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0924B1 - System and Method for Embedding and Extracting Digital Watermark Using QR Code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Embedding and Extracting Digital Watermark Using QR Cod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0924B1
KR102180924B1 KR1020140063654A KR20140063654A KR102180924B1 KR 102180924 B1 KR102180924 B1 KR 102180924B1 KR 1020140063654 A KR1020140063654 A KR 1020140063654A KR 20140063654 A KR20140063654 A KR 20140063654A KR 102180924 B1 KR102180924 B1 KR 102180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mark
unit
pixel
original data
bin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36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36320A (en
Inventor
이충호
Original Assignee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63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0924B1/en
Publication of KR20150136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632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0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09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 H04N21/8358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involving waterma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0021Image watermarking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2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characterised by logic function, e.g. AND, OR, NOR, NOT circuits
    • H03K19/21EXCLUSIVE-OR circuits, i.e. giving output if input signal exists at only one input; COINCIDENCE circuits, i.e. giving output only if all input signals are identic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2201/005Image waterma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QR 코드를 이용한 디지털 워터마크 삽입 및 추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원본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받은 원본 데이터에서 픽셀을 추출하고, 각 픽셀이 가지는 색상값을 이진법으로 나타내는 픽셀 추출부; 상기 원본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여 QR 코드 형태의 워터마크를 생성하는 워터마크 생성부; 상기 워터마크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워터마크를 2치화하는 2치 할당부; 및 상기 픽셀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원본 데이터 픽셀의 비트와 상기 2치 할당부에 의해 2치화된 워터마크의 비트를 XOR 연산하는 워터마크 삽입부;를 포함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등의 데이터를 원본 데이터에 대량으로 삽입하고, 워터마크가 육안으로 보이는 정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watermark insertion and extraction system and method using a QR code, comprising: an input unit for receiving original data; A pixel extracting unit that extracts pixels from the original data received from the input unit and displays a color value of each pixel in a binary method; A watermark generator for collec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original data and generating a watermark in the form of a QR code; A binary allocation unit for binarizing the watermark generated by the watermark generation unit; And a watermark embedding unit for XORing the bits of the original data pixels extracted by the pixel extraction unit and the bits of the watermark binarized by the binary assignment unit. By including, various types of images, audio, and video Data such as etc. can be inserted in a large amount into the original data, and the degree to which the watermark is visible to the naked eye can be easily adjusted.

Description

QR 코드를 이용한 디지털 워터마크 삽입 및 추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Embedding and Extracting Digital Watermark Using QR Code}System and Method for Embedding and Extracting Digital Watermark Using QR Code}

본 발명은 워터마크의 디지털 워터마크 삽입 및 추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QR 코드를 워터마크로 삽입함으로써 보다 많은 정보를 원(原) 화상에 삽입할 수 있고 악의적인 손상이나 의도치 않은 손상을 입어도 쉽게 복원이 가능한 QR 코드를 이용한 디지털 워터마킹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watermark insertion and extraction of a watermark, and more particularly, by inserting a QR code as a watermark, more information can be inserted into an original image, and malicious damage or intention value It relates to a digital watermarking method and system using a QR code that can be easily restored even if it is damaged.

최근 각종 스마트 기기 및 통신의 발달로 다양한 정보를 쉽게 공유할 수 있게 된 한편 디지털 기술을 이용해 음악이나 영상 등의 각종 디지털 콘텐츠(digital contents)를 쉽고 간편하면서도 질적인 변화 없이 복제할 수 있게 되기에 이르렀다. 이에, 멀티미디어 저작물의 불법 복제를 막고 저작권자 보호를 위한 디지털 콘텐츠 저작권 보호기술로서 디지털 워터마킹(Digital Watermarking) 기술이 있다. 여기서, 워터마크(watermark)란 어떤 파일에 관한 저작권 정보 등을 식별할 수 있도록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데이터 등과 같은 디지털 콘텐츠에 삽입하는 비트 패턴으로서, 즉 워터마킹이란 데이터 관리자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해 특별한 형태의 워터마크(즉, 정보)를 사람의 육안이나 청각 능력으로는 구별할 수 없게 삽입하고 추출하는 모든 기술적 방법을 의미하는 것이다.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various smart devices and communica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share various information, while using digital technology, various digital contents such as music and images can be reproduced easily and simply without qualitative change. . Accordingly, there is a digital watermarking technology as a digital content copyright protection technology for preventing illegal copying of multimedia works and protecting the copyright holder. Here, a watermark is a bit pattern that is inserted into digital content such as image, audio, video data, etc. to identify copyright information about a certain file. That is, watermarking is a special method to protect the rights and interests of data managers. It refers to any technical method of inserting and extracting a watermark in a form (ie, information) so that it cannot be distinguished by the human eye or hearing ability.

이에, 만약 일반 사용자들이 디지털 정보를 불법 복제해 정당한 대가나 허락 없이 상업용 혹은 기타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 원 소유자는 자신의 워터마크를 추출함으로써 자신의 소유임을 밝히거나, 불법 복제 등을 위해 한 번 워터마킹된 데이터에 어떤 조작이나 변형을 가하는 경우 워터마킹된 부분이 훼손되게 함으로써 데이터의 위변조를 판단하는 등의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이는 재산권 행사의 결정적인 증거가 된다.Therefore, if general users illegally copy digital information and use it for commercial or other purposes without a legitimate price or permission, the original owner extracts his or her watermark to reveal that it is his or her possession, or once for illegal copying, etc. When any manipulation or modification is applied to the marked data, a technique such as determining forgery of the data can be applied by causing the watermarked portion to be damaged. This is the conclusive evidence of the exercise of property rights.

이와 같이, 저작물 등의 보호를 위한 이러한 워터마크는 다양한 불법 사용자로부터의 공격과 위변조에 강인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 안정성 및 많은 양의 다양한 정보 삽입 기술 등이 요구된다. 그러나,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아직까지는 디지털 워터마크가 암호화 기술만큼 안전하지 않으며, 대부분 강인성과 정보량, 품질에 대한 트레이드 오프(trade-off) 상태에 있기 때문에 전체 저작권 관리 기술에 적용하기에는 아직 부족한 기술로 간주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such a watermark for protection of works, etc., requires stability and a large amount of various information insertion techniques in order to have robustness against attacks and forgery from various illegal users. However, from this point of view, digital watermarks are not as secure as encryption technology yet, and most of them are in a trade-off state for robustness, information volume, and quality, which is still insufficient to be applied to the entire copyright management technology. It is considered as.

일반적으로, 상기와 같은 형태의 워터마킹 기법은 삽입하는 방법에 따라서 크게 2 가지로 분류된다. 첫 번째 방법은 주파수 영역(frequency domain)에서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방법으로 보통 이산여현변환(DCT; Discrete Cosine Transform)을 한 후에 얻어지는 DCT 계수를 조작하여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방법이다. 두 번째 방법으로는 공간 영역(spatial domain)에서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방법으로 공간 영역의 픽셀값들을 변화시켜 워터마크를 삽입하고 영상의 위변조 여부를 픽셀값의 변화정도를 통하여 판단하는 방법이다.In general, the watermarking technique of the above type is largely classified into two types according to the method of insertion. The first method is a method of embedding a watermark in the frequency domain. It is a method of inserting a watermark by manipulating DCT coefficients obtained after performing 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The second method is a method of inserting a watermark in a spatial domain. The watermark is inserted by changing pixel values in the spatial domain, and whether the image is forged or altered is determined through the degree of change of the pixel value.

