를 판단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촬영된 정맥 이미지와 등록된 정맥 이미지가 일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등록된 정맥 이미지가 복수 개인 경우, 촬영된 정맥 이미지와 등록된 정맥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비교하여 촬영된 정맥 이미지와 일치하는 등록된 정맥 이미지를 선택할 수도 있다. 촬영된 정맥 이미지와 등록된 정맥 이미지가 일치한다는 것은, 2개의 이미지를 비교한 결과, 설정된 비율 이상 일치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다시 말해서, 촬영된 정맥 이미지와 등록된 정맥 이미지 사이에 오차가 있을 수 있으며, 오차가 설정된 임계값 내라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촬영된 정맥 이미지와 등록된 정맥 이미지가 일치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식별된 사용자에 대해 등록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별도의 입력 없이 기능 또는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인증이 필요한 기능 또는 프로그램이 선택되더라도, 사용자로부터 별도의 입력을 받지 않고, 사용자의 정맥을 촬영하여, 사용자의 인증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가 기능 또는 프로그램을 이용한 권한이 있는 경우, 사용자가 별도의 입력을 하지 않더라도 선택된 기능 또는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실행되고, 사용자가 기능 또는 프로그램을 이용할 권한이 없는 경우, 선택된 기능 또는 프로그램은 실행되지 않는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인증을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인증된 사용자가 선호하는 뮤직 리스트를 제공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인증된 사용자가 관심 있는 광고 또는 정보를 제공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설정을 인증된 사용자에 따라 업데이트 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인증된 사용자에 대한 연락처 목록을 제공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접속한 SNS에 자동 로그인을 수행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인증된 사용자가 데이터를 전송할 권한이 있는 경우에만, 데이터를 전송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인증된 사용자가 등록한 정보를 이용하여 다른 기기와 연결을 시도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인증된 사용자가 등록한 정보를 이용하여 신용카드를 결제를 시도한다. 아래의 도면들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들을 상세히 살펴보겠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센서(110) 및 프로세서(140)를 포함한다.
센서(110)는 정맥 이미지를 촬영한다. 센서(110)는 광원 및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은 적외선 등을 방출(emit)할 수 있다. 카메라는 정맥 이미지를 촬영한다. 카메라는 광원으로부터 적외선이 방출되는 동안, 사용자의 손등을 촬영하여 정맥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정맥이 위치한 부분은 손등의 다른 부분과 달리 적외선을 반사하는 비율이 높기 때문에, 카메라는 반사되는 적외선을 촬영하여 정맥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센서(110)는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생체 정보를 촬영한다. 사용자를 식별한다는 것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가 누구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나내거나,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가 등록된 사용자들 중에서 누구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나타낸다. 센서(110)는 사용자의 정맥, 홍채 또는 손가락 등의 생체 정보를 촬영할 수 있다. 센서(110)는 사용자의 양 손의 정맥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센서(110)는 사용자의 손등 및 손바닥의 정맥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센서(110)는 사용자의 양 눈의 홍채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인증이 요구되는 기능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선택 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정맥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센서(110)를 제어한다. 기능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된다는 것은 사용자가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실행할 기능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해 선택하는 것을 나타낸다.
프로세서(140)는 촬영된 정맥 이미지와 등록된 정맥 이미지를 비교하여 사용자를 식별한다. 프로세서(140)는 현재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를 식별한다. 사용자를 식별한다는 것은 복수의 사용자들 중에서 어느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하고 있는지를 결정하는 것을 나타낸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를 식별한다는 것은 등록된 정맥 이미지들 중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정맥 이미지와 일치하는 정맥 이미지를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정맥 이미지를 비교하는 것은 2개의 정맥 이미지에 포함된 정맥의 형태, 구조 또는 굵기 등을 비교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사용자가 실행 권한이 있는 경우에 기능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프로세서(140)는 사용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가 실행 권한을 갖는지를 판단한다. 기능 또는 어플리케이션마다 실행 가능한 사용자가 미리 결정되어 있다. 프로세서(140)는 사용자가 실행 권한이 없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권한이 없음을 나타내는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식별된 사용자에 대해 등록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사용자마다 서로 다른 연락처 목록을 저장한다. 사용자가 연락처를 선택하는 경우, 프로세서(140)는 정맥 인증을 통해 사용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에 대해 등록된 연락처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센서(110), 디스플레이부(120), 메모리(130) 및 프로세서(140)를 포함한다.
메모리(130)는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생체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메모리(130)는 사용자의 정맥, 홍채, 맥박 또는 손가락 등의 생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사용자의 양 손의 정맥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사용자의 손등 및 손바닥의 정맥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사용자의 양 눈의 홍채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사용자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30)는 사용자의 뮤직 리스트, 연락처 목록, 설정 정보 또는 관심 정보 등을 저장한다. 설정 정보는 와이파이, 3G, LTE 등과 같은 무선 통신을 위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설정 정보는 진동, 벨소리 등 알림 정보일 수 있다.
메모리(130)는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메모리(130)는 신용카드 정보 또는 SNS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신용카드 정보는 신용카드 번호, 신용카드 유효 기간, 비밀번호 등을 포함한다. 또한, SNS정보는 SNS 주소, 아이디, 비밀번호 등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20)는 프로세서(140)의 제어에 따라 전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터치 패널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인증 과정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20)는 인증이 수행되는 동안, 문구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20)는 촬영된 정맥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설정을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정맥 인증을 통해 사용자의 설정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410단계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설정 정보 및 정맥 이미지를 등록한다. 설정 정보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정보, 알림 정보 등 일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로부터 설정 정보를 입력 받아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와이파이로 무선 통신을 연결할 것인지, LTE로 무선 통신을 연결할 것인지 등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진동의 크기, 벨소리의 크기 또는 벨소리의 종류 등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정맥 이미지를 촬영하여 저장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설정 정보를 저장한다.
