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4788B1 -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4788B1
KR102194788B1 KR1020130153449A KR20130153449A KR102194788B1 KR 102194788 B1 KR102194788 B1 KR 102194788B1 KR 1020130153449 A KR1020130153449 A KR 1020130153449A KR 20130153449 A KR20130153449 A KR 20130153449A KR 102194788 B1 KR102194788 B1 KR 102194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pocket
touch input
touch
storage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3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7676A (ko
Inventor
박형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3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4788B1/ko
Priority to US14/566,527 priority patent/US10198118B2/en
Publication of KR20150067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7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4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47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6Multi-sensing digitiser, i.e. digitiser using at least two different sensing technologies 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e.g. for detecting pen and finger, for saving power or for improving position detection

Abstract

본 개시는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자 장치는 터치스크린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터치 이동 방향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움직임 방향을 기반으로 포켓 수납 상태를 확인하고, 포켓 수납 상태에 대응되는 동작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METHOD FOR OPERATING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본 개시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장치의 급격한 발달에 따라 정보 또는 데이터 교환이 가능한 전자 장치가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그러한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수단과 입력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입력 수단에 대한 입력을 감지하여 입력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는 입력과 표시를 하나의 스크린에서 수행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수 있으며, 스타일러스 펜, 전자 펜, 손가락, 음성 명령어 또는 제스처 등을 이용한 입력을 감지하여 텍스트 출력, 애플리케이션 실행 또는 터치 잠금 기능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잠금 기능은 터피 패널의 동작을 비활성화시켜 터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이 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전자 장치에서 터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전자 장치에서 포켓 수납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전자 장치에서 포켓 수납 상태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전자 장치에서 포켓 수납 상태에서 입력 수단 또는 표시 수단에 대한 동작을 중단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터치스크린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터치 이동 방향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움직임 방향을 기반으로 포켓 수납 상태를 확인하고, 포켓 수납 상태에 대응되는 동작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포켓 수납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준 데이터와 터치 입력 감도를 기반으로 터치 이동 방향을 확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신체와 맞닿은 포켓에 의해 발생된 터치 입력을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포켓 수납 상태에 대응하여 포켓 수납 상태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비활성화시키는 동작, 전자파 흡수율을 저감하도록 송신 출력을 조절하는 동작, 사용자의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는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동작, 통화 방식 변경 모드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포켓 수납 상태를 확인한 후, 미리정의된 시간 동안 전자 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할 경우,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는 기능을 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포켓 수납 상태를 확인한 후, 이동 수단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는 기능을 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터치 패널에 대한 동작을 비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주변 밝기, 소음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확인할 수 있는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주변 밝기, 소음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상기 터치 이동 방향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움직임 방향과 함께 포켓 수납 상태 확인에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 이동 방향과 상기 전자 장치의 움직임 방향이 서로 반대인 경우, 포켓 수납 상태로 확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터치 이동 방향 및 전자 장치의 움직임 방향을 기반으로 포켓 수납 상태를 확인하는 동작 및, 포켓 수납 상태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신체와 맞닿은 포켓에 의해 발생된 입력에 대한 감도를 확인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포켓 수납 상태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전자 장치에서 포켓 수납 상태에서 포켓 모드로 동작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모 및 비정상적인 입력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포켓 모드와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여 전자 장치에 대한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포켓 수납 상태를 확인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포켓 수납 상태를 확인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포켓 수납 상태를 확인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포켓 수납 상태를 확인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포켓 모드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포켓 모드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이동하는 상황에 해당하는 포켓 모드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present disclosure)를 설명할 수 있다. 본 개시는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으나,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부호가 사용되었다.
