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5602B1 - Wound protector for surgery - Google Patents

Wound protector for surge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5602B1
KR102185602B1 KR1020200032910A KR20200032910A KR102185602B1 KR 102185602 B1 KR102185602 B1 KR 102185602B1 KR 1020200032910 A KR1020200032910 A KR 1020200032910A KR 20200032910 A KR20200032910 A KR 20200032910A KR 102185602 B1 KR102185602 B1 KR 102185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gical
view
rim
present
inc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29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32072A (en
Inventor
윤여규
이규언
유형원
최준영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32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5602B1/en
Publication of KR20200032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207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5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56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8Accessories or related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수술용 보호 용구가 개시된다. 수술용 보호 용구는 평면도 상에서 편자 형상을 가지는 제1 테두리면, 상기 제1 테두리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평면도 상에서 편자 형상을 가지는 제2 테두리면, 상기 제1 테두리면과 상기 제2 테두리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테두리면의 내측 단부와 상기 제2 테두리면의 내측 단부를 서로 연결하여 요홈을 형성하는 내측면 및 상기 제1 테두리면의 외측 단부와 상기 제2 테두리면의 외측 단부를 연결하는 외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요홈 내에 수술 절개부위가 삽입된다. A surgical protective device is disclosed. Surgical protective equipment is a first rim surface having a horseshoe shape on a plan view, a second rim surface arranged to face the first rim surface and having a horseshoe shape on a plan view, and between the first rim surface and the second rim surface Disposed, and connecting the inner end of the first rim surface and the inner end of the second rim surface to form a groove, and the outer end of the first rim surface and the outer end of the second rim surface It includes an outer surface, and the surgical incision is inserted into the groove.

Description

수술용 보호용구{WOUND PROTECTOR FOR SURGERY}Surgical protective equipment{WOUND PROTECTOR FOR SURGERY}

본 발명은 수술용 보호용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술 절개 부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수술용 보호용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rgical protectiv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urgical protective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damage to the surgical incision site.

일반적으로 피부를 절개할 필요가 있는 수술 시에는 수술 절개부위가 노출되어 세균에 의해 수술 절개부위가 오염될 수 있다. 또한, 창상 감염, 혈종 등의 합병증이나 암 수술 등의 경우에 암세포가 수술 중 종양으로부터 떨어져 수술 절개부위에 부착되어 암이 전이될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을 갖게 된다.In general, during surgery that requires incision of the skin, the surgical incision may be exposed and the surgical incision may be contaminated by bacteria. In addition, in the case of complications such as wound infection, hematoma, or cancer surgery, cancer cells may be detached from the tumor during surgery and adhered to the surgical incision, thereby causing the cancer to metastasize.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기존에는 의사에게 수술 시 수술부위에 대한 수술 시야를 좋게 하는 외과용 패드(Surgical pad)(수술부위 이외의 장기 손상을 막기 위해 임시로 집어넣어서 수술부위의 출혈을 흡수하여 닦아주는데 사용되고 수술 시 출혈된 혈액을 흡수하기 위하여 흡수성을 갖는 살균 처리된 두꺼운 거즈 형태)가 사용되었지만 이는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갖고 있었다.In consideration of these problems, conventionally, surgical pads that give the surgeon a good view of the surgery site during surgery (a surgical pad is temporarily inserted to prevent damage to organs other than the surgery site to absorb and wipe the bleeding from the surgery site). A sterilized thick gauze type with absorbent properties was used to absorb bleeding blood during surgery, but this had the following disadvantages.

수술 부위에 두꺼운 외과용 패드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외과용 패드를 인입할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피부 절개부위를 필요 이상으로 크게 절개할 수 밖에 없어 상흔이 크고 상처부위의 회복이 지연되어 환자의 고통이 가중된다는 단점이 있었다.In the case of applying a thick surgical pad to the surgical site, the incision of the skin must be made larger than necessary to provide a space to insert the surgical pad, resulting in a large scar and delayed recovery of the wound area, resulting in patient pain. There was a drawback of being weighted.

