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0563B1 - Method for measuring general language ability using parent report,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 Google Patents

Method for measuring general language ability using parent report,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0563B1
KR102200563B1 KR1020180166483A KR20180166483A KR102200563B1 KR 102200563 B1 KR102200563 B1 KR 102200563B1 KR 1020180166483 A KR1020180166483 A KR 1020180166483A KR 20180166483 A KR20180166483 A KR 20180166483A KR 102200563 B1 KR102200563 B1 KR 102200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score
language
question information
measurement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64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77198A (en
Inventor
임동선
Original Assignee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66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0563B1/en
Publication of KR20200077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719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0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05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76Diagnosing or monitoring particular conditions of the nervous system
    • A61B5/4088Diagnosing of monitoring cognitive diseases, e.g. Alzheimer, prion diseases or dementi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logy (AREA)
  • Psychiatry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syc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chine Trans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모보고형 평가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평가 방법은, 측정대상의 언어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질문정보를 미리 정해진 영역별로 출력하여 이에 대한 평가 데이터를 수신하고, 평가 데이터에 따른 점수정보를 기초로 산출되는 영역별 점수에 기반하여 측정대상의 현재 언어 능력을 측정하며,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두 영역에 대한 영역별 점수에 기반하여 측정대상의 미래 언어 능력을 예측할 수 있다.A language evaluation method using parental-reported evaluation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question information for evaluating the language ability of a measurement target for each predetermined area, receives evaluation data, and receives evaluation data according to the evaluation data. The current language ability of the measurement target is measured based on the score for each area calculated based on the score information, and the future language ability of the measurement target may be predicted based on the scores for at least two areas of the plurality of areas.

Description

부모보고형 평가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평가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기록매체 {METHOD FOR MEASURING GENERAL LANGUAGE ABILITY USING PARENT REPORT,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Language evaluation method using parental report-type evaluation data, device and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this {METHOD FOR MEASURING GENERAL LANGUAGE ABILITY USING PARENT REPORT,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본 발명은 부모보고형 평가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평가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편한 방법으로 측정대상의 언어능력을 신뢰성 있게 측정하는 부모보고형 평가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평가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nguage evaluation method using parental-reported evaluation data, an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and a recording medium, and more particularly, a method using parental-reported evaluation data for reliably measuring the language ability of a measurement object by a simple method. It relates to a language evaluation method, an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and a recording medium.

부모 설문지는 부모가 아동의 언어 능력에 대한 폭넓은 배경정보를 제공하여 전반적인 언어 발달력을 살펴볼 수 있 다는 점에서 효율적인 검사 도구이다(Rosenbaum & Simon, 2016). The parental questionnaire is an effective test tool in that parents can examine the overall language development ability by providing a wide range of background information on the child's language ability (Rosenbaum & Simon, 2016).

다수의 선행연구에서는 부모가 제공한 정보가 주관적인 의견일 수 있으나 정확하게 아동의 언어능력을 보고한다고 하였으며, 부모 보고(parent report)만으로도 아동의 언어 발달수준을 가늠할 수 있다고 하며 부모 보고형 설문지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Bennetts et al., 2016; Bzoch et al., 2003; Han et al., 2002; Kim et al., 2003; Machado et al., 2014; Pae & Kwak, 2011). A number of previous studies have suggested that the information provided by parents may be subjective opinions, but accurately report the child's language ability, and that only the parent report can assess the level of language development of the child. The reliability was verified (Bennetts et al., 2016; Bzoch et al., 2003; Han et al., 2002; Kim et al., 2003; Machado et al., 2014; Pae & Kwak, 2011).

특히, Hong(2014)의 연구에서는 부모가 제공하는 아동 언어 발달에 대한 정보가 아동의 현 언어 능력을 가장 잘 파악할 수 있는 도구라고 하였으며, Rescorla와 Achenbach(2001)에서는 부모 보고형 설문지가 만 2세의 언어발달지체 아동의 어휘 및 낱말조합 능력도 예측해 줄 수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In particular, in Hong (2014)'s study, information on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provided by parents is the best tool to grasp a child's current language ability, and in Rescorla and Achenbach (2001), a parent-reported questionnaire was used for 2 years old. It has been reported that it can predict the vocabulary and word combination ability of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 retardation in Korea.

이에, 언어발달지체 아동을 선별하기 위한 도구로서 부모 혹은 교사 보고형 설문지가 표준화되어 교육 및 임상현장에서 유용하게 쓰이고 있다(Boniffaci et al.,2016).Therefore, as a tool for screening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 retardation, a questionnaire reported by parents or teachers has been standardized and used in educational and clinical settings (Boniffaci et al., 2016).

하지만, 종래 기술은 설문지를 통해 부모의 아날로그적 방식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부모의 주관적인 평가로만 아동의 언어 능력을 측정하는 경우, 잘못된 평가에 의한 측정 결과의 왜곡이 발생하여 측정 결과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However, in the prior art, the parent's analog method is predominantly based on the questionnaire, and when the child's language ability is measured only by the parent's subjective evaluation, the measurement result is distorted due to incorrect evaluation, thereby ensuring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result. There is a limit that it cannot be done.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105112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105112 한국공개특허 특2002-0092084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2-0092084

본 발명의 일측면은 언어 발달이 이루어 지지 않아 정상적인 방법으로 측정하기 힘든 유아의 언어 능력을 부모보고형 데이터를 이용하여 신뢰성 있게 평가하는 부모보고형 평가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평가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기록매체를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anguage evaluation method using parental-reported evaluation data for reliably evaluating the language ability of an infant, which is difficult to measure by a normal method due to the lack of language development, and a device for performing the same And a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모보고형 평가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평가 방법은, 측정대상의 언어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질문정보를 미리 정해진 영역별로출력하고, 상기 측정대상에 대한 평가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평가 데이터를 상기 질문정보에 대응되는 점수정보로 변환하고, 상기 점수정보를 기초로 산출되는 영역별 점수에 기반하여 상기 측정대상의 현재 언어 능력을 측정하며,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두 영역에 대한 영역별 점수에 기반하여 상기 측정대상의 미래 언어 능력을 예측한다.In the language evaluation method using parental-reported evaluation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question information for evaluating the language ability of a measurement object is output for each predetermined area, and evaluation data for the measurement object is received, and the The evaluation data is converted into scor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question information, and the current language ability of the measurement target is measured based on the score for each area calculated based on the score information, and an area for at least two areas among a plurality of areas The future language ability of the measurement target is predicted based on the star score.

상기 영역은, 상기 측정대상의 초기 언어발달 및 신체발달에 대한 이정표를 평가하는 질문정보로 구성된 제1 영역, 상기 측정대상의 현재 언어능력을 동 연령대의 다른 집단과 비교하기 위한 질문정보로 구성된 제2 영역, 상기 측정대상의 행동패턴 및 선호활동을 평가하기 위한 질문정보로 구성된 제3 영역 및 상기 측정대상의 언어발달과 관련된 가족력을 평가하기 위한 질문정보로 구성된 제4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The area is a first area consisting of question information for evaluating milestones for initial language development and physical development of the measurement target, and a first area consisting of question information for comparing the current language ability of the measurement target with other groups of the same age group. It may include a second area, a third area including question information for evaluating the behavior pattern and preferred activity of the measurement subject, and a fourth area including question information for evaluating the family history related to language development of the measurement subject.

