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7777B1 - Avatar system based on multi layered display - Google Patents

Avatar system based on multi layered displ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7777B1
KR102177777B1 KR1020170183896A KR20170183896A KR102177777B1 KR 102177777 B1 KR102177777 B1 KR 102177777B1 KR 1020170183896 A KR1020170183896 A KR 1020170183896A KR 20170183896 A KR20170183896 A KR 20170183896A KR 102177777 B1 KR102177777 B1 KR 102177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ata
avatar system
gat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38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81393A (en
Inventor
차재상
Original Assignee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83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7777B1/en
Publication of KR20190081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13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7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777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57Assigned coding mode, i.e. the coding mode being predefined or preselected to be further used for selection of another element or paramet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42Detection of scene cut or scene cha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원격화상회의의 참석자들이 실제적으로 참석한 느낌을 갖도록 하는 멀티 레이어 디스플레이 기반 아바타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러한 멀티 레이어 디스플레이 기반 아바타 시스템은 몸체부, 디스플레이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는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 및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부착되고, 서로 겹쳐진 다수의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투명 디스플레이는, 각각이,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게이트 배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데이터 배선, 상기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으로 정의되는 화소, 상기 다수의 게이트 배선을 구동하는 게이트 구동회로 및 상기 다수의 데이터 배선을 구동하는 데이터 구동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상기 스피커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A multi-layered display-based avatar system is provided that allows participants of a teleconference to have a real presence. Such a multi-layered display-based avatar system includes a body, a display, and a control unit. The body portion includes a camera for photographing an image and a speaker for outputting audio. The display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transparent displays attach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unit and overlapping each other. Each of the plurality of transparent displays is defined as a plurality of gate wires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a plurality of data wires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the gate wire, and the data wire. And a pixel, a gate driving circuit for driving the plurality of gate wires, and a data driving circuit for driving the plurality of data wires.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amera, the speaker, and the display unit.

Description

멀티 레이어 디스플레이 기반 아바타 시스템{AVATAR SYSTEM BASED ON MULTI LAYERED DISPLAY}Avatar system based on multi-layer display {AVATAR SYSTEM BASED ON MULTI LAYERED DISPLAY}

본 발명은 원격화상회의 등에서, 참석자를 대신하는 아바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참석자의 얼굴을 입체로 표현할 수 있는 멀티 레이어 디스플레이 기반 아바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vatar system for a participant in a teleconference, etc., and to a multi-layer display based avatar system capable of expressing a participant's face in three dimensions in more detail.

과거에는 공간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각 당사자들이 한곳에 모여 회의를 진행하였으나, 근래들어 통신망과 전자기기 등이 발전함에 따라서, 회의의 참석을 요하지않고 각 위치에서 회의를 진행하는 원격화상회의가 널리 행해지고 있다.In the past, parties that were spatially distant were gathered together to hold a meeting, but in recent years, with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networks and electronic devices, remote video conferences are widely practiced in which meetings are held at each location without the need to attend meetings.

이러한 원격화상회의는 지리적으로 분산된 위치에서 실시간으로 상호 간에 비디오 및 오디오 콘텐츠를 교환함으로써 수행되게 된다.This teleconference is performed by exchanging video and audio contents with each other in real time at geographically dispersed locations.

이러한, 원격화상회의를 위해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71400호, "회의실객체를 이용한 회상회의 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32613호, "비디오 화상회의 동안 참가자의 외모 수정",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30463호, "화상 회의 운영 동안 로봇식 스탠드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등, 다양한 기술들이 공개되고 있다.For this, remote video conferenc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71400, “Reminiscence Conference Method Using Meeting Room Objects”, Korean Patent No. 10-1732613, “Modification of Participants' Appearance During Video Video Conference”, Korean Patent Publication Various technologies, such as No. 10-2017-0030463,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robotic stand during operation of a video conference", have been disclosed.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들은 회상회의 참가자들의 이미지를 평면화상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있어서, 회의의 참석자들이 실제 참석한 느낌이 덜하다. 따라서, 회의의 참석자들이 실제적으로 참석한 느낌을 갖도록 하는 화상회의 시스템이 요구되어지고 있다.However, these conventional techniques display images of participants of the reminiscence conference in a flat image, so that the participants of the conference are less likely to actually attend. 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a video conferencing system that allows participants of a conference to feel actually attended.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71400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71400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32613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32613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30463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30463

그에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원격화상회의의 참석자들이 실제적으로 참석한 느낌을 갖도록 하는 멀티 레이어 디스플레이 기반 아바타 시스템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layered display-based avatar system that allows participants of a teleconference to have an actual presence.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 레이어 디스플레이 기반 아바타 시스템은 몸체부, 디스플레이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는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 및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부착되고, 서로 겹쳐진 다수의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투명 디스플레이는, 각각이,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게이트 배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데이터 배선, 상기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으로 정의되는 화소, 상기 다수의 게이트 배선을 구동하는 게이트 구동회로 및 상기 다수의 데이터 배선을 구동하는 데이터 구동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상기 스피커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A multi-layer display-based avatar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is problem includes a body portion, a display portion, and a controller. The body portion includes a camera for photographing an image and a speaker for outputting audio. The display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transparent displays attach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unit and overlapping each other. Each of the plurality of transparent displays is defined as a plurality of gate wires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a plurality of data wires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the gate wire, and the data wire. And a pixel, a gate driving circuit for driving the plurality of gate wires, and a data driving circuit for driving the plurality of data wires.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amera, the speaker, and the display unit.

