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0888B1 -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 Google Patents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0888B1
KR102190888B1 KR1020200042024A KR20200042024A KR102190888B1 KR 102190888 B1 KR102190888 B1 KR 102190888B1 KR 1020200042024 A KR1020200042024 A KR 1020200042024A KR 20200042024 A KR20200042024 A KR 20200042024A KR 102190888 B1 KR102190888 B1 KR 102190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device
display
request signal
connection reques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20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39638A (en
Inventor
김태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2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0888B1/en
Publication of KR20200039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963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0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08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소스장치에서 재생되는 소스영상을 무선통신 수단으로 수신하여 표시 가능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스장치가 전송하는 무선연결요청신호의 수신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수신된 무선연결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소스장치와 연결을 위한 설정을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소스장치에서 재생되는 소스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영상입력소스를 상기 무선통신 수단으로 자동으로 전환하는 단계와, 상기 소스장치에서 재생되는 소스영상을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입력 없이 자동으로 연결 구성을 위한 동작의 실행 및 자동으로 영상입력소스가 전환되도록 마련된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In the control method of a display device capable of receiving and displaying a source image reproduced by a sour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the step of monitoring whether a wireless connection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ource device is received, and Proceeding setting for connection with the source device in response to a connection request signal, automatically switching an image input source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to display a source image reproduced by the source device, and the sourc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receiving and displaying the source image played in the devic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trol method of a display device provided to automatically execute an operation for connection configuration and automatically switch an image input source without a user's input.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Display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스장치에 표시되는 소스영상을 무선으로 수신하여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device for wirelessly receiving and displaying a source image displayed on a source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무선 디스플레이 (Wireless Display) 기술 개발에 따라서, PC, 스마트 기기, 기타 영상 소스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무선으로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할 수 있게 되었다.With the development of wireless display technology, image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PCs, smart devices, and other video source devices can be wirelessly transmitted to the display device in real time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이와 같이 장치 간 동영상 콘텐츠의 공유를 위하여 양 장치는 서로를 인식하고 연결을 구성한 후 디스플레이장치는 동영상 콘텐츠를 소스장치로부터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한다. In this way, in order to share video content between devices, both devices recognize each other and establish a connection, and then the display device receives and displays the video content from the source device.

소스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는 연결 구성에 앞서, 상호 장치 발견을 위한 디스커버리 모드에 진입해야 한다. 종래에는 양 장치가 디스커버리 모드에 진입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소스 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 각각에 대하여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거나, 특정 키를 입력하여 트리거(trigger)를 발생시켜야 한다. 즉, 사용자가 소스 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 각각에 대하여, 연결을 위한 탐색모드로 진입하도록 명령하는 입력을 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The source device and the display device must enter a discovery mode for mutual device discovery prior to connection configuration. Conventionally, in order for both devices to enter the discovery mode, a user must execute a specific application for each of the source device and the display device or input a specific key to generate a trigger. That is,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that the user must input a command to enter the search mode for connection to each of the source device and the display device.

이후, 양 장치가 장치 탐색 및/또는 서비스 탐색을 거쳐 무선 디스플레이를 위한 연결을 형성하면, 소스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로 소스 영상을 송신하고, 디스플레이장치는 수신한 소스영상을 렌더링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 Thereafter, when both devices establish a connection for wireless display through device discovery and/or service discovery, the source device transmits the source image to the display device, and the display device renders the received source image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unit. .

여기서, 수신한 소스영상이 처리되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장치의 입력 소스는 무선디스플레이를 위한 입력소스로 전환되어 있어야 한다. Here, in order for the received source image to be process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he input source of the display device must be switched to an input source for wireless display.

예컨대, 디스플레이장치의 현재 입력 소스가 TV 방송 채널인 경우, 소스장치로부터 소스영상을 수신하더라도 이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없으므로, 사용자는 입력소스를 무선 디스플레이를 처리 및 표시하기 위한 입력소스로 전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For example, if the current input source of the display device is a TV broadcast channel, even if a source image is received from the source device, it cannot be process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herefore, the user may use the input source as an input source for processing and displaying the wireless display. There is a discomfort to switch.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의 입력부를 통해 무선디스플레이모드의 활성화와 같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면, 소스장치와의 연결 구성을 위한 장치 탐색과 아울러 무선디스플레이를 위한 입력 소스 전환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마련된 경우도 있다.In another prior art, when a user executes a specific application such as activation of a wireless display mode through an input of a display device, a device search for a connection configuration with a source device and an input source switch for a wireless display are simultaneously performed. In some cases, it is prepared to lose.

그러나, 이러한 경우도, 소스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연결 구성 및 소스영상의 무선 디스플레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소스장치의 입력부를 통해 연결 구성을 위한 명령을 입력해야 하고, 또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입력부를 통해 연결구성 및/또는 입력소스 전환을 위한 명령을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However, even in this case, for the connection configuration between the source device and the display device and wireless display of the source image, the user must input a command for connection configuration through the input unit of the source device, and also connect through the input unit of the display device. It is inconvenient to input a command for configuration and/or input source switching.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스장치의 소스 영상을 무선으로 수신하여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기 위한 장치 간 무선 연결 구성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입력 소스 전환에 있어서, 소스 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 양쪽의 각각에 대하여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을 개선하여, 사용자가 소스장치의 입력부를 통해 명령을 입력하면, 이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연결 구성을 위한 동작의 실행 및 입력소스가 전환되도록 마련된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configure a wireless connection between devices for wirelessly receiving a source image of a source device and display it on a display device and to switch the input source of the display device. A display device provided to automatically execute an operation for connection configuration and switch the input source in response to the user inputting a command through the input unit of the source device by improving the inconvenience of inputting a command,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Is to provide.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소스장치에서 재생되는 소스영상을 무선통신 수단으로 수신하여 표시 가능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스장치가 전송하는 무선연결요청신호의 수신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수신된 무선연결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소스장치와 연결을 위한 설정을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소스장치에서 재생되는 소스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영상입력소스를 상기 무선통신 수단으로 자동으로 전환하는 단계와; 상기 소스장치에서 재생되는 소스영상을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The above objec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capable of receiving and displaying a source image reproduced by a source device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the step of monitoring whether or not a wireless connection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ource device is received. Wow; Performing setup for connection with the source device in response to the received wireless connection request signal; Automatically switching an image input source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to display a source image reproduced by the source device; It can be achieved by a method of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tep of receiving and displaying a source image reproduced by the source device.

