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7172B1 - Wraparound box - Google Patents

Wraparound box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7172B1
KR102177172B1 KR1020190025356A KR20190025356A KR102177172B1 KR 102177172 B1 KR102177172 B1 KR 102177172B1 KR 1020190025356 A KR1020190025356 A KR 1020190025356A KR 20190025356 A KR20190025356 A KR 20190025356A KR 102177172 B1 KR102177172 B1 KR 102177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late
wrap
plate
around box
perfo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53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06753A (en
Inventor
박동휘
남윤승
김영준
조경식
박광수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5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7172B1/en
Publication of KR20200106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675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7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71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B65D5/46072Handles integral with the container
    • B65D5/4608Handgrip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 B65D5/6626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extensions of a side panel of a container body formed by erecting a "cross-like" blank
    • B65D5/665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extensions of a side panel of a container body formed by erecting a "cross-like" blank the lid being held in closed position by self-locking integral flaps or tabs
    • B65D5/6661Flaps provided over the total length of the lid edge opposite to the hi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랩어라운드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내구성을 유지하면서 적은 힘으로도 쉽게 개봉 및 처리가 가능한 랩어라운드 박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rap-around box, and more particularly, to a wrap-around box that can be easily opened and processed with little force while maintaining the existing durability.

Description

랩어라운드 박스{WRAPAROUND BOX}Wrap Around Box {WRAPAROUND BOX}

본 발명은 랩어라운드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내구성을 유지하면서 적은 힘으로도 쉽게 개봉 및 처리가 가능한 랩어라운드 박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rap-around box, and more particularly, to a wrap-around box that can be easily opened and processed with little force while maintaining the existing durability.

기존의 OPP 테이프를 사용하여 상하를 테이핑하는 A-1형 박스의 경우, 중앙부에 접착된 테이프를 제거하면 쉽게 오픈된다. 예컨대, 도 1 과 도 2 는 이러한 A-1형 박스의 오픈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In the case of an A-1 type box that taps the top and bottom using an existing OPP tape, it is easily opened by removing the tape attached to the center. For example, FIGS. 1 and 2 show the open form of such an A-1 type box.

도 3 은 랩어라운드 박스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 과 같은 랩어라운드 박스의 경우, 전후상하를 두르는 면(A)과, 좌우 양측을 커버하는 면(B), 및 상면과 전면 사이를 연결하는 부착부(C)를 포함한다. 이러한 랩어라운드 박스는 자동화된 기계가 제품을 감싸는 방식을 취하고 있어서 자동화 공정에서 A-1형 박스에 비해 더 널리 사용되고 있다. 3 shows an example of a wrap-around box. In the case of the wrap-around box as shown in FIG. 3, it includes a surface (A) covering the front and rear, upper and lower sides, a surface (B) covering both left and right sides, and an attachment portion (C) connecting the upper surface and the front surface. These wrap-around boxes are used more widely than A-1 type boxes in an automated process because an automated machine wraps the product.

이러한 랩어라운드 박스의 경우에는 A-1형 박스와 달리 오픈 절개면이 별도로 구비되지 않는다. 또한, 테이핑에 의해 각 면이 결합되지 않고, 핫멜트와 같은 접착제로 접착이 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랩어라운드 박스의 경우에는 박스를 개봉하여 제품을 꺼낼 때 잡을 곳이나 뜯을 곳이 마련되지 아니하며 칼을 사용하여 박스를 개봉하기에도 어려워서 개봉 시 불편을 겪는 경우가 많다. In the case of such a wrap-around box, unlike the A-1 type box, an open cut surface is not separately provided. In addition, each side is not bonded by taping, and is bonded with an adhesive such as hot melt. Therefore, in the case of such a wrap-around box, there is no place to hold or open the box when the product is taken out by opening the box, and it is difficult to open the box using a knife, so there are many cases of inconvenience when opening the box.

특히, 핫멜트와 같은 접착제는 기존의 테이프에 비해 강한 접착력을 가져서, 특히 여성, 어린이와 같이 완력이 약한 사용자의 경우 박스 개봉이 어려우며 박스 개봉 과정에서 부상을 당하기도 하였다.In particular, adhesives such as hot melt have stronger adhesive strength than conventional tapes, and especially users with weak strength, such as women and children, have difficulty opening the box and injure themselves in the process of opening the box.

특히, 자립제품(캔, 유리병 등)에 사용되는 박스가 아니라 비자립제품(연포장류 등)에 사용되는 랩어라운드 박스의 경우, 박스 내부의 제품이 박스의 외형을 지지해주지 않으므로, 박스를 결합시키는 접착제의 접착강도가 매우 커야 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접착강도가 큰 접착제를 이용한 랩어라운드 박스의 경우, 개봉에 큰 힘이 필요하여 사용자가 불편을 겪을 수 있다. 그러나, 이를 감안하여 접착강도를 작게 할 경우, 비자립제품이 박스의 내부에서 박스를 지지하지 못하므로, 제품 유통 과정에서 박스가 파손되어 제품의 유통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wrap-around boxes used for non-standing products (flexible packaging, etc.), not boxes used for self-supporting products (cans, glass bottles, etc.), the product inside the box does not support the outer shape of the box, so the box is combined. In many cases,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adhesive to be used must be very large. In the case of a wrap-around box using an adhesive having a high adhesive strength as described above, a large force is required for opening, which may cause inconvenience to the user. However, if the adhesive strength is reduced in consideration of this, since the non-self-made product cannot support the box inside the box, the box may be damaged during product distribution, thereby deteriorating the distribution stability of the product.

따라서, 박스의 내구성을 유지하면서도 적은 힘으로도 쉽게 개봉이 가능한 랩어라운드 박스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wrap-around box that can be easily opened with little force while maintaining the durability of the box.