또한, 외과용 패드는 수술부위의 지혈을 주목적으로 적용하는 것이어서 수술 시 수술 절개부위가 외부에 노출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오염된 공기 등을 통해 수술 절개부위가 감염되거나 내부 장기 수술 시 감염된 내부 장기의 적출물이 절개된 수술 절개부위에 접촉할 우려가 있어 합병증 발생의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since surgical pads primarily apply hemostasis to the surgical site, the surgical incision area is exposed to the outside during surgery, so the surgical incision site is infected through contaminated air or internal organs that are infected during internal organ surgery. There was a problem of complications because there was a concern that the extract of the patient would come into contact with the surgical incision.

또한, 암 수술의 경우 암세포가 절개면에 부착되어 전이될 위험성이 있으며, 견인기 등으로 수술 절개부위를 당겨 시야를 확보할 때 절개면을 보호하는 별도의 구조가 없어 견인기 자체에 의한 절개면의 손상 가능성의 문제 점이 있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cancer surgery, there is a risk of cancer cells adhering to the incision surface and metastasis, and there is no separate structure to protect the incision surface when the surgical incision is pulled with a retractor, etc., so that the incision surface is damaged by the retractor itself. There was a problem with the possibility.

또한, 일부에서는 폴리에틸렌 혹은 비닐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견인기 등을 상기와 같은 목적으로 사용하기도 하였으나, 초음파 절삭기 등을 이용한 수술 도구 사용 시 수술 도구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폴리에틸렌 혹은 비닐 등이 녹아 수술 절개부위에 추가적 손상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some cases, a retractor made of a material such as polyethylene or vinyl was used for the above purpose, but when using a surgical tool using an ultrasonic cutter, etc., polyethylene or vinyl is melted by the heat generated from the surgical tool, causing it to melt into the surgical incision. There was a problem of causing additional damage.

따라서, 수술 절개부위를 수술자가 신속하고 정확하게 고정하여 외부의 영향으로부터 보호함과 동시에 열에 의한 수술 절개부위의 화상도 방지할 수 있는 수술용 보호용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surgical protective tool that can protect the surgical incision site from external influences by quickly and accurately fixing the surgical incision site and also prevent burns of the surgical incision area caused by heat.

미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172681 호(2013. 07. 04. 공개)US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13/0172681 (published on July 04, 2013)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수술 시 수술 절개부위에 대한 세균의 감염, 외력에 의한 손상 및 화상으로 인한 손상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수술용 보호용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rgical protective tool that can protect against bacterial infection, damage due to external force, and damage due to burns to the surgical incision during surgery.

또한, 수술 중 수술용 보호용구에 물리적인 힘이 가해질 때, 수술 절개부위를 감싸고 있는 보호용구의 위치의 변화 또는 이탈을 최소화하여 수술 시야를 보다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수술용 보호용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In addition, when physical force is applied to the surgical protective equipment during surgery, it is intended to provide surgical protective equipment that can secure the surgical field of view more stably by minimizing the change or departure of the position of the protective equipment surrounding the surgical incision. Is to do.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 용구는 평면도 상에서 편자 형상을 가지는 제1 테두리면, 상기 제1 테두리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평면도 상에서 편자 형상을 가지는 제2 테두리면, 상기 제1 테두리면과 상기 제2 테두리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테두리면의 내측 단부와 상기 제2 테두리면의 내측 단부를 서로 연결하여 요홈을 형성하는 내측면 및 상기 제1 테두리면의 외측 단부와 상기 제2 테두리면의 외측 단부를 연결하는 외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요홈 내에 수술 절개부위가 삽입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s, the surgical protective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to face the first rim surface having a horseshoe shape on a plan view, the first rim surface, and having a horseshoe shape on the plan view. A second rim surface, an inner surface disposed between the first rim surface and the second rim surface, and connecting the inner end of the first rim surface and the inner end of the second rim surface to form a groove, and the It includes an outer surface connecting the outer end of the first rim surface and the outer end of the second rim surface, and the surgical incision is inserted into the groov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 용구는 다양한 크기로 제작될 수 있고, 수술 절개부위의 크기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다. The protective device for surg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sizes,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urgical incision.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외측면은 상기 제1 테두리면과 인접하는 제1 외측면 및 상기 제2 테두리면과 인접하는 제2 외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outer surface may include a first outer surface adjacent to the first rim surface and a second outer surface adjacent to the second rim surface.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제1 외측면의 우측 및 좌측 폭은 상기 제1 외측면의 상측 폭보다 넓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외측면의 우측 및 좌측 폭은 상기 제2 외측면의 상측 폭보다 넓을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right and left widths of the first outer surface may be wider than an upper width of the first outer surface. In addition, right and left widths of the second outer surface may be wider than an upper width of the second outer surface.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제1 외측면 및 상기 제2 외측면은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first outer surface and the second outer surface may have a curved shape.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제1 테두리면 및 상기 제2 테두리면은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 상에서 하부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테두리면 및 상기 제2 테두리면은 정면도 및 배면도 상에서 상부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edge surface and the second edge surface may have a shape that is convex downward on a left side view and a right side view. The first and second rim surfaces may have a convex shape in an upward direction on a front view and a rear view.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제1 테두리면 및 상기 제2 테두리면은 좌측면도, 우측면도, 정면도 및 배면도 상에서 직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rim surfaces may have a straight line shape on a left side view, a right side view, a front view, and a rear view.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신속하게 진행되어야 하는 수술 환경에서 수술 절개부위가 보다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고정적으로 감싸는 형태로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수술 절개부위를 세균의 감염 및 화상에 의한 피부 상처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protect the surgical incision from skin wounds caused by bacterial infections and burns by allowing the surgical incision to be inserted in a form that wraps more quickly and accurately in a surgical environment that must proceed quickly.

