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8297B1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시간 정보 갱신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시간 정보 갱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8297B1
KR102208297B1 KR1020140149272A KR20140149272A KR102208297B1 KR 102208297 B1 KR102208297 B1 KR 102208297B1 KR 1020140149272 A KR1020140149272 A KR 1020140149272A KR 20140149272 A KR20140149272 A KR 20140149272A KR 102208297 B1 KR102208297 B1 KR 102208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unit
power
unit
time information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9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1950A (ko
Inventor
서민석
박정기
이종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9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8297B1/ko
Priority to US14/922,296 priority patent/US9462212B2/en
Publication of KR20160051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1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8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8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07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static stores, e.g. storage tubes or semiconductor 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25Systems for the transmission of digital non-picture data, e.g. of text during the active part of a television frame
    • H04N7/0255Display system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 H04N7/087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with signal insertion during the vertical blanking interval only
    • H04N7/08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with signal insertion during the vertical blanking interval only the inserted signal being digital
    • H04N7/0884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with signal insertion during the vertical blanking interval only the inserted signal being digital for the transmission of additional display-information, e.g. menu for programme or channel se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시간 정보 갱신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AC 전원이 인가된 경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외부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튜너부 및 상기 전원 공급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AC 전원이 인가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튜너부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고 상기 튜너부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로부터 시간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시간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간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시간 정보 갱신 방법{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RENEWING TIME INFORMATION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시간 정보 갱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전 등으로 시간 정보 소실된 경우 백그라운드로 방송 신호의 시간 정보를 추출하여 시간 정보를 갱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시간 정보 갱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D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시간 정보는 예약 녹화나 알람 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꼭 필요한 정보이다. 예를 들어, TV는 대기 모드인 상태에서도 마이컴(micom)의 RTC(Real Time Clock) 모듈을 이용하여 현재 시간을 추적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약된 시간이 되면 전원이 켜지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었다. 하지만 정전이 발생한다든지 AC 코드를 뽑을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간 정보가 소실되면서, 정해진 시간에 맞추어 녹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기존에는 마이컴(micom)의 RTC 모듈 주변에 배터리를 배치하여 정전이 발생하더라도 일정 시간 동안 전원공급이 가능하도록 구현하는 것을 통하여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배터리가 모두 소모될 경우에는 기능을 수행할 수 없어 기존의 방법은 영구적인 설계방법이라 할 수 없다. 또한, 추가적인 배터리의 배치로 인해 재료비가 상승하는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시간 정보가 소실된 경우에 백그라운드로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방송 신호로부터 시간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을 통하여 정전과 같은 사태에 영구적으로 대응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시간 정보 갱신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AC 전원이 인가된 경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외부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튜너부; 및 상기 전원 공급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AC 전원이 인가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튜너부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고, 상기 튜너부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로부터 시간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시간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간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서브 제어부 및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AC 전원이 인가된 경우, 상기 서브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서브 제어부는, 상기 메인 제어부 및 상기 튜너부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제어부는,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의 삭제 여부를 바탕으로, 상기 메인 제어부 및 상기 튜너부에 전원을 공급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간 정보가 업데이트된 후, 상기 메인 제어부 및 상기 튜너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대기 모드로 진입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제어부는, 상기 메인 제어부 및 상기 튜너부에 전원을 공급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전원을 공급하지 않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튜너부는, 상기 외부로부터 수신된 방송 신호를 디지털 처리 가능한 TS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변환된 TS 신호를 상기 튜너부로부터 수신하고 디코딩하여 PCR(program clock reference) 값으로 시간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제어부는, RTC(Real Time Clock)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추출된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RTC(Real Time Clock) 모듈을 활성화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브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예약 녹화/알람 스케줄이 저장되어 있다면, 상기 활성화된 RTC(Real Time Clock) 모듈에 상기 예약 녹화/알람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추출된 시간 정보를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를 이용하여 상기 서브 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간 정보 갱신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AC 전원이 인가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 및 튜너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튜너부를 통해 변환된 TS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TS 신호로부터 시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시간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간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서브 제어부 및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AC 전원이 인가된 경우, 전원 공급부를 통해 상기 서브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서브 제어부가, 상기 메인 제어부 및 상기 튜너부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제어부가,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의 삭제 여부를 바탕으로, 상기 메인 제어부 및 상기 튜너부에 전원을 공급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제어부 및 상기 튜너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대기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하는 단계는, 디스플레이부에는 전원을 공급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TS 신호를 디코딩하여 PCR(program clock reference) 값으로 시간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업데이트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RTC(Real Time Clock) 모듈을 활성화할 수 있다.
