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4524B1 -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by using a first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by using a first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4524B1
KR102204524B1 KR1020190110181A KR20190110181A KR102204524B1 KR 102204524 B1 KR102204524 B1 KR 102204524B1 KR 1020190110181 A KR1020190110181 A KR 1020190110181A KR 20190110181 A KR20190110181 A KR 20190110181A KR 102204524 B1 KR102204524 B1 KR 102204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screen
interest
conten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01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07294A (en
Inventor
이재규
정재락
장재용
Original Assignee
이재규
정재락
장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규, 정재락, 장재용 filed Critical 이재규
Priority to KR1020190110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4524B1/en
Publication of KR20190107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729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4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45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4Identity check for transactions
    • G06Q20/40145Biometric identity che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2Targeted advertisements during computer stand-by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첫 화면을 이용한 컨텐츠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제 1 컨텐츠를 관심 컨텐츠로 등록하는 단계, 통신 단말기가 비활성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전환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첫 화면에 제 2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제 2 컨텐츠는 제 1 컨텐츠에 기초하여 결정된 컨텐츠로서 제 1 컨텐츠와 관련된 컨텐츠이다.
It provides a method of providing contents using the first screen of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Registering the first content as content of interest, and providing the second content on a first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wh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switched from an inactive state to an active state. In this case, the second content is content determined based on the first content and is related to the first content.

Description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첫 화면을 이용한 컨텐츠 제공방법{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by using a first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by using a first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활성화 시에 특정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방법, 통신 단말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활성화 시에 수행되는 특정 동작을 보다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erforming a specific operation upon activation of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enables a user to more easily manage a specific operation performed upon activation.

최근 통신 기능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가지 기능을 포함하는 각종 단말기, 예를 들면, 스마트폰, 휴대폰, PDA, 웹 패드, 노트북, 태블릿, 패블릿,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의 단말기가 많이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는 언제 어디서나 데스크탑과 동일 또는 유사한 환경 구현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전화 기능 또한 포함하고 있어, 급속히 보편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통신 단말기들은 제조시 설치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뿐만 아니라 외부 마켓을 통하여 전송받을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다.Recently, various terminals including not only communication functions but also various other functions, such as smart phones, mobile phones, PDAs, web pads, notebook computers, tablets, phablets, and wearable devices, have been widely used. These terminals not only enable the realization of the same or similar environment as the desktop anytime, anywhere, but also include a phone function, and are rapidly becoming common. In addition, communication terminals may install applications to be transmitted through external markets as well as applications installed at the time of manufacture, and implement functions of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s.

한편, 통신 단말기는 전력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일정 시간 외부 입력이 없으면 디스플레이 화면이 오프(off)로 전환되며,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 또는 버튼을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음성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또는 디스플레이 커버부를 여는 경우 다시 온(on)으로 전환된다. 이 때, 디스플레이 화면은 통신 단말기의 사용대기 화면인 대기화면을 제공할 수도 있고, 또는 대기화면에 앞서 의도치 않은 대기화면 전환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화면이 제공될 수도 있다. 이 때, 잠금화면은 사용자의 추가 입력에 따라 대기화면으로 전환될 수도 있고, 더 나아가 잠금코드, 잠금패턴, 사용자 생체정보 등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경우에만 대기화면으로 전환될 수도 있다. 잠금화면은 시간, 배터리 잔량 등의 기본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잠금해제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reduce power consumption, the display screen is turned off when there is no external inpu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when the user touches the screen or inputs a button, when receiving a voice command from the user or the display cover When opening a wealth, it is switched on again. In this case, the display screen may provide an idle screen, which is a waiting screen for us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or a lock screen for preventing unintended switching of the idle screen prior to the idle screen may be provided. In this case, the lock screen may be converted to the idle screen according to the user's additional input, and further, the lock screen may be converted to the idle screen only when user authentication such as a lock code, a lock pattern, and user biometric information is completed. The lock screen may include basic information such as time and battery level, and may include a user interface for unlocking.

잠금화면을 통해 광고 등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경우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컨텐츠들이 무작위적으로 노출되므로, 통신 단말기 사용자는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효과적인 컨텐츠 전달을 할 수 없다. When contents such as advertisements are provided through the lock screen, contents not intended by the user are randomly exposed,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user does not actively utilize them. Therefore, effective content delivery cannot be perform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첫 화면을 이용한 컨텐츠 제공방법으로서, 관심 컨텐츠 등록 단계로서, 제 1 컨텐츠 및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제 1 화면을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 1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제 1 컨텐츠를 관심 컨텐츠로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관심 컨텐츠 등록 단계;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가 꺼진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활성화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활성화 요청 신호에 따라 켜지는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관심 컨텐츠로 등록된 제 1 컨텐츠와 연관된 제 2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 2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화면은 상기 제 2 컨텐츠와 관련된 제 3 컨텐츠로 접근하기 위한 제 1 입력 인터페이스,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으로 진입하기 위한 제 2 입력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방법을 개시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using a first screen of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registering a content of interest, including: outputting a first screen including a first content and a user input interface to a display unit; Receiving a user input for the first content through the user input interface; And registering the first content on which the user input is received as the content of interest. Receiving an activation request signal from a user while the display unit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urned off; And displaying a second screen providing second content related to the first content registered as the content of interest on a display unit that is turned on according to the activation request signal, wherein the second screen includes the second content and Disclosed is a content providing method, further comprising a first input interface for accessing related third content and a second input interface for entering an idle screen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잠금화면을 이용하여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품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상품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관심상품 등록 요청을 받는 단계;상기 상품을 사용자의 관심상품으로 등록하는 단계;상기 관심상품과의 유사성에 기초하여 인접 상품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인접 상품에 대한 광고를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잠금화면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화면은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가 오프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온 상태로 전환될 때 표시되는 화면이고, 상기 잠금화면은 상기 인접 상품에 대한 광고 영역, 잠금해제 인터페이스 및 상기 인접 상품으로의 링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광고 제공 방법을 개시한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providing an advertisement using a lock screen of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providing product information through a display unit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ing a request for registration of a product of interest from a user for the product; registering the product as a product of interest of the user; determining adjacent products based on similarity with the product of interest; And providing an advertisement for the adjacent product on a lock screen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wherein the lock screen is a screen displayed when the display unit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witched from an off state to an on state according to a user input. The lock screen discloses an advertisement providing method including an advertisement area for the adjacent product, an unlocking interface, and a link interface to the adjacent produ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통신 단말기를 활성화할 때 사용자가 관심을 갖는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컨텐츠 제공자는 통신 단말기의 잠금화면을 통해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어 컨텐츠 노출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사용자는 사용자가 관심을 갖는 컨텐츠만을 제공받을 수 있어 무분별한 컨텐츠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activates a communication terminal, content that the user is interested in can be provided. Through this, the content provider can provide content through the lock scree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by maximizing the content exposure effect, and the user can receive only the content that the user is interested in, thereby preventing exposure to indiscriminate content. ha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제공자는 사용자가 관심을 갖는 컨텐츠만을 선별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므로 정밀하게 타게팅된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content provider can select only content that the user is interested in and provide it to the user,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content to a precisely targeted user.

