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3608B1 - A drone secur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drone certification with convergence block chain - Google Patents

A drone secur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drone certification with convergence block chai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3608B1
KR102193608B1 KR1020200103708A KR20200103708A KR102193608B1 KR 102193608 B1 KR102193608 B1 KR 102193608B1 KR 1020200103708 A KR1020200103708 A KR 1020200103708A KR 20200103708 A KR20200103708 A KR 20200103708A KR 102193608 B1 KR102193608 B1 KR 102193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ne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blockchain
contro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37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영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젠
Priority to KR1020200103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360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3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36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3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cryptographic hash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10Simultaneous 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hree dimensions
    • G05D1/101Simultaneous 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hree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4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6Airborne or Satellite Networks
    • B64C2201/14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20Remote controls
    • H04L2209/3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80Wirel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84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rone securi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drone certification with a convergence blockchain applied thereto comprises: a drone of which an operation is activated based on drone certification information; a control terminal which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rone based on the drone certification information; and a drone security management server which monitors networking between the drone and the control terminal and positions of the drone and the control terminal, distributes, stores, and manages hash values of the drone certification information in a private blockchain, a public blockchain, or consortium blockchain according to a subject that has registered the drone certification information, and distributes, stores, registers, and manages management and operation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drone and the control terminal registered under the name of the subject in the corresponding blockchain. When a drone certification error is transmitted from any one of the drone and the control terminal, the drone security management server provides robbery/loss information to the terminal registered by the subject and then blocks networking and Bluetooth pairing between the drone and the control terminal, and the drone certification information is any one of pieces of bio information including iris, face, fingerprint, vein, and voice or at least one combination thereof or includes a certificate, a security number, a hash value, and the lik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ore systematically manage the drone.

Description

융복합 블록체인이 적용된 드론 인증 기반의 드론 보안관리 시스템 및 방법{A drone secur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drone certification with convergence block chain}A drone secur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drone certification with convergence block chain.

본 발명은 융복합 블록체인이 적용된 드론인증기반의 드론 보안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one secur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drone authentication to which a convergence block chain is applied.

드론은 무인으로 무선 전자파의 유도에 의해 비행과 조종이 가능한 드론으로서 인공지능 기술을 내장할 수도 있다. 드론은 초기에 정찰 목적의 군사용으로 사용되었으나, 점차 드론이 각종 무기를 장착하여 적을 파괴하는 공격용 무기로도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드론이 최근에는 활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종류와 성능을 가진 드론으로서 상업용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접어면서 드론산업은 미래 핵심 산업 중 하나로 부상하고 있으며, 특히 드론이 활용되고 있는 핵심 활용 분야로는 다양한 군사 무기 분야는 물론이고, 물류, 정보통신, 농업 및 수산업, 대기관측, 대중교통, 일상, 레저 분야 등이 있다. 그 외에도 방송 영화 등의 촬영분야, 재난안전, 교량·철탑·건설현장 등 인프라 점검 분야, 지적조사, 해안선 조사, 3D 맵핑, 공간정보 획득뿐만 아니라, 농업 분야에서는 농약살포에 이어 생육상태 점검 등에 이르기 까지 드론의 활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다.Drones are drones that can fly and manipulate by induction of wireless electromagnetic waves, and can also incorporate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Drones were initially used for military use for reconnaissance purposes, but they are gradually being used as attack weapons to destroy enemies by equipping various weapons. These drones are recently used for commercial purposes as drones with various types and performances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As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nters, the drone industry is emerging as one of the core industries of the future. In particular, the core application fields where drones are used are not only various military weapons fields, but also logistic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griculture and fisheries, and atmosphere. Observation, public transportation, daily life, leisure, etc. In addition, in the field of filming such as broadcast movies, disaster safety, infrastructure inspection such as bridges, steel towers, construction sites, cadastral surveys, coastline surveys, 3D mapping, acquisition of geospatial information, and agriculture, including pesticide spraying and growth status checks. Until now, the scope of use of drones is expanding.

이때, 드론을 이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19-0110189호(2019년09월30일 공개) 및 한국공개특허 제2018-0115938호(2018년10월24일 공개)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드론대여관리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면,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사용자 단말의 근처에 위치하는 드론 스테이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드론 스테이션 선택 정보가 입력되면 대여 가능한 드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예약 입력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드론에 대한 예약 확인 정보를 제공하는 구성과, 드론 서비스 제공을 요청한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드론 서비스 제공 요청과 관련한 임무의 종류, 임무를 수행할 위치 및 임무를 수행할 드론을 확인하고, 임무를 수행할 대상 드론을 기동하고 임무 수행에 요구되는 정보를 대상 드론으로 프로비젼하고, 대상 드론을 임무 수행지로 파견한 후 대상 드론이 임무를 수행하는 도중 획득한 정보를 수집하는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At this time, a method of providing various services using drones has been researched and developed. In this regar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9-0110189 (published on September 30, 2019) an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8-0115938 ( On October 24, 2018), when the drone rental management application is activated through the user terminal,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is collected, information on the drone station located near the user terminal is provided, and drone station selection When information is entered, information on drones that can be rented is provided, and when reservation input information is entered, a configuration that provides reservation confirmation information for the entered drone, authentication for the user who requested the drone service provision, and drone service Identify the type of mission related to the request for provision, the location to perform the mission, and the drone to perform the mission, maneuver the target drone to perform the mission, provision the information required for the mission to the target drone, and perform the mission Each of the configurations for collecting information acquired during the mission of the target drone after being dispatched to the site is disclosed.

다만, 드론을 구매하지 않고 드론을 이용만 하려는 사람들은 대부분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이기 때문에 대여를 한다고 할지라도 조종을 하는 방법을 잘 모르고 익숙하지 않아서 그 용도에 맞는 제어 및 조종을 할 수가 없다. However, most people who only want to use drones without purchasing drones are ordinary people, not experts, so even if they rent it, they do not know how to control and are not familiar with it, so they cannot control and manipulate suitable for the purpose.

또한, 드론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인허가 유관기관의 허가 및 인가가 요구되는데 이에 따른 서류를 제대로 구비할 수도 없다. 따라서, 드론을 단순히 대여만 한다고 하여 고객들은 이를 제대로 이용할 수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관련 서비스를 원스탑으로 해결해주는 플랫폼은 부재하다. In addition, in order to use a drone, permission and approval from a licensing agency are required, and documents accordingly cannot be properly prepared. Therefore, there is no platform that can solve related services in a one-stop way, even though customers cannot use it properly by simply renting a drone.

또한, 기상상황과 같이 날씨를 보지 않거나 고려하지 않고 대여를 하는 경우 풍속이 세서 대여한 드론이 추락하는 사고도 빈번하게 일어난다. 이에, 드론 관련 서비스를 종합적으로 제공해주는 플랫폼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In addition, accidents often occur in which the drones that were rented due to high wind speeds when renting without seeing or considering the weather, such as weather conditions, fall. Accordingly,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 platform that comprehensively provides drone-related services is required.

등록특허 제10-1802811호Registered Patent No. 10-180281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융복합 블록체인이 적용된 드론인증기반의 드론 보안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one secur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drone authentication to which a fusion blockchain is applied that can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융복합 블록체인이 적용된 드론인증기반의 드론 보안 관리 시스템은 드론 인증정보를 기초로 동작이 활성화되는 드론; 상기 드론 인증정보를 기초로 상기 드론의 동작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단말; 및 상기 드론 및 제어단말 간의 접속횟수, 접속시간, 현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도킹정보 및 상기 드론과 상기 제어단말의 위치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드론 인증정보를 등록한 주체에 따라 상기 드론 인증정보의 해시값을 프라이빗 블록체인, 퍼블릭 블록체인 또는 컨소시엄 블록체인에 분산저장관리하고, 상기 주체명의로 등록한 드론 및 제어단말에서 발생되는 운영 및 동작정보를 해당 블록체인에 분산저장하여 등록관리하는 드론 보안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드론 보안 관리서버는 상기 드론 및 제어단말 중 어느 하나에서 드론인증오류가 송출되면, 상기 주체가 등록한 단말로 도난/분실 정보를 제공한 후, 상기 드론 및 제어단말 간의 네트워킹, 블루투스 페어링을 차단하고, 상기 드론인증정보는 홍채, 얼굴, 지문, 정맥 및 음성을 포함하는 바이오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이거나 인증서, 보안번호, 해시값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drone securi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drone authentication to which a fusion block chain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 includes: a drone whose operation is activated based on dron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 control termi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one based on the dron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network dock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number of times of access between the drone and the control terminal, access time, an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of the drone and the control terminal, and a hash of the dron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 subject registering the dron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 drone security management server that distributes and manages values in a private blockchain, public blockchain, or consortium blockchain, and registers and manages operation and oper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drones and control terminals registered under the subject name in the corresponding blockchain. Including, the drone security management server, when a drone authentication error is transmitted from any one of the drone and the control terminal, after providing theft/lost information to the terminal registered by the subject, networking between the drone and the control terminal, Bluetooth The pairing is blocked, and the dron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any one or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of bio-information including iris, face, fingerprint, vein, and voice, or includes a certificate, security number, hash value, and the like.

상기 드론 및 제어단말은 사용자 인증정보를 해시함수 기반의 해시값으로 가공한 후, 블록체인 암호화 전자지갑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rone and the control terminal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processed into a hash value based on a hash function and then stored in a blockchain encrypted electronic wallet.

상기 드론 및 제어단말은 기 설정된 상황이 발생하면, 드론 인증정보로 동작이 활성화되도록 설정된 보안잠금 기능을 일시해제한 후, 근거리 통신방식으로 사용자가 설정한 단말로 해당 이벤트 상황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a preset situation occurs, the drone and the control terminal temporarily release the security lock function set to activate the operation with the dron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then provide the event situation information to the terminal set by the user in a short-range communication method. To do.

상기 드론보안관리서버는 상기 드론의 사용주체가 기업 또는 기관일 경우, 컨소시엄 블록체인 내에 상기 기업 또는 기관 또는 그룹에서 등록한 드론인증정보의 해쉬함수 기반의 해시값을 등록 및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rone security management server is characterized by registering and managing a hash value based on a hash function of drone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gistered by the company, organization or group in a consortium block chain when the subject of using the drone is a company or institution.

상기 드론보안관리서버는 상기 드론의 사용주체가 개인일 경우, 프라이빗 블록체인 또는 퍼블릭 블록체인 내에 상기 사용주체에서 등록한 등론인증정보의 해쉬합수 기반의 해시값을 등록 및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rone security management server is characterized by registering and managing a hash value based on the hash sum of the isoron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gistered by the user in a private blockchain or a public blockchain, when the subject of using the drone is an individual.

상기 제어단말은 드론인증정보를 기초로 상기 드론과의 네트워크 도킹을 수행한 후, 상기 드론의 비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terminal is characterized by controlling the flight of the drone after performing network docking with the drone based on drone authentication information.

상기 드론보안관리서버는 상기 제어단말에서 송출한 드론확인정보 및 네트워크 도킹,연동 또는 블루투스 페어링 정보를 기초로 상기 드론의 도난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rone security management serv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hecks whether the drone is stolen based on drone confirmation information and network docking, interlocking, or Bluetooth pair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terminal.

상기 드론보안관리서버는 사용자 단말 또는 드론 기기로부터 분실 또는 도난 신고가 접수되면, 도난 또는 분실로 인지된 시점부터 신고접수 시점까지 해당 드론에서 기록한 위치, 고도, 경로, 녹화, 녹음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a report of loss or theft is received from a user terminal or a drone device, the drone security management server stores the location, altitude, route, recorded, and recorded data recorded by the drone from the time it is recognized as theft or loss to the time the report is receiv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the terminal.

상기 제어단말은 상기 네트워크 도킹정보를 상기 드론보안관리서버로 송출하고, 기 설정된 횟수 동안에 사용자가 인증에 실패하면, 현 위치정보 및 도난신고정보를 상기 드론보안관리서버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terminal transmits the network docking information to the drone security management server, and when the user fails to authenticate for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transmits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theft report information to the drone security management server.

상기 드론은 비행속도, 가속도, 회전각, 위치 및 고도에 대한 비행 기록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제어단말 및 상기 드론보안관리서버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rone is characterized in that, after generating flight record information for flight speed, acceleration, rotation angle, position and altitude, it is provided to the control terminal and the drone security management server.

상기 드론은 기 설정된 위험상황을 감지하면, 기 설정된 매뉴얼에 따라 자동 동작되고 상황에 따라 수동동작을 실시하고, 상기 기설정된 위험상황은 기상이변, 전자파, 포획, 외부상황 등에 따른 위치,고도,경로 이탈 및 전략,전술,명령 오류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drone detects a preset dangerous situation, it automatically operates according to the preset manual and performs manual operation according to the situation, and the preset dangerous situation is the location, altitude, route according to the abnormal weather, electromagnetic wave, capture, external situation, etc. It is characterized by any one of departure and strategy, tactics, and command errors.

상기 제어단말은 개인 조종 비행모드 및 다자간 조종 비행모드 중 어느 하나로 상기 드론의 비행을 제어하고, 상기 다자간 조종 비행모드는 기 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들이 동일한 드론에 접속하여 릴레이 방식으로 해당 드론을 제어(조정)하기 위한 멀티 접속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terminal controls the flight of the drone in one of a personal control flight mode and a multi-party control flight mode, and in the multi-party control flight mode, at least one or more users located within a preset radius access the same drone and correspond to a relay method. It is characterized by performing a multi-access control function for controlling (adjusting) the drone.

