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2451B1 - A Portable Inhaler for an Injury - Google Patents

A Portable Inhaler for an Inju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2451B1
KR102182451B1 KR1020180091188A KR20180091188A KR102182451B1 KR 102182451 B1 KR102182451 B1 KR 102182451B1 KR 1020180091188 A KR1020180091188 A KR 1020180091188A KR 20180091188 A KR20180091188 A KR 20180091188A KR 102182451 B1 KR102182451 B1 KR 102182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uction
cylinder
moving
contact
inha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11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16017A (en
Inventor
이우숙
Original Assignee
피싱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싱코리아(주) filed Critical 피싱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180091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2451B1/en
Publication of KR20200016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601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2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245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61M1/009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90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devices, i.e. devices for applying suction to a wound to promote healing, e.g. including a vacuum dressing
    • A61M1/96Suction control thereof
    • A61M1/962Suction control thereof having pumping means on the suction site, e.g. miniature pump on dressing or dressing capable of exerting suction
    • A61M1/006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0Suction pumps
    • A61M1/81Piston pumps, e.g. syri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7/00Drainage appliance for wounds or the like, i.e. wound drains, implanted dra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having air pumping means
    • A61M2205/071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having air pumping means hand operated
    • A61M2205/073Syringe, piston ty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처 부위 흡입기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상처 부위에서 생긴 유해 물질을 흡입하여 인체 외부로 배출시키는 상처 부위 흡입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상처 부위 흡입기는 길이 방향을 따라 유도 경로(112)가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속이 빈 실린더 형상이 되는 유도 실린더(11); 유도 경로(112)를 따라 이동이 되면서 유도 실린더(11)의 내부 압력을 변화시키는 이동 피스톤(12); 유도 실린더(11)의 앞쪽에 결합되면서 인체에 접촉되는 접촉 탭(131) 및 접촉 탭(131)과 유도 실린더(11)를 연결시키는 흡입 튜브(132)가 형성된 흡입 유닛(13); 및 유도 실린더(11)의 뒤쪽에 결합되는 밀폐 덮개(14)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피스톤(12)의 앞쪽 부분에 유도 실린더(11)의 내부 면의 둘레를 따라 접촉되는 실링 구조(124)가 형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und area inhaler, and more specifically, to a wound area inhaler that sucks harmful substances generated from the wound area and discharges it to the outside of the human body. The portable wound site inhaler includes an induction cylinder 11 having an induction path 112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 hollow cylinder shape as a whole; A moving piston 12 that changes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induction cylinder 11 while being moved along the induction path 112; A suction unit 13 having a contact tab 131 and a suction tube 132 connecting the contact tab 131 and the guide cylinder 11 to the human body while being coupled to the front of the induction cylinder 11; And a sealing cover 14 coupled to the rear of the induction cylinder 11, and a sealing structure 124 in contact with the front portion of the moving piston 12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induction cylinder 11 Is formed.

Description

휴대용 상처 부위 흡입기{A Portable Inhaler for an Injury}A Portable Inhaler for an Injury}

본 발명은 상처 부위 흡입기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상처 부위에서 생긴 유해 물질을 흡입하여 인체 외부로 배출시키는 상처 부위 흡입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und area inhaler, and more specifically, to a wound area inhaler that sucks harmful substances generated from the wound area and discharges it to the outside of the human body.

다양한 원인으로 인하여 인체에 상처가 발생될 수 있고, 상처가 발생하면 세포가 변성되거나 죽으면서 주위 조직으로부터 상처 부위의 보호를 위한 다양한 형태의 조직액이 유출된다. 이후 상처 부위가 응고가 되어 상처가 회복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체는 자체 회복 기능을 가지고 이로 인하여 상처 부위가 회복이 되지만 외부에서 균 또는 독성 물질이 유입되면 상처 부위가 커지거나 회복이 어렵게 된다. 예를 들어 모기 또는 이와 유사산 벌레에 물리는 경우 다양한 형태의 유해 물질이 인체로 유입되어 물린 부위가 붓거나 염증이 발생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상처의 경우 유해 물질 또는 독성 물질을 신속하게 인체 외부로 배출시키고 이후 상처 부위가 회복이 되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다. 국제특허공개번호 WO 1999/13793은 상처의 치료를 위한 외과용 드레이프 및 흡입 헤드에 대하여 개시한다. 또한 국제특허공개번호 WO 2004/037334는 상처의 드레싱을 비롯한 상처를 흡입, 세척 또는 클렌징을 하는 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 Wounds may occur in the human body due to various causes, and when a wound occurs, cells are denatured or killed, and various types of tissue fluids to protect the wound area are leaked from surrounding tissues. Afterwards, the wound may coagulate and the wound may recover. In this way, the human body has a self-healing function, and thus the wound area recovers, but when bacteria or toxic substances are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he wound area becomes large or difficult to recover. For example, when bitten by mosquitoes or similar mountain insects, various types of harmful substances may enter the human body, resulting in swelling or inflammation. Therefore, in the case of such a wound, it is advantageous to quickly discharge harmful substances or toxic substances to the outside of the human body and allow the wound area to recover. International Patent Publication No. WO 1999/13793 discloses a surgical drape and a suction head for the treatment of wounds. In addition, International Patent Publication No. WO 2004/037334 discloses a device for inhaling, washing or cleansing wounds, including wound dressings.