또한, 수술 절개부위가 요홈에 삽입하기만 하면 수술 절개부위를 보호할 수 있어 간편한 조작만으로도 수술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수술 절개부위에 대한 신속한 고정이 가능하면서도 손쉽게 수술 시야를 확보할 수 있어 수술 절개부위를 효과적으로 보호하면서도 수술 시간을 상당히 단축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long as the surgical incision is inserted into the concave groove, the surgical incision can be protected, so that the operation can be stably performed with only simple manipulation.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quickly fix the surgical incision site and easily secure the surgical field of view, thereby effectively protecting the surgical incision site and significantly shortening the operation time.

또한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광 투과성 재질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수술자가 절개면에서의 출혈을 관찰할 수 있어, 절개면의 지혈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application, when a light-transmitting material is used, the operator can observe bleeding on the incision surface, so that the hemostatic state on the incision surface can be more accurately grasp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 용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 용구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 용구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 용구의 좌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 용구의 우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 용구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 용구의 배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 용구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 용구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 용구의 저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 용구의 좌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 용구의 우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 용구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 용구의 배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rgical protectiv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of the surgical protective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ottom view of a protective device for surg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left side view of the surgical protective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right side view of a surgical protectiv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view of a surgical protectiv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rear view of a surgical protectiv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rgical protectiv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lan view of a surgical protectiv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bottom view of a surgical protectiv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left side view of a surgical protectiv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right side view of a surgical protectiv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front view of a surgical protectiv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rear view of a surgical protectiv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application. However,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addition, in the drawings,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application,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with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that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that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do.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member is said to be positioned "on" another member,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the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other member, but also the case where another member exists between the two members.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when a certain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 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The terms "about", "substantially", and the like, to the extent used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are used at or close to the numerical value when manufacturing and material tolerances inherent to the stated meaning are presented,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application To assist, accurate or absolute figures are used to prevent unfair use of the stated disclosure by unscrupulous infringer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 용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 용구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 용구의 저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 용구의 좌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 용구의 우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 용구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 용구의 배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rgical protective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of a surgical protective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 surgical protective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ottom view, Figure 4 is a left side view of the surgical protective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right side view of the surgical protective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ront view of the surgical protective equipment according to the example, Figure 7 is a rear view of the surgical protective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 용구(1000)는 제1 테두리면(100), 제2 테두리면(200), 내측면(300) 및 외측면(500)을 포함할 수 있다. 1 to 3, the surgical protective equipment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rim surface 100, a second rim surface 200, an inner surface 300, and an outer surface 500. ) Can be included.

