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0398B1 - Personalized vital sig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data of personalized bio-signal/surrounding environment - Google Patents

Personalized vital sig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data of personalized bio-signal/surrounding environ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0398B1
KR102200398B1 KR1020180140575A KR20180140575A KR102200398B1 KR 102200398 B1 KR102200398 B1 KR 102200398B1 KR 1020180140575 A KR1020180140575 A KR 1020180140575A KR 20180140575 A KR20180140575 A KR 20180140575A KR 102200398 B1 KR102200398 B1 KR 102200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inutes
less
oxygen saturation
nor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05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56651A (en
Inventor
오윤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온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온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온즈
Priority to KR1020180140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0398B1/en
Publication of KR20200056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66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0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03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 A61B5/14551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for measuring bloo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25Details of analog processing, e.g. isolation amplifier, gain or sensitivity adjustment, filtering, baseline or drift compen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Psychiatry (AREA)
  • Cardi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 생체신호 및 주변환경의 데이터를 연계시켜 활력징후를 실시간 신뢰성 있고 정확하며 신속하게 분석 판단하고, 활력징후 이상 판단 시 사용자 본인에게 알리며, 응급 시에는 연계 지인과 응급구조기관에 위치기반정보와 함께 알림할 수 있는 개인화된 생체신호/주변환경 데이터에 기반한 개인맞춤형 활력징후정보 제공 방법 및 개인맞춤형 생활활력징후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활력징후를 검출하여 소정 형식의 정보로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활력징후를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 인자(data factor)를 검출하는 데이터인자 검출 단계; 상기 검출된 데이터 인자 중 이상징후 데이터로서 불필요한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데이터 필터링 단계; 상기 필터링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활력징후에 이상 여부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이상징후 판단 단계; 및 상기 이상징후 판단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알림 또는 연계 알림할지 결정하는 알림 결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주변환경 데이터에 기반한 개인맞춤형 활력징후정보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by linking personal biometric signals and data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vital signs are analyzed and determined in real time, reliable, accurate, and quickly, and when an abnormality of vital signs is determined, the user is notified, and in case of an emergency, location-bas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vital signs information based on personalized bio-signals/peripheral data that can be notified along with information, and a system for providing personalized vital sig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detecting a user's vital signs and providing information in a predetermined format, comprising: a data factor detecting step of detecting a data factor for determining the vital signs; A data filtering step of filtering unnecessary data as abnormal symptom data among the detected data factors; An abnormal symptom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vital sign based on the filtered data; And a notification determining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notify a user or a linkage notification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in the abnormal symptom determination step; a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vital sign information based on biosignal/peripheral data, comprising: .

Description

개인화된 생체신호/주변환경 데이터에 기반한 개인맞춤형 활력징후정보 제공 방법 및 개인맞춤형 생활활력징후 제공 시스템{PERSONALIZED VITAL SIG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DATA OF PERSONALIZED BIO-SIGNAL/SURROUNDING ENVIRONMENT}PERSONALIZED VITAL SIG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DATA OF PERSONALIZED BIO-SIGNAL/SURROUNDING ENVIRONMENT}

본 발명은 개인화된 생체신호/주변환경 데이터에 기반한 개인맞춤형 활력징후정보 서비스 방법 및 개인맞춤형 생활활력징후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인 생체신호 및 주변환경의 데이터를 연계시켜 활력징후를 실시간 신뢰성 있고 정확하며 신속하게 분석 판단하고, 활력징후 이상 판단 시 사용자 본인에게 알리며, 응급 시에는 연계 지인과 응급구조기관에 위치기반정보와 함께 알림할 수 있는 개인화된 생체신호/주변환경 데이터에 기반한 개인맞춤형 활력징후정보 제공 방법 및 개인맞춤형 생활활력징후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rsonalized vital sign information service method based on personalized bio-signals/peripheral data and a system for providing personalized vital sign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for providing personal bio-signals and surrounding environment data to provide vital signs. Based on personalized bio-signal/peripheral data that can be analyzed and judged in real time, reliable, accurate, and quickly, and notified to the user when an abnormality of vital signs is determined, and notified with location-based information to related acquaintances and emergency rescue organizations in case of an emergency. It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vital signs information and a system for providing personalized vital signs for living.

본 연구는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KEIT)이 지원하는 지식서비스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으로 수행된 연구결과입니다.This study is the result of research conducted as a core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 for the knowledge service industry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and the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Technology Evaluation and Management (KEIT).

오늘날, 산업화, 컴퓨터 기술의 발전, 이동 수단의 발전 및 환경오염 등과 같은 원인으로 현대인들의 건강 상태가 갈수록 악화되고 있는 현실이며, 소득의 증가로 인하여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Today, the state of health of modern people is getting worse due to causes such as industrialization, computer technology development, transportation mean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and interest in health is increasing due to an increase in income.

이러한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제시된 기존의 건강관리 시스템은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계측하는 생체신호 시스템과,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건강관리 시스템이 상호 연동하여 사용자의 생체 신호에 대한 건강 상태만을 통지하는데 그치고 있다.In the existing health management system proposed to satisfy the user's needs, the biosignal system that measures the user's biosignal and the health management system that provides the health care service interwork with each other to notify only the health status of the user's biosignal. But it stops.

또한, 기존의 건강관리 시스템은 생체 신호를 계측하여, 그 결과 값을 통지하는데 그치고 있음으로, 사용자가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상태에서는 크게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게 된다. 예를 들어, 기존의 건강관리 시스템은 단순치 계측된 생체 신호를 수치 또는 그래프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는 있으나, 현재 건강 상태 또는 계측된 생체 신호에 따른 건강 상태를 명확하게 사용자에게 전송하지 않음으로, 사용자는 현재 자신의 건강 상태에 대하여 명확하게 확인할 수 없으며, 현재 건강 상태에 대한 문제점 및 그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방법을 인지할 수 없음으로, 단순히 현재 생체 상태만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기능만 을 제공할 뿐이다.In addition, since the existing health management system only measures a bio-signal and notifies the result value, the effect is not greatly effective when the user does not have specialized knowledge. For example, the existing health management system can provide the user with a simple measured biometric signal in the form of a numerical or graph, but does not clearly transmit the current health status or the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measured biometric signal to the user. As a result, the user cannot clearly check the current state of health, and cannot recognize the problem of the current state of health and how to solve the problem. Only provides.

한편, 최근 들어 이동통신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면서 휴대 단말기의 기능도 단순한 통화기능에서 벗어나 데이터 통신은 물론 다양한 기능이 부가된 멀티미디어 폰으로 발전하고 있다.Meanwhile, in recent years, as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rapidly developed, the function of a portable terminal has evolved from a simple call function to a multimedia phone with various functions as well as data communication.

일 예로, 이동 단말기(예컨대, 휴대폰)를 이용하여 건강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기술이 점차 개발되어 휴대폰에 진동센서부와 저주파감지부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보행수와 심장 박동수를 검출한 후 통신망을 통해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에서는 이를 분석하여 개인별 건강관련정보를 제공해주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As an example, technology to provide health-related services using a mobile terminal (e.g., a mobile phone) has been gradually developed, and a vibration sensor unit and a low frequency sensing unit are provided in the mobile phone to detect the number of steps and heart rate of the user, and then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 technology that transmits to a server and analyzes the server to provide individual health-related information is disclosed.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건강관련 서비스 제공기술들은 사용자의 생체정보 중 극히 일부만을 검출하여 건강관련 정보를 제공해주므로 건강관련 정보가 정확하지 않고, 오판단이 발생하여 이로 인한 기술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지고 응급기관의 잘못된 출동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서비스 내용도 극히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se conventional health-related service provision technologies detect only a small part of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and provide health-related information, so that the health-related information is not accurate, and a misjudgment occurs. It can lead to incorrect dispatch,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tent of the service is extremely limited.