상처는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야외 활동 과정에서 벌레에 물릴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물린 부위가 신속하게 응급 처치가 될 필요가 있고, 바람직하게 휴대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또한 간단하게 상처 부위 또는 물린 부위에 대한 처치가 가능한 구조를 가질 필요가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진 흡입기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Wounds can occur for a variety of reasons, such as insect bites during outdoor activities. In such a case, the bite site needs to be promptly treated for emergency treatment, and preferably, it is necessary to have portabilit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have a structure capable of simply treating the wound or bite. However, the prior art does not disclose an inhaler having such a structure.

본 발명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object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선행기술 1: 국제공개번호 WO 1999/13793(케이씨아이 라이센싱, 아이엔씨, 1999년03월25일 공개) 상처의 치료를 위한 외과용 드레이프 및 흡입 헤드Prior Art 1: International Publication No. WO 1999/13793 (KCI licensing, INC, published on March 25, 1999) Surgical drape and suction head for the treatment of wounds 선행기술 2: 국제공개번호 WO 2004/037334(스미쓰 앤드 네퓨 피엘씨, 2004년05월06일 공개) 상처를 흡입, 세척 및 클렌징하기 위한 장치Prior Art 2: International Publication No. WO 2004/037334 (Smith and Nephew PLC, published on May 6, 2004) Device for inhaling, cleaning and cleansing wounds

본 발명의 목적은 상처 부위 또는 벌레 유발 상처로부터 유해 물질을 흡입하여 인체 외부로 간단하게 배출시키는 휴대용 상처 부위 흡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wound area inhaler for inhaling harmful substances from a wound area or an insect-induced wound and simply discharging it to the outside of the human body.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휴대용 상처 부위 흡입기는 길이 방향을 따라 유도 경로가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속이 빈 실린더 형상이 되는 유도 실린더; 유도 경로를 따라 이동이 되면서 유도 실린더의 내부 압력을 변화시키는 이동 피스톤; 유도 실린더의 앞쪽에 결합되면서 인체에 접촉되는 접촉 탭 및 접촉 탭과 유도 실린더를 연결시키는 흡입 튜브가 형성된 흡입 유닛; 및 유도 실린더의 뒤쪽에 결합되는 밀폐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피스톤의 앞쪽 부분에 유도 실린더의 내부 면의 둘레를 따라 접촉되는 실링 구조가 형성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wound area inhaler includes an induction cylinder in which an induction path is formed along a length direction, and has a hollow cylinder shape as a whole; A moving piston that changes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induction cylinder while moving along the induction path; A suction unit coupled to the front of the induction cylinder and having a contact tab contacting a human body and a suction tube connecting the contact tab and the induction cylinder; And a sealing cover coupled to the rear of the induction cylinder, and a sealing structure in contact with the front portion of the movable piston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induction cylinder is formed.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접촉 탭의 앞쪽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신축 실링 유닛을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suitabl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further includes an elastic sealing unit formed along the front edge of the contact tab.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상처 부위 흡입기는 다양한 상처 부위로부터 응고 과정에서 생성된 조직 물질, 염증으로 인하여 생성된 유해 물질 또는 이와 유사한 인체 유해 물질이 간단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흡입기는 특히 모기 또는 이와 유사한 벌레에 물리거나 쏘이는 것에 의하여 발생된 물린 자국 또는 상처 부위로부터 유해 물질 또는 독성 물질을 외부로 배출시켜 상처의 확대가 방지되도록 하면서 상처가 신속하게 회복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흡입기는 간단하게 휴대될 수 있는 구조로 인하여 벌레 물림 또는 상처가 발생되는 현장에서 곧바로 유해 물질 또는 독성 물질이 제거되도록 한다. The portable wound area inha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issue materials generated during the coagulation process, harmful materials generated due to inflammation, or similar harmful substances to the human body to be simply removed from various wound areas. The inha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discharges harmful substances or toxic substances from the bite marks or wounds caused by bites or stings caused by mosquitoes or similar insects to the outside, thereby preventing the enlargement of the wound and allowing the wound to recover quickly . In addition, the inha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harmful substances or toxic substances to be removed immediately at the site where insect bites or wounds occur due to the simple portable structure.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상처 부위 흡입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흡입기에 적용되는 흡입 피스톤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흡입기에 적용되는 유도 실린더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흡입기의 작동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1A and 1B illustrate an embodiment of a portable wound area inha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an embodiment of a suction piston applied to the inha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an embodiment of an induction cylinder applied to an inha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an embodiment of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inha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In the following,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embodiments are for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components hav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different drawings have similar functions, so if they are not necessary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they will not be described repeatedly, and well-known components will be briefly described or omitt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excluded from the embodiment of.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상처 부위 흡입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1A and 1B illustrate an embodiment of a portable wound area inha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휴대용 상처 부위 흡입기는 길이 방향을 따라 유도 경로(112)가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속이 빈 실린더 형상이 되는 유도 실린더(11); 유도 경로(112)를 따라 이동이 되면서 유도 실린더(11)의 내부 압력을 변화시키는 이동 피스톤(12); 유도 실린더(11)의 앞쪽에 결합되면서 인체에 접촉되는 접촉 탭(131) 및 접촉 탭(131)과 유도 실린더(11)를 연결시키는 흡입 튜브(132)가 형성된 흡입 유닛(13); 및 유도 실린더(11)의 뒤쪽에 결합되는 밀폐 덮개(14)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피스톤(12)의 앞쪽 부분에 유도 실린더(11)의 내부 면의 둘레를 따라 접촉되는 실링 구조(124)가 형성된다. 1A and 1B, the portable wound area inhaler includes an induction cylinder 11 having an induction path 112 form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and having a hollow cylinder shape as a whole; A moving piston 12 that changes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induction cylinder 11 while being moved along the induction path 112; A suction unit 13 having a contact tab 131 and a suction tube 132 connecting the contact tab 131 and the guide cylinder 11 to the human body while being coupled to the front of the induction cylinder 11; And a sealing cover 14 coupled to the rear of the induction cylinder 11, and a sealing structure 124 in contact with the front portion of the moving piston 12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induction cylinder 11 Is formed.

