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1271B1 - Cleaner - Google Patents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1271B1
KR102171271B1 KR1020140045033A KR20140045033A KR102171271B1 KR 102171271 B1 KR102171271 B1 KR 102171271B1 KR 1020140045033 A KR1020140045033 A KR 1020140045033A KR 20140045033 A KR20140045033 A KR 20140045033A KR 102171271 B1 KR102171271 B1 KR 102171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eller
return channel
unit
blades
inn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50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75008A (en
Inventor
김현주
이상원
고동석
박진형
서응렬
오현준
이주용
최재호
허광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4/524,603 priority Critical patent/US9757000B2/en
Priority to CN201480070651.6A priority patent/CN105848544B/en
Priority to AU2014370740A priority patent/AU2014370740B2/en
Priority to PCT/KR2014/012407 priority patent/WO2015099350A1/en
Priority to EP14873210.0A priority patent/EP3086699B1/en
Publication of KR20150075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5008A/en
Priority to US15/670,660 priority patent/US1047063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1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12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2Mountings for motor fan assembl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81Means for exhaust-air diffusion; Means for sound or vibration dam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4226Fan 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441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444Bladed diffu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2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62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26Mounting or removal of f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50/00Geometry
    • F05D2250/50Inlet or outlet
    • F05D2250/52Outl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청소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청소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청소기는 공기를 본체 내부로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유닛은 회전 가능한 임펠러(IMPELLER), 흡기구가 형성되는 임펠러 커버(IMPELLER COVER) 및 내부에 상기 임펠러를 수용하도록 상기 임펠러 커버와 결합하는 리턴 채널(RETURN CHANNEL)을 포함하고, 상기 리턴 채널은 이너 프레임(INNER FRAME) 및 상기 이너 프레임과 이격되도록 상기 이너 프레임의 외측에 위치하는 아우터 프레임(OUTER FRAME)을 포함하고, 상기 이너 프레임 및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사이에는 복수의 날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Disclosed is a vacuum cleaner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to improve cleaning performance.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ction unit that generates a suction force for sucking air into the body, and the suction unit includes a rotatable impeller, an impeller cover having an intake port, and an inside It includes a return channel (RETURN CHANNEL) coupled to the impeller cover to accommodate the impeller, the return channel is an inner frame (INNER FRAME) and an outer frame located outside the inner fram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frame (OUTER FRAME), and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blades are disposed between the inner frame and the outer frame.

Description

청소기{CLEANER}Cleaner {CLEANER}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청소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leaner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to improve cleaning performance.

일반적으로 청소기는 피청소면의 오물을 포함한 공기를 흡입한 후, 공기로부터 오물을 분리하여 수거하고, 정화된 공기는 본체 외부로 배출하는 장치이다.In general, a vacuum cleaner is a device that inhales air including dirt from a surface to be cleaned, separates and collects the dirt from the air, and discharges the purified air to the outside of the body.

이러한 청소기는 그 형태별로 본체와 흡입노즐이 분리되어 소정의 관으로 연결되는 캐니스터(Canister) 방식과, 흡입노즐과 본체가 하나로 마련되는 업라이트(Up-right)방식으로 구별된다.These cleaners are classified into a canister type in which a main body and a suction nozzle are separated and connected by a predetermined pipe, and an up-right method in which a suction nozzle and a main body are provided as one.

최근에는 사용자의 조작 없이도 청소하고자 하는 영역을 스스로 주행하면서 바닥면으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함으로써, 청소하고자 하는 영역을 자동으로 청소하는 로봇 청소기가 각광받고 있다.In recent years, a robot cleaner that automatically cleans an area to be cleaned by inhal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from the floor while traveling on an area to be cleaned without a user's manipulation has been in the spotlight.

청소기는 흡입력을 결정하는 구성 요소로써, 임펠러(IMPELLER), 디퓨저(DIFFUSER) 및 과류 제거 장치(DESWIRLER)를 포함할 수 있다.The vacuum cleaner is a constituent element that determines the suction power, and may include an impeller, a diffuser, and a deswirler.

본체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수 차례 구부러진 유로를 따라 임펠러, 디퓨저 및 과류 제거 장치를 차례로 통과한다. 이 과정에서, 공기의 압력손실이 증가하게 되고, 압력손실에 따른 흡입력 감소를 보완하기 위해 임펠러 및 디퓨저의 간격을 좁게 설계한다. 그러나 임펠러 및 디퓨저의 간격을 좁게 할수록 압력섭동에 의한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소음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임펠러 및 임펠러에 결합되는 모터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으나, 이 경우 청소기의 크기 또한 증가되므로 컴팩트(COMPACT)한 제품을 요하는 최근 시장 추세에 부합하지 않는다.The air sucked into the body passes through the impeller, the diffuser, and the overflow removal device in sequence along a flow path bent several times. In this process, the pressure loss of air increases, and the impeller and the diffuser are designed to be narrower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reduction in suction power due to the pressure loss. However, as the gap between the impeller and the diffuser is narrowed, noise due to pressure perturbation may occur. In order to prevent noise, the size of the impeller and the motor coupled to the impeller can be increased, but in this case, the size of the vacuum cleaner is also increased, so it does not meet the recent market trend that requires a compact produc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흡입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청소기를 제공한다.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leaner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to improve suction power.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소형화 내지 컴팩트(COMPACT)화가 가능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청소기를 제공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leaner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to enable miniaturization or compactness.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청소기를 제공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leaner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to prevent noise.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제조가 용이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청소기를 제공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leaner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to facilitate manufacturing.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청소기는 공기를 본체 내부로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유닛은 회전 가능한 임펠러(IMPELLER), 흡기구가 형성되는 임펠러 커버(IMPELLER COVER) 및 내부에 상기 임펠러를 수용하도록 상기 임펠러 커버와 결합하는 리턴 채널(RETURN CHANNEL)을 포함하고, 상기 리턴 채널은 이너 프레임(INNER FRAME) 및 상기 이너 프레임과 이격되도록 상기 이너 프레임의 외측에 위치하는 아우터 프레임(OUTER FRAME)을 포함하고, 상기 이너 프레임 및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사이에는 복수의 날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ction unit that generates a suction force for sucking air into the body, and the suction unit includes a rotatable impeller, an impeller cover having an intake port, and an inside It includes a return channel (RETURN CHANNEL) coupled to the impeller cover to accommodate the impeller, the return channel is an inner frame (INNER FRAME) and an outer frame located outside the inner fram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frame (OUTER FRAME), and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blades are disposed between the inner frame and the outer frame.

상기 리턴 채널은 상기 임펠러를 통과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임펠러에 직결될 수 있다.The return channel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impeller so that air passing through the impeller can be introduced.

상기 복수의 날개는 상기 임펠러의 축방향(X)에 대하여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blades may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상기 임펠러는 제 1방향(H)을 향하여 회전하고, 상기 복수의 날개는 상기 임펠러의 축방향(X)에 대하여 상기 제 1방향(H)과 반대방향인 제 2방향(I)을 따라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The impeller rotates in a first direction (H), and the plurality of blades are inclined along a second direction (I)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H)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Can be formed.

상기 복수의 날개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wings may include a curved surface.

상기 복수의 날개는 서로 이격되어 상기 임펠러를 통과한 공기가 이동하는 배출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배출유로는 상기 임펠러를 향하는 일 단부에 형성되는 입구 및 상기 입구와 이격되도록 다른 단부에 형성되는 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입구를 통해 상기 배출유로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출구를 통해 상기 흡입유닛의 외측으로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lurality of blad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orm a discharge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 passing through the impeller moves, and the discharge passage has an inlet formed at one end facing the impeller and an outlet formed at the other en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let. And the air introduced into the discharge passage through the inle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uction unit through the outlet.

상기 임펠러 커버는 상기 임펠러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입구로 가이드하도록 상기 아우터 프레임에 결합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곡면을 가질 수 있다.The impeller cover includes a guide portion coupled to the outer frame to guide air passing through the impeller to the inlet, and the guide portion may have a curved surface.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임펠러 커버의 외측을 향하여 볼록하고, 곡률 반지름이 1mm 이상인 곡면을 가질 수 있다.The guide portion may be convex toward the outside of the impeller cover and may have a curved surface having a radius of curvature of 1 mm or more.

상기 복수의 날개는 상기 이너 프레임의 외면과 마주하고, 시작점(M)을 포함하는 제 1면 및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내면과 마주하고, 상기 시작점(M)과 함께 상기 입구를 형성하는 시작점(N)을 포함하는 제 2면을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wings face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frame, the first surface including the starting point (M)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the starting point (N) forming the inlet together with the starting point (M) It may include a second surface including a.

상기 제 1면의 시작점(M) 및 상기 제 2면의 시작점(N)을 연결하는 직선(A)은 상기 임펠러의 축방향(X)에 대하여 5ㅀ이상 85ㅀ이하의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A straight line (A) connecting the starting point (M) of the first surface and the starting point (N) of the second surface may form an inclination of 5° or more and 85° or less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

상기 임펠러의 축방향(X)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는 수평방향(Y)으로 상기 리턴 채널을 자른 단면(Q) 상에서, 상기 임펠러 커버를 향하는 상기 제 1면의 일 단부 및 상기 제 2면의 일 단부를 연결한 직선(B)이 상기 리턴 채널의 중심 및 상기 임펠러 커버를 향하는 상기 제 1면의 일 단부를 연결한 직선(C)과 이루는 각도(θ)는 0ㅀ이상 80ㅀ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One end of the first surface facing the impeller cover and one end of the second surface on the cross-section (Q) of the return channel cu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Y)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The angle (θ) formed by the straight line (B) connecting the return channel and the straight line (C) connecting one end of the first surface facing the center of the return channel and the impeller cover is 0° or more and 80° or less. .

상기 제 2면의 시작점(N)은 상기 제 1면의 시작점(M)보다 상기 임펠러 커버를 향하여 더 연장될 수 있다.The starting point (N) of the second surface may extend toward the impeller cover than the starting point (M) of the first surface.

상기 복수의 날개는 상기 제 1면의 시작점(M) 및 상기 제 2면의 시작점(N)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곡면 및 평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wings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starting point M of the first surface and the starting point N of the second surface, and the connecting por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urved surface and a flat surface.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 1면의 시작점(M) 및 상기 제 2면의 시작점(N) 중 적어도 하나보다 상기 임펠러 커버를 향하여 더 연장되는 최고점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may include a top point extending toward the impeller cover more than at least one of a starting point M of the first surface and a starting point N of the second surface.

상기 흡입유닛은 상기 임펠러가 회전할 수 있는 원동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임펠러와 결합하는 모터축을 가지고, 상기 리턴 채널의 내부에 마련되는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uc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motor shaft coupled with the impeller to provide a motive force for rotating the impeller, and a motor provided inside the return channel.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청소기는 공기를 본체 내부로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유닛은 회전 가능한 임펠러(IMPELLER), 흡기구가 형성되는 임펠러 커버(IMPELLER COVER) 및 내부에 상기 임펠러를 수용하도록 상기 임펠러 커버와 결합하고, 상기 임펠러를 통과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임펠러에 직결되는 리턴 채널(RETURN CHANNEL)을 포함하고, 상기 리턴 채널은 서로 분리 가능한 복수의 유닛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ction unit that generates a suction force for sucking air into the body, and the suction unit includes a rotatable impeller, an impeller cover having an intake port, and an inside Includes a return channel (RETURN CHANNEL) directly connected to the impeller to be coupled to the impeller cover to receive the impeller, and to allow air passing through the impeller to be introduced, and the return channel is a plurality of detachable units coupled to each oth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상기 복수의 유닛은 상기 임펠러의 축방향(X)에 대하여 경사를 형성하도록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lurality of units are separable to form an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상기 복수의 유닛은 상기 임펠러의 축방향(X)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는 수평방향(Y)으로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lurality of units may be separa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Y)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상기 리턴 채널은 이너 프레임(INNER FRAME), 상기 이너 프레임과 이격되도록 상기 이너 프레임의 외측에 위치하는 아우터 프레임(OUTER FRAME) 및 상기 이너 프레임 및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유닛은 상기 임펠러의 축방향(X)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는 수평방향(Y)으로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turn channel includes an inner frame, an outer frame positioned outside the inner fram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frame, and a plurality of blades disposed between the inner frame and the outer frame, , The plurality of units may be separa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Y)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상기 복수의 날개는 상기 임펠러의 축방향(X)에 대하여 경사를 형성하고,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blades may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and may include a curved surface.

상기 리턴 채널은 상기 복수의 유닛을 결합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방지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eturn channel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rotation preventing unit coupling the plurality of units.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전방지유닛은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리턴 채널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The at least one rotation preventing unit may be formed inside the return channel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복수의 유닛은 상기 임펠러를 통과한 공기가 이동하는 방향(G)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제 1유닛 및 상기 임펠러를 통과한 공기가 이동하는 방향(G)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제 2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전방지유닛은 상기 제 1유닛 및 상기 제 2유닛 중 어느 하나의 내측에 마련되는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units include a first unit positioned upstream of a direction G in which air passing through the impeller moves and a second unit positioned downstream of a direction G in which air passing through the impeller moves. Including, the at least one rotation preventing unit may include a protrusion provided inside any one of the first unit and the second unit.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전방지유닛은 상기 제 1유닛 및 상기 제 2유닛 중 다른 하나의 내측에 마련되고, 상기 돌기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t least one rotation preven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fastening portion provided inside the other of the first unit and the second unit and separably coupled to the protrusion.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청소기는 공기를 본체 내부로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유닛은 회전 가능한 임펠러(IMPELLER), 흡기구가 형성되는 임펠러 커버(IMPELLER COVER) 및 내부에 상기 임펠러를 수용하도록 상기 임펠러 커버와 결합하고, 상기 임펠러를 통과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임펠러에 직결되는 리턴 채널(RETURN CHANNEL)을 포함하고, 상기 리턴 채널에는 상기 임펠러의 축방향(X)에 대하여 경사를 형성하는 복수의 날개가 배치될 수 있다.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ction unit that generates a suction force for sucking air into the body, and the suction unit includes a rotatable impeller, an impeller cover having an intake port, and an inside It is coupled to the impeller cover to accommodate the impeller, and includes a return channel directly connected to the impeller so that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impeller can be introduced, and the return channel includes an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A plurality of wings may be arranged to form an inclination with respect to.

상기 복수의 날개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wings may include a curved surface.

상기 임펠러는 제 1방향(H)을 향하여 회전하고, 상기 복수의 날개는 상기 임펠러의 축방향(X)에 대하여 상기 제 1방향(H)과 반대방향인 제 2방향(I)을 따라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The impeller rotates in a first direction (H), and the plurality of blades are inclined along a second direction (I)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H)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Can be formed.

상기 리턴 채널은 이너 프레임(INNER FRAME) 및 상기 이너 프레임과 이격되도록 상기 이너 프레임의 외측에 위치하는 아우터 프레임(OUTER FRAME)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날개는 상기 이너 프레임 및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return channel includes an inner frame and an outer frame positioned outside the inner fram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frame, and the plurality of wings are between the inner frame and the outer frame. Can be placed.

리턴 채널에 임펠러의 축방향(X)에 대하여 경사를 형성하는 복수의 날개를 배치함으로써, 유로의 구부러진 형상을 감소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공기의 압력손실을 줄일 수 있어 청소기의 흡입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By arranging a plurality of blade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in the return channel,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bent shape of the flow path, thereby reducing the pressure loss of the air, thereby improving the suction power of the cleaner. have.

디퓨저 역할을 겸하는 리턴 채널을 사용함으로써 리턴 채널 및 임펠러 사이의 간격을 기존 디퓨저 및 임펠러 사이의 간격보다 증가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압력섭동에 의해 발생하는 청소기의 소음을 줄일 수 있다.By using the return channel serving as a diffuser, the distance between the return channel and the impeller can be increased compared to the distance between the existing diffuser and the impeller, and accordingly, noise of the cleaner caused by pressure perturbation can be reduced.

임펠러의 축방향(X)에 대하여 경사를 형성하는 복수의 날개가 배치되는 리턴 채널을 사용함으로써 청소기의 흡입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청소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By using a return channel in which a plurality of blade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are disposed, the suction power of the cleaner can be improved and the size of the cleaner can be reduced.

