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6013B1 - Wheelchair for indoor-outdoor - Google Patents

Wheelchair for indoor-outdo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6013B1
KR102186013B1 KR1020180118698A KR20180118698A KR102186013B1 KR 102186013 B1 KR102186013 B1 KR 102186013B1 KR 1020180118698 A KR1020180118698 A KR 1020180118698A KR 20180118698 A KR20180118698 A KR 20180118698A KR 102186013 B1 KR102186013 B1 KR 102186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chair
indoor
outdoor
frame
pin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86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39158A (en
Inventor
장성욱
이승환
류동건
변민혁
백리현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18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6013B1/en
Publication of KR20200039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91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6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60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59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5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8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f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외 겸용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 등받이와 시트가 구비되고, 실내에서 이동이 가능한 실내 이동바퀴가 구비되는 실내용 휠체어와, 상기 실내용 휠체어와 분리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상기 실내용 휠체어와 결합가능하여 실외에서 휠체어를 사용가능하도록 하는 실외용 휠체어와, 상기 실내용 휠체어와 실외용 휠체어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을 포함함으로써, 필요시 간단한 조작으로 실내용 휠체어가 실외용 휠체어에 결합가능하여, 실내외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outdoor combined wheelchair, comprising: an indoor wheelchair provided with a backrest and a seat, and an indoor moving wheel capable of moving indoors; and the indoor wheelchair and the indoor wheelchair as needed in a state separated from the indoor wheelchair. By including an outdoor wheelchair that can be combined so that the wheelchair can be used outdoors, and a coupling means for combining the indoor wheelchair and the outdoor wheelchair, the indoor wheelchair can be combined with the outdoor wheelchair by simple operation when necessary, and is used both indoor and outdoo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used as.

Description

실내외 겸용 휠체어{Wheelchair for indoor-outdoor}Wheelchair for indoor-outdoor {Wheelchair for indoor-outdoor}

본 발명은 실내외 겸용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세는 실내에서 사용되는 실내용 휠체어가 실외용 휠체어와 별도로 구비되며, 필요시 간단한 조작으로 실내용 휠체어가 실외용 휠체어에 결합가능하여, 실내외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outdoor combined wheelchair, and more particularly, an indoor wheelchair used indoors is provided separately from an outdoor wheelchair, and if necessary, an indoor wheelchair can be combined with an outdoor wheelchair by simple operation, so that it can be used both indoors and outdoors. It is about a wheelchair.

일반적으로 휠체어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노약자를 위한 보조기구로서, 주로 외출시 실외에서 사용하게 된다. 통상, 실내에서는 거동 불편한 환자가 마땅히 이동할 수단이 없으므로 주로 손을 의지하여 바닥에 앉아 이동하거나 기어서 이동하는 경우가 발생된다.In general, wheelchairs are assistive devices for patients or elderly people with limited mobility, and are mainly used outdoors when going out. In general, indoors, a patient with discomfort does not have a means to move, so there is a case where the patient moves by sitting on the floor or by crawling, mainly relying on the hand.

따라서, 실내에서는 환자 스스로 움직이기 불편하므로 보조자가 도와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하여, 환자는 물론 주변사람까지 불편함을 감수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since the patient is inconvenient to move by itself indoors, there is a problem that an assistant has to help, so that not only the patient but also the people around him have to bear the inconvenience.

이와 같이, 실내에서도 휠체어가 필요한 상황이지만, 통상 휠체어는 바퀴나 의자의 부피가 커서 실내에서의 이동이 어렵고, 실내용과 실외용을 별도로 구비하는 것 역시 사용자에게 경제적인 부담 및 보관, 관리 등의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although a wheelchair is required indoors, it is difficult to move indoors due to the large volume of wheels or chairs in general wheelchairs, and having separate indoor and outdoor uses also provides an economical burden on users and inconvenience of storage and management. There is a ship.

이와 관련한 종래의 기술로서, 실내에서 휠체어를 사용하다가 실외에 나갈 일이 발생하면, 휠체어를 이용하는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함과 동시에 손쉽게 휠체어를 차량에 싣을 수 있도록 하는 리프트 휠체어 장치가 제안된바 있다. As a related art, a lift wheelchair device has been proposed that allows a user with disabilities to use a wheelchair to easily load a wheelchair at the same time while using a wheelchair indoors when going out to the outdoors occurs. It has been done.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리프트 휠체어 장치는 휠체어를 차량에 탑승하기 용이하게 하는 것이므로, 실내 혹은 실외를 구분하여 휠체어를 사용할 수는 없는 단점이 존재한다. However, since such a conventional lift wheelchair device makes it easy to ride a wheelchair in a vehicl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not possible to use a wheelchair by distinguishing indoors or outdoors.

즉, 실내에서는 휠체어를 위생적으로 사용하면서도 실외에 나갈때에도 휠체어의 사용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휠체어를 실내외 상관없이 편리하게 이용하고, 실내에서는 외부의 이물질로 인한 오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위생적인 기술이 요구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a hygienic technology is required that allows the user to conveniently use the wheelchair indoors or outdoors while using a wheelchair hygienic indoors while going out to the outdoors, and prevents contamination by foreign substances indoors. It becomes.

