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2108B1 - Travelign carriage capable of using baby carrier - Google Patents

Travelign carriage capable of using baby carri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2108B1
KR102192108B1 KR1020190033999A KR20190033999A KR102192108B1 KR 102192108 B1 KR102192108 B1 KR 102192108B1 KR 1020190033999 A KR1020190033999 A KR 1020190033999A KR 20190033999 A KR20190033999 A KR 20190033999A KR 102192108 B1 KR102192108 B1 KR 102192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cover body
auxiliary
seating
seat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39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13577A (en
Inventor
성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팀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팀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팀콥
Priority to KR1020190033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2108B1/en
Publication of KR20200113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35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2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21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9/00Purses, Luggage or bags convertible into objects for other us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5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14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built-in rolling means
    • A45C5/146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built-in rolling means retrac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06Carriages supporting a rigid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2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nvertible, e.g. into children's furniture or to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0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 B62B9/104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with adjustable or reclining back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that are adjustable, attachable or detachabl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9/00Purses, Luggage or bags convertible into objects for other use
    • A45C2009/002Purses, Luggage or bags convertible into objects for other use into a s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리어를 유아용 유모차로 변경하여 활용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하여 별도로 유모차를 구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캐리어의 일부 구성을 유모차의 일부 구성으로 공용할 수 있도록 하여 상대적으로 간단한 구성으로 유모차와 캐리어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유모차 겸용 여행용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여행용 캐리어에 있어서, 일면이 개폐 수단에 의해 개폐 가능한 개폐 커버체로 구성되며, 상단부에 손잡이를 구비하는 캐리어 바디; 상기 캐리어 바디의 하부에 구비되는 이동 바퀴; 상기 캐리어 바디의 상측 배면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보조 바퀴; 상기 캐리어 바디 내에 접철 가능하게 구성되고, 펼침 시 유아를 안착시킬 수 있게 구성되는 내장 안착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겸용 여행용 캐리어가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in a structure that can be used by changing a carrier into a baby stroller, so that the hassle of having to separately provide a stroller can be eliminated, and a relatively simple configuration by allowing a part of the carrier to be shared as a part of the stroller It relates to a travel carrier that can be used as a stroller and a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ravel carrier, one side is composed of an opening and closing cover body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the carrier body having a handle on the upper end; A moving wheel provided under the carrier body; A pair of auxiliary wheels provided on the upper rear surface of the carrier body; It is provided to be foldable in the carrier body, a built-in seating means configured to seat the infant when unfolded; a stroller combined travel carrier comprising a.

Figure 112019030651605-pat00001
Figure 112019030651605-pat00001

Description

유모차 겸용 여행용 캐리어{TRAVELIGN CARRIAGE CAPABLE OF USING BABY CARRIER}Travel carrier for both stroller {TRAVELIGN CARRIAGE CAPABLE OF USING BABY CARRIER}

본 발명은 유모차 겸용 여행용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캐리어를 유아용 유모차로 변경하여 활용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하여 별도로 유모차를 구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캐리어의 일부 구성을 유모차의 일부 구성으로 공용할 수 있도록 하여 상대적으로 간단한 구성으로 유모차와 캐리어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유모차 겸용 여행용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vel carrier for combined use of a stroller, and more particularly, by changing the carrier to a baby stroller and configuring it to be utilized,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hassle of having to separately provide a stroller. It relates to a travel carrier for combined use of a stroller that allows it to be shared in some configurations so that it can be used as a stroller and a carrier in a relatively simple configuration.

일반적으로 유아를 동반하고 여행 등을 위하여 이동하는 경우에는 유아와 유아 용품을 포함한 각종 휴대물품 등으로 인하여 이동하여야 할 짐이 증가하여 많은 노력을 필요로 한다.In general, when traveling with infants, a lot of effort is required because the luggage to be moved increases due to various portable items including infants and baby products.

유아를 동반하는 여행에 있어서 자가용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유아용 유모차를 별도로 준비하여 사용하더라도 유모차의 적재와 이동이 자가 차량에 의하므로 큰 불편함이 없을 수 있다.In the case of using a private vehicle for travel with infants, even if a baby stroller is separately prepared and used, the loading and movement of the stroller may be carried out by the own vehicle, so there may be no great inconvenience.

그러나 유아를 동반하고 대중 교통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이동 동선이 증가되는 반면에 유아용 유모차와 여행용 가방 등의 물품을 별도로 휴대하여야 하므로 매우 번잡하여 사실상 보호자 1인이 이 모든 장비와 유아를 동반 이동한다는 것은 어렵다.However, when traveling with infants and using public transportation, the movement path increases, but it is very cumbersome because items such as baby strollers and travel bags must be separately carried, so it is difficult for one guardian to move with all these equipment and infants. .

또한, 비행기와 같은 운송 수단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탑승 가능한 휴대품과 화물로서 위탁하여야 하는 물품으로 나뉘어지므로 짐을 분리하여 보관하는데 따른 번잡함이 한 층 더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using a transportation means such as an airplan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trouble of separating and storing the luggage is further increased since it is divided into portable items that can be boarded and items that must be consigned as cargo.