그리고, 예약 녹화/알람 스케줄이 저장되어 있다면, 상기 활성화된 RTC(Real Time Clock) 모듈에 상기 예약 녹화/알람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시간 정보를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를 이용하여 전달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인식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자동으로 시간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또한, 재료비 상승 없이 정전과 같은 사태에 대한 영구적인 대비책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대기 모드 시 전원이 공급되는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시간 정보 갱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간 정보 갱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원 공급부(110), 튜너부(120), 제어부(130), 디스플레이부(14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DTV인 경우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원 공급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다른 구성 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동작하지 않고 단순히 AC 전원에 연결된 상태인 대기 모드에서도, 전원 공급부(110)는 제어부(130)의 일부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 공급부(110)는 제어부(130)의 제어 신호를 받아 튜너부(120), 디스플레이부(140)등에 전원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TV의 전원 버튼을 눌러 TV를 켜는 경우에, 제어부(130)는 INT 신호(인터럽트 신호)를 전원 공급부(110)에 전송할 수 있다. INT 신호를 수신한 전원 공급부(110)는 튜너부(120), 디스플레이부(140) 등에 전원을 공급하여 TV가 켜지는 동작이 가능하게 한다.
튜너부(120)는 방송 신호를 디지털 처리 가능한 TS(Transport Stream) 신호로 변환한다. 방송 신호는 RF 신호일 수 있다. 또한, 방송 신호는 지상파(Terrestrial), 케이블(Cable), 또는 위성(Satellite) 방송 시스템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구성을 제어한다. 특히, 전원 공급부(11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AC 전원이 인가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제어부(130)는 튜너부(12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원 공급부(110)를 제어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튜너부(120)를 통해 수신된 TS 신호로부터 시간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추출된 시간 정보를 바탕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시간 정보를 갱신한다.
디스플레이부(140)는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한다. 일반적으로 제어부(130)에서 전원 공급부(110)에 INT 신호를 보내면, 디스플레이부(140)도 전원을 공급받는다. 하지만, 디스플레이부(14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에만 전원이 공급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를 'Fake Power On'이라고 부른다. 디스플레이부(14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시간 정보를 갱신하는 등 백그라운드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원 공급부(110), 튜너부(120), 메인 제어부(131), 서브 제어부(133), RTC 모듈(Real Time Clock, 135), 디스플레이부(140), 저장부(150)를 포함한다.
전원 공급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전원 공급부(110)는 SMPS(Switched-Mode Power Supply)로 구현될 수 있다. SMPS는 스위칭 레귤레이터가 포함된 파워 서플라이를 말한다. SMPS는 선형 파워 서플라이에 비하여 변압기의 크기와 무게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내부 회로에서 많이 사용된다.
전원 공급부(110)는 AC 전원에 연결되면 서브 제어부(133)에 전원을 인가한다. 서브 제어부(133)에만 전원이 인가된 상태를 대기(Standby) 모드 또는 대기 상태라고 한다. 서브 제어부(133)로부터 튜너부(120), 메인 제어부(131) 등에 전원을 공급하라는 신호를 수신하면, 전원 공급부(110)는 튜너부(120), 메인 제어부(131) 등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다른 구성에 전원을 공급한다.