420단계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 시, 사용자의 정맥 이미지를 촬영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하는지를 감지하고,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한 것으로 판단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정맥 이미지를 촬영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버클, 체온 감지 장치, 맥박 감지 장치, 근접 센서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버클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시키는 부분을 나타낸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버클이 채워지면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체온 감지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체온이 감지되면,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체온 감지 센서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하였을 때 접촉하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맥박 감지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맥박이 감지되면,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맥박 감지 센서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하였을 때 접촉하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워치의 경우, 맥박 감지 센서는 사용자의 손목 아래 부분과 접촉하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근접 센서를 통해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근접 센서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하였을 때 접촉하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워치의 경우, 근접 센서는 사용자의 디스플레이부(120)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스마트 워치와 사용자의 손목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430단계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촬영된 정맥 이미지와 등록된 정맥 이미지를 비교하여, 사용자를 식별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복수의 정맥 이미지들 중에서 촬영된 정맥 이미지와 일치하는 정맥 이미지를 탐색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2개의 정맥 이미지가 구조 등에 있어서 일정 비율 이상 일치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2개의 정맥 이미지가 일치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일치하는 촬영된 정맥 이미지와 일치하는 정맥 이미지를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가 누구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440단계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설정을 변경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촬영된 정맥 이미지와 일치하는 정맥 이미지에 대해 등록된 설정 정보를 이용한다. 다시 말해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식별된 사용자에 대해 등록된 설정 정보를 이용한다. 설정 정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상태를 결정하는 정보이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식별된 사용자에 대한 설정 정보를 기초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상태를 변경한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식별된 사용자에 대해 등록된 음악을 확인하고, 확인된 음악으로 벨소리를 변경하거나, 식별된 사용자에 대해 등록된 무선 연결 방식을 확인하고, 와이파이 또는 LTE로 무선 연결 방식을 변경한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설정을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사용자가 착용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하는 사용자를 식별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식별된 사용자의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설정을 업데이트 한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촬영된 정맥 이미지와 제1 및 제2 정맥 이미지들을 비교한다. 촬영된 정맥 이미지는 제1 이미지와 일치하므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1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한 것으로 판단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1 사용자에 대해 등록된 제1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설정을 업데이트 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메모리(130)는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의 설정 정보를 저장한다. 제1 설정 정보는 제1 사용자에 대해 등록된 설정 정보이고, 제2 설정 정보는 제2 사용자에 대해 등록된 설정 정보이다.
또한, 메모리(130)는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의 정맥 이미지를 저장한다. 제1 정맥 이미지는 제1 사용자의 정맥 이미지이고, 제2 정맥 이미지는 제2 사용자의 정맥 이미지이다.
제1 설정 정보는 LTE는 ON, Wifi는 OFF, GPS는 OFF, BLUETOOTH는 ON, NFC는 ON으로 설정할 것을 나타내며, 밝기는 50%, 모드는 진동으로 설정할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하면, LTE 방식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 연결을 수행하고, 와이파이 연결은 차단한다.
제2 설정 정보는 LTE는 OFF, Wifi는 ON, GPS는 OFF, BLUETOOTH는 ON, NFC는 OFF으로 설정할 것을 나타내며, 밝기는 자동, 모드는 소리로 설정할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제2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하면, 와이파이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 연결을 수행하고, LTE 연결은 차단한다.
도 5에서는 2명의 사용자에 대한 설정 정보 및 정맥 이미지를 저장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저장되는 사용자의 수는 한정되지 않으며, 3명 이상의 사용자의 설정 정보 및 정맥 이미지가 메모리(130)에 저장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연락처 목록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연락처가 선택되면, 식별된 사용자의 연락처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610단계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연락처 목록 및 사용자의 정맥 이미지를 등록한다. 연락처 목록은 휴대폰 번호, 집 전화 번호, 사무실 전화 번호, 팩스 번호 등을 포함한다.
620단계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연락처가 선택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정맥 이미지를 촬영한다. 연락처가 선택된다는 것은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입력 장치를 통해 전화 기능을 실행하거나, 연락처 아이콘을 선택하는 것을 나타낸다. 다시 말해서, 연락처 목록이 선택된다는 것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연락처 목록을 표시해야 하는 모든 경우를 포함한다. 입력 장치는 터치 패널, 마우스와 같은 장치이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연락처 목록이 선택되면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벤트가 발생되면, 센서(110)를 제어하여 정맥 이미지를 촬영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마다 서로 다른 연락처 목록을 저장하고 있으므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에 대해 등록된 연락처 목록을 제공해야 한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해 센서(110)를 제어하여 정맥 이미지를 촬영한다.
630단계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촬영된 정맥 이미지와 등록된 정맥 이미지를 비교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하는 사용자를 식별한다.
640단계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식별된 사용자의 연락처 목록을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식별된 사용자의 연락처 목록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정맥 인증을 통해, 사용자에게 연락처 목록을 제공하므로, 다른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하더라도 사용자의 연락처 목록을 볼 수 없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개인 정보를 보호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연락처 목록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연락처가 선택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에 대해 등록된 연락처 목록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하고, 연락처를 선택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정맥 인증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촬영된 정맥 이미지와 등록된 제1 및 제2 정맥 이미지들을 비교한다. 촬영된 정맥 이미지는 제1 정맥 이미지와 일치하므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1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한 것으로 판단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1 사용자에 대해 등록된 제1 연락처 목록을 제공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메모리(130)는 제1 및 제2 사용자의 정맥 이미지를 저장한다. 제1 정맥 이미지는 제1 사용자의 정맥 이미지이고, 제2 정맥 이미지는 제2 사용자의 정맥 이미지이다. 또한, 메모리(130)는 제1 및 제2 연락처 목록을 저장한다. 제1 연락처 목록은 제1 사용자가 등록한 연락처들이며, 제2 연락처 목록은 제2 사용자가 등록한 연락처들이다.
