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9558B1 -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telligent electric document using voice - Google Patents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telligent electric document using vo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9558B1
KR102189558B1 KR1020190035173A KR20190035173A KR102189558B1 KR 102189558 B1 KR102189558 B1 KR 102189558B1 KR 1020190035173 A KR1020190035173 A KR 1020190035173A KR 20190035173 A KR20190035173 A KR 20190035173A KR 102189558 B1 KR102189558 B1 KR 102189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ocument
user
input
unit
int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51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14070A (en
Inventor
박미경
송지훈
김대경
염상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시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시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시에스
Priority to KR1020190035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9558B1/en
Publication of KR20200114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407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9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95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06F40/186Templ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2Query formulation
    • G06F16/3329Natural language query formulation or dialogu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06F16/6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음성을 통한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장치,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되며,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장치는, 전자서식 템플릿에 기초하여 전자문서를 생성하고, 기 작성된 전자문서에 대한 결재 또는 조회를 수행하는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고, 상기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는 상기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의 기능을 호출하는 대화형 챗봇(chat-bot) 엔진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을 상기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에서 처리 가능한 형식으로 표준화하고, 상기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의 처리 결과를 사용자 단말에서 처리 가능한 형식으로 변환하여 반환하는 디바이스 연계 프레임워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An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apparatus, method, and system through voice are disclosed, and the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generates an electronic document based on an electronic form template, and makes a payment for a previously created electronic document or An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roviding unit that performs an inquiry, an interactive chat-bot engine unit that recognizes the user's intention from a user input and calls the function of the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rovid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user's intention, and the user It may include a device linkage framework unit that standardizes the input into a format that can be processed by the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roviding unit, and converts and returns the processing result of the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roviding unit into a format that can be processed by the user terminal.

Description

음성을 통한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장치, 방법 및 시스템{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TELLIGENT ELECTRIC DOCUMENT USING VOICE}An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device, method, and system through voice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TELLIGENT ELECTRIC DOCUMENT USING VOICE}

본원은 음성을 통한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장치,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through voice.

일반적으로 업무 영역에서 다양한 양식의 문서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문서들은 종래에는 종이에 인쇄된 형태로 작성되었다면, 최근 다양한 문서들을 전자적인 형태로 생성하는 전자 문서 및 전자 서명 서비스가 도입되어 활용되고 있으며, 정부의 페이퍼리스(Paperless) 정책과 맞물려 급속한 성장 추세를 보이고 있다. In general, various forms of documents are generated in the business area, and if these documents were prepared in the form of printed on paper in the past, electronic documents and electronic signature services that generate various documents in electronic form have been recently introduced and utilized. , It is showing a rapid growth trend in line with the government's paperless policy.

또한, 스마트 디바이스의 대중화에 따라 음성 기반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경험은 지속적으로 축적되어 왔다. 현재 음성 기반 서비스의 대부분은 개인의 일상 생활에 연계된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며, 앞으로는 기업의 업무 영역에 까지 확장될 것으로 예상된다.In addition, with the popularization of smart devices, user experiences using voice-based services have been continuously accumulated. Currently, most of the voice-based services provide functions related to the daily life of individuals, and are expected to expand to the business area of companies in the future.

따라서, 음성 신호를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입력을 기초로 전자 문서를 생성하는 기술 및 시스템이나 음성 입력 등을 기초로 전자 문서를 제어 및 관리할 수 있는 기술 및 시스템 개발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Accordingly, 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a technology and a system for generating an electronic document based on various types of input including a voice signal, or a technology and a system capable of controlling and managing an electronic document based on a voice input.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05228호에 개시되어 있다.The technology behind the present applica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705228.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음성 입력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는 모듈과 각종 스마트 디바이스와 연계되어 사용자와 대화 형식으로 정보를 주고받으며 전자문서의 작성 또는 처리가 가능한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in connection with a module capable of recognizing various types of input including voice input and various smart devices to exchange information in a conversational format with a user, and to create or process electronic documents. It aims to provide a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s.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종 가상 인공지능 비서, 메신저 등의 외부 플랫폼과 지능형 전자문서 서비스 사이의 연동을 통하여, 스마트 스피커, 스마트폰, 컴퓨터, 스마트카 등 각종 사용자 단말을 고려하여 업무 특성이나 개인별 특성에 적합한 UI(User Interface), UX(User Experience)를 구축하여 지능형 전자문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various user terminals such as smart speakers, smartphones, computers, smart cars, etc. through interworking between external platforms such as various virtual artificial intelligence assistants and messengers and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services. It aims to provide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service by constructing UI (User Interface) and UX (User Experience) suitable for work characteristics or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 consideration of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장치는, 전자서식 템플릿에 기초하여 전자문서를 생성하고, 기 작성된 전자문서에 대한 결재 또는 조회를 수행하는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고, 상기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는 상기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의 기능을 호출하는 대화형 챗봇(chat-bot) 엔진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을 상기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에서 처리 가능한 형식으로 표준화하고, 상기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의 처리 결과를 사용자 단말에서 처리 가능한 형식으로 변환하여 반환하는 디바이스 연계 프레임워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generates an electronic document based on an electronic format template, and performs approval or inquiry for a previously created electronic document. An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roviding unit, an interactive chat-bot engine unit that recognizes the user’s intention from the user input and calls the function of the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rovid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user’s intention, and the user input It may include a device linkage framework that standardizes in a format that can be processed by the document service provider, and converts the processing result of the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rovider into a format that can be processed by the user terminal and returns it.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장치는, 복수의 전자문서 유형별 전자서식 템플릿을 저장하는 전자문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전자문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복수의 전자문서 유형별 전자서식 템플릿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추가, 수정 또는 삭제되어 상기 전자문서 데이터베이스가 갱신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include an electronic document database storing electronic template templates for a plurality of electronic document types, and the electronic forms for each electronic document type stored in the electronic document database The template may be added, modified or deleted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to update the electronic document database.

또한, 상기 사용자 입력은 음성 입력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 화면 상에 구비된 대화 창에 텍스트를 기입하는 방식으로 입력된 대화형 입력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input may be a voice input or an interactive input input by writing a text in a chat window provided on the user terminal screen.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장치는, 상기 음성 입력 또는 상기 대화형 입력 이외의 유형으로 생성된 사용자 입력의 유형을 파악하고, 상기 유형에 대응되는 인지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의 내용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사용자 입력의 내용을 상기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에서 처리 가능한 형식으로 변환하여 상기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로 전달하는 인지 서비스 연계 프레임워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recognizes the type of user input generated in a type other than the voice input or the interactive input, and recognizes a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 corresponding to the type. It may include a cognitive service linkage framework unit that extracts the content of the user input by using and converts the content of the extracted user input into a format that can be processed by the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roviding unit and delivers it to the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roviding unit. have.

또한, 상기 디바이스 연계 프레임워크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에서 직접 처리 가능한 표준화된 입력이고, 상기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처리 가능한 표준화된 출력을 반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 간의 연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직접 호출형 프레임워크부, 상기 사용자 입력이 외부 플랫폼의 형식으로 생성된 경우, 상기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의 처리 결과를 상기 외부 플랫폼에서 생성된 요청에 대한 응답 형식으로 변환하여 반환하는 동기형 프레임워크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의 수신 성공 여부를 해당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먼저 반환하고, 상기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의 처리 결과는 외부 플랫폼 별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호출하는 방식으로 변환하여 반환하는 비동기형 프레임워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evice linkage framework unit, when the user input is a standardized input that can be directly processed by the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roviding unit, and the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roviding unit returns a standardized output that can be processed by the user terminal, the user Direct calling framework unit providing a connection interface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roviding unit, when the user input is generated in the form of an external platform, a request generated by the external platform for the processing result of the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roviding unit A synchronous framework unit that converts and returns a response format to and returns whether or not the user input is successfully received as a response to the user input, and the processing result of the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rovider is an external platform-specific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can be converted to a method of calling and returned by an asynchronous framework.

또한, 상기 디바이스 연계 프레임워크부는, 상기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의 처리 결과와 추가 입력 가능 항목에 대한 정보 또는 입력 방식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함께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vice linkage framework unit may output at least one of a processing result of the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roviding unit and information on an additional input possible item or information on an input method.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계정과 상기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장치의 계정을 연동하여 상기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장치에 대한 접근 권한을 부여하는 계정 연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an account linking unit for linking an account of the user terminal with an account of the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device to grant access rights to the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device. can do.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장치에 사용자 입력에 대한 처리를 요청하고, 사용자 입력에 대한 처리 결과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한 처리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처리 요청에 기초하여 전자서식 템플릿에 기초한 전자문서 생성, 기 작성된 전자문서에 대한 결재 또는 조회를 처리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한 처리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반환하는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receives a user input, requests an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device to process a user input based on the user input, and sends a processing result of the user input. Receiving a request for processing the user input from the receiving user terminal and the user terminal, generating an electronic document based on an electronic format template based on the processing request, processing an approval or inquiry for a previously created electronic document, and the user It may include an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device for returning the processing result of the input to the user terminal.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장치와 연동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입력을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장치로 전달하거나 사용자 입력에 대한 처리 결과를 수신하는 어플리케이션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may include an application unit for interworking with the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device to transmit a user input input from the user to the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device or to receive a processing result of the user input.