일본공개특허 제2017-57002호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17-57002

본 발명의 과제는, 기존의 내구성을 유지하면서 적은 힘으로도 쉽게 개봉 및 처리가 가능한 랩어라운드 박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rap-around box that can be easily opened and processed with little force while maintaining the existing durabilit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랩어라운드 박스는, 상기 랩어라운드 박스가 조립되었을 때, 상기 랩어라운드 박스의 좌측의 바깥면을 구성하는 제1-1 측판; 상기 랩어라운드 박스의 우측의 바깥면을 구성하는 제1-2 측판; 상기 제1-1 측판의 안쪽면에 접착되는 제2-1 측판; 및 상기 제1-2 측판의 안쪽면에 접착되는 제2-2 측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1 측판은, 상기 제1-1 측판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타공부, 및, 상기 제1-1 측판을 전후 방향으로 가로지르게 형성된 제1 접힘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2 측판은, 상기 제1-2 측판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 타공부, 및, 상기 제1-2 측판을 전후 방향으로 가로지르게 형성된 제2 접힘선부를 포함한다.Wrap-around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wrap-around box is assembled, the 1-1 side plate constitu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left side of the wrap-around box; A 1-2 side plate constitu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right side of the wrap-around box; A 2-1 side plate adher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1-1 side plate; And a 2-2 side plate adher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1-2 side plate, wherein the 1-1 side plate includes a first perforated portion penetrating the 1-1 side plate in a thickness direction, and And a first fold line portion formed to cross the first-first side plate in a front-rear direction, wherein the first-second side plate includes a second perforated portion penetrating the first-second side plate in a thickness direction, and the first 1-2 includes a second fold line formed to cross the side plate in the front-rear direction.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접힘선부는, 상기 랩어라운드 박스가 조립되었을 때 상기 제1 타공부의 하단보다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접힘선부는 상기 랩어라운드 박스가 조립되었을 때 상기 제2 타공부의 하단보다 상부에 위치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fold line part is located above the lower end of the first perforated part when the wrap-around box is assembled, and the second fold line part is the second fold line part when the wrap-around box is assembled. 2 It is located above the bottom of the perforated part.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1 측판은, 상기 랩어라운드 박스가 조립되었을 때 하단 외주연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타공부 아래에 위치하는 제1 그립부를 가지며, 상기 제1-2 측판은, 상기 랩어라운드 박스가 조립되었을 때 하단 외주연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 타공부 아래에 위치하는 제2 그립부를 가진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1-1 side plate has a first grip part formed on the lower outer periphery when the wrap-around box is assembled and located under the first perforated part, and the 1-2 side plate , When the wrap-around box is assembled, it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lower end and has a second grip part located under the second perforated part.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타공부와 상기 제1 그립부 사이에, 상기 제1-1 측판과 상기 제2-1 측판이 서로 부착되지 않는 미부착 영역이 마련되며, 상기 제2 타공부와 상기 제2 그립부 사이에, 상기 제1-2 측판과 상기 제2-1 측판이 서로 부착되지 않는 미부착 영역이 마련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n unattached region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perforated portion and the first grip portion to which the 1-1 side plate and the 2-1 side plate are not attached to each other, and the second perforated portion and the Between the second grip portions, an unattached region is provided in which the 1-2-1 side plate and the 2-1 side plate are not attached to each other.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1 측판은, 상기 제2-1 측판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3 타공부를 갖고, 상기 제2-2 측판은, 상기 제2-2 측판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4 타공부를 갖는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2-1 side plate has a third perforated part penetrating the 2-1 side plate in a thickness direction, and the 2-2 side plate includes the 2-2 side plate in the thickness direction It has a fourth perforated portion passing through.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1 측판은, 상기 랩어라운드 박스가 조립되었을 때 상단 외주연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3 타공부 위에 위치하는 제3 그립부를 가지며, 상기 제2-2 측판은, 상기 랩어라운드 박스가 조립되었을 때 상단 외주연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4 타공부 위에 위치하는 제4 그립부를 갖는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2-1 side plate has a third grip part formed on the upper outer periphery when the wrap-around box is assembled and positioned above the third perforated part, and the 2-2 side plate, When the wrap-around box is assembled, it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upper end and has a fourth grip part positioned on the fourth perforated part.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랩어라운드 박스는, 랩어라운드 박스가 조립되었을 때 상면을 구성하는 상면판; 상기 상면판과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는 후면판; 상기 후면판과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저면판; 상기 저면판과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면판; 및 상기 상면판과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전면판에 부착 가능한 부착판; 을 포함하며, 상기 제1-1 측판과 상기 제1-2 측판은, 상기 상면판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여 각각 상기 상면판과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2-1 측판과 상기 제2-2 측판은, 상기 저면판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여 각각 상기 저면판과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wrap-around box includes: a top plate constituting an upper surface when the wrap-around box is assembled; A rear plate foldably connected to the top plate; A bottom plate foldably connected to the rear plate; A front plate foldably connected to the bottom plate; And an attachment plate foldably connected to the upper plate and attachable to the front plate. Including, wherein the 1-1 side plate and the 1-2 side plate is locat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op plate and is connected to be folded to each of the top plate, the 2-1 side plate and the second- 2 The side plates are locat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ttom plate and are connected to the bottom plate so as to be foldable, respectively.

본 발명에 따른 랩어라운드 박스는, 개봉 편의 구조를 가져서 적은 힘으로도 쉽게 개봉 및 처리가 가능하다. 아울러, 기존의 내구성은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가 개선되면서 동시에 유통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The wrap-around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that is convenient for opening and can be easily opened and processed with little force. In addition, the existing durability can be maintained as it is. Accordingly, user convenience can be improved and distribution safety can be secured at the same time.

도 1 과 도 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A-1형 박스의 오픈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 은 랩어라운드 박스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랩어라운드 박스를 펼친 전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랩어라운드 박스를 펼친 전개도이다.
도 6 은 도 4 에 도시된 랩어라운드 박스의 제1-1 측판의 형상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랩어라운드 박스가 조립되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랩어라운드 박스의 좌측면을 나타낸 것으로서, 제3-1 측판과 제4-1 측판을 내측으로 절첩하여 랩어라운드 박스의 제1 내면부를 구성한 후, 제1 내면부의 바깥면에 제2-1 측판을 부착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9 는 도 8 의 제2-1 측판 상에 제1-1 측판을 부착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 및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랩어라운드 박스의 좌측면의 개봉 형태를 순서대로 나타낸 것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랩어라운드 박스의 좌측면과 우측면을 개봉한 후, 랩어라운드 박스를 눌러 처리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1 and 2 show the open form of the A-1 type box according to the prior art.
3 shows an example of a wrap-around box.
4 is an unfolded exploded view of a wrap-around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unfolded exploded view of a wrap-around box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n enlarged shape of the 1-1 side plate of the wrap-around box shown in FIG. 4.
7 is a view showing a form in which the wrap-around box is assemb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the left side of the wrap-around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3-1 side plate and the 4-1 side plate are folded inward to form a first inner surface of the wrap-around box, a first It shows a state in which the 2-1 side plate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9 shows a state in which the 1-1 side plate is attached on the 2-1 side plate of FIG. 8.
10 and 11 are sequentially showing the open form of the left side of the wrap-around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processing by pressing the wrap-around box after openi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rap-around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랩어라운드 박스(1)를 펼친 전개도이다. 아울러,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랩어라운드 박스(2)를 펼친 전개도이다. 또한, 도 6 은 도 4 에 도시된 랩어라운드 박스(1)의 제1-1 측판(110)의 형상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4 is an exploded view of the wrap-around box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Figure 5 is an expanded view of the wrap-around box (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FIG. 6 is a view showing an enlarged shape of the 1-1 side plate 110 of the wrap-around box 1 shown in FIG. 4.

도 4 내지 도 6 과 관련된 이하의 설명에서,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이라 함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랩어라운드 박스(1)가 펼쳐진 상태에서의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을 의미하며, 이는 도 4 에 표시된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related to FIGS. 4 to 6,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refer to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in the unfolded state of the wrap-around box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shown in FIG. 4.

아울러, 이하의 설명에서, 바깥면이라 함은 랩어라운드 박스(1)가 조립되었을 때 박스의 외면을 구성하여 외부에서 보이는 면을 의미하며, 안쪽면이라 함은 랩어라운드 박스(1)가 조립되었을 때 박스의 내면을 구성하는 면을 의미한다.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outer surface refers to a surface that is visible from the outside by configuring the outer surface of the box when the wrap-around box 1 is assembled, and the inner surface refers to the surface in which the wrap-around box 1 has been assembled. When it refers to the surface that constitutes the inner surface of the box.