따라서 보호자가 유아를 동반하고 여행하는 것 자체가 매우 어려운 현실이다.Therefore, it is a very difficult reality for a guardian to travel with an infant.

유아를 동반하는 장비로서는 공지된 바와 같이 업기위한 띠(포대기), 유아용 배낭이 있으나 많은 인력의 소모를 요구하므로 힘이 드는 폐해가 있고, 유아를 탑승 이동할 수 있는 유모차는 소형 경량화된 장비가 있으나 이 역시 전술한 장비의 이동에 어려움이 있어 기타의 물품을 휴대 이동하여야 하는 가방 등을 함께 가지고 가는 경우에는 유아와 장비의 이동이 더욱더 어렵게 된다.As well-known equipment to accompany infants, there are belts (bags) and backpacks for infants, but they require a lot of manpower, so there is a burdensome harm, and strollers that can move infants are small and lightweight equipment. Also, since it is difficult to move the above-described equipment, when carrying a bag or the like to carry other items together, it becomes more difficult to move the infant and the equipment.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054245(2011.08.09. 공고)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10-1054245 (2011.08.09. Announcement)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011248(2011.01.26. 공고)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10-1011248 (2011.01.26. Announcement)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14777(2003.05.27. 공고)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20-0314777 (2003.05.27. Announcement)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2-0115452(2012.10.18. 공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10-2012-0115452 (published on October 18, 2012)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20-1990-0010025(1990.06.01. 공개)Republic of Korea public utility model publication 20-1990-0010025 (released on June 1, 1990)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2-0001229(2012.02.22. 공개)Republic of Korea public utility model publication 20-2012-0001229 (released on February 22, 2012)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는 캐리어를 유아용 유모차로 변경하여 활용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하여 별도로 유모차를 구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캐리어의 일부 구성을 유모차의 일부 구성으로 공용할 수 있도록 하여 상대적으로 간단한 구성으로 유모차와 캐리어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유모차 겸용 여행용 캐리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 the carrier is configured in a structure that can be used by changing the carrier into a baby stroller,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hassle of having to separately provide a stroller, and part of the carrier is a stroll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ravel carrier for combined use of a stroller that can be used as a stroller and a carrier in a relatively simple configuration by allowing it to be shared in a part of the configuration.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이동 바퀴를 구비하는 캐리어 바디; 및 상기 캐리어 바디 내에 접철 가능하게 구성되고, 펼침 시 유아를 안착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구성되는 내장 안착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겸용 여행용 캐리어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s and other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rrier body having a moving wheel; And a built-in seating means configured to be foldable within the carrier body and configured to have a structure capable of seating an infant when unfolded. A travel carrier for combined use of a stroller is provided.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여행용 캐리어에 있어서, 일면이 개폐 수단에 의해 개폐 가능한 개폐 커버체로 구성되며, 상단부에 손잡이를 구비하는 캐리어 바디; 상기 캐리어 바디의 하부에 구비되는 이동 바퀴; 상기 캐리어 바디의 상측 배면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보조 바퀴; 상기 캐리어 바디 내에 접철 가능하게 구성되고, 펼침 시 유아를 안착시킬 수 있게 구성되는 내장 안착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겸용 여행용 캐리어가 제공된다.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ravel carrier, one side is composed of an opening and closing cover body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the carrier body having a handle on the upper end; A moving wheel provided under the carrier body; A pair of auxiliary wheels provided on the upper rear surface of the carrier body; It is provided to be foldable in the carrier body, a built-in seating means configured to seat the infant when unfolded; a stroller combined travel carrier comprising a.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바디의 배면에는 보조바퀴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보조 바퀴는 상기 보조바퀴 수용홈에 수용되고 펼친 상태에서 고정되게 구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n auxiliary wheel receiving groove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arrier body, and the auxiliary wheel is accommodated in the auxiliary wheel receiving groove and may be configured to be fixed in an unfolded stat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내장 안착 수단은, 상기 캐리어 바디의 하부 측 바닥면에 형성되는 힌지 돌출부과, 일단부가 상기 힌지 돌출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반신 안착 프레임과, 일단부가 상기 힌지 돌출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하반신 안착 프레임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회동되게 결합되는 상반신 안착 프레임과, 상기 하반신 안착 프레임과 상반신 안착 프레임에 구비되는 안착 시트, 및 상기 하반신 안착 프레임과 상반신 안착 프레임 각각에 대한 회동위치를 구속하여 하반신 안측 프레임과 상반신 안착 프레임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회동각도 조절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회동각도 조절수단은 일단부가 상기 캐리어 바디의 바닥면 상측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고, 타단부는 상기 안착 프레임 각각의 소정 위치에 구속 결합되는 회동각도 조절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ior seating means includes a hinge protrusion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lower side of the carrier body, a lower body seating frame with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hinge protrusion, and one end rotatable to the hinge protrusion The upper body seating frame, which is coupled so as to be rotated in a direction facing the lower body seating frame, a seating sheet provided in the lower body seating frame and the upper body seating frame, and the rotational position for each of the lower body seating frame and the upper body seating frame Constrained to include a rotation angle adjustment means for adjus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lower body inner frame and the upper body seating frame, the rotation angle adjustment means is provided so as to be rotatable at one end above the bottom surface of the carrier body, and the other end It may include a rotation angle adjustment frame constrain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each seating fram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반신 안착 프레임과 상반신 안착 프레임 및 회전각도 조절 프레임은 상기 캐리어 바디에 분리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body seating frame, the upper body seating frame, and the rotation angle adjustment frame may be configured to be detachable to the carrier body.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개폐 커버체는 양변과 하단 변이 상기 개폐 수단에 의해 개방 및 폐쇄되고, 상단 측의 변을 축으로 회동하여 개폐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개폐 커버체는 복수의 접철 보조커버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 and closing cover body is configured such that both sides and bottom sides are opened and clos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and the opening and closing cover body is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by rotating the side of the top side with an axis. It may contain mor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개폐 커버체는 상기 개폐 커버체의 내측 하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보조 커버체; 상기 제1 보조 커버체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보조 커버체; 상기 제1 보조 커버체의 양 가장자리 및 제2 보조 커버체의 양 가장자리 중 하나에 접철가능하게 구비되는 양측부 보조커버체; 및 상기 제2 보조 커버체와 양측부 보조커버체를 상기 캐리어 바디에 탈착가능하게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고정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 and closing cover body is a first auxiliary cover body rotatably coupled to the inner lower end of the opening and closing cover body; A second auxiliary cover body rotatably coupled to an end portion of the first auxiliary cover body; Both side auxiliary cover bodies are foldably provided at one of both edges of the first auxiliary cover body and both edges of the second auxiliary cover body; And a fixing means configured to detachably fix the second auxiliary cover body and both side auxiliary cover bodies to the carrier body.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겸용 여행용 캐리어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travel carrier for a baby carri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은 캐리어를 유아용 유모차로 활용할 수 있어 별도로 유모차를 구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Firs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rier can be used as a baby stroller, thereby eliminating the hassle of having to separately provide a stroller.

