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3082B1 - System of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s for foreign languages - Google Patents

System of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s for foreign languag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3082B1
KR102173082B1 KR1020180005018A KR20180005018A KR102173082B1 KR 102173082 B1 KR102173082 B1 KR 102173082B1 KR 1020180005018 A KR1020180005018 A KR 1020180005018A KR 20180005018 A KR20180005018 A KR 20180005018A KR 102173082 B1 KR102173082 B1 KR 102173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voice
learning
data
tex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50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93777A (en
Inventor
김재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키박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키박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키박스
Priority to KR1020180005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3082B1/en
Priority to PCT/KR2018/009760 priority patent/WO2019139212A1/en
Publication of KR20190093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37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3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30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2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by heating or combustion
    • A61L9/03Apparatu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14Covers for frames; Frameless shades
    • F21V1/16Covers for frames; Frameless sha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21V1/17Covers for frames; Frameless sha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 material comprising photoluminescent substan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2Ligh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5Vaporisers for active compon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국어를 학습하기 위한 콘텐츠를 생성 및 제공하는 어학학습 콘텐츠 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외국어 학습 교재에 인쇄된 문자를 판독하여 텍스트 데이터로 생성하는 문자판독부; 상기 문자판독부에서 생성되는 텍스트 데이터를 입력받고 해당 텍스트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음성생성부; 외국어 학습 음원 파일을 입력받고 음원 파일의 음성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분할하는 음성분할부; 상기 음성분할부로부터 분할된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고 해당 음성 데이터에 대응하는 텍스트 데이터를 생성하는 문자생성부; 상기 문자판독부 및 음성생성부 또는 상기 음성분할부와 문자생성부에서 생성되는 텍스트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매칭하여 학습데이터로 생성하되, 상기 학습데이터를 학습단위 순으로 구분하여 생성하는 콘텐츠생성부; 상기 콘텐츠생성부에서 생성되는 학습단위별 학습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 선택된 학습단위별 학습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는 학습단위별 학습데이터를 음성으로 재생하여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하는 음성재생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nguage learning content providing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content for learning a foreign language, and in particular, a character reading unit that reads characters printed on a foreign language learning textbook and generates text data; A voice generator configured to receive text data generated by the character reading unit and generate voice data corresponding to the text; A voice splitter for receiving a foreign language learning sound source file and selectively dividing the sound data of the sound source file; A character generator configured to receive the divided voice data from the voice divider and generate text data corresponding to the voice data; A content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learning data by matching text data and voice data generated by the character reading unit and the speech generating unit or the speech splitting unit and the character generating unit, and generating the learning data in order of learning units; A database unit for storing learning data for each unit of learning generated by the content generation unit;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learning data for each selected learning unit; And a voice reproducing unit for reproducing the learning data for each unit of learning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as a voice and outputting it to a speaker.

Description

어학학습 콘텐츠 제공장치{SYSTEM OF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S FOR FOREIGN LANGUAGES}Language learning content providing device {SYSTEM OF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S FOR FOREIGN LANGUAGES}

본 발명은 외국어를 학습하기 위한 콘텐츠를 생성 및 제공하는 어학학습 콘텐츠 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nguage learning content providing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content for learning a foreign language.

일반적으로 어학 교육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의 증대와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다양한 교육 매체가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무선인터넷 어학 교육 컨텐츠와 자동응답 시스템(Automatic Response System, 이하 ARS라 함)을 이용하여 특정한 어학 학습 정보를 압축된 음성 데이터로 단방향 전송하는 시스템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a variety of educational media are being used due to the continuous increase in interest in language education and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recently, wireless Internet language education contents and automatic response system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RS)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ve been developed. A system for unidirectional transmission of specific language learning information as compressed voice data has been developed and used.

이러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 인터넷(예를 들어,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을 이용한 어학 교육은 가입자가 특정 운영자로의 데이터 호를 설정한 후 운영자가 텍스트 기반의 메시지를 가입자 측으로 전송하고,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조작 선택에 따라 운영자 측에서 가입자가 희망한 데이터를 전송한다.Language education using the wireless Internet (for example, 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of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fter the subscriber establishes a data call to a specific operator, the operator transmits a text-based message to the subscriber side, The operator transmits data desired by the subscriber according to the subscriber's selection of keypad operation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또한, ARS는 가입자가 특정 운영자로의 호를 설정한 후 운영자가 제공하는 음성안내 메시지를 가입자가 확인하고,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조작 선택에 따라 운영자 측에서 가입자가 희망한 음성 데이터를 전송한다.In addition, after the subscriber sets up a call to a specific operator, the subscriber checks the voice guidance message provided by the operator, and the operator transmits the voice data desired by the subscriber according to the subscriber's selection of keypad operation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어학학습 서비스는 피교육자의 수준에 적합한 학습 내용이 제공되는지 파악하기 힘들며, 피교육자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사와의 소통의 부재로 편향적이고 독립적인 서비스로 제공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language learning servi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ifficult to determine whether or not appropriate learning content is provided for the level of the trainee, and is provided as a biased and independent service due to the lack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trainee and the service provider providing the service. There was a problem.

특히 서비스제공사에서 어학 학습용으로 제공되는 음원 파일의 경우 문장별이 아니라 단원별로 재생되기 때문에 피교육자에게 있어 부분 집중 학습이 곤란하고, 별도의 앱 등을 통해 음원을 재생하고는 있으나 이 역시 반복 구간에 대한 편집이나 설정 기능이 불편하였으며 기본 설정값이 앱 실행시마다 새로 변경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In particular, since the sound source files provided by the service provider for language learning are played by unit rather than sentence by sentence, it is difficult for the trainee to learn partially intensively, and the sound source is played through a separate app. The editing and setting functions were inconvenient, and there was a hassle of changing the default settings every time the app was launched.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88781호(2007.12.27.)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788781 (2007.12.27.)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학습하고자 하는 학습 내용을 특정하고 이를 텍스트 또는 음성을 포함한 어학 학습 콘텐츠로 제작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며, 제작된 학습 콘텐츠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여 어학 학습 콘텐츠의 편집이 가능하도록 한 어학학습 콘텐츠 제공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user to specify the learning content to be learned, and to produce and manage it as language learning content including text or voice, and to facilitate access to the created learning content to edit the language learning content. It is intended to provide a device for providing language learning contents made possible.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의 어학학습 콘텐츠 제공장치는, 외국어 학습 교재에 인쇄된 문자를 판독하여 텍스트 데이터로 생성하는 문자판독부; 상기 문자판독부에서 생성되는 텍스트 데이터를 입력받고 해당 텍스트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음성생성부; 상기 문자판독부 및 음성생성부에서 생성되는 텍스트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매칭하여 학습데이터를 생성하되, 상기 학습데이터를 학습단위 순으로 구분하여 생성하는 콘텐츠생성부; 상기 콘텐츠생성부에서 생성되는 학습단위별 학습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 선택된 학습단위별 학습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는 학습단위별 학습데이터를 음성으로 재생하여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하는 음성재생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apparatus for providing language learning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haracter reading unit that reads characters printed on a foreign language learning textbook and generates text data; A voice generator configured to receive text data generated by the character reading unit and generate voice data corresponding to the text; A content generator for generating learning data by matching text data and voice data generated by the character reading unit and the voice generating unit, and generating the learning data in order of learning units; A database unit for storing learning data for each unit of learning generated by the content generation unit;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learning data for each selected learning unit; And a voice reproducing unit for reproducing the learning data for each unit of learning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as a voice and outputting it to a speaker.

