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5076B1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vent of portable device having flexible display unit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vent of portable device having flexible display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5076B1
KR102215076B1 KR1020200037113A KR20200037113A KR102215076B1 KR 102215076 B1 KR102215076 B1 KR 102215076B1 KR 1020200037113 A KR1020200037113 A KR 1020200037113A KR 20200037113 A KR20200037113 A KR 20200037113A KR 102215076 B1 KR102215076 B1 KR 102215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area
event
mobile terminal
auxiliary display
not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71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36833A (en
Inventor
김동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7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5076B1/en
Publication of KR20200036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683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5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50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렉서블 표시부(flexible display unit)를 갖는 휴대단말에서 상기 플렉서블 표시부를 전면의 메인 표시영역과 측면의 보조 표시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보조 표시영역을 이용하여 알림 이벤트를 제공할 수 있는 플렉서블 표시부를 갖는 휴대단말 및 그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에 있어서, 전면의 메인 표시영역과 상기 메인 표시영역이 상기 휴대단말의 측면으로 확장되어 형성되는 측면의 보조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부와, 상기 휴대단말의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모듈과, 상기 검출된 휴대단말의 상태에 대응되게, 상기 플렉서블 표시부의 메인 표시영역 및 보조 표시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영역에 이벤트 정보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flexible display unit capable of providing a notification event by dividing the flexible display unit into a main display area on the front side and an auxiliary display area on the side in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flexible display unit, and using the auxiliary display area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in the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main display area on a front side and an auxiliary display area on a side surface formed by extending the main display area to a side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The flexible display unit, the sensor module for detecting the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event information selectively in at least one of the main display area and the auxiliary display area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It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o output.

Description

플렉서블 표시부를 갖는 휴대단말의 이벤트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VENT OF PORTABLE DEVICE HAVING FLEXIBLE DISPLAY UNIT}Event providing method and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flexible display unit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VENT OF PORTABLE DEVICE HAVING FLEXIBLE DISPLAY UNIT}

본 발명은 휴대단말의 표시부 및 그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렉서블 표시부(flexible display unit)를 갖는 휴대단말에서 상기 플렉서블 표시부를 전면의 메인 표시영역과 측면의 보조 표시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보조 표시영역을 이용하여 알림 이벤트를 제공할 수 있는 플렉서블 표시부를 갖는 휴대단말 및 이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unit of a mobile terminal and a method of operation thereof, and in particular, in a mobile terminal having a flexible display unit, the flexible display unit is divided into a main display area on the front side and an auxiliary display area on the side, and the auxiliary displa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having a flexible display unit capable of providing a notification event using an area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함께 이동통신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전자수첩, 스마트 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등과 같이 이동하면서 통신 및 개인정보 처리가 가능한 휴대단말들이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단말은 음성 통화, SMS(Short Message Service)/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등과 같은 메시지 전송, 영상통화, 전자수첩, 촬영, 이메일 송수신, 방송재생, 인터넷, 음악재생, 일정관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ing Service), 메신저, 사전, 게임 등의 기능과 같이 다양한 기능들을 구비하게 되었다.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 variety of mobile terminals capable of communicating and processing personal information while moving, such a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electronic notebooks, smart phones, and tablet PCs (Personal Computers), have been released. These mobile terminals include voice calls, SMS (Short Message Service)/MMS (Multimedia Message Service) messages, video calls, electronic organizers, shooting, e-mail transmission and reception, broadcast playback, Internet, music playback, schedule management, and social network services. Various functions, such as (SNS, Social Networking Service), messenger, dictionary, and games, are equipped.

그리고 현재 휴대단말은 사용자의 필수품으로 언제 어디서나 소지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단말에 의한 소음 발생을 자제해야 하는 공공장소(예컨대, 회의실, 교실, 도서관 등)에서는 휴대단말이 제공하는 매너모드(예컨대, 진동모드 또는 무음모드)로 휴대단말을 설정하여 사용하고 있다. 매너모드로 설정된 상황에서도 콜 수신 또는 메시지 수신 등과 같은 알림 이벤트가 발생할 시 표시부가 턴-온(turn-on)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사용자는 휴대단말의 전원을 강제 오프(off)하거나, 또는 휴대단말을 가리기, 엎어 놓기, 및 숨기거나 하는 등의 행위를 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휴대단말을 확인할 수 없게 됨에 따라, 긴급한 알림 이벤트 등이 발생하더라도 사용자가 이를 인지할 수 없다. 즉, 휴대단말의 표시부를 사용하지 않는 상황(예컨대, 휴대단말을 엎어 높거나, 표시부를 가린 경우 등)에서 콜이나 메시지가 수신될 시 해당 수신 정보가 사용자에게 제대로 전달될 수 없다.In addition, the current mobile terminal is a necessity for the user, and it is common to carry it anytime, anywhere. Therefore, in public places (e.g., conference rooms, classrooms, libraries, etc.) where the user should refrain from generating noise by the mobile terminal, the user sets and uses the mobile terminal in the manner mode (e.g., vibration mode or silent mode) provided by the mobile terminal. have. Even in a situation set to the manner mode, when a notification event such as call reception or message reception occurs, the display unit may be turned on. In this case, the user performs an action such as forcibly turning off the power of the portable terminal, or hiding, overturning, and hiding the portable terminal. In this case, as the user cannot check the mobile terminal, even if an urgent notification event occurs, the user cannot recognize it. That is, when a call or message is received in a situation where the display unit of the mobile terminal is not used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is turned upside down or the display unit is covered), the received information cannot be properly delivered to the user.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에 플렉서블 표시부를 구현하여 전면뿐만 아니라 측면까지 표시영역을 확장할 수 있는 휴대단말 및 그를 이용한 이벤트 처리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extending a display area not only to the front surface but also to the side surface by implementing a flexible display unit on the mobile terminal, and an event process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렉서블 표시부를 갖는 휴대단말에서 플렉서블 표시부를 전면의 메인 표시영역과 측면의 보조 표시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보조 표시영역을 이용하여 알림 이벤트의 이벤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휴대단말 및 그를 이용한 이벤트 처리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dividing the flexible display unit into a main display area on the front side and an auxiliary display area on the side in a mobile terminal having a flexible display unit, and outputting event information of a notification event using the auxiliary display area. And an event process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플렉서블 표시부를 휴대단말 본체의 측면까지 확장 장착하여 보조 표시영역으로 활용함으로써, 매너알림모드에 의한 이벤트 정보 출력을 지원할 수 있는 휴대단말 및 그를 이용한 이벤트 처리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supporting the output of ev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anner notification mode and an event processing method using the same by extending the flexible display unit to the side of the mobile terminal and using it as an auxiliary display area. .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플렉서블 표시부를 갖는 휴대단말에서 알림 이벤트 발생 시 휴대단말의 상태에 따라 매너알림모드로 전환하여, 플렉서블 표시부의 보조 표시영역을 활용한 알림 이벤트의 이벤트 정보 출력을 처리할 수 있는 휴대단말 및 그를 이용한 이벤트 처리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witch to the manner notification mode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when a notification event occurs in a mobile terminal having a flexible display, so that event information output of a notification event using the auxiliary display area of the flexible display can be processed. It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and an event process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플렉서블 표시부를 갖는 휴대단말에서 메뉴 설정 기반의 매너알림모드 전환을 지원하여, 플렉서블 표시부의 보조 표시영역을 활용한 알림 이벤트의 이벤트 정보 출력을 처리할 수 있는 휴대단말 및 그를 이용한 이벤트 처리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processing event information output of a notification event using an auxiliary display area of the flexible display by supporting menu setting-based manner notification mode switching in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flexible display, and It is to provide the used event processing method.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휴대단말의 이벤트 처리 방법에 있어서, 매너알림모드에서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전면의 메인 표시영역과 측면의 보조 표시영역을 가지는 휴대단말의 상태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의 상태에 대응되게 플렉서블 표시부의 상기 메인 표시영역 및 보조 표시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영역에 이벤트 정보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한다.A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s includes a process of receiving event information in a manner notification mode, in an event processing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nd a main display area on the front side and an auxiliary display area on the side. And a process of detecting a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having a and a process of selectively outputting event information to at least one of the main display area and the auxiliary display area of the flexible display to correspond to the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휴대단말의 이벤트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의 상태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의 전면에 형성된 메인 표시영역을 사용하지 않는 상태일 시 매너알림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매너알림모드에서 알림 이벤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의 측면에 형성된 보조 표시영역에 상기 알림 이벤트에 따른 이벤트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한다.A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s includes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and using a main display area formed on the front of the mobile terminal in the event processing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The process of switching to the manner notification mode when not in a state of not doing so, the process of receiving a notification event in the manner notification mode, and the process of outputting ev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event to an auxiliary display area formed on the side of the mobile terminal. Include.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휴대단말의 이벤트 처리 방법에 있어서, 알림 이벤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알림 이벤트를 수신할 시 상기 휴대단말의 상태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의 상태에 따라 매너알림모드로의 진입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매너알림모드의 진입 시 상기 휴대단말의 측면에 형성된 보조 표시영역에 상기 알림 이벤트에 따른 이벤트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한다.A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s includes a process of receiving a notification event and determining a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upon receiving the notification event. The process and the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to enter the manner notification mode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and outputting ev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event to an auxiliary display area formed on the side of the mobile terminal when entering the manner notification mode Includes the process of doing.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알림 이벤트를 검출할 시 휴대단말의 상태에 따라 매너알림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매너알림모드에서 센서모듈에 의한 휴대단말의 자세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의 자세에 따라 상기 보조 표시영역 내의 이벤트 정보의 출력 방향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매너알림모드는 전면의 상기 메인 표시영역에 의한 이벤트 정보 출력은 생략하고, 측면의 상기 보조 표시영역에 의한 이벤트 정보 출력만을 지원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보조 표시영역 기반의 이벤트 정보 출력은 상기 메인 표시영역을 단색으로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메인 표시영역과 보조 표시영역의 전원을 분리하여 상기 메인 표시영역으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s includes a process of switching to a manner notification mode according to a state of a mobile terminal when a notification event is detected, and a mobile terminal using a sensor module in the manner notification mode. And determining an output direction of event information in the auxiliary display area according to the attitude of the mobile terminal. In addition, the manner notification mode is a mode that omits the output of event information by the main display area on the front side and supports only event information output by the auxiliary display area on the side, wherein the event information based on the auxiliary display area The outpu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display area is output in a single color, or power supply to the main display area is cut off by separating power from the main display area and the auxiliary display area.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방법을 프로세서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in a processor.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휴대단말에 있어서, 전면의 메인 표시영역과 상기 메인 표시영역이 상기 휴대단말의 측면으로 확장되어 형성되는 측면의 보조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부와, 상기 휴대단말의 상태에 대응되게, 상기 플렉서블 표시부의 메인 표시영역 및 보조 표시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영역에 이벤트 정보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s includes, in a portable terminal, a main display area on a front side and an auxiliary display area on a side formed by extending the main display area to a side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selectively output event information to at least one of a main display area and an auxiliary display area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a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휴대단말에 있어서, 전면의 메인 표시영역과 상기 메인 표시영역이 상기 휴대단말의 측면으로 확장되어 형성되는 측면의 보조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부와, 휴대단말의 상태 검출을 위한 센서모듈과, 상기 센서모듈을 통해 검출된 휴대단말의 상태에 대응되게, 상기 플렉서블 표시부의 메인 표시영역 및 보조 표시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영역에 이벤트 정보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s includes, in a portable terminal, a main display area on a front side and an auxiliary display area on a side formed by extending the main display area to a side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The flexible display unit includes, a sensor module for detecting the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and in at least one of the main display area and the auxiliary display area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the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detected through the sensor module. It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o selectively output event information.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상기 보조 표시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면이 상기 휴대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과 체결되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면이 상기 휴대단말의 후면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보조 표시영역은 그 높이가 텍스트 표시를 위한 최소 크기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이벤트 정보 및 이벤트 식별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이벤트 정보를 알림하고, 그 높이가 텍스트 표시를 위한 최소 크기와 컬러 테두리 표시를 위한 최소 크기 사이에 존재하는 경우 이벤트 정보 및 이벤트 식별 아이템의 일부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이벤트 정보를 알림하며, 그리고 그 높이가 텍스트 표시를 위한 최소 크기보다 작은 경우 이벤트 식별 아이템 기반으로 상기 이벤트 정보를 알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s, at least one surface of the auxiliary display area is fastened to at least one side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or the at least one surface i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extends to the rear. And, when the height of the auxiliary display area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minimum size for text display, the event information is notified based on at least one of event information and event identification item, and the height is the minimum size and color for text display. The event information is notifie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event information and part of the event identification item when there is between the minimum size for displaying a border, and when the height is less than the minimum size for text display, the event identification item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vent information is notified.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록매체는, 휴대단말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의 상태에 대응되게, 플렉서블 표시부의 메인 표시영역 및 보조 표시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영역에 알람 이벤트에 따른 이벤트 정보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구성을 포함한다.A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s is provided in at least one of a main display area and an auxiliary display area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the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Includes a configuration that selectively outputs even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alarm event.

전술한 바와 같은 내용들은 당해 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후술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들 및 기술적인 장점들을 다소 넓게 약술한 것이다. 이러한 특징들 및 장점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청구범위의 주제를 형성하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들 및 장점들이 후술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잘 이해될 것이다.The above-described contents are a rather broad summary of the features and technic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better understand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to these features and advantages, additional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form the subject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well understood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hat follow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플렉서블 표시부를 갖는 휴대단말의 이벤트 제공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양 끝단이 구부러진 플렉서블 표시부를 휴대단말의 측면까지 확장 구성함으로써 표시영역을 보다 쉽게 확장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플렉서블 표시부를 전면의 메인 표시영역과 측면의 보조 표시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보조 표시영역을 이용하여 알림 이벤트를 지원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전면의 메인 표시영역을 활용하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보조 표시영역 기반으로 보다 직관적으로 이벤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event of a mobile terminal having a flexible display unit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area can be more easily expanded by extending the flexible display unit with both ends bent to the side of the mobile terminal.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lexible display unit may be divided into a main display area on a front side and an auxiliary display area on a side surface, and a notification event may be supported by using the auxiliary display area.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in a situation where the user cannot use the front main display area, it is possible to support more intuitively checking event information based on the auxiliary display area.