서로 분리 가능한 복수의 유닛을 결합하여 리턴 채널을 형성함으로써 청소기의 제조 내지 양산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By combining a plurality of units that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to form a return channel, it is possible to improve ease of manufacture or mass production of a clean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제2하우징의 외측 하우징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외측 하우징 및 먼지통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흡입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흡입유닛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흡입유닛 일부를 상부에서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흡입유닛에 있어서, 리턴 채널에 마련되는 복수의 날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흡입유닛에 있어서, 리턴 채널에 마련되는 복수의 날개 및 적어도 하나의 서브 날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흡입유닛을 정면에서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흡입유닛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흡입유닛에 있어서, 리턴채널의 제 1유닛을 하부에서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흡입유닛에 있어서, 리턴채널의 제 2유닛을 상부에서 도시한 도면
도 13a 및 1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흡입유닛에 있어서, 리턴채널의 제 1유닛 및 제 2유닛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흡입유닛에 있어서, 노즈콘을 포함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본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흡입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흡입유닛 분해사시도
도 19는 본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흡입유닛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흡입유닛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흡입유닛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흡입유닛의 다른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에 있어서, 이너 프레임 및 아우터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날개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
도 24a 내지 도 24p는 도 23의 복수의 날개의 연결부의 다양한 형상을 측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흡입유닛 측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에 있어서, 임펠러의 회전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기울어진 복수의 날개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에 있어서, 임펠러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기울어진 복수의 날개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2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냉각구조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냉각구조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0은 도 29의 냉각구조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3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냉각구조의 제 3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3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냉각구조의 제 4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3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냉각구조의 제 5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3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에 있어서, 복수의 날개의 배치구조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35는 도 34를 수평방향(Y)으로 절단한 일부 도면
도 3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에 있어서, 복수의 날개의 배치구조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에 있어서, 복수의 날개의 배치구조의 제 3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흡입유닛 단면도
도 3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본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 4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흡입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4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흡입유닛 분해사시도
도 4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흡입유닛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흡입유닛 단면도
도 4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흡입유닛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4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복수의 날개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46은 제 1면의 시작점(M) 및 제 2면의 시작점(N)을 연결하는 직선(A)의 임펠러의 축방향(X)에 대한 경사도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흡입력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47은 임펠러의 축방향(X)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는 수평방향(Y)으로 리턴 채널을 자른 단면(Q)상에서, 제 1면의 일 단부 및 제 2면의 일 단부를 연결한 직선(B)과 리턴 채널의 중심 및 제 1면의 일 단부를 연결한 직선(C)이 이루는 각도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흡입력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1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uter housing of the second housing of the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moved
3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uter housings and dust bins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of the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removed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ction unit of a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uction unit of a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part of a suction unit of a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above
7 is a view showing a plurality of blades provided in a return channel in the suction unit of the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plurality of blades and at least one sub blade provided in a return channel in a suction unit of a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ront view of a suction unit of a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a suction unit of a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 first unit of a return channel from a bottom in the suction unit of the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a second unit of a return channel from above in the suction unit of the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A and 13B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a first unit and a second unit of a return channel in a suction unit of a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including a nose cone in a suction unit of a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ain body of a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ction unit of a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uction unit of a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part of a suction unit of a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uction unit of a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a suction unit of a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part of a suction unit of a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3 is a view showing a part of a plurality of blades disposed between an inner frame and an outer frame in a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4A to 24P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various shapes of connecting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wings of FIG. 23 from the side
25 is a side view of a suction unit of a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6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lurality of blades inclin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otation direction of an impeller in a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7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lurality of blades inclin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an impeller in a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cooling structure of a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cooling structure of a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cooling structure of FIG. 29
3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a cooling structure of a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a cooling structure of a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fth embodiment of a cooling structure of a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n arrangement structure of a plurality of blades in a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5 is a partial view of FIG. 34 cu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Y)
36 is a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n arrangement structure of a plurality of blades in a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7 is a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an arrangement structure of a plurality of blades in a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uction unit of a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ain body of a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ction unit of a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uction unit of a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 suction unit of a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uction unit of a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a suction unit of a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nlarged portion of a plurality of wings of a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6 is a slope of the impeller in the axial direction (X) of a straight line (A) connecting the starting point (M) of the first surface and the starting point (N) of the second surface, and suction force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47 is a straight line connecting one end of the first surface and one end of the second surface (B ) And a straight line (C) connecting one end of the first surface and the center of the return channel, and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ction force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아래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terms "front", "rear", "upper", "lower", "top" and "lower" used in the description below are defined based on the drawings, and the shape and position of each component according to this term Is not limi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기는 로봇 청소기(1000)를 포함할 수 있다. 로봇 청소기(1000)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본체의 외관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는 하우징(300)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cleaner may include a robot cleaner 1000. The robot cleaner 1000 may include a body forming an exterior and a housing 300 form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exterior of the body.

하우징(300)은 전방에 형성되는 제1하우징(400)과, 제1하우징(400)의 후방에 형성되는 제2하우징(5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하우징(400)과 제2하우징(500)의 사이에는 제1하우징(400)과 제2하우징(500)을 연결시키는 연결부재(600)가 위치할 수 있다.The housing 300 may include a first housing 400 formed at the front and a second housing 500 formed at the rear of the first housing 400. A connection member 600 connecting the first housing 400 and the second housing 50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housing 400 and the second housing 500.

제2하우징(500)에는 먼지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집진 유닛(530)이 결합될 수 있다. 집진 유닛(530)은 먼지를 흡입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흡입유닛(100)과, 흡입된 먼지를 저장하는 집진통(510)을 포함할 수 있다.A dust collecting unit 530 configured to store dust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housing 500. The dust collection unit 530 may include a suction unit 100 that provides power to suck dust and a dust collection container 510 that stores the sucked dust.

집진통(510)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오목하게 마련되는 파지부(511)가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파지부(511)를 파지하여 집진통(510)을 회전시켜 제2하우징(500)으로부터 집진통(510)을 분리할 수 있다. 집진통(510)을 분리하여 사용자는 집진통(510) 내의 누적된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제2하우징(500)의 측면에는 본체를 구동시키는 구동 유닛이 마련될 수 있다. 구동 유닛은 본체의 주행을 위한 구동휠(540)과, 본체의 주행 부하를 최소화하기 위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롤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휠(540)은 제2하우징(500)의 양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510 may be provided with a gripping portion 511 that is concavely provided so that a user can grip it. The user can separate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510 from the second housing 500 by rotating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510 by holding the gripping part 511. By separating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510, the user can remove accumulated dust i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510.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main body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second housing 500. 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driving wheel 540 for driving of the main body and a roller (not shown) provided to be rotated to minimize a driving load of the main body. The driving wheel 540 may b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second housing 500.

제1하우징(400)에는 바닥의 먼지를 쓸어 담도록 구성되는 브러시 유닛(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제1하우징(400)의 전면부에는 로봇청소기(1b)의 주행 시, 로봇청소기(1b)가 벽면에 부딪혀 발생하는 소음과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범퍼(700)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범퍼(700)에는 별도의 완충부재(710)가 결합될 수 있다.A brush unit (not shown) configured to sweep dust off the floor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housing 400. A bumper 700 for mitigating noise and impact generated when the robot cleaner 1b hits a wall may be coupled to the front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400 when the robot cleaner 1b is driven. In addition, a separate buffer member 710 may be coupled to the bumper 700.

제1하우징(400)의 상면에는 진입 차단 센서(720)가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진입 차단 센서(720)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소정의 구간에 로봇청소기(1b)가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진입 차단 센서(720)는 제1하우징(400)의 양측에 마련될 수 있다.An entry blocking sensor 72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400 to protrude. The entry blocking sensor 720 may detect infrared rays to prevent the robot cleaner 1b from entering a predetermined section. The entry blocking sensor 720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housing 400.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제2하우징의 외측 하우징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외측 하우징 및 먼지통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2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uter housing of the second housing of the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moved, and FIG. 3 is an outer side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of the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using and the dust bin are removed.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하우징(500)의 내측에는 본체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유닛(550)이 결합될 수 있다. 전원유닛(550)은 배터리(미도시)와, 메인보드(551)와, 메인보드(551)의 상측에 위치하며 로봇 청소기(1000)의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유닛(550)은 집진 유닛(530)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and 3, a power unit 550 that supplies power for driving the main body may b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housing 500. The power unit 550 may include a battery (not shown), a main board 551, and a display unit (not shown) located above the main board 551 and displaying the state of the robot cleaner 1000. have. The power unit 550 may be disposed to be located behind the dust collecting unit 530.

배터리(미도시)는 재충전이 가능한 2차 배터리로 마련되며, 본체가 청소 과정을 완료하고 도킹스테이션(미도시)에 결합된 경우 도킹스테이션(미도시)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된다.The battery (not shown) is provided as a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y, and when the main body is coupled to a docking station (not shown) after completing the cleaning process, it is charg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docking station (not shown).

집진통(510)을 제거하면 먼지를 흡입하여 집진통(510) 내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송풍팬(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송풍팬의 작동으로 인하여 집진통(510)에 먼지가 누적되고 사용자는 집진통(510)을 분리하여 먼지를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Whe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510 is removed, a blowing fan (not shown) may be provided to suck dust and move it into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510. Due to the operation of the blower fan, dust accumulates in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510, and the user can remove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510 to easily discharge the dust.

흡입유닛(100b)은 흡입 유닛 하우징(미도시)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흡입유닛(100b)은 집진통(510)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휠(540)은 집진통(510)과 흡입유닛(100b)의 각각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구동휠(540)은 제1구동휠(541)과 제2구동휠(5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구동휠(541)은 흡입유닛(100b)의 측면에 배치되고, 제2구동휠(542)은 집진통(51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The suction unit 100b may be located inside the suction unit housing (not shown). The suction unit 100b may be coupled to the side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5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wheel 540 may be disposed on each side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510 and the suction unit 100b. That is, the driving wheel 540 may include a first driving wheel 541 and a second driving wheel 542. The first driving wheel 541 may b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suction unit 100b, and the second driving wheel 542 may b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510.

이에 따라, 집진통(510), 흡입유닛(100b) 및 구동휠(540)은 본체의 횡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집진통(510), 흡입유닛(100b) 및 구동휠(540)은 일직선에 근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510, the suction unit 100b, and the driving wheel 540 may be dispos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main body. That is,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510, the suction unit 100b, and the driving wheel 540 may be disposed to be close to a straight line.

흡입유닛(100b)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uction unit 100b will be described later.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흡입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흡입유닛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흡입유닛 일부를 상부에서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ction unit of a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uction unit of the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portion of a suction unit of a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above.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봇 청소기(1000)는 외부공기를 본체 내부로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유닛(100b)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4 to 6, the robot cleaner 1000 may include a suction unit 100b that generates a suction force for suctioning external air into the body.

흡입유닛(100b)은 임펠러(IMPELLER)(110), 임펠러 커버(IMPELLER COVER)(120) 및 리턴 채널(RETURN CHANNEL)(130b)을 포함할 수 있다.The suction unit 100b may include an impeller (IMPELLER) 110, an impeller cover (IMPELLER COVER) 120 and a return channel (RETURN CHANNEL) (130b).

임펠러 커버(120)에는 흡기구(121)가 형성될 수 있다.An intake port 121 may be formed in the impeller cover 120.

회전 가능한 임펠러(110)는 임펠러 커버(120)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The rotatable impeller 110 may be provided inside the impeller cover 120.

임펠러(110)는 모터(140)에 연결되어 회전함으로써 공기를 흡입유닛(100b)의 내부로 흡입하는 역할을 한다.The impeller 110 is connected to the motor 140 and rotates to suck air into the suction unit 100b.

임펠러(110)는 임펠러(110)의 축방향(X)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방향으로 토출하는 원심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impeller 110 may be configured as a centrifugal fan that sucks air in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110 and discharges it in the radial direction.

임펠러(110)는 제 1플레이트(111), 제 2플레이트(112) 및 복수의 회전날개(113)를 포함할 수 있다.The impeller 110 may include a first plate 111, a second plate 112 and a plurality of rotating blades 113.

제 1플레이트(111) 및 제 2플레이트(112)는 서로 마주하도록 상하로 배치될 수 있고, 제 1플레이트(111) 및 제 2플레이트(112) 사이에는 복수의 회전날개(113)가 위치할 수 있다.The first plate 111 and the second plate 112 may be disposed vertically to face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rotation blades 113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plate 111 and the second plate 112. have.

복수의 회전날개(113)의 상면은 복수의 회전날개(113) 상부에 위치하는 제 1플레이트(111)에 결합되고, 복수의 회전날개(113)의 하면은 복수의 회전날개(113) 하부에 위치하는 제 2플레이트(112)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플레이트(111), 제 2플레이트(112) 및 복수의 회전날개(113)는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rotary blades 113 is coupled to the first plate 111 located above the plurality of rotary blades 113,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rotary blades 113 is under the plurality of rotary blades 113. It may be coupled to the positioned second plate 112. Accordingly, the first plate 111, the second plate 112, and the plurality of rotary blades 113 may rotate integrally.

제 1플레이트(111)에는 임펠러 커버(120)의 흡기구(121)에 대응하는 개구홀(114)이 형성될 수 있다. 흡기구(121)를 통과한 공기는 개구홀(114)을 거쳐 임펠러(1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An opening hole 114 corresponding to the intake port 121 of the impeller cover 120 may be formed in the first plate 111.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intake port 121 may be introduced into the impeller 110 through the opening hole 114.

제 2플레이트(112)에는 모터축(141)의 일 단부가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플레이트(111), 제 2플레이트(112) 및 복수의 회전날개(113)는 모터축(141)을 중심으로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One end of the motor shaft 141 may be fixed to the second plate 112. Accordingly, the first plate 111, the second plate 112, and the plurality of rotary blades 113 may integrally rotate around the motor shaft 141.

서로 이격되도록 제 1플레이트(111) 및 제 2플레이트(112)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회전날개(113)는 유로(115)를 형성할 수 있다. 개구홀(114)을 통과하여 임펠러(1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유로(115)를 따라 이동하여 리턴 채널(130b)에 형성되는 배출유로(161)로 전달된다.A plurality of rotary blades 113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plate 111 and the second plate 112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may form a flow path 115.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mpeller 110 through the opening hole 114 moves along the flow path 115 and is transferred to the discharge flow path 161 formed in the return channel 130b.

임펠러(110)는 반경방향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형상을 가지는 바디(Body) 및 블레이드(Blade)를 포함하는 3D 임펠러를 포함할 수 있다.Impeller 110 may include a 3D impeller including a body (Body) and a blade (Blade) having a lower shape in the radial direction.

임펠러(11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며,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는다.The shape of the impeller 110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리턴 채널(130b)은 임펠러(110)에 의해 흡입유닛(100b)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의 운동에너지를 압력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개구홀(114)을 통해 임펠러(1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회전운동을 한 후, 리턴 채널(130b)로 전달된다. 리턴 채널(130b)은 임펠러(110)를 통과한 공기를 수거하여 동압을 정압으로 전환시킨다. 또한, 리턴 채널(130b)은 공기가 흡입유닛(100b)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방지할 수도 있다. 즉, 리턴 채널(130b)은 디퓨져(DIFFUSER) 및 디스월러(DESWIRLER)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다.The return channel 130b serves to convert the kinetic energy of the air sucked into the interior of the suction unit 100b by the impeller 110 into pressure energy. Specifically,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mpeller 110 through the opening hole 114 is transmitted to the return channel 130b after performing a rotational motion. The return channel 130b collects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impeller 110 and converts the dynamic pressure into a positive pressure. In addition, the return channel 130b may prevent noise that may occur while air passes through the intake unit 100b. That is, the return channel 130b may simultaneously serve as a diffuser (DIFFUSER) and a diswaller (DESWIRLER).

리턴 채널(130b)은 임펠러 커버(120)와 결합하여 내부에 임펠러(110)를 수용할 수 있는 임펠러 수용공간(134)을 형성할 수 있다.The return channel 130b may be combined with the impeller cover 120 to form an impeller accommodation space 134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impeller 110 therein.

리턴 채널(130b)은 임펠러(11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return channel 130b may be disposed under the impeller 110.

리턴 채널(130b)은 임펠러(110)를 통과한 공기가 바로 유입될 수 있도록 임펠러(110)에 직결될 수 있다.The return channel 130b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impeller 110 so that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impeller 110 can be directly introduced.

리턴 채널(130b)은 분리 가능하다. 즉, 리턴 채널(130b)은 서로 분리 가능한 복수의 유닛(139a,139b)이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return channel 130b is detachable. That is, the return channel 130b may be form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units 139a and 139b that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복수의 유닛(139a,139b)은 임펠러(110)의 축방향(X)에 대하여 경사를 형성하도록 분리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유닛(139a,139b)은 임펠러(110)의 축방향(X)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는 수평방향(Y)으로 분리될 수 있다.A plurality of units (139a, 139b) is detachable to form an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110). Preferably, the plurality of units (139a, 139b) may be separa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Y)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110).

복수의 유닛(139a,139b)은 제 1유닛(139a) 및 제 2유닛(139b)을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units 139a and 139b may include a first unit 139a and a second unit 139b.

제 1유닛(139a)은 임펠러(110)를 통과한 공기가 이동하는 방향(G)의 상류측에 위치하고, 제 2유닛(139b)은 임펠러(110)를 통과한 공기가 이동하는 방향(G)의 하류측에 위치할 수 있다.The first unit (139a) is locat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moving direction (G)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impeller (110), the second unit (139b) is the direction (G)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impeller (110) It can be located on the downstream side of.

제 1유닛(139a)은 임펠러 커버(120)와 결합할 수 있다. 제 2유닛(139b)은 분리 가능하도록 제 1유닛(139a)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unit 139a may be coupled to the impeller cover 120. The second unit 139b may be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unit 139a to be detachable.

제 1유닛(139a) 및 제 2유닛(139b)은 서로 단차를 형성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The first unit 139a and the second unit 139b may be combined to form a step difference with each other.

제 2유닛(139b)은 제 1유닛(139a)보다 더 넓은 너비를 가질 수 있다. 즉, 제 2유닛(139b)은 제 1유닛(139a)보다 임펠러(110)의 축방향(X)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는 수평방향(Y)으로 외측을 향하여 더 돌출될 수 있다.The second unit 139b may have a wider width than the first unit 139a. That is, the second unit 139b may protrude further toward the outside in a horizontal direction (Y)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110 than the first unit (139a).

복수의 유닛(139a,139b)은 제 1유닛(139a) 및 제 2유닛(139b)에 한정하지 않는다.The plurality of units 139a and 139b are not limited to the first unit 139a and the second unit 139b.

리턴 채널(130b)은 이너 프레임(INNER FRAME)(131), 아우터 프레임(OUTER FRAME)(132) 및 복수의 날개(160)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turn channel 130b may include an inner frame 131, an outer frame 132, and a plurality of wings 160.

아우터 프레임(132)은 이너 프레임(131)의 외주면을 따라 이너 프레임(131)의 외측에 위치하고, 임펠러 커버(120)와 결합하여 임펠러(110)를 수용하는 임펠러 수용공간(134)을 형성할 수 있다.The outer frame 132 is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inner frame 131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frame 131 and is combined with the impeller cover 120 to form an impeller accommodation space 134 for accommodating the impeller 110. have.