그리고 본 발명의 어학학습 콘텐츠 제공장치는, 외국어 학습 음원 파일을 입력받고 음원 파일의 음성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분할하는 음성분할부; 상기 음성분할부로부터 분할된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고 해당 음성 데이터에 대응하는 텍스트 데이터를 생성하는 문자생성부; 상기 음성분할부와 문자생성부에서 생성되는 텍스트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매칭하여 학습데이터로 생성하되, 상기 학습데이터를 학습단위 순으로 구분하여 생성하는 콘텐츠생성부; 상기 콘텐츠생성부에서 생성되는 학습단위별 학습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 선택된 학습단위별 학습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는 학습단위별 학습데이터를 음성으로 재생하여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하는 음성재생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In addition, the apparatus for providing language learning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oice splitter for receiving a foreign language learning sound source file and selectively dividing the sound data of the sound source file; A character generator configured to receive the divided voice data from the voice divider and generate text data corresponding to the voice data; A content generation unit that matches text data and audio data generated by the speech division unit and the character generation unit to generate learning data, and generates the learning data in the order of learning units; A database unit for storing learning data for each unit of learning generated by the content generation unit;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learning data for each selected learning unit; And a voice reproducing unit for reproducing the learning data for each unit of learning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as a voice and outputting it to a speaker.

또한 본 발명의 어학학습 콘텐츠 제공장치는, 외국어 학습 교재에 인쇄된 문자를 판독하여 텍스트 데이터로 생성하는 문자판독부; 상기 문자판독부에서 생성되는 텍스트 데이터를 입력받고 해당 텍스트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음성생성부; 외국어 학습 음원 파일을 입력받고 음원 파일의 음성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분할하는 음성분할부; 상기 음성분할부로부터 분할된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고 해당 음성 데이터에 대응하는 텍스트 데이터를 생성하는 문자생성부; 상기 문자판독부 및 음성생성부 또는 상기 음성분할부와 문자생성부에서 생성되는 텍스트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매칭하여 학습데이터로 생성하되, 상기 학습데이터를 학습단위 순으로 구분하여 생성하는 콘텐츠생성부; 상기 콘텐츠생성부에서 생성되는 학습단위별 학습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 선택된 학습단위별 학습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는 학습단위별 학습데이터를 음성으로 재생하여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하는 음성재생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In addition, the apparatus for providing language learning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haracter reading unit that reads characters printed on a foreign language learning textbook and generates text data; A voice generator configured to receive text data generated by the character reading unit and generate voice data corresponding to the text; A voice dividing unit for receiving a foreign language learning sound source file and selectively dividing the sound data of the sound source file; A character generator configured to receive the divided voice data from the voice splitter and generate text data corresponding to the voice data; A content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learning data by matching text data and voice data generated by the character reading unit and the speech generating unit or the speech splitting unit and the character generating unit, and generating the learning data in order of learning units; A database unit for storing learning data for each unit of learning generated by the content generation unit;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learning data for each selected learning unit; And a voice reproducing unit for reproducing the learning data for each unit of learning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as a voice and outputting it to a speaker.

하나의 예로써, 외국어 학습 음원 파일을 입력받고 음원 파일의 음성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분할하는 음성분할부; 및 상기 음성분할부로부터 분할된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고 해당 음성 데이터에 대응하는 텍스트 데이터를 생성하는 문자생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콘텐츠 생성부는, 상기 음성분할부와 문자생성부에서 생성되는 텍스트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매칭하여 학습데이터로 생성하되, 상기 학습데이터를 학습단위 순으로 구분하여 생성할 수 있다.As an example, a voice splitter that receives a foreign language learning sound source file and selectively divides voice data of the sound source file; And a text generator configured to receive the divided voice data from the voice splitter and generate text data corresponding to the voice data, wherein the content generator comprises: text generated by the voice splitter and the text generator The data and voice data are matched to be generated as training data, but the training data may be generated in the order of learning units.

하나의 예로써, 상기 콘텐츠생성부는, 상기 학습데이터를 단원단위, 문단단위, 문장단위로 구분되도록 구성하면서 단원별, 문단별, 문장별로 텍스트와 음성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content generator may generate text and audio content for each unit, paragraph, and sentence while configuring the learning data to be divided into unit units, paragraph units, and sentence units.

하나의 예로써, 상기 음성재생부는, 하나의 문단을 선택하면 해당 문단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문장에 대한 음성을 순차적으로 재생할 수 있다.As an example, when one paragraph is selected, the voice reproducing unit may sequentially reproduce voices for one or more sentences belonging to the corresponding paragraph.

하나의 예로써, 상기 음성재생부는, 하나의 문장을 선택하면 해당 문장에 대한 음성만을 재생할 수 있다.As an example, when a sentence is selected, the voice reproducing unit can reproduce only the voice for the sentence.

선택된 학습데이터의 텍스트 또는 음성을 편집하기 위한 편집모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학습 콘텐츠 제공장치.An apparatus for providing language learning content, further comprising: an editing mode unit for editing text or voice of the selected learning data.

하나의 예로써, 상기 편집모드부는, 선택된 하나의 음성 재생 구간을 둘 이상으로 분할하는 분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editing mode unit may include a dividing module for dividing one selected audio reproduction section into two or more.

하나의 예로써, 상기 편집모드부는, 선택된 둘 이상의 음성 재생 구간을 하나로 병합하는 병합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editing mode unit may further include a merging module for merging two or more selected voice reproduction sections into one.