최근 전자 장치의 급격한 발달에 따라 정보 또는 데이터 교환이 가능한 전자 장치가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상기 전자 장치에 다양하게 이용되는 터치스크린은 정보의 입력과 표시를 하나의 스크린에서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는, 예를 들어, 손가락, 스타일러스 펜, 또는 전자 펜과 같은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된 콘텐츠 상에 텍스트, 숫자, 또는 도형 등을 추가하거나 특정 기능을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터치스크린에 대한 직접 또는 간접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간접 터치 입력은 글러브 터치 입력, 근접 터치 입력 또는 커버 터치 입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글러브 터치 입력은 전도성을 가지는 가죽, 천 등의 의류(예를 들어, 장갑)를 착용한 상태로 터치스크린을 입력하는 것이 될 수 있고, 상기 근접 터치는 터치스크린과의 일정거리 떨어진 상태에서 입력하는 것이 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터치 입력은 전자 장치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보호 기능을 겸비한 커버의 입력 영역에 대한 입력이 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각각의 입력 수단 또는 입력 모드에 대한 기준 감도를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기준 감도와 입력에 대한 감도를 기반으로 터치 입력 모드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는 글러브 터치 입력 모드의 기준 감도에 해당하는 입력 감도를 확인할 경우, 글러브 터치 입력 모드가 수행됨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가 포켓 속으로 수납되는 상태에서 신체 쪽의 포켓 천과 마찰되는 경우 글러브 터치 입력 모드로 인식되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터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터치 잠금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는 터치 패널의 동작을 비활성화시켜 터치스크린에 대한 입력을 처리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하드웨어 버튼 또는 소프트웨어 버튼의 입력을 감지하여 터치 잠금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터치 잠금 기능이 실행되지 않는 상태에서 포켓에 수납되는 경우, 터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터치 입력 상태, 상황 정보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포켓 수납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는 신체와 맞닿은 포켓 소재(예를 들어, 가죽, 천 등)의 마찰을 글러브 터치로 인식할 수 있으며, 미리 정의된 임계값의 면적이 글러브 터치가 이동되는 경우, 포켓에 수납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포켓으로 수납되는 전자 장치는 터치 이동 방향 반대로 이동될 수 있어, 상기 전자 장치는 이동 방향 반대의 터치 이동을 감지하는 경우, 포켓 수납 상태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움직임 및 방향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의 이동 방향 및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전자 장치는 주변 소음, 주변 밝기 등과 같은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포켓 수납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포켓에 수납되는 전자 장치는 어두움에 해당하는 밝기와 고요함에 해당하는 소음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밝은 곳에서 어두운 곳으로 이동하는 상황, 소음이 있는 곳에서 소음이 없는 곳으로 이동하는 상황을 확인하여 포켓 수납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근접 센서, 조도 센서, 음향 센서 등을 이용하여 상황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이 포함된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스마트 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전화기(mobile phone), 화상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카메라(camera),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전자 시계(electronic clock), 손목 시계(wrist watch) 등의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100)는 메모리(110), 프로세서 유닛(processor unit)(120), 오디오 처리부(130), 통신 시스템(140), 입출력 제어모듈(150), 터치스크린(160), 입력 장치(170) 또는 정보 수집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구성은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다. 각 구성요소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메모리(11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부(111) 또는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 저장부(112)는 전화번호부, 발신메시지 또는 수신메시지와 같은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를 저장하며, 본 실시예에 따라 포켓 수납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 저장부(112)는 포켓 수납 상태 판단에 기준이 되는 터치 입력 상태, 상황 정보 등에 대한 기준 정보, 포켓 수납 상태에서 제어되는 기능에 대한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 입력 상태 정보는 포켓 소재의 마찰을 터치 입력으로 인식하기 위한 기준 감도, 기준 면적, 터치 방향, 입력유지 시간 등에 대한 임계값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상황 정보에 대한 기준 정보는 밝기, 소음, 움직임 등에 대한 임계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저장부(111)는 운영체제 프로그램(113), 분석 프로그램(114), 제어 프로그램(115) 또는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11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프로그램 저장부(111)에 포함되는 프로그램은 명령어들의 집합으로 명령어 세트(instruction set)로 표현될 수도 있다.
