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2841B1 - Method for radio resource management and apparatus thereof - Google Patents

Method for radio resource management and apparatus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2841B1
KR102182841B1 KR1020190004488A KR20190004488A KR102182841B1 KR 102182841 B1 KR102182841 B1 KR 102182841B1 KR 1020190004488 A KR1020190004488 A KR 1020190004488A KR 20190004488 A KR20190004488 A KR 20190004488A KR 102182841 B1 KR102182841 B1 KR 102182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data
terminal
data transmission
reception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44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88016A (en
Inventor
이영준
윤규섭
강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90004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2841B1/en
Publication of KR20200088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80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2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284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04W76/34Selective release of ongoing connections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04W76/16Involving differ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e.g. a packet-switched [PS] bearer in combination with a circuit-switched [CS] bear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자원 관리 방법이 개시된다. 일실시예에 따른 제1 기지국, 제2 기지국, 및 단말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제1 기지국의 동작 방법은 제2 기지국으로부터 제2 기지국과 단말 사이의 제1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제1 기지국과 단말 사이의 제2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제1 데이터 송수신 상태와 관련된 제1 조건 및 제2 데이터 송수신 상태와 관련된 제2 조건에 기초하여, 단말의 무선자원 해제 여부를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제어 신호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radio resource management method is disclosed. In a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 first base station, a second base station, and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operation method of the first base station receives a signal including a first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between the second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from the second base station. Step to do; Determining a second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between the first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Based on the first condition related to the first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and the second condition related to the second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Whether to release radio resources Generating an indicating control signal; And transmitting the control signal to the terminal.

Description

무선자원 관리 방법 및 장치{METHOD FOR RADIO RESOURCE MANAGEMENT AND APPARATUS THEREOF}Radio resource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METHOD FOR RADIO RESOURCE MANAGEMENT AND APPARATUS THEREOF}

아래 실시예들은 무선자원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5G 통신 서비스와 관련된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following embodiments relate to a radio resource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example, to a technology related to 5G communication service.

5G 통신의 공식 명칭은 IMT-2020으로, 국제전기통신연합(ITU)에서 정의한 5세대 통신 규격이다. 산업표준기구인 3GPP에서는 2019년 완료된 표준 내용을 ITU-R에 제안하여 IMT-2020의 최종 승인을 받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The official name of 5G communication is IMT-2020, which is a fifth generation communication standard defined by the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ITU). 3GPP, an industry standard organization, aims to propose the content of standards completed in 2019 to ITU-R and obtain final approval by IMT-2020.

ITU에서는 5G 통신의 특징을 크게 세 가지로 정의하고 있다. 5G 통신의 첫 번째 주요 특징은 '초고속(Enhanced Mobile Broadband, eMBB)'이다. 예를 들어, 5G 통신에서는 최대 20Gbps의 속도를 낼 수 있다. 5G 통신의 두 번째 주요 특징은 '초저지연(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URLLC)'이다. 예를 들어, 5G 통신에서는 응답 속도를 0.25ms까지 낮출 수 있다. 5G 통신의 세 번째 주요 특징은 '초연결(Massive Machin Type Communication, M-MTC)'이다. 예를 들어, 5G 통신에서는 최대 100만개/km 2의 단말기를 연결할 수 있다.The ITU defines three main characteristics of 5G communication. The first major feature of 5G communication is'Enhanced Mobile Broadband (eMBB)'. For example, 5G communication can achieve speeds of up to 20 Gbps. The second major feature of 5G communication is'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URLLC)'. For example, in 5G communication, the response speed can be reduced to 0.25ms. The third major characteristic of 5G communication is'Massive Machin Type Communication (M-MTC)'. For example, in 5G communication, a maximum of 1 million terminals/km 2 can be connected.

3GPP에서는 IMT-2020 규격을 진행하는 중간 단계로써, 비단독모드(Non-Standalone, NSA)를 추가하였다. 비단독모드는 4G 코어 네트워크에 5G 액세스망 장비를 연결하는 네트워크로서, 5G 망을 단독으로 사용하지 않고 4G망을 함께 사용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비단독모드는 5G 상용화 초기 단계에서 네트워크가 충분히 구축되지 않았을 때 4G(LTE) 망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데이터의 끊김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3GPP, a non-standalone mode (NSA) was added as an intermediate step in progressing the IMT-2020 standard. Non-single mode is a network that connects 5G access network equipment to a 4G core network, and is characterized by using a 4G network instead of using a 5G network alone. The non-standalone mode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data loss by using a 4G (LTE) network together when the network is not sufficiently established in the initial stage of 5G commercialization.