튜너부(120)는 RF 신호의 형식으로 수신되는 방송 신호를 TS(Transport Stream) 신호로 변환한다. TS(Transport Stream) 신호는 디지털 처리가 가능한 신호이며, DTV에서 많이 쓰인다.
제어부(130)는 메인 제어부(131) 및 서브 제어부(133)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메인 제어부(131)와 서브 제어부(133)는 하나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메인 제어부(131)는 CPU로 구현되고, 서브 제어부(133)는 마이컴(micom)으로 구현되는 것과 같이 서로 별도의 구성요소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별도의 구성요소로 구현될 경우에 메인 제어부(131) 및 서브 제어부(133)는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로 연결될 수 있다.
메인 제어부(131)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메인 제어부(13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메인 제어부(131)는 튜너부(120)로부터 수신한 TS 신호를 디코딩하여 시간 정보를 추출한다. 방송 신호에는 자체적인 시간 정보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시간 정보가 소실된 경우에 수신한 방송 신호로부터 시간 정보를 추출하여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제어부(131)는 PCR (program clock reference) 값으로 시간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메인 제어부(131)는 추출된 시간 정보를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를 이용하여 서브 제어부(133)에 전달할 수 있다.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는 일반적으로 직렬 포트의 직렬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개별 집적 회로이다. 예를 들어, UART는 EIA RS-232, RS-422, RS-485와 같은 통신 표준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서브 제어부(13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파워 컨트롤 및 온/오프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서브 제어부(133)는 마이컴(micom)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AC 전원에 연결되면, 전원 공급부(110)는 서브 제어부(133)에 전원을 공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서브 제어부(133)는 메인 제어부(131) 및 튜너부(12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원 공급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서브 제어부(133)는 시간 정보를 갱신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메인 제어부(131) 및 튜너부(120)에 전원을 공급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방송 신호로부터 시간 정보를 추출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서브 제어부(133)는 시간 정보를 갱신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사용자 입력 없이도 자동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제어부(133)는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의 삭제 여부를 바탕으로 시간 정보를 갱신할 필요성이 있는지 판단한다. AC 전원 코드를 뽑은 상황이거나 정전과 같은 상황인 경우에, 서브 제어부(133)의 램에 저장된 시간 정보를 비롯한 모든 정보는 삭제된다. 따라서, 서브 제어부(133)는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의 삭제 여부를 통하여 정전과 같은 상황이 있었다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가 삭제되었다면, 서브 제어부(133)는 메인 제어부(131) 및 튜너부(12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원 공급부(110)를 제어한다. 서브 제어부(133)는 전원 공급부(110)에 INT 신호를 전송하여 전원 공급부(110)가 메인 제어부(131) 및 튜너부(12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브 제어부(13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시간 정보가 업데이트된 후, 메인 제어부(131) 및 튜너부(12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대기 모드로 진입하도록 전원 공급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시간 정보 갱신이 끝난 이후에는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대기 모드로 진입시킬 필요성이 있다.