상면판(10)은 랩어라운드 박스(1)가 펼쳐진 상태일 때 랩어라운드 박스(1)의 후측에 배치된다. 상면판(10)은 소정의 면적을 갖는 사각형 형태일 수 있다.The top plate 10 is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wrap-around box 1 when the wrap-around box 1 is unfolded. The top plate 10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후면판(12)은 랩어라운드 박스(1)가 펼쳐진 상태일 때 상기 상면판(10)의 전측에 위치하며, 상면판(10)에 대해서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다. 후면판(12)은 소정의 면적을 갖는 사각형 형태일 수 있다.The rear plate 12 is positioned on the front side of the top plate 10 when the wrap-around box 1 is unfolded, and is connected to the top plate 10 to be foldable. The rear plate 12 may have a squar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저면판(14)은 랩어라운드 박스(1)가 펼쳐진 상태일 때 상기 후면판(12)의 전측에 위치하며, 후면판(12)에 대해서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다. 저면판(14)은 소정의 면적을 갖는 사각형 형태일 수 있다.The bottom plate 14 is positioned on the front side of the rear plate 12 when the wrap-around box 1 is unfolded, and is connected to the rear plate 12 to be foldable. The bottom plate 14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전면판(16)은 랩어라운드 박스(1)가 펼쳐진 상태일 때 상기 저면판(14)의 전측에 위치하며, 저면판(14)에 대해서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다. 전면판(16)은 소정의 면적을 갖는 사각형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전면판(16)의 전측에는 후술하는 전면 접힘 가공부(22)가 구비될 수 있다.The front plate 16 is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bottom plate 14 when the wrap-around box 1 is unfolded, and is connected to the bottom plate 14 to be foldable. The front plate 16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In addition, a front folding part 22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front plate 16.

부착판(18)은 랩어라운드 박스(1)가 펼쳐진 상태일 때 상기 상면판(10)의 후측에 위치하며, 상면판(10)에 대해서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다. The attachment plate 18 is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top plate 10 when the wrap-around box 1 is unfolded, and is connected to the top plate 10 to be foldable.

제1-1 측판(110)과 제1-2 측판(120)은 각각 상기 상면판(10)의 좌측, 우측에 위치하며, 상면판(10)에 대해서 절첩 가능하게 구비된다. The 1-1th side plate 110 and the 1-2nd side plate 120 are position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op plate 10, respectively, and are provided to be foldable with respect to the top plate 10.

제1-1 측판(110)과 제1-2 측판(120)은 각각 상기 제1-1 측판(110)과 제1-2 측판(120)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타공부(112), 및 제2 타공부(122)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타공부(112) 및 제2 타공부(122)는, 전후 방향으로 장폭을 갖고, 좌우 방향으로 단폭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 또는 타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단,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타공부(112)의 좌측 외측 부분, 및 제2 타공부(122)의 우측 외측 부분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1 측판(110)과 제1-2 측판(120)의 개봉 시 소정의 핸들(H)로 기능할 수 있다.The 1-1 side plate 110 and the 1-2 side plate 120 are a first perforated part 112 penetrating the 1-1 side plate 110 and the 1-2 side plate 120 in the thickness direction, respectively , And a second perforated portion 122 may be provided. The first perforated portion 112 and the second perforated portion 122 may have a long wid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 short width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or an oval shape.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left outer portion of the first perforated portion 112 and the right outer portion of the second perforated portion 122 are opened of the 1-1 side plate 110 and the 1-2 side plate 120 City can function as a predetermined handle (H).

아울러, 제1-1 측판(110)과 제1-2 측판(120)은, 각각 제1-1 측판(110)과 제1-2 측판(120)을 전후 방향으로 가로지르게 연장되는 제1 접힘선부(114)와 제2 접힘선부(124)를 가질 수 있다. 제1 접힘선부(114)와 제2 접힘선부(124)는, 타 부분에 비해서 쉽게 절첩될 수 있도록 가공된 부분이다. 예컨대, 제1 접힘선부(114)와 제2 접힘선부(124)는, 소정의 오시선, 또는 눌림 가공선 등일 수 있으며, 그 형태는 한정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1-1 side plate 110 and the 1-2 side plate 120, the 1-1 side plate 110 and the 1-2 side plate 120, respectively, the first folded extending transversely in the front-rear direction It may have a line portion 114 and a second fold line portion 124. The first fold line portion 114 and the second fold line portion 124 are processed so that they can be easily folded compared to other portions. For example, the first fold line portion 114 and the second fold line portion 124 may be a predetermined star line or pressed overhead line, and the shape is not limited thereto.

이때, 제1 접힘선부(114)는 상기 제1 타공부(112)의 좌측 단부보다 우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접힘선부(124)는 상기 제2 타공부(122)의 우측 단부보다 좌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힘선부(114)는 제1 타공부(112)의 우측 단부를 지나도록 연장될 수 있고, 제2 접힘선부(124)는 제2 타공부(122)의 좌측 단부를 지나도록 연장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irst fold line portion 114 is located to the right of the left end of the first perforated portion 112, and the second fold line portion 124 is to the left of the right end of the second perforated portion 122 Can be locat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the first fold line part 114 may extend past the right end of the first hole part 112, and the second fold line part 124 is the second hole part 122 ) Can be extended past the left end.

아울러, 상기 제1-1 측판(110)은, 좌측 외주연부에 형성되는 제1 그립부(116)를 가지며, 상기 제1-2 측판(120)은, 우측 외주연부에 형성되는 제2 그립부(126)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그립부(116)와 제2 그립부(126)는 사용자의 손이 닿아서 그립하기에 용이하도록 손 모양에 부합되는 구조를 가지며,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만곡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예로 제1 그립부(116)와 제2 그립부(126)는, 반원형의 함몰부가 복수 개 형성된 요철 구조를 가져서, 각각 손가락을 맞추어 그립하기에 유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제1 그립부(116)와 제2 그립부(126)의 형상은 한정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제1 그립부(116)는 제1 타공부(112)의 좌측에 위치하고, 제2 그립부(126)는 제2 타공부(122)의 우측에 위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1-1 side plate 110 has a first grip part 116 formed on the left outer circumference, and the 1-2 side plate 120 is a second grip part 126 formed on the right outer circumference. ). The first grip part 116 and the second grip part 126 have a structure conforming to the shape of a hand so that it is easy to grip the user's hand, and may be configured with, for example, a curved surface as shown in the drawing. . Alternatively, as another example, the first grip part 116 and the second grip part 126 may have an uneven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semicircular depressions are formed, and thus may have a configuration advantageous for gripping by matching fingers, respectively. That is, the shape of the first grip part 116 and the second grip part 126 is not limited. In this case, the first grip part 116 may be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first perforated part 112, and the second grip part 126 may be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second perforated part 122.

아울러, 상기 제1-1 측판(110)은 좌측 방향 단부 부분에, 전후 방향 폭이 좌측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제1 수렴부(118)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2 측판(120)은 우측 방향 단부 부분에, 전후 방향 폭이 우측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제2 수렴부(128)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제1 수렴부(118)를 구성하는 빗면 부분은 상기 제1 그립부(116)를 중심으로 하여 제1 그립부(116)의 전후 방향 양 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2 수렴부(128)를 구성하는 빗면 부분은 상기 제2 그립부(126)를 중심으로 하여 제2 그립부(126)의 전후 방향 양 측에 위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1-1th side plate 110 may have a first converging portion 118 at an end portion in the left direction, whose front-rear width becomes narrower toward the left. In addition, the 1-2th side plate 120 may have a second converging portion 128 at an end portion in the right direction, and the width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becomes narrower toward the right. In this case, the inclined portions constituting the first converging portion 118 may b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grip portion 116 in the front-rear direction with the first grip portion 116 as the center. In addition, the inclined portions constituting the second converging portion 128 may be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grip portion 126 in the front-rear direction with the second grip portion 126 as the center.