상기 제어단말은 상기 다자간 조종 비행모드를 선택할 경우, 상기 드론을 릴레이 방식으로 제어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제어단말의 ID를 상기 드론보안관리서버로 제공하고, 상기 드론보안관리서버는 상기 제어단말에서 송출한 다자간 네트워크 접속 승인,정보 및 블루투스 페어링 접속 승인,정보를 기초로 가상의 네트워크 그룹 IP를 생성하여 송출하고, 송출된 가상의 네트워크 그룹 IP의 접속정보 및 또는 GPS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terminal provides the ID of at least one sub-control terminal to control the drone in a relay method to the drone security management server, and the drone security management server is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terminal when the multi-person control flight mode is selected. A multi-party network connection approval, information and Bluetooth pairing connection approval, a virtual network group IP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based on the information, and the connection information and GP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ransmitted virtual network group IP are checked in real time. To do.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융복합 블록체인이 적용된 드론인증기반의 드론 보안 관리 방법은 사용자 단말의 등록요청에 따라 드론보안관리서버에서 드론정보, 제어단말 정보 및 드론 및 제어단말을 활성화하기 위한 드론인증정보를 블록체인으로 분산저장하여 등록는 단계; 상기 드론보안관리서버에서 상기 드론 및 제어단말의 분실/도난여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도난/분실 메시지가 접수되면, 도난 또는 분실로 인지된 시점부터 신고접수 시점까지 해당 드론에서 기록한 위치, 녹화, 녹음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블록체인으로 분산저장하여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드론인증정보를 등록한 주체에 따라 상기 드론 인증정보의 해시값을 프라이빗 블록체인, 퍼블릭 블록체인 또는 컨소시엄 블록체인에 분산저장관리하고, 주체명의로 등록한 드론 및 제어단말에서 발생되는 운영 및 동작정보를 해당 블록체인에 분산저장하여 등록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드론 보안 관리서버는 상기 드론 및 제어단말 중 어느 하나에서 드론인증오류가 송출되면, 상기 주체가 등록한 단말로 도난/분실 정보를 제공한 후, 상기 드론 및 제어단말 간의 네트워크 도킹,연동 또는 블루투스 페어링 정보를 차단하고, 상기 드론인증정보는 홍채, 얼굴, 지문, 정맥 및 음성을 포함하는 바이오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를 조합하거나 인증서, 보안번호, 해시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drone security management method based on drone authentication to which a fusion block chain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drone security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the registration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drone information, control terminal information, and drones. Registering and storing dron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activating the control terminal in a block chain; Monitoring the loss/theft of the drone and the control terminal in real time by the drone security management server; When a theft/lost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the location, recorded, and recorded data recorded by the drone ar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from the time it is recognized as stolen or lost to the time the report is received, and distributed and stored in the blockchain. In the registering step, the hash value of the dron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distributed and stored and managed in a private blockchain, a public blockchain, or a consortium blockchain according to the subject who registered the dron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the operation generated by the drone and the control terminal registered under the subject name And registering and manag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distributedly stored in the corresponding block chain, wherein the drone security management server is stolen/lost to the terminal registered by the subject when a drone authentication error is transmitted from one of the drone and the control terminal. After providing the information, the network docking, interlocking, or Bluetooth pairing information between the drone and the control terminal is blocked, and the dron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cludes any one or at least one of bio-information including iris, face, fingerprint, vein, and voice.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combination or certificate, security number, hash valu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융복합 블록체인이 적용된 드론인증기반의 드론 보안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이용하면, 융복합 블록체인이 적용된 드론인증을 기반으로 드론과 제어단말(조종단말) 간의 네트워크 도킹여부를 실시함으로써, 드론 또는 제어단말이 도난되더라도 도난된 드론 또는 제어단말의 사용을 차단시킬 수 있다.When using the drone secur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drone authentication to which the fusion blockchain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etwork docking between the drone and the control terminal (control terminal) based on the drone authentication to which the fusion blockchain is applied By implementing whether or not, even if the drone or the control terminal is stolen, the use of the stolen drone or the control terminal can be block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융복합 블록체인이 적용된 드론 인증기반의 드론 보안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이용하면, 드론과 제어단말 간의 네트워크 도킹 위치 및 블루투스 페어링 상태를 파악함에 따라 비행제한지역에 출몰하는 드론의 정보 및 이를 사용한 사용자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는 군사보호시설 또는 사설보호시설 내에 몰래접근하여 촬영하는 불법촬영행태를 근절시킬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In addition, if the drone secur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drone authentication to which the fusion block chain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he network docking position and the Bluetooth pairing state between the drone and the control terminal are identified, thereby reaching a restricted flight area. It is possible to grasp the information of the appearing drone and the information of the user who used it in real time. This provide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radicate the illegal shooting behavior of secretly approaching and filming in military or private protection facilitie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융복합 블록체인이 적용된 드론인증기반의 드론 보안관리 시스템은 등록주체에 따라 드론 및 드론인증정보를 프라이빗, 퍼블릭 및 컨소시엄 블록체인에 분산저장하여 등록관리함에 따라 드론 관리를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drone securi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drone authentication to which the fusion block chain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drone and dron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 private, public, and consortium blockchains according to the registration subject and manages registr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rone management can be managed more systematical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융복합 블록체인이 적용된 드론인증기반의 드론 보안 관리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드론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어단말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인증처리부에서 사용된 색 좌표계의 일 예시도이다.
도 5는 인증처리부에서 사용된 홍채 및 동공의 이완 및 수축 거리를 표시한 예시도이다.
도 6은 지문의 특징점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드론보안관리서버의 세부구성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에 적용된 융복합 블록체인의 일 예시도이다.
도 9a 내지 도 9d는 다자간 비행조종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융복합 블록체인이 적용된 드론인증기반의 드론 보안 관리 방법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을 도시한 도이다.
1 is a network configuration diagram of a drone securi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drone authentication to which a fusion block chain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the drone shown in FIG. 1.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terminal shown in FIG. 1.
4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color coordinate system used in an authentication processing unit.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relaxation and contraction distances of the iris and pupil used in the authentication processing unit.
6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characteristic points of a fingerprint.
7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drone security management server shown in FIG. 1.
8A to 8C are exemplary diagrams of a fusion blockchain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9A to 9D are exemplary diagrams for explaining a multilateral flight control process.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rone security management method based on drone authentication to which a fusion block chain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computing environment in which one or mor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implemented.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no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any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The terms "about", "substantially" and the like, a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re used in or close to the numerical value when manufacturing and material tolerances specific to the stated meaning are presented, and are used in the sens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ssist, accurate or absolute figures are used to prevent unfair use of the stated disclosure by unscrupulous infringers. A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step (to)" or "step of" does not mean "step for".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unit" includes a unit realized by hardware, a unit realized by software, and a unit realized using both. Further, one unit may be realized using two or more hardware, or two or more units may be realized using one hardware. Meanwhile,'~ unit' is not meant to be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and'~ unit' may be configured to b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or configured to reproduce one or more processors. Thus, as an example,'~ unit' refers to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processes, functions, properties, and procedures. ,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s,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The components and functions provided in the'~ units'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elements and'~ units', or may be further divided into additional elements and'~ units'. In addition, components and'~ units' may be implemented to play one or more CPUs in a device or a security multimedia card.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the terminal, device, or device may be performed instead in a server connected to the terminal, device, or device. Likewise,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the server may also be performed by a terminal, device, or device connected to the server.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mapping or matching with the terminal means mapping or matching the unique number of the terminal o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ndividual, which i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Can be interpreted as.

본 명세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단순히 드론에만 국한되지 않고, 본인인증, 결제, 계약, 전송 등 산업의 전반적인 인증 부분에서 활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imply a drone, and may be used in the overall authentication part of the industry such as identity authentication, payment, contract, and transmission.

본 명세서에 있어서, 드론이라는 용어는 유인 항공기 및 무인 항공기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drone should be understood as a concept encompassing both manned aircraft and unmanned aircraft.

본 명세서에 있어서, 서비스라는 용어는 플랫폼 서비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방산(군대), 민간(편대비행 등) 등과 관련하여 전체 드론 관제 부분에 활용되야 하는 필수 관제 및 보안시스템을 포함한다.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service is not limited to platform services, and includes essential control and security systems that must be used in the entire drone control part in relation to defense (military) and civilian (flight flight, etc.).

본 명세서에 있어서, 드론은 유인 항공기 및 무인 항공기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한다.In this specification, a drone is defined as a concept including both manned aircraft and unmanned aircraf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융복합 블록체인이 적용된 드론인증기반의 드론 보안 관리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드론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어단말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인증처리부에서 사용된 색 좌표계의 일 예시도이고, 도 5는 인증처리부에서 사용된 홍채 및 동공의 이완 및 수축 거리를 표시한 예시도이고, 도 6은 지문의 특징점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드론보안관리서버의 세부구성도이고,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에 적용된 융복합 블록체인의 일 예시도이고, 도 9a 내지 도 9d는 다자간 비행조종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1 is a network configuration diagram of a drone securi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drone authentication to which a fusion block chain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drone shown in FIG. 1, and FIG. It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terminal shown in, Figure 4 is an exemplary diagram of the color coordinate system used in the authentication processing unit, Figure 5 is an example showing the relaxation and contraction distances of the iris and pupil used in the authentication processing unit Fig. 6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characteristic points of a fingerprint, Fig. 7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drone security management server shown in Fig. 1, and Figs. 8A to 8C are an example of a fusion block chain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A to FIG. 9D are exemplary views for explaining a multilateral flight control process.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융복합 블록체인이 적용된 사용자 인증기반의 드론 관리 시스템(100)은 드론(200), 제어단말(300), 드론 관리서버(400)를 포함한다.First, as shown in FIG. 1, the drone management system 100 based on user authentication to which a fusion block ch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cludes a drone 200, a control terminal 300, and a drone management server ( 400).

이때, 퍼블릭 블록체인, 프라이빗 블록체인 및 컨소시엄 블록체인을 위한 플랫폼 또는 서버를 더 추가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융복합 블록체인이 적용된 드론인증 기반의 드론 보안 관리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At this time, you can add more platforms or servers for public blockchain, private blockchain, and consortium blockchain. However, since the drone security management system 100 based on drone authentication to which the fusion block chain of FIG. 1 is applied is on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ly interpreted through FIG. 1.

상기 융복합 블록체인이 적용된 드론인증기반의 드론 보안 관리 시스템(100)의 각 구성요소들 간의 통신은 위성 통신,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GSM(Global System for Mobile Network),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LTE Advanced, IEEE802.16m, WirelessMAN-Advanced, HSPA+,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Mobile WiMAX (IEEE 802.16e), UMB(formerly EV-DO Rev. C), Flash-OFDM, iBurst and MBWA (IEEE 802.20) systems, HIPERMAN, Beam-Division Multiple Access (BDMA),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및 초음파 활용 통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임의의 통신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Communication between the components of the drone security management system 100 based on drone authentication to which the convergence blockchain is applied is satellite communication, LAN (Local Area Network), 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Network). ),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Bluetooth(Bluetooth) , Zigbee, VoIP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LTE Advanced, IEEE802.16m, WirelessMAN-Advanced, HSPA+,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Mobile WiMAX (IEEE 802.16e), UMB (formerly EV-DO Rev) C), Flash-OFDM, iBurst and MBWA (IEEE 802.20) systems, HIPERMAN, Beam-Division Multiple Access (BDMA),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and an arbitrary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ultrasonic communication It can be done in a communication manner.

한편, 네트워크는 각 구성간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 등을 제공하는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network can provide an environment to enable communication between each configuration. For example, the TCP/IP protocol and various services existing in the upper layer, namely HTTP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 ( 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 etc. I can.

상기 드론(200)는 사용자의 드론인증정보를 기반으로 동작되는 무인 및/유인 비행장차로서, 사용자의 드론인증정보를 입력 또는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드론인증정보는 홍채, 얼굴, 지문, 정맥 및 음성을 포함하는 바이오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언급한 바이오 정보는 홍채, 얼굴, 지문, 정맥 및 음성 이외에도 사용자로부터 제공가능한 모든 형태의 인체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one 200 is an unmanned and/or manned aerodrome operated based on the user's dron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includes a means for inputting or receiving the user's drone authentication information. Here, the drone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y be bio-information including an iris, a face, a fingerprint, a vein, and a voice. The bio-information mention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ll types of human body information that can be provided by a user in addition to iris, face, fingerprint, vein, and voice.

또한, 상기 드론(200)은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 정보로 가공하여 암호화 정보 내의 해시값을 블록체인 암호화 전자지갑에 저장 및 관리하고, 이때, 드론(200)은 초기 설정된 사용자의 생체정보에 대한 암호화 해시값을 보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one 200 processes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into blockchain-based encryption information, and stores and manages the hash value in the encrypted information in the blockchain encryption electronic wallet. At this time, the drone 200 Encryption hash value for biometric information can be stored.

또한, 상기 드론(200)은 사용자 단말과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기 설정된 상황이 발생하면, 드론 인증정보로 동작이 활성화되도록 설정된 보안잠금 기능을 일시해제한 후, 근거리 통신방식으로 사용자가 설정한 단말로 해당 이벤트 상황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one 200 can perform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and when a preset situation occurs, temporarily release the security lock function set to activate the operation with the dron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then the user can use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ethod. The event situation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o the set terminal.

또한, 상기 드론(200)은 비행속도, 가속도, 회전각, 위치 및 고도에 대한 비행 기록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제어단말 및 상기 드론보안관리서버로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one 200 may generate flight record information for flight speed, acceleration, rotation angle, position and altitude, and then provide it to the control terminal and the drone security management server.

또한, 상기 드론(200)은 기 설정된 위험상황을 감지하면, 기 설정된 매뉴얼에 따라 자동 동작되고 상황에 따라 수동동작을 실시하고, 상기 기설정된 위험상황은 기상이변, 전자파, 포획, 외부상황 등에 따른 위치,고도,경로 이탈 및 전략,전술,명령 오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drone 200 detects a preset dangerous situation, the drone 200 automatically operates according to a preset manual and performs manual operation according to the situation, and the preset dangerous situation is based on extreme weather, electromagnetic waves, capture, and external situations. It can be any one of location, altitude, path deviation and strategy, tactics, and command errors.

또한, 드론(200)은 외부적인 충격을 받을 경우 사용자 단말 및/또는 제어단말로 이상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one 200 may provide an abnormal message to a user terminal and/or a control terminal when receiving an external shock.

또한, 드론(200)은 후술하는 드론보안관리서버(500)의 지령에 따라 타 드론과 릴레이 방식으로 비행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 상기 드론(200)은 타 드론과 비행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one 200 may share flight data with other drones in a relay manner according to the command of the drone security management server 500 to be described later. The drone 200 may share flight data with other drones.

한편, 드론(200)은 비행제어장치(201), 통신장치(202), 드론인증부(203) 및 전자지갑(204)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drone 200 may include a flight control device 201, a communication device 202, a drone authentication unit 203, and an electronic wallet 204.

상기 비행 제어 장치(201), 통신장치(202), 드론인증부(203) 및 전자지갑(204) 각각은 서로 물리적으로 및/또는 기능적으로 독립된 장치일 수 있다. Each of the flight control device 201, the communication device 202, the drone authentication unit 203, and the electronic wallet 204 may be physically and/or functionally independent devices.

즉, 각 장치는 독립된 전원으로부터 동력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각 장치 중 어느 하나가 동작하지 않더라도 다른 하나는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That is, each device may receive power from an independent power source, and even if one of the devices does not operate, the other may operate normally.

비행 제어 장치(201)는 제어단말(300)로부터 수신되는 원격 조종을 위한 조종 신호에 따라 드론(200)의 비행(예컨대, 이륙/착륙, 고도 제어, 방향 제어, 속도 제어) 및 기능(예컨대, 영상 촬영, 온도 측정, 물체 포획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비행 제어 장치(201)는 제어단말(300)과의 통신을 위한 UHF/VHF/3G/4G/5G 송수신기,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드론의 비행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부, 기능 수행을 위한 기능 제어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flight control device 201 is the flight of the drone 200 (eg, take-off/landing, altitude control, direction control, speed control) and functions (for exampl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or remote control received from the control terminal 300). Video shooting, temperature measurement, object capture, etc.) can be controlled. To this end, the flight control device 201 is a UHF/VHF/3G/4G/5G transceiver for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 terminal 300, a power supply supplying operation power, a driving unit for controlling the flight of the drone, and performing functions. It may include a function control unit for.

여기서, 구동부는 복수의 모터들 및 프로펠러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모터는 조종 신호에 의해 정해지는 속도로 해당 프로펠러를 회전시킬 수 있다. Here, 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motors and propellers, and each motor may rotate a corresponding propeller at a speed determined by a control signal.

또한, 실시예에 따라, 비행 제어 장치(201)는 드론(200)에 대한 비행제어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한 결과를 비행정보 처리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는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light control device 201 may further include a configuration capable of monitoring the flight control state of the drone 200 and transmitting the monitored result to the flight information processing server 500.

상기 통신부(202)는 제어단말(300) 및 드론보안관리서버(400)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한다. 상기 네트워크는 위성 통신,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GSM(Global System for Mobile Network),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 (Bluetooth), 지그비(Zigbee),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LTE Advanced, IEEE802.16m, WirelessMAN-Advanced, HSPA+,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Mobile WiMAX (IEEE 802.16e), UMB(formerly EV-DO Rev. C), Flash-OFDM, iBurst and MBWA (IEEE 802.20) systems, HIPERMAN, Beam-Division Multiple Access (BDMA),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및 초음파 활용 통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임의의 통신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는 각 구성간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 등을 제공하는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일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202 communicates with the control terminal 300 and the drone security management server 400 through a network. The network includes satellite communication, LAN (Local Area Network), 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Network), EDGE (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W-CDMA (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Bluetooth, Zigbee, VoIP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LTE Advanced, IEEE802.16m, WirelessMAN- Advanced, HSPA+,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Mobile WiMAX (IEEE 802.16e), UMB (formerly EV-DO Rev. C), Flash-OFDM, iBurst and MBWA (IEEE 802.20) systems, HIPERMAN, Beam-Division Multiple Access (BDMA),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and may be performed in an arbitrary communication metho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ultrasonic communication. On the other hand, the network can provide an environment to enable communication between each configuration. For example, the TCP/IP protocol and various services existing in the upper layer, namely HTTP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 ( 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 etc. I can.

다음으로, 드론인증부(203)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인식 및 판단하는 구성일 수 있다.Next, the drone authentication unit 203 may be configured to recognize and determine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상기 드론인증부(203)는 제1 생체인식부, 제2 생체인식부, 제3 생체인식부, 제4 생체인식부, 제5 생체인식부 및 확인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one authentication unit 203 may include a first biometric unit, a second biometric unit, a third biometric unit, a fourth biometric unit, a fifth biometric unit, and a verification unit.

상기 제1 생체인식부는 기 설정된 노출시간 동안 밝기가 가변되는 광 또는 특정 문양이나 글자 또는 숫자가 포함된 광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얼굴 윤곽, 안구(홍체), 눈썹, 코, 입, 귀의 위치와 형상정보를 비접촉 방식으로 인식하는 구성일 수 있다.(도 4, 도 5 참조)The first biometric recognition unit uses light whose brightness varies during a preset exposure time or light containing a specific pattern or letter or number to determine the location and shape of the user's face, eyes (iris), eyebrows, nose, mouth, and ears. It may be a configuration that recognizes information in a non-contact manner (see FIGS. 4 and 5).

상기 제2 생체인식부는 사용자의 손 전체 형상, 손등의 색상과 형상, 손가락 지문, 손가락 마디와 마디 간의 간격, 손톱형상, 혈맥 위치, 손등 주름을 접촉방식으로 인식하는 구성일 수 있다(도 6 참조).The second biometric recognition unit may be configured to recognize the entire shape of the user's hand, the color and shape of the back of the hand, a finger fingerprint, a gap between a finger joint and a node, a shape of a fingernail, a location of a blood vein, and a wrinkle on the back of the hand by a contact method (see FIG. 6 ). ).

