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8003B1 - System for sharing position information and sharing method therere - Google Patents

System for sharing position information and sharing method there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8003B1
KR102208003B1 KR1020190137836A KR20190137836A KR102208003B1 KR 102208003 B1 KR102208003 B1 KR 102208003B1 KR 1020190137836 A KR1020190137836 A KR 1020190137836A KR 20190137836 A KR20190137836 A KR 20190137836A KR 102208003 B1 KR102208003 B1 KR 102208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information
user portable
sharing
portable terminals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78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세종
Original Assignee
(주)위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위팝 filed Critical (주)위팝
Priority to KR1020190137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800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8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80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avig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system and a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method thereof. The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system comprises: a plurality of user portable terminals requesting sharing of location information; and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including a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request signal transceiver which receives a sharing request signal of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user portable terminals from the plurality of user portable terminals, and a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request approval unit which approves a request for sha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user portable terminals. The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request signal transceiver transmits the sharing signal o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user portable terminals by setting, as a specific sharing group, the plurality of user portable terminals for which the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request is approved. Therefore, users belonging to a specific sharing group can check locations of each other in real time.

Description

위치정보 공유 시스템 및 그 위치정보 공유 방법{SYSTEM FOR SHARING POSITION INFORMATION AND SHARING METHOD THERERE}Location information sharing system and its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method {SYSTEM FOR SHARING POSITION INFORMATION AND SHARING METHOD THERERE}

본 발명은 위치정보 공유 시스템 및 그 위치정보 공유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단말기 사이의 위치정보를 공유하여 사용하는 위치정보 공유 시스템 및 그 위치정보 공유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system and a method for sharing location information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system for sharing and using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portable terminals, and a method for sharing location information thereof.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Matters described in this background are prepared to enhance an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and may include matters other than those of the prior art know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to which this technology belongs.

스마트폰(smart phone) 및 테블릿(tablet) 등의 휴대용 단말기들은 여러 가지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을 통해 사용자에게 여러 가지 유용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Portable terminals such as smart phones and tablets provide various useful functions to users through applications that provide various functions.

근래의 휴대용 단말기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등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LBS : Location Based Service) 등 여러 가지 유용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Recently, portable terminals provide various useful functions such as a location based service (LBS) using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module.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정보 제공과 관련하여, 사용자 사이의 위치정보 공유 시스템이 운용되고 있다.In connection with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 system for sharing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users is being operated.

도 1은 종래 위치정보 공유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낸 개략도를 나타낸 것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system.

도1을 참조하면, 위치정보 공유 시스템에서는 인솔자 휴대용 단말기(6), 적어도 하나의 여행고객 휴대용 단말기(7, 8)가 인터넷(5)을 통해 위치정보 공유 서버(1)에 연결되어 있고, 인솔자 이동궤적 데이터베이스(2), 위치정보 공유 데이터베이스(3) 및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4)가 위치정보 공유서버(1)에 연결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 in a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system, a leader portable terminal 6 and at least one travel customer portable terminal 7 and 8 are connected to the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server 1 through the Internet 5, and the leader The movement trajectory database 2, the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database 3, and the application user database 4 are connected to the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server 1.

위치정보 공유 서버(1)는 인솔자 이동궤적 데이터베이스(2), 위치정보 공유 데이터베이스(3) 및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4)로부터 각각 인솔자 이동궤적과 인솔자 및 타 여행고객의 현재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인솔자와 여행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server (1) extracts the leader movement trajectory an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leader and other travel customers from the leader movement trajectory database (2), the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database (3), and the application user database (4). It can be provided to travel customers.

그런데, 이와 같은 위치정보 공유 시스템은 인솔자와 타 여행 고객들이 인터넷을 통해 위치정보 공유 서버로부터 인솔자와 타 여행고객의 위치정보를 제공받을 뿐이어서, 특정 공유그룹에 속하는 사용자가 함께하는 활동에서 남녀노소의 구분없이 서로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in such a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system, the leader and other travel customers only receiv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leader and other travel customers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server through the Internet. It is not possible to provide a way to check each other's locations in real time without distinction.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24248호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824248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특정 공유그룹에 속하는 사용자가 함께하는 활동에서 남녀노소의 구분없이 서로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위치정보 공유 시스템 및 그 위치정보 공유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system and a method for sharing location information that can check the locations of each other in real time without distinction between men and women in activities where users belonging to a specific sharing group are together. It aims to do.