상기 제1 테두리면(100)은 평면도 상에서 편자(horseshoe)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테두리면(1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 용구의 평면도 상에서 보이는 면을 지칭하며, 상기 내측면(300) 및 상기 외측면(500)을 연결한다. 상기 제2 테두리면(200)은 상기 제1 테두리면(100)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저면도 상에서 편자(horseshoe)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테두리면(2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 용구의 저면도 상에서 보이는 면을 지칭하며, 상기 내측면(300) 및 상기 외측면(500)을 연결한다. The first edge surface 100 may have a horseshoe shape on a plan view. The first rim surface 100 refers to a surface viewed on a plan view of the surgical protectiv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nnects the inner side surface 300 and the outer surface 500. The second edge surface 200 is disposed to face the first edge surface 100 and may have a horseshoe shape on a bottom view. The second rim surface 200 refers to a surface seen on the bottom view of the surgical protectiv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nnects the inner side surface 300 and the outer surface 5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 용구(1000)는 일부분이 절단된 림(rim)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단면이 'U'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테두리면(100)은 수술용 보호 용구(1000)의 림 형상의 개방된 영역에서 내부 중심점(10)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테두리면(200)은 수술용 보호 용구(1000)의 림 형상의 개방된 영역에서 내부 중심점(10)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테두리면(100) 및 상기 제2 테두리면(200)은 개방되어 있는 하측에서 서로 만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surgical protective device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rim shape in which a portion is cut. That is, the cross section may have a'U' shape. The first rim surface 100 may extend in a direction toward the inner central point 10 in the rim-shaped open area of the surgical protective device 1000. In addition, the second rim surface 200 may extend in a direction toward the inner central point 10 in the rim-shaped open area of the surgical protective tool 1000. Accordingly, the first edge surface 100 and the second edge surface 200 may be formed to meet each other at the lower side that is open.

상기 내측면(300)은 제1 테두리면(100)과 제2 테두리면(200) 사이에 배치되고, 제1 테두리면(100)의 내측 단부와 제2 테두리면(200)의 내측 단부를 연결하여 요홈(400)을 형성할 수 있다. 요홈(400) 내에는 수술 절개부위가 삽입될 수 있고, 요홈(400)은 그 단면이'U'자 형상일 수 있다. The inner surface 30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im surfaces 100 and 200, and connects the inner end of the first rim surface 100 and the inner end of the second rim surface 200 Thus, the groove 400 can be formed. A surgical incision may be inserted into the groove 400, and the groove 400 may have a'U' shape in cross section.

상기 외측면(500)은 상기 제1 테두리면(100)과 인접하는 제1 외측면(510) 및 상기 제2 테두리면(200)과 인접하는 제2 외측면(5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외측면(510)은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외측면(510)의 폭은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외측면(510)의 상측은 제1 폭(d1)으로 형성되고, 좌측 및 우측은 상기 제1 폭(d1) 보다 넓은 제2 폭(d2)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폭(d1) 및 상기 제2 폭(d2)은 상기 제1 외측면(510)과 상기 제2 외측면의 경계선으로부터 상기 제1 외측면(510)과 상기 제1 테두리면(100)의 경계선까지의 거리를 말한다.The outer surface 500 may include a first outer surface 510 adjacent to the first rim surface 100 and a second outer surface 520 adjacent to the second rim surface 200. The first outer surface 510 may have a curved shape. The width of the first outer surface 510 may have a shape that decreases from a lower side to an upper side. For example, an upper side of the first outer surface 510 may be formed with a first width d1, and left and right sides may be formed with a second width d2 that is wider than the first width d1. Here, the first width d1 and the second width d2 are from the boundary line between the first outer surface 510 and the second outer surface, the first outer surface 510 and the first border surface ( 100) is the distance to the boundary line.

