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8195B1 - Endoscop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ndoscopic device - Google Patents

Endoscop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ndoscopic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8195B1
KR102188195B1 KR1020200052112A KR20200052112A KR102188195B1 KR 102188195 B1 KR102188195 B1 KR 102188195B1 KR 1020200052112 A KR1020200052112 A KR 1020200052112A KR 20200052112 A KR20200052112 A KR 20200052112A KR 102188195 B1 KR102188195 B1 KR 102188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body
overtube
tube
sensor
ov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21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동수
김한솔
이동호
김준환
유재민
안정도
백동훈
정덕균
천병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지엔도서지컬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지엔도서지컬,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지엔도서지컬
Priority to KR1020200052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8195B1/en
Priority to PCT/KR2020/015751 priority patent/WO2021221252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8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81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 A61B1/01Guiding arrangements therefo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31Accessories for endoscopes
    • A61B1/00135Oversleeves mounted on the endoscope prior to inse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31Accessories for endoscopes
    • A61B1/00137End pieces at either end of the endoscope, e.g. caps, seals or forceps pl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47Holding or positioning arrangements
    • A61B1/00154Holding or positioning arrangements using guiding arrangements for inse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47Holding or positioning arrangements
    • A61B1/0016Holding or positioning arrangements using motor drive un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31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rectum, e.g. proctoscopes, sigmoidoscopes, colon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3Automatic limiting or abutting means, e.g. for safe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6Measuring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6Measuring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064Measuring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easuring force, pressure or mechanical tens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an endoscopic device which can be securely inserted. The endoscopic device comprises: an overtube changeable by an external force; a direction sensing unit including a rod body protruding to the outside through a front end of the overtube and deformable by the external force, and a first sensor attached to the rod body; a second sensor attach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overtube and capable of sensing the force; and an elastic head provided at an end of the rod body, wherein the first sensor can sense a shape of the rod body when the rod body is deformed, and the second sensor can sense the force appli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overtube.

Description

내시경 장치 및 내시경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ENDOSCOP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NDOSCOPIC DEVICE}Endoscop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endoscope device {ENDOSCOP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NDOSCOPIC DEVICE}

아래의 설명은 내시경 장치 및 내시경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following description relates to an endoscope device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endoscope device.

내시경 장치는 대장과 같이 굴곡된 경로를 지닌 장기에 삽입될 수 있다. 내시경 장치가 의도하지 않은 부적절한 경로로 진행할 경우, 내시경 장치는 장기와 접촉하여 장기 손상, 예를 들어 천공과 고통을 유발할 위험이 있다.The endoscopic device can be inserted into an organ with a curved path, such as the large intestine. If the endoscopic device proceeds unintentionally and inappropriately, there is a risk that the endoscopic device will come into contact with the organ and cause organ damage, such as perforation and pain.

내시경 장치의 진행 방향을 파악하기 위해 카메라가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카메라 이미지만으로는 장기의 굴곡 정보에 대한 판단이 상당히 어려워, 내시경 장치의 진행 방향을 결정하는 것이 어려운 실정이다.Cameras are sometimes used to determine the direction of the endoscopic device.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determine the curvature information of an organ using only the camera image, and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direction of the endoscope apparatus.

또한, 내시경 장치는 유연 내시경 장치와 상용 내시경으로 분류되는데, 유연 내시경 장치는 상용 내시경처럼 직접적으로 손으로 조작하여 삽입하는 것이 아니라, 구동부(16)를 통해 원격 제어된다. 상용 내시경의 경우, 장기와의 접촉 힘이 직접적으로 손으로 감지되므로, 내시경 사용자가 위험 상황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그러나, 유연 내시경 장치의 경우, 장기와의 접촉 힘 정보가 전달되기 어려우므로, 삽입 난이도가 더욱 높다. 이러한 배경에서 안전한 삽입이 가능한 내시경 장치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선행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10-1670162호, 일본 특허공보 특허 제5296351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32235호 및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20476호 등이 있다.
In addition, the endoscope device is classified into a flexible endoscope device and a commercial endoscope, and the flexible endoscope device is not directly manipulated and inserted like a commercial endoscope, but is remotely controlled through the driving unit 16. In the case of a commercial endoscope, since the contact force with an organ is directly sensed by hand, the endoscope user can easily recognize a dangerous situation. However, in the case of the flexible endoscope device, since it is difficult to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contact force with an organ, the difficulty of insertion is higher. In this background, there is a need for an endoscope device capable of safe insertion.
Prior art includes Patent Publication No. 10-1670162,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5296351,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32235, and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120476.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원의 개시 내용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The above-described background technology is possessed or acquired by the inventor in the process of deriving the disclosure cont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is not necessarily known as a known technology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before the present application.

