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2072B1 - 실물 자산에 기반한 디지털 자산의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실물자산 거래 시스템 - Google Patents

실물 자산에 기반한 디지털 자산의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실물자산 거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2072B1
KR102182072B1 KR1020190066963A KR20190066963A KR102182072B1 KR 102182072 B1 KR102182072 B1 KR 102182072B1 KR 1020190066963 A KR1020190066963 A KR 1020190066963A KR 20190066963 A KR20190066963 A KR 20190066963A KR 102182072 B1 KR102182072 B1 KR 102182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t
platform
real
digital
cust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6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0129A (ko
Inventor
김종인
최광호
박성욱
김기영
윤두성
Original Assignee
한국금거래소디지털에셋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금거래소디지털에셋 filed Critical 한국금거래소디지털에셋
Priority to KR1020190066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2072B1/ko
Publication of KR20200140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0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2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2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실물 자산에 기반한 디지털 자산의 관리 방법은, 실물 자산에 기반한 디지털 자산의 관리 방법에 있어서, 플랫폼이 고객으로부터 상기 디지털 자산의 매수 또는 매도 주문을 받는 단계, 상기 플랫폼이 상기 주문의 수량에 대응하여 실물 자산 공급자에 상기 실물 자산의 매수 또는 매도 주문을 하는 단계, 상기 플랫폼이 상기 실물 자산 공급자로부터 상기 주문의 거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플랫폼이 상기 거래 데이터와 매칭되는 고유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플랫폼이 상기 매수 주문에 대응하여 상기 디지털 자산을 신규 발행하거나, 또는 상기 매도 주문에 대응하여 상기 디지털 자산을 회수하여 폐기하는 단계 및 상기 플랫폼이 상기 디지털 자산의 발행 또는 폐기 내역을 상기 고유 데이터와 일대일 페깅(pegging)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물 자산에 기반한다.

Description

실물 자산에 기반한 디지털 자산의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실물자산 거래 시스템{Method of managing digital asset backed by real-asset and real-asset exchange system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실물 자산에 기반한 디지털 자산의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실물 자산을 디지털화 하는 디지털 변환(digital-transformation)은 기존의 실물 자산의 물리적 한계를 넘어선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하고 있다. 특히 최근 블록체인(blockchain)이라는 분산원장(distributed ledger) 기술은 이러한 자산의 디지털화를 가속시키고 있다.
블록체인은 전자적인 원장(electronic ledger)으로서 거래기록을 담고 있는 블록들로 구성된 네트워크상의 분산형 시스템으로 구현된다. 각 거래는 블록체인 시스템 내 참가자들 간에 디지털 자산의 제어 전송을 인코딩한 데이터 구조이며, 적어도 하나의 입력과 출력을 포함한다. 각 블록은 이전 블록의 해시를 포함하여 순서에 맞게 배열되기에 블록체인에 기록된 모든 거래기록의 내용과 순서는 영구적으로 수정할 수 없다. 거래들은 입력과 출력에 임베디드된 스크립트로 알려진 작은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어떻게 그리고 누구에 의해 거래들의 출력에 접근할지 여부를 구체화한다. 예를 들어, 비트코인 플랫폼에서 이러한 스크립트(scripts)는 스택 기반의 스크립팅 언어를 사용하여 작성된다.
블록체인 기술이 디지털 자산과 연관된 기술로만 널리 알려져 있지만, 기업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암호 보안 시스템을 모색하기 시작해왔다. 이러한 솔루션은 영구성, 이벤트의 변조 증거 기록, 분산 처리 등과 같은 블록체인의 이점을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이더리움은 블록체인을 하나의 가상머신으로 구성하여, 참여자가 자산을 올리고 이를 거래할 수 있는 구조를 직접 프로그래밍 할 수 있게 한 오픈 플랫폼의 형태를 보인다.
