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4053B1 - Monitoring system comprising attachable sesnor module - Google Patents

Monitoring system comprising attachable sesnor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4053B1
KR102204053B1 KR1020190022319A KR20190022319A KR102204053B1 KR 102204053 B1 KR102204053 B1 KR 102204053B1 KR 1020190022319 A KR1020190022319 A KR 1020190022319A KR 20190022319 A KR20190022319 A KR 20190022319A KR 102204053 B1 KR102204053 B1 KR 102204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module
sensor
modu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unique ident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23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04007A (en
Inventor
한기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드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드주
Priority to KR1020190022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4053B1/en
Publication of KR20200104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400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4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40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0Bus structure
    • G06F13/4063Device-to-bus coupling
    • G06F13/4068Electrical coup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G06F13/385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for adaptation of a particular data processing system to different peripher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러 센서모듈이 탈부착되게 거치되는 본체부에서, 거치되는 센서모듈에 따라 자동으로 연결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거치형 센서모듈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센서별 고유식별정보를 갖는 USB디바이스부를 포함하는 센서 모듈, 및 상기 센서 모듈이 접속되는 USB 호스트(Universal Serial Bus Host)가 마련된 거치 장치 본체 간의 모니터링 시스템으로서, 검출 센서를 구비하며, 접속 시 하기 거치 본체 장치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센서 모듈; 상기 센서 모듈이 탈착가능하게 거치되며, 상기 센서 모듈에서 검출된 정보를 표시 또는 알림하는 거치 본체 장치; 상기 센서 모듈과 상기 거치 본체 장치 간을 인터페이스 시키며, 공통 고유식별정보를 갖는 USB 인터페이스 모듈; 및 상기 센서 모듈의 센서 리스트 정보 및 실행을 위한 실행 정보를 포함하는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 본체 장치는 상기 센서 모듈의 실행을 위한 명령어가 저장되어 있고, 연결되는 상기 센서모듈의 센서별 고유식별번호와 상기 USB 인터페이스 모듈의 공통 고유식별정보에 기반하여 그 센서 모듈에 상응하는 컨트롤 명령을 실행하며 상응하는 컨트롤 명령이 없는 경우 상기 서버로부터 해당 센서 모듈의 컨트롤 명령어를 자동 전송받아 컨트롤 명령을 실행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형 센서모듈 모니터링 시스템이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tionary sensor module monitoring system that enables automatic connection and management according to the mounted sensor module in a body part in which several sensor modules are mounted detacha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monitoring system between a sensor module including a USB device unit having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sensor, and a stationary device main body provided with a USB host to which the sensor module is connected, comprising a detection sensor, , A sensor module receiving power from the following mounted main body device upon connection; A mounting body device on which the sensor module is detachably mounted and for displaying or notifying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or module; A USB interface module for interfacing between the sensor module and the mounting body device and having common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 server including sensor list information of the sensor module and execution information for execution, wherein the mounting body device stores a command for execution of the sensor module, and is unique for each sensor of the connected sensor module Based on the identification number and the common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B interface module, a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sensor module is executed, and if there is no corresponding control command, the control command of the sensor module is automatically transmitted from the server and the control command is executed. There is provided a stationary sensor module monito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made to do so.

Description

거치형 센서모듈 모니터링 시스템{MONITORING SYSTEM COMPRISING ATTACHABLE SESNOR MODULE}Stationary sensor module monitoring system {MONITORING SYSTEM COMPRISING ATTACHABLE SESNOR MODULE}

본 발명은 거치형 센서모듈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형태와 종류의 센서모듈이 탈부착되게 거치되는 본체 장치에서, 거치되는 센서모듈에 따라 자동으로 연결 관리할 수 있도록 하여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어 사용성과 범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나아가 연동 애플리케이션이 마련된 스마트폰에도 겸용으로 적용할 수 있어 이동 활용성도 확보할 수 있는 거치형 센서모듈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tionary sensor module monitor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in a main body device in which various types and types of sensor modules are mounted detachably,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connect and manage according to the mounted sensor module, so that anyone can easily use it. It relates to a stationary sensor module monitoring system that can increase usability and versatility, and can also be applied to a smart phone equipped with an interlocking application to secure mobile usability.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센서 무선 모니터링 장치들은 특정한 센서를 선택하고 그 센서에 대해서만 센싱하고 디스플레이하거나 무선으로 전송한다.Sensor wireless monitoring devices in general use select a specific sensor and sense and display only that sensor and transmit it wirelessly.

따라서 더 성능이 좋은 새로운 센서로 교체하거나, 다른 종류의 센서로 교체하려면 무선 센서 모니터링 장치 자체를 교체하거나, 교체하려는 사용자가 센서를 임의로 교체하고 무선 프로토콜에 새로운 센서에 대한 정보를 추가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할 수 밖에 없다.Therefore, it is inconvenient to replace the wireless sensor monitoring device itself to replace it with a new sensor with better performance, or to replace it with a different type of sensor, or that the user who wants to replace must randomly replace the sensor and add information about the new sensor to the wireless protocol. This is bound to occur.