일 실시 예의 목적은 안전한 삽입이 가능한 내시경 장치 및 내시경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an embodiment is to provide an endoscope device capable of safe insertion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endoscope device.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는, 외력에 의해 변경 가능한 오버 튜브; 상기 오버 튜브의 전방 단부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고 외력에 의해 변형 가능한 로드 바디와, 상기 로드 바디에 부착되는 제 1 센서를 포함하는 방향 감지부; 상기 오버 튜브의 외표면에 부착되고 힘을 감지 가능한 제 2 센서; 및 상기 로드 바디의 단부에 마련되는 탄성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센서는 상기 로드 바디가 변형될 경우 상기 로드 바디의 형상을 감지 가능하고, 상기 제 2 센서는 상기 오버 튜브의 외표면에 인가되는 힘을 감지 가능하다.An endoscop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n overtube changeable by an external force; A direction detection unit including a rod body protruding outward through a front end of the overtube and deformable by an external force, and a first sensor attached to the rod body; A second sensor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overtube and capable of sensing a force; And an elastic head provided at an end of the rod body, wherein the first sensor is capable of detecting a shape of the rod body when the rod body is deformed, and the second sensor is appli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overtube. It is possible to sense the force that becomes.

상기 오버 튜브는, 튜브 바디와, 상기 튜브 바디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는 복수 개의 수용 홀을 포함하고, 상기 방향 감지부는 상기 복수 개의 수용 홀 중 어느 하나의 수용 홀에 마련될 수 있다.The overtube may include a tube body and a plurality of receiving holes penetrating along a length direction of the tube body, and the direction sensing unit may be provided i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receiving holes.

상기 방향 감지부는 상기 어느 하나의 수용 홀의 내측에서 상기 오버 튜브에 대해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다.The direction sensing unit is relatively slidable with respect to the overtube inside the one receiving hole.

상기 내시경 장치는, 상기 튜브 바디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튜브 바디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 1 동력 전달 케이블; 및 상기 튜브 바디의 타측에 고정되고 상기 튜브 바디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 2 동력 전달 케이블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ndoscope device may include: a first power transmission cable fixed to one side of the tube body and extending to the rear of the tube body; And a second power transmission cable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tube body and extending to the rear of the tube body.

상기 내시경 장치는, 상기 로드 바디의 형상과, 상기 오버 튜브의 외표면에 인가되는 힘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동력 전달 케이블 및 제 2 동력 전달 케이블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ndoscope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unit that transmits power to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cable and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cable based on the shape of the rod body and a force appli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overtube. .

상기 제 1 센서는 복수 개로 구비되고, 복수 개의 제 1 센서 중 일부는 상기 로드 바디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first sensors may be provided, and some of the plurality of first sensors may be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rod body.

상기 복수 개의 제 1 센서 중 다른 일부는 상기 로드 바디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Another part of the plurality of first sensors may be dispos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rod body.

상기 제 2 센서는 복수 개로 구비되고, 복수 개의 제 2 센서는 상기 오버 튜브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second sensors may be provided, and a plurality of second sensors may be dispos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over tube.

상기 탄성 헤드는 상기 로드 바디의 전방 단부를 둘러쌀 수 있다.The elastic head may surround the front end of the rod body.

상기 탄성 헤드는 내부에 공기가 주입된 벌룬일 수 있다.The elastic head may be a balloon into which air is injected.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오버 튜브와, 상기 오버 튜브로부터 전방 단부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로드 바디 및 상기 로드 바디에 부착되는 제 1 센서를 포함하는 방향 감지부와, 상기 오버 튜브에 부착되는 제 2 센서와, 상기 로드 바디의 단부에 마련되는 탄성 헤드를 포함하는 내시경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향 감지부가 굴곡될 때까지 상기 오버 튜브를 전방으로 진행시키는 단계; 상기 방향 감지부에서 감지된 굴곡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오버 튜브의 임시 진행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2 센서에서 측정된 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임시 진행 경로를 수정하여 최종 진행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최종 진행 경로에 기초하여, 상기 오버 튜브의 형상을 변형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of controlling an endoscop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direction sensing unit including an over tube, a rod body protruding outward from the over tube through a front end, and a first sensor attached to the rod body, and the A method for controlling an endoscope apparatus including a second sensor attached to an overtube and an elastic head provided at an end of the rod body, the method comprising: advancing the overtube forward until the direction sensing unit is bent; Determining a temporary travel path of the overtube based on the bending information detected by the direction detection unit; Determining a final travel path by modifying the temporary travel path based on the forc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econd sensor; And transforming the shape of the overtube based on the final progress path.

상기 내시경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오버 튜브가 설정 위치에 도달할 경우, 상기 탄성 헤드의 부피를 감소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방향 감지부의 전방 단부가 상기 오버 튜브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방향 감지부를 후방으로 후퇴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endoscope device may include reducing the volume of the elastic head when the overtube reaches a set position; And retreating the direction sensing unit to the rear so that the front end of the direction sensing unit is located inside the over tube.