사용자는 법정화폐를 이용하여 기관 계좌에 금액을 입금하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법정화폐란 원화(KRW), 달러화(USD) 등일 수 있고, 특정 종류의 통화에 한정되지 않는다. 플랫폼에서 사용자가 입금한 금액은 다양한 방식으로 금융권 계좌에 보관되며 플랫폼 내에서는 전자지갑 내 디지털 자산의 형태로 표시된다. 디지털 자산 매수 시 충전된 금액이 차감되며, 매수한 디지털 자산은 전자지갑에 추가된다. 디지털 자산 매도 시 반대의 과정을 따른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실물 자산을 직접 거래하지 않고 실물 자산에 기반한 디지털 자산을 이용하여 거래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가치의 유동성이 있는 실물 자산을 디지털화 한 자산으로 변환한 뒤 이에 대해 신뢰할 수 있는 거래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실물 자산에 기반한 디지털 자산의 관리 방법은, 실물 자산에 기반한 디지털 자산의 관리 방법에 있어서, 플랫폼이 고객으로부터 상기 디지털 자산의 매수 또는 매도 주문을 받는 단계, 상기 플랫폼이 상기 주문의 수량에 대응하여 실물 자산 공급자에 상기 실물 자산의 매수 또는 매도 주문을 하는 단계, 상기 플랫폼이 상기 실물 자산 공급자로부터 상기 주문의 거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플랫폼이 상기 거래 데이터와 매칭되는 고유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플랫폼이 상기 매수 주문에 대응하여 상기 디지털 자산을 신규 발행하거나, 또는 상기 매도 주문에 대응하여 상기 디지털 자산을 회수하여 폐기하는 단계 및 상기 플랫폼이 상기 디지털 자산의 발행 또는 폐기 내역을 상기 고유 데이터와 일대일 페깅(pegging)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물 자산에 기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유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거래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암호화 과정을 따라 암호화하여 상기 고유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실물 자산은 금과 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이 고객으로부터 디지털 자산의 매수 주문을 받는 단계에서, 상기 플랫폼은 상기 고객으로부터 상기 디지털 자산의 수량에 대응하는 법정화폐를 지급받고, 상기 플랫폼이 실물 자산 공급자에 상기 실물 자산의 매수 주문을 하는 단계에서, 상기 플랫폼은 상기 실물 자산 공급자로 상기 법정화폐에서 수수료를 제외한 만큼에 대응하는 수량의 상기 실물 자산을 매수 주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이 상기 실물 자산 공급자의 상기 실물 자산의 기초가격을 기반으로 상기 디지털 자산의 매수 또는 매도 가격을 결정하고 공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의 거래기록은 블록체인의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플랫폼이 상기 고유 데이터와 상기 디지털 자산의 발행 또는 폐기 내역을 상기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은 이더리움, 아이콘 등의 메인넷 및 사이드체인상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실물 자산 공급자는, 상기 플랫폼과 24시간 거래가 가능한 거래 기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은, 실물 자산에 기반한 디지털 자산을 이용하여 실물 자산을 거래하는 플랫폼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은, 고객 거래매체로부터 상기 디지털 자산의 발행 또는 회수를 요청받는 기능, 상기 고객 거래매체로부터의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실물 자산 공급자에 상기 실물 자산의 매수 또는 매도 주문을 하는 기능, 상기 실물 자산 공급자로부터 상기 주문의 거래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능, 상기 거래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고유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 및 상기 고유 데이터와 상기 디지털 자산의 발행 또는 폐기 내역을 일대일 페깅(pegging)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은 서버 또는 클라우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은 상기 실물 자산 공급자 및 상기 고객 거래매체와 각각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객 거래매체는 상기 디지털 자산의 매수 또는 매도 주문을 수행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블록체인을 이용한 디지털 자산을 이용해 실물 자산을 거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자산은 거래시점의 실물 자산의 가치에 맞추어 그 가치가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자산을 이용한 실물 자산 거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자산을 이용한 실물 자산 거래방법으로서, 페니골드 매수방법에 관한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자산을 이용한 실물 자산 거래 시스템으로서, 도 2의 일부 단계의 이해를 돕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디지털 자산의 발행가를 결정하기 위한 시간 대비 가격의 그래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자산을 이용한 실물 자산 거래방법으로서, 페니골드 매도방법에 관한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자산을 이용한 실물 자산 거래 시스템으로서, 도 5의 일부 단계의 이해를 돕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헷징(hedging)은 국제 금시세 변동의 위험 및 환위험(Exchange Risk)을 회피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현물가격의 변동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손실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 선물이나 옵션등 파생상품을 이용하여 시장에서 현물과 반대되는 포지션을 설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헷징을 하면 현물(주가 · 환율 · 금리 · 금)의 가격이 오르거나 내리더라도 파생상품포지션에서 정반대의 손익이 나타나므로 어느 한쪽의 손익이 다른 쪽의 이익으로 서로 상쇄된다. 따라서 가격변동에 대한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페깅(pegging)은 유통시장에서 디지털 자산의 가격이 기초자산으로 삼고 있는 실물자산 가격에 거의 고정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실시간 변동하는 실물자산의 가격을 반영하여 디지털 자산을 구입 또는 판매하거나, 공개 시장에서 디지털 자산을 매수 또는 매도함으로써 가격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를 사용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자산을 이용한 실물 자산 거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지털 자산을 이용한 실물 자산 거래 시스템은 플랫폼(10), 실물 자산 공급자(31) 및 고객 거래매체(20)를 포함한다.
디지털 자산을 이용한 실물 자산 거래 시스템은 클라우드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가상의 클라우드 공간에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자원을 구축하고 사용자 고객 거래매체(20)가 플랫폼(10)에 접속함으로써 고객 거래매체(20)가 플랫폼(10)과의 연동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플랫폼(10)은 발행 시스템(11)과 고객 전자지갑(12)을 포함할 수 있다. 플랫폼(10)에서 발행 시스템(11)과 고객 전자지갑(12)은 하나의 서버에서 구현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 서로 다른 서버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러나 플랫폼(10)의 발행 시스템(11)과 고객 전자지갑(12)은 연동되어 운영되고, 하나의 운영 주체에 의해 운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행 시스템(11)은 고객에게 실물 자산과 일대일 페깅(pegging)된 디지털 자산의 발행과 거래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발행 시스템(11)은 디지털 자산의 발행수수료와 디지털 자산의 거래수수료를 수익으로 할 수 있다.