상기 측정대상의 미래 언어 능력을 예측하는 것은,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제1 영역별 점수, 상기 제2 영역에 대한 제2 영역별 점수, 상기 제3 영역에 대한 제3 영역별 점수 및 상기 제4 영역에 대한 제4 영역별 점수 중 적어도 두 개의 영역별 점수를 기초로 상기 측정대상의 미래 언어 능력을 예측하는 것일 수 있다.Predicting the future language ability of the measurement object may include a score for each first area for the first area, a score for each second area for the second area, a score for each third area for the third area, and the second area. It may be to predict the future language ability of the measurement target based on at least two scores for each of the fourth areas for the 4 areas.

상기 측정대상의 미래 언어 능력을 예측하는 것은, 상기 제2 영역별 점수와 상기 제3 영역별 점수의 비율을 미리 정해진 기준 구간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측정대상의 미래 언어 능력을 예측하는 것일 수 있다.Predicting the future language ability of the measurement object may be predicting the future language ability of the measurement object based on a result of comparing the ratio of the score for each second area and the score for each third area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section. have.

상기 측정대상의 미래 언어 능력을 예측하는 것은, 산출된 상기 제1 영역별 점수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영역의 영역별 점수, 상기 제3 영역의 영역별 점수 및 상기 제4 영역별 점수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설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Predicting the future language ability of the measurement target may be different from the score for each region of the second region, the score for each region of the third region, and the score for each fourth region based on the calculated score for each first region. It may include setting weights.

상기 서로 다른 가중치를 설정하는 것은, 상기 제1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질문정보 중 걸음마 시기에 대한 질문정보의 점수정보가 첫 낱말 시기에 대한 질문정보의 점수정보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영역별 점수에 설정된 가중치를 상기 제3 영역별 점수에 설정된 가중치보다 높게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The setting of the different weights i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core information of the question information for the stepping period among the plurality of ques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first region is lower than the score information of the question information for the first word period, the second The weight set for each area score may be set higher than the weight set for the third area score.

상기 서로 다른 가중치를 설정하는 것은, 상기 제1 영역별 점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제4 영역별 점수에 설정된 가중치를 상기 제2 영역별 점수 및 상기 제3 영역별 점수에 설정된 가중치보다 높게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The setting of the different weights means that when the score for each first area is less than a preset threshold, the weight set for the score for each fourth area is greater than the weight set for the score for each second area and the score for each third area. It can be set high.

상기 측정대상의 미래 언어 능력을 예측하는 것은, 복수의 영역별 점수 중 점수의 크기에 따라 두 개의 영역별 점수를 추출하고, 추출된 두 개의 영역별 점수의 합과 모든 영역별 점수의 합의 비율을 미리 정해진 기준 구간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측정대상의 미래 언어 능력을 예측하는 것일 수 있다.To predict the future language ability of the measurement target, the scores for each area are extrac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core among the scores for each area, and the sum of the extracted scores for each area and the sum of the scores for all areas are calculated. It may be to predict the future language ability of the measurement target according to a result of comparison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sec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본에 발명에 따른 부모보고형 평가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평가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puter program for performing a language evaluation method using parental report-type evaluation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cord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모보고형 평가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평가 장치는, 측정대상의 언어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질문정보를 미리 정해진 영역별로출력하는 질문정보 출력부, 상기 측정대상에 대한 평가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평가 데이터를 상기 질문정보에 대응되는 점수정보로 변환하는 점수정보 변환부, 상기 점수정보를 기초로 산출되는 영역별 점수에 기반하여 상기 측정대상의 현재 언어 능력을 측정하는 측정부 및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두 영역에 대한 영역별 점수에 기반하여 상기 측정대상의 미래 언어 능력을 예측하는 예측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a language evaluation device using parental-reported evaluation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question information output unit for outputting question information for each predetermined area for evaluating the language ability of a measurement object, and A score information conversion unit that receives evaluation data and converts the evaluation data into scor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question information, and measures the current language ability of the measurement target based on scores for each area calculated based on the score information And a prediction unit that predicts the future language ability of the measurement target based on scores for at least two of the sub and the plurality of regions.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측정대상과 연관된 제3자로부터 입력되는 응답정보에 기반하여 측정대상의 현재 언어 능력 및 현재 언어 능력 수준에 기반한 미래 언어 능력을 예측할 수 있으며, 특히 임상 현장에서 직접 평가가 어려운 어린 유아가 측정대상으로 설정되더라도 신뢰도 높은 평가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edict the current language ability of the measurement object and the future language ability based on the current language ability level based on response information input from a third party related to the measurement object. Even if a young infant, which is difficult to directly evaluate, is set as a measurement target, it can provide highly reliable evaluation resul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모보고형 평가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평가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2는 연령별 언어 능력 측정 결과의 일 예가 도시된 도표이다.
도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모보고형 평가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평가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language evaluation apparatus using parental-reported evaluation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hart showing an example of a result of measuring language ability by age.
Is a flow chart showing a schematic flow of a language evaluation method using parental-reported evaluation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detail sufficient to enabl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specific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relation to one embodiment. In addi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to be described below is not intended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properly described, is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all scopes equivalent to those claimed by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over several aspects.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모보고형 평가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평가 장치(1, 이하 언어 평가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language evaluation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language evaluation device 1) using parental-reported evaluation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언어 평가 장치(1)는 측정대상(특히 아동)의 언어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질문정보를 출력하고, 측정대상과 연관된 제3자(예컨대 아동의 부모)로부터 입력되는 응답정보에 기반하여 측정대상의 현재 언어 능력 및 현재 언어 능력 수준에 기반한 미래 언어 능력을 예측할 수 있다.The language evaluation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question information for evaluating the language ability of a measurement object (especially a child), and is based on response information input from a third party (eg, a parent of the child) related to the measurement object. Thus, it is possible to predict the future language ability based on the current language ability of the measurement target and the level of the current language ability.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언어 평가 장치(1)는 측정 결과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주관적으로 작성되는 평가 데이터(응답정보)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며, 특정 질문정보에 대한 평가 데이터를 기초로 해당 질문정보와 연관되거나 연관되지 않은 질문정보의 중요도를 실시간으로 가변시킬 수 있다.In particular, in order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result, the language evaluation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signs different weights to subjectively created evaluation data (response information), and based on the evaluation data for specific question information. The importance of question information that is related or not related to the question information can be changed in real time.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어 평가 장치(1)는 질문정보 출력부(100), 점수정보 변환부(200), 측정부(300) 및 예측부(400)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language evaluation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question information output unit 100, a score information conversion unit 200, a measurement unit 300, and a prediction unit 400.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언어 평가 장치(1)는 이동성을 갖거나 고정된 장치일 수 있다. 장치(1)는, 서버(server) 또는 엔진(engine) 형태일 수 있으며, 디바이스(device), 기구(apparatus), 단말(terminal),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휴대기기(handheld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At this time, the language evaluation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mobile or fixed device. The device 1 may be in the form of a server or an engine, and may be a device, an apparatus, a terminal, a user equipment (UE), a mobile station (MS), or a wireless device ( wireless device), handheld device, etc.

