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4866B1 - Device for measuring phenotype - Google Patents

Device for measuring phenoty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4866B1
KR102194866B1 KR1020180159992A KR20180159992A KR102194866B1 KR 102194866 B1 KR102194866 B1 KR 102194866B1 KR 1020180159992 A KR1020180159992 A KR 1020180159992A KR 20180159992 A KR20180159992 A KR 20180159992A KR 102194866 B1 KR102194866 B1 KR 102194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bedded body
phenotypic
phenotype
measurement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99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72145A (en
Inventor
백정호
김경환
지현소
최인찬
김송림
이은경
김년희
이홍석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80159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4866B1/en
Publication of KR20200072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21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4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486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021/1765Method using an image detector and processing of image sign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021/8466Investigation of vegetal material, e.g. leaves, plants, fruits

Abstract

본 출원은 표현형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휴대가 간편하고, 실시간으로 즉각적인 표현형 측정이 가능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에 맞게 프로그래밍하여 맞춤형 측정이 가능하고, 센서모듈의 교체가 용이하여 다른 항목에 대한 장치의 활용성이 우수할 수 있다.This application relates to a phenotypic measurement device, which is easy to carry, enables immediate phenotypic measurement in real time, allows customized measurement by programming according to a user's desired function, and is a device for other items due to easy replacement of sensor modules. The utility of can be excellent.

Description

표현형 측정장치{DEVICE FOR MEASURING PHENOTYPE}Phenotypic measuring device{DEVICE FOR MEASURING PHENOTYPE}

본 출원은 표현형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 phenotype measuring device.

최근 선진국에서 시작된 작물표현체학은 작물의 형태와 색상을 이용하여 생산량 증대, 기후변화 대응, 고부가 작물 등 새로운 기능을 가지는 품종을 육성하는데 활용되고 있다.Crop phenotypes, which have recently started in developed countries, are being used to cultivate varieties with new functions, such as increasing production,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and high value-added crops using the shape and color of crops.

작물의 표현형을 살펴보는 장비들은 초음파와 같은 비파괴적인 방법과 파괴적인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비들은 고정된 위치에서 측정하여 휴대성이 떨어진다.Equipment for examining the phenotype of crops includes non-destructive and destructive methods such as ultrasound. However, these devices are measured in a fixed position and are less portable.

특히 표현형 측정 장비들은 측정 후 컴퓨터로 데이터를 입력하여 별도의 데이터 분석 작업이 필요하여 즉각적인 결과를 얻기 힘든 문제가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표현형 측정장치가 요구되고 있다.In particular, phenotypic measurement devices require separate data analysis by inputting data to a computer after measurement, causing a problem that is difficult to obtain immediate results.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phenotypic measurement device to solve this problem.

본 출원의 과제는 휴대가 간편하고, 실시간으로 즉각적인 표현형 측정이 가능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에 맞게 프로그래밍하여 맞춤형 측정이 가능하고, 센서모듈의 교체가 용이하여 다른 항목에 대한 장치의 활용성이 우수한 표현형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task of this application is that it is easy to carry, enables instant phenotypic measurement in real time, allows customized measurement by programming according to the function desired by the user, and is easy to replace the sensor module, so that the use of the device for other items is excellent. It is to provide a phenotypic measurement devic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의 표현형 측정장치는 측정 대상의 표현형을 파악하기 위한 제어부를 갖는 임베디드 본체; 상기 임베디드 본체에 탈부착 가능하게 마련되고, 측정 대상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 및 상기 측정 대상의 표현형을 영상으로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phenotype measure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an embedded body having a control unit for grasping the phenotype of a measurement object; A sensor unit detachably provided on the embedded body and configured to detect a measurement object; And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the phenotype of the measurement object as an image.

상기 센서부는 상기 임베디드 본체의 어느 한 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The sensor unit may be provided on either side of the embedded body.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센서부와 대향하도록 임베디드 본체의 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embedded body so as to face the sensor unit.