상기 제2 생체인식부는 손의 손가락, 손바닥과 접촉되어, 손가락의 지문 및 손바닥의 손금 이미지 획득을 위한 광 경로를 제공하는 구성(투명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투명패널은 손바닥 및 손가락의 특정마디와 밀착되기 위한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예컨대, 투명패널의 제1 수직단면의 형상은 ○자형, U자형, ㄴ자형, ㄷ 자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패널은 휨 특성을 갖는 연성재질의 패널일 수 있다. 또한, 제2 수직단면의 형상은

Figure 112020086837503-pat00001
일 수 있다.The second biometric recognition unit may include a configuration (transparent panel) that is in contact with the fingers and palms of the hands and provides an optical path for acquiring fingerprints of the fingers and palm prints of the palms. Here, the transparent panel may be manufactured in a structure to be in close contact with a specific joint of a palm and a finger. For example, the shape of the first vertical cross section of the transparent panel may be manufactured in a ○ shape, a U shape, a b shape, or a c shape. In addition, the transparent panel may be a panel made of a flexible material having bending properties.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second vertical section is
Figure 112020086837503-pat00001
Can be

상기 제2 생체인식부는 투명패널의 하방에서 320nm 내지 450nm 단 파장이 광을 조사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biometric unit may include a configuration in which light having a short wavelength of 320 nm to 450 nm is irradiated under the transparent panel.

또한, 상기 제2 생체인식부는 복수 개의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 개의 센서들 중 어느 하나는 광을 이용하여 손바닥의 손금 형상을 검출하는 센서일 수 있고, 어느 하나는 광 또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손등의 주름 및 손가락 등의 주름을 검출하는 센서일 수 있고, 어느 하나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손등의 혈맥 형상을 검출하는 센서일 수 있고, 어느 하나는 광 또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손톱의 형상 및 손가락 마디의 형상을 검출하는 센서일 수 있고, 어느 하나는 광을 이용하여 손등의 색상을 검출하는 센서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biometric recognition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nsors, and one of the plurality of sensors may be a sensor that detects the shape of the palm of the palm using light, and one of the sensors uses light or ultrasonic waves. It may be a sensor that detects wrinkles on the back of the hand and wrinkles such as fingers, and one of them may be a sensor that detects the shape of blood veins on the back of the hand using ultrasonic waves, and one of them may be a shape of a fingernail and a finger joint using light or ultrasonic waves. It may be a sensor that detects the shape of, and any one may be a sensor that detects the color of the back of the hand using light.

상기 제3 생체인식부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구성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특정 단어 발성에 따른 특징정보(예컨대, 그루브)를 인식하는 구성일 수 있다. 여기서, 특징정보는 사용자 음성의 Mel-Frequency Cepstral Coefficients, Short Time Energy, Zero Crossing Rate, Spectral Rolloff, Spectral Flux, Spectral Centroid 등일 수 있다.The third biometric recognition unit may be configured to recognize a user's voice, and more specifically, may be configured to recognize feature information (eg, a groove) according to a specific word utterance. Here,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may be Mel-Frequency Cepstral Coefficients, Short Time Energy, Zero Crossing Rate, Spectral Rolloff, Spectral Flux, Spectral Centroid of the user's voice.

상기 제4 생체인식부는 사용자의 모션정보를 인식하는 구성으로, 영상을 기초로 사용자의 모션을 인식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드론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구성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4 생체인식부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검출하기 위한 자이로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fourth biometric recognition unit may be configured to recognize motion information of a user, and may be configured to recognize a motion of a user based on an image or a motion of a drone according to a motion of the user. Here, the fourth biometric recognition unit may include a gyro sensor or the like for detecting a user's movement.

상기 제5 인식모듈(미도시)은 사용자의 타액으로부터 유전자를 인식하는 구성일 수 있다. The fifth recognition module (not shown) may be configured to recognize genes from saliva of a user.

다음으로, 확인부는 사용자로부터 제공한 생체정보와 기 등록된 생체정보와의 동일성 여부를 판단하는 구성일 수 있다.Next, the verification unit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he biometric information provided by the user is identical to the previously registered biometric information.

다음으로, 블록체인 암호화부(204)는 사용자에 따라 드론인증정보를 해시함수 기반의 해시값으로 변환한 후, 외부 해킹으로부터 드론인증정보의 유출을 차단하도록 블록체인 암호화 전자지갑에 해당 드론인증정보를 등록저장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드론인증정보는 홍채, 얼굴, 지문, 정맥 및 음성을 포함하는 바이오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이거나 인증서, 보안번호, 해시값을 포함한다.Next, the blockchain encryption unit 204 converts the dron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to a hash value based on a hash function according to the user, and then converts the drone authentication information to the blockchain encryption electronic wallet to block the leakage of the dron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external hacking. It may be a configuration that registers and stores. The dron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any one or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of bio-information including iris, face, fingerprint, vein and voice, or includes a certificate, a security number, and a hash value.

여기서, 블록체인 암호화부(204)는 상기 드론의 사용주체가 기업 또는 기관일 경우, 컨소시엄 블록체인 내에 상기 기업 또는 기관 또는 그룹에서 등록한 드론인증정보의 해쉬함수 기반의 해시값을 등록 및 관리하하고, 상기 드론의 사용주체가 개인 또는 사 그룹일 경우, 프라이빗 블록체인 또는 퍼블릭 블록체인 내에 상기 사용주체에서 등록한 등론인증정보의 해쉬합수 기반의 해시값을 등록 및 관리한다.Here, the blockchain encryption unit 204 registers and manages the hash value based on the hash function of the drone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consortium blockchain in the consortium block chain when the drone user is a company or institution, and , If the drone's user is an individual or private group, a hash value based on the hash sum of the isoron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gistered by the user is registered and managed in a private blockchain or a public blockchain.

여기서, 프라이빗, 퍼블릭 및 컨소시엄 블록체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Here, a detailed description of private, public and consortium blockchains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상기 드론(200)는 외부 단말인 제어단말 또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인증정보를 수신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Meanwhile, the drone 200 may be designed to receive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a control terminal or a user terminal that is an external terminal.

즉, 드론(200)는 제어단말(300)과 사용자 단말과의 양방향 네트워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드론(200)에 전송되는 사용자 인증정보 및 제어정보는 보안을 위해 블록체인, 하드세팅 기술과 접목되어 제공될 수 있다.That is, the drone 200 may form a two-way network between the control terminal 300 and the user terminal. In addition,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control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drone 200 may be provided in combination with a block chain and hard setting technology for security.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어단말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terminal shown in FIG. 1.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개시하는 제어단말(300)은 융복합 블록체인 기반 드론 관리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드론과 연동되며 드론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비행데이터, 기상 데이터,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3, the control terminal 300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linked to the drone using a web page, app page, program or application related to a drone management service based on a convergence block chain, and a flight required to control the drone It may be a terminal that receives and outputs data, weather data, and location data.

또한, 제어단말(300)은 드론(200)을 제어하기 위하여 드론에 엑세스하기 위한 개인 또는 공용 드론인증 데이터를 설정하는 단말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terminal 300 may be a terminal that sets personal or public drone authentication data for accessing the drone in order to control the drone 200.

그리고, 제어단말(300)은, 퍼블릭 블록체인, 프라이빗 블록체인 또는 컨소시엄 블록체인을 이루는 어느 하나의 노드일 수 있고, 개인 또는 공용 드론인증 데이터를 설정한 후 생성된 초기생성키를 드론보안관리서버(500)로부터 제공하고 저장하는 단말일 수 있다. And, the control terminal 300 may be any one node constituting a public blockchain, a private blockchain, or a consortium blockchain, and the initial generated key generated after setting personal or public drone authentication data is a drone security management server. It may be a terminal provided and stored from 500.

여기서, 제어단말(3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단말(3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단말(3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control terminal 3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that can access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navigation system, a notebook equipped with a web browser, a desktop, a laptop, and the like. The control terminal 300 may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The control terminal 300, for example, as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is guaranteed portability and mobility, navigation,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PHS ( 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terminal , All kind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a smartphone, a smart pad, and a tablet PC.

상기 제어단말(300)은 사용자의 생체정보인 드론인증정보를 기초로 드론(200)와의 네트워크 접속을 수행하여, 드론(200)의 비행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일 수 있다.The control terminal 300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flight operation of the drone 200 by performing network access with the drone 200 based on drone authentication information, which is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또한, 상기 제어단말(300)은 사용자의 드론인증정보를 안면정보, 안구정보, 혈맥정보, 지문정보, 타액정보 등과 같은 바이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식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terminal 300 may include at least one recognition means capable of identifying at least one of bio-information such as facial information, eye information, blood vein information, fingerprint information, saliva information, etc. have.

또한 상기 제어단말(300)은 사용자 생체정보를 해시함수 기반의 해시값으로 가공한 후, 블록체인 암호화 전자지갑에 저장하여 관리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terminal 300 processes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into a hash value based on a hash function, and then stores and manages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in a blockchain-encrypted electronic wallet.

또한, 상기 제어단말(300)은 기 설정된 상황이 발생하면, 드론 인증정보로 동작이 활성화되도록 설정된 보안잠금 기능을 일시해제한 후, 근거리 통신방식으로 사용자가 설정한 단말로 해당 이벤트 상황정보를 제공한다.In addition, when a preset situation occurs, the control terminal 300 temporarily releases the security lock function set to activate the operation with dron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then provides the event situation information to the terminal set by the user in a short-range communication method. do.

또한, 제어단말(300)은 상기 드론의 사용주체가 기업 또는 기관일 경우, 컨소시엄 블록체인 내에 상기 기업 또는 기관 또는 그룹에서 등록한 드론인증정보의 해쉬함수 기반의 해시값을 등록 및 관리하고, 상기 드론의 사용주체가 개인일 경우, 프라이빗 블록체인 또는 퍼블릭 블록체인 내에 상기 사용주체에서 등록한 등론인증정보의 해쉬합수 기반의 해시값을 등록 및 관리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terminal 300 registers and manages a hash value based on the hash function of the drone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gistered by the company, institution, or group in the consortium blockchain in the case that the drone user is a company or institution, and the drone If the user of is an individual, a hash value based on the hash sum of the isometric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gistered by the user is registered and managed in a private blockchain or a public blockchain.

또한, 상기 제어단말(300)은 드론인증정보를 기초로 드론과의 네트워크 도킹을 수행한 후, 상기 드론의 비행을 제어하는 단말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terminal 300 may be a terminal that controls the flight of the drone after performing network docking with the drone based on drone authentication information.

또한, 상기 제어단말(300)은 네트워크 도킹정보(접속횟수, 접속시간, 현위치정보)를 상기 드론보안관리서버로 송출하고, 기 설정된 횟수 동안에 사용자가 인증에 실패하면, 현 위치정보 및 도난신고정보를 상기 드론보안관리서버로 송출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terminal 300 transmits network docking information (access number, access tim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to the drone security management server, and if the user fails to authenticate during a preset number of times,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theft report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drone security management server.

또한, 상기 제어단말(300)은 기 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들이 동일한 드론에 접속하여 릴레이 방식으로 해당 드론을 제어(조정)할 수 있는 멀티 접속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terminal 300 may be a terminal that performs a multi-access control function in which at least one or more users located within a preset radius access the same drone and control (adjust) the drone in a relay manner.

또한, 상기 제어단말은 드론과의 네트워크 접속시 드론의 비행 제어 장치(201) 및 비행 기록 전송 장치(202)에서 송출되는 제어정보 및 비행정보를 후술하는 비행정보 처리서버로 전송되도록 중계하는 중계기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terminal is a repeater function that relays control information and fligh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flight control device 201 and the flight record transmission device 202 of the drone to a flight information processing server to be described later when a network connection with the drone is connected. You can also do

또한, 상기 제어단말(300)은 개인 조종 비행모드 및 다자간 조종 비행모드 중 어느 하나로 상기 드론의 비행을 제어하고, 상기 다자간 조종 비행모드는 기 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들이 동일한 드론에 접속하여 릴레이 방식으로 해당 드론을 제어(조정)하기 위한 멀티 접속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단말은 상기 다자간 조종 비행모드를 선택할 경우, 상기 드론을 릴레이 방식으로 제어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제어단말의 ID를 상기 드론보안관리서버로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terminal 300 controls the flight of the drone in one of a personal control flight mode and a multi-person flight mode, and in the multi-party control flight mode, at least one or more users located within a preset radius access the same drone. Thus, it may be a terminal that performs a multi-access control function for controlling (adjusting) the drone in a relay manner. Here, the control terminal may provide the ID of at least one sub-control terminal to control the drone in a relay manner to the drone security management server when the multi-person control flight mode is selected.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단말(300)은 조작부(310), 인증부(320), 네트워크 도킹부(330), 통신부(340), 표시부(350), 멀티 접속 제어부(360) 및 블록체인 암호화부(370)를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terminal 300 includes an operation unit 310, an authentication unit 320, a network docking unit 330, a communication unit 340, a display unit 350, a multi-connection control unit 360, and a block chain encryption unit. Includes 370.

조작부(310)는 드론의 복수 개의 회전구동체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한쌍의 컨트롤스틱이 구비될 수 있고, 한쌍의 컨트롤스틱의 조작에 따른 각도 및 변위에 따른 드론의 비행제어신호를 제공한다.The operation unit 310 may be provided with a pair of control stick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plurality of rotational actuators of the drone, and provides a flight control signal of the drone according to the angle and displacemen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air of control sticks.

일 예로서, 한 쌍의 컨트롤스틱 중, 일측의 컨트롤스틱은 Z축을 기준으로 하는 드론의 기체의 회전 또는 기체의 승강을 위한 Z축 방향 이동에 필요한 비행제어신호를 생성하되, 일측 컨트롤스틱의 조작에 따른 변위값은 기체의 Z축 기준 회전속도 또는 승강을 위한 Z축 방향 이동 속도에 정비례하게 비행제어신호에 반영된다.As an example, of a pair of control sticks, one of the control sticks generates a flight control signal required for rotation of the drone based on the Z-axis or movement in the Z-axis direction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aircraft, but manipulating one control stick. The displacement value according to is reflected in the flight control signal in direct proportion to the rotational speed based on the Z-axis of the aircraft or the moving speed in the Z-axis direction for elevation.

또한, 타측 컨트롤스틱은 Z축을 기준으로 전후(Y축)좌우(X축) 방향 이동에 필요한 비행제어신호를 생성하되, 타측 컨트롤스틱의 조작에 따른 변위값은 기체(11)의 전후좌우 이동 속도에 정비례하게 비행제어신호에 반영된다.In addition, the control stick on the other side generates a flight control signal required for movement in the forward/backward (Y-axis) left/right (X-axis) direction based on the Z-axis, but the displacement valu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ther control stick is the speed of movement of the aircraft 11 It is reflected in the flight control signal in direct proportion to.

다음으로, 인증부(320)는 사용자로부터 제공된 생체정보, 모션정보, 음성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식별하기 복수 개의 인증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Next, the authentication unit 3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authentication means for identifying at least one or more of biometric information, motion information, and voic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user.

또한, 인증부(320)는 사용자로부터 복수 개의 인증모듈의 인증순서를 입력받아 설정할 수 있다. 가령, ①생체정보인식 → ②모션 정보 인식 → ③ 음성인식 순으로 인증절차를 진행할 수 있고, 상술한 순서 이외의 다른 순서로 인증하거나 또는 추가 인증방식을 적용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Also, the authentication unit 320 may receive and set the authentication order of a plurality of authentication modules from a user. For example, ①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tion → ② motion information recognition → ③ voice recognition can be performed in the order of authentication, and authentication in an order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order or additional authentication methods can be applied.

보다 구체적으로, 인증부(320)는 복수 개의 생체정보 인식부를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authentication unit 3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tion units.

상기 제1 생체인식부는 기 설정된 노출시간 동안 밝기가 가변되는 광 또는 특정 문양이나 글자 또는 숫자가 포함된 광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얼굴 윤곽, 안구(홍체), 눈썹, 코, 입, 귀의 위치와 형상정보를 비접촉 방식으로 인식하는 구성일 수 있다.(도 4, 도 5 참조)The first biometric recognition unit uses light whose brightness varies during a preset exposure time or light containing a specific pattern or letter or number to determine the location and shape of the user's face, eyes (iris), eyebrows, nose, mouth, and ears. It may be a configuration that recognizes information in a non-contact manner (see FIGS. 4 and 5).

상기 제2 생체인식부는 사용자의 손 전체 형상, 손등의 색상과 형상, 손가락 지문, 손가락 마디와 마디 간의 간격, 손톱형상, 혈맥 위치, 손등 주름을 접촉방식으로 인식하는 구성일 수 있다(도 6 참조).The second biometric recognition unit may be configured to recognize the entire shape of the user's hand, the color and shape of the back of the hand, a finger fingerprint, a gap between a finger joint and a node, a shape of a fingernail, a location of a blood vein, and a wrinkle on the back of the hand by a contact method (see FIG. 6 ). ).