대기(Standby) 모드란 서브 제어부(133)에만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를 말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 모드에서도 서브 제어부(133)에는 전원이 공급된다. 하지만, 대기 모드가 유지되는 동안 메인 제어부(131) 및 튜너부(120)에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대기 모드에서도 서브 제어부(133)에 포함된 RTC 모듈을 통하여 시간을 추적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예약 녹화, 알람 등의 기능이 에러 없이 실행될 수 있다. 대기 모드에서 벗어나기 위하여, 서브 제어부(133)는 전원 공급부(110)에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서브 제어부(133)는 전원 공급부(110)에 INT 신호를 전송하여 메인 제어부(131) 및 튜너부(12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원 공급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브 제어부(133)는 메인 제어부(131) 및 튜너부(12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원 공급부(110)를 제어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부(140)에는 전원을 공급하지 않도록 전원 공급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전 사태를 스스로 판단하여 시간 정보를 갱신할 때 디스플레이부(140)가 켜진다면, 사용자에게는 TV가 저절로 켜졌다 꺼졌다 하는 비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보여질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40)가 켜지지 않은 상태인 ‘Fake Power On’상태에서 백그라운드로 시간 정보를 갱신할 필요성이 있다. 이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서브 제어부(133)는 메인 제어부(131) 및 튜너부에 전원을 공급할 때 디스플레이부(140)에는 전원을 공급하지 않도록 전원 공급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서브 제어부(133)는 RTC 모듈(Real Time Clock module, 135)을 포함한다. 그리고, 서브 제어부(133)는 추출된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RTC 모듈(135)을 활성화할 수 있다. 만일 저장부(150)에 기저장된 예약 녹화/알람 스케줄이 있다면, 서브 제어부(133)는 활성화된 RTC 모듈(135)에 예약 녹화/알람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C 전원 코드를 뽑았다 다시 연결하기 전에 오후 7시에 진행하는 스포츠 중계에 대한 예약 녹화를 하라고 하는 사용자 명령을 저장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하여 AC 전원 코드를 뽑아야 하는 경우에, AC 전원 코드를 뽑음과 동시에 서브 제어부(133)에 저장되어 있던 시간 정보가 삭제된다. AC 전원 코드를 다시 연결하면 서브 제어부(133)의 시간 정보는 초기화되기 때문에 실제 현재의 시간과 서브 제어부(133)에서 알고 있는 시간은 다르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의도한 오후 7시가 아닌 전혀 다른 시간에 예약 녹화를 진행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서브 제어부(133)는 방송 신호에서 추출한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RTC 모듈(135)을 활성화함으로써 실제 시간을 추적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0)는 방송 신호를 포함한 다양한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부(140)는 백그라운드로 시간 정보를 갱신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할 때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Fake Power On'인 경우, 메인 제어부(131) 및 튜너부(120) 등에 전원이 공급되는데 반하여 디스플레이부(140)에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부(140)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패널로 설계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4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전자종이(E-paper)(E-paper), 플라스마 디스플레이(Plasma Display Panel, PDP), VFD(Vacuum Fluorescnet Display), FED(Field Emission Display), ELD(Electro Luminescence Display)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40)는 곡면의 형태를 갖는 커브드 디스플레이(Curved Display)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저장부(15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150)는 예약 녹화, 알람, 취침 예약 등의 스케줄을 저장한다. 저장부(150)에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ROM(read-only memory)이 포함될 수 있다. 관련 분야에 잘 알려져 있듯이, ROM은 단방향(uni-directionally)으로 CPU에 데이터와 명령을 전송하는 역할을 하고, RAM은 일반적으로 양방향(bi-directional)으로 데이터와 명령을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시간 정보를 갱신하는 동작을 정리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시간 정보 갱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정전이 있었던 경우를 예로 들기로 한다.