유도 실린더(11)는 전체적으로 속이 빈 실린더 형상이 되는 유도 몸체(111); 및 유도 몸체(111)의 한쪽 부분으로부터 일정 길이로 유도 몸체(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유도 경로(1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도 몸체(111)는 양쪽 면이 열린 형상이 될 수 있고, 유도 경로(112)는 열린 한쪽 면으로부터 일정한 폭을 가지면서 예를 들어 유도 몸체(111)의 전체 길이의 1/4 내지 3/4의 길이로 연장되는 갭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유도 경로(112)는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서로 마주보는 보도록 한 쌍의 유도 경로(112)가 유도 몸체(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유도 경로(112)는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유도 경로(112)는 유도 몸체(111)를 따라 이동 피스톤(12)을 이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이동 피스톤(12)은 유도 몸체(111)를 따라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로 이동될 수 있는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The induction cylinder 11 is an induction body 111 that has a hollow cylinder shape as a whole; And an induction path 112 extending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induction body 111 to a predetermined length from one portion of the induction body 111. The induction body 111 may have an open shape on both sides, and the induction path 112 has a constant width from one open side, for example, 1/4 to 3/4 of the total length of the induction body 111 It may have a gap shape extending to the length of. The guide path 112 may be at least one, and for example, a pair of guide paths 112 may be form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guide body 111 so as to face each other. The guidance path 112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and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ed embodiments. The guide path 112 may have various structures capable of moving the moving piston 12 along the guide body 111, and the moving piston 12 may be moved back and forth along the length direction along the guide body 111. It can be made into a structure that can be used.