제2-1 측판(130)과 제2-2 측판(140)은 각각 상기 저면판(14)의 좌측, 우측에 위치하며, 저면판(14)에 대해서 절첩 가능하게 구비된다. The 2-1 side plate 130 and the 2-2 side plate 140 are position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ttom plate 14, respectively, and are provided to be foldable with respect to the bottom plate 14.

제2-1 측판(130)과 제2-2 측판(140)은, 각각 상기 제2-1 측판(130)과 제2-2 측판(140)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3 타공부(132), 및 제4 타공부(142)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 타공부(132) 및 제4 타공부(142)는, 전후 방향으로 장폭을 갖고, 좌우 방향으로 단폭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 또는 타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단,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2-1 side plate 130 and the 2-2 side plate 140 have a third perforated portion 132 penetrating the 2-1 side plate 130 and the 2-2 side plate 140 in the thickness direction, respectively. ), and a fourth perforated portion 142. The third perforated portion 132 and the fourth perforated portion 142 may have a long wid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 short width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or an oval shape.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아울러, 상기 제2-1 측판(130)은, 좌측 외주연부에 형성되는 제3 그립부(134)를 가지며, 상기 제2-2 측판(140)은, 우측 외주연부에 형성되는 제4 그립부(144)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 그립부(134)와 제4 그립부(144)는 사용자의 손이 닿아서 그립하기에 용이하도록 손 모양에 부합되는 구조를 가지며,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곡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예로 제3 그립부(134)와 제4 그립부(144)는, 반원형의 함몰부가 복수 개 형성된 요철 구조를 가져서, 각각 손가락을 맞추어 그립하기에 유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제3 그립부(134)와 제4 그립부(144)의 형상은 한정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제3 그립부(134)는 제3 타공부(132)의 좌측에 위치하고, 제4 그립부(144)는 제4 타공부(142)의 우측에 위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2-1 side plate 130 has a third grip part 134 formed on the left outer circumference, and the 2-2 side plate 140 is a fourth grip part 144 formed on the right outer circumference. ). The third grip portion 134 and the fourth grip portion 144 have a structure conforming to the shape of a hand so that the user's hand touches and grips easily, and may be configured as, for example, curved surfaces as shown in the drawings. Alternatively, as another example, the third grip portion 134 and the fourth grip portion 144 may have an uneven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semicircular recessed portions are formed, and thus may have a configuration advantageous for gripping by matching fingers, respectively. That is, the shape of the third grip portion 134 and the fourth grip portion 144 is not limited. In this case, the third grip portion 134 may be positioned on the left side of the third perforated portion 132, and the fourth grip portion 144 may be positioned on the right side of the fourth perforated portion 142.

아울러, 상기 제2-1 측판(130)은 좌측 방향 단부 부분에 전후 방향 폭이 좌측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제3 수렴부(136)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2 측판(140)은 우측 방향 단부 부분에 전후 방향 폭이 우측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제4 수렴부(146)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제3 수렴부(136)를 구성하는 빗면 부분은 상기 제3 그립부(134)를 중심으로 하여 제3 그립부(134)의 전후 방향 양 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4 수렴부(146)를 구성하는 빗면 부분은 상기 제4 그립부(144)를 중심으로 하여 제4 그립부(144)의 전후 방향 양 측에 위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2-1 side plate 130 may have a third converging portion 136 at an end portion in the left direction, whose front-rear width becomes narrower toward the left. In addition, the 2-2 side plate 140 may have a fourth converging portion 146 at an end portion in a right direction, whose front-rear width becomes narrower toward the right. In this case, the inclined portions constituting the third converging portion 136 may be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third grip portion 134 in the front-rear direction with the third grip portion 134 as the center. In addition, the inclined portions constituting the fourth converging portion 146 may b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fourth grip portion 144 in the front-rear direction with the fourth grip portion 144 as the center.

아울러,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제2-1 측판(130)과 제2-2 측판(140)은, 각각 제2-1 측판(130)과 제2-2 측판(140)을 전후 방향으로 가로지르게 연장되는 제3 접힘선부(미도시)와 제4 접힘선부(미도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제3 접힘선부(미도시)는 상기 제3 타공부(132)의 좌측 단부보다 우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4 접힘선부(미도시)는 상기 제4 타공부(142)의 우측 단부보다 좌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제3 접힘선부(미도시)는 제3 타공부(132)의 우측 단부를 지나도록 연장될 수 있고, 제4 접힘선부(미도시)는 제4 타공부(142)의 좌측 단부를 지나도록 연장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2-1 side plate 130 and the 2-2 side plate 140 each have the 2-1 side plate 130 and the 2-2 side plate 140 horizontally It may have a third fold line portion (not shown) and a fourth fold line portion (not shown) that extend slowly. At this time, the third fold line part (not shown)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left end of the third perforated part 132, and the fourth fold line part (not shown) is more than the right end of the fourth hole part 142 It can be located on the left. For example, the third fold line portion (not shown) may extend past the right end of the third perforated portion 132, and the fourth fold line portion (not shown) passes through the left end of the fourth perforated portion 142 Can be extended to

제3-1 측판(150)과 제3-2 측판(160)은 각각 상기 후면판(12)의 좌측, 우측에 위치하며, 후면판(12)에 대해 절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4-1 측판(170)과 제4-2 측판(180)은 각각 상기 전면판(16)의 좌측, 우측에 위치하며, 전면판(16)에 대해 절첩 가능하게 구비된다. The 3-1 side plate 150 and the 3-2 side plate 160 are position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ar plate 12, respectively, and may be provided to be foldable with respect to the rear plate 12. In addition, the 4-1 side plate 170 and the 4-2 side plate 180 are position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ont plate 16, respectively, and are provided to be foldable with respect to the front plate 16.

상기 제3-1 측판(150)과 제3-2 측판(160), 및 제4-1 측판(170)과 제4-2 측판(180)은 각각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3-1 side plate 150 and the 3-2 side plate 160, and the 4-1 side plate 170 and the 4-2 side plate 180 may each have a rectangular shape.

도 5 는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한 랩어라운드 박스(2)의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예컨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타공부(132), 및 제4 타공부(142)는 생략되는 실시 형태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랩어라운드 박스는 다양한 실시 형태를 가질 수 있다.5 is a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wrap-around box 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the third perforated portion 132 and the fourth perforated portion 142 are omitted. An embodiment that becomes possible is also possible. Accordingly, the wrap-around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various embodiments.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랩어라운드 박스(1)가 조립되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 form in which the wrap-around box 1 is assemb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 7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랩어라운드 박스(1)의 조립 형태를 설명한다. 도 7 과 관련된 이하의 설명에서, 좌우 방향,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이라 함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랩어라운드 박스(1)가 조립된 상태에서의 좌우 방향,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을 의미하며, 이는 도 7 에 표시된 좌우 방향,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n assembly form of the wrap-around box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related to FIG. 7,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the up and down directions refer to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the up and down directions when the wrap-around box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This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the up and down directions shown in FIG. 7.

상면판(10), 후면판(12), 저면판(14), 및 전면판(16)은 각각 랩어라운드 박스(1)가 조립되었을 때 랩어라운드 박스(1)의 상면, 후면, 저면, 및 전면을 구성할 수 있다.The top plate 10, the rear plate 12, the bottom plate 14, and the front plate 16 are each of the top, rear, and bottom surfaces of the wrap-around box 1 when the wrap-around box 1 is assembled. You can configure the front.