이하에서, 플랫폼(10)이 디지털 자산의 발행 및 폐기 등을 수행한다고 설명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발행 시스템(11)이 디지털 자산의 발행 및 폐기 등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물 자산으로서 금(gold)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발명의 사상을 변경하지 않는 한 부동산과 도로, 자동차 등 운송장비, 기계류, 생물자원, 연구개발물, 토지, 지하자원 또는 광물자원 등의 디지털 형태로 자산화가 가능한 것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지털 자산은 임의의 디지털 자산인 '페니골드'로 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로, 페니골드의 개수는 금의 무게와 가치가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개의 페니골드(예, 1 PennyGold)는 1g의 금에 대응될 수 있다. 즉, 1개의 페니골드는 1g의 금과 가치가 동일할 수 있다. 다만, 디지털 자산은 상술한 명칭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자산은 비트코인과 같은 오픈소스 P2P 화폐의 형태 또는 임의의 명칭을 가지는 여러 형태의 디지털 디지털 자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디지털 자산으로 지칭하였지만, 디지털 자산과 유사한 성격을 가지는 다른 종류의 디지털 자산도 본 발명의 디지털 자산의 범주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디지털 자산은 블록체인을 활용한 디지털 화폐가 될 수 있다.
고객 전자지갑(12)은 고객의 자산을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베이스이다. 고객 전자지갑(12)에는 디지털 자산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고객 전자지갑(12)은 플랫폼(10)과 별개로 존재하는 금융권 고객 계좌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금융권 고객 계좌는 통상적인 시중 은행, 저축은행, 증권사 및 보험사 등의 계좌에 해당한다. 금융권 고객 계좌에는 법정 화폐인 현금이 예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현금은 고객 전자지갑으로 이체될 수 있다. 금융권 고객 계좌의 현금이 고객 전자지갑으로 이체될 때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금융권의 가상 계좌 또는 플랫폼(10)의 운영주체와 연관된 계좌를 매개로 할 수 있다.
고객 전자지갑(12)은 현금을 입금 받아 페니캐쉬로 변환하여 보관할 수 있다. 페니캐쉬란 디지털 자산의 일종으로 다른 페니골드와 같은 다른 디지털 자산으로 변환될 수 있는 디지털 자산일 수 있다. 페니캐쉬는 페니골드와 같이 실물자산과 페깅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현금와 등가적으로 교환될 수 있는 디지털 자산일 수 있다.
후술하는 것과 같이, 고객 거래매체(20)가 플랫폼(10)에 전달하는 디지털 자산의 매수 또는 매도 주문에 대응하여 고객 전자지갑(12)은 발행 시스템(11)과 디지털 자산을 교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객 전자지갑(12)은 매수 주문에 대응하여 페니캐쉬를 발행 시스템(11)에 전달하고 페니골드를 받을 수 있다. 그리고 반대로 고객 전자지갑(12)은 매도 주문에 대응하여 페니골드를 발행 시스템(11)에 전달하고 페니캐쉬를 받을 수 있다.
플랫폼(10)은 일 실시예로, 서버 또는 클라우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플랫폼(10)은 거래 기관(31), 고객 거래매체(20) 및 블록체인 메인넷(40)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플랫폼(10)은 금에 대한 가격 정보, 고객 정보, 결제정보 등의 데이터를 별도로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랫폼(10)은 고객 거래매체(20)로부터 페니골드의 매수 또는 매도 주문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 플랫폼(10)은 고객 거래매체(20)로부터의 주문 데이터를 기반으로 실물 자산 공급자(31)로 금을 매수 또는 매도 주문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10)(구체적으로, 발행 시스템(11))은 고객 거래매체(20)로부터의 주문 데이터를 기반으로 페니골드를 신규 발행하거나 회수하여 폐기할 수 있다.
플랫폼(10)은 고객 거래매체(20)에 국내 또는 국제 금 시세, 페니골드 시세 고객 정보, 결제정보 등의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시하진 않았지만, 플랫폼(10)은 실물 금을 유통할 수 있는 유통 자산계정을 포함할 수 있다. 플랫폼(10)은 상기 유통 자산계정을 통해 거래 기관(31)과 금을 매수하거나 매도하는 거래를 할 수 있다.
고객 거래매체(20)는 고객이 직접 플랫폼과 페니골드를 매수 또는 매도하기위한 수단매체일 수 있다. 고객 거래매체(20)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공지의 스마트폰, 태블릿 PC, PDA, 랩톱 PC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고객 거래매체(20)는 공지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program)을 탑재하여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플랫폼(10)에 접속하여 거래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디지털 자산의 매수 또는 매도 주문을 수행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고객 거래매체(20)는 플랫폼(10)으로 페니골드의 매수 또는 매도 주문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객 거래매체(20)는 고객 전자지갑(12)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고객 전자지갑(21)은 페니골드 등 디지털 자산을 보관할 수 있다. 또한, 고객 거래매체(20)는 금융권 고객 계좌와 네트워크를 통해 금융권 고객 계좌와 고객 전자지갑(12) 사이에서 현금을 이체시킬 수 있다.