한국공개특허 10-2018-0046908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46908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실내에서 휠체어를 위생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실외에서도 사용이 가능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실내외 겸용 휠체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provides an indoor/outdoor combined wheelchair capable of providing convenience to a user by resolving the user's discomfort by hygienic use of a wheelchair indoors and being usable outdoors. It has its purpose to provide.

또한, 실내용 휠체어와 실외용 휠체어를 분리하여, 필요에 따라 착탈식으로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평상시에는 실내용 휠체어로 사용하고 실외에서 휠체어 탑승시 외부의 도움없이 사용자 스스로 실외용 휠체어에 탑승이 가능하도록 하는 실내외 겸용 휠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by separating the indoor wheelchair and the outdoor wheelchair, it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y fastened and detached if necessary, so that the user can use it as an indoor wheelchair in normal times, and when boarding a wheelchair outdoors, the user can ride an outdoor wheelchair by himself without external assistance. It is to provide both indoor and outdoor wheelchairs that make it possible.

또한, 실내에서는 휠체어의 부피를 현저히 줄여서, 좁은 실내공간에서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실내외 겸용 휠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combined indoor and outdoor wheelchair that can freely move even in a narrow indoor space 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volume of the wheelchair indoors.

또한, 실내용 휠체어와 실외용 휠체어를 사용자가 간단히 분리할 수 있는 체결구조를 적용하여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분리 및 조립의 편의성 향상과 함께 휠체어의 부피 및 무게 분할의 효과를 통해 이동과 보관, 차량적재의 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실내외 겸용 휠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by applying a fastening structure that allows the user to easily separate the indoor wheelchair and the outdoor wheelchair, it is possible to move, store and load the vehicle through the effect of dividing the volume and weight of the wheelchair as well as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user separation and assembly. It is to provide both indoor and outdoor wheelchairs that can further improve the convenience of peopl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등받이와 시트가 구비되고, 실내에서 이동이 가능한 실내 이동바퀴가 구비되는 실내용 휠체어와, 상기 실내용 휠체어와 분리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상기 실내용 휠체어와 결합가능하여 실외에서 휠체어를 사용가능하도록 하는 실외용 휠체어와, 상기 실내용 휠체어와 실외용 휠체어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실내외 겸용 휠체어가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an indoor wheelchair provided with a backrest and a seat, and an indoor moving wheel capable of moving indoors, and in a state separated from the indoor wheelchair, as needed. There is provided an indoor/outdoor combined wheelchair including an outdoor wheelchair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indoor wheelchair so that the wheelchair can be used outdoors, and a coupling means for coupling the indoor wheelchair and the outdoor wheelchair.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실내용 휠체어는, 상기 시트를 장착하기 위한 시트 프레임과, 상기 시트 프레임의 하단에 설치되는 레그 프레임과, 상기 레그 프레임의 하단 전, 후방에 장착된 실내 이동바퀴와, 상기 시트 프레임의 후방에 결합되고 상부측으로 절곡하여 형성된 등받이 프레임과, 상기 시트 프레임의 양측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팔거치대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oor wheelchair includes a seat frame for mounting the seat, a leg frame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seat frame, an indoor moving wheel mounted in front and rear of the lower end of the leg frame, and the It may include a backrest frame that is coupled to the rear of the seat frame and bent to the upper side, and an armrest that is installed to be elevating on both sides of the seat frame.

또한, 상기 실내용 휠체어는 상기 시트 프레임의 양측에 상호 결합하여 상기 레그 프레임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낮이 조절손잡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door wheelchair may further include height adjustment handle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leg frame by mutually coupling to both sides of the seat frame.

상기 레그 프레임은 중앙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하로 높낮이가 조절가능하도록 'X'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leg fram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X' shape so that the height of the leg frame can be adjusted up and down around a hinge axis at the center.

또한, 상기 실내용 휠체어는, 상기 실외용 휠체어와 결합되는 결합수단으로서 결합핀이 삽입가능한 제1 핀홀이 상기 시트 프레임의 전방에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indoor wheelchair, a first pinhole into which a coupling pin can be inserted as a coupling means coupled to the outdoor wheelchair may be formed in front of the seat frame.

한편, 상기 실외용 휠체어는, 상기 실내용 휠체어의 시트 프레임이 안착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후방 하부 양측에 구비되는 주 바퀴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 하부 양측에 구비되는 보조 바퀴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 하부 양측에 설치되는 발판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실내용 휠체어의 레그 프레임이 삽입되어 결합가능한 장공형 결합홀을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outdoor wheelchair includes a base frame on which the seat frame of the indoor wheelchair is seated, main wheels provided on both rear and lower sides of the base frame, auxiliary wheels provided on both front and lower sides of the base frame, and the It may include a footrest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and lower sides of the base frame, and a long-hole type coupling hole formed in the base frame and into which the leg frame of the indoor wheelchair is inserted.