제1 연락처 목록은 Tom, Jack 및 Billy의 전화번호를 포함하고, 제2 연락처 목록은 Irene, Jinhee 및 Donghee의 전화번호를 포함한다.
도 7에서는 2명의 사용자에 대한 연락처 목록 및 정맥 이미지를 저장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저장되는 사용자의 수는 한정되지 않으며, 3명 이상의 사용자의 연락처 목록 및 정맥 이미지가 메모리(130)에 저장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뮤직 리스트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뮤직 플레이어가 선택되면, 식별된 사용자가 등록한 뮤직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810단계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뮤직 리스트 및 사용자의 정맥 이미지를 등록한다. 뮤직 리스트는 사용자가 등록한 노래들을 포함한다.
820단계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뮤직 플레이어가 선택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정맥 이미지를 촬영한다. 뮤직 플레이어가 선택된다는 것은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입력 장치를 통해 뮤직 플레이어를 실행하는 것을 나타낸다. 뮤직 플레이어는 노래를 재생하기 위한 모든 프로그램을 나타낼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마다 서로 다른 뮤직 리스트를 저장하고 있으므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에 대해 등록된 뮤직 리스트를 제공해야 한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해 센서(110)를 제어하여 정맥 이미지를 촬영한다.
830단계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촬영된 정맥 이미지와 등록된 정맥 이미지를 비교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하는 사용자를 식별한다.
840단계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식별된 사용자의 뮤직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식별된 사용자의 뮤직 리스트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정맥 인증을 통해, 사용자에게 뮤직 리스트를 제공하므로, 별도의 입력이 없어도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한 사용자가 등록한 음악들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뮤직 리스트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뮤직 플레이어가 선택되면, 식별된 사용자에 대해 등록된 뮤직 리스트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하고, 뮤직 플레이어를 선택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정맥 인증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촬영된 정맥 이미지와 등록된 제1 및 제2 정맥 이미지들을 비교한다. 촬영된 정맥 이미지는 제1 정맥 이미지와 일치하므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1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한 것으로 판단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1 사용자에 대해 등록된 제1 뮤직 리스트를 제공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메모리(130)는 제1 및 제2 사용자의 정맥 이미지를 저장한다. 제1 정맥 이미지는 제1 사용자의 정맥 이미지이고, 제2 정맥 이미지는 제2 사용자의 정맥 이미지이다.
또한, 메모리(130)는 제1 및 제2 뮤직 리스트를 저장한다. 제1 뮤직 리스트는 제1 사용자가 등록한 노래들이며, 제2 뮤직 리스트는 제2 사용자가 등록한 노래들이다. 제1 뮤직 리스트는 You Are Not Alone, I’ll Be There, Beat it 등의 노래를 포함하고, 제2 뮤직 리스트는 Stronger, Because Of You, Baby it’s Cold Outside 등의 노래를 포함한다.
도 10은 정맥 인증을 수행하는 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뮤직 플레이어가 실행되는 시점에 정맥 인증을 수행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에 의해 뮤직 플레이어가 선택되고, 뮤직 플레이어를 실행하기 전에 정맥 인증을 수행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정맥 인증이 완료된 이후에 뮤직 플레이어를 실행할 수 있다.
도 1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사진 아이콘(1010), 음악 아이콘(1020), 동영상 아이콘(1030) 및 문서 아이콘(1040)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사진 아이콘(1010), 음악 아이콘(1020), 동영상 아이콘(1030) 및 문서 아이콘(1040)은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낸다. 사진 아이콘(1010)이 선택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사진들을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음악 아이콘(1020)이 선택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노래를 재생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동영상 아이콘(1030)이 선택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동영상을 재생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문서 아이콘(1040)이 선택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문서 작업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도 10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음악 아이콘(1020)을 터치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터치 입력을 이벤트로 감지하고, 정맥 인증을 수행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센서(110)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정맥 이미지를 촬영하고, 등록된 제1 및 제2 정맥 이미지와 비교하여 사용자를 식별한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식별된 사용자에 대한 뮤직 리스트를 제공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도 9의 제1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착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등록된 뮤직 리스트들 중에서 제1 뮤직 리스트를 제공한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부(120)에는 You Are Not Alone, I’ll Be There, Beat it 등의 노래들이 표시된다.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SNS에 로그인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등록된 SNS에 접속 시, 식별된 사용자의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SNS에 로그인을 시도한다.
1210단계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SNS 인증 정보 및 사용자의 정맥 이미지를 등록한다. 예를 들어, SNS 인증 정보는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포함한다. SNS 인증 번호는 SNS마다 별도로 등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FACEBOOK, TWITTER에 대해 서로 다른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SNS뿐만 아니라,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로그인을 수행하는 웹사이트도 아이디 및 비밀번호와 함께 등록될 수 있다.
1220단계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SNS에 접속 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정맥 이미지를 촬영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웹 브라우저에 등록된 SNS 주소가 입력되면, 센서(110)를 제어하여 정맥 이미지를 촬영한다.
1230단계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촬영된 정맥 이미지와 등록된 정맥 이미지를 비교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하는 사용자를 식별한다.
