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7946B1 - Smart key of vehicle - Google Patents

Smart key of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7946B1
KR102187946B1 KR1020140059697A KR20140059697A KR102187946B1 KR 102187946 B1 KR102187946 B1 KR 102187946B1 KR 1020140059697 A KR1020140059697 A KR 1020140059697A KR 20140059697 A KR20140059697 A KR 20140059697A KR 102187946 B1 KR102187946 B1 KR 102187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user input
unit
input
mo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96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32991A (en
Inventor
허재학
이충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9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7946B1/en
Priority to US14/624,230 priority patent/US20150248799A1/en
Publication of KR20150132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29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7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794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215Selection or confirmation of op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스마트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스마트키는 터치 디바이스 및 사용자 입력 패턴을 입력 받는 터치 입력부; 상기 터치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 패턴 및 상기 사용자 입력 패턴에 대응되는 차량의 동작 제어 신호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터치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 패턴을 감지하고 상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패턴에 대응되는 차량 동작 제어 신호를 추출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추출되는 사용자 입력 패턴에 대응되는 차량의 동작 제어 신호를 차량으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smart key. A vehicle smart 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uch input unit receiving a touch device and a user input pattern; A storage unit for storing at least one user input pattern input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and a vehicle operation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user input pattern; A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ct at least one user input pattern input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and extract a vehicle motion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put user input pattern; It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o the vehicle operation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user input pattern extracted from the control unit.

Description

차량 스마트키{SMART KEY OF VEHICLE}Vehicle smart key {SMART KEY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스마트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smart key..

차량의 도어에 있는 자물쇠가 소위 "전자 키"에 의해서 원격지로부터 미리 잠금 또는 잠금 해제될 수 있는 차량용 스마트키는 공지되어 있다. 원격 제어는 차량 안(일측)에서 스마트키 내부(타측)에 각각 구비되는 송신기와 수신기 간에 코딩된 전자기 신호에 의해 이루어 진다. 이와 같은 원격 제어는 단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 smart key for a vehicle is known in which the lock on the door of the vehicle can be previously locked or unlocked from a remote location by means of a so-called "electronic key". The remote control is performed by an electromagnetic signal coded between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provided inside the vehicle (one side) and inside the smart key (the other side). Such remote control may be performed in one direction or in both directions.

일반적인 스마트키의 경우 복수의 사용자 입력키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키는 소정 범위 내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차량에 대한 도어의 잠금/해제에 대한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각각의 키로 구성된다.In the case of a general smart key, a plurality of user input keys are included. The user input key is constituted by each key for inputting a signal for locking/unlocking a door to a vehicle of a user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상기한 바와 같이 별도의 사용자만의 인증이 요구되지 않는 단순 키입력에 의한 차량의 동작 제어에 따라 원격 제어에 대한 한계성을 가지고 있다.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limit to the remote control according to the operation control of the vehicle by simple key input that does not require separate user authentication.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는 터치 디바이스 및 사용자 입력 패턴을 입력 받는 터치 입력부; 상기 터치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 패턴 및 상기 사용자 입력 패턴에 대응되는 차량의 동작 제어 신호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터치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 패턴을 감지하고 상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패턴에 대응되는 차량 동작 제어 신호를 추출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추출되는 사용자 입력 패턴에 대응되는 차량의 동작 제어 신호를 차량으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A smart key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touch input unit receiving a touch device and a user input pattern; A storage unit for storing at least one user input pattern input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and a vehicle operation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user input pattern; A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ct at least one user input pattern input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and extract a vehicle motion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put user input pattern; It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o the vehicle operation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user input pattern extracted from the control unit.

실시 예는 차량의 동작 제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스마트키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embodiment aims to provide a smart key for facilitating operation control of a vehicle.

실시 예는 차량용 스마트키에서 통하여 사용자 터치 입력 또는 모션 입력 등의 다양하고 복합적인 사용자 입력을 통하여 차량의 동작을 제어를 용이하게 실시 할 수 있다.The embodiment may easily control the operation of a vehicle through various and complex user inputs such as a user touch input or a motion input through a smart key for a vehicle.