제1 기지국, 제2 기지국, 및 단말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제1 기지국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2 기지국과 상기 단말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기지국과 상기 단말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포함하는 신호와 관련된 제1 조건 및 상기 제1 기지국의 데이터 송수신 상태와 관련된 제2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의 무선자원 해제 여부를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 first base station, a second base station, and a terminal, the method of operating the first base station includes: receiving a signal including a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between the second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from the second base station; Determining a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between the first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Based on a first condition related to a signal including a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received from the second base station and a second condition related to a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of the first base station, Whether to release radio resources Generating an indicating control signal; And transmitting the control signal to the terminal.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기지국의 특성과 상기 제2 기지국의 특성은 상이하고, 상기 제1 기지국의 특성 및 상기 제2 기지국의 특성은 각각 업링크 속도, 다운링크 속도, 및 지연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base st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 base station are different,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base st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 base station are each of an uplink speed, a downlink speed, and a delay tim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기지국은 4G망을 통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지국은 5G망을 통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base station may include a base station that provides a communication service through a 4G network, and the second base station may include a base station that provides a communication service through a 5G network.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 기지국에서 수신한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포함하는 신호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제1 시간간격 동안 상기 제2 기지국에서 상기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제2 기지국이 데이터를 수신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제1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generating of the control signal includes transmitting data from the second base station to the terminal during a first predetermined time interval, based on a signal including a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received by the second base station. Alternatively, it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condition is satisfied by determining whether the second base station receives data from the terminal.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미리 정해진 제2 시간간격 동안 상기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상기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제2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generating of the control signal includes determining whether the second condition is satisfied by determining whether to transmit data to the terminal or to receive data from the terminal during a second predetermined time interval. It may include steps.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미리 정해진 제1 시간간격 동안 상기 제2 기지국에서 상기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고, 상기 제1 시간간격 동안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제2 기지국이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고, 미리 정해진 제2 시간간격 동안 상기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고, 상기 제2 시간간격 동안 상기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 상기 단말의 무선자원 해제를 지시하는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미리 정해진 제1 시간간격 중 상기 제2 기지국에서 상기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상기 제1 시간간격 중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제2 기지국이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미리 정해진 제2 시간간격 중 상기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상기 제2 시간간격 중 상기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단말의 무선자원 할당 또는 유지를 지시하는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the generating of the control signal, the second base station does not transmit data from the second base station to the terminal during a predetermined first time interval, and the second base station transmits data from the terminal during the first time interval. When the terminal does not receive data, does not transmit data to the terminal during a predetermined second time interval, and does not receive data from the terminal during the second time interval, the control signal instructing the release of radio resources of the terminal is transmitted. Generating; And transmitting data from the second base station to the terminal during a first predetermined time interval, the second base station receiving data from the terminal during the first time interval, or to the terminal during a second predetermined time interval. When transmitting data or receiving data from the terminal during the second time interval, generating the control signal indicating radio resource allocation or maintenance of the terminal.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미리 정해진 시간간격에 기초하여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기지국과 상기 단말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 상태와 관련된 트리거 조건에 기초하여 비주기적으로 전송되는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receiving of the signal includes: receiving the signal periodically transmitted based on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nd receiving the aperiodically transmitted signal based on a trigger condition related to a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between the second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일실시예에 따른 제1 기지국, 제2 기지국, 및 단말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을 수행하는 상기 제1 기지국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메모리; 및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2 기지국과 상기 단말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기지국과 상기 단말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포함하는 신호와 관련된 제1 조건 및 상기 제1 기지국의 데이터 송수신 상태와 관련된 제2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의 무선자원 해제 여부를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한다.The first base station performing an oper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 first base station, a second base station, and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memory i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And a processor for executing the program, wherein the program comprises: receiving a signal including a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between the second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from the second base station; Determining a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between the first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Based on a first condition related to a signal including a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received from the second base station and a second condition related to a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of the first base station, Whether to release radio resources Generating an indicating control signal; And transmitting the control signal to the terminal.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자원 관리와 관련된 통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제2 기지국과 단말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포함하는 신호를 제1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의 예시도이다.
도 4a는 일실시예에 따른 스플릿 베어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b는 일실시예에 따른 스플릿 베어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c는 일실시예에 따른 스플릿 베어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자원 관리를 위한 제1 기지국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system related to radio resource manag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method of transmitting a signal including a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between a second base station and a terminal to a first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n exemplary diagram of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4A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split bear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4B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split bear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4C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split bear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 first base station for radio resource manag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of the embodiments are disclosed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may be changed in various forms and implemented. Accordingly, the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a specific disclosure form,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technical idea.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Although terms such as first or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terms should be interpret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명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described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preliminary exclusion.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relevant technical field. Terms a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specification. Does not.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shown in each drawing indicate the same members.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자원 관리와 관련된 통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system related to radio resource manag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무선자원 관리와 관련된 통신 시스템은 단말(110), 제1 기지국(120), 및 제2 기지국(130)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110)은 통신 시스템에서 제1 기지국(120)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제2 기지국(130)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태블릿 및 스마트폰 등 다양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20) 및 제2 기지국(130)은 무선통신 서비스를 위해 네트워크와 단말을 연결하는 무선 통신설비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communication system related to radio resource management may include a terminal 110, a first base station 120, and a second base station 130. The terminal 110 is a devic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first base station 120 or with the second base station 130 in a communication system, and may include various forms such as tablets and smartphones, for example. have. The first base station 120 and the second base station 130 may be wireless communication facilities that connect a network and a terminal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제1 기지국(120)의 특성과 제2 기지국(130)의 특성은 상이할 수 있으며, 제1 기지국(120)의 특성과 제2 기지국(130)의 특성은 업링크 속도, 다운링크 속도, 및 지연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지국(120)은 4G 망을 통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제2 기지국(130)은 5G 망을 통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제2 기지국(130)의 데이터 전송 속도 및/또는 데이터 수신 속도는 제1 기지국(120)의 데이터 전송 속도 및/또는 데이터 수신 속도보다 빠를 수 있으며, 제2 기지국(130)의 지연시간은 제1 기지국(120)의 지연시간보다 짧을 수 있다.The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base station 120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 base station 130 may be different,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base station 120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 base station 130 are uplink speed, downlink speed, and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delay times. For example, when the first base station 120 provides a communication service through a 4G network, and the second base station 130 provides a communication service through a 5G network, the data transmission speed of the second base station 130 and the /Or the data reception speed may be higher than the data transmission speed and/or the data reception speed of the first base station 120, and the delay time of the second base station 130 may be shorter than the delay time of the first base station 120 .

제2 기지국(130)은 제2 기지국(130)과 단말(110)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송수신 상태는 미리 정해진 제1 시간간격 동안 제2 기지국(130)에서 단말(110)로 데이터가 전송되는지 여부 및 미리 정해진 제1 시간간격 동안 제2 기지국(130)이 단말(11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0초 동안 제2 기지국(130)에서 단말(110)로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고, 10초 동안 제2 기지국(130)이 단말(11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 제2 기지국(130)과 단말(110) 사이에서 데이터가 흐르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송수신 상태는 미리 정해진 제1 시간간격 동안 제2 기지국(130)에서 단말(110)로 미리 정해진 제1 임계치를 초과하는 크기의 데이터가 전송되는지 여부 및 제1 시간간격 동안 제2 기지국(130)이 단말(110)로부터 미리 정해진 제1 임계치를 초과하는 크기의 데이터를 수신하는지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0초 동안 제2 기지국(130)에서 단말(110)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크기가 미리 정해진 제1 임계치 미만이고, 10초 동안 제2 기지국(130)이 단말(110)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의 크기가 미리 정해진 제1 임계치 미만인 경우, 제2 기지국(130)과 단말(110) 사이에서 데이터가 흐르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The second base station 130 may determine a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between the second base station 130 and the terminal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is whether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second base station 130 to the terminal 110 during a predetermined first time interval, and the second base station 130 is a terminal during a first predetermined time interval. It may be determined based on whether data is received from 110. For example, if data is not transmitted from the second base station 130 to the terminal 110 for 10 seconds and the second base station 130 does not receive data from the terminal 110 for 10 seconds, the second base station It may be determined that data does not flow between the terminal 130 and the terminal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is whether or not data having a size exceeding a predetermined first threshold is transmitted from the second base station 130 to the terminal 110 during a predetermined first time interval and during the first time interval. It may include whether the second base station 130 receives data having a size exceeding a first predetermined threshold from the terminal 110. For example, the size of data transmitted from the second base station 130 to the terminal 110 for 10 seconds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first threshold, and the second base station 130 receives from the terminal 110 for 10 seconds. When the size of the data is less than the first predetermined threshold, it may be determined that data does not flow between the second base station 130 and the terminal 110.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2 기지국(130)과 단말(110)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 상태가 미리 정해진 제1 시간간격 동안 제2 기지국(130)에서 단말(110)로 데이터가 전송되는지 여부 및 미리 정해진 제1 시간간격 동안 제2 기지국(130)이 단말(11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판단되는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실시예들은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크기와 제1 임계치를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판단하거나, 혹은 미리 정해진 제1 시간간격 동안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크기의 평균과 제1 임계치를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판단하는 시나리오 등에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whether the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between the second base station 130 and the terminal 110 is transmitted from the second base station 130 to the terminal 110 during a first predetermined time interval Embodiments that are determined based on whether the second base station 130 receives data from the terminal 110 during a predetermined first time interval will be described. However, these embodiments are only exemplary, and the embodiments determine the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us based on the result of comparing the size of the transmitted/received data and the first threshold, or the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during a predetermined first time interval. It can be applied in substantially the same manner to a scenario for determining a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based on a result of comparing the average of the size of and the first threshold.

제2 기지국(130)과 단말(110)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판단한 결과에 기초하여, 제2 기지국(130)은 제2 기지국(130)과 단말(110)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포함하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기지국(130)은 생성된 신호를 제1 기지국(1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기지국(130)과 단말(110)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포함하는 신호는 미리 정해진 시간간격에 기초하여 주기적으로 전송될 수도 있고, 데이터 송수신 상태와 관련된 트리거 조건에 기초하여 비주기적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신호는 5초마다 주기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는, 10초 동안 제2 기지국(130)에서 단말(110)로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고, 10초 동안 제2 기지국(130)이 단말(11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 신호가 전송될 수도 있다.Based on the result of determining the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us between the second base station 130 and the terminal 110, the second base station 130 is a signal including the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us between the second base station 130 and the terminal 110 Can be created. The second base station 130 may transmit the generated signal to the first base station 120. The signal including the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between the second base station 130 and the terminal 110 may be periodically transmitted based on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or may be transmitted aperiodically based on a trigger condition related to the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May be. For example, the signal may be transmitted periodically every 5 seconds. Alternatively, if the second base station 130 does not transmit data to the terminal 110 for 10 seconds, and the second base station 130 does not receive data from the terminal 110 for 10 seconds, a signal may be transmitted. have.