상기 제2 외측면(520)은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외측면(520)의 폭은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들 들어, 상기 제2 외측면(520)의 상측은 제3 폭(d3)으로 형성되고, 좌측 및 우측은 상기 제3 폭(d3) 보다 넓은 제4 폭(d4)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폭(d3) 및 상기 제4 폭(d4)은 상기 제 외측면(510)과 상기 제2 외측면의 경계선으로부터 상기 제2 외측면(520)과 상기 제2 테두리면(200)의 경계선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The second outer surface 520 may have a curved shape. The width of the second outer surface 520 may have a shape that decreases from a lower side to an upper side. For example, an upper side of the second outer surface 520 may be formed with a third width d3, and left and right sides may be formed with a fourth width d4 that is wider than the third width d3. Here, the third width d3 and the fourth width d4 are defined as the second outer surface 520 and the second border surface 200 from the boundary line between the second outer surface 510 and the second outer surface. ) Is the distance to the boundary line.

상기 제1 외측면(510)의 폭 및 상기 제2 외측면(520)의 폭이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므로, 상기 요홈(400)의 깊이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얕아지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용구(1000)는 상측에서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술용 보호용구(1000)가 상측에서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되므로 수술용 보호용구(1000)는 상측을 중심으로 좌측 및 우측 부분이 내부 방향으로 쉽게 휘어질 수 있다. Since the width of the first outer surface 510 and the width of the second outer surface 520 are formed to become narrower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the depth of the groove 400 is formed to become shallower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Accordingly, the surgical protective equipment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relatively thin from the upper side. In addition, since the surgical protective equipment 1000 is formed relatively thin from the upper side, the left and right portions of the surgical protective equipment 1000 around the upper side can be easily bent in the inner dir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용구(1000)는 수술 시 환자의 절개 부위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수술용 보호용구(1000)가 상측을 중심으로 좌측 및 우측이 내부 방향으로 쉽게 휘어질 수 있으므로, 환자의 수술 부위를 벌려줄 필요가 없이 쉽게 삽입이 가능하다. 또한, 내부 방향으로 휘어진 수술용 보호용구(1000)는 탄성을 갖는 물질로 형성되어 원래의 형상으로 돌아가려는 성질이 있으므로, 삽입된 후 환자의 수술부위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The surgical protective equipment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incision site of the patient during surgery. At this time, since the surgical protective device 1000 can be easily ben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round the upper side, it can be easily inserted without the need to open the patient's surgical site. In addition, since the surgical protective equipment 1000 bent in the inner direction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to return to its original shape, it can be firmly fixed to the surgical site of the patient after being inser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용구(1000)는 힘을 가했을 때 복원성을 가지므로 수술 부위에 삽입된 후 수술 부위를 지속적으로 벌려주는 역할을 하게 되어 수술 시 시야 확보에 효과적이며, 힘을 가했을 때 탄력성을 가지므로 수술 부위를 벌려주는 작업이 없이도 수술 부위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Since the surgical protective equipment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resilience when a force is applied, it plays a role of continuously opening the surgical site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surgical site, so it is effective to secure a field of vision during surgery, and When applied, it has elasticity, so it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surgical site without opening the surgical site.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용구(1000)는 환자의 수술 부위를 지속적으로 벌려줄 수 있는 충분한 복원력을 가지며, 환자의 수술 부위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탄력성이 있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복원력이 너무 강하여 쉽게 휘어지지 않거나, 탄력성이 너무 강하여 수술 부위를 지속적으로 벌려주는 힘이 약하지 않도록, 수술 부위를 지속적을 벌려주는 충분한 힘을 가지면서 삽입 시 잘 휘어질 수 있는 충분한 탄성력을 갖도록 복원력과 탄력성이 적절하게 조화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refore, the surgical protective equipment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sufficient resilience to continuously open the patient's surgical site, and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so that it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surgical site of the patient. Can be formed. In particular, so that the resilience is too strong to bend easily, or the force to continuously open the surgery site is not weak because the elasticity is too strong, it has sufficient strength to continuously open the surgery site and has sufficient elasticity to bend well when inserted. Resilience and elasticity can be formed from a material that is suitably balanced.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용구(1000)는 바라보는 방향에 따라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4 to 7, the surgical protective device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convex shape in an upper or lower direction according to a viewing dir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용구(1000)는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 상에서 하부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테두리면(100) 및 상기 제2 테두리면(200)은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 상에서 하부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surgical protective equipment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a shape that is convex downward on the left side view and the right side view. Accordingly, the first edge surface 100 and the second edge surface 200 may have a convex shape in a lower direction on a left side view and a right side view.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용구(1000)는 정면도 및 배면도 상에서 상부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테두리면(100) 및 상기 제2 테두리면(200)은 정면도 및 배면도 상에서 상부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rgical protective equipment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a shape that is convex upward in a front view and a rear view. Accordingly, the first edge surface 100 and the second edge surface 200 may have a convex shape in an upward direction on a front view and a rear view.