상기 탄성 헤드는 내부에 공기가 주입된 벌룬이고, 상기 탄성 헤드의 부피를 감소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탄성 헤드 내에 주입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The elastic head is a balloon into which air is injected, and in the step of reducing the volume of the elastic head, the air injected into the elastic head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는 오버 튜브가 앞으로 진행하는 경로를 안전한 구성 요소를 통해 미리 파악하여,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The endoscop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determine a path that the overtube proceeds forward through a safe component and set the path.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는, 오버 튜브의 끝단에 마련된 탄성 튜브와 장기와의 접촉에 기초하여 장기의 굴곡 방향을 결정하고, 장기의 굴곡 방향에 따라 오버 튜브의 조향을 결정하고, 동시에 오버 튜브와 장기 사이의 접촉 힘 정보에 기초하여 조향 값을 보정할 수 있다.The endoscop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determines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organ based on the contact between the elastic tube provided at the end of the over tube and the organ, determines the steering of the over tube according to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organ, and at the same time The steering value can be corrected based on the contact force information between the and the organ.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가 사람의 장기에 진입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버 튜브의 정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가 방향을 변경하여 진행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illustrate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matters described in such drawings. It is limited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endoscope apparatus enters a human orga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2 is a side view of an endoscop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front view of an over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and 5 are diagram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endoscope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changes direction and proceeds.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n endoscope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since various change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at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to the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rights.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examples are used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limiting.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embodiment belongs. Terms a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es not.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embodiments,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embodiment,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Components included in one embodiment and components including common functions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name in other embodiments. Unless otherwise stated, descriptions in one embodiment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and detailed descriptions in the overlapping range will be omitted.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가 사람의 장기에 진입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endoscope apparatus enters a human orga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내시경 장치(1)는 사람의 몸속으로 침투할 수 있다. 내시경 장치(1)는 유연한 재질을 갖고 변형 가능한 오버 튜브(11)와, 오버 튜브(11)의 전방에 마련되는 탄성 헤드(14)와, 오버 튜브(11)에 동력을 전달하여 오버 튜브(11)를 변형시키는 구동부(16)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endoscope device 1 may penetrate into a human body. The endoscope apparatus 1 transmits power to the over tube 11 which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nd is deformable, the elastic head 14 provided in front of the over tube 11, and the over tube 11 ) May include a driving unit 16 to deform.

탄성 헤드(14)는 오버 튜브(11)보다 유연한 재질을 갖고, 단부에 각진 부분이 없는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 헤드(14)는 내부에 공기가 주입된 벌룬(balloon)일 수 있다. 다른 예로, 탄성 헤드(14)는 라운드 형상의 고무 볼일수도 있으며, 탄성 헤드(14)의 종류는 제한되지 않음을 밝혀 둔다. 탄성 헤드(14)는 오버 튜브(11)의 단부가 직접적으로 장기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장기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The elastic head 14 may have a more flexible material than the over tube 11 and may have no angled portion at the end. For example, the elastic head 14 may be a balloon in which air is injected. As another example, the elastic head 14 may be a round rubber ball, and it should be noted that the type of the elastic head 14 is not limited. The elastic head 14 prevents the end of the over tube 11 from directly contacting the organ,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organ.

오버 튜브(11)는 구동부(16)에 의해 적절하게 형상이 변형되어 장기 내측으로 진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장 또는 심혈관은 복수 회 절곡된 형상을 갖는데, 오버 튜브(11)는 전방 단부 부근에서 변형되어 절곡된 형상을 지나갈 수 있다.The over tube 11 is appropriately deformed in shape by the drive unit 16 to enter the inside of the organ. For example, the large intestine or cardiovascular system has a shape that is bent a plurality of times, and the over tube 11 may be deformed near the front end to pass through the bent shape.

구동부(16)는 오버 튜브(11)의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다.The driving unit 16 may change the shape of the over tube 11.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버 튜브의 정면도이다.2 is a side view of an endoscope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and FIG. 3 is a front view of an overtub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내시경 장치는 오버 튜브(11), 방향 감지부(12), 제 2 센서(13), 탄성 헤드(14), 동력 전달 케이블(151, 152) 및 구동부(16)를 포함할 수 있다.2 and 3, the endoscope apparatus includes an over tube 11, a direction detection unit 12, a second sensor 13, an elastic head 14, power transmission cables 151 and 152, and a drive unit 16. ) Can be included.

오버 튜브(11)는 외력에 의해 변형될 수 있다. 오버 튜브(11)는 유연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오버 튜브(11)는 예를 들어 대장의 내벽에 의해 외력을 인가 받아 수동적으로 변형되거나, 구동부(16)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아 능동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오버 튜브(11) 내부에 중공이 마련된 기둥 형상, 예를 들어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오버 튜브(11)는 튜브 바디(110, 111)와, 튜브 바디(110, 111)의 길이 방향(x 축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는 복수 개의 수용 홀(112, 113, 114)을 포함할 수 있다.The over tube 11 may be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The over tube 11 may b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The over tube 11 may be passively deformed by receiving an external force by the inner wall of the large intestine, for example, or may be actively deform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driving unit 16. The over tube 11 may have a pillar shape in which a hollow is provided, for example, a cylinder shape. The over tube 11 may include tube bodies 110 and 111 and a plurality of receiving holes 112, 113 and 114 formed through the tube bodies 110 and 11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x axis direction) of the tube bodies 110 and 111. have.