리턴 채널(130b)은 임펠러(11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고, 이너 프레임(131)의 상면에는 임펠러(110)가 안착되는 안착부(133)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임펠러(110)가 안착되는 안착부(133)는 제 1유닛(139a)의 이너 프레임(131)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The return channel 130b may be located under the impeller 110, and a seating portion 133 on which the impeller 110 is seated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frame 131. That is, the seating portion 133 on which the impeller 110 is seated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frame 131 of the first unit 139a.

이너 프레임(131)과 아우터 프레임(132)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inner frame 131 and the outer frame 132 may be integrally formed.

복수의 날개(160)는 이너 프레임(131) 및 아우터 프레임(132) 사이에 길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날개(160)는 임펠러(110)의 축방향(X)을 따라 이너 프레임(131) 및 아우터 프레임(132) 사이에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날개(160)는 임펠러(110)의 축방향(X)으로 긴 배출유로(161)를 형성할 수 있고, 추가적인 정압을 상승시켜 흡입유닛(100b)의 흡입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plurality of wings 160 may be long disposed between the inner frame 131 and the outer frame 132. Specifically, the plurality of blades 160 may be formed to be elongated between the inner frame 131 and the outer frame 132 along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110. Accordingly, the plurality of blades 160 may form a long discharge passage 161 in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110, and the suction performance of the suction unit 100b may be improved by increasing an additional static pressure. .

복수의 날개(16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lurality of wings 160 will be described later.

흡입유닛(100b)은 인쇄회로기판(210) 및 지지유닛(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uction unit 100b may further include a printed circuit board 210 and a support unit 200.

인쇄회로기판(210)은 임펠러(110)의 축방향(X)으로 리턴 채널(130b)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인쇄회로기판(210)은 배출유로(161)의 출구(135)와 인접하도록 리턴 채널(130b)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210)은 배출유로(161)를 막지 않도록 리턴 채널(130b)의 내측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The printed circuit board 210 may be located under the return channel 130b in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110. That is, the printed circuit board 210 may be located under the return channel 130b so as to be adjacent to the outlet 135 of the discharge passage 161. The printed circuit board 210 may be located below the inner side of the return channel 130b so as not to block the discharge passage 161.

지지유닛(200)은 임펠러(110)의 축방향(X)으로 인쇄회로기판(21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지지유닛(200)은 리턴 채널(130b)의 내부에 마련되는 모터(140) 및 인쇄회로기판(210)을 리턴 채널(130b)의 하부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support unit 200 may be located under the printed circuit board 210 in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110. The support unit 200 serves to support the motor 140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210 provided in the return channel 130b under the return channel 130b.

지지유닛(200)은 고정부재(960)에 의해 리턴 채널(130b)의 내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220)에 결합될 수 있다.The support unit 200 may be coupled to at least one protrusion 220 formed in the return channel 130b by the fixing member 960.

리턴 채널(130b)의 너비는 임펠러(110)의 너비보다 더 넓을 수 있다.The width of the return channel 130b may be wider than the width of the impeller 110.

임펠러(110)의 축방향(X)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는 수평방향(Y)으로 아우터 프레임(132)을 가로지르는 리턴 채널(130b)의 너비(이하, 이를 "리턴 채널의 너비(W)"라 칭한다.)는 임펠러(110)의 축방향(X)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는 수평방향(Y)으로 임펠러(110)를 가로지르는 임펠러(110)의 너비(이하, 이를 "임펠러의 너비(Z)"라 칭한다.)보다 더 넓을 수 있다.The width of the return channel 130b crossing the outer frame 132 in the horizontal direction (Y)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1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width of the return channel (W)" ) Is the width of the impeller 110 crossing the impeller 110 in a horizontal direction (Y)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1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width of the impeller (Z)" It can be wider than).

임펠러의 너비(Z)는 리턴 채널의 너비(W)의 70%이상 100%미만에 해당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임펠러(110)의 제 2플레이트(112)의 직경은 리턴 채널(130b)의 아우터 프레임(132)의 직경의 70%이상 100%미만에 해당할 수 있다.The width (Z) of the impeller may correspond to 70% or more and less than 100% of the width (W) of the return channel. Specifically, the diameter of the second plate 112 of the impeller 110 may correspond to 70% or more and less than 100% of the diameter of the outer frame 132 of the return channel 130b.

임펠러의 너비(Z) 및 리턴 채널의 너비(W)가 동일한 경우, 즉, 임펠러의 너비(Z)가 리턴 채널의 너비(W)의 100%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임펠러(110)를 통과한 공기가 리턴 채널(130b)에 형성되는 배출유로(161)에 전달되기 어렵다.When the width (Z) of the impeller and the width (W) of the return channel are the same, that is, when the width (Z) of the impeller corresponds to 100% of the width (W) of the return channel, the air passing through the impeller 110 Is difficult to be transmitted to the discharge passage 161 formed in the return channel 130b.

임펠러(110)의 제 2플레이트(112) 및 리턴 채널(130b)의 아우터 프레임(132) 사이의 이격 정도는 4mm이상 8mm이하일 수 있다. 이는 흡입유닛(100b)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The degree of separation between the second plate 112 of the impeller 110 and the outer frame 132 of the return channel 130b may be 4 mm or more and 8 mm or less. This can be variously modified according to the shape and size of the suction unit (100b).

흡입유닛(100b)은 임펠러(110)가 회전할 수 있는 원동력을 제공하는 모터(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uction unit 100b may further include a motor 140 that provides a motive force through which the impeller 110 can rotate.

모터(140)는 BLDC모터, DC모터 및 AC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tor 140 may include a BLDC motor, a DC motor, and an AC motor.

모터(140)는 리턴 채널(130b)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터(140)는 이너 프레임(131)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The motor 140 may be provided inside the return channel 130b. Specifically, the motor 140 may be provided inside the inner frame 131.

모터(140)는 모터축(141)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축(141)의 일 단부는 임펠러(110)의 제 2플레이트(112)에 연결되고, 모터축(141)의 다른 단부는 모터(140)에 연결된다.The motor 140 may include a motor shaft 141. One end of the motor shaft 141 is connected to the second plate 112 of the impeller 110, and the other end of the motor shaft 141 is connected to the motor 140.

이너 프레임(131)의 안착부(133)에는 모터축(141)의 일 단부가 이너 프레임(131) 상부에 위치하는 임펠러(110)의 제 2플레이트(112)에 연결되도록 모터축관통홀(136)이 형성될 수 있다.In the seating portion 133 of the inner frame 131, one end of the motor shaft 141 is connected to the second plate 112 of the impeller 110 located above the inner frame 131. ) Can be formed.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흡입유닛에 있어서, 리턴 채널에 마련되는 복수의 날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흡입유닛에 있어서, 리턴 채널에 마련되는 복수의 날개 및 적어도 하나의 서브 날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리턴 채널(130b)의 아우터 프레임(132)을 생략한다.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한다.7 is a view showing a plurality of blades provided in a return channel in a suction unit of a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view showing a suction unit of a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iew showing a plurality of blades and at least one sub blade provided in the return channel. In FIGS. 7 and 8, the outer frame 132 of the return channel 130b is omit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Reference numerals not shown refer to FIGS. 1 to 6.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턴 채널(130b)에는 복수의 날개(160)가 배치될 수 있다.7 and 8, a plurality of wings 160 may be disposed in the return channel 130b.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의 날개(160)는 임펠러(110)의 축방향(X)을 따라 이너 프레임(131) 및 아우터 프레임(132) 사이에 길게 형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lurality of blades 160 may be formed to be elongated between the inner frame 131 and the outer frame 132 along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110.

복수의 날개(160)는 임펠러(110)의 축방향(X)에 대하여 경사를 형성하도록 리턴 채널(130b)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날개(160)는 이너 프레임(131) 및 아우터 프레임(132) 사이에 경사를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blades 160 may be disposed in the return channel 130b to form an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110. Specifically, the plurality of wings 160 may be disposed to form an inclination between the inner frame 131 and the outer frame 132.

복수의 날개(160)는 서로 이격되어 이너 프레임(131) 및 아우터 프레임(13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서로 이격된 복수의 날개(160)는 임펠러(110)를 통과한 공기가 이동하는 배출유로(161)를 형성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wings 16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disposed between the inner frame 131 and the outer frame 132. A plurality of blades 16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may form a discharge passage 161 through which air passing through the impeller 110 moves.

배출유로(161)는 입구(137) 및 출구(135)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유로(161)의 입구(137)는 임펠러(110)를 통과한 공기가 입구(137)를 통해 배출유로(161)로 유입될 수 있도록 임펠러(110)를 향하는 배출유로(161)의 상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배출유로(161)의 출구(135)는 배출유로(161)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가 출구(135)를 통해 흡입유닛(100b)의 외측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배출유로(161)의 하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The discharge passage 161 may include an inlet 137 and an outlet 135. The inlet 137 of the discharge passage 161 is at the upper end of the discharge passage 161 toward the impeller 110 so that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impeller 110 can be introduced into the discharge passage 161 through the inlet 137 Can be formed. The outlet 135 of the discharge passage 161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passage 161 so that the air moving along the discharge passage 161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uction unit 100b through the outlet 135. I can.

배출유로(161)의 출구(135)를 향할수록 복수의 날개(160) 사이의 이격 정도는 커질 수 있다. 즉, 출구(135)에 가까워질수록 배출유로(161)의 폭이 넓어질 수 있다.The degree of separa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blades 160 may increase as the discharge passage 161 faces the outlet 135. That is, the closer to the outlet 135, the wider the width of the discharge passage 161 may be.

복수의 날개(160)는 제 1면(162) 및 제 2면(163)을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wings 160 may include a first surface 162 and a second surface 163.

제 1면(162)은 이너 프레임(131)의 외면과 마주하고, 제 2면(163)은 아우터 프레임(132)의 내면과 마주할 수 있다. 제 1면(162)은 제 1면(162)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시작점(M)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면(163)은 제 2면(163)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시작점(N)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면(163)의 시작점(N)은 제 1면(162)의 시작점(M)과 함께 배출유로(161)의 입구(137)를 형성할 수 있다.The first surface 162 may face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frame 131, and the second surface 163 may face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132. The first surface 162 may include a starting point M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surface 162. The second surface 163 may include a starting point N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urface 163. The starting point N of the second surface 163 may form the inlet 137 of the discharge passage 161 together with the starting point M of the first surface 162.

배출유로(161)의 입구(137)를 형성하는 복수의 날개(160)는 임펠러(110)의 축방향(X)에 대하여 0ㅀ이상 90ㅀ이하 기울어 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임펠러(110)의 축방향(X)에 대하여 배출유로(161)의 입구(137)를 형성하는 복수의 날개(160)의 제 2면(163)이 이루는 각도(θ)는 0ㅀ이상 90ㅀ이하일 수 있다.The plurality of blades 160 forming the inlet 137 of the discharge passage 161 may be inclined from 0° to 90°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110). Specifically, the angle θ formed by the second surface 163 of the plurality of blades 160 forming the inlet 137 of the discharge passage 161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110 is 0 ㅀ It may be more than 90ㅀ.

또는, 임펠러(110)의 축방향(X)에 대하여 배출유로(161)의 입구(137)를 형성하는 복수의 날개(160)의 접선이 이루는 각도(θ)는 0ㅀ이상 90ㅀ이하일 수 있다.Alternatively, the angle θ formed by the tangent line of the plurality of blades 160 forming the inlet 137 of the discharge passage 161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110 may be 0° or more and 90° or less. .

배출유로(161)의 출구(135)를 형성하는 복수의 날개(160)는 임펠러(110)의 축방향(X)에 대하여 0ㅀ이상 90ㅀ이하 기울어 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임펠러(110)의 축방향(X)에 대하여 배출유로(161)의 출구(135)를 형성하는 복수의 날개(160)의 제 2면(163)이 이루는 각도(θ)는 0ㅀ이상 90ㅀ이하일 수 있다.The plurality of blades 160 forming the outlet 135 of the discharge passage 161 may be inclined from 0° to 90°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110. Specifically, the angle θ formed by the second surface 163 of the plurality of blades 160 forming the outlet 135 of the discharge passage 161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110 is 0 ㅀ It may be more than 90ㅀ.

또는, 임펠러(110)의 축방향(X)에 대하여 배출유로(161)의 출구(135)를 형성하는 복수의 날개(160)의 접선이 이루는 각도(θ)는 0ㅀ이상 90ㅀ이하일 수 있다.Alternatively, the angle θ formed by the tangent line of the plurality of blades 160 forming the outlet 135 of the discharge passage 161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110 may be 0° or more and 90° or less. .

복수의 날개(160)의 제 1면(162)은 이너 프레임(131)의 외면에 결합될 수 있고, 복수의 날개(160)의 제 2면(163)은 아우터 프레임(132)의 내면에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surface 162 of the plurality of blades 160 may be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frame 131, and the second surface 163 of the plurality of blades 160 i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132 Can be.

복수의 날개(160)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wings 160 may include a curved surface.

복수의 날개(160)가 기울어진 방향은 임펠러(110)의 회전방향과 관계가 있다. 구체적으로, 임펠러(110)가 제 1방향(H)을 향하여 회전하는 경우, 복수의 날개(160)는 임펠러(110)의 축방향(X)에 대하여 제 1방향(H)과 반대방향인 제 2방향(I)을 따라 기울어질 수 있다.The direction in which the plurality of blades 160 are inclined is related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impeller 110. Specifically, when the impeller 110 rotates in the first direction (H), the plurality of blades 160 ar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H)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110. It can be tilted along two directions (I).

리턴 채널(130b)의 복수의 날개(160)의 개수는 임펠러(110)의 복수의 회전날개(113)의 개수와 관계가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날개(160)의 개수 및 복수의 회전날개(113)의 개수 중 어느 하나를 다른 하나로 나눌 경우, 그 값은 무한소수일 수 있다.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blades 160 of the return channel 130b may be related to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rotating blades 113 of the impeller 110. Specifically, when any one of the number of blades 160 and the number of rotation blades 113 is divided into the other, the value may be an infinite number.

복수의 날개(160) 및 복수의 회전날개(113) 중 적어도 하나의 개수는 홀수일 수 있다. 일 예로써, 리턴 채널(130b)의 복수의 날개(160)의 개수는 13개 이상 23개 이하의 홀수일 수 있다. 다만, 복수의 날개(160)의 개수는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는다.The number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blades 160 and the plurality of rotation blades 113 may be an odd number. As an example,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blades 160 of the return channel 130b may be an odd number of 13 or more and 23 or less. However,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wings 160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리턴 채널(130b)은 적어도 하나의 서브 날개(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eturn channel 130b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sub wing 800.

적어도 하나의 서브 날개(800)는 공기가 흡입유닛(100b)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At least one sub-wing 800 serves to reduce noise that may be generated while air passes through the intake unit 100b.

적어도 하나의 서브 날개(800)는 배출유로(161) 상에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sub wing 800 may be formed on the discharge passage 161.

적어도 하나의 서브 날개(800)는 배출유로(161)를 형성하는 복수의 날개(160)와 동일한 경사를 가지도록 복수의 날개(16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At least one sub blade 80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blades 160 to have the same slope as the plurality of blades 160 forming the discharge passage 161.

적어도 하나의 서브 날개(800)는 배출유로(161)의 입구(137) 및 출구(135)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sub wing 800 may be formed at at least one of the inlet 137 and the outlet 135 of the discharge passage 161.

적어도 하나의 서브 날개(800)는 임펠러(110)의 축방향(X)으로 복수의 날개(160)보다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날개(800)는 임펠러(110)의 축방향(X)으로 복수의 날개(160)의 50% 이하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At least one sub blade 800 may have a height lower than that of the plurality of blades 160 in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110. Preferably, at least one sub-wing 800 may have a height of 50% or less of the plurality of blades 160 in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110.

적어도 하나의 서브 날개(800)는 임펠러(110)의 축방향(X)으로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또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날개(800)는 임펠러(110)의 축방향(X)으로 서로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sub blades 800 may have different heights in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110. Alternatively, at least one of the sub blades 800 may have the same height in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110.

적어도 하나의 서브 날개(800)는 제 1면(162a) 및 제 2면(163a)을 포함할 수 있다.At least one sub wing 800 may include a first surface 162a and a second surface 163a.

제 1면(162a)은 이너 프레임(131)의 외면과 마주하고, 제 2면(163a)은 아우터 프레임(132)의 내면과 마주할 수 있다.The first surface 162a may face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frame 131, and the second surface 163a may face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132.

적어도 하나의 서브 날개(800)의 제 1면(162a)은 이너 프레임(131)의 외면에 결합되고, 제 2면(163a)은 아우터 프레임(132)의 내면에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surface 162a of the at least one sub wing 800 may be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frame 131, and the second surface 163a may be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132.

또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날개(800)의 제 1면(162a)은 이너 프레임(131)의 외면에 결합되고, 제 2면(163a)은 아우터 프레임(132)의 내면에서 이격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first surface 162a of the at least one sub wing 800 may be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frame 131, and the second surface 163a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132.

또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날개(800)의 제 1면(162a)은 이너 프레임(131)의 외면에서 이격되고, 제 2면(163a)은 아우터 프레임(132)의 내면에 결합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first surface 162a of the at least one sub wing 80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frame 131, and the second surface 163a may be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132.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흡입유닛을 정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9 is a front view of a suction unit of a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날개(160)는 임펠러(110)의 축방향(X)으로 흡입유닛(100b)의 80% 이상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날개(160)의 제 2면(163)은 임펠러(110)의 축방향(X)으로 흡입유닛(100b)의 80%이상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흡입유닛(100b)의 높이(E)는 임펠러 커버(120) 및 리턴 채널(130b)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 있어서, 임펠러 커버(120)의 상단부에서 리턴 채널(130b)의 하단부에 이르는 거리는 가리킨다.As shown in FIG. 9, the plurality of blades 160 may have a height of 80% or more of the suction unit 100b in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110. Specifically, the second surface 163 of the plurality of blades 160 may have a height of 80% or more of the suction unit 100b in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110. The height E of the suction unit 100b indicates a distance from the upper end of the impeller cover 120 to the lower end of the return channel 130b in a state in which the impeller cover 120 and the return channel 130b are coupled to each other.