또한, 사용자가 직접 설정하는 다양한 패턴 및 동작을 기초하여 보안성이 강화된 차량의 동작 제어를 실시 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a vehicle with enhanced security based on various patterns and operations set by the us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스마트키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스마트키의 내부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패턴 설정 동작 흐름도이다.
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스마트키를 이용한 차량 제어를 실행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vehicl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smart key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3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smart key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user pattern setting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for performing vehicle control using a smart 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vehicl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시스템(1)은 차량(1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원격지에서 사용자가 소지할 수 있는 스마트키(10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키(1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터치 입력 패턴 또는 모션 패턴을 등록 받아 차량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키(100)에 설정되는 사용자 입력 패턴을 사용자의 단말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웨어러블 단말기 등)(20)와 동기화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를 통하여 스마트키(100)와 동일한 차량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The vehicle control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xecuted by a smart key 100 that can be held by a user at a remote locatio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10. The smart key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receive a touch input pattern or a motion pattern input from a user to control a vehicle operation. In addition, when synchronizing the user input pattern set in the smart key 100 with the user's terminal (for example, a smart phone, wearable terminal, etc.) 20, the same vehicle as the smart key 100 through the user terminal 20 Control can be execut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차량 제어를 위한 스마트키(10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smart key 100 for vehicle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스마트키의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스마트키의 내부 블록 구성도이다.2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smart key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3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smart key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스마트키(100)는 통신부(110), 센서부(120), 입력부(130), 저장부(140), 출력부(150), 제어부(160) 및 전원공급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2 to 3, the smart key 100 to whic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10, a sensor unit 120, an input unit 130, a storage unit 140, an output unit 150,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160 and a power supply unit 170.

통신부(110)는 차량(10) 및 사용자 단말기(20)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one or more communication modules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vehicle 10 and the user terminal 20.

통신부(110)의 일 예로는 근거리 통신 모듈일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소정 거리(범위) 이내에 존재하는 장치간의 통신을 위한 모듈을 정의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end), ZigBee등이 이용될 수 있다.An example of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be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defines a module for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range). As short 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end (UWB), ZigBee, and the like can be used.

통신부(110)는 스마트키(100)에서 설정되는 사용자 입력 패턴에 의해 생성되는 차량 제어 신호를 해당 차량으로 전송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transmit a vehicl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a user input pattern set by the smart key 100 to a corresponding vehicle.

센서부(120)는 스마트키(100)에 설정되는 사용자 입력 중 사용자의 모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120 may include a sensor module for detecting a user's motion input among user inputs set in the smart key 100.

센서부(120)의 일 예로는 가속도 센서(121) 및 자이로 센서(122)를 포함할 수 있다. An example of the sensor unit 120 may include an acceleration sensor 121 and a gyro sensor 122.

가속도 센서(121)는 X, Y, Z축 각각에 대한 가속도(중력 가속도+운동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The acceleration sensor 121 may measure acceleration (gravity acceleration + motion acceleration) for each of the X, Y, and Z axes.

자이로 센서(122)는 X, Y, Z축에 대한 각속도를 측정해 변화한 각도를 측정한다.The gyro sensor 122 measures the angular velocity with respect to the X, Y, and Z axes to measure the changed angle.

따라서 스마트키(100)에 입력되는 기 설정된 사용자 모션 입력에 대하여 상기 가속도 센서에서 속도와 위치를 감지하고, 자이로 센서(122)에서 방향을 감지하여 해당 모션에 대응하는 차량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ly, with respect to a preset user motion input input to the smart key 100, the acceleration sensor detects the speed and position, and the gyro sensor 122 detects the direction, thereby generating a vehicle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otion. .

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차량의 동작 제어를 위한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을 포함하는 키입력부(131)와 터치 입력부(132)로 구성될 수 있다. The input unit 130 may receive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from a user. The input unit 130 may include a key input unit 131 including a key pad, a dome switch, a touch pad, a jog wheel, and a jog switch, and a touch input unit 132.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입력부(132)는 터치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는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입력부(132)는 특정 부위에 가해지는 압력 또는 특정 위치에서 발새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입력부(132)는 사용자의 신체(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입력을 수신할 수있다. 특히 터치 입력부(13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차량의 동작 제어를 위한 다양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 패턴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즉, 터치 입력부(132)는 사용자로부터 차량의 동작 제어를 위한 연속적인 움직임 즉 터치 위치의 이동 동작의 패턴을 입력 받아 제어부(160)로 출력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touch input unit 13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ouch sensor. The touch sensor may have a shape such as a touch film, a touch sheet, and a touch pad. The touch input unit 132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 change in pressure applied to a specific portion or capacitance generated at a specific location into an electrical input signal. The touch input unit 132 may receive at least one input through a user's body (eg, a user's finger) and a touchable input means. In particular, the touch input unit 132 may receive a user pattern for generating various control signal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touch input unit 132 may receive a pattern of a continuous movemen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that is, a movement operation of the touch position from the user and output it to the controller 160.