제1 기지국(120)은 제1 기지국(120)과 단말(110)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판단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기지국은 제2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것과 무관하게 제1 기지국과 단말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주기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기지국은 제2 기지국으로부터 제2 기지국과 단말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제1 기지국과 단말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기지국은 제2 기지국으로부터 제2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 데이터가 송수신되지 않는다는 내용을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제1 기지국과 단말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The first base station 120 determines a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between the first base station 120 and the terminal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base station may periodically determine a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between the first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irrespective of receiving a signal from the second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a signal including a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between the second base station and a terminal is received from the second base station, the first base station may determine a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between the first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base station may determine a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between the first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when receiving a signal including a content that data is not transmitted/received between the second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from the second base station. have.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송수신 상태는 미리 정해진 제2 시간간격 동안 제1 기지국(120)에서 단말(110)로 데이터가 전송되는지 여부 및 미리 정해진 제2 시간간격 동안 제1 기지국(120)이 단말(11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0초 동안 제1 기지국(120)에서 단말(110)로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고, 10초 동안 제1 기지국(120)이 단말(11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 제1 기지국(120)과 단말(110) 사이에서 데이터가 흐르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송수신 상태는 미리 정해진 제2 시간간격 동안 제1 기지국(120)에서 단말(110)로 미리 정해진 제2 임계치를 초과하는 크기의 데이터가 전송되는지 여부 및 제2 시간간격 동안 제1 기지국(120)이 단말(110)로부터 미리 정해진 제2 임계치를 초과하는 크기의 데이터를 수신하는지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0초 동안 제1 기지국(120)에서 단말(110)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크기가 미리 정해진 제2 임계치 미만이고, 10초 동안 제1 기지국(120)이 단말(110)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의 크기가 미리 정해진 제2 임계치 미만인 경우, 제1 기지국(120)과 단말(110) 사이에서 데이터가 흐르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is whether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first base station 120 to the terminal 110 during a second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nd whether the first base station 120 is a terminal during a second predetermined time interval. It may be determined based on whether data is received from 110. For example, if data is not transmitted from the first base station 120 to the terminal 110 for 10 seconds and the first base station 120 does not receive data from the terminal 110 for 10 seconds, the first base station It may be determined that data does not flow between the terminal 120 and the terminal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is whether data having a size exceeding a predetermined second threshold is transmitted from the first base station 120 to the terminal 110 during a second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nd during a second time interval. It may include whether the first base station 120 receives data of a size exceeding a second predetermined threshold from the terminal 110. For example, the size of data transmitted from the first base station 120 to the terminal 110 for 10 seconds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second threshold, and the first base station 120 receives from the terminal 110 for 10 seconds. When the size of the data is less than the second predetermined threshold, it may be determined that data does not flow between the first base station 120 and the terminal 110.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기지국(120)과 단말(110)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 상태가 미리 정해진 제2 시간간격 동안 제1 기지국(120)에서 단말(110)로 데이터가 전송되는지 여부 및 미리 정해진 제2 시간간격 동안 제1 기지국(120)이 단말(11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판단되는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실시예들은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크기와 제2 임계치를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판단하거나, 혹은 미리 정해진 제2 시간간격 동안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크기의 평균과 제2 임계치를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판단하는 시나리오 등에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whether the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between the first base station 120 and the terminal 110 is transmitted from the first base station 120 to the terminal 110 during a second predetermined time interval Embodiments that are determined based on whether the first base station 120 receives data from the terminal 110 during a second predetermined time interval will be described. However, these embodiments are only exemplary, and the embodiments determine a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based on a result of comparing the size of transmitted/received data and a second threshold, or data transmitted/received during a predetermined second time interval. It can be applied in a substantially the same manner to a scenario for determining a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based on a result of comparing the average of the size of and the second threshold.

제1 기지국(120)은 제2 기지국(130)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포함하는 신호 및 제1 기지국(120)의 데이터 송수신 상태에 기초하여, 단말(110)의 무선자원 해제 여부를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기지국(130)과 단말(110) 사이에서 데이터가 흐르지 않는다고 판단되고, 제1 기지국(120)과 단말(110) 사이에서 데이터가 흐르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1 기지국(120)은 단말(110)의 무선자원 해제를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기지국(130)과 단말(110) 사이에서 데이터가 흐른다고 판단되거나, 제1 기지국(120)과 단말(110) 사이에서 데이터가 흐른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1 기지국(120)은 단말(110)의 무선자원 할당 또는 유지를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first base station 120 is based on a signal including a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received from the second base station 130 and a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of the first base station 120, Whether to release radio resources It is possible to generate an indicating control sig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data does not flow between the second base station 130 and the terminal 110, and it is determined that data does not flow between the first base station 120 and the terminal 110, the first base station 120 is 110)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indicating radio resource release. When it is determined that data flows between the second base station 130 and the terminal 110, or it is determined that data flows between the first base station 120 and the terminal 110, the first base station 120 110) can generate a control signal indicating radio resource allocation or maintenance.

일실시예에 따르면, 미리 정해진 제1 시간간격 동안 제2 기지국(130)에서 단말(110)로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고, 미리 정해진 제1 시간간격 동안 단말 (110)로부터 제2 기지국(130) 이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고, 미리 정해진 제2 시간간격 동안 제1 기지국(120)에서 단말(110)로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고, 미리 정해진 제2 시간간격 동안 제1 기지국(120)이 단말(11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 단말(110)의 무선자원 해제를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미리 정해진 제1 시간간격 중 제2 기지국(130)에서 단말(110)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제1 시간간격 중 단말(110)로부터 제2 기지국(130)이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미리 정해진 제2 시간간격 중 단말(110)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제2 시간간격 중 단말(11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단말(110)의 무선자원의 할당 또는 유지를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cond base station 130 does not transmit data from the second base station 130 to the terminal 110 during a predetermined first time interval, and the second base station 130 is transferred from the terminal 110 to the terminal 110 during a predetermined first time interval. The first base station 120 does not receive data and does not transmit data from the first base station 120 to the terminal 110 during a second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nd the first base station 120 from the terminal 110 during a second predetermined time interval. When data is not received, a control signal instructing the terminal 110 to release radio resources may be gene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second base station 130 to the terminal 110 during a predetermined first time interval, or the second base station 130 receives data from the terminal 110 during the first time interval. Or, when transmitting data to the terminal 110 during a predetermined second time interval, or receiving data from the terminal 110 during a second time interval, control instructing the allocation or maintenance of radio resources of the terminal 110 Can generate signals.

