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8197B1 - Display device with touch screen - Google Patents

Display device with touch scre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8197B1
KR102178197B1 KR1020130168459A KR20130168459A KR102178197B1 KR 102178197 B1 KR102178197 B1 KR 102178197B1 KR 1020130168459 A KR1020130168459 A KR 1020130168459A KR 20130168459 A KR20130168459 A KR 20130168459A KR 102178197 B1 KR102178197 B1 KR 102178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s
driving
driving electrodes
bridge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84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78764A (en
Inventor
이재균
김동섭
황민아
유세종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8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8197B1/en
Publication of KR20150078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87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8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81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제1 브릿지를 통해 연결되는 복수의 구동 전극; 제1 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구동 전극과 교차하며 형성되며 제2 브릿지를 통해 연결되는 복수의 센싱 전극; 상기 복수의 구동 전극으로 터치 구동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터치 구동 신호에 따른 터치 센싱 신호를 상기 터치 센싱 전극으로부터 인가받는 패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구동 신호는, 제2 영역에서 상기 제1 브릿지와 교차하며 연결되는 복수의 라우팅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구동 전극에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connected through a first bridge; A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formed to cross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in a first region and connected through a second bridge; A pad unit for applying a touch driving signal to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and receiving a touch sensing signal according to the touch driving signal from the touch sensing electrode, wherein the touch driving signal includes the first bridge and the first bridge in a second area It relates to a touch screen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pplied to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hrough a plurality of intersecting and connected routing units.

Description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표시장치 {DISPLAY DEVICE WITH TOUCH SCREEN}Display device with touch screen {DISPLAY DEVICE WITH TOUCH SCREEN}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 감지가 가능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device capable of sensing a touch.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접촉 위치 검출이 가능한 센싱 장치를 표시 장치 상에 장착하거나 표시 장치와 일체화시키고, 그 표시 장치의 화면 상에 각종의 버튼이나 화상 등을 표시하여, 화면 상에서 직접 사용자의 입력이 가능하게 하는 표시 장치를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표시장치라고 한다. 이와 같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표시 장치는 키보드나 마우스, 키패드와 같은 입력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컴퓨터 이외에, 휴대 전화와 같은 휴대 정보 단말기 및 표시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여러 전자장치에서도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a sensing device capable of detecting the user's contact position is mounted on the display device or integrated with the display device, and various buttons or images ar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allowing the user's input directly on the screen. This display device is referred to as a display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Since such a display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does not require an input device such as a keyboard, mouse, or keypad, it is also used in various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and display devices in addition to computers.

상술한 터치스크린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방식은 정전용량 방식, 전자기 방식, 광학 방식 등 여러 가지 방식이 존재하는데, 그 중에서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은 구동 전극 및 센싱 전극을 포함하며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른 구동 전극과 센싱 전극 사이의 정전용량의 변화량를 감지하는 방법으로 터치 입력 위치를 검출한다.There are various methods such as a capacitive type, an electromagnetic method, and an optical method, such as a capacitive type, an electromagnetic type, and an optical type, among which the above-described touch screen detects a user's touch input. A touch input position is detected by detecting a change in capacitance between a driving electrode and a sensing electrode according to a touch input.

이하에서는 일반적인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general capacitive touch scree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도 1은 일반적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having a general touch screen.

일반적인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표시장치의 패널(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영역(11)과 비표시 영역(12)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표시 영역(11)은 이격된 형태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구동 전극(31) 및 복수의 구동 전극(31)과 교차하는 다른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형태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센싱 전극(32)을 포함하고 있고, 비표시 영역(12)은 패드부(40)를 포함하고 있다.The panel 10 of a display device with a general touch screen is divided into a display area 11 and a non-display area 12, as shown in FIG. 1, and the display area 11 is arranged in a spaced form. The non-display area 12 includes 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31 and a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32 disposed in a form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a different direction crossing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31. The silver pad part 40 is included.

여기서, 복수의 구동 전극(31)은 터치 구동을 위한 신호가 인가되는 전극이며, 복수의 센싱 전극(32)은 복수의 구동 전극으로 인가되는 터치 구동 신호에 따라 복수의 구동 전극과 복수의 센싱 전극 사이에 생성되는 정전용량에 있어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 유무에 따른 정전용량의 변화량를 센싱하는 전극이다.Here,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31 are electrodes to which a signal for touch driving is applied, and the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32 are 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and a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according to a touch driving signal applied to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An electrode that senses the amount of change in capacitance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user's touch input in the capacitance generated therebetween.