저장부(140)는 제어부(16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40)는 터치 입력부(132)의 터치 입력 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과 그에 대응되는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즉, 저장부(14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터치 입력부(132)를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패턴 또는 센서부(120)의 센싱에 의해 감지되는 사용자 모션 패턴에 대응하는 차량 동작 제어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40)에 저장되는 차량 동작 제어 신호는 터치 입력부(132)를 통해 입력되는 각각의 사용자 입력 패턴에 대응되게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센서부(120)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모션 패턴에 대응되게 저장될 수 있다. 또는 터치 입력부(132) 및 센서부(120)에서 멀티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및 모션 패턴을 조합한 신호에 대응되는 차량 동작 제어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140 may store a program fo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160 and may store input/output data. The storage unit 140 may store data related to various patterns output when a touch input by the touch input unit 132 is input and vibration and sound corresponding thereto. That is, the storage unit 140 receives a vehicle motion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a user input pattern input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132 or a user motion pattern sensed by sensing by the sensor unit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aved. The vehicle motion control signal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may be stored corresponding to each user input pattern input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132. Alternatively, it may be stored to correspond to a user motion pattern input from the sensor unit 120. Alternatively, a vehicle motion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a combination of a user input and a motion pattern multi-input from the touch input unit 132 and the sensor unit 120 may be stored.

저장부(14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40 includes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etc.), At least one of RAM (Random Access Memory, RAM),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ROM (Read-Only Memory, ROM),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Can contain a type of storage module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LED표시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램프는 사용자 입력 및 제어신호의 송신 등 스마트키(100)의 동작에 대응되는 반응 표시 알림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외에도, 사용자 입력 및 스마트키의 동작에 대응되는 오디오 및 진동 등의 다양한 응답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출력부(150)는 스마트키(100)의 동작 상태 및 사용자 입력 상태 등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터치 입력부(132)와 일체형인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해당 터치 입력에 대한 이동 경로 등을 사용자 입력과 대응되게 표시할 수있다.The output unit 150 is for generating an output related to visual, auditory or tactile sense, and may include an LED display lamp. The display lamp may display a reaction display notification corresponding to an operation of the smart key 100 such as a user input and transmission of a control signal. In addition, it may include an output unit 150 for outputting various response signals such as audio and vibr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input and the operation of the smart key. The output unit 1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information such as an operation state of the smart key 100 and a user input state. The display unit may be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integral with the touch input unit 132. Therefore, when a user touch input is detected, a moving path for the corresponding touch input can be display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user input.

제어부(160)는 통상적으로 스마트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6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스마트키(100)의 센서부(120) 및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입력 패턴 및 동작 패턴을 감지하고 그에 대응되는 차량의 동작 제어 신호를 매칭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6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mart key. The controller 160 detects the user's input pattern and motion pattern input through the sensor unit 120 and the input unit 130 of the smart ke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rresponding vehicle motion control signal Can match.

제어부(160)는 모션 입력 제어부(161)와 터치 입력 제어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모션 입력 제어부(161)는 센서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모션을 감지하고 그에 대응되는 차량 동작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터치 입력 제어부(162)는 터치 입력부(132)를 통하여 입력되는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 패턴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되는 사용자 입력 패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차량 동작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60 may include a motion input control unit 161 and a touch input control unit 162. The motion input control unit 161 may detect a user input motion input through the sensor unit 120 and generate a vehicle motion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The touch input control unit 162 may check at least one preset user input pattern input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132 and generate at least one vehicle motion control signal based on the checked user input pattern.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어부(160)에 모션 입력 제어부(161) 및 터치 입력 제어부(162)를 구분하여 구성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그 구성은 제한되지 않으며 통합적인 하나의 제어부로 구성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tion input control unit 161 and the touch input control unit 162 are separately configured in the control unit 160, for example, but the configuration is not limited and may consist of one integrated control unit. have.

