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2185B1 -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ocular motility disturban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ocular motility disturban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2185B1
KR102182185B1 KR1020180126463A KR20180126463A KR102182185B1 KR 102182185 B1 KR102182185 B1 KR 102182185B1 KR 1020180126463 A KR1020180126463 A KR 1020180126463A KR 20180126463 A KR20180126463 A KR 20180126463A KR 102182185 B1 KR102182185 B1 KR 102182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ye
pupil
photograph
disorder
displa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64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05486A (en
Inventor
김병조
윤영욱
김정빈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90105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54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2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21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구 운동장애 평가 방법은, 안구평가 대상자가 정면을 주시할 때의 안구를 촬상한 기준안구사진과 상기 안구평가 대상자가 정면을 주시하는 상태에 대해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방사방향을 주시할 때의 안구를 촬상한 복수의 비교안구사진을 촬상하는 단계; 상기 기준안구사진의 동공 및 공막이 포함되도록 상기 기준안구사진에 직사각형 형상의 그리드를 매핑하는 단계; 상기 그리드가 매핑된 기준안구사진의 동공을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동공의 중심을 기준좌표로 설정하고, 상기 비교안구사진의 동공을 추출하여 추출된 비교안구사진의 동공의 중심을 비교좌표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기준좌표로부터 상기 비교좌표까지의 편차를 바탕으로 동공의 변위를 산출하고, 상기 동공이 회선한 회선(torsion) 각도를 산출하며, 상기 동공의 변위 및 회선 각도를 기설정된 정상 범위와 비교하여 양안의 운동패턴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양안의 운동패턴을 기초로 상기 안구평가 대상자의 장애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method for evaluating ocular movement disord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ference eye photograph taken of the eyeball when the subject of the eye evaluation is looking at the front, and radiation according to a preset condition for the state where the subject of the eye evaluation is looking at the front. Capturing a plurality of comparative eye photos taken of an eyeball when gazing in a direction; Mapping a rectangular grid to the reference eye photograph so that the pupil and the sclera of the reference eye photograph are included; Extracting the pupil of the reference eye photo to which the grid is mapped and setting the center of the extracted pupil as the reference coordinate, and extracting the pupil of the comparison eye photo and setting the center of the pupil of the extracted comparative eye photo as the comparison coordinate step; Calculate the displacement of the pupil based on the deviation from the reference coordinate to the comparative coordinate, calculate the torsion angle in which the pupil turns, and compare the displacement and rotation angle of the pupil with a preset normal range, Analyzing the movement pattern of the; And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disorder of the eye evaluation subject based on the movement pattern of both eyes.

Description

안구 운동장애 평가 시스템, 그를 이용한 안구 운동장애 평가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ocular motility disturban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ocular motility disturban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using the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ocular motility disturban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안구 운동장애 평가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안구 운동장애 평가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안구가 정면을 주시할 때의 안구 위치와 방사 방향을 주시할 때의 안구 위치를 비교하여 안구 이동이 적정한지를 정량적으로 판단하여 안구 평가 대상자의 안구 운동장애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안구 운동장애 평가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안구 운동장애 평가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cular movement disorder evaluation system and a method for evaluating ocular movement disorders us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by comparing the position of the eyeball when the eyeball gazes at the front and the location of the eyeball when gazing at the radial direc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cular movement disorder evaluation system capable of quantitatively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re is an ocular movement disorder of an eye evaluation target, and a method of evaluating ocular movement disorders using the same.

안구운동장애는 안구의 움직임을 담당하는 상직근(superior rectus), 하직근(inferior rectus), 내직근(medial rectus), 외직근(lateral rectus), 상사근(superior oblique) 및 하사근(inferior oblique)의 6개 근육(도 2 참고)과 이들 근육을 지배하는 3, 4, 6번 각 신경과 근육의 연접부 병변 및 뇌 병변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Eye movement disorders include superior rectus, inferior rectus, medial rectus, lateral rectus, superior oblique, and inferior oblique, which are responsible for eye movement. ) Of the six muscles (see Fig. 2) and the junctional lesions and brain lesions of the nerves and muscles 3, 4, and 6 that govern these muscles.

안구 움직임에 따른 장애 패턴 분석은 안구를 다양한 위치로 이동시키게 하여 안구 움직임의 장애 패턴을 분석함으로써 이들 중 손상된 영역을 구별해 낼 수 있고, 이를 토대로 병인을 추정하여 검사를 하게 된다. 하지만, 현재는 안구 운동의 움직임을 정량적으로 판단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안구운동장애에 따른 평가 방법이 명확하게 제시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며, 의사가 직접 육안으로 안구의 움직임을 평가하여 장애 부위를 예측하고 있는 상황이다.The analysis of the disorder pattern according to the eye movement allows the eyeball to move to various positions and analyzes the disorder pattern of the eye movement so that the damaged area can be identified, and based on this, the etiology is estimated and examined. However, currently, there is no clear presentation of an e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eye movement disorders based on quantitative judgment of eye movement movements, and doctors directly evaluate eye movements with the naked eye to predict the area of the disorder. There is a situation.

이러한 육안 평가는 미세한 변화를 하는 안구의 움직임을 정확하게 판단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어 오진의 가능성도 높다.This visual evaluation has a side that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judge the movements of the eyeballs with subtle changes, so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misdiagnosis.

따라서 안구운동장애의 패턴을 보다 명확하고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Therefore, there is an increasing need to develop a technology that can more clearly and accurately analyze the pattern of eye movement disorders.

