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6999B1 -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계좌에 기초하여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계좌에 기초하여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6999B1
KR102186999B1 KR1020190048190A KR20190048190A KR102186999B1 KR 102186999 B1 KR102186999 B1 KR 102186999B1 KR 1020190048190 A KR1020190048190 A KR 1020190048190A KR 20190048190 A KR20190048190 A KR 20190048190A KR 102186999 B1 KR102186999 B1 KR 102186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blockchain network
consortium blockchain
authority
member n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8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4846A (ko
Inventor
박명한
Original Assignee
한국에이아이사이언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이아이사이언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에이아이사이언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8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6999B1/ko
Publication of KR20200124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4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6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6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5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using an alias or single-use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44Group management mechanisms 
    • H04L67/1046Joining mechanis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마스터 노드 및 마스터 노드에 의해 검증된 구성원 노드를 포함하는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각 구성원 노드와 연관된 계좌에 기초하여 각 구성원 노드의 토큰을 생성하고,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토큰을 이용하여 금융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금융사기 위험이 없고 신뢰성이 높은 온라인 금융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계좌에 기초하여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Method for providing financial service associated with bank account in consortium blockchain network}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구성원 노드의 계좌와 연계하여 온라인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기술과 금융서비스가 결합된 다양한 형태의 핀테크(FinTech) 사업이 출현하여 4차 산업혁명의 주요 테마로 부각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자동화된 투자 서비스를 제공하는 로보 어드바이저, 대중을 대상으로 자금을 모집하는 크라우드 펀딩(Crowd Funding) 및 P2P(Peer-to-Peer) 대출 서비스, 모바일 기기를 활용한 간편하고 저렴한 송금 서비스 등이 그 사례이다. 이러한 핀테크 금융서비스는 기본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와 거래 상대방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수행된다.
전통적인 제도권 금융기관인 은행, 증권, 보험사 등과 같은 제도권 금융기관의 금융서비스는 금융감독 당국의 엄밀한 통제아래 시장진입의 요건이 엄격하게 규정되어 있으며, 거래단계에서 고객보호 장치가 제도화되어 있다. 그러나, 핀테크 기반의 금융서비스 산업은 해킹, 보이스 피싱 등 다양한 문제들로 인하여 고객보호 측면에서 불완전한 상태에 있으며, 시장 참여자의 제한된 자본으로 자체적인 고객보호 수단을 마련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기존 제도권 금융기관에 비해 상대적으로 용이한 시장진입 조건은 이러한 시장 참여자의 신뢰성을 담보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핀테크 금융서비스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블록체인(blockchain)에 기반한 금융서비스가 등장하고 있다. 블록체인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데이터를 특정 단위의 블록에 기록하고, P2P(peer-to-peer)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각의 노드는 상기 블록을 체인처럼 연결하여 관리하는 데이터 관리 기술 또는 상기 블록이 체인처럼 연결된 데이터 그 자체를 의미하며, 상기 체인처럼 연결된 데이터는 중앙 시스템 없이 각각의 노드에서 분산 원장(distributed ledger) 형태로 운영된다.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각의 노드는 블록 헤더와 바디로 구성되는 블록을 관리한다. 각 블록에는 이전 블록에 대한 해시 값이 기록되며, 상기 해시 값을 통해 이전 블록이 참조될 수 있다. 따라서, 블록이 쌓일수록 블록 내에 기록된 데이터의 위변조는 어려워지고, 각 블록에 기록된 데이터의 신뢰도는 향상된다.