아울러, 제3-1 측판(150)과 제4-1 측판(170)은 함께 제1 내면부(W1)(랩어라운드 박스(1)의 좌측의 안쪽면부)를 구성하고, 제2-1 측판(130)이 상기 제1 내면부(W1) 바깥면에 부착되며, 이어서, 제1-1 측판(110)이 제2-1 측판(130) 바깥면에 부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3-1 side plate 150 and the 4-1 side plate 170 together constitute a first inner surface portion W1 (the inner surface portion of the left side of the wrap-around box 1), and the 2-1 side plate 130 may be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inner surface portion W1, and then, the 1-1 side plate 110 may be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2-1 side plate 130.

또한, 제3-2 측판(160)과 제4-2 측판(180)은 함께 제2 내면부(W2)(랩어라운드 박스(1)의 우측의 안쪽면부)를 구성하고, 제2-2 측판(160)이 상기 제2 내면부(W2) 바깥면에 부착되며, 이어서 제1-2 측판(120)이 제2-2 측판(160)의 바깥면에 부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3-2 side plate 160 and the 4-2 side plate 180 together constitute a second inner surface portion W2 (the inner surface portion on the right side of the wrap-around box 1), and the 2-2 side plate 160 may be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inner surface portion W2, and then the 1-2th side plate 120 may be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2-2nd side plate 160.

또한, 랩어라운드 박스(1)가 조립되었을 때, 부착판(18)은 전면판(16)의 상부 바깥면을 적어도 일 부분 덮게 되며, 부착판(18)의 안쪽면과 전면판(16)의 바깥면이 서로 부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착판(18)의 상하 방향 폭(랩어라운드 박스(1)가 펼쳐진 상태일 때에는 전후 방향 폭, 도 4 참조)은 전면판(16)의 상하 방향 폭(랩어라운드 박스(1)가 펼쳐진 상태일 때에는 전후 방향 폭, 도 4 참조)보다 작게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wrap-around box 1 is assembled, the attachment plate 18 covers at least a part of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front plate 16,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attachment plate 18 and the front plate 16 The outer surfaces can be attached to each other. Preferably, the vertical width of the attachment plate 18 (the wid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when the wrap-around box 1 is unfolded, see FIG. 4) is the vertical width of the front plate 16 (wrap-around box 1 When) is in an unfolded state, it may be configured to be smaller than the width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see FIG. 4 ).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랩어라운드 박스(1)의 좌측면을 나타낸 것으로서, 제3-1 측판(150)과 제4-1 측판(170)을 내측으로 절첩하여 랩어라운드 박스(1)의 제1 내면부(W1)를 구성한 후, 상기 제1 내면부(W1) 상에 제2-1 측판(130)이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아울러, 도8 의 제2-1 측판(130)의 바깥면 상에 제1-1 측판(110) 이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8 is a view showing the left side of the wrap-around box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olding the 3-1 side plate 150 and the 4-1 side plate 170 inwardly, the wrap-around box ( After configuring the first inner surface portion W1 of 1), the second-first side plate 130 is attached to the first inner surface portion W1. In addition, it shows a state in which the 1-1 side plate 110 is attach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2-1 side plate 130 of FIG. 8.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랩어라운드 박스(1)의 좌측면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left side of the wrap-around box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랩어라운드 박스(1)를 조립할 때, 도 8 과 같이 제3-1 측판(150)과 제4-1 측판(170)을 절첩한다. 이에 따라서, 제3-1 측판(150)과 제4-1 측판(170)은 랩어라운드 박스(1)의 좌측에 위치하는 제1 내면부(W1)를 구성한다. When assembling the wrap-around box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3-1 side plate 150 and the 4-1 side plate 170 are folded as shown in FIG. 8. Accordingly, the 3-1 side plate 150 and the 4-1 side plate 170 constitute a first inner surface portion W1 positioned on the left side of the wrap-around box 1.

상기 제1 내면부(W1) 상에 제2-1 측판(130)을 절첩하여 부착한다. 이때, 제2-1 측판(130)과 제1 내면부(W1)은 소정의 핫멜트 등의 접착제에 의해서 서로 접착될 수 있다. 접착 위치는 다양할 수 있으며, 예컨대 도 8 에 P 로 표시된 영역일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제3 타공부(132)와 제3 그립부(134) 사이에 미부착 영역(Q)이 마련될 수 있다.The 2-1 side plate 130 is folded and attached on the first inner surface W1. At this time, the 2-1 side plate 130 and the first inner surface W1 may be adhered to each other by an adhesive such as a hot melt. The adhesion position may vary, and may be, for example, an area indicated by P in FIG. 8. Accordingly, an unattached area Q may be provided between the third perforated portion 132 and the third grip portion 134.

이어서, 도 9 와 같이, 제2-1 측판(130) 상에 제1-1 측판(110)을 절첩하여 부착한다. 이때, 제1-1 측판(110)과 제2-1 측판(130)은 소정의 핫멜트 등의 접착제에 의해서 서로 접착될 수 있다. 접착 위치는 다양할 수 있으며, 예컨대 도 8 에 P 로 표시된 영역(제1 접착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 영역은 상기 제1 타공부(112)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제1 타공부(112)의 전측과 후측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제1 타공부(112)와 제1 그립부(116) 사이에 미부착 영역(Q)이 마련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 9, the 1-1 side plate 110 is folded and attached on the 2-1 side plate 130. At this time, the 1-1 side plate 110 and the 2-1 side plate 130 may be adhered to each other by an adhesive such as a predetermined hot melt. The adhesion position may vary, and may be, for example, a region indicated by P in FIG. 8 (a first adhesion region). The first adhesive region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first perforated portion 112, respectively, with the first perforated portion 112 as a center. Accordingly, an unattached region Q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perforated portion 112 and the first grip portion 116.

이와 같이 랩어라운드 박스(1)가 조립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 접힘선부(114)는 제1 타공부(112)의 하단보다 위에 위치하게 된다. 예컨대,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힘선부(114)는 제1 타공부(112)의 상단 부분을 가로지르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점힘선부(114)는 상기 제1 접착 영역을 관통하며, 상기 제1 접착 영역을 상하로 양분할 수 있다.In the state in which the wrap-around box 1 is assembled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fold line portion 114 is positioned above the lower end of the first perforated portion 112. For example, as shown in FIG. 9, the first fold line portion 114 may extend to cross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first perforated portion 112. The first point force line portion 114 may pass through the first bonding area and may divide the first bonding area up and down.

또한, 상기 제1 그립부(116)는 제1-1 측판(110)의 하단 외주연부에 형성되며 제1 타공부(112)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first grip portion 116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lower end of the 1-1 side plate 110 and is positioned under the first perforated portion 112.

아울러, 상기 제1 수렴부(118)는 제1-1 측판(110)의 하단 단부 부분에 위치하며, 따라서 제1-1 측판(110)의 하단부는 전후 방향 폭이 하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구성을 갖게 된다.In addition, the first converging portion 118 is located at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1-1 side plate 110, and thus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1-1 side plate 110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width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becomes narrower downward. Will have.

상기 설명은 랩어라운드 박스(1)의 좌측면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동일한 설명이 랩어라운드 박스(1)의 우측면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도 9 를 참조하면, 제2 접착 영역이 마련되며, 상기 제2 접착 영역은 상기 제2 타공부(122)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제2 타공부(122)의 전측과 후측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 점힘선부(124)는 상기 제2 접착 영역을 관통하며, 상기 제2 접착 영역을 상하로 양분할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only the left side of the wrap-around box 1 has been described, but the same description can be applied to the right side of the wrap-around box 1 in the same manner. That is, referring to FIG. 9, a second bonding area is provided, and the second bonding area is provid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second perforated portion 122, respectively. I can. The second point force line part 124 penetrates through the second bonding area and may divide the second bonding area up and down.