이동 피스톤(12)은 유도 몸체(111)의 내부를 따라 이동되는 이동 몸체(121); 이동 몸체(121)의 한쪽 끝에 형성된 이동 핸들(122); 및 이동 몸체(121)의 다른 끝에 형성된 실링 구조(12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몸체(121)는 유도 몸체(111)의 내부를 따라 이동 가능한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이동 몸체(121)의 내부 직경에 대응되는 외부 직경을 가지는 실린더 형상이 될 수 있다. 또는 다수 개의 판이 한쪽 가장자리가 공통 선을 기준으로 접하면서 각각 서로 반지름 방향을 향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중량이 감소되는 구조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핸들(122)은 이동 몸체(121)의 한쪽 끝에 결합되면서 이동 몸체(121)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는 구조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b에 도시된 것처럼, 이동 핸들(122)은 이동 몸체(121)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어 유도 경로(112)를 따라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의하여 이동 몸체(121)가 유도 몸체(111)의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이동 핸들(122)의 중간 부분에 밀폐 판(123)이 형성될 수 있고, 밀폐 판(123)은 유도 몸체(111)의 수직 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밀폐 판(123)은 원판 형상이 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이동 몸체(121)가 유도 몸체(111)의 내부에서 이동되는 과정에서 유도 몸체(111)의 내부를 밀폐를 시키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밀폐 기능은 이동 핸들(122)의 유도 경로(112)의 아래쪽에서 이동되는 경우 요구될 수 있고, 밀폐 판(123)이 긴밀한 밀폐 기능을 가질 필요가 있는 것은 아니다. 이에 비하여 이동 몸체(121)의 다른 끝에 형성되는 실링 구조(124)는 기체 또는 액체의 이동을 제한하는 긴밀한 밀폐 기능을 가질 수 있다.The moving piston 12 includes a moving body 121 that moves along the inside of the induction body 111; A moving handle 122 formed at one end of the moving body 121; And it may include a sealing structure 124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moving body 121. The movable body 121 may be made in a variety of structures that are movable along the inside of the induction body 111, for example,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having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movable body 121. Alternatively, a plurality of plates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one edge of the plate faces each other in a radial direction while one edge is in contact with a common line, thereby reducing the overall weight. In addition, the moving handle 122 may have a structure that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moving body 121 and extends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moving body 121. For example, as shown in 1b, the movement handle 122 may extend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moving body 121 and may move up and down along the guide path 112. And thereby, the movable body 121 may be moved up and down in the induction body 111. The sealing plate 123 may be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moving handle 122, and the sealing plate 123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cross section of the induction body 111. For example, the sealing plate 123 may have a disk shape, thereby having a function of sealing the inside of the induction body 111 while the moving body 121 is moved inside the induction body 111. I can. However, such a sealing function may be required when it is moved from the bottom of the guide path 112 of the movement handle 122, and the sealing plate 123 does not need to have a tight sealing function. In contrast, the sealing structure 124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moving body 121 may have a tight sealing function that limits the movement of gas or liquid.