또한, 상기 수신된 무선연결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영상입력소스가 상기 무선통신 수단으로 자동으로 전환할 수 있다.In addition, in response to the received wireless connection request signal, the image input source of the display device may be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또한, 상기 수신된 무선연결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소스장치와 연결을 위한 설정을 진행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입력 없이 자동으로 진행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ep of setting for connection with the source device in response to the received wireless connection request signal may be performed automatically without a user's input.

또한, 상기 소스장치와 와이파이 P2P(Wi-Fi Peer to Peer) 규격으로 통신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be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source device in a Wi-Fi Peer to Peer (P2P) standard.

또한, 상기 소스장치가 전송하는 무선연결요청신호의 수신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통신수단이 주기적으로 디스커버리 단계에 진입하는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ep of monitoring whether the wireless connection request signal transmitted by the source device is received may include a state in whic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periodically enters the discovery step.

또한, 상기 수신된 무선연결요청신호는, 영상입력소스의 자동전환 수행을 나타내는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ceived wireless connection request signal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information indicating the automatic switching of the image input source.

여기서, 상기 정보는 서비스탐색요청프레임에 포함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Here, the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be included in the service search request frame.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소스장치에서 재생되는 소스영상을 무선으로 수신하여 표시 가능한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스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소스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소스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소스장치가 전송하는 무선연결요청신호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며, 수신된 무선연결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소스장치와 연결을 위한 설정을 진행하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소스장치에서 재생되는 소스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영상입력소스를 상기 통신부로 자동으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소스장치에서 재생되는 소스영상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capable of receiving and displaying a source image reproduced by a source device wirelessly,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ource device;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a source image received from the source device; It monitors whether the wireless connection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ource device is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controls to proceed with setting for connection with the source device in response to the received wireless connection request signal, and in the source devic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 image input source to be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communication unit to display a reproduced source image, and for controlling to receive a source image played in the source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display it on the display unit. It can also be achieved by a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무선연결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영상입력소스가 상기 통신부로 자동으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Here,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image input source to be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communication unit in response to the received wireless connection request signal.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무선연결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입력 없이 자동으로 상기 소스장치와 연결을 위한 설정을 진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may control to automatically proceed with setting for connection with the source device in response to the received wireless connection request signal without a user's input.

또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소스장치와 와이파이 P2P(Wi-Fi Peer to Peer) 규격으로 통신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may be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source device in a Wi-Fi Peer to Peer (P2P) standard.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스장치가 전송하는 무선연결요청신호의 수신여부를 모니터링하며, 상기 통신부가 주기적으로 디스커버리 단계에 진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monitor whether or not a wireless connection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ource device is received, and control the communication unit to periodically enter the discovery phase.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무선연결요청신호에 포함된 영상입력소스의 자동전환 수행을 나타내는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information indicating the automatic switching of an image input source included in the received wireless connection request signal.

여기서, 상기 정보는 서비스탐색요청프레임에 포함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Here, the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be included in the service search request frame.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입력부와, 디스플레이장치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소스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여 무선연결요청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무선연결요청신호를 수신한 디스플레이장치와 연결 설정을 수립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소스영상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소스장치와;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display system, a user input unit, a communication unit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display device, a display unit displaying a source image, and a user command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A source comprising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o transmit a wireless connection request signal, controls to establish a connection setting with a display device that has received the wireless connection request signal, and controls to transmit the source image to the display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Device;

상기 소스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소스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소스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소스장치가 전송하는 무선연결요청신호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며, 수신된 무선연결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소스장치와 연결 을 위한 설정을 진행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소스장치에서 재생되는 소스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영상입력소스를 상기 통신부로 자동으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소스장치에서 재생되는 소스영상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A communication unit that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ource device,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a source image received from the source device, and monitors whether a wireless connection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ource device is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receives Controls to proceed with setting for connection with the source device in response to the wireless connection request signal, and controls to automatically switch an image input source to the communication unit to display the source image played in the source device, and the source It can also be achieved by a display system including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o receive a source image reproduced by the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display it on the display unit.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소스장치의 소스 영상을 무선으로 수신하여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기 위한 장치 간 무선 연결 구성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입력 소스 전환에 있어서, 소스 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 양쪽의 각각에 대하여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을 개선하여, 사용자가 소스장치의 입력부를 통해 명령을 입력하면, 이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연결 구성을 위한 동작의 실행 및 입력소스가 전환되도록 마련된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wireless connection configuration between devices for wirelessly receiving a source image of a source device and displaying it on a display device, and switching an input source of the display device, each of the source device and the display device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improve the inconvenience that the user has to input a command, when the user inputs a command through the input unit of the source device, a display device provided to automatically execute an operation for connection configuration and switch the input source in response thereto. The control method can be provided.

도 1은 무선디스플레이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ireless display system;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3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have been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디스플레이시스템(1)의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display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1)은 상호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도록 마련된 소스장치(100) 및 디스플레이장치(20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the display system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ource device 100 and a display device 200 provided to form a mutual wireless network.

소스장치(100) 및 디스플레이장치(200)는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AP(Access Point)를 이용하지 않고, 서로 직접 피어 투 피어 (Peer-to-Peer) 연결을 설정함으로써,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The source device 100 and the display device 200 configure a wireless network by establishing a peer-to-peer connection directly to each other without using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access point (AP). can do.

또는, 상기 소스장치(100) 및 디스플레이장치(200)가 동일한 Wi-Fi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TDLS(Tunneled Direct Link Setup)를 통해 상호 간에 직접 링크를 구성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when the source device 100 and the display device 200 are connected to the same Wi-Fi network, a direct link may be configured with each other through TDLS (Tunneled Direct Link Setup).