또한, 상기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장치는, 전자서식 템플릿에 기초하여 전자문서를 생성하고, 기 작성된 전자문서에 대한 결재 또는 조회를 수행하는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고, 상기 사용자의 의도에 대응되는 상기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의 기능을 호출하는 대화형 챗봇(chat-bot) 엔진부 및 사용자 입력을 상기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에서 처리 가능한 형식으로 표준화하고, 상기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의 처리 결과를 사용자 단말에서 처리 가능한 형식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디바이스 연계 프레임워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device generates an electronic document based on an electronic format template, an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roviding unit that performs approval or inquiry for a previously created electronic document, and recognizes the user's intention from user input, Standardizes the interactive chat-bot engine unit calling the function of the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rovid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user's intention and user input into a format that can be processed by the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roviding unit, and provides the electronic document service It may include a device linkage framework unit that converts the negative processing result into a format that can be processed by the user terminal and outputs it.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된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어플리케이션부로 전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input input through the user termi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application unit.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대화형 챗봇(chat-bot) 엔진부에 사용자 입력에 대한 처리를 요청할 수 있고, 상기 대화형 챗봇(chat-bot) 엔진부는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입력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는 제어 동작을 결정하여 상기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에서 제공하는 제어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호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pplication unit may request the interactive chatbot engine unit to process a user input based on the user input, and the interactive chatbot engine unit may request the By analyzing a user input, a control operation suitable for the user's intention may be determined, and a control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 provided by the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rovider may be called.

또한, 상기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장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부의 계정과 상기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장치의 계정을 연동하여 상기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장치에 대한 접근 권한을 부여하는 계정 연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device may include an account linking unit that provides access rights to the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device by linking the account of the application unit with the account of the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device.

또한, 상기 대화형 챗봇(chat-bot) 엔진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음성 입력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 화면 상에 구비된 채팅 창에 텍스트를 기입하는 방식으로 입력된 대화형 입력인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사용자 발화 문장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input is a voice input or an interactive input input by writing a text in a chat window provid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the interactive chat-bot engine unit The user's intention may be determined by analyzing the user's speech sentence.

또한, 상기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장치는, 상기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의 처리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속성에 기초한 UI(User Interface) 및 UX(User Experience)로 형상화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반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apparatus may shape the processing result of the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roviding unit into a user interface (UI) and a user experience (UX) based on a property of the user terminal and return it to the user terminal.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속성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지원하는 입출력 데이터 유형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크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ttribute of the user terminal may include a type of input/output data supported by the user terminal and a size of a display screen of the user terminal.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을 표준화 하는 단계, 상기 표준화된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고, 상기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는 전자문서 서비스의 기능을 호출하는 단계, 상기 호출 결과에 따라 전자서식 템플릿에 기초하여 전자문서를 생성하거나, 기 작성된 전자문서에 대한 결제 또는 조회를 수행하여 전자문서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문서 처리 결과를 사용자 단말에서 처리 가능한 형식으로 변환하여 반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receiving a user input from a user terminal, standardizing the user input, grasping the user's intention from the standardized user input, and Calling a function of an electronic document service that meets the intention, generating an electronic document based on an electronic format template according to the call result, or processing an electronic document by performing payment or inquiry for a previously created electronic document, and It may include converting the electronic document processing result into a format that can be processed by the user terminal and returning it.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are merely exemplar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application.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xemplary embodiments, additional embodiments may exist in the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음성 입력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는 모듈과 각종 스마트 디바이스와 연계되어 사용자와 대화 형식으로 정보를 주고받으며 전자문서의 작성 또는 처리가 가능한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 module capable of recognizing various types of input including voice input and an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creating or processing an electronic document by linking with various smart devices and exchanging information in a conversational format with a user. There is an effect that a document provid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are provided.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정형화된 전자서식 템플릿을 기초로 전자 문서 작성이 가능하고, 전자 문서에 입력되는 항목들이 사전 정의될 수 있으며, 음성 등 다양한 입력 방식을 통한 간단한 전자문서 작성 및 처리가 가능함으로써 업무 생산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is possible to create an electronic document based on a standardized electronic form template, items to be input in the electronic document may be predefined, and a simple electronic document may be created through various input methods such as voice. As processing is possible,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work productivity.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effect obtainable in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effects as described above, and other effects may exist.

도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3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장치에 인가되는 사용자 입력의 유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서식 템플릿의 개발 또는 이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5a내지 도5c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서비스 연계 프레임워크부가 입력 유형에 맞는 인지 API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인식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6a 내지 도6c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이 사용자 단말 속성을 고려하여 사용자 단말 별 UI 및 UX를 다르게 하여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의 처리 결과를 형상화한 것을 도시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3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type of user input applied to an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developing or using an electronic tem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5A to 5C are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ss of recognizing a user input by using a cognitive API suitable for an input type by a cognitive service linkage frame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6A to 6C are diagrams for illustrating the processing result of the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roviding unit by different UI and UX for each user terminal in consideration of the user terminal property in the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application. However,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addition, in the drawings,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application,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or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Including the case.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member is positioned "on", "upper", "upper", "under", "lower", and "lower" of another member, this means that a member is located on another member. It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they are in contact but also the case where another member exists between the two members.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when a certain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도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1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은,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20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n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an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apparatus 100 and a user terminal 200.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장치(100)에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한 처리를 요청하고,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장치(100)로부터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한 처리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200 receives a user input, requests the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device 100 to process the user input based on the user input, and responds to the user input from the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device 100. You can receive the result of processing.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200)은,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등과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기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200, a smartphone (Smartphone), a smart pad (SmartPad), a tablet PC, and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It can include all kinds of wired/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terminals.

특히, 상기 사용자 단말은, 스마트 스피커(Smart Speaker), 스마트 카(Smart Car), 스마트 가전(Smart Appliances),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증강현실기기 (VR/MR) 등 새롭게 생겨나는 각종 통신기술을 이용한 다양한 음향기기, 구동기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user terminal is a smart speaker (Smart Speaker), Smart Car (Smart Car), Smart Appliances (Smart Appliances), wearable devices (Wearable Device) augmented reality devices (VR/MR), etc. It may include a variety of used acoustic devices, driving devices, and the like.

또한, 예시적으로,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할 수 있는 음성 인식 단말 및 사용자가 별도의 입력 장치를 통해 상기 사용자 입력 문장을 입력할 수 있는 대화형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example, the user terminal 200 may include a voice recognition terminal capable of recognizing a user's voice and an interactive terminal through which the user can input the user input sentence through a separate input device.

사용자 단말(200)은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장치(100)와 연동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입력을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장치(100)로 전달하거나 사용자 입력에 대한 처리 결과를 수신하는 어플리케이션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200 interlocks with the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device 100 to transmit a user input input from the user to the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device 100 or receive an application unit 210 for receiving a processing result of the user input. Can include.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부(210)는, 가상 인공지능 비서 어플리케이션(21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가상 인공지능 비서 어플리케이션에는 예시적으로, Siri, Google Assistant, Alexa, Cortana, Bixby, Nugu, Clova 등과 같은 가상 인공지능 비서 서비스가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application unit 210 may include a virtual artificial intelligence assistant application 211, and the virtual artificial intelligence assistant application includes, for example, Siri, Google Assistant, Alexa, Cortana, Bixby , Nugu, Clova, etc. may include a virtual artificial intelligence assistant servi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부(210)는, 메신저 어플리케이션 (21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는 예시적으로, 카카오톡, 마이피플, 라인, 틱톡, 버디버디, 세이클럽, MSN 메신저, 야후 메신저, 네이트온, 다음위즈지니, 다음메신저, KTiman 메신저, Facebook, 텔레그램, Whatsapp 등과 같은 메신저 서비스가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application unit 210 may include a messenger application 212, and examples of the messenger application include KakaoTalk, My People, Line, TikTok, Buddy Buddy, Sayclub, Messenger services such as MSN Messenger, Yahoo Messenger, NateOn, Daum Wiz Genie, Daum Messenger, KTiman Messenger, Facebook, Telegram, Whatsapp, etc. may be includ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한 처리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처리 요청에 기초하여 전자서식 템플릿에 기초한 전자문서 생성, 기 작성된 전자문서에 대한 결재 또는 조회를 처리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한 처리 결과를 사용자 단말(200)로 반환할 수 있다.The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apparatus 100 receives a processing request for the user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200, generates an electronic document based on an electronic format template based on the processing request, and makes payment for a previously created electronic document or The inquiry may be processed and a result of processing the user input may be returned to the user terminal 200.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사용자 단말(200)과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장치(100)는 상호 연결되는 네트워크로 통신(처리 요청 송수신 및 처리 결과 송수신)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apparatus 100 may communicate (transmit and receive processing requests and transmit and receive processing results) through a network that is interconnected.

상기 네트워크는 사용자 단말(200)과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장치(100)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유, 무선의 연결 구조를 의미하며, 예시적으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network refers to a wired and wireless connection structure capable of exchanging information between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device 100, and illustratively, 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network, LTE (Long Term Evolution) ) Network, 5G network,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network, 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 A Bluetooth network, a satellite broadcasting network, an analog broadcasting network, and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network,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또한,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장치(100)는,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110), 대화형 챗봇(chat-bot) 엔진부(120), 디바이스 연계 프레임워크부(130), 전자문서 데이터베이스(140), 인지서비스 연계 프레임 워크부(150) 및 계정 연동부(160)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apparatus 100 includes an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roviding unit 110, an interactive chat-bot engine unit 120, a device linking framework unit 130, and an electronic document database 140. , Cognitive service linkage framework unit 150 and may include an account linking unit 160.