둘째, 본 발명은 유아를 동반하여 비행기와 같은 교통 수단을 이용하는 경우, 유모차를 구비해야 하는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어 유아 동반 여행자에게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Second, the present invention has a very useful effect for travelers with infants, sinc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burden of having a stroller when using a transportation means such as an airplane with an infant.

셋째, 본 발명은 캐리어의 일부 구성을 유모차의 일부 구성으로 활용할 수 있어 상대적으로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ird,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relatively simple configuration, since a part of the carrier can be utilized as a part of the stroller.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겸용 여행용 캐리어를 유모차를 활용하는 상태에 대하여 상부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겸용 여행용 캐리어를 유모차를 활용하는 상태에 대하여 하부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겸용 여행용 캐리어를 유모차를 활용하는 상태에 대하여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겸용 여행용 캐리어를 유모차를 활용하는 상태에 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as viewed from the upper side with respect to a state in which a baby carriage for travel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tilized.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from the lower side with respect to a state in which the baby carriage combined travel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tiliz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as viewed from the side with respect to a state in which a baby carriage is utilized for a travel carrier for a baby carri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utilizing the stroller for a travel carrier for a combined s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Additional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r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the examples described below and shown in the drawings are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as including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the middl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erms such as "... unit", "... unit", and "...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is hardware, software, or hardware and It can be implemented as a combination of software.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겸용 여행용 캐리어는, 크게 이동 바퀴를 구비하는 캐리어 바디; 및 상기 캐리어 바디 내에 접철 가능하게 구성되고, 펼침 시 유아를 안착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구성되는 내장 안착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ombined stroller travel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arrier body having a large moving wheel; And a built-in seating means configured to be foldable in the carrier body and configured to have a structure capable of seating an infant when unfold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모차 겸용 여행용 캐리어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baby carriage combined travel carri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겸용 여행용 캐리어를 유모차를 활용하는 상태에 대하여 상부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겸용 여행용 캐리어를 유모차를 활용하는 상태에 대하여 하부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겸용 여행용 캐리어를 유모차를 활용하는 상태에 대하여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겸용 여행용 캐리어를 유모차를 활용하는 상태에 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mbined stroller travel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upper side with respect to the state of utilizing the stroller, and Figure 2 is a stroller using a stroller for a combined travel carri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as viewed from the lower side with respect to the state, and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as viewed from the side with respect to the state of utilizing the stroller for a combined travel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ravel carrier for use as a baby carriage in a state in which a baby carriage is used.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겸용 여행용 캐리어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면이 개폐 수단에 의해 개폐 가능한 개폐 커버체(110)로 구성되며, 상단부에 손잡이(120)를 구비하는 함체형의 캐리어 바디(100); 상기 캐리어 바디(100)의 하단부 양 모서리측에 구비되는 이동 바퀴(210); 상기 캐리어 바디(100)의 상측 배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보조 바퀴(220); 상기 캐리어 바디(100) 내에 접철 가능하게 구성되고, 펼침 시 유아를 안착시킬 수 있게 구성되는 내장 안착 수단;을 포함한다.The stroller combined travel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to 4, is composed of an opening/closing cover body 110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by an opening/closing means, and has a handle 120 at the upper end. A housing-type carrier body 100; Moving wheels 210 provided on both corners of the lower end of the carrier body 100; A pair of auxiliary wheels 220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arrier body 100; It includes; a built-in seating means configured to be foldable within the carrier body 100 and configured to seat an infant when unfolded.