하나의 예로써, 상기 편집모드부는, 상기 분할모듈 또는 병합모듈에 의해 분할 또는 병합되는 음성에 대응하여 상기 학습데이터의 문장을 재구성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editing mode unit may reconstruct a sentence of the learning data in response to a voice divided or merged by the division module or the merging module.

하나의 예로써, 상기 편집모드부는, 선택된 상기 학습데이터의 학습단위명 또는 문장에 대한 텍스트를 수정하는 텍스트수정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텍스트수정모듈에 의해 수정된 학습단위명 또는 문장이 반영되어 콘텐츠가 재구성되도록 상기 음성생성부, 콘텐츠생성부 및 데이터베이스부를 제어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editing mode unit includes a text correction module for correcting a text for a learning unit name or a sentence of the selected learning data, and the learning unit name or sentence modified by the text correction module is reflected to The voice generation unit, the content generation unit, and the database unit may be controlled to be reconstructed.

하나의 예로써, 상기 표시부는, 재생 중이거나 편집 중인 음성을 파형으로 나타내도록 표시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display unit may display a voice being reproduced or being edited in a waveform.

하나의 예로써, 상기 표시부는, 현재 음성이 재생되고 있는 진행 부분에 대응하는 텍스트가 식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display unit may display a text corresponding to a progress portion in which a voice is currently being reproduced to be identified.

따라서 본 발명의 어학학습 콘텐츠 제공장치는 사용자가 학습하고자 하는 학습 내용을 특정하고 이를 텍스트 또는 음성을 포함한 어학 학습 콘텐츠로 제작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며, 제작된 학습 콘텐츠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여 어학 학습 콘텐츠의 편집이 가능하도록 한 어학학습 콘텐츠 제공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이다.Therefore, the language learning content provid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specify the learning content to be learned, and to produce and manage it as language learning content including text or voice, and facilitate access to the created learning content to learn language. It is intended to provide a language learning content providing device that enables content editing.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어학학습 콘텐츠 제공장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어학학습 콘텐츠 제공장치의 기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어학학습 콘텐츠 제공장치의 음성분할부와 문자생성부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어학학습 콘텐츠 제공장치의 편집모드부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편집모드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어학학습 콘텐츠 제공장치의 모바일 앱(App) 구현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1 and 2 are diagrams conceptually showing a language learning content provid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basic configuration of a language learning content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voice division unit and a character generation unit of a language learning content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diting mode unit of an apparatus for providing language learning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n editing mod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to 10 are views showing a mobile app (App) implementation screen of the language learning content provi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 can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explain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must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어학학습 콘텐츠 제공장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어학학습 콘텐츠 제공장치의 기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어학학습 콘텐츠 제공장치의 음성분할부와 문자생성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어학학습 콘텐츠 제공장치의 편집모드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편집모드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 and 2 are diagrams conceptually showing a language learning content provid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basic configuration of a language learning content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A block diagram showing a voice division unit and a text generation unit of an apparatus for providing language learning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diting mode unit of an apparatus for providing language learning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n editing mod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어학학습 콘텐츠 제공장치(10)는 출판사 등으로부터 제공되는 어학 학습 교재를 디지털 콘텐츠로 생성 및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Referring to FIG. 1, the language learning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a language learning textbook provided by a publisher, etc. as digital content.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어학학습 콘텐츠 제공장치(10)는 인쇄된 외국어 문자를 판독하여 텍스트 데이터로 생성하면서, 이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여 어학 학습을 위한 콘텐츠로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어학 학습 콘텐츠로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apparatus 10 for providing language learning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ads printed foreign language characters and generates text data, and generates voice data corresponding thereto, and provides them as contents for language learning. It can be created and provided as language learning content that can be used.

이러한 어학학습 콘텐츠 제공장치(10)의 기본 구성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판독부(100), 음성생성부(200), 콘텐츠생성부(300), 데이터베이스부(400), 표시부(500) 및 음성재생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language learning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 is a character reading unit 100, a voice generating unit 200, a content generation unit 300, a database unit 400, and a display unit 500 as shown in FIG. And a voice reproducing unit 600.

상기 문자판독부(100)는 외국어 학습 교재에 인쇄된 문자를 판독하여 텍스트 데이터로 생성하는 것으로, 문장별로 텍스트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The character reading unit 100 reads characters printed on a foreign language learning textbook and generates text data, and may generate text data for each sentence.

일 예로 상기 문자판독부(100)는 공지의 OCR(optical character reader) 엔진 중 적합한 하나를 적용하여 어학 학습 교재에 인쇄된 외국어 문자 이미지를 촬영하고, 촬영된 문자 이미지를 판독하여 텍스트 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haracter reading unit 100 may take a foreign language character image printed on a language learning textbook by applying one suitable one of known optical character reader (OCR) engines, and read the captured character image to generate text data. have.

이때, 본 발명의 어학학습 콘텐츠 제공장치(10)는 사용자의 스마트폰 내지 태블릿 PC 등 모바일 기기를 통해 구현될 수 있는 앱(App)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문자판독부(100)는 상기 모바일 기기에 장착된 카메라를 제어하도록 명령하여 인쇄된 외국어 문자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language learning content providing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 App that can be implemented through a mobile device such as a user's smartphone or a tablet PC. In this case, the character reading unit 100 is the mobile device. You can command to control the camera mounted on the device to take images of printed foreign language characters.

상기 음성생성부(200)는 상기 문자판독부(100)에서 생성되는 텍스트 데이터를 입력받고 해당 텍스트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The voice generator 200 may receive text data generated by the character reading unit 100 and generate voice data corresponding to the text.

입력된 텍스트 데이터를 음원으로 생성하는 방법은 공지의 TTS(Text To Speech) 엔진 등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는 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A method of generating input text data as a sound source may be variously implemented, such as a known text to speech (TTS) engin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음성생성부(200)는 상기 문자판독부(100)에서 생성되는 문장별 텍스트에 대응하도록 문장별 음성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The voice generator 200 may generate voice data for each sentence to correspond to the text for each sentence generated by the character reading unit 100.

상기 콘텐츠생성부(300)는 상기 문자판독부(100) 및 음성생성부(200)에서 생성되는 텍스트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매칭하여 학습데이터를 생성하되, 상기 학습데이터를 학습단위 순으로 구분하여 생성할 수 있다.The content generation unit 300 generates learning data by matching text data and voice data generated by the character reading unit 100 and the speech generation unit 200, and generates the learning data in order of learning units. I can.