또한, 본 발명은 설정영역을 이탈한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에 경보신호가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설정영역을 이탈한 사용자는 경보신호를 인지하여 설정영역 내로 신속히 돌아올 수 있게 하는 위치정보 공유 시스템 및 그 위치정보 공유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ystem for sharing location information and a method for sharing location information thereof that enables a user who has left the setting area to quickly return to the setting area by recognizing the alert signal by generating an alarm signal to a user's portable terminal who has left the setting area. It aims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은 설정영역을 이탈한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에는 설정영역으로 향하는 최단거리의 경로가 지도상에 표시됨으로써 이탈영역에서 설정영역 내로 신속히 돌아올 수 있게 하는 위치정보 공유 시스템 및 그 위치정보 공유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system and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system for quickly returning from the departure area to the setting area by displaying the shortest distance path to the setting area on the screen of the user's portable terminal after leaving the setting area. It aims to provide a metho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치정보 공유 시스템은, 위치정보의 공유를 요청하는 복수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 및 복수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복수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 사이의 위치정보의 공유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위치정보 공유 요청신호 송수신부와, 복수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 사이의 위치정보의 공유요청을 승인하는 위치정보 공유요청 승인부를 포함하는 위치정보 제공 서버를 포함하고, 위치정보 공유 요청신호 송수신부는 위치정보의 공유요청이 승인된 복수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를 특정 공유그룹으로 설정하여 복수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정보의 공유신호를 송신한다.A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user portable terminals requesting sharing of location information; And a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request signal transceiving unit that receives a request signal for sharing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a plurality of user portable terminals from a plurality of user portable terminals, and a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that approves a request for sharing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a plurality of user portable terminals.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including a request approval unit is included,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request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sets a plurality of user portable terminals approved for sharing location information as a specific sharing group to shar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user portable terminals. Transmit the signal.

여기서, 위치정보 공유 요청신호 송수신부는 복수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자이로 센서의 움직임 정보와 움직인 시간을 분석하여 복수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 중 서로 부딪힌 2개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를 식별하고, 서로 부딪힌 2개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에 위치정보의 공유신호를 송신한다.Here, the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request signal transceiving unit analyzes motion information and movement time of the gyro sensors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user portable terminals to identify two user portable terminals that collide with each other among the plurality of user portable terminals. It transmits a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signal to the user's portable terminal.

또한, 위치정보 공유 요청신호 송수신부는 위치정보의 공유 요청신호를 송신한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를 기준으로 설정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에 위치정보의 공유신호를 송신한다.In addi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request signal transceiving unit transmits a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signal to at least one user portable terminal located within a set distance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user portable terminal that transmitted the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request signal.

또한, 복수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는 특정 공유그룹에 속하는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일정주기로 갱신하고 동기화함으로써 위치를 추적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user portable terminals track the location by updating and synchroniz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portable terminals belonging to a specific sharing group at regular intervals.

또한, 복수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는 GPS 수신 모듈을 구비하고, GPS 수신모듈로부터 GSP 신호를 판독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위치정보를 기지국으로 송신하여 특정 공유그룹에 속하는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갱신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user portable terminals have a GPS receiving module that receives GPS signals from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satellite, and generates location information by reading a GSP signal from the GPS receiving module, and sends the generated location information to a base station. By sen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s portable terminal belonging to a specific sharing group is updated.

또한, 복수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는 특정 공유그룹에 속하는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모바일 웹 뷰어를 이용하여 화면에 표시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user portable terminals display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portable terminals belonging to a specific sharing group on the screen using a mobile web viewer.

또한, 복수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는 각각 화면을 분할하고, 특정 공유그룹에 속하는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분할된 화면에 표시하되, 화면의 일측에는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 자신의 위치정보를 표시하고, 화면의 타측에는 특정 공유그룹에 속하는 타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표시하고, 위치정보는 지도상에 위도와 경도로 표시된다.In addi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user portable terminals divides the screen and display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s portable terminal belonging to a specific sharing group on the divided screen, but display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s portable terminal on one side of the screen. The other side display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other users' portable terminals belonging to a specific sharing group,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map in latitude and longitude.

또한, 복수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 중 설정영역을 이탈한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가 있을 때, 설정영역을 이탈한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에 경보신호가 발생한다.In addition, when there is a user portable terminal that has left the setting area among the plurality of user portable terminals, an alarm signal is generated to the user portable terminal that has left the setting area.

또한, 설정영역을 이탈한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에는 설정영역으로 향하는 최단거리의 경로가 지도상에 표시된다.In addition, on the screen of the user's portable terminal leaving the setting area, the shortest path to the setting area is displayed on the map.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치정보 공유 방법은, 복수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에서, 위치정보 제공 서버에 위치정보의 공유를 요청하는 위치정보 공유 요청단계; 위치정보 제공 서버에서, 복수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복수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 사이의 위치정보의 공유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위치정보 제공 서버에서, 수신한 복수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 사이의 위치정보의 공유요청을 승인하는 위치정보 공유요청 승인단계; 및 위치정보 제공 서버에서, 위치정보의 공유요청이 승인된 복수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를 특정 공유그룹으로 설정하여 복수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정보의 공유신호를 송신하는 위치정보 공유 요청신호 송수신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for sharing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request step of requesting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to share location information in a plurality of user portable terminals; Receiving, at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a request signal for sharing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a plurality of user portable terminals from a plurality of user portable terminals; A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request approval step of approving a request for sharing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a plurality of user portable terminals received at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And transmitting/receiving a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request signal in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setting a plurality of user portable terminals approved for sharing location information as a specific sharing group and transmitting a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signal of the plurality of user portable terminals. do.