본 발명에 따르면, 알림 이벤트 발생 시 휴대단말의 상태를 확인하여, 확인된 상태에 대응하는 모드로 상기 발생된 알림 이벤트의 이벤트 정보 출력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표시부의 메인 표시영역을 사용하지 않는 다양한 상황 즉, 매너알림모드에 대응할 시 플렉서블 표시부의 보조 표시영역을 이용하여 알림 이벤트에 따른 이벤트 정보를 출력하고, 메인 표시영역을 사용하는 상황 즉, 일반모드에 대응할 시 메인 표시영역 및 보조 표시영역 중 사용자 설정 기반의 적어도 하나의 표시영역을 통해 알림 이벤트에 따른 이벤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휴대단말에 콜 수신, 메시지 수신, 푸시 서비스 수신, SNS 알림 수신 등의 알림 이벤트에 대한 다양한 대처가 가능하여 사용자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notification event occurs, a status of the mobile terminal can be checked, and event information output of the generated notification event can be processed in a mode corresponding to the checked status. For example, when responding to various situations where the main display area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is not used, i.e., when responding to the manner notification mode, event information according to a notification event is output using the auxiliary display area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and the main display area is used. That is, when corresponding to the general mode, event information according to a notification event may be output through at least one display area based on a user setting among the main display area and the auxiliary display area. Through this, various coping with notification events such as call reception, message reception, push service reception, and SNS notification reception to the mobile terminal can be performed, thereby improving user convenience.

그리고 본 발명은 모든 형태의 휴대단말 및 그에 대응하는 다양한 디바이스들에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단말의 상태별 이벤트 정보 출력을 위한 최적의 환경을 구현하여, 휴대단말의 사용성, 편의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ll types of portable terminals and various devices corresponding thereto.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tribute to improving usability, convenience, and competitiveness of the portable terminal by implementing an optimal environment for outputting event information for each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부를 갖는 휴대단말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플렉서블 표시부의 보조 표시영역을 활용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7a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플렉서블 표시부의 구현 형태에 따라 보조 표시영역을 이용한 이벤트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부의 보조 표시영역에서 출력되는 이벤트 정보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상태 변화에 대한 플렉서블 표시부 운용 동작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알림 이벤트에 대한 플렉서블 표시부 운용 동작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이벤트 정보에 대한 플렉서블 표시부 운용 동작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자세 검출 동작 설명을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1 to 3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flexible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to 6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utilizing an auxiliary display area of a flexible display unit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to 8 are view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operation of providing event information using an auxiliary display area 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form of a flexible display unit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event information output from an auxiliary display area of a flexible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operation operation of a flexible display unit in response to a state chang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peration of a flexible display unit for a notification event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peration of a flexible display unit for event information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posture detection operati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들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즉,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cas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indic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possible.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That i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should be noted that only part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descriptions of other parts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안하는 본 발명은 플렉서블 표시부(flexible display unit)를 갖는 휴대단말에서 상기 플렉서블 표시부를, 전면의 메인 표시영역과 측면의 보조 표시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보조 표시영역을 이용하여 알림 이벤트를 제공할 수 있는 플렉서블 표시부를 갖는 휴대단말 및 이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flexible display unit, the flexible display unit is divided into a main display area on the front side and an auxiliary display area on the side, and a notification event can be provided using the auxiliary display area.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flexible display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휴대단말에서 전면의 메인 표시영역을 사용하지 않는 상황(예컨대, 전면의 메인 표시영역이 기타 물체(예컨대, 휴대단말의 케이스, 노트 등)에 가려지거나, 또는 전면이 테이블의 표면 등에 접촉하여 아래로 향하고 있는 상태 등)에서 알림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알림 이벤트에 대한 이벤트 정보를 측면의 보조 표시영역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알림 이벤트는 콜 수신, 메시지 수신(예컨대, SMS(Short Message Service)/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기반의 메시지 수신), 메일 수신, 푸시(push) 서비스의 정보 수신,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ing Service)의 알림 수신 등과 같은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terminal does not use the front main display area (eg, the front main display area is covered by other objects (eg, a case, a notebook, etc.) of the mobile terminal), or When a notification event occur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table, etc.), event information on the notification event may be provided through the auxiliary display area on the sid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otification event includes call reception, message reception (e.g., SMS (Short Message Service)/MMS (Multimedia Message Service)-based message reception), mail reception, push service information reception, social network service ( It may include an event such as notification reception of SNS, Social Networking Service).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양 끝단이 구부러진 형태를 가지며, 이러한 형태에 따라 휴대단말 전면의 메인 표시영역과 휴대단말 측면의 보조 표시영역이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플렉서블 표시부와, 휴대단말의 상태 검출을 위한 센서모듈과, 알림 이벤트 발생 시 휴대단말 상태를 검출하고, 휴대단말 상태에 따라 플렉서블 표시부의 메인 표시영역 및 보조 표시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영역을 이용한 이벤트 정보 출력을 처리하는 제어부 등의 구성을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매너알림모드를 위한 동작 모드 전환은 사용자의 메뉴를 이용한 설정에 의해 선택할 수도 있다.To this en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oth ends are bent, and according to this shape, a flexible display unit in which the main display area on the front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auxiliary display area on the side of the mobile terminal are integrally configured, and the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are detected. And a control unit that detects the status of the mobile terminal when a notification event occurs, and processes event information output using at least one of the main display area and the auxiliary display area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mobile terminal status. Includes. In this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witching of the operation mode for the manner notification mode may be selected by setting using a menu of the user.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 및 운용 제어 방법에 대하여 하기 도면들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 및 운용 제어 방법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Hereinafter, a configuration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below, and thus can be applied to various exemplary embodiments based on the following exemplary embodiment.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부를 갖는 휴대단말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1 to 3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flexible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플렉서블 표시부(100)와 상기 플렉서블 표시부(100)가 안착되어 체결되는 본체(200)와, 상기 본체(200)에 형성되어 휴대단말의 기능 수행을 위한 부가 장치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 1 내지 도 3에서 상기 부가 장치는 스피커(301), 마이크(미도시), 센서 모듈(특히, 조도 센서(303), 전면 카메라 모듈(305) 등), 물리적인 버튼(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exible display unit 100 and a main body 200 in which the flexible display unit 100 is mounted and fastened, and is formed on the main body 200 to be portabl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additional device for performing the function of the terminal. 1 to 3, the additional device includes a speaker 301, a microphone (not shown), a sensor module (especially, an illuminance sensor 303, a front camera module 305, etc.), a physical button (not shown), etc. It may include.

상기 플렉서블 표시부(100)는 휘어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종이처럼 얇고 유연한 기판을 통해 손상 없이 휘거나 구부리거나 말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플렉서블 표시부(10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리 기판이 아닌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하기 때문에 기판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기존의 제조 프로세서를 사용하지 않고 저온 제조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부(10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및 능동형 OLED(AMOLED, Active Matrix OLED) 등에서 액정을 싸고 있는 유리 기판을 플라스틱 필름으로 대체하여, 접고 펼 수 있는 유연성을 부여한다. 이러한 플렉서블 표시부(100)는 얇고 가벼울 뿐만 아니라 충격에도 강하며, 또한 앞서와 같이 휘거나 굽힐 수 있고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The flexible display unit 100 represents a display device that can bend, and can be bent, bent, or rolled without damage through a paper-thin and flexible substrate. Since the flexible display unit 100 uses a plastic substrate rather than a generally used glass substrate, in order to prevent damage to the substrate, the flexible display unit 100 may be formed using a low temperature manufacturing processor without using a conventional manufacturing processor. The flexible display unit 100 uses liquid crystals in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light emitting diode (LE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nd an active OLED (AMOLED, Active Matrix OLED). By replacing the wrapped glass substrate with plastic film, it gives flexibility to fold and unfold. Such a flexible display unit 100 has the advantage of being thin and light, and strong against impact, and can be bent or bent as before, and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forms.

본 발명에서 상기 플렉서블 표시부(100)는 휴대단말의 크기에 따라 특정 화면 크기(예컨대, 3인치, 4인치, 4.65인치, 5인치, 6.5인치, 8.4인치 등)의 액티브 매트릭스 화면(active matrix screen)을 가지며, 상기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예컨대, 좌측, 우측, 상측, 하측 중 적어도 하나의 면)까지 연장되어, 플렉서블 표시부(100)가 동작 가능한 곡률 반경(radius of curvature)(예컨대, 곡률 반경 5cm, 1cm, 7.5mm, 5mm, 4mm 등) 이하로 접혀 본체(200)의 측면에 체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부(100)의 전면에 나타나는 표시영역을 전면의 메인 표시영역(110)이라 칭하고, 상기 메인 표시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본체(200)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으로 구부러져서 본체(200)의 측면에 나타나는 표시영역을 측면의 보조 표시영역(120)이라 칭하기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lexible display unit 100 is an active matrix screen having a specific screen size (eg, 3 inches, 4 inches, 4.65 inches, 5 inches, 6.5 inches, 8.4 inches, etc.)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mobile terminal. 1 and 2, the radius of curvature at which the flexible display unit 100 is operable by extending to at least one side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eg, at least one of the left, right, upper and lower sides) (radius of curvature) (e.g., a radius of curvature of 5cm, 1cm, 7.5mm, 5mm, 4mm, etc.) may be folded and fastened to the side of the body 200. Hereinafter, in the present invention, a display area appearing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100 is referred to as a front main display area 110, and extends from the main display area and is bent toward at least one side of the main body 200 to The display area appearing on the side of 200 will be referred to as an auxiliary display area 120 on the side.

여기서, 상기 메인 표시영역(110)과 상기 보조 표시영역(120)은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분한 것으로, 상기 메인 표시영역(110)과 상기 보조 표시영역(120)은 적어도 어느 하나의 끝단이 구부러진 형태를 가지며, 구부러지는 적어도 하나의 끝단이 휴대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까지 연장되는 하나의 플렉서블 표시부(1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구부러지는 적어도 하나의 끝단이 휴대단말의 후면까지 연장되는 하나의 플렉서블 표시부(1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휴대단말의 전면부를 기준으로 평면으로 이루어진 전면의 표시영역을 메인 표시영역(110)이라 명명하고, 휴대단말의 전면부를 기준으로 측면에 형성되는 표시영역을 보조 표시영역(120)이라 명명한다. 즉, 본 발명은 휴대단말 전면의 메인 표시영역(110)과 휴대단말 측면의 보조 표시영역(120)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하나의 플렉서블 표시부(100)에 의해 구현된다.Here, the main display area 110 and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are separat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in display area 110 and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are at least one The end has a bent shape, and at least one bent end may be implemented by one flexible display unit 100 extending to at least one side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Further, at least one bent end may be implemented by one flexible display unit 100 extending to a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display area formed of a plane based on the front part of the mobile terminal is referred to as the main display area 110, and the display area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is referred to as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Name it.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display area 110 on the front side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on the side of the mobile terminal are implemented by a single flexible display unit 100 configured as an “integral type”.

이러한 본 발명은 상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렉서블 표시부(100)를, 전면의 메인 표시영역(110)과 측면의 보조 표시영역(120)으로 구분하고, 상기 보조 표시영역(120)을 이용하여 알림 이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휴대단말에서 전면의 메인 표시영역(110)을 사용하지 않는 상황(예컨대, 전면의 메인 표시영역이 기타 물체(예컨대, 휴대단말의 케이스(800), 노트 등)에 가려지거나, 또는 전면이 테이블의 표면에 접촉하여 아래로 향하고 있는 상태 등)에서 알림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알림 이벤트에 대한 이벤트 정보를 측면의 보조 표시영역(120)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to 3, the flexible display unit 100 is divided into a main display area 110 on the front side and an auxiliary display area 120 on the side, and the auxiliary display area ( 120) can be used to provide a notification even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terminal does not use the front main display area 110 (eg, the front main display area is other objects (eg, the case 800 of the mobile terminal, a notebook, etc.) When a notification event occurs in a state that is obscured by or the front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table, etc.), event information on the notification event may be provided through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on the side.

예를 들어, 사용자는 회의를 위해 휴대단말을 테이블에 뒤집어 엎어놓을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휴대단말의 메인 표시영역(110)이 아래를 향하여 테이블의 표면과 접촉하는 것과 같이 휴대단말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단말을 별도의 케이스(800)에 넣어 메인 표시영역(110)을 가리거나, 노트 등으로 메인 표시영역(110)을 가릴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can turn the mobile terminal upside down on a table for a conference. That is, the user can change the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such that the main display area 110 of the mobile terminal faces downward and contacts the surface of the table.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3, the user may cover the main display area 110 by putting the mobile terminal in a separate case 800, or cover the main display area 110 with a note or the like.

그러면, 휴대단말은 센서모듈을 통해 휴대단말의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휴대단말의 상태 검출은 빛의 양의 변화를 검출하는 조도 센서, 휴대단말의 자세를 검출하는 동작 센서(예컨대,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등), 또는 타이머(timer) 등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모듈은 하나의 칩(chip)에 복수의 센서들(예컨대, 센서1, 센서2, 센서3 등)이 일체화되거나, 또는 복수의 센서들이 별도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Then, the portable terminal can detect the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sensor module. At this time, the state detection of the mobile terminal may be detected by an illuminance sensor that detects a change in the amount of light, a motion sensor that detects the attitude of the mobile terminal (eg, a geomagnetic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etc.), or a timer. . Here, in the sensor module, a plurality of sensors (eg, sensor 1, sensor 2, sensor 3, etc.) may be integrated in one chip, or a plurality of sensors may be implemented as separate chips.

일예로, 휴대단말은 조도 센서에 의해 검출된 조도 값에 따라 현재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휴대단말은 동작 센서에 의해 검출된 자세정보(예컨대, x축, y축, z축에 대한 측정 값)에 따라 현재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휴대단말은 타이머에 의해 검출된 현재 시간에 따라 현재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타이머를 이용하는 경우는 휴대단말의 현재 시간이 사용자가 매너알림모드 자동 실행으로 설정한 시간대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현재 시간이 사용자 설정 시간에 대응할 시 매너알림모드로 진입하는 동작에 해당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mobile terminal may determine the current state according to the illuminance value detected by the illuminance sensor. The mobile terminal may determine the current state according to the attitude information (eg, measured values for the x-axis, y-axis, and z-axis) detected by the motion sensor. Alternatively, the mobile terminal may determine the current state according to the current time detected by the timer. In the case of using the timer,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urrent time of the mobile terminal corresponds to the time zone set by the user to automatically execute the manner notification mode, and when the current time corresponds to the user set time, it corresponds to the operation of entering the manner notification mode. I can.