예를 들면 상기 학습단위는 단원단위, 문단단위, 문장단위로 구분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콘텐츠생성부(300)에서는 학습단위에 따른 단원별, 문단별, 문장별로 텍스트와 음성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learn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be divided into a unit unit, a paragraph unit, and a sentence unit, and the content generation unit 300 may generate text and audio content for each unit, paragraph, and sentence according to the unit of learning. have.

상기 데이터베이스부(400)는 상기 콘텐츠생성부(300)에서 생성되는 학습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으며, 분할된 복수의 저장공간을 구축하여 학습단위별 학습데이터가 각각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The database unit 400 may store learning data generated by the content generation unit 300, and establish a plurality of divided storage spaces so that each learning data for each unit of learning can be stored.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400)에 저장된 학습데이터는 사용자의 요청 명령이 추출되어 이하에서 설명하는 표시부(500)를 통해 표시될 수 있으며, 콘텐츠의 신규 생성이나 편집 등에 의해 업데이트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earning data stored in the database unit 400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500 described below by extracting the user's request command, and may be updated by creating or editing a new content.

상기 표시부(500)는 선택된 학습단위별 학습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500 may display learning data for each selected learning unit.

본 발명의 어학학습 콘텐츠 제공장치(1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스마트폰 내지 태블릿 PC 등 모바일 기기를 통해 구현되는 앱(App)일 수 있는 바, 상기 표시부(500)는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학습데이터 표시되도록 명령할 수 있다. As mentioned above, the language learning content providing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 App implemented through a mobile device such as a user's smartphone or tablet PC, and the display unit 500 is a display of the mobile device. It is possible to command to display the learning data through.

상기 표시부(500)는 어학 학습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다양한 구현 화면을 제공할 수 있으며, 어학 학습 콘텐츠에 의해 텍스트의 표시는 물론 해당 텍스트에 대한 음성을 재생 중이거나 편집 중인 음성을 파형으로 나타내도록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500 may provide various implementation screens for displaying language learning content, and display not only text by language learning content, but also display the voice for the text being played or edited in a waveform. can do.

또한 상기 표시부(5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학습데이터를 표시함에 있어 현재 음성이 재생되고 있는 진행 부분에 대응하는 텍스트가 식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displaying the learning data selected by the user, the display unit 500 may display a text corresponding to a progress portion in which the voice is currently being reproduced to be identified.

일 예로 상기 표시부(500)는 진행 부분에 대한 문장을 다른 색상으로 표시하여 식별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isplay unit 500 may display a sentence for a progress portion in a different color to be identified.

상기 음성재생부(600)는 상기 표시부(500)를 통해 표시되는 학습단위별 학습데이터를 음성으로 재생하여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The voice reproducing unit 600 may reproduce learning data for each unit of learning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500 as a voice and output through a speaker.

상기 표시부(500)는 학습데이터를 복수의 문장을 포함하는 문단 단위로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음성재생부(60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적으로 음성을 재생하도록 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500 may display learning data in units of paragraphs including a plurality of sentences, and the voice reproducing unit 600 may selectively reproduce a voice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예를 들면 상기 음성재생부(600)는 하나의 문단을 선택하면 해당 문단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문장에 대한 음성을 순차적으로 재생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one paragraph is selected, the voice reproducing unit 600 may sequentially reproduce voices for one or more sentences belonging to the corresponding paragraph.

또한 상기 음성재생부(600)는 하나의 문단에 속한 특정 문장을 선택하면 해당 문장에 대한 음성만을 재생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voice reproducing unit 600 selects a specific sentence belonging to one paragraph, only the voice for the corresponding sentence can be reproduced.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어학학습 콘텐츠 제공장치(10)는 문자가 인쇄된 교재뿐 아니라 출판사 등에서 제공되는 MP3와 같은 어학학습 음원 파일로부터도 학습데이터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apparatus 10 for providing language learning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generate learning data content from not only textbooks printed with text, but also from language learning sound source files such as MP3 provided by publishers.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어학학습 콘텐츠 제공장치(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기본 구성에 더하여 음성분할부(900)와 문자생성부(8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language learning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voice splitting unit 900 and a character generating unit 800 in addition to the basic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4.

상기 음성분할부(900)는 외국어 학습 음원 파일을 입력받고, 입력된 음원 파일을 구성하는 음성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분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음성분할부(900)는 학습 단원 전체에 대한 음원 파일을 입력받고 이를 적절한 쉼 구간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문장별 음성 데이터로 분할할 수 있다.The voice splitter 900 may receive a foreign language learning sound source file and may selectively divide voice data constituting the input sound source file. For example, the voice splitter 900 may receive a sound source file for the entire learning unit and divide it into one or more voice data for each sentence using an appropriate pause section.

상기 문자생성부(800)는 상기 음성분할부(900)로부터 분할된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고, 해당 음성 데이터에 대응하는 텍스트 데이터를 생성하며 이를 상기 콘텐츠 생성부(300)로 전달할 수 있다.The text generator 800 may receive the divided voice data from the voice splitter 900, generate text data corresponding to the voice data, and transmit the text data to the content generator 300.

상기 문자생성부(800)는 Sound to Text 기술이 적용되는 문자변환 엔진 중 적합한 하나의 문자변환 엔진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The character generation unit 800 may be implemented through one suitable character conversion engine among character conversion engines to which the sound to text technology is applied.

상기 콘텐츠 생성부(300)는 상기 음성분할부(900)와 문자생성부(800)에서 생성되는 텍스트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매칭하여 학습데이터로 생성하되, 상기 학습데이터를 학습단위 순으로 구분하여 생성할 수 있다.The content generation unit 300 generates learning data by matching text data and speech data generated by the speech division unit 900 and the character generation unit 800, and generates the learning data in the order of learning units. can do.

상기 콘텐츠 생성부(300)를 통해 생성되는 학습데이터 콘텐츠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문장별 텍스트 콘텐츠와 문장별 음성 콘텐츠로 구분되어 상기 데이터베이스부(400)에 저장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earning data content generated by the content generator 300 may be divided into text content for each sentence and voice content for each sentence and stored in the database unit 400.