삭제delete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공유그룹에 속하는 사용자가 함께하는 활동에서 남녀노소의 구분없이 서로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heck the locations of each other in real time, regardless of gender, regardless of age or gender, in an activity in which users belonging to a specific sharing group are together.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설정영역을 이탈한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에 경보신호가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설정영역을 이탈한 사용자는 경보신호를 인지하여 설정영역 내로 신속히 돌아올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larm signal is generated in a user's portable terminal that has left the setting area, so that the user who has left the setting area can recognize the alarm signal and return to the setting area quickly.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설정영역을 이탈한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에는 설정영역으로 향하는 최단거리의 경로가 지도상에 표시됨으로써 이탈영역에서 설정영역 내로 신속히 돌아올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rtest route to the setting area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s portable terminal that has left the setting area on a map, so that it is possible to quickly return to the setting area from the departure area.

삭제delete

도 1은 종래의 위치정보 공유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치정보 공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2의 위치정보 제공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치정보의 공유 요청신호를 송신한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를 기준으로 위치정보의 공유 요청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치정보 공유 시스템의 위치정보 공유 방법의 흐름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system.
2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sharing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 user portable terminal of FIG. 2.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of FIG. 2.
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location of a user portable terminal receiving a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request signal based on a location of a user portable terminal that has transmitted a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request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sharing location information in a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 method of achieving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later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 embodiments are provided only to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o fully inform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Only.

삭제delet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치정보 공유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도이며, 도 4는 도 2의 위치정보 제공 서버의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user's portable terminal of FIG. 2, and FIG.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of FIG.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위치정보 공유 시스템(1000)은 복수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a, 200b, 200c)와 위치정보 제공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a, 200b, 200c)와 위치정보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2 to 4, the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system 10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user portable terminals 200a, 200b, and 200c and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300. The plurality of user portable terminals 200a, 200b, 200c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300 are connected through a network.

여기서, 네트워크라 함은 인터넷(internet) 등과 같은 유무선 통신망 또는 이들의 결합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네트워크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종래의 인터넷이나 이동통신망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Here, the network refers to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or a combination thereof, an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etwork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is interpreted as including all of the conventional Internet or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예를 들어, 복수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a, 200b, 200c)와 위치정보 제공 서버(300)는 인터넷망 또는 이동통신망 등과 같은 종래의 다양한 네트워크 조합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이 없음을 유의해야 한다.For example, a plurality of user portable terminals 200a, 200b, 200c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300 may be combined by various conventional combinations of networks such as an Internet network or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is. It should be noted.

복수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a, 200b, 200c)가 스마트폰일 경우, 사용자는 위치정보 공유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a, 200b, 200c)에 다운로드하여 설치하고 위치정보 공유 서비스에 가입함으로써 위치정보 공유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a, 200b, 200c)는 위치정보 공유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통해 위치정보 공유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하여 위치정보 공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a, 200b, 200c)는 아이폰, 안드로이드, 블랙베리, 윈도우 운영체제 상에서 구동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When a plurality of user portable terminals 200a, 200b, 200c are smartphones, the user downloads and installs a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application to the user portable terminals 200a, 200b, 200c, and subscribes to the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service. Information sharing system can be used. At this time, the user portable terminals 200a, 200b, and 200c may access the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application through execution of the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application and use the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service. In addition, a plurality of user portable terminals 200a, 200b, 200c may be operated on an iPhone, Android, Blackberry, or Windows operating system.

그러면, 도 3 내지 도 4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치정보 공유 시스템을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Then, a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FIGS. 3 to 4.

도 3을 참조하면, 복수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a, 200b, 200c)는 위치정보 공유 요청부(210), 제어부(220), 무선 통신부(230), 센싱부(240), 출력부(250), A/V 입력부(260), 메모리부(270), 입력기 모듈(280) 및 전원공급부(290)을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 plurality of user portable terminals 200a, 200b, and 200c include a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request unit 210, a control unit 220,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30, a sensing unit 240, and an output unit 250. , An A/V input unit 260, a memory unit 270, an input unit module 280, and a power supply unit 290 may be provided.