여기서, 상기 실외용 휠체어는, 상기 실내용 휠체어와 결합되는 결합수단으로서 결합핀이 삽입가능한 제2 핀홀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에 형성된다. Here, in the outdoor wheelchair, a second pinhole into which a coupling pin can be inserted as a coupling means coupled to the indoor wheelchair is formed in front of the base frame.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상기 실내용 휠체어의 팔거치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팔거치대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ase frame may have an armrest insertion hole in which the armrest of the indoor wheelchair is inserted and fixed.

본 발명에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실내용 휠체어에 형성되는 제1 핀홀과, 상기 제1 핀홀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베이스 프렘임에 형성되는 제2 핀홀과, 상기 제1 핀홀과 제2 핀홀에 삽입되어 상기 실내용 휠체어와 실외용 휠체어가 착탈식으로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결합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means comprises a first pinhole formed in the indoor wheelchair, a second pinhole formed in the base fram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pinhole, and the first pinhole and the second pinhole. It may be inserted into a coupling pin that allows the indoor wheelchair and the outdoor wheelchair to be fastened and detached.

또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실내용 휠체어의 팔거치대를 상기 실외용 휠체어의 베이스 프레임에 형성된 팔거치대 삽입홀에 삽입함으로써, 2중으로 구성되게 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coupling means may be configured to be double by inserting the armrest of the indoor wheelchair into the armrest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base frame of the outdoor wheelchair.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의하면, 실내에서 휠체어를 위생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실외에서도 사용이 가능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user's discomfort is solved by hygienic use of a wheelchair indoors, and it can be used outdoors,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to the user.

또한, 실내용 휠체어와 실외용 휠체어를 분리하여, 필요에 따라 착탈식으로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평상시에는 실내용 휠체어로 사용하고 실외에서 휠체어 탑승시 외부의 도움없이 사용자 스스로 실외용 휠체어에 탑승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by separating the indoor wheelchair and the outdoor wheelchair, it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y fastened and detached if necessary, so that the user can use it as an indoor wheelchair in normal times, and when boarding a wheelchair outdoors, the user can ride an outdoor wheelchair by himself without external assistance. You can make it possible.

또한, 실내에서는 휠체어의 부피를 현저히 줄여서, 좁은 실내공간에서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volume of the wheelchair is significantly reduced indoors, so that it can move freely even in a narrow indoor space.

또한, 실내용 휠체어와 실외용 휠체어를 사용자가 간단히 분리할 수 있는 체결구조를 적용하여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분리 및 조립의 편의성 향상과 함께 휠체어의 부피 및 무게 분할의 효과를 통해 이동과 보관, 차량적재의 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applying a fastening structure that allows users to easily separate indoor and outdoor wheelchairs, it is possible to move, store, and load vehicles through the effect of dividing the volume and weight of the wheelchair as well as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separation and assembly by users. There is an effect to further improve the convenience of.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겸용 휠체어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겸용 휠체어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휠체어의 높낮이 조절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실내용 휠체어의 팔거치대를 팔거치대 삽입홀에 삽입함으로써, 2중으로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door and outdoor combined wheelchai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ed indoor and outdoor wheelchai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height adjustment of an indoor wheelchai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part for height adjustment in FIG. 3.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armrest of an indoor wheelchair is double-coupled by inserting the armrest into the insertion hole of the armrest.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s achieved by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llustrat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describ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each drawing indicate the same membe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겸용 휠체어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겸용 휠체어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door and outdoor combined wheelchai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an indoor and outdoor combined wheelchai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통상, 휠체어는 신체장애자, 환자 및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의료기구의 하나로서, 본 발명에서는 실내에서 이동이 가능한 실내용 휠체어(10)와, 상기 실내용 휠체어(10)와 분리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상기 실내용 휠체어(10)와 결합가능한 실외용 휠체어(20)로 나누어 구성된다. Typically, a wheelchair is one of the medical devices that help the physically handicapped, patients, and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to move easily.In the present invention, an indoor wheelchair 10 and the indoor wheelchair 10 are movable indoors. It is configured by dividing into an outdoor wheelchair 20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indoor wheelchair 10 as needed in a separated state.

먼저, 상기 실내용 휠체어(10)는 등받이(12)와 시트(14)가 구비되고, 실내에서 이동이 가능한 실내 이동바퀴(19)가 구비된다. First, the indoor wheelchair 10 is provided with a backrest 12 and a seat 14, and an indoor moving wheel 19 capable of moving indoors.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내용 휠체어(10)는 상기 시트(14)를 장착하기 위한 시트 프레임(13)과, 상기 시트 프레임(13)의 하단에 설치되는 레그 프레임(18)과, 상기 레그 프레임(18)의 하단 전, 후방에 장착된 실내 이동바퀴(19)와, 상기 시트 프레임(13)의 후방에 결합되고 상부측으로 절곡하여 형성된 등받이 프레임(도시안됨)과, 상기 시트 프레임(13)의 양측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팔거치대(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More specifically, the indoor wheelchair 10 includes a seat frame 13 for mounting the seat 14, a leg frame 18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seat frame 13, and the leg frame ( 18), an indoor moving wheel 19 mount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lower end, a backrest frame (not shown) formed by being bent upward and coupled to the rear of the seat frame 13, and both sides of the seat frame 13 It comprises an armrest (16) that is installed to be elevating to.