어플리케이션부(210)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대화형 챗봇(chat-bot) 엔진부(120)에 사용자 입력에 대한 처리를 요청할 수 있다.The application unit 210 may request the interactive chat-bot engine unit 120 to process a user input based on the user input.

이 때, 대화형 챗봇(chat-bot) 엔진부(120)는 상기 요청에 따라 사용자 입력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는 제어 동작을 결정하여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110)에서 제공하는 제어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호출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teractive chatbot engine unit 120 analyzes the user input according to the request and determines a control operation that meets the user's intention, and the control API provided by the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rovider 110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can be called.

도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2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장치(100)는,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110), 대화형 챗봇(chat-bot) 엔진부(120), 디바이스 연계 프레임워크부(130), 전자문서 데이터베이스(140), 인지서비스 연계 프레임 워크부(150) 및 계정 연동부(160)을 포함할 수 있다.2, an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an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roviding unit 110, an interactive chat-bot engine unit 120, and a device linkage framework. A unit 130, an electronic document database 140, a cognitive service linkage framework unit 150, and an account linking unit 160 may be included.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110)는, 전자서식 템플릿에 기초하여 전자문서를 생성하고, 기 작성된 전자문서에 대한 결재 또는 조회를 수행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roviding unit 110 may generate an electronic document based on the electronic form template, and perform an approval or inquiry for a previously created electronic document.

또한,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110)는, 전자문서 작성부, 전자문서 처리부, 전자문서 검색부 및 네비게이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roviding unit 110 may include an electronic document creation unit, an electronic document processing unit, an electronic document search unit, and a navigation module.

상기 전자문서 작성부는, 대화형 챗봇(chat-bot) 엔진부(120)에 의해 파악된 사용자의 의도가 문서 작성 의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문서 작성 의도에 부합하는 전자서식 템플릿을 불러오고,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키(Key) 값 및 밸류(Value) 값을 단위로 추출된 데이터를 상기 전자서식 템플릿 내 기입 항목에 입력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ocument creation unit, when the user's intention identified by the interactive chat-bot engine unit 120 corresponds to the document creation intention, loads an electronic form template corresponding to the document creation intention, and the user Data extracted from the input in units of a key value and a value value may be input into the entry item in the electronic form template.

구체적으로, 상기 전자문서 작성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상기 전자문서 기입 항목과 연계된 의도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electronic document creation unit may extract intention data associated with the electronic document entry item from the user input.

상기 의도 데이터는 전자문서의 서식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하나의 전자문서가 완성되기 위하여 사용자가 전자문서 상에 입력해야 하는 개별적인 기입 항목인 상기 키(Key) 값에 해당할 수 있다.The intention data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format of the electronic document, and may correspond to the key value, which is an individual entry item that the user must input on the electronic document in order to complete one electronic document.

또한, 상기 전자문서 작성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서 상기 전자문서 기입 항목과의 유사도가 소정 이상인 부분을 의도 데이터로써 추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nic document creation unit may extract, as intention data, a portion having a similarity of the electronic document entry item in the user input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또한, 상기 전자문서 작성부는, 상기 의도 데이터에 대응되는 원시 내용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nic document creation unit may extract raw content data corresponding to the intention data.

구체적으로, 상기 전자문서 작성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 중 N 번째 의도 데이터의 종료 지점부터 (N+1)번째 의도 데이터의 시작 지점 전까지의 부분을 상기 N번째 의도 데이터에 대응되는 원시 내용 데이터로 추출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electronic document creation unit extracts a portion of the user input from the end point of the Nth intention data to the start point of the (N+1)th intention data as raw content data corresponding to the Nth intention data. I can.

또한, 상기 전자문서 작성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 중 N번째 의도 데이터가 마지막 의도 데이터인 경우 상기 N번째 의도 데이터의 종료 지점부터 상기 사용자 입력의 마지막까지의 부분을 상기 N번째 의도 데이터에 대응되는 원시 내용 데이터로 추출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N-th intention data of the user input is the last intention data, the electronic document creation unit may convert a portion from the end point of the N-th intention data to the end of the user input to the original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N-th intention data. Can be extracted as data.

여기서, 상기 원시 내용 데이터에는 상기 키(Key) 값에 대응되고, 전자문서에 해당 기입 항목에 대하여 입력되는 밸류(Value) 값과 함께 정제되지 않은 발화 일부가 함께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전자문서 작성부는, 상기 원시 내용 데이터로부터 상기 밸류(Value) 값만을 선별한 최종 내용 데이터를 전자문서에 삽입할 수 있다. Here, the raw content data corresponds to the key value, and may include a part of the unrefined utterance together with a value value input for the corresponding entry item in the electronic document, and the electronic document creation unit , Final content data obtained by selecting only the value value from the original content data may be inserted into the electronic document.

또한, 상기 전자문서 작성부는, 상기 원시 내용 데이터를 처리하여 최종 내용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ectronic document creation unit may process the original content data to obtain final content data.

여기서 최종 내용 데이터는 상기 키(Key) 값에 대응되는 데이터로, 전자문서 기입 항목에 실제 입력되는 내용을 포함하는 밸류(Value) 값을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final content data is data corresponding to the key value, and may mean a value value including content actually input to an electronic document entry item.

구체적으로, 상기 전자문서 작성부는, 상기 원시 내용 데이터의 첫 분절이 조사인 경우, 해당 분절을 삭제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first segment of the original content data is a survey, the electronic document creation unit may delete the segment.

또한, 상기 전자문서 작성부는, 첫 분절의 조사가 삭제된 상기 원시 내용 데이터의 마지막 분절에 대해 형태소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nic document creation unit may perform morpheme analysis on the last segment of the original content data from which the investigation of the first segment has been deleted.

또한, 상기 전자문서 작성부는, 상기 형태소 분석 결과를 역방향으로 탐색하여 실질 형태소를 탐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nic document preparation unit may detect the real morpheme by searching the morpheme analysis result in the reverse direction.

또한, 상기 전자문서 작성부는, 상기 탐지된 실질 형태소가 명사 형태가 아닌 경우, 상기 탐지된 실질 형태소를 명사 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detected real morpheme is not a noun form, the electronic document creation unit may convert the detected real morpheme into a noun form.

전술한 상기 전자문서 작성부의 원시 내용 데이터의 처리에 따라 명사 형태로의 변환까지 완료된 상기 원시 내용 데이터는 최종적으로 전자문서 내에 입력되는 최종 내용 데이터로 확정될 수 있다. The original content data, which has been converted into a noun form according to the processing of the original content data of the electronic document creation unit described above, may be finally determined as final content data input into the electronic document.

또한, 상기 전자문서 작성부는 전자문서의 작성이 완료(모든 필수 기입 항목에 대한 기입이 완료된 것)될 때까지, 상기 전자문서 기입 항목에 연계된 질문을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질문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응답을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이를 분석하여 해당하는 전자문서 기입 항목에 입력 값을 할당하는 대화 방식을 통하여, 전자문서를 완성해 나갈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nic document creation unit transmits a question related to the electronic document entry item to the user terminal until the electronic document is completed (filling in all required entry items has been completed), and The electronic document can be completed through a conversational method in which a user input including a user's response is received, analyzed and assigned an input value to a corresponding electronic document entry item.

또한, 상기 전자문서 작성부는, 대화형 챗봇(chat-bot) 엔진부(120)에 의해 파악된 상기 사용자의 의도가 문서 수정 의도에 해당하는 경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서식 템플릿 내 기입 항목에 기 입력된 데이터를 수정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s intention identified by the conversational chat-bot engine unit 120 corresponds to the document modification intention, the electronic document creation unit may input items in the electronic form template based on a user input. You can edit the data previously entered.

또한, 상기 전자문서 작성부는, 대화형 챗봇(chat-bot) 엔진부(120)에 의해 파악된 상기 사용자의 의도가 문서 초기화 의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전자서식 템플릿 내 기입 항목을 초기화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s intention identified by the interactive chat-bot engine unit 120 corresponds to the document initialization intention, the electronic document creation unit may initialize the entry item in the electronic form template. .

또한, 상기 전자문서 작성부는, 상기 전자서식 템플릿 내 기입 항목 전체에 대한 데이터 입력이 완료된 경우, 결재자를 지정하고 사용자의 서명을 입력받아 전자문서 작성을 완료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nic document preparation unit may designate an approver and receive a user's signature to complete the electronic document creation when data input for the entire entry in the electronic form template is completed.

또한, 상기 전자문서 작성부는, 상기 결재자 지정 및 상기 사용자의 서명을 입력 받기 전에 전자문서에 기입된 최종 내용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nic document preparation unit may verify the validity of the final content data written in the electronic document before designating the approver and receiving the signature of the user.

예시적으로, 상기 유효성 검증은, 최종 내용 데이터가 기입 항목에 따라 요구되는 형식을 갖추었는지 여부, 유효한 수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값인지 여부 등을 검증하는 절차를 의미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validity verification may refer to a procedure of verifying whether the final content data has a format required according to the entry item, whether it is a value within a valid numerical range, and the like.