상기 제2 생체인식부는 손의 손가락, 손바닥과 접촉되어, 손가락의 지문 및 손바닥의 손금 이미지 획득을 위한 광 경로를 제공하는 구성(투명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투명패널은 손바닥 및 손가락의 특정마디와 밀착되기 위한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예컨대, 투명패널의 제1 수직단면의 형상은 ○자형, U자형, ㄴ자형, ㄷ 자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패널은 휨 특성을 갖는 연성재질의 패널일 수 있다. 또한, 제2 수직단면의 형상은

Figure 112020086837503-pat00002
일 수 있다.The second biometric recognition unit may include a configuration (transparent panel) that is in contact with the fingers and palms of the hands and provides an optical path for acquiring fingerprints of the fingers and palm prints of the palms. Here, the transparent panel may be manufactured in a structure to be in close contact with a specific joint of a palm and a finger. For example, the shape of the first vertical cross section of the transparent panel may be manufactured in a ○ shape, a U shape, a b shape, or a c shape. In addition, the transparent panel may be a panel made of a flexible material having bending properties.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second vertical section is
Figure 112020086837503-pat00002
Can be

상기 제2 생체인식부는 투명패널의 하방에서 320nm 내지 450nm 단 파장이 광을 조사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biometric unit may include a configuration in which light having a short wavelength of 320 nm to 450 nm is irradiated under the transparent panel.

또한, 상기 제2 생체인식부는 복수 개의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 개의 센서들 중 어느 하나는 광을 이용하여 손바닥의 손금 형상을 검출하는 센서일 수 있고, 어느 하나는 광 또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손등의 주름 및 손가락 등의 주름을 검출하는 센서일 수 있고, 어느 하나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손등의 혈맥 형상을 검출하는 센서일 수 있고, 어느 하나는 광 또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손톱의 형상 및 손가락 마디의 형상을 검출하는 센서일 수 있고, 어느 하나는 광을 이용하여 손등의 색상을 검출하는 센서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biometric recognition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nsors, and one of the plurality of sensors may be a sensor that detects the shape of the palm of the palm using light, and one of the sensors uses light or ultrasonic waves. It may be a sensor that detects wrinkles on the back of the hand and wrinkles such as fingers, and one of them may be a sensor that detects the shape of blood veins on the back of the hand using ultrasonic waves, and one of them may be a shape of a fingernail and a finger joint using light or ultrasonic waves. It may be a sensor that detects the shape of, and any one may be a sensor that detects the color of the back of the hand using light.

상기 제3 생체인식부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구성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특정 단어 발성에 따른 특징정보(예컨대, 그루브)를 인식하는 구성일 수 있다. 여기서, 특징정보는 사용자 음성의 Mel-Frequency Cepstral Coefficients, Short Time Energy, Zero Crossing Rate, Spectral Rolloff, Spectral Flux, Spectral Centroid 등일 수 있다.The third biometric recognition unit may be configured to recognize a user's voice, and more specifically, may be configured to recognize feature information (eg, a groove) according to a specific word utterance. Here,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may be Mel-Frequency Cepstral Coefficients, Short Time Energy, Zero Crossing Rate, Spectral Rolloff, Spectral Flux, Spectral Centroid of the user's voice.

상기 제4 생체인식부는 사용자의 모션정보를 인식하는 구성으로, 영상을 기초로 사용자의 모션을 인식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드론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구성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4 생체인식부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검출하기 위한 자이로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fourth biometric recognition unit may be configured to recognize motion information of a user, and may be configured to recognize a motion of a user based on an image or a motion of a drone according to a motion of the user. Here, the fourth biometric recognition unit may include a gyro sensor or the like for detecting a user's movement.

상기 제5 인식모듈(미도시)은 사용자의 타액으로부터 유전자를 인식하는 구성일 수 있다. The fifth recognition module (not shown) may be configured to recognize genes from saliva of a user.

다음으로, 확인부는 사용자로부터 제공한 생체정보와 기 등록된 생체정보와의 동일성 여부를 판단하는 구성일 수 있다.Next, the verification unit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he biometric information provided by the user is identical to the previously registered biometric information.

일 예로, 확인부는 제1 생체정보 인식부)에서 획득한 얼굴 형상 이미지에서 눈, 코, 입, 귀 등의 형상 이미지 및/또는 안구 이미지 내에서 홍채 및 동공 영역의 이미지를 추출하여 2차원 코드로 가공처리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verification unit extracts the image of the iris and pupil area from the shape image of the eye, nose, mouth, ear, etc. and/or the eyeball image from the face shape image acquired by the first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Can be processed.

다른 일 예로, 확인부는 제2 생체정보 인식부에서 검출된 이미지 정보로부터, 손바닥 손금, 지문, 손가락 등부분, 손 전체의 등부분, 손마디 간격, 손톱 모양, 혈맥 등의 이미지 정보의 특징점을 추출하여 2차원 코드로 가공처리한다.As another example, the verification unit extracts feature points of image information such as palm palm, fingerprint, back part of the finger, back part of the entire hand, hand joint spacing, nail shape, blood vein, etc. from the imag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cond biometric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And process it into a two-dimensional code.

특징점은 복수 개의 센서 중 지문, 손금, 주름 등과 관련된 이미지 내에 융선들 마다 굴곡이 가장 큰 지점에 생성된 점을 의미하며, 각 특징점에는 위치에 대응되는 좌표 정보가 포함된다.A feature point refers to a point generated at a point where each ridge has the largest curvature in an image related to fingerprints, palm prints, wrinkles, etc. among a plurality of sensors, and each feature point includes coordina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location.

본원의 특징점은 손등, 특정 손가락의 부분 이미지(손톱, 손가락 등주름, 손마디 간격)에 표시된 융선의 굴곡을 탐색하여 부여된 점일 수 있다. The feature poi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a point assigned by searching for the curvature of the ridge displayed on the back of the hand and a partial image of a specific finger (nail, finger back wrinkles, finger joint intervals).

본원은 특징점 설정 알고리즘으로 FAST(Features from Accelerated Segment Test) 알고리즘을 사용하며, 각 이미지에서 특징점이 추출되면 이미지 상에서의 특징점 x, y 좌표로 저장된다. 상기 특징점 설정 알고리즘은 설정된 각 특징점에 서술자(Descriptor)를 제공하며, 서술자란 특징점 주변 픽셀들을 가지고 특징점에 대한 특징을 정의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융선의 흐름방향 및 크기변화 등의 특징 정보가 정의된다.The present application uses the FAST (Features from Accelerated Segment Test) algorithm as a feature point setting algorithm, and when feature points are extracted from each image, the feature points on the image are stored as x and y coordinates. The feature point setting algorithm provides a descriptor to each set feature point, and the descriptor defines a feature for the feature point with pixels around the feature point. For example, characteristic information such as a change in flow direction and size of a ridge is defined.

다음으로, 블록체인 암호화부(370)는 사용자에 따라 드론인증정보를 해시함수 기반의 해시값으로 변환한 후, 외부 해킹으로부터 드론인증정보의 유출을 차단하도록 블록체인 암호화 전자지갑에 해당 드론인증정보를 등록저장하는 구성일 수 있다.Next, the blockchain encryption unit 370 converts the dron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to a hash value based on a hash function according to the user, and then converts the drone authentication information to the blockchain encryption electronic wallet to block the leakage of the dron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external hacking. It may be a configuration that registers and stores.

여기서, 블록체인 암호화부(370)는 상기 제어단말의 사용주체가 기업 또는 기관일 경우, 컨소시엄 블록체인 내에 상기 기업 또는 기관 또는 그룹에서 등록한 드론인증정보의 해쉬함수 기반의 해시값을 등록 및 관리하하고, 상기 드론의 사용주체가 개인 또는 사 그룹일 경우, 프라이빗 블록체인 또는 퍼블릭 블록체인 내에 상기 사용주체에서 등록한 등론인증정보의 해쉬합수 기반의 해시값을 등록 및 관리한다.Here, the block chain encryption unit 370 registers and manages a hash value based on the hash function of the drone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gistered by the company, institution or group in the consortium block chain when the subject of use of the control terminal is a company or institution. And, when the subject of using the drone is an individual or a private group, a hash value based on the hash sum of the isoron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gistered by the user is registered and managed in a private blockchain or a public blockchain.

여기서, 프라이빗, 퍼블릭 및 컨소시엄 블록체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Here, a detailed description of private, public and consortium blockchains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상기 제어단말(300)는 외부 단말인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인증정보를 수신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terminal 300 may be designed to receive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a user terminal that is an external terminal.

즉, 제어단말과 사용자 단말과의 양방향 네트워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드론(200)에 전송되는 사용자 인증정보 및 제어정보는 보안을 위해 블록체인, 하드세팅 기술과 접목되어 제공될 수 있다.That is, a two-way network between the control terminal and the user terminal can be formed. In addition,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control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drone 200 may be provided in combination with a block chain and hard setting technology for security.

다음으로, 네트워크 도킹부(230)는 신원인증부(320)의 신원인증처리가 완료되면, 상기 제어단말(300)에 할당(설정)된 드론과 통신부 간의 고유 네트워크 IP로 상기 드론과의 통신접속을 수행하며, 기 설정된 통신구역 내에서 고유 네트워크 IP를 추적한다.Next, when the identity authentication process of the identity authentication unit 320 is completed, the network docking unit 230 communicates with the drone through a unique network IP between the drone assigned (set) to the control terminal 300 and the communication unit. And traces the unique network IP within the preset communication area.

또한, 상기 네트워크 도킹부(330)는 후술하는 멀티 접속 제어부(360)를 통해 다자간 비행모드로 선택 시, 후술하는 네트워크부(430)로부터 가상 네트워크 IP그룹을 할당받은 후, 기존이 네트워크 도킹을 차단하고, 가상 네트워크 그룹 IP로 드론과 네트워크 도킹을 재시도한다. In addition, when the network docking unit 330 selects the multi-party flight mode through the multi-access control unit 360 to be described later, after receiving a virtual network IP group from the network unit 430 to be described later, the existing network docking is blocked. Then, retry docking the drone with the network with the virtual network group IP.

상기 통신부(340)는 드론 및 드론보안관리서버(400)와 네크워크 망으로 통신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340 may be a configuration for communicating with the drone and the drone security management server 400 through a network network.

여기서, 네트워크는 위성 통신,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GSM(Global System for Mobile Network),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LTE Advanced, IEEE802.16m, WirelessMAN-Advanced, HSPA+, 3GPP Long Term Evolution(LTE), Mobile WiMAX (IEEE 802.16e), UMB(formerly EV-DO Rev. C), Flash-OFDM, iBurst and MBWA (IEEE 802.20) systems, HIPERMAN, Beam-Division Multiple Access (BDMA),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및 초음파 활용 통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임의의 통신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Here, the network is satellite communication, LAN (Local Area Network), 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Network), EDGE (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Bluetooth, Zigbee, VoIP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LTE Advanced, IEEE802.16m, WirelessMAN -Advanced, HSPA+,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Mobile WiMAX (IEEE 802.16e), UMB (formerly EV-DO Rev. C), Flash-OFDM, iBurst and MBWA (IEEE 802.20) systems, HIPERMAN, Beam-Division It may be performed by any communication metho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ultiple Access (BDMA),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and ultrasonic communication.

한편, 네트워크는 각 구성간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 등을 제공하는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network can provide an environment to enable communication between each configuration. For example, the TCP/IP protocol and various services existing in the upper layer, namely HTTP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 ( 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 etc. I can.

상기 표시부(350)는 드론에서 촬영된 촬영영상, 드론의 비행상태정보, 드론이 비행하는 지역의 지리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350 may display a photographed image captured by a drone, flight status information of the drone, and geographic information of a region in which the drone is flying.

또한, 표시부(350)는 제어단말과 드론 간의 네트워크 도킹상태, 비행모드(개인 조종 비행모드 또는 다자간 조종 비행모드)를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350 may display a network docking state between the control terminal and the drone, and a flight mode (individual flight mode or multi-party flight mode).

또한, 표시부(350)는 드론이 비행제한구역을 진입시 화면이 점멸되도록 표시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350 may include a function of displaying a screen to flash when the drone enters the flight restriction zone.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Liquid Crystal Display (LCD),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Flexible Display, 3D Display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3D display), an e-ink display, and a light emitting diode (LED).

상기 멀티 접속 제어부(360)는 하나의 드론을 복수의 제어단말과 릴레이 방식으로 비행제어하기 위한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The multi-access control unit 360 may be a configuration for selecting a mode for flight control of one drone with a plurality of control terminals and a relay method.

상기 멀티 접속 제어부(360)는 다자간 비행조정을 하기 위한 서브 제어단말의 ID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입력수단은 메모리에 저장된 기 등록된 서브 제어단말의 ID를 불러올수 있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The multi-connection control unit 360 may include an input means for inputting an ID of a sub-control terminal for multi-party flight adjustment. Here, the input means may include a function of recalling the ID of a pre-registered sub-control terminal stored in the memory.

또한, 상기 멀티 접속 제어부(360)는 네트워크 도킹부(330)와 연동되며, 후술하는 드론보안관리서버(400)로부터 가상 네트워크 그룹 IP를 수신한 후, 드론과 연결된 네트워크 도킹을 해제한 후, 수신한 네트워크 그룹 IP로 재도킹 지시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multi-access control unit 360 is interlocked with the network docking unit 330, after receiving the virtual network group IP from the drone security management server 400 to be described later, releasing the network docking connected to the drone, and receiving Performs the function of providing re-dock instruction information to one network group IP.

즉, 네트워크 도킹부(330)는 멀티 접속 제어부(360)의 통제하에 네트워크 도킹, 예컨대, 유무선 네트워크 도킹 또는 블루투스 페어링(연결, 연동)을 시도 및 해제를 수행할 수 있다.That is, the network docking unit 330 may attempt and release network docking, for example, wired/wireless network docking or Bluetooth pairing (connection, interlocking) under the control of the multi-access control unit 360.

다음으로, 드론보안관리서버(400)는 융복합 블록체인 기반 드론 관리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Next, the drone security management server 400 may be a server that provides a drone management service web page, an app page, a program, or an application based on a convergence block chain.

그리고, 드론보안관리서버(400)는, 상기 드론(200) 및 제어단말(300) 간의 네트워킹 및 위치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드론인증정보를 등록한 주체에 따라 상기 드론 인증정보의 해시값을 프라이빗 블록체인, 퍼블릭 블록체인 또는 컨소시엄 블록체인에 분산저장관리하고, 상기 주체명의로 등록한 드론 및 제어단말에서 발생되는 운영 및 동작정보를 해당 블록체인에 분산저장하여 등록관리한다.And, the drone security management server 400 monitors the networking and location between the drone 200 and the control terminal 300, and converts the hash value of the dron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to a private blockchain according to the entity that registered the drone authentication information. , Distributed storage and management in the public blockchain or consortium blockchain, and the operation and oper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drone and control terminal registered under the subject name are distributed and stored in the corresponding blockchain for registration and management.

상기 드론보안관리서버(400)는 상기 드론(200)의 사용주체가 기업 또는 기관일 경우, 컨소시엄 블록체인 내에 상기 기업 또는 기관 또는 그룹에서 등록한 드론인증정보의 해쉬함수 기반의 해시값을 등록 및 관리하하고, 상기 드론의 사용주체가 개인일 경우, 프라이빗 블록체인 또는 퍼블릭 블록체인 내에 상기 사용주체에서 등록한 등론인증정보의 해쉬합수 기반의 해시값을 등록 및 관리하는 서버일 수 있다.The drone security management server 400 registers and manages the hash value based on the hash function of the drone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gistered by the company, organization or group in the consortium blockchain in case the user of the drone 200 is a company or an institution. Ha, and, when the subject of using the drone is an individual, it may be a server that registers and manages a hash value based on the hash sum of the isoron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gistered by the user in a private blockchain or a public blockchain.

상기 드론 보안 관리서버(400)는 상기 드론(200) 및 제어단말(300) 중 어느 하나에서 드론인증오류가 송출되면, 상기 주체가 등록한 단말로 도난/분실 정보를 제공한 후, 상기 드론 및 제어단말 간의 네트워킹을 차단할 수 있다.When a drone authentication error is transmitted from any one of the drone 200 and the control terminal 300, the drone security management server 400 provides theft/lost information to the terminal registered by the subject, and then the drone and control Networking between terminals can be blocked.

상기 드론보안관리서버(40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분실 또는 도난 신고가 접수되면, 도난 또는 분실로 인지된 시점부터 신고접수 시점까지 해당 드론에서 기록한 위치, 녹화, 녹음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When a report of loss or theft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the drone security management server 400 provides the location, recorded, and recorded data recorded by the drone from the point when the report is received from the point when it is recognized as theft or loss to the user terminal. I can.