또한, 상기 센서부는 RGB, IR, NIR, 초음파 및 형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센서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or unit may include one or more sensor modul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RGB, IR, NIR, ultrasonic waves, and fluorescence.

또한, 상기 표현형 측정장치는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임베디드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henotypic measurement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battery that supplies power and is provided inside the embedded body.

또한, 상기 배터리는 충전식 배터리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battery may be a rechargeable battery.

또한, 상기 표현형 측정장치는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하여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임베디드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된 충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henotypic measurement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charging unit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embedded body in order to charge the battery.

또한, 상기 표현형 측정장치는 상기 임베디드 본체의 외부에 마련된 서버; 및 상기 임베디드 본체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서버와 통신이 가능한 무선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henotypic measurement device includes a server provided outside the embedded body;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provided above the embedded body and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server.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임베디드 본체로부터 다운받은 측정 대상의 표현형 결과 및 상기 임베디드 본체에 업로드하기 위한 측정 대상의 형질에 맞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may store a phenotypic result of the measurement object downloaded from the embedded body and a program suitable for the trait of the measurement object to be uploaded to the embedded body.

또한, 상기 표현형 측정장치는 상기 임베디드 본체의 한 측면에 마련된 데이터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henotypic measurement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data output uni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embedded body.

본 출원의 표현형 측정장치에 의하면, 휴대가 간편하고, 실시간으로 즉각적인 표현형 측정이 가능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에 맞게 프로그래밍하여 맞춤형 측정이 가능하고, 센서모듈의 교체가 용이하여 다른 항목에 대한 장치의 활용성이 우수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henotypic measurement devic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is easy to carry, instantaneous phenotypic measurement is possible in real time, customized measurement is possible by programming according to a user's desired function, and replacement of the sensor module is easy, so that the device for other items Usability can be excellent.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현형 측정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현형 측정장치를 통해 콩 종자 개수를 측정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현형 측정장치를 통해 측정한 식물체의 표현형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현형 측정장치를 통해 측정한 각각의 콩 종자의 표현형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현형 측정장치를 통해 콩 종자의 특징을 검출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phenotype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2 is a diagram showing the number of soybean seeds measured through the phenotypic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3 is a diagram showing a phenotypic result of a plant measured by a phenotypic measur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4 is a view showing the phenotypic result of each bean seed measured by the phenotypic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5 is a view showing the result of det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soybean seeds through the phenotypic measur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출원의 표현형 측정장치를 설명하며, 첨부된 도면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출원의 표현형 측정장치가 첨부된 도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an apparatus for measuring a phenoty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illustrative, and the apparatus for measuring a phenoty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현형 측정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출원의 표현형 측정장치는 임베디드 본체(110), 센서부(120) 및 디스플레이부(130)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표현형 측정장치는 휴대가 간편하고, 실시간으로 즉각적인 표현형 측정이 가능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에 맞게 프로그래밍하여 맞춤형 측정이 가능하고, 센서모듈의 교체가 용이하여 다른 항목에 대한 장치의 활용성이 우수할 수 있다.1 is a diagram showing a phenotype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s shown in FIG. 1, the phenotypic measure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an embedded body 110, a sensor unit 120, and a display unit 130. The phenotypic measurement devic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easy to carry, enables immediate phenotypic measurement in real time, and enables customized measurement by programming according to the function desired by the user, and the use of the device for other items due to easy replacement of the sensor module This can be excellent.