1240단계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식별된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입력하여 SNS에 로그인을 수행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식별된 사용자에 대해 등록된 인증 정보를 메모리(130)로부터 독출하여, SNS에 로그인을 수행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정맥 인증을 통해, 등록된 SNS에 접속 시, 별도의 입력이 없어도,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한 사용자의 아이디로 로그인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자동으로 로그인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등록된 SNS에 접속하면, 정맥 인증을 시도하여 사용자를 식별한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하고, FACEBOOK.COM에 접속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정맥 인증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촬영된 정맥 이미지와 등록된 제1 및 제2 정맥 이미지들을 비교한다. 촬영된 정맥 이미지는 제1 정맥 이미지와 일치하므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1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한 것으로 판단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1 사용자의 제1 SNS 정보를 이용하여 로그인을 시도한다.
도 1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자동으로 로그인을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웹 브라우저가 FACEBOOK에 접속하면, 자동으로 로그인을 시도한다. 정맥 인증 결과,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가 제1 사용자이므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1 사용자에 대해 등록된 제1 SNS 정보를 기초로 로그인을 수행한다. 제1 SNS 정보에서 FACEBOOK의 ID는 AAA, PASSWORD는 1111이므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AAA 및 1111을 웹 사이트에 입력한다.
도 12 내지 14에서는 SNS의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SNS뿐만 아니라, 인증 정보를 입력하여 로그인을 수행하는 모든 웹사이트의 경우도 위와 동일한 방식으로 로그인을 수행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정맥 이미지, 웹사이트 주소,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저장하고, 저정된 웹사이트 주소가 웹 브라우저에 입력되면, 정맥 인증을 통해 인증된 사용자의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로그인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기능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인증이 요구되는 기능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정맥 인증을 통해 기능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1510단계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실행 권한 및 사용자의 정맥 이미지를 등록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마다 이용 가능한 기능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등록한다. 다시 말해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마다 기능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권한을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1 사용자는 기능C 및 어플리케이션A를 실행할 권한이 있고, 제2 사용자는 기능A, 기능B 및 어플리케이션B를 실행할 권한이 있음을 저장할 수 있다.
1520단계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기능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선택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정맥 이미지를 촬영한다.
1530단계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촬영된 정맥 이미지와 등록된 정맥 이미지를 비교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하는 사용자를 식별한다.
1540단계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식별된 사용자가 실행 권한이 있는 경우에 기능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하고 있고, 어플리케이션C가 실행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1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C를 실행한 권한이 있는지 판단하고, 제1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C를 실행할 권한이 있는 경우에만 어플리케이션C를 실행한다. 만약, 제1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C를 실행할 권한이 없는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에게 어플리케이션C를 실행할 수 없다는 피드백을 제공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정맥 인증을 통해, 실행 권한을 갖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했을 경우에만 기능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도 1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자동으로 신용카드 결제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신용카드 결제 시, 정맥 인증을 통해 식별된 사용자의 카드 정보를 입력하여 결제를 진행한다.
1610단계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정맥 이미지 및 사용자의 신용카드 정보를 등록한다. 예를 들어, 신용카드 정보는 카드번호, 유효기간, 비밀번호 등을 포함한다. 1명의 사용자는 여러 개의 신용카드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1620단계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신용카드 결제 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정맥 이미지를 촬영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웹 브라우저에 신용카드 정보를 입력하는 내용이 표시되면, 센서(110)를 제어하여 정맥 이미지를 촬영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카드 번호, 유효기간 등의 내용 등을 통해 신용카드 결제가 진행되고 있음을 판단할 수 있다.
1630단계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촬영된 정맥 이미지와 등록된 정맥 이미지를 비교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하는 사용자를 식별한다.
1640단계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식별된 사용자에 대해 등록된 신용카드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를 진행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결제를 진행한다는 것은 등록된 신용카드 정보를 입력하는 것을 나타내거나, 신용카드 정보를 입력하고 결제 버튼을 눌러 최종 결제를 완료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식별된 사용자에 대해 등록된 신용카드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결제를 진행하지 않는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식별된 사용자에 대해 등록된 신용카드 정보가 복수 개 있는 경우, 등록된 신용카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여, 복수의 신용카드 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의 신용카드 정보로 결제를 진행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정맥 인증을 통해, 신용카드 결제 시, 별도의 입력이 없어도,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한 사용자의 신용카드 정보로 결제할 수 있다.
도 1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등록된 신용카드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1 및 제2 신용카드 정보를 저장하고, 신용카드 결제 시 정맥 인증을 통해 결제할 카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메모리(130)는 제1 및 제2 사용자의 신용카드 정보 및 제1 및 제2 정맥 이미지를 저장한다. 제1 신용카드 정보는 제1 사용자의 신용카드 정보이고, 제2 신용카드 정보는 제2 사용자의 신용카드 정보이다. 제1 정맥 이미지는 제1 사용자의 정맥 이미지이고, 제2 정맥 이미지는 제2 사용자의 정맥 이미지이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신용카드 결제 시 정맥 인증을 수행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신용카드 결제 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정맥 이미지를 촬영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촬영된 정맥 이미지와 등록된 정맥 이미지를 비교한다. 도 17의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촬영된 정맥 이미지와 제1 및 제2 정맥 이미지를 비교한다. 촬영된 정맥 이미지와 제1 정맥 이미지가 일치하므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를 제1 사용자로 결정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1 사용자의 제1 신용카드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를 진행한다. 제1 신용카드 정보는 카드사는 A, 카드 번호는 1234-5678, 유효기간은 03월 2017년이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웹 브라우저에 카드번호, 유효 기간을 입력하여 결제할 수 있다.