또한, 드론보안관리서버(400)는상기 제어단말에서 송출한 다자간 네트워크 접속 승인,정보 및 블루투스 페어링 접속 승인,정보를 기초로 가상의 네트워크 그룹 IP를 생성하여 송출하고, 송출된 가상의 네트워크 그룹 IP의 접속정보 및 또는 GPS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구성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drone security management server 400 generates and transmits a virtual network group IP based on the multi-party network connection approval, information and Bluetooth pairing connection approval, and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terminal, and the transmitted virtual network group IP It may be a configuration that checks the access information and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in real time.

또한, 드론보안관리서버(400)는 제어단말(300)에서 송출한 다자간 네트워크 접속 승인정보를 기초로 가상의 공유 네트워크 IP를 생성하여 송출하고, 송출된 가상의 공유 네트워크 IP의 접속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구성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drone security management server 400 generates and transmits a virtual shared network IP based on the multi-party network access approval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terminal 300, and transmits access information of the transmitted virtual shared network IP in real time. It may be a configuration to check.

또한, 드론보안관리서버(400)는 드론(200)가 비행제한구역에 진입할 경우, 원격으로 드론과 제어단말 간의 네트워크 접속을 강제로 차단하고, 해당 드론(200)의 비행제어를 원격으로 조정하여 인근지면에 착륙하도록 제어하는 구성일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drone 200 enters the flight restriction area, the drone security management server 400 forcibly blocks the network connection between the drone and the control terminal remotely, and remotely controls the flight control of the drone 200 Thus, it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o land on a nearby ground.

여기서, 상기 드론보안관리서버(4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drone security management server 4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that can access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navigation system, a notebook equipped with a web browser, a desktop, a laptop, and the like.

보다 구체적으로,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 드론보안관리서버(400)는 인증관리서버(410), 비행정보 처리서버(420) 및 네트워크부(430)를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S. 7 to 10, the drone security management server 400 includes an authentication management server 410, a flight information processing server 420, and a network unit 43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보안관리서버(400)와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제어단말(300)로 융복합 블록체인 기반 드론 관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제어단말(300)은, 융복합 블록체인 기반 드론 관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Another server (not shown)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the drone security management server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vergence block chain-based drone management service application, program, and app page with at least one control terminal 300 , When transmitting a web page, the control terminal 300 may install or open a drone management service application, a program, an app page, a web page, etc. based on a convergence block chain. In addition, a service program may be driven in at least one user terminal by using a script executed in a web browser. Here, the web browser is a program that allows you to use the Web (WWW: World Wide Web) service, which means a program that receives and displays hypertext described in HTML (Hyper Text Mark-up Language). For example, Netscape , Explorer, Chrome, etc. In addition, the application refers to an application program on the terminal, and includes, for example, an app running on a mobile terminal (smartphone).

한편, 상기 인증관리서버(410)는 등록된 드론을 사용하는 사용주체에 따라 해당 드론의 드론인증정보에 대한 암호화 해쉬값을 블록체인에 분산저장하는 구성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authentication management server 410 may be a configuration that distributes and stores an encryption hash value for the dron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a corresponding drone in a block chain according to a user using a registered drone.

예컨대, 인증관리서버(410)는 드론의 사용주체가 기업 또는 기관일 경우, 컨소시엄 블록체인 내에 상기 기업 또는 기관 또는 그룹에서 등록한 드론인증정보의 해쉬함수 기반의 해시값을 등록 및 관리하고, 상기 드론의 사용주체가 개인일 경우, 프라이빗 블록체인 또는 퍼블릭 블록체인 내에 상기 사용주체에서 등록한 등론인증정보의 해쉬합수 기반의 해시값을 등록 및 관리한다.For example, the authentication management server 410 registers and manages a hash value based on the hash function of the drone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consortium block chain in the consortium block chain when the drone user is a company or institution, and the drone If the user of is an individual, a hash value based on the hash sum of the isometric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gistered by the user is registered and managed in a private blockchain or a public blockchain.

이하에서 본원에서 사용하는 프라이빗, 퍼블릭 및 컨소시엄 블록체인의 간단한 개념을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simple concept of the private, public and consortium blockchain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first described.

퍼블릭 블록체인은 권위 있는 조직의 승인 없이 노드의 자유의사에 따라 네트워크 참여가 가능한 블록체인이다. 조직이 블록체인을 활용한 비즈니스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해당 비즈니스가 효과성, 효율성, 기밀성, 무결성, 가용성, 준거성, 신뢰성의 7가지 비즈니스 요구사항을 만족하는지 고려해야 한다. 하지만 조직이 퍼블릭 블록체인을 활용하여 비즈니스를 수행하면 퍼블릭 블록체인의 고질적인 4가지 한계점으로 인해 비즈니스 요구사항을 만족시킬 수 없다. 퍼블릭 블록체인의 4가지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The public blockchain is a blockchain that allows nodes to participate in the network at the free will of the node without authorization from an authoritative organization. In order for an organization to conduct business using blockchain, it must consider whether the business satisfies the seven business requirements: effectiveness, efficiency, confidentiality, integrity, availability, conformity, and reliability. However, when an organization conducts business using a public blockchain, it cannot satisfy business requirements due to the inherent four limitations of the public blockchain. The four limitations of the public blockchain are as follows.

첫째, 낮은 트랜잭션 처리량 및 높은 지연시간으로 인해 비즈니스의 효과성, 효율성과 가용성이 저하된다. 퍼블릭 블록체인인 이더리움에서는 초당 20개의 트랜잭션이 처리되며 한 트랜잭션 당 10~20초의 지연시간이 발생한다. 신용카드 결제로 초당 2000개의 트랜잭션이 발생하는 것과 비교할 때 퍼블릭 블록체인은 신속한 결제가 요구되는 비즈니스를 수행하는데 큰 한계가 있다. 둘째, 프라이버시 및 기밀성 보호 부재로 인해 비즈니스의 기밀성과 준거성이 저하된다. 퍼블릭 블록체인에서는 블록의 무결성 및 투명성을 위해 각 노드들이 개인 식별정보와 조직의 거래정보들이 포함된 블록들을 저장하고 처리한다. 이는 개인정보보호법에서 명시하는 개인정보 취급 요구사항에 위반될 뿐만 아니라 기밀에 해당하는 조직의 거래활동내역들이 네트워크 참여자들에게 공개되어 비즈니스 수행에 큰 지장을 주게 된다.First, the effectiveness, efficiency and availability of the business are degraded due to low transaction throughput and high latency. In Ethereum, a public blockchain, 20 transactions per second are processed and there is a delay of 10 to 20 seconds per transaction. Compared to 2000 transactions per second by credit card payment, public blockchain has a big limitation in performing business that requires rapid payment. Second, the confidentiality and conformity of business are degraded due to the lack of privacy and confidentiality protection. In a public blockchain, each node stores and processes blocks containing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organizational transaction information for the integrity and transparency of the block. This violates the personal information handling requirements stipulated in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s well as the confidential information of the organization's transaction activity being disclosed to network participants, which greatly hinders business performance.

셋째, 블록체인 거버넌스의 부재로 인해 비즈니스의 효과성, 효율성과 준거성이 저하된다. 하드포크(Hard fork)가 가능하고 노드 통제가 어려운 퍼블릭 블록체인은 조직이 강력하고 일관된 전략 및 정책으로 비즈니스를 수행을 할 수 없게 한다. 이러한 환경은 조직이 비즈니스를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없게 할뿐더러 이해관계자들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키는데 어려움을 겪게한다. 넷째, 비효율적인 에너지 소모로 인해 비즈니스 효율성이 저하된다. 퍼블릭 블록체인은 작업증명을 위해 컴퓨팅 파워와 전력 등의 에너지가 소모된다. 비트코인 네트워크가 작업증명으로 연간 14.96 Twh의 전력과 7억4천7백만 달러를 소모하는 것을 고려할 때 지나친 에너지 소모와 비 친환경적인 요인은 비효율적인 비즈니스를 초래한다. 이러한 퍼블릭 블록체인의 한계 때문에 조직은 비즈니스 요구사항을 모두 만족할 수 있는 블록체인을 선택하여 비즈니스를 수행해야 한다.Third, the effectiveness, efficiency and conformity of the business are degraded due to the absence of blockchain governance. A public blockchain capable of hard fork and difficult to control nodes makes it impossible for organizations to conduct business with strong and consistent strategies and policies. This environment not only makes it difficult for organizations to conduct business effectively and efficiently, but also makes it difficult to meet the requirements of their stakeholders. Fourth, business efficiency decreases due to inefficient energy consumption. Public blockchain consumes energy such as computing power and power to prove work. Considering that the Bitcoin network consumes 14.96 Twh of electricity per year as proof-of-work and $740 million per year, excessive energy consumption and non-environmental factors lead to inefficient business. Because of these limitations of public blockchains, organizations must choose a blockchain that can satisfy all business requirements to conduct business.

블록체인 기술의 가장 큰 의의는 서로를 신뢰할 수 없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신뢰를 보증하는 중개자 없이도 개인 간의 거래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환경에서 개인 간의 거래가 위 변조되지 않았다는 신뢰를 보증하기 위해 퍼블릭 블록체인은 비즈니스 수행에 필수적인 효율성, 기밀성과 가용성의 측면에서 치명적인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조직이 비즈니스를 하고 거래를 하는 실제환경은 퍼블릭 블록체인이 전제하는 무신뢰 네트워크만큼 극단적이지 않다. 조직은 통상적으로 신뢰할 수 있다고 여겨지는 대상과 거래를 하고 협력하여 비즈니스를 수행하기 때문이다. 즉, 퍼블릭 블록체인이 비즈니스에 활용되는데 생기는 한계의 근본적인 원인은 무신뢰라는 극단적인 전제에서 비롯된 것이고 해당 전제를 신뢰할 수 있는 환경으로 전환하면 기존에 발생했던 한계들을 해결할 수 있다.The greatest significance of blockchain technology is that transactions between individuals are possible without an intermediary that guarantees trust in a network environment where each other cannot be trusted. In this environment, in order to guarantee the trust that transactions between individuals have not been tampered with, public blockchains have fatal limitations in terms of efficiency, confidentiality, and availability, which are essential for business execution. However, the actual environment in which an organization conducts business and transacts is not as extreme as the unreliable network presumed by a public blockchain. This is because organizations do business by doing business with and collaborating with what they normally consider to be trusted. In other words, the root cause of the limitations that occur when public blockchains are used in business is due to the extreme premise of trustlessness, and converting the premise to a reliable environment can solve the existing limitations.

다음으로, 컨소시엄 블록체인의 기본 전제는 네트워크 구성원들 간의 신뢰할 수 있는 환경이다. 컨소시엄 블록체인에서는 서로 신뢰하는 구성원들이 합의를 통해 의사결정을 하고 협조하여 분산화 된 방식으로 네트워크를 운영한다. 또한 컨소시엄은 네트워크 목표에 부합하면서 신뢰할 수 있고 법적책임을 질 수 있는 조직들로만 구성된다. 승인되고 주체가 분명한 구성원들로 이루어져 있는 신뢰할 수 있는 환경(Trusted environment)이기 때문에 컨소시엄 블록체인에서는 퍼블릭 블록체인에 내재하던 근본적인 한계에 얽매이지 않고 비즈니스를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한다. 컨소시엄 블록체인은 신뢰할 수 있는 환경으로 인해 비즈니스 요구사항의 신뢰성, 효율성, 가용성, 무결성, 기밀성을 준수할 수 있다. 조직은 효율적인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트랜잭션의 처리속도를 극대화하고 즉각적인 결재가 필요로 한 비즈니스 수행이 가능하다. 또한 지나친 에너지 소모가 필요한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무결성을 유지하면서 효율적으로 블록을 검증할 수 있다. 승인된 이해 관계자들 한해서만 트랜잭션 세부 내역이 공개되기 때문에 프라이버시나 기밀성이 훼손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Next, the basic premise of the consortium blockchain is a reliable environment among network members. In the consortium blockchain, members who trust each other make decisions through consensus and cooperate to operate the network in a decentralized manner. In addition, the consortium consists only of organizations that are trustworthy and legally liable while meeting the network goals. Since it is a trusted environment made up of authorized and clear members, the consortium blockchain allows business to be carried out effectively and efficiently without being bound by the fundamental limitations inherent in the public blockchain. The consortium blockchain can comply with the reliability, efficiency, availability, integrity, and confidentiality of business requirements due to a trusted environment. Organizations can maximize transaction processing speed by using an efficient consensus algorithm and perform business that requires immediate payment. In addition,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use a consensus algorithm that requires excessive energy consumption, blocks can be efficiently verified while maintaining integrity. Because transaction details are disclosed only to authorized stakeholders, the problem of privacy or confidentiality can be solved.

앞서 설명한 5가지의 비즈니스 요구사항 외에도, 컨소시엄 블록체인은 조직의 목표를 효과성과 준거성을 갖추고 달성할 수 있다. 컨소시엄 블록체인에서는 조직의 블록체인 활용 전략과 정책이 조직 목표와 연계되고 이해 관계자들에게 가치가 전달되도록 구성원들이 분산화 되고 협조하여 거버넌스를 수행할 수 있다. 외부 요구사항의 준수, 전략과 정책을 평가, 효과적으로 네트워크가 운영되도록 지시하고 감독하는 거버넌스는 신뢰할 수 있는 환경 하에서 구성원들 간의 합의와 투표를 통해 운영되는 컨소시엄 블록체인에서 가장 적합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five business requirements described above, the consortium blockchain can achieve the organization's goals with effectiveness and conformity. In the consortium blockchain, members can decentralize and cooperate to perform governance so that the organization's blockchain utilization strategy and policy are linked to the organization's goals and value is delivered to stakeholders. Governance, which complies with external requirements, evaluates strategies and policies, directs and supervises the network to operate effectively, may be best suited for a consortium blockchain operated through consensus and voting among members in a trusted environment.

IT 거버넌스란 이사회와 경영진의 책임 하에서 수행되는 기업 거버넌스의 일부로 IT가 조직의 전략과 목표를 유지하고 확장할 수 있게 하는 리더십, 조직구조, 프로세스를 뜻한다. 국제표준 ISO/IEC 38500:2015에서는 IT 거버넌스를 최고 경영진에 의해 IT의 현재와 미래의 활용이 지시(Directed)되고 통제(Controlled)되는 활동으로 정의한다. 최고 경영진은 현재와 미래의 IT 활용을 평가하고, IT 사용이 비즈니스 목표를 달성하도록 전략과 정책을 통해 지시하며, 정책준수와 전략과 비교하여 성과를 모니터링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관제 서비스는, 공공 데이터나 누구나 공유할 수 있는 데이터와 같은 경우에는 퍼블릭 블록체인으로 분산저장하고 공유하되, 그 속도가 느려지지 않도록 풀노드가 아닌 라이트 노드에 저장하고, 개인 드론인증 데이터와 같은 개인정보와 생체정보가 포함되며 하이재킹(Hijacking)되지 말아야 할 데이터는 프라이빗 체인의 풀노드에 저장하며, 개인 드론인증 데이터로 생성된 초기생성키는 사용자가 보관하도록 하되, 이를 분실하거나 잊어버렸을 경우에는 신뢰기관인 컨소시엄 블록체인에서 복구 및 재설정하도록 함으로써 각 정보를 풀노드-라이트 노드로 이원화화고, 각 블록체인도 그 쓰임에 따라 융복합하되 선택적으로 이용함으로써 빠르고 신뢰성 있는 드론 관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IT governance refers to the leadership,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processes that enable IT to maintain and expand the organization's strategy and objectives as part of corporate governance under the responsibility of the board and management. The international standard ISO/IEC 38500:2015 defines IT governance as an activity directed and controlled by top management for the current and future use of IT. Top management assesses current and future IT use, directs through strategy and policy to ensure that IT use achieves business objectives, and monitors performance against policy compliance and strategy. Accordingly, the drone control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public data or data that can be shared by anyone, is distributed and stored in a public blockchain and shared, but is not a full node so that the speed is not slowed down, Stored in the node,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personal drone authentication data and biometric information are included, and data that should not be hijacked are stored in the full node of the private chain, and the initial generated key generated as personal drone authentication data is It should be stored, but if it is lost or forgotten, each information is dualized into a full node-right node by recovering and resetting it in the trust institution consortium blockchain. It can provide reliable drone control services.