튜브 바디(110, 111)는 상대적으로 유연한 재질을 갖는 메인 파트(110)와, 메인 파트(110)의 전방 단부에 마련되고 상대적으로 강성한 재질을 갖는 헤드 파트(111)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 파트(111)는 메인 파트(110)와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강성한 재질을 가지므로, 방향 감지부(12)가 변형되는 동안 방향 감지부(12)로부터 힘이 인가되더라도, 방향 감지부(12)를 비교적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The tube bodies 110 and 111 may include a main part 110 having a relatively flexible material, and a head part 111 provided at a front end of the main part 110 and having a relatively rigid material. Since the head part 111 has a relatively rigid material compared to the main part 110, even if a force is applied from the direction sensing unit 12 while the direction sensing unit 12 is deformed, the direction sensing unit 12 ) Can be supported relatively stably.

복수 개의 수용 홀(112, 113, 114)은 튜브 바디(110, 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방향 감지부(12)는 복수 개의 수용 홀(112, 113, 114) 중 어느 하나의 수용 홀에 마련될 수 있다. 이하, 방향 감지부가 제 1 수용 홀(112)에 마련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내시경 장치는 방향 감지부(12) 이외의 수술에 필요한 다른 구성요소들을 수용할 수 있다. 다른 구성 요소들의 예로는 카메라, 조명 및 수술 도구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음을 밝혀 둔다. 카메라, 조명 및 수술 도구 등은 방향 감지부(12)와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복수 개의 수용 홀(112, 113, 114) 중 제 1 수용 홀(112)이 아닌 제 2 수용 홀(113) 또는 제 3 수용 홀(114)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수용 홀(112, 113, 114)의 개수는 3개로 제한되지 않고, 3개보다 적거나 많을 수 있음을 밝혀 둔다.The plurality of receiving holes 112, 113, and 114 may be formed through the tube bodies 110 and 11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direction sensing unit 12 may be provided i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receiving holes 112, 113, and 114. 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made based on that the direction sensing unit is provided in the first receiving hole 112.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endoscopic apparatus may accommodate other components necessary for surgery other than the direction sensing unit 12. It should be noted that examples of other components may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cameras, lighting, and surgical instruments. Cameras, lighting, and surgical instruments, etc., so as not to interfere with each other with the direction detection unit 12, among the plurality of receiving holes 112, 113, 114, not the first receiving hole 112, the second receiving hole 113 or 3 It may be provided in each of the receiving holes 114. It should be noted that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receiving holes 112, 113, and 114 is not limited to three, and may be less or more than three.

방향 감지부(12)는 오버 튜브(11)의 전방 단부인 헤드 파트(111)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고 외력에 의해 변형 가능한 로드 바디(121)와, 로드 바디(121)에 부착되는 제 1 센서(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센서(122)는 로드 바디(121)가 변형될 경우 로드 바디(121)의 형상을 감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 1 센서(122)는 폴리머를 이용한 소프트 센서일 수 있다.The direction detection unit 12 protrudes to the outside through the head part 111 which is the front end of the over tube 11 and is deformable by an external force, and a first sensor attached to the rod body 121 (122) may be included. The first sensor 122 may detect the shape of the rod body 121 when the rod body 121 is deformed. For example, the first sensor 122 may be a soft sensor using a polymer.

제 1 센서(122)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 1 센서(122) 중일부는 로드 바디(121)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복수 개의 제 1 센서(122)는 다양한 방향의 변형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y축 상에 배치된 제 1 센서는 로드 바디(121)가 z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변형을 효율적으로 감지할 수 있고, z축 상에 배치된 제 1 센서는 로드 바디(121)가 y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변형을 효율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The first sensor 122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Some of the plurality of first sensors 122 may be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rod body 121.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plurality of first sensors 122 may detect deformation in various directions. For example, the first sensor disposed on the y-axis can efficiently detect the deformation in which the rod body 121 rotates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around the z-axis, and the first sensor disposed on the z-axis The sensor may efficiently detect a deformation in which the rod body 121 rotates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round the y-axis.

복수 개의 제 1 센서 중 일부는 로드 바디(1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로드 바디(121)가 변형될 경우, 로드 바디(121)의 중앙부와 단부는 서로 다른 변형율을 가지는데, 로드 바디(1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 1 센서가 복수 개로 구비되므로, 복수 개의 제 1 센서는 로드 바디(121)의 변형을 보다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다.Some of the plurality of first sensors may be dispos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rod body 121. When the rod body 121 is deformed, the central portion and the end of the rod body 121 have different strain rates. Since a plurality of first sensors are provid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rod body 121, a plurality of first sensors The sensor may more accurately detect the deformation of the rod body 121.