이와 같은 상기 실내용 휠체어(10)는 실내에서 사용자가 앉아서 이동하기 용이하도록 실외용 휠체어(20)에 비해 조금 작은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실내 이동바퀴(19)를 통해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The indoor wheelchair 10 is preferably made of a size slightly smaller than that of the outdoor wheelchair 20 so that the user can sit and move indoors, and can be moved through the indoor moving wheel 19.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스스로 움직이기 어려운 중증의 환자를 위해, 보조자가 실내용 휠체어(10)를 끌어주거나 밀어줄 수 있도록 손잡이(도시안됨)를 구비할 수 있으며, 별도의 발판도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 severe patient who is difficult to move by itself, a handle (not shown) may be provided so that an assistant can pull or push the indoor wheelchair 10. , It can be provided with a separate footrest.

한편, 상기 레그 프레임(18)은 중앙에 힌지축(18a)을 중심으로 상하로 높낮이가 조절가능하도록 하는 'X'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Meanwhile, the leg frame 18 may be formed in a'X' shape in which the height of the leg frame 18 is adjustable up and down around the hinge shaft 18a at the center.

즉, 실내에서 이동시에는 사용자가 불편하지 않도록 상기 레그 프레임(18)이 상하방향으로 펼쳐진 구조를 갖도록 하고, 실외에 나갈 경우에는 상기 실외용 휠체어(20)의 바퀴보다 위로 올라오게 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접을 수 있도록 하여, 외부의 오염물질이 실내 이동바퀴(19)에 묻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That is, when moving indoors, the leg frame 18 has a structure that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user is not uncomfortable, and when going outdoors, it can be folded vertically so that it rises above the wheels of the outdoor wheelchair 20. This is to prevent external pollutants from getting on the indoor moving wheel 19.

이와 같이, 상기 레그 프레임(18)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높낮이 조절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실내용 휠체어(10)의 시트 프레임(13)의 양측에 상호 결합하여 상기 레그 프레임(18)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낮이 조절손잡이(17)가 더 포함될 수 있다. In this way, as a height adjustment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leg frame 18,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of the leg frame 18 is mutual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seat frame 13 of the indoor wheelchair 10 A height adjustment handle 17 for adjusting may be further included.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휠체어의 높낮이 조절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height adjustment of an indoor wheelchai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part for height adjustment in FIG. 3.

상기 높낮이 조절손잡이(17)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ㄴ'자 형상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며, 그 일측 단부가 시트 프레임(13) 내부에 결합되어 레그 프레임(18)과 연동되는 구조를 갖는다. The height adjustment handle 17 has a shape bent in a'b' shape, as shown in FIG. 1, and one end thereof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eat frame 13 to interlock with the leg frame 18 Has.

즉, 상기 높낮이 조절손잡이(17)는 상기 시트 프레임(13)의 양측에 상호 결합하여 회동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높낮이 조절손잡이(17)의 회동에 의해 상기 레그 프레임(18)이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설치되는 것이다.That is, the height adjustment handle 17 is made of a structure that can be rotated by mutually coupling to both sides of the seat frame 13, as shown in Figure 3, by the rota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handle 17 The leg frame 18 is installed to have a structur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와 같은 상기 높낮이 조절손잡이(17)와 상기 레그 프레임(18)의 연동구조는 공지된 기술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일실시예로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높낮이 조절손잡이(17)의 절곡된 일단에 잠금돌기(17a)를 형성하고, 이 잠금돌기(17a)와 결합가능한 결합홈(32a)(32b)이 형성된 잠금부재(32)를 구비하며, 상기 높낮이 조절손잡이(17)의 절곡된 일단과 레그 프레임(18)을 스프링(34)으로 연결하여 상기 스프링(34)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레그 프레임(18)이 당겨질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한다. As for the interlocking structure of the height adjustment handle 17 and the leg frame 18, a variety of known techniques may be applied, and as an embodiment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the height adjustment handle A locking protrusion (17a) is formed at one end of the bent end of (17), and a locking member (32) having a coupling groove (32a) (32b) engageable with the locking protrusion (17a) is formed, and the height adjustment handle ( It is proposed a structure in which the bent end of 17) and the leg frame 18 are connected by a spring 34 so that the leg frame 18 can be pulle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34.

