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1597B1 - 개인 데이터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개인 데이터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1597B1
KR102211597B1 KR1020200061342A KR20200061342A KR102211597B1 KR 102211597 B1 KR102211597 B1 KR 102211597B1 KR 1020200061342 A KR1020200061342 A KR 1020200061342A KR 20200061342 A KR20200061342 A KR 20200061342A KR 102211597 B1 KR102211597 B1 KR 102211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ersonal
sale
portable terminal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1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탁
양전성
허수
박창범
Original Assignee
대영유비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영유비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영유비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1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15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1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1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06Q20/105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involving programming of a portable memory device, e.g. IC cards, "electronic pur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9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involving key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 데이터를 자산화하여 판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개인 휴대용 단말에 설치되어 상기 개인 휴대용 단말 상에서 개인용 데이터의 생성을 모니터링하며, 상기 생성한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의 생성 시간 및 위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개인용 데이터(개인 정보를 포함함)를 생성한 후 이를 저장매체에 저장하며,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개인용 데이터를 기 등록된 개인용 컴퓨터에 전송하여 상기 개인용 컴퓨터 내 저장장치에 저장시키는 개인 데이터 뱅크용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개인용 컴퓨터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된 개인용 데이터를 공개키를 이용하여 상기 개인용 데이터 내 포함된 개인정보를 비식별화하여 판매용 데이터로 가공하며, 상기 판매용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송출하여 판매 요청하는 데이터 가공용 응용프로그램과, 상기 판매 요청에 따라 상기 판매용 데이터를 등록하며,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구매자측 단말의 상기 판매용 데이터에 대한 구매 요청에 따라 구매자와 판매용 데이터를 판매 요청한 개인간 데이터 거래에 대한 거래 대금을 결제할 수 있는 전자 상거래 서비스를 지원하는 데이터 거래 서버를 포함하는 개인 데이터 거래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인 데이터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METHOD AND SYSTEM FOR DEALING A PERSONAL DATA}
본 발명은 개인 데이터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4차 산업 혁명의 붐을 타고 AI 분야가 각광을 받고 있다.
AI의 지능화 기능 구현을 위해서는 딥러닝, 머신러닝 등에 이용되는 학습을 위한 데이터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며, 구글, 네이버, 다음 등 국내외 포털사 또는 IT 서비스회사는 양질의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한 경쟁이 치열하다.
한편, 데이터 생산의 주체는 개인, 기업, 공공 등이 있으며, 스마트폰, PC, IoT 장치 등을 통해 데이터가 생성되고 있다.
개인이 생산하는 개인 정보는 개인정보보호법의 테두리 내에서 개인정보 수집.활용에 대한 개인의 동의 기반에서, 다양한 개인정보 수집 및 비식별화를 통한 활용이 가능하다.
최근들어, 구글, 네이버, 카카오 등의 포털(플랫폼) 서비스 사업자들은 검색, 지도, 메신저 등의 다양한 인터넷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고, 많은 개인 사용자들이 해당 서비스를 광범위하게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서비스 제공의 대가가 무료인 반면, 포털(플랫폼) 서비스 사업자는 서비스 제공과정에서 많은 개인 데이터를 수집하여 맞춤형 광고, AI 등의 다양한 방면으로 활용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포털(플랫폼) 서비스 사용자가 많아짐에 따라 해당 서비스 사업자의 개인 데이터에 대한 독과점은 갈수록 심해짐으로 인해, 데이터가 곧 자산으로 인식되는 4차 산업 시대에, 다른 일반 중소기업과의 정보 자산에 대한 격차가 커지고 있어, 스타트업, 벤처, 중소기업 등의 후발주자가 포털(플랫폼) 사업자와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더욱 어려운 상황으로 발전하고 있다.
한편, 포털(플랫폼) 서비스 사업자는 서비스 과정에서 수집한 개인 데이터를 활용하여 막대한 수익을 올리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데이터의 주인인 일반 사용자는 데이터에 대한 권리를 갖지 못하고, 자신의 데이터를 다른 서비스에 적극 활용하거나, 자신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익을 발생시키는 마땅한 방법이 없는 상황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5-0071737호(2015.06.29.공개.)