위치정보 공유 요청부(210)는 위치정보 제공 서버(300)에 위치정보의 공유를 요청한다. 복수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a, 200b, 200c)는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가 2대 이상인 것을 의미하며 그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The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request unit 210 requests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300 to share location information. The plurality of user portable terminals 200a, 200b, 200c means that there are two or more user portable terminals, and there is no limit to the number of the user portable terminals.

제어부(220)는 전원 공급부(29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위치정보 공유 요청부(210), 제어부(220), 무선 통신부(230), 센싱부(240), 출력부(250), A/V 입력부(260), 메모리부(270) 및 입력기 모듈(280)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20 receives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290 and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request unit 210, the control unit 220,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30, the sensing unit 240, the output unit 250, A/V. The input unit 260, the memory unit 270, and the input unit module 280 may be controlled.

제어부(220)는 특정 공유그룹에 속하는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a, 200b, 200c)의 위치정보를 일정주기로 갱신하고 동기화함으로써 위치를 추적한다. 여기서, 일정주기는 1분, 5분, 10분 등 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control unit 220 tracks the location by updating and synchroniz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portable terminals 200a, 200b, and 200c belonging to a specific sharing group at regular intervals. Here, the predetermined period may be 1 minute, 5 minutes, 10 minutes,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제어부(220)는 후술하는 GPS 수신모듈(235)로부터 GSP 신호를 판독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위치정보를 기지국으로 송신하여 특정 공유그룹에 속하는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a, 200b, 200c)의 위치정보를 갱신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20 generates location information by reading the GSP signal from the GPS receiving module 235 to be described later, and transmits the generat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base station to provide user portable terminals 200a, 200b, 200c belonging to a specific sharing group. ) To update the location information.

또한, 제어부(220)는 특정 공유그룹에 속하는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a, 200b, 200c)의 위치정보를 모바일 웹 뷰어(mobile web viewer)를 이용하여 화면에 표시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220 display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s portable terminals 200a, 200b, and 200c belonging to a specific sharing group on a screen using a mobile web viewer.

또한, 제어부(220)는 화면을 각각 분할하고, 특정 공유그룹에 속하는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a, 200b, 200c)의 위치정보를 분할된 화면에 표시하되, 화면의 일측에는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a, 200b, 200c) 자신의 위치정보를 표시하고, 화면의 타측에는 특정 공유그룹에 속하는 타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a, 200b, 200c)의 위치정보를 표시한다. 위치정보는 지도상에 위도와 경도로 표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220 divides the screens, and display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portable terminals 200a, 200b, and 200c belonging to a specific sharing group on the divided screens, but at one side of the screen, the user portable terminals 200a, 200b , 200c) Displays its own location information, and displays location information of other user portable terminals 200a, 200b, 200c belonging to a specific sharing group on the other side of the screen. Location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on a map in latitude and longitude.

또한, 복수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a, 200b, 200c) 중 설정영역을 이탈한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a, 200b, 200c)가 있을 때, 제어부(220)는 설정영역을 이탈한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a, 200b, 200c)에 경보신호가 발생하도록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설정영역을 이탈한 사용자는 경보신호를 인지하여 설정영역 내로 신속히 돌아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re is a user portable terminal 200a, 200b, 200c that has deviated from the setting area among the plurality of user portable terminals 200a, 200b, 200c, the control unit 220 controls the user portable terminal 200a, which has deviated from the setting area. 200b, 200c) to generate an alarm signal. By doing so, the user who has left the setting area can recognize the alarm signal and quickly return to the setting area.

또한, 설정영역을 이탈한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a, 200b, 200c)의 화면에는 설정영역으로 향하는 최단거리의 경로가 지도상에 표시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이탈영역에서 설정영역 내로 신속히 돌아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on the screens of the user portable terminals 200a, 200b, and 200c that have left the setting area, the shortest path to the setting area may be displayed on the map. By doing so, the user can quickly return from the departure area to the setting area.

무선 통신부(230)는 방송 수신 모듈(231), 이동통신모듈(232), 무선 인터넷 모듈(233), 근거리 통신모듈(234)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모듈(235)을 구비할 수 있다. 특히,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모듈(235)은 GPS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30 may include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231,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232, a wireless Internet module 233,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234, and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ing module 235. . In particular, the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ing module 235 receives a GPS signal from a GPS satellite.

출력부(250)는 디스플레이 모듈(251), 음향 출력 모듈(252), 알람 모듈(253) 및 헵틱 모듈(254)를 포함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250 may include a display module 251, an audio output module 252, an alarm module 253, and a heptic module 254.