종래의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경우, 공개형 블록체인으로 누구나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할 수 있으며, 모든 참여자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에서 자유롭게 거래가 가능하다. 그러나, 검증되지 않은 노드들이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구성 노드로 참여함에 따라,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구성 노드의 신뢰성을 담보할 수 없기 때문에, 사기 위험, 부도 위험, 유동성 위험 등의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실제 계좌와 연계된 온라인 금융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검증된 노드들로 구성되는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구성된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마스터 노드에 의해 상기 마스터 노드 및 상기 마스터 노드로부터 검증된 적어도 2 이상의 구성원 노드를 포함하는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 노드에 의해 상기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적어도 2 이상의 구성원 노드 각각의 노드 정보에 기초하여 각 구성원 노드의 권한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2 이상의 구성원 노드 중 토큰을 생성하는 권한을 가진 구성원 노드가 상기 컴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각 구성원 노드의 계좌 정보에 기초하여 각 구성원 노드의 토큰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2 이상의 구성원 노드 중 블록을 생성하고 배포하는 권한을 가진 구성원 노드가 상기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상기 적어도 2 이상의 구성원 노드 중 제 1 구성원 노드와 제 2 구성원 노드 사이에서 제공되는 금융서비스를 포함하는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2 이상의 구성원 노드 중 블록을 생성하고 배포하는 권한을 가진 구성원 노드가 상기 생성된 블록을 상기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배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마스터 노드가 상기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려는 노드를 검증하는 단계; 및 상기 검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마스터 노드 및 상기 검증된 구성원 노드로 상기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마스터 노드가 상기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려는 노드에 노드 검증 정보를 요청하는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정보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전송된 각 노드의 노드 검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노드 검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려는 노드를 검증한다.
상기 각 구성원 노드의 권한은 상기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블록을 채굴하는 검증자(validator) 권한; 상기 구성원 노드와 연관된 계좌를 확인하고 상기 토큰을 생성하고 변경하는 작성자(composer) 권한; 금융 서비스를 포함하는 블록을 생성하여 상기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배포하는 생산자(producer) 권한; 상기 금융 서비스의 옵션 계약을 포함하는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배포하는 보증인(underwriter) 권한; 및 상기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접근할 수 있는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있는 주선자(arranger) 권한을 포함한다.
상기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2 이상의 구성원 노드 중 상기 작성자 권한을 가진 구성원 노드가 상기 제 1 구성원 노드와 연관된 토큰 및 상기 제 2 구성원 노드와 연관된 토큰을 상기 금융서비스에 기초하여 변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2 이상의 구성원 노드 중 상기 생산자 권한을 가진 구성원 노드가 상기 금융서비스를 포함하는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아닌 검증된 노드들로 구성되는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함으로써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들의 익명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신뢰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마스터 노드가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가입하는 노드들을 검증함으로써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제공되는 금융서비스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마스터 노드에 의해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려는 노드의 실제 계좌 정보를 검증하고,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노드의 실제 계좌에 기초하여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거래되는 토큰을 생성함으로써, 온라인 금융서비스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금융사기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구성원 노드에 부여된 권한에 따라 접근할 수 있는 정보가 제한됨에 따라,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수행된 금융서비스의 금융 정보가 불특정 다수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다 안전한 금융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단계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금융서비스를 포함하는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의 상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온라인 금융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통신이 가능한 노드들로 구성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에서 설명될 “노드”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참여자인 통신이 가능한 장치로서,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에서 금융 서비스를 수행하고, 노드의 예로는 이동통신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 데스크톱 PC, 노트북 등을 포함하는 것임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 1, 제 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식별기호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도 1은 종래의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의 블록체인 네트워크(1)는 복수 개의 노드(10)로 구성되는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이다.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노드의 자격제한이 없는 네트워크로 누구나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구성원 노드(10)로 참여할 수 있다.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노드(10)는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접속하거나 데이터를 다운받아 참여할 수 있다.