이동 몸체(121)는 유도 몸체(111)에서 유도 경로(112)가 형성되지 않는 부분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또는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이동 몸체(121)가 유도 몸체(111)의 아래쪽 부분 또는 유도 경로(112)가 형성되지 않는 부분을 이동하는 동안 밀폐 상태가 유지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이동 몸체(121)의 앞쪽 끝에 실링 구조가 형성될 수 있고, 실링 구조(124)는 예를 들어 오-링과 유사한 실링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링 구조(124)에 의하여 이동 피스톤(12)이 유도 실린더(11)를 따라 이동되는 과정에서 실링 구조(124)의 아래쪽 부분을 압력이 낮은 상태로 만들면서 인체 내부의 유해 물질 또는 독성 물질이 유도 몸체(111)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유도 몸체(111)의 앞쪽에 흡입 유닛(13)이 결합될 수 있고, 흡입 유닛(13)에 의하여 인체의 일부가 밀폐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흡입 유닛(13)은 한쪽 부분이 열린 실린더 형상의 접촉 탭(131); 및 접촉 탭(131)의 닫힌 면에 형성된 흡입 튜브(13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접촉 탭(131)은 짧은 연장 길이를 가지면서 한쪽 면이 열리고 다른 면은 닫힌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닫힌 면에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흡입 튜브(132)가 형성될 수 있다. 흡입 튜브(132)은 짧은 길이를 가진 튜브 형상이 될 수 있고, 닫힌 면의 중심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형상이 될 수 있다. 그리고 흡입 튜브(132)가 형성된 부분이 유도 몸체(111)의 안쪽 부분으로 유입되도록 흡입 유닛(13)이 유도 실린더(11)의 한쪽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유도 몸체(111)의 닫힌 부분에 결합 홀이 형성될 수 있고, 결합 홀에 흡입 튜브(132)가 삽입되는 방법으로 흡입 유닛(13)이 유도 실린더(11)에 결합될 수 있다. 접촉 탭(131)은 유도 실린더(1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진 실린더 형상이 될 수 있지만 접촉 탭(131)은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접촉 탭(131)의 적어도 일부가 유도 몸체(111)의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방식으로 흡입 유닛(13)이 유도 실린더(11)에 결합될 수 있다. 흡입 유닛(13)은 압력이 조절되어 인체 내부에 형성되거나 또는 유입된 유해 물질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접촉 탭(131)의 열린 면이 인체에 접촉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접촉 탭(131)의 내부 공간이 밀폐 공간이 될 수 있다. 이동 피스톤(12)이 유도 경로(112)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접촉 탭(131)이 인체의 상처 부위 또는 물린 부위에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접촉 탭(131)의 내부 공간은 밀폐 공간이 될 수 있고, 이동 피스톤(12)이 유도 경로(112)를 따라 이동되면서 접촉 탭(131)의 내부 공간의 압력이 낮아질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유해 물질이 인체 외부로 배출되어 접촉 탭(13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The moving body 121 may have a length equal to or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portion in which the induction path 112 is not formed in the induction body 111, and the moving body 121 is a lower portion of the induction body 111 or The closed state needs to be maintained while moving the portion where the guidance path 112 is not formed. To this end, a sealing structure may be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moving body 121, and the sealing structure 124 may include, for example, a sealing means similar to an O-ring.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moving piston 12 along the induction cylinder 11 by such a sealing structure 124, the lower part of the sealing structure 124 is made to be in a low pressure state, while harmful substances or toxic substances inside the human body It is to be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induction body 111. The suction unit 13 may be coupled to the front of the induction body 111, and a part of the human body may be maintained in a sealed state by the suction unit 13. The suction unit 13 includes a cylindrical contact tab 131 with one open portion; And a suction tube 132 formed on a closed surface of the contact tab 131. The contact tab 131 may have a short extension length while one side is open and the other side is closed. In addition, the suction tube 132 may be formed in a shape protruding outward on the closed surface. The suction tube 132 may have a tube shape having a short length, and may have a shape protruding outward from the center of the closed surface. In addition, the suction unit 13 may be coupled to one portion of the induction cylinder 11 so that the portion in which the suction tube 132 is formed flows into the inner portion of the induction body 111. A coupling hole may be formed in a closed portion of the induction body 111, and the suction unit 13 may be coupled to the induction cylinder 11 in a manner in which the suction tube 132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The contact tab 131 may have a cylinder shape having a relatively large diameter compared to the induction cylinder 11, but the contact tab 131 may have various structures and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ed embodiment. For example, the suction unit 13 may be coupled to the induction cylinder 11 in a manner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tact tab 131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inside of the induction body 111. The suction unit 13 is pressure-controlled so that harmful substances formed or introduced inside the human body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open surface of the contact tab 131 may be in contact with the human body, whereby the inner space of the contact tab 131 may become a closed space. In a state in which the moving piston 12 is positioned below the guide path 112, the contact tab 131 may contact the wound or bite of the human body. In addition, the inner space of the contact tab 131 may be a closed space, and as the moving piston 12 moves along the guide path 112, the pressure of the inner space of the contact tab 131 may be lowered, thereby being harmful. The material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uman body and introduced into the contact tab 131.