네트워크란 통신 및 통신망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 망일 수 있다. 네트워크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개인 근거리 무선통신(Personal Area Network: P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사용자 고객 거래매체(20) 및 플랫폼(10)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일 실시예로, 실물 자산 공급자(31)는 거래 기관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물 자산 공급자(31)가 독립적인 거래 기관인 것을 예로서 설명한다.
일 실시예로, 거래 기관(31)은 플랫폼(10)이 발행 또는 폐기하는 페니골드의 수량에 맞추어, 실물 자산을 매수 또는 매도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거래 기관(31)은 플랫폼(10)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거래 기관(31)은 플랫폼(10)이 발행 또는 폐기하는 페니골드의 수량에 맞추어 실시간 헷징(hedging)할 수 있다.
거래 기관(31)은 플랫폼(10)의 주문 데이터가 담긴 거래번호와 거래 내역이 담긴 거래정보를 플랫폼(10)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플랫폼(10)은 거래 기관(31)으로부터 제공받은 거래번호 및 거래정보를 수신하여 고유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고유 데이터는 상기 거래번호 및 거래정보를 미리 정해진 암호화 과정을 따라 암호화하여 생성될 수 있다.
플랫폼(10)이 신규 발행 또는 폐기한 페니골드의 수량 변동 내역을 상기 고유 데이터와 일대일 페깅(pegging)할 수 있다. 플랫폼(10)은 페깅 데이터를 고객 거래매체(20)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디지털 자산을 이용한 실물 자산 거래 시스템은 블록체인 메인넷(40)과 연결될 수 있다. 플랫폼(10)은 상기 고유 데이터, 페니골드의 수량 변동 내역, 페깅 데이터 등을 블록체인 메인넷(4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로써, 페니골드 플랫폼(10)은 신뢰할 수 있는 거래수단이 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2 내지 도 4를 결부하여, 디지털 자산을 이용한 실물 자산 거래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플랫폼은 이하에서 플랫폼이 주체가 되는 적어도 일부 단계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자산을 이용한 실물 자산 거래방법으로서, 페니골드 매수방법에 관한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자산을 이용한 실물 자산 거래 시스템으로서, 도 2의 일부 단계의 이해를 돕기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디지털 자산의 발행가를 결정하기 위한 시간 대비 가격의 그래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페니골드 매수방법은 디지털 자산의 발행가를 결정하고 공시하는 단계(S100), 발행 요청을 받는 단계(S200), 실물 자산의 매수 주문을 하는 단계(S300), 고유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400), 디지털 자산을 발행하는 단계(S500), 블록체인 메인넷에 저장하는 단계(S600) 및 디지털 자산을 전달하는 단계(S700)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순서도에 따라 각 단계가 차례로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발명의 사상을 변경하지 않는 한, 각 단계의 순서가 변경되거나,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각 단계 사이에 다른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먼저, 디지털 자산의 발행가를 결정하고 공시하는 단계(S100)에 대해 설명한다.
디지털 자산의 발행가를 결정하고 공시하는 단계(S100)는 플랫폼(10)이 실물 자산 공급자(31)의 실물 자산 기초가격을 기반으로 디지털 자산의 발행가를 결정하고 공시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디지털 자산의 발행가를 결정하고 공시하는 단계(S100)는 플랫폼(10)이 거래 기관(31)이 제공하는 국내 또는 국제 금 시세를 기반으로 페니골드의 발행가를 결정하고 고객 거래매체(20)에 공시하는 단계일 수 있다.
플랫폼(10)은 거래 기관(31) 또는 다른 기관으로부터 국내 또는 국제 금 시세를 제공받을 수 있다. 플랫폼(10)은 국내 또는 국제 금 시세 데이터를 고객 거래매체(20)에 전송할 수 있다. 고객은 고객 거래매체(20)를 통해 국내 또는 국제 금 시세를 제공받을 수 있다. 국내 또는 국제 금 시세에 대한 시간 대비 가격은 도 4의 그래프의 실물 자산 시세(Pworld)에 대응될 수 있다.
플랫폼(10)은 개인간 호가매매로 거래되는 페니골드 시세를 제공할 수 있다. 호가매매로 거래되는 페니골드 시세에 대한 시간 대비 가격은 도 4의 호가매매 가격(Pba)에 대응될 수 있다. 플랫폼(10)은 호가매매로 거래되는 페니골드 시세를 국제 금 시세와 원-달러 환율에 연동하여 결정할 수 있다.
매도가격과 국제 금시세의 차이, 매수가격과 국제 금시세의 차이는 각종 수수료의 합에 해당할 수 있다.
플랫폼(10)이 페니골드 매도 가격과 페니골드 매수 가격을 결정하는 방법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플랫폼(10)은 국내 또는 국제 금 시세와 개인간 금 거래 시세를 연동하여 페니골드 매도 가격과 페니골드 매수 가격을 결정할 수도 있다.
플랫폼(10)은 상술한 방법들로 페니골드의 발행가(페니골드 매수 가격)를 결정하고 이를 공시할 수 있다.
고객은 고객 거래매체(20)를 통해, 플랫폼(10)이 제공한 국내 또는 국제 금 시세, 개인간 호가매매로 거래되는 페니골드 시세, 플랫폼(10)으로부터 거래할 수 있는 페니골드 매수 가격 및 페니골드 매도 가격 등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발행 요청을 받는 단계(S200)에 대해 설명한다.