(한국공개특허 제2003-0087101호, 2003년 11월 13일)(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3-0087101, November 13, 2003)

본 발명의 목적은 안구가 정면을 주시할 때의 안구 위치와 방사 방향을 주시할 때의 안구 위치를 비교하여 안구 이동이 적정한지를 정량적으로 판단하여 안구 평가 대상자의 안구 운동장애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안구 운동장애 평가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안구 운동장애 평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quantitatively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eye movement is appropriate by comparing the eyeball position when the eyeball is looking at the front and the eyeball position when looking at the radial direction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re is an ocular movement disorder of the eye evaluation subject. It is to provide an ocular movement disorder evaluation system and a method for evaluating ocular movement disorders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 and other obj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구 운동장애 평가 시스템은, 안구 평가 대상자가 정면을 주시할 때의 안구를 촬상한 기준안구사진과, 상기 안구 평가 대상자가 정면을 주시하는 상태에 대해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방사 방향을 주시할 때의 안구를 촬상한 복수의 비교안구사진을 촬상하는 촬상부; 및 상기 촬상부와 무선으로 통신하며, 상기 촬상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기준안구사진과 상기 복수의 비교안구사진을 이용하여 양안의 운동 패턴을 분석하고, 상기 양안의 운동 패턴을 기초로 안구 평가 대상자의 장애 유무를 판단하는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촬상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기준안구사진과 상기 복수의 비교안구사진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상기 기준안구사진에 동공 및 공막이 포함되도록 직사각형 형상의 그리드를 매핑하고, 그리드가 매핑된 상기 기준안구사진의 동공을 추출하여 추출된 동공의 중심을 기준 좌표로 설정하고, 상기 비교안구사진의 동공을 추출하여 추출된 동공의 중심을 비교좌표로 설정하며, 상기 기준좌표로부터 상기 비교좌표까지의 편차를 바탕으로 동공이 이동한 변위를 산출하는 변위 산출부; 상기 기준안구사진에 동공 중심에서 홍채의 외주면까지 복수의 가상선을 방사방향으로 매핑하고, 상기 복수의 가상선의 길이를 측정하며, 측정한 각 가상선의 길이를 바탕으로 홍채모양을 확정한 후, 상기 기준안구사진과 상기 복수의 비교안구사진에서 홍채모양을 비교하여 상기 회선 각도를 산출하는 회선각도 산출부; 및 상기 동공의 변위 또는 회선각도를 기초로 상기 안구평가 대상자의 장애 유무를 판단하는 장애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eye movement disorder evalu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ference eye photograph taken of the eyeball when the eye evaluation subject is looking at the front, and the eye evaluation subject is looking at the front. An imaging unit for capturing a plurality of comparative eye photographs obtained by photographing an eyeball when looking at a radiation direction according to a condition preset for a state; And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the imaging unit, analyzing the motion pattern of both eyes using the reference eye picture and the plurality of comparative eye pictures received from the imaging unit, and evaluating the eyeball based on the motion pattern of the both eyes. A data storage unit configured to store the reference eye picture and the plurality of comparison eye pictures received from the imaging unit; A rectangular grid is mapped so that the pupil and the sclera are included in the reference eye photograph, the pupil of the reference eye photograph to which the grid is mapped is extracted, and the center of the extracted pupil is set as a reference coordinate, and the pupil of the comparative eye photograph A displacement calculator configured to extract and set the center of the extracted pupil as a comparison coordinate, and calculate a displacement of the pupil based on a deviation from the reference coordinate to the comparison coordinate; In the reference eye photograph, a plurality of virtual lines are radially mapped from the pupil center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ris, the lengths of the plurality of virtual lines are measured, and the shape of the iris is determined based on the measured lengths of each virtual line. A rotation angle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the rotation angle by comparing the shape of the iris in the reference eye photograph and the plurality of comparative eye photographs; And a disability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subject of the eye evaluation has a disability based on the displacement or rotation angle of the pupi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구 운동장애 평가 방법은, 안구평가 대상자가 정면을 주시할 때의 안구를 촬상한 기준안구사진과 상기 안구평가 대상자가 정면을 주시하는 상태에 대해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방사방향을 주시할 때의 안구를 촬상한 복수의 비교안구사진을 촬상하는 단계; 상기 기준안구사진의 동공 및 공막이 포함되도록 상기 기준안구사진에 직사각형 형상의 그리드를 매핑하는 단계; 상기 그리드가 매핑된 기준안구사진의 동공을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동공의 중심을 기준좌표로 설정하고, 상기 비교안구사진의 동공을 추출하여 추출된 비교안구사진의 동공의 중심을 비교좌표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기준좌표로부터 상기 비교좌표까지의 편차를 바탕으로 동공의 변위를 산출하고, 상기 동공이 회선한 회선(torsion) 각도를 산출하며, 상기 동공의 변위 및 회선 각도를 기설정된 정상 범위와 비교하여 양안의 운동패턴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양안의 운동패턴을 기초로 상기 안구평가 대상자의 장애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for evaluating ocular movement disord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ference eye photograph taken of the eyeball when the subject of the eye evaluation is looking at the front, and radiation according to a preset condition for the state where the subject of the eye evaluation is looking at the front. Capturing a plurality of comparative eye photos taken of an eyeball when gazing in a direction; Mapping a rectangular grid to the reference eye photograph so that the pupil and the sclera of the reference eye photograph are included; Extracting the pupil of the reference eye photo to which the grid is mapped and setting the center of the extracted pupil as the reference coordinate, and extracting the pupil of the comparison eye photo and setting the center of the pupil of the extracted comparative eye photo as the comparison coordinate step; Calculate the displacement of the pupil based on the deviation from the reference coordinate to the comparative coordinate, calculate the torsion angle in which the pupil turns, and compare the displacement and rotation angle of the pupil with a preset normal range, Analyzing the movement pattern of the; And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disorder of the eye evaluation target based on the movement pattern of both ey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구 운동장애 평가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안구 운동장애 평가 방법은 안구가 정면을 주시할 때의 안구위치와 방사방향을 주시할 때의 안구위치를 정량적으로 산정할 수 있어 안구평가 대상자의 눈 움직임을 정확하게 판단하고, 이를 바탕으로 안구평가 대상자 장애 유무를 보다 객관적으로 판단하고 진단할 수 있다.The eye movement disorder evalu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ye movement disorder evaluation method using the same can quantitatively calculate the eyeball position when the eyeball is looking at the front and the eyeball position when the eyeball is looking at the radial direction.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judge the eye movement of the subject, and based on this, more objectively determine and diagnose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subject's disorder.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안구의 이동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안구와 안구를 감싸고 있는 근육의 명칭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구 운동장애 평가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구에 그리드가 매핑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안구의 회선각도를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구 운동장애 평가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moving state of an eyeball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name of the eyeball and the muscles surrounding the eyeball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 chart of a method for evaluating ocular movement disord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grid is mapped to an eyeb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to 5C are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calculating an eyeball rotation ang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of an eye movement disorder evalu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통상의 기술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following content merely illustrates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implement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vent various devices included in the concep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not clearly described or illustrated herein. In addition, all conditional terms and examples listed in this specification are, in principle, intended to be clearly intended only for the purpose of making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understood, and should be understood as not limiting to the embodiments and states specifically listed as described above. do.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 예들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 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addi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ll detailed descriptions listing specific embodiments as well as principles, aspects, a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nclude structural and functional equivalents of these matters. It should also be understood that these equivalents include not only currently known equivalents, but also equivalents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that is, all devices invented to perform the same function regardless of structure.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럭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us, for example, the block diagrams herein are to be understood as representing a conceptual perspective of exemplary circuits embodying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Similarly, all flowcharts, state transition diagrams, pseudocodes, etc. are understood to represent various processes performed by a computer or processor, whether or not the computer or processor is clearly depicted and that can be represented substantially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Should be.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럭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The functions of the various elements shown in the figures, including a processor or functional block represented by a similar concept, may be provided by the use of dedicated hardware as well as hardware having the ability to execute software in association with appropriate software. When provided by a processor, the function may be provided by a single dedicated processor, a single shared processor, or a plurality of individual processors, some of which may be shared.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 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따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xplicit use of terms presented as processor, control, or similar concepts should not be interpreted exclusively by referring to hardware capable of executing software, and without limitation,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hardware, ROM for storing software. It should be understood to implicitly include (ROM), RAM, and non-volatile memory. It may also include hardware in accordance with the common practice.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에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 소자의 조합 또는 펌웨어/마이크로 코드 등을 포함하는 모든 형식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방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었으며,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적절한 회로와 결합된다. 이러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은 다양하게 열거된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들이 결합되고 청구항이 요구하는 방식과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되는 것과 균등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claims of this specification, components expressed as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nclude all types of software including, for example, a combination of circuit elements or firmware/microcode that perform the above functions. It is intended to include all methods of performing a function to perform the function, and is combined with suitable circuitry for executing the software to perform the function. Since the invention defined by these claims is combined with the functions provided by the various enumerated means and combined with the manner required by the claims, any means capable of providing the above functions are equivalent to those conceived from this specif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as.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The above-described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n conne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will be.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구 운동장애 평가 방법의 순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구에 그리드가 매핑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안구의 회선각도를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3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evaluating ocular movement disord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grid is mapped to an eyeb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5A to 5C are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calculating an eyeball rotation ang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3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구 운동장애 평가 방법은 기준안구사진 및 비교안구사진을 촬상하는 단계(S100), 그리드를 매핑하는 단계(S200), 기준좌표와 비교좌표를 설정하는 단계(S300), 양안의 운동패턴을 분석하는 단계(S400) 및 대상자의 장애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S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3 to 5C, the method for evaluating ocular movement disord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capturing a reference eye picture and a comparative eye picture (S100), mapping a grid (S200), and reference coordinates. And setting the comparative coordinates (S300), analyzing the motion pattern of both eyes (S400), and determining whether the subject has a disability (S500).