또한, 종래 건강관련 서비스 제공기술은 24시간 관리가 불가능하고 환자가 응급상황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없으며, 주변 안전 정보 및 예상 응급 상황을 사전에 정확하고 신속하게 획득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technology for providing health-related services has a problem in that 24-hour management is impossible, the patient cannot adequately respond to an emergency situation, and the surrounding safety information and expected emergency situation cannot be obtained accurately and quickly in advance.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497690(2015.03.06. 공고)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10-1497690 (2015.03.06. Announcement)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030311(2011.05.23. 공고)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10-1030311 (2011.05.23. Announcement)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141425(2012.05.04. 공고)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10-1141425 (2012.05.04. Announcement)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776798(2007.11.19. 공고)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10-0776798 (announced on November 19, 2007)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9-0065869(2009.06.23. 공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10-2009-0065869 (published on June 23, 2009)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개인 생체신호 및 주변환경의 데이터를 연계시켜 활력징후를 실시간 신뢰성 있고 정확하며 신속하게 분석 판단하고, 활력징후 이상 판단 시 사용자 본인에게 알리며, 응급 시에는 연계 지인과 응급구조기관에 위치기반정보와 함께 알림할 수 있는 개인화된 생체신호/주변환경 데이터에 기반한 개인맞춤형 활력징후정보 제공 방법 및 개인맞춤형 생활활력징후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 by linking personal biometric signals and data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o analyze and determine vital signs in real time, reliable, accurate and prompt, and to notify the user himself when determining abnormalities of vital signs, In case of an emergency, the purpose is to provide a personalized vital sign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and a personalized life vital sign provision system based on personalized bio-signal/peripheral data that can be notified with location-based information to connected acquaintances and emergency rescue organizations. have.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사용자의 활력징후를 검출하여 소정 형식의 정보로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활력징후를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 인자(data factor)를 검출하는 데이터인자 검출 단계; 상기 검출된 데이터 인자 중 이상징후 데이터로서 불필요한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데이터 필터링 단계; 상기 필터링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활력징후에 이상 여부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이상징후 판단 단계; 및 상기 이상징후 판단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알림 또는 연계 알림할지 결정하는 알림 결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주변환경 데이터에 기반한 개인맞춤형 활력징후정보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s and other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method for detecting a user's vital signs and providing information in a predetermined format, a data factor for determining the vital signs A data factor detection step of detecting ); A data filtering step of filtering unnecessary data as abnormal symptom data among the detected data factors; An abnormal symptom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vital sign based on the filtered data; And a notification determining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notify a user or a linkage notification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in the abnormal symptom determination step; a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vital sign information based on biosignal/peripheral data, comprising: .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인자 검출 단계는 데이터 인자로서 생체신호 인자 및 사용자 주변환경 인자를 포함하고, 상기 생체신호 인자로는 심박, 호흡수, 산소포화도, 피부습도, 일일 보행량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주변환경 인자는 주변 온도 및 주변 고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factor detection step includes a biosignal factor and a user environment factor as data factors, and the biosignal factor includes heart rate, respiration rate, oxygen saturation, skin humidity, and daily walking amount. And, the user's surrounding environment factor may include an ambient temperature and an ambient altitude.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필터링 단계는 생체신호 인자 중 심박이 60미만 또는 130초 초과 시, 호흡수가 12미만 또는 20 초과 시, 산소포화도가 94미만 또는 100 초과 시의 데이터는 이상징후를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로서 제외 처리하며, 상기 사용자 주변환경 인자 중 주변 온도가 30℃이상 또는 -12℃ 이하일 때의 데이터는 이상징후를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로서 제외 처리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ata filtering step, when the heart rate is less than 60 or more than 130 seconds, the respiratory rate is less than 12 or more than 20, and the oxygen saturation level is less than 94 or more than 100, the data is an abnormal symptom. Exclude processing is performed as data for determining the user's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he data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is 30°C or higher or -12°C or lower among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user may be excluded and processed as data for determining abnormal symptoms.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이상징후 판단부는 호흡수와 산소포화도가 정상으로 판단된 조건에서, 심박이 130초과가 2분 미만이거나 심박이 60 미만이 2분 미만인 경우에 정상으로 판단하고, 심박이 130 초과가 2분 이상 지속되거나 심박이 60 미만이 2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 비정상으로 하는 심박에 대한 정상 여부를 판단하고, 심박과 산소포화도가 정상으로 판단된 조건에서, 호흡수가 20 초과가 2분 미만이거나 호흡수가 12 미만이 2분 미만인 경우, 또는 호흡수가 20 초과가 2분 이상 발생하고 움직임이 달리기 이상의 속도로 이동하고 있을 때 정상으로 판단하고, 호흡수가 20 초과가 2분 이상 지속되거나 호흡수가 12 미만이 2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 비정상으로 하는 호흡수에 대한 정상 여부를 판단하고, 심박과 호흡수가 정상으로 판단된 조건에서, 산소포화도가 100 초과가 2분 미만이거나 산소포화도가 94 미만이 2분 미만인 경우, 또는 산소포화도가 94미만이 2분 이상으로 발생하고 미리 설정된 범위의 이상 속도로 이동하고 있을 때 정상으로 판단하고, 산소포화도가 100 초과가 2분 이상 지속되거나 산소포화도가 94 미만이 2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 비정상으로 하는 산소포화도에 대한 정상 여부를 판단하며, 주변온도가 30도 이상이 2분 미만이거나 주변온도가 -12도 이하가 2분 미만인 경우에 정상으로 판단하고, 주변온도가 30도 이상 2분 이상 지속되거나 주변온도가 -12도 이하 2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 비정상으로 하는 사용자 주변환경 인자에 대한 정상 여부를 판단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normal symptom determination unit judges as normal when the heart rate is more than 130 and less than 2 minutes or the heart rate is less than 60 and less than 2 minutes under conditions in which the respiratory rate and oxygen saturation are determined to be normal, If the heart rate exceeds 130 for more than 2 minutes or if the heart rate lasts for less than 60 for more than 2 minutes, the abnormal heart rate is determined, and under conditions where the heart rate and oxygen saturation are determined to be normal, the respiratory rate exceeds 20 If the respiratory rate is less than 2 minutes, the respiratory rate is less than 12 minutes, or the respiratory rate exceeds 20 occurs for 2 minutes or more and the movement is moving at a speed of more than running, it is judged as normal, and the respiratory rate exceeds 20 lasts for 2 minutes or more. Or if the respiratory rate is less than 12 or the respiratory rate is less than 2 minutes, the abnormal respiratory rate is determined to be normal, and under conditions where the heart rate and respiratory rate are determined to be normal, oxygen saturation exceeds 100 is less than 2 minutes or oxygen saturation is If less than 94 is less than 2 minutes, or when the oxygen saturation is less than 94 and is moving at an abnormal speed within the preset range, it is judged as normal, and if the oxygen saturation exceeds 100 lasts for more than 2 minutes or the oxygen saturation is It is judged whether or not the oxygen saturation is abnormal when less than 94 lasts for 2 minutes or more, and it is normal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is 30 degrees or more and less than 2 minutes or the ambient temperature is -12 degrees or less for less than 2 minutes. The determination may be mad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an abnormal user's surrounding environment factor is normal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lasts 30 degrees or more for 2 minutes or more or -12 degrees or less for 2 minutes or more.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알림 결정 단계는 심박, 생활환경온도, 호흡수, 산소포화도의 대소에 따른 본인 알림과, 미리 설정된 기준을 벗어난 범위의 심박, 생활환경온도, 호흡수, 산소포화도와 고도에 기초하여 연계 지인이나 연계 기관 알림을 결정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notification includes notification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heart rate, the living environment temperature, the respiratory rate, and the oxygen saturation, and the heart rate, the living environment temperature, the breathing rate, and the oxygen saturation of a range out of a preset standard. It may be made to determine a contact or a related agency notification based on and altitude.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사용자의 활력징후를 검출하여 소정 형식의 정보로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통신 모듈 및 GPS 모듈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 상기 웨어어블 장치에 구성되어 사용자의 활력징후를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 인자(data factor)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 및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데이터 인자에 기반하여 활력징후 이상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검출 수단은 생체신호 인자 및 사용자 주변환경 인자를 검출하는 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생체신호 인자는 심박, 호흡수, 산소포화도, 피부습도, 일일 보행량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주변환경 인자는 주변 온도 및 주변 고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주변환경 데이터에 기반한 개인맞춤형 활력징후정보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ystem for detecting a user's vital signs and providing information in a predetermined format, comprising: a wearable device including a communication module and a GPS module; A detecting means configured in the wearable device for detecting a data factor for determining a user's vital signs; And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abnormality in vital signs based on the data factor detected by the detection means, wherein the detection means includes a biosignal factor and a sensor that detects a user environment factor, and the biosignal Factors include heart rate, respiratory rate, oxygen saturation, skin humidity, and daily walking amount, and the user surrounding environment factor includes ambient temperature and ambient altitude, and personalized vital signs information based on biosignal/peripheral data. A delivery system is provided.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수단에서 검출된 데이터 인자 중 이상징후 데이터로서 불필요한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데이터 필터링부와, 상기 데이터 필터링부에서 필터링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활력징후에 이상 여부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이상징후 판단부와, 상기 이상징후 판단부에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알림 또는 연계 알림할지 결정하는 알림 결정부, 및 상기 알림 결정부에서 알림 결정된 결과를 통신 모듈을 통해 알림하는 알림 실행부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필터링부는 생체신호 인자 중 심박이 60미만 또는 130초 초과 시, 호흡수가 12미만 또는 20 초과 시, 산소포화도가 94미만 또는 100 초과 시의 데이터는 이상징후를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로서 제외 처리하고, 상기 사용자 주변환경 인자 중 주변 온도가 30℃이상 또는 -12℃ 이하일 때의 데이터는 이상징후를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로서 제외 처리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includes a data filtering unit that filters unnecessary data as abnormal symptom data among data factors detected by the detection means, and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in vital signs based on the data filtered by the data filtering unit. An abnormal symptom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or not is occurred, a notification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to notify a user or a linkage notification based on a determination result by the abnormal symptom determination unit, and a notification determination result from the notification determination unit through a communication module. It includes a notification execution unit, and the data filtering unit determines abnormal symptoms when the heart rate is less than 60 or more than 130 seconds, the respiratory rate is less than 12 or more than 20, and the oxygen saturation level is less than 94 or more than 100. Exclude processing as data for the user, and data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is 30°C or higher or -12°C or lower among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user may be excluded as data for determining abnormal symptoms.