이하, 본 발명에서는 먼저 조도 센서에 의한 조도 값을 판단하고, 측정된 조도 값이 설정된 기준 조건(예컨대, 앞서와 같이 메인 표시영역(110)이 가려져 그 값이 일정 기준치 이하인 조건)을 만족할 시 추가 동작 센서에 의하여 휴대단말이 놓인 상태를 판단하여 그 상태에 따라 보조 표시영역(120)의 출력 방향을 결정하는 동작을 예시로서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어느 하나의 센서에 의해서만 동작하도록 설정되거나, 또는 3개 이상의 센서들의 조합에 의해서 동작하도록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inaft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lluminance value by the illuminance sensor is first determined, and the measured illuminance value is added when the set reference condition (e.g., the condition that the main display area 110 is covered as above and the value is less than a certain reference value) An operation of determining an output direction of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according to the state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is placed by the motion sensor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Howe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it may be set to operate only by any one sensor or set to operate by a combination of three or more sensors.

그리고 휴대단말은 상기와 같은 센서모듈 기반의 측정값에 의한 판단결과, 휴대단말의 메인 표시영역(110)을 사용하지 않는 상태(예컨대, 엎어진 상태 또는 메인 표시영역(110)이 가려진 상태 등)인 것으로 인지할 시 매너알림모드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의 상태는 조도 센서가 조도 변화를 검출하고 그에 해당하는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면, 제어부는 상기 전기적 신호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와 비교하고 그에 따라 휴대단말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상기 조도 센서에 의한 조도 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하인 경우 상기 매너알림모드 진입인 것으로 결정하고 동작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도 센서가 측정하는 가장 밝은 조도를 100, 가장 어두운 조도를 0이라 하고, 미리 설정된 기준치의 조도가 30이라 할 시, 상기 조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조도 값이 상기 기준치 30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매너알림모드 진입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is in a state in which the main display area 110 of the mobile terminal is not used (for example, a state in which the main display area 110 of the mobile terminal is turned over or the main display area 110 is hidden, etc.) If it is recognized as being, it can be determined to be in manner notification mode. As for the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when an illuminance sensor detects a change in illuminance and transmits an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to the controller, the controller may compare the electrical signal with a preset reference value and determine the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ly. In this case, when the illuminance value by the illuminance sensor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reference value,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at the manner notification mode is entered and switch the operation mode. For example, if the brightest illuminance measured by the illuminance sensor is 100, the darkest illuminance is 0, and the illuminance of the preset reference value is 30, the illuminance value measured by the illuminance sensor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30 or In the same cas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mode has been entered.

본 발명에서 상기 매너알림모드는 전면의 메인 표시영역(110)에 의한 이벤트 정보 출력은 생략하고, 측면의 보조 표시영역(120)에 의한 이벤트 정보 출력만을 지원하는 모드에 해당하는 것으로, 매너알림모드에서는 화면 출력만이 이루어지고, 사운드 출력 및 진동 출력은 생략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보조 표시영역(120) 기반의 이벤트 정보 출력은 상기 메인 표시영역(110)을 단색(예컨대, 검은색)으로 출력 처리하거나, 또는 상기 메인 표시영역(110)과 보조 표시영역(120)의 전원을 분리하여 상기 메인 표시영역(110)으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방식 등이 이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ner notification mode corresponds to a mode in which event information output by the front main display area 110 is omitted and only event information is output by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on the side. In, only screen output is performed, and sound output and vibration output may be omitted, and this may be variously defined according to user settings. The output of event information based on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is performed by outputting the main display area 110 as a single color (eg, black), or powering the main display area 110 and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A method of separating and cutting off power supply to the main display area 110 may be used.

또한 상기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단말에서 제공되는 환경설정 또는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휴대단말의 오른손 모드 및 왼손 모드를 정의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단말은 결정된 해당 모드에 대응하는 측면의 보조 표시영역(120)만을 운영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도 1에서 오른손 모드로 설정된 경우 오른쪽 측면의 보조 표시영역(120)을 통해 이벤트 정보를 출력하고, 왼손 모드로 설정된 경우 왼쪽 측면의 보조 표시영역(120)을 통해 이벤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FIGS. 1 to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ight-hand mode and the left-hand mode of the mobile terminal can be defined using environment settings or separate applications provided by the mobile terminal. 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can operate only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on the sid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mode. For example, in FIG. 1, when the right-hand mode is set, event information is output through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on the right side, and when the left-hand mode is set, event information is output through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on the left side. I can.

휴대단말은 상기와 같이 매너알림모드로 동작 전환 후 알림 이벤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알림 이벤트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콜 수신, 메시지 수신, 푸시 서비스의 정보 수신, 메일 수신, SNS의 알림 수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은 매너알림모드에서 알림 이벤트를 수신할 시 상기 알림 이벤트에 따른 이벤트 정보를 상기 측면의 보조 표시영역(120)을 기반으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벤트 정보의 출력은 사용자의 인터랙션 입력 시까지 계속 출력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일정시간(예컨대, 1초, 3초, 5초 등)동안만 출력하고 그의 표시를 생략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may receive a notification event after switching to the manner notification mode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otification event may include a call reception, a message reception, a push service information reception, a mail reception, an SNS notification reception, as described above. When receiving a notification event in the manner notification mode, the portable terminal may output ev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event based on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on the side. Here, the output of the event information may be continuously outputted until the user inputs the interaction, or may be output only for a predetermined time (eg, 1 second, 3 seconds, 5 seconds, etc.) and the display thereof may be omitted.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매너알림모드에서 알림 이벤트를 수신할 시 상기 알림 이벤트의 타입을 판별하고, 판별된 해당 알림 이벤트의 타입에 따라 이벤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추출된 이벤트 정보를 보조 표시영역(120)에 표시할 수 있는 형태로 가공하여 그의 출력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콜 관련 알림 이벤트를 판단할 시 발신 정보(예컨대, 전화번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발신 정보와 이벤트 처리 방식에 대해 설정된 사용자 정의를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신 정보에 대해 설정된 우선순위(priority)(예컨대, 중요, 일반)에 따라 상기 발신 정보를 해당 이벤트 정보로 가공하여 보조 표시영역(120)에 출력할 수 있다.When receiving a notification event in the manner notification mode, the portable terminal may determine the type of the notification event and extract ev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etermined type of the notification event. In addition, the extracted event information may be processed into a form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and the output thereof may be processed. For example, when determining a call-related notification event, calling information (eg, a phone number) may be extracted, and the extracted calling information may be compared with a user definition set for the event processing method. In addition, the outgoing information may be processed into corresponding event information according to a set priority (eg, important, general) for the outgoing information, and may be output to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또는, 메시지 알림 이벤트를 판단할 시 발신 정보(예컨대, 전화번호) 및 메시지 내용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고, 추출된 발신 정보와 이벤트 처리 방식에 대한 사용자 정의를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신 정보에 대해 설정된 우선순위(예컨대, 중요, 일반)에 따라 상기 발신 정보 및 메시지 내용 중 적어도 하나를 해당 이벤트 정보로 가공하여 보조 표시영역(120)에 출력할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determining a message notification event, at least one of outgoing information (eg, phone number) and message content may be extracted, and the extracted outgoing information may be compared with a user definition of the event processing method. 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outgoing information and the message content may be processed into corresponding event information according to a set priority (eg, important, general) for the outgoing information, and may be output to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한편, 상기에서는 발신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알림 이벤트에 대한 처리 방식을 예시로 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이벤트 타입별로 알림 이벤트에 대한 처리 방식이 결정될 수 있다. 즉, 콜 수신, 메시지 수신, 푸시 서비스의 정보 수신, 메일 수신, SNS의 알림 수신 등의 각 알림 이벤트별로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그에 따라 다른 종류의 이벤트 정보로 가공하여 이벤트 정보 출력을 처리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above, a processing method for a corresponding notification event is exemplified based on outgoing information, b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rocessing method for a notification event may be determined for each event type. That is, it is possible to process event information output by setting the priority for each notification event such as call reception, message reception, push service information reception, mail reception, and SNS notification reception, and processing it into other types of event information accordingly. .

그리고 상기와 같이 보조 표시영역(120)을 통해 출력하고자 하는 이벤트 정보는 발신 번호, 발신자 이름, 메시지 내용(이때, 스크롤 기능 지원), 아이콘(콜, 메시지, 메일, 푸시 서비스, SNS 등에 따라 구분된 아이콘), 컬러(보조 표시영역(120)을 전체 또는 일부를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다르게 표시) 등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이벤트 타입에 따라 다르게 가공될 수 있다. 이러한 이벤트 정보 출력 방식에 대해 후술하는 도 9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In addition, event information to be output through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as described above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alling number, the name of the sender, the message content (this time, scroll function is supported), and the icon (call, message, mail, push service, SNS, etc.) Icon), color (all or part of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is displayed differently according to a set priority), and the like may be processed differently according to event types in at least one form. This event information output metho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to be described later.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통신모듈(310), 플렉서블 표시부(100), 센서모듈(330), 저장부(350), 그리고 제어부(3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밖에도 상기 휴대단말은 마이크와 스피커를 구비하는 오디오처리부, 디지털 방송(예컨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나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와 같은 이동 방송)의 수신을 위한 디지털 방송 모듈, 피사체의 정적영상 및 동적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통신 기능 지원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통신 모듈, 하드 키(Hard key) 기반의 입력 지원을 위한 입력부, 그리고 상기와 같은 구성들에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battery) 등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그들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Referring to FIG. 4, a communication module 310, a flexible display unit 100, a sensor module 330, a storage unit 350, and a control unit 390 are included. 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includes an audio processing unit having a microphone and a speaker, a digital broadcasting module for receiving digital broadcasting (for example, a mobile broadcasting such as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or Digital Video Broadcasting (DVB)), and a static image of the subject. And support f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based communication functions such as camera module for dynamic image recording, Bluetooth (BLUETOOTH) communication, infrared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communication,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communication, and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At least on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for, a hard key-based input support, and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above configurations may be further included. Description and illustration are omitted.

상기 통신모듈(310)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서버 또는 다른 휴대단말과의 통신을 지원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통신모듈(100)은 이동통신 기반의 음성통화, 영상통화, 데이터통신 등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무선주파수(RF, Radio Frequency)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모듈(100)은 IP(Internet Protocol) 기반의 음성통화, 영상통화, 데이터통신 등의 인터넷 통신 서비스를 지원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통신모듈(100)은 휴대단말에서 외부 서버 또는 휴대단말로부터 알림 이벤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통신모듈(100)은 특정 통신모듈이나 통신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모바일 디바이스가 외부 서버 또는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주어지는 다양한 형태의 통신모듈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310 supports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server or other portable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module 100 may include a radio frequency (RF) module for supporting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such as voice call, video call, and data communication based on mobile communication.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module 100 may support Internet communication services such as voice calls, video calls, and data communication based on Internet Protocol (IP). In particular, the communication module 100 may receive a notification event from an external server or a mobile terminal in the mobile terminal.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module 100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communication module or communication method, but may be implemented by various types of communication modules that allow the mobile device to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server or other mobile device. I can.

상기 플렉서블 표시부(100)는 휴대단말의 동작 상태와 관련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100)는 휴대단말의 홈스크린(home screen), 메뉴스크린(menu screen), 콜 발신/수신 화면, 메시지 작성/수신 화면, 채팅 화면, 및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각각의 실행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부(100)는 전면의 메인 표시영역(110)과 측면의 보조 표시영역(120)으로 구분되고, 상기 보조 표시영역(120)을 통해 콜 수신, 메시지 수신, 푸시 서비스에 따른 정보 수신, SNS에 따른 정보 수신 등과 같은 알림 이벤트에 따른 이벤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표시부(100)의 보조 표시영역(120)을 운용하는 동작 예시에 대해서는 후술될 것이다.The flexible display unit 100 may display a screen related to an operation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100 is a home screen, a menu screen, a call sending/receiving screen, a message writing/receiving screen, a chat screen, and each execution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The screen can be displayed. The flexible display unit 100 is divided into a main display area 110 on the front side and an auxiliary display area 120 on the side, and receives a call, receives a message, and receives information according to a push service through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Event information according to notification events, such as reception of information according to SNS, may be output. An example of an operation of operating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100 will be described later.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플렉서블 표시부(100)는 LCD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LED, OLED, AMOLED 등과 같은 다른 표시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플렉서블 표시부(100)는 터치(touch) 기반의 입력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플렉서블 표시부(100)는 터치스크린(touch-screen) 구성에 의해 터치 기반의 다양한 사용자 입력을 지원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른 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39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렉서블 표시부(100)는 앞서와 같은 다양한 화면을 표시할 시 상기 휴대단말의 회전 방향(또는 놓인 방향)에 따라 가로모드에 의한 화면 표시, 세로모드에 의한 화면 표시 및 가로모드와 세로모드 간의 변화에 따른 적응적 화면 전환 표시를 지원할 수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an LCD is generally used for the flexible display unit 100, but other display devices such as LED, OLED, AMOLED, etc. may be used. Further, the flexible display unit 1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interface supporting a touch-based input. For example, the flexible display unit 100 may support various touch-based user inputs through a touch-screen configuration, and may generate an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user input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 unit 390. In addition, when displaying various screens as described above, the flexible display unit 100 displays a screen according to a horizontal mode, a screen according to a portrait mode, and a landscape mode and a portrait mode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r placed direction) of the mobile terminal. It is possible to support adaptive screen switching display according to changes in the liver.