배출유로(161)의 입구(137)에 대응하는 복수의 날개(160)는 흡입유닛(100b) 높이(E)의 상단부에서 임펠러(110)의 축방향(X)으로 하방을 향하여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출유로(161)의 입구(137)를 형성하는 제 2면(163)의 시작점(N)은 흡입유닛(100b) 높이(E)의 상단부에서 임펠러(110)의 축방향(X)으로 하방을 향하여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blades 160 corresponding to the inlet 137 of the discharge passage 161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end of the suction unit 100b height (E) toward the lower side in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11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 can. Specifically, the starting point (N) of the second surface 163 forming the inlet 137 of the discharge passage 161 is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110 at the upper end of the height E of the suction unit 100b It can be separated by a certain interval toward the downward direction.

배출유로(161)의 출구(135)에 대응하는 복수의 날개(160)는 흡입유닛(100b) 높이(E)의 하단부와 임펠러(110)의 축방향(X)으로 동일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출유로(161)의 출구(135)를 형성하는 제 2면(163)은 흡입유닛(100b) 높이(E)의 하단부와 임펠러(110)의 축방향(X)으로 동일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blades 160 corresponding to the outlet 135 of the discharge passage 161 may be located at the same position in the lower end of the suction unit 100b height E and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110 . Specifically, the second surface 163 forming the outlet 135 of the discharge passage 161 is located at the same position in the lower end of the suction unit 100b height E and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110 can do.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흡입유닛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한다.10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art of a suction unit of a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numerals not shown refer to FIGS. 1 to 9.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날개(160)의 제 2면(163)의 시작점(N)은 제 1면(162)의 시작점(M)보다 임펠러 커버(120)를 향하여 상방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즉, 제 2면(163)의 시작점(N)은 제 1면(162)의 시작점(M)보다 임펠러(110)의 축방향(X)으로 더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the starting point (N) of the second surface 163 of the plurality of blades 160 extends upward toward the impeller cover 120 than the starting point (M) of the first surface 162 Can be. That is, the starting point N of the second surface 163 may be formed at a higher position in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110 than the starting point M of the first surface 162.

제 2면(163)의 시작점(N)은 임펠러(110)의 축방향(X)으로 임펠러(110)에 형성되는 유로(115) 높이의 10%이상 70%이하에 해당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임펠러(110)에 형성되는 유로(115) 높이는 제 1플레이트(111) 및 제 2플레이트(112) 사이의 간격을 가리킨다.The starting point (N) of the second surface 163 may be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10% or more and 70% or less of the height of the flow path 115 formed in the impeller 110 in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110. have. The height of the flow path 115 formed in the impeller 110 indicate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plate 111 and the second plate 112.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흡입유닛에 있어서, 리턴채널의 제 1유닛을 하부에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흡입유닛에 있어서, 리턴채널의 제 2유닛을 상부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a 및 1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흡입유닛에 있어서, 리턴채널의 제 1유닛 및 제 2유닛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한다.FIG. 11 is a view showing a first unit of a return channel from below in the suction unit of the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view showing the suction unit of the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showing the second unit of the return channel from the top. 13A and 13B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a first unit and a second unit of a return channel in a suction unit of a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numerals not shown refer to FIGS. 1 to 10.

도 11 내지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턴 채널(130b)은 복수의 유닛(139a,139b)을 결합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방지유닛(9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1 to 13B, the return channel 130b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anti-rotation unit 900 for coupling a plurality of units 139a and 139b.

적어도 하나의 회전방지유닛(900)은 서로 이격되도록 리턴 채널(130b)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회전방지유닛(900)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될 수 있다.At least one rotation preventing unit 900 may be formed inside the return channel 130b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least one rotation preventing unit 90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적어도 하나의 회전방지유닛(900)은 돌기(910) 및 체결부(920)를 포함할 수 있다.At least one rotation preventing unit 900 may include a protrusion 910 and a fastening part 920.

돌기(910)는 제 1유닛(139a) 및 제 2유닛(139b) 중 어느 하나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구체적으로, 돌기(910)는 제 1유닛(139a) 및 제 2유닛(139b) 중 어느 하나의 이너 프레임(131)에 마련될 수 있다.The protrusion 910 may be provided inside one of the first unit 139a and the second unit 139b. Specifically, the protrusion 910 includes the first unit 139a and the second unit 139b. It may be provided on any one of the inner frames 131.

체결부(920)는 제 1유닛(139a) 및 제 2유닛(139b) 중 다른 하나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결부(920)는 제 1유닛(139a) 및 제 2유닛(139b) 중 다른 하나의 이너 프레임(131)에 마련될 수 있다. 돌기(910)는 체결부(920)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The fastening part 920 may be provided inside the other of the first unit 139a and the second unit 139b. Specifically, the fastening part 920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frame 131 of the other of the first unit 139a and the second unit 139b. The protrusion 91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fastening portion 920.

바람직하게는 돌기(910)는 제 1유닛(139a)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돌기(910)는 임펠러(110)의 축방향(X)을 따라 하방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제 1유닛(139a)의 이너 프레임(131)에 마련될 수 있다. 돌기(910)는 제 1유닛(139a)의 이너 프레임(13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protrusion 910 may be provided inside the first unit 139a. The protrusion 910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frame 131 of the first unit 139a so as to protrude downward along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110. The protrusion 91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inner frame 131 of the first unit 139a.

돌기(910)는 원돌기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The protrusion 910 may have a circular protrusion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돌기(910)에는 이너 프레임(131)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리브(911)가 형성될 수 있다. 리브(911)는 임펠러(110)의 축방향(X)을 따라 하방을 향할수록 이너 프레임(131)의 내측을 향한 돌출 정도가 작아지도록 돌기(910)에 연결될 수 있다. 리브(911)는 돌기(9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A rib 911 protruding toward the inside of the inner frame 131 may be formed in the protrusion 910. The rib 911 may be connected to the protrusion 910 so that the degree of protrusion toward the inside of the inner frame 131 decreases as it goes downward along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110. The rib 911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protrusion 910.

체결부(920)는 제 2유닛(139b)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체결부(920)는 제 2유닛(139b)의 이너 프레임(131)의 내면에 마련될 수 있다.The fastening part 920 may be provided inside the second unit 139b. The fastening part 920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frame 131 of the second unit 139b.

제 1유닛(139a)에 형성되는 돌기(910)는 제 2유닛(139b)에 마련되는 체결부(9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임펠러(110)의 축방향(X)을 따라 하방을 향하는 리브(911)의 일 단부는 체결부(920)의 내면에 마련된 체결홈(미도시)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The protrusion 910 formed in the first unit 139a may be coupled to the fastening portion 920 provided in the second unit 139b. At this time, one end of the rib 911 facing downward along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110 may be coupled to and fixed to a fastening groove (not shown)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astening part 920.

제 1유닛(139a)의 이너 프레임(131)은 임펠러(110)의 축방향(X)을 따라 하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연장부(131a)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131a)는 이너 프레임(131)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원돌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연장부(131a)의 형상은 원돌기에 한정하지 않는다. 연장부(131a)는 제 2유닛(139b)의 내측에 결합될 수 있다. 연장부(131a)는 제 2유닛(139b)의 이너 프레임(131)의 내측에 결합될 수 있다.The inner frame 131 of the first unit 139a may include an extension part 131a protruding downward along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110. The extension part 131a may have a circular protrusion shape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inner frame 131. However, the shape of the extension part 131a is not limited to the circular protrusion. The extension part 131a may b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unit 139b. The extension part 131a may be coupled to the inner frame 131 of the second unit 139b.

제 1유닛(139a)의 돌기(910)는 연장부(131a)에 마련될 수 있다.The protrusion 910 of the first unit 139a may be provided on the extension part 131a.

제 1유닛(139a)의 돌기(910)는 연장부(131a)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The protrusion 910 of the first unit 139a may form a part of the extension part 131a.

연장부(131a)의 외면에는 제 1유닛(139a)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930)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930)는 제 1유닛(139a)의 반경방향을 향하여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 때,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930)는 배출유로(161)를 막지 않는다.At least one fixing part 930 protruding toward the outside of the first unit 139a may be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extension part 131a. That is, at least one fixing part 930 may protrude outward toward the radial direction of the first unit 139a. At this time, at least one fixing part 930 does not block the discharge passage 161.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930)는 제 2유닛(139b)의 이너 프레임(131)에 마련되는 고정홈(940)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홈(940)은 제 2유닛(139b)의 이너 프레임(131)의 내면에 마련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930)는 고정홈(94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고정홈(940) 및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930)의 개수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At least one fixing part 930 may be coupled to a fixing groove 940 provided in the inner frame 131 of the second unit 139b. The fixing groove 940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frame 131 of the second unit 139b. At least one fixing part 93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fixing groove 940. The number of fixing grooves 940 and at least one fixing part 930 may be the same.

따라서, 리턴 채널(130b)의 제 1유닛(139a) 및 제 2유닛(139b)은 적어도 하나의 회전방지유닛(900)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930) 및 고정홈(940)의 결합에 의해 제 1유닛(139a) 및 제 2유닛(139b)의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할 수 있다.Therefore, the first unit (139a) and the second unit (139b) of the return channel (130b) can be coupled detachably by at least one anti-rotation unit (900). In addition, the coupling of the first unit 139a and the second unit 139b may be further strengthened by the coupling of the at least one fixing part 930 and the fixing groove 940.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흡입유닛에 있어서, 노즈콘을 포함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13b를 참조한다.14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including a nose cone in a suction unit of a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numerals not shown refer to FIGS. 1 to 13B.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유닛(100b)은 노즈콘(NOSE CONE)(9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노즈콘(950)은 공기역학적 저항이 작도록 유선형으로 디자인될 수 있다. 노즈콘(950)은 임펠러(110)의 제 1플레이트(111)에 형성되는 개구홀(114)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임펠러(110)의 제 2플레이트(112) 상에 마련될 수 있다. 노즈콘(950)은 제 2플레이트(112)에 고정되는 모터축(141)의 일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임펠러(110)의 제 2플레이트(112)에 노즈콘(950)을 설치함으로써 개구홀(114)을 통해 임펠러(11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저항을 줄여 흡입유닛(100b)의 흡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14, the suction unit 100b may further include a nose cone 950. The nose cone 950 may be designed in a streamlined shape so that aerodynamic resistance is small. The nose cone 950 may be provided on the second plate 112 of the impeller 110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opening hole 114 formed in the first plate 111 of the impeller 110. The nose cone 950 may be coupled to one end of the motor shaft 141 fixed to the second plate 112. By installing the nose cone 950 on the second plate 112 of the impeller 110, the resistance of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mpeller 110 through the opening hole 114 is reduced, thereby improving the suction efficiency of the suction unit 100b. I can make it.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15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기(1)는 공기의 흡입력에 의해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부(11) 및 흡입부(11)에 의해 흡입된 이물질이 포집되는 본체(1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5, the cleaner 1 may include a suction unit 11 for suctioning foreign substances by the suction force of air and a body 10 for collecting foreign substances sucked by the suction unit 11 .

본체(10)와 흡입부(11) 사이에는 본체(10)에서 발생시킨 흡입력이 흡입부(11)에 전달될 수 있도록 연결호스(12)와 연결관(13)으로 연결되며 연결호스(12)와 연결관(13) 사이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14)가 마련될 수 있다.Between the main body 10 and the suction part 11, the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main body 10 is connected to the suction part 11 by a connection hose 12 and a connection pipe 13, and the connection hose 12 A handle 14 may be provided between the and the connection pipe 13 so that the user can grip it by hand.

연결호스(12)는 신축 가능한 주름관 등으로 형성되며, 연결호스(12)의 일 단부는 본체(10)에 연결되고, 연결호스(12)의 다른 단부는 손잡이(14)에 연결되어 흡입부(11)가 본체(10)를 중심으로 일정반경 내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연결관(13)은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결관(13)의 일 단부는 흡입부(11)에 연결되고, 연결관(13)의 다른 단부는 손잡이(14)에 연결되어 사용자는 서 있는 상태에서 바닥의 이물질을 청소할 수 있다.The connection hose 12 is formed of a flexible corrugated pipe, etc., and one end of the connection hose 12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hose 12 is connected to the handle 14, so that the suction unit ( 11) allows the body 10 to move freely within a certain radius. The connection pipe 13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One end of the connection pipe 13 is connected to the suction unit 11,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ipe 13 is connected to the handle 14, so that the user can clean foreign substances on the floor while standing.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본체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흡입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흡입유닛 분해사시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흡입유닛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흡입유닛 단면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흡입유닛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1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ain body of a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ction unit of the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uction unit of a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part of the suction unit of a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uction unit of a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nlarged portion of the suction unit of the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전방에는 연결호스(12)가 연결되고, 흡입부(11)가 흡입한 공기는 연결호스(12)를 따라 본체(10) 내부로 전달될 수 있다. 본체(10)의 후방 상부에는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되는 집진장치(20)에 의해 이물질이 걸러진 공기가 본체(10) 외부로 배기될 수 있도록 배기부(15)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의 내부는 집진장치(20)가 설치되는 집진실(10a), 흡입유닛(100) 및 배기유로(16)가 마련되는 흡입실(10b) 및 전원코드(미도시)가 마련되는 코드실(미도시)로 구획될 수 있다.16 to 21, a connection hose 12 is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 and the air sucked by the suction unit 11 goes into the main body 10 along the connection hose 12. Can be delivered. An exhaust part 15 may be formed at the rear and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so that air, which has been filtered by the dust collecting device 20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0, is exhaust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In addition,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10 includes a dust collecting chamber 10a in which the dust collecting device 20 is installed, a suction chamber 10b in which the suction unit 100 and the exhaust passage 16 are provided, and a power cord (not shown). It may be divided into a code room (not shown) to be provided.

집진실(10a)에는 연결호스(12)를 통해 집진실(10a) 내부로 흡입된 먼지를 모으는 집진장치(20)가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집진장치(20)로 흡입된 공기 중의 이물질을 원심력을 이용하여 분리하는 사이클론장치를 사용하였으나, 먼지를 모으는 먼지통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집진장치(20)를 착탈할 수 있도록 집진실(10a)의 상부에는 커버(21)가 힌지결합될 수 있다.A dust collecting device 20 may be installed in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0a to collect dust sucked into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0a through a connection hose 12. In the present embodiment, a cyclone device for separat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sucked by the dust collector 20 by using a centrifugal force is used, but a dust bin for collecting dust may be used. In addition, the cover 21 may be hing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dust collecting chamber 10a so that the dust collecting device 20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청소기(1)는 외부공기를 본체(10) 내부로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유닛(100)을 포함할 수 있다. 흡입유닛(100)은 흡입실(10b)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The cleaner 1 may include a suction unit 100 that generates a suction force for suctioning external air into the body 10. The suction unit 10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suction chamber 10b.

흡입유닛(100)은 임펠러(IMPELLER)(110), 임펠러 커버(IMPELLER COVER)(120) 및 리턴 채널(RETURN CHANNEL)(130)을 포함할 수 있다.The suction unit 100 may include an impeller 110, an impeller cover 120, and a return channel 130.

임펠러 커버(120)에는 흡기구(121)가 형성될 수 있다. 흡기구(121)는 연결배관(17)에 의해 집진장치(20)의 토출구(22)와 연결되어 집진장치(20)에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An intake port 121 may be formed in the impeller cover 120. The intake port 121 may be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22 of the dust collecting device 20 by a connection pipe 17 to generate a suction force in the dust collecting device 20.

회전 가능한 임펠러(110)는 임펠러 커버(120)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The rotatable impeller 110 may be provided inside the impeller cover 120.

임펠러(110)는 임펠러(110)의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방향으로 토출하는 원심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impeller 110 may be configured as a centrifugal fan that sucks air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impeller 110 and discharges it in the radial direction.

임펠러(110)는 제 1플레이트(111), 제 2플레이트(112) 및 복수의 회전날개(113)를 포함할 수 있다.The impeller 110 may include a first plate 111, a second plate 112 and a plurality of rotating blades 113.

제 1플레이트(111) 및 제 2플레이트(112)는 서로 마주하도록 상하로 배치될 수 있고, 제 1플레이트(111) 및 제 2플레이트(112) 사이에는 복수의 회전날개(113)가 위치할 수 있다.The first plate 111 and the second plate 112 may be disposed vertically to face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rotation blades 113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plate 111 and the second plate 112. have.

복수의 회전날개(113)의 상면은 복수의 회전날개(113) 상부에 위치하는 제 1플레이트(111)에 결합되고, 복수의 회전날개(113)의 하면은 복수의 회전날개(113) 하부에 위치하는 제 2플레이트(112)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플레이트(111), 제 2플레이트(112) 및 복수의 회전날개(113)는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rotary blades 113 is coupled to the first plate 111 located above the plurality of rotary blades 113,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rotary blades 113 is under the plurality of rotary blades 113. It may be coupled to the positioned second plate 112. Accordingly, the first plate 111, the second plate 112, and the plurality of rotary blades 113 may rotate integrally.

제 1플레이트(111)에는 임펠러 커버(120)의 흡기구(121)에 대응하는 개구홀(114)이 형성될 수 있다. 흡기구(121)를 통과한 공기는 개구홀(114)을 거쳐 임펠러(1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An opening hole 114 corresponding to the intake port 121 of the impeller cover 120 may be formed in the first plate 111.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intake port 121 may be introduced into the impeller 110 through the opening hole 114.

제 2플레이트(112)에는 모터축(141)의 일 단부가 고정된다. 따라서, 제 1플레이트(111), 제 2플레이트(112) 및 복수의 회전날개(113)는 모터축(141)을 중심으로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One end of the motor shaft 141 is fixed to the second plate 112. Accordingly, the first plate 111, the second plate 112, and the plurality of rotary blades 113 may integrally rotate around the motor shaft 141.