제1 기지국(120)은 생성된 제어 신호를 단말(110)로 전송한다. 단말(110)은 제1 기지국(120)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110)은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무선자원을 유지, 할당 또는 해제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The first base station 120 transmits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to the terminal 110. The terminal 110 may receive data from the first base station 120. The terminal 110 may recognize whether to maintain, allocate, or release radio resources based on the control signal.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기지국(130)과 단말(110) 사이의 제1 데이터 송수신 상태 및 제1 기지국(120)과 단말(110) 사이의 제2 데이터 송수신 상태의 조합에 따라 단말(110)을 위한 무선자원을 관리함으로써, 무선자원 활용률이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the terminal 110 according to a combination of the first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between the second base station 130 and the terminal 110 and the second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between the first base station 120 and the terminal 110. ) By managing the radio resources for), the radio resource utilization rate can be improved.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제2 기지국과 단말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포함하는 신호를 제1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단말은 도 1의 단말(110)에 대응될 수 있고, 제1 기지국(201)은 도 1의 제1 기지국(120)에 대응될 수 있고, 제2 기지국(202)은 도 2의 제2 기지국(130)에 대응될 수 있다.FIG. 2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method of transmitting a signal including a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between a second base station and a terminal to a first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terminal may correspond to the terminal 110 of FIG. 1, the first base station 201 may correspond to the first base station 120 of FIG. 1, and the second base station 202 may correspond to the second base station of FIG. It may correspond to (130).

도 2를 참조하면, 제2 기지국(202)은 제2 기지국(202)과 단말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송수신 상태는 미리 정해진 제1 시간간격 동안 제2 기지국(202)에서 단말로 데이터가 전송되는지 여부 및 미리 정해진 제1 시간간격 동안 제2 기지국(202)이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second base station 202 may determine a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between the second base station 202 and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is whether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second base station 202 to the terminal during a first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nd the second base station 202 transmits data from the terminal during a first predetermined time interval. It may be determined based on whether or not it is received.

제2 기지국(202)과 단말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판단한 결과에 기초하여, 제2 기지국(202)은 제2 기지국(202)과 단말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포함하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기지국(202)은 생성된 신호를 제1 기지국(201)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기지국(202)과 단말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포함하는 신호는 미리 정해진 시간간격에 기초하여 주기적으로 전송될 수도 있고, 데이터 송수신 상태와 관련된 트리거 조건에 기초하여 비주기적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Based on a result of determining the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between the second base station 202 and the terminal, the second base station 202 may generate a signal including the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between the second base station 202 and the terminal. The second base station 202 may transmit the generated signal to the first base station 201. The signal including the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between the second base station 202 and the terminal may be periodically transmitted based on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or aperiodically based on a trigger condition related to the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일실시예에 따르면, 미리 정해진 제1 시간간격 동안 제2 기지국(202)에서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고, 미리 정해진 제1 시간간격 동안 단말로부터 제2 기지국(202)이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 제2 기지국(202)은 데이터가 흐르지 않는다는 내용을 포함하는 신호를 제1 기지국(201)으로 전송할 수 있다(210). 이 경우, 제1 기지국(201)은 Activation Notification 메시지 내의 'User plane activity report'를 inactive로 표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미리 정해진 제1 시간간격 중 제2 기지국(202)에서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미리 정해진 제1 시간간격 중 단말로부터 제2 기지국(202)이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제2 기지국(202)은 데이터가 흐른다는 내용을 포함하는 신호를 제1 기지국(201)으로 전송할 수 있다(220). 이 경우, 제1 기지국(201)은 Activation Notification 메시지 내의 'User plane activity report' 패킷 내 미리 정해진 필드를 re-activated에 대응하는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data is not transmitted from the second base station 202 to the terminal during a predetermined first time interval, and the second base station 202 does not receive data from the terminal during a predetermined first time interval , The second base station 202 may transmit a signal including a content that data does not flow to the first base station 201 (210). In this case, the first base station 201 may display the'User plane activity report' in the Activation Notification message as inacti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second base station 202 to the terminal during a first predetermined time interval, or when the second base station 202 receives data from the terminal during a first predetermined time interval, 2 The base station 202 may transmit a signal including a content that data flows to the first base station 201 (220). In this case, the first base station 201 may set a predetermined field in the'User plane activity report' packet in the Activation Notification message to a value corresponding to re-activated.

일실시예에 따른 Activation Notifcation 메시지 내의 'User plane activity report' 패킷은 표 1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User plane activity report' 패킷은 IE/Group Name 필드, Presence 필드, 및 IE type and reference 필드를 포함하고, Range 필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User plane activity report' packet in the Activation Notifcation mess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defined as shown in Table 1. The'User plane activity report' packet includes an IE/Group Name field, a Presence field, and an IE type and reference field, and may further include a Range field.

IE/Group NameIE/Group Name PresencePresence RangeRange IE type and referenceIE type and reference Semantics descriptionSemantics description User plane traffic activity reportUser plane traffic activity report MM ENUMERATED(inactive, re-activated, …)ENUMERATED(inactive, re-activated, …) "re-activated" shall be only set after "inactive" has been reported for the concerned reporting object"re-activated" shall be only set after "inactive" has been reported for the concerned reporting object

IE는 Information Element의 약자로서, 메시지 또는 메시지 내의 정보 요소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User plane traffic activity report'는 SGNB ACTIVITY NOTIFICATION 메시지 내 IE일 수 있다.IE is an abbreviation of Information Element and means a message or an information element in a message. For example, the'User plane traffic activity report' may be an IE in the SGNB ACTIVITY NOTIFICATION message.

Presence는 개별의 IE의 존재 타입을 정의한다. 예를 들어, 'M'은 Mandatory의 약자로서, 해당 IE는 SGNB ACTIVITY NOTIFICATION 메시지를 전송할 때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하는 IE임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O'는 Optional의 약자로서, 해당 IE는 SGNB ACTIVITY NOTIFICATION 메시지를 전송할 때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하지는 않지만 용도에 따라 필요할 수 있는 IE임을 의미할 수 있다.Presence defines the existence type of each IE. For example,'M' is an abbreviation of Mandatory, and the corresponding IE may mean that it is an IE that must be included when transmitting the SGNB ACTIVITY NOTIFICATION message. In addition,'O' is an abbreviation of Optional, and the corresponding IE is not necessarily included when transmitting the SGNB ACTIVITY NOTIFICATION message, but may mean that it is an IE that may be required depending on the purpose.

IE type and reference는 IE를 표현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ENUMERATED'는 가능한 후보 IE를 열거하는 표현 방식으로서, 가능한 후보 IE를 숫자 0, 1, 2, 3, 4, …로 표시할 수 있다. 'User plane traffic activity report'의 경우, 숫자 0은 'inactive'를 의미할 수 있고 숫자 1은 'reactivated'를 의미할 수 있다.IE type and reference means the way of expressing IE. For example,'ENUMERATED' is an expression method for enumerating possible candidate IEs, and possible candidate IEs are numbered 0, 1, 2, 3, 4, ... Can be marked with In the case of a'user plane traffic activity report', the number 0 may mean'inactive' and the number 1 may mean'reactivated'.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SGNB ACTIVITY NOTIFICATION 메시지는 표 2 및 표 3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SGNB ACTIVITY NOTIFICATION 메시지는 en-gNB에 의하여 통제되는 E-RABs를 위한 자원이 사용되지 않았거나 다시 사용되고 있음을 MeNB에 알리기 위하여 en-gNB에 의해 전송된 메시지일 수 있다.A plurality of SGNB ACTIVITY NOTIFICATION messag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defined as shown in Tables 2 and 3. The SGNB ACTIVITY NOTIFICATION message may be a message transmitted by the en-gNB to inform the MeNB that resources for E-RABs controlled by the en-gNB are not used or are being used again.