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있어서, 상기 이상징후 판단부에서 심박의 정상 여부 판단은, 호흡수와 산소포화도가 정상으로 판단된 조건에서, 심박이 130초과가 2분 미만이거나 심박이 60 미만이 2분 미만인 경우에 정상으로 판단하고, 심박이 130 초과가 2분 이상 지속되거나 심박이 60 미만이 2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 비정상으로 판단하고, 상기 이상징후 판단부에서 호흡수의 정상 여부 판단은, 심박과 산소포화도가 정상으로 판단된 조건에서, 호흡수가 20 초과가 2분 미만이거나 호흡수가 12 미만이 2분 미만인 경우, 또는 호흡수가 20 초과가 2분 이상 발생하고 미리 설정된 범위의 이동 속도로 이동하고 있을 때 정상으로 판단하고, 호흡수가 20 초과가 2분 이상 지속되거나 호흡수가 12 미만이 2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 비정상으로 판단하고, 상기 이상징후 판단부에서 산소포화도의 정상 여부 판단은, 심박과 호흡수가 정상으로 판단된 조건에서, 산소포화도가 100 초과가 2분 미만이거나 산소포화도가 94 미만이 2분 미만인 경우, 또는 산소포화도가 94미만이 2분 이상으로 발생하고 미리 설정된 범위의 이상 속도로 이동하고 있을 때 정상으로 판단하고, 산소포화도가 100 초과가 2분 이상 지속되거나 산소포화도가 94 미만이 2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 비정상으로 판단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이상징후 판단부에서 사용자 주변환경 인자에 따른 정상 여부 판단으로서, 주변온도가 30도 이상이 2분 미만이거나 주변온도가 -12도 이하가 2분 미만인 경우에 정상으로 판단하고, 주변온도가 30도 이상 2분 이상 지속되거나 주변온도가 -12도 이하 2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 비정상으로 판단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normality symptom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whether the heart rate is normal or not,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respiratory rate and oxygen saturation are determined to be normal, the heart rate is less than 2 minutes or the heart rate is less than 60 minutes. If the heart rate is less than 130, it is judged as normal, and if the heart rate exceeds 130 for more than 2 minutes, or if the heart rate lasts for more than 2 minutes, it is judged as abnormal, and the abnormal symptom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whether the respiratory rate is normal or not. Under conditions where the hyperoxygen saturation is determined to be normal, if the number of respirations exceeds 20 is less than 2 minutes, or the number of respirations is less than 12 minutes is less than 2 minutes, or the number of respirations exceeds 20 occurs for more than 2 minutes and moves at a movement speed within a preset range, If present, it is judged as normal, and if the respiratory rate exceeds 20 lasts for more than 2 minutes or if the respiratory rate lasts for more than 2 minutes, it is judged as abnormal.The abnormal symptom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whether the oxygen saturation is normal or not. Under conditions where the respiratory rate is determined to be normal, oxygen saturation greater than 100 is less than 2 minutes, oxygen saturation less than 94 is less than 2 minutes, or oxygen saturation less than 94 occurs for 2 minutes or more, and at an abnormal rate within a preset range. It is determined to be normal when moving, and is determined to be abnormal when an oxygen saturation exceeds 100 lasts for 2 minutes or more or an oxygen saturation exceeds 94 lasts for 2 minutes or more. If the ambient temperature is 30 degrees or more and less than 2 minutes or the ambient temperature is less than -12 degrees and less than 2 minutes, it is judged normal. If it lasts more than 2 minutes below -12 degrees, it can be determined as abnormal.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있어서, 상기 알림 결정부는 심박, 생활환경온도, 호흡수, 산소포화도의 대소에 따른 본인 알림과, 미리 설정된 기준을 벗어난 범위의 심박, 생활환경온도, 호흡수, 산소포화도와 고도에 근거하여 연계 지인이나 연계 기관 알림을 결정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tification determination unit may notify the user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heart rate, living environment temperature, respiration rate, and oxygen saturation, and the heart rate, living environment temperature, respiration rate, and oxygen saturation degree outside the preset criteria. Based on altitude, it may be made to determine a contact or notification of a linked organization.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된 생체신호/주변환경 데이터에 기반한 개인맞춤형 활력징후정보 제공 방법 및 개인맞춤형 생활활력징후 제공 시스템에 의하면, 활력징후를 판단하기 위한 판단 인자(factor)로서 개인 생체신호 및 주변환경의 데이터를 연계시켜 활력징후를 실시간 신뢰성 있고 정확하고 신속하게 분석 판단하고, 활력징후 이상 판단 시 사용자 본인에게 알리며, 응급 시에는 연계 지인과 응급구조기관에 위치기반정보와 함께 알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vital signs information and the system for providing personalized vital signs based on personalized bio-signals/peripheral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ersonal bio-signals and surrounding environments are used as a judgment factor for determining vital signs. It has the effect of analyzing and determining vital signs accurately and quickly in real time by linking the data in real time, notifying the user when determining abnormalities of vital signs, and notifying the connected acquaintances and emergency rescue organizations with location-based information in case of an emergency. have.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된 생체신호/주변환경 데이터에 기반한 개인맞춤형 활력징후정보 제공 과정을 나나태는 플로차트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된 생체신호/주변환경 데이터에 기반한 개인맞춤형 활력징후정보 제공 방법에 포함되는 알림 결정 단계에서 각각 심박, 생활환경온도, 호흡수, 산소포화도에 따른 본인 알림 과정의 예시를 나타내는 과정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된 생체신호/주변환경 데이터에 기반한 개인맞춤형 활력징후정보 제공 방법에 포함되는 알림 결정 단계를 통해 연계 지인 또는 연계 기관으로 알림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된 생체신호/주변환경 데이터에 기반한 개인맞춤형 활력징후정보 제공 방법에 포함되는 알림 결정 단계를 통해 연계 지인 또는 연계 기관으로의 알림에서 특정 야외 활동에 적용되는 구현 목록과 시나리오와 상황 알림 및 알림 메세지의 실시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된 생체신호/주변환경 데이터에 기반한 개인맞춤형 활력징후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된 생체신호/주변환경 데이터에 기반한 개인맞춤형 활력징후정보 제공 시스템을 구성하는 제어부의 구성을 블록화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된 생체신호/주변환경 데이터에 기반한 개인맞춤형 활력징후정보 제공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는 사용자 단말장치(스마트 폰)에 설치된 연동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체신호 정보가 표시되는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된 생체신호/주변환경 데이터에 기반한 개인맞춤형 활력징후정보 제공 시스템을 구성하는 사용자 단말장치(스마트 폰)에 설치된 연동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알림 메세지의 예시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1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 of providing personalized vital sign information based on personalized biosignal/peripheral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to 5 are individual notifications according to heart rate, living environment temperature, respiratory rate, and oxygen saturation in the notification determination step included in the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vital signs information based on personalized bio-signal/peripheral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rocess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process.
6 is a view for explaining notification to a related acquaintance or a related organization through a notification determining step included in the method of providing personalized vital sign information based on personalized bio-signal/peripheral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to 13 are applied to a specific outdoor activity in a notification to a related acquaintance or a related organization through a notification determination step included in the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vital sign information based on personalized bio-signal/peripheral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se are diagrams showing examples of implementation lists, scenarios, situation notifications, and notification messages.
14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providing personalized vital sign information based on personalized biosignal/peripheral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rol unit constituting a system for providing personalized vital sign information based on personalized bio-signal/peripheral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6 shows examples of displaying biosignal information through a linked application installed in a user terminal device (smart phone) that can be included in a personalized vital sig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based on personalized biosignal/peripheral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FIG. 17 is a diagram showing examples of notification messages through a linked application installed in a user terminal device (smart phone) constituting a system for providing personalized vital sign information based on personalized bio-signals/peripheral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Additional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r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the examples described below and shown in the drawings are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as including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the middl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erms such as "... unit", "... unit", and "...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is hardware, software, or hardware and It can be implemented as a combination of software.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개인화된 생체신호/주변환경 데이터에 기반한 개인맞춤형 활력징후정보 제공 방법 및 개인맞춤형 생활활력징후 제공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vital signs information and a system for providing personalized vital signs based on personalized bio-signals/peripheral data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된 생체신호/주변환경 데이터에 기반한 개인맞춤형 활력징후정보 제공 방법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된 생체신호/주변환경 데이터에 기반한 개인맞춤형 활력징후정보 제공 과정을 나나태는 플로차트이다.First, a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vital sign information based on personalized bio-signal/peripheral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1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 of providing personalized vital sign information based on personalized biosignal/peripheral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된 생체신호/주변환경 데이터에 기반한 개인맞춤형 활력징후정보 제공 방법은, 사용자의 (생활)활력징후를 검출하여 소정 형식의 정보로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착용하는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활력징후를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 인자(data factor)를 검출하는 데이터인자 검출 단계(S100); 상기 데이터인자 검출 단계(S100)에서 검출된 데이터 인자 중 이상징후 데이터로서 불필요한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데이터 필터링 단계(S200); 상기 데이터 필터링 단계(S200)에서 필터링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활력징후에 이상 여부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이상징후 판단 단계(S300); 및 상기 이상징후 판단 단계(S300)에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알림 또는 연계 알림할지 결정하는 알림 결정 단계(S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vital sign information based on personalized bio-signal/peripheral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detecting a user's (life) vital sign and providing information in a predetermined format, as shown in FIG. , A data factor detection step (S100) of detecting a data factor for determining vital signs from a wearable device worn by a user; A data filtering step (S200) of filtering unnecessary data as abnormal symptom data among the data factors detected in the data factor detection step (S100); An abnormal symptom determination step (S300) of determining whether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vital sign based on the data filtered in the data filtering step (S200); And a notification determining step (S400) of determining whether to notify a user or a linkage notification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in the abnormal symptom determination step (S300).