상기 레그 프레임(18)이 상하방향으로 펼쳐진 경우에는 상기 잠금부재(32)의 제1 결합홈(32a)에 잠금돌기(17a)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 경우, 상기 레그 프레임(18)의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레그 프레임(18)의 힌지축(18a)을 중심으로 레그 프레임(18)을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잠금수단이 구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When the leg frame 18 is unfol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locking protrusion 17a remains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groove 32a of the locking member 32. In this case, in order to maintain the unfolded state of the leg frame 18, a separate locking means may be provided for fixing the leg frame 18 around the hinge axis 18a of the leg frame 18,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후, 사용자가 실내용 휠체어(10)의 높이를 줄이기 위해 상기 높낮이 조절손잡이(17)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잠금돌기(17a)가 상기 잠금부재(32)의 제1 결합홈(32a)에서 해제되고, 좀더 회동시키면 상기 잠금돌기(17a)가 제2 결합홈(32b)에 결합되면서, 상기 스프링(34)의 스프링력으로 상기 레그 프레임(18)이 당겨지게 되어 상기 레그 프레임(18)을 접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ereafter, when the user rotates the height adjustment handle 17 counterclockwise to reduce the height of the indoor wheelchair 10, the locking protrusion 17a becomes the first coupling groove 32a of the locking member 32 Is released from, and further rotated, the locking protrusion 17a is coupled 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32b, and the leg frame 18 is pulled by the spring force of the spring 34 so that the leg frame 18 Is to be able to fold.

이와 같이, 상기 잠금돌기(17a)가 잠금부재(32)의 결합홈(32b)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스프링(34)에 의해 상기 레그 프레임(18)을 잡아당겨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In this way, as the locking protrusion 17a is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32b of the locking member 32, the leg frame 18 is pulled and folded by the spring 34.

이 경우, 상기 잠금돌기(17a)가 제2 결합홈(32b)에 결합되므로, 별도의 구성없이도 상기 레그 프레임(18)이 접혀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In this case, since the locking protrusion 17a is coupled 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32b, the folded state of the leg frame 18 can be maintained without a separate configuration.

또한, 상기 레그 프레임(18)은 'X'자 형상 이외에도 'Ⅰ', 'Ⅱ'자 형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별도의 높낮이 조절수단 없이 실내에서 실내용 휠체어(10)로 사용하다가 실외에 나갈 경우에는 그대로 실외용 휠체어(20)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도 무방하다. 이때, 상기 레그 프레임(18)은 실외용 휠체어(20)의 베이스 프레임(24)의 높이보다는 조금 짧게 형성하여 외부의 오염물질이 실내 이동바퀴(19)에 묻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leg frame 18 may have a shape of'I' or'II' in addition to the'X' shape. In this case, it is used as an indoor wheelchair 10 indoors without a separate height adjustment means. In the case of going outdoors, it is also possible to use it by being combined with the outdoor wheelchair 20 as it is. At this time, the leg frame 18 is preferably formed to be slightly shorter than the height of the base frame 24 of the outdoor wheelchair 20 so that external contaminants do not get on the indoor moving wheel 19.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실내용 휠체어(10)는 상기 실외용 휠체어(20)와 결합되는 결합수단으로서 결합핀(11)이 삽입가능한 제1 핀홀(15)이 상기 시트 프레임(13)의 전방에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indoor wheelchai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pinhole 15 into which the coupling pin 11 is inserted as a coupling means coupled with the outdoor wheelchair 20 is formed in front of the seat frame 13 Can be.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실내용 휠체어(10)와 상기 실외용 휠체어(20)를 결합하는 결합수단으로서, 상기 실내용 휠체어(10)에 제1 핀홀(15)을 형성하고, 상기 제1 핀홀(15)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실외용 휠체어(20)에 제2 핀홀(25)을 형성하고, 상기 제1 핀홀(15)과 제2 핀홀(25)에 삽입되어 상기 실내용 휠체어(10)와 실외용 휠체어(20)가 착탈식으로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결합핀(11)을 구성하였다.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as a coupling means for coupling the indoor wheelchair 10 and the outdoor wheelchair 20, a first pinhole 15 is formed in the indoor wheelchair 10, and the first pinhole 15 A second pinhole 25 is formed in the outdoor wheelchair 2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 and is inserted into the first pinhole 15 and the second pinhole 25 so that the indoor wheelchair 10 and the outdoor wheelchair (20) It is configured with a coupling pin (11) to enable fastening and separation in a detachable manner.

상기 결합핀(11)은 상기 제1 핀홀(15)과 제2 핀홀(25)에 삽입되어 상기 실내용 휠체어(10)와 실외용 휠체어(20)가 착탈식으로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부재로서, 휠체어의 좌우 양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upling pin 11 is a member that is inserted into the first pinhole 15 and the second pinhole 25 so that the indoor wheelchair 10 and the outdoor wheelchair 20 can be detachably fastened and detached, It is desirable to be install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heelchair.

한편, 상기 팔거치대(16)는 사용자가 실내용 휠체어(10)을 탔을 때 팔을 얹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시트 프레임(13)의 양측에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armrest 16 is to allow the user to put on the arm when riding the indoor wheelchair 10, it is preferab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seat frame 13 so as to be elevating if necessary.