도 4를 참조하면, 위치정보 제공 서버(300)는 위치정보 공유 요청신호 송수신부(310), 위치정보 공유요청 승인부(320), 제어부(330), 통신부(340), 출력부(350), 사용자 입력부(360) 및 메모리부(370)을 포함할 수 있다.4,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300 includes a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request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310, a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request approval unit 320, a control unit 330, a communication unit 340, and an output unit 350 , A user input unit 360 and a memory unit 370 may be included.

위치정보 공유요청 송수신부(310)는 복수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a, 200b, 200c)로부터 복수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a, 200b, 200c) 사이의 위치정보의 공유 요청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위치정보 공유 요청신호 송수신부(310)는 위치정보의 공유요청이 승인된 복수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a, 200b, 200c)를 특정 공유그룹으로 설정하여 복수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a, 200b, 200c)의 위치정보의 공유신호를 송신한다. 특정 공유그룹은 학교의 같은 동아리 회원, 회사의 같은 팀 소속 직원 등 공유가 필요한 하나의 그룹을 의미하며, 그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The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request transmission/reception unit 310 receives a request signal for sharing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user portable terminals 200a, 200b, and 200c from the plurality of user portable terminals 200a, 200b, and 200c. Here, the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request signal transceiving unit 310 sets the plurality of user portable terminals 200a, 200b, 200c, which have been approved for the sharing of location information, as a specific sharing group, and the plurality of user portable terminals 200a, 200b, 200c), the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signal is transmitted. A specific shared group refers to a group that needs to be shared, such as members of the same club in the school and employees of the same team in the company, and there is no limit to the number of them.

위치정보 공유 요청신호 송수신부(310)는 복수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a, 200b, 200c)에 구비된 자이로 센서(Gyro Sensor)의 움직임 정보와 움직인 시간을 분석하여 복수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a, 200b, 200c) 중 서로 부딪힌 2개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a, 200b, 200c)를 식별하고, 서로 부딪힌 2개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a, 200b, 200c)에 위치정보의 공유신호를 송신한다. The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request signal transceiving unit 310 analyzes motion information and movement time of a gyro sensor provided in a plurality of user portable terminals 200a, 200b, 200c, and Among the 200b and 200c), two user portable terminals 200a, 200b, and 200c that collide with each other are identified, and a sharing signal of lo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two user portable terminals 200a, 200b and 200c that collide with each other.

자이로 센서의 움직임 정보와 움직인 시간은 각속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가 10초 동안 움직이는 동안 50°만큼 기울어졌다면 10초 동안의 평균 각속도는 5°/s이다. 이때, 서로 부딪힌 2개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는 자이로 센서의 움직임 정보와 움직인 시간이 동일하기 때문에, 위치정보 공유 요청신호 송수신부(310)는 서로 부딪힌 2개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a, 200b, 200c)를 식별할 수 있다.The movement information and movement time of the gyro sensor may be an angular velocity. For example, if the user's portable terminal is tilted by 50° while moving for 10 seconds, the average angular velocity for 10 seconds is 5°/s. At this time, since the two user portable terminals collided with each other have the same movement time as the movement information of the gyro sensor, the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request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unit 310 controls the two user portable terminals 200a, 200b, and 200c that collide with each other. Can be identified.

또한, 위치정보 공유 요청신호 송수신부(310)는 위치정보의 공유 요청신호를 송신한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a, 200b, 200c)의 위치를 기준으로 설정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a, 200b, 200c)에 위치정보의 공유신호를 송신한다. In addi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request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unit 310 includes at least one user portable terminal 200a located within a set distance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user portable terminals 200a, 200b, 200c that transmitted the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request signal. , 200b, 200c).

위치정보 공유요청 승인부(320)는 복수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a, 200b, 200c) 사이의 위치정보의 공유요청을 승인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축제나 전시 참여 등 복수의 휴대용 단말기(200a, 200b, 200c)의 사용자가 함께하는 활동에서 남녀노소의 구분없이 서로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request approval unit 320 approves a request for sharing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a plurality of user portable terminals 200a, 200b, and 200c.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check the locations of each other in real time without distinction between men and women, regardless of age or gender, in activities that users of the plurality of portable terminals 200a, 200b, and 200c participate in together, such as participation in festivals or exhibitions.

제어부(330)는 위치정보 공유 요청신호 송수신부(310), 위치정보 공유요청 승인부(320), 통신부(340), 출력부(350), 사용자 입력부(360) 및 메모리부(370)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30 controls the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request signal transceiving unit 310, the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request approval unit 320, the communication unit 340, the output unit 350, the user input unit 360, and the memory unit 370. can do.

통신부(340)는 블루투스(bluetooth), BLE, NFC/RFID, WLAN, ZIGBEE, Ant+, Wi-Fi Direct, UWB, 이동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모듈(341)과 이동통신모듈(342)을 구비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340 includes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341 and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342 including Bluetooth, BLE, NFC/RFID, WLAN, ZIGBEE, Ant+, Wi-Fi Direct, UWB, and mobile communication modules. can do.