상기 데이터인자 검출 단계(S100)에서 검출되는 데이터 인자는 생체신호 인자 및 사용자 주변환경 인자를 포함한다. 상기 생체신호 인자로는 심박, 호흡수, 산소포화도, 피부습도, 일일 보행량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주변환경 인자는 주변 온도 및 주변 고도를 포함한다.The data factor detected in the data factor detection step S100 includes a biosignal factor and a user environment factor. The biosignal factors include heart rate, respiratory rate, oxygen saturation, skin humidity, and daily walking amount, and the environmental factors surrounding the user include ambient temperature and ambient altitude.

상기 생체신호 인자 및 사용자 주변환경 인자는 해당 공지 기술의 센싱모듈(들)에 의해 얻을 수 있다.The biosignal factor and the user's surrounding environment factor can be obtained by a sensing module(s) of a corresponding known technology.

예를 들면, 상기 생체신호 인자의 심박과 산소포화도 및 호흡수는 웨어러블 기기에 구성되는 센서(예를 들면, 광용적맥파(photo-plethysmography, PPG) 센서)를 통해 검출될 수 있고, 피부습도(피부 수분)은 웨어러블 기기에 구성되는 피부전기저항습도센서(예를 들면, 저항에 따라 출력이 선형으로 변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피부의 수분 및 땀성분에 따라 인체 저항을 검출하는 센서)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또한, 일일 보행량은 가속도 센서를 통해 수집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보행 시 일어나는 Z축방향의 주기적 특성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Max-Min의 평균으로 보행량(Step 수)가 구해진다.For example, the heart rate, oxygen saturation, and respiration rate of the biosignal factor may be detected through a sensor configured in a wearable device (for example, a photo-plethysmography (PPG) sensor), and skin humidity ( Skin moisture) can be detected by a skin electrical resistance humidity sensor configured in a wearable device (e.g., a sensor that detects human body resistance according to the moisture and sweat component of the skin using the characteristic of linearly changing output according to resistance). I can. In addition, the daily walking amount is calculated as the average of Max-Min of the data by using the periodic characteristics in the Z-axis direction that occur during walking based on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acceleration sensor.

또한, 상기 생체신호 인자로서 수면 효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면 효율은 모센센서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평균 수면 사이클을 90분으로 하고, 1일 5사이클, 7.5시간 수면을 적정한 수면 기준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REM 수면까지 얕은 수면이라 불리는 Stage 1, Stage 2를 거쳐 Stage3, Stage4의 신체회복 수면 그리고 다시 Stage 2 이후 REM 수면에 들게 된다. 수면 사이클 내에서 신체의 움직임이 있으면 뇌는 다시 REM 수면에 들기 위하여 처음 Stage 1부터 반복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수면에 영향을 주는 요소인 신체 움직임을 모션센서로부터 감지하여 수면 효율은 아래와 같이 식을 통해 얻어진다.In addition, sleep efficiency may be further included as the biosignal factor. Sleep efficiency can be obtained by Mosen sensor. Specifically, the average sleep cycle is set to 90 minutes, and 5 cycles per day and 7.5 hours of sleep are set as the standard for proper sleep. In general, REM sleep goes through Stage 1 and Stage 2, which are called shallow sleep, to recover the body at Stage 3 and Stage 4, and then goes to REM sleep after Stage 2. If there is movement of the body within the sleep cycle, the brain goes through the process of repeating from Stage 1 to resume REM sleep. Body movement, an element that affects sleep, is detected from the motion sensor, and sleep efficiency is obtained through the following equation.

Sleep Efficiency(수면 효율) = Total Time Asleep(총 램수면시간) /Total Sleep Time(총 수면시간) Sleep Efficiency = Total Time Asleep (Total RAM Sleep Time) / Total Sleep Time (Total Sleep Time)

계속해서, 상기 사용자 주변환경 인자의 주변 온도와 주변 고도는 각각 웨어러블 기기에 구성되는 온도 센서와 고도 센서(또는 기압계 센서)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Subsequently, the ambient temperature and the ambient altitude of the user surrounding environment factor may be detected by a temperature sensor and an altitude sensor (or barometer sensor) configured in the wearable device, respectively.

다음으로, 상기 데이터 필터링 단계(S200)는 생체신호 인자 중 심박이 60미만 또는 130초 초과 시, 호흡수가 12미만 또는 20 초과 시, 산소포화도가 94미만 또는 100 초과 시의 데이터는 예외 사항으로 처리, 즉 이상징후를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로서 제외 처리하고, 상기 사용자 주변환경 인자 중 주변 온도가 30℃이상 또는 -12℃ 이하일 때의 데이터는 예외 사항으로 처리, 즉 이상징후를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로서 제외 처리하는 것을 포함한다.Next, in the data filtering step (S200), when the heart rate is less than 60 or more than 130 seconds, the respiratory rate is less than 12 or more than 20, and the oxygen saturation level is less than 94 or more than 100, the data is treated as an exception. In other words, it is excluded as data to determine abnormal symptoms, and the data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is 30℃ or higher or -12℃ or lower among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user is treated as an exception, that is, excluded as data for determining abnormal symptoms. Includes processing.

다음으로, 상기 이상징후 판단 단계(S300)는 상기 필터링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체신호 인자에 따른 정상 여부 및 사용자 주변환경 인자에 따른 정상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Next, in the abnormal symptom determination step (S300), it is determined whether it is normal according to a biosignal factor and whether it is normal according to a user's surrounding environment factor based on the filtered data.

먼저, 생체신호 인자에 따른 정상 여부는, 심박과 호흡수와 산소포화도의 정상 여부를 판단한다.First, whether or not the heart rate, respiration rate, and oxygen saturation are normal according to the biosignal factor is determined.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심박의 정상 여부 판단은, 아래에서 설명되는 호흡수와 산소포화도가 정상으로 판단된 조건에서, 심박측정 시작 후 심박이 130초과가 2분 미만이거나 심박이 60 미만이 2분 미만인 경우에 정상으로 판단하고, 심박이 130 초과가 2분 이상 지속되거나 심박이 60 미만이 2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 비정상으로 판단하게 된다.Specifically,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the heart rate is normal in the present invention is,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respiratory rate and oxygen saturation as described below are determined to be normal, the heart rate exceeding 130 is less than 2 minutes or the heart rate is less than 60 2 minutes after the start of heart rate measurement. If it is less than, it is determined as normal, and if the heart rate exceeds 130 lasts for more than 2 minutes, or if the heart rate lasts for more than 2 minutes, it is determined as abnormal.

또한, 호흡수의 정상 여부 판단은, 심박과 산소포화도가 정상으로 판단된 조건에서, 호흡수 측정 시작 후 호흡수가 20 초과가 2분 미만이거나 호흡수가 12 미만이 2분 미만인 경우, 또는 호흡수가 20 초과가 2분 이상 발생하고 움직임이 달리기 이상의 속도로 이동하고 있을 때 정상으로 판단하고, 호흡수 측정 시작 후 호흡수가 20 초과가 2분 이상 지속되거나 호흡수가 12 미만이 2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 비정상으로 판단하게 된다.In addition,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the respiratory rate is normal is when the heart rate and oxygen saturation are determined to be normal, the respiratory rate is less than 2 minutes after the start of the respiratory rate measurement, or the respiratory rate is less than 2 minutes, or the respiratory rate is 20. It is judged as normal when the excess occurs for 2 minutes or more and the movement is moving at a speed greater than running, and if the respiratory rate exceeds 20 lasts for more than 2 minutes or the respiratory rate is less than 12 for 2 minutes or more after the start of the respiratory rate measurement. It is judged as.

또한, 산소포화도의 정상 여부 판단은, 산소포화도가 100 초과가 2분 미만이거나 산소포화도가 94 미만이 2분 미만인 경우, 또는 산소포화도가 94미만이 2분 이상으로 발생하고 움직임이 달리기 이상 속도로 이동(미리 설정된 범위의 이상 속도로 이동)하고 있을 때 정상으로 판단하고, 산소포화도가 100 초과가 2분 이상 지속되거나 산소포화도가 94 미만이 2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 비정상으로 판단하게 된다.In addition,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the oxygen saturation is normal is when the oxygen saturation is greater than 100 and less than 2 minutes, or the oxygen saturation is less than 94 and less than 2 minutes, or when the oxygen saturation is less than 94 and is more than 2 minutes and the movement is faster than running. When moving (moving at an abnormal speed within a preset range), it is determined as normal, and when an oxygen saturation exceeds 100 lasts for 2 minutes or more or an oxygen saturation exceeds 94 lasts for 2 minutes or more, it is determined as abnormal.

다음으로, 사용자 주변환경 인자에 따른 정상 여부 판단으로서, 주변온도 측정 시작 후 주변온도가 30도 이상이 2분 미만이거나 주변온도가 -12도 이하가 2분 미만인 경우에 정상으로 판단하고, 주변온도 측정 시작 후 주변온도가 30도 이상 2분 이상 지속되거나 주변온도가 -12도 이하 2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 비정상으로 판단하게 된다.Next, as a determination of whether it is normal according to the user's surrounding environment factor, it is determined as normal if the ambient temperature is less than 2 minutes or the ambient temperature is less than 2 minutes after the measurement of the ambient temperature starts. If the ambient temperature lasts 30 degrees or more for 2 minutes or more after starting the measurement, or the ambient temperature continues for 2 minutes or more, it is judged as abnormal.

다음으로, 상기 이상징후 판단 단계(S300)에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알림 또는 연계 알림할지 결정하는 알림 결정 단계(S400)은, 사용자 본인 알림과 연계 지인 또는 기관 알림을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된 생체신호/주변환경 데이터에 기반한 개인맞춤형 활력징후정보 제공 방법에 포함되는 알림 결정 단계에서 각각 심박, 생활환경온도, 호흡수, 산소포화도에 따른 본인 알림 과정의 예시를 나타내는 과정도이다.Next, the notification determination step (S400) of determining whether to notify the user or linkage notification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in the abnormal symptom determination step (S300) includes a notification of the user himself/herself and a related acquaintance or organization. 2 to 5 are individual notifications according to heart rate, living environment temperature, respiratory rate, and oxygen saturation in the notification determination step included in the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vital signs information based on personalized bio-signal/peripheral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rocess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process.