예컨대, 상기 다수의 투명 디스플레이는 서로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plurality of transparent displays may be disposed to contact each other.

또한, 상기 제어부는 사이 다수의 투명 디스플레이 중에서, 표면에서 가까울수록 적은 광량으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among a plurality of transparent displays,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display with a smaller amount of light as it is closer to the surface.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들의 맨 후단에 부착된 불투명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may further include an opaque display attached to the rear end of the transparent displays.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평면 이미지의 특징점들을 추출하고, 상기 특징점들의 위치관계를 연산하고, 평면 이미지들의 특징점들에 대응하는 경계부를 파악하고, 파악된 경계부들에 따라서, 이미지를 슬라이스하고, 슬라이스된 이미지들을 대응하는 각각의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등에 전송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extracts feature points of a flat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calculates a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feature points, grasps a boundary corresponding to the feature points of the planar images, and according to the identified boundary portions, the image And the sliced images may be transmitted to each of the corresponding transparent displays.

더욱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계부 내의 동일한 영역에 대해서, 다층으로 분할할 수 있다.Moreover, the control unit can divide the same area within the boundary into multiple layers.

한편, 상기 몸체부는, 상대방의 음성을 수신하기 위한 마이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ody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microphone for receiving the voice of the other party.

또한, 상기 몸체부는, 자료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빔프로젝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beam projector for displaying materials.

또한, 상기 몸체부는, 이동을 위한 이송바퀴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transfer wheel for movement.

또한, 상기 몸체부는, 외부 통신망과의 접속을 위한 송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transmission/reception unit for connection with an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멀티 레이어 디스플레이 기반 아바타 시스템은, 회의의 참석자들의 얼굴을 입체적으로 표현하도록 구현하여, 각 당사자들이 회의에 참석한 느낌을 갖도록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vatar system based on a multi-layer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to express the faces of participants in a meeting in three dimensions, so that each party can have a feeling of attending the meeting.

본 발명에 의한 멀티 레이어 디스플레이 기반 아바타 시스템은, 별도의 3차원 이미지의 촬영이 없어도, 2차원 이미지에 깊이감을 부여함으로써, 입체감을 부여할 수 있다.The avatar system based on a multi-layer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art a three-dimensional effect by giving a sense of depth to a two-dimensional image even without taking a separate three-dimensional image.

또한, 다수의 투명 디스플레이 중에서, 표면에 가까울수록 적은 광량으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함으로써, 투명 디스플레이에서 흡수되는 광량을 보상하여 균일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In addition, among a plurality of transparent displays, by controlling the display with a smaller amount of light as it is closer to the surface, it is possible to display a uniform image by compensating for the amount of light absorbed by the transparent display.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 레이어 디스플레이 기반 아바타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된 멀티 레이어 디스플레이 기반 아바타 시스템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도시된 디스플레이부의 측면도로서, 예시적으로 구형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도시된 디스플레이부의 정면도로서, 예시적으로 구형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디스플레이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투명 디스플레이의 일 예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6은 도 1에서 도시된 멀티 레이어 디스플레이 기반 아바타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도시된 제어부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평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하기위한 다층으로 슬라이스된 이미지를 분할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vatar system based on a multi-layer displa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unit included in the multilayer display-based avatar system shown in FIG. 1.
FIG. 3 is a side view of the display unit illustrated in FIG. 2, and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case of displaying a spherical shape.
FIG. 4 is a front view of the display unit illustrated in FIG. 2, which is an exemplary front view for explaining a case of displaying a spherical shape.
5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each transparent display constituting the display unit of FIG. 2.
FIG. 6 is a block diagram of an avatar system based on a multi-layer display shown in FIG. 1.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dividing a multi-layered sliced image for displaying a flat image captured by a camera on a display by the controller illustrated in FIG. 6.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 부호를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과장하여 도시한 것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and various forms may be applied,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form disclose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each drawing,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imilar compon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dimensions of structures may be exaggerated than actual for clarity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A와 B가'연결된다', '결합된다'라는 의미는 A와 B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결합하는 것 이외에 다른 구성요소 C가 A와 B 사이에 포함되어 A와 B가 연결되거나 결합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preliminary exclusion. In addition, A and B are'connected' and'coupled' means that A and B are directly connected or combined, and other components C are included between A and B, so that A and B are connected or combined. To include that.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방법 발명에 대한 특허청구범위에서, 각 단계가 명확하게 순서에 구속되지 않는 한, 각 단계들은 그 순서가 서로 바뀔 수도 있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es not. Further, in the claims for the method invention, the order of each step may be interchanged with each other, as long as each step is not clearly bound to the order.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 레이어 디스플레이 기반 아바타 시스템의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vatar system based on a multi-layer displa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 레이어 디스플레이 기반 아바타 시스템(100)은 몸체부(120), 디스플레이부(110) 및 제어부(도시안됨)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몸체부(120)는, 상대방의 음성을 수신하기 위한 마이크(123), 빔프로젝터(124), 이송바퀴(125) 및 송수신부(도시안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multilayer display based avatar system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20, a display 110, and a control unit (not shown). Meanwhile, the body part 12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 microphone 123, a beam projector 124, a transfer wheel 125, and a transmission/reception unit (not shown) for receiving the voice of the other party. .