유도 몸체(111)의 다른 끝에 밀폐 덮개(14)가 결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밀폐 덮개(14)는 유도 경로(112)의 열린 끝 부분을 고정시켜 이동 피스톤(12)이 안정적으로 유도 경로(112)를 따라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밀폐 덮개(14)는 원형의 덮개 부분(142) 및 덮개 부분(142)의 안쪽 면에 형성되어 밀폐 덮개(14)가 유도 몸체(111)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탄성 테두리(141)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밀폐 덮개(14)는 분리 가능하도록 유도 몸체(111)에 결합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sealing cover 14 may b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guide body 111, for example, the sealing cover 14 fixes the open end of the guide path 112 so that the moving piston 12 is stably guided. It can be made to move along 112. The sealing cover 14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ircular cover portion 142 and the cover portion 142 to be formed of an elastic rim 141 that allows the sealing cover 14 to be stably fixed to the induction body 111. have. The sealing cover 14 may be coupled to the induction body 111 to be detachable, and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ed embodiment.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흡입기에 적용되는 흡입 피스톤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Figure 2 shows an embodiment of a suction piston applied to the inha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이동 몸체(121)는 다수 개의 날개 편(121a)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각각의 날개 편(121a)은 사각 판 형상이 될 수 있고, 각각의 날개 편(121a)의 한쪽 변이 길이 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실링 구조(124)는 각각의 날개 편(121a)의 끝 부분이 결합되는 하나의 원판 및 하나의 원판과 분리된 다른 원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두 개의 서로 분리된 원판 형상에 의하여 형성되는 갭에 밀폐 링(124a)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밀폐 링(124a)에 의하여 이동 피스톤(12)의 이동 과정에서 접촉 탭과 이동 피스톤(12)의 아래쪽의 유도 실린더 부분이 밀폐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동 몸체(121)의 한쪽 끝에 형성되는 이동 핸들(122)은 내부가 빈 사각 단면을 가진 선형 막대 형상이 될 수 있다. 이동 핸들(122)은 이동 몸체(121)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고, 서로 마주보는 벽면(122a)은 테두리가 형성된 홈 형상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실링 구조(124)와 마주보는 위치에 실링 구조(124)의 원판과 유사한 형상을 가지는 밀폐 판(12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동 피스톤(12)은 유도 실린더에 결합되어 유도 실린더(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2, the moving body 121 may be made of a plurality of wing pieces (121a), each wing piece (121a) may be a square plate shape, one side of each wing piece (121a) They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based on the center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ddition, the sealing structure 124 may be formed of one disk to which the ends of each wing piece 121a are coupled and another disk separated from one disk. The sealing ring 124a may be coupled to a gap formed by two separate disk shapes.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moving piston 12 by the sealing ring 124a, the contact tab and the guide cylinder portion below the moving piston 12 may be kept in a sealed state. The moving handle 122 formed at one end of the moving body 121 may be in the shape of a linear rod having an empty square cross section. The moving handle 122 may extend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moving body 121, and the wall surfaces 122a facing each other may have a groove shape in which an edge is formed. In addition, a sealing plate 123 having a shape similar to that of the original plate of the sealing structure 124 may be formed at a position facing the sealing structure 124. The movable piston 12 is coupled to the induction cylinder and can be made into various structures capable of mov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duction cylinder 12, and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ed embodiment.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흡입기에 적용되는 유도 실린더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3 shows an embodiment of an induction cylinder applied to an inha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유도 실린더(11)는 속이 빈 실린더 형상이 되면서 한쪽 면이 열리고 다른 쪽 면이 닫힌 유도 몸체(111)를 포함할 수 있다. 유도 몸체(111)의 닫힌 면에 결합 홀(113)이 형성될 수 있고, 결합 홀(113)에 흡입 튜브(132)가 삽입되어 흡입 유닛(13)이 유도 실린더(11)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흡입 유닛(13)이 간단하게 유도 실린더(11)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에 의하여 유해 물질이 인체 외부로 배출된 이후 흡입 유닛(13)을 분리시켜 흡입된 유해 물질이 쉽게 세정이 되도록 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induction cylinder 11 may include an induction body 111 with one side open and the other side closed while having a hollow cylinder shape. The coupling hole 113 may be formed on the closed surface of the induction body 111, and the suction tube 132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113 so that the suction unit 13 may be coupled to the induction cylinder 11 . As described above, the suction unit 13 is simply detachably coupled to the induction cylinder 11 so that the suction unit 13 is separated after the harmful substances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uman body so that the sucked harmful substances can be easily cleaned. .

접촉 탭(131)의 열린 부분의 접촉 테두리(133)는 인체의 피부에 접촉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접촉 탭(131)의 내부 공간이 밀폐 공간이 될 수 있다. 접촉 테두리(133)의 밀폐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접촉 테두리(133)는 서로 분리된 이중 끝 부분(133a, 133b)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중 끝 부분(133a, 133b)에 의하여 형성되는 갭에 신축 실링 유닛(133c)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신축 실링 유닛(133c)은 이중 끝 부분(133a, 133b)이 외부로 돌출되는 구조가 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실리콘 또는 이와 유사한 합성수지 소재 또는 인체에 무해한 신축성을 가진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신축 실링 유닛(133c)에 의하여 접촉 탭(131)이 인체에 접촉되어 유해 물질을 배출시키는 과정에서 인체에 발생될 수 있는 부작용이 방지될 수 있다. 접촉 테두리(133)는 인체에 접촉되어 밀폐 상태를 형성하면서 인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contact edge 133 of the open portion of the contact tab 131 may be in contact with the skin of the human body, whereby the inner space of the contact tab 131 may become a closed space. In order to improve the sealing performance of the contact rim 133, the contact rim 133 may be formed of double end portions 133a and 133b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gap formed by the double end portions 133a and 133b is elastically sealed. The unit 133c may be combined. In addition, the elastic sealing unit 133c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double end portions 133a and 133b protrude to the outside, and may be made of, for example, silicone or a similar synthetic resin material, or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harmless to the human body. Side effects that may occur in the human body during the process of discharging harmful substances by contacting the contact tab 131 with the human body by the elastic sealing unit 133c can be prevented. The contact edge 133 may be made into various structures capable of preventing damage to the human body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human body to form a sealed state, and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ed embodiment.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흡입기의 작동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4 shows an embodiment of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inha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인체의 상처 부위 또는 물린 자국으로부터 유해 물질의 배출을 위하여 흡입 유닛(13)의 열린 면이 인체에 접촉이 될 수 있고, 이동 피스톤(12)은 미리 유도 실린더(11)의 아래쪽에 위치할 수 있다. 흡입 유닛(13)이 인체에 접촉된 상태에서 이동 피스톤(12)의 위쪽으로 이동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흡입 유닛(13)의 내부 압력이 낮아지면서 인체 내부의 유해 물질이 흡입 유닛(13)의 내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흡입 유닛(13)이 인체로부터 분리되고, 필요에 따라 흡입 유닛(13)이 유도 실린더(11)로부터 분리되어 유해 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이후 다시 흡입 유닛(13)이 유도 실린더(11)에 결합되어 흡입기가 예를 들어 가방 또는 주머니에 휴대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open surface of the suction unit 13 may contact the human body in order to discharge harmful substances from the wound or bite marks of the human body, and the moving piston 12 may be formed in advance of the induction cylinder 11. It can be located at the bottom. In a state in which the suction unit 13 is in contact with the human body, it can be moved upwards of the movable piston 12, whereby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suction unit 13 is lowered and harmful substances inside the human body are Can be discharged inside. In addition, the suction unit 13 may be separated from the human body, and if necessary, the suction unit 13 may be separated from the induction cylinder 11 to remove harmful substances. Thereafter, the suction unit 13 is again coupled to the induction cylinder 11 so that the inhaler can be carried in a bag or pocket, for example.