그리고, 패드부(40)는 복수의 배선을 통해 복수의 구동 전극으로 터치 구동 신호를 인가하고, 터치 구동 신호에 따른 정전용량의 변화량, 즉 터치 센싱 신호를 복수의 배선을 통해 터치 센싱 전극으로부터 인가받는 기능을 한다.Further, the pad unit 40 applies a touch driving signal to 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hrough a plurality of wires, and applies a change amount of capacitance according to the touch driving signal, that is, a touch sensing signal, from the touch sensing electrode through a plurality of wires. It functions to receive.

하지만, 일반적인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패드부와 복수의 구동 전극 및 센싱 전극 사이에 신호를 주고받기 위해 복수의 배선이 존재하게 되는데, 복수의 배선은 일반적으로 저항이 낮은 불투명 전극으로 형성하여, 패널의 비표시 영역에 형성하게 된다.However, in a general capacitive touch screen,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wirings exist to exchange signals between the pad unit and 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and sensing electrodes. The plurality of wirings are generally opaque electrodes with low resistance. And formed in a non-display area of the panel.

이렇듯 배선이 형성되어 있는 영역은 패널의 베젤(Bezel) 영역으로 존재하게 되는데, 이러한 베젤 영역이 넓으면 제품의 크기가 커지고, 디자인적인 측면에서도 손해가 많이 발생한다.As such, the area where the wiring is formed exists as a bezel area of the panel. If such a bezel area is wide, the size of the product increases, and a lot of damage occurs in terms of design.

따라서, 네로우(Narrow) 베젤을 달성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표시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display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capable of achieving a narrow bezel.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패널의 배선을 표시영역 내부에 형성하여 네로우 베젤을 달성할 수 있게 한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play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capable of achieving a narrow bezel by forming a wiring of a panel inside a display area.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표시장치는, 제1 브릿지를 통해 연결되는 복수의 구동 전극; 제1 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구동 전극과 교차하며 형성되며 제2 브릿지를 통해 연결되는 복수의 센싱 전극; 상기 복수의 구동 전극으로 터치 구동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터치 구동 신호에 따른 터치 센싱 신호를 상기 터치 센싱 전극으로부터 인가받는 패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구동 신호는, 제2 영역에서 상기 제1 브릿지와 교차하며 연결되는 복수의 라우팅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구동 전극에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display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connected through a first bridge; A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formed to cross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in a first region and connected through a second bridge; A pad unit for applying a touch driving signal to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and receiving a touch sensing signal according to the touch driving signal from the touch sensing electrode, wherein the touch driving signal includes the first bridge and the first bridge in a second area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pplied to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hrough a plurality of routing units intersecting and connected.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패널의 표시영역 내부에 라우팅부를 형성하여 패널의 좌우 베젤 사이즈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ize of the left and right bezels of the panel by forming a routing part inside the display area of the panel.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패드부와 연결되는 하부 영역을 제외한 3면의 베젤 영역을 제거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 bezel area on three surfaces other than a lower area connected to the pad unit may be removed.

도 1은 일반적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의 A-A' 와 B-B' 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4의 A-A' 와 B-B' 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6의 A-A' 와 B-B' 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및
도 9는 도 8의 A-A' 와 B-B' 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
1 is a view showing a display device having a general touch screen;
2 is a view showing a display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of AA' and BB' of FIG. 2;
4 is a view showing a display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of AA' and BB' of FIG. 4;
6 is a view showing a display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of AA' and BB' of FIG. 6;
8 is a view showing a display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9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of AA' and BB' of FIG. 8;

이하,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표시장치의 패널은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에 사용되는 패널을 일 예로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기술 분야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계 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및 무기전계 발광소자와 유기발광 다이오드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를 포함한 전계발광소자(Electroluminescence Device, EL), 전기영동 표시소자(Electrophoresis, EPD) 등 다양한 평판 표시장치로도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The panel of a display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panel used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but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 Field Emission Display (FED), Plasma Display Panel (PDP), and Electroluminescence Device (EL) including inorganic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electrophoresi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lat panel display devices such as a display device (Electrophoresis, EPD).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표시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영역(110) 및 비표시 영역(120)으로 구분되어 있는 패널(100)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술한 표시 영역(110)에는 복수의 구동 전극(301) 및 복수의 센싱 전극(302)과 복수의 라우팅부(303)가 형성되어 있으며, 비표시 영역(120)에는 패드부(400)가 형성되어 있다.The display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nel 100 divided into a display area 110 and a non-display area 120, as shown in FIG. 2, 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301, a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302, and a plurality of routing units 303 are formed in the above-described display area 110, and a pad part 400 is formed in the non-display area 120 Has been.