또한, 언어 평가 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언어 평가 장치(1)는 질문정보 출력부(100), 점수정보 변환부(200), 측정부(300) 및 예측부(400) 중 적어도 두 개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되어 하나의 구성요소가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요소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language evaluation apparatus 1 may be implemented by more components than the components illustrated in FIG. 1, and may be implemented by fewer components. Alternatively, in the language evaluation device 1, at least two of the question information output unit 100, the score information conversion unit 200, the measurement unit 300, and the prediction unit 400 are integrated into one component. One component may perform complex functions. Hereinafter,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질문정보 출력부(100)는 측정대상의 언어 능력을 평가하는 질문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The question information output unit 100 may output question information for evaluating the language ability of the measurement target.

여기서, 질문정보는 측정대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사용자, 예컨대 측정대상의 부모가 측정대상을 관찰한 결과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문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질문정보는 '당신의 자녀는 언제 걷기를 시작하였나요?', '당신의 자녀는 책을 읽거나 부모가 책을 읽어주는 것을 좋아하나요?'등과 같은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Here, the question information may be defined as a question for obtaining information on a result of observing the measurement object by a user closely related to the measurement object, for example, the parent of the measurement object. For example, the question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in a form such as'When did your child start walking?','Does your child read books or do you like your parents to read?'

즉, 본 발명에 따른 질문정보 출력부(100)에서 출력되는 질문정보는 측정대상(예컨대 아동)이 직접 응답하는 문항이 아닌, 측정대상을 평소에 자주 관찰하는 제3자로부터 측정대상에 대한 언어 능력 발달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질문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언어 평가 장치(1)는 임상 현장에서 직접 평가가 어려운 어린 유아가 측정대상으로 설정되더라도 신뢰도 높은 평가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That is, the question information output from the question information output uni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 question directly answered by the measurement target (for example, a child), but a language for the measurement target from a third party who frequently observes the measurement target. It can be created in the form of a question to collect information about ability development. Therefore, the language evaluation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highly reliable evaluation result even if a young infant, which is difficult to directly evaluate in a clinical field, is set as a measurement target.

질문정보 출력부(100)에는 복수의 질문정보가 미리 저장될 수 있으며, 복수의 질문정보는 영역별로 그룹화되어 분류된 상태로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질문정보 출력부(100)는 질문정보를 제1 영역, 제2 영역, 제3 영역 및 제4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으로 분류할 수 있다.The question information output unit 100 may store a plurality of question information in advance, and the plurality of question information may be grouped by area and stored in a classified state. Specifically, the question information output unit 100 may classify the question information into any one of a first area, a second area, a third area, and a fourth area.

제1 영역은 측정대상의 초기 언어발달 및 신체발달에 대한 이정표를 평가하는 질문정보들로 구성된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은 총 4개의 질문정보로 구성될 수 있으며, 걸음마 시기, 첫 낱말 발화 시기, 2어 조합 시기 등과 같이 측정대상의 과거 능력을 다각도로 측정하기 위한 질문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다.The first area may be an area composed of question information for evaluating milestones for initial language development and physical development of the object to be measured. For example, the first area may consist of a total of 4 question information, and question information for measuring the past ability of the object to be measured from multiple angles, such as a stepping period, a first word utterance period, and a combination period of two words may be included. .

아동 발달을 설명하고자 하는 여러 이론 중 역동적체계이론(Dynamic system theory, Kamm et al., 1990)에 따르면 운동기능, 언어 발달, 인지 능력 등은 중앙신경체계(central nervous system:CNS)의 성숙도에만 의존하여 독립적으로 발달하는 것이 아니며, 신체발달과 언어 능력은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그리고, 운동기능과 언어 능력 간의 관계를 검토한 다른 선행연구에서는 운동기능(motor skills)은 첫 낱말 산출시기 전에 말 산출에 관여하는 운동기관의 움직임 여부와 관련이 있으며 아동이 타인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기회를 통해 새로운 운동기능을 습득할 수 있다고 하였다(Darrah et al., 2003; Iverson, 2010). 또한, 언어발달지체 아동이 일반 아동과 비교하여 걸음마가 늦다는 선행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발명에서도 신체발달과 언어 능력 간의 관계를 검토할 수 있는 질문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dynamic system theory (Kamm et al., 1990) among the various theories to explain child development, motor function, language development, and cognitive ability depend only on the maturity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CNS). Therefore, they did not develop independently, and it was reported that physical development and language ability we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In addition, in other previous studies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otor function and language ability, motor skills are related to the movement of the motor organs involved in speech production before the first word is calculated, and children can interact with others. It is said that new motor skills can be acquired through opportunities (Darrah et al., 2003; Iverson, 2010). 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question information for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development and language ability may be output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that a child with language development retardation is slower to walk than a normal child.

이와 같이, 질문정보 출력부(100)는 초기 신체 발달 시기, 첫 낱말 발화 시기, 2어 조합 시기 등과 같이 측정대상의 과거 능력을 다각도로 측정하기 위한 질문정보들을 제1 영역으로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question information output unit 100 may divide and manage question information for measuring the past ability of the measurement object from various angles, such as an initial physical development period, a first word utterance period, and a two word combination period, into the first area. have.

제2 영역은 측정대상의 현재 언어능력을 동 연령대의 다른 집단과 비교하기 위한 질문정보들로 구성된 영역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영역은 측정대상의 표현능력, 조음능력, 의사소통능력, 문장구성능력과 같이 아동의 현재 언어수준에 대한 부모의 만족도를 질의하기 위한 질문정보들로 구성될 수 있다.The second area may be an area composed of question information for comparing the current language ability of the measurement target with other groups of the same age group. Specifically, the second area may be composed of question information for inquiring about the satisfaction of parents with the child's current language level, such as expression ability, articulation ability, communication ability, and sentence composition ability of the object to be measured.

즉, 제1 영역이 측정대상의 과거 발달사항에 대한 질문정보들로 구성되었다면, 제2 영역은 측정대상의 현재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질문정보들로 구성될 수 있다. 아동이 연령이 높은 취학 전 아동이거나 초등학교 저학년인 경우 이미 시간이 오래 지나 부모가 아동의 과거 언어수준을 회상하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제2 영역에서는 아동의 과거언어 능력이 아닌 현재 언어수준에 초점을 맞춘 문항들도 포함하여 현재 언어수준에 대한 부모의 주관적인 느낌을 점수화 할 수 있는 질문정보로 구성될 수 있다.That is, if the first area is composed of question information about past developments of the measurement target, the second area may be composed of question information for evaluating the current ability of the measurement target. If the child is an older preschooler or a lower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 it may be difficult for parents to recall the child's past language level after a long period of time, so the second area focuses on the current language level, not the child's past language ability. It can be composed of question information that can score parents' subjective feelings about the current language level, including tailored questions.

이때, 부모는 언어치료사와 같은 전문가와는 다르게 언어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처럼 전문적인 교육을 받지 않았기 때문에 언어의 각 영역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갖추기 쉽지 않다. 따라서, 질문정보 출력부(100)는 현재 언어수준 영역에는 각 언어 영역별 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세부 문항은 포함하지 않았으며, 대신 또래와 자녀의 언어수준을 대략적으로 비교하여 일상생활에서 부모가 자주 관찰하는 아동의 언어 능력을 보고 하도록 유도하는 질문정보들을 제2 영역의 질문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it is not easy for parents to have specialized knowledge in each field of language because they do not receive specialized training, such as to evaluate language ability, unlike experts such as speech therapists. Therefore, the question information output unit 100 does not include detailed questions for evaluating the level of each language area in the current language level area, but instead roughly compares the language level of peers and children, so that parents frequently Question information inducing to report the language ability of the observed child may be generated as question information in the second area.