이에 따라 장착된 센서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처리할 수 있으며 고정형과 이동형에 모두 채택될 수 있는 센서 자동 인식형 무선 모니터링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a sensor auto-recognition type wireless monitoring device that can automatically recognize and process the installed sensor and can be adopted in both fixed and mobile types.

한편, 센서모듈과 이 센서모듈이 연결되는 단말장치(거치형 본체부) 간은 일 예로 유에스비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되는 유에스비 인터페이스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고, 해당 신호는 입력부에서 입력되는 사용자의 조작신호에 따라 연산처리함과 동시에 화면 상에 출력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between the sensor module and the terminal device (mounted body part) to which the sensor module is connected, for example, it can be connected through a USB interface, and signals are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USB interface, and the corresponding signal is input from the input unit. Operation is process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signal and output on the screen at the same time.

따라서 단말장치의 제어부는 연결되는 다수개의 구성과 신호를 인터페이스하도록 각 구성의 유에스비를 구분하기 위하여 각 유에스비 디바이스(Device#01~03)마다 서로 다른 벤더 아이디(VID/PID#01~03)를 설정하게 된다.Therefore, the control unit of the terminal device sets different vendor IDs (VID/PID#01~03) for each UISB device (Device#01~03) in order to distinguish the UISB of each component so as to interface the multiple components and signals to be connected. Is done.

여기서 상기 벤더아이디(VID/PID), 구체적으로는 VID/PID(Vendor ID/Product ID)로서 제품의 응용은 다르지만 동일한 칩셋(Chip Set)을 사용하는 경우 충돌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조업체에서 벤더아이디(VID/PID)를 해당 디바이스(Device#01~03)에 설치하는 일종의 제품을 구분해주는 아이디이다.Here, the vendor ID (VID/PID), specifically VID/PID (Vendor ID/Product ID), has a different application of the product, but in order to prevent a conflict when using the same chipset, the vendor ID This ID identifies a kind of product that installs (VID/PID) on the device (Device#01~03).

따라서 이러한 유에스비 인터페이스방법은 각 유에스비 디바이스(Device#01~03)마다 서로 다른 벤더아이디(VID/PID)를 설정해주고, 각 디바이스(Device#01~03)별로 드라이버(.sys파일#01~03)이나 설치파일(.inf#01~03)을 다르게 구성하여 설치하는 방식이다.Therefore, this UIB interface method sets a different vendor ID (VID/PID) for each USB device (Device#01~03), and a driver (.sys file #01~03) for each device (Device#01~03). Or installation files (.inf#01~03) are configured differently and installed.

이와 같이 센서 모듈을 단말장치의 USB 포트에 연결되게 되면어, 단말장치에 설치된 드라이버가 접속된 센서 모듈을 인식하게 되고, 이후 단말장치에서 센서모듈의 이용을 위한 별도의 응용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연결된 센서 모듈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sensor module is connected to the USB port of the terminal device in this way, the driver installed in the terminal device recognizes the connected sensor module, and then by executing a separate application program or application for the use of the sensor module in the terminal device. , The connected sensor module becomes available.

그러나 센서모듈별로 전용 아이디가 부여되어 있고, 이에 따라 해당 센서모듈만이 적용되는 인터페이스 구조로 되어 있어 제품 디바이스의 확장성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a dedicated ID is assigned for each sensor module, and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re is a limitation in the expandability of the product device because the interface structure is applied to only the corresponding sensor module.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3-0089713(2013.08.13. 공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10-2013-0089713 (published on August 13, 201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5-0060299(2015.06.03. 공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10-2015-0060299 (published on June 3, 2015)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047341(2011.05.09. 공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10-2011-0047341 (published on May 9, 201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047341(2011.05.09. 공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10-2011-0047341 (published on May 9, 2011)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와 종류의 센서모듈이 탈부착되게 거치되는 본체부에서, 거치되는 센서모듈에 따라 자동으로 연결 관리할 수 있도록 하여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어 사용성과 범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나아가 연동 애플리케이션이 마련된 스마트폰에도 겸용으로 적용할 수 있어 이동 활용성도 확보할 수 있는 거치형 센서모듈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 in the main body in which various types and types of sensor modules are mounted detachably, can be automatically connected and managed according to the mounted sensor modules, so that anyone can easily use it. Its purpose is to provide a stationary sensor module monitoring system that can increase usability and versatility, and can also be applied to a smart phone equipped with an interlocking application to secure mobile usability.