특히, 표시 영역(110)은 복수의 구동 전극(301) 및 복수의 센싱 전극(302)이 교차하며 형성되어 있는 제1 영역(510) 및 복수의 라우팅부(303)가 형성되어 있는 제2 영역(520)으로 구분되어 있다.In particular, the display area 110 is a first area 510 formed by crossing 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301 and a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302 and a second area in which a plurality of routing units 303 are formed. It is divided into 520.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구동 전극(301)과 복수의 센싱(302)은 필름 또는 유리 재질의 기판을 사이에 두고 절연되어 형성될 수도 있으며, 복수의 구동 전극 및 복수의 센싱 전극이 교차하는 부분만 절연되어 형성될 수도 있으며, 복수의 구동 전극 하부에는 필름 또는 유리 재질의 기판이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301 and the plurality of sensing 302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by being insulated with a film or glass substrate therebetween, and 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and a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Only the intersecting portions may be insulated and formed, and a film or glass substrate may be additionally formed under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여기서, 복수의 구동 전극(301)은 단일 전극이 서로 연결된 전극열 형태이며 보다 상세히 말하자면, 특정 형상의 단일 전극이 제1 브릿지(210)를 통해 전극열의 형태로 연결되어 있다.Here,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301 is in the form of an electrode array in which single electrod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in more detail, single electrodes of a specific shape are connected in the form of an electrode row through the first bridge 210.

예를 들어, 오각형으로 형성된 각각의 전극들이 서로 대칭되게 연결되어 있으며, 이런 대칭되게 연결된 전극들을 제1 브릿지(210)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전극열을 형성하고 있는 실시예를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각각의 전극들의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또는 원 등 특정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참고로, 제1 브릿지 역시 복수의 구동 전극(301)에 포함되어 있는 구성요소이다.For example, an embodiment in which the electrodes formed in a pentagon are symme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such symmetrically connected electrod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first bridge 210 to form an electrode row can be seen in FIG. 2. .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shape such as a square, a pentagon, a hexagon, or a circle of each of the electrodes. For reference, the first bridge is also a component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301.

다음으로, 복수의 센싱 전극(302)은 단일 전극이 서로 연결된 전극열 형태이며 보다 상세히 말하자면, 특정 형상의 단일 전극이 제2 브릿지(220)를 통해 전극열의 형태로 연결되어 있다.Next, the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302 is in the form of an electrode array in which single electrod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More specifically, a single electrode of a specific shape is connected in the form of an electrode array through the second bridge 220.

예를 들어, 사각형으로 형성된 각각의 전극들이 제2 브릿지(220)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전극열을 형성하고 있는 실시예를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각각의 전극들의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또는 원 등 특정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참고로, 제2 브릿지 역시 복수의 센싱 전극(302)에 포함되어 있는 구성요소이고, 복수의 센싱 전극(302)은 제2 브릿지(220) 영역에서 복수의 구동 전극과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or example, an embodiment in which electrodes formed in a square shap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second bridge 220 to form an electrode row can be seen in FIG. 2.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shape such as a square, a pentagon, a hexagon, or a circle of each electrode. For reference, the second bridge is also a component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302, and the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302 crosses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in the region of the second bridge 220.

그리고, 복수의 라우팅부(303)는 투명 전극으로 형성되어 제2 영역(520)에서 제1 브릿지(210)와 교차하며 연결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routing units 303 are formed as transparent electrodes and are connected to cross and connect with the first bridge 210 in the second region 520.

예를 들어, 복수의 라우팅부(303)는 복수의 센싱 전극(302)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인 제2 영역(520)에서 복수의 구동 전극을 서로 연결시켜주는 복수의 제1 브릿지(210)와 교차하며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복수의 라우팅부 중 각각의 라우팅부는 비록 다수의 제1 브릿지(210)와 교차하지만, 오직 하나의 제1 브릿지에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or example, the plurality of routing units 303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bridges 210 connecting 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o each other in a second area 520 that is an area in which the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302 are not formed. It is formed in a form that crosses and connects with. Here, each of the plurality of routing units is connected to only one first bridge, although intersecting with the plurality of first bridges 210.

마지막으로, 패드부(400)는 복수의 구동 전극(301)으로 터치 구동 신호를 인가하고, 터치 구동 신호에 따른 터치 센싱 신호를 터치 센싱 전극(302)으로부터 인가받는다. 여기서, 터치 구동 신호는 제2 영역(520)에서 제1 브릿지(201)와 교차하며 연결되는 복수의 라우팅부(303)를 통해 상기 복수의 구동 전극에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Lastly, the pad unit 400 applies a touch driving signal to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301 and receives a touch sensing signal according to the touch driving signal from the touch sensing electrode 302. Here, the touch driving signal is applied to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hrough a plurality of routing units 303 intersecting and connected to the first bridge 201 in the second area 520.