상기 전자문서 작성부는, 사용자에게 전자문서와 연계된 질문을 하고, 해당 질문에 대한 응답을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으로써, 전자문서의 내용을 채워나가거나 기 입력된 내용을 수정하고, 기입 항목에 대한 기입이 완료된 경우, 사용자의 서명을 제공받고, 결재자를 지정함으로써 전자문서의 생성을 완결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ocument creation unit asks a user a question related to the electronic document and receives a user input including a response to the question, thereby filling in the content of the electronic document or correcting the previously entered content, and When the entry is completed, the user's signature is provided, and the creation of the electronic document can be completed by designating the approver.

또한, 상기 전자문서 작성부는 사용자의 서명을 제공받는 과정에서, 해당 사용자의 필속 정보, 필압 정보, 위치 정보 등을 상기 사용자의 서명과 함께 저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다른 사람의 서명을 대신 작성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receiving the user's signature, the electronic document creation unit may store the required information, pen pressure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etc. of the user together with the user's signature. It can prevent the case of writing.

즉,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110)는, 전자문서 완성에 필요한 데이터 전부를 사용자가 일일이 입력하지 않아도, 사용자가 요청한 전자문서 서식 유형을 고려하여, 전자문서 완성에 필요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자문서 개별 기입 항목과 연계된 질문 형태로 구성하여 요청하고, 사용자는 해당 질문에 대응하는 응답을 반환하는 대화를 기반으로 한 데이터 수집을 기초로 전자문서 작성이 이루어짐에 따라 자동으로 전자문서 생성에 필요한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That is, the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roviding unit 110 provides individual electronic documents with information necessary for electronic document completion in consideration of the type of electronic document format requested by the user, even if the user does not manually input all the data required for electronic document completion. As the electronic document is created on the basis of data collection based on conversations in which a request is made in the form of a question linked to the entry item, and a response corresponding to the question is returned, the user automatically takes the necessary procedure for the electronic document creation. Can be done.

상기 전자문서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기 작성된 전자문서에 대한 결재, 접수 또는 삭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ocument processing unit may perform approval, reception, or deletion processing for a previously created electronic document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user.

또한, 상기 전자문서 처리부는, 푸시(Push) 알림 또는 알람을 통해 전자문서 결재 요청을 전달하고, 상기 결재 요청과 연계된 전자문서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nic document processing unit may transmit an electronic document approval request through a push notification or an alarm, and provide an electronic document list associated with the approval request.

또한, 상기 전자문서 처리부는, 사용자가 상기 전자문서 작성부를 통해 생성한 전자문서 내에 결재자로 지정된 결재자의 사용자 단말을 인식하여, 상기 결재자의 사용자 단말 측에 상기 푸시(push) 알림 또는 알람을 전송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 기재일 뿐, 다양한 정보 전달 방법을 통해 상기 결재자의 사용자 단말 측에 상기 결재자의 처리를 요하는 새로운 전자문서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ectronic document processing unit may recognize the user terminal of the approver designated as an approver in the electronic document created by the user through the electronic document creation unit, and transmit the push notification or alarm to the user terminal of the approver. However, this is only an exemplary description, and information on a new electronic document requiring processing by the approver can be delivered to the user terminal of the approver through various information delivery methods.

또한, 상기 전자문서 처리부는, 상기 푸시(push) 알림 또는 알람에 결재 요청자, 결재 기일, 긴급도 등 해당 전자문서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여 결재 요청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nic document processing unit may transmit payment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electronic document, such as an approval requester, payment due date, and urgency, to the push notification or alarm.

또한, 상기 전자문서 처리부는, 대화형 챗봇(chat-bot) 엔진부(120)에 의해 파악된 상기 사용자의 의도가 문서 결재 의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결재 요청과 연계된 전자문서에 대한 결재 처리를 완결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s intention identified by the interactive chat-bot engine unit 120 corresponds to the document approval intention, the electronic document processing unit processes payment for the electronic document associated with the payment request. Can be completed.

이 때,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화형 챗봇(chat-bot) 엔진부(120)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결재 요청자 알려줘", "결재 목록을 알려줘", 또는 "결재할 문서 몇 개야?"와 같이 기 작성된 전자문서에 대한 결재와 연관된 발화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의도가 문서 결재 의도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At this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interactive chat-bot engine unit 120 responds with the user input as "tell me a requestor for payment", "tell me a list of payments", or "how many documents to be paid for?" In the case of including an utterance related to approval for a previously created electronic document,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user's intention corresponds to the document approval intention.

또한, 상기 전자문서 처리부는, 대화형 챗봇(chat-bot) 엔진부(120)에 의해 파악된 상기 사용자의 의도가 문서 접수 의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결재 요청과 연계된 전자문서에 대한 접수 처리를 완결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s intention identified by the interactive chat-bot engine unit 120 corresponds to the document acceptance intention, the electronic document processing unit receives and processes the electronic document associated with the payment request. Can be completed.

또한, 상기 전자문서 처리부는, 대화형 챗봇(chat-bot) 엔진부(120)에 의해 파악된 상기 사용자의 의도가 문서 삭제 의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결재 요청과 연계된 전자문서에 대한 삭제 처리를 완결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s intention identified by the interactive chat-bot engine unit 120 corresponds to the document deletion intention, the electronic document processing unit deletes the electronic document associated with the payment request. Can be completed.

전술한 전자문서에 대한 결재, 접수 또는 삭제 처리는 기 작성된 전자문서에 대한 업무 내적인 행정 처리의 예시적인 기재로 이해되어야 하며, 전자문서 처리부는 업무 형태에 기초하여 전자문서에 대한 다양한 조치를 수행할 수 있다.The approval, reception, or deletion of the aforementioned electronic document should be understood as an exemplary description of the internal administrative processing of the previously created electronic document, and the electronic document processing unit performs various actions on the electronic document based on the type of work. can do.

또한, 상기 전자문서 처리부는, 상기 결재 요청과 연계된 전자문서에 대한 처리의 타당성 및 안정성을 재고하기 위하여, 화자 인식(Speaker Recognition) 기법을 활용하여, 상기 결재 요청과 연계된 전자문서에 대한 처리가 가능한 지위에 있는 자에 의해 해당 전자문서에 대한 처리가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nic document processing unit processes the electronic document linked to the approval request by using a speaker recognition technique in order to reconsider the validity and stability of processing the electronic document linked to the approval request. It can be verified whether or not the electronic document has been processed by a person in a position where possible.

즉, 결재자에 해당하는 사용자는 전자문서 처리와 관련된 문서 처리 의도가 포함된 사용자 입력을 발화할 수 있고, 전자문서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기 작성된 전자문서에 대한 결재, 접수 또는 삭제를 수행할 수 있다.In other words, a user who is an approver can utter a user input that includes an intention to process documents related to electronic document processing, and the electronic document processing unit performs approval, reception, or deletion on the previously created electronic document based on the user input. can do.

상기 전자문서 검색부는, 상기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사용자 입력에 포함된 검색 조건에 부합하는 전자문서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ocument search unit may provide a list of electronic documents meeting a search condition included in a user input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user.

구체적으로, 상기 전자문서 검색부는, 대화형 챗봇(chat-bot) 엔진부(120)에 의해 파악된 상기 사용자의 의도가 문서 검색 의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검색 조건을 획득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electronic document search unit may obtain a search condition based on the user input when the user's intention identified by the interactive chat-bot engine unit 120 corresponds to the document search intention. I can.

또한, 상기 전자문서 검색부는, 상기 검색 조건에 부합하는 전자문서를 취합하여 목록을 작성하고, 상기 전자문서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nic document search unit may collect electronic documents meeting the search conditions, create a list, and provide the electronic document list.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입력이 "결재 요청건만 알려줘."라는 사용자의 발화라고 할 때, 전자문서 검색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사용자를 결재자로 지정하여 결재 요청된 전자문서'라는 검색 조건을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검색 조건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를 결재자로 지정하여 작성된 전자문서를 탐색하여 취합하고, 이를 목록화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when the user input is the user's utterance of "tell me only the payment request.", the electronic document search unit refers to an electronic document that has been requested for payment by designating a user as an approver from the user input. A search condition may be obtained, and based on the obtained search condition, an electronic document created by designating the user as an approver may be searched and collected, and the list may be provided to the user.

상기 네비게이션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복수의 전자문서 간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The navigation module may control movement between a plurality of electronic documents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user.

구체적으로, 상기 네비게이션 모듈은, 대화형 챗봇(chat-bot) 엔진부(120)에 의해 파악된 상기 사용자의 의도가 문서 이동 의도에 해당하는 경우, 다른 전자문서를 불러올 수 있다.Specifically, the navigation module may call another electronic document when the user's intention identified by the interactive chat-bot engine unit 120 corresponds to the document movement intention.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문서 이동 의도는 사용자의 발화에 '이전, 다음, 처음으로, 마지막으로' 등 현재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있는 전자문서 이외의 전자문서를 호출하는 문구가 포함되는 경우, 대화형 챗봇(chat-bot) 엔진부(120)가 이를 추출함으로써 파악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when the intention to move the document includes a phrase calling an electronic document other than the electronic document currently provided to the user such as'previous, next, first, last' in the user's utterance, The interactive chat-bot engine unit 120 can be identified by extracting it.