상기 센서모듈(330)은 휴대단말의 자세 변화, 조도 변화, 가속도 변화 등과 같은 다양한 변화들 중 적어도 하는 검출하고, 그에 해당하는 전기적 신호를 상기 제어부(390)로 전달할 수 있다. 즉, 상기 센서모듈(330)은 휴대단말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상태 변화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390)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센서모듈(330)은 다양한 센서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휴대단말 구동 시(또는 사용자 설정 기반) 상기 제어부(390)의 제어에 따라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전원이 공급되어 휴대단말의 상태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모듈(330)을 항상 동작시켜 휴대단말의 상태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미리 정의되는 사용자 설정, 본 발명의 알림 이벤트 검출 시점, 또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따라 센서모듈(330)이 구동될 수 있다.The sensor module 330 may detect at least one of various changes such as a change in posture, a change in illuminance, and a change in accel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transmit an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to the control unit 390. That is, the sensor module 330 may detect a state change based on the mobile terminal, generate a detection signal accordingly,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 unit 39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module 330 may be composed of various sensors, and power is supplied to at least one sensor set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390 when the mobile terminal is driven (or based on user settings). State changes can be dete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module 330 is always operated to detect a change in the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module 330 may be driven according to a predefined user setting, a notification event detection time 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 user's manual manipulation.

이러한 센서모듈(330)은 휴대단말의 상태 변화를 검출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센싱 디바이스(sensing device)들 중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모듈(330)은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조도 센서(illuminance sensor),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 압력 센서(pressure sensor), 노이즈 센서(Noise Sensor)(예컨대, 마이크), 비디오 센서(Video Sensor)(예컨대, 카메라 모듈), 그리고 타이머 등과 같은 다양한 센싱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ensor module 33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of all types of sensing devices capable of detecting a state change of the portable terminal. For example, the sensor module 330 includes an acceleration sensor, a gyro sensor, an illumination sensor, a proximity sensor, a pressure sensor, and a noise sensor. Sensor) (eg, a microphone), a video sensor (eg, a camera module), and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sensor among various sensing devices such as a timer.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휴대단말의 메인 표시영역(110)을 사용하지 않는 다양한 환경(예컨대, 휴대단말의 전면부가 테이블의 표면과 접촉되는 뒤집어 놓은 상태 또는 휴대단말의 케이스(800)에 의해 상기 메인 표시영역(120)이 가려진 상태 등)을 검출하기 위한 일환으로, 조도 센서 및 가속도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에 의해 운용하는 것을 예시로 설명한다. 즉, 본 발명의 예시에서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들을 이용하여 휴대단말의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모듈(330)이 상기 가속도 센서인 경우를 가정하고, 휴대단말의 자세를 검출하는 동작에 대하여 도 13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display area 110 of the mobile terminal is not used (for example, the main display area 110 of the mobile terminal is turned upside down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table or the case 800 of the mobile terminal As a part of detecting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area 120 is covered), operation by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of an illuminance sensor and an acceleration sensor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That is, in th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may be detected using one or more sensors. Here, it is assumed that the sensor module 330 is the acceleration sensor, and an operation of detecting the posture of the mobile termina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3.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자세 검출 동작 설명을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13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posture detection operati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센서모듈(330)은 상기 통신모듈(310)로부터 알림 이벤트가 수집된 경우 상기 제어부(390)의 제어에 따라 전원이 공급되어 휴대단말의 자세를 측정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센서모듈(330)을 항상 동작시켜 휴대단말의 자세를 검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센서모듈(330) 특히, 가속도 센서는 알림 이벤트를 검출한 후에 동작할 수 있다.13, when a notification event is collected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310, the sensor module 330 is supplied with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90 to measure the posture of the mobile terminal.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module 330 is always operated to detect the posture of the mobile terminal. Alternatively, the sensor module 330, in particular, the acceleration sensor may operate after detecting a notification event.

본 발명에서는 휴대단말의 자세 검출을 위해 상기 센서모듈(200)이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는 것을 예시로 한다. 이때, 상기 센서모듈(200)이 가속도 센서인 경우 상기 조도 센서에 의한 휴대단말의 검출은 생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휴대단말이 뒤집혀 전면의 메인 표시영역(110)이 테이블의 표면에 접촉하는 경우에 운용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 휴대단말이 전면의 메인 표시영역(110)이 위로 향하고 휴대단말의 후면이 테이블의 표면에 접촉하는 경우에도 운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휴대단말의 조도를 먼저 측정한 후, 보조 표시영역(120) 운영을 위해 휴대단말의 자세를 측정하도록 함으로써 모든 경우의 실시 예를 포함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가속도 센서에 의해 휴대단말의 자세를 측정하는 구체적인 예시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xemplified that the sensor module 200 uses an acceleration sensor to detect the attitude of the mobile terminal. In this case, when the sensor module 200 is an acceleration sensor, dete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by the illuminance sensor may be omitted. In this case, it can be operated when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urned over and the front main display area 110 contacts the surface of the table. However,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terminal can be operated even when the main display area 110 on the front faces upward and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contacts the surface of the table. Accordingly, the illumin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controlled by using an illumination sensor. After the first measurement, the posture of the mobile terminal is measured for the operation of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so that the embodiments in all cases can be included. Hereinafter, a specific example of measuring the posture of a mobile terminal by an acceleration sensor will be described.

센서모듈(330)은 휴대단말의 가속도를 측정하여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39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모듈(330)이 3축 가속도 센서인 경우를 가정하면, 도 13에 표시된 X축, Y축 및 Z축 각각에 대한 중력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센서모듈(330)은 휴대단말의 운동 가속도와 중력 가속도가 더해진 가속도를 측정하지만, 휴대단말의 움직임이 없으면 중력 가속도만 측정할 수 있다. 일예로, 휴대단말의 전면이 위로 향하는 것을 중력 가속도의 양(+)의 방향, 휴대단말의 후면이 위로 향하는 것을 중력 가속도의 음(-)의 방향이라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sensor module 330 may measure the accel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to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and transmit the generated electrical signal to the controller 390.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sensor module 330 is a 3-axis acceleration sensor, gravitational acceleration for each of the X-axis, Y-axis, and Z-axis shown in FIG. 13 may be measured. In particular, the sensor module 330 measures the acceleration obtained by adding the movement acceleration and the gravitational accel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but can only measure the gravitational acceleration when there is no movement of the mobile terminal. As an example, a description will be made on the premise that the front of the mobile terminal is facing upward as the positive (+) direction of gravitational acceleration, and the rear of the mobile terminal is facing upward as the negative (-) direction of gravitational acceleration.

상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의 후면이 수평한 면에 닿도록 놓여 있는 경우, 상기 센서모듈(330)에 의해 측정되는 중력 가속도는 X축 및 Y축 성분이 0m/sec2로 측정되고, Z 축 성분만이 특정 양의 값(예컨대, +9.8m/sec2)이 측정될 수 있다. 반대로, 휴대단말의 전면이 수평한 면에 닿도록 놓여 있는 경우, 상기 센서모듈(330)에 의해 측정되는 중력 가속도는 X축 및 Y축 성분이 0m/sec2로 측정되고, Z축 성분만이 특정 음의 값(예컨대, -9.8m/sec2)이 측정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3, when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is placed so as to contact a horizontal surface, the acceleration of gravity measured by the sensor module 330 is measured as 0 m/sec 2 in the X-axis and Y-axis components. And only the Z-axis component can be measured for a specific positive value (eg, +9.8m/sec 2 ). Conversely, when the front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is placed so as to touch a horizontal surface, the acceleration of gravity measured by the sensor module 330 is measured as 0m/sec 2 in the X-axis and Y-axis components, and only the Z-axis component A specific negative value (eg, -9.8m/sec 2 ) can be measured.

아울러, 휴대단말이 테이블의 표면과 비스듬하게 놓인 경우를 가정할 시, 상기 센서모듈(330)에 의해 측정되는 중력 가속도는 적어도 하나의 축이 0m/sec2가 아닌 값으로 측정되고, 이때, 세 축의 성분의 제곱의 합의 제곱근, 즉, 벡터합의 크기는 상기 특정 값(예컨대, 9.8m/sec2)이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상기 센서모듈(330)은 좌표계에서의 X축, Y축 및 Z축 방향에 대한 각각의 가속도를 감지한다. 상기 센서모듈(330)이 부착된 위치에 따라 상기 각각의 축들과 그에 해당하는 중력 가속도는 바뀔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assuming that the mobile terminal is placed at an angle to the surface of the table, the acceleration of gravity measured by the sensor module 330 is measured as a value other than 0m/sec 2 in at least one axis. The square root of the sum of squares of the components of the axis, that is, the magnitude of the vector sum may be the specific value (eg, 9.8 m/sec 2 ). In this case, the sensor module 330 detects each acceleration in the X-axis, Y-axis and Z-axis directions in the coordinate system.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respective axes and the corresponding gravitational acceleration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sensor module 330 is attached.

상기 제어부(390)는 상기 센서모듈(330)로부터 전달된 중력 가속도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축 성분에 의해 측정된 경우, 상기 각 축들에 대한 가속도를 이용하여 휴대단말이 놓인 자세를 확인(연산)할 수 있다. 상기 자세는 롤각(roll angle)(

Figure 112020031964649-pat00001
), 피치각(pitch angle)(
Figure 112020031964649-pat00002
), 및 요각(yaw angle)(
Figure 112020031964649-pat00003
)으로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롤각(
Figure 112020031964649-pat00004
)은 도 13에서 X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 각도를 나타내고, 상기 피치각(
Figure 112020031964649-pat00005
)은 상기 도 13에서 Y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 각도를 나타내며, 상기 요각(
Figure 112020031964649-pat00006
)은 상기 도 13에서 Z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 각도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도 13에 도시된 예시의 경우, 상기 센서모듈(330)로부터 전달된 중력 가속도 중 Z축 중력 가속도가 +9.8m/sec2이면, 휴대단말이 놓인 자세는 상기 롤각(
Figure 112020031964649-pat00007
), 및 피치각(
Figure 112020031964649-pat00008
)은 '0'에 해당하므로, 상기 휴대단말이 놓이는 자세는 Z축의 중력 가속도를 받는 후면이 중력 방향으로 놓인 자세임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에 의해 휴대단말이 놓이는 어떠한 자세라도 감지 할 수 있으며, 또한 휴대단말의 자세 검출을 위한 자세 검출부가 추가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When the gravitational acceleration transmitted from the sensor module 330 is measured by at least one axis component, the control unit 390 may check (calculate) a posture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is placed using the acceleration for each axis. have. The posture is a roll angle (
Figure 112020031964649-pat00001
), pitch angle(
Figure 112020031964649-pat00002
), and yaw angle(
Figure 112020031964649-pat00003
) Can be represented. The roll angle (
Figure 112020031964649-pat00004
) Represents the rotation angle around the X axis in FIG. 13, and the pitch angle (
Figure 112020031964649-pat00005
) Represents the rotation angle around the Y axis in FIG. 13, and the yaw angle (
Figure 112020031964649-pat00006
) May represent a rotation angle about the Z axis in FIG. 13. In the case of the example shown in FIG. 13, if the Z-axis gravitational acceleration of the gravitational acceleration transmitted from the sensor module 330 is +9.8m/sec 2 , the position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is placed is the roll angle (
Figure 112020031964649-pat00007
), and pitch angle (
Figure 112020031964649-pat00008
) Corresponds to '0', so it can be seen that the posture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is placed is a posture in which the rear surface receiving the gravity acceleration of the Z axis is placed in the direction of gravity. Any posture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is placed may be detected by the above method, and a postur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posture of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additionally implemented.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390)는 오일러 각을 이용한 자세 계산 알고리즘, 확장 칼만 필터(extended Kalman filter)를 이용한 자세 계산 알고리즘, 가속도 예측 스위칭 알고리즘 등과 같은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휴대단말의 자세를 판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가속도계 등을 이용하여 휴대단말의 자세를 측정하는 방법은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390 may determine the attitude of the mobile terminal using an algorithm such as a posture calculation algorithm using an Euler angle, a posture calculation algorithm using an extended Kalman filter, an acceleration prediction switching algorithm, and the like. .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measuring a posture of a mobile terminal using an accelerometer or the like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embodiments.

다시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저장부(350)는 휴대단말에서 진행되고 처리되는 각종 어플리케이션과 데이터를 저장하며, 하나 이상의 비휘발성 메모리와 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저장부(350)는 ROM(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내장 하드디스크(HDD, Hard Disk), 외장 하드디스크, 외부 저장매체 등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350)는 상기 휴대단말의 운영체제, 상기 플렉서블 표시부(100)의 표시 제어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 상기 센서모듈(330)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상태 검출 및 그에 따른 제어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 등을 지속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저장부(350)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부(100)의 메인 표시영역(110) 및 보조 표시영역(120) 운용과 관련된 설정정보(370)를 저장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4, the storage unit 350 stores various applications and data processed and processed in the mobile terminal, and may be configured with one or more nonvolatile memories and volatile memorie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unit 350 is one of a read-only memory (ROM), a flash memory, a random access memory (RAM), an internal hard disk (HDD, Hard Disk), an external hard disk, an external storage medium, etc. It may consist of at least one.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350 includes an operating system of the mobile terminal, a program and data related to a display control operation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100, a state detection of the mobile terminal using the sensor module 330 and a corresponding control operation. Programs and data can be stored continuously or temporarily. In particular, the storage unit 350 may store setting information 370 related to operation of the main display area 110 and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100.

본 발명에서 상기 설정정보(370)는 센서모듈(330)(특히, 조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값이 매너알림모드 진입을 위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 판별(즉, 메인 표시영역(110)을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 부합하는지 여부 판별)을 위한 기준 조건 정보, 상기 보조 표시영역(120)의 이벤트 정보 출력 방식 결정을 위한 이벤트 타입별 또는 발신 정보별로 설정된 우선순위 정보, 오른손 모드 및 왼손 모드 운용을 위한 동작모드 정보, 이벤트 정보의 출력 완료 처리를 위한 정보(예컨대, 사용자 인터랙션 입력 시까지 계속 출력, 또는 미리 설정된 일정시간 동안 출력 등), 매너알림모드에 대한 센서모듈(330)의 운용 방식(예컨대, 이용하고자 하는 센서 및 각 센서별 이벤트 조건)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설정정보(370)는 적어도 하나의 매핑테이블(mapping table)로 구현되어 제공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tting information 370 determines whether the value measured by the sensor module 330 (especially the illuminance sensor) satisfies the condition for entering the manner notification mode (that is, the main display area 110 is used). Reference condition information for determining whether it meets a non-conforming state), priority information set for each event type or transmission information for determining an event information output method of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for right-hand mode and left-hand mode operation Operation mode information, information for processing of event information output completion (e.g., continuous output until user interaction input, or output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etc.), operation method of the sensor module 330 for manner notification mode (e.g., It may include information on a sensor to be used and an event condition for each sensor). The setting information 370 may be implemented and provided as at least one mapping table.