상기 알림 결정 단계(S400)에서 사용자 본인 알림은 기본적으로 상기한 이상징후 판단 단계(S300)에서 각각 심박과 생활환경온도와 호흡수 및 산소포화도에서 비정상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웨어러블 기기의 디스플레이부 또는 웨어러블 기기와 근거리 통신하여 연동되는 연동 애플리케이션 마련의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장치로 각각 심박의 높고 낮음과 휴식 메세지, 생활환경 온도이 낮고(추움) 높음(더움)과 휴식 메세지, 호흡수의 많고 적음과 휴식 메세지, 산소포화도의 많고 적음과 의심 메세지 등을 표시하게 된다.In the notification determining step (S400), the user's own notification is basically determined as abnormal in heart rate, living environment temperature, respiratory rate, and oxygen saturation in the above-described abnormal symptom determination step (S300), the display unit of the wearable device or the wearable. This is a user terminal device such as a smartphone with an interlocking application that is linked by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the device. Each heart rate is high and low and a rest message, the living environment temperature is low (cold) and high (hot) and a rest message, and the number of breaths is high and low and rest. A message, high or low oxygen saturation and suspicious messages will be displayed.

계속해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된 생체신호/주변환경 데이터에 기반한 개인맞춤형 활력징후정보 제공 방법에 포함되는 알림 결정 단계를 통해 연계 지인 또는 연계 기관으로 알림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된 생체신호/주변환경 데이터에 기반한 개인맞춤형 활력징후정보 제공 방법에 포함되는 알림 결정 단계를 통해 연계 지인 또는 연계 기관으로의 알림에서 특정 야외 활동에 적용되는 구현 목록과 시나리오와 상황 알림 및 알림 메세지의 실시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Subsequently, FIG.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notification to a related acquaintance or a related organization through a notification determining step included in the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vital sign information based on personalized bio-signal/peripheral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to 13 are applied to a specific outdoor activity in a notification to a related acquaintance or a related organization through a notification determination step included in the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vital sign information based on personalized bio-signal/peripheral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se are diagrams showing examples of implementation lists, scenarios, situation notifications, and notification messages.

상기 알림 결정 단계(S400)에서 연계 지인 또는 기관 알림은, 모션 센서와 중력 가속도 변화값 그리고 심박, 호흡수, 산소포화도 등의 판단 결과, 응급상황이나 위급상황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연계 지인이나 연계 기관인 119로 구조 요청 문자 및/또는 통화를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In the notification determining step (S400), the related acquaintance or organization notification i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motion sensor and the gravitational acceleration change value, heart rate, respiratory rate, oxygen saturation, etc.,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it is an emergency or an emergency situation, the related acquaintance or association Rescue request text and/or calls to the agency 119 can be automatically execut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된 생체신호/주변환경 데이터에 기반한 개인맞춤형 활력징후정보 제공 시스템에 대하여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된 생체신호/주변환경 데이터에 기반한 개인맞춤형 활력징후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된 생체신호/주변환경 데이터에 기반한 개인맞춤형 활력징후정보 제공 시스템을 구성하는 제어부의 구성을 블록화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된 생체신호/주변환경 데이터에 기반한 개인맞춤형 활력징후정보 제공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는 사용자 단말장치(스마트 폰)에 설치된 연동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체신호 정보가 표시되는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된 생체신호/주변환경 데이터에 기반한 개인맞춤형 활력징후정보 제공 시스템을 구성하는 사용자 단말장치(스마트 폰)에 설치된 연동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알림 메세지의 예시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Meanwhile, a system for providing personalized vital sign information based on personalized biosignal/peripheral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4 to 17. 14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providing personalized vital sign information based on personalized bio-signal/peripheral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5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ersonalized bio-signal/peripheral data-base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constituting the personalized vital sig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FIG. 16 is a user terminal that can be included in the personalized vital sig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based on personalized bio-signal/peripheral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showing examples in which biosignal information is displayed through a linked application installed on a device (smart phone), and FIG. 1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for providing personalized vital sign information based on personalized biosignal/peripheral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se are diagrams showing examples of notification messages through a linked application installed in a user terminal device (smart phone).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된 생체신호/주변환경 데이터에 기반한 개인맞춤형 활력징후정보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의 (생활)활력징후를 검출하여 소정 형식의 정보로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도 14 내지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 모듈(110) 및 GPS 모듈(120)을 구비하는 웨어러블 장치(100); 상기 웨어어블 장치(100)에 구성되어 사용자의 활력징후를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 인자(data factor)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 및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데이터 인자에 기반하여 활력징후 이상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제어부(300);를 포함한다.The system for providing personalized vital sign information based on personalized bio-signal/peripheral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for detecting a user's (life) vital sign and providing information in a predetermined format, as shown in FIGS. 14 to 17. As shown, a wearable device 100 having a communication module 110 and a GPS module 120; A detection means configured in the wearable device 100 for detecting a data factor for determining a user's vital signs; And a control unit 300 for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abnormality in vital signs based on the data factor detected by the detection means.

상기 웨어러블 장치(100)는 인체에 착용할 수 있고, 관련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며, 밴드 형식 또는 워치 형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wearable device 100 may be worn on the human body, includes related components, may be configured in a band type or a watch type,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be worn on a user's body.

다음으로, 상기 검출 수단은 생체신호 인자 및 사용자 주변환경 인자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생체신호 인자로는 심박, 호흡수, 산소포화도, 피부습도, 일일 보행량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주변환경 인자는 주변 온도 및 주변 고도를 포함한다. 특히, 주변 고도를 주변환경 인자로서 포함함으로써 생체신호 인자와 연계하여 머리의 심한 움직임인지 낙상인지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게 된다.Next, the detection means may be composed of sensors capable of detecting a biosignal factor and a user surrounding environment factor. The biosignal factors include heart rate, respiratory rate, oxygen saturation, skin humidity, and daily walking amount, and the environmental factors surrounding the user include ambient temperature and ambient altitude. In particular, by including the surrounding altitude as a factor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the head moves severely or falls in connection with the biosignal factor.

구체적으로,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웨어러블 장치(100)에 구성되어 생체신호 인자의 심박과 산소포화도 및 호흡수를 검출하는 광용적맥파(photo-plethysmography, PPG) 센서(210)와, 피부습도(피부 수분)를 검출하기 위한 피부전기저항습도센서(예를 들면, 저항에 따라 출력이 선형으로 변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피부의 수분 및 땀성분에 따라 인체 저항을 검출하는 센서)(220), 보행 시 일어나는 Z축방향의 주기적 특성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Max-Min의 평균으로 보행량(Step 수)을 검출하는 가속도 센서(230), 및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240) 등을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detection means is a photo-plethysmography (PPG) sensor 210 configured in the wearable device 100 to detect the heart rate, oxygen saturation, and respiratory rate of the biosignal factor, and skin humidity (skin Skin electrical resistance humidity sensor to detect moisture (e.g., a sensor that detects human resistance according to the moisture and sweat component of the skin by using the characteristic that the output changes linearly depending on the resistance) 220, which occurs when walking And an acceleration sensor 230 that detects the amount of walking (number of steps) as an average of Max-Min of data using periodic characteristics in the Z-axis direction, and a motion sensor or gyro sensor 240 that detects motion.

또한, 상기 생체인자 인자로서 상기 모션 인자(240)를 통해 생체신호 인자로서 수면 효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면 효율은 평균 수면 사이클을 90분으로 하고, 1일 5사이클, 7.5시간 수면을 적정한 수면 기준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REM 수면까지 얕은 수면이라 불리는 Stage 1, Stage 2를 거쳐 Stage3, Stage4의 신체회복 수면 그리고 다시 Stage 2 이후 REM 수면에 들게 된다. 수면 사이클 내에서 신체의 움직임이 있으면 뇌는 다시 REM 수면에 들기 위하여 처음 Stage 1부터 반복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수면에 영향을 주는 요소인 신체 움직임을 모션센서로부터 감지하여 수면 효율은 아래와 같이 식을 통해 얻어진다.In addition, sleep efficiency may be further included as a biosignal factor through the motion factor 240 as the biofactor factor. Specifically, sleep efficiency is based on an average sleep cycle of 90 minutes, 5 cycles per day, and 7.5 hours of sleep as a standard for proper sleep. In general, REM sleep goes through Stage 1 and Stage 2, which are called shallow sleep, to recover the body at Stage 3 and Stage 4, and then goes to REM sleep after Stage 2. If there is movement of the body within the sleep cycle, the brain goes through a process that repeats from Stage 1 to resume REM sleep. Body movement, an element that affects sleep, is detected from the motion sensor, and sleep efficiency is obtained through the following equation.

Sleep Efficiency(수면 효율) = Total Time Asleep(총 램수면시간) /Total Sleep Time(총 수면시간) Sleep Efficiency = Total Time Asleep (Total RAM Sleep Time) / Total Sleep Time (Total Sleep Time)

계속해서, 상기 검출수단은 사용자 주변환경 인자로서 주변 온도와 주변 고도를 각각 검출하는 온도 센서(250)와 고도 센서(또는 기압계 센서)(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Subsequently, the detection means may further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250 and an altitude sensor (or a barometer sensor) 260 that respectively detect the ambient temperature and the ambient altitude as a user surrounding environment factor.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검출수단에서 검출된 데이터 인자 중 이상징후 데이터로서 불필요한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데이터 필터링부(310)와, 상기 데이터 필터링부(310)에서 필터링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활력징후에 이상 여부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이상징후 판단부(320)와, 상기 이상징후 판단부(320)에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알림 또는 연계 알림할지 결정하는 알림 결정부(330)와, 상기 알림 결정부(330)에서 알림 결정된 결과를 통신 모듈(110)을 통해 알림하는 알림 실행부(340)와, 상기 검출수단에서 검출된 데이터를 웨어러블 장치(100) 또는 연동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장치(스마트 폰)(400)로 측정 정보를 측정정보 연동부(350)를 포함한다.Next, the control unit 300 includes a data filtering unit 310 that filters unnecessary data as abnormal symptom data among the data factors detected by the detection means, and vitality based on the data filtered by the data filtering unit 310. An abnormal symptom determination unit 320 that determines whether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a symptom, a notification determination unit 330 that determines whether to notify a user or a linkage notification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abnormal symptom determination unit 320, and the notification A notification execution unit 340 for notifying the determined result of the notification by the determination unit 33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10, and the wearable device 100 or a user terminal device (smart application) installed with the data detected by the detection means. The measurement information to the phone) 400 includes a measurement information linking unit 350.