방향 감지부(12)는 제 1 수용 홀(112)의 내측에서 오버 튜브(11)에 대해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방향 감지부(12)는 오버 튜브(11)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도 있고, 오버 튜브(11)의 내측으로 완전히 삽입되어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없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방향 감지부(12)는 내시경 장치가 원하는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는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방향 감지 기능을 수행하고, 내시경 장치가 원하는 위치에 도달할 경우 후방으로 후퇴하여 오버 튜브(11)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방향 감지부(12)가 후방으로 후퇴한 상태에서, 다른 구성 요소들이 복수 개의 수용 홀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오버 튜브(11)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방향 감지부(12)는 오버 튜브(11)의 진행을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한 뒤 오버 튜브(11)의 내측으로 삽입되므로, 수술 작업 중 다른 구성 요소들에 간섭하지 않을 수 있다.The direction sensing unit 12 is relatively slidable with respect to the over tube 11 inside the first receiving hole 112. The direction sensing unit 12 may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over tube 11 or may be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over tube 11 and disposed so that there is no part protruding outward. The direction detection unit 12 performs a direction detection function in a state protruding outward until the endoscope device reaches a desired position, and when the endoscope device reaches a desired position, it retreats to the rear and the inside of the overtube 11 Can be inserted into In a state in which the direction sensing unit 12 is retracted to the rear, other components may slide along the plurality of receiving holes to protrude forward of the over tube 11. According to this structure, since the direction sensing unit 12 serves to assist the progression of the over tube 11 and then is inserted into the over tube 11, it will not interfere with other components during the operation. I can.

제 2 센서(13)는 오버 튜브(11)의 외표면에 부착되고 힘을 감지 가능하다. 제 2 센서(13)는 오버 튜브(11)의 외표면에 인가되는 힘을 감지 가능하다. 제 2 센서(13)는 힘 센서 일 수 있다. 제 2 센서(13)는 유연한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제 2 센서(13)는 복수 개로 구비되고, 복수 개의 제 2 센서(13)는 오버 튜브(11)의 둘레(도 3에서 시계 방향)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 2 센서(13)는 오버 튜브(11)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므로, y축 방향으로 인가되는 힘 뿐만 아니라 z축 방향으로 인가되는 힘도 감지할 수 있다. 도 3을 기준으로, y축 방향으로 마련되는 2개의 제 2 센서(131, 132)는 y축 방향으로 인가되는 힘을 감지 가능하고, z축 방향으로 마련되는 2개의 제 2 센서(133, 134)는 z축 방향으로 인가되는 힘을 감지 가능??. The second sensor 13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over tube 11 and is capable of sensing force. The second sensor 13 can detect a force appli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over tube 11. The second sensor 13 may be a force sensor. The second sensor 13 may have a flexible material. A plurality of second sensors 13 may be provided, and the plurality of second sensors 13 may be disposed along the periphery (clockwise direction in FIG. 3) of the over tube 11. Since the plurality of second sensors 13 are dispos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over tube 11, it is possible to detect not only a force applied in the y-axis direction but also a force applied in the z-axis direction. Referring to FIG. 3, two second sensors 131 and 132 provided in the y-axis direction are capable of sensing a force applied in the y-axis direction, and two second sensors 133 and 134 provided in the z-axis direction. ) Can detect the force applied in the z-axis direction??.

탄성 헤드(14)는 로드 바디(121)의 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탄성 헤드(14)는 로드 바디(121)의 전방 단부를 둘러쌀 수 있다. 탄성 헤드(14)는 로드 바디(121)보다 큰 부피를 차지할 수 있다. 탄성 헤드(14)는 로드 바디(121)의 전방 단부를 둘러싸는 방식으로, 로드 바디(121)의 단부가 장기에 손상을 주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 elastic head 14 may be provided at the end of the rod body 121. The elastic head 14 may surround the front end of the rod body 121. The elastic head 14 may occupy a larger volume than the rod body 121. The elastic head 14 surrounds the front end of the rod body 121, so that the end of the rod body 121 may prevent damage to the organs.

동력 전달 케이블(151, 152)은 튜브 바디의 일측에 고정되고 튜브 바디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 1 동력 전달 케이블(151)과, 튜브 바디의 타측에 고정되고 튜브 바디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 2 동력 전달 케이블(152)을 포함할 수 있다. 동력 전달 케이블(151, 152)은 예를 들어 튜브 바디의 헤드 파트(111)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16)가 제 1 동력 전달 케이블(151)을 후방으로 당길 경우, 오버 튜브(11)는 z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구동부(16)가 제 2 동력 전달 케이블(152)을 후방으로 당길 경우, 오버 튜브(11)는 z축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동력 전달 케이블(151, 152)은 2개인 것으로 도시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을 밝혀 둔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동력 전달 케이블은 z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2개의 동력 전달 케이블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2개의 동력 전달 케이블은 오버 튜브(11)를 y축에 대해 회전시킬 수 있다.The power transmission cables 151 and 152 are fixed to one side of the tube body and extend to the rear of the tube body, and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cable 151 is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tube body and extend to the rear of the tube body. A transfer cable 152 may be included. The power transmission cables 151 and 152 may be fixed to the head part 111 of the tube body, for example. For example, when the driving unit 16 pulls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cable 151 backward, the overtube 11 may rotate clockwise around the z-axis, and the driving unit 16 transmits the second power. When the cable 152 is pulled backward, the over tube 11 may rotate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around the z-axi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ower transmission cables 151 and 152 are shown as two, but are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power transmission cables may further include two power transmission cabl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z-axis direction. These two power transmission cables can rotate the overtube 11 about the y-axis.