정전된 후 다시 전원이 복구되면 전원 공급부(110)를 통해 서브 제어부(133)에 전원이 인가된다. 이에 따라 서브 제어부(133)는 다시 동작하게 된다. 서브 제어부(133)는 last 모드 상태를 확인하여 대기 모드 상태에서 AC 전원 공급이 끊어졌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제어부(133)에 포함된 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었던 정보들이 삭제되었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서브 제어부(133)는 정전이 있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① 동작)
정전으로 인하여 RTC 동작을 위한 시간 정보가 소실된 상태이기 때문에, 서브 제어부(133)는 시간 정보를 얻기 위하여 전원 공급부(110)에 신호를 보낸다. 전원 공급부(110)에 보내는 신호는 메인 제어부(131) 및 튜너부(120)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이다. 이때, 사용자에게 혼란을 초래하지 않기 위하여 서브 제어부(133)는 디스플레이부(140)에는 전원을 공급하지 않도록 전원 공급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40)의 화면은 OFF인 상태에서 시간 정보 갱신 작업이 진행된다. (② 및 ③ 동작)
메인 제어부(131)와 튜너부(120)에 전원이 공급된 후, 서브 제어부(133)는 메인 제어부(131)에 현재 시간 정보를 요청한다. 서브 제어부(133)와 메인 제어부(131) 간의 통신은 UART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④ 동작)
튜너부(120)는 외부에서 수신한 RF 방송 신호를 디지털 신호인 TS 신호로 변환하여 메인 제어부(131)로 전송한다. 메인 제어부(131)는 TS 신호의 패킷에서 시간과 관련된 정보를 추출한다. 예를 들어, 메인 제어부(131)는 PCR 값으로 시간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⑤ 동작)
메인 제어부(131)는 추출된 시간 정보를 UART를 이용하여 서브 제어부(133)에 전달한다. (⑥ 동작)
서브 제어부(133)는 내부의 RTC 모듈(135)에 메인 제어부(131)로부터 수신한 현재 시간 정보를 입력한다. RTC 모듈(135)은 갱신된 시간 정보를 바탕으로 실제 시간과 동일하게 시간을 추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50)에 예약 녹화 스케줄이 저장되어 있다면, RTC 모듈(135)을 이용하여 예약 녹화 스케줄에 해당되는 시간이 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예약 녹화 기능을 수행한다. (⑦ 동작)
시간 정보 갱신을 끝낸 후에는 다시 대기 모드(Standby mode)로 돌아가기 위하여, 서브 제어부(133)는 메인 제어부(131) 및 튜너부(120)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전원 공급부(110)에 전송한다. (⑧ 동작)
상술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의해, 정전 등과 같은 사태에 의해 시간 정보가 소실되는 경우에 추가적인 재료비 상승 없이 시간 정보를 갱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자동으로 시간 정보 갱신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시간 정보 갱신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시간 정보 갱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AC 전원이 인가되면, 전원 공급부를 통해 서브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한다(S510). 이러한 서브 제어부에만 전원이 공급된 상태를 대기 모드 또는 대기 상태라고 한다. 예를 들어, TV의 AC 코드만 전원 콘센트에 연결되고 꺼져있는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사용자가 TV의 외형을 볼 때 꺼져있는 상태이지만, 서브 제어부에는 전원이 공급되고 RTC 모듈 등이 백그라운드로 동작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대기 모드 상태에서 AC 전원이 끊어졌었는지 판단한다(S520). 예를 들어, AC 전원이 끊어진 경우에는 정전 등과 같이 사용자의 의도와 무관하게 발생하는 경우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이동 등을 위하여 사용자가 일부러 AC 코드를 콘센트에서 제거한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서브 제어부 내부의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의 삭제 여부를 바탕으로, 대기 모드 상태에서 AC 전원이 끊어졌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일, AC 전원 연결이 계속 유지된 것으로 판단되면(S520-N),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대기 모드를 유지한다.