소스장치(100)는 예컨대, PC, 노트북, 스마트폰, 카메라, 태블릿 등과 같은 동영상 콘텐츠의 생성, 코드 변환 또는 저장이 가능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장치(200)는 예컨대, TV, 프로젝터 등과 같은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The source device 100 may be implemented as a device capable of generating, transcoding, or storing video content such as, for example, a PC, a laptop computer, a smart phone, a camera, a tablet, etc., and the display device 200 is, for example, a TV, a projector, etc. It can be implemented with the same device.

소스장치(1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미도시)와, 소스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는 사용자입력부(미도시)와, 소스장치(100)의 제반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The source device 1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that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display device 100, a display unit (not shown) that displays a source image, and a user input unit (not shown) that receives a user's command. , And a control unit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ll components of the source device 100.

통신부(미도시)는 무선 인터넷 모듈로서, 와이파이모듈(미도시)을 포함하며, 디스플레이장치(200)와 Wi-Fi Direct 즉, Wi-Fi Peer-to-Peer(P2P) 규격으로 통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is a wireless Internet module, including a Wi-Fi module (not shown), and can communicate with the display device 200 in a Wi-Fi Direct, that is, a Wi-Fi Peer-to-Peer (P2P) standard. .

디스플레이부(미도시)는 소스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 및/또는 영상을 표시하며,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not shown) displays information and/or images processed by the source device 100, and i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 flexible display, and a 3D display.

사용자입력부(미도시)는 사용자가 소스장치(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키며,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not shown) generates input data for the us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ource device 100, and includes a key pad, a dome switch, a touch pad (positive pressure/power failure), a jog wheel, and a jog. It can be configured with a switch or the like.

제어부(미도시)는, 사용자입력부(미도시)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여 무선연결요청신호가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송신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사용자명령은, 소스장치(100)로부터 소스영상을 무선으로 수신하여 실시간 표시 가능한 무선디스플레이모드를 지원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탐색을 위하여 입력된다. The control unit (not shown) controls a wireless connection request signal to be transmitted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in response to a user command input through a user input unit (not shown). Here, the user command is input to search for a display device supporting a wireless display mode capable of receiving a source image wirelessly from the source device 100 and displaying it in real time.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여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사용하여 능동탐색을 실시한다. 여기서, 빠른 탐색을 위하여 탐색의 범위를 한정하여 채널 1, 6, 11의 소셜 채널을 사용하여 탐색을 실시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not shown) performs active search using a probe request frame in response to the user command. Here, for quick search, a search range may be limited and search may be performed using social channels of channels 1, 6, and 11.

상기 탐색 과정에서, 프로브 요청 프레임으로서, 서비스 탐색을 위한 서비스탐색 요청프레임을 디스플레이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탐색은, 소스장치(100)로부터 소스영상을 무선으로 수신하여 실시간 표시하는 기능의 지원여부에 대한 서비스 탐색을 포함한다. In the search process, as a probe request frame, a service search request frame for service search may be transmitted to the display apparatus 200. Here, the service search includes a service search for support of a function of wirelessly receiving and displaying a source image from the source device 100 in real time.

제어부(미도시)는,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200)로부터 프로브 응답 프레임으로서, 서비스탐색 응답프레임을 수신하면, 디스플레이장치(200)와 연결 설정을 수립하도록 제어한다. When a service search response frame is received as a probe response frame from the display apparatus 200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the controller (not shown) controls to establish a connection setting with the display apparatus 200.

또는 제어부(미도시)는 응답한 디스플레이장치가 복수 개인 경우,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상기 응답한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장치의 리스트가 표시되도록 UI를 생성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UI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디스플레이장치와 연결 설정을 수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that have responded, the controller (not shown) controls to generate and display a UI so that a list of the plurality of responding display devices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not shown). It can be controlled to establish connection settings with the selected display device.

제어부(미도시)는, 디스플레이장치(200)와 연결이 구성되면, 소스장치의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표시되도록 재생되는 소스 영상을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장치(200)로 전송한다.When a connection with the display device 200 is established, the control unit (not shown) transmits a source image played back to be displayed on a display unit (not shown) of the source device using Real-Time Streaming Protocol (RTSP), 200).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2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isplay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장치(20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미도시), 저장부(미도시), 영상처리부(미도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미도시), 디스플레이부(210), 통신부(220) 및 제어부(230)를 포함한다. 2, the display apparatus 200 includes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not shown), a storage unit (not shown), an image processing unit (not shown), a user input interface unit (not shown), a display unit 210, It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220 and a control unit 2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미도시)는, 외부 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200)를 접속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not shown) may connect the external device and the display device 200, and for this, may include an A/V input/output unit (not shown) or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미도시)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not shown)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digital versatile disk (DVD), a Blu ray, a game device, a camera, a camcorder, a computer (laptop), etc. by wire or wirelessly.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미도시)는 연결된 외부 장치를 통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제어부(230)로 전달하며, 제어부(230)에서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연결된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not shown) transmits an image, audio or data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to the control unit 230 of the display device 200, and the image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230, Voice or data signals can be output to a connected external device.

상기 A/V 입출력부(미도시)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디스플레이장치(200)로 입력할 수 있도록, USB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A/V input/output unit (not shown) includes a USB terminal, a CVBS (Composite Video Banking Sync) terminal, a component terminal, and an S-video terminal so as to input video and audio signals from an external device to the display device 200. Analog), a Digital Visual Interface (DVI) terminal, a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terminal, an RGB terminal, a D-SUB terminal, and the like.

저장부(미도시)는, 제어부(23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하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not shown) stores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each signal in the control unit 230, and may store signal-processed video, audio, or data signals.

또한, 저장부(미도시)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미도시) 또는 통신부(22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torage unit (not shown) may perform a function for temporary storage of a video, audio, or data signal input from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not shown) or the communication unit 220, and a predetermined channel memory function It is also possible to store information on a broadcast channel.

또한, 저장부(미도시)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미도시) 또는 통신부(220)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rage unit (not shown) may store an application or an application list input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not shown) or the communication unit 220.

저장부(미도시)는 예컨대,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not shown) is, for exampl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nd a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Etc.), RAM, and ROM (EEPROM, etc.) of at least one type of storage medium.