먼저, 기준안구사진 및 비교안구사진을 촬상하는 단계(S100)는 촬상부를 이용하여 안구평가 대상자의 안구를 촬상한다. 여기서, 안구평가 대상자의 양안을 모두 촬상하며, 안구평가 대상자가 정면을 주시할 때의 안구를 촬상한 기준안구사진과 안구평가 대상자가 정면을 주시하는 상태에 대해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방사방향을 주시할 때의 안구를 촬상한 복수의 비교안구사진을 촬상할 수 있다. 촬상된 기준안구사진 및 비교안구사진은 각각 저장된다.First, in the step (S100) of capturing a reference eye photo and a comparative eye photo, an eyeball of an eye evaluation target is captured using an imaging unit. Here, both eyes of the subject of the eye evaluation are photographed, and the radial direction is observed according to a preset condition for the reference eye photograph of the eyeball when the subject of the eye evaluation is looking at the front and the state where the subject of the eye evaluation is looking at the front. It is possible to take a plurality of comparative eye pictures taken of the eyeball during the operation. The captured reference eye picture and comparative eye picture are each stor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교안구사진은 안구평가 대상자가 정면을 주시할 때를 기준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하, 좌, 우, 상좌(상방향좌측), 상우(상방향우측), 하좌(하방향좌측) 및 하우(하방향우측)의 8 방향을 주시한 상태에서 안구를 촬상한 사진이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 comparative eye photograph is, as shown in FIG. 1, based on when the subject of eye evaluation looks at the front, top, bottom, left, right, top left (upward left), top right (upward right). ), the lower left (lower left) and the lower left (lower right) in 8 directions.