도 1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결제 화면에 신용카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결제 화면은 카드 번호 및 유효 기간을 입력하는 공간을 포함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카드 번호를 입력하는 공간에 제1 신용카드 정보의 카드 번호를 입력하고, 유효 기간을 입력하는 공간에 제1 신용카드 정보의 유효 기간을 입력한다.
도 18에서는 카드 번호 및 유효 기간만을 입력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카드 결제를 위해 필요한 추가 정보를 등록 및 입력할 수 있다.
도 1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관심 정보와 관련된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1910단계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관심 정보 및 사용자의 정맥 이미지를 등록한다. 관심 정보는 사용자가 정보를 얻기를 원하는 카테고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심 정보는 운동, 자동차, 여행 등과 같은 카테고리일 수 있다. 또한, 관심 정보는 사용자가 좋아하는 브랜드, 기업 등일 수도 있다.
1920단계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관심 정보와 관련된 광고를 결정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등록된 관심 정보를 이용하여 광고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관심 정보로 여행이 등록되어 있는 경우, 국내 여행 또는 해외 여행 정보를 포함하는 광고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관심 정보로 자동차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 새로 출시된 자동차 광고를 검색할 수 있다.
1930단계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촬영된 정맥 이미지와 등록된 정맥 이미지를 비교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를 식별한다.
1940단계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식별된 사용자의 관심 정보와 관련된 광고를 제공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부(120)에 광고를 표시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정맥 인증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한 사용자가 관심 있는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관심 정보를 등록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마다 관심 정보 및 정맥 이미지를 저장한다.
제1 관심 정보는 제1 사용자가 등록한 관심 정보이고, 제2 관심 정보는 제2 사용자가 등록한 관심 정보이다. 제1 관심 정보는 게임, 운동, 자동차 등을 포함하고, 제2 관심 정보는 옷, 화장품, 여행 등을 포함한다.
제1 정맥 이미지는 제1 사용자의 정맥을 촬영한 이미지이고, 제2 정맥 이미지는 제2 사용자의 정맥을 촬영한 이미지이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1 사용자에 대해 제1 관심 정보 및 제1 정맥 이미지를 등록하고, 제2 사용자에 대해 제2 관심 정보 및 제2 정맥 이미지를 등록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 시, 정맥을 촬영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촬영된 정맥 이미지와 등록된 제1 및 제2 정맥 이미지를 비교한다. 촬영된 정맥 이미지와 제1 정맥 이미지가 일치하는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1 관심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광고를 결정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결정하는 광고는 시간과 장소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2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데이터 전송 시, 사용자에게 전송 권한이 있는 경우에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2110단계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데이터 전송 권한 및 사용자의 정맥 이미지를 등록한다. 데이터 전송 권한은 사용자마다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의 종류, 데이터의 용량 등을 나타낸다.
2120단계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데이터 전송 시, 센서(110)를 제어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정맥 이미지를 촬영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외부로 전송할 때, 정맥 이미지를 촬영한다. 사용자가 외부의 전자 기기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정맥 이미지를 촬영하고, 정맥 인증을 수행한다.
2130단계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촬영된 정맥 이미지와 등록된 정맥 이미지를 비교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를 식별한다.
2140단계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식별된 사용자가 데이터에 대한 전송 권한이 있는 경우, 데이터를 전송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식별된 사용자의 데이터 전송 권한을 확인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확인된 전송 권한에 기초하여, 현재 데이터를 전송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만약, 현재 전송할 데이터의 종류가 사용자가 전송할 수 없는 종류의 데이터이거나 또는 현재 전송할 데이터의 용량이 사용자가 전송할 수 있는 용량보다 크다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음을 나타내는 문구를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하고,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는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정맥 인증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한 사용자의 전송 권한에 기초하여 데이터의 전송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2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다른 기기와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다른 기기와 연결 시,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다른 기기와의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2210단계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정맥 이미지 및 다른 기기의 접속 정보를 등록한다. 접속 정보는 연결 대상, 비밀번호 등을 포함한다.
2220단계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다른 기기와 연결 시, 센서(110)를 제어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정맥 이미지를 촬영한다. 다른 기기와 연결하는 경우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다른 기기와 연결하는 경우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다른 기기에 근접하여 자동으로 연결하는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2230단계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촬영된 정맥 이미지와 등록된 정맥 이미지를 비교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를 식별한다.
2240단계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식별된 사용자에 대해 등록된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다른 기기와 연결을 시도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식별된 사용자에 대해 등록된 접속 정보를 확인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확인된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다른 기기와의 연결을 시도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접속 정보는 연결할 기기의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접속 정보에 포함된 기기에 대해서만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만약, 현재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접속을 시도하는 기기가 접속 정보에 포함되지 않은 기기인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기기와 연결을 시도하지 않는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접속 정보에 포함된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기기와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접속하려는 주변의 기기가 비밀번호를 요구하는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접속 정보에 포함된 비밀번호를 주변의 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만약, 전송된 비밀번호로 주변의 기기에 연결할 수 없는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연결할 수 없음을 나타내는 문구를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2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정맥 인증 과정을 표시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정맥 인증을 수행하는 동안, 디스플레이부(120)에 인증이 수행 중임을 나타내는 문구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3의 경우, 스마트 워치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스마트 글래스는 글래스에 인증이 수행 중임을 나타내는 문구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스마트 워치 및 스마트 글래스를 모두 착용하고 있는 경우, 정맥 인증은 스마트 워치에서 수행되고, 문구는 스마트 글래스에 표시될 수도 있다. 반대로, 문구는 스마트 워치에 표시되고, 홍채 인증은 스마트 글래스에서 수행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인증 과정을 설명하는 문구를 표시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인증이 단순히 수행 중임을 나타내는 문구뿐만 아니라, 정맥 인증이 수행 중인지 홍채 인증이 수행 중인지를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정맥 또는 홍채 등을 촬영하는 각도를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촬영 각도를 변경할 수도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정맥 이미지를 생성하는 과정을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정맥을 촬영하고, 정맥 이미지를 생성하는 과정을 디스플레이부(120)에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촬영된 정맥 이미지와 등록된 정맥 이미지를 교차하여 비교하는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홍채 이미지를 생성하는 과정을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홍채를 촬영하고, 홍채 이미지를 생성하는 과정을 디스플레이부(120)에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맥박을 측정하는 과정을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맥박을 측정하고, 맥박의 특성을 추출하는 과정을 디스플레이부(120)에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인증 성공 또는 실패 시,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인증 성공은 촬영된 정맥 이미지, 홍채 이미지, 맥박 등과 일치하는 등록된 정맥 이미지, 홍채 이미지, 맥박 등이 존재하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인증 성공 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진동 또는 벨소리 등을 제공하거나, 디스플레이부(120)에 인증 성공을 나타내는 문구를 표시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정맥 인증을 통해, 사용자의 메일 계정에 로그인할 수 있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MAIL 아이콘을 선택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정맥 인증을 수행하고, 식별된 사용자에 대해 등록된 아이디,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메일 계정으로 로그인한다.