만일 AC 전원 연결이 끊어졌던 것으로 판단되면(S520-Y),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시간 정보 갱신을 위한 동작을 개시한다. 예를 들어, 서브 제어부 내부의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가 모두 삭제된 것이 확인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AC 전원 연결이 끊어졌던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시간 정보 갱신을 위하여 서브 제어부 이외의 다른 구성 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해야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메인 제어부 및 튜너부에 전원을 공급하고, 디스플레이부에는 전원을 공급하지 않는다(S530). 메인 제어부 및 튜너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이유는 수신한 방송 신호를 처리하여 시간 정보를 추출하는 동작에 필요한 구성 요소이기 때문이다. 백그라운드로 시간 정보를 갱신할 때 디스플레이부에 전원이 공급될 필요성은 없으며, 오히려 디스플레이부에 전원이 공급될 경우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동작하는 것으로 보여지기 때문에 사용자의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부가 꺼진 상태에서 다른 구성 요소들이 동작하도록 하는 것을 'Fake Power On'이라고 부른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변환된 TS(Transport Stream) 신호로부터 시간 정보를 추출한다(S540).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에서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방송 신호는 지상파, 케이블, 위성 통신을 통해 전송된 RF 신호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한 RF 방송 신호를 디지털 처리 가능한 TS 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TS 신호를 디코딩하여 PCR(program clock reference) 값으로 시간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에서 추출된 시간 정보는 UART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서브 제어부에 전송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추출된 시간 정보를 바탕으로 시간 정보를 업데이트한다(S550).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추출된 시간 정보를 바탕으로 RTC 모듈을 활성화할 수 있다. RTC 모듈은 현재 시간을 추적하는 기능을 하는 모듈이다. 방송 신호를 이용하여 추출된 정확한 시간 정보를 입력해주면 RTC 모듈은 AC 전원이 끊어지지 않는다면 현재 시간을 정확히 추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예약 녹화, 알람 등의 스케줄이 저장되어 있다면, 활성화된 RTC 모듈에 예약 녹화, 알람 등의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갱신된 시간 정보를 가진 RTC 모듈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정전 등의 사고에 불구하고 사용자가 의도한 시간에 정확하게 예약 녹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시간 정보 갱신을 마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메인 제어부 및 튜너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대기 모드로 복귀한다(S560). 대기 모드로 복귀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시간 정보 갱신 방법을 통하여, 사용자가 직접 시간 정보를 갱신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백그라운드로 진행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시간 정보 갱신을 의식할 필요 없이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를 추가하는 등의 재료비 상승 없이도 영구적으로 정전 등과 같은 사태에 대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시간 정보 갱신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는 다양한 유형의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레지스터, 하드디스크, 리무버블 디스크, 메모리 카드, USB 메모리, CD-ROM 등과 같이, 단말기에서 판독 가능한 다양한 유형의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디스플레이 장치 110: 전원 공급부
120: 튜너부 130: 제어부
131: 메인 제어부 133: 서브 제어부
135: RTC 모듈 140: 디스플레이부
150: 저장부

Claims (17)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AC 전원이 인가된 경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외부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튜너부; 및
    상기 전원 공급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AC 전원이 인가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튜너부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고, 상기 튜너부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로부터 시간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시간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간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서브 제어부 및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AC 전원이 인가된 경우, 상기 서브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서브 제어부는,
    상기 메인 제어부 및 상기 튜너부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고,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의 삭제 여부를 바탕으로, 상기 메인 제어부 및 상기 튜너부에 전원을 공급할 것인지를 결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간 정보가 업데이트된 후, 상기 메인 제어부 및 상기 튜너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대기 모드로 진입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제어부는,
    상기 메인 제어부 및 상기 튜너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동안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전원을 공급하지 않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너부는,
    상기 외부로부터 수신된 방송 신호를 디지털 처리 가능한 TS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변환된 TS 신호를 상기 튜너부로부터 수신하고 디코딩하여 PCR(program clock reference) 값으로 시간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제어부는,
    RTC(Real Time Clock)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추출된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RTC(Real Time Clock) 모듈을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브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예약 녹화/알람 스케줄이 저장되어 있다면, 상기 활성화된 RTC(Real Time Clock) 모듈에 상기 예약 녹화/알람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추출된 시간 정보를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를 이용하여 상기 서브 제어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간 정보 갱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AC 전원이 인가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 및 튜너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튜너부를 통해 변환된 TS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TS 신호로부터 시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시간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간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서브 제어부 및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AC 전원이 인가된 경우, 전원 공급부를 통해 상기 서브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서브 제어부가, 상기 메인 제어부 및 상기 튜너부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서브 제어부가,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의 삭제 여부를 바탕으로, 상기 메인 제어부 및 상기 튜너부에 전원을 공급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간 정보가 업데이트된 후, 상기 메인 제어부 및 상기 튜너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대기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시간 정보 갱신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메인 제어부 및 상기 튜너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동안에, 디스플레이부에는 전원을 공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정보 갱신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TS 신호를 디코딩하여 PCR(program clock reference) 값으로 시간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정보 갱신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RTC(Real Time Clock) 모듈을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정보 갱신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예약 녹화/알람 스케줄이 저장되어 있다면, 상기 활성화된 RTC(Real Time Clock) 모듈에 상기 예약 녹화/알람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정보 갱신 방법.