구동부(16)는 동력 전달 케이블(151, 152)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구동부(16)는 제 1 센서(122)에서 감지된 로드 바디(121)의 형상과, 제 2 센서(13)에서 감지된 오버 튜브(11)의 외표면에 인가되는 힘에 기초하여, 동력 전달 케이블(151, 152)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16)는 제 1 동력 전달 케이블(151) 및/또는 제 2 동력 전달 케이블(152)을 후방으로 당기는 방식으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16 may transmit power to the power transmission cables 151 and 152. The driving unit 16 transmits power based on the shape of the rod body 121 sensed by the first sensor 122 and the force appli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overtube 11 sensed by the second sensor 13. Power can be transmitted to the cables 151 and 152. For example, the driving unit 16 may transmit power by pulling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cable 151 and/or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cable 152 rearward.

도 4 및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가 방향을 변경하여 진행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이고,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4 and 5 are diagram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endoscope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changes direction and proceeds, and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n endoscope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내시경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방향 감지부가 굴곡될 때까지 오버 튜브를 전방으로 진행시키는 단계(S100)와, 방향 감지부에서 감지된 굴곡 정보에 기초하여, 오버 튜브의 임시 진행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S200)와, 제 2 센서에서 측정된 힘 정보에 기초하여, 임시 진행 경로를 수정하여 최종 진행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S300)와, 최종 진행 경로에 기초하여, 오버 튜브의 형상을 변형시키는 단계(S400)와, 오버 튜브가 설정 위치에 도달할 경우, 탄성 헤드의 부피를 감소시키는 단계(S500)와, 방향 감지부의 전방 단부가 오버 튜브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방향 감지부를 후방으로 후퇴시키는 단계(S6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4 to 6,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endoscope device includes the step of advancing the over tube forward until the direction detection unit is bent (S100), and based on the bending information sensed by the direction detection unit, Determining the temporary travel path of the tube (S200), the step of determining the final travel path by modifying the temporary travel path based on the forc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econd sensor (S300), and based on the final travel path , Deforming the shape of the overtube (S400), reducing the volume of the elastic head when the overtube reaches the set position (S500), and so that the front end of the direction sensing unit is located inside the overtube. It may include a step (S600) of retreating the direction detection unit to the rear.

단계(S100)에서, 방향 감지부가 굴곡될 때까지 오버 튜브(11)를 전방으로 진행시킬 수 있다. 오버 튜브(11)는 사용자 또는 기기에 의해 전방으로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오버 튜브(11)를 손 또는 장치를 통해 수동으로 진행시킬 수도 있고, 오버 튜브(11)는 자율 주행 방식으로 자동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 오버 튜브(11)가 전방으로 진행하는 동안, 탄성 헤드(14)는 장기의 내벽에 접촉할 수 있다. 이 경우, 로드 바디(121)는 탄성 헤드(14)에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변형될 수 있고, 제 1 센서(122)는 로드 바디(121)의 굴곡 정보를 감지하여, 로드 바디(121)의 현재 형상을 결정할 수 있다.In step S100, the over tube 11 may be moved forward until the direction sensing unit is bent. The over tube 11 can be advanced forward by a user or a device. For example, the user may manually advance the overtube 11 through a hand or a device, and the overtube 11 may automatically proceed in an autonomous driving method. While the overtube 11 advances forward, the elastic head 14 can contact the inner wall of the organ. In this case, the rod body 121 may be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elastic head 14, and the first sensor 122 detects the bending information of the rod body 121 The current shape can be determined.

단계(S200)에서, 방향 감지부에서 감지된 굴곡 정보에 기초하여, 구동부는 오버 튜브의 임시 진행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는 제 1 동력 전달 케이블(151) 및/또는 제 2 동력 전달 케이블(152)에 인가되는 동력을 조절하여 오버 튜브(11)를 변형시킴으로써, 오버 튜브(11)의 임시 진행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In step S200, the driving unit may determine a temporary travel path of the over tube based on the bending information detected by the direction detection unit. For example, the drive unit modulates the power applied to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cable 151 and/or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cable 152 to deform the over tube 11, thereby providing a temporary path of the over tube 11 Can be determined.