또한, 본 발명은 센서 모듈에 그 센서 모듈 고유의 통신스택만을 갖도록 구성시킴으로써 센서 모듈의 전기회로적 및 소프트웨어적 구성을 상대적으로 단순하게 구성할 수 있는 거치형 센서모듈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ationary sensor module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relatively simply configuring the electrical circuit and software configuration of the sensor module by configuring a sensor module to have only a communication stack unique to the sensor module. .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센서별 고유식별정보를 갖는 USB디바이스부를 포함하는 센서 모듈, 및 상기 센서 모듈이 접속되는 USB 호스트(Universal Serial Bus Host)가 마련된 거치 장치 본체 간의 모니터링 시스템으로서, 검출 센서를 구비하며, 접속 시 하기 거치 본체 장치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센서 모듈; 상기 센서 모듈이 탈착가능하게 거치되며, 상기 센서 모듈에서 검출된 정보를 표시 또는 알림하는 거치 본체 장치; 상기 센서 모듈과 상기 거치 본체 장치 간을 인터페이스 시키며, 공통 고유식별정보를 갖는 USB 인터페이스 모듈; 및 상기 센서 모듈의 센서 리스트 정보 및 실행을 위한 실행 정보를 포함하는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 본체 장치는 상기 센서 모듈의 실행을 위한 명령어가 저장되어 있고, 연결되는 상기 센서모듈의 센서별 고유식별번호와 상기 USB 인터페이스 모듈의 공통 고유식별정보에 기반하여 그 센서 모듈에 상응하는 컨트롤 명령을 실행하며 상응하는 컨트롤 명령이 없는 경우 상기 서버로부터 해당 센서 모듈의 컨트롤 명령어를 자동 전송받아 컨트롤 명령을 실행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형 센서모듈 모니터링 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s and other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nsor module including a USB device unit having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sensor, and a USB host to which the sensor module is connected (Universal Serial Bus Host) ) As a monitoring system between the main body of the mounting device, comprising a detection sensor, the sensor module receiving power from the following mounting body device when connected; A mounting body device on which the sensor module is detachably mounted and for displaying or notifying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or module; A USB interface module for interfacing between the sensor module and the mounting body device and having common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 server including sensor list information of the sensor module and execution information for execution, wherein the mounting body device stores a command for execution of the sensor module, and is unique for each sensor of the connected sensor module Based on the identification number and the common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B interface module, a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sensor module is executed, and if there is no corresponding control command, the control command of the sensor module is automatically transmitted from the server and the control command is executed. There is provided a stationary sensor module monito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made to do so.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의 센서별 고유식별정보와 상기 USB 인터페이스 모듈의 공통 고유식별정보 각각은 상기 거치 장치 본체의 USB 호스트에 의해 인식되는 정보로 이루어지고, 상기 센서별 고유식별정보는 소정 기능을 실행하는 상기 센서 모듈 각각에 부여되여 상기 거치 장치 본체를 구성하는 컨트롤부에서 인식 확인될 수 있는 정보이며, 상기 공통 고유식별번호는 상기 센서별 고유식별정보에 대하여 연계되는 공통의 단일 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sensor of the sensor module and the common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B interface module consists of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USB host of the main body of the mounting device, and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sensor is predetermined. It is information that is given to each of the sensor modules executing a function and can be recognized and confirmed by the control unit constituting the main body of the mounting device, and the common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is a common single information linked to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sensor. Can be don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USB 디바이스 모듈의 센서별 고유식별정보는 USB PID의 통신스택으로 확인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USB 인터페이스 모듈의 공통 고유식별정보는 USB VID의 통신스택으로 확인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sensor of the USB device module may be identified as a communication stack of a USB PID, and the common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B interface module may be identified as a communication stack of a USB VI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USB 인터페이스 모듈은 상기 센서 모듈 또는 상기 거치 장치 본체에 일체로 구성되거나, 상기 센서 모듈과 거치 장치 본체와 별개로 구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B interface module may be integrally configured with the sensor module or the mounting device body, or may be configured separately from the sensor module and the mounting device body.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에 상응하는 연동 애플리케이션 및 USB 호스트(Universal Serial Bus Host)가 마련되어 상기 USB 인터페이스 모듈을 매개로 상기 센서 모듈이 접속되는 휴대용 단말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연결되는 상기 센서모듈의 센서별 고유식별정보와 상기 USB 인터페이스 모듈의 공통 고유식별정보에 기반하여 그 센서 모듈에 상응하는 컨트롤 명령을 실행하며 상응하는 컨트롤 명령이 없는 경우 상기 서버로부터 해당 센서 모듈의 컨트롤 명령어를 자동 전송받아 컨트롤 명령을 실행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ing a portable terminal provided with an interlocking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sensor module and a universal serial bus host (USB host) to which the sensor module is connected via the USB interface module, wherein the portable terminal is connected Executes a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sensor module based on the sensor-specific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nsor module and the comm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B interface module. If there is no corresponding control command, the control command of the sensor module from the server It may be configured to automatically receive and execute a control command.

본 발명에 따른 거치형 센서모듈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하면, 등록된 센서 모듈이 아닌 새로운 센서 모듈의 경우에도, 새로운 센서 모듈의 거치와 동시에 이를 실행하기 위한 실행 정보(실행 소프트웨어)를 자동 전송받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어 사용성과 범용성 및 제품 경쟁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stationary sensor modul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n the case of a new sensor module other than the registered sensor module, execution information (execution software) for executing it is automatically transmitted and used at the same time as the new sensor module is mounted. Since anyone can use it easily, it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usability, versatility and product competitiveness.