IE/Group NameIE/Group Name PresencePresence RangeRange IE type and referenceIE type and reference Semantics descriptionSemantics description CriticalityCriticality Assigned CriticalityAssigned Criticality Message TypeMessage Type MM 9.2.139.2.13 YESYES rejectreject MeNB UE X2AP IDMeNB UE X2AP ID MM eNB UE X2AP ID9.2.24eNB UE X2AP ID9.2.24 Allocated at the MeNB.Allocated at the MeNB. YESYES rejectreject SgNB UE X2AP IDSgNB UE X2AP ID MM en-gNB UE X2AP ID9.2.100en-gNB UE X2AP ID9.2.100 Allocated at the en-gNB.Allocated at the en-gNB. YESYES rejectreject UE Context level user plane activity reportUE Context level user plane activity report OO User plane traffic activity report9.2.130User plane traffic activity report9.2.130 YESYES ignoreignore E-RAB Activity Notify Item ListE-RAB Activity Notify Item List 0..<maxnoofBearers>0..<maxnoofBearers> EACHEACH ignoreignore >E-RAB ID>E-RAB ID MM 9.2.239.2.23 -- >User plane traffic activity report>User plane traffic activity report MM 9.2.1309.2.130 -- MeNB UE X2AP ID ExtensionMeNB UE X2AP ID Extension OO Extended eNB UE X2AP ID9.2.86Extended eNB UE X2AP ID9.2.86 Allocated at the MeNB.Allocated at the MeNB. YESYES rejectreject

Range boundRange bound ExplanationExplanation maxnoofBearersmaxnoofBearers Maximum no. of E-RABs. Value is 256Maximum no. of E-RABs. Value is 256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의 예시도이다.3 is an exemplary diagram of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3을 참조하면, NSA 단말(310)은 도 1의 단말(110)의 일 예시로서, LTE(4G) 코어 네트워크에 5G 액세스망 장비를 연결하는 네트워크인 비단독모드(Non-Standalone, NSA)를 사용하는 단말일 수 있다. LTE 기지국(320)은 도 1의 제1 기지국(120)의 일 예시로서, LTE 망을 통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일 수 있다. 5G 기지국(330)은 도 1의 제2 기지국(130)의 일 예시로서, 5G 망을 통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NSA terminal 310 is an example of the terminal 110 of FIG. 1, and is a non-standalone (NSA) network that connects 5G access network equipment to an LTE (4G) core network. It may be a terminal using. The LTE base station 320 is an example of the first base station 120 of FIG. 1 and may be a base station that provides a communication service through an LTE network. The 5G base station 330 is an example of the second base station 130 of FIG. 1 and may be a base station that provides a communication service through a 5G network.

NSA 단말(310)은 LTE 기지국(320) 및 5G 기지국(330)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a). 이 경우, LTE 기지국(320)은 LTE 기지국(320)과 NSA 단말(310) 사이에서 데이터가 송수신된다고 판단할 수 있고, 5G 기지국(330)은 5G 기지국(330)과 NSA 단말(310) 사이에서 데이터가 송수신된다는 내용을 포함하는 신호를 LTE 기지국(3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LTE 기지국(320)은 NSA 단말(310)의 무선자원의 할당 또는 유지를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NSA terminal 310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with the LTE base station 320 and the 5G base station 330 (a). In this case, the LTE base station 320 may determine that data is transmitted/received between the LTE base station 320 and the NSA terminal 310, and the 5G base station 330 is between the 5G base station 330 and the NSA terminal 310. A signal including content that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may be transmitted to the LTE base station 320. The LTE base station 320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instructing the allocation or maintenance of radio resources of the NSA terminal 310.

NSA 단말(310)은 LTE 기지국(320)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5G 기지국(330)과 데이터를 송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b). 이 경우, LTE 기지국(320)은 LTE 기지국(320)과 NSA 단말(310) 사이에서 데이터가 송수신된다고 판단할 수 있고, 5G 기지국(330)은 5G 기지국(330)과 NSA 단말(310) 사이에서 데이터가 송수신되지 않는다는 내용을 포함하는 신호를 LTE 기지국(3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LTE 기지국(320)은 NSA 단말(310)의 무선자원의 할당 또는 유지를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NSA terminal 310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with the LTE base station 320 and may not transmit and receive data with the 5G base station 330 (b). In this case, the LTE base station 320 may determine that data is transmitted/received between the LTE base station 320 and the NSA terminal 310, and the 5G base station 330 is between the 5G base station 330 and the NSA terminal 310. A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that data is not transmitted/received may be transmitted to the LTE base station 320. The LTE base station 320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instructing the allocation or maintenance of radio resources of the NSA terminal 310.

NSA 단말(310)은 LTE 기지국(320)과 데이터를 송수신하지 않고, 5G 기지국(330)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c). 이 경우, LTE 기지국(320)은 LTE 기지국(320)과 NSA 단말(310) 사이에서 데이터가 송수신되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고, 5G 기지국(330)은 5G 기지국(330)과 NSA 단말(310) 사이에서 데이터가 송수신된다는 내용을 포함하는 신호를 LTE 기지국(3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LTE 기지국(320)은 NSA 단말(310)의 무선자원의 할당 또는 유지를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NSA terminal 310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with the 5G base station 330 without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LTE base station 320 (c). In this case, the LTE base station 320 may determine that data is not transmitted/received between the LTE base station 320 and the NSA terminal 310, and the 5G base station 330 is between the 5G base station 330 and the NSA terminal 310. In the LTE base station 320 may transmit a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that data is transmitted/received. The LTE base station 320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instructing the allocation or maintenance of radio resources of the NSA terminal 310.

NSA 단말(310)은 LTE 기지국(320)과 데이터를 송수신하지 않고, 5G 기지국(330)과 데이터를 송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d). 이 경우, LTE 기지국(320)은 LTE 기지국(320)과 NSA 단말(310) 사이에서 데이터가 송수신되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고, 5G 기지국(330)은 5G 기지국(330)과 NSA 단말(310) 사이에서 데이터가 송수신되지 않는다다는 내용을 포함하는 신호를 LTE 기지국(3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LTE 기지국(320)은 NSA 단말(310)의 무선자원의 해제를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NSA terminal 310 may not transmit and receive data with the LTE base station 320 and may not transmit and receive data with the 5G base station 330 (d). In this case, the LTE base station 320 may determine that data is not transmitted/received between the LTE base station 320 and the NSA terminal 310, and the 5G base station 330 is between the 5G base station 330 and the NSA terminal 310. In the LTE base station 320 may transmit a signal including that data is not transmitted/received. The LTE base station 320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instructing the release of radio resources of the NSA terminal 310.

도 4a는 일실시예에 따른 스플릿 베어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A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split bear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4a를 참조하면, 제1 기지국과 제2 기지국 사이에 스플릿 베어러(410)가 위치할 수 있다. 스플릿 베어러(410)는 4G(Master eNB) 및 5G(Secondary gNB) 자원을 모두 사용하여 단말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베어러일 수 있다. 스플릿 베어러(410)가 5G Addition을 수행하는 경우, 스플릿 베어러(410)는 기존 MCG 베어러에서 SCG 스플릿 베어러로 전환될 수 있다. 스플릿 베어러(410)가 5G Release를 수행하는 경우, 스플릿 베어러(410)는 SCG 스플릿 베어러에서 MCG 베어러로 전환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들을 통하여, 스플릿 베어러(410)는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에 동시에 업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A, a split bearer 410 may be located between a first base station and a second base station. The split bearer 410 may be a bearer that transmits data to a terminal using both 4G (Master eNB) and 5G (Secondary gNB) resources. When the split bearer 410 performs 5G Addition, the split bearer 410 may switch from an existing MCG bearer to an SCG split bearer. When the split bearer 410 performs 5G Release, the split bearer 410 may switch from an SCG split bearer to an MCG bearer. Through these processes, the split bearer 410 may support a function of simultaneously transmitting an uplink signal to the first base station and the second base station.