상기 데이터 필터링부(310)는 생체신호 인자 중 심박이 60미만 또는 130초 초과 시, 호흡수가 12미만 또는 20 초과 시, 산소포화도가 94미만 또는 100 초과 시의 데이터는 예외 사항으로 처리, 즉 이상징후를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로서 제외 처리하고, 상기 사용자 주변환경 인자 중 주변 온도가 30℃이상 또는 -12℃ 이하일 때의 데이터는 예외 사항으로 처리, 즉 이상징후를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로서 제외 처리하도록 이루어진다.The data filtering unit 310 treats the data of the biosignal factor when the heart rate is less than 60 or exceeds 130 seconds, the respiratory rate is less than 12 or exceeds 20, and the oxygen saturation is less than 94 or exceeds 100 as exceptions, that is, abnormalities. Exclusion is processed as data for determining signs, and data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is 30°C or more or -12°C or less among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user is treated as an exception, that is, excluded as data to determine abnormal signs. .

상기 이상징후 판단부(320)는 상기 필터링부(310)에서 필터링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체신호 인자에 따른 정상 여부 및 사용자 주변환경 인자에 따른 정상 여부를 판단하도록 이루어진다.The abnormal symptom determination unit 320 is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it is normal according to a biosignal factor and whether it is normal according to a user's surrounding environment factor, based on the data filtered by the filtering unit 310.

상기 이상징후 판단부(320)에서 생체신호 인자에 따른 정상 여부는, 심박과 호흡수와 산소포화도의 정상 여부를 판단한다.The abnormal symptom determination unit 320 determines whether the heart rate, respiration rate, and oxygen saturation are normal according to the biological signal factor.

구체적으로, 상기 이상징후 판단부(320)에서 심박의 정상 여부 판단은, 아래에서 설명되는 호흡수와 산소포화도가 정상으로 판단된 조건에서, 심박측정 시작 후 심박이 130초과가 2분 미만이거나 심박이 60 미만이 2분 미만인 경우에 정상으로 판단하고, 심박이 130 초과가 2분 이상 지속되거나 심박이 60 미만이 2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 비정상으로 판단하게 된다.Specifically, the abnormal symptom determination unit 320 determines whether the heart rate is normal or not,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respiratory rate and oxygen saturation as described below are determined to be normal, the heart rate exceeds 130 and is less than 2 minutes after the heart rate measurement starts. If less than 60 is less than 2 minutes, it is determined as normal, and if the heart rate is more than 130 and lasts more than 2 minutes or if the heart rate is less than 60, it is determined as abnormal.

또한, 상기 이상징후 판단부(320)에서 호흡수의 정상 여부 판단은, 심박과 산소포화도가 정상으로 판단된 조건에서, 호흡수 측정 시작 후 호흡수가 20 초과가 2분 미만이거나 호흡수가 12 미만이 2분 미만인 경우, 또는 호흡수가 20 초과가 2분 이상 발생하고 움직임이 달리기 이상의 속도로 이동하고 있을 때 정상으로 판단하고, 호흡수 측정 시작 후 호흡수가 20 초과가 2분 이상 지속되거나 호흡수가 12 미만이 2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 비정상으로 판단하게 된다.In addition, the abnormal symptom determination unit 32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respiratory rate is normal,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heart rate and oxygen saturation are determined to be normal, the respiratory rate is greater than 20 or less than 2 minutes or less than 12 after the start of the respiratory rate measurement. If the respiration rate is less than 2 minutes, or when the number of respirations exceeds 20 occurs for 2 minutes or more and the movement is moving at a speed of more than running, it is judged as normal, and the respiration rate exceeds 20 lasts for more than 2 minutes or the number of respirations is less than 12 If this lasts more than 2 minutes, it is judged as abnormal.

또한, 상기 이상징후 판단부(320)에서 산소포화도의 정상 여부 판단은, 심박과 호흡수가 정상으로 판단된 조건에서, 산소포화도가 100 초과가 2분 미만이거나 산소포화도가 94 미만이 2분 미만인 경우, 또는 산소포화도가 94미만이 2분 이상으로 발생하고 움직임이 달리기 이상 속도로 이동(미리 설정된 범위의 이상 속도로 이동)하고 있을 때 정상으로 판단하고, 산소포화도가 100 초과가 2분 이상 지속되거나 산소포화도가 94 미만이 2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 비정상으로 판단하게 된다.In addition, the abnormal symptom determination unit 320 determines whether the oxygen saturation is normal, when the oxygen saturation exceeds 100 is less than 2 minutes, or the oxygen saturation is less than 94 is less than 2 minutes under conditions in which the heart rate and respiratory rate are determined to be normal. , Or when the oxygen saturation is less than 94 for 2 minutes or more and the movement is moving at an abnormal speed of running (moving at an abnormal speed within a preset range), it is judged as normal, and an oxygen saturation exceeding 100 lasts for 2 minutes or more. If the oxygen saturation level of less than 94 lasts more than 2 minutes, it is judged as abnormal.

다음으로, 상기 이상징후 판단부(320)에서 사용자 주변환경 인자에 따른 정상 여부 판단으로서, 주변온도 측정 시작 후 주변온도가 30도 이상이 2분 미만이거나 주변온도가 -12도 이하가 2분 미만인 경우에 정상으로 판단하고, 주변온도 측정 시작 후 주변온도가 30도 이상 2분 이상 지속되거나 주변온도가 -12도 이하 2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 비정상으로 판단하게 된다.Next, as the abnormal symptom determination unit 320 determines whether or not it is normal according to the user's surrounding environment factor,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is 30 degrees or more and less than 2 minutes or the ambient temperature is -12 degrees or less is less than 2 minutes In this case, it is determined as normal, and if the ambient temperature lasts 30 degrees or more for 2 minutes or more or -12 degrees or less for 2 minutes or more after the start of measuring the ambient temperature, it is judged as abnormal.

다음으로, 상기 이상징후 판단부(320)에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알림 또는 연계 알림할지 결정하는 알림 결정부(330)는, 사용자 본인 알림 및 연계 지인 또는 연계 기관 알림을 결정하도록 이루어진다.Next, the notification determination unit 330, which determines whether to notify a user or a connection notification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abnormal symptom determination unit 320, is configured to determine a notification of the user himself/herself and a notification of a related acquaintance or a related organization.

상기 알림 결정부(330)에서 사용자 본인 알림은 기본적으로 상기한 이상징후 판단부(320)에서 각각 심박과 생활환경온도와 호흡수 및 산소포화도에서 비정상으로 판단되고, 상기 알림 실행부(340)는 상기 알림 결정부(330)에서 결정된 결과를 실행하여, 측정정보 연동부(350)를 통해 웨어러블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 또는 통신모듈(110)을 통해 웨어러블 장치(100)와 근거리 통신하여 연동되는 연동 애플리케이션 마련의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장치(400)로 각각 심박의 높고 낮음과 휴식 메세지, 생활환경 온도이 낮고(추움) 높음(더움)과 휴식 메세지, 호흡수의 많고 적음과 휴식 메세지, 산소포화도의 많고 적음과 의심 메세지 등을 표시하게 된다.In the notification determination unit 330, the user's own notification is basically determined as abnormal in the heart rate, the living environment temperature, the respiratory rate, and the oxygen saturation in the abnormal symptom determination unit 320, respectively, and the notification execution unit 340 The result determined by the notification determination unit 330 is executed, and the display unit of the wearable device 100 or the communication module 110 through the measurement information linking unit 350 communicates with the wearable device 100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User terminal device 400, such as a smartphone with an interlocking application, each with high and low heart rate and rest message, living environment temperature is low (cold) and high (hot) and rest message, high and low respiratory rate and rest message, oxygen saturation There are many, less, and suspicious messages displayed.