단계(S300)에서, 제 2 센서에서 측정된 힘 정보에 기초하여, 임시 진행 경로를 수정하여 최종 진행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센서에서 측정된 힘이 미리 설정된 힘 보다 클 경우, 임시 진행 경로를 수정하여, 오버 튜브(11)의 형상을 재설정할 수 있다. In step S300, based on the forc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econd sensor, the temporary travel path may be modified to determine the final travel path. For example, if the force measured by the second sensor is greater than the preset force, the temporary travel path may be modified to reset the shape of the over tube 11.

단계(S400)에서, 최종 진행 경로에 기초하여, 구동부는 오버 튜브의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다.In step S400, the driving unit may change the shape of the overtube based on the final progress path.

단계(S500)에서, 오버 튜브가 설정 위치에 도달할 경우, 탄성 헤드의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 헤드(14)가 내부에 공기가 주입된 벌룬일 경우, 내시경 장치는 벌룬의 공기를 제거하는 방식으로 탄성 헤드의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다.In step S500, when the over tube reaches the set position, the volume of the elastic head may be reduced. For example, when the elastic head 14 is a balloon into which air is injected, the endoscope apparatus may reduce the volume of the elastic head by removing air from the balloon.

단계(S600)에서, 방향 감지부의 전방 단부가 오버 튜브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방향 감지부를 후방으로 후퇴시킬 수 있다. 방향 감지부는 더 이상 오버 튜브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고, 이 때 수술에 필요한 다른 구성 요소들이 오버 튜브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In step S600, the direction sensing unit may be retracted rearward so that the front end of the direction sensing unit is located inside the over tube. The direction sensing unit no longer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over tube, and at this time, other components necessary for surgery may protrude forward of the over tube.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y the limited drawings,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apply various technical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based on the above.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from the described method, and/or components such as a system, structure, device, circuit, etc. described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form different from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Alternatively, even if substituted or substituted by an equivalent, an appropriate result can be achieved.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claims and equivalent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Claims (13)

외력에 의해 변경 가능한 오버 튜브;
상기 오버 튜브의 전방 단부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고 외력에 의해 변형 가능한 로드 바디와, 상기 로드 바디에 부착되는 제 1 센서를 포함하는 방향 감지부;
상기 오버 튜브의 외표면에 부착되고 힘을 감지 가능한 제 2 센서;
상기 로드 바디의 단부에 마련되는 탄성 헤드; 및
상기 오버 튜브에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오버 튜브를 변형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센서는 상기 로드 바디가 변형될 경우 상기 로드 바디의 형상을 감지 가능하고, 상기 제 2 센서는 상기 오버 튜브의 외표면에 인가되는 힘을 감지 가능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 1 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로드 바디의 형상에 기초하여, 상기 오버 튜브에 전달되는 동력의 세기를 조절하여, 상기 오버 튜브를 변형시키는 내시경 장치.
An overtube changeable by external force;
A direction sensing unit including a rod body protruding outward through a front end of the overtube and deformable by an external force, and a first sensor attached to the rod body;
A second sensor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overtube and capable of sensing a force;
An elastic head provided at an end of the rod body; And
It includes a driving unit that transmits power to the over tube to deform the over tube,
The first sensor can detect the shape of the rod body when the rod body is deformed, the second sensor can detect a force appli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overtube,
The drive unit, based on the shape of the rod body sensed by the first sensor, by adjusting the strength of the power transmitted to the over tube, the endoscope device to deform the over tub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 튜브는, 튜브 바디와, 상기 튜브 바디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는 복수 개의 수용 홀을 포함하고,
상기 방향 감지부는 상기 복수 개의 수용 홀 중 어느 하나의 수용 홀에 마련되는 내시경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overtube includes a tube body and a plurality of receiving holes penetrating through the length direction of the tube body,
The direction detection unit is an endoscope device provided i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accommodation hole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감지부는 상기 어느 하나의 수용 홀의 내측에서 상기 오버 튜브에 대해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내시경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direction sensing unit is an endoscope device that is relatively slidable with respect to the overtube inside the one receiving hol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바디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튜브 바디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 1 동력 전달 케이블; 및
상기 튜브 바디의 타측에 고정되고 상기 튜브 바디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 2 동력 전달 케이블을 더 포함하는 내시경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A first power transmission cable fixed to one side of the tube body and extending to the rear of the tube body; And
An endoscope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second power transmission cable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tube body and extending to the rear of the tube body.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오버 튜브의 외표면에 인가되는 힘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동력 전달 케이블 및 제 2 동력 전달 케이블에 동력을 전달하는 내시경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drive unit, based on the force appli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overtube, the endoscope device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cable and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cab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센서는 복수 개로 구비되고, 복수 개의 제 1 센서 중 일부는 상기 로드 바디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내시경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sensor is provided in plural, and some of the plurality of first sensors are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rod body.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 1 센서 중 다른 일부는 상기 로드 바디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내시경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Another part of the plurality of first sensors is dispos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rod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센서는 복수 개로 구비되고, 복수 개의 제 2 센서는 상기 오버 튜브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내시경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sensor is provided in plural, and the plurality of second sensors are dispos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overtub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헤드는 상기 로드 바디의 전방 단부를 둘러싸는 내시경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elastic head is an endoscope device surrounding the front end of the rod body.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헤드는 내부에 공기가 주입된 벌룬인 내시경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elastic head is an endoscope device that is a balloon in which air is injected.
오버 튜브와, 상기 오버 튜브로부터 전방 단부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로드 바디 및 상기 로드 바디에 부착되는 제 1 센서를 포함하는 방향 감지부와, 상기 오버 튜브에 부착되는 제 2 센서와, 상기 로드 바디의 단부에 마련되는 탄성 헤드와, 상기 오버 튜브에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오버 튜브를 변형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내시경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가, 상기 방향 감지부에서 감지된 굴곡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오버 튜브의 임시 진행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구동부가, 상기 제 2 센서에서 측정된 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임시 진행 경로를 수정하여 최종 진행 경로를 결정하고, 상기 최종 진행 경로에 기초하여, 상기 오버 튜브의 형상을 변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내시경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A direction sensing unit including an over tube, a rod body protruding outward from the over tube through a front end, and a first sensor attached to the rod body, a second sensor attached to the over tube, and the rod body In the method for controlling an endoscope apparatus comprising an elastic head provided at an end of the and a driving unit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over tube to deform the over tube,
Determining, by the driving unit, a temporary travel path of the over tube based on the bending information detected by the direction detection unit; And
The driving unit, based on the forc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econd sensor, modifying the temporary travel path to determine a final travel path, and transforming the shape of the overtube based on the final travel path. How to control the endoscopic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00052112A 2020-04-29 2020-04-29 Endoscop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ndoscopic device KR1021881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2112A KR102188195B1 (en) 2020-04-29 2020-04-29 Endoscop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ndoscopic device
PCT/KR2020/015751 WO2021221252A1 (en) 2020-04-29 2020-11-11 Endoscope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ndoscope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2112A KR102188195B1 (en) 2020-04-29 2020-04-29 Endoscop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ndoscopic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8195B1 true KR102188195B1 (en) 2020-12-09