서로 이격되도록 제 1플레이트(111) 및 제 2플레이트(112)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회전날개(113)는 유로(115)를 형성할 수 있다. 개구홀(114)을 통과하여 임펠러(1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유로(115)를 따라 이동하여 리턴 채널(130)에 형성되는 배출유로(161)로 전달된다.A plurality of rotary blades 113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plate 111 and the second plate 112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may form a flow path 115. Air introduced into the impeller 110 through the opening hole 114 moves along the flow path 115 and is transferred to the discharge flow path 161 formed in the return channel 130.

임펠러(110)는 반경방향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형상을 가지는 바디(Body) 및 블레이드(Blade)를 포함하는 3D 임펠러를 포함할 수 있다.Impeller 110 may include a 3D impeller including a body (Body) and a blade (Blade) having a lower shape in the radial direction.

임펠러(11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며,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는다.The shape of the impeller 110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리턴 채널(130)은 임펠러(110)에 의해 흡입된 공기의 운동에너지를 압력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하고, 임펠러 커버(120)와 결합하여 내부에 임펠러(110)를 수용할 수 있는 임펠러 수용공간(134)을 형성할 수 있다.The return channel 130 serves to convert the kinetic energy of air sucked by the impeller 110 into pressure energy, and is combined with the impeller cover 120 to accommodate the impeller 110 therein. (134) can be formed.

리턴 채널(130)은 임펠러(11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return channel 130 may be disposed under the impeller 110.

리턴 채널(130)은 임펠러(110)를 통과한 공기가 바로 유입될 수 있도록 임펠러(110)에 직결될 수 있다.The return channel 130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impeller 110 so that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impeller 110 can be directly introduced.

리턴 채널(130)은 이너 프레임(INNER FRAME)(131) 및 아우터 프레임(OUTER FRAME)(132)을 포함할 수 있다.The return channel 130 may include an inner frame (INNER FRAME) 131 and an outer frame (OUTER FRAME) 132.

리턴 채널(130)은 임펠러(11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고, 이너 프레임(131)의 상면에는 임펠러(110)가 안착되는 안착부(133)가 형성될 수 있다.The return channel 130 may be located under the impeller 110, and a seating portion 133 on which the impeller 110 is seated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frame 131.

안착부(133)는 임펠러 커버(120)를 향하여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133a)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33a)는 안착부(133)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임펠러(110)는 돌출부(133a)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안착부(133)에 안착될 수 있다.The seating portion 133 may include a protruding portion 133a protruding upward toward the impeller cover 120. The protrusion 133a may be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seating portion 133. The impeller 110 may be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133 to be located inside the protruding portion 133a.

돌출부(133a)는 곡면을 가질 수 있다.The protrusion 133a may have a curved surface.

돌출부(133a)는 이너 프레임(131)의 외측을 향하여 볼록한 곡면을 가질 수 있다.The protrusion 133a may have a convex curved surface toward the outside of the inner frame 131.

아우터 프레임(132)은 이너 프레임(131)의 외주면을 따라 이너 프레임(131)의 외측에 위치하고, 임펠러 커버(120)와 결합하여 임펠러(110)를 수용하는 임펠러 수용공간(134)을 형성할 수 있다.The outer frame 132 is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inner frame 131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frame 131 and is combined with the impeller cover 120 to form an impeller accommodation space 134 for accommodating the impeller 110. have.

이너 프레임(131)과 아우터 프레임(132)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inner frame 131 and the outer frame 132 may be integrally formed.

리턴 채널(130)에는 복수의 날개(160)가 배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wings 160 may be disposed in the return channel 130.

복수의 날개(160)는 임펠러(110)의 축방향(X)을 따라 이너 프레임(131) 및 아우터 프레임(132) 사이에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날개(160)는 임펠러(110)의 축방향(X)으로 긴 배출유로(161)를 형성할 수 있고, 흡입유닛(100)의 흡입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plurality of blades 160 may be formed to be elongated between the inner frame 131 and the outer frame 132 along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110. Accordingly, the plurality of blades 160 may form a long discharge passage 161 in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110, and suction performance of the suction unit 100 may be improved.

복수의 날개(160)는 임펠러(110)의 축방향(X)에 대하여 경사를 형성하도록 리턴 채널(130)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날개(160)는 이너 프레임(131) 및 아우터 프레임(13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blades 160 may be disposed in the return channel 130 to form an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110. Specifically, the plurality of wings 16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inner frame 131 and the outer frame 132.

복수의 날개(160)는 서로 이격되어 이너 프레임(131) 및 아우터 프레임(13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서로 이격된 복수의 날개(160)는 임펠러(110)를 통과한 공기가 이동하는 배출유로(161)를 형성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wings 16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disposed between the inner frame 131 and the outer frame 132. A plurality of blades 16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may form a discharge passage 161 through which air passing through the impeller 110 moves.

배출유로(161)는 입구(137) 및 출구(135)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유로(161)의 입구(137)는 임펠러(110)를 통과한 공기가 입구(137)를 통해 배출유로(161)로 유입될 수 있도록 임펠러(110)를 향하는 배출유로(161)의 상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배출유로(161)의 출구(135)는 배출유로(161)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가 출구(135)를 통해 흡입유닛(100)의 외측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배출유로(161)의 하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The discharge passage 161 may include an inlet 137 and an outlet 135. The inlet 137 of the discharge passage 161 is at the upper end of the discharge passage 161 toward the impeller 110 so that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impeller 110 can be introduced into the discharge passage 161 through the inlet 137 Can be formed. The outlet 135 of the discharge passage 161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passage 161 so that the air moving along the discharge passage 161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uction unit 100 through the outlet 135. I can.

배출유로(161)의 출구(135)를 향할수록 복수의 날개(160) 사이의 이격 정도가 커질 수 있다. 즉, 출구(135)에 가까워질수록 배출유로(161)의 폭이 넓어질 수 있다.The degree of separa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blades 160 may increase as it goes toward the outlet 135 of the discharge passage 161. That is, the closer to the outlet 135, the wider the width of the discharge passage 161 may be.

복수의 날개(160)는 제 1면(162) 및 제 2면(163)을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wings 160 may include a first surface 162 and a second surface 163.

제 1면(162)은 이너 프레임(131)의 외면과 마주하고, 제 2면(163)은 아우터 프레임(132)의 내면과 마주할 수 있다. 제 1면(162)은 제 1면(162)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시작점(M)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면(163)은 제 2면(163)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시작점(N)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면(163)의 시작점(N)은 제 1면(162)의 시작점(M)과 함께 배출유로(161)의 입구(137)를 형성할 수 있다.The first surface 162 may face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frame 131, and the second surface 163 may face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132. The first surface 162 may include a starting point M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surface 162. The second surface 163 may include a starting point N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urface 163. The starting point N of the second surface 163 may form the inlet 137 of the discharge passage 161 together with the starting point M of the first surface 162.

복수의 날개(160)의 제 1면(162)은 이너 프레임(131)의 외면에 결합될 수 있고, 복수의 날개(160)의 제 2면(163)은 아우터 프레임(132)의 내면에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surface 162 of the plurality of blades 160 may be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frame 131, and the second surface 163 of the plurality of blades 160 i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132 Can be.

복수의 날개(160)의 제 1면(162)은 돌출부(133a)의 외면에도 결합될 수 있다. 즉, 제 1면(162)의 시작점(M)은 이너 프레임(131)의 외측을 향하여 볼록한 돌출부(133a)의 외면에도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surface 162 of the plurality of wings 160 may be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rotrusion 133a. That is, the starting point M of the first surface 162 may be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rotrusion 133a that is convex toward the outside of the inner frame 131.

복수의 날개(160)는 제 1면(162)의 시작점(M) 및 제 2면(163)의 시작점(N)을 연결하는 연결부(1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64)의 다양한 형상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The plurality of wings 160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part 164 connecting the starting point M of the first surface 162 and the starting point N of the second surface 163. A description of the various shapes of the connection part 164 will be described later.

복수의 날개(160)는 곡면을 가질 수 있다.The plurality of wings 160 may have a curved surface.

복수의 날개(160)가 기울어진 방향은 임펠러(110)의 회전방향과 관계가 있다. 구체적으로, 임펠러(110)가 제 1방향(H)을 향하여 회전하는 경우, 복수의 날개(160)는 임펠러(110)의 축방향(X)에 대하여 제 1방향(H)과 반대방향인 제 2방향(I)을 따라 기울어질 수 있다.The direction in which the plurality of blades 160 are inclined is related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impeller 110. Specifically, when the impeller 110 rotates in the first direction (H), the plurality of blades 160 ar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H)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110. It can be tilted along two directions (I).

임펠러 커버(120)는 가이드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122)는 임펠러(110)의 유로(115)를 통과한 공기를 배출유로(161)의 입구(137)로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The impeller cover 120 may include a guide part 122. Specifically, the guide part 122 serves to guide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low path 115 of the impeller 110 to the inlet 137 of the discharge flow path 161.

가이드부(122)는 유로(115)를 통과한 공기가 배출유로(161)의 입구(137)로 도입되기 전까지 임펠러(110) 및 리턴 채널(130) 사이에 형성되는 스페이스(191)에 머무르는 것을 방지하도록 곡면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부(122)는 임펠러 커버(120)의 외측을 향하여 볼록한 곡면을 가질 수 있다.The guide unit 122 prevents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low path 115 from staying in the space 191 formed between the impeller 110 and the return channel 130 before being introduced into the inlet 137 of the discharge flow path 161. It can have a curved surface to prevent. The guide part 122 may have a convex curved surface toward the outside of the impeller cover 120.

가이드부(122)는 곡률 반지름이 1mm 이상의 곡면을 가질 수 있다.The guide part 122 may have a curved surface having a radius of curvature of 1 mm or more.

임펠러(110)에 마련되는 유로(115)를 통과한 공기는 가이드부(122)를 따라 리턴 채널(130)에 마련되는 배출유로(161)로 도입된다.Air passing through the flow path 115 provided in the impeller 110 is introduced into the discharge flow path 161 provided in the return channel 130 along the guide part 122.

가이드부(122)를 기준으로 공기의 이동방향이 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구홀(114)을 통과하여 임펠러(1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유로(115)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고, 유로(115)를 통과한 공기는 가이드부(122)에 충돌하여 배출유로(161)를 향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한다.The moving direction of the air may change based on the guide part 122. Specifically,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mpeller 110 through the opening hole 114 moves horizontally along the flow path 115, and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low path 115 collides with the guide part 122 It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toward the discharge passage 161.

하방을 향하는 가이드부(122)의 일 단부는 아우터 프레임(132)에 결합될 수 있다.One end of the guide portion 122 facing downward may be coupled to the outer frame 132.

흡입유닛(100)은 임펠러(110)가 회전할 수 있는 원동력을 제공하는 모터(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uction unit 100 may further include a motor 140 that provides a motive force through which the impeller 110 can rotate.

모터(140)는 BLDC모터, DC모터 및 AC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tor 140 may include a BLDC motor, a DC motor, and an AC motor.

모터(140)는 리턴 채널(13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터(140)는 이너 프레임(131)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The motor 140 may be provided inside the return channel 130. Specifically, the motor 140 may be provided inside the inner frame 131.

모터(140)는 모터축(141)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축(141)의 일 단부는 임펠러(110)의 제 2플레이트(112)에 연결되고, 모터축(141)의 다른 단부는 모터(140)에 연결된다.The motor 140 may include a motor shaft 141. One end of the motor shaft 141 is connected to the second plate 112 of the impeller 110, and the other end of the motor shaft 141 is connected to the motor 140.

이너 프레임(131)의 안착부(133)에는 모터축(141)의 일 단부가 이너 프레임(131) 상부에 위치하는 임펠러(110)의 제 2플레이트(112)에 연결되도록 모터축관통홀(136)이 형성될 수 있다.In the seating portion 133 of the inner frame 131, one end of the motor shaft 141 is connected to the second plate 112 of the impeller 110 located above the inner frame 131. ) Can be formed.

배출유로(161)의 일 단부에 형성되는 출구(135)로 토출된 공기는 흡입유닛(100)을 감싸는 케이스(40) 내부에 형성된 내부유로(41)를 통해 흡입유닛(100)의 하부에 형성되는 배출구(42)를 통해 배출된다. 배출구(42)를 통해 배출된 공기는 배기유로(16)를 경유하여 배기부(15)로 배기된다. 여기서 배기유로(16)는 흡입유닛(100)의 배출구(42)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배기부(15)까지 이르게 되는 유로를 의미한다.The air discharged to the outlet 135 formed at one end of the discharge passage 161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suction unit 100 through the inner passage 41 formed inside the case 40 surrounding the suction unit 100 It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42.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port 42 is exhausted to the exhaust unit 15 via the exhaust passage 16. Here, the exhaust passage 16 refers to a passage through which air discharged from the outlet 42 of the suction unit 100 reaches the exhaust portion 15.

집진장치(20)와 흡입유닛(10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배기유로(16)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The space formed between the dust collecting device 20 and the suction unit 100 may form a part of the exhaust passage 16.

배기유로(16)는 적어도 한 번 절곡될 수 있다. 배기유로(16)는 흡입유닛(100)의 배출구(42)로부터 집진장치(20)와 흡입유닛(100) 사이의 공간에 이르는 제 1유로(16a), 제 1유로(16a)로부터 연장되어 집진장치(20)와 흡입유닛(100) 사이에 형성되는 제 2유로(16b) 및 제 2유로(16b)와 배기부(15)를 연결하는 제 3유로(16c)를 포함할 수 있다.The exhaust passage 16 may be bent at least once. The exhaust passage 16 extends from the first passage 16a and the first passage 16a extending from the outlet 42 of the suction unit 100 to the space between the dust collector 20 and the suction unit 100 to collect dust. It may include a second passage 16b formed between the device 20 and the suction unit 100 and a third passage 16c connecting the second passage 16b and the exhaust unit 15.

배기유로(16) 상에는 집진장치(20)에서 제거되지 않은 이물질을 분리하기 위한 배기필터(18)가 설치될 수 있다. 배기필터(18)는 제 1유로(16a) 또는 제 2유로(16b) 상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배기필터(18)가 제 1유로(16a) 또는 제 2유로(16b) 상에 설치되면 배기필터(18)로부터 배기부(15)까지 충분한 거리를 확보할 수 있어 공기가 배기필터(18)를 통과할 때 발생하는 소음이 충분히 감소된 후 배기부(15)를 통해 배기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큰 제 1유로(16a) 또는 제 2유로(16b)에 배기필터(18)를 설치함으로써 충분한 배기필터(18)의 면적을 확보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공기가 배기필터(18)를 통과할 때 발생하는 압력손실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An exhaust filter 18 may be installed on the exhaust passage 16 to separate foreign substances that have not been removed from the dust collector 20. The exhaust filter 18 is preferably installed on the first passage 16a or the second passage 16b. This is because when the exhaust filter 18 is installed on the first passage 16a or the second passage 16b, a sufficient distance from the exhaust filter 18 to the exhaust part 15 can be secured. This is because the noise generated when passing through can be sufficiently reduced and then exhausted through the exhaust unit 15. In addition, by installing the exhaust filter 18 in the first passage 16a or the second passage 16b having a relatively large cross-sectional area, a sufficient area of the exhaust filter 18 can be secured, and accordingly, air can be transferred to the exhaust filter ( This is because the pressure loss that occurs when passing through 18) can be reduced.

본체(10)의 바닥면에는 배기필터(18)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도어(미도시)에 의해 개폐 가능한 개구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An opening (not shown)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by a door (not shown)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10 to facilitate replacement of the exhaust filter 18.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흡입유닛의 다른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2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other part of a suction unit of a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너 프레임(131)에 결합되는 제 1면(162)의 시작점(M) 및 아우터 프레임(132)에 결합되는 제 2면(163)의 시작점(N)을 연결하는 직선(A)은 임펠러(110)의 축방향(X)에 대하여 5ㅀ이상 85ㅀ이하의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2, the starting point (M) of the first surface 162 coupled to the inner frame 131 and the starting point (N) of the second surface 163 coupled to the outer frame 132 are connected. The straight line (A) may form an inclination of 5 ㅀ or more and 85 ㅀ or less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110.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122)는 임펠러 커버(120)의 외측을 향하여 볼록하고, 곡률 반지름이 1mm 이상인 곡면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부(122)는 2차곡선 형상의 곡면을 가질 수도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guide portion 122 is convex toward the outside of the impeller cover 120 and may have a curved surface having a radius of curvature of 1 mm or more. The guide part 122 may have a curved surface having a quadratic curve shape.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에 있어서, 이너 프레임 및 아우터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날개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4a 내지 도 24p는 도 23의 복수의 날개의 연결부의 다양한 형상을 측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23 is a view showing a part of a plurality of blades disposed between an inner frame and an outer frame in a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4A to 24P are a connection part of the plurality of blades of FIG. 23 It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various shapes from the side.

도 23 내지 도 24p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날개(160)의 연결부(164)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23 to 24P, the connection portion 164 of the plurality of wings 160 may have various shapes.

연결부(164)는 곡면 및 평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164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urved surface and a flat surface.

연결부(164)는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지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164 may include curved surfaces having different curvatures.

연결부(164)는 변곡점을 가지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164 may include a curved surface having an inflection point.

연결부(164)는 기울기가 일정한 평면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164 may include a plane having a constant inclination.

연결부(164)는 기울기가 상이한 복수의 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연결부(164)를 형성하는 평면은 절곡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164 may include a plurality of planes having different inclinations. That is, the plane forming the connection part 164 may be bent.

연결부(164)는 곡면과 평면을 동시에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164 may include a curved surface and a flat surface at the same time.