흡입기는 휴대 가능한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inhaler can be made in a variety of portable structures and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ed embodiments.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상처 부위 흡입기는 다양한 상처 부위로부터 응고 과정에서 생성된 조직 물질, 염증으로 인하여 생성된 유해 물질 또는 이와 유사한 인체 유해 물질이 간단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흡입기는 특히 모기 또는 이와 유사한 벌레에 물리거나 쏘이는 것에 의하여 발생된 물린 자국 또는 상처 부위로부터 유해 물질 또는 독성 물질을 외부로 배출시켜 상처의 확대가 방지되도록 하면서 상처가 신속하게 회복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흡입기는 간단하게 휴대될 수 있는 구조로 인하여 벌레 물림 또는 상처가 발생되는 현장에서 곧바로 유해 물질 또는 독성 물질이 제거되도록 한다.The portable wound area inha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issue materials generated during the coagulation process, harmful materials generated due to inflammation, or similar harmful substances to the human body to be simply removed from various wound areas. The inha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discharges harmful substances or toxic substances from the bite marks or wounds caused by bites or stings caused by mosquitoes or similar insects to the outside, thereby preventing the enlargement of the wound and allowing the wound to recover quickly . In addition, the inha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harmful substances or toxic substances to be removed immediately at the site where insect bites or wounds occur due to the simple portable structure.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with reference to the presented embodiments, bu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is field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presented embodiments.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such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but is limited by the claims appended below.

11: 유도 실린더 12: 이동 피스톤
13: 흡입 유닛 14: 밀폐 덮개
111: 유도 몸체 112: 유도 경로
113: 결합 홀 121: 이동 몸체
121a: 날개 편 122: 이동 핸들
122a: 벽면 123: 밀폐 판
124: 실링 구조 124a: 밀폐 링
131: 접촉 탭 132: 흡입 튜브
133: 접촉 테두리 133a, 133b: 이중 끝 부분
133c: 신축 실링 유닛 141: 탄성 테두리
142: 덮개 부분
11: induction cylinder 12: moving piston
13: suction unit 14: sealing cover
111: guide body 112: guide path
113: coupling hole 121: moving body
121a: wing piece 122: moving handle
122a: wall surface 123: sealing plate
124: sealing structure 124a: sealing ring
131: contact tap 132: suction tube
133: contact edge 133a, 133b: double end portion
133c: elastic sealing unit 141: elastic rim
142: cover part

Claims (2)