종래의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누구나 구성원 노드로 참여할 수 있기 때문에, 참여한 구성원 노드에 대한 어떠한 검증과정도 없다. 이에 따라,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들 중 일부 노드는 악의적인 목적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악의적인 목적을 가진 노드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P2P 대출, 크라우드 펀딩(crowd funding) 등과 같은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대여금 또는 투자금을 회수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술한 문제점은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이고 모든 참여자가 블록체인 네트Ÿp의 자료 열람 및 거래가 가능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점이다. 따라서, 종래의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제도권 금융기관이 아닌 비제도권 금융기관이나 개인 간의 온라인 금융서비스에는 적합하지 않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2)는 마스터 노드(21)와 적어도 하나의 구성원 노드(22)로 구성된다. 마스터 노드(21)는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관리하는 노드로서,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임의의 노드가 참여하려는 경우 참여하려는 노드를 검증한다. 마스터 노드(21)는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려는 노드로부터 노드 검증 정보를 요청하고, 각 노드로부터 노드 검증 정보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노드 검증 정보는 노드의 관리자 정보(예를 들어, 사업자 등록 정보), 노드와 연관된 계좌 정보, 신용등급정보, 전자 서명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노드와 연관된 계좌 정보는 계좌의 소유자, 보유액, 거래내역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마스터 노드(21)는 노드 검증 정보에 포함된 노드의 관리자 정보와 계좌의 소유자가 일치하는지 여부, 노드와 연관된 계좌의 보유액, 거래내역 등을 이용하여 노드를 검증한다.
마스터 노드(21)는 각 노드의 노드 검증 정보에 기초하여 노드를 검증하고, 검증된 노드에 한하여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시킨다. 예를 들어, 검증결과 노드의 관리자 정보와 계좌의 소유자가 일치하고 노드와 연관된 계좌의 보유액이 일정 금액 이상이고 신용등급이 일정 등급 이상인 경우, 마스터 노드(21)는 해당 노드를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시킨다.
또한, 마스터 노드(21)는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한 구성원 노드의 노드 정보에 기초하여,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에서 각 구성원 노드의 권한을 제한할 수 있다. 구성원 노드의 권한은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유지하기 위한 채굴을 담당하는 검증자(validator) 권한, 구성원 노드의 연관 계좌를 확인하고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거래되는 토큰(token)을 생성하고 구성원 노드 사이에서 토큰을 이전하고 구성원 노드의 토큰을 변경하는 작성자(composer) 권한, P2P 대출, 크라우드 펀딩 등과 같은 금융 서비스를 포함하는 블록을 생산하여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배포하는 생산자(producer) 권한, 금융 서비스의 위험 회피를 위한 옵션 계약을 포함하는 블록을 생성하고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배포하는 보증인(underwriter) 권한,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제공되는 금융 서비스를 중계하고 2 이상의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 사이에서 토큰을 이전하는 프로모터(promoter) 권한, 블록에 포함된 금융 서비스의 가치평가 결과를 블록에 기록하는 평가자(valuator) 권한, 일반 이용자를 대상으로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제공되는 금융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선자(arranger) 권한,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배포된 금융서비스가 담보(예를 들어, 저당권)를 포함하는 경우 담보의 평가결과를 금융서비스에 반영하는 입증자(verifier) 권한, 및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제공되는 금융 서비스를 감독하기 위하여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배포되는 블록 및 구성원 노드의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감독자(regulator) 권한이 있다. 구성원 노드는 이러한 역할 중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감독자 권한은 금융감독원과 같은 금융감독 당국에 해당하는 노드에만 부여될 수 있다. 작성자 권한을 가진 노드는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에서 토큰의 생성, 이전 및 변경을 하는 권한 이외에도,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토큰이 변경된 경우 구성원 노드와 연관된 계좌의 잔액도 변경한다.