상기 캐리어 바디(100)는 통상의 여행용 캐리어의 형태와 디자인을 갖고 형성된다.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캐리어 바디(100)에 구성되는 개폐 커버체(110)는 양변과 하단 변 (및 상단 변의 양측 일부를 포함할 수 있음)이 공지의 개폐 수단(예를 들면, 지퍼)에 의해 개방 및 폐쇄되고, 상단 측의 변을 축으로 회동하여 개폐되도록 구성되게 된다.The carrier body 100 is formed with the shape and design of a conventional travel carrier.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 and closing cover body 110 configured in the carrier body 100 has both sides and lower sides (and may include a portion of both sides of the upper side) to a known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example, a zipper). It is opened and closed by, and is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by rotating the side of the upper end side.

이는 본 발명의 유모차 겸용 여행용 캐리어가 유모차로 활용될 때, 하드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캐리어 바디(100) 및 개폐 커버체(110)가 유모차를 유지시킬 수 있는 유모차의 지지체 또는 지지 플레이트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개폐 커버체(110)는 유모차로 활용 시 등받이부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This allows the carrier body 100 and the opening/closing cover 110 made of a hard material to form a support or a support plate of a stroller capable of holding the stroller when the stroller travel carri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stroller. do. The opening and closing cover body 110 can form a backrest when used as a baby carriage.

또한, 상기 개폐 커버체(110)는 복수의 접철 보조커버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ning and closing cover body 110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folding auxiliary cover body.

다시 말해서, 상기 개폐 커버체(110)는 개폐 커버체의 하단부(즉, 회동 측과 반대되는 측) 내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보조 커버체와, 상기 제1 보조 커버체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보조 커버체와, 상기 제1 보조 커버체의 양 가장자리 및/또는 제2 보조 커버체의 양 가장자리에 접철가능하게 구비되는 양 측부 보조커버체, 및 상기 제2 보조 커버체와 양 측부 보조커버체를 캐리어 바디(100)에 탈착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opening/closing cover body 110 includes a first auxiliary cover body rotatably coupled to the inner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opening/closing cover body (ie, the side opposite to the rotation side), and the first auxiliary cover body rotates at the end of the first auxiliary cover body. A second auxiliary cover body coupled to be possible, both side auxiliary cover bodies foldably provided on both edges of the first auxiliary cover body and/or both edges of the second auxiliary cover body, and the second auxiliary cover body And it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means capable of detachably fixing the auxiliary cover body on both sides to the carrier body (100).

이러한 보조 커버체들은 적어도 제1 보조 커버체이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se auxiliary cover bodies may be formed of at least a transparent material of the first auxiliary cover body.

이와 같이 상기 개폐 커버체(110)가 보조 커버체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개폐 커버체(110)를 펼친 상태에서 제1 보조커버체와 제2 보조 커버체를 역 "ㄱ"자 형태로 펼쳐 고정하고, 양 측부를 펼쳐 고정하게 되면, 내부에 안착되는 유아를 보호하는 커버체로서 활용하게 된다.In this way, when the opening/closing cover body 110 is configured to include auxiliary cover bodies, the first auxiliary cover body and the second auxiliary cover body are unfolded in an inverted “a” shape while the opening/closing cover body 110 is unfolded. When fixed and fixed by spreading both sides, it is used as a cover body to protect the infant seated inside.

계속해서, 상기 캐리어 바디(100)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손잡이(120)는 공지의 여행용 캐리어에 구비되는 구성과 같이, 텔레스코픽(telescopic) 방식, 즉 캐리어 바디 측으로 인입시키고 그로부터 단계적으로 인출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손잡이 구성은 공지의 구성이므로 설명의 간략화를 위하여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ubsequently, the handle 120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carrier body 100 is a telescopic method, that is, a configuration capable of being pulled in to the carrier body side and withdrawn stepwise therefrom, like a configuration provided in a known travel carrier. Can be made. Since this handle configuration is a known configura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for the sake of simplicity.

상기 캐리어 바디(100) 구비되는 이동 바퀴(210)와 보조 바퀴(220)는 자유 구름 가능한 이동 바퀴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moving wheel 210 and the auxiliary wheel 220 provided with the carrier body 100 may be configured as a moving wheel capable of freely rolling.