도 4b는 일실시예에 따른 스플릿 베어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B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split bear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4b를 참조하면, 베어러가 이용하는 라디오 프로토콜 아키텍쳐(Radio Protocol Architecture)는 베어러의 종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MCB 베어러, SCG 베어러, 및 스플릿 베어러(410)가 이용하는 라디오 프로토콜 아키텍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정될 수 있다. 라디오 프로토콜 아키텍쳐에 따른 특징은 아래의 표 4와 같이 나타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B, a radio protocol architecture used by a bearer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ype of bearer. The radio protocol architecture used by the MCB bearer, the SCG bearer, and the split bearer 410 may be determined as shown in the figure. Features according to the radio protocol architecture can be shown in Table 4 below.

MCG BearerMCG Bearer SCG BearerSCG Bearer Split BearerSplit Bearer Use MeNB resources onlyUse MeNB resources only Use SeNB resources onlyUse SeNB resources only Use MeNB and SeNB resourcesUse MeNB and SeNB resources Similar to legacy bearer supporting both data and signalingSimilar to legacy bearer supporting both data and signaling Data onlyData only Data onlyData only RRC is located at the MeNB → signaling radio bearers use MCG bearer and MeNB resourcesRRC is located at the MeNB → signaling radio bearers use MCG bearer and MeNB resources S1-U interface terminates at SeNBS1-U interface terminates at SeNB S1-U interface terminates at MeNBS1-U interface terminates at MeNB Bearer level split at SGWBearer level split at SGW Bearer level split at SGWBearer level split at SGW DL data aggregation at PDCP layerDL data aggregation at PDCP layer NO UL data aggregation at UENO UL data aggregation at UE VoLTE, IMS signalingVoLTE, IMS signaling DataData DataData

도 4c는 일실시예에 따른 스플릿 베어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C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split bear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4c를 참조하면, 스플릿 베어러(410)를 이용하여, 4G(Master eNB) 및 5G(Secondary gNB) 자원을 모두 사용하여 단말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MCG 스플릿 베어러를 이용하여 단말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Option 3). MCG 스플릿 베어러를 이용하여 단말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5G의 데이터를 MeNB가 받아서 SgNB로 전달 및 처리해야 하므로 기존의 구축된 MeNB가 업그레이드되어야 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스플릿 베어러를 이용하지 않고 단말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잇다(Option 3a). 스플릿 베어러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 또한 기존의 EPC가 업그레이드되어야 한다.Referring to FIG. 4C, using a split bearer 410, data may be transmitted to a terminal using both a 4G (Master eNB) and 5G (Secondary gNB) resour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using an MCG split bearer (Option 3). In the case of transmitting data to the terminal using the MCG split bearer, the MeNB must receive the 5G data and transmit and process the 5G data to the SgNB, so the existing MeNB must be upgra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data can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without using a split bearer (Option 3a). If split bearer is not used, the existing EPC must also be upgraded.

일실시예에 따르면, SCG 스플릿 베어러를 이용하여 단말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Option 3x). SCG 스플릿 베어러를 이용하여 단말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EPC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SgNB의 PDCP에서 MeNB의 RLC로 일부 전달하고, 대부분의 데이터를 SgNB의 RLC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MCG 베어러만 이용하거나 SCG 베어러만 이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SCG 스플릿 베어러를 이용하는 경우에 더 많은 데이터를 UE에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using the SCG split bearer (Option 3x). When data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using the SCG split bearer, some data received from the EPC can be transferred from the PDCP of the SgNB to the RLC of the MeNB, and most of the data can be transferred to the RLC of the SgNB. Therefore, compared to the case of using only the MCG bearer or only the SCG bearer, more data can be transmitted to the UE when using the SCG split bearer.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자원 관리를 위한 제1 기지국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 first base station for radio resource manag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5를 참조하면, 제1 기지국은 제2 기지국과 단말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510). 단말은 도 1의 단말(110)에 대응될 수 있고, 제2 기지국은 도 1의 제2 기지국(130)에 대응될 수 있다. 제2 기지국과 단말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포함하는 신호는 미리 정해진 시간간격에 기초하여 주기적으로 전송될 수도 있고, 데이터 송수신 상태와 관련된 트리거 조건에 기초하여 비주기적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first base station may receive a signal including a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between the second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510). The terminal may correspond to the terminal 110 of FIG. 1, and the second base station may correspond to the second base station 130 of FIG. 1. The signal including the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between the second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may be periodically transmitted based on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or may be aperiodically transmitted based on a trigger condition related to the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제1 기지국은 제1 기지국과 단말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520). 제1 기지국은 도 1의 제1 기지국(120)에 대응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기지국은 제2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것과 무관하게 제1 기지국과 단말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주기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기지국은 제2 기지국으로부터 제2 기지국과 단말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제1 기지국과 단말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기지국은 제2 기지국으로부터 제2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 데이터가 송수신되지 않는다는 내용을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제1 기지국과 단말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The first base station may determine a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between the first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520). The first base station may correspond to the first base station 120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base station may periodically determine a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between the first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irrespective of receiving a signal from the second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a signal including a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between the second base station and a terminal is received from the second base station, the first base station may determine a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between the first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base station may determine a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between the first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when receiving a signal including a content that data is not transmitted/received between the second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from the second base station. have.

제1 기지국은 제2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포함하는 신호 및 제1 기지국(120)의 데이터 송수신 상태에 기초하여, 단말의 무선자원 해제 여부를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530). 제2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서 데이터가 흐르지 않는다고 판단되고, 제1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서 데이터가 흐르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1 기지국은 단말의 무선자원 해제를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서 데이터가 흐른다고 판단되거나, 제1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서 데이터가 흐른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1 기지국은 단말의 무선자원 할당 또는 유지를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first base station is based on a signal including a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received from the second base station and a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of the first base station 120, Whether to release radio resources An indicating control signal may be generated (530 ). When it is determined that data does not flow between the second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data does not flow between the first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the first base station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instructing the release of radio resources of the termi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data flows between the second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or when it is determined that data flows between the first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the first base station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indicating radio resource allocation or maintenance of the terminal. .

제1 기지국은 생성된 제어 신호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540). 단말은 제1 기지국(120)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은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무선자원을 유지, 할당 또는 해제할 수 있다.The first base station may transmit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to the terminal (540). The terminal may receive data from the first base station 120. The terminal may maintain, allocate, or release radio resources based on the control signal.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자원 해제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adio resource rele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6을 참조하면, 미리 정해진 제2 시간간격 동안 제1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제2 임계치보다 작으면 제1 기지국 In-Activity Timer가 만료될 수 있다(610). 또한, 미리 정해진 제1 시간간격 동안 제2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제1 임계치보다 작으면 제2 기지국 In-Activity Timer가 만료될 수 있다(620). 제1 기지국 In-Activity Timer가 만료되고, 제2 기지국 In-Activity Timer가 만료되는 경우(630), 무선자원이 해제될 수 있다(640). 무선자원이 해제되면 단말은 Active State(650)에서 In-Active State(660)로 그 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when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a first base station and a terminal during a second predetermined time interval is less than a second predetermined threshold, the first base station In-Activity Timer may expire (610 ). In addition, when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second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during the first predetermined time interval is less than the first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the second base station In-Activity Timer may expire (620). When the first base station In-Activity Timer expires and the second base station In-Activity Timer expires (630), radio resources may be released (640). When the radio resource is released, the UE may change its state from the Active State 650 to the In-Active State 660.