도 1 은 제 1 컨텐츠를 제공하는 화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는 통신 단말기의 비활성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통신 단말기의 첫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creen providing first content.
2 is a diagram showing an inactive state of a communication terminal.
3 is a diagram showing the first screen of a communication terminal.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 또는 순서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개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below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detail sufficient to enabl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specific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relation to one embodiment. In addi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osition, arrangement, or order of individual components 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to be described below is not to be disclosed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all scopes equivalent to those claimed by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통신 단말기'라 함은 유무선 통신 기능 또는 이와는 다른 기능을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로서, 이동 전화기, 네비게이션, 웹 패드, PDA, 워크스테이션, 개인용 컴퓨터 (예를 들어, 노트북 등),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패블릿,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를 일컫는 용어로서, 본 명세서의 일부분에서는 통신 단말기의 일 실시예로서 휴대폰을 중심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communication terminal' refers to a digital device including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or a function other than that of a mobile phone, a navigation system, a web pad, a PDA, a workstation, a personal computer (for example, a laptop computer), a mobile phone, As a term referring to a digital device equipped with a memory means such as a smart phone, tablet, phablet, wearable device, etc. and equipped with a microprocessor to have computing power.In part of this specification, a mobile phone is described as an embodiment of a communication terminal.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명세서에서 '비활성 상태'라 함은 통신 단말기가 통신 가능한 상태이기는 하나, 디스플레이 화면이 오프(off)인 상태를 의미한다. 다스플레이 화면이 오프인 상태이더라도, 소정의 기능 (예를 들면, 음악 재생 기능 등)은 동작하고 있을 수 있다. 이처럼, 본 명세서에서 '비활성 상태'라는 용어는 통신 단말기가 소정의 동작을 하고 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디스플레이 화면이 오프인 상태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그러나, 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완전히 꺼진 상태는 제외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inactive state"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capable of communication, but the display screen is off. Even when the display screen is in an off state, a predetermined function (for example, a music playback function, etc.) may be operating. As such,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inactive state' is a concept encompassing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screen is off regardless of whether 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performing a predetermined operation. However, it is excluded that the power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mpletely turned off.

본 명세서에서 '활성 상태'라 함은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이 온(on)인 상태를 의미한다. '비활성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의 전환이라는 것은 디스플레이 화면이 오프인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화면을 온 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온 상태인 디스플레이 화면에 어떠한 정보가 표시되는지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단지 잠금화면만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라 할지라도, 이는 통신 단말기의 '활성 상태'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비활성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의 전환은 버튼의 입력, 화면의 터치, 음성을 통한 명령 또는 디스플레이부를 덮은 커버를 여는 동작 등 다양한 방식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active state" means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scree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on. The transition from the'inactive state' to the'active state' means switching the display screen to an on state while the display screen is off, and is not limited to what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on-state display screen. For example, even if only the lock screen is displayed, this may be referred to as the'active stat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In addition, the transition from the inactive state to the active state may be implemented through various methods such as input of a button, a touch of a screen, a command through voice, or an operation of opening a cover covering the display unit.

본 명세서에서 '대기화면'이라 함은, 사용자가 통신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본화면으로서, 통상 각종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 배경이미지, 시간, 배터리 자량, 통신 연결 상태 등을 표시하는 화면이다. 사용자는 대기화면에서 이이콘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을 가함으로써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다. 대기화면은 복수의 화면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화면을 좌우 또는 상하로 슬라이드하여 다른 대기화면으로 전환할 수도 있다. 대기화면의 배경이미지, 아이콘 배열 등은 사용자가 설정할 수도 있다. 대기화면은 일반적으로 통신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를 온시킬 때 통신 디바이스 전체의 제어를 위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메뉴화면으로서,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어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르르 제공하는 화면과는 구별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standby screen' is a basic screen that provides a user interface so that a user can use a communication terminal, and is usually a screen that displays icons, background images, time, battery capacity, and communication connection status of various applications. to be. The user can run the application by applying an input through a user interface such as an icon on the idle screen. The idle screen may include a plurality of screens, and the user may switch to another idle screen by sliding the screen left or right or up and down. The background image and icon arrangement of the idle screen can be set by the user. The standby screen is generally a menu screen provided to a user to control the entire communication device when the display of the communication device is turned on, and is distinguished from a screen that provides a user interface for driving a specific application by running a specific application.

본 명세서에서 '첫 화면'이라 함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라 통신 단말기가 비활성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전환될 때 디스플레이부로 표출되는 특정화면으로서, 통신 단말기의 사용 대기 상태인 대기화면과는 구별되는 화면이다. 예를 들어, 첫 화면은 잠금화면일 수도 있다. 잠금화면은 사용자가 의도치 않게 디스플레이를 온했을 때 바로 대기화면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화면으로서, 잠금화면에서 별도의 사용자 입력이 추가적으로 입력될 때 대기화면으로 진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잠금화면의 특정 이미지를 터치하거나, 슬라이드하는 경우에 대기화면으로 진입할 수 있다. 또한, 잠금화면은 사용자 인증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잠금화면은 사용자가 사전에 입력한 패스코드, 잠금패터, 지문, 홍채, 음성 등의 생체 정보 등과 같은 사용자 인증 단계를 포함하여, 권한있는 사용자로 확인된 경우에만 대기화면으로 진입하게 할 수도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first screen' is a specific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wh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switched from an inactive state to an active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is distinguished from the standby screen, which is a standby state for us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This is the screen. For example, the first screen may be a lock screen. The lock screen is a screen for preventing the user from entering the standby screen immediately when the display is unintentionally turned on, and may enter the standby screen when an additional user input is additionally input from the lock screen. For example, when the user touches or slides a specific image on the lock screen, the user may enter the idle screen. In addition, the lock screen may include a user authentication step. For example, the lock screen includes user authentication steps such as biometric information such as passcode, lock pattern, fingerprint, iris, voice, etc. that the user entered in advance, so that the user enters the idle screen only when it is confirmed as an authorized user. You may.