마스터 노드(21)는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각 구성원 노드(22)에 상술한 역할 중 하나 이상의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마스터 노드(21)는 구성원 노드(22)의 노드 정보에 기초하여 각 구성원 노드의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구성원 노드의 노드 정보는 구성원 노드가 수행하는 서비스를 나타내는 서비스 정보(예를 들어, 지급결제 대행 서비스, 크라우드 펀딩 서비스, P2P 대출 서비스, 신용 평가 서비스, 보험 서비스, 간편 송금 서비스, 위험 평가 서비스 등)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 1 구성원 노드가 지급결제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마스터 노드(21)는 제 1 구성원 노드에 작성자(composer)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제 2 구성원 노드가 크라우드 펀딩 서비스 또는 P2P 대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마스터 노드(21)는 제 2 구성원 노드에 생산자(producer)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제 3 구성원 노드가 신용 평가 서비스 또는 위험 평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마스터 노드(21)는 제 3 구성원 노드에 평가자(valuator)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제 4 구성원 노드가 보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마스터 노드(21)는 제 4 구성원 노드에 보증인(underwriter)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제 5 구성원 노드가 금융감독 당국인 경우 마스터 노드(21)는 제 5 구성원 노드에 감독자(regulator)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각 구성원 노드(22)는 마스터 노드(21)로부터 부여받은 권한에 따라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내에서 제공할 수 있는 금융서비스 및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배포된 블록의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범위가 제한된다. 이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구성원 노드(22)는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여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로서,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에서 블록을 생성하여 배포할 수 있다. 구성원 노드(22)는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에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제공 받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구성원 노드(22)는 마스터 노드(21)에 의해 제한된 권한에 기초하여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에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거나 받을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마스터 노드(22)는 각 구성원 노드(22)의 노드 정보에 기초하여 각 구성원 노드(22)에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에서의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구성원 노드(22)에 부여될 수 있는 권한은 검증자(validator) 권한, 작성자(composer) 권한, 생산자(producer) 권한, 보증인(underwriter) 권한, 프로모터(promoter) 권한, 평가자(valuator) 권한, 주선자(arranger) 권한, 및 감독자(regulator) 권한이 있으며, 각 구성원 노드(22)는 적어도 하나의 권한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구성원 노드(22)는 컨소시엄 네트워크에서 배포된 블록의 정보에 접근할 수 있다. 이 때, 구성원 노드(22)는 마스터 노드(21)로부터 부여받은 권한에 따라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배포된 블록의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범위가 제한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로 구성된다. 301 단계에서, 마스터 노드(21)는 마스터 노드(21) 및 마스터 노드로부터 검증된 구성원 노드(22)로 구성되는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마스터 노드(22)는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관리하는 노드로서,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려는 노드를 검증한다. 마스터 노드(21)로부터 검증된 노드에 한하여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구성원 노드(22)로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단계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3011 단계에서, 마스터 노드(21)는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려는 노드를 검증한다. 마스터 노드(21)는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려는 노드의 노드 정보에 기초하여 노드를 검증한다. 마스터 노드(21)는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려는 노드를 검증하여 일정 자격을 갖춘 노드에 한하여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마스터 노드(21)는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려고 하는 노드에 노드 검증 정보를 요청하는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한 노드는 정보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노드 검증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마스터 노드(21)로 전송한다. 노드 검증 정보는 노드의 관리자 정보(예를 들어, 사업자등록 정보, 법인등록 정보), 노드와 연관된 계좌 정보, 신용등급정보, 전자 서명 정보 등을 포함한다. 노드와 연관된 계좌 정보는 계좌의 소유자, 보유액, 거래내역 등을 포함한다.
마스터 노드(21)는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려는 노드가 전송한 노드 검증 정보에 기초하여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려는 노드를 검증한다. 예를 들어, 마스터 노드(21)는 노드 검증 정보에 포함된 관리자 정보 및 연관된 계좌 정보에 기초하여 노드의 관리자와 계좌의 소유자가 일치하는지 여부, 계좌 정보에 기초하여 노드와 연관된 계좌의 보유액이 일정 금액 이상 인지 여부, 신용등급정보에 기초하여 신용등급이 일정 등급 이상인 여부를 검증한다.