예를 들어, 제2 영역은 '또래의 다른 아이들과 비교하였을 때, 자녀가 자신의 의사를 얼마만큼 정확하게 표현하고 있나요?', '또래의 다른 아이들의 발음 정확도에 비해 자녀의 단어 발음은 어느 정도로 정확하게 발음하나요?'등과 같은 질문정보들로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area is'How accurately does your child express his or her intention compared to other children of his age?','How much is your child's pronunciation compared to other children's pronunciation accuracy? It can be composed of question information such as'Do you pronounce it correctly?'

제3 영역은 측정대상의 행동패턴 및 선호활동을 평가하기 위한 질문정보들로 구성된 영역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영역은 책읽기 선호도, 읽기/쓰기 능력, 선호하는 신체활동, 학습효율성, 선호활동패턴, 의사소통 시 성향 등과 같이 아동의 인지능력 및 학습능력을 가늠할 수 있는 질문정보들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영역은 '당신의 자녀는 책을 읽거나 성인이 책을 읽어주는 것을 좋아하나요?', '자녀가 의사 표현을 말 대신 행동으로 표현하나요?' 등과 같은 질문정보들로 구성되어, 이에 대한 부모의 평가데이터를 통해 측정대상의 행동패턴 및 선호활동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third area may be an area composed of question information for evaluating the behavior pattern and preferred activity of the measurement target. Specifically, the third area is composed of question information that can assess the child's cognitive ability and learning ability, such as reading preference, reading/writing ability, preferred physical activity, learning efficiency, preferred activity pattern, and propensity for communication. I can. For example, the third area could be'Does your child like to read or an adult reads?','Does your child use actions instead of words?' It is composed of question information such as, etc., and information on behavior patterns and preferred activities of the object to be measured can be obtained through evaluation data of parents.

치료사 혹은 연구자가 아동을 직접적으로 평가할 때 현장에서 바로 확인할 수 없는 부분에 대해 부모가 통찰력 있는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아동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부모보고를 통해 아동의 언어 발달에 대해 정보를 얻는 것이 주된 목적이지만, 그 밖에 비언어적인 영역에서도 언어발달지체 아동들이 일반 아동들과 다른 양상을 보인다는 연구결과(Chun & Yim, 2017; Leonard, 1998; Yang et al., 2015; Yim et al., 2015, 2016b)가 지속적으로 보고됨에 따라 언어 외적인 요소에서도 일반 아동과 비교하여 특이사항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문항들이 포함되어 있다. Paradis와 연구진(2010)은 '아동의 행동패턴에 대한 문항'에서 일반 및 언어발달지체 집단의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보고하며 언어발달지체 위험군은 인지적인 어려움을 동반할 수 있으며 이는 언어능력을 가늠해 볼 수 있는 하나의 신호라고 주장하였다. 이에 따라, 질문정보 출력부(100)는 언어적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질문정보 외에도 아동의 행동패턴에 대한 질문정보가 제3 영역에서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언어 평가 장치(1)는 아동의 인지-행동발달적인 측면에서 언어 발달에까지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요인을 고려할 수 있다.When a therapist or researcher directly evaluates a child, it helps parents understand the child by providing insightful information about areas that cannot be immediately identified in the field. The main purpose is to obtain information about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through parental reports, but the results of a study showing that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 retardation show different patterns from ordinary children in other non-verbal areas (Chun & Yim, 2017; Leonard, 1998). ; As Yang et al., 2015; Yim et al., 2015, 2016b) have been continuously reported, questions are included to check whether there is any specificity in non-verbal factors compared to ordinary children. Paradis and researchers (2010) reported that the difference in scores between general and language development retardation groups in the'question on children's behavior pattern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group at risk of language development delay may have cognitive difficulties, which may increase language skills. It was argued that it was a sign that could be measured. Accordingly, the question information output unit 100 outputs the question information on the behavior pattern of the child in the third area in addition to the question information for evaluating the language ability, so that the language evaluation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actors that can affect language development in terms of cognitive-behavioral development can be considered.

마지막으로, 제4 영역은 측정대상의 언어발달과 관련된 가족력을 평가하기 위한 질문정보들로 구성된 영역일 수 있다. 제4 영역은 가족 구성원의 교육수준, 학습 및 언어발달 가족력 등과 같이 측정대상의 언어 발달과 관련된 가족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질문정보들로 구성될 수 있다.Finally, the fourth area may be an area composed of question information for evaluating a family history related to language development of the measurement target. The fourth area may be composed of question information for acquiring information on the family history related to language development of the object to be measured, such as a family member's educational level, learning and language development family history.

Bishop과 연구진(1995)은 쌍생아를 대상으로 언어발달지체의 유전적 요인에 대해 검토한 결과 언어발달지체를 야기하는 요인으로 유전적인 요인과 부모의 학력이 매우 중요한 요인이라고 하였다. Lewis와 연구진(1989)이 실시한 연구에서도 음운발달이 지연된 아동은 그들의 형제에게서 음운발달지연이 나타났으며 이러한 형제 내 음운발달지연 출현비율은 일반 아동과 그들의 형제와 비교하였을 때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다고 하였다. 또한, Tomblin 등(1997)에서는 언어발달지체 아동의 부모는 일반아동의 부모와 비교하여 교육연수가 낮고, 언어 및 학습장애를 보고한 비율이 높았다고 보고한 바가 있다.Bishop and his team (1995) reviewed the genetic factors of language development retardation in twins and found that genetic factors and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 are very important factors that cause language development retardation. In a study conducted by Lewis and his team (1989), children with delayed phonological development showed phonological development delay in their siblings, and the rate of appearance of phonological development delay within these sibling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ordinary children and their siblings. I did. In addition, Tomblin et al. (1997) reported that parents of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 retardation had lower educational training and higher rates of reporting language and learning disabilities than parents of ordinary children.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반영하기 위하여, 질문정보 출력부(100)는 '가족 구성원이 모두 고등학교를 졸업하였나요?'등과 같이 측정대상의 언어평가 시 부모의 학력에 대한 질문정보 및 측정대상의 언어 발달과 관련된 가족력이 있는지에 대한 질문정보를 생성하여 제4 영역으로 분류할 수 있다.In order to reflect these research results, the question information output unit 100 provides question information about the parents' academic ability and the language development of the measurement target when evaluating the language of the measurement target, such as'Did all family members graduate from high school?' Question information on whether there is a related family history can be generated and classified into the fourth area.