본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용구(1000)는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 상에서 하부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정면도 및 배면도 상에서 상부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용구(1000)는 갑상선절제술에 사용되는 경우 인체의 구조에 가까운 형상을 가지므로 환자의 절제부위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The surgical protective equipment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in a shape that is convex downward on the left and right views, and is formed in a shape that is convex upward on the front view and the rear view. Therefore, the surgical protective equipment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shape close to the structure of the human body when used for thyroidectomy, and thus can be firmly fixed to the resection site of the patient.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 용구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 용구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 용구의 저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 용구의 좌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 용구의 우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 용구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 용구의 배면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rgical protectiv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lan view of a surgical protectiv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bottom view of a surgical protectiv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left side view of a surgical protectiv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right side view of a surgical protectiv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front view of a surgical protectiv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rear view of a surgical protectiv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 용구(2000)는 제1 테두리면(100)과 제2 테두리면(200)이 좌측면도, 우측면도, 정면도 및 배면도 상에서 직선 형상을 가지는 것을 제외하고는 위에서 설명한 수술용 보호 용구(1000)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urgical protective equipment 20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that the first rim surface 100 and the second rim surface 200 have a straight line shape on the left side view, the right side view, the front view and the rear view Since it is the same as the surgical protective device 1000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8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 용구(2000)는 제1 테두리면(100), 제2 테두리면(200), 내측면(300) 및 외측면(500)을 포함할 수 있다. 수술용 보호 용구(2000)의 제1 테두리면(100)과 제2 테두리면(200)은 각각 편자 형상을 가지며, 제1 테두리면(100)과 제2 테두리면(200)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내측면(300)은 제1 테두리면(100)의 내측 단부와 제2 테두리면(200)의 내측 단부를 서로 연결하여 요홈(400)을 형성할 수 있다.8 to 14, a surgical protective tool 20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rim surface 100, a second rim surface 200, an inner surface 300, and an outer surface ( 500). The first edge surface 100 and the second edge surface 200 of the surgical protective tool 2000 have a horseshoe shape, and the first edge surface 100 and the second edge surface 200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Can be. The inner surface 300 may form the groove 400 by connecting the inner end of the first rim surface 100 and the inner end of the second rim surface 200 to each other.

본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 용구(2000)는 좌측면도, 우측면도, 정면도 및 배면도 상에서 직선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 용구(1000)보다 복부와 같이 비교적 평평한 형상을 갖는 신체 부위의 절개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The surgical protective tool 20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has a straight line shape on the left side view, the right side view, the front view and the rear view. Therefore, it can be firmly fixed to the incision surface of the body part having a relatively flat shape such as the abdomen than the surgical protective equipment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용구들(1000, 2000)은 제1 테두리면(100), 제2 테두리면(200), 내측면(300) 및 외측면(50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광 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광 투과성 재질이란 반투명 내지 완전 투명한 재질을 모두 포함 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광 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수술자는 수술 절개부위 및 수술 절개면의 출혈을 관찰할 수 있고, 지혈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Surgical protective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0, 2000) is the first rim surface 100, the second rim surface 200, the inner surface 300 and the outer surface 500 to be formed integrally. May be, and may be made of a light-transmitting material. The light-transmitting material may be understood as a concept including all translucent or completely transparent materials. When made of a light-transmitting material, the operator can observe the bleeding of the surgical incision site and the surgical incision surface, and can more accurately grasp the hemostasis stat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용구들(1000, 2000)은 제1 테두리면(100), 제2 테두리면(200), 내측면(300) 및 외측면(500)은 불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추가적으로 염료 물질을 포함시킴으로써 색상을 띠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색상을 띠게 하는 경우에는 특정한 수술 부위 등 용도를 한정하는 기능 등을 발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addition, the surgical protective equipment (1000, 2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first rim surface 100, the second rim surface 200, the inner surface 300 and the outer surface 500 is opaque It can be made of one material, and it can be colored by adding a dye material. For example, in the case of giving a color, a function of limiting a use, such as a specific surgical site, may be exhibit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보호 용구들(1000, 2000)은 내열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수술도구에서 발생하는 열 등에 의하여 수술 절개부위(피부 등)가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고, 수술용 보호 용구들(1000, 2000)이 열 등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surgical protective tools 1000 and 20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having excellent heat resistance, which prevents the surgical incision (skin, etc.) from getting burned by heat generated from the surgical tools. It is to prevent and prevent the surgical protective equipment (1000, 2000) from being deformed by heat or the like.