제 2면(163)의 시작점(N)은 제 1면(162)의 시작점(M)보다 임펠러 커버(120)를 향하여 상방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즉, 제 2면(163)의 시작점(N)은 제 1면(162)의 시작점(M)보다 임펠러(110)의 축방향(X)으로 더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The starting point N of the second surface 163 may extend upward toward the impeller cover 120 than the starting point M of the first surface 162. That is, the starting point N of the second surface 163 may be formed at a higher position in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110 than the starting point M of the first surface 162.

또는, 제 2면(163)의 시작점(N)은 제 1면(162)의 시작점(M)과 동일한 만큼 임펠러 커버(120)를 향하여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제 2면(163)의 시작점(N)과 제 1면(162)의 시작점(M)은 임펠러(110)의 축방향(X)으로 같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Alternatively, the starting point N of the second surface 163 may extend upward toward the impeller cover 120 by the same amount as the starting point M of the first surface 162. That is, the starting point N of the second surface 163 and the starting point M of the first surface 162 may have the same height in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110.

연결부(164)는 제 1면(162)의 시작점(M) 및 제 2면(163)의 시작점(N) 중 적어도 하나보다 임펠러 커버(120)를 향하여 상방으로 더 연장되는 최고점(S)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최고점(S)은 제 1면(162)의 시작점(M)보다 임펠러 커버(120)를 향하여 상방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164 includes a top point (S) extending upward toward the impeller cover 120 than at least one of the starting point (M) of the first surface 162 and the starting point (N) of the second surface 163 can do. Preferably, the peak (S) may extend upward toward the impeller cover 120 than the starting point (M) of the first surface (162).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흡입유닛 측면도이고,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에 있어서, 임펠러의 회전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기울어진 복수의 날개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에 있어서, 임펠러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기울어진 복수의 날개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25 is a side view of a suction unit of a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6 is an enlarged view of a plurality of blades inclin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impeller in the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ectional view shown. 2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nlarged portion of a plurality of blades inclin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a rotation direction of an impeller in a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5 내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펠러(110)의 축방향(X)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는 수평방향(Y)으로 리턴 채널(130)을 자른 단면(Q)상에서, 상방을 향하는 제 1면(162)의 상 단부(162b)와 제 2면(163)의 상 단부(163b)를 연결한 직선(B)이 리턴 채널(130)의 중심(O)과 제 1면(162)의 상 단부(162b)를 연결한 직선(C)과 이루는 각도(θ)는 0ㅀ이상 80ㅀ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임펠러(110)가 제 1방향(H)을 향하여 회전하는 경우, 제 1면(162)의 상 단부(162b)와 제 2면(163)의 상 단부(163b)를 연결한 직선(B)은 리턴 채널(130)의 중심(O)과 제 1면(162)의 상 단부(162b)를 연결한 직선(C)에 대하여 제 1방향(H)을 향하여 0ㅀ이상 80ㅀ이하 기울어 질 수 있다. 또한, 임펠러(110)가 제 1방향(H)을 향하여 회전하는 경우, 제 1면(162)의 상 단부(162b)와 제 2면(163)의 상 단부(163b)를 연결한 직선(B)은 리턴 채널(130)의 중심(O)과 제 1면(162)의 상 단부(162b)를 연결한 직선(C)에 대하여 제 2방향(I)을 향하여 0ㅀ이상 80ㅀ이하 기울어 질 수 있다.25 to 27, on the cross section (Q) of the return channel 130 cu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Y)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110, the first facing upward A straight line (B) connecting the upper end 162b of the surface 162 and the upper end 163b of the second surface 163 is the center O of the return channel 130 and the upper end of the first surface 162 The angle θ formed with the straight line C connecting the end 162b may be 0° or more and 80° or less. Specifically, when the impeller 110 rotates in the first direction H,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upper end 162b of the first surface 162 and the upper end 163b of the second surface 163 ( B) is inclined from 0ㅀ to 80ㅀ toward the first direction (H) with respect to the straight line (C) connecting the center (O) of the return channel (130) and the upper end (162b) of the first surface (162). I can lose. In addition, when the impeller 110 rotates in the first direction (H), a straight line (B) connecting the upper end 162b of the first surface 162 and the upper end 163b of the second surface 163 ) Is inclined from 0° to 80° in the second direction (I) with respect to the straight line (C) connecting the center (O) of the return channel (130) and the upper end (162b) of the first surface (162). I can.

임펠러(110)의 축방향(X)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는 수평방향(Y)으로 리턴 채널(130)을 자른 단면(Q)상에서, 상방을 향하는 제 1면(162)의 상 단부(162b)와 제 2면(163)의 상 단부(163b)는 직선 또는 곡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On the cross section (Q) of the return channel 130 cu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Y)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110, the upper end (162b) of the first surface 162 facing upward and The upper end 163b of the second surface 163 may be connected in a straight line or a curved line.

도 2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냉각구조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도 28 내지 도 33은 흡입유닛(100)을 뒤집어 높은 모습을 나타낸다. 따라서, 리턴 채널(130)의 상방은 배출유로(161)의 입구(137)측을 가리키고, 리턴 채널(130)의 하방은 배출유로(161)의 출구(135)측을 가리킨다.2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cooling structure of a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FIGS. 28 to 33 show a state in which the suction unit 100 is turned over. Accordingly, the upper side of the return channel 130 indicates the inlet 137 side of the discharge passage 161, and the lower side of the return channel 130 indicates the outlet 135 side of the discharge passage 161.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유닛(100)은 인쇄회로기판(210) 및 지지유닛(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8, the suction unit 100 may further include a printed circuit board 210 and a support unit 200.

인쇄회로기판(210)은 임펠러(110)의 축방향(X)으로 리턴 채널(13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인쇄회로기판(210)은 배출유로(161)의 출구(135)와 인접하도록 리턴 채널(13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210)은 배출유로(161)를 막지 않도록 리턴 채널(130)의 내측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The printed circuit board 210 may be located under the return channel 130 in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110. That is, the printed circuit board 210 may be located under the return channel 130 so as to be adjacent to the outlet 135 of the discharge passage 161. The printed circuit board 210 may be located below the inner side of the return channel 130 so as not to block the discharge passage 161.

지지유닛(200)은 임펠러(110)의 축방향(X)으로 인쇄회로기판(21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지지유닛(200)은 리턴 채널(130)의 내부에 마련되는 모터(140) 및 인쇄회로기판(210)을 리턴 채널(130)의 하부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support unit 200 may be located under the printed circuit board 210 in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110. The support unit 200 serves to support the motor 140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210 provided inside the return channel 130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return channel 130.

지지유닛(200)은 리턴 채널(130)의 내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220,도 18참고)에 결합될 수 있다.The support unit 200 may be coupled to at least one protrusion 220 (refer to FIG. 18) formed in the return channel 130.

적어도 하나의 돌기(220)은 모터(14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리턴 채널(13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돌기(220)은 리턴 채널(13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protrusion 220 may be formed inside the return channel 130 so as to be located outside the motor 140. In addition, at least one protrusion 22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return channel 130.

지지유닛(200)은 금속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unit 200 may include a metal material.

지지유닛(200)은 바디(201) 및 냉각핀(202)을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unit 200 may include a body 201 and a cooling fin 202.

바디(201)는 리턴 채널(130)의 내부에 마련되는 모터(140) 및 인쇄회로기판(210)을 지지할 수 있도록 리턴 채널(130)의 내측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바디(201)는 배출유로(161)를 막지 않도록 리턴 채널(130)의 내측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body 201 may be disposed under the inner side of the return channel 130 to support the motor 140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210 provided inside the return channel 130. The body 201 may be disposed below the inner side of the return channel 130 so as not to block the discharge passage 161.

냉각핀(202)은 배출유로(161)의 출구(135)와 인접하도록 지지유닛(200)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냉각핀(202)은 바디(201)의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냉각핀(202)은 바디(201)의 외측방향을 향하여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cooling fins 202 may be formed at an end of the support unit 200 so as to be adjacent to the outlet 135 of the discharge passage 161. The cooling fins 202 may be formed on the edge of the body 201. The cooling fins 202 may be formed to protrude radially toward the outside of the body 201.

냉각핀(202)은 배출유로(161)의 출구(135)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배출유로(161)의 출구(135)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cooling fins 202 may be disposed below the outlet 135 of the discharge passage 161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flow of air discharged to the outlet 135 of the discharge passage 161.

인쇄회로기판(210) 및 모터(140)에서 발생한 열은 바디(201)를 거쳐 냉각핀(202)에 전달될 수 있다. 배출유로(161)의 출구(135)로 배출된 공기는 냉각핀(202)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냉각핀(202)에 전달된 열을 냉각시킬 수 있다.Heat generated from the printed circuit board 210 and the motor 140 may be transferred to the cooling fins 202 through the body 201. The air discharged to the outlet 135 of the discharge passage 161 may cool the heat transferred to the cooling fin 202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cooling fin 202.

또한, 냉각핀(202)은 배출유로(161)를 임펠러(110)의 축방향(X)으로 연장시키는 역할을 하여 흡입유닛(100)의 흡입력 상승에 기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oling fins 202 may serve to extend the discharge passage 161 in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110, thereby contributing to an increase in the suction power of the suction unit 100.

냉각핀(202)은 바디(20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oling fins 202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dy 201.

냉각핀(202)은 인쇄회로기판(210) 및 모터(140)의 발열량에 따라 배출유로(161)의 출구(135) 의 전부 또는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cooling fins 202 may be disposed in all or part of the outlet 135 of the discharge passage 161 according to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by the printed circuit board 210 and the motor 140.

도 2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냉각구조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0은 도 29의 냉각구조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도 28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FIG. 2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cooling structure of a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cooling structure of FIG. 29. Hereinafter, descriptions overlapping with those of FIG. 28 will be omitted.

도 29 및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유닛(200)은 배출유로(161)의 출구(135)를 폐쇄하지 않도록 인쇄회로기판(2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9 and 30, the support unit 200 may be disposed under the printed circuit board 210 so as not to close the outlet 135 of the discharge passage 161.

지지유닛(200)의 바디(201)는 원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냉각핀(202)은 바디(201)의 원주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냉각핀(202)은 배출유로(161)의 출구(135)의 전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냉각핀(202)은 배출유로(161)의 출구(135)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body 201 of the support unit 200 may have a circular shape, and the cooling fins 202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ody 201. The cooling fins 202 may be disposed in all of the outlet 135 of the discharge passage 161. That is, the cooling fins 202 may be disposed below the outlet 135 of the discharge passage 161.

냉각핀(202)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냉각효율은 증가할 수 있다.As the number of cooling fins 202 increases, cooling efficiency may increase.

도 3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냉각구조의 제 3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8 내지 도 30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3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a cooling structure of a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ent overlapping with FIGS. 28 to 30 will be omitted.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유닛(200)은 모터(140) 및 인쇄회로기판(210)을 지지하도록 리턴 채널(13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유닛(200)의 바디(201)에서 바디(201)의 외측방향을 향하여 돌출되는 냉각핀(202)은 아우터 프레임(132)의 내면과 마주할 수 있다. 냉각핀(202)은 아우터 프레임(132)의 내면에 접하거나 결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1, the support unit 200 may be formed inside the return channel 130 to support the motor 140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210. That is, the cooling fins 202 protruding from the body 201 of the support unit 200 toward the outside of the body 201 may face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132. The cooling fins 202 may contact or be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132.

지지유닛(200)은 모터(140) 및 인쇄회로기판(210)을 지지하도록 인쇄회로기판(21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리턴 채널(130)의 아우터 프레임(132)은 냉각핀(202)이 아우터 프레임(132)의 내면에 접하도록 리턴 채널(130)의 하방을 향하여 더 연장될 수 있다. 즉, 리턴 채널(130)의 하방을 향하는 아우터 프레임(132)의 일 단부는 지지유닛(200)과 동일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The support unit 200 may be positioned under the printed circuit board 210 to support the motor 140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210. In this case, the outer frame 132 of the return channel 130 may further extend downward toward the return channel 130 such that the cooling fins 202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132. That is, one end of the outer frame 132 facing downward of the return channel 130 may be disposed on the same line as the support unit 200.

도 3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냉각구조의 제 4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8 내지 도 31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3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a cooling structure of a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ent overlapping with FIGS. 28 to 31 will be omitted.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유닛(200)은 리턴 채널(13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지지유닛(200)은 모터(140)를 지지하도록 리턴 채널(130)의 내측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210)은 지지유닛(200)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2, the support unit 200 may be accommodated in the return channel 130. The support unit 200 may be located inside the lower portion of the return channel 130 to support the motor 140. The printed circuit board 210 may be provided under the support unit 200.

지지유닛(200)의 바디(201)에서 바디(201)의 외측방향을 향하여 돌출되는 냉각핀(202)은 아우터 프레임(132)의 내면과 마주할 수 있다. 냉각핀(202)은 아우터 프레임(132)의 내면에 접하거나 결합할 수 있다.The cooling fins 202 protruding from the body 201 of the support unit 200 toward the outside of the body 201 may face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132. The cooling fins 202 may contact or be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132.

리턴 채널(130)의 아우터 프레임(132)은 리턴 채널(130)의 하방을 향하여 더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턴 채널(130)의 하방을 향하는 아우터 프레임(132)의 일 단부는 인쇄회로기판(210)과 동일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The outer frame 132 of the return channel 130 may further extend downward from the return channel 130. Specifically, one end of the outer frame 132 facing downward of the return channel 130 may be disposed on the same line as the printed circuit board 210.

도 3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냉각구조의 제 5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8 내지 도 32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3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fth embodiment of a cooling structure of a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ent overlapping with FIGS. 28 to 32 will be omitted.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턴 채널(130)의 하부에는 복수의 지지유닛(200)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지지유닛(200)은 임펠러(110)의 축방향(X)으로 인쇄회로기판(21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모터(140)와 마주하는 지지유닛(200)의 냉각핀(202)은 아우터 프레임(132)의 내면을 향하도록 바디(201)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210)의 하부에 마련되는 지지유닛(200)의 냉각핀(202)은 바디(201)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210)의 하부에 마련되는 지지유닛(200)의 냉각핀(202)은 리턴 채널(13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3, a plurality of support units 200 may be disposed under the return channel 130. Specifically, the plurality of support units 200 may be disposed above and below the printed circuit board 210 in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110, respectively. The cooling fins 202 of the support unit 200 facing the motor 140 may extend from the body 201 to face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132. The cooling fins 202 of the support unit 200 provided under the printed circuit board 210 may be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outside of the body 201. The cooling fins 202 of the support unit 200 provided under the printed circuit board 21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return channel 130.

도 3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에 있어서, 복수의 날개의 배치구조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5는 도 34를 수평방향(Y)으로 절단한 일부 도면이다. 도 35 내지 도 37은 임펠러(110)의 축방향(X)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는 수평방향(Y)으로 리턴 채널(130)을 자른 단면(Q)의 일부를 나타낸다.FIG. 3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n arrangement structure of a plurality of blades in a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5 is a partial view of FIG. 34 taken in a horizontal direction (Y). 35 to 37 show a part of the cross section Q of the return channel 130 cu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Y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110.

도 34 및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날개(160)는 리턴 채널(130)의 이너 프레임(131) 및 아우터 프레임(13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날개(160)는 임펠러(110)의 축방향(X)에 대하여 경사를 형성하도록 이너 프레임(131) 및 아우터 프레임(13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34 and 35, a plurality of wings 16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inner frame 131 and the outer frame 132 of the return channel 130. The plurality of blades 16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inner frame 131 and the outer frame 132 to form an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110.

복수의 날개(160)는 아우터 프레임(132)과 이격되도록 이너 프레임(131) 및 아우터 프레임(13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날개(160)의 제 1면(162)은 이너 프레임(131)의 외면에 결합되고, 제 2면(163)은 아우터 프레임(132)의 내면에서 이격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wings 16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inner frame 131 and the outer frame 132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frame 132. Specifically, the first surface 162 of the plurality of wings 160 may be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frame 131, and the second surface 163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132.

복수의 날개(160)의 제 2면(163)은 배출유로(161)의 입구(137)에서 출구(135)에 이르기까지 전부 아우터 프레임(132)의 내면에서 이격될 수 있다.The second surfaces 163 of the plurality of wings 160 may be all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132 from the inlet 137 to the outlet 135 of the discharge passage 161.

또는, 복수의 날개(160)의 제 2면(163)은 배출유로(161)의 입구(137)에서 출구(135)에 이르기까지 일부 아우터 프레임(132)의 내면에서 이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날개(160)의 제 2면(163)은 배출유로(161)의 출구(135)에 가까워질수록 아우터 프레임(132)의 내면에서 이격될 수 있다. 즉, 배출유로(161)의 입구(137)에 인접한 제 2면(163)은 아우터 프레임(132)의 내면에 결합되고, 배출유로(161)의 출구(135)에 인접한 제 2면(163)은 아우터 프레임(132)의 내면에서 이격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second surfaces 163 of the plurality of wings 16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some outer frames 132 from the inlet 137 of the discharge passage 161 to the outlet 135. Preferably, the second surfaces 163 of the plurality of blades 16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132 as they approach the outlet 135 of the discharge passage 161. That is, the second surface 163 adjacent to the inlet 137 of the discharge passage 161 i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132, and the second surface 163 adjacent to the outlet 135 of the discharge passage 161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132.

아우터 프레임(132)의 내면 및 제 2면(163)의 이격 정도는 임펠러(110)의 축방향(X)을 따라 상이할 수 있다.The degree of separation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132 and the second surface 163 may be different along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110.

복수의 날개(160)는 이너 프레임(13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wings 16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inner frame 131.

제 2면(163)이 아우터 프레임(132)의 내면에서 이격될수록 배출유로(161)에서 발생하는 공기의 박리현상을 줄일 수 있고, 그에 따라 흡입유닛(100)의 흡입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the second surface 163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132, the peeling phenomenon of air generated in the discharge passage 161 may be reduced, and accordingly, the suction power of the suction unit 100 may be improved.