이와 같이, 질문정보 출력부(100)는 복수의 질문정보를 측정대상의 초기 언어발달 및 신체발달에 대한 이정표를 평가하는 질문정보로 구성된 제1 영역, 측정대상의 현재 언어능력을 동 연령대의 다른 집단과 비교하기 위한 질문정보로 구성된 제2 영역, 측정대상의 행동패턴 및 선호활동을 평가하기 위한 질문정보로 구성된 제3 영역 및 측정대상의 언어발달과 관련된 가족력을 평가하기 위한 질문정보로 구성된 제4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후, 질문정보 출력부(100)는 측정대상의 언어 능력 측정 과정이 개시되면 미리 정해진 출력 순서, 예컨대 제1 영역-제2 영역-제3 영역-제4 영역 순으로 질문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question information output unit 100 includes a first area composed of question information for evaluating milestones for initial language development and physical development of the target to be measured, and the current language ability of the target to be measured. A second area consisting of question information for comparison with the group, a third area consisting of question information for evaluating the behavior patterns and preferred activities of the object to be measured, and question information for evaluating the family history related to language development of the object to be measured. It can be managed by dividing it into any one of 4 areas. Thereafter, when the process of measuring the language ability of the object to be measured is started, the question information output unit 100 may output the question information in the order of a predetermined output order, for example, a first area-a second area-a third area-a fourth area. .

점수정보 변환부(200)는 출력되는 질문정보에 대하여, 측정대상과 관련된 제3자(이하,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평가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해당 질문정보에 대한 점수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The score information conversion unit 200 may receive evaluation data input from a third party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user) related to the measurement target with respect to the output question information, and convert it into score information for the corresponding question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른 점수정보 변환부(200)는 종래의 설문 방식과는 상이하게 각 질문정보별로 아동 언어 발달에 대한 부모의 추상적인 느낌을 객관적인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The score information conversion uni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vert the abstract feeling of a parent about child language development for each question information into objective data,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questionnaire method.

일 예로, 점수정보 변환부(200)는 각각의 질문정보에 대하여'매우 그렇다', '그런 편이다', '보통이다', '아니다' 등과 같은 네 개의 선택지를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선택지를 점수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즉, 점수정보 변환부(200)는 특정 질문정보에 대하여 사용자가 '매우 그렇다'라는 선택지를 선택한 평가 데이터를 수신하면, 해당 질문정보에 대한 점수정보를 3점으로 생성할 수 있다. 반대로, 점수정보 변환부(200)는 특정 질문정보에 대하여 사용자가 '아니다'라는 선택지를 선택한 평가 데이터를 수신하면, 해당 질문정보에 대한 점수정보를 0점으로 생성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score information conversion unit 200 presents four options such as'very yes','that is','normal', and'no' for each question information to the user, and is selected from the user. Any one option can be converted into score information. That is, the score information conversion unit 200 may generate three points of score information for the question information when receiving evaluation data in which the user selects an option of'very yes' for specific question information. Conversely, when the score information conversion unit 200 receives evaluation data that the user selects the option of'no' for specific question information, the score information for the question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as 0 points.

다른 예로, 점수정보 변환부(200)는 평가 데이터를 구성하는 음성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점수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score information conversion unit 200 may analyze voices constituting the evaluation data and convert the result into score information.

구체적으로, 점수정보 변환부(200)는 미리 정해진 선택지를 제공하는 대신, 사용자로부터 질문정보에 대한 평가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의 형태로 수신할 수 있다. 점수정보 변환부(200)는 미리 학습된 인공 신경망을 이용하여 음성 데이터가 갖는 의미를 추정하고, 추정된 음성 데이터의 의미에 따라 추상적인 평가 데이터를 0~3 사이의 객관적인 점수로 변환할 수 있다.Specifically, instead of providing a predetermined option, the score information conversion unit 200 may receive evaluation data for question information from a user in the form of voice data. The score information conversion unit 200 may estimate the meaning of the speech data using a pre-learned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convert the abstract evaluation data into an objective score between 0 and 3 according to the meaning of the estimated speech data. .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점수정보 변환부(200)는 어느 하나의 영역에 포함된 모든 질문정보에 대한 평가 데이터가 수신된 것으로 확인될 때마다 각각의 영역에 대한 영역별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수정보 변환부(200)는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제1 영역에 포함된 모든 질문정보 각각에 대한 평가 데이터가 수신된 것으로 확인되면, 수신된 평가 데이터를 점수정보로 변환하고, 이를 합산하여 제1 영역별 점수(제1 영역별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점수정보 변환부(200)는 2 영역에 대한 제2 영역별 점수, 제3 영역에 대한 제3 영역별 점수 및 제4 영역에 대한 제4 영역별 점수를 각각 산출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score information conversion unit 200 may calculate a score for each area for each area whenever it is confirmed that evaluation data for all question information included in any one area has been received. For example,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evaluation data for each of the ques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first area has been received in a predetermined order, the score information conversion unit 200 converts the received evaluation data into score information, and By summing it, a score for each first region (a score for each first region) may be calculated. In this way, the score information conversion unit 200 may calculate a score for each second area for the second area, a score for each third area for the third area, and a score for each fourth area for the fourth area. .

한편, 점수정보 변환부(200)는 각 영역별 점수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Meanwhile, the score information conversion unit 200 may give different weights to scores for each area. Details related to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측정부(300)는 영역별로 산출되는 영역별 점수를 기초로 측정대상의 현재 언어 능력을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measurement unit 300 may measure the current language ability of the measurement target based on the score for each area calculated for each area. In this regard,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는 연령별 언어 능력 측정 결과의 일 예가 도시된 도표이다.2 is a chart showing an example of a result of measuring language ability by age.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부(300)는 연령별 언어 능력 측정 통계 결과를 기준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 As illustrated, the measurement unit 300 may store a statistical result of measuring language ability by age as reference data.

예를 들면, 2세 집단은 현재 언어 발달 능력인 제2 영역에서 평균적으로 10.61점(표준편차 3.25점)을 획득함을 알 수 있으며, 5세 집단은 이보다 향상된 14.31점(표준편차 2.13점)을 획득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측정부(300)는 정상집단(NL)과 언어 발달 지체 집단(LD)에 대한 각각의 영역별 점수에 대한 기준 데이터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For example, it can be seen that the second-year-old group earned an average of 10.61 points (standard deviation 3.25 points) in the second field, which is the current language development ability, and the 5-year-old group scored 14.31 points (standard deviation 2.13 points), which were improved. You can see that you get it. Also, the measurement unit 300 may pre-store reference data for scores for each area for the normal group NL and the language development retardation group LD.

따라서, 측정부(300)는 점수정보 변환부(200)에 의해 생성되는 측정대상의 영역별 점수를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동 연령대에 대한 측정대상의 언어 능력을 상대적으로 추정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measurement unit 300 may relatively estimate the language ability of the measurement target for the same age group by comparing the scores for each area of the measurement target generated by the score information conversion unit 200 with reference data.

도시된 도면에서는 만 2세집단과 만 5세집단에 대하여 후술하는 본 발명에 따른 부모보고형 평가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평가 방법에 따라 언어 능력을 측정한 결과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연령대에 대한 통계 데이터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In the dra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language ability according to the language evaluation method using the parent-reported evaluation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for the 2-year-old group and the 5-year-old group are shown, but are not limited thereto. Further statistical data for age groups may be included.

예측부(400)는 산출된 영역별 점수를 이용하여 측정대상의 미래 언어 능력을 예측할 수 있다. The prediction unit 400 may predict the future language ability of the measurement target by using the calculated score for each area.