또한, 기존 디지털 워터마킹 기법의 다른 분류로는 워터마크를 육안으로 보이도록 삽입하는 방법과 보이지 않도록 삽입하는 방법이 있으며, 생성 키(key) 값 등을 통하여 워터마크를 추출하도록 되어 있었다.In addition, other classifications of the existing digital watermarking techniques include a method of inserting a watermark so that it is visible to the naked eye and a method of inserting it so that it is not visible, and a watermark is extracted through a generated key value.

기존의 디지털 워터마킹 기법 중 육안으로 보이도록 삽입하는 워터마킹 방법은 워터마크와 원 이미지를 적절한 비율을 곱하여 더한 결과이다. 이러한 경우 워터마크의 온전한 추출이 불가능하고 워터마크를 통하여 저장하려는 정보량도 상대적으로 적다. 기존의 디지털 워터마킹 기법 중 육안으로 보이지 않도록 삽입하는 워터마킹 방법은 그 방법이 육안으로 보이도록 삽입하는 기법보다 상대적으로 정교하며 원 이미지를 가지고 있지 않아도 워터마크를 추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상대적으로 워터마킹 정보량이 적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디지털 워터마킹 기법은 워터마크가 육안으로 보이게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방법과 보이지 않게 삽입하는 방법이 별도로 구분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Among the existing digital watermarking techniques, the watermarking method, which is inserted to be visible to the naked eye, is the result of multiplying the watermark and the original image by an appropriate ratio. In this case, complete extraction of the watermark is impossible, and the amount of information to be stored through the watermark is relatively small. Among the existing digital watermarking techniques, the watermarking method of inserting so as not to be visible to the naked eye is relatively more sophisticated than the method of inserting so that it is visible to the naked eye, and has the advantage of extracting the watermark without having the original image. As a result, the amount of watermarking information is small. Also, in the conventional digital watermarking technique, in most cases, a method of inserting a watermark so that the watermark is visible to the naked eye and a method of inserting it invisible are separated.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68042호(공개일 2011.06.22.)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1-0068042 (published on June 22, 201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98668호(공개일 2013.09.05.)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98668 (published on 2013.09.05.)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QR 코드를 워터마크로 하고 원본 데이터와 워터마크를 XOR 연산하여 원본 데이터에 워터마크를 삽입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등의 데이터를 원본 데이터에 대량으로 삽입하고, 워터마크가 육안으로 보이는 정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QR 코드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보안성을 강화시킨 QR 코드를 이용한 디지털 워터마크 삽입 및 추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ert a watermark into the original data by using a QR code as a watermark and XOR operation between the original data and the watermark. Digital watermark using QR code that embeds data such as images, audio, and video into the original data in large quantities, and the degree to which the watermark is visible to the naked eye can be easily adjusted, and enhances security by using the resilience of the QR code. It is to provide an insertion and extraction system and metho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본 데이터 픽셀의 최상위비트(MSB; Most Significant Bit)부터 최하위비트(LSB; Least Significant Bit)까지의 비트들 중 어느 하나의 비트 또는 하나 이상의 비트들과 워터마크의 비트를 XOR 연산함으로써, 워터마크가 육안으로 보이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QR 코드를 이용한 디지털 워터마크 삽입 및 추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y one bit or one or more bits and a watermark bit from the most significant bit (MSB) of the original data pixel to the least significant bit (LSB). It is to provide a digital watermark insertion and extraction system and method using a QR code that can control the degree to which the watermark is visible to the naked eye by performing XOR opera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QR 코드를 이용한 디지털 워터마크 삽입 시스템은, 원본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받은 원본 데이터에서 픽셀을 추출하고, 각 픽셀이 가지는 색상값을 이진법으로 나타내는 픽셀 추출부; 상기 원본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여 QR 코드 형태의 워터마크를 생성하는 워터마크 생성부; 상기 워터마크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워터마크를 2치화하는 2치 할당부; 및 상기 픽셀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원본 데이터 픽셀의 비트와 상기 2치 할당부에 의해 2치화된 워터마크의 비트를 XOR 연산하는 워터마크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digital watermark embedding system using a QR cod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n input unit receiving original data; A pixel extracting unit that extracts pixels from the original data received from the input unit and displays a color value of each pixel in a binary method; A watermark generator for collec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original data and generating a watermark in the form of a QR code; A binary allocation unit for binarizing the watermark generated by the watermark generation unit; And a watermark embedding unit for XORing the bit of the original data pixel extracted by the pixel extracting unit and the bit of the watermark binarized by the binary allocating unit.

또한, 본 발명의 QR 코드를 이용한 디지털 워터마크 추출 시스템은, 원본 데이터 및 워터마킹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받은 원본 데이터 및 워터마킹 데이터에서 픽셀을 추출하고, 각 픽셀이 가지는 색상값을 이진법으로 나타내는 픽셀 추출부; 및 상기 픽셀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원본 데이터 픽셀의 비트와 워터마킹 데이터 픽셀의 비트를 XOR 연산하는 워터마크 추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digital watermark extraction system using a QR cod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unit for receiving original data and watermarking data; A pixel extracting unit that extracts pixels from the original data and watermarking data received from the input unit and displays a color value of each pixel in a binary method; And a watermark extracting unit for XORing the bits of the original data pixels extracted by the pixel extracting unit and the bits of the watermarking data pixels.

한편, 본 발명의 QR 코드를 이용한 디지털 워터마크 삽입 방법은, 입력부가 원본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픽셀 추출부가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받은 원본 데이터에서 픽셀을 추출하고, 각 픽셀이 가지는 색상값을 이진법으로 나타내는 단계; 워터마크 생성부가 상기 원본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여 QR 코드 형태의 워터마크를 생성하는 단계; 2치 할당부가 상기 워터마크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워터마크를 2치화하는 단계; 및 워터마크 삽입부가 상기 픽셀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원본 데이터 픽셀의 비트와 상기 2치 할당부에 의해 2치화된 워터마크의 비트를 XOR 연산함으로써 상기 원본 데이터에 상기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a digital watermark embedding method using a QR cod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receiving an input unit inputting original data; Extracting pixels from the original data received from the input unit by a pixel extraction unit and representing a color value of each pixel in a binary method; Generating a watermark in the form of a QR code by collec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original data by a watermark generator; Binarizing the watermark generated by the watermark generating unit by a binary value allocation unit; And inserting the watermark into the original data by performing an XOR operation on the bit of the original data pixel extracted by the pixel extraction unit and the bit of the watermark binarized by the binary assignment unit by a watermark insertion unit. Characterized in that.

한편, 본 발명의 QR 코드를 이용한 디지털 워터마크 추출 방법은, 입력부가 원본 데이터 및 워터마킹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픽셀 추출부가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받은 원본 데이터 및 워터마킹 데이터에서 픽셀을 추출하고, 각 픽셀이 가지는 색상값을 이진법으로 나타내는 단계; 및 워터마크 추출부가 상기 픽셀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원본 데이터 픽셀의 비트와 워터마킹 데이터 픽셀의 비트를 XOR 연산함으로써 상기 워터마킹 데이터로부터 워터마크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a digital watermark extraction method using a QR cod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receiving, by an input unit, original data and watermarking data; Extracting pixels from the original data and watermarking data received from the input unit by a pixel extraction unit, and representing a color value of each pixel in a binary method; And extracting a watermark from the watermarking data by performing an XOR operation on the bit of the original data pixel extracted by the pixel extracting unit and the bit of the watermarking data pixel by the watermark extraction uni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QR 코드를 이용한 디지털 워터마크 삽입 및 추출 시스템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digital watermark insertion and extraction system and method using a QR c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QR 코드를 워터마크로 하고 원본 데이터와 워터마크를 XOR 연산하여 원본 데이터에 워터마크를 삽입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등의 데이터를 원본 데이터에 대량으로 삽입하고, 워터마크가 육안으로 보이는 정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By using the QR code as a watermark and XOR operation of the original data and the watermark to insert a watermark into the original data, various types of image, audio, video, etc. data are inserted in a large amount into the original data, and the watermark is visible to the naked eye. The degree can be easily adjusted.