본 명세서에서 '첫 화면'은 위와 같은 잠금화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첫 화면은 잠금화면과 같이 대기화면에 앞서 표시되어 사용자의 추가 입력이 있는 경우에 대기화면으로 진입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첫 화면은 단순히 종래의 잠금화면의 기능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잠금화면의 배경 이미지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 때, 컨텐츠는 상품 정보, 이벤트 정보 등과 같은 광고를 포함할 수도 있고, 뉴스, 날씨, 알림, 메모,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첫 화면은 표시되는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 오프에서 온으로 전환시에 표시되는 화면으로서, 대기화면으로 진입하기 전에 표시되고 대기화면으로 진입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화면이라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the'first screen' may include the above lock screen. For example, the first screen may be displayed prior to the idle screen, such as a lock screen, and may enter the idle screen when there is an additional input from the user. Furthermore, the first screen may not simply provide a function of a conventional lock screen, but may provide content to a user using a background image of the lock screen. In this case, the content may include advertisements such as product information and event information, and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news, weather, notifications, memos, and social network services. As such, the first screen is not limited to the displayed content, and is a screen displayed when the display is switched from off to on. Any screen that is displayed before entering the standby screen and includes a user interface for entering the standby screen Can be included.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실시예는 발명의 이해를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각 실시예의 구성들은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The embodiments are merely examples for understanding the invention, and the configurations of each embodiment may be combined to form a new embodiment.

제 1실시예Embodiment 1

제 1 실시예는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첫 화면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한다.The first embodiment describes a method of providing a first screen through one application.

애플리케이션은 기본적으로 제 1 컨텐츠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이 때, 제 1 컨텐츠는 예를 들어, 상품정보, 서비스정보, 상점정보, 이벤트 정보 등의 광고일 수도 있고, 뉴스, 날씨, 웹툰 등의 정보 컨텐츠 일 수도 있으며, 또한, 메신저,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등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여러가지 컨텐츠 중 상품정보를 예시로 설명한다.The application may basically be an application that provides the first content. At this time, the first content may be, for example, advertisements such as product information, service information, store information, event information, etc., information content such as news, weather, webtoon, etc., and also messenger, social network service, etc. May be. Hereinafter, product information among various contents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애플리케이션은 상품정보의 제공 및 판매를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라인 쇼핑몰, 소셜 커머스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검색에 따라 상품정보를 제공하고 판매를 중개하거나 직접 판매를 수행하는 검색 포털일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모바일 환경, 예를 들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에서 제 1 컨텐츠를 제공하는 경우를 예시로 설명하고 있으나, 제 1 컨텐츠는 PC환경에서 제공되는 컨텐츠일 수도 있다. 이 경우, PC환경의 웹페이지와 이에 대응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 연동되어 PC환경에서의 프로세스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 반영될 수도 있다.The application may be an application that provides and sells product information. For example, it may be an online shopping mall or a social commerce application. In addition, it may be a search portal that provides product information according to user search, brokers sales, or performs direct sales. In addition, although this embodiment describes a case in which the first content is provided in a mobile environment, for example, a smartphone or a tablet, the first content may be a content provided in a PC environment. In this case, a web page in the PC environment and a mobile application corresponding thereto are interlocked so that the process in the PC environment may be reflected in the mobile application.

도 1 은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제 1 컨텐츠 정보 제공 페이지의 한 가지 예시로서 상품정보 제공페이지를 나타낸다. 통신 단말기 (10) 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품정보 제공페이지가 제공될 수 있다. 상품정보 표시 영역 (12) 에는 상품에 대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상품정보 페이지는 사용자가 검색을 통해 접근하거나 또는 애플리케이션이 먼저 제공할 수도 있다. 상품정보 페이지는 상품 자체에 대한 정보, 판매자 정보, 판매처 정보, 가격 정보, 부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상품의 결제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1 shows a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page as an example of a first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page provided by an application. A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page may be provided through the display unit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 Product information may be provided in the product information display area 12. The product information page provided to the user may be accessed by the user through a search or may be provided by an application first. The product information page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product itself, seller information, seller information, price information, additional information, and the like. In addition, it may include an interface for payment of the corresponding product.

또한, 상품정보 페이지는 관심상품 등록 인터페이스 (14)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온라인으로 상품을 구매하는 경우, 첫 번째 검색에서 바로 구매하기보다는 여러 동일, 유사 제품들을 검색한 후 비교하여 구매하는 경우가 많으며, 또한 당장 구매의사가 없더라도 추후에 구매하기 위하여 관심상품으로 등록하는 경우가 많다. 관심상품으로 등록되는 경우 해당 상품정보 제공 페이지는 별도의 카테고리로 기록되어 사용자가 추후 관심상품 리스트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관심상품 등록 인터페이스는 ‘장바구니’, ‘즐겨찾기’, ‘좋아요’, ‘찜하기’ 등의 다양한 이름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 또한 터치스크린의 터치, 버튼의 클릭, 터치스크린을 슬라이드, 음성명령 등 다양한 방식의 인터페이스가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그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바로 상품을 구매하는 경우를 위하여 결제 인터페이스 (16) 가 제공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product information page may include an interest product registration interface 14. In general, when a user purchases a product online, they often search for several identical or similar products and then compare and purchase rather than purchase directly at the first search. Also, even if there is no intention to purchase immediately, a product of interest to purchase later It is often registered as. When registered as a product of interest,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page is recorded as a separate category, and the user can check it through the list of interest products later. The interface for registering interest products can be provided with various names such as'Shopping Cart','Favorite','Like', and'Wish', and the interface can also be touched on the touch screen, clicked on a button, slide the touch screen, and voice commands. Various types of interfaces such as can be appli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a payment interface 16 may be provided for the case of immediately purchasing a product.