상기 제어부(390)는 휴대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39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플렉서블 표시부(100)를 이용한 알림 이벤트에 대한 매너알림모드 기반의 이벤트 정보 출력 기능 운용과 관련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390)는 전면의 메인 표시영역(110)과 측면의 보조 표시영역(120)으로 구분된 상기 플렉서블 표시부(100)에서, 휴대단말의 상태에 따라 상기 보조 표시영역(120)을 이용한 알림 이벤트의 이벤트 정보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9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n particular, the controller 390 may control an oper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an event information output function based on a manner notification mode for a notification event using the flexible display unit 100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in the flexible display unit 100 divided into the main display area 110 on the front side and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on the side, the control unit 390 controls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You can control the event information output of the used notification event.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390)는 알림 이벤트 발생과 무관하게 상기 센서모듈(330) 기반으로 상기 휴대단말의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휴대단말의 상태에 따라 매너알림모드 진입 여부를 결정하고, 매너알림모드 상태에서 발생되는 알림 이벤트에 대해 상기 보조 표시영역(120) 기반으로 상기 알림 이벤트의 이벤트 정보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90)는 알림 이벤트 발생을 검출하는 시점에서 휴대단말의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휴대단말의 상태에 따라 매너알림모드 진입 여부를 결정하고, 매너알림모드 진입 시 상기 보조 표시영역(120) 기반으로 상기 알림 이벤트의 이벤트 정보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90)는 알림 이벤트 발생 여부에 관계없이 타이머 기반으로 매너알림모드를 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390)는 휴대단말의 현재 시간을 판단하여 매너 알림모드 진입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제어부(390)는 현재 시간이 미리 정의된 시간(예컨대, 자정, 또는 일정 시간 범위)에 속할 시 매너알림모드 진입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매너알림모드 상태에서 발생되는 알림 이벤트에 대해 상기 보조 표시영역(120) 기반으로 상기 알림 이벤트의 이벤트 정보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390 determines the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based on the sensor module 330 regardless of occurrence of a notification event, determines whether to enter the manner notification mod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output of event information of the notification event may be controlled based on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with respect to the notification event generated in the manner notification mode state.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90 determines the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at the time of detecting the occurrence of the notification event, determines whether to enter the manner notification mod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and when entering the manner notification mode, the auxiliary display area ( 120) based on the event information output of the notification event may be controlled. Also, the control unit 390 may operate the manner notification mode based on a timer regardless of whether a notification event occurs.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390 may determine whether to enter the manner notification mode by determining the current time of the mobile terminal. For example, when the current time falls within a predefined time (eg, midnight or a certain time range), the control unit 390 may determine to enter the manner notification mode. In addition, the output of event information of the notification event may be controlled based on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with respect to the notification event generated in the manner notification mode state.

그리고 상기 제어부(390)는 상기 보조 표시영역(120) 기반의 이벤트 정보 출력 시 알림 이벤트별 설정된 우선순위 및 발신 정보별 설정된 우선순위 등에 따라 이벤트 정보의 출력 방식을 결정하고, 결정된 방식에 따라 이벤트 정보 출력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90)는 상기 휴대단말의 상태에 따라 상기 보조 표시영역(120)의 이벤트 정보 표시 방향을 적응적으로 회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event information based on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is output, the control unit 390 determines an output method of event information according to a priority set for each notification event and a set priority for each transmission information, and the ev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etermined method. You can process the output.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90 may adaptively rotate the display direction of the event information of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390)는 본 발명의 기능 운용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390)의 상세 제어 동작에 대해 후술하는 도면들을 참조한 휴대단말의 동작 예시 및 그의 제어 방법에서 설명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90)는 상기의 기능 외에 상기 휴대단말의 통상적인 기능과 관련된 각종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39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그의 운용 및 화면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90)는 터치 기반의 입력 인터페이스에서 지원하는 다양한 터치 인터랙션 입력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수신하고 그에 따른 기능 운용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90)는 유선통신 기반 또는 무선통신 기반으로 각종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control unit 390 can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op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etailed control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390 is described in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its control metho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o be described later. Will be explained. In addition to the above functions, the controller 390 may control various operations related to normal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For example, when a specific application is executed, the control unit 390 may control its operation and screen display. In addition, the controller 390 may receive input signals corresponding to various touch interaction inputs supported by a touch-based input interface and control function operation accordingly. In addition, the controller 390 may control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various data based on wired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상기 도 4에 나타낸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본 발명의 기능을 지원하는 모든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단말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대응되는 각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비롯하여,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스마트 폰(Smart Phone), 디지털 카메라,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 휴대게임단말 및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4 may include all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s, multimedia devices, and application devices therefor supporting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mobile terminal inclu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operates based on communication protocols corresponding to various communication systems, a tablet PC (Personal Computer), a smart phone (Smart Phone), a digital camera, Devices such as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media player, a portable game terminal, and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may be included.

도 5a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플렉서블 표시부(100)의 보조 표시영역(120)을 활용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5A to 6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utilizing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100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5a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 5a는 휴대단말의 전면이 나타나고 그의 후면이 테이블의 표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플렉서블 표시부(100)의 보조 표시영역(120)에 이벤트 정보(400)가 출력되는 화면 예시를 나타낸 것이고, 상기 도 5b는 휴대단말의 후면이 나타나고 그의 전면이 테이블의 표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플렉서블 표시부(100)의 보조 표시영역(120)에 이벤트 정보(400)가 출력되는 화면 예시를 나타낸 것이고, 상기 도 6은 상기 도 5a 및 상기 도 5b와 같이 휴대단말의 놓인 상태에 따라 보조 표시영역(120)내 이벤트 정보의 표시 방향이 적응적으로 회전 전환하여 이벤트 정보(400)를 출력하는 동작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As shown in FIGS. 5A to 6, in FIG. 5A, event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100 when the front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is displayed and the rear surface thereof i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table. 400) is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ed, and FIG. 5B shows event information 400 on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100 while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is displayed and the front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table. ) Is shown, and FIG. 6 shows an event in which the display direction of event information in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is adaptively rotat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as shown in FIGS. 5A and 5B. An example of an operation of outputting information 400 is shown.

상기 도 5a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플렉서블 표시부(100)의 보조 표시영역(120)내 이벤트 정보의 표시 방향은 휴대단말이 놓인 상태에 관계없이 항상 정방향으로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단말의 상태가 전면이 위로 나타난 상태에서 반대의 후면이 다시 위로 향하는 경우, 또는 휴대단말의 상태가 후면이 위로 나타난 상태에서 반대의 전면이 다시 위로 향하는 경우, 그에 따라 이벤트 정보(400)를 회전(예컨대, 180도)하여 사용자 입장에서 항상 정방향으로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휴대단말의 상태가 전면이 위로 향하는 상태를 기준으로 소정 각도(예컨대, 30도, 120도 등)로 경사지게 놓인 경우, 상기 보조 표시영역(120)내 이벤트 정보는 상기 소정 각도에 따라 앞서와 같이 회전 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소정 각도가 30도인 경우 상기 보조 표시영역(120)내 이벤트 정보의 표시 방향은 앞서 전면이 위로 나타난 상태와 대응되는 방향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상기 소정 각도가 120도인 경우 상기 보조 표시영역(120)내 이벤트 정보의 표시 방향은 앞서 후면이 위로 나타난 상태와 대응되는 방향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이와 같이, 휴대단말이 놓인 상태에 따른 이벤트 정보(400)의 회전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은 센서모듈(330)의 가속도 센서 기반으로 휴대단말의 놓인 상태를 검출하고, 그에 따라 이벤트 정보의 출력 방식이 결정될 수 있다.5A to 6, the display direction of event information in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100 may always appear in a forward direction regardless of a state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is placed. For example, when the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is in a state where the front side is up and the opposite rear side is facing up again, or when the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is in a state that the back side is up and the opposite side is facing up again, event information ( 400) is rotated (e.g., 180 degrees) so that the user can always display it in the forward direction. In addition, when the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e.g., 30 degrees, 120 degrees, etc.) based on the front-facing state, event information in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advances according to the predetermined angle. Likewise, the direction of rotation can be determined. For example, when the predetermined angle is 30 degrees, the display direction of the event information in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may appear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a state where the front surface is shown upward, and when the predetermined angle is 120 degrees,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The display direction of the event information may appear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a state in which the rear surface is shown upward. In this way, rotation of the event information 400 according to the state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is placed detects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based on the acceleration sensor of the sensor module 330 as described above, and accordingly, the output method of event information is Can be determined.

예를 들어, 제어부(390)는 알람 이벤트를 검출할 시 일차적으로 센서모듈(330)의 조도 센서 기반으로 매너알림모드 진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매너알림모드 진입으로 결정할 시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센서모듈(330)의 가속도 센서 기반으로 휴대단말의 놓인 상태(자세 방향)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피커(301), 조도 센서(303) 및 전면 카메라 모듈(305) 등의 부가 장치와 메인 표시영역(120)이 나타나는 면을 전면이라 칭하고, 상기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면 카메라 모듈(500)과 배터리 커버(550) 등이 나타나는 면을 후면이라 칭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detecting an alarm event, the controller 390 may first determine whether to enter the manner notification mode based on the illuminance sensor of the sensor module 330. In addition, when deciding to enter the manner notification mode, as described above,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position direction)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acceleration sensor of the sensor module 330. He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face on which the main display area 120 and additional devices such as the speaker 301, the illuminance sensor 303, and the front camera module 305 appear as shown in FIG. 5A is referred to as a front surface. As shown in 5b, a surface on which the rear camera module 500 and the battery cover 550 appear may be referred to as a rear surface.

휴대단말이 상기 도 5a의 예시와 같이 전면이 위로 향하는 상태인 경우 이벤트 정보(400)의 회전 없이 보조 표시영역(120)을 통해 바로 출력하고, 휴대단말이 상기 도 5b의 예시와 같이 전면이 아래로 향하는 상태인 경우 이벤트 정보(400)를 180도 회전하여 보조 표시영역(120)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When the mobile terminal is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side is facing upward, as in the example of FIG. 5A, the event information 400 is output directly through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without rotation, and the mobile terminal has the front side downward as in the example of FIG. 5B. In the case of a state directed to, the event information 400 may be rotated 180 degrees and output through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또한 상기 도 5a 및 상기 도 5b의 예시와 같은 어느 하나의 상태에서 다른 반대의 상태로 휴대단말의 상태가 전환될 시 상기 도 6의 예시와 같이 보조 표시영역(120)의 이벤트 정보(400) 표시 방향이 적응적으로 회전 전환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90)는 보조 표시영역(120) 기반으로 이벤트 정보(400)를 출력하는 중에 상기 센서모듈(330)로부터 휴대단말의 전면 및 후면이 반대 방향으로 바뀌는 자세 정보가 검출될 시 그에 따라 이벤트 정보(400)의 표시 방향의 전환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is changed from one state as in the examples of FIGS. 5A and 5B to another state in the opposite state, the event information 400 on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is displayed as in the example of FIG. 6. The direction can be adaptively rotated and displayed. In this case, when the sensor module 330 detects posture information in which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mobile terminal change in opposite directions while outputting the event information 400 based on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the controller 390 Change of the display direction of the event information 400 may be controlled.

그리고 상기 도 5a 내지 도 6에서는 휴대단말이 놓인 상태에 따라 보조 표시영역(120)을 이용하는 경우를 예시로 나타내었으나, 상기와 같은 동작은 상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이 휴대단말의 케이스(800)에 속해 있는 경우에도 동작할 수 있다.5A to 6 illustrate a case in which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is used depending on the state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is placed, but the above operation is performed when the mobile terminal is the case of the mobile terminal as shown in FIG. It can operate even if it belongs to (800).

도 7a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플렉서블 표시부(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보조 표시영역(120)을 이용한 이벤트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7A to 8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operation of providing event information using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form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100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7a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도 7a의 경우 휴대단말 본체(200)의 측면으로 확장되는 보조 표시영역(120)이 상기 본체(200)의 측면 종단까지 구현된 경우의 예시를 나타내고, 상기 도 7b의 경우 휴대단말의 측면으로 확장되는 보조 표시영역(120)이 상기 본체(200)의 측면 일부분까지 구현된 경우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8의 경우 휴대단말에 보조 표시영역(120)이 구현되는 타입에 따른 이벤트 정보(400) 출력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7A to 8, in the case of FIG. 7A, an example in which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extending to the side of the mobile terminal body 200 is implemented to the side end of the main body 200 is shown, 7B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extending to the side of the mobile terminal is implemented to a part of the side of the main body 200. In the case of FIG. 8, an example for explaining a method of outputting event information 400 according to a type in which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is implemented in the mobile terminal is illustrated.

상기 도 7a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00)의 측면까지 확장되어 나타나는 보조 표시영역(120)의 높이(세로 방향의 크기)를 'H'라 가정할 시, 상기 높이(세로 방향의 크기) 'H'에 따라 이벤트 정보(400)를 다르게 가공하여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보조 표시영역(120)의 높이(세로 방향의 크기) 'H'에 따라 추출된 이벤트 정보(400)(예컨대, 발신 정보, 메시지 내용, 푸시 서비스의 정보, SNS의 알림 등의 텍스트)와 이벤트 식별 아이템(450)(예컨대, 이벤트 타입 식별용 아이콘(텍스트 타입 아이콘, 이미지 타입 아이콘), 컬러 테두리, 컬러 바 등)을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7A to 8, when the height (the siz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extended to the side of the main body 200 is assumed to be'H', the height (vertical The event information 400 may be processed and display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irection)'H'. For examp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vent information 400 extracted according to the height (vertical size)'H' of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e.g., outgoing information, message content, push service information, SNS Text such as notification) and an event identification item 450 (eg, an event type identification icon (text type icon, image type icon), color border, color bar, etc.) may be selectively displayed.