상기 임베디드 본체(110)는 측정 대상의 표현형을 파악하기 위한 제어부(미도시)를 갖는 단말기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임베디드 본체(110)의 제어부의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상기 측정 대상의 표현형을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에 사용된 알고리즘으로는 당업계에 상용화된 알고리즘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에 사용된 알고리즘은 Segmentation 알고리즘, Equalize Histogram 알고리즘, Subtraction 알고리즘 및 Watershed 알고리즘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 대상은 예를 들어, 콩 또는 벼 등의 종자; 또는, 식물체일 수 있다.The embedded body 110 is a terminal having a control unit (not shown) for grasping the phenotype of a measurement object. Specifically, the expression type of the measurement object may be determined by applying to the algorithm of the control unit of the embedded body 110. As the algorithm used in the control unit, an algorithm commercially available in the art may be applied. For example, the algorithm used in the control unit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segmentation algorithm, an equalize histogram algorithm, a subtraction algorithm, and a watershed algorithm. In addition, the measurement object is, for example, seeds such as beans or rice; Alternatively, it may be a plant.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임베디드 본체(110)는 사람이 한손 또는 두손으로 조작 및 활용이 가능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임베디드 본체(110)의 크기는 가로형으로 4 인치 내지 13 인치, 5 인치 내지 12 인치, 6 인치 내지 11 인치, 7 인치 내지 10 인치 또는 8 인치 내지 9 인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임베디드 본체(110)의 크기는 세로형으로 4 인치 내지 13 인치, 5 인치 내지 12 인치, 6 인치 내지 11 인치, 7 인치 내지 10 인치 또는 8 인치 내지 9 인치일 수 있다. 상기 인치는 상기 인베디드 본체의 가장 넓은 면의 대각선 방향을 측정한 크기일 수 있다. 상기 임베디드 본체의 크기가 전술한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휴대가 편리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embedded body 110 may have a size that can be manipulated and utilized by a person with one or two hands. Specifically, the size of the embedded body 110 may be 4 inches to 13 inches, 5 inches to 12 inches, 6 inches to 11 inches, 7 inches to 10 inches, or 8 inches to 9 inches in a horizontal type. In addition, the size of the embedded body 110 may be 4 inches to 13 inches, 5 inches to 12 inches, 6 inches to 11 inches, 7 inches to 10 inches, or 8 inches to 9 inches in a vertical type. The inch may be a size measured in a diagonal direction of the widest surface of the embedded body. Since the size of the embedded body satisfies the above-described range, portability may be convenient.

상기 센서부(120)는 측정 대상을 감지하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센서부(120)에서 측정 대상을 감지하여 상기 임베디드 본체(110)의 제어부의 알고리즘에 적용할 수 있다. The sensor unit 120 is a part for detecting a measurement object. The sensor unit 120 may detect a measurement object and apply it to an algorithm of the control unit of the embedded body 110.

또한, 상기 센서부(120)는 상기 임베디드 본체(110)에 탈부착 가능하게 마련된다. 상기 센서모듈은 상기 임베디드 본체에 탈부착이 가능함으로써, 상황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부착할 수 있고, 원하는 측정 대상의 표현형을 선택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or unit 120 is provid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embedded body 110. Since the sensor module is detachable to the embedded body, it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and attach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and can selectively detect the phenotype of a desired measurement object.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센서부(120)는 RGB, IR, NIR, 초음파 및 형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센서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모듈은 전술한 종류의 센서모듈을 통해 상황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상기 임베디드 본체의 어느 한 측면에 부착할 수 있고, 원하는 측정 대상의 표현형을 선택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In one example, the sensor unit 120 may include one or more sensor modul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RGB, IR, NIR, ultrasound, and fluorescence. The sensor module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through the above-described type of sensor module and attached to one side of the embedded body, and can selectively detect the phenotype of a desired measurement object.

상기 디스플레이부(130)는 상기 측정 대상의 표현형을 영상으로 출력하기 위한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30)는 상기 임베디드 본체(110)의 제어부에서 파악된 측정 대상의 표현형을 영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측정 대상의 표현형을 영상으로 출력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측정 대상의 표현형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30 is a part for outputting the phenotype of the measurement object as an image. Specifically, the display unit 130 may output the phenotype of the object to be measured determined by the control unit of the embedded body 110 as an image. By outputting the phenotype of the measurement target as an image through the display unit, it is possible to check the phenotype result of the measurement target in real time.

상기 디스플레이부(130)는 상기 센서부(120)와 대향하도록 상기 임베디드 본체(110)의 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30 may be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embedded body 110 to face the sensor unit 120.