본 발명은 개인 데이터에 대한 자산화 기능을 제공하며, 자산화된 개인 소유의 데이터를 필요시 판매하여 수익을 창출하거나 다른 서비스 분야에 적극 활용하여 개인의 이익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개인 데이터 거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데이터 거래 시스템은 개인 휴대용 단말에 설치되어 상기 개인 휴대용 단말 상에서 개인용 데이터의 생성을 모니터링하며, 상기 생성한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의 생성 시간 및 위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개인용 데이터(개인 정보를 포함함)를 생성한 후 이를 저장매체에 저장하며,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개인용 데이터를 기 등록된 개인용 컴퓨터에 전송하여 상기 개인용 컴퓨터 내 저장장치에 저장시키는 개인 데이터 뱅크용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개인용 컴퓨터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된 개인용 데이터를 공개키를 이용하여 상기 개인용 데이터 내 포함된 개인정보를 비식별화하여 판매용 데이터로 가공하며, 상기 판매용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송출하여 판매 요청하는 데이터 가공용 응용프로그램과, 상기 판매 요청에 따라 상기 판매용 데이터를 등록하며,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구매자측 단말의 상기 판매용 데이터에 대한 구매 요청에 따라 구매자와 판매용 데이터를 판매 요청한 개인간 데이터 거래에 대한 거래 대금을 결제할 수 있는 전자 상거래 서비스를 지원하는 데이터 거래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거래 서버는 상기 구매자측 단말의 특정 판매용 데이터를 활용한 리워드 서비스 제안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특정 판매용 데이터를 제공한 개인에게 소정의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개인 데이터 뱅크용 어플리케이션은 특정 위치 또는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에서 카메라의 구동을 통해 사진을 찍거나 사용자 경험을 기록하는 다이어리 기능을 제공하며, 상기 디지털 다이어리 기능을 통해 상기 개인용 데이터의 생성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개인 데이터 뱅크용 어플리케이션은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측정되는 개인 휴대용 단말의 위도, 경도 및 고도를 포함하는 위치 데이터 저장 기능을 제공하며, 상기 위치 데이터 저장 기능을 통해 개인용 데이터의 생성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가공용 응용 프로그램은 상기 판매용 데이터 중 특정 부분을 미리보기 기능을 통해 미리보기가 가능한 형태로 변환한 후 이를 상기 데이터 거래 서버에 등록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데이터 거래 방법은 개인 휴대용 단말에서 개인용 데이터(개인 정보를 포함함)를 생성하여 저장매체에서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개인 휴대용 단말에서 기 등록된 개인용 컴퓨터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됨에 따라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개인용 데이터를 상기 개인용 컴퓨터에 전송하여 상기 개인용 컴퓨터의 저장장치에 저장시키는 단계와, 상기 개인용 컴퓨터에서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된 개인용 데이터 내 개인 정보를 공개키를 이용하여 비식별화하여 판매용 데이터를 생성한 후 이를 데이터 거래 서버로 전송하여 판매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거래 서버에서 상기 판매용 데이터에 대한 구매 요청이 구매자측 단말로부터 수신됨에 따라 구매자와 판매용 데이터를 판매 요청한 개인간 데이터 거래에 대한 거래 대금을 결제할 수 있는 전자 상거래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개인 휴대용 단말 상에서 개인용 데이터의 생성을 모니터링하며, 상기 생성한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의 생성 시간 및 위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개인용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개인용 데이터의 생성의 모니터링은 특정 위치 또는 개인이 지정한 위치에서 개인 휴대용 단말 내 카메라의 구동을 통해 사진을 찍거나 사용자 경험을 기록하는 다이어리 기능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이어리 기능은 개인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쇼핑 기록, 상기 개인 휴대용 단말을 통해 제공받는 서비스 및 상기 제공받은 서비스에 대한 평가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록할 수 있는 일단위 메모장 또는 디지털 수첩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개인용 데이터의 생성의 모니터링은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측정되는 개인 휴대용 단말의 위도, 경도 및 고도를 포함하는 위치 데이터 저장 기능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개인 데이터 거래 방법은 상기 구매자측 단말의 특정 판매용 데이터를 활용한 리워드 서비스 제안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개인 휴대용 단말에 상기 리워드 서비스 제안 요청에 따른 수락 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메시지에 대한 답변으로 수락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특정 판매용 데이터를 제공한 개인에게 소정의 