원본 데이터 픽셀의 최상위비트(MSB; Most Significant Bit)부터 최하위비트(LSB; Least Significant Bit)까지의 비트들 중 어느 하나의 비트 또는 하나 이상의 비트들과 워터마크의 비트를 XOR 연산함으로써, 워터마크가 육안으로 보이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By performing an XOR operation on the bit of the watermark with any one bit or one or more bits from the most significant bit (MSB) to the least significant bit (LSB) of the original data pixel, the watermark is You can control how much you see with the naked ey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를 이용한 디지털 워터마크 삽입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를 이용한 디지털 워터마크 삽입 시스템의 일련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원 화상의 각 비트에 워터마크 삽입에 따른 시각적인 영향(가시성)의 결과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를 이용한 디지털 워터마크 삽입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를 이용한 디지털 워터마크 삽입 시스템의 일련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를 이용한 디지털 워터마크 추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를 이용한 디지털 워터마크 삽입 방법의 주요 단계들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를 이용한 디지털 워터마크 추출 방법의 주요 단계들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gital watermark embedding system using a QR c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eries of processes of a digital watermark embedding system using a QR c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sult of a visual effect (visibility) of inserting a watermark into each bit of an original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gital watermark embedding system using a QR cod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eries of processes of a digital watermark embedding system using a QR cod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gital watermark extraction system using a QR c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showing the main steps of a digital watermark embedding method using a QR c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showing the main steps of a digital watermark extraction method using a QR c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The drawings introduced below are provided as an example to sufficiently conve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presented below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b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dicate the same elements.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At this time, unless there are other definitions in the technical terms and scientific terms used, they have the meaning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nd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be unnecessarily obscure will be omitted.

이하, 본 발명의 QR 코드를 이용한 디지털 워터마킹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digital watermarking system and method using a QR cod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워터마크 삽입 및 추출 시스템 및 방법을 설명함에 있어, 워터마킹이 수행될 디지털 콘텐츠 등의 데이터를 원본 데이터라 하고, 당해 원본 데이터에 대한 위변조를 방지하기 위해 삽입되는 사용자 정보로서의 삽입 데이터를 워터마크 정보라 하며, 결과적으로 워터마크 정보가 삽입된 데이터를 워터마킹 데이터라고 칭하기로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watermark insertion and extra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ata such as digital content to be watermarked is referred to as original data, and user information inserted to prevent forgery and alteration of the original data Inserted data as the data is referred to as watermark information, and as a result, the data into which the watermark information is inserted is referred to as watermarking data.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를 이용한 디지털 워터마크 삽입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gital watermark embedding system using a QR c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원 화상이 회색 화상인 경우로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워터마크의 삽입 시스템(100)은 데이터 입력부(110), 픽셀 추출부(120), 워터마크 생성부(130), 2치 할당부(140) 및 워터마크 삽입부(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추가적으로 전송부(160), 제어부, 저장부 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se where the original image is a gray image. Referring to FIG. 1, the digital watermark embedd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ta input unit 110 and a pixel extraction unit 120. ), a watermark generation unit 130, a binary assignment unit 140, and a watermark insertion unit 150. In addition,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transmission unit 160, a control unit, a storage unit, and the like.

데이터 입력부(110)는 워터마크를 삽입할 이미지 등 원본 데이터를 입력 받는 기능을 수행하는 수단이다. 데이터 입력부(110)에서 이미지 등을 입력받는 방법으로는 스캐너(scanner) 등과 같은 입력 수단과 결합되어 해당 장치로부터 이미지 등을 수신하거나, 저장부(미도시)에 이미 저장된 정보(예를 들어,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데이터 등) 중에서 특정 정보를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하는 방법 등이 있다. 데이터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는 후술될 픽셀 추출부(120)로 제공된다.The data input unit 110 is a means for performing a function of receiving original data such as an image into which a watermark is to be inserted. As a method of receiving an image or the like from the data input unit 110, it is combined with an input means such as a scanner to receive an image from a corresponding device, or information already stored in a storage unit (not shown) (for example, an image , Audio, video data, etc.) to allow the user to select specific information. Data input through the data input unit 110 is provided to the pixel extraction unit 120 to be described later.

픽셀 추출부(120)는 입력부(110)로부터 원본 데이터를 입력받아 각 픽셀을 추출하고 각 픽셀이 가지는 색상을 이진법으로 표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8비트의 회색 화상을 예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8비트의 회색 화상은 총 2n(n: 비트 수) 즉, 256 단계의 무채색을 사용하는바, 해당 픽셀 추출부(120)는 각 픽셀마다의 이러한 색상 정보를 2진법의 디지털 방식으로 표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픽셀 추출부(120)를 통해 처리된 데이터는 후술될 워터마크 삽입부(150)로 제공된다.The pixel extraction unit 120 receives original data from the input unit 110, extracts each pixel, and displays a color of each pixel in a binary method. Specifically,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8-bit gray image is illustrated, and the 8-bit gray image uses a total of 2 n (n: number of bits), that is, 256 levels of achromatic color. 120) performs a function of displaying such color information for each pixel in a binary method. Data processed through the pixel extraction unit 120 is provided to the watermark embedding unit 150 to be described later.

워터마크 생성부(130)는 워터마크 정보를 원본 데이터에 삽입하기 위해 디지털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여 각 워터마크 정보를 워터마크로 생성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원본 데이터에 삽입하는 워터마크로서 QR 코드를 이용하며, 이러한 QR 코드는 공지된 QR 코드 생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워터마크는 후술될 2치 할당부(140)에 제공된다.The watermark generation unit 130 may collect information related to digital content in order to insert the watermark information into the original data, and generate each watermark information as a watermark. In particula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QR code is used as a watermark to be inserted into the original data, and such a QR code can be generated using a known QR code generation program. The generated watermark is provided to the binary allocation unit 140 to be described later.

여기서, QR 코드(Quick Response Code)는 격자무늬 패턴으로 정보를 나타내는 매트릭스 형식의 바코드로, 1994년 일본 덴소웨이브사(社)가 개발하였으며 덴소웨이브사가 특허권을 행사하지 않겠다고 선언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기존 바코드가 용량 제한에 따라 가격과 상품명 등 한정된 정보만 담는데 비해 QR 코드는 넉넉한 용량을 강점으로 음성과 동영상 등 3차원적인 다양한 정보를 담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존의 1차원 바코드가 20자 내외의 숫자 정보만 저장할 수 있는 반면 QR 코드는 숫자 최대 7,089자, 문자(ASCII) 최대 4,296자, 이진(8비트) 최대 2,953 바이트, 한자 최대 1,817자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일반 바코드보다 인식속도와 인식률, 복원력이 뛰어나다.Here, the QR code (Quick Response Code) is a matrix-type barcode that represents information in a grid pattern. It was developed by Denso Wave in Japan in 1994, and it is widely used in various fields as Denso Wave declared that it will not exercise its patent right. Has become. While existing barcodes only contain limited information such as price and product name according to the capacity limitation, QR codes can contain a variety of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such as voice and video with their strong capacity. Specifically, while existing one-dimensional barcodes can only store numeric information of around 20 characters, QR codes store up to 7,089 numbers, 4,296 characters (ASCII), 2,953 bytes (8 bits), and 1,817 Chinese characters. It has better recognition speed, recognition rate, and resilience than general barcodes.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QR 코드를 워터마크로 이용함으로써 워터마크의 일부가 손상되어도 오류 복원이 용이하여 워터마크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보다 많은 정보를 원본 데이터에 삽입할 수 있게 되며, 이외에도 QR 코드는 3개의 위치 찾기 심볼(symbol)이 있어 배경 모양이나 방향의 영향을 받지 않고 고속 인식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QR code as a watermark, even if a part of the watermark is damaged, it is easy to recover errors, thereby improving the stability of the watermark, and inserting more information into the original data. The code has the advantage that high-speed recognition is possible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shape or direction of the background because there are three positioning symbols.