따라서, 사용자 입력 모션 및 사용자 입력 패턴을 조합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어도 그 설정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차량 제어 동작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ly, even when a user input combining a user input motion and a user input pattern is detected, at least one vehicle control operation signal may be generated according to the setting.

제어부(160)는 적어도 하나 또는 조합되는 사용자의 입력 패턴 및 동작 패턴을 감지하고 그에 저장부(140)에 기 저장된 차량 동작 제어 신호를 독출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독출된 차량 동작 제어신호를 해당 차량(사용자 등록 차량)으로 통신부(11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60 may detect at least one or a combination of input patterns and motion patterns of a user and read a vehicle motion control signal previously stored therein. The controller 160 may output the read vehicle operation control signal to a corresponding vehicle (user registered vehicl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전원공급부(170)는 스마트키의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에 의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70)는 커넥터(미도시)와 연결된 케이블을 통해 외부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스마트키 장치 내부에 공급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충전 방식에 의해 스마트키 내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170 may supply power by one or a plurality of batterie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of the smart key. 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170 may supply power input from an external power supply device to the inside of the smart key device through a cable connected to a connector (not shown). In addition, power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smart key can be supplied by various charging methods.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키의 구성을 기초하여 이하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사용자 입력 패턴 및 모션에 기초하는 차량 동작 제어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A method of controlling a vehicle motion based on a user input pattern and mo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4 to 5 based on the configuration of a smart 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패턴 설정 동작 흐름도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user pattern setting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키(100)는 사용자 요청에 의하여 사용자 입력 등록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S410) 상세하게, 제어부(160)는 스마트키(100)의 입력부(130)를 통해 사용자 입력 등록 모드 실행 요청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 등록 모드는 사용자 요청에 의해 해당 메뉴의 활성화를 통해 실행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smart ke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execute a user input registration mode according to a user request. (S410) In detail, the controller 160 is an input unit of the smart key 100 Through 130, a user input registration mode execution request signal may be detected. The user input registration mode may be executed through activation of a corresponding menu at a user request.

제어부(160)는 터치 입력부(132) 및 센서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과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의해 대응되는 차량 동작 제어 신호를 등록 받을 수 있다. 상세하게, 제어부(160)는 터치 입력부(132)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 패턴과 상기 사용자 입력 패턴에 대응되는 차량 동작 제어 신호를 설정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입력부(132)를 통해 제1사용자 입력 패턴을 등록 받고 상기 제1사용자 입력 패턴을 차량의 도어를 잠금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2사용자 입력 패턴을 등록 받고, 상기 제2사용자 입력 패턴을 차량 시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제3사용자 입력 패턴에 대해서는 차량의 도어 잠금 해제 및 시동이 동시에(순차적으로)실행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60 may register a user input input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132 and the sensor unit 120 and a vehicle motion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user input. In detail, the controller 160 may receive at least one user input pattern and a vehicle motion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user input pattern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132. For example, a first user input pattern may be registered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132 and the first user input pattern may be set to lock a vehicle door. In addition, a second user input pattern may be registered, and the second user input pattern may be set as vehicle start. Alternatively, the third user input pattern may be set to simultaneously (sequentially) execute unlocking and starting the door of the vehicle.

또한, 제어부(160)는 센서부(12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 모션과 상기 사용자 입력 모션에 대응되는 차량 동작 제어 신호를 설정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120)를 통해 제1사용자 입력 모션을 등록 받고 상기 제1사용자 입력 모션을 차량의 도어 잠금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2사용자 입력 모션을 등록 받고, 제2사용자 입력 모션을 차량 시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제3사용자 입력 모션에 대해서는 차량의 도어 잠금 해제 및 시동이 동시에(순차적으로)실행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60 may receive at least one user input motion and a vehicle motion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user input motion through the sensor unit 120. For example, a first user input motion may be registered through the sensor unit 120 and the first user input motion may be set as a door lock of the vehicle. In addition, the second user input motion may be registered and the second user input motion may be set as vehicle start. Alternatively, the third user input motion may be set to simultaneously (sequentially) execute unlocking and starting the vehicle door.