도 3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에 있어서, 복수의 날개의 배치구조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3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n arrangement structure of a plurality of blades in a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날개(160)는 임펠러(110)의 축방향(X)에 대하여 경사를 형성하도록 이너 프레임(131) 및 아우터 프레임(13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6, the plurality of blades 16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inner frame 131 and the outer frame 132 to form an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110.

복수의 날개(160)는 이너 프레임(131)과 이격되도록 이너 프레임(131) 및 아우터 프레임(13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날개(160)의 제 2면(163)은 아우터 프레임(132)의 내면에 결합되고, 제 1면(162)은 이너 프레임(131)의 외면에서 이격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wings 16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inner frame 131 and the outer frame 132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frame 131. Specifically, the second surface 163 of the plurality of wings 160 may be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132, and the first surface 162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frame 131.

복수의 날개(160)의 제 1면(162)은 배출유로(161)의 입구(137)에서 출구(135)에 이르기까지 전부 이너 프레임(131)의 외면에서 이격될 수 있다.The first surface 162 of the plurality of blades 16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frame 131 from the inlet 137 to the outlet 135 of the discharge passage 161.

또는, 복수의 날개(160)의 제 1면(162)은 배출유로(161)의 입구(137)에서 출구(135)에 이르기까지 일부 이너 프레임(131)의 외면에서 이격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first surface 162 of the plurality of blades 16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some inner frames 131 from the inlet 137 to the outlet 135 of the discharge passage 161.

이너 프레임(131)의 외면 및 제 1면(162)의 이격 정도는 임펠러(110)의 축방향(X)을 따라 상이할 수 있다.The degree of separation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frame 131 and the first surface 162 may be different along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110.

복수의 날개(160)는 아우터 프레임(13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wings 16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outer frame 132.

도 3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에 있어서, 복수의 날개의 배치구조의 제 3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3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an arrangement structure of a plurality of blades in a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날개(160)는 이너 프레임(131) 및 아우터 프레임(132) 사이에 배치되는 제 1날개(165) 및 제 2날개(166)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날개(165)는 이너 프레임(131)의 외면에 결합하고, 제 2날개(166)는 아우터 프레임(132)의 내면에 결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7, the plurality of wings 160 may include a first wing 165 and a second wing 166 disposed between the inner frame 131 and the outer frame 132. The first wing 165 may be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frame 131, and the second wing 166 may be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132.

아우터 프레임(132)의 내면을 향하는 제 1날개(165)의 일 단부는 이너 프레임(131)의 외면을 향하는 제 2날개(166)의 일 단부와 이격될 수 있다.One end of the first blade 165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132 may be spaced apart from one end of the second blade 166 toward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frame 131.

제 1날개(165) 및 제 2날개(166)는 서로 교대로 위치할 수 있다.The first wing 165 and the second wing 166 may be alternately positioned with each other.

임펠러(110)의 축방향(X)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는 수평방향(Y)으로 리턴 채널(130)을 자른 단면(Q)상에서, 이너 프레임(131)의 외면을 향하는 제 2날개(166)의 일 단부는 아우터 프레임(132)의 내면을 향하는 제 1날개(165)의 일 단부 및 리턴 채널(130)의 중심(O)을 연결한 직선(J) 상에 위치하지 않는다.On the cross section (Q) of the return channel 130 cu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Y)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110, the second blade 166 facing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frame 131 One end is not located on a straight line J connecting one end of the first wing 165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132 and the center O of the return channel 130.

도 3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흡입유닛 단면도이다. 도 15 내지 도 36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3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uction unit of a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s overlapping with those of FIGS. 15 to 36 will be omitted.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턴 채널(130)은 임펠러(11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고, 이너 프레임(131)의 상면에는 임펠러(110)가 안착되는 안착부(133)가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8, the return channel 130 may be located under the impeller 110, and a seating portion 133 on which the impeller 110 is seated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frame 131. have.

안착부(133)는 평평한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즉, 안착부(133)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돌출부(133a,도20참고)는 생략될 수 있다.The seating portion 133 may have a flat surface. That is, the protrusion 133a (refer to FIG. 20)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seating portion 133 may be omitted.

도 3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본체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흡입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흡입유닛 분해사시도이고, 도 42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흡입유닛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3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흡입유닛 단면도이다. 이하, 도 15 내지 도 38에서 이미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3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ain body of a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ction unit of the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uction unit of a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portion of the suction unit of a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uction unit of a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descriptions overlapping with those already described in FIGS. 15 to 38 will be omitted.

도 39 내지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기(1a)의 흡입유닛(100a)은 임펠러(110a), 리턴 채널(130a) 및 커버(170)를 포함할 수 있다.39 to 43, the suction unit 100a of the cleaner 1a may include an impeller 110a, a return channel 130a, and a cover 170.

커버(170)의 상면에는 흡기구(121a)가 형성될 수 있다. 커버(170)의 내측에는 회전 가능한 임펠러(110a) 및 리턴 채널(130a)이 배치될 수 있다.An intake port 121a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170. A rotatable impeller 110a and a return channel 130a may be disposed inside the cover 170.

리턴 채널(130a)은 임펠러(110a)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return channel 130a may be disposed under the impeller 110a.

리턴 채널(130a)은 임펠러(110a)를 통과한 공기가 바로 유입될 수 있도록 임펠러(110a)에 직결될 수 있다.The return channel 130a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impeller 110a so that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impeller 110a can be directly introduced.

흡입유닛(100a)은 모터(140a) 및 모터하우징(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uction unit 100a may further include a motor 140a and a motor housing 150.

모터(140a)는 임펠러(110a)가 회전할 수 있도록 원동력을 제공하고, 모터하우징(150) 내부에 마련된다. 모터하우징(150)은 리턴 채널(130a) 하부에 위치하고, 커버(170)와 결합하여 내부에 임펠러(110a) 및 리턴 채널(130a)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180)을 형성할 수 있다.The motor 140a provides a motive force so that the impeller 110a can rotate, and is provided in the motor housing 150. The motor housing 150 may be located under the return channel 130a and combined with the cover 170 to form an accommodation space 180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impeller 110a and the return channel 130a therein.

모터하우징(150)에는 적어도 하나의 출구(135a)가 형성될 수 있다. 출구(135a)는 모터하우징(150)의 하단부에 형성될 수 있으나, 출구(135a)의 위치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At least one outlet 135a may be formed in the motor housing 150. The outlet 135a may b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motor housing 150, but the location of the outlet 135a is not limited thereto.

리턴 채널(130a) 및 커버(170) 사이에는 리턴 채널(130a)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날개(160a)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날개(160a)는 임펠러(110a)의 축방향(X)에 대하여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임펠러(110a)가 제 2방향(I)을 향하여 회전하는 경우, 복수의 날개(160a)는 임펠러(110a)의 축방향(X)에 대하여 제 2방향(I)과 반대방향인 제 1방향(H)을 따라 기울어 질 수 있다.A plurality of wings 160a may be disposed between the return channel 130a and the cover 170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turn channel 130a. The plurality of blades 160a may form an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110a. Specifically, when the impeller (110a) rotates toward the second direction (I), the plurality of blades (160a) is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direction (I)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110a). It can be tilted along one direction (H).

복수의 날개(160a)는 제 2방향(I)을 따라 경사를 형성하도록 임펠러(110a)의 축방향(X)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blades 160a may be elongated in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110a so as to form an inclination along the second direction I.

복수의 날개(160a)는 리턴 채널(130a)과 마주하도록 모터하우징(150)의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연장부(151)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날개(160a)의 하 단부는 리턴 채널(130a) 및 연장부(151) 사이에 위치하도록 연장부(151)에 고정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blades 160a may be fixed to the extension part 151 extending toward the outside of the motor housing 150 so as to face the return channel 130a. Specifically, lower ends of the plurality of wings 160a may be fixed to the extension part 151 to be located between the return channel 130a and the extension part 151.

복수의 날개(160a)는 임펠러(110a)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제 1방향(H)을 향하여 볼록한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blades 160a may form a convex curved surface toward the first direction H, which is the same a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impeller 110a.

복수의 날개(160a)는 제 1면(190) 및 제 2면(2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면(190)은 리턴 채널(130a)의 외면에 결합되고, 제 2면(200)은 커버(170)의 내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 2면(200)의 상 단부(200a)는 제 1면(190)의 상 단부(190a)보다 상방을 향하여 더 연장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wings 160a may include a first surface 190 and a second surface 200. The first surface 190 may be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return channel 130a, and the second surface 200 may be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170. The upper end 200a of the second surface 200 may further extend upward than the upper end 190a of the first surface 190.

흡기구(121a)로 유입되어 임펠러(110a)에 마련된 유로(115a)를 통과한 공기는 복수의 날개(160a)가 형성하는 배출유로(161a)를 따라 모터하우징(150) 내부로 이동하고, 모터하우징(150) 내부에서 모터(140a)를 냉각시킨다. 그 후, 공기는 모터하우징(150)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출구(135a)를 통해 반경방향으로 토출된다.Air flowing into the intake port 121a and passing through the flow path 115a provided in the impeller 110a moves into the motor housing 150 along the discharge flow path 161a formed by the plurality of blades 160a, and the motor housing (150) The motor 140a is cooled inside. After that, the air is discharged in the radial direction through at least one outlet 135a provided in the motor housing 150.

커버(170)는 임펠러(110a)의 유로(115a)를 통과한 공기를 배출유로(161a)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22a)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ver 170 may include a guide portion 122a for guiding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low path 115a of the impeller 110a to the discharge flow path 161a.

도 4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흡입유닛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4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art of a suction unit of a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날개(160a)의 제 1면(190)의 시작점(M)과 제 2면(200)의 시작점(N)을 연결하는 직선(A)은 임펠러(110a)의 축방향(X)에 대하여 5ㅀ 이상 85ㅀ 이하의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44, a straight line (A) connecting the starting point (M) of the first surface (190) of the plurality of blades (160a) and the starting point (N) of the second surface (200) is the impeller (110a) It is possible to form an inclination of 5° or more and 85° or less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X) of.

도 45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복수의 날개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4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nlarged portion of a plurality of wings of a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펠러(110a)의 축방향(X)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는 수평방향(Y)으로 리턴 채널(130a)을 자른 단면(Q)상에서, 상방을 향하는 제 1면(190)의 상 단부(190b) 및 제 2면(200)의 상 단부(200b)를 연결한 직선(B)이 리턴 채널(130a)의 중심(O) 및 제 1면(190)의 상 단부(190b)를 연결한 직선(C)과 이루는 각도(θ)는 0ㅀ이상 80ㅀ이하일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45, on the cross-section (Q) of the return channel (130a) cu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Y)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110a), the first surface (190) facing upward. A straight line (B) connecting the upper end (190b) of the second surface (200b) and the upper end (200b) of the return channel (130a) and the upper end (190b) of the first surface (190) The angle θ formed with the straight line C connecting) may be 0° or more and 80° or less.

도 46는 제 1면의 시작점(M) 및 제 2면의 시작점(N)을 연결하는 직선(A)의 임펠러의 축방향(X)에 대한 경사도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흡입력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46 is a slope of the impeller in the axial direction (X) of a straight line (A) connecting the starting point (M) of the first surface and the starting point (N) of the second surface, and suction force of the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도 46의 그래프에서, 복수의 날개(160,160a)의 제 1면(162,190)의 시작점(M)과 제 2면(163,200)의 시작점(N)을 연결하는 직선(A)이 임펠러(110,110a)의 축방향(X)에 대하여 5ㅀ이상 85ㅀ이하의 경사를 형성할수록 흡입유닛(100,100a)의 흡입력이 증가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In the graph of FIG. 46, a straight line (A) connecting the starting point (M) of the first surfaces (162, 190) of the plurality of blades (160, 160a) and the starting point (N) of the second surfaces (163, 200) is the impeller (110, 110a) It can be seen that the suction power of the suction units 100 and 100a increases as the inclination of 5 ㅀ or more and 85 ㅀ or less is formed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X.

도 47은 임펠러의 축방향(X)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는 수평방향(Y)으로 리턴 채널을 자른 단면(Q)상에서, 제 1면의 일 단부 및 제 2면의 일 단부를 연결한 직선(B)과 리턴 채널의 중심 및 제 1면의 일 단부를 연결한 직선(C)이 이루는 각도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흡입력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47 is a straight line (B) connecting one end of the first surface and one end of the second surface on the cross-section (Q) of the return channel cu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Y)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ngle formed by the straight line C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return channel and one end of the first surface and the suction force of the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7의 그래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임펠러(110,110a)의 축방향(X)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는 수평방향(Y)으로 리턴 채널(130,130a)을 자른 단면(Q)상에서, 상방을 향하는 제 1면(162,190)의 상 단부(162b,190b)와 제 2면(163,200)의 상 단부(163b,200b)를 연결한 직선(B)이 리턴 채널(130,130a)의 중심(O)과 제 1면(162,190)의 상 단부(162b,190b)를 연결한 직선(C)과 이루는 각도(θ)는 0ㅀ이상 80ㅀ이하일 수 있다.As shown in the graph of Fig. 47, on the cross-section (Q) of the return channels (130, 130a) cu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Y)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s (110, 110a), the first facing upward A straight line (B) connecting the upper ends (162b, 190b) of the surfaces (162,190) and the upper ends (163b, 200b) of the second surfaces (163,200) is the center (O) and the first surface of the return channels (130, 130a) The angle θ formed with the straight line C connecting the upper ends 162b and 190b of (162,190) may be 0° or more and 80° or less.

또한, 상방을 향하는 제 1면(162,190)의 상 단부(162b,190b)와 제 2면(163,200)의 상 단부(163b,200b)를 연결한 직선(B)이 리턴 채널(130,130a)의 중심(O)과 제 1면(162,190)의 상 단부(162b,190b)를 연결한 직선(C)과 이루는 각도(θ)가 0ㅀ에 가까울수록 흡입력 및 효율이 우수하다.In addition, a straight line (B) connecting the upper ends (162b, 190b) of the first surfaces (162, 190) facing upward and the upper ends (163b, 200b) of the second surfaces (163, 200) is the center of the return channels (130, 130a). The closer the angle (θ) to the straight line (C) connecting the (O) and the upper ends (162b, 190b) of the first surfaces (162,190) to 0ㅀ, the better the suction power and efficiency.

각도(θ)의 표현 중 "-" 및 "+"는 임펠러(110)의 회전방향과의 관계를 나타낸다. 즉, 제 1면(162,190)의 상 단부(162b,190b)와 제 2면(163,200)의 상 단부(163b,200b)를 연결한 직선(B)이 리턴 채널(130,130a)의 중심(O)과 제 1면(162,190)의 상 단부(162b,190b)를 연결한 직선(C)에 대하여 임펠러(110,110a)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여 기울어지면 "+"로 표현한다. 반면, 제 1면(162,190)의 상 단부(162b,190b)와 제 2면(163,200)의 상 단부(163b,200b)를 연결한 직선(B)이 리턴 채널(130,130a)의 중심(O)과 제 1면(162,190)의 상 단부(162b,190b)를 연결한 직선(C)에 대하여 임펠러(110,110a)의 회전방향과 반대 방향을 향하여 기울어지면 "-"로 표현한다.In the expression of the angle (θ), "-" and "+" indicate the relationship with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impeller 110. That is, a straight line (B) connecting the upper ends (162b, 190b) of the first surfaces (162, 190) and the upper ends (163b, 200b) of the second surfaces (163, 200) is the center (O) of the return channels (130, 130a) When inclined toward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impellers 110 and 110a with respect to the straight line C connecting the upper ends 162b and 190b of the first surfaces 162 and 190, it is expressed as "+". On the other hand, a straight line (B) connecting the upper ends (162b, 190b) of the first surfaces (162,190) and the upper ends (163b, 200b) of the second surfaces (163,200) is the center (O) of the return channels (130, 130a) When inclined toward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impellers 110 and 110a with respect to the straight line C connecting the upper ends 162b and 190b of the first surfaces 162 and 190, it is expressed as "-".