한편, 상기 실외용 휠체어(20)는 상기 실내용 휠체어(10)의 시트 프레임(13)이 안착되는 베이스 프레임(24)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24)의 후방 하부 양측에 구비되는 주 바퀴(29)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24)의 전방 하부 양측에 구비되는 보조 바퀴(27)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24)의 전방 하부 양측에 설치되는 발판(23)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24)에 형성되어 상기 실내용 휠체어의 레그 프레임(18)이 삽입되어 결합가능한 장공형 결합홀(28)을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outdoor wheelchair 20 includes a base frame 24 on which the seat frame 13 of the indoor wheelchair 10 is seated, and main wheels 29 provided on both rear and lower sides of the base frame 24 And, auxiliary wheels 27 provided on both front and lower sides of the base frame 24, footrests 23 installed on both front and lower sides of the base frame 24, and formed on the base frame 24 The leg frame 18 of the indoor wheelchair may be inserted and may include a long-hole type coupling hole 28 that can be coupled.

이러한 실외용 휠체어(20)는 인력에 의하여 주 바퀴(29)를 구동시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주 바퀴(29)에는 구동 링이 장착되어 탑승자가 주 바퀴(29)의 구동 링을 잡아 돌려 이동하거나 환자의 보호자 등의 타인이 휠체어의 손잡이를 잡고 밀어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This outdoor wheelchair 20 is configured to be moved by driving the main wheel 29 by manpower, and the main wheel 29 is equipped with a driving ring so that the occupant grabs the driving ring of the main wheel 29 and turns it. Move or allow other people, such as the patient's guardian, to grasp the handle of the wheelchair and push it to move.

본 발명에서는 인력에 의하여 주 바퀴(29)를 구동시켜 이동하는 수동형 휠체어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외용 휠체어(20)가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상기 실내용 휠체어(10)의 시트 프레임(13)이 안착되는 베이스 프레임(24)과, 상기 실내용 휠체어의 레그 프레임(18)이 삽입되어 결합가능한 장공형 결합홀(28)을 포함하는 구조라면 전동식 휠체어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manual wheelchair that moves by driving the main wheel 29 by manpower is illustrated as an example, but the outdoor wheelchair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eat frame 13 of the indoor wheelchair 10 It goes without saying that if it includes a base frame 24 on which) is seated, and a long-hole type coupling hole 28 that can be coupled by inserting the leg frame 18 of the indoor wheelchair, it can be applied to an electric wheelchair.

한편, 상기 베이스 프레임(24)의 후방에는 상부측으로 절곡하여 형성된 등받이 프레임(22)이 구비되며, 상기 등받이 프레임(22)과 베이스 프레임(24)에 실내용 휠체어(10)를 결합하여 실외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at the rear of the base frame 24, a backrest frame 22 formed by bending upward is provided, and an indoor wheelchair 10 is combined with the backrest frame 22 and the base frame 24 to be used outdoors. Make it possibl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외용 휠체어(20)에는 실내용 휠체어(1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실내용 휠체어의 레그 프레임(18)이 삽입가능한 장공형의 결합홀(28)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24)에 형성된다. In the outdoor wheelchair 2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frame 24 has a long-hole coupling hole 28 into which the leg frame 18 of the indoor wheelchair can be inserted so that the indoor wheelchair 10 can be coupled. Is formed in

상기 결합홀(28)은 베이스 프레임(24)의 선단에서부터 길게 형성된 것으로, 상기 실내용 휠체어의 레그 프레임(18)이 베이스 프레임(24)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결합홀(28)에 삽입되어 도 2와 같이, 실외용 휠체어(20)에 실내용 휠체어(10)가 결합되게 된다. The coupling hole 28 is formed long from the front end of the base frame 24, and the leg frame 18 of the indoor wheelchair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28 from the front end of the base frame 24, Likewise, the indoor wheelchair 10 is coupled to the outdoor wheelchair 20.

이와 같이, 실외용 휠체어(20)에 실내용 휠체어(10)가 결합된 후, 상기 결합핀(11)을 제1 핀홀(15)과 제2 핀홀(25)에 끼우면 실외용 휠체어(20)에 실내용 휠체어(10)가 견고하게 결합된다. In this way, after the indoor wheelchair 10 is coupled to the outdoor wheelchair 20, when the coupling pin 11 is inserted into the first pinhole 15 and the second pinhole 25, the outdoor wheelchair 20 is used for indoor use. The wheelchair 10 is firmly coupled.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24)에는 상기 실내용 휠체어(10)의 팔거치대(16)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팔거치대 삽입홀(26)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ase frame 24 may be provided with an armrest insertion hole 26 to which the armrest 16 of the indoor wheelchair 10 is inserted and fixed.

상기 팔거치대 삽입홀(26)은 상기 팔거치대(16)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팔거치대(16)를 하강시키면 팔거치대(16)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The armrest insertion hole 26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armrest 16, and is formed in a size such that the armrest 16 can be inserted when the armrest 16 is lowered.