또한, 제어부(160)는 센서부(120) 및 터치 입력부(132)를 통하여 사용자 입력 모션과 사용자 입력 패턴을 조합하는 사용자 입력 및 그에 대응되는 차량 동작 제어 신호를 설정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120)를 통하여 제1사용자 입력 모션을 입력 받고, 터치 입력부(132)를 통하여 제1사용자 입력 패턴을 입력 받은 경우 상기 두 개의 사용자 입력을 조합하고 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차량 동작 제어 신호를 설정 할 수 있다.Further, the controller 160 may receive a user input combining a user input motion and a user input pattern and a vehicle motion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through the sensor unit 120 and the touch input unit 132. For example, when a first user input motion is input through the sensor unit 120 and a first user input pattern is input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132, the two user inputs are combined and at least one vehicle corresponding thereto You can set the motion control signal.

제어부(160)는 상기 등록되는 사용자 입력 패턴 및 입력 모션과 그에 대응되는 차량 동작 제어 신호 정보를 사용자가 등록하는 외부 장치와 공유되도록 할 수 있다. 상세하게, 제어부(160)는 사용자 입력 신호 및 그에 대응되는 차량 동작 제어 신호를 사용자의 외부 단말기(예를 들어, 휴대폰, wearable 기기 등)에서 공유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 패턴 및 모션과 그에 대응되는 차량 동작 제어 신호는 상기 외부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또는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공유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부 단말기에서 사용자 입력 패턴 또는 입력 모션이 감지되면 스마트키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패턴 및 입력 모션에 대응되는 차량 동작 제어 신호와 동일한 제어 신호가 해당 차량으로 전송될 수 있도록 등록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60 may share the registered user input pattern, input motion, and vehicle motion control sign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hereto with an external device registered by the user. In detail, the controller 160 may allow a user input signal and a vehicle operation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to be shared by an external terminal of the user (eg, a mobile phone, a wearable device, etc.). The user input pattern, motion, and vehicle motion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may be shared through a program or interface executed in the external terminal. Accordingly, when a user input pattern or input motion is detected by the external terminal, a control signal identical to the vehicle motion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user input pattern and the input motion input from the smart key may be registered so that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vehicle.

제어부(16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다양한 사용자 입력 신호와 그에 대응되는 차량 동작 제어 신호를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사용자 입력 및 그에 대응되는 차량 동작 제어 신호의 설정 정보를 저장하고(S430) 사용자 패턴 등록 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S440)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160 may set various user input signals and vehicle operation control signals corresponding thereto. The controller 160 may store the user input and sett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operation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S430) and terminate the user pattern registration mode (S440).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스마트키를 이용한 차량 제어를 실행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for performing vehicle control using a smart 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스마트키(100)는 사용자 입력 대기 모드 동작 중(510)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S520) 사용자 입력을 확인할 수 있다.(S530)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대기 모드 동작 중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특정 모드 실행 중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도록 동작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when a user input is detected (S520) during operation 510 of the user input standby mode, the smart key 100 may check the user input (S530). In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during standby mode operation is performed.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that an input is detected, it can be operated to detect a user input while executing a specific mode.