2치 할당부(140)는 워터마크 생성부(130)에 의해 생성된 QR 코드 워터마크를 2치화(binarization)한다. 여기서, 2치화란 화상 처리에서 소정의 임계값보다 밝은 픽셀들은 모두 흰색(1)으로, 그렇지 않은 픽셀들은 모두 검은색(0)으로 분류하는 것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이미지 데이터를 2치화하는 방법으로는 화상을 구성하고 있는 화소의 명암도의 분포를 조사한 다음 이것의 히스토그램(histogram)을 그리고 이 히스토그램의 분포에 임계치를 정하여 주어 2치를 할당하는 방법, 상관을 이용한 회색 화상의 이치와 알고리듬(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2005 논문집 Vol.32, No.1(B)) 등이 개시되어 있다. 2치 할당부(140)에서 2치화된 워터마크는 워터마크 삽입부(150)로 제공되어 원본 데이터에 삽입될 워터마크로서 활용된다.The binary allocation unit 140 binarizes the QR code watermark generated by the watermark generation unit 130. Here, binarization refers to classifying all pixels bright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as white (1) and all pixels that are not as black (0) in image processing. As a method of binarizing image data After investigating the distribution of the intensity of the pixels constituting the image, draw a histogram of it, and assign two values by setting a threshold value to the distribution of the histogram, and the reasoning and algorithm of the gray image using correlation Conference 2005 Proceedings Vol.32, No.1(B)), etc. are disclosed. The watermark binarized by the binary allocation unit 140 is provided to the watermark embedding unit 150 and used as a watermark to be inserted into the original data.

워터마크 삽입부(150)는 2치 할당부(140)로부터 제공받은 2치화된 QR 코드를 워터마크로 하여 픽셀 추출부(120)에 의해 추출된 원본 데이터의 픽셀값들을 공간 영역에서 변화시킴으로써 워터마크를 삽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워터마크 삽입부(150)는 픽셀 추출부(120)에 의해 추출된 원본 데이터 픽셀의 최상위비트(MSB; Most Significant Bit)부터 최하위비트(LSB; Least Significant Bit)까지의 비트들 중 어느 하나의 비트 또는 하나 이상의 비트들을 취하여 2치 할당부(140)에 의해 2치화된 QR 코드 워터마크 이미지와 XOR 연산을 수행한다. 그 결과 워터마킹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 이러한 워터마킹 데이터는 후술될 전송부(160)로 제공될 수 있다.The watermark embedding unit 150 uses the binarized QR code provided from the binary allocation unit 140 as a watermark and changes the pixel values of the original data extracted by the pixel extraction unit 120 in a spatial domain to Can be inserted. Specifically, the watermark embedding unit 15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bits from the most significant bit (MSB) to the least significant bit (LSB) of the original data pixel extracted by the pixel extracting unit 120. The QR code watermark image binarized by the binary allocating unit 140 by taking any one bit or one or more bits among them and performing an XOR operation. As a result, watermarked data may be generated, and such watermarked data may be provided to the transmission unit 160 to be described later.

아래 그림은 원본 데이터의 픽셀에 2치화된 QR 코드 워터마크의 픽셀을 XOR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원본 데이터에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그림이다.The figure below is an illustration for explaining how to insert a watermark into the original data by performing an XOR operation on the pixels of the QR code watermark binarized to the pixels of the original data.

[그림][Drawing]

Figure 112014049965147-pat00001
Figure 112014049965147-pat00001

그림에서 각 비트의 0은 흑색(최소 명암도, minimum gray level)을 1은 백색(최대 명암도, maximum gray level)을 나타내며,XOR 연산은 원본 데이터와 QR 코드 워터마크의 해당 비트의 1의 총 개수가 홀수인 경우에만 결과가 1이 되는 연산을 말한다.In the figure, 0 of each bit represents black (minimum contrast, minimum gray level) and 1 represents white (maximum contrast, maximum gray level), and the XOR operation is the total number of 1 of the corresponding bit of the original data and the QR code watermark. It refers to an operation in which the result is 1 only if it is an odd number.

전송부(160)는 워터마크 삽입부(150)에 의해 워터마크가 삽입된 워터마킹 데이터를 외부 매체(예를 들어, 출력 장치, 저작권 정보 삽입 서버 등)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transmission unit 160 may perform a function of transmitting watermarking data into which the watermark is inserted by the watermark insertion unit 150 to an external medium (eg, an output device, a copyright information insertion server, etc.).

워터마크 삽입 제어부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워터마크 시스템(100) 내의 구성요소를 연결하고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는 데이터 입력부(110)에 의해 입력된 원본 데이터를 픽셀 추출부(120)로 제공할 수 있으며, 워터마크 생성부(130)에 의해 생성된 워터마크를 2치 할당부(140)로 제공하여 2치화된 QR 코드 워터마크가 생성되게 할 수 있다. 2치화된 QR 코드 워터마크가 생성되면, 제어부는 2치화된 QR 코드 워터마크를 워터마크 삽입부(150)로 제공하여, 워터마킹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워터마킹 데이터가 외부 매체를 통해 이용되게 할 수 있다.The watermark embedding control unit may connect and manage components in the digital watermark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may provide the original data inputted by the data input unit 110 to the pixel extraction unit 120, and the watermark generated by the watermark generation unit 130 is a binary assignment unit 140 ) To generate a binarized QR code watermark. When the binarized QR code watermark is generated, the control unit provides the binarized QR code watermark to the watermark insertion unit 150 to generate watermarking data, and the generated watermarking data is used through an external medium. Can be made.

또한, 도 1에는 디지털 워터마크 삽입 시스템(100)이 하드웨어 구성을 가지는 특정 장치로서 도시되었으나, 상술한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된 경우, 사용자는 해당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사용자 단말기(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PDA, 이동 통신 단말기 등)에 설치하기만 하면 별도의 디지털 워터마크 삽입 시스템(100)을 구매하지 않더라도 동일한 작용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lthough the digital watermark embedding system 100 is illustrated in FIG. 1 as a specific device having a hardware configuration, i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oftware program that can perform the above-described functions in the same manner. And, when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oftware program, the user purchases a separate digital watermark embedding system 100 simply by installing the software program in the user terminal (for example, personal computer, PD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tc.) Even if you don't, you can expect the same effect.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워터마크 삽입 시스템의 일련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eries of processes of a digital watermark embed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워터마크 삽입 시스템(100)(이는 동일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도 포함됨. 이하 같음)은 영역 210에서 원본 데이터를 각 픽셀별로 추출하여 공간 영역에 존재하는 각 픽셀이 가지는 색상을 이진법으로 나타낸다.Referring to FIG. 2, the watermark embedding system 100 (this includes a user terminal installed with a software program that performs the same function. The same applies hereinafter) extracts original data for each pixel from a region 210, The color of a pixel is represented in binary.