구체적으로, 예측부(400)는 산출된 영역별 점수들 중 제2 영역별 점수와 제3 영역별 점수의 비율을 산출하고, 산출된 결과값을 미리 정해진 기준 구간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측정대상의 미래 언어 능력을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측부(400)는 2세 측정대상에 대한 제2 영역별 점수와 제3 영역별 점수의 비율이 0~1사이의 값을 갖는 제1 기준 구간에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미래 시점(예컨대 3세)에서는 동 연령대의 평균적인 언어 능력과 유사한 수준까지 도달할 것이라는 예측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반면, 예측부(400)는 제2 영역별 점수와 제3 영역별 점수의 비율이 1~2사이의 값을 갖는 제2 기준 구간에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현재 시점에서는 동 연령대와 유사한 언어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할지라도 미래에는 동 연령대보다 낮은 언어 능력이 기대될 것이라는 예측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rediction unit 400 calculates the ratio of the score for each second area and the score for each third area among the calculated scores for each area, and compares the calculated result value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period. Predict your future language skills. For example, if the prediction unit 400 determines that the ratio of the score for each second area and the score for each third area for the second generation measurement target is included in the first reference section having a value between 0 and 1, the future At the time point (eg, 3 years old), predictive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that will reach a level similar to the average language ability of the same age group.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atio of the score for each second area and the score for each third area is included in the second reference section having a value between 1 and 2, the prediction unit 400 is Even if you have a person, you can generate predictive information that a lower language ability than the same age group will be expected in the future.

하지만, 상술한 평가 결과는 설명의 편의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이며, 측정대상의 연령 및 평가 환경 등에 따라 평가 결과는 다른 결과로 가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evaluation result is only an exampl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evaluation result may be changed to other results depending on the age of the measurement target and the evaluation environment.

한편, 예측부(400)에 의해 수행되는 미래 언어 능력 예측 과정에서, 상술한 점수정보 변환부(200)는 각 영역별 점수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rocess of predicting future language ability performed by the prediction unit 400, the above-described score information conversion unit 200 may assign different weights to scores for each area.

구체적으로, 점수정보 변환부(200)는 제1 영역에 포함된 질문정보들이 모두 출력된 이후에 산출되는 제1 영역별 점수에 기반하여 제2 영역의 영역별 점수, 제3 영역의 영역별 점수 및 제4 영역별 점수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설정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core information conversion unit 200 is based on the score for each first area calculated after all of the ques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first area is output, the score for each area of the second area and the score for each area of the third area. And different weights may be set for scores for each of the fourth areas.

예를 들어, 점수정보 변환부(200)는 제1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질문정보 중 걸음마 시기에 대한 질문정보의 점수정보가 첫 낱말 시기에 대한 질문정보의 점수정보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영역별 점수에 설정된 가중치를 상기 제3 영역별 점수에 설정된 가중치보다 높게 설정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score information conversion unit 200 determines that the score information of the question information for the stepping period among the plurality of ques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first area is lower than the score information of the question information for the first word period, the The weight set for the score for each second area may be set higher than the weight set for the score for each third area.

즉, 점수정보 변환부(200)는 측정대상의 걸음마 시기가 첫 낱말을 발성한 시기보다 늦은 것으로 확인되면, 측정대상이 과거에는 언어 능력보다 신체 능력이 우선적으로 발달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점수정보 변환부(200)는 제2 영역의 점수정보, 다시 말해 현재 언어 능력 및 신체 능력을 과거 발달 수준과 연계되어 평가될 수 있도록 현재 언어 능력을 측정하는 제2 영역별 점수와 현재 신체 능력을 측정하는 제3 영역별 점수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That i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tep of the measurement object is later than the time when the first word was uttered, the score information conversion unit 200 may determine that the measurement object has developed a physical ability rather than a language ability in the past. At this time, the score information conversion unit 200 includes score information of the second area, that is, the score for each second area and the current body for measuring the current language ability so that the current language ability and physical ability can be evaluated in connection with the past developmental level. Different weights may be assigned to scores for each third area measuring ability.

다른 예로, 점수정보 변환부(200)는 제1 영역별 점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하인 경우, 제4 영역별 점수에 설정된 가중치를 제2 영역별 점수 및 상기 제3 영역별 점수에 설정된 가중치보다 높게 설정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when the score for each first area is less than a preset threshold, the score information conversion unit 200 increases the weight set for the score for each fourth area than the score for each second area and the score for each third area. Can be set.

이러한 경우, 예측부(400)는 복수의 영역별 점수 중 점수가 가장 높은 두 개의 영역별 점수를 추출하고, 추출된 두 개의 영역별 점수의 합과 모든 영역별 점수의 합의 비율을 미리 정해진 기준 구간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측정대상의 미래 언어 능력을 예측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rediction unit 400 extracts the scores for each of the two areas with the highest score among the score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areas, and determines the ratio of the sum of the extracted scores for each area and the scores for all areas in a predetermined reference sec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mparing with, it is possible to predict the future language ability of the measurement target.

이에 따라, 예측부(400)는 측정대상의 미래 언어 능력을 신뢰성있게 예측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rediction unit 400 may reliably predict the future language ability of the measurement target.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모보고형 평가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평가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이 도시된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chematic flow of a language evaluation method using parental-reported evaluation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후술하는 본 발명에 따른 부모보고형 평가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평가 방법은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언어 평가 장치(1)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언어 평가 장치(1)는 후술하는 부모보고형 평가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평가 방법을 구성하는 각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소프트웨어)가 미리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스마트폰에는 본 발명에 따른 부모보고형 평가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평가 방법에 대한 플랫폼이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미리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스마트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재난 대피 교육 방법이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The language evaluation method using the parental-reported evaluation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performed by the language evaluation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is end, in the language evaluation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pplication (software) for performing each step of configuring a language evaluation method using parental report-type evaluation data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installed in advance. For example, on the user's smartphone, a platform for a language evaluation method using parental reporting evaluation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installed in the form of an application, and the user may execute an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smartphone and use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services provided by the virtual reality-based disaster evacuation education method can be provided.

언어 평가 장치(1)는 측정대상의 언어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질문정보를 미리 정해진 영역별로 출력할 수 있다(31).The language evaluation apparatus 1 may output question information for evaluating the language ability of the measurement target for each predetermined area (31).

언어 평가 장치(1)는 복수의 질문정보를 초기 이정표 영역(제1 영역), 현재 언어수준 영역(제2 영역), 행동패턴 및 선호활동 영역(제3 영역) 및 언어발달 관련 가족력에 대한 영역(제4 영역)으로 분류하고, 측정이 개시되면 제1 영역으로 분류된 질문정보부터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The language evaluation device 1 stores a plurality of question information in an initial milestone area (a first area), a current language level area (a second area), a behavior pattern and a preferred activity area (a third area), and a family history related to language development. It is classified as (4th area), and when measurement starts, question information classified as the first area may be sequentially output.

언어 평가 장치(1)는 각각의 질문정보에 대한 평가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평가 데이터를 질문정보에 대응되는 점수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32). 언어 평가 장치(1)는 각각의 질문정보별로 생성된 점수정보를 이용하여 영역별 점수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언어 평가 장치(1)는 영역별 점수정보를 모두 합산하여 전체 점수를 산출할 수도 있다.The language evaluation apparatus 1 may receive evaluation data for each question information and convert the award evaluation data into scor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question information (32). The language evaluation apparatus 1 may calculate score information for each area using score information generated for each question information. In addition, the language evaluation apparatus 1 may calculate the total score by summing all score information for each area.