도 2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인증 영역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정맥 인증을 수행할 때, 정맥을 촬영하는 영역(2410)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4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레이저 또는 LED 등을 이용하여 인증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정맥 인증을 수행할 때,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어느 영역의 정맥이 촬영되는지를 알려주기 위해 인증 영역(2410)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센서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측면에 센서(11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110)는 적어도 1개의 광원(111)과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112)를 포함한다.
스마트 워치의 경우, 센서(110)는 측면에 배치되어 스마트 워치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손등을 촬영할 수 있다. 스마트 워치는 사용자의 손등의 정맥 이미지를 촬영하거나, 사용자의 손가락의 형태를 촬영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2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센서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전면에 센서(11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110)는 적어도 1개의 광원(111)과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112)를 포함한다.
스마트 워치의 경우, 센서(110)는 전면에 배치되어 스마트 워치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를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워치는 스마트 워치를 착용하고 있는 손의 반대편 손등 또는 손바닥의 정맥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또는 스마트 워치는 전면에 배치된 센서(11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홍채를 촬영 하여 홍채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25 및 26의 경우, 광원(111)이 2개, 카메라(112)가 1개 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광원(111) 및 카메라(112)의 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카메라(112)가 광원(111) 사이에 배치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카메라(112) 및 광원(111)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카메라(112) 또는 광원(111)은 어레이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는 프로세서,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영구 저장부(permanent storage),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포트, 터치 패널, 키(key), 버튼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상기 프로세서상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only memory), RAM(random-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며,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 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본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예시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기술적 사상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 웨어러블 디바이스
110: 센서
120: 디스플레이부
130: 메모리
140: 프로세서

Claims (21)

  1.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구성된 센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및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과 연관된 이벤트에 기초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생체 인증의 실행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에 기초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생체 인증에 대응하는 정보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센서에 의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생체 정보 및 상기 메모리 내에 저장된 등록된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권한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권한에 기초하여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스크린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어플리케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생체 인증의 유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웨어러블 디바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기 센서의 촬영 각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웨어러블 디바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촬영 각도를 변경하는 것인, 웨어러블 디바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인증은 정맥 인증 또는 홍채 인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웨어러블 디바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촬영 및 상기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프로세스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인, 웨어러블 디바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등록된 생체 정보에 기초한 이미지와 상기 획득한 생체 정보에 기초한 상기 이미지를 교차 비교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인, 웨어러블 디바이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입력부에서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인, 웨어러블 디바이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광원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인증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인 웨어러블 디바이스.
  11.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과 연관된 이벤트에 기초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생체 인증의 실행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에 기초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생체 인증에 대응하는 정보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센서에 의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생체 정보 및 메모리 내에 저장된 등록된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권한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권한에 기초하여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스크린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어플리케이션인 것인,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생체 인증의 유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기 센서의 촬영 각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촬영 각도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인증은 정맥 인증 또는 홍채 인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촬영 및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프로세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등록된 생체 정보에 기초한 이미지와 상기 획득한 생체 정보에 기초한 상기 이미지를 교차 비교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입력부에서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인, 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광원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인증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1. 삭제