그리고, 워터마크 삽입 시스템(100)은 영역 230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워터마크 정보를 수집하여 각 워터마크 정보를 QR 코드 워터마크로 변환한다. 이후, 워터마크 삽입 시스템(100)은 2치 할당부(140)를 이용하여 영역 230을 통해 생성된 QR 코드 워터마크를 2치화한다.In addition, the watermark embedding system 100 collects watermark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in the area 230 and converts each watermark information into a QR code watermark. Thereafter, the watermark embedding system 100 binarizes the QR code watermark generated through the area 230 using the binary allocation unit 140.

이후, 워터마크 삽입 시스템(100)은 영역 220에서 픽셀 추출부(120)에 의해 추출된 원본 데이터 픽셀의 최상위비트에서 최하위비트의 범위에서 하나 이상의 임의의 비트를 선택한 후, 영역 240에서 원본 데이터 픽셀의 비트와 QR 코드 워터마크의 2치화된 해당 비트를 XOR 연산하여 디지털 워터마킹 데이터를 생성한다.Thereafter, the watermark embedding system 100 selects one or more arbitrary bits in the range of the least significant bit from the most significant bit of the original data pixel extracted by the pixel extracting unit 120 in the area 220, and then selects the original data pixel in the area 240. Digital watermarking data is generated by performing XOR operation on the bit of and the corresponding binarized bit of the QR code watermark.

영역 220에서 원본 데이터의 각 픽셀값에서 임의의 비트를 선택하는 이유는 워터마크 정보가 인간의 시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정도를 조절하기 위함이다. 이에, 워터마크를 원본 데이터 픽셀값의 최상위비트에 삽입할수록 보이는 워터마크(visible watermark)가 되며 최하위비트에 삽입할수록 보이지 않는 워터마크(invisible watermark)가 된다.The reason for selecting an arbitrary bit from each pixel value of the original data in the area 220 is to control the degree to which the watermark information can be recognized by the human eye. Accordingly, as the watermark is inserted into the most significant bit of the original data pixel value, it becomes a visible watermark, and as the watermark is inserted into the least significant bit, it becomes an invisible watermark.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원본 데이터가 저품질 이미지인 경우 최상위비트에 가까운 비트에 삽입하고, 원본 데이터가 고품질 이미지인 경우 최하위비트에 삽입함으로써 원본 데이터의 화질을 거의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워터마크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riginal data is a low-quality image, it is inserted in a bit close to the most significant bit, and when the original data is a high-quality image, it is inserted in the least-significant bit, thereby facilitating a watermark without impairing the quality of the original data Can be insert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원 화상의 각 비트에 워터마크 삽입에 따른 시각적인 영향(가시성)의 결과를 예시한 도면으로서, 도 3을 참조하면 좌상단부터 우하단 순으로 각각 원본 데이터 픽셀의 2~7번째 비트에 QR 코드를 삽입한 화상을 나타내고 있다. 해당 도면에서 0번째 최하위비트와 1번째 그 다음 비트에 QR 코드를 삽입한 경우는 육안으로 보아 원화상과 차이가 없어 생략하였다.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sult of visual effect (visibility) of inserting a watermark on each bit of an original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original data are respectively in the order from top left to bottom right. It shows an image with a QR code inserted into the 2nd to 7th bit of the pixel. In the drawing, when the QR code is inserted into the 0th least significant bit and the 1st and subsequent bits, it is omitted because there is no difference from the original image when viewed with the naked eye.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QR 코드를 이용한 디지털 워터마크 삽입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gital watermark embedding system using a QR cod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원 화상이 컬러 화상인 경우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QR 코드를 이용한 디지털 워터마크 삽입 시스템(400)은 데이터 입력부(410), 픽셀 추출부(420), 제1 워터마크 생성부(430), 제2 워터마크 생성부(432), 제3 워터마크 생성부(434), 2치 할당부(440) 및 워터마크 삽입부(4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추가적으로 전송부(460), 제어부(470), 저장부 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se where the original image is a color image, and the digital watermark embedding system 400 using a QR cod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ta input unit 410, a pixel extraction unit 420, It includes a first watermark generator 430, a second watermark generator 432, a third watermark generator 434, a binary assignment unit 440, and a watermark insertion unit 450. In addition,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transmission unit 460, a control unit 470, a storage unit, and the like.

상기 디지털 워터마크 삽입 시스템(400)의 데이터 입력부(410), 제1 내지 제3 워터마크 생성부(430, 432, 434), 2치 할당부(440), 전송부(460) 및 제어부(470)는 각각 데이터 입력부(110), 워터마크 생성부(130), 2치 할당부(140), 전송부(160) 및 제어부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기술 구성을 가지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The data input unit 410, the first to third watermark generation units 430, 432, 434, the binary assignment unit 440, the transmission unit 460 and the control unit 470 of the digital watermark embedding system 400 ) Has the same or similar technical configuration as the data input unit 110, the watermark generation unit 130, the binary assignment unit 140, the transmission unit 160, and the control unit, respectively, and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픽셀 추출부(420)는 입력부(410)로부터 원본 데이터를 입력받아 각 픽셀을 추출하고 각 픽셀이 가지는 색상을 R, G, B 성분별로 구분하여 이진법으로 표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각각 8비트의 정보를 가진 3개의 채널(R, G, B)이 모여 색을 만들어내는 디지털 컬러 화상을 예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RGB 컬러 화상은 256m(m: 채널 수) 즉, 16,777,216 가지의 색상 표현이 가능한바, 해당 픽셀 추출부(420)는 원본 데이터의 각 픽셀마다 RGB 값들을 추출하고 이러한 색상 정보를 2진법의 디지털 방식으로 표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픽셀 추출부(420)를 통해 처리된 데이터는 워터마크 삽입부(450)로 제공된다.The pixel extracting unit 420 receives original data from the input unit 410, extracts each pixel, and divides the color of each pixel by R, G, and B components, and displays a binary method. Specifically,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emplifies a digital color image in which three channels (R, G, B) each having 8 bits of information to produce a color are exemplified, and this RGB color image is 256 m (m: channel Number) That is, 16,777,216 colors can be expressed, and the corresponding pixel extracting unit 420 extracts RGB values for each pixel of the original data and displays such color information in a binary method. Data processed through the pixel extracting unit 420 is provided to the watermark embedding unit 450.

워터마크 삽입부(450)는 2치 할당부(440)로부터 제공받은 2치화된 제1 워터마크, 제2 워터마크, 제3 워터마크를 각각 픽셀 추출부(420)에 의해 추출된 원본 데이터 픽셀의 R 성분, G 성분, B 성분에 XOR 연산을 수행하여 삽입함으로써 워터마킹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워터마킹된 데이터는 전송부(460)로 제공될 수 있다.The watermark insertion unit 450 extracts the binarized first watermark, second watermark, and third watermark provided from the binary allocation unit 440, respectively, as original data pixels extracted by the pixel extraction unit 420. Watermarked data can be generated by performing an XOR operation and inserting the R component, G component, and B component of. The watermarked data may be provided to the transmission unit 460.

이때, 도 4는 컬러 이미지가 RGB로 구성된 이미지인 경우로서, 각각의 제1 워터마크, 제2 워터마크 및 제3 워터마크를 컬러 이미지의 R, G, B 성분 각각에 삽입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한 도면이나, 본 발명에 따른 워터마크 삽입 시스템(400)은 HSI(Hue, Saturation, Intensity) 또는 HSV(Hue, Saturation, Value)로 변환된 이미지나 다른 컬러 좌표로 변환된 이미지에도 각 성분별로 삽입시킬 수 있음은 당연하다.In this case, FIG. 4 is a case in which the color image is an image composed of RGB. For example, the first watermark, the second watermark, and the third watermark are inserted into each of the R, G, and B components of the color image. In the drawing shown, or the watermark embedding system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mage converted to HSI (Hue, Saturation, Intensity) or HSV (Hue, Saturation, Value) or an image converted to other color coordinates is It is natural that it can be inserted.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워터마크 삽입 시스템의 일련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5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eries of processes of a digital watermark embedd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워터마크 삽입 시스템(400)(이는 동일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도 포함됨. 이하 같음)은 영역 510에서 원본 데이터를 각 픽셀별로 추출하고 각 픽셀이 가지는 색상을 R, G, B 성분별로 이진법으로 표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Referring to FIG. 5, the watermark embedding system 400 (this includes a user terminal installed with a software program that performs the same function. The same applies hereinafter) extracts original data for each pixel from an area 510 and determines the color of each pixel. It performs the function of marking R, G, and B components in binary format.