도면에서 상기 이동 바퀴(210)는 캐리어 바디(100)의 하단부 후방 측 양 가장자리에 구성되고, 전방 측 양 가장자리에 받침대가 구성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캐리어 바디(100)의 네 모서리부 모두에 자유구름 가능한 상기 이동 바퀴(210)로 구성될 수 있다.In the drawing, the moving wheel 210 is configured on both edges of the rear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carrier body 100, and the case where the pedestal is configured on both edges of the front side is illustrated, but all four corners of the carrier body 100 It may be composed of the movable wheel 210 capable of free rolling.

본 발명에서 상기 캐리어 바디(100)의 배면에는 보조바퀴 수용홈(101)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 바퀴(220)는 상기 보조바퀴 수용홈(101)에 수용되고 그로부터 펼쳐서 고정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n auxiliary wheel receiving groove 101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arrier body 100, and the auxiliary wheel 220 is configured to be accommodated in the auxiliary wheel receiving groove 101 and unfolded and fixed therefrom. You lose.

다시 말해서, 상기 보조 바퀴(220)는 바퀴 블록이 상기 보조바퀴 수용홈(101)의 일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바퀴 블록과 보조바퀴 수용홈(101) 간에는 상기 보조 바퀴(220)가 보조바퀴 수용홈(101)에 수용된 상태 및 펼친 상태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보조바퀴 수용홈(101)의 일측 또는 상기 바퀴 블록의 일측에 형성되는 조작 노브와, 상기 조작 노브에 연동하고 상기 보조바퀴 수용홈(101) 측으로 돌출되며 탄성체로 탄성지지되는 고정 돌기, 및 상기 보조바퀴 수용홈(101)의 측벽면 또는 상기 바퀴 블록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 돌기가 삽입되는 고정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auxiliary wheel 220 has a wheel block rotatably provided at one end of the auxiliary wheel receiving groove 101, and the auxiliary wheel 220 is disposed between the wheel block and the auxiliary wheel receiving groove 101 It includes a fixing means capable of fixing the state accommodated in the auxiliary wheel receiving groove 101 and the unfolded state. The fixing means includes a manipulation knob formed on one side of the auxiliary wheel receiving groove 101 or on one side of the wheel block, and interlocking with the manipulation knob and protruding toward the auxiliary wheel receiving groove 101 and being elastically supported by an elastic body. It may be formed of a protrusion and a fixing groove formed on a side wall of the auxiliary wheel receiving groove 101 or a side surface of the wheel block to insert the fixing protrusion.

다음으로, 상기 캐리어 바디(100) 내에 접철 가능하게 구성되고, 펼침 시 유아를 안착시킬 수 있게 구성되는 내장 안착 수단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built-in seating means configured to be foldable in the carrier body 100 and configured to seat an infant when unfolded.

상기 내장 안착 수단은, 크게 캐리어 바디(100)의 내부 일측에 펼침가능하게 구비되어 펼침 시 유아의 하반신이 안착될 수 있게 구성되는 하반신 안착부, 및 상기 캐리어 바디(100)의 내부 타측에 펼침가능하게 구비되어 펼침 시 유아의 상반신이 안착될 수 있게 구성되는 상반신 안착부를 포함한다.The built-in seating means is largely provided to be unfoldable on an inner side of the carrier body 100 so that the lower body of an infant can be seated upon unfolding, and a lower body seating portion configured to be seated on the inner side of the carrier body 100 It includes an upper body seating portion that is provided so that the upper body of the infant can be seated when unfolded.

구체적으로, 상기 내장 안착 수단은 상기 캐리어 바디(100)의 하부 측 바닥면에 형성되는 힌지 돌출부(310)와, 일단부가 상기 힌지 돌출부(3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반신 안착 프레임(320)과, 일단부가 상기 힌지 돌출부(3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하반신 안착 프레임(320)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회동되게 결합되는 상반신 안착 프레임(330)과, 하반신 안착 프레임(320)과 상반신 안착 프레임(330)에 구비되는 안착 시트(미도시), 및 상기 하반신 안착 프레임(320)과 상반신 안착 프레임(330) 각각에 대한 회동위치를 구속하여 하반신 안측 프레임(320)과 상반신 안착 프레임(330)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회동각도 조절 수단을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interior seating means includes a hinge protrusion 310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side of the carrier body 100, and a lower body seating frame 320 whose one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hinge protrusion 310 , One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hinge protrusion 310, the upper body seating frame 330, which is pivotally coupled in a direction facing the lower body seating frame 320, and the lower body seating frame 320 and the upper body seating frame ( The seating sheet (not shown) provided in the 330, and the lower body seating frame 320 and the upper body seating frame 330 are rotated by restraining the rotational positions for each of the lower body and the inner frame 320 and the upper body seating frame 330 It includes a rotation angle adjustment means for adjusting the angle.