이때 본 실시 예의 어학학습 콘텐츠 제공장치(10)에서는 상기 문자판독부(100) 및 음성생성부(200)에 의한 콘텐츠 생성 방식과 상기 음성분할부(900) 및 문자생성부(800)에 의한 콘텐츠 생성 방식이 병행되는 예를 제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문자판독부(100) 및 음성생성부(200)에 의한 콘텐츠 생성 방식과 상기 음성분할부(900) 및 문자생성부(800)에 의한 콘텐츠 생성 방식이 각각 독립적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At this time, in the language learning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tent generation method by the character reading unit 100 and the voice generating unit 200 and the content generation by the speech splitting unit 900 and the character generating unit 800 An example in which the method is performed in parallel is provid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ntent generation method by the character reading unit 100 and the voice generating unit 200 and the voice splitting unit 900 and the character generating unit 800 It is natural that each content creation method can be independently configured.

본 발명의 어학학습 콘텐츠 제공장치(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학습데이터의 텍스트 또는 음성을 편집하기 위한 편집모드부(7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language learning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editing mode unit 700 for editing text or voice of the selected learning data as shown in FIG. 5.

즉 상기 편집모드부(700)는 어학 학습 콘텐츠를 제공함에 있어 사용자가 직접 상기 어학 학습 콘텐츠에 접근하여 텍스트나 음성 등을 임의로 수정할 수 있다.That is, in providing the language learning content, the editing mode unit 700 allows a user to directly access the language learning content and arbitrarily modify text or voice.

여기서 본 발명의 어학학습 콘텐츠 제공장치(10)가 앱(App)으로 구현될 경우 상기 편집모드부(700)는 어학 학습 콘텐츠를 편집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 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 Here, when the language learning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as an App, the editing mode unit 700 may provide a user interface (UI) for editing language learning content.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편집모드부(700)는 분할모듈(710)과 병합모듈(720) 및 텍스트수정모듈(73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editing mode unit 700 may include a split module 710, a merge module 720, and a text correction module 730.

상기 분할모듈(710)은 선택된 하나의 음성 재생 구간을 둘 이상으로 분할할 수 있다.The dividing module 710 may divide one selected voice reproduction section into two or more.

상기 병합모듈(720)은 선택된 둘 이상의 음성 재생 구간을 하나로 병합할 수 있다.The merging module 720 may merge two or more selected audio reproduction sections into one.

이와 같은 편집모드부(700)는 상기 분할모듈(710) 또는 병합모듈(720)에 의해 분할 또는 병합되는 음성에 대응하여 상기 학습데이터의 문장을 재구성할 수 있다.The editing mode unit 700 may reconstruct a sentence of the learning data in response to the voice divided or merged by the division module 710 or the merge module 720.

그리고 상기 텍스트수정모듈(730)은 선택된 상기 학습데이터의 학습단위명 또는 문장 등에 대한 텍스트를 수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xt correction module 730 may modify the text of the learning unit name or sentence of the selected learning data.

이때 상기 편집모드부(700)는 상기 텍스트수정모듈(730)에 의해 수정된 학습단위명 또는 문장이 반영되어 어학 학습 콘텐츠가 재구성되도록 상기 음성생성부(200), 콘텐츠생성부(300) 및 데이터베이스부(400)를 제어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diting mode unit 700 reflects the name or sentence of the learning unit modified by the text correction module 730 to reconfigure the language learning content, so that the speech generation unit 200, the content generation unit 300, and the databas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unit 400.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어학학습 콘텐츠 제공장치의 모바일 앱(App) 구현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어학학습 콘텐츠 제공장치가 모바일 앱(App)으로 구현되는 예를 설명한다.7 to 10 are diagrams showing a mobile app implementation screen of a language learning content provi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language learning content provid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as a mobile app. An example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앱(App) 화면에는 표시부(500)를 통해 상기 콘텐츠생성부(300)에 의해 생성된 학습데이터가 표시되게 할 수 있다.Learning data generated by the content generation unit 300 may be displayed on the mobile app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display unit 500.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모바일 앱(App)에서는 어학 학습 콘텐츠의 신규 생성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학습명과 하위 학습단위 등을 설정 및 입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in the mobile app of the present embodiment, a user interface for creating a new language learning content may be provided, and a learning name and a lower learning unit may be set and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screen.

그리고 설정된 학습명과 학습단위 등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400)에 각각 하나의 저장 공간으로 할당되면서 불러오기를 위한 경로가 지정될 수 있으며, 상기 콘텐츠생성부(300)에서 신규 생성된 어학 학습 콘텐츠가 할당된 저장 공간에 저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t learning name and learning unit, etc., are allocated to the database unit 400 as a storage space, and a path for loading may be designated, and the language learning content newly generated by the content generation unit 300 is allocated. Can be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space.

사용자는 모바일 앱(App)을 통해 학습하고자 하는 학습명을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된 학습명 그룹에 속한 최상위 학습단위부터 최하위 학습단위까지 표시하게 하고 이 중 하나를 선택하면 해당 학습단위에 대응하는 어학 학습 콘텐츠를 표시하도록 한다.The user can select the study name to learn through the mobile app, and display the highest to the lowest unit of study belonging to the selected study name group, and select one of them to learn the language corresponding to the unit of study. Display the content.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앱(App)에서는 최하위 학습단위명을 선택하면, 선택된 학습단위명 그룹에 속한 문단이 텍스트로 표시되면서 문장별 순차적인 음성이 재생되도록 하여 진행에 따른 Auto Scroll 기능을 제공한다.As shown in FIG. 8, in the mobile app, when the lowest learning unit name is selected, the paragraph belonging to the selected learning unit name group is displayed as text, and sequential voices for each sentence are played, so that the Auto Scroll function according to the progress is performed. to provide.

이때 모바일 앱(App)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음성 재생의 시작과 정지, 속도, 구간 반복 등을 위한 기능 버튼이 구비될 수 있으며, 현재 음성이 재생되고 있는 진행 부분에 대응하는 텍스트의 색상을 달리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음성 재생 구간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ser interface of the mobile app may be provided with function buttons for starting and stopping voice playback, speed, and section repetition, and by changing the color of the text corresponding to the part where the voice is currently being played, the user You can make it easier to identify the audio playback section.

뿐만 아니라 모바일 앱(App)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문단에 속한 복수의 문장 중 사용자가 음성으로 듣고자 하는 특정 문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탭 기능을 지원하며, 해당 문장을 탭할 경우 순차적인 재생 과정이 정지되고 해당 문장에 대한 음성이 재생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user interface of the mobile app supports a tap function so that the user can select a specific sentence that the user wants to hear from among a plurality of sentences belonging to the paragraph, and if the sentence is tapped, the sequential playback process is stopped and the corresponding sentence Makes the voice for the sentence playabl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앱(App)은 어학 학습 콘텐츠를 편집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the mobile ap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user interface for editing language learning content.