특히, 저장된 전자문서의 수가 많은 경우, 특정 수의 전자문서를 포함하는 페이지가 구현될 수 있으며, 네비게이션 모듈은 음성 페이징 기능을 구현하여, 사용자 입력에 따른 페이지 간의 이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number of stored electronic documents is large, a page including a specific number of electronic documents may be implemented, and the navigation module may implement a voice paging function to control movement between pages according to a user input.

대화형 챗봇(chat-bot) 엔진부(120)는,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고, 상기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는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110)의 기능을 호출할 수 있다. The interactive chat-bot engine unit 120 may recognize a user's intention from a user input and call a function of the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roviding unit 110 corresponding to the user's intention.

도3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장치에 인가되는 사용자 입력의 유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type of user input applied to an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3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장치(100)는 (a)와 같이 스마트 스피커(Smart Speaker), 스마트 가전(Smart Appliances),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등 음성 인식 기능을 지원하는 사용자 단말(11)을 통해 사용자가 육성으로 말한 문장을 상기 사용자 입력으로 하는 음성 입력 형태로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3, the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s shown in (a), voice recognition such as a smart speaker, smart appliances, wearable devices, etc. Through the user terminal 11 supporting the function, the user input may be received in the form of a voice input in which a sentence spoken by the user by voice is used as the user input.

또한, (b)와 같이 사용자가 태플릿 PC,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 단말(12), 노트북, PC등과 연결된 키보드(13) 등의 별도의 입력 장치를 통해 타이핑한 문장을 상기 사용자 입력으로 하는 대화형 입력 형태로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b), a dialogue in which the user inputs a sentence typed through a separate input device such as a user terminal 12 such as a tablet PC or a smartphone, and a keyboard 13 connected to a laptop or PC. The user input may be received in the form of a type input.

즉,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사용자 입력은 음성 입력 또는 사용자 단말(200) 화면 상에 구비된 대화 창에 텍스트를 기입하는 방식으로 입력된 대화형 입력일 수 있다.That is, the user input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a voice input or an interactive input input by writing text in a chat window provid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200.

또한, 대화형 챗봇(chat-bot) 엔진부(120)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음성 입력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 화면 상에 구비된 채팅 창에 텍스트를 기입하는 방식으로 입력된 대화형 입력인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사용자 발화 문장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input is a voice input or an interactive input input by writing text in a chat window provided on the user terminal screen, the interactive chat-bot engine unit 120 The user's intention may be determined by analyzing the user's speech sentence from the user input.

또한, 대화형 챗봇(chat-bot) 엔진부(120)는, 사용자 입력에 대한 자연어 처리를 통해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ractive chat-bot engine unit 120 may recognize a user's intention through natural language processing on a user input.

구체적으로, 대화형 챗봇(chat-bot) 엔진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발화된 음성을 상기 사용자 입력으로 인식하여 이를 텍스트 형식으로 변환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interactive chat-bot engine unit 120 may recognize a voice spoken by a user as the user input and convert it into a text format.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를 위해, 대화형 챗봇(chat-bot) 엔진부(120)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적어도 하나의 음성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고, 상기 텍스트 형식으로의 변환을 위해 STT(Speech-To-Text) 기법이 활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or this purpose, the interactive chatbot engine unit 120 may use at least one speech recognition algorithm well known in the art, and convert the text format into For this, a Speech-To-Text (STT) technique may be used.

디바이스 연계 프레임워크부(130)는, 상기 사용자 입력을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110)에서 처리 가능한 형식으로 표준화하고,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 (110)의 처리 결과를 사용자 단말(200)에서 처리 가능한 형식으로 변환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반환할 수 있다.The device linkage framework unit 130 standardizes the user input into a format that can be processed by the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roviding unit 110, and can process the processing result of the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roviding unit 110 in the user terminal 200. It can be converted into a format and returned to the user terminal 200.

즉,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연계 프레임워크부(130)는, 상기 사용자 입력을 생성하는 데 사용된 사용자 단말 또는 외부 플랫폼의 유형에 따라 상이한 형식을 갖는 사용자 입력의 형식을 표준화 하여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110)가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한 처리 동작을 수행하고,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110)의 처리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외부 플랫폼의 유형에 맞는 형식으로 반환할 수 있도록 기능할 수 있다.That is, the device linkage framework unit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standardizes the format of the user input having a different format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user terminal or external platform used to generate the user input, The service providing unit 110 may perform a processing operation on the user input and function to return the processing result of the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roviding unit 110 in a format suitable for the type of the user terminal or the external platform. have.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 연계 프레임워크부(130)는, 직접 호출형 프레임워크부, 동기형 프레임워크부 및 비동기형 프레임워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evice linking framework unit 130 may include a direct call type framework unit, a synchronous type framework unit, and an asynchronous framework unit.

상기 직접 호출형 프레임워크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110)에서 직접 처리 가능한 표준화된 입력이고,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110)가 사용자 단말(200)에서 처리 가능한 표준화된 출력을 반환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200)과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100) 간의 연결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direct call type framework unit, wherein the user input is a standardized input that can be directly processed by the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roviding unit 110, and the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roviding unit 110 provides a standardized output that can be processed by the user terminal 200. In the case of return, a connection interface between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roviding unit 100 may be provided.

상기 동기형 프레임워크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외부 플랫폼의 형식으로 생성된 경우,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110)의 처리 결과를 상기 외부 플랫폼에서 생성된 요청에 대한 응답 형식으로 변환하여 반환할 수 있다.When the user input is generated in the form of an external platform, the synchronous framework unit may convert the processing result of the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roviding unit 110 into a response form for a request generated by the external platform and return it. .

상기 비동기형 프레임워크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의 수신 성공 여부를 해당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먼저 반환하고,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110)의 처리 결과는 외부 플랫폼 별 API를 호출하는 방식으로 변환하여 반환할 수 있다.The asynchronous framework unit first returns whether or not the user input has been successfully received as a response to the user input, and the processing result of the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roviding unit 110 is converted and returned by calling an API for each external platform. can do.

전자문서 데이터베이스(140)는, 복수의 전자문서 유형별 전자서식 템플릿을 저장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ocument database 140 may store an electronic form template for each type of a plurality of electronic documents.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문서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상기 복수의 전자문서 유형별 전자서식 템플릿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추가, 수정 또는 삭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자문서 데이터베이스(140)가 갱신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plurality of electronic form templates for each type of electronic document stored in the electronic document database 140 may be added, modified or deleted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and the electronic document database 140 is updated accordingly. Can be.

즉, 전자문서 데이터베이스(140)에는, 사용자의 업무 범위 전반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포맷의 전자문서 서식(전자서식 템플릿)이 저장될 수 있다.That is, the electronic document database 140 may store electronic document forms (electronic form templates) in various formats required throughout the user's work range.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문서 서식(전자서식 템플릿)은 별도의 서식 개발 도구에 의해 서식 수정 및 새로운 서식 생성이 이루어지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electronic document form (electronic form template) may be implemented so that form correction and new form generation are performed by a separate form development tool.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별도의 서식 개발 도구는, 전자문서에 대한 필수 입력 항목을 지정하고, 기입 항목과 연계된 음성 동의어를 사전 지정하고, 복수의 입력 항목을 하나의 상위 개념으로 포괄하는 그룹핑(Grouping)을 수행하고, 입력 항목의 순서를 지정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separate form development tool designates essential input items for electronic documents, pre-designates voice synonyms associated with the input items, and encompasses a plurality of input items as one higher concept. A function of performing grouping and designating an order of input items may be provided.

도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서식 템플릿의 개발 또는 이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developing or using an electronic tem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4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에에 따르면 전자서식 템플릿(폼)은 개발자에 의해 상기 별도의 서식 개발 도구(서식 디자인 툴)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고, 상기 개발자에 의해 생성된 전자서식 템플릿(폼)은 별도의 서비스 서버의 서식 마켓플레이스 상에서 전자상거래에 대상이 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용이하게 전자서식 템플릿(폼)을 다운로드 하여 전자문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구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 electronic form template (form) may be created by a developer using the separate form development tool (form design tool), and an electronic form created by the developer The template (form) can be targeted for e-commerce on the form marketplace of a separate service server, and a user can easily download an electronic form template (form) to implement an environment in which an electronic document service can be used.

인지서비스 연계 프레임워크부(150)는, 상기 음성 입력 또는 상기 대화형 입력 이외의 유형으로 생성된 사용자 입력의 유형을 파악할 수 있다.The cognitive service linkage framework unit 150 may grasp the type of user input generated by a type other than the voice input or the interactive input.