상기 운영체제 프로그램(113)은 일반적인 시스템 작동(system operation)을 제어하는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시스템 작동의 제어는, 예를 들면, 메모리 관리 또는 제어, 저장 하드웨어(장치) 제어 또는 관리, 전력 제어 또는 관리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운영체제 프로그램(115)은 여러 가지의 하드웨어(장치)와 프로그램 구성요소(모듈) 사이의 통신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분석 프로그램(114)은 상기 전자 장치(100)에 대한 포켓 수납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석 프로그램(114)은 상기 전자 장치(100)에 대한 터치 입력 상태, 상황 정보 가운데 하나를 기반으로 포켓 수납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분석 프로그램(114)은 손가락, 전자 펜 등과 같은 입력 수단을 이용한 터치 입력, 글러브 터치 입력 또는 근접 터치 입력 등을 감지할 수 있으며, 터치 입력에 대한 감도를 분석하여 터치 입력 모드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석 프로그램(114)은 포켓 소재의 마찰을 글러브 터치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글러브 터치 이동 방향과 전자 장치(100)의 움직임을 기반으로 포켓 수납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분석 프로그램(114)은 포켓 수납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주변 소음, 주변 밝기 등과 같은 상황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분석 프로그램(114)은 포켓에 수납 상태에서 어두움에 해당하는 밝기와 고요함에 해당하는 소음을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석 프로그램(114)은 밝은 곳에서 어두운 곳으로 이동하는 상황, 소음이 있는 곳에서 소음이 없는 곳으로 이동하는 상황을 확인하여 포켓 수납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어 프로그램(115)은 포켓 수납 상태에서 전자 장치(100)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 프로그램(115)은 포켓 수납 상태를 확인하는 경우, 상기 포켓 수납 상태에서 불필요한 기능을 비활성화시키거나 포켓 수납 상태에서 필요한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 프로그램(115)은 무선랜 기능, 무선 충전 기능, 벨소리 기능 또는 카메라 기능, 디스플레이 기능 또는 터치 감지 기능 등을 비활성화시키고, 진동 기능, 블루투스 기능, 사용자의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는 기능(예를 들어, 만보계 기능, 이동거리 측정 기능, 이동 경로 추척 기능 또는 칼로리 계산 기능 등) 등을 활성화시키는 포켓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 프로그램(115)은 인체에 미치는 전자파 흡수율(SAR; Specific Absorption Rate)을 저감하도록 송신 출력을 조절하는 포켓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응용프로그램(116)은 전자 장치(100)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포켓 수납 상태를 확인하고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도 상기 응용프로그램(116)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응용프로그램(116)은 포켓 수납 모드를 제어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저장부(111)에 적어도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적 구성이 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100)는 운영체제 모듈, 분석 모듈, 제어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저장부(111)는 디스플레이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프로그램은 상기 터치스크린(160) 상에 그래픽을 제공하고 표시하기 위한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래픽(graphics)이란 용어는 텍스트(text), 웹 페이지(web page), 아이콘(icon), 디지털 이미지(digital image), 비디오(video), 애니메이션(animation) 등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프로그램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련한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프로그램은 포켓 모드에서 제어되는 기능을 설정하는 동작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 유닛(12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22) 또는 인터페이스(12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프로세서(122) 또는 인터페이스(124)는 적어도 하나의 집적화된 회로로 집적화되거나 별개의 구성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124)는 프로세서(122)와 메모리(110) 접근을 제어하는 메모리 인터페이스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124)는 전자 장치(100)의 입출력 주변 장치와 프로세서(122)의 연결을 제어하는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22)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전자 장치(100)가 포켓 수납 상태인지 확인하고, 포켓 모드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130)는 스피커(131) 또는 마이크로폰(132)을 통해 사용자와 전자 장치(100) 사이의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시스템(140)은 상기 전자 장치(100)의 음성 통신 또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신 시스템(140)은 서로 다른 통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다수 개의 통신 서브 모듈들로 구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는 이들에 한정하지는 않지만,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네트워크,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네트워크,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또는 무선랜, Bluetooth 네트워크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과 같은 근거리 네트워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출력 제어모듈(150)은 터치스크린(160) 또는 입력 장치(170) 등의 입출력 장치와 인터페이스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160)은 정보의 출력 또는 정보의 입력을 수행하는 입출력 장치로, 터치 입력부(161)와 디스플레이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입력부(161)는 터치 패널을 통해 감지된 터치 정보를 입출력 제어모듈(150)을 통해 프로세서 유닛(12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터치 입력부(161)는 터치 정보를 터치 다운(touch_down), 터치 움직임(touch_move) 또는 터치 업(touch_up)과 같은 명령어 구조로 변경하여 프로세서 유닛(122)으로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포켓 수납 상태 판단을 위한 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62)는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 