도면에서, 상기 몸체부(120)는 육면체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실제 인체의 상부몸체 등의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e drawings, the body portion 120 is configured in a hexahedral shape, but may be configured to have a shape such as an upper body of an actual human body.

상기 몸체부(120)는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121) 및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122)를 포함한다. 일대일 회의인 경우, 참석자 A와 B를 가정하면, 참석자 A는 공간적으로 B의 아바타 시스템(100)과 함께 있게 되고, 참석자 B는 A의 아바타 시스템(100)과 함께 있게 된다.The body portion 120 includes a camera 121 for photographing an image and a speaker 122 for outputting audio. In the case of a one-on-one meeting, assuming participants A and B, participant A is spatially with B's avatar system 100, and participant B is with A's avatar system 100.

이때, B의 아바타 시스템(100)은 참석자 A의 얼굴을 캡쳐링하여 A의 아바타 시스템의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 하게되고, A의 아바타 시스템(100)은 참석자 B의 얼굴을 캡쳐링하여 B의 아바타 시스템(100)의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 하게 된다. 또한, 마찬가지로, B의 아바타 시스템(100)의 마이크(123)는 A의 음성을 수신하여 A의 아바타 시스템(100)으로 전송하고, A의 아바타 시스템(100)의 스피커(122)를 통해서 음성이 재생되고, A의 아바타 시스템(100)의 마이크(123)는 B의 음성을 수신하여 B의 아바타 시스템(100)으로 전송하고, B의 아바타 시스템(100)의 스피커(122)를 통해서 음성이 재생된다. At this time, the avatar system 100 of B captures the face of the participant A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unit 110 of the avatar system of A, and the avatar system 100 of A captures the face of the participant B.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0 of the avatar system 100. Similarly, the microphone 123 of the avatar system 100 of B receives the voice of A and transmits the voice to the avatar system 100 of A, and the voice is transmitted through the speaker 122 of the avatar system 100 of A. And the microphone 123 of the avatar system 100 of A receives the voice of B and transmits the voice to the avatar system 100 of B, and the voice is played through the speaker 122 of the avatar system 100 of B. do.

한편, 다수의 회의 참석자들이 있는 경우, 각 참석자별로 별도의 ID를 갖는 카메라 및 마이크가 구비되어, 동일한 ID를 갖는 아바타 시스템(100)에 얼굴형상과 목소리를 부여할 수도 있다.Meanwhile, when there are multiple conference participants, a camera and a microphone having separate IDs are provided for each participant, and a face shape and a voice may be given to the avatar system 100 having the same ID.

상기 빔프로젝터(124)는 회의중에 파워포인트나, 그밖의 자료들을 표시할 필요가 있는 경우, 이를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여 보다 원활한 회의가 진행되도록 한다. 이러한 빔프로젝터(124)는 종래의 빔프로젝터를 채용할 수 있다.When it is necessary to display a power point or other data during a meeting, the beam projector 124 displays it on a screen so that the meeting proceeds more smoothly. The beam projector 124 may employ a conventional beam projector.

상기 이송바퀴(125)는 상기 멀티 레이어 디스플레이 기반 아바타 시스템(100)에 이동성을 부여한다. 도시된 도면에서 상기 이송바퀴(125)는 실제의 바퀴를 채용하고,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 이송바퀴(125)는 무한 궤도 등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모든 장치들을 포함한다.The transfer wheel 125 imparts mobility to the multi-layer display-based avatar system 100. In the drawing, the transfer wheel 125 employs an actual wheel, but in this embodiment, the transfer wheel 125 includes all devices that enable movement, such as an infinite orbit.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는 상기 몸체부(120)의 상부에 부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는 회의 참석자의 얼굴을 디스플레이하게 되므로, 몸체부(120)의 상부에 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splay unit 110 is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unit 120.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display unit 110 displays the face of a meeting participant, it is preferable to attach it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unit 120.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는 서로 겹쳐진 다수의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투명 디스플레이는, 각각이,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게이트 배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데이터 배선, 상기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으로 정의되는 화소, 상기 다수의 게이트 배선을 구동하는 게이트 구동회로 및 상기 다수의 데이터 배선을 구동하는 데이터 구동회로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는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The display unit 110 includes a plurality of transparent displays overlapping each other. Each of the plurality of transparent displays is defined as a plurality of gate wires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a plurality of data wires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the gate wire, and the data wire. And a pixel, a gate driving circuit for driving the plurality of gate wires, and a data driving circuit for driving the plurality of data wires. This structur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상기 제어부(도시안됨)는 상기 마이크(123), 상기 카메라(121), 상기 스피커(122), 상기 빔프로젝터(124)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도시안됨)는 도 6을 참조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The controller (not shown) controls the microphone 123, the camera 121, the speaker 122, the beam projector 124, and the display unit 110. The control unit (not show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6.