출력부(350)는 디스플레이부(351)와 음향 출력부(352)를 구비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350 may include a display unit 351 and an audio output unit 352.

메모리부(370)는 UI 모듈(371), 터치 스크린 모듈(372) 및 알림 모듈(373)을 구비할 수 있다.The memory unit 370 may include a UI module 371, a touch screen module 372, and a notification module 373.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치정보의 공유 요청신호를 송신한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를 기준으로 위치정보의 공유 요청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location of a user portable terminal receiving a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request signal based on a location of a user portable terminal that has transmitted a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request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위치정보의 공유 요청신호를 송신한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는 200a로 도시되었고, 특정 공유그룹에 속하는 타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는 200b, 200c로 도시되었다.Referring to FIG. 5, a user portable terminal transmitting a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request signal is shown as 200a, and other user portable terminals belonging to a specific sharing group are shown as 200b and 200c.

설정거리가 200m라고 하자. 이때, 위치정보의 공유 요청신호를 송신한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a)를 기준으로 200m 이내에 위치하는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b)에는 위치정보의 공유신호가 수신된다. 그러나, 위치정보의 공유 요청신호를 송신한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a)를 기준으로 200m 외부에 위치하는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c)에는 위치정보의 공유신호가 수신되지 않는다.Let's say the set distance is 200m. At this time, the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signal is received by the user portable terminal 200b located within 200m of the user portable terminal 200a that transmitted the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request signal. However, the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signal is not received by the user portable terminal 200c located outside 200m from the user portable terminal 200a that transmitted the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request signal.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치정보 공유 시스템의 위치정보 공유 방법의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sharing location information in a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위치정보 공유 시스템의 위치정보 공유 방법은 S100 내지 S400을 포함할 수 있다. S100 내지 S400과 관련한 상세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5와 관련한 설명을 참조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6, a method of shar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system may include S100 to S400. For detailed descriptions related to S100 to S400, reference will be made to the descriptions related to FIGS. 1 to 5.

먼저, 복수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a, 200b, 200c)에서, 위치정보 제공 서버(300)의 위치정보 공유 요청신호 송수신부(310)에 위치정보의 공유를 요청한다(S100).First, a plurality of user portable terminals 200a, 200b, and 200c request the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request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unit 310 of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300 to share location information (S100).

S100 이후, 위치정보 제공 서버(300)의 위치정보 공유 요청신호 송수신부(310)에서, 복수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a, 200b, 200c)로부터 복수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a, 200b, 200c) 사이의 위치정보의 공유 요청신호를 수신한다 (S200).After S100, in the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request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unit 310 of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300, between the plurality of user portable terminals 200a, 200b, 200c from the plurality of user portable terminals 200a, 200b, 200c A request signal for sharing lo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S200).

S200 이후, 위치정보 제공 서버(300)의 위치정보 공유요청 승인부(320)에서, 위치정보 공유 요청신호 송수신부(310)가 수신한 복수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a, 200b, 200c) 사이의 위치정보의 공유요청을 전달받아(S300) 승인한다(S400).After S200, in the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request approval unit 320 of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300, the loca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user portable terminals 200a, 200b, 200c received by the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request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unit 310 The information sharing request is received (S300) and approved (S400).

S400 이후, 위치정보 제공 서버(300)의 위치정보 공유 요청신호 송수신부(310)에서, 위치정보 공유요청 승인부(320)로부터 위치정보의 공유요청 승인신호를 전달받아(S500) 위치정보의 공유요청이 승인된 복수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a, 200b, 200c)를 특정 공유그룹으로 설정하여 복수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a, 200b, 200c)의 위치정보의 공유신호를 송신한다(S600).After S400, the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request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unit 310 of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300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request approval signal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request approval unit 320 (S500) to share location information A plurality of user portable terminals 200a, 200b, 200c for which the request has been approved are set as a specific sharing group, and a sharing signal o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user portable terminals 200a, 200b, 200c is transmitted (S600).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for better understanding, but this is only exemplary,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rovided from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You will understand that it is possibl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appended claims.