상기 모바일 앱(App)은 어학 학습 콘텐츠를 제공함에 있어 학습단위별 문장들을 텍스트로 표시하면서 재생 중인 음성 파형을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표시되는 음성 파형에 접근하여 음성을 편집할 수 있도록 한다.In providing language learning content, the mobile app can display the speech waveform being played while displaying sentences for each learning unit as text, and the user interface accesses the displayed speech waveform to edit the speech. do.

도 9는 본 실시 예의 음성 분할 편집의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편집 대상 문장을 길게 탭하여 해당 문장을 편집모드로 지정할 수 있으며, 해당 문장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음성 파형의 분할 대상을 선택적으로 지정할 수 있다.9 shows an example of voice division edi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user interface, a corresponding sentence can be designated as an edit mode by long tapping a sentence to be edited, and a segmentation target of the voice waveform displayed corresponding to the sentence can be selected. Can be specified as.

이와 같이 하나의 문장에 대하여 분할된 음성에 대응하도록 상기 하나의 문장은 적어도 둘 이상의 문장으로 분할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부(400)에 저장된 문장별 텍스트 데이터 또한 재구성되어 업데이트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one sentence may be divided into at least two sentences to correspond to the divided voice for one sentence, and text data for each sentence stored in the database unit 400 may also be reconstructed and updated.

도 10은 본 실시 예의 음성 병합 편집의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편집 대상이 되는 문장을 탭하여 해당 문장을 편집모드로 지정할 수 있으며, 합병 대상이 되는 대표 문장 및 상기 대표 문장과 연계되는 하나 이상의 앞, 뒤 문장을 함께 표시하여 합병 대상을 추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10 shows an example of the voice merge edi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user interface, by tapping a sentence to be edited, a corresponding sentence may be designated as an edit mode, and a representative sentence to be merged and a representative sentence linked to the representative sentence One or more preceding and following sentences are displayed together so that additional merging targets can be selected.

이 경우 역시 합병 대상 문장이 추가될때마다 추가된 문장에 대응하는 음성 파형이 함께 표시될 수 있으며, 하나의 문장으로 합병이 완료되면 데이터베이스부(400)에 저장된 문장별 텍스트 데이터 또한 재구성되어 업데이트될 수 있다.In this case, again, whenever a sentence to be merged is added, a voice waveform corresponding to the added sentence may be displayed together, and when the merger is completed into one sentence, text data for each sentence stored in the database unit 400 may also be reconstructed and updated. have.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rough the above description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100 : 문자판독부 200 : 음성생성부
300 : 콘텐츠생성부 400 : 데이터베이스부
500 : 표시부 600 : 음성재생부
700 : 편집모드부 710 : 분할모듈
720 : 병합모듈 730 : 텍스트수정모듈
800 : 문자생성부 900 : 음성분할부
100: character reading unit 200: voice generating unit
300: content generation unit 400: database unit
500: display unit 600: audio playback unit
700: editing mode unit 710: division module
720: merge module 730: text correction module
800: character generation unit 900: voice division unit

Claims (13)