상기 하반신 안착 프레임(320)과 상반신 안착 프레임(330)은 ㄷ자형의 외곽 프레임, 및 상기 외곽 프레임을 내측으로 가로지르는 지지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lower body seating frame 320 and the upper body seating frame 330 may be composed of a U-shaped outer frame and a support frame crossing the outer frame inward.

여기에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생략될 수 있다. 도면에 나타낸 예시에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반신 안착 프레임(330)에 구성되고, 하반신 안착 프레임(320)에는 구성되지 않은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Here, the support frame may be omitted. In the example shown in the drawings, the support frame is configured on the upper body seating frame 330 and not configured on the lower body seating frame 320.

상기 안착 시트는 천 재질의 시트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ating sheet may be formed of a cloth material.

상기 회동각도 조절수단은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단부는 캐리어 바디(100)의 바닥면 상측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고, 타단부는 상기 안착 프레임(320, 330)의 소정 위치에 구속 결합되는 회동각도 조절 프레임(3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rotation angle adjustment means is provided at one end to be rotatable above the bottom surface of the carrier body 100, and the other end is constrain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eating frame (320, 330).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rame 340.

또한, 상기 회동각도 조절수단은 다른 실시 형태로 상기 힌지 돌출부(310)에 회전축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결합 구멍과, 상기 안착 프레임(320, 330)의 일단부 측에 형성되는 결합 구멍, 및 상기 두 결합 구멍으로 삽입되는 고정 피스(고정 샤프트)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tation angle adjusting means is a coupling hole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rotation axis circumference of the hinge projection 310 in another embodiment, and a coupling hole formed at one end side of the seating frame (320, 330) , And a fixing piece (fixed shaft) inserted into the two coupling holes.

또한, 상기 회동각도 조절수단은 또 다른 실시 형태로 일단부는 각각 상기 안착 프레임(320, 33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자유단부로 형성되는 회전각도 조절부재, 및 상기 캐리어 바디(100)의 바닥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갖고 형성되어 상기 회전각도 조절부재의 자유단부가 지지 고정되는 걸림 고정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tation angle adjusting means is a rotation angle adjusting member having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seating frames 320 and 330, respectively, and the other end being formed as a free end, and the carrier body 100 It is formed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otation angle adjustment member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locking jaw supported and fixed to the free en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겸용 여행용 캐리어가 유모차에서, 상기 상반신 안착 프레임은 생략되고, 캐리어 바디(100)의 개폐 커버체(110)가 상반신 안착 프레임을 대신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stroller combined travel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body seating frame is omitted, and the opening and closing cover body 110 of the carrier body 100 may replace the upper body seating frame.

다시 말해서, 상기 개폐 커버체(110)는 상반신 지지플레이트로서 역할을 하되 상단부가 손잡이(120)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게 구성되고, 캐리어 바디(100)의 바닥면 상부 측에 상기 하반신 안착 프레임(320)이 회동가능하게 구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opening and closing cover body 110 serves as an upper body support plate, but the upper end portion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y fixed to the handle 120, and the lower body seating frame 320 on the upper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arrier body 100 ) May be configured to be rotatable.

구체적으로, 상기 내장 안착 수단은 상기 캐리어 바디(100)의 상부 측 바닥면에 형성되는 힌지 돌출부(310)와, 일단부가 상기 힌지 돌출부(3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반신 안착 프레임(320), 일부는 하반신 안착 프레임(320)를 탈착가능하게 커버하고 다른 일부의 상단부는 개폐 커버체(110)의 내면 상단부 측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안착 시트(미도시), 및 상기 하반신 안착 프레임(320)에 대한 회동위치를 구속하여 하반신 안측 프레임(320)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상기한 회동각도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interior mounting means includes a hinge protrusion 310 formed on the upper side bottom surface of the carrier body 100, and a lower body seating frame 320 having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hinge protrusion 310, Some of the lower body seating frame 320 is detachably covered, and the other upper part is a seating sheet (not shown) detachably fixed to the inner upper end 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cover body 110, and the lower body seating frame 320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the rotation angle adjustment means for adjus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lower body inner frame 320 by restraining the rotation position for.

한편, 상기 본 발명의 유모차 겸용 여행용 캐리어에서 하반신 안착 프레임과 상반신 안착 프레임 및 회전각도 조절 프레임은 캐리어 바디에 분리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body seating frame, the upper body seating frame, and the rotation angle adjustment frame in the stroller combined travel carri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be detachable to the carrier body.