컨소시엄 블록체인은 거버너(Governor)와 멤버(Members)라는 두 주체에 의해 운영된다. 거버너는 컨소시엄 블록체인의 분산화된 거버넌스를 통해 핵심 의사결정을 하는 주체로서 컨소시엄 블록체인 거버넌스의 6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멤버는 컨소시엄 블록체인의 실질적인 운영 및 관리 주체로서 블록체인 시스템의 개발, 운영, 보안, 개인 식별정보 및 기밀성 보호, 노드관리, 원장 관리와 트랜잭션 관리의 7가지 기능수행한다. 또한, 멤버들은 협조하여 합의를 통해 컨소시엄을 운영하고 블록체인 활용의 제안 및 계획과 성과 적합성을 거버너에게 보고한다. 이에 따라, 거버너는 전략과 정책을 멤버에게 지시하고 컨소시엄의 블록체인 활용을 통제한다. 각 멤버는 개인키(초기생성키)와 공개키를 소유하며 해당 키들을 통해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운영 주체로 식별되고 블록을 생성 및 검증할 권리를 갖는다. 컨소시엄 블록체인의 주체가 아닌 일반 사용자는 직접 네트워크에 트랜잭션을 전송할 수 없지만 멤버의 서비스 시스템을 거쳐서 비즈니스 수행이나 서비스 사용이 가능하다. The Consortium Blockchain is operated by two entities: Governor and Members. The governor is a subject that makes key decisions through the decentralized governance of the consortium blockchain and performs six functions of the consortium blockchain governance. As the actual operation and management entity of the consortium blockchain, members perform seven functions of development, operation, security, protection of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confidentiality, node management, ledger management and transaction management. In addition, the members cooperate to operate the consortium through consensus, and report the proposal and plan for the use of blockchain and the suitability of performance to the governor. Accordingly, the governor directs strategies and policies to members and controls the consortium's use of blockchain. Each member owns a private key (initial generated key) and public key, and is identified as the operating entity of the blockchain network through the keys and has the right to create and verify blocks. General users who are not the subject of the consortium blockchain cannot directly transmit transactions to the network, but can perform business or use services through the member's service system.

일반 사용자가 특정 멤버의 서비스 시스템에 트랜잭션을 전송하면 서비스 시스템이 멤버의 개인키를 사용하여 컨소시엄 네트워크에 해당 트랜잭션을 전송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일반 사용자는 직접적인 컨소시엄 블록체인의 주체로서는 활동할 수 없지만 멤버를 통해 거래하고 비즈니스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소시엄 블록체인은 군사 또는 공공기관에서 관리하는 블록체인으로, 각 개인의 개인정보와 인증정보를 보관하고 이를 복구하는데 관리를 하는 블록체인으로 정의한다. 컨소시엄 블록체인 거버넌스 주체간의 관계와 역할 및 책임은 이하 표 1과 같다.When a general user transmits a transaction to the service system of a specific member, the service system transmits the transaction to the consortium network using the member's private key. As such, general users cannot directly act as the subject of the consortium blockchain, but they can transact and conduct business through members. The consortium block ch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lock chain managed by a military or public institution, and is defined as a block chain that stores and manages personal information a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each individual and recovers it. The relationships, roles and responsibilities among the consortium blockchain governance entities are shown in Table 1 below.

GovernorGovernor MembersMembers RolesRoles Decide the configuration & ongoing enforcement of the systemsDecide the configuration & ongoing enforcement of the systems Trusted partyDecide of the revision to use for the node update
Decide of the transactions & code execution
At 51% power of decision on global security of the ledger content
Initiate the business model
Business as a Service
Trusted partyDecide of the revision to use for the node update
Decide of the transactions & code execution
At 51% power of decision on global security of the ledger content
Initiate the business model
Business as a Service
ResponsibilitiesResponsibilities To maintain the blockchain platform safe & operational for business logicTo maintain the blockchain platform safe & operational for business logic To verify the identity/authenticity of theusers
Update & maintenance of their devices
Responsible of the transactions and data handled
To include the correct transactions
ledger & to eliminate the improper transactions without errors
Responsible of consensus
To provide safe code & 'user-friendly'
interfaces
Quality of Service
To verify the identity/authenticity of theusers
Update & maintenance of their devices
Responsible of the transactions and data handled
To include the correct transactions
ledger & to eliminate the improper transactions without errors
Responsible of consensus
To provide safe code &'user-friendly'
interfaces
Quality of Service
Accou
ntabilit
ies
Accou
ntabilit
ies
Should serve the interest of the whole blockchain
actors
Should serve the interest of the whole blockchain
actors
Accountable of the information treated
Non repudiation of the data
Non repudiation of the process of verification
Non repudiation of the blockchain
The code provided should be without bug
Provide software & hardware without botnet, spy, virus
Accountable of the information treated
Non repudiation of the data
Non repudiation of the process of verification
Non repudiation of the blockchain
The code provided should be without bug
Provide software & hardware without botnet, spy, viru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엑세스 시간이나 속도가 짧고 빨라야 하는 데이터는 라이트 노드에 저장하고, 그 외의 개인정보나 인증정보와 같은 속도가 느려도 기밀성을 유지해야 하는 데이터는 풀노드(Full Blockchain Node)에 저장한다.As described abov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ata that must have a short and fast access time or speed are stored in a light node, and other data that must maintain confidentiality even if a speed such as personal information or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slow is a full node ( Full Blockchain Node).

이때, 라이트 노드는 블록체인에 참여하여 거래를 수행하는 노드로, 풀노드에 거래 데이터를 요청하여 개별 거래를 검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풀노드처럼 모든 블록 정보의 원본을 가지고 있지는 않고 일종의 요약본, 즉 블록헤더에 있는 중요한 데이터만 보유하고 있다. 스마트폰의 경우, 100GB 저장 공간을 가진 폰이 아직 많지 않기 때문에 안드로이드 모바일 비트코인 지갑은 라이트 노드로 사용된다. 참고로 데스크톱 컴퓨터의 비트코인 지갑은 풀노드로 사용된다. 라이트 노드는 모든 블록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어떤 새로운 거래 정보를 수신받았을 경우 이 거래가 정상적인지 검증할 수 없다. 반대로 풀노드의 경우 모든 데이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로컬에 있는 블록 정보를 조회하여 검증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라이트 노드는 개별 거래에 대한 트랜잭션을 확인하기 위한 SPV(Simple Payment Verify, 단순 지불 검증)를 사용한다. SPV는 라이트 노드에서 거래를 검증하기 위해 풀노드에게 블록정보를 요청하여 머클트리를 통해 이 거래가 검증된 거래인지를 확인하는 방법이다.At this time, the light node is a node that participates in the blockchain and performs transactions, and performs the function of verifying individual transactions by requesting transaction data from the full node. Like a full node, it does not have the original source of all block information, but only retains some kind of summary, that is, important data in the block header. In the case of smartphones, there are not many phones with 100GB storage space yet, so the Android mobile Bitcoin wallet is used as a light node. For reference, the desktop computer's Bitcoin wallet is used as a full node. Since the light node does not have all the block information, it cannot be verified that this transaction is normal when it receives some new transaction information. Conversely, in the case of a full node, since it has all the data, it can be verified by inquiring the block information in the local. Therefore, the light node uses SPV (Simple Payment Verify) to verify transactions for individual transactions. SPV is a method of verifying a transaction in a light node by requesting block information from a full node to check whether this transaction is a verified transaction through Merkle Tree.

블록체인은 중앙 집중형 서버에 거래 기록을 보관, 관리하지 않고 거래에 참여하는 개개인의 서버들이 모여 네트워크를 유지 및 관리한다. 이 개개인의 서버, 즉 참여자를 노드라고 한다. 중앙 관리자가 없기 때문에 블록을 배포하는 노드의 역할이 중요하며, 참여하는 노드들 가운데 절반 이상의 동의가 있어야 새 블록이 생성된다. 노드들은 블록체인을 컴퓨터에 저장해 놓고 있는데, 일부 노드가 해킹을 당해 기존 내용이 틀어져도 다수의 노드에게 데이터가 남아 있어 계속적으로 데이터를 보존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모든 거래 정보를 모두 가지고 있으면 풀노드(Full Blockchain Node), 머클트리만 가지고 있으면 라이트 노드(Lightweight Node)라고 부른다.Blockchain does not store and manage transaction records on a centralized server, but individual servers participating in transactions gather to maintain and manage the network. This individual server, or participant, is called a node. Since there is no central administrator, the role of the node distributing blocks is important, and a new block is created only when more than half of the participating nodes agree. Nodes store the blockchain in their computers, and even if some nodes are hacked and the existing contents are changed, data remains in multiple nodes, so data can be preserved continuously. If you have all the transaction information of the blockchain network, it is called a Full Blockchain Node, and if you have Merkle Tree, it is called a Lightweight Node.

따라서, 블록체인의 모든 노드는 풀노드와 라이트 노드로 나뉜다. 풀노드는 네트워크의 모든 거래정보를 전부 저장하고 사용자들의 지갑을 관리한다. 라이트 노드는 사용자 지갑을 저장하지만 네트워크 접근을 위해 풀노드에 의존한다. 노드는 네트워크의 구성요소이며 풀노드는 블록체인을 유지하는 것, 라이트 노드는 참여자를 위해 접속권한을 부여하는 것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금고와 파수꾼 비유를 예로 들면, 풀노드는 군대급의 강화된 파수꾼이고, 라이트 노드는 금고를 활용해 입출금을 시도하는 통로로 볼 수 있다. 풀노드와 라이트 노드 중에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여가 큰 것은 역시 풀노드이다. 결국 라이트 노드와 개별 노드는 노드에 저장되어 있는 블록체인을 읽어 와서 네트워크에 참여되는 것이기 때문이다.Therefore, all nodes of the blockchain are divided into full nodes and light nodes. Full nodes store all transaction information on the network and manage users' wallets. Light nodes store user wallets, but rely on full nodes for network access. It can be understood that a node is a component of a network, a full node is to maintain a blockchain, and a light node is to give access rights for participants. Taking the analogy of a vault and a watchman, for example, a full node is a military-grade reinforced watchman, and a light node can be seen as a passage for attempting deposit and withdrawal using a vault. Among the full nodes and the light nodes, the full nodes are also the most contributing to the blockchain network. Eventually, the light node and individual nodes read the blockchain stored in the node and participate in the network.

풀노드의 장점은, 예를 들어, 비트코인 전송에 대한 완전한 보안이 가능하다. 자체 노드에서 전송데이터가 발송되기 때문에 이 전송이 어디에서 생성된 것인지 어느 누구도 알지 못한다. 라이트 노드는 전송데이터가 중앙서버를 통해 나가기 때문에 완전한 보안이 가능하지는 않다. 다만, 완전한 보안이 아니라고 해서 비트코인 해킹의 위험이 증가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노출될 수 있는 정보는 어떤 주소가 어떤 IP에서 발송이 됐는지에 대한 정보가 서버에 남을 수 있다는 의미이다. 이에 반해 풀노드는 어떤 주소가 어떤 IP에서 발송됐는지 알지 못한다. 임의의 노드에서 코인 전송을 다른 PC에 전달하는 경우 임의의 브로드캐스트를 받은 PC는 이 전송이 내가 보낸 것인지 혹은 다른 것을 전달한 것인지를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 풀노드는 개인키의 쉬운 입출력이 가능하다. 풀노드 Bitcoin Core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인데, 종이지갑을 만드는 경우 개인키의 추출이 필요한데 다른 라이트 노드 지갑에 비해 개인키의 추출 및 입력이 간단하다.The advantage of full nodes is, for example, full security for bitcoin transfers. Since the transmission data is sent from its own node, no one knows where this transmission originated. Light nodes are not completely secure because the transmitted data goes out through the central server. However, just because it is not completely secure does not mean that the risk of bitcoin hacking increases. The information that can be exposed means that information about which address was sent from which IP can be left on the server. On the other hand, the full node does not know which address was sent from which IP. This is because, when an arbitrary node transmits a coin transmission to another PC, the PC that received the random broadcast does not know whether this transmission is from me or something else. In addition, the full node allows easy input and output of private keys. This method can be easily used in full node Bitcoin Core.When making a paper wallet, it is necessary to extract the private key, but it is simpler to extract and enter the private key compared to other light node wallets.

반대로 라이트 노드의 장점은 사용이 쉽다는 것인데, 자체 블록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중앙서버에서 나의 잔고가 얼마나 있는지 체크하는 방식이다. 그렇기 때문에 프로그램 설치부터 사용까지의 시간이 얼마 안 걸리며 사용이 간편하다. 풀노드의 경우 블록 데이터가 140GB에 이르기 때문에 이 블록을 모두 받아오는데 2일에서 7일까지 걸릴 수 있다. 또, 라이트 노드는 복구가 간편하다. 시드(Seed) 방식을 이용하여 주소를 관리하기 때문에 지갑 복구가 간편하다. 12/18/24개의 영어 단어를 잘 적어두면 혹시라도 지갑이 분실되어도 이 단어를 이용해 지갑 복구가 가능하다. 반대로 풀노드는 PC 명령어 사용에 어느정도 능숙해야 지갑 손실없이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다.On the contrary, the advantage of Light Node is that it is easy to use. It is a method that checks how much my balance is in the central server rather than using its own block. Therefore, it takes little time from installation to use of the program, and it is easy to use. In the case of a full node, the block data reaches 140 GB, so it can take from 2 to 7 days to receive all of these blocks. Also, light nodes are easy to restore. Since the address is managed using the seed method, it is easy to restore the wallet. If you write down 12/18/24 English words well, even if your wallet is lost, you can use these words to recover your wallet. On the contrary, a full node needs to be somewhat proficient in using PC commands to be able to use it safely without losing the wallet.

다음으로, 비행정보 처리서버(420)는 제어단말과 네트워크 도킹된 드론의 비행상태정보를 모니터링하고, 비행제한구역에 진입시 조정제한 메시지를 제어단말로 송출한다. 또한, 상기 비행정보 처리서버(420)는 제어단말(300)에서 송출한 드론의 비행조작정보를 실시간으로 드론인증정보가 분산저장한 블록체인과 동일한 형태의 블록체인에 분산하여 저장한다.Next, the flight information processing server 420 monitors the flight status information of the control terminal and the network-docked drone, and transmits an adjustment restriction message to the control terminal when entering the flight restriction zone. In addition, the flight information processing server 420 distributes and stores the flight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drone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terminal 300 in real time in a block chain in the same form as the block chain in which the dron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distributed and stored.

상기 비행정보 처리서버(420)는 사용자 단말 또는 드론기기로부터 분실 또는 도난 신고가 접수되면, 도난 또는 분실로 인지된 시점부터 신고접수 시점까지 해당 드론에서 기록한 위치, 녹화, 녹음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When a report of loss or theft is received from a user terminal or a drone device, the flight information processing server 420 stores the location, recorded, and recorded data recorded by the drone from the time it is recognized as theft or loss to the time of receipt of the report. Can be provided as

또한, 제어단말로부터 네트워크 도킹정보(접속횟수, 접속시간, 현위치정보)를 접수받고, 기 설정된 횟수 동안에 사용자가 인증에 실패하면, 현 위치정보 및 도난신고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network docking information (access number, access tim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control terminal, and the user fails authentication during a preset number of time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theft report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상기 네트워크부(430)는 제어단말(300)에서 송출한 다자간 네트워크 접속 승인정보를 기초로 가상의 공유 네트워크 IP를 생성하여 송출하고, 송출된 가상의 네트워크 그룹 IP의 접속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한다.The network unit 430 generates and transmits a virtual shared network IP based on the multi-party network access approval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terminal 300, and checks the transmitted virtual network group IP access information in real time.

한편, 상기 네트워크부(430)는 제어단말에서 송출한 드론확인정보 및 네트워크 도킹, 연동 또는 블루투스 페어링 정보를 기초로 상기 드론의 도난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Meanwhile, the network unit 430 may check whether the drone is stolen based on the drone confirmation information and network docking, interlocking, or Bluetooth pair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terminal.

상기 네트워크부(430)는 제어단말 또는 사용자 단말에서 개인 조종 비행모드 및 다자간 조종 비행모드 중 어느 하나로 상기 드론의 비행을 제어하기 위한 공유네트워크 IP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다자간 조종 비행모드는 기 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들이 동일한 드론에 접속하여 릴레이 방식으로 해당 드론을 제어(조정)하기 위한 모드이다.The network unit 430 may provide a shared network IP for controlling the flight of the drone in one of a personal control flight mode and a multi-person flight mode in a control terminal or a user terminal. The multi-person piloting flight mode is a mode in which at least one or more users located within a preset radius access the same drone and control (adjust) the drone in a relay manner.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융복합 블록체인이 적용된 사용자 인증기반의 드론 관리 방법을 설명한 흐름도이다.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rone management method based on user authentication to which a fusion block chain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융복합 블록체인이 적용된 사용자 인증기반의 드론 관리 방법(S700)은 사용자 단말의 등록요청에 따라 드론보안관리서버에서 드론정보, 제어단말 정보 및 드론 및 제어단말을 활성화하기 위한 드론인증정보를 블록체인으로 분산저장하여 등록(S710)하면, 상기 드론보안관리서버에서 상기 드론 및 제어단말의 분실/도난여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S720)한다.As shown in FIG. 10, the drone management method (S700) based on user authentication to which the fusion block chain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drone security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the registration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If the information and dron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activating the drone and the control terminal are distributed and stored in a block chain and registered (S710), the drone security management server monitors the loss/theft of the drone and the control terminal in real time (S720). .