리워드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판매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판매용 데이터 중 특정 부분을 미리보기 기능을 통해 미리보기가 가능한 형태로 변환한 후 이를 상기 데이터 거래 서버에 전송하여 판매 요청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개인용 데이터를 판매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데이터 주체인 개인의 이익을 극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양질의 데이터 생성을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데이터 거래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데이터 거래 시스템의 개인 휴대용 단말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데이터 거래 시스템의 개인용 컴퓨터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데이터 거래에 대한 전반적인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데이터 거래 과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데이터 거래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데이터 거래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데이터 거래 시스템의 개인 휴대용 단말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데이터 거래 시스템의 개인용 컴퓨터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 데이터 거래 시스템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상호 연결된 개인 휴대용 단말(100), 개인용 컴퓨터(120), 구매자측 단말(160), 공개키 관리 서버(140) 및 데이터 거래 서버(20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개인 휴대용 단말(100)은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이동 통신 장치로서, 예를 들면,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개인 휴대용 단말(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 데이터 거래를 위한 개인용 데이터가 저장 가능한 저장매체(101), 개인용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개인 데이터 뱅크용 어플리케이션(102)이 실행 가능한 형태로 저장된 메모리(103), 개인 데이터 뱅크용 어플리케이션(102)의 실행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4), 입출력 회로(105) 및 통신 회로(10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개인 데이터 뱅크용 어플리케이션(102)은 개인 휴대용 단말(100) 상에서 데이터의 생성을 모니터링하며, 모니터링을 통해 생성한 데이터와 데이터의 생성 시간 및 위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개인용 데이터를 생성한 후 이를 저장매체(101)에 저장하며, 저장매체에 저장된 개인용 데이터를 기 등록된 개인용 컴퓨터(120)에 전송하여 개인용 컴퓨터(120) 내 저장장치(121)에 저장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개인 데이터 뱅크용 어플리케이션(102)은 데이터 생성 시간을 획득하기 위한 개인 휴대용 단말(100)의 시계 어플리케이션(미도시됨)에 연동되고, 위치 데이터로 위도, 경도, 및 고도 등을 획득하기 위한 GPS 수신기(107)에 연동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데이터 뱅크용 어플리케이션(102)은 특정 위치(예컨대, 개인이 지정한 위치)에서 카메라(108)의 구동을 통해 사진을 찍거나 사용자 경험을 기록하는 디지털 다이어리 기능을 제공하며, 디지털 다이어리 기능을 통해 데이터의 생성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경험은 특정 위치에서 쇼핑, 개인이 제공받은 서비스, 서비스에 대한 평가 데이터를 일단위 메모장 또는 디지털 수첩 형태로 기록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록은 동영상 녹화, 텍스트 입력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데이터 뱅크용 어플리케이션(102)은 메모장 또는 디지털 수첩 형태로 사용자 경험이 기록됨에 따라 데이터가 생성되는 것으로 판단하며, 데이터 생성 시간 및 위치 데이터와 생성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개인용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데이터 뱅크용 어플리케이션(102)은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측정되는 개인 휴대용 단말의 위도, 경도, 고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개인용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인 데이터 뱅크용 어플리케이션(102)은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측정되는 개인 휴대용 단말(100)의 위도, 경도, 고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위치 데이터를 저장하는 위치 데이터 저장 기능을 제공하며, 위치 데이터 저장 기능을 통해 개인용 데이터의 생성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개인용 데이터는 개인 정보, 예컨대 주민번호, 아이디, 개인 휴대전화번호 등의 식별정보, 개인의 사생활에 관련된 부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데이터 뱅크용 어플리케이션(102)은 기 등록된 개인용 컴퓨터(120)와 와이파이 등과 같은 무선 통신 또는 유선 인터페이스(예컨대, USB)로 연결되어 개인용 데이터를 개인용 컴퓨터(120)에 전송하여 저장장치(121)에 저장시킬 수 있다.