그리고, 패드부(400)는 표시 영역(510)의 일측 끝단에서 복수의 센싱 전극 (302) 및 복수의 라우팅부(303)와 연결되어 있으며, 여기서, 표시 영역(510)의 일측 끝단은 패널의 패드부(400)가 형성되어 있는 영역이다.In addition, the pad part 400 i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302 and the plurality of routing parts 303 at one end of the display area 510, wherein one end of the display area 510 is This is an area in which the pad part 400 is formed.

이처럼, 패드부와 복수의 구동 전극 및 센싱 전극 사이에 신호를 주고받기 위한 복수의 배선을 패널의 비표시 영역에 형성하지 않고, 표시 영역의 일측 끝단에서 복수의 센싱 전극과 직접 연결하거나 복수의 라우팅 배선과 직접 연결하여 패널의 좌우 베젤 사이즈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패드부와 연결되는 하부 영역을 제외한 3면의 베젤 영역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is way, a plurality of wires for sending and receiving signals between the pad unit and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and sensing electrodes are not formed in the non-display area of the panel, and are direct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at one end of the display area or a plurality of routings. By directly connecting to the wiring,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size of the left and right bezels of the panel, and there is an effect of removing the bezel area on three sides except for the lower area connected to the pad unit.

상술한 패드부(400)의 구동 동작에 대해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술한 패드부는 패널(100)의 복수의 구동 전극(301)에 터치 구동 신호를 순차적으로 인가한다.When the driving op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pad unit 400 is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above-described pad unit sequentially applies a touch driving signal to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301 of the panel 100.

다시 말해, 패드부(400)는, 패널의 복수의 구동 전극(301)으로 터치 감지를 위한 터치 구동 신호를 순차적으로 인가하여 복수의 구동 전극(301) 및 복수의 센싱 전극(302) 사이에 정전용량이 형성되게 한다.In other words, the pad unit 400 sequentially applies a touch driving signal for sensing a touch to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301 of the panel, so that there is a static electricity between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301 and the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302. Allow capacity to be formed.

다음으로, 패드부(400)는, 순차적으로 인가된 터치 구동 신호에 따른 터치 센싱 신호를 복수의 센싱 전극(302)를 통해 수신하여 사용자의 터치 입력 위치를 확인한다.Next, the pad unit 400 receives a touch sensing signal according to the sequentially applied touch driving signal through the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302 to check the user's touch input position.

다시 말해, 패드부는, 패널의 복수의 구동 전극(301)으로 순차적으로 인가된 터치 구동 신호에 의한 정전용량에 있어서 핑거 터치 유무에 따른 복수의 구동 전극열과 복수의 센싱 전극열 사이의 정전용량의 변화량에 관한 터치 센싱 신호를 복수의 센싱 전극을 통해 수신하여 사용자의 터치 입력 위치를 확인한다.In other words, the amount of change in capaci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 rows and the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 rows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finger touch in the capacitance by the touch driving signals sequentially applied to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301 of the panel A touch sensing signal relating to is received through a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to confirm a user's touch input position.

여기서, 터치 센싱 신호의 수신 동작은 첫번째 구동 전극으로 인가된 터치 구동 신호에 따른 첫번째 구동 전극 및 모든 센싱 전극 사이의 정전용량의 변화량을 모든 센싱 전극에서 순차적으로 수신하고, 그 후 두번째 구동 전극으로 인가된 터치 구동 신호에 따른 두번째 구동 전극 및 모든 센싱 전극 사이의 정전용량의 변화량을 모든 모든 센싱 전극에서 순차적으로 수신한다. 이처럼 마지막 구동 전극으로 인가된 터치 구동 신호에 따른 마지막 구동 전극 및 모든 센싱 전극 사이의 정전용량의 변화량을 모든 센싱 전극열 순차적으로 수신할 때까지 상기 동작을 진행한다.
Here, in the reception operation of the touch sensing signal, the amount of change in capacitance between the first driving electrode and all sensing electrodes according to the touch driving signal applied to the first driving electrode is sequentially received from all sensing electrodes, and then applied to the second driving electrode. The amount of change in capacitance between the second driving electrode and all sensing electrodes according to the generated touch driving signal is sequentially received by all sensing electrodes.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is performed until the amount of change in capacitance between the last driving electrode and all sensing electrodes according to the touch driving signal applied to the last driving electrode is sequentially received for all sensing electrode rows.