제 1 실시예는 사용자가 특정 상품정보를 관심상품으로 등록하는 경우 이를 저장하고, 저장된 관심상품 정보에 따라 후술할 첫 화면에 제공할 제 2 컨텐츠를 결정한다. 구체적인 제 2 컨텐츠 제공에 대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In the first embodiment, when a user registers specific product information as a product of interest, it is stored, and according to the stored product information of interest, a second content to be provided on the first screen to be described later is determined. Details on the provision of the second content will be described later.

도 2 는 통신 단말기가 비활성화된 상태를 나타낸다. 사용자가 일정시간 동안 단말기에 입력을 하지 않는 경우 통신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를 오프한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킨 상태에서 일정 시간 입력이 없는 경우나,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빠져 나와 대기화면에서 일정시간 동안 입력이 없는 경우, 또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의 구동 중 일정시간 동안 입력이 없는 경우 도 2 와 같은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된다.2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deactivated. If the user does not input the terminal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communication terminal turns off the display. For example, when there is no inpu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hile the application is running, or when there is no inpu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n the standby screen after exiting the application, or when there is no inpu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hile another application is running, It switches to the same disabled state.

도 3 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첫 화면을 나타낸다. 통신 단말기가 도 2 와 같은 비활성화 상태에서 사용자가 입력을 하는 경우, 예를 들어, 홈버튼, 전원버튼, 볼륨버튼 등의 물리적 버튼을 누르는 경우, 또는 터치스크린을 터치하는 경우 또는 음성명령을 하는 경우 통신 단말기 (30) 는 디스플레이를 온 한다. 이 경우, 제 1 실시예는 도 3 과 같은 첫 화면을 제공한다.3 shows the first scree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h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a deactivated state as shown in FIG. 2 when a user inputs, for example, when a physical button such as a home button, a power button, and a volume button is pressed, or when a touch screen is touched or when a voice command is performed The communication terminal 30 turns on the display. In this case, the first embodiment provides the first screen as shown in FIG. 3.

첫 화면은 제 2 컨텐츠(32) 를 포함한다. 제 2 컨텐츠는 제 1 컨텐츠와 관련있는 컨텐츠로서, 사용자가 구매의사 또는 흥미를 가지고 관심상품으로 등록한 제 1 컨텐츠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컨텐츠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어 정밀하게 타게팅된 정보제공이 가능하다.The first screen includes the second content 32. The second content is content related to the first content, and is determined based on the first content registered as a product of interest by a user with a purchase intention or interes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content desired by the user, thereby providing precisely targeted information.

예를 들어, 제 1 컨텐츠가 특정 상품정보인 경우, 제 2 컨텐츠 (32) 는 동일한 상품정보, 상이한 판매자가 제공하는 동일 상품 정보, 가격이 상이한 동일 상품 정보와 같은 동일 상품에 대한 정보일 수도 있고, 해당 상품과 유사한 상품정보일 수도 있다. 또한, 제 1컨텐츠와 다른 카테고리의 정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컨텐츠가 공연 등의 이벤트 정보인 경우, 해당 이벤트와 관련된 상품정보일 수도 있고, 해당 이벤트와 관련된 영화 정보, 상점정보 등일 수도 있다. 즉, 제 2 컨텐츠는 제 1 컨텐츠에 관심을 갖는 사용자에 타게팅된 정보로서, 종래 단순히 사용자의 연령, 성별, 지역 등에 기초하는 타게팅 정보와는 달리 사용자가 실제로 관심을 갖는 정보들을 정밀하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첫 화면을 통해 광고를 제공하는 경우 광고제공자는 사용자에게 광고를 자주 노출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사용자는 매번 디스플레이를 온 할 때마다 원치 않는 광고에 노출되므로 이에 대한 피로감, 거부감이 생길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지 않을 수도 있다. 반면, 제 1실시예의 경우 사용자가 실제로 구매의사를 가지고 관심상품으로 등록한 상품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므로 사용자가 더 관심을 가질 수 있고 따라서 이를 첫 화면에 제공하더라도 사용자의 거부감이 적어질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first content is specific product information, the second content 32 may be information on the same product, such as information on the same product, information on the same product provided by different sellers, information on the same product with different prices, or , It may be product information similar to the product. In addition, it may be information of a category different from the first content. For example, when the first content is event information such as a performance, it may be product information related to the event, movie information, store information, etc. related to the event. That is, the second content is information targeted to a user who is interested in the first content, and unlike the conventional targeting information simply based on the user's age, gender, region, etc., information that the user is actually interested in can be accurately provided. have. On the other hand, if an advertisement is provided through the first screen, the advertisement provider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frequently expose advertisements to the user, but the user is exposed to unwanted advertisements every time the display is turned on, so fatigue and rejection may occur. And accordingly, the application may not run.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since information related to a product registered as a product of interest is provided by the user with an intention to purchase, the user may be more interested, and therefore, even if it is provided on the first screen, the user's feeling of rejection may be reduced.

제 2 컨텐츠를 결정하는 프로세스의 예시를 설명한다. 애플리케이션은 첫 화면에 제공할 복수의 제 2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다. 제 2 컨텐츠는 외부 서버로부터 상시로 통신 단말기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단말기가 비활성화 상태일 때 제공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를 온하는 순간에 제공될 수도 있다. 복수의 컨텐츠 중에서 제 2 컨텐츠를 결정하는 단계는 통신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실행될 수도 있고, 또는 외부 서버에서 실행되어 결정된 제 2 컨텐츠가 통신 단말기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단말기에서 실행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외부서버로부터 복수의 컨텐츠를 수신하고, 앞서 사용자가 관심상품으로 저장한 제1 컨텐츠와 복수의 컨텐츠를 비교하여 제 2 컨텐츠를 결정한다. 또는, 애플리케이션은 제1 컨텐츠를 외부서버로 전송하고, 외부서버는 수신한 제 1 컨텐츠를 복수의 컨텐츠와 비교하여 결정한 제 2 컨텐츠를 통신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제 2 컨텐츠의 결정은 애플리케이션 또는 외부서버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결정된 제 2 컨텐츠가 통신 단말기의 첫 화면에 출력된다.An example of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second content will be described. The application has a plurality of second content to be provided on the first screen. The second content may be constantly provided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from an external server. For example, it may be provided wh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an inactive state, or may be provided when the display is turned o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second content from among the plurality of contents may be executed in an applica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or the second content determined by executing in an external server may be provided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For example, when executed in a communication terminal, the application receives a plurality of contents from an external server, and compares the first contents and the plurality of contents previously stored as a product of interest by the user to determine the second contents. Alternatively, the application may transmit the first content to an external server, and the external server may compare the received first content with a plurality of content and transmit the determined second content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is, the determination of the second content may be executed by an application or an external server, and the determined second content is output on the first scree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제 2 컨텐츠를 결정하는 방법은 다양한 비교분석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컨텐츠의 카테고리를 대분류에서 소분류로 단계적으로 분류하여 일치하는 단계에 따라 유사도를 측정할 수 있다. 유사도 분석을 위한 알고리즘은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특정 알고리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Various comparison and analysis algorithms may be applied to a method of determining the second content. For example, the first content category may be classified in stages from large classification to small classification, and similarity may be measured according to matching stages. The algorithm for similarity analysis may be applied in various ways and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algorithm.