또한, 피부를 절개한 후 절개된 수술 절개부위를 요홈(400)에 삽입하면, 수술 절개부위 및 수술 절개면이 삽입홈(400)에 삽입되어 수술용 보호 용구들(1000, 2000)에 고정된다. 이렇게 고정된 상태에서 수술을 진행하는 경우에는 열이 발생하는 수술도구 등이 수술 절개부위 등과 접촉하여 수술 절개부위 및 수술 절개면이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술 절개부위 및 수술 절개면이 외부에 노출됨으로 인하여 감염이 발생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고, 수술 시야 확보가 용이하여 수술의 편의성이 높아진다. In addition, when the skin is incised and the cut surgical incision is inserted into the concave groove 400, the surgical incision and the surgical incision ar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400 and fixed to the surgical protective tools 1000, 2000 . In the case of performing surgery in such a fixed state, it is possible to prevent burns of the surgical incision site and the surgical incision surface by contacting the surgical incision area with a surgical tool that generates hea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infection from occurring due to the exposure of the surgical incision site and the surgical incision surface to the outside, and it is easy to secure a surgical field of view, thereby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surgery.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applica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transform it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 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 concept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


1000, 2000: 수술용 보호 용구
100: 제1 테두리면 200: 제2 테두리면
300: 내측면 400: 요홈
500: 외측면

1000, 2000: surgical protective equipment
100: first border surface 200: second border surface
300: inner surface 400: groove
500: outer surface

Claims (7)

평면도 상에서 편자 형상을 가지는 제1 테두리면;
상기 제1 테두리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평면도 상에서 편자 형상을 가지는 제2 테두리면;
상기 제1 테두리면과 상기 제2 테두리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테두리면의 내측 단부와 상기 제2 테두리면의 내측 단부를 연결하여 요홈을 형성하는 내측면; 및
상기 제1 테두리면의 외측 단부와 상기 제2 테두리면의 외측 단부를 연결하는 외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요홈 내에 수술 절개부위가 삽입되고,
상기 편자 형상의 좌우폭이 줄어들어 절개부위에 삽입되고, 절개부위에 삽입 시 절개부위가 개방되도록 하고,
상기 외측면의 상측은 제1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면의 좌측 및 우측은 상기 제1 폭보다 넓은 제2 폭으로 형성되는 수술용 보호 용구.
A first rim surface having a horseshoe shape on a plan view;
A second rim surface disposed to face the first rim surface and having a horseshoe shape on a plan view;
An inner surface disposed between the first rim surface and the second rim surface, and connecting an inner end of the first rim surface and an inner end of the second rim surface to form a groove; And
And an outer surface connecting an outer end of the first rim surface and an outer end of the second rim surface,
The surgical incision is inserted into the groove,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horseshoe shape are reduced to be inserted into the incision, and when inserted into the incision, the incision is opened,
The upper side of the outer surface is formed with a first width,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outer surface are formed with a second width wider than the first wid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면은,
상기 제1 테두리면과 인접하는 제1 외측면; 및
상기 제2 테두리면과 인접하는 제2 외측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보호 용구.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outer surface,
A first outer surface adjacent to the first rim surface; And
Surgical protective equipment comprising a second outer surface adjacent to the second rim surfa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측면의 우측 및 좌측 폭은, 상기 제1 외측면의 상측 폭보다 넓고,
상기 제2 외측면의 우측 및 좌측 폭은, 상기 제2 외측면의 상측 폭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보호 용구.
The method of claim 2,
The right and left widths of the first outer surface are wider than the upper width of the first outer surface,
The right and left widths of the second outer surface are wider than the upper width of the second outer surfa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측면 및 상기 제2 외측면은 곡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보호 용구.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outer surface and the second outer surface is a protective device for surgery, characterized in that having a curved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테두리면 및 상기 제2 테두리면은,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 상에서 하부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며,
정면도 및 배면도 상에서 상부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보호 용구.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border surface and the second border surface,
It has a convex shape in the downward direction on the left and right views,
Protective equipment for surgery,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convex shape in the upper direction on the front view and the rear view.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테두리면 및 상기 제2 테두리면은,
좌측면도, 우측면도, 정면도 및 배면도 상에서 직선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보호 용구.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border surface and the second border surface,
Protective equipment for surgery,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traight line shape on the left, right, front and rear view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자 형상은 요홈의 폭이 좌, 우보다 상측이 좁은 형상을 가지는 수술용 보호 용구.The surgical protective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horseshoe shape has a narrower upper side than the left and right side of the groove.
KR1020200032910A 2020-03-18 2020-03-18 Wound protector for surgery KR1021856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2910A KR102185602B1 (en) 2020-03-18 2020-03-18 Wound protector for surg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2910A KR102185602B1 (en) 2020-03-18 2020-03-18 Wound protector for surgery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4090A Division KR102211425B1 (en) 2017-10-16 2017-10-16 Wound protector for surger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2072A KR20200032072A (en) 2020-03-25
KR102185602B1 true KR102185602B1 (en) 2020-12-02