이하에서는 도 10 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랩어라운드 박스(1)의 개봉에 대해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ning of the wrap-around box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랩어라운드 박스(1)의 좌측면의 개봉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랩어라운드 박스(1)의 좌측면의 개봉에 대해서 설명하나, 동일한 설명이 랩어라운드 박스(1)의 우측면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10 shows an open form of the left side of the wrap-around box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opening of the left side of the wrap-around box 1 will be described, but the same description may be applied to the right side of the wrap-around box 1 in the same manner.

사용자는 상기 제1-1 측판(110)의 하부 부분을 잡아 올려서 제1-1 측판(110)을 제2-1 측판(130)으로부터 뜯을 수 있다. 이때, 제1 타공부(112)의 하부 부분은 사용자가 그립하기 용이한 소정의 핸들(H)로 기능할 수 있게 된다.The user may lift the lower portion of the 1-1th side plate 110 to remove the 1-1th side plate 110 from the 2-1th side plate 130. At this time,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perforated portion 112 can function as a predetermined handle H that is easy for the user to grip.

이때, 실시 형태에 의하면, 앞서 도 9 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타공부(112)와 제1 그립부(116) 사이에 제1-1 측판(110)과 제2-1 측판(130) 사이가 부착되지 않는 미부착부(Q)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도 10 에 도시된 형태와 같이, 사용자는 제1 타공부(112)의 아래 부분의 미부착 영역(Q)에 손을 투입할 수 있다. 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FIG. 9, the 1-1 side plate 110 and the 2-1 side plate 130 between the first perforated part 112 and the first grip part 116 ) There may be an unattached portion (Q) that does not attach between. Accordingly, as shown in FIG. 10, the user can put his hand into the unattached area Q of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perforated part 112.

또한, 실시 형태에 따라서, 제1 타공부(112)의 상부 부분에는 제1 접힘선부(114)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1 측판(110)의 하부 부분을 사용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쉽게 젖혀서 제2-1 측판(130)으로부터 뜯을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ince the first folding line portion 114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perforated portion 112, the user does not exert a large force on the lower portion of the 1-1 side plate 110 It can be easily flipped and removed from the 2-1 side plate 130.

아울러, 제1-1 측판(110)의 하부 부분에는 제1 그립부(116)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제1-1 측판(110)의 하부 부분을 쉽게 그립할 수 있고 제1-1 측판(110)을 뜯는 과정에서 부상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rst grip part 116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1-1 side plate 110, the user can easily grip the lower part of the 1-1 side plate 110 and the 1-1 side plate ( 110) can prevent injury during the opening process.

한편, 도 10 에서는, 화살표 F1 과 같이 검지, 중지 등의 손가락을 제1-1 측판(110) 하부에 투입시키고, 화살표 F2 와 같이 엄지 손가락을 제1 타공부(112) 내에 투입하며, 화살표 F3 방향으로 뜯는 형태로 도시 되었으나, 제1-1 측판(110)의 개봉 방식은 이에 반드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사용자가 손을 상기 제1 타공부(112) 내에 먼저 투입시키고, 이어서 상기 제1-1 측판(110)의 하부의 미부착 영역(Q) 및 제1 그립부(116)를 통과하도록 한 후, 상기 핸들(H)을 잡고 개봉하는 형태도 가능하며, 다양한 형태의 개봉이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in FIG. 10, fingers such as an index finger and a middle finger, such as an arrow F1, are inserted into the lower part of the 1-1 side plate 110, and a thumb is inserted into the first perforated part 112 as an arrow F2, and an arrow F3 Although shown in the form of opening in the direction, the opening method of the 1-1 side plate 110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fter the user puts his hand into the first perforated part 112 first, and then passes through the unattached area Q and the first grip part 116 under the 1-1 side plate 110, A form of holding and opening the handle H is also possible, and various forms of opening are possible.

도 11 은 도 10 에 도시된 과정에 따라서 제1-1 측판(110)을 개봉한 후, 이어서 제2-1 측판(130)을 제1 내면부(W1)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11 is a view showing that after opening the 1-1 side plate 110 according to the process shown in FIG. 10, the 2-1 side plate 130 is then separated from the first inner surface W1.

제2-1 측판(130)은 제1-1 측판(110)의 개봉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1 내면부(W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2-1 측판(130)에 제3 타공부(132) 및 제3 그립부(134)가 형성되며, 상기 제3 타공부(132) 및 제3 그립부(134)를 이용하여 제2-1 측판(130)을 제1 내면부(W1)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화살표 F4, F5 와 같이 제2-1 측판(130)의 상부분을 그립한 후, 화살표 F6 과 같이 제2-1 측판(130)을 젖혀서 제1 내면부(W1)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방식에 한정하지 아니함은, 앞서 제1-1 측판(110)의 분리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The 2-1 side plate 130 may be separated from the first inner surface portion W1 in the same manner as the opening of the 1-1 side plate 110. 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third perforated portion 132 and the third grip portion 134 are formed on the 2-1 side plate 130, and the third perforated portion 132 and the third grip portion 134 By using the 2-1 side plate 130 may be separated from the first inner surface portion (W1). In other words, after the user grips the upper portion of the 2-1 side plate 130 as shown in arrows F4 and F5, the user can be separated from the first inner surface part W1 by tilting the 2-1 side plate 130 as shown in the arrow F6. I can.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method as described above in the separation of the 1-1 side plate 110.

랩어라운드 박스(1)의 우측면에 위 과정을 동일하게 적용하여, 랩어라운드 박스(1)의 좌측면과 우측면을 각각 개봉할 수 있다. By applying the same procedure to the right side of the wrap-around box 1,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wrap-around box 1 can be opened respectively.

이어서,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P 와 같이 사용자가 랩어라운드 박스(1)를 위에서 누르면, 랩어라운드 박스(1)는 납작하게 눌려서 처리가 간편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즉, 랩어라운드 박스(1)의 좌측면과 우측면의 개봉을 실시한 후에는, 다른 부분(예컨대 전면판(16)과 부착판(18) 사이)의 개봉 없이도 랩어라운드 박스(1)를 쉽게 처리할 수 있게 된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12, when the user presses the wrap-around box 1 from above as shown by the arrow P, the wrap-around box 1 is pressed flat, so that the processing can be made easy. That is, after openi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rap-around box 1, it is possible to easily process the wrap-around box 1 without opening other parts (for example, between the front plate 16 and the attachment plate 18). You will be able to.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랩어라운드 박스(1)의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effect of the wrap-around box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랩어라운드 박스(1)는, 랩어라운드 박스(1)의 좌측 및 우측의 가장 바깥면부를 구성하는 제1-1 측판(110), 및 제1-2 측판(120)에 각각 제1 타공부(112)와 제2 타공부(122)가 마련된다. 따라서, 랩어라운드 박스(1)를 개봉할 때, 상기 제1-1 측판(110) 및 제1-2 측판(120)을 제2-1 측판(130), 및 제2-2 측판(140)으로부터 분리시킬 때 사용자의 그립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wrap-around box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the 1-1 side plate 110 and the 1-2 side plate 120 constituting the outermost surface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rap-around box 1, respectively. A 1 perforated part 112 and a second perforated part 122 are provided. Therefore, when opening the wrap-around box 1, the 1-1 side plate 110 and the 1-2 side plate 120 are replaced with the 2-1 side plate 130, and the 2-2 side plate 140 When separating from the user's grip can be achieved easily.