삭제delete

200a, 200b, 200c :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 210 : 위치정보 공유 요청부
220 : 제어부 230 : 무선 통신부
231 : 방송 수신 모듈 232 : 이동통신모듈
233 : 무선 인터넷 모듈 234 : 근거리 통신모듈
240 : 센싱부 250 : 출력부
251 : 디스플레이 모듈 252 : 음향 출력 모듈
253 : 알람 모듈 254 : 헵틱 모듈
260 : A/V 입력부 270 : 메모리부
280 : 입력기 모듈 290 : 전원공급부
300 : 위치정보 제공 서버
310 : 위치정보 공유 요청신호 송수신부
320 : 위치정보 공유요청 승인부 330 : 제어부
340 : 통신부 350 : 출력부
360 : 사용자 입력부 370 : 메모리부
1000 : 위치정보 공유 시스템
200a, 200b, 200c: user portable terminal 210: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request unit
220: control unit 230: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31: broadcast receiving module 232: mobile communication module
233: wireless internet module 234: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240: sensing unit 250: output unit
251: display module 252: sound output module
253: alarm module 254: heptic module
260: A/V input unit 270: memory unit
280: input device module 290: power supply
300: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310: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request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320: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request approval unit 330: control unit
340: communication unit 350: output unit
360: user input unit 370: memory unit
1000: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system

Claims (10)

위치정보의 공유를 요청하는 복수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 상기 복수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복수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 사이의 위치정보의 공유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위치정보 공유 요청신호 송수신부와 상기 복수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 사이의 위치정보의 공유요청을 승인하는 위치정보 공유요청 승인부를 포함하는 위치정보 제공 서버; 및
상기 위치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위치정보의 공유요청이 승인된 복수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를 특정 공유그룹으로 설정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정보의 공유신호를 송신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자이로 센서의 움직임 정보와 움직인 시간을 분석하여 복수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 중 서로 부딪힌 2개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를 식별하고 서로 부딪힌 2개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에 위치정보의 공유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위치정보의 공유 요청신호를 송신한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를 기준으로 설정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에 위치정보의 공유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 중 설정영역을 이탈한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가 있는 경우 상기 설정영역을 이탈한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에 경보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설정영역을 이탈한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에는 상기 설정영역으로 향하는 최단거리의 경로를 지도상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공유 시스템.
A plurality of user portable terminals requesting sharing of location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for approving a request for sharing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user portable terminals and a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request signal transceiving unit receiving a request signal for sharing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user portable terminals from the plurality of user portable terminals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including a sharing request approval unit;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sets a plurality of user portable terminals approved for sha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s a specific sharing group and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signal of the plurality of user portable terminals. By analyzing the movement information and the movement time of the gyro sensor provided in the terminal, two user portable terminals that collide with each other are identified among a plurality of user portable terminals, and a sharing signal of the lo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two user portable terminals that collide with each other. The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signal is transmitted to at least one user portable terminal located within a set distance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user portable terminal that transmitted the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request signal, and the plurality of user portable terminals deviated from the setting area. When there is a user portable terminal, an alarm signal is generated to the user portable terminal that has left the setting area, and the shortest route to the setting area is displayed on a map on the screen of the user portable terminal that has left the setting area. The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system comprising a;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특정 공유그룹에 속하는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일정주기로 갱신하고 동기화함으로써 위치를 추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공유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plurality of portable user terminals track locations by updating and synchroniz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portable terminals belonging to the specific sharing group at regular interval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는 GPS 수신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GPS 수신모듈로부터 GSP 신호를 판독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위치정보를 기지국으로 송신하여 상기 특정 공유그룹에 속하는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공유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The plurality of user portable terminals have a GPS receiving module that receives GPS signals from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satellite, and generates location information by reading a GSP signal from the GPS receiving module, and sends the generated location information to a base station. And upda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s portable terminal belonging to the specific sharing group by transmitting.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특정 공유그룹에 속하는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모바일 웹 뷰어를 이용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공유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The plurality of user portable terminals display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portable terminals belonging to the specific sharing group on a screen using a mobile web view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는 각각 화면을 분할하고, 상기 특정 공유그룹에 속하는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분할된 화면에 표시하되, 화면의 일측에는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 자신의 위치정보를 표시하고, 화면의 타측에는 상기 특정 공유그룹에 속하는 타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표시하고, 위치정보는 지도상에 위도와 경도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공유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Each of the plurality of user portable terminals divides the screen, and display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portable terminal belonging to the specific sharing group on the divided screen, and display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portable terminal on one side of the screen.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side display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ther user's portable terminal belonging to the specific sharing group,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in latitude and longitude on a map.
삭제delete 삭제delete 복수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에서, 위치정보 제공 서버에 위치정보의 공유를 요청하는 위치정보 공유 요청단계; 상기 위치정보 제공 서버에서, 상기 복수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복수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 사이의 위치정보의 공유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위치정보 제공 서버에서, 수신한 상기 복수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 사이의 위치정보의 공유요청을 승인하는 위치정보 공유요청 승인단계; 상기 위치정보 제공 서버에서, 위치정보의 공유요청이 승인된 복수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를 특정 공유그룹으로 설정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정보의 공유신호를 송신하는 위치정보 공유 요청신호 송수신 단계; 및
상기 위치정보 공유 요청신호 송수신 단계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자이로 센서의 움직임 정보와 움직인 시간을 분석하여 복수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 중 서로 부딪힌 2개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를 식별하고 서로 부딪힌 2개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에 위치정보의 공유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위치정보의 공유 요청신호를 송신한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를 기준으로 설정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에 위치정보의 공유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복수의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 중 설정영역을 이탈한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가 있는 경우 상기 설정영역을 이탈한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에 경보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설정영역을 이탈한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에는 상기 설정영역으로 향하는 최단거리의 경로를 지도상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공유 방법.