디스플레이장치(200)는 저장부(미도시)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display apparatus 200 may reproduce and provide a content file (movie file, still image file, music file, document file, application file, etc.) stored in a storage unit (not shown) to a user.

영상처리부(미도시)는, 수신 받은 영상신호에 대해 기 설정된 다양한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영상처리부(미도시)는 이러한 프로세스가 수행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210)에 출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210)에 해당 영상신호에 기초하는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The image processing unit (not shown) performs various preset image processing processes on the received image signal. An image processing unit (not shown) outputs an image signal on which such a process has been performed to the display unit 210, so that an image based on the corresponding image signal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10.

또한, 영상처리부(미도시)가 수행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 바, 예를 들면 소정 신호를 각 특성별 신호로 분배하는 디멀티플렉싱(de-multiplexing), 영상신호의 영상 포맷에 대응하는 디코딩(decoding), 인터레이스(interlace) 방식의 영상신호를 프로그레시브(progressive) 방식으로 변환하는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 영상신호를 기 설정된 해상도로 조정하는 스케일링(scaling), 영상 화질 개선을 위한 노이즈 감소(noise reduction), 디테일 강화(detail enhancement), 프레임 리프레시 레이트(frame refresh rate) 변환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ype of the image processing process performed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not shown) is not limited, for example, de-multiplexing in which a predetermined signal is distributed to signals for each characteristic, corresponding to the image format of the image signal. De-interlacing (decoding) that converts an interlaced video signal to a progressive method, scaling (scaling) that adjusts the video signal to a preset resolution, and noise to improve image quality It may include noise reduction, detail enhancement, and frame refresh rate conversion.

또한, 영상처리부(미도시)는 이러한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칩셋(미도시), 메모리(미도시), 전자부품(미도시), 배선(미도시) 등의 회로 구성이 인쇄회로기판(미도시) 상에 실장된 영상처리보드(미도시)로 구현된다.In addition, the image processing unit (not shown) has a circuit configuration such as various chipsets (not shown), memory (not shown), electronic components (not shown), and wiring (not shown) for performing these processes. City) is implemented as an image processing board (not shown) mounted on it.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미도시)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23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23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미도시)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또는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미도시)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23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미도시)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not shown) may transmit a signal input by the user to the controller 230 or may transmit a signal from the controller 230 to the user. For example,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not shown) may power on/off from a remote control device (not shown), select a channel, and perform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a radio frequency (RF) communication method or an infrared (IR) communication method. A control signal such as a screen setting may be received and processed, or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ler 230 may be transmitted to a remote control device (not shown).

또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230)에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input from a local key (not shown) such as a power key, a channel key, a volume key, and a set value to the controller 230.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23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230)로부터의 신호를 센싱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미도시)는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transmits a control signal input from a sensing unit (not shown) that senses a user's gesture to the control unit 230 or transmits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230 to a sensing unit (not shown). can do. Meanwhile, the sensing unit (not shown) may include a touch sensor, a voice sensor, a position sensor, and a motion sensor.

디스플레이부(210)는 영상처리부(미도시)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210)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는 바, 액정(liquid crystal), 플라즈마(plasma),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면전도 전자총(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나노 크리스탈(nano-crysta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210 displays an image based on an image signal output from an image processing unit (not shown).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display unit 210 is not limited, and includes a liquid crystal, a plasma, a light-emitting diode,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nd a surface conduction electron gun. -conduction electron-emitter), carbon nano-tubes, nano-crystals, and the like.

통신부(220)는 무선 인터넷 모듈로서, 와이파이모듈(미도시)을 포함하며, 도1에 도시된 소스장치(100)와 Wi-Fi Direct 즉, Wi-Fi Peer-to-Peer(P2P) 규격으로 통신한다. The communication unit 220 is a wireless Internet module, including a Wi-Fi module (not shown), and is based on the source device 100 and Wi-Fi Direct, that is, Wi-Fi Peer-to-Peer (P2P) standards shown in FIG. Communicate.

또한, 통신부(220)는, 바람직하게는, Wi-Fi CERTIFIED n, Wi-Fi Direct, Wi-Fi Protected Access 2 (WPA2), Wi-Fi Multimedia (WMM) 및 Wi-Fi Protected Setup을 지원한다.Further, the communication unit 220 preferably supports Wi-Fi CERTIFIED n, Wi-Fi Direct, Wi-Fi Protected Access 2 (WPA2), Wi-Fi Multimedia (WMM), and Wi-Fi Protected Setup.

제어부(230)는 도1에 도시된 소스장치(100)와 Wi-Fi P2P 연결 구성을 위하여, 상기 소스장치가 전송하는 무선연결요청신호가 통신부(220)를 통해 수신되는 지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The controller 230 monitors whether or not a wireless connection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ource device is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20 in order to establish a Wi-Fi P2P connection with the source device 100 shown in FIG. 1.

여기서 상기 소스장치가 전송하는 무선연결요청신호는 장치 및/또는 서비스 탐색을 위한 프로브 요청 프레임으로서, 서비스 탐색을 위한 서비스탐색 요청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wireless connection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ource device is a probe request frame for device and/or service discovery, and may include a service discovery request frame for service discovery.

제어부(230)는, 상기 소스장치가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사용하여 능동탐색을 실시하면, 이에 응답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장치 및/또는 서비스 탐색을 위한 디스커버리 단계에 진입하도록 통신부(220)를 제어한다. When the source device performs an active search using a probe request frame, the controller 230 periodically enters a discovery phase for device and/or service discovery, so that the communication unit 220 ) To control.

제어부(230)는, 소스장치의 능동탐색에 대해 응답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하여, 통신부(220)가 주기적으로 수신상태(Listen state)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230 may control the communication unit 220 to be in a listen state periodically in order to be in a state capable of responding to the active search of the source device.