개인용 컴퓨터(120)는 데이터 가공용 응용 프로그램(122)이 실행 가능한 형태로 저장되고 개인용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장치(121), 개인 휴대용 단말(100) 및 데이터 거래 서버(200)와의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위한 통신용 인터페이스(123), 입출력 장치(124) 및 데이터 가공용 응용 프로그램(122)의 실행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25)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데이터 가공용 응용 프로그램(122)은 저장장치(121)에 저장된 개인용 데이터를 공개키를 이용하여 개인용 데이터 내 포함된 개인정보를 비식별화하여 판매용 데이터로 가공하며, 판매용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 거래 서버(200)에 전송하여 판매 요청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비식별화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가공용 응용 프로그램(122)은 공개키 관리 서버(140)와의 연동을 통해 개인용 데이터 내 포함된 개인 정보에 대한 공개키를 요청하여 수신하며, 수신한 공개키를 이용하여 개인 정보를 비식별화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가공용 응용 프로그램(122)은 비식별화된 개인 정보와 공개키를 이용하여 비식별화 속성 정보를 생성하며, 생성한 비식별화 속성 정보와 개인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판매용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가공용 응용 프로그램(122)은 판매용 데이터 내 개인용 데이터에 대한 미리보기 기능을 제공하며, 미리보기 기능을 통해 개인용 데이터의 소정 부분을 이용하여 판매용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데이터 가공용 어플리케이션(122)은 미리보기 기능을 통해 개인용 데이터의 전체 부분이 아닌 개인이 원하는 부분만을 선택하여 미리보기 파일 형태로 판매용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 거래 서버(200)는 판매용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210)에 등록하며,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구매자측 단말(160)의 판매용 데이터에 대한 구매 요청에 따라 구매자와 판매용 데이터를 판매 요청한 개인간 데이터 거래에 대한 거래 대금을 결제할 수 있는 전자 상거래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거래 서버(200)는 구매자측 단말(160)의 특정 판매용 데이터를 활용한 리워드 서비스 제안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특정 판매용 데이터를 제공한 개인에게 소정의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리워드 서비스는 구매자가 판매용 데이터를 활용함에 따른 소정의 리워드를 판매용 데이터를 업로딩한 개인에게 제공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 참조하여 개인 데이터 거래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데이터 거래에 대한 전반적인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 데이터 거래 방법은 도 1의 개인 데이터 거래 시스템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크게 개인용 데이터 생성 단계(S300), 개인용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S310), 판매용 데이터 생성 단계(S320), 판매용 데이터의 등록을 통해 판매 요청 단계(S330) 및 판매용 데이터를 이용한 개인 데이터 거래 단계(S340)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데이터 거래 과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 휴대용 단말(100)에 설치된 개인 데이터 뱅크용 어플리케이션(102)은 다이어리 기능 내 사용자 입력, 특정 기능의 실행(예컨대 카메라(108)의 실행)이 있는지를 체크하여 데이터 생성을 모니터링한다(S400).
S400의 모니터링 결과, 데이터 생성이 발생됨에 따라 개인 데이터 뱅크용 어플리케이션(102)은 GPS 수신기(107)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함과 더불어 시간 정보를 획득한 후 위치 정보, 시간 정보, 기 설정된 개인 정보 및 생성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개인용 데이터를 생성하며, 생성한 개인용 데이터를 저장매체(101)에 저장한다(S402).
한편, 도시 생략되었지만, 개인 휴대용 단말(100)에 설치된 개인 데이터 뱅크용 어플리케이션(102)은 사용자 입력, 특정 기능의 실행(예컨대 카케라(108)의 실행)이 없는 경우에도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측정되는 개인 휴대용 단말(100)의 위도, 경도, 고도 등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개인용 데이터를 생성하며, 생성한 개인용 데이터를 저장매체(101)에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들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복수의 개인용 데이터를 생성함과 더불어 이를 저장매체(101)에 저장할 수 있다.
이후, 개인 데이터 뱅크용 어플리케이션(102)은 개인 휴대용 단말(100)이 기 등록된 개인용 컴퓨터(12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지를 판단한다(S404). 구체적으로, 개인 데이터 뱅크용 어플리케이션(102)은 개인 휴대용 단말(100)의 사용자가 공유 등록한 개인용 컴퓨터(120)가 연결되는지를 판단한다.