그리드를 매핑하는 단계(S200)는 기준안구사진의 동공(P) 및 공막(S)이 포함되도록 기준안구사진에 직사각형 형상의 그리드(G)를 매핑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안구에 그리드가 매핑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를 위하여 촬상된 사진으로부터 동공 및 공막이 포함되는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그리드를 매핑하는 단계(S200)는 기준안구사진에 매핑된 그리드(G)의 가로(A) 및 세로(B) 길이를 추출한다. 추가로, 그리드가 매핑된 기준안구사진에서 위쪽과 아래쪽 눈꺼풀 사이의 길이(L)를 추출할 수 있다.In the step of mapping the grid (S200), a rectangular grid G is mapped to the reference eye photograph so that the pupil P and the sclera S of the reference eye photograph are included. 4 shows a state in which a grid is mapped to an eyeb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is end, it may further include extracting a region including the pupil and the sclera from the captured photo. In addition, in the step of mapping the grid (S200), the horizontal (A) and vertical (B) lengths of the grid G mapped to the reference eye photograph are extracted. In addition, the length (L) between the upper and lower eyelids may be extracted from the grid-mapped reference eye photograph.

기준좌표와 비교좌표를 설정하는 단계(S300)는 그리드가 매핑된 기준안구사진의 동공을 추출하여 추출된 동공의 중심을 기준좌표로 설정하고, 비교안구사진에서 추출된 동공의 중심을 비교좌표로 설정한다.In the step of setting the reference coordinates and the comparison coordinates (S300), the pupil of the reference eye photo to which the grid is mapped is extracted and the center of the extracted pupil is set as the reference coordinate, and the center of the pupil extracted from the comparison eye photo is used as the comparison coordinate. Set.

양안의 운동패턴을 분석하는 단계(S400)는 기준좌표로부터 비교좌표까지의 편차를 바탕으로 동공이 이동한 변위를 산출하고, 동공이 회선한 회선(torsion) 각도를 산출하며, 동공의 변위 및 회선(torsion) 각도를 기초로 양안의 운동패턴을 분석한다.In the step of analyzing the motion pattern of both eyes (S400), the displacement of the pupil is calculated based on the deviation from the reference coordinate to the comparative coordinate, the torsion angle in which the pupil turns, and the displacement and rotation of the pupil Analyze the motion pattern of both eyes based on the (torsion) angle.

구체적으로, 각각의 안구가 정면을 주시할 때의 동공의 중심인 기준좌표값과, 각각의 방사 방향을 주시할 때의 동공의 중심인 비교좌표값의 편차를 계산하여 동공이 이동한 변위를 산출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isplacement of the pupil is calculated by calculating the deviation of the reference coordinate value, which is the center of the pupil when each eyeball looks in front, and the comparative coordinate value, which is the center of the pupil when looking at each radial direction can do.

또한, 기준안구사진에 안구 동공 중심에서 홍채의 외주면까지 복수의 가상선(a, b, c, d, e, f, g)을 방사방향으로 매핑한다. 여기서, 복수의 가상선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공 중심을 기준으로 홍채의 일측 외주면까지의 반경일 수도 있고, 도시된 바와는 달리 동공 중심에서 홍채의 양측 외주면까지 연결하는 직경일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가상선은 홍채에 대해서 등간격(단위: °)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복수의 가상선의 길이를 측정하고, 산출된 각 가상선의 길이를 바탕으로 기준안구사진의 홍채모양을 확정한다. 여기서, 홍채모양은 동공의 중심으로부터 홍채의 외주면까지 포함하는 모양을 의미한다. 또한, 홍채의 모양을 정확하게 확정하기 위해서 가상선의 수는 최대한 많은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virtual lines (a, b, c, d, e, f, g) are radially mapped from the center of the pupil of the eye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ris on the reference eye photograph. Here, the plurality of imaginary lines may be a radius from the pupil center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one side of the iris as shown in FIGS. 5A and 5B, and, unlike shown, a diameter connecting from the pupil center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both sides of the iris. May be. In addition, a plurality of virtual lines may be formed at equal intervals (unit: °) with respect to the iris. Next, the lengths of the plurality of virtual lines are measured, and the iris shape of the reference eye photograph is determined based on the calculated lengths of each virtual line. Here, the iris shape means a shape including from the center of the pupil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ris. In addition, in order to accurately determine the shape of the iris, the number of virtual lines is preferably as large as possible.

홍채는 동공의 중심점에서 외주면까지 이르는 거리가 상이하여 타원형으로 형성되고, 동공의 중심점부터 홍채의 경계부까지의 거리값은 안구의 회선운동(torsion) 중에도 변함이 없다.The iris is formed in an oval shape because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point of the pupil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different, and the distance value from the center point of the pupil to the boundary of the iris remains unchanged during the torsion of the eyeball.

다시 말해, 도 5a의 기준안구사진과 도 5b와 같이 우측 눈이 좌측 하방을 바라보고 있을 때의 비교안구사진을 대비하면, 복수의 가상선의 길이 및 서로 이웃하는 가상선 사이의 각도에는 변화가 없다.In other words, when comparing the reference eye photograph of FIG. 5A and the comparative eye photograph when the right eye is looking downward as shown in FIG. 5B, there is no change in the lengths of the plurality of virtual lines and the angle between adjacent virtual lines. .

따라서, 기준안구사진과 비교안구사진에서 홍채의 모양을 비교하여 안구의 회선(torsion) 각도를 산출할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안구는 Y축을 따라 이동하는 수평 운동(51), Z축을 따라 이동하는 수직 운동(52), 그리고 X축을 따라 회전하는 회선 운동(53)을 할 수 있으며, 안구의 회선(torsion) 각도는 안구가 X축을 중심으로 회선한 각도를 의미한다.Accordingly, the torsion angle of the eye can be calculated by comparing the shape of the iris in the reference eye photograph and the comparative eye photograph. Referring to Figure 5c, the eyeball can perform a horizontal movement 51 moving along the Y axis, a vertical movement 52 moving along the Z axis, and a rotation movement 53 rotating along the X axis. torsion) angle means the angle that the eyeball rotates around the X axis.