사용자가 입력하는 문자, 동화상(moving picture) 또는 정화상(still picture)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부(162)는 AP 연결 동작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디스플레이부(162)는 포켓 모드에서 제어되는 기능 설정 동작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장치(17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발생하는 입력 데이터를 입출력 제어모듈(150)을 통해 프로세서 유닛(122)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170)는 상기 전자 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버튼만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입력 장치(17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데이터를 제공받기 위한 키패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포켓 모드에서 제어되는 기능 설정을 위한 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정보 수집부(180)는 상기 전자 장치(100)의 움직임, 전자 장치(100)의 상황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보 수집부(180)는 움직임 및 방향을 감지할 수 있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과 주변 소음, 주변 밝기 등과 같은 상황 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근접 센서, 조도 센서, 음향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전자 장치(100)는 방송 수신을 위한 방송 수신 모듈, MP3 모듈과 같은 디지털 음원 복원 모듈, 영상 데이터 획득을 위한 이미지 센서 등 부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요소들과 이들의 동작을 위한 소프트웨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는 터치 입력 상태 또는 상황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터치 입력 상태 또는 상황 정보에 대응하여 포켓 수납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포켓 수납 상태로 확인되는 경우, 미리 정의된 설정으로 변경하도록 하는 포켓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포켓 모드로 동작하는 전자 장치는 포켓 수납 상태에서 불필요한 기능을 비활성화시키거나 포켓 수납 상태에서 필요한 기능, 예를 들어, 진동 기능, 블루투스 기능 등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동작 201과 같이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는 손가락, 전자 펜 등과 같은 입력 수단을 이용한 터치 입력, 글러브 터치 입력 또는 근접 터치 입력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동작 203과 같이 터치 입력 감도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입력 감도는 터치스크린에 대한 터치 입력에 의해 측정되는 정전 용량 값 또는 터치 입력에 의해 변화되는 정전 용량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동작 205와 같이 제 2 입력 모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 2 입력 모드는 터치스크린에 대한 간접적인 터치 입력으로, 글러브 터치 입력, 근접 터치 입력 또는 커버 터치 입력 등을 감지하는 입력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글러브 터치 입력은 가죽, 천 등의 장갑을 착용한 상태로 터치스크린을 입력하는 것이고, 상기 근접 터치는 터치스크린과의 일정거리 떨어진 상태에서 입력하는 것이 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커버 터치 입력은 전자 장치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보호 기능을 겸비한 커버의 입력 영역에 대한 입력이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각각의 터치 입력 모드에 해당하는 기준 감도를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기준 감도와 입력 감도를 기반으로 터치 입력 모드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는 글러브 터치 입력 모드의 기준 감도에 해당하는 입력 감도를 확인할 경우, 글러브 터치 입력 모드가 수행됨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동작 207과 같이 터치 입력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 2 입력 모드 상태에서의 터치 면적, 터치 이동 또는 터치 유지 시간 등의 터치 입력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미리 정의된 임계값 이상의 면적에 대하여 터치 입력이 감지되고 터치 입력이 감지된 상태에서 터치 이동이 감지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동작 209와 같이 상황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포켓 속으로 수납되는 상황을 판단하기 위하여 상황 정보, 예를 들어, 주변 소음, 주변 밝기 또는 상기 전자장치의 움직임 등을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동작 211과 같이 터치 입력 상태, 상황 정보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포켓 수납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포켓 수납 상태는 의류, 가방 등에 부착된 포켓 속으로 상기 전자 장치가 수납되는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상기 포켓의 일부는 신체 일부와 맞닿을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전자 장치는 포켓 수납시 임계치 이상의 각도를 유지하면서 수납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는 포켓 수납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자세를 확인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는 지평면과 일정 각도를 유지하는 경우, 수직 상태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를 포켓 수납 상태 확인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전자 동작 213과 같이 포켓 수납 상태를 확인할 경우, 포켓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포켓 모드는 포켓 수납 상태에서 동작할 수 있는 미리 정의된 동작을 활성화시키는 모드가 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포켓 모드에서 활성화되는 기능 또는 비활성화되는 기능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는 포켓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포켓 수납 상태에서 불필요한 기능, 예를 들어, 무선랜 기능, 무선 충전 기능, 벨소리 기능 또는 카메라 기능, 디스플레이 기능 또는 터치 감지 기능 등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는 포켓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인체에 미치는 전자파 흡수율(SAR; Specific Absorption Rate)을 저감하도록 송신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는 디폴트 출력값으로 송신 전력을 출력하는 상태에서 포켓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기 설정된 송신 전력값으로 파워 백 오프(power back-off)시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는 포켓 