A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request step of requesting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to share location information in a plurality of user portable terminals; Receiving, at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a request signal for sharing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user portable terminals from the plurality of user portable terminals; A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request approval step of approving a request for sharing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user portable terminals received by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Transmitting/receiving a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request signal in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setting a plurality of user portable terminals approved for sharing location information as a specific sharing group and transmitting a sharing signal o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user portable terminals; And
In the step of transmitting/recei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request signal, the movement information of the gyro sensor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user portable terminals and the movement time are analyzed to identify two user portable terminals that collide with each other among the plurality of user portable terminals. Transmits a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signal to a user portable terminal, and transmits a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signal to at least one user portable terminal located within a set distance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user portable terminal that transmitted the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request signal. And, if there is a user portable terminal that has left the setting area among the plurality of user portable terminals, an alarm signal is generated to the user portable terminal that has left the setting area, and the setting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portable terminal that has left the setting area. And a control step of controlling to display the shortest-distance route to the area on the map.





KR1020190137836A 2019-10-31 2019-10-31 System for sharing position information and sharing method therere KR1022080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7836A KR102208003B1 (en) 2019-10-31 2019-10-31 System for sharing position information and sharing method there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7836A KR102208003B1 (en) 2019-10-31 2019-10-31 System for sharing position information and sharing method there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8003B1 true KR102208003B1 (en) 2021-02-01

Family

ID=74571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7836A KR102208003B1 (en) 2019-10-31 2019-10-31 System for sharing position information and sharing method there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8003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5225A (en) * 2005-09-01 2007-03-08 노도영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service
KR20120063686A (en) * 2010-12-08 2012-06-18 주식회사 차후 Location share system using wireless terminal and gps device
KR20160084719A (en) * 2015-01-06 2016-07-14 주식회사 케이티 Customized user interface provision method, server and system
KR101717927B1 (en) * 2016-02-29 2017-03-20 (주)테슬라시스템 Position Information Sharing Method when Group Movement
KR101824248B1 (en) 2011-04-19 2018-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using shared location information in a portagble terminal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5225A (en) * 2005-09-01 2007-03-08 노도영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service
KR20120063686A (en) * 2010-12-08 2012-06-18 주식회사 차후 Location share system using wireless terminal and gps device
KR101824248B1 (en) 2011-04-19 2018-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using shared location information in a portagble terminal
KR20160084719A (en) * 2015-01-06 2016-07-14 주식회사 케이티 Customized user interface provision method, server and system
KR101717927B1 (en) * 2016-02-29 2017-03-20 (주)테슬라시스템 Position Information Sharing Method when Group Move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09896B2 (en) Live branded dynamic mapping
JP6997094B2 (en) Adaptive position branding
US20150358079A1 (e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in a mobile electronic device
CN104170412A (en) Method and apparatus using geofence to track individual group members
EP3128792B1 (en) Positioning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KR20140128171A (en) An appratus for guiding a location and a method for operating it
CN115361040A (en) NFC application calling method, electronic equipment and NFC device
CN105737837A (en) Positioning navigation method, positioning navigation apparatus and positioning navigation system
KR20160089811A (en) Performance contents provisio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KR102208003B1 (en) System for sharing position information and sharing method therere
KR101934637B1 (en) Method for guiding designated seat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070071569A (en) System for preventing a lost child and using method thereof
KR20140113764A (en) Location based service system via landmark senso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70059807A (en) Group-specific monitoring system using location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JP2009232203A (en) Position guidance system and method, mobile phone terminal, and route information delivery server
KR101708124B1 (en) Method for geo-fencing using route of beacon trakked by crowd sourcing
KR20150092855A (en) System for providing target service using beacon apparatus,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target service in the system and storage medium recording program thereof
Buczkowski Location-based marketing: the academic framework
KR101296596B1 (en) N vs. N Track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Saranya et al. Enhancing customer engagement using beacons
US2018024733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termining exposure to fixed-location dynamic displays
JP2019158416A (en) Guidance system, information processor,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ignal processing program
KR102049607B1 (en) Method for providing position information
KR101806544B1 (en) Method for providing route information, system and terminal therefor
KR101865111B1 (en) Promotion Method Of Treasure Hunt Game Under Positional Information B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