길이 방향을 따라 유도 경로(112)가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속이 빈 실린더
형상이 되는 유도 실린더(11);
유도 경로(112)를 따라 이동이 되면서 유도 실린더(11)의 내부 압력을 변화
시키는 이동 피스톤(12);
유도 실린더(11)의 앞쪽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인체에 접촉되는 접촉 탭(131) 및 접촉 탭(131)과 유도 실린더(11)를 연결시키는 흡입 튜브(132)가 형성된 흡입 유닛(13); 및
유도 실린더(11)의 뒤쪽에 결합되는 밀폐 덮개(14)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피스톤(12)의 앞쪽 부분에 유도 실린더(11)의 내부 면의 둘레를 따라 접촉되는 실링 구조(124)가 형성되고,
유도 경로(112)는 실린더 형상의 유도 몸체(111)의 한쪽 부분으로부터 일정 길이로 유도 몸체(11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갭 형상을 가지며,
이동 피스톤(12)은 유도 몸체(11)의 내부를 따라 이동되는 이동 몸체(121) 및 이동 몸체(121)의 한쪽 끝에 형성된 이동 핸들(122)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실링 구조(124)는 이동 몸체(121)의 다른 쪽 끝에 형성되고, 상기 이동 핸들(122)은 이동 몸체(121)의 연장 방향에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갭 형상의 유도 경로(112)를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상처 부위 흡입기.
An induction path 112 is form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and a cylinder that is entirely hollow
Induction cylinder 11 to be shaped;
As it moves along the induction path 112,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induction cylinder 11 is changed.
A moving piston 12;
A suction unit 13 having a contact tab 131 in contact with the human body while detachably coupled to the front of the induction cylinder 11 and a suction tube 132 connecting the contact tab 131 with the induction cylinder 11; And
Including a sealing cover 14 coupled to the rear of the induction cylinder 11,
A sealing structure 124 in contact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induction cylinder 11 is formed at the front portion of the moving piston 12,
The guide path 112 has a gap shape extending from one portion of the cylinder-shaped guide body 111 to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body 111,
The moving piston 12 further includes a moving body 121 that moves along the inside of the induction body 11 and a moving handle 122 formed at one end of the moving body 121, and the sealing structure 124 is moved A portable woun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121, and the moving handle 122 extends perpendicular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moving body 121 to move along the gap-shaped guide path 112 Area inhaler.
청구항 1에 있어서, 접촉 탭(131)의 앞쪽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신축 실링 유닛(133c)을 더 포함하는 휴대용 상처 부위 흡입기. The portable wound area inhaler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elastic sealing unit (133c) formed along the front edge of the contact tab (131).
KR1020180091188A 2018-08-06 2018-08-06 A Portable Inhaler for an Injury KR1021824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188A KR102182451B1 (en) 2018-08-06 2018-08-06 A Portable Inhaler for an Inju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188A KR102182451B1 (en) 2018-08-06 2018-08-06 A Portable Inhaler for an Injur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6017A KR20200016017A (en) 2020-02-14
KR102182451B1 true KR102182451B1 (en) 2020-11-24

Family

ID=69514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1188A KR102182451B1 (en) 2018-08-06 2018-08-06 A Portable Inhaler for an Inju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2451B1 (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719520D0 (en) 1997-09-12 1997-11-19 Kci Medical Ltd Surgical drape and suction heads for wound treatment
GB0224986D0 (en) 2002-10-28 2002-12-04 Smith & Nephew Apparatus
KR20150122490A (en) * 2014-04-23 2015-11-02 신동호 Inhalers for foreign body removal
KR102482488B1 (en) * 2016-11-29 2022-12-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for collecting body flui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6017A (en) 2020-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9864B1 (en) Wound cleansing apparatus in-situ
KR20130098327A (en) Device and method for abscess irrigation
WO1993015703A1 (en) Improved phacoemulsification handpiece
KR20240011889A (en) Irrigation device and system for delivering pressurized fluid to same for wound lavage and biofilm control
EP3542740A1 (en) Device for ultrasound wound cleaning
US5830197A (en) Wound irrigation device and method
CN209734089U (en) Inner ring of prepuce cerclage device and prepuce cerclage device
KR102182451B1 (en) A Portable Inhaler for an Injury
CN108434493B (en) One kind being based on surgical operating instrument sterilizing equipment decontaminating apparatus
CA3039418A1 (en) Vacuum motor, surgical drive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vacuum motor
JP2007061610A (en) Nozzle
TWI726531B (en) Auxiliary system with a removal device for surgery
CN109662755A (en) A kind of Echinococcus hydatid cyst rotary cut device of aspiration-type
CN205660761U (en) Surgical nursing is with multi -functional skin preparation sword
CN204092190U (en) Operation smoke filter
WO2014036993A1 (en) Medical drainage tube
CN203915077U (en) The device of a kind of separated and collected flue gas and infusion liquid
US967269A (en) Surgical appliance.
Angobaldo et al. Prevention of projectile and aerosol contamination during pulsatile lavage irrigation using a wound irrigation bag
KR20150117517A (en) Trocar lens apparatus comprising wiping material
CN210754257U (en) Novel operation smog suction device
RU210079U1 (en) DEVICE FOR ACTIVE DRAINAGE OF DEEP WOUNDS AND SMALL BODY CAVITIES
CN203252957U (en) Disposable smoke exhaust and suction tube
US20080097410A1 (en) Medical fluid aspirator
SU988292A1 (en) Surgical drain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