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대체적으로 23 ~ 29.5dBm에 해당하는 디폴트 출력값으로 출력하고, 포켓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18 ~ 22.5dBm으로 파워백 오프된 출력값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는 포켓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포켓 상태에서 필요한 기능, 예를 들어, 진동 기능, 블루투스 기능 등을 활성화시키거나 또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는 기능, 예를 들어, 만보계 기능, 이동거리 측정 기능, 이동 경로 추척 기능 또는 칼로리 계산 기능 등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자 장치는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 상태를 기반으로 포켓에 수납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는 임계치 이상의 면적에 대한 터치 입력과 입력을 유지한 상태의 터치 이동이 감지되는 경우, 포켓 속으로 수납되는 상황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상황 정보를 기반으로 포켓에 수납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는 손으로 파지된 상태에서 어두워지는 조도를 감지할 경우, 포켓 속으로 수납되는 상황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터치 입력 상태 및 상황 정보를 기반으로 포켓에 수납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는 임계치 이상의 면적에 대한 터치 입력과 입력을 유지한 상태의 터치 이동이 감지됨과 동시에 어두워지는 조도를 감지할 경우, 포켓 속으로 수납되는 상황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포켓 수납 상태를 확인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는 터치 입력 상태를 기반으로 포켓 수납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동작 301과 같이 제 2 입력 모드의 터치 입력 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 2 입력 모드는 글러브 터치 입력, 근접 터치 입력 또는 커버 터치 입력 등과 같이 터치스크린에 대한 간접적인 입력을 감지하는 모드가 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동작 303과 같이 전자 장치의 움직임 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포켓 속으로 이동하는 상황을 판단하기 위하여 움직임 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동작 305와 같이 터치 입력 방향 및 움직임 방향을 기반으로 포켓 수납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의 터치 면이 신체에 접촉된 상태로 포켓 속으로 들어가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포켓 소재와 신체를 통한 터치에 대하여 글러브 터치 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신체에 접촉된 상태로 포켓 속으로 이동함에 따라 글러브 터치 이동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신체에 접촉된 상태로 포켓 속으로 이동하는 전자 장치는 터치 이동 방향과 전자 장치의 움직임 방향이 반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가 포켓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경우, 신체 접촉에 의해 터치 지점이 전자 장치를 기준으로 상측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감지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터치 이동 방향과 전자 장치의 움직임이 반대일 경우, 상기 전자 장치가 포켓에 수납된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포켓 수납 상태를 확인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는 터치 입력 상태 및 상황 정보를 기반으로 포켓 수납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동작 401과 같이 제 1 입력 모드의 터치 입력 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 1 입력 모드는 터치스크린에 대하여 직접적인 터치 입력을 수행하는 모드가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 1 입력 모드는 손가락 또는 손바닥으로 터치스크린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입력하는 모드가 될 수 있다. 상기 제 1 입력 모드의 터치 입력이 발생한 상황은 상기 터치스크린을 손가락 또는 손바닥으로 파지한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동작 403과 같이 전자 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동작 405와 같이 조도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는 미리 정한 기준에 해당하는 주변 밝기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동작 407과 같이 움직임 및 조도를 기반으로 포켓 수납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의 터치 면이 신체에 접촉된 상태로 포켓 속으로 들어가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미리 정의된 조건에 해당하는 조도를 확인하는 경우, 포켓에 수납된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신체에 접촉된 상태로 포켓 속으로 이동하는 전자 장치는 터치 이동 방향과 전자 장치의 움직임 방향이 반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가 포켓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경우, 신체 접촉에 의해 터치 지점이 전자 장치를 기준으로 상측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감지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터치 이동 방향과 전자 장치의 움직임이 반대일 경우, 상기 전자 장치가 포켓에 수납된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포켓 수납 상태를 확인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휴대성을 가지는 전자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쉽게 파지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터치스크린이 전면부에 배치되고 후면부에는 배터리 커버가 배치될 수 있으며, 파지 방법에 따라 터치스크린의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의 후면부가 사용자 손바닥을 향하도록 파지되거나 또는 전면부가 사용자의 손바닥을 향하도록 파지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터치 패널 동작을 비활성화시키는 터치 잠금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잠금 기능이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한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잠금 기능이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전자 장치를 포켓에 수납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의 터치스크린이 신체에 접촉되어 터치 입력(예를 들어, 글러브 터치 입력)으로 인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자 장치의 후면부가 사용자 손바닥을 향한 상태(501)로 도 5(b)와 같이 포켓으로 수납되는 경우, 전면부의 터치스크린이 노출되어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된 상태로 포켓으로 수납될 수 있다.