외국어 학습 교재에 인쇄된 문자를 판독하여 텍스트 데이터로 생성하는 문자판독부;
상기 문자판독부에서 생성되는 텍스트 데이터를 입력받고 해당 텍스트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음성생성부;
상기 문자판독부 및 음성생성부에서 생성되는 텍스트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매칭하여 학습데이터를 생성하되, 상기 학습데이터를 학습단위 순으로 구분하여 생성하는 콘텐츠생성부;
상기 콘텐츠생성부에서 생성되는 학습단위별 학습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
선택된 학습단위별 학습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는 학습단위별 학습데이터를 음성으로 재생하여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하는 음성재생부; 및
선택된 하나의 음성 재생 구간을 둘 이상으로 분할하는 분할모듈과, 선택된 둘 이상의 음성 재생 구간을 하나로 병합하는 병합모듈 및 선택된 학습데이터의 학습단위명 또는 문장에 대한 텍스트를 수정하는 텍스트수정모듈을 포함하여, 선택된 학습데이터의 텍스트 또는 음성을 편집하기 위한 편집모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표시부는 재생 중이거나 편집 중인 음성을 파형으로 나타내도록 표시하고,
상기 편집모드부는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는 음성 파형에 접근하여 음성 파형의 분할 대상 또는 합병 대상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편집모드부의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합병 대상이 되는 대표 문장과, 상기 대표 문장에 연계되는 하나 이상의 앞, 뒤 문장을 함께 표시하여 상기 편집모드부에 의해 합병 대상이 추가 선택될 수 있도록 하며 합병 대상 문장이 추가될때마다 추가된 문장에 대응하는 음성 파형이 함께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편집모드부는 상기 분할모듈 또는 병합모듈에 의해 분할 또는 병합되는 음성에 대응하여 상기 학습데이터의 문장을 재구성하며, 상기 텍스트수정모듈에 의해 수정된 학습단위명 또는 문장이 반영되어 콘텐츠가 재구성되도록 상기 음성생성부, 콘텐츠생성부 및 데이터베이스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학습 콘텐츠 제공장치.
A character reading unit that reads characters printed on a foreign language learning textbook and generates text data;
A voice generator configured to receive text data generated by the character reading unit and generate voice data corresponding to the text;
A content generator for generating learning data by matching text data and voice data generated by the character reading unit and the voice generating unit, and generating the learning data in order of learning units;
A database unit for storing learning data for each unit of learning generated by the content generation unit;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learning data for each selected learning unit;
A voice reproducing unit for reproducing learning data for each unit of learning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as a voice and outputting it to a speaker; And
Including a division module for dividing one selected voice reproduction section into two or more, a merging module for merging two or more selected voice reproduction sections into one, and a text correction module for correcting the text of the learning unit name or sentence of the selected learning data. , Editing mode unit for editing the text or voice of the selected learning data; Including,
The display unit displays the voice being played or being edited as a waveform,
The editing mode unit includes a user interface for accessing the audio waveform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and selecting a division target or a merge target of the audio waveform, and the display unit is a representative subject to be merged select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of the editing mode unit. A sentence and one or more front and rear sentences linked to the representative sentence are displayed together so that the subject of merging can be additionally selected by the editing mode unit, and a voice waveform corresponding to the added sentence is displayed whenever the subject sentence is added. To be displayed together,
The editing mode unit reconstructs the sentence of the learning data in response to the voice divided or merged by the division module or the merging module, and the content is reconstructed by reflecting the name or sentence of the learning unit modified by the text correction module. A language learning content provid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controlling a voice generation unit, a content generation unit, and a database unit.
외국어 학습 음원 파일을 입력받고 음원 파일의 음성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분할하는 음성분할부;
상기 음성분할부로부터 분할된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고 해당 음성 데이터에 대응하는 텍스트 데이터를 생성하는 문자생성부;
상기 음성분할부와 문자생성부에서 생성되는 텍스트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매칭하여 학습데이터로 생성하되, 상기 학습데이터를 학습단위 순으로 구분하여 생성하는 콘텐츠생성부;
상기 콘텐츠생성부에서 생성되는 학습단위별 학습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
선택된 학습단위별 학습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는 학습단위별 학습데이터를 음성으로 재생하여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하는 음성재생부; 및
선택된 하나의 음성 재생 구간을 둘 이상으로 분할하는 분할모듈과, 선택된 둘 이상의 음성 재생 구간을 하나로 병합하는 병합모듈 및 선택된 학습데이터의 학습단위명 또는 문장에 대한 텍스트를 수정하는 텍스트수정모듈을 포함하여, 선택된 학습데이터의 텍스트 또는 음성을 편집하기 위한 편집모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표시부는 재생 중이거나 편집 중인 음성을 파형으로 나타내도록 표시하고,
상기 편집모드부는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는 음성 파형에 접근하여 음성 파형의 분할 대상 또는 합병 대상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편집모드부의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합병 대상이 되는 대표 문장과, 상기 대표 문장에 연계되는 하나 이상의 앞, 뒤 문장을 함께 표시하여 상기 편집모드부에 의해 합병 대상이 추가 선택될 수 있도록 하며 합병 대상 문장이 추가될때마다 추가된 문장에 대응하는 음성 파형이 함께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편집모드부는 상기 분할모듈 또는 병합모듈에 의해 분할 또는 병합되는 음성에 대응하여 상기 학습데이터의 문장을 재구성하며, 상기 텍스트수정모듈에 의해 수정된 학습단위명 또는 문장이 반영되어 콘텐츠가 재구성되도록 음성생성부, 콘텐츠생성부 및 데이터베이스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학습 콘텐츠 제공장치.
A voice splitter for receiving a foreign language learning sound source file and selectively dividing the sound data of the sound source file;
A character generator configured to receive the divided voice data from the voice divider and generate text data corresponding to the voice data;
A content generation unit that matches text data and audio data generated by the speech division unit and the character generation unit to generate learning data, and generates the learning data in the order of learning units;
A database unit for storing learning data for each unit of learning generated by the content generation unit;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learning data for each selected learning unit;
A voice reproducing unit for reproducing learning data for each unit of learning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as a voice and outputting it to a speaker; And
Including a division module for dividing one selected voice reproduction section into two or more, a merging module for merging two or more selected voice reproduction sections into one, and a text correction module for correcting the text of the learning unit name or sentence of the selected learning data. , Editing mode unit for editing the text or voice of the selected learning data; Including,
The display unit displays the voice being played or being edited as a waveform,
The editing mode unit includes a user interface for accessing the audio waveform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and selecting a division target or a merge target of the audio waveform, and the display unit is a representative subject to be merged select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of the editing mode unit. A sentence and one or more front and rear sentences linked to the representative sentence are displayed together so that the subject of merging can be additionally selected by the editing mode unit, and a voice waveform corresponding to the added sentence is displayed whenever the subject sentence is added. To be displayed together,
The editing mode unit reconstructs the sentence of the learning data in response to the voice divided or merged by the division module or the merging module, and the content is reconfigured by reflecting the name or sentence of the learning unit modified by the text correction module. A language learning content provid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controlling a generation unit, a content generation unit, and a database unit.
외국어 학습 교재에 인쇄된 문자를 판독하여 텍스트 데이터로 생성하는 문자판독부;
상기 문자판독부에서 생성되는 텍스트 데이터를 입력받고 해당 텍스트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음성생성부;
외국어 학습 음원 파일을 입력받고 음원 파일의 음성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분할하는 음성분할부;
상기 음성분할부로부터 분할된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고 해당 음성 데이터에 대응하는 텍스트 데이터를 생성하는 문자생성부;
상기 문자판독부 및 음성생성부 또는 상기 음성분할부와 문자생성부에서 생성되는 텍스트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매칭하여 학습데이터로 생성하되, 상기 학습데이터를 학습단위 순으로 구분하여 생성하는 콘텐츠생성부;
상기 콘텐츠생성부에서 생성되는 학습단위별 학습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
선택된 학습단위별 학습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는 학습단위별 학습데이터를 음성으로 재생하여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하는 음성재생부; 및
선택된 하나의 음성 재생 구간을 둘 이상으로 분할하는 분할모듈과, 선택된 둘 이상의 음성 재생 구간을 하나로 병합하는 병합모듈 및 선택된 학습데이터의 학습단위명 또는 문장에 대한 텍스트를 수정하는 텍스트수정모듈을 포함하여, 선택된 학습데이터의 텍스트 또는 음성을 편집하기 위한 편집모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는 재생 중이거나 편집 중인 음성을 파형으로 나타내도록 표시하고,
상기 편집모드부는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는 음성 파형에 접근하여 음성 파형의 분할 대상 또는 합병 대상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편집모드부의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합병 대상이 되는 대표 문장과, 상기 대표 문장에 연계되는 하나 이상의 앞, 뒤 문장을 함께 표시하여 상기 편집모드부에 의해 합병 대상이 추가 선택될 수 있도록 하며 합병 대상 문장이 추가될때마다 추가된 문장에 대응하는 음성 파형이 함께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편집모드부는 상기 분할모듈 또는 병합모듈에 의해 분할 또는 병합되는 음성에 대응하여 상기 학습데이터의 문장을 재구성하며, 상기 텍스트수정모듈에 의해 수정된 학습단위명 또는 문장이 반영되어 콘텐츠가 재구성되도록 상기 음성생성부, 콘텐츠생성부 및 데이터베이스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학습 콘텐츠 제공장치.
A character reading unit that reads characters printed on a foreign language learning textbook and generates text data;
A voice generator configured to receive text data generated by the character reading unit and generate voice data corresponding to the text;
A voice splitter for receiving a foreign language learning sound source file and selectively dividing the sound data of the sound source file;
A character generator configured to receive the divided voice data from the voice divider and generate text data corresponding to the voice data;
A content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learning data by matching text data and voice data generated by the character reading unit and the speech generating unit or the speech splitting unit and the character generating unit, and generating the learning data in order of learning units;
A database unit for storing learning data for each unit of learning generated by the content generation unit;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learning data for each selected learning unit;
A voice reproducing unit for reproducing learning data for each unit of learning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as a voice and outputting it to a speaker; And
Including a division module for dividing one selected voice reproduction section into two or more, a merging module for merging two or more selected voice reproduction sections into one, and a text correction module for correcting the text of the learning unit name or sentence of the selected learning data. Includes; an editing mode unit for editing text or voice of the selected learning data,
The display unit displays the voice being played or being edited as a waveform,
The editing mode unit includes a user interface for accessing the audio waveform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and selecting a division target or a merge target of the audio waveform, and the display unit A sentence and one or more front and rear sentences linked to the representative sentence are displayed together so that a merge object can be additionally selected by the editing mode unit. To be displayed together,
The editing mode unit reconstructs the sentence of the learning data in response to the voice divided or merged by the division module or the merging module, and the content is reconstructed by reflecting the name or sentence of the learning unit modified by the text correction module. A language learning content provid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controlling a voice generation unit, a content generation unit, and a database unit.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생성부는,
상기 학습데이터를 단원단위, 문단단위, 문장단위로 구분되도록 구성하면서 단원별, 문단별, 문장별로 텍스트와 음성 콘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학습 콘텐츠 제공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content generation unit,
And generating text and audio contents for each unit, for each paragraph, and for each sentence while configuring the learning data to be divided into a unit unit, a paragraph unit, and a sentence unit.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재생부는,
하나의 문단을 선택하면 해당 문단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문장에 대한 음성을 순차적으로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학습 콘텐츠 제공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voice playback unit,
When one paragraph is selected, the apparatus for providing language learning contents, characterized in that for sequentially reproducing voices for one or more sentences belonging to the corresponding paragraph.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재생부는,
하나의 문장을 선택하면 해당 문장에 대한 음성만을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학습 콘텐츠 제공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voice playback unit,
Language learning content provid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when one sentence is selected, only the voice for the sentence is reproduc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현재 음성이 재생되고 있는 진행 부분에 대응하는 텍스트가 식별되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학습 콘텐츠 제공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display unit,
A language learning content provid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text corresponding to the progress part in which the voice is currently being reproduced is displayed to be identified.
KR1020180005018A 2018-01-15 2018-01-15 System of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s for foreign languages KR1021730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5018A KR102173082B1 (en) 2018-01-15 2018-01-15 System of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s for foreign languages
PCT/KR2018/009760 WO2019139212A1 (en) 2018-01-15 2018-08-24 Linguistic learning content provid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5018A KR102173082B1 (en) 2018-01-15 2018-01-15 System of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s for foreign languag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3777A KR20190093777A (en) 2019-08-12
KR102173082B1 true KR102173082B1 (en) 2020-11-02