제어부(230)는, 상기 수신상태에서, 소스장치로부터 프로브 요청 프레임과 같은 무선연결요청신호의 수신여부를 모니터링하여,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무선연결요청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통신부(220)가 주기적으로 수신상태가 되도록 제어한다.제어부(230)는, 통신부(220)를 통해 소스장치(100)로부터 무선연결요청신호의 수신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수신한 경우, 수신된 무선연결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소스장치(100)와 연결을 위한 설정을 진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the receiving state, the controller 230 monitors whether or not a wireless connection request signal such as a probe request frame is received from the source device,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it has not been received, the communication unit 220 until receiving the wireless connection request signal. The control unit 230 monitors whether or not a wireless connection request signal has been received from the source device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20, and, if received, the received wireless connection request signal. Correspondingly, it is possible to control to proceed with setting for connection with the source device 100.

여기서, 제어부(230)는, 상기 수신된 무선연결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입력 없이 자동으로 소스장치(100)와 연결을 위한 설정을 진행하도록 통신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설정을 진행하는 과정은 WPS(Wi-Fi Protected Setup) 기능에 의한 소스장치(100)와의 자동인증 과정을 포함한다. Here, the controller 230 may control the communication unit 200 to automatically set up for connection with the source device 100 without a user's input in response to the received wireless connection request signal. The process of setting up the connection includes an automatic authentication process with the source device 100 using a Wi-Fi Protected Setup (WPS) function.

또한, 제어부(230)는, 소스장치(100)에서 재생되는 소스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영상입력소스를 통신부(220)로 자동으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230 may control to automatically switch the image input source to the communication unit 220 in order to display the source image reproduced by the source device 100.

예컨대, 디스플레이장치(200)의 현재 영상입력소스가 DVD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통신부(220)를 통해 소스장치(100)로부터 소스영상을 수신하더라도 상기 소스영상을 디스플레이부(210)에 표시할 수 없으므로, 제어부(230)는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영상입력소스가 통신부(220)로 전환되도록 제어한다.For example, when the current image input source of the display device 200 is set to DVD, the source image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10 even if the source image is received from the source device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20. Therefore, the controller 230 controls the image input source of the display apparatus 200 to be switched to the communication unit 220.

제어부(230)는, 상기 수신된 무선연결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영상입력소스가 상기 통신부(220)로 자동으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230 may control the image input source of the display device to be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communication unit 220 in response to the received wireless connection request signal.

여기서, 제어부(230)는, 수신된 무선연결요청신호에 포함된 영상입력소스의 자동전환 수행을 나타내는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무선연결요청신호에 포함된 상기 정보는, WPS(Wi-Fi Protected Setup) IE(Information Element)를 이용하여 생성된 서비스 탐색 요청 프레임(Service Discovery Request Frame)에 포함될 수 있다. Here, the control unit 230 may determine information indicating the automatic switching of the image input source included in the received wireless connection request signal. For example,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wireless connection request signal may be included in a service discovery request frame generated using a Wi-Fi Protected Setup (WPS) Information Element (IE).

WPS IE는 WFD 장치의 서비스 탐색을 위해 각각 송수신되는 서비스 탐색 요청 프레임을 패킷화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으며, 서비스 탐색 요청 프레임은 서비스 탐색 요청을 위한 데이터 필드를 포함하는 WPS IE를 포함하는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의미한다. The WPS IE may be used to packetize each transmitted/received service discovery request frame for service discovery of the WFD device, and the service discovery request frame is a probe request frame including a WPS IE including a data field for a service discovery request. Means.

여기서, 제어부(230)는, 수신한 무선연결요청신호에 포함된 서비스 탐색 요청 프레임에, 특정 서비스로서, 무선 디스플레이기능, 즉, 소스장치에서 재생되는 소스영상을 무선으로 수신하여 표시하는 기능에 대한 서비스 탐색을 요청하는 필드가 포함된 경우, 영상입력소스의 자동전환 수행을 나타내는 정보로 판단할 수 있다.Here, the control unit 230, as a specific service, in the service search request frame included in the received wireless connection request signal, a wireless display function, that is, a function of wirelessly receiving and displaying a source image reproduced in the source device. When a field for requesting a service search is included, it may be determined as information indicating the automatic switching of the image input source.

또는 상기 정보는, 예컨대, 802.11u의 GAS(Generic Advertising Service) 초기 요청 프레임(GAS Initial Request Frame)의 벤더확장필드를 이용하여 생성된 서비스 탐색 요청 프레임에 포함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information may be included in a service discovery request frame generated using, for example, a vendor extension field of an 802.11u Generic Advertising Service (GAS) Initial Request Frame.

즉, 제어부(230)는, 상기 벤더확장필드에 특정서비스로서 무선디스플레이기능에 대한 서비스 탐색을 요청하는 필드가 포함된 경우, 영상입력소스의 자동전환 수행을 나타내는 정보로 판단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vendor extension field includes a field for requesting a service search for a wireless display function as a specific service, the controller 230 may determine it as information indicating the automatic switching of the image input source.

제어부(230)는 소스장치(100)와 연결이 구성된 후, 통신부(220)를 통해 소스장치(100)에서 재생되는 소스영상을 수신하면, 수신한 소스영상을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210)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After the connection with the source device 100 is established, the control unit 230 processes the received source image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unit 210 when receiving the source image played by the source device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20 Control to be possible.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30)는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제반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부에 포함되도록 마련되거나, 또는 별도로 통신부(220)의 제어를 수행하도록 마이콤과 같은 형태로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다. The control unit 2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to be included in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apparatus 200, or may be separately provided in the form of a microcomputer to separately control the communication unit 220.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수신연결장치(미도시)는, 통신부(미도시)와, 연결부(미도시)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A wireless reception and connection device (not show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a connection unit (not shown), and a control unit (not shown).

통신부(미도시)는, 소스장치(100)와 와이파이 P2P (Wi-Fi Peer to Peer) 규격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연결부(미도시)는, 제어명령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소스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소스영상을 디스플레이장치(미도시)로 출력한다. 제어부(미도시)는 소스장치(100)가 전송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소스장치가 전송하는 소스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미도시)에 표시하기 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미도시)가 입력소스를 연결부(미도시)로 전환하도록 하는 제어명령을 상기 연결부(미도시)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The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communicates with the source device 100 in accordance with a Wi-Fi Peer to Peer (P2P) standard. The connection unit (not shown) outputs a control command and a source image received from the source device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to a display device (not shown). When the control unit (not shown) receives the wireless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ource device 100, the display device (not shown) inputs the source image transmitted by the source device to display the source image on the display device (not shown). A control command for converting the source to a connection unit (not shown) is controlled to be output through the connection unit (not shown).