도 5는 실내용 휠체어의 팔거치대를 팔거치대 삽입홀에 삽입함으로써, 2중으로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실내용 휠체어의 팔거치대(16)를 상기 실외용 휠체어의 베이스 프레임에 형성된 팔거치대 삽입홀(26)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결합핀(11)의 결합과 아울러 2중으로 결합수단이 구성되게 할 수도 있다.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armrest of an indoor wheelchair is double-coupled by inserting the armrest into the armrest insertion hole.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rmrest 16 of the indoor wheelchair is formed on the base frame of the outdoor wheelchair. By inserting into the armrest insertion hole 26, the coupling means may be configured as a double as well as the coupling of the coupling pins 11.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내외 겸용 휠체어는 실내용 휠체어(10)와 실외용 휠체어(20)를 분리하여, 필요에 따라 착탈식으로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평상시에는 실내용 휠체어로 사용하고 실외용 휠체어(20)와 실내용 휠체어(10) 결합시에 높낮이 조절손잡이(17)를 통해 레그 프레임(18)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외부의 도움없이 결합이 가능하다.The indoor/outdoor combined wheel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configured to separate the indoor wheelchair 10 and the outdoor wheelchair 20 so that it can be fastened and detached in a detachable manner as necessary, so that it is used as an indoor wheelchair. When the outdoor wheelchair 20 and the indoor wheelchair 10 are combined, the height of the leg frame 18 is adjusted through the height adjustment handle 17 so that it can be combined without external help.

또한, 실내에서는 휠체어의 부피를 현저히 줄여서, 좁은 실내공간에서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고, 휠체어의 부피 및 무게 분할의 효과를 통해 이동과 보관, 차량적재의 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volume of the wheelchair indoors, it is possible to freely move even in a narrow indoor space, and the convenience of movement, storage and vehicle loading can be further improved through the effect of dividing the volume and weight of the wheelchair.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and it is obvious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Or it should be said that the modified examples belo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실내용 휠체어 11: 결합핀
12: 등받이 13: 시트 프레임
14: 시트 15: 제1 핀홀
16: 팔거치대 17: 높낮이 조절손잡이
18: 레그 프레임 19: 실내 이동바퀴
20: 실외용 휠체어 22: 등받이 프레임
23: 발판 24: 베이스 프레임
25: 제2 핀홀 26: 팔거치대 삽입홀
27: 보조 바퀴 28: 장공형 결합홀
29: 주 바퀴
10: indoor wheelchair 11: coupling pin
12: backrest 13: seat frame
14: sheet 15: first pinhole
16: armrest 17: height adjustment handle
18: leg frame 19: indoor moving wheel
20: outdoor wheelchair 22: backrest frame
23: footrest 24: base frame
25: second pinhole 26: armrest insertion hole
27: auxiliary wheel 28: long coupling hole
29: main wheel

Claims (10)

등받이와 시트가 구비되고, 실내에서 이동이 가능한 실내 이동바퀴가 구비되는 실내용 휠체어;
상기 실내용 휠체어와 분리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상기 실내용 휠체어와 결합가능하여 실외에서 휠체어를 사용가능하도록 하는 실외용 휠체어; 및
상기 실내용 휠체어와 실외용 휠체어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실내용 휠체어는, 상기 시트를 장착하기 위한 시트 프레임; 상기 시트 프레임의 하단에 설치되는 레그 프레임; 상기 레그 프레임의 하단 전, 후방에 장착된 실내 이동바퀴; 상기 시트 프레임의 후방에 결합되고 상부측으로 절곡하여 형성된 등받이 프레임; 및 상기 시트 프레임의 양측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팔거치대;를 포함하여 되고
상기 실외용 휠체어는, 상기 실내용 휠체어의 시트 프레임이 안착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후방 하부 양측에 구비되는 주 바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 하부 양측에 구비되는 보조 바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방 하부 양측에 설치되는 발판;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실내용 휠체어의 레그 프레임이 삽입되어 결합가능한 장공형 결합홀;을 포함하여 되며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실내용 휠체어에 형성되는 제1 핀홀 ; 상기 제1 핀홀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실외용 휠체어에 형성되는 제2 핀홀 ; 상기 제1 핀홀과 제2 핀홀에 삽입되어 상기 실내용 휠체어와 실외용 휠체어가 착탈식으로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결합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겸용 휠체어.
An indoor wheelchair provided with a backrest and a seat, and an indoor moving wheel capable of moving indoors;
An outdoor wheelchair capable of being combined with the indoor wheelchair as needed in a separate state from the indoor wheelchair so that the wheelchair can be used outdoors; And
Coupling means for coupling the indoor wheelchair and the outdoor wheelchair; Including,
The indoor wheelchair includes a seat frame for mounting the seat; A leg frame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seat frame; Indoor moving wheels mount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lower end of the leg frame; A backrest frame coupled to the rear of the seat frame and bent upwardly; And armrests installed to be elevating on both sides of the seat frame.
The outdoor wheelchair may include a base frame on which a seat frame of the indoor wheelchair is seated; Main wheel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rear of the base frame; Auxiliary wheel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front side of the base frame; Footboard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front side of the base frame; And a long-hole type coupling hole formed in the base frame and into which the leg frame of the indoor wheelchair is inserted and connectable.
The coupling means, a first pinhole formed in the indoor wheelchair ; A second pinhole formed in the outdoor wheelchai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pinhole ; Indoor and outdoor combined wheelchairs,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ing a coupling pin inserted into the first pinhole and the second pinhole so that the indoor wheelchair and the outdoor wheelchair can be fastened and separated in a detachable manner.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내용 휠체어는,
상기 시트 프레임의 양측에 상호 결합하여 상기 레그 프레임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낮이 조절손잡이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겸용 휠체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door wheelchair,
Combined indoor and outdoor wheelchair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height adjustment handle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leg frame by mutual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seat fram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그 프레임은 중앙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하로 높낮이가 조절가능하도록 'X'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겸용 휠체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eg frame is an indoor/outdoor combined wheelchair,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hape of'X' so that the height of the leg frame is adjustable up and down around a hinge axis at the cent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내용 휠체어는, 상기 실외용 휠체어와 착탈식으로 체결 및 분리되게 하는 상기 결합핀의 삽입가능한 제1 핀홀이 상기 시트 프레임의 전방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겸용 휠체어.The indoor/outdoor combined wheelchai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door wheelchair has a first insertable pinhole of the coupling pin that is detachably fastened and detached from the outdoor wheelchair in front of the seat frame. 삭제delet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실외용 휠체어는, 상기 실내용 휠체어의 상기 시트 프레임에 형성된 제1핀홀로 삽입된 상기 결합핀의 삽입가능한 제2 핀홀이 상기 실외용 휠체어의 베이스 프레임 전방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겸용 휠체어.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in the outdoor wheelchair, a second insertable pinhole of the coupling pin inserted into the first pinhole formed in the seat frame of the indoor wheelchair is formed in front of the base frame of the outdoor wheelchair. Combined indoor and outdoor wheelchair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상기 실내용 휠체어의 팔거치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팔거치대 삽입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겸용 휠체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indoor/outdoor combined wheelchair, characterized in that the base frame has an armrest insertion hole in which the armrest of the indoor wheelchair is inserted and fixed.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실내용 휠체어의 팔거치대를 상기 실외용 휠체어의 베이스 프레임에 형성된 팔거치대 삽입홀에 삽입함으로써, 2중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겸용 휠체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upling means is a dual indoor/outdoor wheelchair, characterized in that by inserting the armrest of the indoor wheelchair into the armrest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base frame of the outdoor wheelchair.
KR1020180118698A 2018-10-05 2018-10-05 Wheelchair for indoor-outdoor KR1021860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698A KR102186013B1 (en) 2018-10-05 2018-10-05 Wheelchair for indoor-outdo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698A KR102186013B1 (en) 2018-10-05 2018-10-05 Wheelchair for indoor-outdo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9158A KR20200039158A (en) 2020-04-16
KR102186013B1 true KR102186013B1 (en) 2020-12-03