S404의 판단 결과, 연결되는 경우 개인 데이터 뱅크용 어플리케이션(102)은 저장매체(101)에 저장된 개인용 데이터를 개인용 컴퓨터(120)에 전송하여 개인용 컴퓨터(120) 내 저장장치(121)에 저장시킨다(S406).
그런 다음, 개인용 컴퓨터(120) 내 데이터 가공용 응용 프로그램(122)은 사용자의 데이터 판매 요청이 있을 경우 개인용 데이터 내 개인 정보를 공개키를 이용하여 비식별화한 후 비식별화된 개인 정보와 공개키를 이용하여 비식별화 속성 정보를 생성한다(S408).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가공용 응용 프로그램(122)은 공개키 관리 서버(140)에 공개키를 요청하여 수신하거나 저장장치(121)에 저장된 공개키를 이용하여 개인 정보를 비식별화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데이터 가공용 응용 프로그램(122)은 비식별화 속성 정보와 개인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판매용 데이터를 생성한 후 이를 데이터 거래 서버(200)에 전송한다(S410). 이때. 데이터 가공용 응용 프로그램(122)은 개인용 데이터에 대한 미리보기 기능을 제공하며, 미리보기 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부분만을 이용하여 미리보기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한 미리보기 파일과 비식별화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판매용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가공용 응용 프로그램(122)은 검색 키워드, 예컨대 태그 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더 제공하며,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된 태그 정보를 더 포함시켜 판매용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데이터 거래 서버(200)는 전송받은 판매용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한다(S412).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들을 통해 데이터 거래 서버(200)는 복수의 개인용 컴퓨터(120)로부터 복수의 판매용 데이터를 수신한 후 이를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할 수 있다.
이후, 구매자측 단말(160)로부터 특정 판매용 데이터에 대한 구매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S414), 데이터 거래 서버(200)는 특정 판매용 데이터를 소유한 개인의 개인 휴대용 단말(100)에 구매 요청을 전송하며, 개인 휴대용 단말(100)의 판매 가능 답변에 의거하여 특정 판매용 데이터를 판매 요청한 개인과 구매자간의 거래를 위한 전자 상거래 서비스를 제공한다(S416).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자 상거래 서비스는 구매자가 판매용 데이터를 구매하기 위한 결제 서비스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상거래 서비스는 구매자측 단말(160)에 특정 판매용 데이터를 구매할 수 있는 결제 인터페이스, 예컨대 신용 카드 결제, 무통장 입금, 포인트 결제 등의 결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 후 결제 완료됨에 따라 개인에게 결제된 금액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전자 상거래 서비스에 따라 결제가 완료됨에 따라 개인은 개인용 컴퓨터(120)를 이용하여 특정 판매용 데이터에 대응되는 개인용 데이터를 구매자측 단말(160)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구매자측 단말(160)로부터 특정 판매용 데이터에 대한 리워드 서비스 제안 요청이 수신(S418)됨에 따라, 데이터 거래 서버(200)는 리워드 서비스 제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메시지를 개인이 등록한 정보, 예컨대 개인 휴대용 단말(100)의 전화번호로 전송(S420)한 후 이에 대한 답변, 예컨대 수락 답변이 개인 휴대용 단말(100)로부터 수신됨에 따라 개인이 등록한 정보로 리워드를 제공한다(S422).