그리고, 워터마크 삽입 시스템(400)은 영역 530, 영역 532 및 영역 534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각각의 워터마크 정보를 수집하여 워터마크 정보를 QR 코드 형태의 제1 워터마크, 제2 워터마크 및 제3 워터마크로 변환한다. 이후, 워터마크 삽입 시스템(400)은 2치 할당부(440)를 이용하여 영역 530, 영역 532 및 영역 534를 통해 생성된 QR 코드 워터마크를 2치화한다.In addition, the watermark embedding system 400 collects watermark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in areas 530, 532, and 534, and converts the watermark information into a first watermark, a second watermark, and a second watermark in the form of a QR code. 3 Convert to watermark. Thereafter, the watermark embedding system 400 binarizes the QR code watermark generated through the areas 530, 532, and 534 by using the binary value allocation unit 440.

이후, 워터마크 삽입 시스템(400)은 영역 520에서 픽셀 추출부(420)에 의해 추출된 원본 데이터 픽셀의 최상위비트에서 최하위비트의 범위에서 하나 이상의 임의의 비트를 선택한 후, 영역 540에서 각각의 제1 워터마크, 제2 워터마크, 제3 워터마크를 각각 원본 데이터 픽셀의 R 성분, G 성분, B 성분에 XOR 연산하여 디이털 워터마킹 데이터를 생성한다.Thereafter, the watermark embedding system 400 selects one or more arbitrary bits in the range of the least significant bit from the most significant bit of the original data pixel extracted by the pixel extracting unit 420 in the area 520, Digital watermarking data is generated by performing an XOR operation on the R component, G component, and B component of the original data pixel, respectively, by 1 watermark, 2nd watermark, and 3rd watermark.

영역 520에서 커버 이미지의 각 픽셀값에서 임의의 비트를 선택하는 이유는 영역 220에서와 같이 워터마크 정보가 인간의 시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정도를 조절하기 위함이다.The reason for selecting an arbitrary bit from each pixel value of the cover image in the area 520 is to control the degree to which the watermark information can be recognized by the human eye, as in the area 220.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QR 코드를 이용한 디지털 워터마크 추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6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gital watermark extraction system using a QR c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워터마크 추출 시스템(600)은 QR 코드가 워터마크로 삽입된 데이터에서 QR 코드를 추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데이터 입력부(610), 픽셀 추출부(620) 및 워터마크 추출부(6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추가적으로 전송부(640), 워터마크 추출 제어부, 저장부 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6, a digital watermark extraction system 6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extracting a QR code from data in which the QR code is inserted as a watermark, and includes a data input unit 610, a pixel extraction unit ( 620) and a watermark extraction unit 630. 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transmission unit 640, a watermark extraction control unit, and a storage unit.

데이터 입력부(610)는 원본 데이터, 워터마킹 데이터 등을 입력 받는 기능을 수행하는 수단으로서, 이는 스캐너(scanner) 등과 같은 입력 수단과 결합되어 해당 장치로부터 이미지 등을 수신하거나, 저장부(미도시)에 이미 저장된 정보(예를 들어,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데이터 등) 중에서 특정 정보를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이때, 입력된 데이터는 후술될 픽셀 추출부(620)로 제공된다.The data input unit 610 is a means for performing a function of receiving original data, watermarking data, etc., which is combined with an input means such as a scanner to receive an image or the like from a corresponding device, or a storage unit (not shown). There is a method of allowing the user to select specific information from among the information already stored in the device (eg, image, audio, video data, etc.). At this time, the input data is provided to the pixel extracting unit 620 to be described later.

픽셀 추출부(620)는 입력부(610)로부터 원본 데이터 및 워터마킹 데이터를 입력받아 각 픽셀을 추출하고 각 픽셀이 가지는 색상을 이진법으로 표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인 설명은 픽셀 추출부(120)과 동일 또는 유사하며, 픽셀 추출부(620)를 통해 처리된 데이터는 후술될 워터마크 추출부(630)로 제공된다.The pixel extracting unit 620 receives original data and watermarking data from the input unit 610, extracts each pixel, and displays a color of each pixel in a binary method. The detailed description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pixel extraction unit 120, and data processed through the pixel extraction unit 620 is provided to the watermark extraction unit 630 to be described later.

워터마크 추출부(630)는 원본 데이터 및 워터마킹 데이터의 각 픽셀을 비트별로 XOR 연산하여 워터마크가 삽입된 데이터로부터 워터마크를 추출할 수 있다. 구체적인 연산은 워터마크 삽입부(150)의 XOR 연산과 동일하며, 상기 추출된 워터마크는 전송부(640)로 제공될 수 있다.The watermark extractor 630 may perform an XOR operation on each pixel of the original data and the watermarking data bit by bit to extract a watermark from the watermarked data. The specific operation is the same as the XOR operation of the watermark insertion unit 150, and the extracted watermark may be provided to the transmission unit 640.

전송부(640)는 워터마크 추출부(630)에 의해 추출된 워터마크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transmission unit 640 performs a function of transmitting the watermark extracted by the watermark extraction unit 630 to an external device.

워터마크 추출 제어부는 디지털 워터마크 추출 시스템(600) 내의 구성요소들을 서로 연결하고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입력부(610)에 원본 데이터 및 워터마킹 데이터가 입력되면, 제어부는 픽셀 추출부(620)에 요청하여 각 데이터를 각 픽셀별로 추출하여 비트로 표현하게 할 수 있으며, 워터마크 추출부(630)에 요청하여 워터마킹 데이터로부터 워터마크가 추출되게 할 수 있다.The watermark extraction control unit may connect and control components in the digital watermark extraction system 600 with each other. Specifically, when original data and watermarking data are input to the data input unit 610, the control unit requests the pixel extraction unit 620 to extract each data for each pixel and express it as bits, and the watermark extraction unit ( 630), the watermark may be extracted from the watermarking data.

또한, 도 6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디지털 워터마크 추출 시스템(600)은 워터마크 정보, 운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FIG. 6, the digital watermark extraction system 6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for storing watermark information, an operation program, and the like.

또한, 도 6에는 디지털 워터마크 추출 시스템(600)이 하드웨어 구성을 가지는 특정 장치로서 도시되었으나, 상술한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된 경우, 사용자는 해당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사용자 단말기(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PDA, 이동 통신 단말기 등)에 설치하기만 하면 별도의 디지털 워터마크 추출 시스템(600)을 구매하지 않더라도 동일한 작용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lthough the digital watermark extraction system 600 is illustrated as a specific device having a hardware configuration in FIG. 6, i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oftware program that enables the above-described functions to b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nd, when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oftware program, the user purchases a separate digital watermark extraction system 600 simply by installing the software program on the user terminal (eg, personal computer, PD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tc.) Even if you don't, you can expect the same effect.