KR1020140149272A 2014-10-30 2014-10-30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시간 정보 갱신 방법 KR102208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272A KR102208297B1 (ko) 2014-10-30 2014-10-30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시간 정보 갱신 방법
US14/922,296 US9462212B2 (en) 2014-10-30 2015-10-26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updating time information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272A KR102208297B1 (ko) 2014-10-30 2014-10-30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시간 정보 갱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1950A KR20160051950A (ko) 2016-05-12
KR102208297B1 true KR102208297B1 (ko) 2021-01-27

Family

ID=55854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9272A KR102208297B1 (ko) 2014-10-30 2014-10-30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시간 정보 갱신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462212B2 (ko)
KR (1) KR1022082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21802A (zh) * 2016-03-23 2016-06-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待机控制电路及其工作方法、播放设备
CN113595745A (zh) 2016-10-13 2021-11-02 华为技术有限公司 供电设备、以太网供电方法与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4357A (ja) * 2004-09-27 2006-04-06 Toshiba Corp 放送受信装置および時計表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10260B2 (ja) * 1999-05-20 2005-01-12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送受信システム、充電装置、携帯情報端末及びデータ送受信方法
JP4281238B2 (ja) * 2000-10-06 2009-06-17 ソニー株式会社 番組情報提供装置および方法、画像記録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格納媒体
JP4161226B2 (ja) * 2006-04-12 2008-10-08 船井電機株式会社 液晶テレビジョン装置
KR20080064685A (ko) * 2007-01-05 2008-07-0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텔레비젼의 전원 공급에 의한 자동 시간 표시방법
JP2009048405A (ja) * 2007-08-20 2009-03-05 Funai Electric Co Ltd 通信装置
JP5050116B1 (ja) * 2011-06-14 2012-10-17 株式会社東芝 節電制御用の電子装置及び対象装置の節電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4357A (ja) * 2004-09-27 2006-04-06 Toshiba Corp 放送受信装置および時計表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27676A1 (en) 2016-05-05
KR20160051950A (ko) 2016-05-12
US9462212B2 (en) 2016-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60890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30524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power consumption in electronic devices
CN101470412B (zh) 降低电子装置功耗的方法及电子装置
US889848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put power
EP1892954A1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starting method thereof
US8159621B2 (en) Video and audio system capable of saving electric power
KR101324604B1 (ko) 다중 대기 상태 운용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수신장치
US20160026161A1 (en) Home electrical appliance
KR10220829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시간 정보 갱신 방법
US20110221580A1 (en) Minimization of power consumption of remote controlled appliances
KR10187099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026142A (ko) 영상 표시 기기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17498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2395751A1 (en) Installation or device with a 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EP2395743B1 (en) Method to manage the power setting of a receiver/decoder for pay-tv
US10820046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the removal of a controlling device
US20130038126A1 (en) Standby power system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upplying standby power
CN104394454A (zh) 一种控制机顶盒智能待机的方法及装置
KR102088958B1 (ko) 네트워크와 연동하는 셋톱 박스가 수행하는 상태 전환 방법
KR20180002596U (ko) 비콘 스캐너를 구비한 스마트 절전 멀티 콘센트
KR20100124390A (ko) 분리형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0658871B1 (ko) 디지털기기의 예약시간 관리장치 및 방법
EP2685584A2 (en) Electronic device
EP2991360B1 (en) Satellite television receiver
KR101264157B1 (ko) 다중 대기모드에서의 업데이트 운용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수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