신체와 첩촉된 상태로 포켓으로 수납되는 상태의 전자 장치는 제 1 방향(예를 들어, 포켓 안쪽 방향)으로 이동하고 신체에 의해 터치 입력은 상기 제 1 방향의 반대인 제 2 방향으로 이동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움직임과 터치 이동 방향을 기반으로, 예를 들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이동 방향 반대로 전자 장치가 이동하는 경우 포켓으로 수납되는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포켓 수납 상태를 확인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잠금 기능이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전자 장치를 포켓에 수납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의 터치스크린이 신체에 접촉되어 터치 입력으로 인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자 장치의 전면부가 사용자 손바닥을 향한 상태(601)로 도 6(b)와 같이 포켓으로 수납되는 경우, 전면부의 터치스크린이 사용자의 손바닥과 접촉된 상태로 포켓에 수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터치 입력이 감지된 상태에서 제 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터치 입력이 감지된 상태의 움직임을 기반으로 포켓 수납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움직임과 조도 정보를 기반으로 포켓 수납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6(c)와 같이 상기 전자 장치는 터치 입력이 감지된 상태에서 움직이는 중 미리 정의된 밝기가 감지되는 경우, 포켓으로 수납되는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포켓 모드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는 터치 입력 상태 또는 상황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포켓 수납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 입력 상태는 제 2 입력 모드 상태에서의 터치 면적 또는 터치 이동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상황 정보는 주변 소음, 주변 밝기 또는 상기 전자장치의 움직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입력모드는 터치스크린에 대하여 간접적인 터치 입력을 수행하는 모드로 글러브 터치 입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이동 방향과 반대로 이동하는 제 2 터치 입력을 감지할 경우, 상기 포켓 수납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포켓 수납 상태로 확인되는 경우, 포켓 수납 상태에 해당하는 미리 정의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포켓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포켓 모드로 동작하는 전자 장치는 포켓 수납 상태에서 불필요한 기능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포켓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LCD, TSP, 벨소리 기능, 무선 충전(WC: Wireless Charging) 기능 카메라 기능 또는 카메라 기능 등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포켓 모드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는 터치 입력 상태 또는 상황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포켓 수납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포켓 수납 상태로 확인되는 경우, 포켓 수납 상태에 해당하는 미리 정의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포켓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포켓 모드로 동작하는 전자 장치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켓 수납 상태에서 최적화된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는 포켓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포켓 수납 상태에서 벨소리를 인지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음으로 벨소리 모드 대신에 진동 모드 또는 블루투스 모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포켓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사용자의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는 기능(healthy mode)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걸음수, 이동 거리 또는 이동 거리에 따른 소모 칼로리 등을 계산할 수 으며,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는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포켓 모드로 동작한 후, 미리 정의된 시간 안에 전자 장치의 움직임이 인식되는 경우, 예를 들어, 사용자의 걸음, 달리기 등에 의해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기능들이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켓 모드로 동작한 후, 도보로 이동하는 움직임을 인식한 경우, 이동에 따른 소모 칼로리를 계산하는 기능을 활성화(820)시킬 수 있다. 상기 기능은 현재 이동 중인 상태, 예를 들어, 보도 이동을 알리는 정보와 도보 이동으로 인한 칼로리 소모 량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이동 수단을 기반으로 포켓 모드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포켓 모드의 동작 조건을 확인한 시점에 전자 장치가 자동차, 자전거 등과 같은 이동 수단으로 이동함을 확인할 경우에는 이동 수단에 부합되는 기능만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는 포켓 모드에서 만보계 기능이 실행되도록 설정된 상태라도 자동차로 이동중인 경우에는 만보계 기능 대신에 이동 거리 또는 이동 경로를 추적하는 기능이 활성화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켓 모드로 동작한 후, 이동 수단으로 이동함을 확인할 경우, 이동 거리를 기록하는 경로 추적 기능을 활성화(830)시킬 수 있다. 상기 기능은 지도 애플리케이션과 연동될 수 있으며, 출발 위치부터 현재 위치까지의 이동 경로를 기록할 수 있으며, 총 이동 거리, 이동 시간, 이동 속도 등의 정보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는 동작 901과 같이 터치 잠금 기능이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터치 입력 상태 또는 상황 정보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동작 903과 같이 상기 터치 입력 상태 또는 상기 상황 정보 가운데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입력 상태 또는 상기 상황 정보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포켓 수납 상태를 확인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입력 상태를 확인하는 동작은 터치스크린에 대한 간접적인 터치 입력, 터치 면적, 터치 이동 방향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접 터치 입력은 신체와 맞닿은 포켓에 의해 감지된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접적인 터치 입력은 글러브 터치, 커버 터치, 근접 터치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황 정보를 확인하는 동작은 주변 소음, 조도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동작은 포켓 수납 상태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비활성화시키는 모드, 전자파 흡수율을 저감하도록 송신 출력을 조절하는 모드, 사용자의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는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모드, 통화 방식 변경 모드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모드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9)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터치스크린;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감지된 터치 입력의 면적이 미리 정의된 임계 면적 이상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감지된 터치 입력의 이동 방향과 상기 전자 장치의 움직임 방향이 반대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감지된 터치 입력의 면적이 상기 미리 정의된 임계 면적 이상이고, 상기 터치 입력의 이동 방향이 상기 전자 장치의 움직임 방향과 반대인 경우, 상기 전자 장치가 포켓에 수납된 포켓 