또한, 본 발명은 본체부에 공통의 단일 인터페이스 모듈을 구비하여 다양한 센서 모듈의 동작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어 센서모듈의 확장성을 확보하며, 용도별 센서 모듈의 회로적 및 소프웨어적 구성을 상대적으로 단순하게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secures the expandability of the sensor module by providing a single interface module in common to the main body so that the operation of various sensor modules can be implemented, and the circuit and software configuration of the sensor module for each purpose are relatively simpl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configured easily.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형 센서모듈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불록화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형 센서모듈 모니터링 시스템의 센서 모듈과 거치 본체 장치의 내부 구성을 블록화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형 센서모듈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성하는 센서 모듈과 거치 본체 장치 간의 접속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형 센서모듈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성하는 센서 모듈과 거치 본체 장치 간의 유에스비 인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tationary sensor modul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sensor module and the stationary body device of the stationary sensor modul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nection configuration between a sensor module and a stationary body device constituting the stationary sensor modul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recognizing a USB between a sensor module constituting a stationary sensor module monitoring system and a stationary bod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Additional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r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the examples described below and shown in the drawings are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as including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the middl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erms such as "... unit", "... unit", and "...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is hardware, software, or hardware and It can be implemented in combination of software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거치형 센서모듈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stationary sensor modul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형 센서모듈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불록화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형 센서모듈 모니터링 시스템의 센서 모듈과 거치 본체 장치의 내부 구성을 블록화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형 센서모듈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성하는 센서 모듈과 거치 본체 장치 간의 접속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형 센서모듈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성하는 센서 모듈과 거치 본체 장치 간의 유에스비 인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tationary sensor modul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sensor module and the stationary body device of the stationary sensor modul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nection configuration between a sensor module constituting a stationary sensor module monitoring system and a stationary bod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onfiguration of a stationary sensor modul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operation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recognizing the USB between the sensor module and the main body device.

본 발명에 따른 거치형 센서모듈 모니터링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소정 정보를 얻기 위해 검출하는 센서를 구비하며, 거치되는 하기 거치 본체 장치(2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센서 모듈(100); 상기 센서 모듈(100)이 탈착가능하게 거치되며, 상기 센서 모듈(100)에서 검출된 정보를 표시 또는 알림하는 거치 본체 장치(200); 및 상기 센서 모듈(100)의 리스트 정보 및 실행을 위한 실행 정보를 포함하는 서버(300);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 본체 장치(200)는 센서 모듈(100)별 실행을 위한 명령어를 저장하고 있고, 연결되는 센서모듈(200)에 포함되는 센서별 고유식별정보에 기반하여 그 센서 모듈(100)에 상응하는 컨트롤 명령을 실행하며 상응하는 컨트롤 명령이 없는 경우 상기 서버(300)로부터 해당 센서 모듈(100)의 컨트롤 명령어를 자동 전송받아 컨트롤 명령을 실행하도록 이루어진다.The stationary sensor modul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to 4, has a sensor that detects largely to obtain predetermined information, and receives power from the mounted body device 200 below. (100); A mounting body device 200 on which the sensor module 100 is detachably mounted and for displaying or notifying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or module 100; And a server 300 including list information of the sensor module 100 and execution information for execution, wherein the stationary body device 200 stores a command for execution for each sensor module 100, and , Based on the sensor-specific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nected sensor module 200, a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sensor module 100 is executed, and if there is no corresponding control command, the sensor module ( 100) is automatically transmitted to execute the control command.

상기 센서 모듈(100)은 다양한 형태와 종류의 센서(11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센서 모듈(100)은 온도 센서나 환경 센서(예를 들면, 미세먼지 센서)가 각각 단일 센서부로 구성되거나 둘 이상의 센서부가 함께 구성되는 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nsor module 100 may include various types and types of sensors 110. For example, the sensor module 100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or an environmental sensor (for example, a fine dust sensor) as a single sensor unit. It may be configured as a module in which two or more sensor units are configured together.

또한, 상기 센서 모듈(100)은 그 센서 모듈(100) 자체, 상기 거치 장치 본체(200) 자체 또는 별개로 구성되는 모듈에 포함되는 공통 고유식별정보와 연계되는 센서별 고유식별정보를 갖는 USB 디바이스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sensor module 100 is a USB device having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sensor linked to common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nsor module 100 itself, the mounting device body 200 itself, or a module configured separately. It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unit 120.