연결부(미도시)는,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규격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명령은 CEC (Consumer Electronics Control) 기능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미도시)로 출력될 수 있다.The connector (not shown) includes an interface of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standard, and the control command may be output to the display device (not shown) through a CEC (Consumer Electronics Control) function.

이에 따라, 무선디스플레이 기능을 탑재하지 않은 레거시 디스플레이장치의 경우, 무선수신연결장치(미도시)를 연결하면, 무선수신연결장치가 소스장치(1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소스영상을 수신하고, 입력소스가 전환된 레거시 디스플레이장치로 소스영상을 출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case of a legacy display device not equipped with a wireless display function, when a wireless reception connection device (not shown) is connected, the wireless reception connection device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ource device 100 and receives the source image. , It may be provided to output a source image to a legacy display device in which the input source is switch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스장치에서 재생되는 소스영상을 무선통신 수단으로 수신하여 표시 가능한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제어방법에 대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무선통신수단은 일례로서, 도2의 통신부(22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Hereinafter, a control method of the display apparatus 200 capable of receiving and displaying a source image reproduced by a sourc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As an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may be implemented by the communication unit 220 of FIG. 2.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100에서, 소스장치가 전송하는 무선연결요청신호의 수신여부를 모니터링한다. 여기서, 상기 소스장치가 전송하는 무선연결요청신호는 장치 및/또는 서비스 탐색을 위한 프로브 요청 프레임으로서, 서비스 탐색을 위한 서비스탐색 요청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2 and 3, in step S100, whether a wireless connection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ource device is received is monitored. Here, the wireless connection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ource device is a probe request frame for device and/or service discovery, and may include a service discovery request frame for service discovery.

제어부(230)는, 상기 소스장치로부터 프로브 요청 프레임과 같은 무선연결요청신호의 수신여부를 모니터링하여,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무선연결요청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상기 무선통신수단이 주기적으로 디스커버리단계에 진입하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ler 230 monitors whether or not a wireless connection request signal such as a probe request frame has been received from the source device,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it has not been received,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periodically discovers until a wireless connection request signal is received. Control to enter the stage.

다음으로, 단계 S110에서, 무선연결요청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230)는, 수신한 무선연결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소스장치와 연결을 위한 설정을 진행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소스장치에서 재생되는 소스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영상입력소스를 상기 무선통신 수단으로 자동으로 전환하도록 제어한다.Next, in step S110, upon receiving the wireless connection request signal, the control unit 230 controls to proceed with the setting for connection with the source device in response to the received wireless connection request signal, and is reproduced in the source device. In order to display the source image, the image input source of the display apparatus 200 is controlled to be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여기서, 제어부(230)는, 상기 수신된 무선연결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입력 없이 자동으로 상기 소스장치와 연결을 위한 설정을 진행하도록 통신부(200)를 제어하며, 상기 연결 설정을 진행하는 과정은 WPS(Wi-Fi Protected Setup) 기능에 의한 상기 소스장치와의 자동인증 과정을 포함한다. Here, the control unit 230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200 to automatically set up for connection with the source device without a user input in response to the received wireless connection request signal, and performs the connection setting. The process includes an automatic authentication process with the source device using a Wi-Fi Protected Setup (WPS) function.

또한, 제어부(230)는, 상기 수신된 무선연결요청신호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영상입력소스가 상기 무선통신 수단으로 자동으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230 may control the image input source of the display apparatus 200 to be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in response to the received wireless connection request signal.

여기서, 제어부(230)는, 수신된 무선연결요청신호에 포함된 영상입력소스의 자동전환 수행을 나타내는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Here, the control unit 230 may determine information indicating the automatic switching of the image input source included in the received wireless connection request signal.

예컨대, 무선연결요청신호에 포함된 상기 정보는, WPS(Wi-Fi Protected Setup) IE(Information Element)를 이용하여 생성된 서비스 탐색 요청 프레임(Service Discovery Request Frame)에 포함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wireless connection request signal may be included in a service discovery request frame generated using a Wi-Fi Protected Setup (WPS) Information Element (IE).

WPS IE는 WFD 장치의 서비스 탐색을 위해 각각 송수신되는 서비스 탐색 요청 프레임을 패킷화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으며, 서비스 탐색 요청 프레임은 서비스 탐색 요청을 위한 데이터 필드를 포함하는 WPS IE를 포함하는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의미한다. The WPS IE may be used to packetize each transmitted/received service discovery request frame for service discovery of the WFD device, and the service discovery request frame is a probe request frame including a WPS IE including a data field for a service discovery request. Means.

여기서, 제어부(230)는, 수신한 무선연결요청신호에 포함된 서비스 탐색 요청 프레임에, 특정 서비스로서, 무선 디스플레이기능, 즉, 소스장치에서 재생되는 소스영상을 무선으로 수신하여 표시하는 기능에 대한 서비스 탐색을 요청하는 필드가 포함된 경우, 영상입력소스의 자동전환 수행을 나타내는 정보로 판단할 수 있다.Here, the control unit 230, as a specific service, in the service search request frame included in the received wireless connection request signal, a wireless display function, that is, a function of wirelessly receiving and displaying a source image reproduced in the source device. When a field for requesting a service search is included, it may be determined as information indicating the automatic switching of the image input source.

또는 상기 정보는, 예컨대, 802.11u의 GAS(Generic Advertising Service) 초기 요청 프레임(GAS Initial Request Frame)의 벤더확장필드를 이용하여 생성된 서비스 탐색 요청 프레임에 포함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information may be included in a service discovery request frame generated using, for example, a vendor extension field of an 802.11u Generic Advertising Service (GAS) Initial Request Frame.

즉, 제어부(230)는, 상기 벤더확장필드에 특정서비스로서 무선디스플레이기능에 대한 서비스 탐색을 요청하는 필드가 포함된 경우, 영상입력소스의 자동전환 수행을 나타내는 정보로 판단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vendor extension field includes a field for requesting a service search for a wireless display function as a specific service, the controller 230 may determine it as information indicating the automatic switching of the image input source.