그리고, 도 1에는 디지털 워터마크 삽입 시스템(100)이 또한 도 6에는 디지털 워터마크 추출 시스템(600)이 개별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또한 별개의 장치로서 설명되었으나 양자의 기능을 모두 포함하는 하나의 홀로그램 워터마킹 장치 또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구현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In addition, the digital watermark embedding system 100 in FIG. 1 and the digital watermark extraction system 600 in FIG. 6 are individually illustrated, and have been described as separate devices, but one hologram including both functions. It is natural that it can be implemented with a watermarking device or a software program.

본 발명에 적용되는 디지털 워터마트 추출 과정은 앞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디지털 워터마트 삽입 과정의 역과정과 유사하게 적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Since the digital watermart extraction process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similarly to the reverse process of the digital watermart insertion proces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러면, 여기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시스템을 이용한 본 발명의 QR 코드를 이용한 디지털 워터마크 삽입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digital watermark embedding method using a QR code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system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QR 코드를 이용한 디지털 워터마크 삽입 방법의 주요 단계들을 나타낸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showing the main steps of a digital watermark embedding method using a QR c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원 화상이 회색 화상인 경우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입력부(110)에 원본 데이터가 입력되면(S710), 픽셀 추출부(120)는 입력받은 원본 데이터로부터 각 픽셀을 추출하고 각 픽셀이 가지는 색상을 이진법으로 나타낸다(S720).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riginal image is a gray image, as shown in FIG. 7, when original data is first input from the user to the data input unit 110 (S710), the pixel extraction unit 120 receives the input. Each pixel is extracted from the original data, and the color of each pixel is represented in a binary method (S720).

그리고, 워터마크 생성부(130)는 워터마크 정보를 원본 데이터에 삽입하기 위해 디지털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여 QR 코드 형태로 워터마크를 생성한다(S730). 다음으로, 2치 할당부(140)는 워터마크 생성부(130)에 의해 생성된 QR 코드 워터마크를 2치화한다(S740). 2치화된 QR 코드 워터마크 생성이 완료되면, 워터마크 삽입부(150)는 픽셀 추출부(120)에 의해 추출된 원본 데이터 픽셀의 최상위비트부터 최하위비트까지의 비트들 중 어느 하나의 비트 또는 하나 이상의 비트들을 취하여 2치 할당부(140)에 의해 2치화된 QR 코드 워터마크 이미지와 XOR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워터마킹 데이터를 생성한다(S750).In addition, the watermark generation unit 130 collects information related to digital content to insert the watermark information into the original data, and generates a watermark in the form of a QR code (S730). Next, the binary allocation unit 140 binarizes the QR code watermark generated by the watermark generation unit 130 (S740). When the generation of the binarized QR code watermark is completed, the watermark insertion unit 150 determines any one bit or one of the bits from the most significant bit to the least significant bit of the original data pixel extracted by the pixel extraction unit 120. Watermarking data is generated by taking the above bits and performing an XOR operation with the QR code watermark image binarized by the binary allocation unit 140 (S750).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QR 코드를 이용한 디지털 워터마크 추출 방법의 주요 단계들을 나타낸 흐름도이다.8 is a flowchart showing the main steps of a digital watermark extraction method using a QR c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원 화상이 회색 화상인 경우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입력부(410)에 원본 데이터 및 워터마킹 데이터가 입력되면(S810), 픽셀 추출부(420)는 입력받은 원본 데이터 및 워터마킹 데이터로부터 각 픽셀을 추출하고 각 픽셀이 가지는 색상을 이진법으로 나타낸다(S820).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riginal image is a gray image, as shown in FIG. 8, when original data and watermarking data are first input from a user to the data input unit 410 (S810), the pixel extraction unit 420 ) Extracts each pixel from the received original data and watermarking data, and represents the color of each pixel in a binary method (S820).

그리고, 워터마크 추출부(430)는 원본 데이터 및 워터마킹 데이터의 각 픽셀을 비트별로 XOR 연산하여 워터마크가 삽입된 데이터로부터 워터마크를 추출한다(S830).
In addition, the watermark extraction unit 430 extracts a watermark from the watermarked data by performing an XOR operation on each pixel of the original data and the watermarking data bit by bit (S830).

이상에서 몇 가지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several embodiments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디지털 워터마크 삽입 시스템 110 : 데이터 입력부
120 : 픽셀 추출부 130 : 워터마크 생성부
140 : 2치 할당부 150 : 워터마크 삽입부
400 : 디지털 워터마크 추출 시스템 410 : 데이터 입력부
420 : 픽셀 추출부 430 : 워터마크 추출부
500 : 디지털 워터마크 삽입 시스템 510 : 데이터 입력부
520 : 픽셀 추출부 530 : 제1 워터마크 생성부
532 : 제2 워터마크 생성부 534 : 제3 워터마크 생성부
540 : 제1 2치 할당부 542 : 제2 2치 할당부
544 : 제3 2치 할당부 550 : 워터마크 삽입부
100: digital watermark embedding system 110: data input unit
120: pixel extraction unit 130: watermark generation unit
140: binary allocation unit 150: watermark insertion unit
400: digital watermark extraction system 410: data input unit
420: pixel extraction unit 430: watermark extraction unit
500: digital watermark embedding system 510: data input unit
520: pixel extraction unit 530: first watermark generation unit
532: second watermark generation unit 534: third watermark generation unit
540: first binary value allocation unit 542: second binary value allocation unit
544: third binary allocation unit 550: watermark insertion unit

Claims (8)