또한, 양안의 운동패턴을 분석하는 단계(S400)는 양안 각각의 동공의 변위 및 회선(torsion) 각도를 기설정된 정상 범위와 비교하여 양안의 운동패턴을 분석한다. 여기서, 기설정된 정상 범위는 양안이 주시하는 방향에 대해 의학적으로 정상 범주로 볼 수 있는 동공의 변위 및 회선 각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개인별 편차를 고려하여 설정된 값일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step of analyzing the motion pattern of both eyes (S400), the motion pattern of both eyes is analyzed by comparing the displacement and torsion angle of each pupil of both eyes with a preset normal range. Here, the preset normal range refers to the displacement and rotation angle of the pupil that can be viewed as a medically normal category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in which both eyes are gaze, and may be a value set in consideration of individual deviation.

장애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S500)는 양안의 운동패턴을 기초로 안구평가 대상자의 장애 유무를 판단한다.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disorder (S500),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disorder of the eye evaluation target is determined based on the movement pattern of both eyes.

구체적으로, 장애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S500)는 양안 중 적어도 하나의 동공의 변위 및/또는 회선(torsion) 각도를 기설정된 정상 범위와 비교한 결과를 기초로 안구평가 대상자의 안구의 움직임을 담당하는 근육의 장애 유무를 판단한다.Specifically, the step of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disorder (S500) is in charge of the movement of the eyeball of the eye evaluation target based on the result of comparing the displacement and/or torsion angle of at least one pupil of both eyes with a preset normal range. Determine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muscle disorder.

예를 들어, 장애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S500)는 어느 한쪽 안구의 동공의 변위 또는 회선(torsion) 각도가 기설정된 정상 범위에 속하지 않으면, 안구의 정상 범위로의 이동을 담당하는 근육에 장애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disorder (S500), if the displacement or torsion angle of the pupil of either eye does not fall within a preset normal range, there is a disorder in the muscle responsible for movement to the normal range of the eyeball. It can be judged as.

또한, 장애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S500)는 양안의 동공의 변위 또는 회선(torsion) 각도의 차이값이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이면, 해당 안구 이동을 담당하는 근육에 장애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임계값은 양안이 주시하는 방향에 대해 양안의 동공의 변위 또는 회선 각도의 차이값이 의학적으로 근육 장애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임계값을 의미하는 것으로, 개인별 편차를 고려하여 설정된 값일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tep S500 of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disorder, if a difference value between a displacement or a torsion angle of the pupils of both eyes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it may be determined that a muscle in charge of moving the eyeball has a disorder. Here, the preset threshold refers to a threshold value at which the difference between the displacement or rotation angle of the pupils of both eyes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in which both eyes are gaze is medically determined to have a muscle disorder, and is a value set in consideration of individual deviations. I can.

또한, 장애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S500)는 정면을 주시한 채 촬상한 기준안구사진에서 추출한 위쪽과 아래쪽 눈꺼풀 사이의 길이(L)를 기초로 안구평가 대상자의 안검하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쪽 안구의 위쪽과 아래쪽 눈꺼풀 사이의 길이(L)가 기 설정된 임계값 미만이거나, 양안의 위쪽과 아래쪽 눈꺼풀 사이의 길이(L)의 차이가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이면 안검하수로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disorder (S500),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subject of the eye evaluation has ptosis based on the length L between the upper and lower eyelids extracted from the reference eye photograph taken while looking at the front. For example, if the length (L) between the upper and lower eyelids of one eye is less than a preset threshold, or the difference in the length (L) between the upper and lower eyelids of both eyes is more than a preset threshold, it is determined as ptosis. can do.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안구 운동장애 평가 방법의 각 단계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들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in which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processor for executing each step of the ocular movement disorder evaluation method as shown in FIG. 3 are recorded may be provided.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구 운동장애 평가 시스템의 블록도이다.6 is a block diagram of an eye movement disorder evalu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구 운동장애 평가 시스템은 촬상부(110) 및 서버(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6, the system for evaluating eye movement disord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ing unit 110 and a server 120.

촬상부(110)는 안구평가 대상자가 정면을 주시할 때의 안구를 촬상한 기준안구사진과, 안구평가 대상자가 정면을 주시하는 상태에 대해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방사방향을 주시할 때의 안구를 촬상한 복수의 비교안구사진을 촬상한다.The imaging unit 110 includes a reference eye photograph that captures the eyeball when the eye evaluation subject is looking at the front, and the eyeball when the eye evaluation subject is looking at the radial direc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dition for a state in which the eye evaluation subject is looking at the front. A plurality of photographed comparative eye pictures are taken.

이때, 촬상부(110)는 안구를 촬상할 수 있는 촬영모듈을 구비한 HMD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HMD의 디스플레이틀 통해 안구평가 대상자에게 상, 하, 좌, 우, 상좌, 상우, 하좌 및 하우의 방향 주시할 수 있도록 마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안구평가 대상자가 제공된 마커를 주시할 때, 안구를 촬영하여 복수의 비교안구사진을 촬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촬상부(110)가 HMD로 구현되는 경우, 안구평가 대상자가 움직이더라도 HMD가 머리에 고정된 상태에서 영상이 제공되므로 안구영상을 촬영할 때에 발생할 수 있는 오류 발생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the image pickup unit 110 may be implemented as an HMD having a photographing module capable of capturing an eyeb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marker may be provided to the subject of eye evaluation through the display frame of the HMD so that the subject of the eye evaluation can gaze in the directions of up, down, left, right, upper left, upper right, lower left, and lower. When watching, the eyeball can be photographed to take a plurality of comparative eye pictures. As described above, when the imaging unit 110 is implemented as an HMD, even if the subject of eye evaluation moves, an image is provided while the HMD is fixed to the head, so that the occurrence of errors that may occur when photographing an eye image can be relatively reduced. do.