상기 도 7a의 예시와 같이, 상기 보조 표시영역(120)의 높이 'H'가 텍스트 표시를 위한 최소 크기 'A' 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예를 들어, H=7mm, A=6mm), 텍스트 및 이벤트 식별 아이템(450)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조합에 의해 이벤트 정보(400)를 표시할 수 있다. 반면, 상기 도 7b의 예시와 같이, 상기 보조 표시영역(120)의 높이 'H'가 텍스트 표시를 위한 최소 표시 크기 'A' 보다 작은 경우(예를 들어, H=6mm, A=7mm), 텍스트 표시는 생략되고 이벤트 식별 아이템(450)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조합에 의해 이벤트 정보(400)를 표시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example of FIG. 7A, when the height'H' of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minimum size'A' for text display (for example, H=7mm, A=6mm), text And event information 400 may be displayed by any one of the event identification items 450 or a combination thereof. On the other hand, as in the example of FIG. 7B, when the height'H' of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is smaller than the minimum display size'A' for text display (eg, H=6mm, A=7mm), The text display may be omitted and the event information 400 may be displayed by any one or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event identification items 450.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 표시영역(120)의 높이 'H'에 따라 이벤트 정보(400) 및 이벤트 식별 아이템(450)이 선택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를 상기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at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vent information 400 and the event identification item 450 may be selectively displayed according to the height'H' of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상기 도 8의 예시와 같이, 상기 보조 표시영역(120)은 보조 표시영역(120)의 높이 'H'와, 이벤트 식별 아이템(450) 중 텍스트 외곽에 구현되는 컬러 테두리 표시를 위한 최소 크기 'h', 텍스트 표시를 위한 최소 크기 'A' 등을 고려하여 이벤트 정보(400)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텍스트 표시를 위한 최소 크기 'A'는 텍스트 크기 'T'와 보조 표시영역(120)의 갭(gap)인 2a 즉, "A = T+2a"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보조 표시영역(120)의 갭(2a)은 각각 상측 갭(a)과 하측 갭(a)을 포함하며, 플렉서블 표시부(100)의 곡률 반경에 대응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도 8에서 보조 표시영역(120)의 갭들 중 하측 갭은 생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조 표시영역(120)의 휴대단말 본체(200)의 측면까지만 연장되는 경우에는 생략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 표시영역(120)이 휴대단말의 후면까지 연장되는 경우 하측 갭이 곡률 반경에 대응하여 생성될 수 있다. 상기 도 8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측 갭 및 하측 갭이 모두 포함되는 경우를 예시로 설명한다.As shown in the example of FIG. 8,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has a height'H' of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and a minimum size'h' for displaying a colored border implemented outside the text among the event identification items 450. ', the event information 400 may be displayed in consideration of the minimum size'A' for text display. Here, the minimum size'A' for text display may be defined as the text size'T' and the gap 2a between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that is, "A = T+2a". The gap 2a of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includes an upper gap a and a lower gap a, respectively, and may be determined to correspond to a radius of curvature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100. In FIG. 8, a lower gap among gaps in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may be omitted. For example, when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extends only to the side of the mobile terminal body 200, it may be omitted. When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extends to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the lower gap is curvatured. It can be created corresponding to the radius. In FIG. 8,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case in which both the upper gap and the lower gap are included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참조번호 <801>의 예시의 경우, 보조 표시영역(120)의 높이 'H'가 텍스트 표시를 위한 최소 크기 'A (A = T + 2a)'보다 크거나 같고, 텍스트 표시를 위한 최소 크기 'A'가 컬러 테두리 표시를 위한 최소 크기 'h'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즉, 보조 표시영역(120)의 높이 'H'가 다른 모든 크기들을 포함하는 크기(예컨대,

Figure 112020031964649-pat00009
)를 가지는 경우로, 특히 보조 표시영역(120)의 높이 'H'가 텍스트 표시를 위한 최소 크기 'A'보다 크거나 같은 조건인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조건의 경우 상기 보조 표시영역(120)에는 이벤트 정보(400)(예컨대, 발신 정보, 메시지 내용, 푸시 서비스의 정보, SNS의 알림 등의 텍스트)와 이벤트 식별 아이템(450)(예컨대, 이벤트 타입 식별용 아이콘(텍스트 타입 아이콘, 이미지 타입 아이콘), 컬러 테두리, 컬러 바 등)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자 설정에 따라 선택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In the example of reference number <801>, the height'H' of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minimum size'A (A = T + 2a)' for text display, and the minimum size for text display ' This shows an example in which A'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minimum size'h' for displaying a colored border. That is, a size including all sizes of different height'H' of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for example,
Figure 112020031964649-pat00009
), in particular, an example in which the height'H' of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minimum size'A' for text display. In the case of the above conditions,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includes event information 400 (e.g., sending information, message content, push service information, text such as notification of SNS) and event identification item 450 (e.g., At least one of an event type identification icon (text type icon, image type icon), color border, color bar, etc.) may be selectively displayed according to user settings.

참조번호 <803>의 예시의 경우, 보조 표시영역(120)의 높이 'H'가 텍스트 표시를 위한 최소 크기 'A (A = T + 2a)'보다 크거나 같고, 컬러 테두리 표시를 위한 최소 크기 'h'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즉, 보조 표시영역(120)의 높이 'H'가 다른 모든 크기들을 포함하거나 그들 사이의 크기(예컨대,

Figure 112020031964649-pat00010
)를 가지는 경우로, 특히 보조 표시영역(120)의 높이 'H'가 텍스트 최소 표시 크기 'A'보다 크거나 같지만, 컬러 테두리 표시를 위한 최소 크기 'h'보다 작은 조건인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조건의 경우 상기 보조 표시영역(120)에는 이벤트 정보(400)(예컨대, 발신 정보, 메시지 내용, 푸시 서비스의 정보, SNS의 알림 등의 텍스트)와 이벤트 식별 아이템(450)의 일부가 사용자 설정에 따라 선택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이벤트 식별 아이템(450)의 일부는 컬러 테두리를 제외한 이벤트 타입 식별용 아이콘 및 컬러 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example of reference number <803>, the height'H' of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minimum size'A (A = T + 2a)' for text display, and the minimum size for color border display Shows an example of less than or equal to'h'. That is, the height'H' of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includes all different sizes or sizes between them (eg,
Figure 112020031964649-pat00010
), particularly when the height'H' of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minimum text display size'A', but is less than the minimum size'h' for displaying a colored border . In the case of the above conditions,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includes event information 400 (e.g., outgoing information, message content, push service information, text such as notification of SNS) and part of the event identification item 450. It can be selectively displayed according to user settings. Some of the event identification items 45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event type identification icon and a color bar excluding a colored border.

참조번호 <805>의 예시의 경우, 보조 표시영역(120)의 높이 'H'가 텍스트 표시를 위한 최소 크기 'A (A = T + 2a)'보다 작고, 텍스트 표시를 위한 최소 크기 'A'가 컬러 테두리 표시를 위한 최소 크기 'h'보다 작은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즉, 보조 표시영역(120)의 높이 'H'가 다른 모든 크기보다 작은 크기(예컨대,

Figure 112020031964649-pat00011
)를 가지는 경우로, 특히 보조 표시영역(120)의 높이 'H'가 텍스트 표시를 위한 최소 크기 'A'보다 작은 조건인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조건의 경우 상기 보조 표시영역(120)에는 이벤트 정보(400)(예컨대, 발신 정보, 메시지 내용, 푸시 서비스의 정보, SNS의 알림 등의 텍스트)의 표시는 생략되고, 이벤트 식별 아이템(450)의 일부가 사용자 설정에 따라 선택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이벤트 식별 아이템(450)의 일부는 상기 이벤트 타입 식별용 아이콘(특히, 이미지 타입 아이콘) 및 컬러 바 중 사용자 설정에 따른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example of reference number <805>, the height'H' of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is smaller than the minimum size'A (A = T + 2a)' for text display, and the minimum size'A' for text display. Shows an example in which is smaller than the minimum size'h' for displaying a colored border. That is, the height'H' of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is smaller than all other sizes (e.g.,
Figure 112020031964649-pat00011
), in particular, an example in which the height'H' of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is smaller than the minimum size'A' for text display. In the case of the above conditions, the display of event information 400 (e.g., outgoing information, message content, push service information, text such as notification from SNS) is omitted on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and event identification items ( 450) may be selectively displayed according to user settings. A part of the event identification item 45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event type identification icon (especially, an image type icon) and a color bar according to a user setting.

이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In summary, it can be expressed as follows.

(1) 보조 표시영역(120)의 높이 'H'가 텍스트 표시를 위한 최소 크기 'A'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텍스트 기반의 이벤트 정보(400) 및 이벤트 식별 아이템(450) 중 사용자 설정에 따른 적어도 하나 표시(1) When the height'H' of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minimum size'A' for text display, the text-based event information 400 and the event identification item 450 are selected according to the user setting. Show at least one

(2) 보조 표시영역(120)의 높이 'H'가 텍스트 표시를 위한 최소 크기 'A'와 컬러 테두리 표시를 위한 최소 크기 'h' 사이에 존재하는 경우 이벤트 정보(400) 및 이벤트 식별 아이템(450) 아이템의 일부(특히, 컬러 테두리를 제외한 이벤트 타입 식별용 아이콘 및 컬러 바 중 적어도 하나) 중 사용자 설정에 따른 적어도 하나 표시(2) When the height'H' of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is between the minimum size'A' for text display and the minimum size'h' for color border display, the event information 400 and event identification item ( 450) Display at least one of some of the items (especially, at least one of the event type identification icon and color bar excluding the colored border) according to the user setting

(3) 보조 표시영역(120)의 'H'가 텍스트 표시를 위한 최소 크기 'A'보다 작은 경우, 이벤트 식별 아이템(450)(특히, 이미지 타입 아이콘 및 컬러 바 중 사용자 설정에 따른 적어도 하나) 표시(3) When'H' of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is smaller than the minimum size'A' for text display, the event identification item 450 (especially, at least one of the image type icon and color bar according to the user setting) Display

예를 들어, 상기 (1) 방식의 경우, 상기 도 7a 및 도 8의 참조번호 <8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림 이벤트 발생 시 알림 이벤트 타입(예컨대, 콜, 메시지, 메일, 푸시 서비스, SNS 등)을 판별하고, 상기 알림 이벤트로부터 이벤트 정보(400)(예컨대, 텍스트 기반의 발신 정보, 발신자 정보, 메시지 내용, 푸시 서비스 알림 내용, SNS 알림 내용 등)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알림 이벤트의 타입 및 그에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다양한 이벤트 식별 아이템(450)(예컨대, 이벤트 타입 식별용 아이콘(텍스트 타입 아이콘, 이미지 타입 아이콘), 컬러 테두리, 컬러 바 등) 중 적어도 하나가 결정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이벤트 정보(400) 및 결정된 이벤트 식별 아이템(450)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상기 (1) 방식의 경우 사용자 설정 방식에 따라 상기 이벤트 정보(400) 및 이벤트 식별 아이템(450) 중 어느 하나만 선택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method (1), as shown in the reference number <801> of FIGS. 7A and 8, the notification event type (e.g., call, message, mail, push service, SNS Etc.), and the event information 400 (eg, text-based sending information, sender information, message content, push service notification content, SNS notification content, etc.) can be extracted from the notification event. In addition, at least one of various event identification items 450 (eg, event type identification icons (text type icons, image type icons), color borders, color bars, etc.)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notification event and the priority set therein. I can. Subsequently, the event information 400 and the determined event identification item 450 may be displayed together. In the case of method (1), only one of the event information 400 and the event identification item 450 may be selectively displayed according to a user setting method.

상기 (2) 방식의 경우, 상기 도 8의 참조번호 <8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림 이벤트 발생 시 알림 이벤트 타입(예컨대, 콜, 메시지, 메일, 푸시 서비스, SNS 등)을 판별하고, 상기 알림 이벤트로부터 이벤트 정보(400)(예컨대, 텍스트 기반의 발신 정보, 발신자 정보, 메시지 내용, 푸시 서비스 알림 내용, SNS 알림 내용 등)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알림 이벤트의 타입 및 그에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다양한 이벤트 식별 아이템(450)의 일부(예컨대, 이벤트 타입 식별용 아이콘(텍스트 타입 아이콘, 이미지 타입 아이콘), 컬러 바 등) 중 적어도 하나가 결정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이벤트 정보(400) 및 결정된 이벤트 식별 아이템(450)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상기 (2) 방식의 경우 사용자 설정 방식에 따라 상기 이벤트 정보(400) 및 이벤트 식별 아이템(450) 중 어느 하나만 선택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In the case of method (2), as shown in reference number <803> of FIG. 8, when a notification event occurs, a notification event type (eg, call, message, mail, push service, SNS, etc.) is determined, and the Event information 400 (eg, text-based sending information, sender information, message content, push service notification content, SNS notification content, etc.) may be extracted from the notification event. In addition, at least one of some of the various event identification items 450 (e.g., an event type identification icon (text type icon, image type icon), color bar, etc.)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notification event and the priority set therein. have. Subsequently, the event information 400 and the determined event identification item 450 may be displayed together. In the case of method (2), only one of the event information 400 and the event identification item 450 may be selectively displayed according to a user setting method.

상기 (3) 방식의 경우, 상기 도 7b 및 상기 도 8의 참조번호 <8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림 이벤트 발생 시 알림 이벤트 타입(예컨대, 콜, 메시지, 메일, 푸시 서비스, SNS 등)을 판별하고, 상기 판별된 알림 이벤트 타입에 매핑된 이벤트 식별 아이템(450)(특히, 이벤트 타입 식별용 아이콘(이미지 타입 아이콘) 또는 컬러 바)을 추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알림 이벤트 타입(또는 발신 정보)의 우선순위에 따른 이벤트 식별 아이템(450)(예컨대, 컬러 바)만을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식별 아이템(450)을 표시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method (3), as shown in the reference number <805> of FIGS. 7B and 8, when a notification event occurs, a notification event type (eg, call, message, mail, push service, SNS, etc.) It is possible to determine and extract the event identification item 450 (especially, an event type identification icon (image type icon) or a color bar) mapped to the determined notification event type. Alternatively, only the event identification item 450 (eg, color bar) according to the priority of the notification event type (or transmission information) may be extracted. In addition, the extracted at least one event identification item 450 may be displayed.