다음으로, 상기 거치 본체 장치(200)는 공통 고유식별정보를 가지며, 상기 센서 모듈(100)의 센서별 고유식별정보를 읽어들이는 USB 인터페이스부(210)와, 상기 USB 인터페이스부(210)부에서 읽어들인 센서별 고유식별정보와 상기 USB 인터페이스부(210)의 공통 고유식별정보를 읽어들여 인식하여 인식된 공통 고유식별정보와 센서별 고유식별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센서 모듈(100)의 제어를 위한 동작을 실행하도록 이루어지는 컨트롤부(220)와, 상기 컨트롤부(220)에서 실행되는 동작이나 시간 등을 표시하도록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부(230), 및 상기 서버(300)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부(240)를 포함한다.Next, the mounting body device 200 has a common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USB interface unit 210 for reading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sensor of the sensor module 100, and the USB interface unit 210 The sensor module 100 is controlled based on the recognized common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sensor-specific identification information by reading and recognizing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sensor read from and the comm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B interface unit 210. A control unit 220 configured to execute an operation for performing an operation, a display unit 230 configured to display an operation or time executed by the control unit 220, and a communication module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server 300 ( 24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USB 인터페이스부(210)는 거치 본체 장치(200)가 아닌 별개의 USB 인터페이스 모듈로 구성되거나, 또는 센서 모듈(100)과 별개 또는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USB interface unit 210 may be configured as a separate USB interface module other than the fixed body device 200, or may be configured as a unit or separate from the sensor module 100.

상기 거치 본체 장치(200)는 usb cdc class(usb communications device class)를 사용하는 usb host를 갖는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tationary main body device 200 may be made of a device having a usb host using a usb cdc class (usb communications device class).

상기 USB 인터페이스부(210)는 센서 모듈(100)의 USB 디바이스부(120)와 i2c, spi, uart와 같은 통신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USB 디바이스부(120)와 USB 인터페이스부(210)는 i2c, spi, uart 이외에도 다른 시리얼 통신 방식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The USB interface unit 210 may be connected to the USB device unit 120 of the sensor module 100 in a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i2c, spi, and uart, and the USB device unit 120 and the USB interface unit 210 are In addition to i2c, spi, and uart, it can be connected through other serial communication methods.

상기 USB 인터페이스부(210)에 구비되는 공통 고유식별정보는 예를 들면 usb cdc class(usb communications device class)와 연동되는 USB VID(Vender ID)의 공통 통신스택으로 인식 확인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USB 디바이스부(120)에 구비되는 센서별 고유식별정보는 USB PID(Product ID)의 개별 통신스택으로 인식 확인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mmon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vided in the USB interface unit 210 may be recognized as a common communication stack of a USB VID (Vender ID) interlocked with, for example, a usb cdc class (usb communications device class), and the USB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sensor provided in the device unit 120 may be recognized as a separate communication stack of a USB product ID (PID).

여기에서, 상기 USB 디바이스부(120)에 구비되는 개별 통신스택인 USB PID는 상기 USB 디바이스부(120) 각각의 소정 동작을 실행하는 디바이스를 갖고 이루어지는데, 이때 상기 USB 디바이스부(120)에는 해당 디바이스에 대한 센서별 고유식별정보로서 부여된 고유의 USB PID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USB PID, which is an individual communication stack provided in the USB device unit 120, has a device for executing a predetermined operation of each of the USB device unit 120, and at this time, the USB device unit 120 corresponds to It may include a unique USB PID given as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sensor for the device.

또한, 상기 USB 인터페이스부(210)는 상기 거치 장치 본체(200)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별개의 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거치 장치 본체(200)와 센서 모듈(100)에 USB 접속가능한 접속구를 구비하게 된다.In addition, the USB interface unit 210 may be physically separated from the mounting device main body 200 to be formed as a separate module, and in this case, a USB connection port capable of connecting to the mounting device main body 200 and the sensor module 100 is provided. Will be equipped.

또한, 상기 USB 인터페이스부(210)는 거치 장치 본체(200)가 아닌, 상기 센서 모듈(100)에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In addition, the USB interface unit 210 may be integrally configured with the sensor module 100 instead of the mounting device body 200,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이러한 USB 인터페이스부(210)는 상기 센서 모듈(100)이 거치 장치 본체(200)에 장착되게 되면, 센서 모듈(100)은 거치 장치 본체(200)에 접속과 동시에 그 거치 장치 본체(200)로부터 동작 전원을 제공받으며, 상기 USB 인터페이스부(210)는 상기 USB 디바이스부(120)의 센서별 고유식별정보(예를 들면, 개별 통신스택)을 읽어오고, 읽어들인 센서별 고유식별정보와 상기 USB 인터페이스부(210)의 공통 고유식별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거치 장치 본체(200)의 컨트롤부(220)에서는 해당 센서 모듈(100)의 동작이 실행되도록 한다.This USB interface unit 210, when the sensor module 100 is mounted on the mounting device body 200, the sensor module 100 is connected to the mounting device body 200 and at the same time from the mounting device body 200 Operation power is provided, and the USB interface unit 210 reads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sensor (for example, individual communication stack) of the USB device unit 120, and reads the read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sensor and the USB. Based on the common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nterface unit 210, the control unit 220 of the mounting device main body 200 causes the sensor module 100 to operate.