제 2 컨텐츠는 복수의 컨텐츠로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유사도 분석에 따라 유사도의 우선순위가 측정되면 가장 유사도가 높은 컨텐츠를 제 1 우선순위로 제공하고 그 다음으로 유사도가 높은 컨텐츠를 제 2 우선순위로 제공할 수도 있다.The second content may be provided as a plurality of contents. For example, if the priority of the similarity is measured according to the similarity analysis, the content having the highest similarity may be provided as a first priority, and then the content having the highest similarity may be provided as a second priority.

하나의 첫 화면에 복수의 제 2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복수의 제 2 컨텐츠는 하나의 화면에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2 컨텐츠가 제공되는 영역을 분리하여 복수의 제2 컨텐츠를 동시에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제 2 컨텐츠의 우선순위에 따라 우선순위가 높은 컨텐츠를 보다 큰 사이즈로 출력하거나 보다 중앙에 위치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첫 화면을 복수의 화면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를 온 할 때 가장 기본으로 나오는 화면을 주화면으로 설정하고 주화면에서 상하 또는 좌우 슬라이드와 같은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부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우선순위에 따라 가장 높은 우선순위의 제 2 컨텐츠가 주화면에 표시되고 그 후 우선순위에 따라 부화면에 표시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첫 화면의 주화면으로 가장 우선순위가 높은 제 2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고, 필요시 화면을 상하 또는 좌우로 슬라이드하여 그 다음으로 우선순위가 높은 제 2 컨텐츠를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상하 슬라이드 인터페이스와 좌우 슬라이드 인터페이스를 구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좌우 슬라이드하는 경우 동일한 카테고리 예를 들어 제 1 컨텐츠가 상품인 경우 상품정보에 대한 제 2 컨텐츠를 표출하고, 상하 슬라이드의 경우에는 다른 카테고리, 예를 들어, 해당 상품과 관련된 매장정보, 공연정보, 이벤트 정보 등을 표출할 수도 있다.A method of providing a plurality of second contents on one first screen will be described. A plurality of second contents may be provided on one screen. For example, a plurality of second content may be simultaneously output by separating an area in which the second content is provided.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iorities of the plurality of second contents, the contents having a higher priority may be output in a larger size or more centrally located. Also, the first screen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screens. For example, when the display is turned on, the most basic screen can be set as the main screen, and the main screen can be moved to a sub screen through an input interface such as a vertical or horizontal slide. In this case, the second content having the highest priority according to the priority may be displayed on the main screen, and then may be displayed on the sub screen according to the priority. The user may check the second content having the highest priority as the main screen of the first screen, and if necessary, the user may check the second content having the next highest priority by sliding the screen vertically or horizontally. In addition, the upper and lower slide interface and the left and right slide interface can be distinguished. For example, when sliding left and right, the same category, for example, when the first content is a product, the second content for product information is displayed, and when the top and bottom slide is a different category, for example, store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oduct, Performance information, event information, etc. can also be displayed.

첫 화면은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2 컨텐츠의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제 3 컨텐츠로의 이동을 위한 링크 인터페이스 (34)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 3 컨텐츠는 제 2 컨텐츠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컨텐츠로서, 예를 들어, 제 2 컨텐츠가 상품에 대한 광고인 경우 제 3 컨텐츠는 해당 상품의 구매 사이트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3 컨텐츠는 제 2 컨텐츠가 제공하는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링크 인터페이스는 제 3 컨텐츠로의 이동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제 2 컨텐츠가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광고인 경우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도록 하는 인터페이스, 또는 다운로드할 수 있는 페이지로의 링크일 수도 있다. 링크 인터페이스는 제 2 컨텐츠 상에 오버랩되어 제2 컨텐츠를 터치, 또는 클릭하는 입력으로 제공될 수도 있고, 제 2 컨텐츠와는 별도로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3 과 같이 제 2 컨텐츠 이미지 (32) 의 하단부에 별도의 이미지로 제공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 2 컨텐츠 이미지의 측면 또는 상면에 제공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링크 인터페이스 (34) 를 직접 터치 또는 클릭할 수도 있고, 특정 위치 (38)로부터 링크 인터페이스로 슬라이드하여 입력을 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3 의 경우 중앙의 이미지 (38) 로부터 좌측으로 슬라이드하는 경우 링크 인터페이스가 입력될 수도 있다. The first screen may include a user input interface. For example, it may include a link interface 34 for moving to the third content providing detailed information of the second content. The third content is a content for providing detailed information on the second content. For example, when the second content is an advertisement for a product, the third content may be a purchase site of the corresponding product. For example, the third content may provide an interface through which a product provided by the second content can be purchased. The link interface may be a movement to the third conte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when the second content is an advertisement for an application, it may be an interface to download the application or a link to a downloadable page. have. The link interface may be overlapped on the second content and provided as an input for touching or clicking the second content, or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second content.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a separate image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content image 32,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r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ntent image. The user may directly touch or click the link interface 34, or may slide from a specific location 38 to the link interface to apply an input. For example, in the case of FIG. 3, a link interface may be input when sliding to the left from the center image 38.

또한, 첫 화면은 대기화면으로의 진입을 위한 잠금해제 인터페이스 (36) 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링크 인터페이이스와 마찬가지로 잠금해제 인터페이스는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으며 그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잠금해제 인터페이스 또한 직접 이미지를 터치 또는 클릭할 수도 있고, 도 3 과 같이 중앙의 이미지 (38) 로부터 오른쪽으로 슬라이드하여 입력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irst screen may further include a unlocking interface 36 for entering the idle screen. Like the link interface, the unlocking interface may be displayed as an image, and its loca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unlocking interface may also be input by directly touching or clicking the image, or by sliding to the right from the center image 38 as shown in FIG. 3.