언어 평가 장치(1)는 산출된 영역별 점수에 기반하여 측정대상의 현재 언어 능력을 측정할 수 있다(33). 이와 동시에, 언어 평가 장치(1)는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두 영역에 대한 영역별 점수에 기반하여 측정대상의 미래 언어 능력을 예측할 수도 있다(34). 현재 언어능력 측정 및 미래 언어능력 예측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도 1 및 도 2를 통해 상술하였으므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language evaluation apparatus 1 may measure the current language ability of the measurement target based on the calculated score for each area (33). At the same time, the language evaluation apparatus 1 may predict the future language ability of the measurement target based on scores for at least two of the plurality of areas for each area (34). Since detailed information on the measurement of the current language ability and the prediction of the future language ability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a repeat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와 같은, 부모보고형 평가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평가 방법을 제공하는 기술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Such a technique for providing a language evaluation method using parental report-type evaluation data may be implemented as an application or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component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i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the computer software field.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media), and a hardware device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Examples of the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I will be able to.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I will be able to.

100: 질문정보 출력부
200: 점수정보 변환부
300: 측정부
400: 예측부
100: question information output unit
200: score information conversion unit
300: measurement unit
400: prediction unit

Claims (10)

질문정보 출력부를 통해 측정대상의 언어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질문정보를 미리 정해진 영역별로 출력하고,
점수정보 변환부에서 상기 측정대상에 대한 평가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평가 데이터를 상기 질문정보에 대응되는 점수정보로 변환하고,
측정부에서 상기 점수정보를 기초로 산출되는 영역별 점수에 기반하여 상기 측정대상의 현재 언어 능력을 측정하며,
예측부에서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두 영역에 대한 영역별 점수에 기반하여 상기 측정대상의 미래 언어 능력을 예측하되,
상기 질문정보 출력부에는 복수의 질문정보들이 제1 영역, 제2 영역, 제3 영역 및 제4 영역으로 분류되어 각 영역별로 그룹화된 상태로 저장되되,
상기 질문정보들이 그룹화된 각 영역은,
상기 측정대상의 초기 언어발달 및 신체발달에 대한 이정표를 평가하는 질문정보로 구성된 제1 영역, 상기 측정대상의 현재 언어능력을 동 연령대의 다른 집단과 비교하기 위한 질문정보로 구성된 제2 영역, 상기 측정대상의 행동패턴 및 선호활동을 평가하기 위한 질문정보로 구성된 제3 영역 및 상기 측정대상의 언어발달과 관련된 가족력을 평가하기 위한 질문정보로 구성된 제4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예측부에서, 상기 측정대상의 미래 언어 능력을 예측하는 것은,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제1 영역별 점수, 상기 제2 영역에 대한 제2 영역별 점수, 상기 제3 영역에 대한 제3 영역별 점수 및 상기 제4 영역에 대한 제4 영역별 점수 중 적어도 두 개의 영역별 점수를 기초로 상기 측정대상의 미래 언어 능력을 예측하고,
상기 예측부에서, 상기 측정대상의 미래 언어 능력을 예측하는 것은,
산출된 상기 제1 영역별 점수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영역의 영역별 점수, 상기 제3 영역의 영역별 점수 및 상기 제4 영역별 점수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설정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예측부에서, 상기 측정대상의 미래 언어 능력을 예측하는 것은,
상기 제2 영역별 점수와 상기 제3 영역별 점수의 비율이 상기 측정대상의 연령대별로 각각 설정한 다수의 기준 구간 중 어느 구간에 해당하는지에 따라 상기 측정대상의 미래 언어 능력을 예측하는 것인,
부모보고형 평가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평가 방법.
The question information for evaluating the language ability of the object to be measured is output by predetermined area through the question information output unit,
The score information conversion unit receives evaluation data for the measurement object and converts the evaluation data into scor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question information,
The measurement unit measures the current language ability of the measurement target based on the score for each area calculated based on the score information,
The prediction unit predicts the future language ability of the measurement target based on the scores for at least two of the plurality of areas for each area,
In the question information output unit, a plurality of question information is classified into a first area, a second area, a third area, and a fourth area, and stored in a grouped state for each area,
Each area in which the question information is grouped,
A first area consisting of question information for evaluating milestones for initial language development and physical development of the measurement target, a second area consisting of question information for comparing the current language ability of the measurement target with other groups in the same age group, the A third area consisting of question information for evaluating the behavior pattern and preferred activity of the measurement object and a fourth area consisting of question information for evaluating the family history related to language development of the measurement object,
In the prediction unit, predicting the future language ability of the measurement object,
At least two of a first area-specific score for the first area, a second area-specific score for the second area, a third area-specific score for the third area, and a fourth area-specific score for the fourth area Predicts the future language ability of the measurement target based on the scores for each area,
In the prediction unit, predicting the future language ability of the measurement object,
And setting different weights to the scores for each region of the second region, the scores for each region of the third region, and the score for each fourth region based on the calculated first region scores,
In the prediction unit, predicting the future language ability of the measurement object,
Predicting the future language ability of the measurement target according to which section of the plurality of reference sections each set for each age group of the measurement target is the ratio of the score for each second area and the score for each third area,
Language evaluation method using parent-reported evaluation data.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다른 가중치를 설정하는 것은,
상기 제1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질문정보 중 걸음마 시기에 대한 질문정보의 점수정보가 첫 낱말 시기에 대한 질문정보의 점수정보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영역별 점수에 설정된 가중치를 상기 제3 영역별 점수에 설정된 가중치보다 높게 설정하는 것인, 부모보고형 평가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평가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setting the different weight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core information of the question information for the stepping period among the plurality of ques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first region is lower than the score information of the question information for the first word period, the weight set for the score for each second region is 3 Language evaluation method using parental-reported evaluation data to set higher than the weight set in the score for each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다른 가중치를 설정하는 것은,
상기 제1 영역별 점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제4 영역별 점수에 설정된 가중치를 상기 제2 영역별 점수 및 상기 제3 영역별 점수에 설정된 가중치보다 높게 설정하는 것인, 부모보고형 평가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평가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setting the different weights,
When the first area-specific score is less than a preset threshold, the weight set for the fourth area-specific score is set higher than the weight set for the second area-specific score and the third area-specific score. Language evaluation method using evaluation dat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대상의 미래 언어 능력을 예측하는 것은,
복수의 영역별 점수 중 점수의 크기에 따라 두 개의 영역별 점수를 추출하고, 추출된 두 개의 영역별 점수의 합과 모든 영역별 점수의 합의 비율을 미리 정해진 기준 구간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측정대상의 미래 언어 능력을 예측하는 것인, 부모보고형 평가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평가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predicting the future language ability of the measurement object,
The measurement is based on the result of extracting the scores for each area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core among the scores for each area, and comparing the sum of the extracted scores for each area and the sum of the scores for all areas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period. Language evaluation method using parental-reported evaluation data to predict the subject's future language ability.
제1항,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부모보고형 평가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평가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a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for performing a language evaluation method using the parental-reported evaluation data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6 to 8.
측정대상의 언어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질문정보를 미리 정해진 영역별로출력하는 질문정보 출력부;
상기 측정대상에 대한 평가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평가 데이터를 상기 질문정보에 대응되는 점수정보로 변환하는 점수정보 변환부;
상기 점수정보를 기초로 산출되는 영역별 점수에 기반하여 상기 측정대상의 현재 언어 능력을 측정하는 측정부; 및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두 영역에 대한 영역별 점수에 기반하여 상기 측정대상의 미래 언어 능력을 예측하는 예측부를 포함하되,
상기 질문정보 출력부에는 복수의 질문정보들이 제1 영역, 제2 영역, 제3 영역 및 제4 영역으로 분류되어 각 영역별로 그룹화된 상태로 저장되되,
상기 질문정보들이 그룹화된 각 영역은,
상기 측정대상의 초기 언어발달 및 신체발달에 대한 이정표를 평가하는 질문정보로 구성된 제1 영역, 상기 측정대상의 현재 언어능력을 동 연령대의 다른 집단과 비교하기 위한 질문정보로 구성된 제2 영역, 상기 측정대상의 행동패턴 및 선호활동을 평가하기 위한 질문정보로 구성된 제3 영역 및 상기 측정대상의 언어발달과 관련된 가족력을 평가하기 위한 질문정보로 구성된 제4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예측부는,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제1 영역별 점수, 상기 제2 영역에 대한 제2 영역별 점수, 상기 제3 영역에 대한 제3 영역별 점수 및 상기 제4 영역에 대한 제4 영역별 점수 중 적어도 두 개의 영역별 점수를 기초로 상기 측정대상의 미래 언어 능력을 예측하고,
산출된 상기 제1 영역별 점수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영역의 영역별 점수, 상기 제3 영역의 영역별 점수 및 상기 제4 영역별 점수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설정하며,
상기 제2 영역별 점수와 상기 제3 영역별 점수의 비율이 상기 측정대상의 연령대별로 각각 설정한 다수의 기준 구간 중 어느 구간에 해당하는지에 따라 상기 측정대상의 미래 언어 능력을 예측하는,
부모보고형 평가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평가 장치.
A question information output unit for outputting question information for each predetermined area for evaluating the language ability of the measurement target;
A score information conversion unit for receiving evaluation data for the measurement object and converting the evaluation data into scor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question information;
A measuring unit measuring the current language ability of the measurement target based on the score for each area calculated based on the score information; And
A prediction unit for predicting the future language ability of the measurement target based on scores for at least two of the plurality of areas,
In the question information output unit, a plurality of question information is classified into a first area, a second area, a third area, and a fourth area, and stored in a grouped state for each area,
Each area in which the question information is grouped,
A first area consisting of question information for evaluating milestones for initial language development and physical development of the measurement target, a second area consisting of question information for comparing the current language ability of the measurement target with other groups of the same age group, the A third area consisting of question information for evaluating the behavior pattern and preferred activity of the measurement object and a fourth area consisting of question information for evaluating the family history related to language development of the measurement object,
The prediction unit,
At least two of a first area-specific score for the first area, a second area-specific score for the second area, a third area-specific score for the third area, and a fourth area-specific score for the fourth area Predict the future language ability of the measurement target based on the scores for each area,
Different weights are set for each region score of the second region, the region score of the third region, and the fourth region score based on the calculated first region score,
Predicting the future language ability of the measurement target according to which section of the plurality of reference sections each set for each age group of the measurement target, the ratio of the score for each second area and the score for each third area,
Language evaluation device using parental reporting evaluation data.
KR1020180166483A 2018-12-20 2018-12-20 Method for measuring general language ability using parent report,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KR1022005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483A KR102200563B1 (en) 2018-12-20 2018-12-20 Method for measuring general language ability using parent report,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483A KR102200563B1 (en) 2018-12-20 2018-12-20 Method for measuring general language ability using parent report,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7198A KR20200077198A (en) 2020-06-30
KR102200563B1 true KR102200563B1 (en) 2021-01-07