아울러, 실시 형태에 따라서, 제1-1 측판(110), 및 제1-2 측판(120)에 각각 제1 접힘선부(114), 및 제2 접힘선부(124)가 형성됨으로서, 사용자가 작은 힘으로도 제1-1 측판(110) 및 제1-2 측판(120)을 쉽게 젖혀서 제2-1 측판(130), 및 제2-2 측판(140)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ince the first fold line portion 114 and the second fold line portion 124 are respectively formed on the 1-1 side plate 110 and the 1-2 side plate 120, the user is small With force, the 1-1 side plate 110 and the 1-2 side plate 120 can be easily bent and separated from the 2-1 side plate 130 and the 2-2 side plate 140.

또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1-1 측판(110) 및 제1-2 측판(120)의 외주연부에는 사용자의 손 모양에 부합하는 제1 그립부(116)와 제2 그립부(126)가 마련되어, 개봉 과정에서 사용자의 그립이 보다 편리하게 이루어지며, 의도하지 않은 상처가 발생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 first grip portion 116 and a second grip portion 126 corresponding to the user's hand shape are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ies of the 1-1 side plate 110 and the 1-2 side plate 120 , In the opening process, the user's grip is made more convenient, and unintended wounds can be prevented.

또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1-1 측판(110) 및 제1-2 측판(120)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2-1 측판(130), 및 제2-2 측판(140)에도, 각각 제3 타공부(132), 제4 타공부(142), 및 제3 그립부(134), 제4 그립부(14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아울러, 접힘선부(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2-1 측판(130), 및 제2-2 측판(140) 또한, 작은 힘으로도 쉽게 제1 내면부(W1), 및 제2 내면부(W2)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개봉 과정에서의 상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1-1 side plate 110 and the 2-1 side plate 130 positioned inside the 1-2 side plate 120, and the 2-2 side plate 140, respectively, A third perforated portion 132, a fourth perforated portion 142, and a third grip portion 134, and a fourth grip portion 144 may be formed, and a fold line portion (not shown) may be formed. Accordingly, the 2-1 side plate 130 and the 2-2 side plate 140 can also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first inner surface portion W1 and the second inner surface portion W2 with a small force, and opened The occurrence of wounds in the process can be prevented.

또한, 랩어라운드 박스(1)의 좌우측 바깥면을 구성하는 상기 제1-1 측판(110)과 제1-2 측판(120)은, 각각 상면판(10)에 연결된다. 따라서, 랩어라운드 박스(1)가 조립되었을 때, 제1 그립부(116), 및 제2 그립부(126)가 제1-1 측판(110) 및 제1-2 측판(120)의 하방향 외주연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랩어라운드 박스(1)의 유통 과정에서 제1-1 측판(110)과 제1-2 측판(120)이 의도하지 않게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는 제품의 유통 과정에서 통상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은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가해지기 때문이다. 만일 이와 반대로 제1 그립부(116), 및 제2 그립부(126)가 상방향으로 위치한 경우에는, 외부에서 아래 방향 마찰이 가해지면 제1-1 측판(110)과 제1-2 측판(120)이 쉽게 손상되거나 또는 의도하지 않게 뜯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그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할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1-1 side plates 110 and 1-2 side plates 120 constituting the left and right outer surfaces of the wrap-around box 1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top plate 10. Therefore, when the wrap-around box 1 is assembled, the first grip portion 116 and the second grip portion 126 are formed at the lower outer periphery of the 1-1 side plate 110 and the 1-2 side plate 120 It is located in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unintentional damage to the 1-1st side plate 110 and the 1-2nd side plate 120 during the distribution process of the wrap-around box 1. This is because the force applied from the outside during product distribution is usually applied in a top-down direction. Conversely, if the first grip part 116 and the second grip part 126 are located in the upward direction, when downward friction is applied from the outside, the 1-1 side plate 110 and the 1-2 side plate 120 This can lead to problems that are easily damaged or unintentionally teared.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possibility of such a problem.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e operator,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1: 랩어라운드 박스
2: 랩어라운드 박스
10: 상면판
12: 후면판
14: 저면판
16: 전면판
18: 부착판
22: 전면 접힘 가공부
110: 제1-1 측판
112: 제1 타공부
114: 제1 접힘선부
116: 제1 그립부
120: 제1-2 측판
118: 제1 수렴부
122: 제2 타공부
124: 제2 접힘선부
126: 제2 그립부
128: 제2 수렴부
130: 측판
132: 제3 타공부
134: 제3 그립부
136: 제3 수렴부
140: 측판
142: 제4 타공부
144: 제4 그립부
146: 제4 수렴부
150: 제3-1 측판
160: 측판
170: 제4-1 측판
180: 제4-2 측판
1: wrap around box
2: wrap around box
10: top plate
12: backplane
14: base plate
16: front panel
18: attachment plate
22: front folding part
110: 1-1 side plate
112: first perforated portion
114: first fold line portion
116: first grip portion
120: 1-2 side plate
118: first convergence unit
122: second perforated portion
124: second fold line portion
126: second grip portion
128: second convergence unit
130: shroud
132: third perforation
134: third grip portion
136: third convergence unit
140: shroud
142: fourth perforation
144: fourth grip portion
146: fourth convergence unit
150: 3-1 side plate
160: shroud
170: 4-1 side plate
180: 4-2 side plate

Claims (7)