발행 요청을 받는 단계(S200)는 플랫폼(10)이 고객으로부터 디지털 자산의 발행을 요청받는 단계에 해당한다. 여기서, 플랫폼(10)이 고객으로부터의 요청을 받는다고 함은, 고객이 입력수단을 통해 고객 거래매체(20)에 주문을 입력하면, 플랫폼(10)은 고객 거래매체(20)로부터 고객의 주문 데이터를 수신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고객은 고객 거래매체(20)를 통해 플랫폼(10)으로 페니골드 매수를 요청할 수 있다. 고객 거래매체(20)는 페니골드 매수 수량과 그에 대응하는 금액을 플랫폼(10)에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발행 시스템(10)과 전자지갑(12)은 매수 주문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실물 자산의 매수 주문을 하는 단계(S300)에 대해 설명한다.
실물 자산의 매수 주문을 하는 단계(S300)는 플랫폼(10)이 고객의 요청에 기반하여 실물 자산 공급자(31)에 실물 자산의 매수 주문을 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플랫폼(10)은 고객이 매수 주문 요청한 페니골드의 수량에 대응하는 금을 거래 기관(31)에 주문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매수 주문 요청한 페니골드의 수량에 대응하는 금의 양은 실시간 국내 또는 국제 금 시세에 대응하여 책정될 수 있다. 플랫폼(10)이 거래 기관(31)으로 주문 요청한 금의 양은, 고객이 제공한 현금 또는 이에 대응하는 자산에서 페니골드 발행 수수료 및 거래 수수료 등 거래비용을 제외한 값에 대응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플랫폼(10)과 거래 기관(31)간 주문 거래는 24시간 실시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금의 구입은 실제 현물 금이거나 또는 증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금 구입 양은 고객이 제공한 현금 또는 이에 대응하는 자산에서 페니골드 발행 수수료 및 거래 수수료 등 거래비용을 제외한 값에 대응될 수 있다.
다음으로, 고유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400)에 대해 설명한다.
고유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400)는 플랫폼(10)이 실물 자산 공급자(31)로부터 거래데이터를 수신하여 고유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플랫폼(10)은 거래 기관(31)으로부터 페니골드 발행 요청 양에 대응하는 거래 번호, 거래 정보, 헷징 내역 등의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 플랫폼(10)은 상기 거래 번호, 거래 정보, 헷징 내역 등의 데이터가 담긴 고유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지털 자산을 발행하는 단계(S500)에 대해 설명한다.
디지털 자산을 발행하는 단계(S500)는 플랫폼(10)이 고유 데이터를 바탕으로 디지털 자산을 발행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구체적으로, 디지털 자산을 발행하는 단계(S500)에서 발행 시스템(11)은 페니골드를 발행하고, 이에 해당하는 페니캐쉬를 받게 된다.
예를 들어, 플랫폼(10)은 고객의 요청에 따라 신규 페니골드 발행 내역과 플랫폼(10)이 앞서 생성한 고유 데이터를 일대일 페깅할 수 있다. 일대일 페깅을 통해, 페니골드가 금과 동일한 가치를 갖도록 페니골드의 가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방식으로 일대일 폐깅이 이루어진 경우, 수 많은 고객들에 의한 페니골드의 많은 거래량에도 페니골드의 가치가 금의 가치에 페깅될 수 있다.
다음으로, 블록체인 메인넷에 저장하는 단계(S600)에 대해 설명한다.
블록체인 메인넷에 저장하는 단계(S600)는 플랫폼(10)이 고유 데이터와 디지털 자산 발행 내역을 블록체인 메인넷에 저장하는 단계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10)은 앞서 고객의 페니골드 매수 요청에 따라 생성한 고유 데이터와 페니골드 신규 발행 내역이 담긴 데이터를 블록체인 메인넷(40)에 저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플랫폼(10)은 고객 전자지갑(12)의 페니캐쉬 전달 내역 등의 데이터도 블록체인 메인넷(40)에 저장할 수 있다.
블록체인 메인넷(40)은 독자적 플랫폼(10)을 가지면서도, 메인 네트워크를 운영이 가능해진 디지털 자산 메인넷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블록체인 메인넷(40)은 이더리움 또는 아이콘 등의 메인넷일 수 있다.
고유 데이터와 페니골드 신규 발행 내역이 담긴 데이터를 블록체인 메인넷(40)에 저장되는 경우, 디지털 자산은 그 생성부터가 정부나 법, 중앙은행 등과 상관이 없는 출발점을 가졌기에, 일 고객과 플랫폼(10)간의 페니골드 거래가 정상적인 거래인지 아니면 해킹 등에 의한 가짜 거래인지 쉽게 판별될 수 있다. 따라서, 일 고객과 플랫폼(10)간의 페니골드 거래는 타 고객들 모두에게 일 고객과 플랫폼(10) 사이의 거래가 있었다는 내용을 암호화하여 전파함으로써 모두가 그 거래를 인정하고 신뢰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지털 자산을 전달하는 단계(S700)에 대해 설명한다.