이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도난/분실 메시지가 접수되면, 도난 또는 분실로 인지된 시점부터 신고접수 시점까지 해당 드론에서 기록한 위치, 녹화, 녹음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S730)한다.Thereafter, when a theft/lost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the location, recorded, and recorded data recorded by the drone ar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from the point when it is recognized as stolen or lost to the point when the report is received (S730).

상기 블록체인으로 분산저장하여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드론인증정보를 등록한 주체에 따라 상기 드론 인증정보의 해시값을 프라이빗 블록체인, 퍼블릭 블록체인 또는 컨소시엄 블록체인에 분산저장관리하고, 상기 주체명의로 등록한 드론 및 제어단말에서 발생되는 운영 및 동작정보를 해당 블록체인에 분산저장하여 등록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드론 보안 관리서버는 상기 드론 및 제어단말 중 어느 하나에서 드론인증오류가 송출되면, 상기 주체가 등록한 단말로 도난/분실 정보를 제공한 후, 상기 드론 및 제어단말 간의 네트워킹 및 블루투스 페어링을 차단하고, 상기 드론인증정보는 홍채, 얼굴, 지문, 정맥 및 음성을 포함하는 바이오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이거나 인증서, 보안번호, 해시값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step of distributed storage and registration in the blockchain, the hash value of the dron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distributed and stored and managed in a private blockchain, a public blockchain, or a consortium blockchain according to the entity that registered the dron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registered under the subject name. Including the step of registering and managing the operation and oper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drone and the control terminal distributedly stored in a corresponding block chain, and the drone security management server, when a drone authentication error is transmitted from one of the drone and the control terminal, the After providing theft/lost information to the terminal registered by the subject, networking and Bluetooth pairing between the drone and the control terminal are blocked, and the dron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any one of bio information including iris, face, fingerprint, vein and voice. Alternatively, it may be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or include a certificate, a security number, a hash value, and the like.

여기서, 상기 드론 및 제어단말은 사용자 인증정보를 해시함수 기반의 해시값으로 가공한 후, 블록체인 암호화 전자지갑에 저장한다.Here, the drone and the control terminal process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to a hash value based on a hash function, and then store it in a blockchain encrypted electronic wallet.

상기 드론 및 제어단말은 기 설정된 상황이 발생하면, 드론 인증정보로 동작이 활성화되도록 설정된 보안잠금 기능을 일시해제한 후, 근거리 통신방식으로 사용자가 설정한 단말로 해당 이벤트 상황정보를 제공한다.When a preset situation occurs, the drone and the control terminal temporarily release the security lock function set to activate the operation with the dron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then provide the event situation information to the terminal set by the user in a short-range communication method.

상기 블록체인으로 분산저장하여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드론의 사용주체가 기업 또는 기관일 경우, 컨소시엄 블록체인 내에 상기 기업 또는 기관 또는 그룹에서 등록한 드론인증정보의 해쉬함수 기반의 해시값을 등록 및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registering and storing distributed in the block chain includes registering and managing a hash value based on the hash function of the drone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gistered by the company, institution or group in the consortium block chain when the subject of using the drone is a company or institution. It may include steps.

또한, 상기 블록체인으로 분산저장하여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드론의 사용주체가 개인일 경우, 프라이빗 블록체인 또는 퍼블릭 블록체인 내에 상기 사용주체에서 등록한 등론인증정보의 해쉬합수 기반의 해시값을 등록 및 관리하는 단계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registering and storing distributed in the block chain includes registering and managing a hash value based on the hash sum of the isoron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gistered by the user in a private block chain or public block chain when the subject of using the drone is an individual. It may be a step to do.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융복합 블록체인이 적용된 사용자 인증기반의 드론 관리 방법(S700)은 상기 드론인증정보를 기초로 상기 드론과의 유무선 네트워크 도킹 또는 블루투스 페어링(연결, 연동)을 수행한 후, 상기 드론의 비행을 제어하고, 네트워크 도킹정보(접속횟수, 접속시간, 현위치정보)를 상기 드론보안관리서버로 송출하고, 기 설정된 횟수 동안에 사용자가 인증에 실패하면, 현 위치정보 및 도난신고정보를 상기 드론보안관리서버로 송출하는 단계 및 상기 드론보안관리서버에서 상기 제어단말에서 송출한 드론확인정보 및 네트워크 도킹정보를 기초로 상기 드론의 도난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rone management method (S700) based on user authentication to which the fusion blockchain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wired/wireless network docking or Bluetooth pairing (connection, interlocking) with the drone based on the dron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fter performing, control the flight of the drone, transmit network docking information (number of access, access tim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to the drone security management server, and if the user fails to authenticate during a preset number of times,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theft report information to the drone security management server, and checking whether the drone is stolen based on the drone confirmation information and network dock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terminal in the drone security management server. I can.

여기서, 상기 드론보안관리서버는 상기 제어단말에서 송출한 다자간 네트워크 접속 승인,정보 및 블루투스 페어링 접속 승인,정보를 기초로 가상의 네트워크 그룹 IP를 생성하여 송출하고, 송출된 가상의 네트워크 그룹 IP의 접속정보 및 또는 GPS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Here, the drone security management server generates and transmits a virtual network group IP based on the multi-party network connection approval, information and Bluetooth pairing connection approval, and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terminal, and accesses the transmitted virtual network group IP. Information and/or GPS location information can be checked in real time.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기반의 드론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이용하면, 사용자 인증을 기반으로 드론과 제어단말(조종단말) 간의 네트워크 도킹여부를 실시함으로써, 드론 또는 제어단말이 도난되더라도 도난된 드론 또는 제어단말의 사용을 차단시킬 수 있다.Therefore, if the dron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user authent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he drone or the control terminal is stolen by performing network docking between the drone and the control terminal (control terminal) based on user authentication. Even if it does, the use of stolen drones or control terminals can be block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기반의 드론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이용하면, 드론과 제어단말 간의 네트워크 도킹 위치를 파악함에 따라 비행제한지역에 출몰하는 드론의 정보 및 이를 사용한 사용자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는 군사보호시설 또는 사설보호시설 내에 몰래접근하여 촬영하는 불법촬영행태를 근절시킬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In addition, if the dron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user authent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formation of drones appearing in flight restricted areas and information of users using the same as the network docking position between the drone and the control terminal is identified. Can be grasped in real time. This provide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radicate the illegal shooting behavior of secretly approaching and filming in military or private protection facilities.

도 11은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상술한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구성된 컴퓨팅 디바이스(1100)를 포함하는 시스템(1000)의 예시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개인 컴퓨터, 서버 컴퓨터, 핸드헬드 또는 랩탑 디바이스,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폰, PDA, 미디어 플레이어 등),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소비자 전자기기, 미니 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임의의 전술된 시스템 또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분산 컴퓨팅 환경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computing environment in which one or mor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implemented, and an illustration of a system 1000 including a computing device 1100 configured to implement one or mor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ws. For example, the computing device 1100 may be a personal computer, a server computer, a handheld or laptop device, a mobile device (mobile phone, PDA, media player, etc.), a multiprocessor system, a consumer electronic device, a mini computer, a mainframe computer,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any of the aforementioned systems or devices.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1110) 및 메모리(1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싱 유닛(1110)은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메모리(1120)는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OM, 플래시 메모리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추가적인 스토리지(113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1130)는 자기 스토리지, 광학 스토리지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스토리지(1130)에는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이 저장될 수 있고, 운영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도 저장될 수 있다. 스토리지(1130)에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은 프로세싱 유닛(1110)에 의해 실행되기 위해 메모리(1120)에 로딩될 수 있다. The computing device 1100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ing unit 1110 and a memory 1120. Here, the processing unit 1110 may include, for example,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graphic processing unit (GPU), a microprocessor, an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 and the like. Can have a plurality of cores. The memory 1120 may be a volatile memory (eg, RAM, etc.), a nonvolatile memory (eg, ROM, flash memory, etc.), or a combination thereof. Further, the computing device 1100 may include an additional storage 1130. Storage 1130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magnetic storage, optical storage, and the like. The storage 1130 may store computer-readable instructions for implementing one or mor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nd other computer-readable instructions for implementing an operating system, an application program, and the like. Computer-readable instructions stored in storage 1130 may be loaded into memory 1120 for execution by processing unit 1110.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입력 디바이스(들)(1140) 및 출력 디바이스(들)(115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디바이스(들)(1140)은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펜, 음성 입력 디바이스, 터치 입력 디바이스, 적외선 카메라, 비디오 입력 디바이스 또는 임의의 다른 입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 디바이스(들)(1150)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스피커, 프린터 또는 임의의 다른 출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구비된 입력 디바이스 또는 출력 디바이스를 입력 디바이스(들)(1140) 또는 출력 디바이스(들)(1150)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컴퓨팅 디바이스(1100)가 다른 디바이스(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300))와 통신할 수 있게 하는 통신접속(들)(116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접속(들)(1160)은 모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무선 주파수 송신기/수신기, 적외선 포트, USB 접속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1100)를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접속시키기 위한 다른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접속(들)(1160)은 유선 접속 또는 무선 접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의 각 구성요소는 버스 등의 다양한 상호접속(예를 들어, 주변 구성요소 상호접속(PCI), USB, 펌웨어(IEEE 1394), 광학적 버스 구조 등)에 의해 접속될 수도 있고, 네트워크(1200)에 의해 상호접속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시스템" 등과 같은 용어들은 일반적으로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중인 소프트웨어인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를 지칭하는 것이다.Further, the computing device 1100 may include an input device(s) 1140 and an output device(s) 1150. Here, the input device(s) 1140 may include, for example, a keyboard, a mouse, a pen, a voice input device, a touch input device, an infrared camera, a video input device, or any other input device. Further, the output device(s) 1150 may include, for example, one or more displays, speakers, printers, or any other output device, and the like. Further, the computing device 1100 may use an input device or an output device provided in another computing device as the input device(s) 1140 or the output device(s) 1150. In addition, computing device 1100 may include communication connection(s) 1160 that enable computing device 1100 to communicate with other devices (eg, computing device 1300 ). Here, the communication connection(s) 1160 is a modem, a network interface card (NIC), an integrated network interface, a radio frequency transmitter/receiver, an infrared port, a USB connection, or other computing device for connecting the computing device 1100 to another computing device. May contain interfaces. Further, the communication connection(s) 1160 may include a wired connection or a wireless connection. Each component of the computing device 1100 described above may be connected by various interconnections such as a bus (eg, 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ion (PCI), USB, firmware (IEEE 1394), optical bus structure, etc.). And may be interconnected by network 1200. As used herein, terms such as "component" and "system" generally refer to hardware,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software, or a computer-related entity that is running software.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s such,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understood as non-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융복합 블록체인이 적용된 사용자 인증기반의 드론 보안 관리 시스템
200: 드론
201: 비행 제어 장치
202: 비행기록 전송장치
300: 제어단말
310: 조작부
320: 신원인증부
330: 네트워크 도킹부
340: 통신부
350: 표시부
360: 멀티 접속 제어부
370: 블록체인 암호화부
400: 드론보안관리서버
410: 인증처리서버
420: 비행정보 처리서버
430: 네트워크부
100: Drone securi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user authentication to which convergence blockchain is applied
200: drone
201: flight control unit
202: flight record transmission device
300: control terminal
310: control panel
320: Identity authentication department
330: network docking unit
340: Ministry of Communications
350: display
360: multi-connection control unit
370: Blockchain encryption unit
400: drone security management server
410: authentication processing server
420: flight information processing server
430: network unit

Claims (22)