3012 단계에서, 마스터 노드(21)는 검증 결과에 기초하여 마스터 노드(21) 및 마스터 노드(21)에 의해 검증된 구성원 노드(22)로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예를 들어, 마스터 노드(21)는 노드의 관리자 정보와 계좌의 소유자가 일치하고 노드와 연관된 계좌의 보유액이 일정 금액 이상이고 신용등급이 일정 등급 이상인 노드를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시킨다. 마스터 노드(21)는 노드의 관리자 정보와 계좌의 소유자가 일치하고 노드와 연관된 계좌의 보유액이 일정 금액 이상이고 신용등급이 일정 등급 이상인 구성원 노드(22)로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302 단계에서, 마스터 노드(21)는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적어도 2 이상의 구성원(22) 노드 각각의 노드 정보에 기초하여 각 구성원 노드(22)의 권한을 결정한다. 마스터 노드(21)는 구성원 노드(22)의 노드 정보에 기초하여 각 구성원 노드(22)에 검증자 권한, 작성자 권한, 생산자 권한, 보증인 권한, 프로모터 권한, 평가자 권한, 주선자 권한, 및 감독자 권한 중 적어도 하나의 권한을 부여한다. 노드 정보는 구성원 노드가 수행하는 서비스를 나타내는 서비스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 1 구성원 노드가 지급결제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마스터 노드(21)는 제 1 구성원 노드에 작성자(composer)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제 2 구성원 노드가 크라우드 펀딩 서비스 또는 P2P 대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마스터 노드(21)는 제 2 구성원 노드에 생산자(producer)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제 3 구성원 노드가 신용 평가 서비스 또는 위험 평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마스터 노드(21)는 제 3 구성원 노드에 평가자(valuator)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제 4 구성원 노드가 보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마스터 노드(21)는 제 4 구성원 노드에 보증인(underwriter)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제 5 구성원 노드가 금융감독 당국인 경우 마스터 노드(21)는 제 5 구성원 노드에 감독자(regulator)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303 단계에서,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구성원 노드 중 토큰을 생성하는 권한을 가진 구성원 노드가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각 구성원 노드의 계좌 정보에 기초하여 각 구성원 노드의 토큰을 생성한다. 302 단계에서, 마스터 노드(21)에 의해 작성자 권한이 부여된 구성원 노드는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각 구성원 노드의 계좌의 잔액을 확인하고 계좌의 잔액에 기초하여 토큰을 생성한다. 작성자 권한을 가진 구성원 노드는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포함된 구성원 노드와 연관된 계좌의 계좌 정보를 각 구성원 노드 또는 마스터 노드(21)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계좌 정보에 기초하여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거래될 수 있는 각 구성원 노드의 토큰을 생성한다. 작성자 권한을 가진 구성원 노드는 연관된 계좌의 잔액과 일대일로 대응되는 개수의 토큰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포함된 제 1 구성원 노드와 연관된 계좌에 잔액이 1,000,000원인 경우, 작성자 권한을 가진 구성원 노드는 제 1 구성원 노드에 대하여 1,000,000개의 토큰을 생성한다.
304 단계에서,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금융서비스를 포함하는 블록을 생성하는 권한을 가진 구성원 노드가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적어도 2 이상의 구성원 노드 중 제 1 구성원 노드와 제 2 구성원 노드 사이에서 제공되는 금융서비스를 포함하는 블록을 생성한다. 302 단계에서, 마스터 노드(21)에 의해 생산자 권한이 부여된 구성원 노드는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제 1 구성원 노드와 제 2 구성원 노드 사이에서 제공되는 금융서비스를 포함하는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금융서비스를 포함하는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3041 단계에서, 토큰을 변경하는 권한을 가진 구성원 노드는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제 1 구성원 노드와 연관된 토큰 및 제 2 구성원 노드와 연관된 토큰을 금융서비스에 기초하여 변동시킨다. 예를 들어, 제 1 구성원 노드가 제 2 구성원 노드에 1,000,000 원을 대출하는 P2P 대출 서비스가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제공되는 경우, 작성자 권한을 가진 구성원 노드는 제 1 구성원 노드의 1,000,000개의 토큰을 제 2 구성원 노드로 이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작성자 권한을 가진 구성원 노드는 제 1 구성원 노드의 토큰 1,000,000개를 차감하고, 제 2 구성원 노드의 토큰 1,000,000개가 추가되도록 제 1 및 제 2 구성원 노드의 토큰을 변경한다. 작성자 권한을 가진 구성원 노드는 변경된 각 구성원 노드의 토큰에 따라, 각 구성원 노드와 연관된 실제 계좌의 잔고도 함께 변경한다.