한편,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또는 메모리) 등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또는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100 : 개인 휴대용 단말
102 : 개인 데이터 뱅크용 어플리케이션
120 : 개인용 컴퓨터
122 : 데이터 가공용 응용 프로그램
140 : 공개키 관리 서버
160 : 구매자측 단말
200 : 데이터 거래 서버
210 : 데이터베이스

Claims (4)

  1. 개인 휴대용 단말(100)에 설치되어 상기 개인 휴대용 단말(100) 상에서 개인용 데이터의 생성을 모니터링하며, 상기 생성한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의 생성 시간 및 위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개인용 데이터(개인 정보를 포함함)를 생성한 후 이를 저장매체에 저장하며,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개인용 데이터를 기 등록된 개인용 컴퓨터(120)에 전송하여 상기 개인용 컴퓨터(120) 내 저장장치(121)에 저장시키는 개인 데이터 뱅크용 어플리케이션(102)과, 상기 개인용 컴퓨터(120)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장치(121)에 저장된 개인용 데이터를 공개키를 이용하여 상기 개인용 데이터 내 포함된 개인정보를 비식별화하여 판매용 데이터로 가공하며, 상기 판매용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송출하여 판매 요청하는 데이터 가공용 응용프로그램(122)과, 상기 판매 요청에 따라 상기 판매용 데이터를 등록하며,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구매자측 단말(160)의 상기 판매용 데이터에 대한 구매 요청에 따라 구매자와 판매용 데이터를 판매 요청한 개인간 데이터 거래에 대한 거래 대금을 결제할 수 있는 전자 상거래 서비스를 지원하는 데이터 거래 서버(200)를 포함하는 개인 데이터 거래 시스템을 이용하여,
    개인 휴대용 단말(100)에서 개인용 데이터(개인 정보를 포함함)를 생성하여 저장매체에서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개인 휴대용 단말(100)에서 기 등록된 개인용 컴퓨터(120)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됨에 따라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개인용 데이터를 상기 개인용 컴퓨터(120)에 전송하여 상기 개인용 컴퓨터(120)의 저장장치(121)에 저장시키는 단계와,
    상기 개인용 컴퓨터(120)에서 상기 저장장치(121)에 저장된 개인용 데이터 내 개인 정보를 공개키를 이용하여 비식별화하여 판매용 데이터를 생성한 후 이를 데이터 거래 서버(200)로 전송하여 판매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거래 서버(200)에서 상기 판매용 데이터에 대한 구매 요청이 구매자측 단말(160)로부터 수신됨에 따라 구매자와 판매용 데이터를 판매 요청한 개인간 데이터 거래에 대한 거래 대금을 결제할 수 있는 전자 상거래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개인 휴대용 단말(100) 상에서 개인용 데이터의 생성을 모니터링하며, 상기 생성한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의 생성 시간 및 위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개인용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개인용 데이터의 생성의 모니터링은 특정 위치 또는 개인이 지정한 위치에서 개인 휴대용 단말(100) 내 카메라의 구동을 통해 사진을 찍거나 사용자 경험을 기록하는 다이어리 기능을 통해 이루어지고,
    상기 다이어리 기능은 개인 휴대용 단말(100)을 이용한 쇼핑 기록, 상기 개인 휴대용 단말(100)을 통해 제공받는 서비스 및 상기 제공받은 서비스에 대한 평가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록할 수 있는 일단위 메모장 또는 디지털 수첩 형태로 제공되며,
    상기 개인용 데이터의 생성의 모니터링은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측정되는 개인 휴대용 단말(100)의 위도, 경도 및 고도를 포함하는 위치 데이터 저장 기능을 통해 이루어지고,
    상기 구매자측 단말(160)의 특정 판매용 데이터를 활용한 리워드 서비스 제안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개인 휴대용 단말(100)에 상기 리워드 서비스 제안 요청에 따른 수락 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메시지에 대한 답변으로 수락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특정 판매용 데이터를 제공한 개인에게 소정의 리워드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개인 데이터 거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판매용 데이터 중 특정 부분을 미리보기 기능을 통해 미리보기가 가능한 형태로 변환한 후 이를 상기 데이터 거래 서버에 전송하여 판매 요청하는,
    개인 데이터 거래 방법.