KR1020140098645A 2014-07-31 2014-07-31 정맥 인증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KR102216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8645A KR102216126B1 (ko) 2014-07-31 2014-07-31 정맥 인증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PCT/KR2015/007959 WO2016018083A1 (en) 2014-07-31 2015-07-29 Wearable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14/812,436 US10235510B2 (en) 2014-07-31 2015-07-29 Wearable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TW104124622A TWI688878B (zh) 2014-07-31 2015-07-30 穿戴式裝置及其操作方法
EP15179196.9A EP2980720B1 (en) 2014-07-31 2015-07-30 Wearable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N202010963127.9A CN112083764B (zh) 2014-07-31 2015-07-31 可穿戴设备和操作可穿戴设备的方法
CN201510463422.7A CN105320276B (zh) 2014-07-31 2015-07-31 可穿戴设备和操作可穿戴设备的方法
US16/353,065 US10552598B2 (en) 2014-07-31 2019-03-14 Wearable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16/711,543 US10867023B2 (en) 2014-07-31 2019-12-12 Wearable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8645A KR102216126B1 (ko) 2014-07-31 2014-07-31 정맥 인증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5842A KR20160015842A (ko) 2016-02-15
KR102216126B1 true KR102216126B1 (ko) 2021-02-16

Family

ID=53785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8645A KR102216126B1 (ko) 2014-07-31 2014-07-31 정맥 인증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10235510B2 (ko)
EP (1) EP2980720B1 (ko)
KR (1) KR102216126B1 (ko)
CN (2) CN112083764B (ko)
TW (1) TWI688878B (ko)
WO (1) WO20160180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29639B (zh) * 2014-02-14 2016-04-1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基於身分識別的付款方法及腕戴式裝置
US9817959B2 (en) 2014-06-27 2017-11-14 Intel Corporation Wearable electronic devices
EP3118762B1 (en) 2015-07-15 2020-03-11 Biowatch SA Method, device and computer program for authenticating a user
US10325379B2 (en) * 2015-07-20 2019-06-18 Shmuel Bukshpan Sweat pores imaging method and device
US9871546B2 (en) * 2015-09-11 2018-01-1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Wearable terminal mountable on part of body of user
CN105930700A (zh) * 2016-04-13 2016-09-0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方法、电子终端及数据处理系统
CN107452383B (zh) * 2016-05-31 2021-10-26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服务器、终端及信息处理系统
CN106095421B (zh) * 2016-06-03 2019-11-08 上海与德通讯技术有限公司 一种虚拟现实设备的控制方法及系统
CN106096369A (zh) * 2016-06-16 2016-11-0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对终端用户身份验证的方法、装置及移动终端
KR102450441B1 (ko) 2016-07-14 2022-09-30 매직 립, 인코포레이티드 홍채 식별을 위한 딥 뉴럴 네트워크
US10846386B2 (en) 2016-08-22 2020-11-24 Lenovo (Singapore) Pte. Ltd. Pulse sensors for biometric identification
CN106407852A (zh) * 2016-09-29 2017-02-15 捷开通讯(深圳)有限公司 一种穿戴式终端的防丢失方法、系统及穿戴式终端
CN110168477B (zh) 2016-11-15 2022-07-08 奇跃公司 用于长方体检测的深度学习系统
CN106599722B (zh) * 2016-12-14 2019-07-26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智能终端及其应用程序权限控制方法、装置和服务器
WO2018138067A1 (en) 2017-01-24 2018-08-02 Smart Secure Id In Sweden Ab Wearable biometric data acquisition device
EP3407228B1 (en) * 2017-05-26 2024-03-27 Nokia Technologies Oy Wearable sensors for inputting a command
US20200253822A1 (en) * 2017-09-18 2020-08-13 Remedee Labs Module and device for emitting electromagnetic waves
JP7162020B2 (ja) 2017-09-20 2022-10-27 マジック リープ,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眼追跡のための個人化されたニューラルネットワーク
KR102602117B1 (ko) 2017-10-26 2023-11-13 매직 립, 인코포레이티드 딥 멀티태스크 네트워크들에서 적응적 손실 밸런싱을 위한 그라디언트 정규화 시스템들 및 방법들
CN108053196A (zh) * 2018-01-31 2018-05-18 四川民工加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施工工地的招聘方法
JP6972471B2 (ja) * 2018-07-04 2021-11-24 株式会社日本総合研究所 ユーザ端末装置
WO2020085521A1 (ko) * 2018-10-23 2020-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입출력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
US11120111B2 (en) * 2018-12-11 2021-09-14 Advanced New Technologies Co., Ltd. Authentication based on correlation of multiple pulse signals
CN109936574A (zh) * 2019-02-25 2019-06-25 努比亚技术有限公司 穿戴式设备的应用登录方法、穿戴式设备和存储介质
CN110111429B (zh) * 2019-03-16 2022-11-18 哈尔滨理工大学 一种检测单像素血管的方法
WO2021029449A1 (ko) * 2019-08-12 2021-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10908822B (zh) * 2019-11-26 2022-02-2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智能硬件防误碰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6737050B (zh) * 2022-10-21 2024-05-10 荣耀终端有限公司 显示控制方法及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16171A1 (en) * 2007-02-14 2008-09-04 Sony Corporation Wearable device, authentic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2008228068A (ja) * 2007-03-14 2008-09-25 Oki Electric Ind Co Ltd 携帯通信端末及び通信システム
US20140196131A1 (en) * 2013-01-07 2014-07-10 Salutron, Inc. User authentication based on a wrist vein pattern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2324A (ja) 2001-04-13 2002-10-25 Sony Corp リストバンド型認証デバイス、認証システム、情報出力デバイス
US7356706B2 (en) * 2002-09-30 2008-04-08 Intel Corporation Personal authentication method and apparatus sensing user vicinity
JP2006048667A (ja) 2004-07-08 2006-02-16 Universal Robot Kk 個人認証装置、これを用いたロボット制御装置、認証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ロボット制御方法
US20080027679A1 (en) * 2004-07-21 2008-01-31 Dror Shklarski Wearable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Physiological and/or Environmental Parameters
US7607243B2 (en) * 2006-05-03 2009-10-27 Nike, Inc. Athletic or other performance sensing systems
US7878030B2 (en) * 2006-10-27 2011-02-01 Textronics, Inc. Wearable article with band portion adapted to include textile-based electrodes and method of making such article
JP2008287432A (ja) 2007-05-16 2008-11-27 Sony Corp 静脈パターン管理システム、静脈パターン登録装置、静脈パターン認証装置、静脈パターン登録方法、静脈パターン認証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静脈データ構造
US8782775B2 (en) * 2007-09-24 2014-07-15 Apple Inc. Embedded authentication systems in an electronic device