상기 소스장치와 연결을 위한 설정을 진행하는 단계를 통해 상기 소스장치와 연결이 구성된 후, 단계S120에서, 제어부(230)는 상기 소스장치에서 재생되는 소스영상을 수신하고 렌더링하여 디스플레이부(21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After the connection with the source device is established through the step of setting for connection with the source device, in step S120, the control unit 230 receives and renders the source image played by the source device, and the display unit 210 Control to display on.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The method for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produced as a program to be executed on a computer and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and CD- 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s distributed over a computer system connected by a network, and computer-readable codes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variously implemented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 무선디스플레이시스템
100: 소스장치
200: 디스플레이장치
210: 디스플레이부
220: 통신부
230: 제어부
1: wireless display system
100: source device
200: display device
210: display unit
220: communication department
230: control unit

Claims (22)

제1외부기기와 유선으로 접속되게 마련된 외부기기 인터페이스와, 제2외부기기와 무선으로 통신이 가능하게 마련된 통신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현재 영상입력소스를 상기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1외부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제1영상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1영상이 표시되는 동안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외부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접속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접속요청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상기 영상입력소스를 상기 제2외부기기로 변경하도록 하는 기 정의된 정보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접속요청신호가 상기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다고 식별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제1영상이 표시되는 동안에 상기 제2외부기기에 대한 접속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접속요청신호가 상기 정보를 포함한다고 식별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외부기기에 대한 접속을 수행하며, 상기 접속요청신호에 포함된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상기 영상입력소스를 상기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로부터 상기 통신부로 변경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상기 영상입력소스로 설정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외부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제2영상을 표시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통신부와 상이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In the control method of a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provided to be connected to a first external device by wire, and a communication unit provided to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second external device,
Setting a current image input source of the display device to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Displaying a first image received from the first external device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In response to a connection request signal received from the second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while the first image is displayed,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changes the image input source of the display device to the second external device. Identifying whether it contains predefined information, and
In response to being identified that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does not include the information, performing a connection to the second external device while the first image received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is displayed;
In response to being identified that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includes the information, a connection to the second external device is performed, and the image input source of the display apparatus is selected based on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By changing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to the communication unit, th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tep of displaying a second image received from the second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set as the image input source,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is a control method of a display device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mmunication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상기 영상입력소스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되는 접속요청신호에 따라서 상기 통신부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tep of changing the image input source of the display device includes changing to the communication unit according to the received connection request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상기 영상입력소스를 상기 제2외부기기로 변경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입력 없이 수행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tep of changing the image input source of the display device to the second external device is performed without a user's inpu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외부기기 및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와이파이 P2P(Wi-Fi Peer-to-Peer)를 통해 상호 통신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external device and the display device are a control method of a display device that communicates with each other through Wi-Fi Peer-to-Peer (P2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에 의해 디스커버리 모드에 주기적으로 진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method of controlling a display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eriodically entering a discovery mode by the communication uni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접속요청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상기 디스커버리 모드에 진입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5,
The communication unit enters the discovery mode until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is receiv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접속요청신호는 상기 영상입력소스의 자동변환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method of a display apparatus, wherein the received connection request signal includes automatic conversion information of the video input sour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생성된 서비스 디스커버리 요청 프레임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7,
The information is included in a service discovery request frame generated by a user inpu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802.11u의 GAS(Generic Advertising Service)의 초기 요청 프레임의 벤더 확장 필드를 사용함으로써 생성된 서비스 디스커버리 요청 프레임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7,
The information is included in a service discovery request frame generated by using a vendor extension field of an initial request frame of an 802.11u Generic Advertising Service (GA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접속요청신호는, 상기 제2외부기기로부터 상기 제2영상을 무선으로 수신하여 표시하는 기능을 지원하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발견하기 위한 서비스 디스커버리 요청 프레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received connection request signal includes a service discovery request frame for discovering the display device supporting a function of wirelessly receiving and displaying the second image from the second external device.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와,
제1외부기기와 유선으로 접속되게 마련된 외부기기 인터페이스와,
제2외부기기와 무선으로 통신이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외부기기 인터페이스와 상이하게 마련된 통신부와,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현재 영상입력소스를 상기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로 설정하며, 상기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1외부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제1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제1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동안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외부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접속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접속요청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상기 영상입력소스를 상기 제2외부기기로 변경하도록 하는 기 정의된 정보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접속요청신호가 상기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다고 식별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제1영상이 표시되는 동안에 상기 제2외부기기에 대한 접속을 수행하고,
상기 접속요청신호가 상기 정보를 포함한다고 식별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외부기기에 대한 접속을 수행하며, 상기 접속요청신호에 포함된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상기 영상입력소스를 상기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로부터 상기 통신부로 변경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상기 영상입력소스로 설정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외부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제2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In the display device,
Display,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external device by wire,
A communication unit provided to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second external device, and provided differently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It includes a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Set a current image input source of the display device as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and control the display to display a first image received from the first external device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While the first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in response to a connection request signal received from the second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transmits the image input source of the display device to the second external device. Identify whether it contains predefined information that causes change,
In response to being identified that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does not include the information, connection to the second external device is performed while the first image received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is displayed,
In response to being identified that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includes the information, a connection to the second external device is performed, and the image input source of the display apparatus is selected based on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A display apparatus configured to cause the display apparatus to display a second image received from the second external device on the display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set as the image input source by changing from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to the communication uni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상기 영상입력소스를 변경하는 것은, 상기 수신되는 접속요청신호에 따라서 상기 통신부로 변경하는 것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Changing the image input source of the display device includes changing to the communication unit according to the received connection request signal.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상기 영상입력소스를 상기 제2외부기기로 변경하는 것은, 상기 수신된 접속요청신호에 따라서, 사용자의 입력 없이 수행되는 디스플레이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Changing the image input source of the display device to the second external device is performed without a user's input according to the received connection request signal.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2외부기기와 와이파이 P2P를 통해 상호 통신하는 디스플레이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mmunication unit is a display device that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external device through Wi-Fi P2P.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가 디스커버리 모드에 주기적으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ntrol unit is a display device that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to periodically enter a discovery mod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접속요청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상기 디스커버리 모드에 진입하는 디스플레이장치.
The method of claim 15,
The communication unit is a display device for entering the discovery mode until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is receive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접속요청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2외부기기의 자동변환 정보를 판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ntroller is a display device that determines the automatic convers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external device included in the received connection request signal.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생성된 서비스 디스커버리 요청 프레임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장치.
The method of claim 17,
The information is included in a service discovery request frame generated by a user input.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802.11u의 GAS의 초기 요청 프레임의 벤더 확장 필드를 사용함으로써 생성된 서비스 디스커버리 요청 프레임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장치.
The method of claim 17,
The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service discovery request frame generated by using the vendor extension field of the initial request frame of the 802.11u GA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접속요청신호는, 상기 제2외부기기로부터 상기 제2영상을 무선으로 수신하여 표시하는 기능을 지원하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발견하기 위한 서비스 디스커버리 요청 프레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The received connection request signal includes a service discovery request frame for discovering the display device supporting a function of wirelessly receiving and displaying the second image from the second external device.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장치와,
제1외부기기와,
제2외부기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외부기기는,
사용자입력부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무선으로 통신하게 마련된 제1통신부와,
소스영상을 표시하도록 마련된 제1디스플레이와,
제1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접속요청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접속요청신호를 가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접속을 설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상기 소스영상을 전송하도록 상기 제2외부기기의 상기 제1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제1외부기기와 유선으로 접속되게 마련된 외부기기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2외부기기와 무선으로 통신이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외부기기 인터페이스와 상이하게 마련된 제2통신부와,
제2디스플레이와,
제2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현재 영상입력소스를 상기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로 설정하며, 상기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1외부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제1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제2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제1영상이 상기 제2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동안 상기 제2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외부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접속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접속요청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상기 영상입력소스를 상기 제2외부기기로 변경하도록 하는 기 정의된 정보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접속요청신호가 상기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다고 식별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제1영상이 표시되는 동안에 상기 제2외부기기에 대한 접속을 수행하고,
상기 접속요청신호가 상기 정보를 포함한다고 식별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외부기기에 대한 접속을 수행하며, 상기 접속요청신호에 포함된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상기 영상입력소스를 상기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로부터 상기 제2통신부로 변경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상기 영상입력소스로 설정된 상기 제2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외부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제2영상을 상기 제2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In the display system,
A display device,
With the first external device,
Including a second external device,
The second external device,
A user input unit,
A first communication unit provided to wirelessly communicate with the display device,
A first display provided to display a source image,
It includes a first control unit,
The first control unit,
Transmitting a connection request signal according to a user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Establishing a connection with the display device having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Controlling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of the second external device to transmit the source image to the display device,
The display device,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external device by wire,
A second communication unit provided to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external device and provided differently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With the second display,
It includes a second control unit,
The second control unit,
Set a current image input source of the display device as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and control the second display to display a first image received from the first external device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While the first image is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in response to a connection request signal received from the second external device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is applied to the image input source of the display device. 2Identify whether it contains predefined information to change to an external device,
In response to being identified that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does not include the information, connection to the second external device is performed while the first image received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is displayed,
In response to being identified that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includes the information, a connection to the second external device is performed, and the image input source of the display apparatus is selected based on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Display system in which the display device displays a second image received from the second external device on the second display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set as the image input source by changing from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to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
제1항에 따른 제어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비휘발성 컴퓨터 기록매체.A nonvolatile computer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s recorded.
KR1020200042024A 2020-04-07 2020-04-07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1021908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2024A KR102190888B1 (en) 2020-04-07 2020-04-07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2024A KR102190888B1 (en) 2020-04-07 2020-04-07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4953A Division KR102105168B1 (en) 2013-05-15 2013-05-15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9638A KR20200039638A (en) 2020-04-16
KR102190888B1 true KR102190888B1 (en) 2020-12-15