디지털 자산을 전달하는 단계(S700)는 플랫폼(10)이 디지털 자산을 고객에게 전달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구체적으로, 발행 시스템(11)은 발행한 페니골드를 고객 전자지갑(12)으로 전송할 수 있다. 디지털 자산을 전달하는 단계(S700)는 상술한 디지털 자산을 발행하는 단계(S500)와 하나의 단계로 연결되어 수행될 수도 있다.
플랫폼(10)은 페니골드 발행 내역 및 고객 전자지갑(12)으로 전송 내역을 고객 거래매체(20)에 표시하도록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디지털 자산의 매도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페니골드 매수방법과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였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자산을 이용한 실물 자산 거래방법으로서, 페니골드 매도방법에 관한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자산을 이용한 실물 자산 거래 시스템으로서, 도 5의 일부 단계의 이해를 돕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페니골드 매도방법은 디지털 자산의 판매가를 결정하고 공시하는 단계(S101), 매도 요청을 받는 단계(S201), 실물 자산의 매도 주문을 하는 단계(S301), 고유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401), 디지털 자산을 폐기하는 단계(S501), 블록체인 메인넷에 저장하는 단계(S601) 및 매도 대금을 전달하는 단계(S701)를 포함한다.
먼저, 디지털 자산의 판매가를 결정하고 공시하는 단계(S101)에 대해 설명한다.
디지털 자산의 판매가를 결정하고 공시하는 단계(S101)는 플랫폼(10)이 실물 자산 공급자(31)의 실물 자산 기초가격을 기반으로 디지털 자산의 판매가를 결정하고 공시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디지털 자산의 판매가를 결정하고 공시하는 단계(S101)는 거래기관이 제공하는 국내 또는 국제 금 시세를 기반으로 페니골드의 판매가를 결정하고 고객 거래매체(20)에 공시하는 단계일 수 있다.
디지털 자산의 판매가를 결정하고 공시하는 방법은 디지털 자산의 발행가를 결정하고 공시하는 단계(S100)와 유사하게 이루어지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매도 요청을 받는 단계(S201)에 대해 설명한다.
매도 요청을 받는 단계(S201)는 플랫폼(10)이 고객으로부터 디지털 자산의 매도를 요청받는 단계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고객은 고객 거래매체(20)를 통해 플랫폼(10)으로 페니골드 매도를 요청할 수 있다. 고객 거래매체(20)는 페니골드 매도 수량을 플랫폼(10)에 제공할 수 있다. 즉, 플랫폼(10)은 고객으로부터 페니골드를 회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행 시스템(11)은 고객 전자지갑(12)으로부터 페니골드를 이체받을 수 있다. 또한, 플랫폼(10)은 고객 거래매체(20)로부터 패니캐쉬, 현금(또는 이에 대응하는 자산) 또는 금의 지급을 요청하는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실물 자산의 매도 주문을 하는 단계(S301)에 대해 설명한다.
실물 자산의 매도 주문을 하는 단계(S301)는 플랫폼(10)이 고객의 요청에 기반하여 실물 자산 공급자(31)에 실물 자산의 매도 주문을 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플랫폼(10)은 고객이 매도 주문 요청한 페니골드의 수량에 대응하는 금을 거래 기관(31)에 매도 주문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10)은 거래 기관(31)에 현금(또는 이에 대응하는 자산) 또는 금의 지급을 요청하는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플랫폼(10)이 거래 기관(31)에 지급하는 현금(또는 이에 대응하는 자산) 또는 금의 양은 페니골드 매도 가격에 대응되는 양일 수 있다. 플랫폼(10)이 거래 기관(31)으로 주문 요청한 현금(또는 이에 대응하는 자산) 또는 금의 양은, 페니골드 매도 수량에 대응되는 값에서 페니골드 폐기 수수료 및 거래 수수료 등 거래비용을 제외한 값에 대응할 수 있다.
다음으로, 고유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401)에 대해 설명한다.
고유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401)는 플랫폼(10)이 실물 자산 공급자(31)로부터 거래데이터를 수신하여 고유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플랫폼(10)은 거래 기관(31)으로부터 페니골드 매도 요청 양에 대응하는 금 거래 번호, 거래 정보, 헷징 내역등의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 플랫폼(10)은 상기 거래 번호, 거래 정보, 헷징 내역 등의 데이터가 담긴 고유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지털 자산을 폐기하는 단계(S501)에 대해 설명한다.
디지털 자산을 폐기하는 단계(S501)는 플랫폼(10)이 고유 데이터를 바탕으로 디지털 자산을 회수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플랫폼(10)은 고객의 요청에 따라 페니골드 매도 요청을 받게되면, 요청 양에 대응하는 페니골드를 회수하여 폐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행 시스템(11)은 고객 전자지갑(12)으로부터 페니골드를 이체받아 폐기할 수 있다.
디지털 자산을 폐기하는 단계(S501)에서, 플랫폼(10)은 고객의 요청에 따라 페니골드 폐기 내역과 플랫폼(10)이 앞서 생성한 고유 데이터를 일대일 페깅할 수 있다. 일대일 페깅을 통해, 페니골드가 금과 동일한 가치를 갖도록 페니골드의 가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블록체인 메인넷에 저장하는 단계(S601)에 대해 설명한다.