또한, 상기 거치 본체 장치(200)는 컨트롤부(220)를 통해 음성 알림할 수 있는 스피커 등 다양한 기능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unting body device 200 may further include various functional modules such as a speaker capable of providing voice notification through the control unit 220.

이와 같이 본 발명은 USB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하여 어떠한 센서 모듈(100)이 연결되더라도 거치 본체 장치(200)에서는 그에 해당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센서 모듈(100)에 대한 확장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 matter which sensor module 100 is connected through the USB interface unit 210, the mounting body device 200 can execute the corresponding operation. Accordingly, the expansion of the sensor module 100 You will be able to secure a castle.

계속해서, 상기 거치 본체 장치(200)의 컨트롤부(220)에는 센서 모듈(100)에 대한 명령어 리스트가 저정되어 있으며, 연결되는 센서모듈(100)과 USB 인터페이스부(210)의 센서별 고유식별정보와 공통 고유식별정보(예를 들면, VID, PID)에 기반하여 센서모듈(100)에 맞는 컨트롤 명령어로 해당 센세모듈(100)을 관리하게 된다.Subsequently, a list of commands for the sensor module 100 is stored in the control unit 220 of the mounting body device 200, and unique identification of each sensor of the connected sensor module 100 and the USB interface unit 210 Based on the information and common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eg, VID, PID), the sensor module 100 is managed with a control command suitable for the sensor module 100.

상기 컨트롤부(220)는 상기 센서모듈(100)이 연결된 후 센세 명령어 리스트에 연결된 센서모듈(100)의 명령어 리스트가 없는 경우, 연결된 센서모듈(100)의 명령어 리스트를 통신모듈부(240)를 통해 서버(300)에서 다운받아 센서 명령어 리스트에 저장하게 된다.When there is no command list of the sensor module 100 connected to the sensor module 100 after the sensor module 100 is connected, the control unit 220 displays the command list of the connected sensor module 100 by the communication module unit 240. It is downloaded from the server 300 through and stored in the sensor command list.

상기 센서 명령어에는 연결된 센서모듈 종류, 센서모듈 초기화, 센서모듈 동작 명령어 등의 센세모듈의 관리를 위한 정보, 및 거치 본체 장치(200)에서 연결된 센서값의 디스플레이 방법, 사용자 알람 방법 등의 모니터링 방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ensor command includes information for the management of the sensor module such as the type of the connected sensor module, initialization of the sensor module, and command for operating the sensor module, and the monitoring method such as a display method of the sensor value connected from the stationary body device 200 and a user alarm method. It contains information about.

한편, 상기 USB 인터페이스부(210)는 거치 본체 장치(200)와 별개의 모듈로 구성되어 수요처의 니즈 또는 적용 센서 모듈에 따라 해당 센서 모듈(100)이 교체가능한 형태 또는 일체형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SB interface unit 210 is configured as a separate module from the mounting body device 200, the corresponding sensor module 100 can be configured in a replaceable or integrated form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customer or the applied sensor module. have.

예를 들면, 상기 USB 인터페이스부(210)가 마련된 접속체의 일측에 개방구 또는 개폐가능한 커버 부재가 구성되고, 상기 개방구 또는 커버 부내 내측에는 상기 센서 모듈(100)이 접속될 수 있는 접속용 접속포트가 구성되며, 상기 접속체에는 상기 접속용 접속포트에 접속되는 접속구가 구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For example, an opening or a cover member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is configur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on body on which the USB interface unit 210 is provided, and the sensor module 100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opening or the cover unit. A connection port may be configured, and a connection port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 for connection may be configured and formed in the connection body.

이와 같이 USB 인테페이스부(210)가 별개의 접속체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접속체는 요철 결합 형태로 접속될 수 있으며, 특히 연동 애플리케이션이 마련된 안드로이드기반 이동통신 단말장치(스마트폰)(400)에 결합될 때에는 그 연결부의 앞부분과 뒷부분을 감싸면서 요철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B interface unit 210 is configured as a separate connection body, the connection body may be connected in a concave-convex form, and in particular, it is combined with an Android-bas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smart phone) 400 provided with an interlocking application. When it becomes possible, it is preferable to be configured in a form that is unevenly coupled while surrounding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connecting portion.