수납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포켓 수납 상태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비활성화하며, 전자파 흡수율(SAR)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송신 출력을 제어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수신 기능과 관련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벨 소리 제한, 상기 전자 장치의 진동 기능 및 상기 전자 장치의 블루투스 통신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포켓 수납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준 데이터와 터치 입력 감도를 기반으로 터치 이동 방향을 확인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신체와 맞닿은 포켓에 의해 발생된 상기 터치 입력을 감지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포켓 수납 상태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비활성화시키는 동작, 사용자의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는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동작, 통화 방식 변경 모드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포켓 수납 상태를 확인한 후, 미리 정의된 시간 동안 상기 전자 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할 경우,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는 기능을 활성화시키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포켓 수납 상태를 확인한 후, 이동 수단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는 기능을 활성화시키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터치 패널에 대한 동작을 비활성화시키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주변 밝기, 소음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확인할 수 있는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주변 밝기, 소음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상기 터치 입력의 이동 방향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움직임 방향과 함께 상기 포켓 수납 상태의 확인에 사용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9. 삭제
  10.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터치스크린 상에 입력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동작;
    상기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감지된 터치 입력의 면적이 미리 정의된 임계 면적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동작;
    상기 감지된 터치 입력의 이동 방향과 상기 전자 장치의 움직임 방향이 반대인지를 판단하는 동작;
    상기 감지된 터치 입력의 면적이 상기 미리 정의된 임계 면적 이상이고, 상기 감지된 터치 입력의 이동 방향이 상기 전자 장치의 움직임 방향과 반대인 경우, 상기 전자 장치가 포켓에 수납된 포켓 수납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포켓 수납 상태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비활성화하며, 전자파 흡수율(SAR)을 감소시키기 위해 송신 전력을 조절하는 동작;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수신 기능과 관련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벨 소리 제한, 상기 전자 장치의 진동 기능 및 상기 전자 장치의 블루투스 통신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의된 임계 면적보다 큰 면적에서 감지한 상기 터치 입력의 감도가 지정된 감도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포켓 수납 상태인 것을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입력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동작은,
    터치스크린에 대한 간접적인 터치 입력, 터치 면적, 터치 이동 방향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간접적인 터치 입력은,
    신체와 맞닿은 포켓에 의해 감지된 입력을 포함하는 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간접적인 터치 입력은,
    글러브 터치, 커버 터치, 근접 터치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 수납 상태를 판단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의 주변 소음, 상기 전자 장치의 조도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확인한 전자 장치의 주변 소음 및 상기 확인한 전자 장치의 조도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포켓 수납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
  16.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포켓 수납 상태를 판단하는 동작은,
    상기 포켓 수납 상태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비활성화시키는 모드, 사용자의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는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모드 및 통화 방식 변경 모드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7. 포켓 수납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포켓 수납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은,
    전자 장치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동작;
    상기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감지된 터치 입력의 면적이 미리 정의된 임계 면적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동작;
    상기 감지된 터치 입력의 이동 방향과 상기 전자 장치의 움직임 방향이 반대인지를 판단하는 동작; 및상기 감지된 터치 입력의 면적이 상기 미리 정의된 임계 면적 이상이고, 상기 터치 입력의 이동 방향이 상기 전자 장치의 움직임 방향과 반대인 경우, 상기 전자 장치가 포켓에 수납된 포켓 수납 상태인 것을 판단하는 동작 을 포함하고,
    상기 포켓 수납 상태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비활성화하며, 전자파 흡수율(SAR)을 감소시키기 위한 송신 출력을 제어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수신 기능과 관련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벨 소리 제한, 상기 전자 장치의 진동 기능 및 상기 전자 장치의 블루투스 통신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시키도록 설정된, 상기 포켓 수납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을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신체와 맞닿은 포켓에 의해 발생된 입력에 대한 감도를 확인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상기 포켓 수납 상태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30153449A 2013-12-10 2013-12-10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KR102194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3449A KR102194788B1 (ko) 2013-12-10 2013-12-10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US14/566,527 US10198118B2 (en) 2013-12-10 2014-12-10 Operat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3449A KR102194788B1 (ko) 2013-12-10 2013-12-10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7676A KR20150067676A (ko) 2015-06-18
KR102194788B1 true KR102194788B1 (ko) 2020-12-24

Family

ID=53271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3449A KR102194788B1 (ko) 2013-12-10 2013-12-10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198118B2 (ko)