그리고 본 발명에서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보조 표시영역(120)의 높이 'H'와, 텍스트 표시를 위한 최소 크기 'A'와, 보조 표시영역(120)의 갭 'a'와, 텍스트 표시 크기 'T', 그리고 컬러 테두리 표시를 위한 최소 크기 'h'는 휴대단말에 따라 각각 다르게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단말의 크기, 플렉서블 표시부(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각각 다르게 정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ight'H' of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as defin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inimum size'A' for text display, the gap'a' of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and the text display size ' T'and the minimum size'h' for displaying a colored border may be defin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mobile terminal. For example, they may be defin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implementation form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100.

이하에서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은 알림 이벤트의 이벤트 정보를 상기 보조 표시영역(120)을 이용하여 알림 하는 구체적인 동작 예시에 대하여 도 9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 detailed operation example of notifying event information of a notification event as described above using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부(100)의 보조 표시영역(120)에서 출력되는 이벤트 정보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event information output from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알림 이벤트에 대한 이벤트 정보에 대해 텍스트 및 이벤트 식별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보조 표시영역(120)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 표시영역(120)을 통한 이벤트 정보 출력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보조 표시영역(120)의 높이에 따라 텍스트 기반 및 이벤트 식별 아이템 기반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조합에 의해 표시되거나, 또는 이벤트 식별 아이템 기반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표시영역(120)을 통한 이벤트 정보 출력은 사용자 설정 방식에 따라 다양한 조합으로 제공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a text and an event identification item for event information on a notification event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In this case, the event information output through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is displayed by one of text-based and event identification item-based, or a combination thereof,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as described above, or event identification It can be displayed on an item basis. In addition, event information output through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may be provided in various combinations according to a user setting method.

예를 들어, 참조번호 <9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된 알림 이벤트가 콜 수신이고, 이벤트 식별 아이템(450) 중 "Call:"과 같이 상기 알림 이벤트의 타입 식별을 위한 텍스트 타입 아이콘과, "010-1234-5678 어머니"와 같은 이벤트 정보(400)가 함께 보조 표시영역(120)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reference number <901>, the received notification event is a call reception, and a text type icon for identifying the type of the notification event, such as "Call:" in the event identification item 450, Event information 400 such as "010-1234-5678 mother" may be provided together through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참조번호 <9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된 알림 이벤트가 콜 수신이고, 이벤트 식별 아이템(450) 중 "Call:"과 같이 상기 알림 이벤트의 타입 식별을 위한 텍스트 타입 아이콘과, "010-1234-5678 어머니"와 같은 이벤트 정보(400)를 비롯하여, 상기 텍스트 타입 아이콘 및 이벤트 정보(400)의 외곽을 둘러싸는 특정 형태(예컨대, 사각 형태, 타원 형태 등)로 형성되어 상기 알림 이벤트에 대해 설정된 우선순위를 알림하기 위한 컬러 테두리가 함께 보조 표시영역(120)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컬러 테두리는 사용자 설정에 따른 우선순위(중요, 일반, 즐겨찾기 등)에 따라 빨강, 노랑, 파랑 등과 같이 각 우선순위별로 구분된 컬러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참조번호 <903>에서 "010-1234-5678"의 발신 번호에 대해 중요 우선순위로 설정된 경우를 가정할 시 빨강 컬러 기반의 컬러 테두리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발생된 알림 이벤트에 대한 어떠한 우선순위 설정도 없는 경우, 설정 방식에 따라 상기 참조번호 <901>과 같이 별도의 테두리 아이템 없이 제공되거나 설정된 특정 컬러(예컨대, 검정 컬러)의 테두리가 제공될 수 있다.As shown in reference number <903>, the received notification event is a call reception, and a text type icon for identifying the type of the notification event, such as "Call:" in the event identification item 450, and "010-1234 Including event information 400 such as "5678 mother", it is formed in a specific shape (eg, a square shape, an ellipse shape, etc.)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text type icon and event information 400 to be set for the notification event. A colored border for notifying the priority may be provided through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together. The colored border may be provided in a color divided for each priority, such as red, yellow, and blue, according to the priority (important, general, favorite, etc.) according to the user setting. For example, assuming that a calling number of "010-1234-5678" in the reference number <903> is set as an important priority, a colored border based on a red color may be provided. At this time, if there is no priority setting for the generated notification event, it may be provided without a separate border item as shown in the reference number <901> or a border of a set specific color (eg, black color) according to the setting method. have.

참조번호 <9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된 알림 이벤트가 콜 수신이고, 이벤트 식별 아이템(450) 중 "

Figure 112020031964649-pat00012
"과 같이 상기 알림 이벤트의 타입 식별을 위한 이미지 타입 아이콘과, "010-1234-8765 친구1"와 같은 이벤트 정보(400)를 비롯하여, 상기 이미지 타입 아이콘과 이벤트 정보(400)의 외곽을 둘러싸는 특정 형태(예컨대, 사각 형태, 타원 형태 등)로 형성되어 상기 알림 이벤트에 대해 설정된 우선순위를 알림하기 위한 컬러 테두리가 함께 보조 표시영역(120)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컬러 테두리는 사용자 설정에 따른 우선순위(중요, 일반, 즐겨찾기 등)에 따라 빨강, 노랑, 파랑 등과 같이 각 우선순위별로 구분된 컬러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참조번호 <905>에서 "010-1234-8765"의 발신 번호에 대해 즐겨찾기 우선순위로 설정된 경우를 가정할 시 파랑 컬러 기반의 컬러 테두리가 제공될 수 있다.As shown in reference number <905>, the received notification event is a call reception, and "in the event identification item 450,"
Figure 112020031964649-pat00012
An image type icon for identifying the type of the notification event, and event information 400 such as "010-1234-8765 Friend 1" as shown in "The image type icon and the event information 400 It is formed in a specific shape (eg, a square shape, an ellipse shape, etc.) and a colored border for notifying the priority set for the notification event may be provided through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The colored border is set by a user. Depending on the priority (important, general, favorite, etc.) according to the priority (important, general, favorite, etc.), it may be provided in a color classified for each priority, such as red, yellow, blue, etc. For example, "010-1234" in the reference number <905> Assuming that a calling number of -8765" is set as a favorite priority, a colored border based on a blue color may be provided.

참조번호 <90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된 알림 이벤트가 메시지 수신이고, 이벤트 식별 아이템(450) 중 "

Figure 112020031964649-pat00013
"과 같이 상기 알림 이벤트의 타입 식별을 위한 이미지 타입 아이콘과, "일찍 들어오세요!!"와 같은 이벤트 정보(400)를 비롯하여, 상기 이미지 타입 아이콘과 이벤트 정보(400)의 외곽을 둘러싸는 특정 형태(예컨대, 사각형태, 타원 형태 등)로 형성되어 상기 알림 이벤트에 대해 설정된 우선순위를 알림하기 위한 컬러 테두리가 함께 보조 표시영역(120)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컬러 테두리는 사용자 설정에 따른 우선순위(중요, 일반, 즐겨찾기 등)에 따라 빨강, 노랑, 파랑 등과 같이 각 우선순위별로 구분된 컬러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참조번호 <907>에서 메시지를 발신한 발신 번호에 대해 일반 우선순위로 설정된 경우를 가정할 시 노랑 컬러 기반의 컬러 테두리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스팸 메시지와 같이 발생된 알림 이벤트에 대한 어떠한 우선순위 설정도 없는 경우, 설정 방식에 따라 상기 참조번호 <901>과 같이 별도의 테두리 아이템 없이 제공되거나 설정된 특정 컬러(예컨대, 검정 컬러)의 테두리가 제공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reference number <907>, the received notification event is a message reception, and in the event identification item 450, "
Figure 112020031964649-pat00013
An image type icon for identifying the type of the notification event, such as ", and event information 400 such as "Please come in early!!", as well as a specific shape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image type icon and event information 400 (For example, a rectangular shape, an oval shape, etc.) may be provided with a colored border for notifying the priority set for the notification event through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The colored border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user settings. Depending on the priority (important, general, favorite, etc.), it may be provided in a color classified for each priority, such as red, yellow, blue, etc. For example, the calling number from which the message was sent from the reference number <907>. A yellow color-based color border may be provided assuming a case of setting as a general priority for. In this case, if there is no priority setting for a notification event generated such as a spam message, refer to the above according to the setting method. As shown in number <901>, a frame of a specific color (eg, black color) may be provided without a separate frame item or set.

참조번호 <909> 및 참조번호 <911>의 경우, 보조 표시영역(120)의 높이가 텍스트 최소 표시 크기보다 작은 경우이거나, 또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컬러바가 제공되는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참조번호 <909> 및 참조번호 <9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된 알림 이벤트별로 컬러바의 형태를 다르게 나타내고, 수신된 알림 이벤트에 대해 설정된 우선순위별로 컬러바의 컬러를 다르게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콜 수신의 알림 이벤트의 경우 상기 참조번호 <909>와 같이 일직선의 바 형태를 가지며, 해당 바를 설정된 우선순위에 대응하는 컬러로 나타낼 수 있다. 또는 메시지 수신의 알림 이벤트의 경우 상기 참조번호 <911>과 같이 점선의 바 형태를 가지며, 해당 바를 설정된 우선순위에 대응하는 컬러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참조번호 <909> 및 참조번호 <911> 외에도 다양한 형태가 사용자 정의에 따라 제공될 수 있다. 일예로,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은 이미지 타입 아이콘과 컬러바가 조합된 형태로 제공되거나, 또는 수신 알림 이벤트가 사용자 정의에 따른 중요도 또는 조건에 따라 컬러바를 보조 표시영역(120) 전체 또는 일부에 나타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the case of reference numbers <909> and <911>, the height of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may be smaller than the minimum text display size, or when a color bar is provided according to a user setting. As shown in the reference numbers <909> and <911>, the shape of the color bar may be different for each received notification event, and the color of the color bar may be different for each priority set for the received notification event. .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call reception notification event, as shown in the reference number <909>, it has a straight bar shape, and the corresponding bar may be displayed in a color corresponding to a set priority. Alternatively, in the case of a message reception notification event, it may have a dotted bar shape as shown in the reference number <911>, and the corresponding bar may be displayed in a color corresponding to a set priority. 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reference numbers <909> and <911>, various forms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user definition. As an example, the image type icon and color bar as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in a combined form, or the color bar may be configured to appear in all or part of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according to the importance or condition of the reception notification event. May be.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상태 변화에 대한 플렉서블 표시부(100) 운용 동작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operation operation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100 for a state chang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도 10의 경우 사용자에 의해 본 발명의 매너알림모드가 사전 정의되는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회의 등에 참가할 시 매너알림모드를 위해 미리 정의된 상태로 휴대단말 환경을 조작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는 휴대단말을 책상과 같은 테이블의 표면에 내려놓을 때 휴대단말의 전면부를 바닥을 향하도록 하여 놓을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휴대단말의 전면부가 위를 향하도록 하여 놓을 때 휴대단말의 케이스(800)를 이용하여 메인 표시영역(110)을 가리는 것과 같은 상태로 놓을 수 있다. 이러한 도 10의 경우, 매너알림모드로의 전환을 위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조도 센서 및 가속도 센서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특정 센서모듈(330)이 동작하고 있는 상태이거나, 또는 특정 센서모듈(330)이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동작 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case of FIG. 10 may correspond to a case in which the manner notification mod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defined by a user. For example, when a user participates in a conference or the like, the user can manipulate the environment of the mobile terminal in a predefined state for the manner notification mode. For example, when the user puts the mobile terminal down on the surface of a table such as a desk, the user may place the mobile terminal with the front portion facing the floor. Alternatively, the user may place the mobile terminal in the same state as covering the main display area 110 using the case 800 of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mobile terminal is placed with the front portion facing upward. In the case of FIG. 10, at least one specific sensor module 330 such as an illuminance sensor and an acceleration sensor as described above for switching to the manner notification mode is in operation, or the specific sensor module 330 is a user Can be operated by manual operation of

상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90)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휴대단말의 자세 변화(또는 조도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1001단계).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휴대단말을 책상 등의 바닥에 내려놓을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330)는 조도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와 같은 센서모듈(330)로부터 획득된 측정값을 기반으로 휴대단말의 자세 변화(또는 조도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10, the control unit 390 may detect a change in posture (or change in illumin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s described above (step 1001). For example, the user can put the mobile terminal down on a floor such as a desk. Then, the controller 330 may detect a change in attitude (or change in illuminance) of the mobile terminal based on a measurement value obtained from a sensor module 330 such as an illuminance sensor or an acceleration sensor.

제어부(390)는 휴대단말의 자세 변화(조도 변화)를 검출할 시, 기 설정된 자세정보(또는 조도정보)와 비교할 수 있다(1003단계). 이때, 상기 비교는 검출된 자세 변화(또는 조도 변화)가 매너알림모드 진입을 위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동작에 해당할 수 있다.When detecting a change in posture (change in illuminance)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controller 390 may compare it with preset posture information (or illuminance information) (step 1003). In this case, the comparison may correspond to an operation for determining whether the detected posture change (or illuminance change) satisfies a condition for entering the manner notification mode.

제어부(390)는 상기 자세정보(또는 조도정보) 비교에 의해, 상기 휴대단말의 상태 변화가 매너알림모드로 전환을 위한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1005단계). 예를 들어, 상기 자세정보(또는 조도정보)가 미리 정의된 설정정보에 대응하면 매너알림모드 전환으로 결정하고, 미리 정의된 설정정보에 대응하지 않으면 일반모드에 따른 동작 처리로 결정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90 may determine whether the state change of the portable terminal is for switching to the manner notification mode by comparing the attitude information (or illumination information) (step 1005). For example, if the attitude information (or illuminance information) corresponds to the predefined setting information, it is determined to switch to the manner notification mode, and if it does not correspond to the predefined setting information, the operation processing according to the general mode may be determined.

제어부(390)는 매너알림모드 전환으로 결정하면(1005단계의 YES), 휴대단말에서 현재 운용 중인 동작 모드를 매너알림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1007단계). 그리고 제어부(390)는 상기 매너알림모드 전환 시, 메인 표시영역(110) 턴-오프(turn-off) 및 보조 표시영역(120) 기반의 플렉서블 표시부(100) 운용을 제어할 수 있다(1009단계).If it is determined to change the manner notification mode (YES in step 1005), the control unit 390 may switch the operation mode currently being operated in the mobile terminal to the manner notification mode (step 1007). In addition, when the manner notification mode is switched, the control unit 390 may control the turn-off of the main display area 110 and the operation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100 based on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step 1009). ).