비자립제품의 포장에 사용되는 랩어라운드 박스에 있어서,
상기 랩어라운드 박스가 조립되었을 때,
상기 랩어라운드 박스의 좌측의 바깥면을 구성하는 제1-1 측판;
상기 랩어라운드 박스의 우측의 바깥면을 구성하는 제1-2 측판;
상기 제1-1 측판의 안쪽면에 접착되는 제2-1 측판;
상기 제1-2 측판의 안쪽면에 접착되는 제2-2 측판;
상기 랩어라운드 박스의 상면을 구성하는 상면판;
상기 상면판과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는 후면판;
상기 후면판과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저면판;
상기 저면판과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면판; 및
상기 상면판과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전면판의 외면에 부착되는 부착판; 을 포함하며,
상기 제1-1 측판과 상기 제1-2 측판은,
상기 상면판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여 각각 상기 상면판과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2-1 측판과 상기 제2-2 측판은,
상기 저면판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여 각각 상기 저면판과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1 측판은,
상기 제1-1 측판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타공부, 및, 상기 제1-1 측판을 전후 방향으로 가로지르게 형성된 제1 접힘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2 측판은,
상기 제1-2 측판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 타공부, 및, 상기 제1-2 측판을 전후 방향으로 가로지르게 형성된 제2 접힘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힘선부는, 상기 랩어라운드 박스가 조립되었을 때 상기 제1 타공부의 하단보다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접힘선부는 상기 랩어라운드 박스가 조립되었을 때 상기 제2 타공부의 하단보다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1 측판과 상기 제2-1 측판 사이에는 상기 제1-1 측판과 상기 제2-1 측판을 서로 접착시키는 제1 접착 영역이 구비되되,
상기 제1 접착 영역은 상기 제1 타공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제1 타공부의 전측과 후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1-2 측판과 상기 제2-2 측판 사이에는 상기 제1-2 측판과 상기 제2-2 측판을 서로 접착시키는 제2 접착 영역이 구비되되,
상기 제2 접착 영역은 상기 제2 타공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제2 타공부의 전측과 후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1 접힘선부는,
상기 각각의 제1 접착 영역을 관통하여 연장되어, 상기 랩어라운드 박스가 조립되었을 때, 상기 제1 접힘선부가 상기 각각의 제1 접착 영역을 상하로 양분하며,
상기 제2 접힘선부는,
상기 각각의 제2 접착 영역을 관통하여 연장되어, 상기 랩어라운드 박스가 조립되었을 때, 상기 제1 접힘선부가 상기 각각의 제1 접착 영역을 상하로 양분하는 랩어라운드 박스.
In the wrap-around box used for packaging non-magnetic products,
When the wraparound box is assembled,
A 1-1 side plate constitu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left side of the wrap-around box;
A 1-2 side plate constitu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right side of the wrap-around box;
A 2-1 side plate adher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1-1 side plate;
A 2-2 side plate adher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1-2 side plate;
A top plate constituting the top surface of the wrap-around box;
A rear plate foldably connected to the top plate;
A bottom plate foldably connected to the rear plate;
A front plate foldably connected to the bottom plate; And
An attachment plate that is foldably connected to the top plate and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ront plate; Including,
The 1-1 side plate and the 1-2 side plate,
It is locat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op plate and is connected to be foldable with the top plate, respectively,
The 2-1 side plate and the 2-2 side plate,
It is locat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ttom plate and is connected to each of the bottom plate to be foldable,
The 1-1 side plate,
A first perforated portion penetrating the first-first side plate in a thickness direction, and a first folded line portion formed to cross the first-first side plate in a front-rear direction,
The 1-2 side plate,
A second perforated portion passing through the 1-2 side plate in a thickness direction, and a second folded line portion formed to cross the 1-2 side plate in a front-rear direction,
The first fold line part is located above the lower end of the first perforated part when the wrap-around box is assembled,
The second fold line part is located above the lower end of the second perforated part when the wrap-around box is assembled,
A first adhesive region for bonding the 1-1 side plate and the 2-1 side plate to each other is provided between the 1-1 side plate and the 2-1 side plate,
The first bonding region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first perforated portion, respectively, with the first perforated portion as the center,
A second bonding region is provided between the 1-2 side plate and the 2-2 side plate to bond the 1-2 side plate and the 2-2 side plate to each other,
The second bonding region is dispos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second perforated portion, respectively, with the second perforated portion as the center,
The first fold line part,
It extends through each of the first adhesive regions, and when the wrap-around box is assembled, the first fold line part divides each of the first adhesive regions vertically,
The second fold line portion,
A wrap-around box extending through each of the second bonding areas so that when the wrap-around box is assembled, the first fold line divides each of the first bonding areas vertically.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1 측판은, 상기 랩어라운드 박스가 조립되었을 때 하단 외주연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타공부 아래에 위치하는 제1 그립부를 가지며,
상기 제1-2 측판은, 상기 랩어라운드 박스가 조립되었을 때 하단 외주연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 타공부 아래에 위치하는 제2 그립부를 가지는 랩어라운드 박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1-1 side plate is formed on a lower outer periphery when the wrap-around box is assembled, and has a first grip part located below the first perforated part,
The 1-2 side plate is formed on a lower outer periphery when the wrap-around box is assembled, and has a second grip portion positioned under the second perforated por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공부와 상기 제1 그립부 사이에, 상기 제1-1 측판과 상기 제2-1 측판이 서로 부착되지 않는 미부착 영역이 마련되며,
상기 제2 타공부와 상기 제2 그립부 사이에, 상기 제1-2 측판과 상기 제2-1 측판이 서로 부착되지 않는 미부착 영역이 마련되는 랩어라운드 박스.
The method of claim 3,
An unattached region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perforated portion and the first grip portion, in which the 1-1 side plate and the 2-1 side plate are not attached to each other,
A wrap-around box in which an unattached area is provided between the second perforated portion and the second grip portion, in which the 1-2-1 side plate and the 2-1 side plate are not attached to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1 측판은, 상기 제2-1 측판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3 타공부를 갖고,
상기 제2-2 측판은, 상기 제2-2 측판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4 타공부를 갖는 랩어라운드 박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2-1 side plate has a third perforated part penetrating the 2-1 side plate in a thickness direction,
The 2-2 side plate is a wrap-around box having a fourth perforated portion passing through the 2-2 side plate in a thickness direc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1 측판은, 상기 랩어라운드 박스가 조립되었을 때 상단 외주연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3 타공부 위에 위치하는 제3 그립부를 가지며,
상기 제2-2 측판은, 상기 랩어라운드 박스가 조립되었을 때 상단 외주연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4 타공부 위에 위치하는 제4 그립부를 가지는 랩어라운드 박스.
The method of claim 5,
The 2-1 side plate is formed on the upper outer periphery when the wrap-around box is assembled and has a third grip part positioned on the third perforated part,
The 2-2 side plate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upper end when the wrap-around box is assembled, and has a fourth grip part positioned on the fourth perforated part.
삭제delete
KR1020190025356A 2019-03-05 2019-03-05 Wraparound box KR1021771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356A KR102177172B1 (en) 2019-03-05 2019-03-05 Wraparound box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356A KR102177172B1 (en) 2019-03-05 2019-03-05 Wraparound box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6753A KR20200106753A (en) 2020-09-15
KR102177172B1 true KR102177172B1 (en) 2020-11-10

Family

ID=72450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5356A KR102177172B1 (en) 2019-03-05 2019-03-05 Wraparound box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7172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4749B2 (en) * 1995-04-20 2001-05-08 厚 寺田 Heat sink assembly method and heat sink
US20140151444A1 (en) * 2012-11-30 2014-06-05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Inc. Carton with handle
US20160325874A1 (en) * 2015-05-07 2016-11-10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Inc. Carton with handl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148Y1 (en) * 2007-11-09 2009-09-29 주식회사 파리크라상 Packing box
JP3164749U (en) * 2010-10-01 2010-12-16 株式会社マルアイ Packaging box
JP6444838B2 (en) 2015-09-18 2018-12-2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Wrap around cas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4749B2 (en) * 1995-04-20 2001-05-08 厚 寺田 Heat sink assembly method and heat sink
US20140151444A1 (en) * 2012-11-30 2014-06-05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Inc. Carton with handle
US20160325874A1 (en) * 2015-05-07 2016-11-10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Inc. Carton with hand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6753A (en) 202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07941B1 (en) Article carrier with side handles
US4180191A (en) Bottle carrier
US4364509A (en) Article carrier with dispensing feature
US4010847A (en) Article carrier
US4318476A (en) Article carrier
WO2015189984A1 (en) Corrugated fiberboard box
US4295562A (en) Article carrier and blank therefor
AU596299B2 (en) Carton with improved handle
US20150225155A1 (en) Carton and carton blank for forming a carton
CA3027540A1 (en) Paralellogram splitable retail containers
US4047610A (en) Article carrier
KR102177172B1 (en) Wraparound box
EP1954590A2 (en) Carton having strap handle with improved product protection
JP2018501156A (en) Carton with lateral strap handle
US3924740A (en) Article carrier
US5311994A (en) Panel locking arrangement with release means
KR102182918B1 (en) Wraparound box
CA1094029A (en) Article carrier
US4278168A (en) Article carrier and blank therefor
CA1164834A (en) Article carrier and blank therefor
JP7364643B2 (en) packaging box
JP2018203277A (en) Packing box and blank sheet of packing box
JP4249955B2 (en) Wrap round case
KR102553602B1 (en) Eco-friendly box
CN210618751U (en) Packing box (Chinese character' jiangsu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