워터마크가 육안으로 보이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QR 코드를 이용한 디지털 워터마크 삽입 시스템으로서,
원본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받은 원본 데이터에서 픽셀을 추출하고, 각 픽셀이 가지는 색상값을 이진법으로 나타내는 픽셀 추출부;
상기 원본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여 QR 코드 형태의 워터마크를 생성하는 워터마크 생성부;
상기 워터마크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워터마크를 2치화하는 2치 할당부; 및
상기 픽셀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원본 데이터 픽셀의 비트와 상기 2치 할당부에 의해 2치화된 워터마크의 비트를 XOR 연산하는 워터마크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워터마크 삽입부는,
상기 픽셀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원본 데이터 픽셀의 최상위비트(MSB; Most Significant Bit)부터 최하위비트(LSB; Least Significant Bit)까지의 비트들 중 어느 하나의 비트 또는 하나 이상의 비트들과 상기 2치 할당부에 의해 2치화된 워터마크의 비트를 XOR 연산함으로써 상기 워터마크가 육안으로 보이는 정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워터마크 삽입 시스템.
As a digital watermark embedding system using a QR code that can adjust the degree of watermark visible to the naked eye,
An input unit for receiving original data;
A pixel extracting unit that extracts pixels from the original data received from the input unit and displays a color value of each pixel in a binary method;
A watermark generator for collec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original data and generating a watermark in the form of a QR code;
A binary allocation unit for binarizing the watermark generated by the watermark generation unit; And
A watermark insertion unit for XORing the bits of the original data pixels extracted by the pixel extracting unit and the bits of the watermark binarized by the binary value allocating unit; and
The watermark embedding unit,
Any one bit or one or more bits from the most significant bit (MSB) to least significant bit (LSB) of the original data pixel extracted by the pixel extractor and the binary allocation A digital watermark embed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degree to which the watermark is visible to the naked eye is controlled by performing an XOR operation on a bit of the watermark binarized by the negative.
삭제delete 워터마크가 육안으로 보이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QR 코드를 이용한 디지털 워터마크 삽입 시스템으로서,
RGB 컬러 원본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받은 원본 데이터에서 픽셀을 추출하고, R, G, B 성부별로 각 픽셀이 가지는 색상값을 이진법으로 나타내는 픽셀 추출부;
상기 원본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여 QR 코드 형태의 제1, 제2 및 제3 워터마크를 생성하는 제1, 제2 및 제3 워터마크 생성부;
상기 워터마크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제1, 제2 및 제3 워터마크를 2치화하는 2치 할당부; 및
R, G, B 성분별로 상기 픽셀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원본 데이터 픽셀의 비트와 상기 2치 할당부에 의해 2치화된 제1, 제2 및 제3 워터마크의 비트를 각각 XOR 연산하는 워터마크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워터마크 삽입부는,
R, G, B 성분별로 상기 픽셀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원본 데이터 픽셀의 최상위비트부터 최하위비트까지의 비트들 중 어느 하나의 비트 또는 하나 이상의 비트들과 상기 2치 할당부에 의해 2치화된 제1, 제2 및 제3 워터마크의 비트를 각각 XOR 연산함으로써 상기 워터마크가 육안으로 보이는 정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워터마크 삽입 시스템.
As a digital watermark embedding system using a QR code that can adjust the degree of watermark visible to the naked eye,
An input unit receiving original RGB color data;
A pixel extracting unit that extracts a pixel from the original data received from the input unit and displays a color value of each pixel for each of the R, G, and B components in a binary method;
First, second, and third watermark generators for collec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original data and generating first, second, and third watermarks in the form of a QR code;
A binary allocation unit for binariz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watermarks generated by the watermark generation unit; And
A watermark for XORing the bits of the original data pixel extracted by the pixel extracting unit and the bit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watermarks binarized by the binary allocation unit for each of R, G, and B components. Including;
The watermark embedding unit,
Any one bit or one or more bits of the bits from the most significant bit to the least significant bit of the original data pixel extracted by the pixel extracting unit for each of R, G, and B components, and the binarization unit A digital watermark embed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degree to which the watermark is visible to the naked eye is adjusted by performing XOR operations on bit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watermarks, respectively.
삭제delete 삭제delete 워터마크가 육안으로 보이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QR 코드를 이용한 디지털 워터마크 삽입 방법으로서,
입력부가 원본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픽셀 추출부가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받은 원본 데이터에서 픽셀을 추출하고, 각 픽셀이 가지는 색상값을 이진법으로 나타내는 단계;
워터마크 생성부가 상기 원본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여 QR 코드 형태의 워터마크를 생성하는 단계;
2치 할당부가 상기 워터마크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워터마크를 2치화하는 단계; 및
워터마크 삽입부가 상기 픽셀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원본 데이터 픽셀의 비트와 상기 2치 할당부에 의해 2치화된 워터마크의 비트를 XOR 연산함으로써 상기 원본 데이터에 상기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단계는,
상기 워터마크 삽입부가 상기 픽셀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원본 데이터 픽셀의 최상위비트부터 최하위비트까지의 비트들 중 어느 하나의 비트 또는 하나 이상의 비트들과 상기 2치 할당부에 의해 2치화된 워터마크의 비트를 XOR 연산함으로써 상기 워터마크가 육안으로 보이는 정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워터마크 삽입 방법.
As a digital watermark embedding method using a QR code that can adjust the degree of watermark visible to the naked eye,
Receiving, by an input unit, original data;
Extracting pixels from the original data received from the input unit by a pixel extraction unit and representing a color value of each pixel in a binary method;
Generating a watermark in the form of a QR code by collec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original data by a watermark generator;
Binarizing the watermark generated by the watermark generating unit by a binary value allocation unit; And
And inserting the watermark into the original data by performing an XOR operation on the bit of the original data pixel extracted by the pixel extraction unit and the bit of the watermark binarized by the binary assignment unit by a watermark insertion unit; and,
The step of inserting the watermark,
The watermark embedding unit includes any one bit or one or more bits of the bits from the most significant bit to the least significant bit of the original data pixel extracted by the pixel extracting unit and the watermark binarized by the binary assignment unit. The digital watermark embedd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degree to which the watermark is visible to the naked eye is adjusted by performing an XOR operation on a bit.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40063654A 2014-05-27 2014-05-27 System and Method for Embedding and Extracting Digital Watermark Using QR Code KR1021809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3654A KR102180924B1 (en) 2014-05-27 2014-05-27 System and Method for Embedding and Extracting Digital Watermark Using QR Co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3654A KR102180924B1 (en) 2014-05-27 2014-05-27 System and Method for Embedding and Extracting Digital Watermark Using QR Co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6320A KR20150136320A (en) 2015-12-07
KR102180924B1 true KR102180924B1 (en) 2020-11-19

Family

ID=54872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3654A KR102180924B1 (en) 2014-05-27 2014-05-27 System and Method for Embedding and Extracting Digital Watermark Using QR Cod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092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27417B (en) * 2016-08-31 2019-07-19 南京师范大学 A kind of QR code watermark Image Data Compression and coding method
KR102036077B1 (en) * 2019-08-23 2019-10-25 주식회사 에스트렐라노바 Method for processing images into which visible watermark is embedded,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ereof
CN116228507B (en) * 2023-03-14 2023-10-27 上海阅文信息技术有限公司 Digital text watermark tracing method and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0345B1 (en) * 2011-09-21 2012-11-12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Block-bases image authentication method using reversible watermarking based on progressive differential histogra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4809B1 (en) 2009-12-15 2011-12-16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An watermarking method for digital contents using digital holography
KR20120055070A (en) * 2010-11-23 2012-05-31 유길상 System and method for lossless digital watermarking for image integrity
KR20120119758A (en) * 2011-04-22 2012-10-31 유니웹스 주식회사 Apparatus for providing iptv broadcasting contents, user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iptv broadcasting contents information
KR101323223B1 (en) 2012-02-28 2013-10-30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Watermarking of Low Bit Rate Video Contents on the Mobi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0345B1 (en) * 2011-09-21 2012-11-12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Block-bases image authentication method using reversible watermarking based on progressive differential hist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6320A (en) 2015-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Dmour et al. A steganography embedding method based on edge identification and XOR coding
Chopra et al. LSB based digital image watermarking for gray scale image
Muhammad et al. Secure image steganography using cryptography and image transposition
Swain et al. LSB array based image steganography technique by exploring the four least significant bits
Goel et al. Image steganography–least significant bit with multiple progressions
Kang et al. A digital watermarking approach based on DCT domain combining QR code and chaotic theory
Rahman et al. A novel approach of image steganography for secure communication based on LSB substitution technique
Rai et al. Analysis of image steganography techniques: a survey
Arya et al. Improved capacity image steganography algorithm using 16-pixel differencing with n-bit LSB substitution for RGB images
KR102180924B1 (en) System and Method for Embedding and Extracting Digital Watermark Using QR Code
Almazaydeh Secure RGB image steganography based on modified LSB substitution
Sharifara et al. A novel approach to enhance robustness in digital image watermarking using multiple bit-planes of intermediate significant bits
Şahin et al. Review of the Literature on the Steganography Concept
Rajput et al. A novel approach for image steganography based on LSB technique
Mohamed et al. A combined image Steganography technique based on edge concept and dynamic LSB
Verma Review of steganography techniques
Gulati et al. Information hiding using fractal encoding
Lysenko et al. Applying of Kutter-Jordan-Bossen steganographic algorithm in video sequences
Roy et al. A robust reversible image watermarking scheme in DCT domain using Arnold scrambling and histogram modification
Khan An efficient neural network based algorithm of steganography for image
Shukla et al. A review on digital watermarking techniques, applications, and attacks
Dadkhah et al. Efficient image authentication and tamper localization algorithm using active watermarking
Al-Kadei et al. Improve a secure blind watermarking technique for digital video
Gupta et al. Signature hiding standard: Hiding binary image into RGB based image
Kashifa et al. Digital Image Watermarking and Its Applications: A Detailed Revi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