Family

ID=67218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5018A KR102173082B1 (en) 2018-01-15 2018-01-15 System of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s for foreign language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73082B1 (en)
WO (1) WO2019139212A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3935B1 (en) * 2005-06-03 2006-03-29 주식회사 아인텍정보 Multimedia file structure synchronized and the portable digital language study workbook using the synchronized structure
KR101587353B1 (en) 2014-08-05 2016-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Video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0085A (en) * 2004-06-18 2005-12-22 사파미디어 주식회사 Portable replaying device for sound
KR100737427B1 (en) * 2005-10-17 2007-07-09 김병호 Many languages studying system and operation process of including teaching material by paper
KR100788781B1 (en) 2006-09-21 2007-12-27 주식회사 씨디아이홀딩스 System for learning foreign language and method thereof
KR20110099997A (en) * 2010-03-03 2011-09-09 임창문 Language learning appratus
KR20120129015A (en) * 2011-05-18 2012-11-28 조성진 Method for creating educational contents for foreign languages and terminal therefor
KR20130076852A (en) * 2013-06-25 2013-07-08 조성진 Method for creating educational contents for foreign languages and terminal therefor
KR20150103591A (en) * 2014-03-03 2015-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Video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2016206591A (en) * 2015-04-28 2016-12-08 義之 浅田 Language learning content distribution system, language learning content generation device, and language learning content reproduction program
KR20170052084A (en) * 2015-11-03 2017-05-12 주식회사 셀바스에이아이 Apparatus and method for learning foreign language speak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3935B1 (en) * 2005-06-03 2006-03-29 주식회사 아인텍정보 Multimedia file structure synchronized and the portable digital language study workbook using the synchronized structure
KR101587353B1 (en) 2014-08-05 2016-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Video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39212A1 (en) 2019-07-18
KR20190093777A (en) 2019-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80319B2 (en) Interactive multimedia story creation application
US9031493B2 (en) Custom narration of electronic books
CN111538851B (en) Method, system,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demonstration video
WO2012086356A1 (en) File format, server, view device for digital comic, digital comic generation device
JP5634853B2 (en) Electronic comic viewer device, electronic comic browsing system, viewer program, and electronic comic display method
CN112188266A (en) Video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0561125B1 (en) Storing media storing multi-media template file, template file creating apparatus, template file editing apparatus, templete file distributing server, templete file distributing system, storing media storing templete file creating program, and storing media storing templete file editing program
KR20120129015A (en) Method for creating educational contents for foreign languages and terminal therefor
KR101198091B1 (en) Method and system for learning contents
KR102173082B1 (en) System of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s for foreign languages
KR10112479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diting electronic picture book
KR101968599B1 (en) Generation method and apparatus of story video according to input text
CN110688604A (en) System for editing courseware on line
KR101843133B1 (e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playing written content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18146961A (en) Voice reproduction device and voice reproduction program
KR20030079497A (en) service method of language study
CN117156199A (en) Digital short-man video production platform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KR20130076852A (en) Method for creating educational contents for foreign languages and terminal therefor
JP6752046B2 (en) Electronic devices, their control methods and control programs
KR100884826B1 (en) Repeatable studying apparatus using page index, system and mehtod
JP2005284490A (en) Data recording device and data regenerating device
JP6821727B2 (en) Text data voice playback device and text data voice playback program
KR100818978B1 (en) The method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service of displaying and inputting korean alphabet of wap webpage and the server providing the method
CN114915824A (en) Word teaching resource playing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KR20230048713A (en) language teaching methods using a video cont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100004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00107

Effective date: 20200924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