제어부(160)는 사용자 입력이 터치 입력부(132)를 통해 사용자 입력 패턴이 입력됨을 감지하면 상기 입력된 사용자 입력 패턴과 기 설정된 차량 동작 제어 신호를 매칭할 수 있다. 상세하게, 제어부(160)는 기 등록되어 저장부(140)에 저장된 사용자 입력 패턴 또는 사용자 입력 모션과 상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에 대해 일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상기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 패턴 또는 모션을 확인하고 그에 대응되는 차량 동작 제어 신호를 확인할 수있다.(S540)When the controller 160 detects that a user input pattern is input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132, the controller 160 may match the input user input pattern with a preset vehicle motion control signal. In detail, the controller 160 may check whether a user input pattern or a user input motion previously registered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matches the input user input. The controller 160 may check the input at least one user input pattern or motion and check a vehicle motion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S540).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제1사용자 입력 패턴 또는 제1사용자 입력 모션에 대응되게 제1차량 동작 제어 신호가 추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제1사용자 입력 패턴 및 제2사용자 입력 패턴이 소정 시간 범위 이내로 순차적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입력 패턴 및 제2사용자 입력 패턴 각각에 대응되는 제1 및 제2차량 동작 제어 신호를 모두 추출하고 해당 신호가 순차적으로 차량으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제1사용자 입력 모션 및 제2사용자 입력 모션이 소정 시간 범위 이내로 순차적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1사용자 입력 모션 및 제2사용자 입력 모션 각각에 대응되는 제1 및 제2차량 동작 제어 신호를 모두 추출하고 상기 해당 신호가 순차적으로 차량으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ntroller 160 may extract the first vehicle motion control signal to correspond to the first user input pattern or the first user input motion. In addition, when the first user input pattern and the second user input pattern are sequentially detect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range, the control unit 160 controls the first and second vehicl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user input pattern and the second user input pattern, respectively. All motion control signals can be extracted and the corresponding signals can be sequentially transmitted to the vehicle. Alternatively, when the first user input motion and the second user input motion are sequentially detect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range, both the first and second vehicle motion control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first user input motion and the second user input motion are extracted. And the corresponding signals may be sequentially transmitted to the vehicle.

또한,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입력 패턴 또는 모션에 따라 복수의 차량 동작 제어 신호가 추출될 수 있다. 상세하게, 복수의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지 않더라도, 예를 들어, 사용자 설정에 의하여 제3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복수의 차량 동작 제어 신호를 추출하여 차량으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vehicle motion control signals may be extracted according to a user input pattern or motion input by the user. In detail, even if a plurality of user inputs are not detected, for example, when a third user input is detected by a user setting, a plurality of vehicle motion control signals may be extracted and transmitted to the vehicle.

제어부(160)는 확인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 패턴 또는 모션에 대응되는 차량 동작 제어 신호를 해당 차량으로 전송할 수 있다.(S550)The control unit 160 may transmit a vehicle operation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user input pattern or motion to be checked to a corresponding vehicle (S550).

Claims (8)

사용자 입력 패턴을 입력 받는 터치 입력부;
상기 터치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 패턴 및 상기 사용자 입력 패턴에 대응되는 차량의 동작 제어 신호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터치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 패턴을 감지하고 상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패턴에 대응되는 차량 동작 제어 신호를 추출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추출되는 사용자 입력 패턴에 대응되는 차량의 동작 제어 신호를 차량으로 전송하는 통신부; 및
사용자 입력 모션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모션에 대응되는 차량 동작 제어 신호를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 및 상기 터치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을 조합하여 적어도 하나의 차량 동작 제어 신호를 추출하는
차량 스마트키.
A touch input unit receiving a user input pattern;
A storage unit for storing at least one user input pattern input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and a vehicle operation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user input pattern;
A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ct at least one user input pattern input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and extract a vehicle motion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put user input pattern;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 vehicle motion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a user input pattern extracted from the control unit to the vehicle; And
Including; a sensor unit for detecting a user input motion,
The storage unit stores a vehicle motion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a user input motion input through the sensor unit,
The control unit
Extracting at least one vehicle motion control signal by combining a user input input through the sensor unit and the touch input unit
Vehicle smart ke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제1사용자 입력 패턴과 제1차량 동작 제어 신호를 매칭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사용자 입력 패턴이 감지되면 제1차량 동작 제어신호를 추출하는
차량 스마트키.
The method of claim 1,
The storage unit matches and stores a first user input pattern and a first vehicle operation control signal, and the control unit extracts a first vehicle operation control signal when the first user input pattern is detected.
Vehicle smart ke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제1사용자 입력 패턴과 제1 및 제2차량 동작 제어 신호를 매칭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사용자 입력 패턴이 감지되면 제1 및 제2차량 동작 제어 신호를 추출하는
차량 스마트키.
The method of claim 1,
The storage unit matches and stores the first user input pattern and the first and second vehicle operation control signals, and the control unit extracts the first and second vehicle operation control signals when the first user input pattern is detected.
Vehicle smart key.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입력되는 제1사용자 입력 모션과 제1차량 동작 제어신호를 매칭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사용자 입력 모션이 감지되면 제1차량 동작 제어 신호를 추출하는
차량 스마트키.
The method of claim 1,
The storage unit matches and stores a first user input motion input through the sensor unit and a first vehicle motion control signal, and the controller extracts a first vehicle motion control signal when the first user input motion is detected.
Vehicle smart ke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입력되는 제1사용자 입력 모션과 제1 및 제2차량 동작 제어 신호를 매칭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사용자 입력 모션이 감지되면 제1 및 제2차량 동작 제어 신호를 추출하는
차량 스마트키.
The method of claim 1,
The storage unit matches and stores a first user input motion input through the sensor unit and first and second vehicle motion control signals,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irst and second vehicle motions when the first user input motion is detected. To extract the signal
Vehicle smart key.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패턴 및 그에 대응되는 차량 동작 제어신호를 기 설정된 외부 단말장치에 공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차량 스마트키.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interface for sharing a user input pattern input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and a vehicle operation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to a preset external terminal device
Vehicle smart key.
KR1020140059697A 2014-02-28 2014-05-19 Smart key of vehicle KR1021879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9697A KR102187946B1 (en) 2014-05-19 2014-05-19 Smart key of vehicle
US14/624,230 US20150248799A1 (en) 2014-02-28 2015-02-17 Fingerprint identification system for vehicle and vehicle smart key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9697A KR102187946B1 (en) 2014-05-19 2014-05-19 Smart key of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2991A KR20150132991A (en) 2015-11-27
KR102187946B1 true KR102187946B1 (en) 2020-12-07