애플리케이션은 잠금해제 인터페이스 입력시 및/또는 링크 인터페이스 입력시에 사용자에게 리워드를 제공할 수도 있다. 리워드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에서 현금처럼 사용가능한 포인트일 수도 있고, 카드 포인트, 게임 포인트, 또는 현금일 수도 있으며 그 종류에 한정되지 않는다. 리워드를 통해 사용자는 보다 적극적으로 첫 화면을 통한 컨텐츠 제공을 수용할 수 있다. 링크 인터페이스와 잠금해제 인터페이스를 통한 리워드의 액수는 상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링크 인터페이스 입력에 대한 리워드가 더 클 수 있다. 또한, 사용자 편의를 위하여 링크 인터페이스 및 잠금해제 인터페이스의 이미지에 제공될 리워드 포인트를 숫자로 표시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적립할 수 있는 리워드 포인트를 시각적으로 확인하여 그에 따라 링크 인터페이스 또는 잠금해제 인터페이스를 선택할 수도 있다. 잠금해제 인터페이스는 터치스크린을 통한 입력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문인식, 음성인식, 홍채인식 등과 같은 생체 정보 인식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지문으로 잠금화면을 설정한 경우 사용자는 첫 화면에서 지문인식 센서를 터치함으로써 잠금해제를 수행하여 대기화면으로 진입할 수도 있다.The application may provide a reward to the user upon entering the unlock interface and/or upon entering the link interface. Rewards may be points that can be used like cash in the application, card points, game points, or cash, and are not limited to the type. Through rewards, users can more actively accept content provision through the first screen. The amount of rewards through the link interface and unlock interface may be different. For example, the reward for link interface input may be larger. Also, for user convenience, a number of reward points to be provided on the image of the link interface and the unlock interface may be displayed. Accordingly, the user may visually check the reward points that can be accumulated and select the link interface or the unlock interface accordingly. The unlocking interface is not limited to input through a touch screen, and may be implemented through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tion such as fingerprint recognition, voice recognition, iris recognition, and the like. For example, when a lock screen is set with a fingerprint, the user may unlock the fingerprint by touching the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on the first screen to enter the idle screen.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에 관심상품으로 지정한 상품과 동일 또는 유사한 상품, 이벤트, 매장 등에 대한 정보를 첫 화면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이에 대한 리워드를 통해 첫 화면 컨텐츠에 대한 거부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제공자는 사용자가 관심있어 하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첫 화면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높은 확률로 링크 페이지로 연결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 user may be provided with information on a product, event, store, etc. identical or similar to a product designated as a product of interest in the application on the first scree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rejection of the first screen content through the reward. In addition, the application provider provides information on a product that the user is interested in as the first screen, so that the user can be connected to the link page with a higher probability.

제 2 실시예Example 2

제 2 실시예는 제 1 컨텐츠의 제공과 제 2 컨턴츠의 제공이 상이한 애플리케이션에서 구현되는 실시예로서, 제 1 실시예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즉, 제 1 실시예와 공통되는 부분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second embodiment is an embodiment in which the provision of the first content and the provision of the second content are implemented in different applications, and will be described focusing on different parts from the first embodiment. That is, portions common to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omitted.

제 2 실시예에서는 제 1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제 2 컨텐츠 및 제 3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 2 애플리케이션이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애플리케이션은 상품 정보를 제공하고 온라인으로 상품을 판매하는 쇼핑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고, 제 2 애플리케이션은 잠금화면을 이용하여 광고, 뉴스 등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잠금화면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제 1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제 1 컨텐츠를 관심상품으로 등록하는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제 2 애플리케이션의 서버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제 1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식별정보와 해당 사용자가 관심상품으로 등록한 상품정보를 제 2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전송한다. 또는, 제 1 애플리케이션이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서버로 전송 후, 제 1 애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제 2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전송할 수도 있다. 제 2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이를 수신하여 관심상품으로 등록된 제 1 컨텐츠와 동일 또는 유사한 제 2 컨텐츠를 결정한다. 제 2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결정된 제 2 컨텐츠를 해당 식별정보를 갖는 사용자의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통신 단말기의 디슬플레이를 온 할 때 결정된 제 2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한다. 이 후 출력되는 첫 화면에 대한 내용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In the second embodiment, the first application providing the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application providing the second content and the third content may be different. For example, the first application may be a shopping application that provides product information and sells products online, and the second application may be a lock screen application that provides content such as advertisements and news using a lock screen. When the user registers the first content as a product of interest, the first application transmits information about this to the server of the second application. For example, the first application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nd product information registered by the user as a product of interest to the second application server. Alternatively, after the first application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of the first application, it may be transmitted from the first application server to the second application server. The second application server receives this and determines second content identical or similar to the first content registered as a product of interest. The second application server transmits the determined second content to the user'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correspon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so that the determined second content is output when the user turns on the display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ontent of the first screen output after that is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제 3 실시예Embodiment 3

제 3 실시예에서는 제 2 실시예와 동일하게 상이한 애플리케이션이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제 3 실시예에서는 제 1 애플리케이션이 정보를 제 2 애플리케이션의 서버로 전송하지 아니하고, 사용자의 통신 단말기에서 제 2 애플리케이션에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통신 단말기에 관심상품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제 2 애플리케이션이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관심상품 정보를 제 2 애플리케이션에 직접 전송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 2 애플리케이션은 제 1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관심상품에 대한 정보를 받아 이에 따라 제 2 컨텐츠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애플리케이션은 제 1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관심상품에 대한 정보를 받고, 해당 관심상품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컨텐츠를 결정할 수도 있다. 즉, 제 2 애플리케이션은 제 2 애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받은 복수의 컨텐츠와 관심상품을 비교분석하여, 유사성에 따라 복수의 컨텐츠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이 후 출력되는 첫 화면에 대한 내용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In the third embodiment, different applications can be provid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second embodiment. However, in the third embodiment, the first application does not transmit the information to the server of the second application, and the user's communication terminal may transmit the information to the second application. For example, interest product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user's communication terminal and can be accessed by a second application, or interest product information may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second application. Accordingly, the second application may receive information on the interest product from the first application and determine the second content accordingly. For example, the second application may receive information on a product of interest from the first application, and may determine the second content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product of interest. That is, the second application may compare and analyze a plurality of contents received from the second application server and a product of interest, and may determine the priority of the plurality of contents according to similarity. The content of the first screen output after that is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제 4 실시예Embodiment 4

제 4 실시예는 쇼핑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잠금화면을 통해 광고를 제공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The fourth embodiment describes a specific embodiment of providing an advertisement through a lock screen using a shopping application.