KR (1) KR1021947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681B1 (ko) 2011-10-19 2012-06-28 배경덕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활성화 시에 특정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방법,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20150007050A (ko) * 2013-07-10 2015-01-20 삼성전자주식회사 송신출력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EP3201721A4 (en) * 2014-09-30 2018-05-3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Unintended touch rejection
CN106774815B (zh) * 2015-11-25 2019-11-08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触摸手势确定方法及装置
CN107786743A (zh) 2017-10-27 2018-03-0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防止终端误触的方法及装置
KR20190054397A (ko) 2017-11-13 2019-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8549517B (zh) * 2018-03-13 2020-04-1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操作界面控制方法及终端
IT202000001603A1 (it) 2020-01-28 2021-07-28 St Microelectronics Srl Sistema e metodo di riconoscimento di un gesto di tocco
EP4020827A1 (en) * 2020-12-23 2022-06-29 INTEL Corporation Devices and methods for disconnection protection
IT202100008897A1 (it) 2021-04-09 2022-10-09 St Microelectronics Srl Sistema di rilevamento di un gesto di tocco di un utilizzatore, dispositivo comprendente il sistema, e metodo
TW202349175A (zh) * 2022-06-06 2023-12-16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功率設定方法與電子裝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62078A1 (en) * 2008-04-21 2009-10-22 David Pizzi Cellular phone with special sensor functions
US20120060128A1 (en) * 2010-05-14 2012-03-08 Google Inc. Direct, gesture-based actions from device's lock screen
US20120071149A1 (en) * 2010-09-16 2012-03-22 Microsoft Corporation Prevention of accidental device activation
US20120280917A1 (en) * 2011-05-03 2012-11-08 Toksvig Michael John Mckenzie Adjusting Mobile Device State Based on User Intentions and/or Identity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52705A (ja) * 2007-12-19 2009-07-09 Toshiba Corp 電子計算機および切替回路
KR101572847B1 (ko) 2009-01-09 2015-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감지 장치 및 방법
US20120060261A1 (en) 2010-09-15 2012-03-15 Ben Raviv Garment pocket for touch screen mobile devices
US8750853B2 (en) * 2010-09-21 2014-06-10 Cellepathy Ltd. Sensor-based determination of user role, location, and/or state of one or more in-vehicle mobile devices and enforcement of usage thereof
US9244545B2 (en) * 2010-12-17 2016-01-2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ouch and stylus discrimination and rejection for contact sensitive computing devices
US20120185999A1 (en) 2011-01-21 2012-07-26 Ben Raviv Pants Pocket for Touch Screen Mobile Devices
US20120186000A1 (en) 2011-01-21 2012-07-26 Ben Raviv T-shirt Pocket for Touch Screen Mobile Devices
US9710048B2 (en) * 2011-10-03 2017-07-18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for detecting false wake conditions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9459737B2 (en) * 2012-05-23 2016-10-04 Atmel Corporation Proximity detection using multiple input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62078A1 (en) * 2008-04-21 2009-10-22 David Pizzi Cellular phone with special sensor functions
US20120060128A1 (en) * 2010-05-14 2012-03-08 Google Inc. Direct, gesture-based actions from device's lock screen
US20120071149A1 (en) * 2010-09-16 2012-03-22 Microsoft Corporation Prevention of accidental device activation
US20120280917A1 (en) * 2011-05-03 2012-11-08 Toksvig Michael John Mckenzie Adjusting Mobile Device State Based on User Intentions and/or Ident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7676A (ko) 2015-06-18
US10198118B2 (en) 2019-02-05
US20150160780A1 (en) 2015-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4788B1 (ko)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US9237601B2 (en) Mobile device function selection using position in relation to a user
US8665238B1 (en) Determining a dominant hand of a user of a computing device
CN111201505A (zh) 用于检测装置上下文以便改变触摸电容的方法
JP5610644B2 (ja) 入力装置、入力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3525075B1 (en) Method for lighting up screen of double-screen terminal, and terminal
US20130100044A1 (en) Method for Detecting Wake Conditions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10116787B2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KR102114613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8502401A (ja) ウェアラブルタッチ感知ファブリック上の意図したジェスチャーと意図しないジェスチャーとを判別するための技法
KR2016001571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28084A (ko) 핸드헬드형 단말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자동으로 스위칭하는 방법, 및 핸드헬드형 단말 기기
KR20150025385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CN108536377A (zh) 显示控制方法和装置、终端、计算机可读存储介质
EP313620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threshold
US9600177B2 (en) Electronic device with gesture display control and corresponding methods
CN106487984B (zh) 一种调整音量的方法和装置
CN110362369A (zh) 可穿戴设备操控方法、可穿戴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814775A (zh) 菜单项调整方法、装置及终端
JP5461735B2 (ja) 入力装置、入力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1124206B (zh) 位置调整方法及电子设备
KR20130129744A (ko) 헬스 케어 기능을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CN108984062A (zh) 一种内容显示方法、终端
JP2012169999A (ja) 携帯端末、携帯端末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8133211A1 (zh) 一种双屏电子设备的屏幕切换方法及双屏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