이와 같이 본발명은 하반신 안착 프레임과 상반신 안착 프레임이 분리가능한 구성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하반신 안착 프레임과 상반신 안착 프레임을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고, 분리한 상태로 하여 캐리어용으로만 사용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structure in which the lower body seating frame and the upper body seating frame are detachable, so that the lower body seating frame and the upper body seating frame can be assembled and used, or can be used only for a carrier in a separated stat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겸용 여행용 캐리어에 의하면, 캐리어를 유아용 유모차로 활용할 수 있어 별도로 유모차를 구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고, 특히 유아를 동반하여 비행기와 같은 교통 수단을 이용하는 경우, 유모차를 구비해야 하는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어 유아 동반 여행자에게 매우 유용하며, 캐리어의 일부 구성을 유모차의 일부 구성으로 활용할 수 있어 상대적으로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travel carrier for combined use of a s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arrier can be used as a stroller for infants,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hassle of having to separately provide a stroller, and in particular, using a transportation means such as an airplane with an infant In this case, it is very useful for travelers with infants becaus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burden of having a stroller, and there is an advantage of being relatively simple to configure because a part of the carrier can be used as a part of the stroller.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 예들은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lthoug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y the limited drawings,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apply various technical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based on the above.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from the described method, and/or components such as a system, structure, device, circuit, etc. described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form different from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Alternatively, even if substituted or substituted by an equivalent, an appropriate result can be achieved.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merely illustrative of some of the technical idea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it is obvious that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but to explain the technical idea, and thus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Modification examples and specific embodiments that can be easily inferr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캐리어 바디
101: 보조바퀴 수용홈
110: 개폐 커버체
120: 손잡이
210: 이동 바퀴
220: 보조 바퀴
310: 힌지 돌출부
320: 하반신 안착 프레임
330: 상반신 안착 프레임
340: 회동각도 조절 프레임
100: carrier body
101: auxiliary wheel receiving groove
110: opening and closing cover body
120: handle
210: moving wheel
220: auxiliary wheel
310: hinge protrusion
320: lower body seating frame
330: upper body seating frame
340: rotation angle adjustment frame

Claims (7)

삭제delete 여행용 캐리어에 있어서,
일면이 개폐 수단에 의해 개폐 가능한 개폐 커버체로 구성되며, 상단부에 손잡이를 구비하는 캐리어 바디;
상기 캐리어 바디의 하부에 구비되는 이동 바퀴;
상기 캐리어 바디의 상측 배면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보조 바퀴;
상기 캐리어 바디 내에 접철 가능하게 구성되고, 펼침 시 유아를 안착시킬 수 있게 구성되는 내장 안착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 바디의 배면에는 보조바퀴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 바퀴는 상기 보조바퀴 수용홈에 수용되고 펼친 상태에서 고정되게 구성되고,
상기 개폐 커버체는 양변과 하단 변이 상기 개폐 수단에 의해 개방 및 폐쇄되고, 상단 측의 변을 축으로 회동하여 개폐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개폐 커버체는 복수의 접철 보조커버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철 보조커버체는, 일단부가 상기 개폐 커버체의 내측 하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 보조 커버체와, 상기 제1 보조 커버체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보조 커버체와, 상기 제1 보조 커버체의 양 가장자리 및 제2 보조 커버체의 양 가장자리 중 하나에 접철가능하게 구비되는 양측부 보조커버체, 및 상기 제2 보조 커버체와 양측부 보조커버체를 상기 캐리어 바디에 탈착가능하게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고정 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개폐 커버체를 펼친 상태에서 상기 제1 보조커버체와 제2 보조 커버체를 역 "ㄱ"자 형태로 펼쳐 고정하고, 상기 양측부 보조커버체를 펼쳐 고정하여 내부에 안착되는 유아를 보호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겸용 여행용 캐리어.
In the travel carrier,
A carrier body having a handle on an upper end of which one side is composed of an opening and closing cover body capable of being opened and closed by an opening and closing means;
A moving wheel provided under the carrier body;
A pair of auxiliary wheels provided on the upper rear surface of the carrier body;
Including; a built-in seating means configured to be foldable in the carrier body and configured to seat an infant when unfolded,
An auxiliary wheel receiving groove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arrier body,
The auxiliary wheel is accommodated in the auxiliary wheel receiving groove and is configured to be fixed in an unfolded state,
The opening and closing cover body is configured such that both sides and bottom sides are opened and clos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and opened and closed by rotating the side of the top side with an axis,
The opening and closing cover body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folding auxiliary cover bodies,
The folding auxiliary cover body includes a first auxiliary cover body having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an inner lower end of the opening/closing cover body and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a second auxiliary rotatably coupled to an end of the first auxiliary cover body. A cover body, both sides of the first auxiliary cover body and both sides of the auxiliary cover body that is foldably provided at one of both edges of the second auxiliary cover body, and the second auxiliary cover body and both side auxiliary cover bodies Including a fixing means configured to be detachably fixed to the carrier body, the first auxiliary cover body and the second auxiliary cover body in an inverted "a" shape in the unfolded state and fixed, Characterized in that made to protect the infant seated inside by spreading and fixing the auxiliary cover bodies on both sides
Travel carrier for both strollers.
삭제dele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 안착 수단은, 상기 캐리어 바디의 하부 측 바닥면에 형성되는 힌지 돌출부과, 일단부가 상기 힌지 돌출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반신 안착 프레임과, 일단부가 상기 힌지 돌출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하반신 안착 프레임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회동되게 결합되는 상반신 안착 프레임과, 상기 하반신 안착 프레임과 상반신 안착 프레임에 구비되는 안착 시트, 및 상기 하반신 안착 프레임과 상반신 안착 프레임 각각에 대한 회동위치를 구속하여 하반신 안착 프레임과 상반신 안착 프레임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회동각도 조절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회동각도 조절수단은 일단부가 상기 캐리어 바디의 바닥면 상측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고, 타단부는 상기 안착 프레임 각각의 소정 위치에 구속 결합되는 회동각도 조절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겸용 여행용 캐리어.
The method of claim 2,
The built-in seating means includes a hinge protrusion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lower side of the carrier body, a lower body seating frame with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hinge protrusion, and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hinge protrusion, wherein the lower body The upper body seating frame coupled to be rotated in a direction facing the seating frame, the seating sheet provided in the lower body seating frame and the upper body seating frame, and the lower body seating frame by restraining the rotational positions for each of the lower body seating frame and the upper body seating frame And a rotation angle adjustment means for adjus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upper body seating frame,
The rotation angle adjustment means is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is rotatably provided above the bottom surface of the carrier body, and the other end is configured to include a rotation angle adjustment frame constrain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each of the seating frames.
Travel carrier for both stroller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반신 안착 프레임과 상반신 안착 프레임 및 회전각도 조절 프레임은 상기 캐리어 바디에 분리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겸용 여행용 캐리어.
The method of claim 4,
The lower body seating frame, the upper body seating frame, and the rotation angle adjustment frame are configured to be detachable to the carrier body.
Travel carrier for both strollers.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0033999A 2019-03-26 2019-03-26 Travelign carriage capable of using baby carrier KR1021921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3999A KR102192108B1 (en) 2019-03-26 2019-03-26 Travelign carriage capable of using baby carr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3999A KR102192108B1 (en) 2019-03-26 2019-03-26 Travelign carriage capable of using baby carri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3577A KR20200113577A (en) 2020-10-07
KR102192108B1 true KR102192108B1 (en) 2020-12-22