블록체인 메인넷에 저장하는 단계(S601)는 플랫폼(10)이 고유 데이터와 디지털 자산 발행 내역을 블록체인 메인넷에 저장하는 단계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10)은 앞서 고객의 페니골드 매도 요청에 따라 생성한 고유 데이터와 페니골드 폐기 내역이 담긴 데이터를 블록체인 메인넷(40)에 저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매도 대금을 전달하는 단계(S701)에 대해 설명한다.
매도 대금을 전달하는 단계(S701)는 플랫폼(10)이 고객에게 디지털 자산을 매도한 매도 대금을 전달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플랫폼(10)이 페니골드를 폐기하면, 폐기 내역을 고객 거래매체(20)에 표시하도록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고객은 페니골드 매도의 대가로 현금 또는 페니캐쉬 등을 지급받을 수 있다. 고객 전자지갑(12)에 매도 대금으로 패니캐쉬가 이체될 경우, 패니캐쉬는 고객 거래매채(20)의 요청을 통해 현금으로 변환되어 금융권 고객 계좌로 이체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플랫폼
11: 발행 시스템
12: 고객 전자지갑
20: 고객 거래매체
31: 거래 기관
40: 블록체인 메인넷
S100: 디지털 자산의 발행가를 결정하고 공시하는 단계
S200: 발행 요청을 받는 단계
S300: 실물 자산의 매수 주문을 하는 단계
S400: 고유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S500: 디지털 자산을 발행하는 단계
S600: 블록체인 메인넷에 저장하는 단계
S700: 디지털 자산을 발행하여 전달하는 단계

Claims (12)

  1. 플랫폼이 고객 거래매체로부터 디지털 자산의 매수 또는 매도 주문을 받는 단계;
    상기 플랫폼이 상기 주문의 수량에 대응하여 실물 자산 공급자에 상기 실물 자산의 매수 또는 매도 주문을 하는 단계;
    상기 플랫폼이 상기 실물 자산 공급자로부터 상기 주문의 거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플랫폼이 상기 거래 데이터와 매칭되는 고유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플랫폼이 상기 매수 주문에 대응하여 상기 디지털 자산을 신규 발행하고 발행된 디지털 자산을 고객 전자지갑으로 전달하거나, 또는 상기 매도 주문에 대응하여 상기 디지털 자산을 고객 전자지갑으로부터 회수하여 폐기하는 단계;
    상기 플랫폼이 상기 디지털 자산의 발행 또는 폐기 내역을 상기 고유 데이터와 일대일 페깅(pegging)하여 디지털 자산이 실물 자산과 동일한 가치를 갖도록 디지털 자산의 가치를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플랫폼이 상기 페깅에 따른 페깅 데이터를 상기 고객 거래매체에 제공하거나 상기 플랫폼 외부의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실물 자산에 기반한 디지털 자산의 관리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거래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암호화 과정을 따라 암호화하여 상기 고유 데이터를 생성하는 실물 자산에 기반한 디지털 자산의 관리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물 자산은 금과 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실물 자산에 기반한 디지털 자산의 관리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이 고객으로부터 디지털 자산의 매수 주문을 받는 단계에서, 상기 플랫폼은 상기 고객으로부터 상기 디지털 자산의 수량에 대응하는 법정화폐를 지급받고,
    상기 플랫폼이 실물 자산 공급자에 상기 실물 자산의 매수 주문을 하는 단계에서, 상기 플랫폼은 상기 실물 자산 공급자로 상기 법정화폐에서 수수료를 제외한 만큼에 대응하는 수량의 상기 실물 자산을 매수 주문하는 실물 자산에 기반한 디지털 자산의 관리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이 상기 실물 자산 공급자의 상기 실물 자산의 기초가격을 기반으로 상기 디지털 자산의 매수 또는 매도 가격을 결정하고 공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실물 자산에 기반한 디지털 자산의 관리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의 거래기록은 블록체인의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플랫폼이 상기 고유 데이터와 상기 디지털 자산의 발행 또는 폐기 내역을 상기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실물 자산에 기반한 디지털 자산의 관리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은 이더리움이나 아이콘의 메인넷 및 사이드체인상 구현된 실물 자산에 기반한 디지털 자산의 관리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물 자산 공급자는,
    상기 플랫폼과 24시간 거래가 가능한 거래 기관을 포함하는 실물 자산에 기반한 디지털 자산의 관리 방법.