제1 기지국의 In-Activity Timer의 만료 여부를 판단하는 시점과 제2 기지국의 In-Activity Timer의 만료 여부를 판단하는 시점은 시나리오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지국은 제1 기지국의 In-Activity Timer의 만료 여부를 판단한 이후, 제2 기지국으로부터 제2 기지국의 In-Activity Timer의 만료 여부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제1 기지국은 제2 기지국으로부터 제2 기지국의 In-Activity Timer의 만료 여부를 수신한 이후, 제1 기지국의 In-Activity Timer의 만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timing of determining whether the in-activity timer of the first base station expires and the timing of determining whether the in-activity timer of the second base station expires may be variously modified according to the scenario. For example, after determining whether the In-Activity Timer of the first base station has expired, the first base station may receive from the second base station whether the In-Activity Timer of the second base station has expired. Alternatively, after receiving the expiration of the In-Activity Timer of the second base station from the second base station, the first base station may determine whether the In-Activity Timer of the first base station expires.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자원 할당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radio resource allo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7을 참조하면, 미리 정해진 제2 시간간격 내 제1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제2 임계치보다 크면 제1 기지국 In-Activity Timer가 만료되지 않을 수 있다(710). 또한, 미리 정해진 제1 시간간격 내 제2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제1 임계치보다 크면 제2 기지국 In-Activity Timer가 만료되지 않을 수 있다(720). 제1 기지국 In-Activity Timer가 만료되지 않거나, 제2 기지국 In-Activity Timer가 만료되지 않는 경우(730), 무선자원이 할당될 수 있다(740). 무선자원이 할당되면 단말은 In-Active State(750)에서 Reactivated(Active State)(760)로 그 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if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a first base station and a terminal within a second predetermined time interval is greater than a second predetermined threshold, the first base station In-Activity Timer may not expire (710). In addition, if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second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within the first predetermined time interval is greater than the first predetermined threshold, the second base station In-Activity Timer may not expire (720). When the first base station In-Activity Timer does not expire or the second base station In-Activity Timer does not expire (730), radio resources may be allocated (740). When radio resources are allocated, the UE may change its state from the In-Active State 750 to the Reactivated (Active State) 760.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hardware component, a software component, and/or a combination of a hardware component and a software component. For example, the devices, method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include, for example, a processor, a controller, an arithmetic logic unit (ALU),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microcomputer, a field programmable gate (FPGA). array), programmable logic unit (PLU), microprocessor,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d responding to instructions, such as one or more general purpose computers or special purpose computers. The processing device may execute an operating system (OS) and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executed on the operating system. In addition, the processing device may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the execution of software. For the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lthough it is sometimes described that one processing device is used,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e processing device is a plurality of processing elements and/or a plurality of types of processing elements. It can be seen that it may include. For example, the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cessors or one processor and one controller. In addition,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are possible, such as a parallel processor.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The software may includ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se, configuring the processing unit to behave as desired or processed independently or collectively. You can command the device. Software and/or data may be interpreted by a processing device or to provide instructions or data to a processing device, of any type of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um or device. , Or may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embodyed in a transmitted signal wave. The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ed computer systems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on one or mor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 or may b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A hardware device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magneto-optical media, and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 of the embodiment,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y the limited drawings,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apply various technical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based on the above.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from the described method, and/or components such as a system, structure, device, circuit, etc. described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form different from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Alternatively, even if substituted or substituted by an equivalent, an appropriate result can be achieved.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claims and equivalent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Claims (15)