또한, HMD로 구현되는 촬상부(110)는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하고 있어 HMD를 통해 촬상된 기준안구사진과 복수의 비교안구사진을 무선으로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imaging unit 110 implemented as an HMD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 reference eye picture and a plurality of comparison eye pictures captured through the HMD can be wirelessly transmitted to the server 120.

그러나, 촬상부(110)가 반드시 HMD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스마트 고글, 디스플레이 장착 헬멧 등과 같이 머리에 착용되어 안구평가 대상자의 움직임과 상관없이 안구평가 대상자의 양안과 디스플레이가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고 안구평가 대상자의 양안을 촬상할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However, the imaging unit 110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HMD, and is worn on the head such as smart glass, smart goggles, and a display-equipped helmet, so that both eyes and the display of the eye evaluation subject are irrespective of the movement of the eye evaluation subject. I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can be implemented in a form capable of photographing both eyes of an eye evaluation subject.

서버(120)는 촬상부(110)와 무선으로 통신하며, 촬상부(110)로부터 수신한 기준안구사진과 복수의 비교안구사진을 이용하여 양안의 운동패턴을 분석하고, 양안의 운동패턴을 기초로 안구평가 대상자의 장애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 데이터 저장부(121), 변위 산출부(122), 회선각도 산출부(123) 및 장애 판단부(124)를 포함한다.The server 120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the imaging unit 110, and analyzes the motion pattern of both eyes using a reference eye picture and a plurality of comparative eye pictures received from the imaging unit 110, and based on the motion pattern of both eyes. As for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disorder of the subject of eye evaluation, it includes a data storage unit 121, a displacement calculation unit 122, a rotation angle calculation unit 123, and a failure determination unit 124.

데이터 저장부(121)는 촬상부(110)로부터 수신한 기준안구사진과 복수의 비교안구사진을 저장한다.The data storage unit 121 stores a reference eye picture and a plurality of comparison eye pictures received from the imaging unit 110.

변위 산출부(122)는 기준안구사진과 복수의 비교안구사진을 비교하여 동공의 변위를 산출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변위 산출부(122)는 기준안구사진에 동공 및 공막이 포함되도록 직사각형 형상의 그리드를 매핑하고, 그리드가 매핑된 기준안구사진의 동공을 추출하여 추출된 동공의 중심을 기준좌표로 설정하고, 비교안구사진의 동공을 추출하여 추출된 동공의 중심을 비교좌표로 설정하며, 기준좌표로부터 비교좌표까지의 편차를 바탕으로 동공이 이동한 변위를 산출한다. 또한, 변위 산출부(122)는 그리드가 매핑된 기준안구사진에서 위쪽과 아래쪽 눈꺼풀 사이의 길이(L)를 추출할 수 있다. The displacement calculating unit 122 is for calculating the displacement of the pupil by comparing the reference eye photograph and the plurality of comparative eye photographs.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isplacement calculator 122 maps a rectangular grid so that the pupil and the sclera are included in the reference eye photograph, and extracts the pupil of the reference eye photograph to which the grid is mapped, and is based on the center of the extracted pupil. It is set as coordinates, the center of the extracted pupil is set as the comparative coordinate by extracting the pupil of the comparative eye picture, and the displacement of the pupil is calculated based on the deviation from the reference coordinate to the comparative coordinate. In addition, the displacement calculator 122 may extract a length L between the upper and lower eyelids from the reference eye photograph to which the grid is mapped.

회선각도 산출부(123)는 기준안구사진의 안구 동공중심으로부터 홍채의 외주면까지 복수의 가상선을 방사방향으로 매핑한 후, 복수의 각 가상선의 길이를 측정하고, 가상선의 종단을 연결하여 홍채의 모양을 확정한다. 또한, 회선각도 산출부(123)는 기준안구사진과 비교안구사진에서 홍채의 모양을 비교하여 안구의 회선(torsion) 각도를 산출한다.The rotation angle calculation unit 123 radially maps a plurality of virtual lines from the eyeball pupil center of the reference eye photograph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ris, measures the length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virtual lines, and connects the ends of the virtual lines to the iris of the iris. Confirm the shape. In addition, the rotation angle calculation unit 123 calculates a torsion angle of the eye by comparing the shape of the iris in the reference eye photo and the comparison eye photo.

장애 판단부(124)는 변위 산출부(122) 및 회선각도 산출부(123)에 의해 각각 산출된 동공의 변위 및/또는 회선(torsion) 각도를 기초로 안구평가 대상자의 장애 유무를 판단한다. The disorder determination unit 124 determin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disorder of the eye evaluation subject based on the displacement and/or torsion angle of the pupil respectively calculated by the displacement calculation unit 122 and the rotation angle calculation unit 123.

추가로, 장애 판단부(124)는 변위 산출부(122)에 의해 산출된 위쪽과 아래쪽 눈꺼풀 사이의 길이(L)를 기초로 안구평가 대상자의 안검하수 여부를 판단한다.In addition, the disability determination unit 124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eyelid is ptosis of the eye evaluation subject based on the length L between the upper and lower eyelids calculated by the displacement calculating unit 122.