또한, 인지서비스 연계 프레임워크부(150)는, 상기 유형에 대응되는 인지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의 내용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사용자 입력의 내용을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110)에서 처리 가능한 형식으로 변환하여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110)로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gnitive service linkage framework unit 150 extracts the content of the user input by using a cognitive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 corresponding to the type, and uses the extracted user input to an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roviding unit. It may be converted into a format that can be processed by 110 and transmitted to the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roviding unit 110.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음성 입력 또는 상기 대화형 입력 이외의 유형의 입력에는, 사용자 단말(200)의 터치 스크린을 통해 입력되는 필기 입력, 터치 입력, 사용자 단말(200)의 카메라 등의 촬영 장치에 의해 입력되는 이미지 입력 또는 사용자 단말(200)의 광학 문자 판독장치에 의해 인식되는 OCR (Optical Character Reader)타입의 입력 등이 포함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or input of a type other than the voice input or the interactive input, a handwriting input input through the touch screen of the user terminal 200, a touch input, and a camera of the user terminal 200 are photographed. An image input input by the device or an OCR (Optical Character Reader) type input recognized by an optical character reading device of the user terminal 200 may be included.

도5a내지 도5c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서비스 연계 프레임워크부가 입력 유형에 맞는 인지 API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인식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5A to 5C are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ss of recognizing a user input by using a cognitive API suitable for an input type by a cognitive service linkage frame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5a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 서비스 연계 프레임워크부 (150)는, 필기 입력을 인식하기 위한 API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손가락, 펜 등의 입력 도구로 사용자 단말(200)의 터치 스크린을 통해 입력한 사용자 입력의 내용을 추출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의 내용을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110)에서 처리 가능한 형식으로 변환하여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110)로 전달할 수 있다.5A, the cognitive service linkage framework unit 1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an API for recognizing a handwriting input so that a user can use an input tool such as a finger, a pen, etc. of the user terminal 200. The content of the user input input through the touch screen may be extracted, the content of the user input may be converted into a format that can be processed by the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roviding unit 110 and transmitted to the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roviding unit 110.

도5b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 서비스 연계 프레임워크부 (150)는, 이미지 입력을 인식하기 위한 비전 API를 구비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촬영 장치에 의해 입력된 이미지 타입의 사용자 입력을 분석하여, 유효성을 검증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파악되는 정보를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110)에서 처리 가능한 형식으로 변환하여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110)로 전달할 수 있다.5B, the cognitive service linkage framework unit 1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a vision API for recognizing an image input, and the image type input by the photographing device of the user terminal 200 The user input may be analyzed to verify validity, and the information identified from the user input may be converted into a format that can be processed by the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roviding unit 110 and transmitted to the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roviding unit 110.

도5c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 서비스 연계 프레임워크부 (150)는, 이미지로부터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텍스트를 추출하기 위한 OCR 인지 API를 구비하여, 이미지 타입의 사용자 입력 내 포함된 텍스트 정보를 추출하여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110)에서 처리 가능한 형식으로 변환하여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110)로 전달할 수 있다.5C, the cognitive service linkage framework unit 1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an OCR recognition API for extracting text included in the image from an image, and includes the image type in user input. The resulting text information may be extracted and converted into a format that can be processed by the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roviding unit 110 and transmitted to the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roviding unit 110.

계정 연동부(160)는, 사용자 단말(200)의 계정과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장치(100)의 계정을 연동하여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장치(100)에 대한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The account linking unit 160 may link an account of the user terminal 200 with an account of the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device 100 to grant access rights to the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device 100.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계정 연동부(160)는, 사용자 단말(200)의 어플리케이션부(210)의 메신저 어플리케이션(211) 또는 가상 인공지능 비서 어플리케이션(212)의 계정을 활용하여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장치(100)에 대한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account linking unit 160 uses an account of the messenger application 211 or the virtual artificial intelligence assistant application 212 of the application unit 210 of the user terminal 200 to provide an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Access rights to the providing device 100 may be granted.

구체적으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계정 연동부(160)는 OAuth2 기반의 IAM 인증 서버를 통해 사용자 인증 및 인증 토큰 발급을 수행하여, 상기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Specifical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account linking unit 160 may perform user authentication and issuance of an authentication token through an OAuth2-based IAM authentication server, thereby granting the access authority.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메신저 어플리케이션(211) 또는 가상 인공지능 비서 어플리케이션(212)을 통해 계정 연동을 요청한 경우, 계정 연동부(160)의 상기 인증 서버가 호출되어, 사용자가 올바른 계정 인증을 수행했는지 확인하고, 정상인 경우 인증 토큰을 반환하는 방식으로 계정 연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when the user requests account linkage through the messenger application 211 or the virtual artificial intelligence assistant application 212, the authentication server of the account linking unit 160 is called, and the user Account linkage can be performed by checking whether correct account authentication has been performed and, if normal, returning an authentication token.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계정 연동부(160)는 사용자 마다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장치(100)에 대한 최초 계정 연동 요청 시에만 사용자 인증 및 토큰 발행을 수행하고, 이후의 접근에서는 기존에 연동된 계정 정보를 활용하여 별도의 인증 절차 없이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account linking unit 160 performs user authentication and token issuance only when the first account linking request to the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device 100 is requested for each user, and in subsequent approaches, the existing An access right can be granted without a separate authentication procedure by using the linked account informa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장치(100)는,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110)의 처리 결과를 사용자 단말(200)의 속성에 기초한 UI(User Interface) 및 UX(User Experience)로 형상화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반환할 수 있다.The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apparatus 100 converts the processing result of the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roviding unit 110 into a UI (User Interface) and UX (User Experience) based on the attributes of the user terminal 200 to form the user terminal 200. Can be returned to

이 때, 사용자 단말(200)의 속성은, 사용자 단말(200)에서 지원하는 입출력 데이터 유형 및 사용자 단말(200)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크기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roperties of the user terminal 200 may include input/output data types supported by the user terminal 200 and a size of a display screen of the user terminal 200.

도6a 내지 도6c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이 사용자 단말 속성을 고려하여 사용자 단말 별 UI 및 UX를 다르게 하여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의 처리 결과를 형상화한 것을 도시하기 위한 도면이다.6A to 6C are diagrams for illustrating the processing result of the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roviding unit by different UI and UX for each user terminal in consideration of the user terminal property in the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

도6a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크기가 소정 이상 작은 경우,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110)의 처리 결과를 전자문서 기입 항목의 입력 순서, 그룹핑 등을 고려하여 간단하게 표기할 수 있고(좌측 상단), 사용자 단말(200)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크기가 소정 크기 이상인 경우,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110)의 처리 결과를 전자문서 서식 전체를 인터페이스로 구현하는 방식으로 나타낼 수도 있다(우측 상단).6A, the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processing result of the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roviding unit 110 when the size of the display screen of the user terminal 200 is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Can be displayed simply by considering the input order and grouping of the electronic document entry items (upper left), and when the size of the display screen of the user terminal 200 is larger than a predetermined size, the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rovider 110 The processing result can also be expressed by implementing the entire electronic document format as an interface (top right).

도6b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이 스마트 워치(Smart Watch)인 경우, 음성 입출력이 가능한 속성과 손목시계 정도 크기로 작은 디스플레이 속성을 고려하여,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110)의 처리 결과를 형상화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B, when the user terminal 200 is a smart watch, the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has a property capable of voice input/output and a small size of a wrist watch. In consideration of the display attribute, the processing result of the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roviding unit 110 may be shaped.

도6c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이 스마트 카(Smart Car)인 경우, 차량 내부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크기 및 음성 입출력 지원 여부를 고려하여,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110)의 처리 결과를 형상화할 수 있다.6C, the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when the user terminal 200 is a smart car, the screen size and voice of the display device included in the vehicle. In consideration of whether input/output is supported, the processing result of the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roviding unit 110 may be shaped.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업무 내 역할을 고려하여 사용자 단말 별 UI 및 UX를 다르게 하여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의 처리 결과를 다르게 형상화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apparatus 100 may differently shape the processing result of the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roviding unit by different UI and UX for each user terminal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role in the work. .

예를 들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장치(100)는, 최초 전자문서 작성자에게 제공되는 UI 및 UX와 해당 전자문서를 결재, 반려 등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지위에 있는 결재자에게 제공되는 UI 및 UX를 차별화하여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110)의 처리 결과를 다르게 전달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in a position to perform processing such as approval and rejection of the UI and UX provided to the first electronic document creator and the corresponding electronic document. By differentiating the UI and UX provided to the approver, the processing result of the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roviding unit 110 may be differently delivered.

도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7에 도시된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방법은 앞서 설명된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장치(100) 또는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장치(100) 또는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1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도7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method illustrated in FIG. 7 may be performed by the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apparatus 100 or the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system 10 described above. Accordingly, even though the contents are omitted below, the contents described for the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apparatus 100 or the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system 10 may be equally applied to FIG. 7.

도7을 참조하면, 단계 S710에서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in step S710, a user input may be received from a user terminal.

다음으로, 단계 S720에서 디바이스 연계 프레임워크부(130)는, 상기 사용자 입력을 표준화할 수 있다.Next, in step S720, the device linking framework unit 130 may standardize the user input.

다음으로, 단계 S730에서 대화형 챗봇(chat-bot) 엔진부(120)는, 상기 표준화된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Next, in step S730, the interactive chat-bot engine unit 120 may determine the user's intention from the standardized user input.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730에서 대화형 챗봇(chat-bot) 엔진부(120)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한 자연어 처리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으며, 상기 자연어 처리는 사용자에 의해 발화된 음성을 텍스트 형식으로 변환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고, 당해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적어도 하나의 음성 인식 알고리즘이 이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 step S730, the interactive chat-bot engine unit 120 may recognize the user's intention through natural language processing on the user input, and the natural language processing is performed by the user. It may mean converting the voice uttered by this into a text format, and at least one speech recognition algorithm well known in the art may be used.