  9. 플랫폼을 포함하는 실물자산 거래 시스템에서,
    상기 플랫폼은,
    고객 거래매체로부터 디지털 자산의 발행 또는 회수를 요청받는 기능;
    상기 고객 거래매체로부터의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실물 자산 공급자에 상기 실물 자산의 매수 또는 매도 주문을 하는 기능;
    상기 실물 자산 공급자로부터 상기 주문의 거래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능;
    상기 거래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고유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
    상기 매수 주문에 대응하여 상기 디지털 자산을 신규 발행하고 발행된 디지털 자산을 고객 전자지갑으로 전달하거나, 또는 상기 매도 주문에 대응하여 상기 디지털 자산을 고객 전자지갑으로부터 회수하여 폐기하는 기능;
    상기 고유 데이터와 상기 디지털 자산의 발행 또는 폐기 내역을 일대일 페깅(pegging)하여 디지털 자산이 실물 자산과 동일한 갖도록 디지털 자산의 가치를 고정하는 기능; 및
    상기 페깅에 따른 페깅 데이터를 상기 고객 거래매체에 제공하거나 상기 플랫폼 외부의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기능
    을 포함하는 실물자산 거래 시스템.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은 서버 또는 클라우드 형태로 구현되는 실물자산 거래 시스템.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및 고객 거래매체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실물 자산의 매수 주문이 접수되면 상기 실물 자산의 매수에 대한 거래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플랫폼으로 전달하고, 상기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실물 자산의 매도 주문이 접수되면 상기 실물 자산의 매도에 대한 거래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플랫폼으로 전달하며, 상기 플랫폼이 발행 또는 폐기하는 디지털 자산의 수량에 맞춰 실시간 헷징하는 실물 자산 공급자
    를 더 포함하는 실물자산 거래 시스템.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거래매체는 상기 디지털 자산의 매수 또는 매도 주문을 수행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실물자산 거래 시스템.
KR1020190066963A 2019-06-05 2019-06-05 실물 자산에 기반한 디지털 자산의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실물자산 거래 시스템 KR102182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963A KR102182072B1 (ko) 2019-06-05 2019-06-05 실물 자산에 기반한 디지털 자산의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실물자산 거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963A KR102182072B1 (ko) 2019-06-05 2019-06-05 실물 자산에 기반한 디지털 자산의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실물자산 거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0129A KR20200140129A (ko) 2020-12-15
KR102182072B1 true KR102182072B1 (ko) 2021-01-13

Family

ID=73780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6963A KR102182072B1 (ko) 2019-06-05 2019-06-05 실물 자산에 기반한 디지털 자산의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실물자산 거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20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8868A (ko) 2021-10-05 2023-04-12 브이스트로 주식회사 자산의 분할 및 배당금 지급을 통한 자산 관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97144A1 (ko) * 2021-03-18 2022-09-22 주식회사 모핀 디지털화폐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20230148662A (ko) 2022-04-18 2023-10-25 (주)엠트레이드 전자증권을 통한 부동산 투자 지원 시스템
KR20230149397A (ko) * 2022-04-20 2023-10-27 신세원 현물 코인 기반 블록체인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1909A (ko) * 2007-05-29 2009-01-09 주식회사 신한은행 간접 투자상품 매매 지원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기록매체
KR20090093231A (ko) * 2008-02-29 2009-09-02 주식회사 신한은행 금 매입매도처리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기록매체
KR20180101355A (ko) * 2015-11-30 2018-09-12 쉐이프시프트 아게 블록체인 자산의 거래소에 있어서 보안을 개선하는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8868A (ko) 2021-10-05 2023-04-12 브이스트로 주식회사 자산의 분할 및 배당금 지급을 통한 자산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0129A (ko) 202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35092A1 (en) Blockchain including linked digital assets
KR102182072B1 (ko) 실물 자산에 기반한 디지털 자산의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실물자산 거래 시스템
JP2021106030A (ja) デジタル暗号化された証券プラットフォーム、ならびに、そ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11978084B2 (en) Decentralized computer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a debit network as an intermediary between distributed ledgers
US20130030941A1 (en) Method of providing cash and cash equivalent for electronic transactions
KR102120539B1 (ko) 블록체인 기반 상품권 토큰 유통 시스템
US20100121727A1 (en) Exchanging value between a service buyer and a service provider
KR101908701B1 (ko) 블록체인 기반 렌탈 및 금융의 수익금을 이용한 가상화폐 서비스 제공 방법
JP7448996B2 (ja) ポイント還元によるブロックチェーンベース仮想通貨仲介及び流通システム
US20200074438A1 (en) Mobile device payment system and method
KR20220116137A (ko) P2p 가상 화폐 담보 대출 금융 기술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CA2988813A1 (en) Cross-funds management server-based payment system, and method, device and server therefor
KR102121645B1 (ko) 복수의 거래소를 이용한 가상 화폐 반대 매매를 위한 금융 기술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KR20070105851A (ko) 금융 대부 중개, 상품 구매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합인터넷 시스템
CA2987291A1 (en) Cross-funds management server-based payment system, and method, device and server therefor
US20230186301A1 (en) Tokenization of the appreciation of assets
KR102472450B1 (ko) 전자지갑을 이용한 결제대금 즉시 정산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40618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문서증명방식의 분할방식 매출채권 팩토링서비스 처리방법
KR102270476B1 (ko) 실물 자산에 기반한 디지털 자산의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플랫폼
KR20230059109A (ko) 클라우드 환경 기반의 디지털 금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18124640A (ja) 貿易支援方法、仮想通貨管理方法、貿易支援システム、仮想通貨管理システム、貿易支援プログラム、および仮想通貨管理プログラム
KR102072278B1 (ko) 가상 화폐 담보 대출 금융 기술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JP2019144781A (ja) 仮想通貨の取引方法及び仮想通貨取引システム
KR20200051202A (ko) 블록체인 주소 확인을 통한 결제 방법 및 결제 매체
KR102590783B1 (ko) 금융거래 중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