Family

ID=70001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2910A KR102185602B1 (en) 2020-03-18 2020-03-18 Wound protector for surge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5602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17086A1 (en) 2006-08-31 2010-08-26 Catholic Heathcare West (CHW) Inflatable surgical retractor
JP2012055716A (en) 2000-10-19 2012-03-22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 Surgical access apparatus and method
US20120283519A1 (en) 2011-05-05 2012-11-08 Anthony Hung Nguyen Surgical retract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97181B1 (en) * 2009-06-03 2013-12-03 Larry Sasaki Transparent surgical pelvic retractor
US20130172681A1 (en) 2011-12-29 2013-07-04 Covidien Lp Wound protector with reinforced r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55716A (en) 2000-10-19 2012-03-22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 Surgical access apparatus and method
US20100217086A1 (en) 2006-08-31 2010-08-26 Catholic Heathcare West (CHW) Inflatable surgical retractor
US20120283519A1 (en) 2011-05-05 2012-11-08 Anthony Hung Nguyen Surgical retra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2072A (en) 2020-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6399B2 (en) Sutureless wound closure and method of application
JP2956943B2 (en) Surgical eye patch
JP7083755B2 (en) Illuminated ophthalmic cannula
US8916741B2 (en) Device for the rapid closure of wounds and surgical incisions
ES2396265T3 (en) Catheter clip
JP6144683B2 (en) Closure device for closing open blood vessels
US20100185160A1 (en) Catheter Terminus Protective Cover
MX2012011174A (en) Surgical drape having tearable sheet.
KR102185602B1 (en) Wound protector for surgery
KR102211425B1 (en) Wound protector for surgery
KR101782213B1 (en) Waterproofing mask for the wound protection
US10238374B2 (en) Tissue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JP2011125701A (en) Obturator tip
ES2704005T3 (en) Catheter patch applicator set
KR102147910B1 (en) Device for protecting patient
US20180140380A1 (en) Dental isolator for protecting the tongue and cheek during dental treatment
US6228093B1 (en) Device for protecting organs of the eye which are situated in the region of the anterior chamber of the eye during eye lens surgery
US20140309497A1 (en) Tissue protection/retraction system
GB2543531A (en) A protective eyewear device
KR200379005Y1 (en) The wound protector for surgical operation
KR102269468B1 (en) Device for protecting patient and surgery cover
KR20160109135A (en) Bands which are teared easily
KR20220006677A (en) Wound protector
WO2009071953A1 (en) Drainage stabilizer
IT201700019203A1 (en) Aseptic membra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