Family

ID=54847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9697A KR102187946B1 (en) 2014-02-28 2014-05-19 Smart key of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794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05118A1 (en) 2015-12-17 2017-06-22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Wearable smart key
KR101959300B1 (en) * 2017-05-02 2019-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Smart key for vehicle and system
KR102371777B1 (en) 2017-07-21 2022-03-08 주식회사 아모센스 Wearable smart key
JP2019051803A (en) * 2017-09-14 2019-04-0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Engine switch device
KR20200017811A (en) 2018-08-09 2020-02-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Vehicle door lock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0055B1 (en) 2012-10-19 2013-05-31 문명일 Touch type fob key and vehicle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JP5249186B2 (en) 2009-12-11 2013-07-3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Electronic key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8158A (en) * 2011-11-25 2013-06-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Smart key system and method for theft prevention contro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49186B2 (en) 2009-12-11 2013-07-3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Electronic key system
KR101270055B1 (en) 2012-10-19 2013-05-31 문명일 Touch type fob key and vehicle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2991A (en) 2015-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0682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tecting retail display merchandise from theft
US20150248799A1 (en) Fingerprint identification system for vehicle and vehicle smart key including the same
KR102187946B1 (en) Smart key of vehicle
US11749076B2 (en) System and method for calibrating a wireless security range
US10102701B2 (en) Secure access control method with reader and mobile terminal, in particular such as a telephone terminal
KR20190103878A (en) Electronic device
JP6791048B2 (en) Electronic key system and electronic key control method
KR20190103877A (en) Electronic device
CN104363987A (en) Method and device for selecting terminal modes
US20220078276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selectively applying security mode in mobile device
KR10230124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gesture using wearable device in the vehicle and wearable device therefor
CN104850220B (en) operation start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motion detection
US20150061843A1 (en) Remote key for control of vehicles
JP2007019718A (en) Mobile terminal device and use limitation system
KR10171462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ser authentication using a movement information
US20180068511A1 (en) Fingerprint lock system and key device thereof
JP2017505968A (en) Portable anti-theft device and related anti-theft system and anti-theft method
CN211319214U (en) Locking mechanism for enabling or disabling operation of a trainable transceiver
ITTO20120973A1 (en) LIMITATION OF THE FUNCTIONALITY OF PERSONAL MOBILE ELECTRONIC DEVICES INTELLIGENT MOBILE DRIVERS OF VEHICLE DRIVERS DURING THE GUIDE BASED ON BLUETOOTH TECHNOLOGY
JP6673295B2 (en) Control system
KR102503682B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60071151A (en) Wearable Device
WO2019076946A1 (en) Improved remote control and corresponding operating method
JP7285192B2 (en) lock control system
KR20160024156A (en) Remote Controller for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