상기 알림 실행부(340)는 상기 이상징후 판단부(320)에서 모션 센서(240)와 중력 가속도 변화값 그리고 심박, 호흡수, 산소포화도 등의 판단 결과에 따라, 응급상황이나 위급상황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연계 지인이나 연계 기관인 119로 구조 요청 문자 및/또는 통화를 자동으로 실행하는 연계 지인 또는 연계 기관 알림을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The notification execution unit 340 determines that it is an emergency or an emergency situation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motion sensor 240 and the gravitational acceleration change value and the heart rate, respiration rate, and oxygen saturation by the abnormal symptom determination unit 320 If so, it is possible to notify the related contact or the related agency that automatically executes a rescue request text and/or call to the related contact or the related organization, 119.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된 생체신호/주변환경 데이터에 기반한 개인맞춤형 활력징후정보 제공 방법 및 개인맞춤형 생활활력징후 제공 시스템에 의하면, 활력징후를 판단하기 위한 판단 인자(factor)로서 개인 생체신호 및 주변환경의 데이터를 연계시켜 활력징후를 실시간 분석 판단하게 되고, 검출된 데이터에서 이상징후 데이터로서 활용할 필요가 없는 데이터를 필터링하여 신속하면서도 신뢰성 있게 분석 판단할 수 있고, 활력징후 이상 판단 시 사용자 본인에게 알리며, 응급 시에는 연계 지인과 응급구조기관에 위치기반정보와 함께 알림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vital signs information and the system for providing personalized vital signs based on personalized bio-signals/peripheral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individual as a judgment factor for determining vital signs Vital signs can be analyzed and determined in real time by linking biometric signals and data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data that do not need to be used as abnormal symptom data can be filtered from the detected data to quickly and reliably analyze and determine. It notifies the user himself, and in case of an emergency, it has the advantage of notifying the connected acquaintances and emergency rescue organizations with location-based information.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merely illustrative of some of the technical idea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it is obvious that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but to explain the technical idea, and thus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Modification examples and specific embodiments that can be easily inferr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웨어리블 장치
110: 통신 모듈
120: GPS 모듈
210: 광용적맥파 센서
220: 전기저항습도 센서
230: 가속도 센서
240: 모션 센서(자이로 센서)
250: 온도 센서
260: 고도 센서(기압계 센서)
300: 제어부
310: 데이터 필터링부
320: 이상징후 판단부
330: 알림 결정부
340: 알림 실행부
350: 측정정보 연동부
S100: 데이터인자 검출 단계
S200: 데이터 필터링 단계
S300: 이상징후 판단 단계
S400: 알림 결정 단계
100: wearable device
110: communication module
120: GPS module
210: optical volumetric pulse wave sensor
220: electric resistance humidity sensor
230: acceleration sensor
240: motion sensor (gyro sensor)
250: temperature sensor
260: altitude sensor (barometer sensor)
300: control unit
310: data filtering unit
320: abnormal symptom determination unit
330: notification decision unit
340: notification execution unit
350: measurement information linkage
S100: Data factor detection step
S200: Data filtering step
S300: Step of judging abnormal symptoms
S400: Notification decision steps

Claims (9)

사용자의 활력징후를 검출하여 소정 형식의 정보로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활력징후를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 인자(data factor)를 검출하는 데이터인자 검출 단계;
상기 검출된 데이터 인자 중 이상징후 데이터로서 불필요한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데이터 필터링 단계;
상기 필터링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활력징후에 이상 여부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이상징후 판단 단계; 및
상기 이상징후 판단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알림을 할지 또는 연계 알림을 할지 결정하는 알림 결정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인자 검출 단계는 데이터 인자로서 생체신호 인자 및 사용자 주변환경 인자를 포함하고,
상기 생체신호 인자로는 심박, 호흡수, 산소포화도, 피부습도, 일일 보행량, 및 수면 효율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주변환경 인자는 주변 온도 및 주변 고도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필터링 단계는 생체신호 인자 중 심박이 60미만 또는 130초 초과 시, 호흡수가 12미만 또는 20 초과 시, 산소포화도가 94미만 또는 100 초과 시의 데이터는 이상징후를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로서 제외 처리하며,
상기 사용자 주변환경 인자 중 주변 온도가 30℃이상 또는 -12℃ 이하일 때의 데이터는 이상징후를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로서 제외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주변환경 데이터에 기반한 개인맞춤형 활력징후정보 제공 방법.
As a method for detecting a user's vital signs and providing information in a predetermined format,
A data factor detection step of detecting a data factor for determining vital signs;
A data filtering step of filtering unnecessary data as abnormal symptom data among the detected data factors;
An abnormal symptom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vital sign based on the filtered data; And
Including; a notification determining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perform a user notification or a linkage notification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in the abnormal symptom determination step,
The data factor detection step includes a biosignal factor and a user environment factor as data factors,
The biosignal factors include heart rate, respiratory rate, oxygen saturation, skin humidity, daily walking amount, and sleep efficiency,
The user environment factor includes ambient temperature and ambient altitude,
In the data filtering step, data of a heart rate of less than 60 or more than 130 seconds, a respiratory rate of less than 12 or more than 20, and an oxygen saturation of less than 94 or more than 100 are excluded as data to determine abnormal symptoms. And
Among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user's environment, data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is 30°C or higher or -12°C or lower are excluded as data for determining abnormal symptoms.
A method of providing personalized vital signs information based on biometric signals/peripheral data.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징후 판단 단계는
호흡수와 산소포화도가 정상으로 판단된 조건에서, 심박이 130초과가 2분 미만이거나 심박이 60 미만이 2분 미만인 경우에 정상으로 판단하고, 심박이 130 초과가 2분 이상 지속되거나 심박이 60 미만이 2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 비정상으로 하는 심박에 대한 정상 여부를 판단하고,
심박과 산소포화도가 정상으로 판단된 조건에서, 호흡수가 20 초과가 2분 미만이거나 호흡수가 12 미만이 2분 미만인 경우, 또는 호흡수가 20 초과가 2분 이상 발생하고 움직임이 달리기 이상의 속도로 이동하고 있을 때 정상으로 판단하고, 호흡수가 20 초과가 2분 이상 지속되거나 호흡수가 12 미만이 2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 비정상으로 하는 호흡수에 대한 정상 여부를 판단하고,
심박과 호흡수가 정상으로 판단된 조건에서, 산소포화도가 100 초과가 2분 미만이거나 산소포화도가 94 미만이 2분 미만인 경우, 또는 산소포화도가 94미만이 2분 이상으로 발생하고 미리 설정된 범위의 이상 속도로 이동하고 있을 때 정상으로 판단하고, 산소포화도가 100 초과가 2분 이상 지속되거나 산소포화도가 94 미만이 2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 비정상으로 하는 산소포화도에 대한 정상 여부를 판단하며,
주변온도가 30도 이상이 2분 미만이거나 주변온도가 -12도 이하가 2분 미만인 경우에 정상으로 판단하고, 주변온도가 30도 이상 2분 이상 지속되거나 주변온도가 -12도 이하 2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 비정상으로 하는 사용자 주변환경 인자에 대한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주변환경 데이터에 기반한 개인맞춤형 활력징후정보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abnormal symptom determination step
Under conditions where the respiratory rate and oxygen saturation are determined to be normal, if the heart rate is greater than 130 for less than 2 minutes or the heart rate is less than 60 for less than 2 minutes, it is determined as normal, and if the heart rate is greater than 130 for more than 2 minutes or the heart rate is 60 If less than 2 minutes lasts, judges whether or not the abnormal heart rate is normal,
Under conditions where the heart rate and oxygen saturation are determined to be normal, the respiratory rate is greater than 20 for less than 2 minutes, or the respiratory rate is less than 12 for less than 2 minutes, or the respiratory rate is greater than 20 for 2 minutes or more, and the movement moves at a speed greater than running. It is judged as normal when there is, and if the respiratory rate exceeds 20 lasts for 2 minutes or more, or if the respiratory rate is less than 12 lasts for 2 minutes or more, determines whether the respiratory rate is normal or not,
Under conditions where the heart rate and respiration rate are determined to be normal, oxygen saturation greater than 100 is less than 2 minutes, oxygen saturation less than 94 is less than 2 minutes, or oxygen saturation less than 94 occurs for 2 minutes or more, and an abnormality in the preset range It is judged as normal when moving at a speed, and if the oxygen saturation exceeds 100 lasts for 2 minutes or more, or when the oxygen saturation exceeds 94 lasts for 2 minutes or more,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oxygen saturation is abnormal.
If the ambient temperature is 30 degrees or more and less than 2 minutes, or the ambient temperature is less than -12 degrees and less than 2 minutes, it is judged as normal, and the ambient temperature lasts more than 30 degrees and more than 2 minutes, or the ambient temperature is less than -12 degrees and less than 2 minutes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rmines whether or not a user's surrounding environment factor, which becomes abnormal when it persists, is normal
A method of providing personalized vital signs information based on biometric signals/peripheral data.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결정 단계는 심박, 생활환경온도, 호흡수, 산소포화도의 대소에 따른 본인 알림과, 미리 설정된 기준을 벗어난 범위의 심박, 생활환경온도, 호흡수, 산소포화도와 고도에 기초하여 연계 지인이나 연계 기관 알림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주변환경 데이터에 기반한 개인맞춤형 활력징후정보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The notification determination step is based on personal notification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heart rate, living environment temperature, respiration rate, and oxygen saturation, and related acquaintances or friends based on the heart rate, living environment temperature, respiration rate, oxygen saturation level and altitude exceeding the preset criteria. It characterized in that determining the notification of the affiliated organization
A method of providing personalized vital signs information based on biometric signals/peripheral data.
사용자의 활력징후를 검출하여 소정 형식의 정보로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통신 모듈 및 GPS 모듈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
상기 웨어러블 장치에 구성되어 사용자의 활력징후를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 인자(data factor)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 및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데이터 인자에 기반하여 활력징후 이상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검출 수단은 생체신호 인자 및 사용자 주변환경 인자를 검출하는 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생체신호 인자는 심박, 호흡수, 산소포화도, 피부습도, 일일 보행량 및 수면 효율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주변환경 인자는 주변 온도 및 주변 고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수단에서 검출된 데이터 인자 중 이상징후 데이터로서 불필요한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데이터 필터링부와, 상기 데이터 필터링부에서 필터링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활력징후에 이상 여부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이상징후 판단부와, 상기 이상징후 판단부에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알림 또는 연계 알림할지 결정하는 알림 결정부, 및 상기 알림 결정부에서 알림 결정된 결과를 통신 모듈을 통해 알림하는 알림 실행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필터링부는 생체신호 인자 중 심박이 60미만 또는 130초 초과 시, 호흡수가 12미만 또는 20 초과 시, 산소포화도가 94미만 또는 100 초과 시의 데이터는 이상징후를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로서 제외 처리하고, 상기 사용자 주변환경 인자 중 주변 온도가 30℃이상 또는 -12℃ 이하일 때의 데이터는 이상징후를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로서 제외 처리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이상징후 판단부에서 사용자 주변환경 인자에 따른 정상 여부 판단으로서, 주변온도가 30도 이상이 2분 미만이거나 주변온도가 -12도 이하가 2분 미만인 경우에 정상으로 판단하고, 주변온도가 30도 이상 2분 이상 지속되거나 주변온도가 -12도 이하 2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 비정상으로 판단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주변환경 데이터에 기반한 개인맞춤형 활력징후정보 제공 시스템.
As a system for detecting user's vital signs and providing information in a predetermined format,
A wearable device including a communication module and a GPS module;
A detecting means configured in the wearable device for detecting a data factor for determining a user's vital signs; And
Includes;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abnormality in vital signs based on the data factor detected by the detection means,
The detection means is composed of a sensor for detecting a biosignal factor and a user surrounding environment factor,
The biological signal factors include heart rate, respiratory rate, oxygen saturation, skin humidity, daily walking amount, and sleep efficiency,
The user environment factor includes ambient temperature and ambient altitude,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or no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vital sign based on the data filtered by the data filtering unit and a data filtering unit that filters unnecessary data as abnormal symptom data among the data factors detected by the detection means. A notification determining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o notify a user or a linkage notification based on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by the abnormal symptom determination unit, and a notification execution unit configured to notify a result determined by the notification determination unit through a communication module,
The data filtering unit excludes and processes data when the heart rate is less than 60 or more than 130 seconds, the respiratory rate is less than 12 or more than 20, and the oxygen saturation level is less than 94 or more than 100 as data for determining abnormal symptoms. , The data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is 30°C or higher or -12°C or lower among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user is excluded and processed as data for determining abnormal symptoms,
The abnormal symptom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whether or not it is normal according to the user's surrounding environment factor.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is 30 degrees or more and less than 2 minutes or the ambient temperature is -12 degrees or less is less than 2 minutes, it is determined as normal, and the ambient temperature is 3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as abnormal if it lasts more than 2 minutes or the ambient temperature lasts more than 2 minutes below -12 degrees.
Personalized vital sig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based on biometric signals/peripheral data.
삭제delet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징후 판단부에서 심박의 정상 여부 판단은, 호흡수와 산소포화도가 정상으로 판단된 조건에서, 심박이 130초과가 2분 미만이거나 심박이 60 미만이 2분 미만인 경우에 정상으로 판단하고, 심박이 130 초과가 2분 이상 지속되거나 심박이 60 미만이 2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 비정상으로 판단하고,
상기 이상징후 판단부에서 호흡수의 정상 여부 판단은, 심박과 산소포화도가 정상으로 판단된 조건에서, 호흡수가 20 초과가 2분 미만이거나 호흡수가 12 미만이 2분 미만인 경우, 또는 호흡수가 20 초과가 2분 이상 발생하고 미리 설정된 범위의 이동 속도로 이동하고 있을 때 정상으로 판단하고, 호흡수가 20 초과가 2분 이상 지속되거나 호흡수가 12 미만이 2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 비정상으로 판단하고,
상기 이상징후 판단부에서 산소포화도의 정상 여부 판단은, 심박과 호흡수가 정상으로 판단된 조건에서, 산소포화도가 100 초과가 2분 미만이거나 산소포화도가 94 미만이 2분 미만인 경우, 또는 산소포화도가 94미만이 2분 이상으로 발생하고 미리 설정된 범위의 이상 속도로 이동하고 있을 때 정상으로 판단하고, 산소포화도가 100 초과가 2분 이상 지속되거나 산소포화도가 94 미만이 2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 비정상으로 판단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주변환경 데이터에 기반한 개인맞춤형 활력징후정보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The abnormal symptom determination unit judges whether the heart rate is normal or not,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respiratory rate and oxygen saturation are determined to be normal, and the heart rate is more than 130 and less than 2 minutes or the heart rate is less than 60 and less than 2 minutes, If the heart rate exceeds 130 lasts for more than 2 minutes or the heart rate lasts for more than 2 minutes, it is considered abnormal,
The abnormal symptom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respiratory rate is normal, under conditions where the heart rate and oxygen saturation are determined to be normal, the respiratory rate is less than 2 minutes, the respiratory rate is less than 2 minutes, or the respiratory rate is more than 20 It is judged as normal when it occurs for 2 minutes or more and is moving at a movement speed within a preset range, and is judged as abnormal when the number of respirations exceeds 20 lasts for more than 2 minutes or when the number of respirations lasts for more than 2 minutes,
The abnormal symptom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whether the oxygen saturation is normal, under conditions where the heart rate and respiration rate are determined to be normal, when the oxygen saturation is more than 100 is less than 2 minutes, the oxygen saturation is less than 94 is less than 2 minutes, or It is judged as normal when less than 94 occurs for more than 2 minutes and is moving at an abnormal speed within the preset range, and abnormal when oxygen saturation exceeds 100 lasts for more than 2 minutes or oxygen saturation lasts for more than 2 minute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to judge as
Personalized vital sig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based on biometric signals/peripheral data.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결정부는
심박, 생활환경온도, 호흡수, 산소포화도의 대소에 따른 본인 알림과, 미리 설정된 기준을 벗어난 범위의 심박, 생활환경온도, 호흡수, 산소포화도와 고도에 근거하여 연계 지인이나 연계 기관 알림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주변환경 데이터에 기반한 개인맞춤형 활력징후정보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8,
The notification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notifications based on the level of heart rate, living environment temperature, respiration rate, and oxygen saturation, heart rate exceeding the preset criteria, living environment temperature, respiration rate, oxygen saturation level and altitude. Characterized by
Personalized vital sig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based on biometric signals/peripheral data.
KR1020180140575A 2018-11-15 2018-11-15 Personalized vital sig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data of personalized bio-signal/surrounding environment KR1022003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575A KR102200398B1 (en) 2018-11-15 2018-11-15 Personalized vital sig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data of personalized bio-signal/surrounding environ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575A KR102200398B1 (en) 2018-11-15 2018-11-15 Personalized vital sig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data of personalized bio-signal/surrounding environ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651A KR20200056651A (en) 2020-05-25
KR102200398B1 true KR102200398B1 (en) 2021-01-08