Family

ID=73787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2112A KR102188195B1 (en) 2020-04-29 2020-04-29 Endoscop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ndoscopic devic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88195B1 (en)
WO (1) WO2021221252A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0476A (en) * 2010-04-29 2011-11-04 한국과학기술원 Robot apparatus for endoscopic surgery
JP5296351B2 (en) * 2007-08-28 2013-09-25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Endoscope insertion device
KR101670162B1 (en) * 2015-02-04 2016-10-28 (의료)길의료재단 Endoscopic tool having sensing and measuring parts and a system comprising the same
KR20200032235A (en) * 2017-08-16 2020-03-25 인튜어티브 서지컬 오퍼레이션즈 인코포레이티드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patient movement during medical procedure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81364B2 (en) * 2004-03-19 2007-09-2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Double balloon endoscope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96351B2 (en) * 2007-08-28 2013-09-25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Endoscope insertion device
KR20110120476A (en) * 2010-04-29 2011-11-04 한국과학기술원 Robot apparatus for endoscopic surgery
KR101670162B1 (en) * 2015-02-04 2016-10-28 (의료)길의료재단 Endoscopic tool having sensing and measuring parts and a system comprising the same
KR20200032235A (en) * 2017-08-16 2020-03-25 인튜어티브 서지컬 오퍼레이션즈 인코포레이티드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patient movement during medical procedu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21252A1 (en) 2021-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5345B2 (en) Pressure-propelled system for body lumen
US7635346B2 (en) Pressure-propelled system for body lumen
EP1570778B1 (en) Endoscope system
US7947013B2 (en) Pressure-propelled system for body lumen
JP5296351B2 (en) Endoscope insertion device
WO2006123590A1 (en) Endoscope system, control program for endoscope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endoscope system
US8419678B2 (en) Pressure-propelled system for body lumen
CN108366710B (en) Endoscope system
JP2007014475A (en) Balloon control device for endoscope apparatus
JP2007282713A (en) Endoscope
JP2009195321A (en) Endoscope and endoscope system
KR102188195B1 (en) Endoscop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ndoscopic device
JP2002330924A (en) Endoscope
WO2019239545A1 (en) Endoscope system and insertion part propulsion method
JP2007130082A (en) Endoscope, or insertion-assisting device
JP5095261B2 (en) Medical device having a catheter
JP4934847B2 (en) Ileus tube type small intestine pressure measurement and small intestine endoscopy system
EP3111868A1 (en) Medical device, medical system, and mode transition method for medical device
JP3787724B2 (en) Endoscope device
US20160309986A1 (en) Endoscope system
US20230329523A1 (en) Endoscope
JP3755605B2 (en) Endoscope device
JP4710492B2 (en) Endoscope device
JP2005278846A (en) Endoscope apparatus
CN114159009A (en) Capsule endoscope system and opera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