제1 기지국, 제2 기지국, 및 단말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제1 기지국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제1 시간간격 동안 상기 제2 기지국과 상기 단말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 여부에 기초하여 결정된 제1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데이터 송수신 상태가 데이터가 흐르지 않음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신호를 수신한 시점 이후의 미리 정해진 제2 시간간격 동안 상기 제1 기지국과 상기 단말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 여부에 기초하여, 제2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된 제2 데이터 송수신 상태가 데이터가 흐름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의 무선자원을 유지하는 단계;
상기 판단된 제2 데이터 송수신 상태가 데이터가 흐르지 않음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의 무선자원 해제를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시간간격 동안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2 기지국과 상기 단말 사이에 다시 데이터가 흐름을 지시하는 상기 제1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단말의 무선자원을 유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는
상기 제1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포함하는 상기 제2 기지국에서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메시지인
제1 기지국의 동작 방법.
In a method of operating the first base st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 first base station, a second base station, and a terminal,
Receiving a signal including a first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determined based on whether data transmission/reception between the second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during a first predetermined time interval from the second base station;
When the first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indicates that data does not flow, based on whether data is transmitted/received between the first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during a second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fter the time when the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econd base station Thus, determining a second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Maintaining radio resources of the terminal when the determined second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indicates data flow;
When the determined second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indicates that data does not flow,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instructing the release of radio resources of the terminal to the terminal; And
When receiving a signal including the first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indicating the flow of data again between the second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from the second base station during the second time interval, maintaining the radio resource of the terminal step
Including,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second base station is
A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second base station to the first base station including the first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Method of operation of the first base sta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의 특성과 상기 제2 기지국의 특성은 상이하고,
상기 제1 기지국의 특성 및 상기 제2 기지국의 특성은 각각 업링크 속도, 다운링크 속도, 및 지연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 기지국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base st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 base station are different,
The characteristic of the first base station and the characteristic of the second base station each include at least one of an uplink rate, a downlink rate, and a delay tim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은 4G망을 통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지국은 5G망을 통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을 포함하는, 제1 기지국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base station includes a base station that provides a communication service through a 4G network, and the second base station includes a base station that provides a communication service through a 5G network.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송수신 상태는
상기 제2 기지국과 관련된 베어러를 통하여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크기 및 상기 제2 기지국과 관련된 베어러를 통하여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상기 제1 시간간격에 기초하여, 데이터의 흐름 여부를 지시하도록 결정되는,
제1 기지국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is
It is determined to indicate whether data flows based on the size of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bearer related to the second base station and the first time interval at which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bearer related to the second base station,
Method of operation of the first base sta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이터 송수신 상태는
상기 제1 기지국과 관련된 베어러를 통하여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크기 및 상기 제1 기지국과 관련된 베어러를 통하여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상기 제2 시간간격에 기초하여, 데이터의 흐름 여부를 지시하도록 결정되는,
제1 기지국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is
It is determined to indicate whether data flows based on the size of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bearer related to the first base station and the second time interval at which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bearer related to the first base station,
Method of operation of the first base sta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송수신 상태는
상기 제1 시간간격 내 상기 제2 기지국과 상기 단말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제1 임계치보다 큰 경우, 데이터가 흐름을 지시하고, 상기 제1 시간간격 동안 상기 제2 기지국과 상기 단말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가 상기 제1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 데이터가 흐르지 않음을 지시하며,
상기 제2 데이터 송수신 상태는
상기 제2 시간간격 내 상기 제1 기지국과 상기 단말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제2 임계치보다 큰 경우, 데이터가 흐름을 지시하고, 상기 제2 시간간격 동안 상기 제1 기지국과 상기 단말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가 상기 제2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 데이터가 흐르지 않음을 지시하는,
제1 기지국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is
When data transmitted/received between the second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within the first time interval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first threshold, the data indicates flow, and between the second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during the first time interval When the transmitted/received data is less than the first threshold, indicating that data does not flow,
The second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is
When data transmitted/received between the first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within the second time interval is greater than a second predetermined threshold, the data indicates a flow, and between the first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during the second time interval Indicating that data does not flow when the transmitted/received data is less than the second threshold,
Method of operation of the first base sta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미리 정해진 시간간격에 기초하여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기지국과 상기 단말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 상태와 관련된 트리거 조건에 기초하여 비주기적으로 전송되는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 기지국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Receiving the signal is
Receiving the signal periodically transmitted based on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nd
Receiving the aperiodically transmitted signal based on a trigger condition related to a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between the second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operating method of the first base station.
제1 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ontaining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 of claim 1.
제1 기지국, 제2 기지국, 및 단말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을 수행하는 상기 제1 기지국에 있어서,
프로그램이 기록된 메모리; 및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제1 시간간격 동안 상기 제2 기지국과 상기 단말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 여부에 기초하여 결정된 제1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데이터 송수신 상태가 데이터가 흐르지 않음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신호를 수신한 시점 이후의 미리 정해진 제2 시간간격 동안 상기 제1 기지국과 상기 단말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 여부에 기초하여, 제2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된 제2 데이터 송수신 상태가 데이터가 흐름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의 무선자원을 유지하는 단계;
상기 판단된 제2 데이터 송수신 상태가 데이터가 흐르지 않음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의 무선자원 해제를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시간간격 동안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2 기지국과 상기 단말 사이에 다시 데이터가 흐름을 지시하는 상기 제1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단말의 무선자원을 유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는
상기 제1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포함하는 상기 제2 기지국에서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메시지인,
제1 기지국.
In the first base station performing an oper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 first base station, a second base station, and a terminal,
A memory i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And
Processor that executes the above program
Including,
The above program,
Receiving a signal including a first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determined based on whether data transmission/reception between the second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during a first predetermined time interval from the second base station;
When the first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indicates that data does not flow, based on whether data is transmitted/received between the first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during a second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fter the time when the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econd base station Thus, determining a second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Maintaining radio resources of the terminal when the determined second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indicates data flow;
When the determined second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indicates that data does not flow,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instructing the release of radio resources of the terminal to the terminal; And
When receiving a signal including the first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indicating the flow of data again between the second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from the second base station during the second time interval, maintaining the radio resource of the terminal step
Including,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second base station is
A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second base station to the first base station including the first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The first base station.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의 특성과 상기 제2 기지국의 특성은 상이하고,
상기 제1 기지국의 특성 및 상기 제2 기지국의 특성은 각각 업링크 속도, 다운링크 속도, 및 지연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 기지국.
The method of claim 9,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base st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 base station are differe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base st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 base station each include at least one of an uplink speed, a downlink speed, and a delay tim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은 4G망을 통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지국은 5G망을 통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을 포함하는, 제1 기지국.
The method of claim 9,
The first base station includes a base station that provides a communication service through a 4G network, and the second base station includes a base station that provides a communication service through a 5G network.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송수신 상태는
상기 제2 기지국과 관련된 베어러를 통하여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크기 및 상기 제2 기지국과 관련된 베어러를 통하여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상기 제1 시간간격에 기초하여, 데이터의 흐름 여부를 지시하도록 결정되는,
제1 기지국.
The method of claim 9,
The first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is
It is determined to indicate whether data flows based on the size of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bearer related to the second base station and the first time interval at which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bearer related to the second base station,
The first base station.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이터 송수신 상태는
상기 제1 기지국과 관련된 베어러를 통하여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크기 및 상기 제1 기지국과 관련된 베어러를 통하여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상기 제2 시간간격에 기초하여, 데이터의 흐름 여부를 지시하도록 결정되는,
제1 기지국.
The method of claim 9,
The second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is
It is determined to indicate whether data flows based on the size of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bearer related to the first base station and the second time interval at which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bearer related to the first base station,
The first base station.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송수신 상태는
상기 제1 시간간격 내 상기 제2 기지국과 상기 단말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제1 임계치보다 큰 경우, 데이터가 흐름을 지시하고, 상기 제1 시간간격 동안 상기 제2 기지국과 상기 단말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가 상기 제1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 데이터가 흐르지 않음을 지시하며,
상기 제2 데이터 송수신 상태는
상기 제2 시간간격 내 상기 제1 기지국과 상기 단말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제2 임계치보다 큰 경우, 데이터가 흐름을 지시하고, 상기 제2 시간간격 동안 상기 제1 기지국과 상기 단말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가 상기 제2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 데이터가 흐르지 않음을 지시하는,
제1 기지국.
The method of claim 9,
The first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is
When data transmitted/received between the second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within the first time interval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first threshold, the data indicates flow, and between the second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during the first time interval When the transmitted/received data is less than the first threshold, indicating that data does not flow,
The second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is
When data transmitted/received between the first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within the second time interval is greater than a second predetermined threshold, the data indicates a flow, and between the first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during the second time interval Indicating that data does not flow when the transmitted/received data is less than the second threshold,
The first base station.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미리 정해진 시간간격에 기초하여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기지국과 상기 단말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 상태와 관련된 트리거 조건에 기초하여 비주기적으로 전송되는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 기지국.
The method of claim 9,
Receiving the signal is
Receiving the signal periodically transmitted based on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nd
Receiving the aperiodically transmitted signal based on a trigger condition related to a dat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between the second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base station.
KR1020190004488A 2019-01-14 2019-01-14 Method for radio resource management and apparatus thereof KR10218284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488A KR102182841B1 (en) 2019-01-14 2019-01-14 Method for radio resource management and apparatu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488A KR102182841B1 (en) 2019-01-14 2019-01-14 Method for radio resource management and apparatus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8016A KR20200088016A (en) 2020-07-22
KR102182841B1 true KR102182841B1 (en) 2020-11-25

Family

ID=71893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4488A KR102182841B1 (en) 2019-01-14 2019-01-14 Method for radio resource management and apparatus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2841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64769A1 (en) * 2014-05-02 2017-03-02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Communications via multiple access point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64769A1 (en) * 2014-05-02 2017-03-02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Communications via multiple access point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181518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8016A (en) 2020-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31644B2 (en) Wireless terminal and its method
US11343866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related to secondary cell group reactivation in multi-radio access technology-dual connectivity
US1170057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vering RRC connection, and computer storage medium
US2016010591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rrc connection
US11729846B2 (en) Method for activating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duplication and node device
US20190380067A1 (en) Communication system
WO2020135850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CN107889172A (en) The method, apparatus and system of cell switching
WO2018024016A1 (en) Wireless-network access method and device
US20210251032A1 (en) Communic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US11602001B2 (en) Method and device for resuming data radio bearer,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JP2023547257A (en) PDCP duplication arrangement, activation or deactivation method and terminal
EP3963933A1 (en) Method, apparatus,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computer program
KR102182841B1 (en) Method for radio resource management and apparatus thereof
JP6247767B2 (en) Service prefetching method, apparatus and base station
WO2021088006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
KR102126802B1 (en) Base st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5144762A (en) Location registration method and apparatus of termi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160219646A1 (en) Method for preserving a radio resource control state of a user equipment
KR102207499B1 (en) Method for determining transmission path of uplink signal transmitted from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WO2022261893A1 (en) Data transmiss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terminal and storage medium
US11641688B2 (en) Information obtaining method and device
US20240032144A1 (en) Terminal apparatus, base st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WO2021159957A1 (en) Data transmiss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US2023015667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arget resource type, and communic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