도 2는 도 1에서 도시된 멀티 레이어 디스플레이 기반 아바타 시스템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도시된 디스플레이부의 측면도로서, 예시적으로 구형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서 도시된 디스플레이부의 정면도로서, 예시적으로 구형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FIG.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unit included in the multilayer display-based avatar system shown in FIG. 1. FIG. 3 is a side view of the display unit shown in FIG. 2, which is an exemplary side view for explaining a case of displaying a spherical shape, and FIG. 4 is a front view of the display unit shown in FIG. It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the case.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10)는, 서로 겹쳐진 다수의 투명 디스플레이(d1, d2, d3, ..., dn)를 포함한다.2 to 4, the display unit 110 includes a plurality of transparent displays d1, d2, d3, ..., dn overlapping each other.

예컨대, 상기 다수의 투명 디스플레이(d1, d2, d3, ..., dn)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다수의 투명 디스플레이(d1, d2, d3, ..., dn)는, 액정표시패널(LCD)로 구현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plurality of transparent displays d1, d2, d3, ..., dn may be implemented a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 Alternatively, the plurality of transparent displays d1, d2, d3, ..., dn may be implemented as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LCD).

한편, 상기 다수의 투명 디스플레이(d1, d2, d3, ..., dn)는 약간의 간격을 두고, 이격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다수의 투명 디스플레이(d1, d2, d3, ..., dn)는 서로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plurality of transparent displays d1, d2, d3, ..., dn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slight interval, but in this embodiment, the plurality of transparent displays d1, d2, d3,. .., dn) can be arranged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이와 같이, 서로 접하도록 배치된 상기 다수의 투명 디스플레이(d1, d2, d3, ..., dn)는 깊이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서로 상이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여, 입체적인 영상을 표현할 수 있다. 즉, 정면에서 가장 가까운 투명 디스플레이(d1)는 관측자에게 가장 가까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고, 정면에서 점차적으로 멀어지는 투명 디스플레이일수록 관측자에게 점차적으로 멀어지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입체감을 표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lurality of transparent displays d1, d2, d3, ..., dn arranged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may display different images while proceeding in the depth direction to represent a three-dimensional image. That is, the transparent display d1 closest to the front displays an image closest to the viewer, and the transparent display gradually distant from the front displays an image gradually distant from the viewer, thereby displaying a three-dimensional effect.

예컨대, 도 3 및 4에서 표시된 바와 같이, 구형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정면에서 가장 가까운 투명 디스플레이(d1)는 반지름 r1만큼의 원을 디스플레이하고, 그 다음 투명 디스플레이(d2)는 반지름 r1에서 반지름 r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는 도넛 형상을 디스플레이하고, 그 다음 투명 디스플레이(d3)는 반지름 r2에서 반지름 r3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는 도넛 형상을 디스플레이하고, 그 다음 투명 디스플레이(d4)는 반지름 r3에서 반지름 r4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는 도넛 형상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s. 3 and 4, when displaying a spherical shape, the transparent display d1 closest to the front displays a circle with a radius r1, and then the transparent display d2 displays a radius r2 at a radius r1. Display the donut shape located in the space between, and then the transparent display d3 displays the donut shape loc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radius r2 and the radius r3, and then the transparent display d4 displays the radius r4 at the radius r3. A donut shape positioned in the space between them is displayed.

상기 제어부(도시안됨)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도시안됨)는, 그 다음 투명 디스플레이(d4)는 반지름 r3에서 최대 반지름 r4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그 다음 투명 디스플레이(d5) 이하는 디스플레이를 중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이와 다르게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d5)는 불투명한 단색이미지(예컨대, 블랙)를 디스플레이하며, 그 이하의 투명 디스플레이(d6, d7,...)는 계속적으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여, 후방에서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not shown) controls the display unit 110. The control unit (not shown) may control the next transparent display d4 to stop the display when the next transparent display d4 displays the maximum radius r4 at the radius r3, and the transparent display d5 or less may stop the display. (d5) displays an opaque monochromatic image (e.g., black), and the lower transparent displays (d6, d7,...) continuously display an image, and control to display an image from the rear. .

또한, 상기 제어부(도시안됨)는, 상기 다수의 투명 디스플레이(d1, d2, d3, ..., dn) 중에서, 표면에서 가까울수록 적은 광량으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표면에서 가장 가까운 디스플레이(d1, dn)는 가장 적은 광량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며, 그 다음에 배치된 디스플레이(d2, dn-1)는 그 다음 적은 광량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방식이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not shown) may control the display with a smaller amount of light as it is closer to the surface among the plurality of transparent displays d1, d2, d3, ..., dn. That is, the displays d1 and dn closest to the surface are controlled to display with the least amount of light, and the displays d2 and dn-1 disposed next are controlled to display with the next less amount of light.