다음으로, 단계 S740에서 대화형 챗봇(chat-bot) 엔진부(120)는, 상기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는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110)의 기능을 호출할 수 있다.Next, in step S740, the interactive chat-bot engine unit 120 may call a function of the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roviding unit 110 corresponding to the user's intention.

다음으로, 단계 S751에서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110)는, 상기 사용자의 의도가 문서 작성 의도인 경우, 대화형 챗봇(chat-bot) 엔진부(120)의 호출 결과에 따라 전자서식 템플릿에 기초하여 전자문서를 생성할 수 있다.Next, in step S751, when the user's intention is to create a document, the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rovider 110 is based on the electronic form template according to the call result of the interactive chat-bot engine unit 120. By doing so, you can create electronic documents.

다음으로, 단계 S752에서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110)는, 상기 사용자의 의도가 문서 처리 의도인 경우, 대화형 챗봇(chat-bot) 엔진부(120)의 호출 결과에 따라 기 작성된 전자문서에 대한 결제 또는 조회를 수행하여 전자문서를 처리할 수 있다.Next, in step S752, if the user's intention is the document processing intention, the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rovider 110 transmits the previously created electronic document according to the call result of the conversational chat-bot engine unit 120. Electronic documents can be processed by performing a payment or inquiry.

다음으로, 단계 S760에서 디바이스 연계 프레임워크부(130)는,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110)의 전자문서 처리 결과를 사용자 단말(200)에서 처리 가능한 형식으로 변환하여 반환할 수 있다. Next, in step S760, the device linking framework unit 130 may convert the electronic document processing result of the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roviding unit 110 into a format that can be processed by the user terminal 200 and return it.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710 내지 단계 S760은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steps S710 to S760 may be further divided into additional steps or may be combined into fewer step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addition, some steps may be omitted as necessary, and the order between steps may be changed.

본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of providing an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command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i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A hardware device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magneto-optical media, and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above-described hardwa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또한, 전술한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방법은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method for providing an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omputer program or application executed by a computer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applica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transform it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10: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
100: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장치
110: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
120: 대화형 챗봇 엔진부
130: 디바이스 연계 프레임워크부
140: 전자문서 데이터베이스
150: 인지서비스 연계 프레임워크부
160: 계정 연동부
200: 사용자 단말
210: 어플리케이션부
211: 가상 인공지능 비서 어플리케이션
212: 메신저 어플리케이션
10: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system
100: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device
110: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rovider
120: interactive chatbot engine unit
130: device linking framework unit
140: electronic document database
150: cognitive service linkage framework unit
160: account linkage
200: user terminal
210: application unit
211: Virtual AI assistant application
212: messenger application