이하에서는, 상술한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표시장치에서 복수의 구동 전극(301)의 제1 브릿지(201)와 라우팅부(303)가 중첩되는 부분에 대해 다양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참조할 도면에서 제1 브릿지부(210)와 라우팅부(303)가 콘택되는 부분은 검은색 점으로 표시되어 있다.Hereinafter, a portion in which the first bridge 201 of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301 and the routing unit 303 overlap in the display device having the above-described touch scree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various embodiments. For reference, in the drawings to be referred to, a portion where the first bridge unit 210 and the routing unit 303 are in contact is indicated by a black dot.

복수의 구동 전극, 복수의 센싱 전극, 복수의 라우팅부 및 패드부에 대해서는 이미 위에서 충분히 설명했으므로 이하에서는 복수의 구동 전극(301)의 제1 브릿지(210)와 라우팅부(303)가 중첩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에 중점을 두어 기술하기로 한다.Since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he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the plurality of routing units and the pad units have already been sufficiently described above, the first bridge 210 of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301 and the routing unit 303 overlap each other. It will be described with emphasis on the description of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A-A' 와 B-B' 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복수의 구동 전극과 복수의 라우팅부를 같은 층에 형성하여 직접 연결된 경우의 실시예이다.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ross-sectional view of AA' and BB' of FIG. 2, and 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and a plurality of routings This is an example in which parts are formed on the same layer and directly connected.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전극(301)에 포함되는 제1 브릿지(210)와 라우팅부(303)가 연결되는 경우는, 기판(100) 위의 절연층(201) 상에서 같은 층에 형성되어 서로 직접 연결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A, when the first bridge 210 included in the driving electrode 301 and the routing unit 303 are connected, they are formed on the same layer on the insulating layer 201 on the substrate 100 And are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그리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전극(301)에 포함되는 제1 브릿지(210)와 라우팅부(303)가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기판(100) 위의 절연층(201) 내에 하부 브릿지(203)가 형성되어 있으나, 구동 전극(310) 및 하부 브릿지(203)는 절연층 콘택홀(202)을 통해 절연되어 있고, 라우팅부(303) 및 하부 브릿지(203)는 절연층(201)을 통해 절연되어 있다. 여기서, 라우팅부(303) 및 하부 브릿지(203)는 절연층(201)을 통해 절연되어 있으므로, 절연층 콘택홀(202)은 구동 전극이나 하부 브릿지로 채워질 수도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B, when the first bridge 210 and the routing unit 303 included in the driving electrode 301 are not connected to each other, the insulating layer 201 on the substrate 100 Although the lower bridge 203 is formed therein, the driving electrode 310 and the lower bridge 203 are insulated through the insulating layer contact hole 202, and the routing unit 303 and the lower bridge 203 are insulating layers. Insulated through (201). Here, since the routing unit 303 and the lower bridge 203 are insulated through the insulating layer 201, the insulating layer contact hole 202 may be filled with a driving electrode or a lower bridge.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A-A' 와 B-B' 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복수의 구동 전극과 복수의 라우팅부를 같은 층에 형성하여 복수의 구동 전극과 상기 복수의 라우팅부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브릿지을 통해 연결된 경우의 실시예이다.FIG. 4 is a view showing a display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of AA' and BB' of FIG. 4, and 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and a plurality of routings This is an embodiment of a case in which a portion is formed on the same layer and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hrough a lower bridge formed under the plurality of routing units.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전극(301)에 포함되는 제1 브릿지(210)와 라우팅부(303)가 연결되는 경우는, 기판(100) 위의 절연층(201) 상에서 같은 층에 형성되어 구동 전극과 라우팅부 하부에 형성된 하부 브릿지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구동 전극(310) 및 라우팅부(303)는 하부 브릿지(203)와 하부 브릿지 연결부(204)를 통해 연결되어 있으나, 상술한, 하부 브릿지 연결부에는 구동 전극 및 라우팅부로 채워질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5A, when the first bridge 210 included in the driving electrode 301 and the routing unit 303 are connected, they are formed on the same layer on the insulating layer 201 on the substrate 100 As a result, the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lower bridge formed under the driving electrode and the routing part. Here, the driving electrode 310 and the routing unit 303 are connected through the lower bridge 203 and the lower bridge connecting unit 204, but the above-described lower bridge connecting unit may be filled with a driving electrode and a routing unit.