3042 단계에서, 금융서비스를 포함하는 블록을 생산하여 배포하는 권한을 가진 구성원 노드는 제 1 구성원 노드와 제 2 구성원 노드 사이에서 제공된 금융서비스를 포함하는 블록을 생성한다. 생산자 권한을 가진 구성원 노드는 제 1 구성원 노드와 제 2 구성원 노드 사이에서 제공된 금융서비스를 확인하고, 제공된 금융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을 생성한다. 금융서비스에 대한 정보는 금융서비스에 참여한 구성원 노드, 제공된 금융서비스의 금액, 기간, 이율 등의 조건을 포함하는 서비스 내용(예를 들어, 대출의 원금, 이자 및 상환 기간 등을 포함하는 대출 계약 내용, 투자 금액 및 투자 기간 등을 포함하는 투자 계약 내용, 위험 회피를 위한 옵션 계약 조건 등)을 포함한다.
305 단계에서, 금융서비스를 포함하는 블록을 생산하여 배포하는 권한을 가진 구성원 노드는 304 단계에서 생성된 금융서비스를 포함하는 블록을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배포한다. 생산자 권한을 가진 구성원 노드는 제 1 구성원 노드와 제 2 구성원 노드 사이에서 제공된 금융서비스를 포함하는 블록을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배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P2P 대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마스터 노드는 검증된 복수 개의 구성원 노드를 포함하는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구성원 노드 각각에 권한을 부여한다.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지급결제 대행 업체가 작성자 권한을 갖는 구성원 노드로, P2P 대출 중계 업체가 생산자 권한을 갖는 구성원 노드로, 모바일(웹) 서비스 제공 업체가 차주(borrower) 및 투자자(investor)에게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제공되는 P2P 대출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는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선자 권한을 가진 구성원 노드로, 위험관리 회사가 금융서비스의 담보를 확인하기 위하여 검증자 권한을 갖는 구성원 노드로서 포함할 수 있다.
P2P 대출 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차주(borrower)와 P2P 대출 서비스에 투자하려는 투자자(investor) 각각은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주선자 권한을 가진 구성원 노드에 의해 제공되는 온라인 서비스를 통하여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P2P 대출 및 투자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차주 및 투자자는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제공되는 P2P 대출 및 투자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주선자 권한을 갖는 구성원 노드가 제공하는 온라인 서비스에 접속하고, 주선자 권한을 갖는 구성원 노드를 통하여 각각의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토큰 계정을 부여 받는다. 차주 및 투자자 각각은 자신의 계좌 정보를 주선자 권한을 갖는 구성원 노드가 제공하는 온라인 서비스에 제공함으로써, 각각의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토큰 계정을 부여받을 수 있다.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작성자 권한을 가진 구성원 노드는 차주의 토큰 계정과 연관된 계좌의 잔액을 확인하고 차주와 연관된 토큰을 생성하고, 투자자의 토큰 계정과 연관된 계좌의 잔액을 확인하고 투자자와 연관된 토큰을 생성한다.