Family

ID=70454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8698A KR102186013B1 (en) 2018-10-05 2018-10-05 Wheelchair for indoor-outdo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601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6731A (en) 2021-02-15 2022-08-23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Multi-walker that can be used indoors and outdoor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1752A (en) * 1999-12-14 2001-06-19 Tsuneo Kamibayashi Separable wheel chair
JP2003325583A (en) * 2002-05-16 2003-11-18 Mda System:Kk Wheelchair with mobile legless chai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2889A (en) * 2011-03-09 2012-09-19 황원경 Electric wheelchair
KR20180046908A (en) 2016-10-28 2018-05-09 유영배 Lift Wheelchair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1752A (en) * 1999-12-14 2001-06-19 Tsuneo Kamibayashi Separable wheel chair
JP2003325583A (en) * 2002-05-16 2003-11-18 Mda System:Kk Wheelchair with mobile legless chai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6731A (en) 2021-02-15 2022-08-23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Multi-walker that can be used indoors and outdo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9158A (en) 2020-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7342B1 (en) Electric wheelchair
US7472921B2 (en) Assistive mobility device
US6776433B2 (en) Assistive mobility device
US20100154116A1 (en) Wheelchair transfer device
US3758150A (en) Collapsible wheel chair
JP2009172108A (en) Excretion supporting wheelchair
KR102268100B1 (en) Device for movement auxiliary in wheelchair user
JP7475247B2 (en) Multifunctional wheelchair
JP2007090020A (en) Self transferring wheelchair
KR102186013B1 (en) Wheelchair for indoor-outdoor
KR102320543B1 (en) wheel style portable toilet which is able to a boarding sitting posture
KR200406017Y1 (en) Folding and unfold device of footrest for wheelchair
US20090194975A1 (en) Assistive mobility device
JP2005319248A5 (en)
CN212490466U (en) Pose adjusting armrest for wheelchair
JP4147569B2 (en) wheelchair
KR200311341Y1 (en) Device that regulate angle the back of wheel chair
JP3227598B2 (en) Wheelchair equipment
JPS6159734B2 (en)
KR20210127327A (en) Wheelchair with lifting function
JP2008237583A (en) Wheelchair for assistance and footrest assembly used therefor
JP2008188146A (en) Foot stand operating mechanism of wheelchair
JP2537250Y2 (en) Combination bed with supporting chair.
CN112656596B (en) Multifunctional wheelchair
CN216702804U (en) Wheelchair with auxiliary bed-entering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