그리고,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전극(301)에 포함되는 제1 브릿지(210)와 라우팅부(303)가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기판(100) 위의 절연층(201) 내에 하부 브릿지(203)가 형성되어 있으나, 구동 전극(310) 및 하부 브릿지(203)는 절연층 콘택홀(202)을 통해 절연되어 있고, 라우팅부(303) 및 하부 브릿지(203)는 절연층(201)을 통해 절연되어 있다. 여기서, 라우팅부(303) 및 하부 브릿지(203)는 절연층(201)을 통해 절연되어 있으므로, 절연층 콘택홀(202)은 구동 전극이나 하부 브릿지로 채워질 수도 있다.And, as shown in FIG. 5B, when the first bridge 210 and the routing unit 303 included in the driving electrode 301 are not connected to each other, the insulating layer 201 on the substrate 100 Although the lower bridge 203 is formed therein, the driving electrode 310 and the lower bridge 203 are insulated through the insulating layer contact hole 202, and the routing unit 303 and the lower bridge 203 are insulating layers. Insulated through (201). Here, since the routing unit 303 and the lower bridge 203 are insulated through the insulating layer 201, the insulating layer contact hole 202 may be filled with a driving electrode or a lower bridge.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A-A' 와 B-B' 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복수의 구동 전극과 상기 복수의 라우팅부를 다른 층에 형성하여 콘택홀을 통해 연결된 경우의 실시예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 thir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cross-sectional views of AA' and BB' of FIG. 6, and 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and the plurality of This is an example in which a routing part is formed on another layer and connected through a contact hole.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전극(301)에 포함되는 제1 브릿지(210)와 라우팅부(303)가 연결되는 경우는, 기판(100) 위의 라우팅부 상에 절연층(201) 상에서 형성된 절연층 콘택홀(20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술한 절연층 콘택홀에 채워지는 구동 전극(301)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As shown in FIG. 7A, when the first bridge 210 included in the driving electrode 301 and the routing unit 303 are connected, the insulating layer 201 is formed on the routing unit on the substrate 100. The formed insulating layer contact holes 202 are formed, a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driving electrodes 301 filled in the insulating layer contact holes described above.

그리고,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전극(301)에 포함되는 제1 브릿지(210)와 라우팅부(303)가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기판(100) 위의 라우팅 배선이 상에 절연층(201)이 형성되어 있어 구동 전극(301)과 라우팅부(303)는 서로 절연되어 있다.And, as shown in FIG. 7B, when the first bridge 210 and the routing unit 303 included in the driving electrode 301 are not connected to each other, the routing wiring on the substrate 100 is Since the insulating layer 201 is formed, the driving electrode 301 and the routing unit 303 are insulated from each other.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A-A' 와 B-B' 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복수의 구동 전극과 복수의 라우팅부를 같은 층에 형성하여 직접 연결된 경우의 실시예로써, 라우팅 배선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의 실시예이다.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 fourth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view showing cross-sectional views of AA' and BB' of FIG. 8, and 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and a plurality of routings This is an example in which parts are formed on the same layer and directly connected, and is an example of a cross-sectional view cut in the direction of a routing line.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전극(301)에 포함되는 제1 브릿지(210)와 라우팅부(303)가 연결되는 경우는, 기판(100) 상에서 같은 층에 형성되어 서로 직접 연결되어 있다.As shown in FIG. 9A, when the first bridge 210 and the routing unit 303 included in the driving electrode 301 are connected, they are formed on the same layer on the substrate 100 and are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그리고,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전극(301)에 포함되는 제1 브릿지(210)와 라우팅부(303)가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기판(100) 위의 라우팅 배선이 상에 절연층(201)이 형성되어 있어 구동 전극(301)과 라우팅부(303)는 서로 절연되어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9B, when the first bridge 210 and the routing unit 303 included in the driving electrode 301 are not connected to each other, the routing wiring on the substrate 100 is insulated thereon. Since the layer 201 is formed, the driving electrode 301 and the routing unit 303 are insulated from each other.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형성하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The terms include, constitute, or form described above, unless otherwise stated,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embedded, and thus other components are not excluded. It should be construed as possible to contain.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unless otherwise defined,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generally used, such as terms defin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are not interpreted as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the technical idea,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패널 110 : 표시 영역
120 : 비표시 영역 201 : 절연층
202 : 절연층 콘택홀 203 : 하부 브릿지
204 : 하부 브릿지 연결부 210 : 제1 브릿지
220 : 제2 브릿지 301 : 구동 전극
302 : 센싱 전극 303 : 라우팅부
400 : 패드부 510 : 제1 영역
520 : 제2 영역
100: panel 110: display area
120: non-display area 201: insulating layer
202: insulating layer contact hole 203: lower bridge
204: lower bridge connection 210: first bridge
220: second bridge 301: driving electrode
302: sensing electrode 303: routing unit
400: pad part 510: first area
520: second area

Claims (11)