제어부(390)는 매너알림모드 전환이 아닌 것으로 결정하면(1005단계의 NO), 휴대단말에서 현재 운용 중인 동작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1011단계). 이때, 만약 휴대단말에서 현재 운용 중인 동작 모드가 매너알림모드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390)는 상기 1007단계에서 상기 동작 모드를 일반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90)는 메인 표시영역(110) 및 보조 표시영역(120)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영역의 선택적 운용에 의해 플렉서블 표시부(100) 운용을 제어할 수 있다(1013단계).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anner notification mode is not switched (NO in step 1005), the control unit 390 can maintain the operation mode currently being operated in the portable terminal (step 1011). At this time, if the operation mode currently being operated in the mobile terminal corresponds to the manner notification mode, the control unit 390 may switch the operation mode to the normal mode in step 1007. Further, the controller 39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100 by selectively operating at least one of the main display area 110 and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step 1013).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알림 이벤트에 대한 플렉서블 표시부(100) 운용 동작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operation operation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100 for a notification event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도 11의 경우 외부로부터 알림 이벤트가 발생할 시 휴대단말의 상태(조도, 자세 등)를 확인하고, 휴대단말의 상태에 따라 매너알림모드에 의한 동작 또는 일반모드에 의한 동작을 처리하는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도 11의 경, 매너알림모드로의 전환을 위한 휴대단말의 상태 판단하는 특정 센서모듈(330)은 알림 이벤트 발생 시점에서 동작 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in the case of FIG. 11, when a notification event occurs from the outside, the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illumination, posture, etc.) is checked, and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manner notification mode or the general mode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It shows an example of processing the operation. In the case of FIG. 11, the specific sensor module 330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for switching to the manner notification mode may be operated at the time when a notification event occurs.

상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90)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은 다양한 알림 이벤트 중 어느 하나의 알림 이벤트 발생을 검출할 수 있다(1101단계).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390)는 콜 수신, 메시지 수신, 푸시 서비스의 정보 수신, 메일 수신, SNS의 정보 수신 등에 따른 알림 이벤트 발생을 검출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1, the control unit 390 may detect the occurrence of any one of the various notification events described above (step 1101). For example, the controller 390 may detect occurrence of a notification event according to reception of a call, reception of a message, reception of information of a push service, reception of mail, and reception of information from SNS.

제어부(390)는 상기 알림 이벤트 발생을 검출할 시 상기 알림 이벤트에 따른 이벤트 처리 방식에 대하여 결정할 수 있다(1103단계)(1105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390)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센서모듈(330)을 통해 휴대단말의 상태를 체크한 후, 상기 휴대단말의 상태에 따라 매너알림모드에 의한 이벤트 처리 또는 일반모드에 의한 이벤트 처리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390)는 알림 이벤트 발생 시 휴대단말의 상태별로 매너알림모드의 운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90)는 알림 이벤트 발생 시 휴대단말의 현재 시간을 판단하여 매너 알림모드 진입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390)는 현재 시간이 미리 정의된 시간(예컨대, 자정, 또는 일정 시간 범위)에 속하는지 판단하여 휴대단말의 매너알림모드의 운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When detecting the occurrence of the notification event, the controller 390 may determine an event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event (step 1103) (step 1105).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390 checks the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sensor module 330 as described above, and then processes an event according to the manner notification mode or event processing according to the general mode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You can decide either. That is, when a notification event occurs, the controller 390 may determine whether to operate the manner notification mode for each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90 may determine whether to enter the manner notification mode by determining the current time of the mobile terminal when a notification event occurs.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390 may determine whether to operate the manner notification mode of the mobile terminal by determining whether the current time falls within a predefined time (eg, midnight or a certain time range).

제어부(390)는 매너알림모드에 의한 이벤트 처리로 결정하면(1105단계의 YES), 보조 표시영역(120)을 활성화 하고(1107단계) 상기 보조 표시영역(120) 기반의 이벤트 정보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1109단계).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알림 이벤트 발생 시 센서모듈(330)의 조도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에 의해 일차적으로 휴대단말의 상태를 판별하고, 휴대단말의 상태에 따른 매너알림모드 진입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매너알림모드 진입 시 상기 센서모듈(330)의 가속도 센서에 의해 이차적으로 휴대단말의 자세를 판별하고, 휴대단말의 자세에 따른 이벤트 정보 표시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If the control unit 390 determines to process the event according to the manner notification mode (YES in step 1105), the control unit 390 activates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step 1107) and controls the output of event information based on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Yes (step 1109). Her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notification event occurs, a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is primarily determined by an illumination sensor or an acceleration sensor of the sensor module 330, and whether to enter a manner notification mode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may be determined. In addition, when entering the manner notification mode, the attitude of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secondarily determin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of the sensor module 330, and the direction of displaying ev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attitude of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determined.

제어부(390)는 일반모드에 의한 이벤트 처리로 결정하면(1105단계의 NO), 메인 표시영역(110) 및 보조 표시영역(120)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영역을 선택적으로 활성화 할 수 있다(1111단계). 그리고 제어부(390)는 활성화된 표시영역 기반의 이벤트 정보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1113단계).If the control unit 390 determines to process the event in the general mode (NO in step 1105), the controller 390 may selectively activate at least one of the main display area 110 and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step 1111 ). In addition, the controller 390 may control the output of event information based on the activated display area (step 1113).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이벤트 정보에 대한 플렉서블 표시부(100) 운용 동작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operation operation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100 for event information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도 12의 경우 매너알림모드가 동작 중인 상태에서 알림 이벤트에 대한 이벤트 정보의 출력 방식을 결정하고, 결정된 출력 방식에 따라 이벤트 정보 출력을 처리하는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Referring to FIG. 12, in the case of FIG. 12, a method of outputting event information for a notification event is determined while the manner notification mode is in operation, and an example of processing event information output according to the determined output method is shown.

상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제어부(390)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발생된 알림 이벤트에 대해 매너알림모드에 의한 처리 시, 상기 알림 이벤트에 따른 이벤트 타입을 판별할 수 있다(1201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390)는 알림 이벤트가 콜 수신, 메시지 수신, 푸시 서비스의 정보 수신, 메일 수신, SNS의 정보 수신 등과 같은 다양한 이벤트 타입들 중 어디에 속하는지 판별할 수 있다. 이벤트 타입 판별은 해당 이벤트에 따라 전송되는 데이터의 헤더(header) 확인을 통해 식별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2, first, the control unit 390 may determine an event type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event when the notification event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is processed by the manner notification mode (step 1201). For example, the controller 390 may determine which of various event types, such as a call reception, a message reception, a push service information reception, a mail reception, an SNS information reception, and the like, the notification event. The event type can be identified by checking the header of data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event.

제어부(390)는 상기 이벤트 타입을 판별할 시, 판별된 이벤트 타입에 따른 이벤트 출력(알림)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1203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390)는 앞서 도 9를 예시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이벤트 타입에 대응하는 이벤트 식별 아이콘(예컨대, 텍스트 타입 아이콘, 이미지 타입 아이콘 등) 결정, 이벤트 정보 및 이벤트 식별 아이템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에 조합에 의한 출력 결정, 이벤트 식별 아이템에 대한 우선순위별 컬러 적용 여부 결정 등을 결정할 수 있다.When determining the event type, the controller 390 may determine an event output (not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event type (step 1203).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390 determines an event identification icon (eg, a text type icon, an image type icon, etc.) corresponding to the event type, as shown in FIG. 9 as an example, and any of event information and event identification item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o output one or a combination of them, or to apply a color for each priority to an event identification item.

제어부(390)는 상기 이벤트 출력 방식이 결정될 시 결정된 이벤트 출력 방식에 준하여 이벤트 정보를 가공할 수 있다(1205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390)는 앞서 도 9의 참조번호 <901> 내지 참조번호 <911>를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어느 하나의 형태로 출력될 수 있도록 이벤트 정보를 상기 결정된 이벤트 출력 방식에 따라 이벤트 식별 아이템과 조합하는 등의 가공을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event output method is determined, the control unit 390 may process the ev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etermined event output method (step 1205).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390 transmits event information to the determined event output method so that the event information can be output in any one of the formats as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numerals <901> to <911> in FIG. Accordingly, processing such as combining with an event identification item can be performed.

제어부(390)는 가공된 이벤트 정보를 보조 표시영역(120)을 이용하여 출력 제어할 수 있다(1207단계). 이때, 제어부(390)는 휴대단말의 자세를 체크하여 보조 표시영역(120)에 표시할 상기 이벤트 정보의 회전 여부를 판별하고, 회전 결정 시 상기 이벤트 정보를 180도 회전하여 상기 보조 표시영역(120)로 제공할 수 있다.The controller 390 may output and control the processed event information using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step 1207).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390 checks the posture of the mobile terminal to determine whether the event information to be displayed on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is rotated, and when the rotation is determined, rotates the event information 180 degrees to rotate the auxiliary display area 120 ) Can be provided.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플렉서블 표시부를 갖는 휴대단말의 이벤트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Meanwhile, the method for providing an event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flexibl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command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this case,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a program command, a data file, a data structure, etc. alone or in combination. Meanwhile,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recording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computer software.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 and Digital Versatile Disc (DVD). ), Magnetic-Optical Media such as a floptical disk, and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ead only memory (ROM), random access memory (RAM), flash memory, etc. Hardware devices are included. Further, the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above-described hardwa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additio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merely provided with specific examples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that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플렉서블 표시부
110: 메인 표시영역
120: 보조 표시영역
200: 본체
301: 스피커
303: 조도 센서
305: 전면 카메라 모듈
310: 통신 모듈
330: 센서 모듈
350: 저장부
390: 제어부
400: 이벤트 식별 아이템
500: 후면 카메라 모듈
100: flexible display unit
110: main display area
120: auxiliary display area
200: main body
301: speaker
303: illuminance sensor
305: front camera module
310: communication module
330: sensor module
350: storage
390: control unit
400: event identification item
500: rear camera module

Claims (8)

전자 장치에 있어서,
본체;
상기 본체 상에 장착된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는,
메인 표시영역; 및
상기 메인 표시영역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의 후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메인 표시영역보다 작은 크기의 보조 표시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표시영역은 상기 메인 표시 영역으로부터 확장되어 연결된 곡면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메인 표시 영역과 연결되며, 상기 메인 표시 영역과 상기 전자 장치의 전면을 구성하는 전면부;
상기 전자 장치의 후면을 구성하는 후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보조 표시 영역과 연결되며 상기 보조 표시영역과 상기 전자 장치의 측면을 구성하는 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부는 상기 보조 표시 영역의 곡면 영역에 대응되는 곡면 영역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In the electronic device,
main body;
Includes; one display mounted on the main body,
The display,
Main display area; And
A secondary display area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main display area toward a rear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having a size smaller than that of the main display area,
The auxiliary display area includes a curved area extended from and connected to the main display area,
The main body,
A front part connected to the main display area of the display and forming a front surface of the main display area and the electronic device;
A rear portion constituting a rear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Includes; a side portion connected to the auxiliary display area of the display and configuring a side surface of the auxiliary display area and the electronic device,
The electronic device includes a curved area corresponding to the curved area of the auxiliary display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표시영역은,
상기 메인 표시영역으로부터 상기 메인 표시영역의 제1 측면으로 구부러지며 상기 메인 표시영역보다 작은 크기의 제1 보조 표시영역; 및
상기 메인 표시영역으로부터상기 메인 표시영역의 제2 측으로 구부러지며 상기 메인 표시영역보다 작은 크기의 제2 보조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uxiliary display area,
A first auxiliary display area bent from the main display area to a first side of the main display area and having a size smaller than that of the main display area; And
And a second auxiliary display area bent from the main display area to a second side of the main display area and having a size smaller than that of the main display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표시영역은,
상기 메인 표시영역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전자 장치의 측면의 일부까지 커버되는 전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uxiliary display area,
An electronic device integrally extending from the main display area to cover a part of a sid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표시영역은,
상기 메인 표시영역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전자 장치의 측면의 종단까지 커버되는 전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uxiliary display area,
An electronic device that extends integrally from the main display area and covers an end of a sid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전면상에 구비된 조도 센서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 electronic device further comprising an illuminance sensor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전면에 위치하는 제1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전자 장치의 후면에 위치하는 제2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first camera module positioned in front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second camera module positioned on a rear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표시 영역은 평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electronic device, wherein the main display area is a flat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디스플레이는 상기 메인 표시 영역 및 상기 보조 표시영역 중 하나에 터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one display includes a touch panel for receiving a touch input in one of the main display area and the auxiliary display area.
KR1020200037113A 2020-03-26 2020-03-26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vent of portable device having flexible display unit KR1022150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113A KR102215076B1 (en) 2020-03-26 2020-03-26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vent of portable device having flexible display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113A KR102215076B1 (en) 2020-03-26 2020-03-26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vent of portable device having flexible display unit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8642A Division KR102096080B1 (en) 2019-09-26 2019-09-26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vent of portable device having flexible display un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6833A KR20200036833A (en) 2020-04-07
KR102215076B1 true KR102215076B1 (en) 2021-02-10

Family

ID=70291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7113A KR102215076B1 (en) 2020-03-26 2020-03-26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vent of portable device having flexible display un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507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4012B1 (en) * 2021-01-21 2022-12-05 (주)코텍 Display apparatu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4190A1 (en) * 2010-03-18 2011-09-22 Nokia Corporation A housing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25286A (en) * 1997-06-05 2000-09-26 Motorola, Inc. Communication device having multiple display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4190A1 (en) * 2010-03-18 2011-09-22 Nokia Corporation A housing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6833A (en) 2020-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6589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vent of portable device having flexible display unit
KR10172630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vent of portable device having flexible display unit
KR10151562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vent of portable device having flexible display unit
KR10221507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vent of portable device having flexible display unit
KR10174461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vent of portable device having flexible display unit
KR10158461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vent of portable device having flexible display unit
KR10202789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vent of portable device having flexible display unit
KR10191016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vent of portable device having flexible display unit
KR10173151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vent of portable device having flexible display unit
KR10175307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vent of portable device having flexible display unit
KR10209608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vent of portable device having flexible display unit
KR10174461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vent of portable device having flexible display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