이와 같이, 제어부(도시안됨)는, 상기 다수의 투명 디스플레이(d1, d2, d3, ..., dn) 중에서, 표면에서 가까울수록 적은 광량으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는 경우, 정면에서 표시되는 화면의 균일성을 추구할 수 있다. 즉, 표면에서 깊숙히 위치하는 투명 디스플레이에서 생성된 광은 상대적으로 많은 투명 디스플레이들을 관통하여야 하며, 각각의 투명 디스플레이에서 흡수되므로, 상기 제어부(도시안됨)는 표면에서 깊숙히 위치하는 투명 디스플레이의 광량을 크게 제어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control unit (not shown), among the plurality of transparent displays (d1, d2, d3, ..., dn), when controlling to be displayed with a smaller amount of light closer to the surface, uniformity of the screen displayed from the front You can pursue sex. That is, the light generated by the transparent display located deeply from the surface must penetrate relatively many transparent displays and is absorbed by each transparent display, so the control unit (not shown) increases the amount of light of the transparent display located deeply from the surface. Can be controlled.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들(d1, d2, d3, ..., dn)의 맨 후단에 부착된 불투명 디스플레이(도시안됨)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같이, 맨 후단에 불투명 디스플레이를 부착시키는 경우, 이미지가 관통되어 후면이 보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Meanwhile, the display unit 110 may further include an opaque display (not shown) attached to the rear end of the transparent displays d1, d2, d3, ..., dn. In this way, when an opaque display is attached to the rear end,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henomenon in which the image is penetrated and the rear surface is visible.

본 예에서는 구형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실제의 경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얼굴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In this example, a case of displaying a spherical image has been described, but in actual case, a face photographed by a camera is displayed.

도 5는 도 2의 디스플레이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투명 디스플레이의 일 예를 도시한 회로도이다.5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each transparent display constituting the display unit of FIG. 2.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d1, d2, d3, ..., dn) 각각은 게이트 배선(GL1, GL2,...), 데이터 배선(DL1, DL2,...), 화소, 게이트 구동회로(10) 및 데이터 구동회로(20)를 포함한다.2 and 5, each of the transparent displays d1, d2, d3, ..., dn is a gate wiring GL1, GL2,..., and a data wiring DL1, DL2,... , A pixel, a gate driving circuit 10 and a data driving circuit 20.

상기 다수의 게이트 배선(GL1, GL2,...)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된다. 예컨대, 상기 다수의 게이트 배선(GL1, GL2,...)은 x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gate wires GL1, GL2,... extend in a first direction.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gate wires GL1, GL2,... may extend in the x-axis direction.

상기 데이터 배선(DL1, DL2,...)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된다. 예컨대, 상기 데이터 배선(DL1, DL2,...)은 y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구동회로(10)는 상기 다수의 게이트 배선(GL1, GL2,...)을 구동하고, 상기 데이터 구동회로(20)는 상기 다수의 데이터 배선(DL1, DL2,...)을 구동한다.The data lines DL1, DL2,... extend in a second direction, which is a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For example, the data lines DL1, DL2,... may extend in the y-axis direction. The gate driving circuit 10 drives the plurality of gate wires GL1, GL2,..., and the data driving circuit 20 drives the plurality of data wires DL1, DL2,... do.

상기 화소는 상기 게이트 배선(GL1, GL2,...) 및 상기 데이터 배선(DL1, DL2,...)으로 정의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화소는, 상기 게이트 배선(GL1, GL2,...)들 중에서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게이트 배선과 상기 데이터 배선(DL1, DL2,...)들 중에서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데이터 배선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상기 화소들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The pixel is defined by the gate lines GL1, GL2,... and the data lines DL1, DL2,.... In more detail, the pixel includes two gate wires adjacent to each other among the gate wires GL1, GL2,... and two data wires adjacent to each other among the data wires DL1, DL2,... Is defined as Accordingly, the pixels may be arranged in a matrix shape.

예컨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d1, d2, d3, ..., dn) 각각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로 구성되는 경우, 각각의 화소에는 스위칭소자(SW)와 발광다이오드(LED)가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each of the transparent displays d1, d2, d3, ..., dn is composed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 a switching element (SW) and a light emitting diode (LED) are formed in each pixel. I can.

예컨대, 게이트 구동회로(10)를 통해서, 첫번째 게이트 배선(GL1)에 고전압이 인가되면, 첫번째 게이트 배선(GL1)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들(SW)이 활성화되며, 이때, 데이터 구동회로(10)는, 데이터 배선들(DL1, DL2, ...)에 인가되는 전압을 통해서 발광다이오드(LED)에서 생성되는 광량을 제어한다.For example, when a high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gate line GL1 through the gate driving circuit 10, the switching elements SW connected to the first gate line GL1 are activated. At this time, the data driving circuit 10 , Controls the amount of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emitting diode (LED) through the voltage applied to the data lines (DL1, DL2, ...).