Family

ID=72883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3999A KR102192108B1 (en) 2019-03-26 2019-03-26 Travelign carriage capable of using baby carri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2108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61770A (en) * 2008-07-12 2010-01-20 Nicholas Brealey Child backrest and footrest for wheeled luggage
KR101011248B1 (en) * 2008-09-08 2011-01-26 화선 김 제인 Backpack having baby carriage
KR101890285B1 (en) * 2018-01-15 2018-08-22 (주)나재 A carry-on luggage that can be transformed into a baby wago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4185Y1 (en) 1988-11-04 1991-06-17 박승형 Foldable baby carriage
KR200314777Y1 (en) 2002-12-27 2003-05-27 송희로 A baby carriage combined suitcase
US7097017B1 (en) * 2005-10-06 2006-08-29 Lacrosse Wills Travel suitcase with seat
KR101054245B1 (en) 2009-10-20 2011-08-09 장인환 Carrier combined stroller
KR20120001229U (en) 2010-08-13 2012-02-22 남상보 A baby carriage combined suitcase
KR20120115452A (en) 2011-04-10 2012-10-18 이준희 Baby carriage in the traveling ba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61770A (en) * 2008-07-12 2010-01-20 Nicholas Brealey Child backrest and footrest for wheeled luggage
KR101011248B1 (en) * 2008-09-08 2011-01-26 화선 김 제인 Backpack having baby carriage
KR101890285B1 (en) * 2018-01-15 2018-08-22 (주)나재 A carry-on luggage that can be transformed into a baby wag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3577A (en) 2020-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28658B1 (en) Combination luggage and child carrier
EP3057846B1 (en) Child carrier
ES2837649T3 (en) Luggage appliance
AU2010101493A4 (en) Play or work apparatus
JPH02224613A (en) Frame for suitcase
US20100059970A1 (en) Multi-purpose carriage
US9771095B2 (en) Stroller with a secondary attachment
GB2491552A (en) Multi-purpose apparatus
KR200487580Y1 (en) Folding stroller having a basket
US10588422B2 (en) Foldable baby chair
WO2014057257A1 (en) Collapsible pushchair
KR101877557B1 (en) Folding wagon
KR102192108B1 (en) Travelign carriage capable of using baby carrier
GB2461770A (en) Child backrest and footrest for wheeled luggage
KR200314777Y1 (en) A baby carriage combined suitcase
US10568402B2 (en) Luggage with transport platform
KR102336167B1 (en) A spreadable carrier bag
JP6283421B2 (en) Foldable baby stroller suitable for carrying newborns
AU2018100173A4 (en) Combination carry on luggage and child stroller
KR101923732B1 (en) Folding wagon
KR20240000488U (en) Foldable Wagon For Child
JP2007210532A (en) Handcart with seat
KR200192299Y1 (en) Multipurpose carrier
KR20230044607A (en) A carry-on luggage that can be transformed into a stroller
KR20230080603A (en) Movement bag for p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