드론 인증정보를 기초로 동작이 활성화되는 드론;
상기 드론 인증정보를 기초로 상기 드론의 동작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단말; 및
상기 드론 및 제어단말 간의 접속횟수, 접속시간, 현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도킹정보 및 상기 드론과 상기 제어단말의 위치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드론 인증정보를 등록한 주체에 따라 상기 드론 인증정보의 해시값을 프라이빗 블록체인, 퍼블릭 블록체인 또는 컨소시엄 블록체인에 분산저장관리하고, 상기 주체명의로 등록한 드론 및 제어단말에서 발생되는 운영 및 동작정보를 해당 블록체인에 분산저장하여 등록관리하는 드론 보안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드론 보안 관리서버는
상기 드론 및 제어단말 중 어느 하나에서 드론인증오류가 송출되면, 상기 주체가 등록한 단말로 도난/분실 정보를 제공한 후, 상기 드론 및 제어단말 간의 네트워킹, 블루투스 페어링을 차단하고, 상기 드론인증정보는 홍채, 얼굴, 지문, 정맥 및 음성을 포함하는 바이오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이거나 인증서, 보안번호, 해시값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복합 블록체인이 적용된 드론인증기반의 드론 보안 관리 시스템.
A drone whose operation is activated based on dron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 control termi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one based on the dron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Network dock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number of times of access between the drone and the control terminal, access time, an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hash value of the dron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ubject that registered the drone and the control terminal, and monitors the location of the drone and the control terminal A drone security management server that distributes storage and management in a private blockchain, public blockchain, or consortium blockchain, and registers and manages the operation and oper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drone and control terminal registered under the subject name in the corresponding blockchain. Including,
The drone security management server
When a drone authentication error is transmitted from either the drone or the control terminal, theft/lost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terminal registered by the subject, and then networking and Bluetooth pairing between the drone and the control terminal are blocked, and the dron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Drone security based on drone authentication applied with a fusion blockchai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ny one or at least one combination of bioinformation including iris, face, fingerprint, vein, and voice, or includes a certificate, security number, hash value, etc. Management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 및 제어단말은
사용자 생체정보를 해시함수 기반의 해시값으로 가공한 후, 블록체인 암호화 전자지갑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복합 블록체인이 적용된 드론인증기반의 드론 보안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drone and control terminal
A drone securi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drone authentication applied with a converged blockchain,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is processed into a hash value based on a hash function and then stored in a blockchain encrypted electronic wall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 및 제어단말은
기 설정된 상황이 발생하면, 드론 인증정보로 동작이 활성화되도록 설정된 보안잠금 기능을 일시해제한 후, 근거리 통신방식으로 사용자가 설정한 단말로 해당 이벤트 상황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복합 블록체인이 적용된 드론인증기반의 드론 보안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drone and control terminal
Convergence blockchain, characterized in that when a preset situation occurs, the security lock function set to activate the operation with dron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temporarily released, and the event situation information is provided to a terminal set by the user in a short-range communication method. A drone securi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drone authentic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보안관리서버는
상기 드론의 사용주체가 기업 또는 기관일 경우, 컨소시엄 블록체인 내에 상기 기업 또는 기관 또는 그룹에서 등록한 드론인증정보의 해쉬함수 기반의 해시값을 등록 및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복합 블록체인이 적용된 드론인증기반의 드론 보안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drone security management server
When the drone's user is a company or institution, a drone with a convergence block chain, characterized in that the hash value based on the hash function of the drone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gistered by the company, institution or group is registered and managed in the consortium blockchain. Drone securi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authentication.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보안관리서버는
상기 드론의 사용주체가 개인일 경우, 프라이빗 블록체인 또는 퍼블릭 블록체인 내에 상기 사용주체에서 등록한 등론인증정보의 해쉬합수 기반의 해시값을 등록 및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복합 블록체인이 적용된 드론인증기반의 드론 보안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drone security management server
When the drone's user is an individual, drone authentication with a convergence block chain, characterized in that the hash value based on the hash sum of the isoron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gistered by the user is registered and managed in a private blockchain or a public blockchain. Based drone security management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말은
드론인증정보를 기초로 상기 드론과의 네트워크 도킹을 수행한 후, 상기 드론의 비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복합 블록체인이 적용된 드론인증기반의 드론 보안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terminal is
A drone securi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drone authentication applied with a fusion blockchain, characterized in that after performing network docking with the drone based on drone authentication information, the flight of the drone is controlle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보안관리서버는
상기 드론보안관리서버는 상기 제어단말에서 송출한 드론확인정보 및 네트워크 도킹,연동 또는 블루투스 페어링 정보를 기초로 상기 드론의 도난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복합 블록체인이 적용된 드론인증기반의 드론 보안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The drone security management server
The drone security management server checks whether the drone is stolen based on the drone confirmation information and network docking, interlocking, or Bluetooth pair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terminal. Security management system.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보안관리서버는
사용자 단말 또는 드론 기기로부터 분실 또는 도난 신고가 접수되면, 도난 또는 분실로 인지된 시점부터 신고접수 시점까지 해당 드론에서 기록한 위치, 고도, 경로, 녹화, 녹음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복합 블록체인이 적용된 드론인증기반의 드론 보안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The drone security management server
When a report of loss or theft is received from a user terminal or a drone device, the location, altitude, route, recording, and recorded data recorded by the drone ar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from the point when the report is recognized as stolen or lost to the point of receipt of the report. A drone securi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drone authentication with a converged blockchai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말은
상기 네트워크 도킹정보를 상기 드론보안관리서버로 송출하고, 기 설정된 횟수 동안에 사용자가 인증에 실패하면, 현 위치정보 및 도난신고정보를 상기 드론보안관리서버로 송출하는 융복합 블록체인이 적용된 드론인증기반의 드론 보안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trol terminal is
Drone authentication base applied with a converged blockchain that transmits the network docking information to the drone security management server and transmits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theft report information to the drone security management server if the user fails to authenticate for a preset number of times Drone security management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은
비행속도, 가속도, 회전각, 위치 및 고도에 대한 비행 기록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제어단말 및 상기 드론보안관리서버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복합 블록체인이 적용된 드론인증기반의 드론 보안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drone is
Drone security management based on drone authentication applied with a fusion blockchain, characterized in that after generating flight record information on flight speed, acceleration, rotation angle, location and altitude, and providing it to the control terminal and the drone security management server system.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은
기 설정된 위험상황을 감지하면, 기 설정된 매뉴얼에 따라 동작되고,
기 설정된 매뉴얼에 따라 자동 동작되고 상황에 따라 수동동작을 실시하고, 상기 기설정된 위험상황은 기상이변, 전자파, 포획, 외부상황 등에 따른 위치,고도,경로 이탈 및 전략,전술,명령 오류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복합 블록체인이 적용된 드론인증기반의 드론 보안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0,
The drone is
When a preset dangerous situation is detected, it operates according to the preset manual,
It operates automatically according to a preset manual and performs manual operation according to the situation, and the preset danger situation is any one of location, altitude, route deviation and strategy, tactics, and command errors according to extreme weather, electromagnetic waves, capture, and external conditions. A drone securi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drone authentication to which a convergence block chain is applied, characterized in tha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말은
개인 조종 비행모드 및 다자간 조종 비행모드 중 어느 하나로 상기 드론의 비행을 제어하고,
상기 다자간 조종 비행모드는 기 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들이 동일한 드론에 접속하여 릴레이 방식으로 해당 드론을 제어(조정)하기 위한 멀티 접속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융복합 블록체인이 적용된 드론인증기반의 드론 보안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The control terminal is
Control the flight of the drone in one of a personal control flight mode and a multi-person flight mode,
The multi-person control flight mode is a drone authentication based drone authentication-based application in which at least one or more users located within a preset radius access the same drone and perform a multi-access control function to control (adjust) the drone in a relay method. Drone security management system.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말은
상기 다자간 조종 비행모드를 선택할 경우, 상기 드론을 릴레이 방식으로 제어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제어단말의 ID를 상기 드론보안관리서버로 제공하고,
상기 드론보안관리서버는
상기 제어단말에서 송출한 다자간 네트워크 접속 승인,정보 및 블루투스 페어링 접속 승인,정보를 기초로 가상의 네트워크 그룹 IP를 생성하여 송출하고, 송출된 가상의 네트워크 그룹 IP의 접속정보 및 또는 GPS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복합 블록체인이 적용된 드론인증기반의 드론 보안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2,
The control terminal is
In the case of selecting the multi-person control flight mode, the ID of at least one sub-control terminal to control the drone in a relay method is provided to the drone security management server,
The drone security management server
A virtual network group IP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based on the multi-party network connection approval, information and Bluetooth pairing connection approval, and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terminal, and the transmitted virtual network group IP access information and GPS location information are transmitted in real time. A drone securi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drone authentication to which a fusion block chain is applie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hecked.
사용자 단말의 등록요청에 따라 드론보안관리서버에서 드론정보, 제어단말 정보 및 드론 및 제어단말을 활성화하기 위한 드론인증정보를 블록체인으로 분산저장하여 등록는 단계;
상기 드론보안관리서버에서 상기 드론 및 제어단말의 분실/도난여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도난/분실 메시지가 접수되면, 도난 또는 분실로 인지된 시점부터 신고접수 시점까지 해당 드론에서 기록한 위치, 녹화, 녹음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블록체인으로 분산저장하여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드론인증정보를 등록한 주체에 따라 상기 드론 인증정보의 해시값을 프라이빗 블록체인, 퍼블릭 블록체인 또는 컨소시엄 블록체인에 분산저장관리하고, 주체명의로 등록한 드론 및 제어단말에서 발생되는 운영 및 동작정보를 해당 블록체인에 분산저장하여 등록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드론 보안 관리서버는 상기 드론 및 제어단말 중 어느 하나에서 드론인증오류가 송출되면, 상기 주체가 등록한 단말로 도난/분실 정보를 제공한 후, 상기 드론 및 제어단말 간의 네트워크 도킹,연동 또는 블루투스 페어링을 차단하고, 상기 드론인증정보는 홍채, 얼굴, 지문, 정맥 및 음성을 포함하는 바이오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를 조합하거나 인증서, 보안번호, 해시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복합 블록체인이 적용된 드론인증기반의 드론 보안 관리 방법.
Distributing and storing drone information, control terminal information, and dron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activating the drone and the control terminal in the drone security management server in accordance with the registration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in a block chain and registering;
Monitoring the loss/theft of the drone and the control terminal in real time by the drone security management server;
When a theft/lost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the location, recorded, and recorded data recorded by the drone ar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from the time it is recognized as theft or loss to the time the report is received, and
The step of decentralized storage and registration in the blockchain
Depending on the entity that registered the drone authentication information, the hash value of the dron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distributed and stored and managed in a private blockchain, public blockchain, or consortium blockchain, and operation and oper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drone and control terminal registered under the subject name Including the step of decentralized storage and registration management in the corresponding blockchain,
When a drone authentication error is transmitted from one of the drone and the control terminal, the drone security management server provides theft/lost information to the terminal registered by the subject, and then network docking, interlocking or Bluetooth pairing between the drone and the control terminal. Blocking, and the dron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a convergence block chain,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bination of any one or at least one of bio information including iris, face, fingerprint, vein, and voice, or including a certificate, security number, and hash value Drone security management method based on drone authentication.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 및 제어단말은
사용자 인증정보를 해시함수 기반의 해시값으로 가공한 후, 블록체인 암호화 전자지갑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복합 블록체인이 적용된 드론인증기반의 드론 보안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The drone and control terminal
A drone security management method based on drone authentication applied with a converged blockchain,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processed into a hash value based on a hash function and then stored in a blockchain encrypted electronic wallet.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 및 제어단말은
기 설정된 상황이 발생하면, 드론 인증정보로 동작이 활성화되도록 설정된 보안잠금 기능을 일시해제한 후, 근거리 통신방식으로 사용자가 설정한 단말로 해당 이벤트 상황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복합 블록체인이 적용된 드론인증기반의 드론 보안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The drone and control terminal
Convergence blockchain, characterized in that when a preset situation occurs, the security lock function set to activate the operation with dron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temporarily released, and the event situation information is provided to a terminal set by the user in a short-range communication method. Drone security management method based on drone authentication.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으로 분산저장하여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드론의 사용주체가 기업 또는 기관일 경우, 컨소시엄 블록체인 내에 상기 기업 또는 기관 또는 그룹에서 등록한 드론인증정보의 해쉬함수 기반의 해시값을 등록 및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복합 블록체인이 적용된 드론인증기반의 드론 보안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The step of decentralized storage and registration in the blockchain
When the drone's user is a company or institution, a drone with a convergence block chain, characterized in that the hash value based on the hash function of the drone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gistered by the company, institution or group is registered and managed in the consortium blockchain. Authentication-based drone security management method.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으로 분산저장하여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드론의 사용주체가 개인일 경우, 프라이빗 블록체인 또는 퍼블릭 블록체인 내에 상기 사용주체에서 등록한 등론인증정보의 해쉬합수 기반의 해시값을 등록 및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복합 블록체인이 적용된 드론인증기반의 드론 보안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The step of decentralized storage and registration in the blockchain
When the drone's user is an individual, drone authentication with a convergence block chain, characterized in that the hash value based on the hash sum of the isoron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gistered by the user is registered and managed in a private blockchain or a public blockchain. Based drone security management method.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말에서 상기 드론인증정보를 기초로 상기 드론과의 네트워크 도킹을 수행한 후, 상기 드론의 비행을 제어하고,
접속횟수, 접속시간, 현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도킹정보를 상기 드론보안관리서버로 송출하고, 기 설정된 횟수 동안에 사용자가 인증에 실패하면, 현 위치정보 및 도난신고정보를 상기 드론보안관리서버로 송출하는 단계 및
상기 드론보안관리서버에서 상기 제어단말에서 송출한 드론확인정보 및 네트워크 도킹정보를 기초로 상기 드론의 도난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복합 블록체인이 적용된 드론인증기반의 드론 보안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The control terminal performs network docking with the drone based on the dron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then controls the flight of the drone,
Network docking information including access count, access time, an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drone security management server, and if the user fails to authenticate for a preset number of time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theft report information are transferred to the drone security management server. Transmitting and
A drone authentication-based drone with a fusion blockchain, characterized in that the drone security management server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drone is stolen based on the drone confirmation information and the network dock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terminal. How to manage security.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은
기 설정된 위험상황을 감지하면, 기 설정된 매뉴얼에 따라 동작되고,
상기 기 설정된 위험상황은
상기 기 설정된 매뉴얼에 따라 자동 동작되고 상황에 따라 수동동작을 실시하고, 상기 기설정된 위험상황은 기상이변, 전자파, 포획, 외부상황 등에 따른 위치,고도,경로 이탈 및 전략,전술,명령 오류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복합 블록체인이 적용된 드론인증기반의 드론 보안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9,
The drone is
When a preset dangerous situation is detected, it operates according to the preset manual,
The preset danger situation is
It operates automatically according to the preset manual and performs manual operation according to the situation, and the preset danger situation is any of the location, altitude, route deviation and strategy, tactics, and command errors according to extreme weather, electromagnetic waves, capture, and external conditions. Characterized by being one. A drone security management method based on drone authentication applied with a convergence blockchain.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말은
개인 조종 비행모드 및 다자간 조종 비행모드 중 어느 하나로 상기 드론의 비행을 제어하고,
상기 다자간 조종 비행모드는 기 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들이 동일한 드론에 접속하여 릴레이 방식으로 해당 드론을 제어(조정)하기 위한 멀티 접속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융복합 블록체인이 적용된 드론인증기반의 드론 보안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20,
The control terminal is
Control the flight of the drone in one of a personal control flight mode and a multi-person flight mode,
The multi-person control flight mode is a drone authentication based drone authentication-based application in which at least one or more users located within a preset radius access the same drone and perform a multi-access control function to control (adjust) the drone in a relay method. Of drone security management.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말은
상기 다자간 조종 비행모드를 선택할 경우, 상기 드론을 릴레이 방식으로 제어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제어단말의 ID를 상기 드론보안관리서버로 제공하고,
상기 드론보안관리서버는
상기 제어단말에서 송출한 다자간 네트워크 접속 승인,정보 및 블루투스 페어링 접속 승인,정보를 기초로 가상의 네트워크 그룹 IP를 생성하여 송출하고, 송출된 가상의 네트워크 그룹 IP의 접속정보 및 또는 GPS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복합 블록체인이 적용된 드론인증기반의 드론 보안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21,
The control terminal is
In the case of selecting the multi-person control flight mode, the ID of at least one sub-control terminal to control the drone in a relay method is provided to the drone security management server,
The drone security management server
A virtual network group IP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based on the multi-party network connection approval, information and Bluetooth pairing connection approval, and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terminal, and the transmitted virtual network group IP access information and GPS location information are transmitted in real time. A drone security management method based on drone authentication to which a fusion block chain is applie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hecked.
KR1020200103708A 2020-08-19 2020-08-19 A drone secur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drone certification with convergence block chain KR1021936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708A KR102193608B1 (en) 2020-08-19 2020-08-19 A drone secur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drone certification with convergence block cha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708A KR102193608B1 (en) 2020-08-19 2020-08-19 A drone secur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drone certification with convergence block chai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3608B1 true KR102193608B1 (en) 2020-12-22

Family

ID=74086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3708A KR102193608B1 (en) 2020-08-19 2020-08-19 A drone secur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drone certification with convergence block chai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3608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71462A (en) * 2021-11-16 2022-02-18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二十八研究所 Satellite navigation decoy method for unmanned aerial vehicle group defense
KR20230120607A (en) 2022-02-09 2023-08-17 (주)보헤미안오에스 Uam operating system with service security using blockchain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KR20240025083A (en) 2022-08-17 2024-02-27 사이클롭스 주식회사 Camping Site Management System using the Drone image-based object recognition technology and the Decentralized identification technology
KR20240025763A (en) 2022-08-19 2024-02-27 사이클롭스 주식회사 Decentralized Identifier based Drone Station syste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8795B1 (en) * 2015-11-30 2016-11-22 전삼구 Iot-basesd thing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block chain authentification
KR101802811B1 (en) 2016-06-29 2017-11-29 한국조폐공사 Drone storing owner infomaion, security system and method of the drone
KR20180038231A (en) * 2016-10-06 2018-04-16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 of multi drone
KR20180074593A (en) * 2016-12-23 2018-07-03 주식회사 네이블커뮤니케이션즈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a drone through a network using multiple network modules
US20180259965A1 (en) * 2017-03-08 2018-09-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otecting contents of a smart vault being transported by a self-driving vehicl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8795B1 (en) * 2015-11-30 2016-11-22 전삼구 Iot-basesd thing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block chain authentification
KR101802811B1 (en) 2016-06-29 2017-11-29 한국조폐공사 Drone storing owner infomaion, security system and method of the drone
KR20180038231A (en) * 2016-10-06 2018-04-16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 of multi drone
KR20180074593A (en) * 2016-12-23 2018-07-03 주식회사 네이블커뮤니케이션즈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a drone through a network using multiple network modules
US20180259965A1 (en) * 2017-03-08 2018-09-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otecting contents of a smart vault being transported by a self-driving vehicl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BM, 블록체인 기술 활용한 드론 도난 방지 '특허' 취득(2019년 기사) *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71462A (en) * 2021-11-16 2022-02-18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二十八研究所 Satellite navigation decoy method for unmanned aerial vehicle group defense
KR20230120607A (en) 2022-02-09 2023-08-17 (주)보헤미안오에스 Uam operating system with service security using blockchain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KR20240025083A (en) 2022-08-17 2024-02-27 사이클롭스 주식회사 Camping Site Management System using the Drone image-based object recognition technology and the Decentralized identification technology
KR20240025763A (en) 2022-08-19 2024-02-27 사이클롭스 주식회사 Decentralized Identifier based Drone Station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3608B1 (en) A drone secur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drone certification with convergence block chain
Alladi et al. Applications of blockchain in unmanned aerial vehicles: A review
Condry et al. Using smart edge IoT devices for safer, rapid response with industry IoT control operations
Islam et al. A blockchain-based artificial intelligence-empowered contagious pandemic situation supervision scheme using internet of drone things
US11973887B2 (en) Chain of authentication using public key infrastructure
Rawat et al. Artificial cyber espionage based protection of technological enabled automated cities infrastructure by dark web cyber offender
US9361450B2 (en) Authentication using mobile devices
Ossamah Blockchain as a solution to drone cybersecurity
Li et al. Solving the last mile problem in logistics: A mobile edge computing and blockchain‐based unmanned aerial vehicle delivery system
KR102493780B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ground using hybrid unmanned airship
Tyson Security convergence: Managing enterprise security risk
US11562054B2 (en) Authorized gesture control methods and apparatus
CN106097500A (en) A kind of method and system responding user's entrance
WO2021226471A1 (en) Computer-implemented user identity verification method
Bock Identity Management with Biometrics: Explore the latest innovative solutions to provide secure identification and authentication
KR102258064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ybrid blockchain based aircraft control service
Khamis et al. Privacy and security in augmentation technologies
Wills The Official (ISC) 2 SSCP CBK Reference
Matthew Cyber Insurance
US20240171413A1 (en) Performing data interactions in a virtual environment
Wojewidka Why the mobile biometrics surge demands true liveness
KR102478967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blockchain-based contract management service interlocked with metaverse
US20240020879A1 (en) Proof-of-location systems and methods
Gopal Cyber-Physical Systems and Humane Security Engineering
Vaya et al. Enhanced fingerprint authentication using blockcha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