Claims (16)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장치에 있어서,
전자서식 템플릿에 기초하여 전자문서를 생성하고, 기 작성된 전자문서에 대한 결재 또는 조회를 수행하는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고, 상기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는 상기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의 기능을 호출하는 대화형 챗봇(chat-bot) 엔진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을 상기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에서 처리 가능한 형식으로 표준화하고, 상기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의 처리 결과를 사용자 단말에서 처리 가능한 형식으로 변환하여 반환하는 디바이스 연계 프레임워크부,
를 포함하고,
상기 대화형 챗봇(chat-bot) 엔진부는,
상기 사용자의 의도가 문서 검색 의도에 해당하면, 상기 사용자 입력에 포함된 검색 조건에 부합하는 전자문서 목록을 제공하는 기능을 호출하고, 상기 사용자의 의도가 문서 이동 의도에 해당하면, 제공되고 있는 전자문서 이외의 전자문서를 불러오거나 복수의 전자문서를 포함하는 페이지 간의 이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호출하고,
상기 전자서식 템플릿은 복수의 입력 항목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입력 항목 중의 필수 입력 항목과 입력 항목 간의 순서가 미리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디바이스 연계 프레임워크부는,
상기 전자문서와 연계된 상기 필수 입력 항목 및 상기 입력 항목 간의 순서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UI(User Interface) 및 UX(User Experience)로 상기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의 처리 결과를 형상화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반환하는 것인,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장치.
In the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device,
An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rovider that generates an electronic document based on the electronic form template and performs approval or inquiry on the previously created electronic document;
An interactive chat-bot engine unit that recognizes a user's intention from a user input and calls a function of the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rovid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user's intention; And
A device linkage framework unit that standardizes the user input into a format that can be processed by the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roviding unit, and converts and returns the processing result of the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roviding unit into a format that can be processed by a user terminal;
Including,
The interactive chatbot engine unit,
If the user's intention corresponds to the document search intention, a function of providing an electronic document list meeting the search condition included in the user input is called, and if the user's intention corresponds to the document movement intention, the provided electronic Retrieving electronic documents other than documents or calling a function to control movement between pages including a plurality of electronic documents,
The electronic form template includes a plurality of input items, wherein an order between a required input item and an input item among the plurality of input items is specified in advance,
The device linkage framework unit,
Forming the processing result of the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roviding unit with a UI (User Interface) and UX (User Experience) determined based on the required input item associated with the electronic document and the order between the input items and returning it to the user terminal That, an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전자문서 유형별 전자서식 템플릿을 저장하는 전자문서 데이터베이스,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자문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복수의 전자문서 유형별 전자서식 템플릿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추가, 수정 또는 삭제되어 상기 전자문서 데이터베이스가 갱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 electronic document database that stores electronic form templates for multiple types of electronic documents,
Including more,
The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ctronic document database is updated by adding, modifying, or deleting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ocument types stored in the electronic document database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음성 입력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 화면 상에 구비된 대화 창에 텍스트를 기입하는 방식으로 입력된 대화형 입력인 것인,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user input is a voice input or an interactive input input by writing a text in a chat window provid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입력 또는 상기 대화형 입력 이외의 유형으로 생성된 사용자 입력의 유형을 파악하고, 상기 유형에 대응되는 인지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의 내용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사용자 입력의 내용을 상기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에서 처리 가능한 형식으로 변환하여 상기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로 전달하는 인지 서비스 연계 프레임워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Recognizing the type of user input generated in a type other than the voice input or the interactive input, extracting the contents of the user input using a cognitive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 corresponding to the type, and the extracted user A cognitive service linkage framework unit that converts the input content into a format that can be processed by the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roviding unit and delivers it to the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roviding unit,
The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연계 프레임워크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에서 직접 처리 가능한 표준화된 입력이고, 상기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처리 가능한 표준화된 출력을 반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 간의 연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직접 호출형 프레임워크부;
상기 사용자 입력이 외부 플랫폼의 형식으로 생성된 경우, 상기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의 처리 결과를 상기 외부 플랫폼에서 생성된 요청에 대한 응답 형식으로 변환하여 반환하는 동기형 프레임워크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의 수신 성공 여부를 해당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먼저 반환하고, 상기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의 처리 결과는 외부 플랫폼 별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호출하는 방식으로 변환하여 반환하는 비동기형 프레임워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evice linkage framework unit,
When the user input is a standardized input that can be directly processed by the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roviding unit, and the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roviding unit returns a standardized output that can be processed by the user terminal,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roviding unit A direct call type framework unit that provides a connection interface;
When the user input is generated in the form of an external platform, a synchronous framework unit converts the processing result of the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roviding unit into a response form to a request generated by the external platform and returns it; And
An asynchronous framework that first returns whether or not the user input is successfully received as a response to the user input, and converts and returns the processing result of the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rovider by calling an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for each external platform. part,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device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연계 프레임워크부는,
상기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의 처리 결과와 추가 입력 가능 항목에 대한 정보 또는 입력 방식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함께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evice linkage framework unit,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a processing result of the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rovider and information on an additional inputable item or information on an input method is output together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계정과 상기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장치의 계정을 연동하여 상기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장치에 대한 접근 권한을 부여하는 계정 연동부,
를 더 포함하는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 account linking unit for linking an account of the user terminal with an account of the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device to grant access rights to the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device,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장치에 사용자 입력에 대한 처리를 요청하고, 사용자 입력에 대한 처리 결과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한 처리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처리 요청에 기초하여 전자서식 템플릿에 기초한 전자문서 생성, 기 작성된 전자문서에 대한 결재 또는 조회를 처리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한 처리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반환하는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의도가 문서 검색 의도에 해당하면, 상기 사용자 입력에 포함된 검색 조건에 부합하는 전자문서 목록을 제공하는 기능을 호출하고, 상기 사용자의 의도가 문서 이동 의도에 해당하면, 제공되고 있는 전자문서 이외의 전자문서를 불러오거나 복수의 전자문서를 포함하는 페이지 간의 이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호출하고,
상기 전자서식 템플릿은 복수의 입력 항목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입력 항목 중의 필수 입력 항목과 입력 항목 간의 순서가 미리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장치는,
상기 전자문서와 연계된 상기 필수 입력 항목 및 상기 입력 항목 간의 순서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UI(User Interface) 및 UX(User Experience)로 상기 처리 결과를 형상화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반환하는 것인,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
In the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system,
A user terminal receiving a user input, requesting an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apparatus to process a user input based on the user input, and receiving a processing result of the user input; And
Receives a processing request for the user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generates an electronic document based on an electronic format template, processes approval or inquiry for a previously created electronic document based on the processing request, and processes the processing result for the user input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device for returning to the user terminal,
Including,
The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device,
If the user's intention corresponds to the document search intention, a function of providing an electronic document list meeting the search condition included in the user input is called, and if the user's intention corresponds to the document movement intention, the provided electronic Retrieving electronic documents other than documents or calling a function to control movement between pages including a plurality of electronic documents,
The electronic form template includes a plurality of input items, wherein an order between a required input item and an input item among the plurality of input items is specified in advance,
The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device,
Forming the processing result with a user interface (UI) and a user experience (UX) determined based on the required input item associated with the electronic document and an order between the input items and returning the processing result to the user terminal,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system.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장치와 연동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입력을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장치로 전달하거나 사용자 입력에 대한 처리 결과를 수신하는 어플리케이션부를 포함하는 것인,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8,
The user terminal,
An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system comprising an application unit for interworking with the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device to transmit a user input input from the user to the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device or to receive a processing result of the user inpu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장치는,
전자서식 템플릿에 기초하여 전자문서를 생성하고, 기 작성된 전자문서에 대한 결재 또는 조회를 수행하는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고, 상기 사용자의 의도에 대응되는 상기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의 기능을 호출하는 대화형 챗봇(chat-bot) 엔진부; 및
사용자 입력을 상기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에서 처리 가능한 형식으로 표준화하고, 상기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의 처리 결과를 사용자 단말에서 처리 가능한 형식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디바이스 연계 프레임워크부,
를 포함하는 것인,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The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device,
An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rovider that generates an electronic document based on the electronic form template and performs approval or inquiry on the previously created electronic document;
An interactive chat-bot engine unit that recognizes a user's intention from a user input and calls a function of the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rovid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user's intention; And
A device linkage framework unit that standardizes user input into a format that can be processed by the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roviding unit and converts and outputs the processing result of the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roviding unit into a format that can be processed by a user terminal,
That includes,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system.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된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어플리케이션부로 전달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대화형 챗봇(chat-bot) 엔진부에 사용자 입력에 대한 처리를 요청하고,
상기 대화형 챗봇(chat-bot) 엔진부는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입력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는 제어 동작을 결정하여 상기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에서 제공하는 제어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호출하는 것인,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0,
The user input input through the user terminal is transmitted to the application unit,
The application unit requests processing of a user input to the interactive chat-bot engine unit based on the user input,
The interactive chat-bot engine unit analyzes the user input according to the request, determines a control operation that meets the user's intention, and calls a control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 provided by the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rovider. To do,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system.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장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부의 계정과 상기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장치의 계정을 연동하여 상기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장치에 대한 접근 권한을 부여하는 계정 연동부,
를 더 포함하는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The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device,
An account linking unit for linking an account of the application unit with an account of the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device to grant access rights to the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device,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system further comprising.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형 챗봇(chat-bot) 엔진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음성 입력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 화면 상에 구비된 채팅 창에 텍스트를 기입하는 방식으로 입력된 대화형 입력인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사용자 발화 문장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는 것인,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0,
The interactive chatbot engine unit,
When the user input is a voice input or an interactive input input by writing text in a chat window provided on the user terminal screen, analyzing the user uttered sentence from the user input to determine the user's intention sign,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system.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장치는,
상기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의 처리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속성에 기초한 UI(User Interface) 및 UX(User Experience)로 형상화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반환하는 것인,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8,
The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device,
Forming the processing result of the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roviding unit as a UI (User Interface) and UX (User Experience) based on the attribute of the user terminal and returning it to the user terminal,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system.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속성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지원하는 입출력 데이터 유형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크기를 포함하는 것인,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4,
The attribute of the user terminal,
Including input/output data types supported by the user terminal and the size of a display screen of the user terminal,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system.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방법에 있어서,
대화형 챗봇(chat-bot) 엔진부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디바이스 연계 프레임워크부가 상기 사용자 입력을 표준화 하는 단계;
대화형 챗봇(chat-bot) 엔진부가 상기 표준화된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고, 상기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는 전자문서 서비스의 기능을 호출하는 단계;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가 상기 호출 결과에 따라 전자서식 템플릿에 기초하여 전자문서를 생성하거나, 기 작성된 전자문서에 대한 결재 또는 조회를 수행하여 전자문서를 처리하는 단계; 및
디바이스 연계 프레임워크부가 상기 전자문서 처리 결과를 사용자 단말에서 처리 가능한 형식으로 변환하여 반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서식 템플릿은 복수의 입력 항목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입력 항목 중의 필수 입력 항목과 입력 항목 간의 순서가 미리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전자문서 서비스의 기능을 호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의도가 문서 검색 의도에 해당하면, 상기 사용자 입력에 포함된 검색 조건에 부합하는 전자문서 목록을 제공하는 기능을 호출하고, 상기 사용자의 의도가 문서 이동 의도에 해당하면, 제공되고 있는 전자문서 이외의 전자문서를 불러오거나 복수의 전자문서를 포함하는 페이지 간의 이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호출하고,
상기 전자서식 템플릿은 복수의 입력 항목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입력 항목 중의 필수 입력 항목과 입력 항목 간의 순서가 미리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반환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문서와 연계된 상기 필수 입력 항목 및 상기 입력 항목 간의 순서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UI(User Interface) 및 UX(User Experience)로 상기 전자문서 서비스 제공부의 처리 결과를 형상화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반환하는 것인, 지능형 전자문서 제공 방법.
In the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method performed by the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device,
Receiving a user input from a user terminal by an interactive chat-bot engine unit;
Standardizing the user input by a device linkage framework unit;
Recognizing a user's intention from the standardized user input and calling a function of an electronic document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user's intention, by an interactive chat-bot engine unit;
Generating, by an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rovider, an electronic document based on an electronic format template according to the call result, or processing an electronic document by performing an approval or inquiry on a previously created electronic document; And
Converting the electronic document processing result into a format that can be processed by a user terminal and returning, by a device linkage framework unit,
Including,
The electronic form template includes a plurality of input items, wherein an order between a required input item and an input item among the plurality of input items is specified in advance,
Invoking the function of the electronic document service,
If the user's intention corresponds to the document search intention, a function of providing an electronic document list meeting the search condition included in the user input is called, and if the user's intention corresponds to the document movement intention, the provided electronic Retrieving an electronic document other than a document or calling a function to control movement between pages including a plurality of electronic documents,
The electronic form template includes a plurality of input items, wherein an order between a required input item and an input item among the plurality of input items is specified in advance,
The returning step,
Forming the processing result of the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roviding unit with a UI (User Interface) and UX (User Experience) determined based on the required input item associated with the electronic document and the order between the input items and returning it to the user terminal That, intelligent electronic document providing method.
KR1020190035173A 2019-03-27 2019-03-27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telligent electric document using voice KR1021895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5173A KR102189558B1 (en) 2019-03-27 2019-03-27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telligent electric document using vo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5173A KR102189558B1 (en) 2019-03-27 2019-03-27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telligent electric document using vo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4070A KR20200114070A (en) 2020-10-07
KR102189558B1 true KR102189558B1 (en) 2020-12-11

Family

ID=72883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5173A KR102189558B1 (en) 2019-03-27 2019-03-27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telligent electric document using vo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955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6569B1 (en) * 2023-03-13 2024-02-15 주식회사 퍼즐에이아이 User-customized voice document format setting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323572A1 (en) * 2011-06-19 2012-12-20 Detlef Koll Document Extension in Dictation-Based Document Generation Workflow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4296B1 (en) * 2017-05-26 2019-06-28 네이버 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approval using messeng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323572A1 (en) * 2011-06-19 2012-12-20 Detlef Koll Document Extension in Dictation-Based Document Generation Workflow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4070A (en) 2020-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53582B2 (en) Conversational agent
KR102582513B1 (en) Web page analysis to facilitate automatic navigation
WO2020232861A1 (en) Named entity recognition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07111516B (en) Headless task completion in a digital personal assistant
US20180285595A1 (en) Virtual agent for the retrieval and analysis of information
CN104583927B (en) User's interface device in user terminal and the method for supporting the user's interface device
US9569101B2 (en) User interface apparatus in a user terminal and method for supporting the same
KR102076793B1 (en) Method for providing electric document using voice, apparatus and method for writing electric document using voice
US11461681B2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modality soft-agent for query population and information mining
US20180246954A1 (en) Natural language content generator
CN110999264A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ng message content into a target data processing device
CN110910903A (en) Speech emotion recogni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116467629A (en) Training method of user identification model, user identification method and system
CN116912847A (en) Medical text recognition method an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102189558B1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telligent electric document using voice
US20220253596A1 (en) Method for providing electric document using chatbot, apparatus and method for writing electric document using chatbot
KR10169401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oice dialogue on multiple application softwares
US2020039473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bile device-based legal self help
WO2022203906A1 (en) Techniques for generating multi-modal discourse trees
KR102019752B1 (en) 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face/ user experience strategy executable by computer and apparatus providing the same
CN113609833A (en) Dynamic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of fil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10218956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ocument based o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Bhardwaj et al. Voice Based E-mail System for Visually Impaired: A Review
EP3552114A1 (en) Natural language content generator
CN111783471B (en) Semantic recogni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for natural langu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