제1 브릿지를 통해 연결되는 복수의 구동 전극;
상기 복수의 구동 전극과 교차하며 형성되며 제2 브릿지를 통해 연결되는 복수의 센싱 전극;
상기 복수의 구동 전극으로 터치 구동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터치 구동 신호에 따른 터치 센싱 신호를 상기 복수의 센싱 전극으로부터 인가받는 패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구동 신호는, 상기 제1 브릿지와 교차하며 연결되는 복수의 라우팅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구동 전극에 인가되고,
상기 복수의 구동 전극과 상기 복수의 라우팅부는 절연층 상부에 같은 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라우팅부는 각각, 상기 복수의 구동 전극 중 하나에 직접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구동 전극 중 나머지로부터 상기 절연층에 의하여 절연되고,
상기 복수의 구동 전극 중 나머지는 상기 절연층의 콘택홀을 통하여 상기 절연층 하부의 하부 브릿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표시장치.
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connected through a first bridge;
A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formed to cross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and connected through a second bridge;
A pad unit for applying a touch driving signal to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and receiving a touch sensing signal according to the touch driving signal from the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The touch driving signal is applied to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hrough a plurality of routing units intersecting and connected to the first bridge,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and the plurality of routing units are formed in the same layer on the insulating layer,
Each of the plurality of routing units is directly connected to one of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and is insulated from the rest of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by the insulating layer,
A display device with a touch screen, wherein the rest of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are connected to a lower bridge under the insulating layer through a contact hole of the insulating lay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동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센싱 전극과 상기 복수의 라우팅부는 중앙부의 표시 영역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패드부는 상기 표시 영역 일측의 비표시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he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and the plurality of routing parts are formed in a display area of a central part, and the pad part is formed in a non-display area of one side of the display area. Display devi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는 상기 표시 영역의 일측 끝단에서 상기 복수의 센싱 전극 및 상기 복수의 라우팅부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pad unit i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and the plurality of routing units at one end of the display area.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의 일측 끝단은 상기 패드부가 형성되어 있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 display device with a touch screen, wherein one end of the display area is an area in which the pad part is form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싱 전극은 상기 제2 브릿지가 배치되는 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구동 전극과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crossing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in a region where the second bridge is disposed.
삭제delete 제1 브릿지를 통해 연결되는 복수의 구동 전극;
상기 복수의 구동 전극과 교차하며 형성되며 제2 브릿지를 통해 연결되는 복수의 센싱 전극;
상기 복수의 구동 전극으로 터치 구동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터치 구동 신호에 따른 터치 센싱 신호를 상기 복수의 센싱 전극으로부터 인가받는 패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구동 신호는, 상기 제1 브릿지와 교차하며 연결되는 복수의 라우팅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구동 전극에 인가되고,
상기 복수의 구동 전극과 상기 복수의 라우팅부는 절연층 상부에 같은 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구동 전극은 각각 상기 절연층의 콘택홀을 통하여 상기 절연층 하부의 하부 브릿지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라우팅부는 각각, 상기 절연층의 콘택홀을 통하여 상기 복수의 구동 전극 중 하나에 연결되는 상기 하부 브릿지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구동 전극 중 나머지에 연결되는 상기 하부 브릿지로부터 절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표시장치.
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connected through a first bridge;
A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formed to cross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and connected through a second bridge;
A pad unit for applying a touch driving signal to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and receiving a touch sensing signal according to the touch driving signal from the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The touch driving signal is applied to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hrough a plurality of routing units intersecting and connected to the first bridge,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and the plurality of routing units are formed in the same layer on the insulating layer,
Each of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is connected to a lower bridge under the insulating layer through a contact hole of the insulating layer,
Each of the plurality of routing units is connected to the lower bridge connected to one of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hrough a contact hole of the insulating layer, and insulated from the lower bridge connected to the rest of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A display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제1 브릿지를 통해 연결되는 복수의 구동 전극;
상기 복수의 구동 전극과 교차하며 형성되며 제2 브릿지를 통해 연결되는 복수의 센싱 전극;
상기 복수의 구동 전극으로 터치 구동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터치 구동 신호에 따른 터치 센싱 신호를 상기 복수의 센싱 전극으로부터 인가받는 패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구동 신호는, 상기 제1 브릿지와 교차하며 연결되는 복수의 라우팅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구동 전극에 인가되고,
상기 복수의 구동 전극과 상기 복수의 라우팅부는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다른 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라우팅부는 각각, 상기 절연층의 콘택홀을 통하여 상기 복수의 구동 전극 중 하나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구동 전극 중 나머지로부터 절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표시장치.
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connected through a first bridge;
A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formed to cross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and connected through a second bridge;
A pad unit for applying a touch driving signal to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and receiving a touch sensing signal according to the touch driving signal from the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The touch driving signal is applied to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hrough a plurality of routing units intersecting and connected to the first bridge,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and the plurality of routing units are formed in different layers with an insulating layer therebetween,
Each of the plurality of routing units is connected to one of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hrough a contact hole of the insulating layer, and is insulated from the other of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동 전극과 상기 복수의 라우팅부를 연결하는 콘택홀은 상기 복수의 라우팅부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8,
A display device with a touch screen, wherein contact holes connecting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and the plurality of routing units are formed on the plurality of routing unit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라우팅부 중 각각의 라우팅부는 오직 하나의 제1 브릿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isplay device with a touch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plurality of routing units is connected to only one first bridge.
제1 브릿지를 통해 연결되는 복수의 구동 전극;
상기 복수의 구동 전극과 교차하며 형성되며 제2 브릿지를 통해 연결되는 복수의 센싱 전극;
상기 복수의 구동 전극으로 터치 구동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터치 구동 신호에 따른 터치 센싱 신호를 상기 복수의 센싱 전극으로부터 인가받는 패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구동 신호는, 상기 제1 브릿지와 교차하며 연결되는 복수의 라우팅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구동 전극에 인가되고,
상기 복수의 구동 전극과 상기 복수의 라우팅부는 다른 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라우팅부는 각각, 상기 복수의 구동 전극 중 하나에 직접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구동 전극 중 나머지로부터 절연층에 의하여 절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표시장치.
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connected through a first bridge;
A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formed to cross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and connected through a second bridge;
A pad unit for applying a touch driving signal to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and receiving a touch sensing signal according to the touch driving signal from the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The touch driving signal is applied to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hrough a plurality of routing units intersecting and connected to the first bridge,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and the plurality of routing units are formed of different layers,
Each of the plurality of routing units is directly connected to one of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and is insulated from the other of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by an insulating layer.
KR1020130168459A 2013-12-31 2013-12-31 Display device with touch screen KR1021781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8459A KR102178197B1 (en) 2013-12-31 2013-12-31 Display device with touch scre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8459A KR102178197B1 (en) 2013-12-31 2013-12-31 Display device with touch scre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8764A KR20150078764A (en) 2015-07-08
KR102178197B1 true KR102178197B1 (en) 2020-11-12