이와 같이, 상기 게이트 구동회로(10)가 첫번째 게이트 배선(GL1)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들(SW)을 활성화시킨 이후, 두번째 게이트 배선(GL2)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들(SW)을 활성시키고, 데이터 구동회로(10)는, 데이터 배선들(DL1, DL2, ...)에 인가되는 전압을 통해서 발광다이오드(LED)에서 생성되는 광량을 제어한다.In this way, after the gate driving circuit 10 activates the switching elements SW connected to the first gate line GL1, the switching elements SW connected to the second gate line GL2 are activated, and a data driving cycle The furnace 10 controls the amount of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emitting diode (LED) through a voltage applied to the data lines DL1, DL2, ....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메트릭스 형상의 화소의 광량을 조절하여 전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Through this process, the entire image is displayed by adjusting the amount of light of the matrix-shaped pixel.

도 6은 도 1에서 도시된 멀티 레이어 디스플레이 기반 아바타 시스템의 블럭도이다.FIG. 6 is a block diagram of an avatar system based on a multi-layer display shown in FIG. 1.

도 6을 참조하면, 멀티 레이어 디스플레이 기반 아바타 시스템의 제어부(200)는 송수신부(210), 디스플레이부(110), 카메라(121), 마이크(123), 스피커(122), 빔프로젝터(124) 및 이송바퀴(125)와 연결되어 각각을 제어한다.Referring to FIG. 6, the control unit 200 of the multi-layer display-based avatar system includes a transmission/reception unit 210, a display unit 110, a camera 121, a microphone 123, a speaker 122, and a beam projector 124. And it is connected to the transfer wheel 125 to control each.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200)는, 카메라(121) 및 마이크(123)를 통해서 수신한 화상 및 음성 데이터를 상기 송수신부(210)를 통해서 다른 멀티 레이어 디스플레이 기반 아바타 시스템의 송수신부(210)로 전송하고, 다른 멀티 레이어 디스플레이 기반 아바타 시스템의 송수신부(210)를 통해서 전송된 화상 및 음성 데이터를 상기 송수신부(210)를 통해서 수신하고, 화상 데이터는 제어부에서 가공한 후,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서 디스플레이하고, 음성 데이터는 상기 스피커(122)를 통해서 재생한다. 이러한 화상 데이터의 가공은 도 7을 통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200 transmits/receives image and audio data received through the camera 121 and the microphone 123 through the transceiving unit 210 to the transceiving unit 210 of another multi-layer display-based avatar system. ), the image and audio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mission/reception unit 210 of another multi-layer display-based avatar system are received through the transmission/reception unit 210, and the image data is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and the display unit It is displayed through 110, and voice data is reproduced through the speaker 122. Processing of such image data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FIG. 7.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는 멀티 레이어 디스플레이 기반 아바타 시스템에 부착된 카메라(121) 및 마이크(123)가 아니라, 다른 카메라 및 마이크를 통해서 획득된 데이터들 일수도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image data and voice data may be data acquired through other cameras and microphones, not the camera 121 and microphone 123 attached to the multi-layer display-based avatar system.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파워포인트 등과 같은 자료를 프로젝션하여 보여줄 필요가 있는 경우, 이송바퀴(125)를 통해서 스크린을 향해 방향을 전환한 후, 빔프로젝터(124)를 통해서 프로젝션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it is necessary to project and display data such as a power point, the control unit 200 changes the direction toward the screen through the transfer wheel 125, and then controls to perform the projection through the beam projector 124. can do.

도 7은 도 6에서 도시된 제어부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평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하기위한 다층으로 슬라이스된 이미지를 분할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dividing a sliced image into multiple layers for displaying a flat image captured by a camera on the display unit by the controller illustrated in FIG. 6.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200)는, 먼저 카메라(121)에 의해 촬영되어 수신된 평면 이미지의 특징점들을 추출한다(단계 S110). 예컨대, 본 발명에 의한 멀티레이어 기반 입체화상 형성장치가 원격 회의를 위한 아바타 장치등에 사용되는 경우, 멀티레이어 기반 입체화상 형성장치는 회의 참석자들의 얼굴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외부에서 수신된 평면 이미지가 얼굴인 경우, 원형의 검은 색상 외측에 흰색의 일부가 타원형상으로 배치되고,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유사한 형상이 존재하는 경우, 이를 특징점으로 파악하여 눈으로 인식할 수 있다. 6 and 7, the control unit 200 first extracts feature points of a plan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121 and received (step S110). For example, when the multi-layer-based stereoscopic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an avatar device for a remote conference, the multi-layer-based stereoscopic image forming apparatus may display face images of conference participants. When the flat image is a face, a part of white is arranged in an oval shape outside the circular black color, and when a similar shape exists at a location spaced apart by a certain distance, it can be recognized as a feature point and recognized as an eye.