차주는 주선자 권한을 갖는 구성원 노드를 통하여 P2P 대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생산자 권한을 갖는 구성원 노드와 P2P 대출 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차주는 주선자 권한을 갖는 구성원 노드를 통하여 P2P 대출 서비스를 요청하는 신호를 생산자 권한을 갖는 구성원 노드로 전송하고 생산자 권한을 갖는 구성원 노드로부터 요청에 응답하여 대출 승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생산자 권한을 갖는 구성원 노드와 P2P 대출 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
차주와 P2P 대출 중계 업체가 P2P 대출 계약을 체결한 경우, 작성자 권한을 갖는 구성원 노드는 P2P 대출 계약에 기초하여 P2P 대출 중계 업체와 연관된 구성원 노드(생산자 권한을 갖는 구성원 노드)의 토큰을 차주와 연관된 구성원 노드(주선자 권한을 갖는 구성원 노드)로 이전한다. 작성자 권한을 갖는 구성원 노드는 P2P 대출 계약에서 약정된 금액에 대응하는 개수의 토큰을 P2P 대출 중계 업체와 연관된 구성원 노드로부터 차주와 연관된 구성원 노드로 이전한다. 생산자 권한을 갖는 구성원 노드는 차주와 P2P 대출 중계 업체 사이의 대출 계약을 포함하는 블록을 생성하고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배포한다.
투자자는 주선자 권한을 갖는 구성원 노드를 통하여 P2P 대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생산자 권한을 갖는 구성원 노드와 P2P 투자 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투자자는 주선자 권한을 갖는 구성원 노드를 통하여 P2P 대출 서비스에 투자를 요청하는 신호를 생산자 권한을 갖는 구성원 노드로 전송함으로써, 생산자 권한을 갖는 구성원 노드와 P2P 투자 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
투자자와 P2P 대출 중계 업체가 P2P 투자 계약을 체결한 경우, 작성자 권한을 갖는 구성원 노드는 P2P 투자 계약에 기초하여 투자자와 연관된 구성원 노드(주선자 권한을 갖는 구성원 노드)의 토큰을 P2P 대출 중계 업체와 연관된 구성원 노드(생산자 권한을 갖는 구성원 노드)로 이전한다. 작성자 권한을 갖는 구성원 노드는 P2P 투자 계약에서 약정된 금액에 대응하는 개수의 토큰을 투자자와 연관된 구성원 노드로부터 P2P 대출 중계 업체와 연관된 구성원 노드로 이전한다. 생산자 권한을 갖는 구성원 노드는 투자자와 P2P 대출 중계 업체 사이의 투자 계약을 포함하는 블록을 생성하고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배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검증된 노드들로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금융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온라인으로 신뢰성이 향상된 금융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마스터 노드가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려는 노드의 실제 계좌 정보를 검증하고, 각 노드의 실제 계좌에 기초하여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거래되는 토큰을 생성함으로써, 온라인 금융서비스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금융사기를 방지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1: 마스터 노드 22: 구성원 노드

Claims (4)

  1.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마스터 노드에 의해 상기 마스터 노드 및 상기 마스터 노드로부터 검증된 적어도 2 이상의 구성원 노드를 포함하는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 노드에 의해 상기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적어도 2 이상의 구성원 노드 각각의 노드 정보에 기초하여 각 구성원 노드의 권한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2 이상의 구성원 노드 중 토큰을 생성하는 권한을 가진 구성원 노드가 상기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각 구성원 노드의 계좌 정보에 기초하여 각 구성원 노드의 토큰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2 이상의 구성원 노드 중 블록을 생성하고 배포하는 권한을 가진 구성원 노드가 상기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상기 적어도 2 이상의 구성원 노드 중 제 1 구성원 노드와 제 2 구성원 노드 사이에서 제공되는 금융서비스를 포함하는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2 이상의 구성원 노드 중 블록을 생성하고 배포하는 권한을 가진 구성원 노드가 상기 생성된 블록을 상기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배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마스터 노드가 상기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려는 노드를 검증하는 단계; 및
    상기 검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마스터 노드 및 상기 검증된 구성원 노드로 상기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마스터 노드가 상기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려는 노드에 노드 검증 정보를 요청하는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정보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전송된 각 노드의 노드 검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노드 검증 정보에 포함된 관리자 정보 및 연관된 계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각 노드의 관리자와 상기 연관된 계좌의 소유자가 일치하는지 여부 및 상기 연관된 계좌의 보유액이 일정 금액 이상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려는 노드를 검증하고,
    상기 각 구성원 노드의 권한은
    상기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블록을 채굴하는 검증자(validator) 권한;
    상기 각 구성원 노드와 연관된 계좌를 확인하고 상기 연관된 계좌의 잔액에 기초하여각 구성원 노드의 토큰을 생성하고 변경하는 작성자(composer) 권한;
    금융 서비스를 포함하는 블록을 생성하여 상기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배포하는 생산자(producer) 권한;
    상기 금융 서비스의 옵션 계약을 포함하는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배포하는 보증인(underwriter) 권한; 및