쇼핑 애플리케이션은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상품의 검색 및 상품 구매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으로서, 그 명칭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통상, 사용자는 쇼핑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검색을 통해 원하는 상품을 검색한다. 검색을 통해 제공되는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특정 상품정보를 선택하면 해당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화면을 표시한다. 상품 정보 제공 화면은 상품에 대한 설명, 판매자 정보, 생산지, 가격 등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가 해당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결재 프로세스로 연결하는 결재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해당 상품을 관심상품으로 등록할 수 있도록 하는 관심상품 등록 인터페이스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해당 상품을 관심상품으로 등록하는 경우 이를 별도의 관심상품 리스트, 장바구니, 즐겨찾기 등에 저장하여 사용자가 추후에 쇼핑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관심상품을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he shopping application is an application that is installed on a portable terminal and supports a user to search for and purchase a product, and is not limited to its name. Typically, a user runs a shopping application and searches for a desired product through a search. When a user selects specific product information from a list provided through a search, a screen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product is displayed.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screen may display information such as a description of a product, seller information, production location, and price, and may include a payment interface that connects to a payment process so that a user can purchase a corresponding product. In addition, it may include an interest product registration interface that allows the user to register the product as an interest product. When a user registers a corresponding product as a product of interest, it can be stored in a separate list of interest products, shopping cart, and favorites so that the user can easily find the product of interest by running a shopping application later.

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해당 상품을 관심상품으로 등록하면, 쇼핑 애플리케이션은 관심상품과 유사한 인접상품을 결정한다. 인접상품의 결정은 쇼핑 애플리케이션 자체적으로 진행될 수도 있고, 또는 관심상품 정보를 쇼핑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전송하여 쇼핑 애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인접상품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인접상품은 관심상품과의 유사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는데, 유사도가 높을수록 높은 우선순위가 설정되어 사용자에게 우선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인접상품을 결정하는 유사도 판단에 대한 방법은 제 1 실시예의 내용을 참고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a user registers a corresponding product as an interest product, the shopping application determines adjacent products similar to the interest product. The determination of the adjacent products may be performed by the shopping application itself, or the shopping application server may determine adjacent products by transmitting information on the products of interest to the shopping application server. Adjacent products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similarity with the products of interest, and the higher the degree of similarity, the higher the priority is set and thus may be preferentially exposed to users. For a method of determining the degree of similarity for determining adjacent products, the contents of the first embodiment may be referred to.

인접상품에 대한 광고는 휴대용 단말기의 잠금화면에 표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온하는 경우 잠금화면이 표출될 수 있는데, 이 때, 인접상품에 대한 광고가 잠금화면에 표출될 수 있다. 또한, 잠금화면은 인접상품에 대한 광고를 제공하는 영역 이외에도 잠금해제를 위한 인터페이스 및 해당 인접상품에 대한 추가정보를 위한 링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 4 실시예의 잠금화면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제 1 실시예의 첫 화면에 대한 내용을 참조할 수 있다. Advertisements for adjacent products may be displayed on the lock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For example, when the user turns on the display of the portable terminal, a lock screen may be displayed. In this case, advertisements for adjacent products may be displayed on the lock screen. In addition, the lock screen may include an interface for unlocking and a link interface for additional information on the corresponding adjacent product, in addition to an area providing advertisements for adjacent products. For more details on the lock screen of the fourth embodiment, reference may be made to the first screen of the first embodiment.

제 4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은 사용자에게 리워드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잠금화면에서 잠금해제로 진행하는 경우, 그리고 인접상품에 대한 추가정보 페이지로 링크되는 경우 각각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링크되는 경우의 리워드를 더 크게 설정하여 사용자가 인접상품에 접근하도록 유도할 수도 있다. 또한, 리워드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쇼핑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가능한 포인트일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해당 쇼핑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경우, 잠금화면을 통해 관심상품과 유사한 상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더 나아가 단순히 잠금화면에서 광고를 보는 행위 또는 링크 페이지로 연결하는 행위를 통해 포인트를 적립하여 해당 쇼핑 애플리케이션에서 결제 수단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The advertisem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may provide a reward to a user. For example, in the case of proceeding to unlock from the lock screen and linking to an additional information page for adjacent products, each reward can be provided.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induce users to access adjacent products by setting a larger reward in the case of linking. Also, the reward may be a point usable in the shopping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Therefore, when using the shopping application, the user can obtain information on products similar to the products of interest through the lock screen, and further, points through the act of simply viewing advertisements on the lock screen or linking to a link page. You can also accumulate and use it as a payment method in the shopping application.

또한, 쇼핑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업체는 사용자가 원하는 상품에 대한 광고를 정밀하게 타게팅하여 제공할 수 있으므로, 상품 판매에 매우 효율적일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a company providing a shopping application can precisely target and provide an advertisement for a product desired by a user, it can be very efficient for product sales.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component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i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the computer software field.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s and DVDs, magnetic-optical media such as floppy disks, and programs such as ROM, RAM, and flash memory.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instructions may be included. Examples of the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10, 30 : 통신 단말기
12 : 상품정보 표시 영역
14 : 관심상품 등록 인터페이스
16 : 상품 결제 인터페이스
32 : 제 2 컨테츠 이미지
34 : 링크 인터페이스
36 : 잠금해제 인터페이스
38 : 중앙 이미지
10, 30: communication terminal
12: Product information display area
14: Interest product registration interface
16: product payment interface
32: second content image
34: link interface
36: unlock interface
38: center image