Family

ID=70914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0575A KR102200398B1 (en) 2018-11-15 2018-11-15 Personalized vital sig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data of personalized bio-signal/surrounding environ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039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45749B1 (en) * 2020-08-26 2022-04-01 芙蓉開発株式会社 Software, health condition judgment device and health condition judgment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21126A (en) * 2014-06-12 2017-08-03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Resting heart rate monitor system
JP2018528797A (en) * 2015-07-11 2018-10-04 スンキ ホン A player management device, a player management system, and a player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that manage the state of the athlete in conjunction with a protector worn by the athlet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798B1 (en) 2005-12-08 2007-11-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health management service
KR101030311B1 (en) 2007-02-27 2011-05-23 (주)엠디앤유 Mobile Wearable Vital Sign Multi-Sensing Device and Physiological Status Activated Nomadic System
KR101497690B1 (en) 2007-09-11 2015-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providing healthcare program service based on bio-signals and symptoms information
KR20090065869A (en) 2007-12-18 2009-06-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Bio-signal detection based health management service system and its monitering method
KR101141425B1 (en) 2010-04-08 2012-05-04 국립암센터 Method of personalized health care and treatment using on-lin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server device for online health care and medical service
KR101918991B1 (en) * 2012-05-21 2018-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having health care function ser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369103B1 (en) * 2014-02-23 2022-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User Information Processing
KR102284594B1 (en) * 2014-07-25 2021-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620178B1 (en) * 2017-01-26 2024-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80097403A (en) * 2017-02-23 2018-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obtaining biometric information and appratus theref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21126A (en) * 2014-06-12 2017-08-03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Resting heart rate monitor system
JP2018528797A (en) * 2015-07-11 2018-10-04 スンキ ホン A player management device, a player management system, and a player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that manage the state of the athlete in conjunction with a protector worn by the athle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651A (en) 2020-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31760B2 (en) Method for prediction, detection, monitoring, analysis and alerting of seizures and other potentially injurious or life-threatening states
EP221714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on of syncopes
JP4819887B2 (en) Fatigue estimation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same
US9715806B2 (en) Monitoring of fall protection harness using a body area network
US7940168B2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ed emergency assistance with manual cancellation
WO2017049958A1 (en) Paralysis detection and alarming apparatus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US20140031704A1 (en) Stress-measuring device and method
US20140081090A1 (en) Provision of atypical brain activity alerts
JP2008011865A (en) Healthcare apparatus and program for driving the same to function
JP2013238970A (en) Health management system
US11547364B2 (en) Abnormality notification system, abnormality notification method, and program
NL2020786B1 (en) Wearable device
CN108366758B (en) Body data monitoring method and device based on underwear
WO2012131171A1 (en) Arrangement for monitoring and predicting a fit or a seizure
KR20200133246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multiple signals
CN112450898A (en) Vital sign parameter monitoring method
CN114668388A (en) Intelligent elderly health monitoring method, devic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KR102200398B1 (en) Personalized vital sig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data of personalized bio-signal/surrounding environment
KR20170057343A (en) Impairment detection with biological considerations
JP202051094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dicting health by analyzing physical behavior patterns
WO2016043299A1 (en) System for predicting risk of onset of cerebrovascular disease
Shanmugam et al. Arduino Based IOT Platform for Remote Monitoring of Heart Attacks and Patients Falls.
KR20190059437A (en) Life vital sign information service and emergency treatment operating system and method for outdoor activity personnel based on bio-signal collec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
US11457875B2 (en) Event prediction system, sensor signal processing system, event prediction method,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US2019004333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hecking wearable device is correctly seat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