서버(120)가 기준안구사진과 복수의 비교안구사진을 이용하여 양안의 운동패턴을 분석하고, 양안의 운동패턴을 기초로 안구평가 대상자의 장애 유무를 판단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도 3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The server 120 analyzes the movement pattern of both eyes using a reference eye picture and a plurality of comparative eye pictures, and a specific method of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disorder of the eye evaluation target based on the movement pattern of both eyes is shown in FIGS. 3 to 5C. Since it is the same as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a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merely provided specific examples to facilitat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it is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are possible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 촬상부 120 : 서버
121 : 데이터 저장부 122 : 변위 산출부
123 : 회선각도 산출부 124 : 장애 판단부
110: imaging unit 120: server
121: data storage unit 122: displacement calculation unit
123: line angle calculation unit 124: failure determination unit

Claims (7)

안구평가 대상자가 정면을 주시할 때의 안구를 촬상한 기준안구사진과 상기 안구평가 대상자가 정면을 주시하는 상태에 대해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방사방향을 주시할 때의 안구를 촬상한 복수의 비교안구사진을 촬상하는 단계;
상기 기준안구사진의 동공 및 공막이 포함되도록 상기 기준안구사진에 직사각형 형상의 그리드를 매핑하는 단계;
상기 그리드가 매핑된 기준안구사진의 동공을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동공의 중심을 기준좌표로 설정하고, 상기 비교안구사진의 동공을 추출하여 추출된 비교안구사진의 동공의 중심을 비교좌표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기준좌표로부터 상기 비교좌표까지의 편차를 바탕으로 동공의 변위를 산출하고, 상기 동공이 회선한 회선(torsion) 각도를 산출하며, 상기 동공의 변위 및 회선 각도를 기설정된 정상 범위와 비교하여 양안의 운동패턴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양안의 운동패턴을 기초로 상기 안구평가 대상자의 장애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양안의 운동패턴을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안구사진에 동공 중심에서 홍채의 외주면까지 복수의 가상선을 방사방향으로 매핑하고, 상기 복수의 가상선의 길이를 측정하며, 측정한 각 가상선의 길이를 바탕으로 홍채모양을 확정한 후, 상기 기준안구사진과 상기 복수의 비교안구사진에서 홍채모양을 비교하여 상기 회선(torsion) 각도를 산출하는 안구 운동장애 평가 방법.
A reference photograph of the eyeball when the subject of the eye evaluation is looking at the front, and a plurality of comparison eyes that take an image of the eyeball when the eyeball is looking in the radial direction according to preset conditions for the condition of the eye evaluation subject looking at the front. Taking a picture;
Mapping a rectangular grid to the reference eye photograph so that the pupil and the sclera of the reference eye photograph are included;
Extracting the pupil of the reference eye photo to which the grid is mapped and setting the center of the extracted pupil as the reference coordinate, and extracting the pupil of the comparison eye photo and setting the center of the pupil of the extracted comparative eye photo as the comparison coordinate step;
Calculate the displacement of the pupil based on the deviation from the reference coordinate to the comparative coordinate, calculate the torsion angle in which the pupil turns, and compare the displacement and rotation angle of the pupil with a preset normal range, Analyzing the movement pattern of the; And
It includes the step of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disorder of the eye evaluation subject based on the movement pattern of the both eyes,
Analyzing the movement pattern of both eyes,
In the reference eye photograph, a plurality of virtual lines are radially mapped from the pupil center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ris, the lengths of the plurality of virtual lines are measured, and the shape of the iris is determined based on the measured lengths of each virtual line. A method for evaluating eye movement disorders for calculating the torsion angle by comparing an iris shape in a reference eye picture and the plurality of comparative eye picture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는,
어느 한쪽 안구의 동공의 변위 또는 회선(torsion) 각도가 기설정된 정상 범위에 속하지 않으면, 안구의 정상 범위로의 이동을 담당하는 근육에 장애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안구 운동장애 평가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tep of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disorder,
A method for evaluating ocular movement disorders that determines that there is a disorder in the muscle responsible for movement to the normal range of the eye, if the displacement or torsion angle of the pupil of either eye does not fall within the preset normal ran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는,
양안의 동공의 변위 또는 회선(torsion) 각도의 차이값이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양안 중 동공의 변위 또는 회선 각도가 기설정된 정상 범위에 속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안구 이동을 담당하는 근육에 장애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안구 운동장애 평가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tep of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disorder,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displacement or torsion angle of the pupils of both eyes is more than a preset threshold, there is a disorder in the muscle responsible for at least one eye movement that does not fall within the preset normal range of the pupil displacement or rotation angle among the binoculars. A method for evaluating eye movement disorders that is judged to be pres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는,
기준안구사진에서 추출된 한쪽 안구의 위쪽과 아래쪽 눈꺼풀 사이의 길이가 기 설정된 임계값 미만이거나, 양안의 위쪽과 아래쪽 눈꺼풀 사이의 길이의 차이가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이면 안검하수로 판단하는 안구 운동장애 평가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tep of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disorder,
Ocular movement disorder judged as ptosis when the length between the upper and lower eyelids of one eye extracted from the reference eye photograph is less than a preset threshold, or the difference in length between the upper and lower eyelids of both eyes is more than the preset threshold Assessment Methods.
안구평가 대상자가 정면을 주시할 때의 안구를 촬상한 기준안구사진과, 상기 안구평가 대상자가 정면을 주시하는 상태에 대해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방사방향을 주시할 때의 안구를 촬상한 복수의 비교안구사진을 촬상하는 촬상부; 및
상기 촬상부와 무선으로 통신하며, 상기 촬상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기준안구사진과 상기 복수의 비교안구사진을 이용하여 양안의 운동패턴을 분석하고, 상기 양안의 운동패턴을 기초로 안구평가 대상자의 장애 유무를 판단하는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촬상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기준안구사진과 상기 복수의 비교안구사진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상기 기준안구사진에 동공 및 공막이 포함되도록 직사각형 형상의 그리드를 매핑하고, 그리드가 매핑된 상기 기준안구사진의 동공을 추출하여 추출된 동공의 중심을 기준좌표로 설정하고, 상기 비교안구사진의 동공을 추출하여 추출된 동공의 중심을 비교좌표로 설정하며, 상기 기준좌표로부터 상기 비교좌표까지의 편차를 바탕으로 동공이 이동한 변위를 산출하는 변위 산출부;
상기 기준안구사진에 동공 중심에서 홍채의 외주면까지 복수의 가상선을 방사방향으로 매핑하고, 상기 복수의 가상선의 길이를 측정하며, 측정한 각 가상선의 길이를 바탕으로 홍채모양을 확정한 후, 상기 기준안구사진과 상기 복수의 비교안구사진에서 홍채모양을 비교하여 회선 각도를 산출하는 회선각도 산출부; 및
상기 동공의 변위 또는 회선각도를 기초로 상기 안구평가 대상자의 장애 유무를 판단하는 장애 판단부를 포함하는 안구 운동장애 평가 시스템.
A comparison of a plurality of photographs of the eyeball when the subject of the eye evaluation is gazing at the front, and a photograph of the eyeball when the subject of the eye evaluation is gazing in the radial direction according to preset conditions for the condition of the subject’s eyeballing. An image pickup unit for capturing an eye photograph; And
It communicates wirelessly with the imaging unit, analyzes the movement pattern of both eyes using the reference eye picture and the plurality of comparative eye pictures received from the imaging unit, and the disorder of the eye evaluation target based on the movement pattern of the both eyes It includes a server that determines the presence or absence,
The server,
A dat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reference eye picture and the plurality of comparison eye pictures received from the imaging unit;
A rectangular grid is mapped so that the pupil and the sclera are included in the reference eye photograph, the pupil of the reference eye photograph to which the grid is mapped is extracted, and the center of the extracted pupil is set as a reference coordinate, and the pupil of the comparative eye photograph A displacement calculator configured to extract and set the center of the extracted pupil as a comparison coordinate, and calculate a displacement of the pupil based on a deviation from the reference coordinate to the comparison coordinate;
In the reference eye photograph, a plurality of virtual lines are radially mapped from the pupil center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ris, the lengths of the plurality of virtual lines are measured, and the shape of the iris is determined based on the measured lengths of each virtual line. A rotation angle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a rotation angle by comparing the shape of the iris in the reference eye photograph and the plurality of comparative eye photographs; And
An eye movement disorder evaluation system comprising a disorder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subject of the eye evaluation has a disorder based on the displacement or rotation angle of the pupil.
제 1 항에 따른 안구 운동장애 평가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들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in which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processor for executing the method for evaluating eye movement disorders according to claim 1 are recorded.
KR1020180126463A 2018-03-05 2018-10-23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ocular motility disturban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10218218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924 2018-03-05
KR20180025924 2018-03-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5486A KR20190105486A (en) 2019-09-17
KR102182185B1 true KR102182185B1 (en) 2020-11-24