    상기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접근할 수 있는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선자(arranger) 권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2 이상의 구성원 노드 중 상기 작성자 권한을 가진 구성원 노드가 상기 제 1 구성원 노드와 연관된 토큰 및 상기 제 2 구성원 노드와 연관된 토큰을 상기 금융서비스에 기초하여 변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2 이상의 구성원 노드 중 상기 생산자 권한을 가진 구성원 노드가 상기 금융서비스를 포함하는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1020190048190A 2019-04-25 2019-04-25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계좌에 기초하여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102186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190A KR102186999B1 (ko) 2019-04-25 2019-04-25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계좌에 기초하여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190A KR102186999B1 (ko) 2019-04-25 2019-04-25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계좌에 기초하여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4846A KR20200124846A (ko) 2020-11-04
KR102186999B1 true KR102186999B1 (ko) 2020-12-04

Family

ID=73571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8190A KR102186999B1 (ko) 2019-04-25 2019-04-25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계좌에 기초하여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69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7801B1 (ko) * 2022-03-25 2022-11-21 김상율 탈중앙화 노드 시스템의 보안 검증 동작 방법
US20240152910A1 (en) * 2022-11-08 2024-05-09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use in token managem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260909A1 (en) * 2017-03-08 2018-09-13 Alibaba Group Holding Limited Handing requests in a consensus network
KR101922963B1 (ko) * 2017-08-28 2018-11-28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블록 체인 생성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260909A1 (en) * 2017-03-08 2018-09-13 Alibaba Group Holding Limited Handing requests in a consensus network
KR101922963B1 (ko) * 2017-08-28 2018-11-28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블록 체인 생성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4846A (ko) 2020-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nte et al. Cheap signals in security token offerings (STOs)
US20190197622A1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unique identifiers in security blockchain-based tokens
CN110333948A (zh) 基于区块链的虚拟资源分配方法和装置
CN111260485A (zh) 一种基于区块链的互助式保险方法及设备、介质
Zhang et al. The regulation paradox of initial coin offerings: A case study approach
Kolachala et al. SoK: Money laundering in cryptocurrencies
Li et al. Design principles and best practices of 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KR102186999B1 (ko)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계좌에 기초하여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Nian et al. A light touch of regulation for virtual currencies
Altschuler Should Centralized Exchange Regulations Apply to Cryptocurrency Protocols?
Lee Distributed ledger technologies (blockchain) in capital markets: risk and governance
Alvseike et al. Blockchain and the future of money and finance: a qualitative exploratory study of blockchain technology and implications for the monetary and financial system
CN111553784A (zh) 知识产权质押融资系统和方法
Horch et al. Adversary tactics and techniques specific to cryptocurrency scams
Arora et al. Blockchain empowered framework for peer to peer lending
Swanson Watermarked tokens and pseudonymity on public blockchains
Hassan Blockchain technology and its potential effect on the banking industry (China Case Study)
Thakur Blockchain and cryptocurrency frauds: Emerging concern
Kabanda Model Structure for Block Chain Technology and Cryptocurrency for the financial services sector in Zimbabwe
Toubal et al. Blockhain technology in the banking sector: applications and challenges
Cho et al. The Trend of Blockchain in Vietnam and Its Implications for ROK
Hobbs Facebook's Libra: The social media giant's pursuit of global financial inclusion
Menard Cryptocurrency: Collateral for Secured Transactions?
CN111369368A (zh) 一种账户余额通证化管理方法及系统
Walia et al. Foundation of the Digital Global Econom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