이후, 상기 특징점들의 위치관계를 연산한다(단계 S120). 예컨대, 추출된 특징점들, 즉, 눈에 대응하는 특징점을 추출하고, 이들의 위치관계를 연산하여 코,입등을 파악한다. 즉, 두 눈 사이의 중앙에서 하부로 길게 연장된 부분을 코로 인식하고, 코의 하부에 위치하는 특징을 입으로 인식한다.Thereafter,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feature points is calculated (step S120). For example, extracted feature points, that is, feature points corresponding to the eyes, are extracted, and their positional relationship is calculated to grasp nose, mouth, and the like. That is, a part extending from the center between the two eyes to the bottom is recognized as a nose, and a feature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nose is recognized as a mouth.

이와 같이, 평면 이미지들에서 눈, 코, 입, 귀 등 각부분의 특징점들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특정한 후, 경계부를 파악한다(단계 S130). 특징점들의 이웃을 확장시켜가면서, 급격한 변화가 발생된 지점을 경계부로 확정한다.In this way, after specifying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feature points of each part, such as eyes, nose, mouth, and ears, from the planar images, the boundary is identified (step S130). As the neighbors of the feature points are expanded, the point where the sudden change occurs is determined as the boundary.

이후, 파악된 경계부들에 따라서, 이미지를 슬라이스한다(단계 S140). 이때, 보다 입체감을 부여하기 위해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경계부 내의 동일한 영역에 대해서, 다층으로 분할할 수 있다. 즉, 동일하게 얼굴의 면의 경우에도, 코 위치보다 얼굴 외곽의 경계부분으로 갈수록 후퇴하도록 슬라이스할 수 있다.Thereafter, the image is sliced according to the identified boundary portions (step S140). At this time, in order to give a more three-dimensional effect, the control unit 200 may divide the same area within the boundary into multiple layers. That is, even in the case of the face of the face, it can be sliced to retreat toward the boundary of the outer face rather than the position of the nose.

이후, 상기 제어부(200)는 슬라이스된 이미지들을 대응하는 각각의 이미지들을 송수신부(210)를 통해서 다른 멀티 레이어 디스플레이 기반 아바타 시스템에 전송하고,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얼굴의 입체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촬영된 이미지를 전송하기 전에 슬라이싱하여 다른 멀티 레이어 디스플레이 기반 아바타 시스템에 전송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촬영된 평면 이미지를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멀티 레이어 디스플레이 기반 아바타 시스템에서 슬라이싱한 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음은 당업자에 자명한 사항이다.Thereafter, the control unit 200 may transmit respective images corresponding to the sliced images to another multi-layer display-based avatar system through the transmission/reception unit 210 and display a three-dimensional image of the face through the transparent display. . Meanwhile, in this embodiment, the photographed image is sliced before being transmitted and transmitted to another multi-layer display-based avatar system. However, differently, after transmitting the photographed flat image and slicing it in the received multi-layer display-based avatar system, ,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it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멀티 레이어 디스플레이 기반 아바타 시스템은, 회의의 참석자들의 얼굴을 입체적으로 표현하도록 구현하여, 각 당사자들이 회의에 참석한 느낌을 갖도록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vatar system based on a multi-layer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to express the faces of participants in a meeting in three dimensions, so that each party can have a feeling of attending the meeting.

한편, 앞서 설명된 멀티 레이어 디스플레이 기반 아바타 시스템은 원격화상회의에 적용된 예를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되어질 수 있다. 예컨대, 멀티 레이어 디스플레이 기반 아바타 시스템은 인공지능 비서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즉, 현재 가정에서 사용되는 인공지능 시스템은 인간과 전혀 다른 형상을 채용하여 적용되고 있으나, 인간의 얼굴을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다수의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보다 인간에 가까운 형상 및 표정 등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보다 친밀한 인공지능 비서 등을 구현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above-described multi-layer display-based avatar system has been described in an example applied to a teleconference, but may be applied in various fields differently. For example, a multi-layer display-based avatar system can be applied to an artificial intelligence assistant. In other words,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s currently used in homes are applied by adopting a shape completely different from that of humans, but by using a number of transparent displays that display human faces three-dimensionally, they display more human-like shapes and facial expressions. You can also implement an intimate AI assistant.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or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hav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And it will be appreciate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a range no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field.

100: 멀티 레이어 디스플레이 기반 아바타 시스템
110: 디스플레이부 120: 몸체부
121: 카메라 122: 스피커
123: 마이크 124: 빔프로젝터
125: 이송바퀴
10: 게이트 구동회로 20: 데이터 구동회로
200: 제어부 210: 송수신부
DL1, DL2: 데이터 라인 GL1, GL2: 게이트 라인
SW: 스위칭 소자
100: Avatar system based on multi-layer display
110: display unit 120: body
121: camera 122: speaker
123: microphone 124: beam projector
125: transfer wheel
10: gate driving circuit 20: data driving circuit
200: control unit 210: transmission/reception unit
DL1, DL2: data line GL1, GL2: gate line
SW: switching element