Claims (8)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 설치가능한 온라인 쇼핑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온라인 쇼핑몰 애플리케이션과 통신하는 쇼핑몰 서버에서 사용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 설치가능한 온라인 쇼핑몰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온라인 쇼핑몰 애플리케이션은,
상품의 정보를 표시하는 상품정보 표시영역, 상기 상품의 구매를 위한 결제 인터페이스, 및 상기 상품을 관심상품으로 등록하기 위한 관심상품 등록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상품정보 제공페이지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상기 관심상품 등록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상품을 관심상품으로 등록하는 경우, 상기 상품을 관심상품으로 저장하고,
상기 관심상품의 저장 후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기가 비활성 상태로 전환되고, 그 후,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상기 비활성 상태에서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켜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에 첫 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첫 화면은 상기 관심상품에 기초하여 결정된 관련 컨텐츠, 상기 관련 컨텐츠의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링크 인터페이스, 및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으로 진입하기 위한 잠금해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상기 온라인 쇼핑몰 애플리케이션의 제공 단계;
상기 쇼핑몰 서버가, 상기 온라인 쇼핑몰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관심상품을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관심상품은 상기 온라인 쇼핑몰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상기 상품정보 제공페이지의 상기 관심상품 등록 인터페이스를 통해 등록된 관심상품인, 상기 관심상품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쇼핑몰 서버가, 상기 관심상품에 기초하여 상기 관련 컨텐츠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쇼핑몰 서버가, 상기 관련 컨텐츠를 포함하는 상기 첫 화면을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관련 컨텐츠는 상기 온라인 쇼핑몰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상품에 관한 컨텐츠인, 광고 제공 방법.
A method of providing an advertisement to a user's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shopping mall server communicating with the online shopping mall application using an online shopping mall application installable in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an online shopping mall application installable on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online shopping mall application,
Providing a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page including a product information display area displaying product information, a payment interface for purchasing the product, and a product of interest registration interface for registering the product as a product of interest,
When a user registers the product as an interest product through the interest product registration interface, the product is stored as an interest product,
When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witched to an inactive state after the interest product is stored, and thereafter, when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urned on the display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by receiving a user input in the inactive state Provide,
The first screen includes a related content determined based on the interest product, a link interface for providing detailed information on the related content, and a lock release interface for entering the standby screen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online shopping mall application The provision of steps;
Receiving, by the shopping mall server, the interest product from the online shopping mall application, wherein the interest product is a interest product registered through the interest product registration interface of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page provided by the online shopping mall application. Receiving a product of interest;
Determining, by the shopping mall server, the related content based on the interest product; And
And transmitting, by the shopping mall server, the first screen including the related content to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related content is content related to a product provided by the online shopping mall application, an advertisement providing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 컨텐츠는 상기 관심상품과의 유사도에 따라 상이한 우선순위를 갖는 복수의 컨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컨텐츠는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첫 화면에 배치되는 위치 또는 상기 첫 화면에 표시되는 크기가 상이한, 광고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related content includes a plurality of content having different prioriti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similarity with the product of interest,
The plurality of contents are different in a location disposed on the first screen or a size displayed on the first screen according to the priorit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 컨텐츠는 상기 관심상품과의 유사도에 따라 상이한 우선순위를 갖는 복수의 컨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첫 화면은 상기 디스플레이가 켜질 때 표시되는 주화면과 상기 주화면으로부터 상하 또는 좌우 스크롤에 따라 표시되는 부화면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컨텐츠는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주화면 또는 상기 부화면에 선택적으로 표시되는, 광고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related content includes a plurality of content having different prioriti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similarity with the product of interest,
The first screen includes a main screen displayed when the display is turned on and a sub screen displayed according to vertical or horizontal scrolling from the main screen,
The plurality of contents are selectively displayed on the main screen or the sub-screen according to the priority.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 컨텐츠는 상기 관심상품의 업데이트 내용을 포함하는, 광고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related content includes an update of the interest product.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쇼핑몰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상기 첫 화면의 상기 링크 인터페이스에 입력을 가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제1리워드를 제공하는, 광고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online shopping mall application provides a first reward to the user when a user applies an input to the link interface of the first screen.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쇼핑몰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상기 첫 화면의 상기 잠금해제 인터페이스에 입력을 가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제2리워드를 제공하는, 광고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online shopping mall application, when a user applies an input to the unlocking interface of the first screen, provides a second reward to the use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리워드는, 상기 온라인 쇼핑몰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상기 상품정보 제공페이지의 상기 결제 인터페이스를 통해 결제수단으로 사용가능한, 광고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reward is an advertisement providing method that can be used as a payment method through the payment interface of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page provided by the online shopping mall application.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쇼핑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관심상품에 기초하여 상기 관련 컨텐츠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관심상품의 상품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관심상품과 동일한 상품을 검색하며, 상기 동일한 상품 중 상기 관심상품에서 제시된 가격보다 낮은 가격을 제시하는 상품을 상기 관련 컨텐츠로 결정하는, 광고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online shopping mall application, in order to determine the related content based on the interest product,
Checking product information of the interest product, searching for the same product as the product of interest, and determining a product that offers a price lower than the price suggested by the interest product among the same product as the related content.
KR1020190110181A 2019-09-05 2019-09-05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by using a first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22045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181A KR102204524B1 (en) 2019-09-05 2019-09-05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by using a first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181A KR102204524B1 (en) 2019-09-05 2019-09-05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by using a first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5699A Division KR102021242B1 (en) 2018-11-07 2018-11-07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by using a first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294A KR20190107294A (en) 2019-09-19
KR102204524B1 true KR102204524B1 (en) 2021-01-18

Family

ID=68067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0181A KR102204524B1 (en) 2019-09-05 2019-09-05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by using a first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4524B1 (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633B1 (en) * 2007-07-19 2010-02-26 최진혁 System and method of collecting wish-list service of on-line shoping malls
US8769434B2 (en) * 2010-08-11 2014-07-01 Nike, Inc. Intelligent display of information in a user interface
KR20140000038A (en) * 2012-06-22 2014-01-02 서경동 Method for displaying advertisement in smart ph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294A (en) 2019-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3482B1 (en) Mobi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468497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ceiving data at a merchant device from a user device over a wireless link
US11521201B2 (en) Mobi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361638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single input field having multiple processing possibilities
US20140101737A1 (en) Mobi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6833843B2 (en) How to provide content using the first screen of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407032B1 (en) An terminal appratus for providing contents of goods, a method for operating it and a server apparatus
KR102204524B1 (en)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by using a first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2021242B1 (en)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by using a first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1918416B1 (en)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by using a first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20140105674A (en) Coupon service method and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