이상에서 설명한 흡입유닛(100,100a,100b)은 청소기(1,1a,1000)의 종류에 상관없이 적용 가능하다. 즉, 흡입유닛(100)은 로봇 청소기, 캐니스터(Canister) 방식의 청소기 및 업라이트(Up-right)방식의 청소기에도 적용 가능하다.The suction units 100, 100a, and 100b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regardless of the type of the cleaners 1, 1a, and 1000. That is, the suction unit 100 can be applied to a robot cleaner, a canister-type cleaner, and an up-right-type cleaner.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However, it is not limited only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perform various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

1,1a : 청소기 10 : 본체
10a : 집진실 10b : 흡입실
11 : 흡입부 12 : 연결호스
13 : 연결관 14 : 손잡이
15 : 배기부 16 : 배기유로
16a : 제 1유로 16b : 제 2유로
16c : 제 3유로 17 : 연결배관
18 : 배기필터 20 : 집진장치
21 : 집진장치 커버 22 : 집진장치의 토출구
40 : 케이스 41 : 내부유로
42 : 배출구 100,100a,100b : 흡입유닛
110,110a : 임펠러 111 : 제 1플레이트
112 : 제 2플레이트 113 : 회전날개
114 : 개구홀 115,115a : 유로
120 : 임펠러 커버 121,121a : 흡기구
122,122a : 가이드부 130,130a,130b : 리턴 채널
131 : 이너 프레임 132 : 아우터 프레임
133 : 안착부 134 : 임펠러 수용공간
135,135a : 출구 136 : 모터축관통홀
140,140a : 모터 141 : 모터축
150 : 모터하우징 151 : 연장부
160,160a : 날개 161,161a : 배출유로
162,190,162a : 제 1면 162b,190b : 상 단부
163,200,163a : 제 2면 163b,200b : 상 단부
164 : 연결부 170 : 커버
180 : 수용공간 191 : 스페이스
1000 : 로봇청소기 133a : 돌출부
137 : 입구 200 : 지지유닛
201 : 바디 202 : 냉각핀
210 : 인쇄회로기판 220 : 돌기
165 : 제 1날개 166 : 제 2날개
300 : 하우징 400 : 제 1하우징
410 : 장애물감지센서 500 : 제 2하우징
510 : 집진통 530 : 집진 유닛
540 : 구동휠 541 : 제1구동휠
542 : 제2구동휠 550 : 전원유닛
551 : 메인보드 600 : 연결부재
700 : 범퍼 710 : 완충부재
720 : 진입 차단 센서 511 : 파지부
139a : 제 1유닛 139b : 제 2유닛
131a : 연장부 800 : 서브 날개
900 : 회전방지유닛 911 : 리브
920 : 체결부 930 : 고정부
940 : 고정홈 950 : 노즈콘
960 : 고정부재
1,1a: vacuum cleaner 10: main body
10a: dust collection room 10b: suction room
11: suction part 12: connection hose
13: connector 14: handle
15: exhaust unit 16: exhaust flow path
16a: Euro 1 16b: Euro 2
16c: 3rd channel 17: connection piping
18: exhaust filter 20: dust collector
21: dust collecting device cover 22: discharge port of the dust collecting device
40: case 41: internal flow path
42: outlet 100,100a,100b: suction unit
110,110a: impeller 111: first plate
112: second plate 113: rotating blade
114: opening hole 115,115a: flow path
120: impeller cover 121,121a: intake port
122,122a: guide unit 130,130a,130b: return channel
131: inner frame 132: outer frame
133: seat 134: impeller accommodation space
135,135a: outlet 136: motor shaft through hole
140,140a: motor 141: motor shaft
150: motor housing 151: extension
160,160a: wing 161,161a: discharge passage
162,190,162a: first side 162b,190b: upper end
163,200,163a: second side 163b,200b: upper end
164: connection part 170: cover
180: accommodation space 191: space
1000: robot cleaner 133a: protrusion
137: entrance 200: support unit
201: body 202: cooling fin
210: printed circuit board 220: protrusion
165: first wing 166: second wing
300: housing 400: first housing
410: obstacle detection sensor 500: second housing
510: dust collection container 530: dust collection unit
540: drive wheel 541: first drive wheel
542: second driving wheel 550: power unit
551: main board 600: connecting member
700: bumper 710: buffer member
720: entry blocking sensor 511: grip
139a: first unit 139b: second unit
131a: extension part 800: sub wing
900: rotation prevention unit 911: rib
920: fastening part 930: fixed part
940: fixed groove 950: nose cone
960: fixing member

Claims (29)

공기를 본체 내부로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유닛을 포함하는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흡입유닛은,
회전 가능한 임펠러(IMPELLER);
흡기구가 형성되는 임펠러 커버(IMPELLER COVER); 및
내부에 상기 임펠러를 수용하도록 상기 임펠러 커버와 결합하는 리턴 채널(RETURN CHANNEL);을 포함하고,
상기 리턴 채널은,
이너 프레임(INNER FRAME); 및
상기 이너 프레임과 이격되도록 상기 이너 프레임의 외측에 위치하는 아우터 프레임(OUTER FRAME);을 포함하고,
상기 이너 프레임 및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사이에는 복수의 날개가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날개는 서로 이격되어 상기 임펠러를 통과한 공기가 이동하는 배출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배출유로는,
상기 임펠러를 향하는 일 단부에 형성되는 입구; 및
상기 입구를 통해 상기 배출유로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흡입유닛의 외측으로 토출되도록 상기 입구와 이격되게 다른 단부에 형성되는 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날개는,
상기 이너 프레임의 외면과 마주하고, 시작점(M)을 포함하는 제 1면; 및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내면과 마주하고, 상기 시작점(M)과 함께 상기 입구를 형성하는 시작점(N)을 포함하는 제 2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면의 시작점(N)은 상기 제 1면의 시작점(M)보다 상기 임펠러 커버를 향하여 더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In the vacuum cleaner comprising a suction unit f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for sucking air into the body,
The suction unit,
A rotatable impeller (IMPELLER);
Impeller cover (IMPELLER COVER) in which the intake port is formed; And
Includes; a return channel (RETURN CHANNEL) coupled with the impeller cover to accommodate the impeller therein,
The return channel,
INNER FRAME; And
Including; an outer frame (OUTER FRAME) located outside the inner frame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frame,
A plurality of blades are disposed between the inner frame and the outer frame,
The plurality of blad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orm a discharge passage through which air passing through the impeller moves,
The discharge flow path,
An inlet formed at one end facing the impeller; And
And an outlet formed at the other end spaced apart from the inlet so that the air introduced into the discharge passage through the inle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uction unit,
The plurality of wings,
A first surface facing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frame and including a starting point (M); And
Including; a second surface facing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and including a starting point (N) forming the inlet together with the starting point (M),
A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tarting point (N) of the second surface further extends toward the impeller cover than the starting point (M) of the first surfa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 채널은 상기 임펠러를 통과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임펠러에 직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return channel is a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directly connected to the impeller so that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impeller can be introduc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날개는 상기 임펠러의 축방향(X)에 대하여 경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plurality of blades are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n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는 제 1방향(H)을 향하여 회전하고,
상기 복수의 날개는 상기 임펠러의 축방향(X)에 대하여 상기 제 1방향(H)과 반대방향인 제 2방향(I)을 따라 경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impeller rotates toward the first direction (H),
The plurality of blades are inclined in a second direction (I)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H)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날개는 곡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plurality of blades is a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urved surfac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 커버는 상기 임펠러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입구로 가이드하도록 상기 아우터 프레임에 결합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곡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impeller cover includes a guide part coupled to the outer frame to guide the air passing through the impeller to the inlet,
A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portion has a curved surfac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임펠러 커버의 외측을 향하여 볼록하고, 곡률 반지름이 1mm 이상인 곡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7,
The guide portion is convex toward the outside of the impeller cover, and a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curved surface having a radius of curvature of 1 mm or mor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면의 시작점(M) 및 상기 제 2면의 시작점(N)을 연결하는 직선(A)은 상기 제 1면의 시작점(M)을 지나도록 상기 임펠러의 축방향(X)으로 연장되는 직선에 대하여 5°이상 85°이하의 경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
A straight line (A) connecting the starting point (M) of the first surface and the starting point (N) of the second surface extends in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so as to pass through the starting point (M) of the first surface. A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it forms an inclination of 5° or more and 85° or less with respect to a straight lin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의 축방향(X)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는 수평방향(Y)으로 상기 리턴 채널을 자른 단면(Q) 상에서,
상기 임펠러 커버를 향하는 상기 제 1면의 일 단부 및 상기 제 2면의 일 단부를 연결한 직선(B)이 상기 리턴 채널의 중심 및 상기 임펠러 커버를 향하는 상기 제 1면의 일 단부를 연결한 직선(C)과 이루는 각도(*?*)는 0°이상 8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
On the cross-section (Q) cut the return channel in the horizontal direction (Y)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A straight line (B) connecting one end of the first surface toward the impeller cover and one end of the second surface (B)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return channel and one end of the first surface toward the impeller cover (C) The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angle (*?*) is 0° or more and 80° or less.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날개는 상기 제 1면의 시작점(M) 및 상기 제 2면의 시작점(N)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곡면 및 평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plurality of wings further includes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starting point (M) of the first surface and the starting point (N) of the second surface,
The connection portion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of a curved surface and a flat surface.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 1면의 시작점(M) 및 상기 제 2면의 시작점(N) 중 적어도 하나보다 상기 임펠러 커버를 향하여 더 연장되는 최고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3,
And the connecting portion includes a highest point extending toward the impeller cover than at least one of a starting point (M) of the first surface and a starting point (N) of the second surfa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유닛은 상기 임펠러가 회전할 수 있는 원동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임펠러와 결합하는 모터축을 가지고, 상기 리턴 채널의 내부에 마련되는 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suction unit further comprises a motor provided inside the return channel and having a motor shaft coupled with the impeller to provide a motive force through which the impeller can rotate.
공기를 본체 내부로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유닛을 포함하는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흡입유닛은,
회전 가능한 임펠러(IMPELLER);
흡기구가 형성되는 임펠러 커버(IMPELLER COVER); 및
내부에 상기 임펠러를 수용하도록 상기 임펠러 커버와 결합하고, 상기 임펠러를 통과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임펠러에 직결되는 리턴 채널(RETURN CHANNEL)로서, 서로 분리 가능한 복수의 유닛을 포함하는 리턴 채널;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복수의 유닛은,
이너 프레임(INNER FRAME);
상기 이너 프레임과 이격되도록 상기 이너 프레임의 외측에 위치하는 아우터 프레임(OUTER FRAME); 및
상기 이너 프레임 및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In the vacuum cleaner comprising a suction unit f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for sucking air into the body,
The suction unit,
A rotatable impeller (IMPELLER);
Impeller cover (IMPELLER COVER) in which the intake port is formed; And
As a return channel (RETURN CHANNEL) coupled to the impeller cover so as to accommodate the impeller therein, and directly connected to the impeller so that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impeller can be introduced, a return channel including a plurality of units separable from each other; Including,
Each of the plurality of units,
INNER FRAME;
An outer frame positioned outside the inner fram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frame; And
And a plurality of blades disposed between the inner frame and the outer frame.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닛은 상기 임펠러의 축방향(X)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는 방향으로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6,
The plurality of units is a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separable in a direction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닛은 상기 임펠러의 축방향(X)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는 수평방향(Y)으로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6,
The plurality of units is a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separable in a horizontal direction (Y)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삭제delete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날개는 상기 임펠러의 축방향(X)에 대하여 경사를 형성하고, 곡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6,
The plurality of blades ar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and a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urved surface.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 채널은 상기 복수의 유닛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복수의 유닛을 결합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방지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6,
The return channel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anti-rotation unit coupling the plurality of units to prevent the plurality of units from rotating.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전방지유닛은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리턴 채널의 내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21,
The at least one rotation preventing unit is a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side the return channel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닛은,
상기 임펠러를 통과한 공기가 이동하는 방향(G)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제 1유닛; 및
상기 임펠러를 통과한 공기가 이동하는 방향(G)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제 2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전방지유닛은 상기 제 1유닛 및 상기 제 2유닛 중 어느 하나의 내측에 마련되는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21,
The plurality of units,
A first unit located upstream of a direction G in which the air passing through the impeller moves; And
Including; a second unit located downstream of the direction (G) in which the air passing through the impeller moves,
The at least one rotation preventing unit, a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otrusion provided inside any one of the first unit and the second unit.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전방지유닛은 상기 제 1유닛 및 상기 제 2유닛 중 다른 하나의 내측에 마련되고, 상기 돌기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23,
The at least one rotation preventing unit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other one of the first unit and the second unit, a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astening portion coupled to the protrusion so as to be separated.
공기를 본체 내부로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유닛을 포함하는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흡입유닛은,
회전 가능한 임펠러(IMPELLER);
흡기구가 형성되는 임펠러 커버(IMPELLER COVER); 및
내부에 상기 임펠러를 수용하도록 상기 임펠러 커버와 결합하고, 상기 임펠러를 통과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임펠러에 직결되는 리턴 채널(RETURN CHANNEL);을 포함하고,
상기 리턴 채널에는, 상기 임펠러의 축방향(X)에 대하여 경사를 형성하는 복수의 날개와, 상기 임펠러의 축방향(X)으로 상기 복수의 날개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날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In the vacuum cleaner comprising a suction unit f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for sucking air into the body,
The suction unit,
A rotatable impeller (IMPELLER);
Impeller cover (IMPELLER COVER) in which the intake port is formed; And
Includes; a return channel coupled to the impeller cover to accommodate the impeller therein, and directly connected to the impeller so that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impeller can be introduced,
In the return channel, a plurality of blades forming an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and at least one sub blade having a height lower than that of the plurality of blades in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are disposed. A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날개는 곡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25,
The plurality of blades is a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urved surface.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는 제 1방향(H)을 향하여 회전하고,
상기 복수의 날개는 상기 임펠러의 축방향(X)에 대하여 상기 제 1방향(H)과 반대방향인 제 2방향(I)을 따라 경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25,
The impeller rotates toward the first direction (H),
The plurality of blades are inclined in a second direction (I)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H)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 채널은,
이너 프레임(INNER FRAME); 및
상기 이너 프레임과 이격되도록 상기 이너 프레임의 외측에 위치하는 아우터 프레임(OUTER FRAME);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날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날개는 상기 이너 프레임 및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25,
The return channel,
INNER FRAME; And
Including; an outer frame (OUTER FRAME) located outside the inner frame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frame,
The plurality of blades and the at least one sub blade are disposed between the inner frame and the outer frame.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날개는 상기 임펠러의 축방향(X)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날개와 동일한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25,
The at least one sub blade is formed to have the same inclination as the plurality of blades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X) of the impeller.
KR1020140045033A 2013-12-24 2014-04-15 Cleaner KR1021712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524,603 US9757000B2 (en) 2013-12-24 2014-10-27 Cleaning device
CN201480070651.6A CN105848544B (en) 2013-12-24 2014-12-16 Cleaning device
AU2014370740A AU2014370740B2 (en) 2013-12-24 2014-12-16 Cleaning device
PCT/KR2014/012407 WO2015099350A1 (en) 2013-12-24 2014-12-16 Cleaning device
EP14873210.0A EP3086699B1 (en) 2013-12-24 2014-12-16 Cleaning device
US15/670,660 US10470633B2 (en) 2013-12-24 2017-08-07 Clean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62088 2013-12-24
KR1020130162088 2013-1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5008A KR20150075008A (en) 2015-07-02
KR102171271B1 true KR102171271B1 (en) 2020-10-28

Family

ID=53788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5033A KR102171271B1 (en) 2013-12-24 2014-04-15 Cleaner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086699B1 (en)
KR (1) KR102171271B1 (en)
CN (1) CN105848544B (en)
AU (1) AU2014370740B2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1161B1 (en) * 2015-08-24 2016-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Robot cleaner
CN109340187B (en) * 2018-10-08 2021-04-20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Fixed impeller for dust collector, fan and dust collector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19541B2 (en) 2002-04-30 2004-04-13 Northland/Scott Fetzer Company Fan assembly with application to vacuum cleaners
JP3801855B2 (en) 2000-11-07 2006-07-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Electric blower and vacuum cleaner provided with the same
JP2011080427A (en) 2009-10-08 2011-04-21 Panasonic Corp Electric blower and vacuum cleaner using the same
US20110277267A1 (en) * 2009-02-06 2011-11-17 Panasonic Corporation Electric blower and electric vacuum cleaner utilizing the same
WO2012103053A2 (en) 2011-01-25 2012-08-02 Techtronic Floor Care Technology Limited Diffuser for a vacuum cleaner motor-fan assembly
WO2013053920A1 (en) 2011-10-13 2013-04-18 Aktiebolaget Electrolux Vacuum cleane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83907U (en) * 1990-12-29 1991-09-04 朱霖 Internal circulating type suction cleaner
SE9303599L (en) * 1993-11-02 1995-05-03 Electrolux Ab Device for cooling an electric motor driven turbo fan assembly
KR970009718A (en) * 1995-08-31 1997-03-27 배순훈 Sound absorption room which lengthened exhaust channel of vacuum cleaner
JPH0998918A (en) * 1995-10-03 1997-04-15 Hitachi Ltd Vacuum cleaner
JP2010281232A (en) * 2009-06-03 2010-12-16 Panasonic Corp Electric blowe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01855B2 (en) 2000-11-07 2006-07-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Electric blower and vacuum cleaner provided with the same
US6719541B2 (en) 2002-04-30 2004-04-13 Northland/Scott Fetzer Company Fan assembly with application to vacuum cleaners
US20110277267A1 (en) * 2009-02-06 2011-11-17 Panasonic Corporation Electric blower and electric vacuum cleaner utilizing the same
JP2011080427A (en) 2009-10-08 2011-04-21 Panasonic Corp Electric blower and vacuum cleaner using the same
WO2012103053A2 (en) 2011-01-25 2012-08-02 Techtronic Floor Care Technology Limited Diffuser for a vacuum cleaner motor-fan assembly
WO2013053920A1 (en) 2011-10-13 2013-04-18 Aktiebolaget Electrolux Vacuum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4370740A1 (en) 2016-07-07
EP3086699B1 (en) 2022-02-02
KR20150075008A (en) 2015-07-02
EP3086699A1 (en) 2016-11-02
AU2014370740B2 (en) 2017-07-13
CN105848544B (en) 2020-06-30
EP3086699A4 (en) 2017-08-23
CN105848544A (en) 2016-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70633B2 (en) Cleaning device
US8657905B2 (en) Cyclonic separation apparatus
RU2520051C2 (en) Vacuum cleaner and detachable device for dust separation
US20220183522A1 (en) Cleaner
EP2581019B1 (en) Cyclonic separation apparatus
KR102195707B1 (en) Cleaner
KR101924350B1 (en) Vacuum cleaner having 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US10314451B2 (en) Vacuum cleaner
US20150074936A1 (en) Vacuum
US10299645B2 (en) Vacuum cleaner
KR102665028B1 (en) Cyclone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KR102171271B1 (en) Cleaner
KR102171874B1 (en) Cleaner
KR20160015621A (en) Cleaner
KR102159581B1 (en) Vacuum cleaner
JP6626370B2 (en) Dust collector
KR20150141796A (en) Cleaner
KR20090118804A (en) 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CN113520219A (en) Vertical dust collector
CN102599851A (en) Motor box structure for lowering noise of motor
KR102280929B1 (en) Vacuum cleaner
CN110192808B (en) Vertical dust collector
US20230020024A1 (en) Dust cup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CN206026225U (en) Hand -held vacuum cleaner
KR20230114510A (en) Dust collector and cleaner h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