Claims (5)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 및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부착되고, 각각이,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게이트 배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데이터 배선, 상기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으로 정의되는 화소, 상기 다수의 게이트 배선을 구동하는 게이트 구동회로 및 상기 다수의 데이터 배선을 구동하는 데이터 구동회로를 포함하는 다수의 투명 디스플레이가 서로 접하도록 겹쳐진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카메라, 상기 스피커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투명 디스플레이 중에서, 표면에서 가까울수록 적은 광량으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레이어 디스플레이 기반 아바타 시스템.
A body portion including a camera for photographing an image and a speaker for outputting sound;
Defined as a plurality of gate wires attached to the upper part of the body, each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a plurality of data wires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the gate wire and the data wire A display unit in which a plurality of transparent displays including a pixel to be formed, a gate driving circuit for driving the plurality of gate lines, and a data driving circuit for driving the plurality of data lines are overlapped to each other;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camera, the speaker, and the display unit;
Including,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isplay of the plurality of transparent displays in a smaller amount of light as they are closer to the surface.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평면 이미지의 특징점들을 추출하고,
상기 특징점들의 위치관계를 연산하고,
평면 이미지들의 특징점들에 대응하는 경계부를 파악하고,
파악된 경계부들에 따라서, 이미지를 슬라이스하고,
슬라이스된 이미지들을 대응하는 각각의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등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레이어 디스플레이 기반 아바타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Extracting feature points of a flat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Calculate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feature points,
Grasp the boundary corresponding to the feature points of flat images,
Slice the image according to the identified boundaries,
A multi-layer display-based avatar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ced images are transmitted to each of the corresponding transparent displays.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계부 내의 동일한 영역에 대해서, 다층으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레이어 디스플레이 기반 아바타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rol unit,
A multi-layer display-based avatar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ame area within the boundary is divided into multiple layer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대방의 음성을 수신하기 위한 마이크;
자료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빔프로젝터;
이동을 위한 이송바퀴; 및
외부 통신망과의 접속을 위한 송수신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레이어 디스플레이 기반 아바타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body part,
A microphone for receiving the voice of the other party;
A beam projector for displaying materials;
Transfer wheel for movement;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for connection with an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A multi-layer display based avatar system,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of.

KR1020170183896A 2017-12-29 2017-12-29 Avatar system based on multi layered display KR1021777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896A KR102177777B1 (en) 2017-12-29 2017-12-29 Avatar system based on multi layered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896A KR102177777B1 (en) 2017-12-29 2017-12-29 Avatar system based on multi layered displa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393A KR20190081393A (en) 2019-07-09
KR102177777B1 true KR102177777B1 (en) 2020-11-11

Family

ID=67261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3896A KR102177777B1 (en) 2017-12-29 2017-12-29 Avatar system based on multi layered displ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7777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06023A (en) * 2010-11-12 2014-03-06 クロスウイング・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Customizable robo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273B1 (en) * 2005-07-07 2013-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Volumetric 3D display system using a plurality of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panels
US9060095B2 (en) 2012-03-14 2015-06-16 Google Inc. Modifying an appearance of a participant during a video conference
KR20170030463A (en) 2014-01-10 2017-03-17 리볼브 로보틱스 인코포레이티드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robotic stands during videoconference operation
KR101771400B1 (en) 2017-03-24 2017-08-25 알서포트 주식회사 Remote meeting method using meeting room objec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06023A (en) * 2010-11-12 2014-03-06 クロスウイング・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Customizable robo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393A (en) 2019-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50210B2 (en) Three-dimensional telepresence system
US20160269685A1 (en) Video interaction between physical locations
US8259155B2 (en) Providing perspective-dependent views to video conference participants
WO201709454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method for controlling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setting parameter
US11184362B1 (en) Securing private audio in a virtual conference, and applications thereof
WO2009120814A3 (en) Virtual round-table videoconference
US20090146915A1 (en) Multiple view display device
TWI692976B (en) Video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connecting video communivation to other device
US2022040790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al-time Data Communication in Full-Presence Immersive Platforms
TW201943259A (en) Window system based on video communication
US20230353710A1 (en) Providing awareness of who can hear audio in a virtual conference, and applications thereof
TWI698128B (en) Video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connecting video communivation to other device
US10972699B2 (en) Video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video communication
JP2002300602A (en) Window-type image pickup/display device and two-way commun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2177777B1 (en) Avatar system based on multi layered display
US11928774B2 (en) Multi-screen presentation in a virtual videoconferencing environment
TWI700933B (en) Video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connecting video communivation to other device
JP2016072844A (en) Video system
US20240007593A1 (en) Session transfer in a virtual videoconferencing environment
US11652653B1 (en) Conferencing between remote participants
US20240031531A1 (en) Two-dimensional view of a presentation in a three-dimensional videoconferencing environment
Lertrusdachakul Image layout and camera-human positioning scheme for communicative collaboration
EP4309361A1 (en) Securing private audio in a virtual conference, and applications thereof
WO2024020452A1 (en) Multi-screen presentation in a virtual videoconferencing environment
JP2015186177A (en) Video distribution system and video distribu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