Family

ID=53791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8459A KR102178197B1 (en) 2013-12-31 2013-12-31 Display device with touch scree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819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61094B2 (en) 2022-05-18 2024-01-02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ith touch sens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71156B (en) * 2017-12-01 2024-04-1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Touch panel, touch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ouch panel
CN108984033B (en) * 2018-07-13 2021-04-23 成都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Touch display module, touch display device and preparation method
KR20210109694A (en) 2020-02-27 2021-09-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1110B1 (en) * 2010-08-25 2011-11-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Touch panel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8669B1 (en) * 2010-02-19 2012-03-20 (주)삼원에스티 Touch panel sensor including low resistant line pattern
KR101793677B1 (en) * 2011-01-18 2017-11-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Touch Screen Pane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1110B1 (en) * 2010-08-25 2011-11-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Touch pane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61094B2 (en) 2022-05-18 2024-01-02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ith touch sen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8764A (en) 2015-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3751B2 (en) Flexible touch-sensing module and display device with the flexible touch-sensing module
CN109388294B (en) Touch panel,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touch display device
KR101322998B1 (en) Electrostatic capacity type touch screen panel
US9496097B2 (en) Touch window having improved electrode pattern structure
KR102543487B1 (en) Self capacitance touch screen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CN104409473B (en) Piezoelectricity touch control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CN102799332B (en) A kind of embedded single layer capacitance touch-screen
KR20120028077A (en) Touch screen panel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2232774B1 (en)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imcluding the same
KR20160088533A (en) Touch sensor
US9250726B2 (en) Touch display and electronic apparatus
US10782839B2 (en) Touch substrat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apparatus
US11294519B2 (en) Touch panel
US20180307370A1 (en) Touchscreen
KR102178197B1 (en) Display device with touch screen
KR20220142991A (en) Touch panel
KR20120027693A (en) Electrostatic capacity type touch-scree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9389741B2 (en) Touch panel and a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10303309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touch key electrodes
US20170025480A1 (en) In-cell touch panel
KR102359762B1 (en) Self-capacitance Touch Screen
TWI720496B (en) Display module with touch function
KR101414423B1 (en) Touch screen panel
KR101960055B1 (en) Touch Sensor And Display Device
KR20180006526A (en) Capacitance touch panel improved sensing sensitiv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