앞서 설명하였지만, 센서 모듈(100)이 갖는 센서별 고유식별정보는 PID와 같은 통신스택을 통해 인식 확인되도록 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거치 장치 본체(100)의 컨트롤러부(220)에서 어떠한 센서 모듈(100)이 접속되었는지 인식 확인할 수 있게 부여된 개별 고유정보를 의미하며, 상기 USB 인터페이스 모듈(210)이 갖는 공통 고유식별정보는 VID와 같은 통신스택을 통해 인식 확인되도록 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거치 본체 장치(100)에 접속되는 센서 모듈(100) 각각에 대하여 공통으로 인식 확인할 수 있게 부여된 고유정보를 의미하는 것이다.Although described above,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sensor of the sensor module 100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to be recognized and confirmed through a communication stack such as a PID, but any sensor module in the controller unit 220 of the main body 100 It refers to individual unique information given to enable recognition and confirmation of whether or not (100) is connected, and the common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B interface module 210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to allow recognition and confirmation through a communication stack such as VID. This refers to unique information that is given to each of the sensor modules 100 connected to the stationary main body device 100 so as to be commonly recogniz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형 센서모듈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하면, 등록된 센서 모듈이 아닌 새로운 센서 모듈의 경우에도, 새로운 센서 모듈의 거치와 동시에 이를 실행하기 위한 실행 정보(실행 소프트웨어)를 자동 전송받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어 사용성과 범용성 및 제품 경쟁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stationary sensor modul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even in the case of a new sensor module other than the registered sensor module, execution information (execution software) for executing the new sensor module is mounted and automatically transmitted. It ha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usability, versatility, and product competitiveness because it can be used and used easily by anyone.

또한, 본 발명은 본체부에 공통의 단일 인터페이스 모듈을 구비하여 다양한 센서 모듈의 동작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어 센서모듈의 확장성을 확보하며, 용도별 센서 모듈의 회로적 및 소프웨어적 구성을 상대적으로 단순하게 구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secures the expandability of the sensor module by providing a single interface module in common to the main body so that the operation of various sensor modules can be implemented, and the circuit and software configuration of the sensor module for each purpose are relatively simple. There is an advantage to be able to configure it.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 예들은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lthoug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y the limited drawings,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apply various technical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based on the above.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from the described method, and/or components such as a system, structure, device, circuit, etc. described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form different from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Alternatively, even if substituted or substituted by an equivalent, an appropriate result can be achieved.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merely illustrative of some of the technical idea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it is obvious that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but to explain the technical idea, and thus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Modification examples and specific embodiments that can be easily inferr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센서 모듈
110: 센서
120: USB 디바이스부
200: 거치 장치 본체
210: USB인터페이스부
220: 컨트롤부
230: 디스플레이부
240: 통신모듈부
300: 서버
400: 이동통신 단말장치(스마트폰)
100: sensor module
110: sensor
120: USB device unit
200: mounting device body
210: USB interface unit
220: control unit
230: display unit
240: communication module unit
300: server
40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smart phone)

Claims (5)

센서별 고유식별정보를 갖는 USB디바이스부를 포함하는 센서 모듈, 및 상기 센서 모듈이 접속되는 USB 호스트(Universal Serial Bus Host)가 마련된 거치 장치 본체 간의 모니터링 시스템으로서,
검출 센서를 구비하며, 접속 시 하기 거치 본체 장치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센서 모듈;
상기 센서 모듈이 탈착가능하게 거치되며, 상기 센서 모듈에서 검출된 정보를 표시 또는 알림하는 거치 본체 장치;
상기 센서 모듈과 상기 거치 본체 장치 간을 인터페이스 시키며, 공통 고유식별정보를 갖는 USB 인터페이스 모듈; 및
상기 센서 모듈의 센서 리스트 정보 및 실행을 위한 실행 정보를 포함하는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 본체 장치는 상기 센서 모듈의 실행을 위한 명령어가 저장되어 있고, 연결되는 상기 센서모듈의 센서별 고유식별정보와 상기 USB 인터페이스 모듈의 공통 고유식별정보에 기반하여 그 센서 모듈에 상응하는 컨트롤 명령을 실행하며 상응하는 컨트롤 명령이 없는 경우 상기 서버로부터 해당 센서 모듈의 컨트롤 명령어를 자동 전송받아 컨트롤 명령을 실행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센서 모듈의 센서별 고유식별정보와 상기 USB 인터페이스 모듈의 공통 고유식별정보 각각은 상기 거치 장치 본체를 구성하는 컨트롤부에서 인식되는 정보로 이루어지되,
상기 센서 모듈의 센서별 고유식별정보는, 소정 기능을 실행하는 상기 센서 모듈 각각에 부여되어 상기 거치 장치 본체를 구성하는 컨트롤부에서 인식 확인될 수 있는 정보이고,
상기 USB 인터페이스 모듈의 공통 고유식별번호는, 상기 센서별 고유식별정보에 대하여 연계되는 공통의 단일 정보로 이루어지고,
상기 센서 모듈의 센서별 고유식별정보는 USB PID의 통신스택으로 확인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USB 인터페이스 모듈의 공통 고유식별정보는 USB VID의 통신스택으로 확인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USB 인터페이스 모듈은, 상기 센서 모듈 또는 상기 거치 장치 본체에 일체로 구성되거나, 상기 센서 모듈과 거치 장치 본체와 별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형 센서모듈 모니터링 시스템.
A monitoring system between a sensor module including a USB device unit having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sensor, and a stationary device main body provided with a USB host to which the sensor module is connected,
A sensor module having a detection sensor and receiving power from the following mounted main body when connected;
A mounting body device on which the sensor module is detachably mounted and for displaying or notifying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or module;
A USB interface module for interfacing between the sensor module and the mounting body device and having common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Includes; a server including sensor list information of the sensor module and execution information for execution,
The mounted main body device stores a command for executing the sensor module, and a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sensor module based on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sensor of the connected sensor module and the comm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USB interface module. When there is no corresponding control command, the control command of the corresponding sensor module is automatically transmitted from the server to execute the control command,
Each of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sensor of the sensor module and the common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B interface module consists of information recognized by a control unit constituting the main body of the mounting device,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sensor of the sensor module is information that is given to each of the sensor modules executing a predetermined function and can be recognized and confirmed by a control unit constituting the main body of the mounting device,
The common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USB interface module consists of a common single information linked to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sensor,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sensor of the sensor module is made to be confirmed by the communication stack of the USB PID,
The common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B interface module is made to be confirmed by the communication stack of the USB VID,
The USB interface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integrally with the sensor module or the mounting device body, or configured separately from the sensor module and the mounting device body
Stationary sensor module monitoring system.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에 상응하는 연동 애플리케이션 및 USB 호스트(Universal Serial Bus Host)가 마련되어 상기 USB 인터페이스 모듈을 매개로 상기 센서 모듈이 접속되는 휴대용 단말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연결되는 상기 센서모듈의 센서별 고유식별정보와 상기 USB 인터페이스 모듈의 공통 고유식별정보에 기반하여 그 센서 모듈에 상응하는 컨트롤 명령을 실행하며 상응하는 컨트롤 명령이 없는 경우 상기 서버로부터 해당 센서 모듈의 컨트롤 명령어를 자동 전송받아 컨트롤 명령을 실행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형 센서모듈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n interlocking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sensor module and a USB host (Universal Serial Bus Host) are provided, and further comprising a portable terminal to which the sensor module is connected via the USB interface module,
The portable terminal executes a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sensor module based on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sensor of the sensor module to be connected and the common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B interface module, and when there is no corresponding control command, from the server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automatically receive a control command of a corresponding sensor module and execute a control command
Stationary sensor module monitoring system.
KR1020190022319A 2019-02-26 2019-02-26 Monitoring system comprising attachable sesnor module KR1022040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319A KR102204053B1 (en) 2019-02-26 2019-02-26 Monitoring system comprising attachable sesnor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319A KR102204053B1 (en) 2019-02-26 2019-02-26 Monitoring system comprising attachable sesnor mod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4007A KR20200104007A (en) 2020-09-03
KR102204053B1 true KR102204053B1 (en) 2021-01-18