Family

ID=70454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2024A KR102190888B1 (en) 2020-04-07 2020-04-07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088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6054A (en) 2021-01-26 2023-08-03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Laminated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laminated film
JPWO2022186184A1 (en) 2021-03-02 2022-09-09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77380A (en) 2006-09-21 2008-04-03 Seiko Epson Corp Image display device, image display system, and network connection method
JP2010008937A (en) * 2008-06-30 2010-01-14 Canon Inc Display, control method of display, and computer program
JP2010177736A (en) 2009-01-27 2010-08-12 Seiko Epson Corp Image display system and image display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9571B1 (en) * 2006-01-19 2011-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system
KR20090094997A (en) * 2008-03-04 2009-09-09 삼성전자주식회사 Mode conversion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868938B1 (en) * 2010-12-24 2018-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nt Protection in Wi-Fi Direct Network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77380A (en) 2006-09-21 2008-04-03 Seiko Epson Corp Image display device, image display system, and network connection method
JP2010008937A (en) * 2008-06-30 2010-01-14 Canon Inc Display, control method of display, and computer program
JP2010177736A (en) 2009-01-27 2010-08-12 Seiko Epson Corp Image display system and image displ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9638A (en) 2020-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35309B2 (en) Communication device
KR102105168B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US8453008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using consumer electronics protocol
US8793415B2 (en) Device control apparatus,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for initiating control of an operation of an external device
US9215380B2 (en) Information processor,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8869214B2 (en) Device control apparatus, device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8913191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KR102263481B1 (en) User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435973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2190888B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20210092079A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US20160127677A1 (en) Electronic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07158903A (en) Means for switching resolution in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output
JP2013168750A (en) Television receiver
JP5171428B2 (en) Electronics
US20150024732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40379941A1 (en) Receiving device, transmitting device and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JP2014146920A (en) Communication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2013247539A (en) Display device, display method, and display device control program
US9113123B2 (en)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10226952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ng continuous viewing function by using a second device in a wireless av system
JP2008098850A (en) Recording device
KR20160149991A (en) Multimedia display device
US20150003806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US20140176810A1 (en) Multimedia Signal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