상기 표현형 측정장치는 배터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는 상기 표현형 측정장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장비이다. 상기 배터리는 상기 임베디드 본체(11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는 상기 임베디드 본체의 내부에 마련됨으로써, 표현형 측정장치의 휴대가 편이할 수 있다. The phenotypic measurement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battery (not shown). The battery is an equipment capable of supplying power to the phenotypic measurement device. The battery may be provided inside the embedded body 110. Since the battery is provided inside the embedded body, it is easy to carry the phenotype measurement device.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배터리는 충전식 배터리일 수 있다. 상기 배터리로 충전식 배터리를 사용함으로써, 배터리를 교체하지 않아 반영구적 사용이 가능하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In one example, the battery may be a rechargeable battery. By using a rechargeable battery as the battery, it is possible to use semi-permanently without replacing the battery, so that cost can be reduced.

또한, 상기 표현형 측정장치는 충전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부(140)는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충전부(140)는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임베디드 본체(1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표현형 측정장치는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임베디드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된 충전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충전기(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이 가능하여, 상기 베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henotypic measurement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charging unit 140. The charging unit 140 is a part for charging the battery. The charging unit 140 may be provid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embedded body 110. The phenotypic measur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charging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and provid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embedded body, thereby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harger (not shown), thereby charging the battery.

상기 표현형 측정장치는 서버(150) 및 무선통신모듈(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henotypic measurement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erver 150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60.

상기 서버(150)는 상기 임베디드 본체(110)의 외부에 마련되고, 상기 무선통신모듈(160)은 상기 임베디드 본체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표현형 측정장치는 상기 무선통신모듈(160)을 통해 상기 서버(150)와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The server 150 may be provided outside the embedded body 11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60 may be provided above the embedded body. The phenotypic measurement device may communicate with the server 15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60.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서버(150)는 상기 임베디드 본체(110)로부터 다운받은 측정 대상의 표현형 결과 및 상기 임베디드 본체(110)에 업로드하기 위한 측정 대상의 형질에 맞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버(150)는 상기 무선통신모듈(160)을 통해 상기 임베디드 본체(110)로부터 다운받은 측정 대상의 표현형 결과 및 상기 임베디드 본체(110)에 업로드하기 위한 측정 대상의 형질에 맞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서버(150)는 상기 무선통신모듈(160)을 통해 상기 임베디드 본체(110)로부터 다운받은 측정 대상의 표현형 결과 및 상기 임베디드 본체(110)에 업로드하기 위한 측정 대상의 형질에 맞는 프로그램을 저장함으로써, 측정 대상의 크기 또는 개수에 상관없이 표현형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server 150 may store a phenotypic result of the measurement object downloaded from the embedded body 110 and a program suitable for the trait of the measurement object to be uploaded to the embedded body 110. Specifically, the server 150 is a program suitable for the phenotypic result of the measurement target downloaded from the embedded body 11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60 and the character of the measurement target to be uploaded to the embedded body 110 Can be saved. The server 150 stores the phenotypic result of the measurement target downloaded from the embedded body 11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60 and a program suitable for the character of the measurement target to be uploaded to the embedded body 110 , Regardless of the size or number of objects to be measured, the phenotype can be quickly identified.