Family

ID=72450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2319A KR102204053B1 (en) 2019-02-26 2019-02-26 Monitoring system comprising attachable sesnor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4053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7092A (en) * 2006-11-02 2008-05-22 Sony Corp Communication method, interface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7341A (en) 2009-10-30 2011-05-09 주식회사 지인모바일 Method for connecting mobile device to computer
KR101388445B1 (en) 2011-12-29 2014-04-28 대한민국 Sensor node, De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at the cattle burial sites
KR20130084002A (en) * 2012-01-16 2013-07-24 허홍 Tv remote-controller having touch screen to supply different menu according to touching location and direction, and user interface method using this
KR20150060299A (en) 2013-11-26 2015-06-03 주식회사 옥타컴 Method Monitoring Integrated Sensor Modu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7092A (en) * 2006-11-02 2008-05-22 Sony Corp Communication method, interface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4007A (en) 2020-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82911C2 (en) Reversible connector for accessory devices
RU2729596C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with additional functions and methods of their implementation
CN102483728B (en) Device-dependent selection between modes for asymmetric serial protocols
JP4103623B2 (en) In-vehicle control device
US8719611B2 (en) Checking functional module ID in connected extension device to power instead of existing corresponding functional module
KR2019010117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multimodal of near field communications circuitry
KR102544475B1 (en) Infotainment Device and the Method for providing Infotainment Service and Electronic Device for Vehicle Infotainment including the Infotainment Device
KR102446172B1 (en) A method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via input output interface and a method thereof
EP3654182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in-vehicle infotainment service
US20160239148A1 (en) Method of controlling activation area of touch screen panel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2204053B1 (en) Monitoring system comprising attachable sesnor module
US9351095B2 (en)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with a head unit of a vehicle
CN111386433A (en) Electric applia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564285B2 (en) Electronic device for transmitting, to cover device, data acquired from external electronic device, on basis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cover device, and control method
US11225143B2 (en) System having an infotainment system
CN115718538A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618386B1 (en) Electronic apparatus providing service requiring security through security elemen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027202B1 (en) Usb recoginition method and system for portable terminal device based on android
KR20200114757A (en) Method for keyless reset and electronic devic therefor
US20170097817A1 (en) Method for automatically installing application into personal computer
KR20120008216U (en) Remote control application program and display unit for smartphones
KR102455913B1 (en)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9997061B2 (en) Multi-device system with simplified communication
KR20220069925A (en) Method for recognizing another electronic device using a plurality of interfaces and the electronic device
US20190090288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