Family

ID=71120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6483A KR102200563B1 (en) 2018-12-20 2018-12-20 Method for measuring general language ability using parent report,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0563B1 (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2084A (en) 2001-06-02 2002-12-11 김성원 Test Sheet of Linguistic Ability for Infants
KR20140105112A (en) 2013-02-22 2014-09-01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Language evaluation system through network and its method
EP2775412A1 (en) * 2013-03-07 2014-09-10 Medesso GmbH Method of generating a medical suggestion as a support in medical decision making
KR101642577B1 (en) * 2014-07-15 2016-07-2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System for Smart Personalized Learning Tutoring to Provide Service of Effective Study Encouragement and Tutoring and Learning Strategy Establishment
KR20180058298A (en) * 2016-11-24 2018-06-01 (주)카이맥스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a school readiness of the school-age child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발달검사앱/육아어플 추천 앱으로 받는 무료발달검사 CJ발달진단, 네이버 블로그, [online], 2014.03.11. , [2019.09.05. 검색], 인터넷 https://jheunyang86.blog.me/2020668442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7198A (en) 2020-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58734B2 (en) Aging a text-to-speech voice
Saz et al. Tools and technologies for computer-aided speech and language therapy
Polzehl et al. Automatically assessing personality from speech
Van Nuffelen et al. Speech technology‐based assessment of phoneme intelligibility in dysarthria
Mohammadi et al. Automatic personality perception: Prediction of trait attribution based on prosodic features
US9984585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structed response grading
Coulston et al. Amplitude convergence in children’s conversational speech with animated personas
US9336782B1 (en) Distributed collection and processing of voice bank data
Cummins et al. Generalized two-stage rank regression framework for depression score prediction from speech
Fox et al. Phonological neighborhood competition affects spoken word production irrespective of sentential context
US20230036020A1 (en) Text-to-Speech Synthesis Method and System, a Method of Training a Text-to-Speech Synthesis System, and a Method of Calculating an Expressivity Score
Yang et al. Predicting user satisfaction in spoken dialog system evaluation with collaborative filtering
KR20010074705A (en) Automated language assessment using speech recognition modeling
Polkosky et al. Expanding the MOS: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MOS-R and MOS-X
Porretta et al. Perceived foreign accentedness: Acoustic distances and lexical properties
Babel et al. 19 Producing Linguistic Variation Socially Meaningful
Morrison The impact in forensic voice comparison of lack of calibration and of mismatched conditions between the known-speaker recording and the relevant-population sample recordings
Wang et al. Automated scoring of spontaneous speech from young learners of english using transformers
Abdou et al. A Computer Aided Pronunciation Learning system for teaching the holy quran Recitation rules
KR102200563B1 (en) Method for measuring general language ability using parent report,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Gao et al. Which phonetic features should pronunciation Instructions focus on? An evaluation on the accentedness of segmental/syllable errors in L2 speech
Moore Consonant age of acquisition effects are robust in children's nonword repetition performance
Hildebrand-Edgar Creaky voice: An interactional resource for indexing authority
San-Segundo et al. Knowledge-combining methodology for dialogue design in spoken language systems
Yang et al.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computer‐aided Mandarin phonemes training system for hearing‐impaired stud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