상기 표현형 측정장치는 데이터 출력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출력부(170)는 상기 임베디드 본체(110)의 한 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표현형 측정장치는 데이터 출력부(170)를 더 포함함으로써, 측정 대상의 표현형 측정 결과를 실시간으로 출력할 수 있다.The phenotypic measurement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data output unit 170. The data output unit 17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embedded body 110. The phenotypic measurement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data output unit 170 to output a phenotypic measurement result of a measurement object in real time.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현형 측정장치를 통해 콩 종자 개수를 측정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RGB 센서모듈을 적용한 본 출원의 표현형 측정장치를 통해 콩 종자 개수를 측정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즉각적인 표현형 측정이 가능할 수 있다.2 is a diagram showing the number of soybean seeds measured through a phenotypic measur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 by measuring the number of soybean seeds through the phenotypic measuring device of the present application to which the RGB sensor module is applied, it is possible to immediately measure the phenotype in real time.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현형 측정장치를 통해 측정한 식물체의 표현형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RGB, IR, 형광 및 초음파 센서모듈을 적용한 본 출원의 표현형 측정 장치를 통해 식물체의 표현형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식물체의 면적 및/또는 길이와 상관없이 실시간으로 즉각적인 표현형 측정이 가능할 수 있다.3 is a diagram showing a phenotypic result of a plant measured by a phenotypic measur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3, by measuring the phenotype of a plant through the phenotype measuring device of the present application to which RGB, IR, fluorescence, and ultrasonic sensor modules are applied, instantaneous in real time regardless of the area and/or length of the plant. Phenotypic measurements may be possible.

도 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현형 측정장치를 통해 측정한 각각의 콩 종자의 표현형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RGB 센서모듈을 적용한 본 출원의 표현형 측정 장치를 통해 콩 종자의 표현형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콩 종자의 면적 및/또는 길이와 상관없이 실시간으로 즉각적인 표현형 측정이 가능할 수 있다.4 is a view showing the phenotypic result of each bean seed measured by the phenotypic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4, by measuring the phenotype of the bean seed through the phenotype measuring device of the present application to which the RGB sensor module is applied, it is possible to immediately measure the phenotype in real time regardless of the area and/or length of the bean seed. I can.

도 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현형 측정장치를 통해 콩 종자의 특징을 검출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RGB 센서모듈을 적용한 본 출원의 표현형 측정 장치를 통해 콩 종자의 특징을 검출함으로써, 상기 콩 종자의 색상을 실시간으로 즉각적인 측정이 가능할 수 있다.5 is a view showing the result of det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soybean seeds through the phenotypic measur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5, by det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soybean seeds through the phenotypic measu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o which the RGB sensor module is applied, it is possible to immediately measure the color of the soybean seeds in real time.

110: 임베디드 본체
120: 센서부
130: 디스플레이부
140: 충전부
150: 서버
160: 무선통신모듈
170: 데이터 출력부
110: embedded body
120: sensor unit
130: display unit
140: charging unit
150: server
160: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70: data output unit

Claims (10)

측정 대상의 표현형을 파악하기 위한 제어부를 갖는 임베디드 본체;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임베디드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하여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임베디드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된 충전부;
RGB, IR, NIR, 초음파 및 형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센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임베디드 본체의 어느 한 측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마련되고 측정 대상을 감지하며, 상기 임베디드 본체의 제어부의 알고리즘에 적용할 수 있는 센서부;
상기 측정 대상의 표현형을 영상으로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상기 임베디드 본체의 외부에 마련된 서버;
상기 임베디드 본체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서버와 통신이 가능한 무선통신모듈; 및
상기 임베디드 본체의 한 측면에 마련된 데이터 출력부;
를 포함하고,
탈부착 가능한 상기 센서부의 상기 센서모듈을 통해 측정 대상의 표현형을 선택적으로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임베디드 본체의 제어부에서 파악된 측정 대상의 표현형을 영상으로 출력하여 실시간으로 측정 대상의 표현형 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임베디드 본체로부터 다운받은 측정 대상의 표현형 결과 및 상기 임베디드 본체에 업로드하기 위한 측정 대상의 형질에 맞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표현형 측정장치.
An embedded body having a control unit for grasping a phenotype of a measurement object;
A battery that supplies power and is provided inside the embedded body;
A charging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embedded body to charge the battery;
Includes one or more sensor modul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RGB, IR, NIR, ultrasound, and fluorescence, is provided detachably on any side of the embedded body, detects a measurement object, and is applied to the algorithm of the control unit of the embedded body A sensor unit capable of;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the phenotype of the measurement object as an image;
A server provided outside the embedded body;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provided above the embedded body and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server; And
A data output uni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embedded body;
Including,
Through the sensor module of the detachable sensor unit, the phenotype of the measurement object can be selectively detected, and the display unit outputs the phenotype of the measurement object identified by the control unit of the embedded body as an image to display the phenotype result of the measurement object in real time. The server stores the phenotypic result of the measurement target downloaded from the embedded body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a program suitable for the character of the measurement target to be uploaded to the embedded body.
Phenotypic measurement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베디드 본체의 크기는 가로형으로 8 인치 내지 9인치 이며, 상기 인치는 상기 임베디드 본체의 가장 넓은 면의 대각선 방향을 측정한 크기인 표현형 측정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size of the embedded body is 8 inches to 9 inches in a horizontal type, the inch is a phenotypic measurement device of a size measured in a diagonal direction of the widest surface of the embedded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센서부와 대향하도록 임베디드 본체의 측면에 마련되는 표현형 측정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display unit is provided on a side of the embedded body to face the sensor uni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충전식 배터리인 표현형 측정장치.The phenotypic measuring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battery is a rechargeable battery.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159992A 2018-12-12 2018-12-12 Device for measuring phenotype KR1021948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992A KR102194866B1 (en) 2018-12-12 2018-12-12 Device for measuring phenoty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992A KR102194866B1 (en) 2018-12-12 2018-12-12 Device for measuring phenoty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2145A KR20200072145A (en) 2020-06-22
KR102194866B1 true KR102194866B1 (en) 2020-12-23