Family

ID=68070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6463A KR102182185B1 (en) 2018-03-05 2018-10-23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ocular motility disturban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218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67825A4 (en) * 2020-06-23 2023-12-06 Mor Research Applications Ltd. System and method for characterizing droopy eyelid
KR102421748B1 (en) * 2020-09-25 2022-07-15 의료법인 성광의료재단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diagnosing various eyelid conditions and device using the same
CN112691305B (en) * 2021-01-12 2023-05-30 上海市质子重离子医院有限公司 Proton heavy ion beam gating system based on eyeball movement positioning in eyeball tumor radiotherap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28758A (en) * 2007-06-04 2010-08-26 オラヤ セラピューティク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Apparatus and assembly for eyeball positioning, stabilization, and treatment
JP4584912B2 (en) * 2003-04-11 2010-11-24 ボシュ・アンド・ロ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System and method for eye data acquisition and alignment and tracking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7568A (en) * 2000-06-27 2002-01-11 Kaihatsu Komonshitsu:Kk Diagnostic system, diagnostic data generat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ed for them, terminal device, and recording medium
KR20030087101A (en) 2002-05-06 2003-11-13 고종선 A new measuring method of slow component velocity to analyze eye movement
KR101610951B1 (en) * 2014-02-20 2016-04-20 임한웅 Method for measuring ocular version and apparatus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84912B2 (en) * 2003-04-11 2010-11-24 ボシュ・アンド・ロ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System and method for eye data acquisition and alignment and tracking
JP2010528758A (en) * 2007-06-04 2010-08-26 オラヤ セラピューティク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Apparatus and assembly for eyeball positioning, stabilization, and treat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5486A (en) 2019-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2952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atomy-constrained gaze estimation
JP6930223B2 (en) Pupil detection computer program, pupil detection device and pupil detection method
US10416725B2 (en) Wearable device having a display, lens, illuminator, and image sensor
KR102182185B1 (en)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ocular motility disturban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20200063173A (en) Digital therapeutic corrective glasses
CN107357429B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determining gaze
US11278200B2 (en) Measurement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a value of a visual correction need for near vision of an individual
EP3651457B1 (en) Pupillary distance measurement method, wearable ey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US11967075B2 (en) Application to determine reading/working distance
JP5163982B2 (en) Gaze measurement device, gaze measurement program, gaze measurement method, and display for gaze measurement device
KR101613091B1 (en) Device and method for tracking gaze
JP2012239566A (en) Measuring apparatus for glasses, and three-dimensional measuring apparatus
CN114391117A (en) Eye tracking delay enhancement
KR20190062023A (en)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ng for strabismus, aparratus for acquiring gaze image, computer program
EP3746839B1 (en) Method for determining refractory power of eye using immersive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JP2018099174A (en) Pupil detector and pupil detection method
JP2019215688A (en) Visual line measuring device, visual line measurement method and visual line measurement program for performing automatic calibration
Tatler et al. Eye movement recordings in natural settings
KR102250999B1 (en) Brain lesion diagnosis device based on evaluation of visual field defect and evaluation of ocular motility disturbance
US20220334219A1 (en) Training an eye tracking model
KR102473744B1 (en) A method of diagnosing strabismus through the analysis of eyeball image from cover and uncovered test
JP2021505253A (en) Methods and devices for identifying the reference head position of the subject
KR10250242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eye movement
JP6576035B2 (en) Ophthalmic apparatus, photoreceptor cell detection method and program
KR2022006844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eye mov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