  3. 삭제
  4. 삭제
KR1020200061342A 2020-05-22 2020-05-22 개인 데이터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211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342A KR102211597B1 (ko) 2020-05-22 2020-05-22 개인 데이터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342A KR102211597B1 (ko) 2020-05-22 2020-05-22 개인 데이터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1597B1 true KR102211597B1 (ko) 2021-02-03

Family

ID=74572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1342A KR102211597B1 (ko) 2020-05-22 2020-05-22 개인 데이터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159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67052A (zh) * 2021-02-26 2021-06-15 贵州鑫众搏骏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区块链的支付数据资产化交易平台及方法
KR102488620B1 (ko) * 2021-12-17 2023-01-18 주식회사 텐 자산화 된 학습 데이터 및 자산화 된 인공 신경망 데이터와 관련된 수익을 분배하는 방법
KR102488619B1 (ko) * 2021-12-17 2023-01-18 주식회사 텐 학습된 인공 신경망을 자산화 하는 방법
KR102488618B1 (ko) * 2021-12-17 2023-01-18 주식회사 텐 인공 신경망의 학습을 위한 학습 데이터를 자산화 하는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1737A (ko) 2013-12-18 2015-06-29 추병조 빅데이터 거래시스템 및 거래방법
KR20170045786A (ko) * 2015-10-19 2017-04-28 주식회사 케이티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68637B1 (ko) * 2016-10-21 2017-08-17 김연태 데이터 위탁 판매 및 수익 분배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1737A (ko) 2013-12-18 2015-06-29 추병조 빅데이터 거래시스템 및 거래방법
KR20170045786A (ko) * 2015-10-19 2017-04-28 주식회사 케이티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68637B1 (ko) * 2016-10-21 2017-08-17 김연태 데이터 위탁 판매 및 수익 분배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67052A (zh) * 2021-02-26 2021-06-15 贵州鑫众搏骏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区块链的支付数据资产化交易平台及方法
KR102488620B1 (ko) * 2021-12-17 2023-01-18 주식회사 텐 자산화 된 학습 데이터 및 자산화 된 인공 신경망 데이터와 관련된 수익을 분배하는 방법
KR102488619B1 (ko) * 2021-12-17 2023-01-18 주식회사 텐 학습된 인공 신경망을 자산화 하는 방법
KR102488618B1 (ko) * 2021-12-17 2023-01-18 주식회사 텐 인공 신경망의 학습을 위한 학습 데이터를 자산화 하는 방법
WO2023113091A1 (ko) * 2021-12-17 2023-06-22 주식회사 텐 자산화 된 학습 데이터 및 자산화 된 인공 신경망 데이터와 관련된 수익을 분배하는 방법
WO2023113090A1 (ko) * 2021-12-17 2023-06-22 주식회사 텐 학습된 인공 신경망을 자산화 하는 방법
WO2023113089A1 (ko) * 2021-12-17 2023-06-22 주식회사 텐 인공 신경망의 학습을 위한 학습 데이터를 자산화 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1597B1 (ko) 개인 데이터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6899530B2 (ja) 情報処理方法
JP2018538639A5 (ko)
JP2009069985A (ja) クーポン流通システム、クーポン流通方法、クーポン管理装置および携帯端末
KR101996798B1 (ko) Qr 코드 기반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CA2985966A1 (en) Client driven referral management system and methods
JP6789260B2 (ja) 店舗支援システム、店舗支援方法、および店舗支援プログラム
JP6723030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JP6773344B2 (ja) ギフト・システム
JP2017162377A (ja) 広告動画管理装置、広告動画管理システム、広告動画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広告動画管理方法
JP5616294B2 (ja) アンケート情報収集サーバ及び方法
CN106228390A (zh) 利用电子优惠券的广告监测方法及相应的优惠券使用终端
JP2018101270A (ja) 店舗支援システム、店舗支援方法、および店舗支援プログラム
KR102126271B1 (ko) 용역 발주자와 용역 수행 업체를 중개하는 장치 및 방법
US20150235306A1 (en) Method and system for a seller to list real property
US20160277869A1 (en) Method and program product for location based customer and vendor direct connectivity
JP2008304964A (ja) 広告仲介サーバ、動線情報仲介サーバ及び電子マネー等付与サーバ
Ho et al. Leveraging NFC and LBS technologies to improve user experiences
RU2706473C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поиска с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ым предоставлением контента товаров и/или услуг посредством сети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JP5338109B2 (ja) 個人用電子決済端末、該端末を用いるリコメンド情報生成システム、同生成方法及び同生成プログラム
KR101734081B1 (ko) 소셜 네트워크 기반의 클라우드 커머스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JP2003030527A (ja) 情報通知システム、情報通知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需要者端末、供給者端末、サーバ装置
KR101549482B1 (ko) 위치 기반의 부동산 중개 의뢰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CN113837768A (zh) 用于认证和注册产品以及动态地呈现内容的系统和方法
KR20150111357A (ko) 구매 행동 촉진 장치 및 프로그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