Family

ID=71142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9992A KR102194866B1 (en) 2018-12-12 2018-12-12 Device for measuring phenoty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4866B1 (e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5956A (en) * 2010-05-14 2011-11-22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Portable mechanical vibration measuring apparatus and mechanical vibration analyzing system using the same
KR20160139377A (en) * 2015-05-27 2016-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Watch-type mobile terminal operating method thereof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an Behmann 외 11명. Specim IQ: Evaluation of a New, Miniaturized Handheld Hyperspectral Camera and Its Application for Plant Phenotyping and Disease Detection. Sensors. 2018.2.2., pp1-20*
Sebastian Kuhlgert 외 10명. MultispeQ Beta: a tool for large-scale plant phenotyping connected to the open PhotosynQ network. ROYAL SOCIETY OPEN SCIENCE. 2016.12., pp1-1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2145A (en) 2020-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076937A1 (en) Display of images from an imaging tool embedded or attached to a test and measurement tool
CN101294792B (en) Plant morph parameter vision measurer with automatic calibration function
US20160076936A1 (en) Method of attaching camera or imaging sensor to test and measurement tools
WO2016044521A1 (en) Test and measurement system with removable imaging tool
CN104220859B (en) For testing the system of palm grip power
CN103175616B (en) Thermal imaging camera with compass calibration
US9568368B2 (en) Mobile device used with isolated test and measurement input block
JP2019500180A5 (en)
JP2015164489A (en) Human body region detection method, and human body region detector and human body detection apparatus used for human body region detection method
CN107735022A (en) For measuring the device of muscle signal
KR102194866B1 (en) Device for measuring phenotype
US10757236B2 (en) Handheld system for three-dimensional scanning with a smartphone
CN106361265A (en) Measurement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80056534A (en) The size of objects using smart phone camera and laser sensor measurement methods
KR101923676B1 (en) Posture correction apparatus based on sandle structure
CN106454039A (en) A sit-and-reach detector based on an internet of things and machine vision
CN210843026U (en) Intelligent fat scale system with heart rate measuring function
US20190360907A1 (en) Multimodal system for estimating the volume and density of a body
KR101788818B1 (en) Wireless image diagnosis apparatus and system for medical treatment
CN205964016U (en) Body composition measuring device
US20170192405A1 (en) Condition monitoring device and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ame
CN209624536U (en) A kind of Portable corn moisture teller
JP2018075147A (en) Input system and measuring apparatus
CN206420560U (en) A kind of hand-transmitted vibration analyzer
Wahab et al. Error correction for foot clearance in real-time measur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