US8310336B2 (en) * 2008-10-10 2012-11-13 Masimo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storing, analyzing, retrieving and displaying streaming medical data
US8624836B1 (en) 2008-10-24 2014-01-07 Google Inc. Gesture-based small device input
CN101957914B (zh) * 2009-07-20 2013-08-14 深圳大学 一种手指静脉图像采集装置
US8652126B2 (en) * 2009-11-24 2014-02-18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authenticating a physiological sensor, a sensor system, a patient monitor, and a physiological sensor
CN101773394B (zh) * 2010-01-06 2011-09-07 中国航天员科研训练中心 身份识别方法及应用该方法的身份识别系统
EP2546798A4 (en) * 2010-03-10 2017-08-16 Fujitsu Limited Biometric authentication device and biometric authentication method
US9377850B2 (en) 2010-03-15 2016-06-28 Nec Corporation Input device, input method and medium
CN102763057B (zh) 2010-03-15 2016-07-13 日本电气株式会社 输入设备、方法和程序
JP2012098419A (ja) 2010-10-29 2012-05-24 Brother Ind Ltd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541745B2 (en) 2011-11-16 2013-09-24 Motorola Mobility Llc Methods and devices for clothing detection about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9100825B2 (en) * 2012-02-28 2015-08-04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ethod and system for multi-factor biometric authentication based on different device capture modalities
CN103324274A (zh) * 2012-03-22 2013-09-25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人机交互方法和装置
US9291823B2 (en) 2012-03-30 2016-03-22 Google Inc. Wearable device with input and output structures
US8978158B2 (en) * 2012-04-27 2015-03-10 Google Inc. Privacy management across multiple devices
US20140180595A1 (en) 2012-12-26 2014-06-26 Fitbit, Inc. Device state dependent user interface management
US9005129B2 (en) * 2012-06-22 2015-04-14 Fitbit, Inc. Wearable heart rate monitor
EP2698686B1 (en) 2012-07-27 2018-10-10 LG Electronics Inc. Wrist-wearab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958778B1 (ko) 2012-08-31 2019-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디바이스 제어 방법
US20140089673A1 (en) 2012-09-25 2014-03-27 Aliphcom Biometric ident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to authenticate identity of a user of a wearable device that includes sensors
US10439817B1 (en) * 2012-10-11 2019-10-08 National Technology & Engineering Solutions Of Sandia, Llc Identify management using ephemeral biometrics
US10045718B2 (en) 2012-11-22 2018-08-14 Athe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ser-transparent system control using bio-input
US9239723B2 (en) * 2013-05-13 2016-01-19 Lenovo (Singapore) Pte. Ltd. Configuring a device based on proximity to other devices
CA2917708C (en) * 2013-07-25 2021-12-28 Nymi Inc. Preauthorized wearable biometric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use thereof
US9183612B2 (en) * 2013-09-04 2015-11-10 Qualcomm Incorporated Wearable display device use-based data processing control
CN203705641U (zh) * 2013-09-18 2014-07-09 无锡优辰电子信息科技有限公司 静脉认证腕式无线定位跟踪器
KR102215442B1 (ko) * 2013-11-26 2021-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착용형 모바일 기기, 및 착용형 모바일 기기의 생체신호의 선택적 활용 방법
US9398007B1 (en) * 2014-06-06 2016-07-19 Amazon Technologies, Inc. Deferred authentication methods and systems
US9641526B1 (en) * 2014-06-06 2017-05-02 Amazon Technologies, Inc. Location based authentication methods and system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16171A1 (en) * 2007-02-14 2008-09-04 Sony Corporation Wearable device, authentic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2008228068A (ja) * 2007-03-14 2008-09-25 Oki Electric Ind Co Ltd 携帯通信端末及び通信システム
US20140196131A1 (en) * 2013-01-07 2014-07-10 Salutron, Inc. User authentication based on a wrist vein patter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5842A (ko) 2016-02-15
WO2016018083A1 (en) 2016-02-04
US10552598B2 (en) 2020-02-04
US20200117786A1 (en) 2020-04-16
CN112083764A (zh) 2020-12-15
TWI688878B (zh) 2020-03-21
EP2980720B1 (en) 2021-12-15
US20190205519A1 (en) 2019-07-04
US20160034679A1 (en) 2016-02-04
US10867023B2 (en) 2020-12-15
TW201606555A (zh) 2016-02-16
CN112083764B (zh) 2024-05-21
US10235510B2 (en) 2019-03-19
EP2980720A1 (en) 2016-02-03
CN105320276A (zh) 2016-02-10
CN105320276B (zh) 2020-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6126B1 (ko) 정맥 인증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US11017399B2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paymnet using biometric authentication
US20180032712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biometric information
US10554656B2 (en) Authenticatio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JP6441935B2 (ja) オンライン取引における生体画像の使用
US9183365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fingerprint template enrollment and distribution process
US9729549B2 (en) Behavioral fingerprinting with adaptive development
US20170337542A1 (en) Payment means operation support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the same
WO2016119696A1 (zh) 基于动作的身份识别系统及方法
EP3104311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615453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n internet of things payment platform (iotpp)
KR20160072682A (ko) 생체 정보를 이용한 인증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US10764300B2 (en) Method for effecting an authentication procedure associated with a service provider or an application
EP3118790A1 (en) Electronic device, certification agency server, and payment system
EP3044717A1 (en) Mobile authentication using a wearable device
JP7444219B2 (ja) 生体データ照合システム
US20160295092A1 (en) Camera control method usable only by user present in photographing spot
EP3262586B1 (en) Payment means operation support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the same
JP6891356B1 (ja) 認証システム、認証装置、認証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2699354A (zh) 一种用户权限管理方法及终端设备
US11425572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